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571A - 액체 유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유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571A
KR20180119571A KR1020187023607A KR20187023607A KR20180119571A KR 20180119571 A KR20180119571 A KR 20180119571A KR 1020187023607 A KR1020187023607 A KR 1020187023607A KR 20187023607 A KR20187023607 A KR 20187023607A KR 20180119571 A KR20180119571 A KR 20180119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softener composition
acid
composi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638B1 (ko
Inventor
에미코 하시모토
사에 이시카와
코헤이 모리타
시오리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11D3/0015Softening compositions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6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 D06M13/463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derived from monoam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하의 (A)∼(D)성분을 함유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 (A)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아민 화합물, 그 중화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B) 아미노 변성 실리콘 0.1-10질량%, (C) 그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의거하여 0.1질량% 이상의 이소이수퍼[Iso E Super]를 함유하고, 또한 시트로넬롤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D) 항균제.

Description

액체 유연제 조성물
본 발명은,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겔화가 억제되고, 및/또는 보존 후의 냄새 발생이 억제된,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의류의 촉감 부여(유연성 부여, 매끄러움 부여, 주름 방지 소구(訴求))에 대해서는, 종래로부터, 카티온 활성제나 아미노실리콘을 조합시킨 섬유 처리제가 제안되어 있다(특개2008-150756호 공보, 특개2008-297675호 공보, 특개2009-12012호 공보).
상기 카티온 계면활성제와 아미노 변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처리제에 대해, 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글리콜에테르 화합물을 적용하거나(특개2008-150756호 공보), 프로필렌옥사이드, 에틸렌옥사이드기를 부여한 특정 비이온을 적용하거나(특개2012-7265호 공보), 고온 보존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트레할로스를 적용하는 기술(특개2014-118640호 공보)이 있다.
또한, 보존 후의 촉감 부여 효과로서는, 또한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기를 특정 비율로 부가한 비이온을 사용하는 기술(특개2012-7265호 공보)이 있고, 보존 후의 향기의 열화를 억제하는 기술로서는, 요소를 배합하는 기술(국제 공개 제2014/003180호), 특정한 향료와 산화방지제를 배합하는 기술(특개2012-56392호 공보)이 있다.
그렇지만,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제품이 실외에 놓여진 경우, 예를 들면 자외선하에 노출된 경우의 겔(피막) 형성이나, 동결 복원에서의 겔 형성, 또는 제품이 실외에서 보관된 경우나 장기 보존 후 등의 냄새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향료 조성물에 의해, 유연제 조성물의 겔 형성 정도는 다르고, 겔화가 억제된 유연제 조성물이 요망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아미노 변성 실리콘, 소정의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항균제를 배합함에 의해, 겔 형성이나 냄새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촉감 부여 효과에도 우수한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는데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신규 지견에 의거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이하의 (A)∼(D)성분을 함유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A)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分斷)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아민 화합물, 그 중화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B) 아미노 변성 실리콘 0.1-10질량%,
(C) 그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의거하여 0.1질량% 이상의 이소이수퍼 [Iso E Super]를 함유하고, 또한 시트로넬롤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D) 항균제.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의하면, (C)성분이, 쿠마린, 헥실신나믹알데히드 및 하바놀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향료 성분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의하면, 겔화가 억제된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의하면, 보존 후의 냄새 발생이 억제된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의하면, 겔화가 억제되고, 또한 보존 후의 냄새 발생이 억제된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의하면, 겔화가 억제되고, 및/또는 보존 후의 냄새 발생이 억제되고, 그 위에 또한 촉감 부여 효과에도 우수한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A)성분]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A)성분은,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아민 화합물, 그 중화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고, 카티온 계면활성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A)성분은, 주로, (B)성분과 하나가 되어, 유연제 조성물에 촉감 부여 효과(특히, 속옷 등의 의류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효과)를 주기 위해 배합된다.
소정의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10∼26, 바람직하게는 12∼24, 특히 바람직하게는 14∼20이다.
이 탄화수소기는, 에스테르기 및 아미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에 의해 분단되어 있어도 좋다. 에스테르기 및 아미드기 중에서는 에스테르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분단하는 기의 수는, 탄화수소기 하나에 대해 하나이다. 또한, 분단기가 갖는 탄소 원자는, 탄화수소기의 탄소수에 카운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탄화수소기는 포화라도 불포화라도 좋고, 직쇄라도 분기쇄라도 좋다.
아민 화합물의 중화물이란, 아민 화합물을 산으로 중화함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중화에 사용하는 산으로서는, 염산, 황산, 메틸황산이나, 파라톨루엔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중화물은 아민염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화물의 제조는, 미리 산으로 중화한 아민 화합물을 물로 분산시키는, 액상 또는 고체상의 아민 화합물의 산 수용액 중에의 투입, 또는, 아민 화합물과 산과의 수중에의 동시 투입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아민 화합물의 4급화물이란, 아민 화합물 중, 질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탄화수소기의 수가 3인 것(3급아민)을 4급화제로 처리함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4급화제로서는, 염화메틸이나 디메틸황산 등을 들 수 있다.
(A)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A-I)∼(A-Ⅶ)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아민 화합물, 그 중화물 또는 그 4급화물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A-I)∼(A-Ⅶ)의 각 식 중, R1은 동일 또는 달라도 좋은 탄소수 15∼17의 탄화수소기(다른말로 말하면, 탄소수 16∼18의 지방산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제외함으로써 유도되는 잔기(殘基))이다. 탄화수소기는 알킬기라도 좋고, 알켄일기라도 좋다. R1을 유도하는 지방산으로서는,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직쇄 지방산이나 분기 지방산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지방산의 경우, 시스체와 트랜스체가 존재하는데, 그 질량비가, 시스체/트랜스체 = 25/75∼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60∼80/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1을 유도하는 바람직한 지방산으로서는,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리놀산, 리놀렌산, 리놀렌산, 아라키딘산, 가돌레인산, 에이코센산, 부분 수첨 팜유지방산(요오드가 10∼60)이나, 부분 수첨 우지지방산(요오드가 10∼60)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리놀산 및 리놀렌산의 혼합물로서 포화 지방산/불포화 지방산의 질량비가 95/5∼50/50, 시스체/트랜스체의 질량비가 40/60∼80/20, 요오드가가 10∼50, 탄소수 18의 지방산 함량이 혼합물 총질량에 대해 80질량% 이상, 또한, 리놀산 및 리놀렌산의 합계량이 혼합물 총질량에 대해 2질량% 이하인 혼합물이다.
(A)성분으로서, 일반식(A-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A-Ⅱ)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조성물은, 상기한 지방산 혼합물 또는 그 메틸에스테르 화물과, 메틸 디에탄올아민을 축합반응시킴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그때, 액체 유연제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각 화합물의 질량비가 (A-Ⅱ)/(A-I) =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A-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과 일반식(A-Ⅱ)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4급화제로서 염화메틸이나 디메틸황산을 사용할 수 있지만, 분자량이 작고 4급화를 위해 필요한 양을 적게 할 수 있는 염화메틸이 바람직하다. 그때, 액체 유연제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각 4급화물의 질량비가 (A-Ⅱ)의 4급화물/(A-I)의 4급화물 =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4급화 반응에서는, 미반응물(즉, (A-I)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A-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잔류한다. 그때, 4급화물에 포함되는 에스테르기의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의 관점에서, 4급화물((A-I)의 4급화물 + (A-Ⅱ)의 4급화물)와 미반응물((A-I)로 표시되는 화합물 + (A-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질량비가 4급화물/미반응물 = 99/1∼70/3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으로서, 일반식(A-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A-Ⅳ)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A-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조성물은, 상기 지방산 조성물 또는 그 메틸에스테르 화물과, 트리에탄올아민을 축합반응시킴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그때, 액체 유연제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각 화합물의 질량비가[(A-Ⅳ) + (A-V)]/(A-Ⅲ) =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A-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과 일반식(A-Ⅳ)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과 일반식(A-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4급화제로서 염화메틸이나 디메틸황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4급화 반응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디메틸황산이 바람직하다. 그때, 액체 유연제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각 4급화물의 질량비가[(A-Ⅳ) + (A-V)]/(A-Ⅲ) =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4급화 반응에서는, 미반응물(즉, 일반식(A-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A-Ⅳ)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A-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잔류한다. 그때, 4급화물에 포함되는 에스테르기의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의 관점에서, 4급화물((A-Ⅲ)의 4급화물 + (A-Ⅳ)의 4급화물 + (A-V)의 4급화물)와 미반응물((A-Ⅲ)로 표시되는 화합물 + (A-Ⅳ)로 표시되는 화합물 + (A-V)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질량비가 4급화물/미반응물 = 99/1∼70/3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으로서, 일반식(A-Ⅵ)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일반식(A-Ⅶ)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조성물은, 상기 지방산 조성물과 N-(2-히드록시에틸)-N-메틸-1,3-프로필렌디아민(J. Org. Chem. , 26, 3409(196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메틸에탄올아민과 아크릴로니트릴의 부가물로 합성)을 축합반응시킴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촉감 부여 효과를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각 화합물의 질량비가 (A-Ⅶ)/(A-Ⅵ) =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A-Ⅵ)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과 일반식(A-Ⅶ)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4급화제로서 염화메틸을 사용할 수 있다. 그때, 촉감 부여 효과를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각 4급화물의 질량비가 (A-Ⅶ)의 4급화물/(A-Ⅵ)의 4급화물 = 99/1∼50/5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4급화 반응에서는, 미반응물(즉, (A-Ⅵ)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A-Ⅶ)로 표시되는 화합물)가 잔류한다. 그때, 4급화물에 포함되는 에스테르기의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의 관점에서, 4급화물((A-Ⅵ)의 4급화물 + (A-Ⅶ)의 4급화물)와 미반응물((A-Ⅵ)로 표시되는 화합물 + (A-Ⅶ)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질량비가 4급화물/미반응물 = 99/1∼70/30이 되도록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上述)한 중에서는, 일반식(A-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과, 일반식(A-Ⅳ)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과, 일반식(A-V)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연제로서의 기능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조성물 중에서의 각 4급화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A-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이 5∼98질량%, (A-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이 1∼60질량%, (A-V)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이 0.1∼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A-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이 10∼55질량%, (A-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이 30∼60질량%, (A-V)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4급화물이 5∼35질량%이다.
(A)성분은, 시장에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거나, 또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 가능하다.
(A)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조성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혼합물(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질소 원자에 결합한 탄화수소기의 수가 2 또는 3인 아민 화합물의 함량이, 혼합물(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50질량% 이상이면, 유연제로서의 기능을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A)성분의 배합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10∼30질량%, 바람직하게는 10∼20질량%이다. (A)성분의 배합량이 30질량% 이하면, 유연제 조성물의 액 점도가 높아짐에 의한 핸들링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A)성분의 배합량이 10질량% 이상이면, 충분한 촉감 부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성분]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B)성분은, 아미노 변성 실리콘이다. (B)성분은, 주로, (A)성분과 하나가 되어, 유연제 조성물에 촉감 부여 효과(특히, 속옷 등의 의류에 평활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주기 위해 배합된다.
아미노 변성 실리콘은, 디메틸실리콘 골격의 양말단(兩末端) 또는 측쇄에 아미노기를 도입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아미노 변성 실리콘은 다음의 일반식(B) :
Figure pct00002
(식 중, R은, 각각 독립하여, -H, -OH, -CH3 및-Si(CH3)3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고, X는, -(CH2)a-NH2, 또는, -(CH2)a-NH(CH2)bNH2이고(a는 0∼3의 정수이고, b는 1∼3의 정수이다), n은 1∼10000이고, m은 1∼1000이다.)로
표시되는, 측쇄 X에 아미노기를 도입하여 이루어지는 화합물이다.
(B)성분으로서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은, 25℃에서의 동점도가, 바람직하게는 100∼20000㎟/s,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10000㎟/s이다. 25℃에서의 동점도가 100∼20000㎟/s의 범위이면, 높은 촉감 부여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유연제 조성물의 제조성 및 취급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동점도는, 오스트발트형 점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B)성분으로서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은, 아민 당량이, 바람직하게는 400∼8000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5000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4000g/mol이다. 아민 당량이 400∼8000g/mol의 범위이면, 충분한 배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아민 당량은, 아미노 변성 실리콘의 중량평균분자량을 당해 아미노 변성 실리콘에 포함되는 질소 원자수로 나눔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질소 원자수는 원소 분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B)성분으로서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은, 오일의 형태(실리콘 오일)라도 좋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나 카티온 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서 사용함으로써 유화시킨 에멀션(실리콘 에멀션)의 형태라도 좋다. 실리콘 에멀션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B)성분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로서는, 예를 들면, 도레·다우코닝주식회사로부터 상품명 : SF-8417, BY16-849, BY16-892, FZ-3785 또는 BY16-890로 판매되고 있는 것이나,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로부터 상품명 : KF-864, KF-860, KF-880, KF-8004, KF-8005, KF-8002, KF-867 또는 KF-869, KF-861, KF-8610로 판매되고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B)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B)성분의 배합량은,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0.1∼1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5∼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0질량%이다. (B)성분의 배합량이 0.1질량% 이상이면, (B)성분의 배합 효과를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다. (B)성분의 배합량이 10질량% 이하면, 점도 안정성의 현저한 상승이 억제되면서,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B)성분과 (A)성분과의 배합비에 관해, 촉감 부여 효과의 관점에서 (A)성분 리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과 (B)성분과의 질량비((A)/(B))는 2/1∼5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10/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성분]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C)성분은 향료 조성물이고,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의거하여 0.1질량% 이상의 이소이수퍼를 함유하고, 또한 시트로넬롤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이다.
(C)성분 중의 이소이수퍼의 함유율은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 중의 시트로넬롤의 함유율은, 3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의거하여, 시트로넬롤이 0.02질량% 이상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성분에 의해, 동결 복원한 때의 겔화가 억제되고, 또한 일광 폭로한 때의 냄새 발생 억제력도 높아진다. 또한, 이소이수퍼와 시트로넬롤은, 향료 조성물과는 별도로 유연제 조성물에 배합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원에서, (C)성분은, 형식상, 이소이수퍼와 시트로넬롤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로 되어 있지만, 이소이수퍼와 시트로넬롤은, 향료 조성물과는 별도로 유연제 조성물에 배합하여도 좋다.
(C)성분은 또한, 쿠마린, 헥실신나믹알데히드 및 하바놀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쿠마린, 헥실신나믹알데히드 및 하바놀라이드를 전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은, 또한 다른 향료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향료 성분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되는 향료 원료의 리스트는, 다양한 문헌, 예를 들면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Vol. I and Ⅱ, Steffen Arctander, Allured Pub. Co.(1994) 및 「합성향료 화학과 상품 지식」, 인도우모토이치저, 화학공업일보사(1996) 및 「Perfume and Flavor Materials of Natural Origin」, Steffen Arctander, Allured Pub. Co.(1994) 및 「향기의 백과『, 일본향료협회편, 아사쿠라서점(1989) 및 「Perfumery Material Performance V. 3.3」, Boelens Aroma Chemical Information Service(1996) 및 「Flower oils and Floral Compounds In Perfumery」, Danute Lajaujis Anonis, Allured Pub. Co.(1993) 등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향료 성분의 구체례로서, 알데히드류, 페놀류, 알코올류,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하이드로카본류, 케톤류, 락톤류, 머스크류, 테르펜 골격을 갖는 향료, 천연 향료, 동물성 향료 등을 들 수 있고, 이하와 같은 것이 있다.
알데히드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운데실렌알데히드, 라우릴알데히드, 알데히드C-12MNA, 미락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알데히드, 시클라멘알데히드, 시트랄, 시트로넬랄, 에틸바닐린, 헬리오트로핀, 아니스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옥탄알, 리구스트랄, 릴리알, 리랄, 트리플랄, 바닐린이나, 헬리오날 정도를 들 수 있다.
페놀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오이게놀, 이소오이게놀 정도를 들 수 있다.
알코올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트로넬롤, 디하이드로미르세놀, 디하이드로리날로올, 게라니올, 리날로올, 네롤, 산탈롤, 산탈렉스, 터피네올, 테트라하이드로리날로올, 멘톨, 보르네올, 1-데칸알, 박다놀이나 페닐에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세드람버, 그리살바, 메틸오이게놀, 메틸이소오이게놀 로즈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스-3-헥센일아세테이트, 시스-3-헥센일프로피오네이트, 시스-3-헥센일살리실레이트, p-크레질아세테이트, p-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아밀아세테이트, 메틸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아밀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벤질아세테이트, 세드릴아세테이트, 시토로네릴아세테이트, 데카하이드로-β-나프틸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아세테이트, 에리카프로피오네이트,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에리카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게라닐포메이트, 헤디온, 리날릴아세테이트, β-페닐에틸아세테이트, 헥실살리실레이트, 스티랄릴아세테이트, 터피닐아세테이트, 베티베릴아세테이트, o-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만자네이트나, 알릴헵타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로카본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리모넨(특히, d-리모넨), α-피넨, β-피넨, 미르센, 캄펜이나, 테르피놀렌 등을 들 수 있다.
케톤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α-요논, β-요논, 메틸-β-나프틸케톤, α-다마스콘, β-다마스콘, δ-다마스콘, 다마세논, 시스-자스몬, 메틸요논, 알릴요논, 카슈메란, 디하이드로자스몬, 이소이수퍼, 베르토픽스, 이소론지폴라논, 코아본, 카르본, 로즈페논, 라즈베리케톤, 다이나스콘이나 말톨 정도를 들 수 있다.
락톤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γ-데카락톤, γ-운데카락톤, γ-노나락톤, γ-도데카락톤, 쿠마린이나, 암브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머스크류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크로펜타데카놀라이드, 에틸렌브라실레이트, 갈락솔라이드, 머스크케톤, 토날리드, 토날라이드나, 니트로머스크류 등을 들 수 있다.
테르펜 골격을 갖는 향료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게라니올(제라니올), 네롤, 리날로올, 시트랄, 시트로넬롤, 멘톨, 민트, 시트로넬랄, 미르센, α-피넨, β-피넨, 리모넨, 테르피네올, 카르본, 요논(예를 들면 β-요논), 캄펜이나, 보르네올 정도를 들 수 있다.
천연 향료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오렌지유, 레몬유, 라임유, 프티그레인유, 유자유, 네로리유, 베르가모트유, 라벤더유, 라반딘유, 아비에스유, 아니스유, 베이유, 보아드로즈유, 일랑일랑유, 시트로넬라유, 제라늄유, 페퍼민트유, 박하유, 스피어민트유, 유칼리유, 레몬글라스유, 파출리유, 자스민유, 로즈유, 시다유, 베티버유, 갈바눔유, 오크 모슬린유, 파인유, 장뇌유, 백단유, 방장유, 테레핀유, 클로브유, 클로브 리프유, 카시아유, 너트메그유, 카낭가유나, 타임유 등의 정유(精油)를 들 수 있다.
동물성 향료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사향, 영묘향, 해리향이나, 용연향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향료 성분 중에서도, 로즈옥사이드, 다마세논, δ-다마스콘 등의 성분이 1종 이상 배합되어 있으면, 동결 복원한 때의 겔화 억제가 조장되고 얻는다.
향료 조성물에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용제를 배합하여도 좋다. 향료용 용제로서는, 아세틴(트리아세틴), MMB아세테이트(3-메톡시-3-메틸부틸아세테이트), 수크로스디아세테이트헥사이소부틸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부틸레이트, 헥실렌글리콜, 디부틸세바케이트, 델틸엑스트라(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메틸카르비톨(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카르비톨(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TEG(트리에틸렌글리콜), 안식향산벤질(BB), 프로필렌글리콜, 프탈산디에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아볼린(디메틸프탈레이트), 델틸프라임(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DPG), 파르네센, 디옥틸아디페이트, 트리부티린(글리세릴트리부타노에이트), 히드로라이트-5(1,2-펜탠디올),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세틸아세테이트(헥사데실아세테이트), 에틸아비에테이트, 아바린(메틸아비에테이트), 시트로플렉스A-2(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시트로플렉스A-4(트리부틸아세틸시트레이트), 시트로플렉스No. 2(트리에틸시트레이트), 시트로플렉스No. 4(트리부틸시트레이트), 도우라픽스(메틸디히드로아비에테이트), MITD(이소트리데실미리스테이트), 폴리리모넨(리모넨 폴리머)이나, 1,3-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용제의 배합량은, 향료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예를 들면 0.1∼30질량%, 바람직하게는 1∼20질량%이다.
향료 조성물에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를 배합하여도 좋고, 구체적으로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톨루엔(BHT), t-부틸-p-히드록시아니솔(BHA), p-메톡시페놀, β-나프톨, 페닐-α-나프틸아민, 테트라메틸디아미노디페닐메탄, γ-오리자놀, 비타민 E(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트리스(테트라메틸히드록시피페리딘올·1/3구연산염,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퀘르세틴이나,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 5-디-tert-부틸-4-히드록시톨루엔(BHT)이다.
산화방지제의 배합량은, 향료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예를 들면 0.001∼10질량%, 바람직하게는 0.01∼5질량%이다.
(C)성분의 전체로서의 배합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질량%이다.
[(D)성분]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D)성분은, 항균제이다.
(D)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티아졸론계의 유기 유황 화합물, 벤즈이소티아졸론계의 유기 유황 화합물, 안식향산류,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소티아졸론계의 유기 유황 화합물로서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n-부틸-3-이소티아졸론, 2-벤질-3-이소티아졸론, 2-페닐-3-이소티아졸론, 5-트리 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 2-메틸-4,5-디클로로이소티아졸론, 2-메틸-4,5-트리 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 5-클로로-2-메틸-3-이소티아졸론,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5-트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이 바람직하고,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의 혼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전자가 약 77질량%와 후자가 약 23질량%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5-트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의 혼합물도 바람직하고, 전자가 약 50질량%와 후자가 약 50질량%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벤즈이소티아졸론계의 유기 유황 화합물로서는,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유연(類緣) 화합물로서 디티오-2,2-비스(벤즈메틸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D)성분의 배합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해, 0.0001∼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항균제의 첨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쉽고, 상기 상한치 이하면, 보존 안정성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임의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응하여, 상기 (A)∼(D)성분 이외에도, 이하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무기염, 비이온 계면활성제, 염료 및/또는 안료, 물(水), 자외선 흡수제, 항균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무기염>
무기염은, 유연제 조성물의 점도 컨트롤제로서 유효하다.
무기염으로서는, 수용성 무기염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20℃, 100g의 탈이온수에 10g 이상 용해한 화합물을 수용성 무기염으로 한다.
무기염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염화물 및 알칼리토류 금속 염화물로부터 선택된 무기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염이,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점도 조정의 관점에서, 염화칼슘 및 염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 중의 무기염의 배합량으로서는, 0.01-1.0질량%가 문제 없게 사용할 수 있는 점도를 부여할 수 있는 범위로서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유연제 조성물이 유화물(乳化物)인 경우에, 주로, 유화물 중로의 유용성(油溶性) 성분의 유화 분산 안정성을 향상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면, 상품 가치상, 동결하고 복원한 때의 안정성(동결 복원 안정성)이 확보되기 쉽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고급알코올, 고급아민 또는 고급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0∼22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가지며,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0∼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알킬(알킬의 탄소수 1∼3)에스테르 ;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0∼100몰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 탄소수 8∼18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를 갖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 ;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가 10∼100몰인 경화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탄소수 10∼18의 알킬기를 가지며, 에틸렌옥시드의 평균부가몰수가 20∼80몰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 중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소망하는 기능에 응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액체제 중, 0.01∼10질량%가 바람직하고, 0.1∼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5∼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유화물 중에서의 유용성 성분의 유화 분산 안정성, 유화물의 동결 복원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치 이하면, 액체제의 점도의 상승을 억제하고,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염료 및/또는 안료>
염료 및/또는 안료는, 유연제 조성물의 외관을 향상하는 목적으로 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성염료에서 선택되는, 적색, 황색계의 수용성 염료의 1종 이상이고, 구체적으로는 애시드옐로, 애시드레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염료의 구체례는, 염료 편람(유기합성화학협회편, 1970년 7월 20일 발행, 마루젠 주식회사) 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나 섬유에 대한 염착성의 관점에서는, 분자 내에 수산기(水酸基), 술폰산기, 아미노기, 아미드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의 관능기를 갖는 산성염료가 바람직하고,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5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ppm이다.
<물(水)>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조성물이고,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로서는, 수도물, 이온교환수, 순수, 증류수 등,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이온교환수가 알맞다.
물은,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 중에,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배합된다. 물의 함유 비율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핸들링 성이 양호하게 된다.
<자외선 흡수제>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에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방어하는 효과가 있는 약제이고, 자외선을 흡수하여, 적외선이나 가시 광선 등으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성분이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p-아미노안식향산, p-아미노안식향산에틸, p-아미노안식향산글리세릴,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아밀 등의 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디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미리스틸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 디이소프로필계피산메틸, p-메톡시계피산에틸, p-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p-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p-메톡시계피산부틸 등의 계피산 유도체 ;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등의 아졸 화합물 ; 4-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항균제>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에서, (D)성분 외에도 다음에 드는 항균제를 배합할 수 있다. 항균제는, 섬유상에서의 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미생물의 분해물 유래의 싫은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성분이다.
항균제로서는, 예를 들면, 4급암모늄염(염화벤잘코늄,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카티온성 살균제, 다이클로산, 트리클로산, 비스-(2-피리딜티오-1-옥시드)아연,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딘 염산염, 8-옥시퀴놀린, 폴리리신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상기한 화합물 이외에,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에서, 향기나 색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화방지제나 환원제, 폴리스티렌 에멀션 등의 유탁제, 불투명제, 기능 향상제로서, 탈취 기재(基材), 수축 방지제, 세탁 주름 방지제, 형상 유지제, 드레이프성 유지제, 아이론성 향상제, 산소 표백 방지제, 증백제, 백화제, 옷감 유연화 클레이, 대전(帶電) 방지제,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이염(移染) 방지제, 고분자 분산제, 오물 박리제, 스컴 분산제, 4,4-비스(2-술포스티릴)비페닐디나트륨(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제 치노팔BS-X) 등의 형광 증백제, 염료 고정제, 1,4-비스(3-아미노프로필)피페라진 등의 퇴색 방지제, 얼룩 빼기제, 섬유표면 개질제로서 셀룰라제,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리파제, 케라티나제 등의 효소, 억포제(抑泡劑), 수분흡 방출성 등 비단의 촉감·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실크 프로테인 파우더, 그들의 표면 개질물, 유화 분산액, 구체적으로는 K-50, K-30, K-10, A-705, S-702, L-710, FP 시리즈(이데미쓰석유화학), 가수분해 실크액(조모), 실쿠겐G솔루블 S(이치마루팔코스), 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알킬렌이소프탈레이트 단위와 폴리옥시알킬렌 단위로 이루어지는 비이온성 고분자 화합물, 예를 들면 고오화학공업제 FR627, 쿠라리 앤드 재팬제 SRC-1 등의 오염 방지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pH]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의 pH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보존일 경과에 수반하는 (A)성분의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등의 관점에서, 25℃에서의 pH가 1∼6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4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H 조정을 행하는 경우, pH 조정에는, 염산, 황산, 인산, 알킬황산, 안식향산, 파라톨루엔술폰산,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젖산(乳酸), 글리콜산,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피틴산,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디메틸아민 등의 단쇄(短鎖) 아민 화합물,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알칼리 금속 규산염 등의 pH 조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도]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의 점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0m㎩·s(B형 점도계, TOKIMEC사제, 25℃, 이하 마찬가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존일 경과에 의한 점도 상승을 고려하면, 제조 직후의 점도는 800m㎩·s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m㎩·s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에 있으면, 세탁기에의 투입할 때의 핸들링성 등의 사용성이 양호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주제로서 카티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종래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성분, (B)성분 및 (C)성분을 포함하는 유상(油相)과, (D)성분을 포함하는 수상을, (A)성분의 융점 이상의 온도 조건하에서 혼합하여 유화물을 조제하고, 그 후, 필요에 응하여, 얻어진 유화물에 다른 성분을 첨가, 혼합함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B)성분은, 유상과 수상을 혼합하여 유화물을 얻은 후에 첨가하여도 좋다.
[용도·사용 방법]
본 발명의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용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면(綿) 등의 천연 섬유 제품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화학 섬유 제품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바람직한 촉감, 향기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처리를 행할 때는, 전 사용수량(使用水量)에 대해, (A)성분 + (B)성분의 농도가 15ppm∼100ppm이 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세탁의 헹굼 회수는 1회라도, 복수회라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고, 유연제의 특장인 촉감과 향기를 의류에 부여할 수 있다.
[용기]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을 봉입(封入)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체 용기로서는, 적어도 용기 본체 보틀과 캡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본체 보틀, 노즐 캡, 계량 캡의 3개의 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기타의 부재가 1종류 이상 들어가 있어도 좋다.
(계량 캡)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상기 계량 캡의 재질의 대표례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등의 재질의 것이 선택되고, 내용적은 10∼80㎖이 바람직하다. 계량 캡의 단면 형상은, 원형상(圓狀)이 일반적이지만, 사각형, 육각형, 8각형 등의 다각형이라도 좋다. 또한, 필요에 응하여 내면 또는 외면에 용량 표시를 위한 각인 또는 인쇄, 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널링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안료,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슬리핑제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중에서도, 안료와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되어 있으면, 용기를 자외선하에 둔 때에, 조성물이 겔형상(狀)이 되는 것이 억제된다.
(노즐 캡)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노즐 캡은, 본체의 구통(口筒)에 조립되는 캡체이고, 통형상의 조립통 내에, 그것을 상하로 간격을 두는 격벽을 마련하고, 이 격벽에 내용물을 주출(注出)하는 주출구(注出口)를 가지며, 주출구의 구경에 의해 액의 배출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용기 외로부터 내용물을 용기 중에 되돌리려고 하는 경우에도, 전술의 격벽의 형상에 의해, 용기 본체 중으로의 액체 회수성이 좋은 것이 사용된다. 또는, 격벽에 주출구 이외의 공기 구멍을 1개 이상 갖는 것이라도 좋다. 노즐 캡 외에, 본체로부터의 액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 구통에 조립 패널 기구를 갖는 캡 마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부재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등의 재질의 것이 선택된다. 또한, 안료,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슬리핑제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 본체 보틀)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보틀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등의 재질의 것이 알맞다. 본체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상, 타원형상 등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내용량은 200∼1000㎖ 정도의 것이 사용된다. 손잡이, 라벨 등을 부여하여 사용성을 향상할 수도 있다. 또한, 안료,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슬리핑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필)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을 봉입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리필용 용기로서는, 다음의 것을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필름 구조를 갖는 주머니형상의 용기로, 필름의 최내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수납 주머니이다. 리필용 용기의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필름으로서는, 다층 필름이 알맞고, 다층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내용물의 성상 안정성·향기 안정성 외에, 수납 주머니의 강도, 경제성, 용기 사용성의 점에서, 연신(延伸) 나일론,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연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층 필름은, 2종 이상의 필름을 사용하여도 좋고, 동일한 필름을 2층 이상으로 적층할 수도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최내층이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되도록, 연신 나일론, 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수납 주머니를 제조하는 경우, 각 층에 사용하는 필름을 라미네이트하고, 히트 실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지만, 특정한 성형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연제 조성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 주머니로서는, 그 두께가 20∼400㎛의 범위 내의 것이 알맞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리필 팩으로서는, 예를 들면, 폭 = 70∼200mm, 높이 = 100∼400mm, 깊이 = 20∼100mm 정도의 것이 알맞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다층 필름에는, 착색용 잉크, 안정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알루미늄 증착을 하고 있는 리필이, 조성물의 점도 안정성, 겔화 억제, 향기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례
이하,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례에서 성분 배합량은 모두 질량%(지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순분 환산)를 나타낸다.
[(A)성분]
하기한 A-1 및 A-2를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A-1 : 화합물(A-Ⅲ), 화합물(A-Ⅳ) 및 화합물(A-V)((A-Ⅲ)∼(A-V)식 중, R1은 탄소수 15, 17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고, 불포화 부분의 시스체/트랜스체 = 75/25(질량비)이다)를 디메틸황산으로 4급화한 것을 포함하는 혼합물(분자량 798. 6). 특개2003-12471호 공보의 실시례 4에 기재된 순서에 준거하여, 하기 합성 방법에 의해 합성하였다.
<A-1의 합성 방법>
스테아린산메틸 45질량%와 올레인산메틸 35질량%와 팔미틴산메틸 20질량%를 포함하는 지방산저급알킬에스테르의 혼합물(라이온 주식회사, 파스텔 M180, 파스텔 M181, 파스텔 M16의 혼합물) 782g(2.68몰), 트리에탄올아민 250g(1.68몰), 산화마그네슘 0.52g, 및, 25%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6g(에스테르 교환 촉매 ; 상기 지방산저급알킬에스테르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총질량에 대한 촉매 사용량 : 0.10질량%)를, 교반기, 분축기(分縮器),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ℓ의 5구(口) 프라스코에 넣었다. 질소 치환을 행한 후, 질소를 0.52ℓ/min의 유량으로 흐르게 하여 두었다. 1.5℃/min의 속도로 190℃까지 승온하고, 5시간 반응시켰다. 미반응 메틸에스테르가 1질량% 이하인 것을 확인하고, 반응을 정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로부터 촉매 유래인 지방산염을 여과 제거하고, 중간체의 알칸올아민에스테르를 얻었다. 얻어진 알칸올아민에스테르의 분자량은 582였다.
얻어진 알칸올아민에스테르(분자량 582) 300g(0.515몰)를, 온도계, 적하 로트 및 냉각기를 구비한 1ℓ의 4구 프라스코에 넣고, 질소 치환을 하였다. 그 후, 60℃로 가열하고, 디메틸황산 63.7g(0.505몰)를 1시간 걸려서 적하하였다. 반응열에 의한 급격한 온도 상승이 없도록 온도를 조정하고, 디메틸황산 적하 종료 시점에서, 90℃에 도달시켰다. 그대로 90℃로 유지하고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약 69g의 에탄올을 적하하면서 냉각하여, A-1을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을 얻었다. 또한, 모든 조작은 질소 유통하에서 행하였다.
·A-2 : 화합물(A-Ⅲ), 화합물(A-Ⅳ) 및 화합물(A-V)((A-Ⅲ)∼(A-V)식 중, R1은 탄소수 15, 17의 알킬기 또는 알켄일기이고, 불포화 부분의 시스체/트랜스체 = 75/25(질량비)이다)를 디메틸황산으로 4급화한 것을 포함하는 혼합물(분자량 802.6). 특개2003-12471호 공보의 실시례 4에 기재된 순서에 준거하여, 하기 합성 방법에 의해 합성하였다.
<A-2의 합성 방법>
스테아린산메틸 30질량%와 올레인산메틸 40질량%와 팔미틴산메틸 30질량%를 포함하는 지방산저급알킬에스테르의 혼합물(라이온 주식회사, 파스텔 M180, 파스텔 M181, 파스텔 M16의 혼합물) 782g(2.68몰), 트리에탄올아민 250g(1.68몰), 산화마그네슘 0.52g, 및, 25%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6g(에스테르 교환 촉매 ; 상기 지방산저급알킬에스테르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총질량에 대한 촉매 사용량 : 0.10질량%)를, 교반기, 분축기,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2ℓ의 5구 프라스코에 넣었다. 질소 치환을 행한 후, 질소를 0.52ℓ/min의 유량으로 흐르게 하여 두었다. 1.5℃/min의 속도로 190℃까지 승온하고, 5시간 반응시켰다. 미반응 메틸에스테르가 1질량% 이하인 것을 확인하고, 반응을 정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로부터 촉매 유래인 지방산염을 여과 제거하고, 중간체의 알칸올아민에스테르를 얻었다. 얻어진 알칸올아민에스테르 아민값을 측정하고, 분자량을 구한다면 558이였다.
얻어진 알칸올아민에스테르(분자량 558) 300g(0.538몰)를, 온도계, 적하 로트 및 냉각기를 구비한 1ℓ의 4구 프라스코에 넣고, 질소 치환을 하였다. 그 후, 60℃로 가열하고, 디메틸황산 66.5g(0.527몰)를 1시간 걸려서 적하하였다. 반응열에 의한 급격한 온도 상승이 없도록 온도를 조정하고, 디메틸황산 적하 종료 시점에서, 90℃에 도달시켰다. 그대로 90℃로 유지하고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약 65g의 에탄올을 적하하면서 냉각하여, A-2를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을 얻었다. 또한, 모든 조작은 질소 유통하에서 행하였다.
[(B)성분]
하기한 B-1∼B-4를 사용하였다.
·B-1 : 신에쓰화학공업(주)에서 상품명 : KF-864로서 입수하였다, 측쇄 변성 타입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의 오일. (25℃에서의 동점도 1700㎟/s, 아민 당량 3800g/mol)
·B-2 : 신에쓰화학공업(주)에서 상품명 : KF-880으로서 입수하였다, 측쇄 변성 타입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의 오일. (25℃에서의 동점도 650mm 2/s, 아민 당량 1800g/mol)
·B-3 : 신에쓰화학공업(주)에서 상품명 : KF-8005로서 입수하였다, 측쇄 변성 타입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의 오일. (25℃에서의 동점도 1200㎟/s, 아민 당량 11000g/mol)
·B-4(비교례) : 특개2005-187987호 공보의 실시례 2에서 사용된 (B-2)로서 기재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C)성분]
하기 표 1의 C-1∼C-6을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3
표 중의 수치는 향료 조성물의 총질량에 의거한 배합량(질량%).
표 중의 괄호 내의 수치는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의거한 배합량(질량%).
[표 2]
Figure pct00004
[(D)성분]
하기한 D-1∼D-4를 사용하였다.
·D-1 :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BIT)(상품명 : ProxelBDN : 론자)
·D-2 : 2-메틸-4,5트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MIT)/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MTI) = 1/1(상품명 : Proxel MW : 론자)
·D-3 : 2-메틸- 4,5트리메틸렌-4-이소티아졸린-3-온(MIT)(상품명 : NEOLONE M-10(MIT) : 다우 케미컬)
·D-4 :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상품명 : 케이송 CG-ICP : 다우 케미컬)
[기타 성분(공통 성분)]
·비이온 계면활성제 : (상품명 : TA600-75 : 라이온)1.8%
·산화방지제 : BHT 0.01%
·염화칼슘 0.6%
·이온교환수 밸런스
상기 수치는,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한 질량%이다.
[용기]
다음의 재질로 작성한 각 부위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사용하였다.
E-1 : PP제 보틀, PE제 노즐 캡, PE제/안료 있음/자외선 흡수제 첨가의 계량 캡(흡광도 360nm, 0%)
E-2 : PP제 보틀/ PE제 노즐 캡, PE제/안료 있는 계량 캡(흡광도 360nm, 15%)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조제 방법]
내경 100mm, 높이 150mm의 유리 용기와, 교반기(아지타 SJ형, 시마즈제작소제)를 사용하고, 각 성분의 배합량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실시례·비교례와 같이 조정하여, 다음의 순서에 의해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우선, (A)성분, BHT를 미리 용해한 (C)성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 교반하여, 유상 혼합물을 얻었다. 한편, (D)성분을 밸런스용 이온교환수에 용해시켜서 수상 혼합물을 얻었다. 다음에, (A)성분의 융점 이상으로 가온한 유상 혼합물을 유리 용기에 수납하여 교반하면서, (A)성분의 융점 이상으로 가온한 수상 혼합물을 2번으로 분할하여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여기서, 수상 혼합립의 분할 비율은 30 : 70(질량비)으로 하고, 교반은, 회전 속도 1500rpm으로, 1회째의 수상 혼합물 첨가후에 3분간, 2회째의 수상 혼합물 첨가 후에 2분간 행하였다. 그리고 나서, 염화칼슘 및 (B)성분을 넣고, 필요에 응하여, 염산(시약 2mol/ℓ, 간토화학), 또는 수산화나트륨(시약 1mol/ℓ, 간토화학)을 적량 첨가하여 pH 2.5로 조정하고, 또한 전체 질량이 1000g이 되도록 이온교환수를 첨가하여, 목적하는 유연제 조성물(실시례 1∼12 및 비교례 1∼5)을 얻었다.
[평가 방법]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제한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하의 순서로 「보존품의 촉감」, 「동결 복원 후의 액 외관」, 「UV 조사시의 액 외관」, 「보존품의 방부력(항균제 잔존률)」, 「보존품의 냄새」에 관해 평가하였다. 또한, 각각, 표 3에서, 「감촉」, 「동결 복원」, 「UV 조사」, 「잔존률」, 「냄새」로 표시된다.
1.보존품의 촉감
(1) 평가용 천(布)의 전처리 방법
시판의 면(綿)속셔츠(BVD제)를 시판 세제 「블루다이어」(라이온 사제)에 의해 2조식 세탁기(미쓰비시전기제 CW-C30A1-H)를 사용하여 3회 전처리를 행하였다(세제 표준 사용량 : 욕비 30배 ; 45℃의 수도물 ; 10분간의 세정 후, 10분간의 주수(注水) 헹굼 2회).
(2) 세탁시 헹굼 공정에서의 유연제에 의한 처리
전처리 세정한 시판의 면속셔츠(BVD제) 1.5kg를 종형 전자동 세탁기(도시바제 TW-80V)를 사용하여 자동 코스/설정으로 세탁을 하였다(사용 세제 : 「톱NANOX」(라이온 사제), 세정 15분, 헹굼 1회, 탈수 5분). 고임(溜め 헹굼 1회째에 자동 투입구로부터 상기 조제한 각 액체 유연제 조성물을 투입하였다. 세제 사용량은 10㎖,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사용량은 10㎖이였다.
(3) 촉감(風合い)의 평가
유연제 조성물로 처리한 의류의 촉감을, 처리 후의 피세물이 매끈하면서 부드러운 감촉을 지표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유연제 조성물에서의 처리에 의해 면속셔츠에 주어진 촉감의 좋음을,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관능 평가, 한 쌍 비교를 행하였다. 전문 페널러 5인에 의해 행하였다.
<평가 기준>
대조(對照)로는, 라이온 사제 「향기와 데오드란트의 소후란 후로랄 아로마」를 사용하고, 상기 (2)와 같은 방법으로 유연 처리한 면속셔츠를 사용하였다.
3 : 대조보다도 상당히 감촉이 좋다
2 : 대조보다도 약간 감촉이 좋다
1 : 대조와 동등
0 : 대조보다도 감촉이 좋지 않다
페널러 5명의 점수의 평균을 취하고, 평균점 2.0점 이상을, 보존 후의 감촉으로서 합격이라고 판정하였다.
2.동결 복원 후의 액 외관
상기 조제한 각 액체 유연제 조성물 80㎖을 100㎖ 들어가는 유리 용기에 밀전(密栓)하여 넣고, -15℃의 냉동고에 24시간 보존, 그 후, 25℃로 액체의 온도를 되돌려서 각 조성물의 외관을 평가하였다.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3 : 겔형상의 고형물은 없다.
2 : 겔형상의 고형물이 벽면에 약간의 부착하고 있다.
1 : 겔형상의 고형물이 벽면에 부착하고 있다.
N=2로의 평균을 취하고, 평가가 2.0점 이상인 것을, 유연제로서의 상품 가치상 합격이라고 판정하였다.
3.UV 조사시의 액 외관
상기 조제한 각 액체 유연제 조성물 600㎖을 제시한 용기에 밀전하여 넣고, UV를 30MJ가 되도록 조사하였다. 조사 후의 각 조성물을 100메시의 체에 전량 통과시켜서, 겔화물의 양에 관해,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3 : 피막형상(皮膜狀)의 고형물은 없다.
2 : 피막형상의 고형물이 약간 보여진다.
1 : 피막형상의 고형물이 보여진다.
0 : 피막형상의 고형물이 상당히 보여진다.
N=2로의 평균을 취하고, 평가가 2.0점 이상인 것을, 유연제로서의 상품 가치상 합격이라고 판정하였다.
4. 보존품의 방부력(항균제 잔존률)
상기 조제한 각 액체 유연제 조성물 80㎖을 100㎖ 들어가는 유리 용기에 밀전하여 넣고, 40℃의 항온조에 60일간 보존, 그 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각 조성물의 항균제의 양을 정량하고, 초기로부터의 잔존률을 산출하였다. 잔존률이 50% 이상인 것을, 합격이라고 판정하였다.
5.보존품의 냄새
상기 조제한 각 액체 유연제 조성물 80㎖을 100㎖ 들어가는 유리 용기에 밀전하여 넣고, 옥외에 60일간 보존 후, 각 조성물의 냄새를 하기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3점 : 5℃ 보존품에 비하여 냄새 열화는 없다.
2점 : 5℃ 보존품에 비하여 냄새 열화는 약간 있다.
1점 : 5℃ 보존품에 비하여 냄새 열화는 있다.
2점 이상을, 상품 가치상 합격이라고 하였다.
[표 3]
Figure pct00005
조성 표 중의 수치는 질량%를 나타낸다.

Claims (2)

  1. 이하의 (A)∼(D)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
    (A) 에스테르기(-COO-) 및/또는 아미드기(-NHCO-)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은 탄소수 10∼26의 탄화수소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아민 화합물, 그 중화물 및 그 4급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B) 아미노 변성 실리콘 0.1-10질량%,
    (C) 그 액체 유연제 조성물의 총질량에 의거하여 0.1질량% 이상의 이소이수퍼를 함유하고, 또한 시트로넬롤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D) 항균제.
  2. 제1항에 있어서,
    (C)성분이, 쿠마린, 헥실신나믹알데히드 및 하바놀라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향료 성분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유연제 조성물.
KR1020187023607A 2016-03-23 2017-03-23 액체 유연제 조성물 KR102323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58224 2016-03-23
JP2016058224A JP6626754B2 (ja) 2016-03-23 2016-03-23 液体柔軟剤組成物
PCT/JP2017/011769 WO2017164321A1 (ja) 2016-03-23 2017-03-23 液体柔軟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571A true KR20180119571A (ko) 2018-11-02
KR102323638B1 KR102323638B1 (ko) 2021-11-09

Family

ID=5990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607A KR102323638B1 (ko) 2016-03-23 2017-03-23 액체 유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26754B2 (ko)
KR (1) KR102323638B1 (ko)
MY (1) MY197982A (ko)
WO (1) WO2017164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0352A (zh) 2020-03-06 2022-10-18 宝洁公司 香料预混组合物及相关消费产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853A (ja) * 2008-08-19 2010-03-04 Lion Corp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14213072A (ja) * 2013-04-26 2014-11-17 花王株式会社 液体賦香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2849B2 (ja) * 1996-09-05 2004-11-24 花王株式会社 柔軟仕上剤組成物
JP2007176998A (ja) * 2005-12-27 2007-07-12 Lion Corp 液晶被覆香料担持粒子、その水分散液、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繊維用仕上げ剤及び毛髪化粧料
JP4956822B2 (ja) * 2007-12-27 2012-06-20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仕上げ剤組成物
JP5225972B2 (ja) * 2009-12-28 2013-07-03 花王株式会社 衣料用液体柔軟剤組成物
WO2014185454A1 (ja) * 2013-05-14 2014-11-20 ライオン株式会社 繊維製品用液体処理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853A (ja) * 2008-08-19 2010-03-04 Lion Corp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14213072A (ja) * 2013-04-26 2014-11-17 花王株式会社 液体賦香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72067A (ja) 2017-09-28
JP6626754B2 (ja) 2019-12-25
MY197982A (en) 2023-07-25
KR102323638B1 (ko) 2021-11-09
WO2017164321A1 (ja)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072B1 (ko) 액체 유연제 조성물
CN106367212A (zh) 液体柔软剂组合物
JP6565030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17172097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6444300B2 (ja) 繊維製品用液体処理剤組成物
KR20180119571A (ko) 액체 유연제 조성물
JP6429393B2 (ja) 繊維処理剤組成物
JP5953580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7005329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7437894B2 (ja) 繊維処理用製品と香料含有製品からなる繊維処理用物品
JP4055544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18178329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5328084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4706816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17101343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6171200B2 (ja) 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JP2021127558A (ja) 液体着香剤組成物
JP7106359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5779498B2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6905333B2 (ja) 袋状柔軟剤物品
JP2021004418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2024049663A (ja) 繊維処理用液体組成物
JP2021123838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JP6171233B2 (ja) 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JP2023098218A (ja) 透明液体柔軟剤組成物と別容器に充填された香料組成物とを備える繊維製品処理用物品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