KR20070091765A -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 Google Patents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765A
KR20070091765A KR1020060021288A KR20060021288A KR20070091765A KR 20070091765 A KR20070091765 A KR 20070091765A KR 1020060021288 A KR1020060021288 A KR 1020060021288A KR 20060021288 A KR20060021288 A KR 20060021288A KR 20070091765 A KR20070091765 A KR 20070091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de layer
layer
electrochromic
condu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철
김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2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1765A/ko
Publication of KR20070091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23/002Hat hemming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4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rotating discontinu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에 관한 것이다. 이는 투명한 제 1기판글라스와, 상기 제 1기판글라스에 밀착 고정되는 제 1투명전극층과, 상기 제 1투명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투명전극층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일렉트로크로믹층과, 상기 일렉트로크로믹층 상부에 구비되며 일렉트로크로믹층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 2투명전극층과, 상기 제 2투명전극층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2기판글라스와, 상기 제 2기판글라스 상에 적층되는 반사층과, 상기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투명전극층에 해당 극성의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를 포함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부는; 상기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투명전극층의 전극면 일부에 각기 도포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투명전극층에 각각 전달하는 전도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렉트로크로믹 밀러는, 투명전극층에 전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명전극층의 해당 부위에 전도성물질을 도포하여 외부의 전기가 상기 전도성물질을 통해 투명전극층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클립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원가가 낮아지며 구조도 간단하다.

Description

일렉트로크로믹 밀러{Electrochromic mirror}
도 1은 종래의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보호커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41:일렉트로크로믹 밀러(EC밀러) 13:기판글라스
15:투명전극층 17,47:일렉트로크로믹층(EC층)
19:전극겸반사층 21:보호유리
23:에폭시수지 25:클립
25a:접속부 25b:탄성가압부
25c:전력도입부 27:전력선
43:제 1기판글라스 45:제 1투명전극층
51:제 2기판글라스 53:무연솔더
55:전력선 57:보호커버
57a:전력선관통구 59:반사층
본 발명은 일렉트로크로믹 밀러(Electrochromic mirror)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인가해주면 산화 환원반응을 통해 착색(着色)과 소색(消色)이 이루어지는 성질을 갖는 물질, 즉 일렉트로크로믹(electrochromic)을 내장한 일렉트로크로믹(이하, EC)밀러가 제안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EC밀러는 입사되는 광량에 따른 반사율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특히 차량의 사이드밀러나 룸밀러에 적용되어 야간 운전시 후방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에 의한 눈부심을 최대한 저감시킨다. 이러한 EC밀러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구조는 거의가 비슷하고 예를 들자면 도 1에 도시한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EC밀러(11)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화살표 R방향으로 입사하는 빛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기판글라스(13)와, 상기 기판글라스(13)의 상면에 적층되고 소정패턴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전극층(15)과, 상기 투명전극층(15)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전극층(15)으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아 착색 또는 소색되는 EC층(17)과, 상기 EC층(17)을 커버하며 EC층(17)을 통과하여 입사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의 역할과 전극의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는 전극겸반사층(19)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겸반사층(19)에 있어서 전극의 역할이라 함은, 상기 투명전극층(15)과 더불어 EC층(17)에 (반대편 극성의) 전기를 인가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EC층(17)은 평판의 형태를 취하며 투명전극층(15)과 전극겸반사층(19)으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아 반응한다.
또한 상기 기판글라스(13)와 투명전극층(15)의 테두리부는 클립(25)으로 물려 투명전극층(15)과 기판글라스(13)는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상기 투명전극층(15) 일부 및 전극겸반사층(19) 상부에는 밀봉용 에폭시수지(23)가 제공되어 있고 그 위에는 보호유리(21)가 안착된다.
상기 EC층(17)의 테두리부는 투명전극층(15)에 클립(25)을 물릴 수 있도록 투명전극층(15)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보호유리(21)는 최대한 넓은 범위를 커버하여 그 테두리가 클립(25)에 접한다.
한편 상기 클립(25)은 기판글라스(13)와 투명전극층(15)을 밀착시키는 이외에 상기 투명전극층(15)에 외부의 전기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클립(25)은 투명전극층(15)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미도시)에 접속하는 접속부(25a)와, 상기 접속부(25a)로부터 절곡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전력선(27)을 통해 외부의 전기를 인가받는 전력도입부(25c)와, 상기 접속부(25a)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기판글라스(13)를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압부(25b)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EC밀러(11)는, 클립(25)을 사용하는데 따르는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테면, EC밀러(11)를 조립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가압부(25b)를 접속부(25a)로부터 벌리고 그 사이에 적층상태의 기판글라스(13)와 투명전극층(15)을 삽입하여야 하는데 탄성가압부(25b)를 화살표 a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벌리기가 쉽지 않다. 특히 하나의 EC밀러에 다수의 클립(25)이 사용되고 클립(25)의 장착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밖에 없어 조립 생산성이 매우 낮고 힘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성가압부(25b)를 벌린 상태로 투명전극층(15)을 그 내부로 삽입할 때 투명전극층(15)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이 접속부(25a)에 밀리며 손상될 수 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한 클립(25)은 반복 사용시 탄성가압부(25b)가 제공하는 화살표 a방향 탄성력이 점차 약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클립(25)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한다거나 기타 이유로 클립(25)을 끼워져 있던 장소로부터 빼내고 다른 장소에 새로이 장착하는 것이 반복될 경우, 탄성가압부(25b)가 접속부(25a)로부터 점차적으로 벌어져 탄성 지지능력이 작아지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클립(25)은 일반 금속에 고전도성 금속을 도금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클립(25)을 제작하는 과정만으로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결국 EC밀러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투명전극층에 전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투명전극층의 해당 부위에 전도성물질을 도포하여 외부의 전기가 상기 전도성물질을 통해 투명전극층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클립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원가가 낮아지며 구조도 간단한 일렉트로크로믹 밀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한 제 1기판글라스와, 상기 제 1기판글라스에 밀착 고정되는 제 1투명전극층과, 상기 제 1투명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투명전극층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일렉트로크로믹층과, 상기 일렉트로크로믹층 상부에 구비되며 일렉트로크로믹층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 2투명전극층과, 상기 제 2투명전극층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2기판글라스와, 상기 제 2기판글라스 상에 적층되는 반사층과, 상기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투명전극층에 해당 극성의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를 포함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부는; 상기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투명전극층의 전극면 일부에 각기 도포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투명전극층에 각각 전달하는 전도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물질은, 도포공정을 통해 제 1,2투명전극층의 해당부위에 도포된 무연솔더로서, 서로에 대해 격리된 상태로 전력선을 통해 외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물질은 일정폭 및 두께를 가지며 상기 일렉트로크로믹층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에는 상기 전도성물질을 커버하며 외부로 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는 소정두께의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전도성물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전도성물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밀러(41)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투명한 제 1기판글라스(43)와, 상기 제 1기판글라스(43)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제 1투명전극층(45)과, 상기 제 1투명전극층(45)의 상면에 적층되는 EC층(47)과, 상기 EC층(47)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투명전극층(49)과, 상기 제 2투명전극층(49)에 밀착 고정되는 제 2기판글라스(51)와, 상기 제 2기판글라스(51)의 상면에 적층되는 반사층(59)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기판글라스(43)와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기판글라스(51)와 제 2투명전극층(49)은 미리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 1투명전극층(45)의 상면(전극이 위치한 면) 일측에는 무연솔더(53)(Pb free solder)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무연솔더(53)는 납을 함유하지 않은 납땜용 금속으로서 근래에 많이 사용되는 공지의 물질이다.
상기 무연솔더(53)는 제 1투명전극층(45)의 전극에 접속된 상태로 전력선 (55)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제 1투명전극층(45)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투명전극층(45)은 무연솔더(53)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EC층(47)에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 제 2투명전극층(49)에서의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저면 일측에도 무연솔더(53)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무연솔더(53)는 제 2투명전극층(49)의 전극면에 접속되며 전력선(55)을 통해 인가된 전기가 EC층(47)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 1투명전극층(45)과 제 2투명전극층(49)이 전달하는 전기의 전극이 상호 반대임은 물론이다.
상기 제 1,2투명전극층(45,49)에 대한 무연솔더(53)의 도포방식은 초음파를 이용한 통상의 방법을 따른다. 아울러 상기 무연솔더(53)의 두께나 폭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예컨대 두께는 1mm 이하로, 폭은 3mm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같이 제 1투명전극층(45)에 접속하고 있는 무연솔더(53)와 제 2투명전극층(49)에 도포되어 있는 무연솔더(53)는 EC층(47)을 사이에 두고 대각선 방향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호 접속될 염려가 없다. 그러나 무연솔더(53)가 상기 제 1,2투명전극층(45,49)에 각각 전기를 공급하고 또한 서로간에 접속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무연솔더의 위치를 얼마든지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EC밀러(41)에 있어서, 양측의 전력선(55)을 통해 전기를 인가하면, EC층(47)은 제 1,2투명전극층(45,49)으로부터 전기를 전달받아 상기한 산화반응 또는 환원반응을 통해 착색 또는 소색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화살표 R 방향으로 조사되어 반사층(59)에 도달하는 빛의 양 및 반사층(59)에 반사되어 나오는 빛의 양이 조절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EC밀러(41)의 테두리부가 보호커버(57)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상기 보호커버(57)는 EC밀러(41)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무연솔더(53)를 그 내부에 수용하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EC밀러(41)에 대한 보호커버(57)의 고정을 위해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정도를 사용할 수 있다.
사실 상기 무연솔더(53)는 그 두께가 1mm 이하(종류에 따라 수 ㎛)로서 매우 얇기 때문에, 쉽게 긁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와같이 보호커버(57)를 씌워 보호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무연솔더(53)를 보호할 수 있는 다른 보호수단 (예컨대, 보호용 코팅막)을 적용할 경우 굳이 상기 보호커버(57)를 장착하지 않을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각 무연솔더(53)가 투명전극층에 접속하고 있고 투명전극층은 기판글라스에 밀착하고 있으므로 기판글라스와 투명전극층의 테두리부 일부가 무연솔더와 함께 보호커버(57)에 수용됨은 당연하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보호커버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커버(57)가 대략 ㄷ 자의 종단면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7)는 소정두께의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57)의 소정 위치에는 전력선관통구(57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력선관통구(57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무연솔더(53)에 그 단부가 접속하고 있는 전력선(55)을 상향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전력선관통구(57a)의 형상도 편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렉트로크로믹 밀러는, 투명전극층에 전기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명전극층의 해당 부위에 전도성물질을 도포하여 외부의 전기가 상기 전도성물질을 통해 투명전극층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클립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원가가 낮아지며 구조도 간단하다.

Claims (6)

  1. 투명한 제 1기판글라스와, 상기 제 1기판글라스에 밀착 고정되는 제 1투명전극층과, 상기 제 1투명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 1투명전극층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일렉트로크로믹층과, 상기 일렉트로크로믹층 상부에 구비되며 일렉트로크로믹층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 2투명전극층과, 상기 제 2투명전극층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제 2기판글라스와, 상기 제 2기판글라스 상에 적층되는 반사층과, 상기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투명전극층에 해당 극성의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공급부를 포함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에 있어서,
    상기 전기공급부는;
    상기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투명전극층의 전극면 일부에 각기 도포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제 1투명전극층 및 제 2투명전극층에 각각 전달하는 전도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물질은,
    도포공정을 통해 제 1,2투명전극층의 해당부위에 도포된 무연솔더로서, 서로에 대해 격리된 상태로 전력선을 통해 외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물질은 일정폭 및 두께를 가지며 상기 일렉트로크로믹층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에는 상기 전도성물질을 커버하며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소정두께의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전도성물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전도성물질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KR1020060021288A 2006-03-07 2006-03-07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KR20070091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288A KR20070091765A (ko) 2006-03-07 2006-03-07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288A KR20070091765A (ko) 2006-03-07 2006-03-07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765A true KR20070091765A (ko) 2007-09-12

Family

ID=3868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288A KR20070091765A (ko) 2006-03-07 2006-03-07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17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275A (ko) * 2016-11-23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275A (ko) * 2016-11-23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원 전극 구조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변색 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9102B2 (en) Method of forming an exterior mirror reflector sub-assembly with auxiliary reflector portion
US7310178B2 (en)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CN110082961B (zh) 胶框、背光模组及显示装置
EP0991129A4 (en) SOLAR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4292232A (ja) 乗物用外部ミラー組立体
JP3061543B2 (ja) Ec素子を有した室外鏡
JP2001330864A (ja) Ecミラーの電極構造
JPWO2002039180A1 (ja) 固体型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及びその素子を用いたミラー装置並びにcrtディスプレイ
CN104169636B (zh) 背光源单元和液晶显示装置
CN104791660A (zh) 显示装置及其背光模组
US6583919B1 (en) Electrochromic anti-glare mirror
US11947158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07027466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recting light emitting diode output light
KR20070091765A (ko) 일렉트로크로믹 밀러
CN211124787U (zh) 一种背光源模组及显示装置
CN212276187U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2004117435A (ja) 液晶表示パネルのバックライト構造
WO2015151750A1 (ja) 保持部材付きec素子
CN217214058U (zh) 增加柔性电路板可靠性的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220220574U (zh) 一种ec玻璃后视镜
KR100690346B1 (ko) 일렉트로크로믹 밀러용 클립
FR2471054A1 (fr) Dispositif lumineux a diode
JP2000122057A (ja) 液晶表示装置
CN219533575U (zh) 一种玻璃背板导光的显示模组
KR200225267Y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