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165A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푸자리시딘 및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푸자리시딘 및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165A
KR20180104165A KR1020187025906A KR20187025906A KR20180104165A KR 20180104165 A KR20180104165 A KR 20180104165A KR 1020187025906 A KR1020187025906 A KR 1020187025906A KR 20187025906 A KR20187025906 A KR 20187025906A KR 20180104165 A KR20180104165 A KR 2018010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phenyl
ethyl
chloro
trifluoro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자벨라 지페
부르크하르트 리브만
토르슈텐 얍스
아네테 슈슈터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8010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46N-acyl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0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 A01N37/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contain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5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the nitrogen atom being doubly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 A01N43/3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no bond to a nitrogen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5Paeni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파에니바실러스 속의 구성원인 적어도 하나의 단리된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이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신규한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박테리아 균주, 이의 전체 배양 브로쓰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분획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적용하여 식물 병원체를 방제 또는 억제하거나 또는 식물 병원체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살충성 대사산물인 푸자리시딘, 및 화학적 살충제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푸자리시딘 및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조성물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파에니바실러스 (Paenibacillus) 속의 구성원인 적어도 하나의 단리된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이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신규한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박테리아 균주, 이의 전체 배양 브로쓰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분획,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을 적용하여 식물 병원체를 방제 또는 억제하거나, 또는 식물 병원체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살충성 대사산물인 푸자리시딘 (fusaricidin), 및 화학적 살충제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 또는 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 병원성 진균을 방제하는 기술 분야에서, 예를 들어 처리하려는 식물 또는 작물에 유해하지 않은 진균, 또는 포자-형성 박테리아와 같은 박테리아로부터 선택되고, 생물학적 방제제가 식물 병원체의 고전적인 유기 화학 길항제와 추가로 조합될 수 있는, 생물살충제를 적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생물살충제는 미생물 (박테리아, 진균, 바이러스, 선충 등) 또는 천연 생성물 (생물학적 공급원 유래의 화합물 또는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살충제의 형태로서 정의된다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ttp://www.epa.gov/pesticides/biopesticides/).
생물살충제는 전형적으로 박테리아 및 다른 미생물, 진균, 바이러스, 선충, 단백질 등을 포함하는 천연 발생 유기체 및/또는 그들 대사산물을 성장 및 농축시킴으로써 생성된다. 그들은 종종 종합 병충해 관리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프로그램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간주되며, 합성 화학 식물 보호 제품 (plant protection product) (PPP)에 대한 대체물로서 훨씬 실질적인 주목을 받아왔다.
생물살충제는 다음의 2가지 주요한 부류, 미생물 및 생화학적 살충제로 분류된다:
(1) 미생물 살충제는 박테리아, 진균 또는 바이러스 (및 종종 박테리아 및 진균이 생성하는 대사산물을 포함)로 이루어진다. 곤충병원성 선충이 또한 비록 그들이 다세포이지만, 미생물 살충제로서 분류된다.
(2) 생화학적 살충제는 해충을 방제하거나 또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다른 작물 보호성을 제공하지만, 포유동물에게는 비교적 비(非)독성인 천연 발생 물질이다.
식물병원성 진균을 방제하기 위해, 포자-형성 박테리아 예컨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를 포함하는 몇몇 미생물 살충제가 일찍부터 기술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WO 1998/050422; WO 2000/029426; WO 1998/50422 및 WO 2000/58442를 참조한다.
WO 2009/0126473은 수성/유기 용매에 함유된 박테리아 또는 진균 포자를 포함하고, 곤충 방제제, 살충제, 살진균제 또는 이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수성 조성물을 개시한다. 바실러스 속의 박테리아 포자가 바람직한 종이다.
WO 2006/017361은 식물 병원체를 방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익한 박테리아, 적어도 하나의 유익한 진균, 적어도 영양분 및 이러한 조성물의 유효한 수명을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한다. 유익한 박테리아 군은 예를 들어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Paenibacillus polymyxa) 및 파에니바실러스 듀럼 (Paenibacillus durum)을 포함한다.
WO 1999/059412는 몇몇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활성인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균주 PKB1 (ATCC 수탁 번호 202127 보유)을 개시한다.
WO 2011/069227은 병원성 박테리아, 주로 식품 매개 인간 병원성 박테리아에 대해 고도의 억제성 효과를 갖는 피. 폴리믹사 (P. polymyxa) 균주 JB05-01-1 (ATCC 수탁 번호 PTA-10436 보유)을 개시한다.
Raza 등 (Brazilian Arch. Biol. Techol. 53, 1145-1154, 2010; Eur. J. Plant Pathol.125: 471-483, 2009)은 푸사리움 옥시스포럼 (Fusarium oxysporum)에 대해 유효한 푸자리시딘-생성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균주 SQR-21을 기술한다.
AC-1이라고 하는 다른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균주가 문헌 [Microbial Research 2016 (doi:10.1016/j.micres.2016.01.004, 인쇄중)]을 통해 알려졌고, Green Biotech Co., Ltd. (45-70 Yadang-ri, Gyoha-Eup Paju Kyungki-Do, Korea (South) 413 -830)의 탑시드 (Topseed) 제품이다.
아마도 HY96-2로 불리는 추가의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균주가 문헌 [Biocontrol Science and Technology 24 (4), 426-435 (2014)]을 통해 알려졌고, Shanghai Zeyuan Marine Biotechnology Co.,Ltd.에서 KangDiLeiDe라는 명칭 하에 판매될 것이다.
지금까지 몇몇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균주의 게놈이 공개되었는데 그중에서도 균주 M-1 (NCBI 수탁 번호 NC_017542; J. Bacteriol. 193 (29), 5862-63, 2011; BMC Microbiol. 13, 137, 2013), 균주 CR1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CP006941; Genome Announcements 2 (1), 1, 2014) 및 균주 SC2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CP002213 및 CP002214; NCBI 수탁 번호 NC_014622; J. Bacteriol. 193 (1), 311-312, 2011)의 게놈이 공개되어 있으며, 추가의 균주는 본 명세서의 도 12의 범례를 참조한다. 피. 폴리믹사 균주 M-1은 수탁 번호 CGMCC 7581 하에 중국 일반 미생물 보존 센터 (China General Microbiological Culture Collection Center) (CGMCC)에 기탁되었다.
PCT 특허 출원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에서 파에니바실러스 속의 신규한 균주가 특징규명되었다. 상기 박테리아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는 독일의 작물 경작지로부터 단리되었고, BASF SE (Germany)가 2013년 2월 20일에 부다페스트 조약 하에 독일 생물 자원 센터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DSMZ)에 기탁하였다:
1)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2)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및
3)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15.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용어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용어 파에니바실러스 종 균주와 동일하며 파에니바실러스 속 유래의 박테리아 균주를 의미한다. 파에니바실러스 속은 파에니바실러스 종의 모든 종들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에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는 다음의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관찰에 따라 파에니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본 명세서 및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의 실시예 2.3을 참조함):
- 막대형 세포
- 타원형 포자
- 팽창 포자낭
- 혐기성 성장
- 산 형성이 수반되는 포도당,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만니트, 프룩토스, 라피노스, 트레할로스 및 글리세롤을 포함한 다양한 당의 발효
- 포도당으로부터 가스 생성
- 아르기닌 디히드롤라제 음성
- 시트레이트 비(非)이용성
- 5% 또는 그 이상의 염화나트륨 존재 하에서 비(非)성장
- 전분, 젤라틴, 카세인 및 에스쿨린을 분해하는 세포외 가수분해 효소의 생성.
게다가, 이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는 또한 다음과 같이 16S rDNA에 파에니바실러스-특이적 22-염기 서열을 가짐으로써 16S rDNA 분석을 통해 파에니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5'-TCGATACCCTTGGTGCCGAAGT-3'
(본 명세서 및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의 서열 목록의 서열번호 1 (뉴클레오티드 840-861), 서열번호 2 (840-861), 서열번호 3 (844-865) 및 서열번호 4 (840-861) 참조).
더 나아가, 24종의 상이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와 비교하여 완전한 16S rDNA의 서열분석 결과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는 파에니바실러스 브라실리엔시스 (Paenibacillus brasiliensis), 피. 크리벤시스 (P. kribbensis), 피. 자밀라에 (P. jamilae), 피. 페오리아에 (P. peoriae), 및 피. 폴리믹사 (P. polymyxa), 보다 바람직하게 피. 페오리아에, 특히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균주 BD-62의 균주 유형과 클러스터링되었다 (본 명세서 및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의 도 1 및 2 참조). 피. 폴리믹사 및 피. 페오리아에는 99.6 내지 99.7%의 16S rDNA 서열 동일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J. Gen. Appl. Microbiol. 48, 281-285 (2002)).
2개 뉴클레오티드 서열 사이의 "동일성 백분율" 또는 "유사성 백분율"은 정렬된 서열의 완전한 길이 상에서 잔기의 동일성 백분율을 의미하고, 2개 서열 사이의 국소 정렬 길이로 정의된 비교창 상에서 2개의 최적으로 국소적으로 정렬된 서열을 비교하여 결정되며, 예컨대, 예를 들어 프로그램 AE2 (Alignment Editor 2)의 도움으로 수동 정렬 후 (상당히 유사한 서열에 대해) 동일성을 계산한다. 2개 서열 간 국소 정렬은 정렬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알고리즘 (예를 들어, AE2, BLAST, rRNA 분자의 2차 구조 등)에 의해 좌우되는 기준에 따라서 충분히 유사한 것으로 여겨지는 각 서열의 절편만을 포함한다. 동일성 백분율은 양쪽 서열에서 동일한 핵산이 존재하는 위치의 개수를 결정하여 일치하는 위치의 개수를 산출하고, 일치되는 위치의 개수를 비교창 내 전체 위치 개수로 나누고 그 결과에 100을 곱해서 계산된다.
2개 핵산 서열 (예를 들어 표 1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중 하나 및 이의 상동체)의 서열 동일성 백분율을 결정하기 위해서, 서열은 최적 비교 목적을 위해 정렬된다 (예를 들어, 갭이 다른 핵산과의 최적 정렬을 위해 하나의 핵산 서열에 도입될 수 있음). 그 이후에 상응하는 위치의 염기를 비교한다. 한 서열의 위치가 다른 서열 내 상응하는 위치와 같은 염기로 채워진 경우라면, 분자는 그 위치에서 동일하다. DNA 서열을 RNA 서열과 비교시 서열 동일성을 결정하기 위한 목적인 경우, 티미딘 뉴클레오티드는 우라실 뉴클레오티드와 균등하다는 것을 이해한다.
정렬을 위해, 서열 데이타를 프로그램 AE2 (http://iubio.bio.indiana.edu/ soft/molbio/unix/ae2.readme)에 입력하고, 최종 rRNA 분자의 2차 구조에 따라 수동으로 정렬시키고 퍼미큐테스 (Firmicutes)에 속하는 유기체의 대표적인 16S rRNA 유전자 서열과 비교하였다 (Nucl. Acids Res. 27, 171-173, 1999). 다중 서열에 대한 동일성% 값을 수득하기 위해서, 모든 서열을 서로에 대해 정렬시켰다 (다중 서열 정렬). 더 나아가서, 다중 정렬과 비교하여 정렬된 서열의 보다 긴 스트렛치 상의 2개 서열 간 동일성% 값을 수득하기 위해, 수동 쌍별 서열 정렬을 AE2를 사용해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쌍별 서열 정렬).
표준화된, 자동화 리보타이핑 (ribotyping)이 Qualicon RiboPrintersystem을 사용하여 수행되어 제한 효소 EcoRI을 사용해 피. 페오리아에 BD-62와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를 비교한 결과 피. 페오리아에 BD-62에 대한 모든 3가지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유사성은 0.24 내지 0.5였다 (본 명세서 및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의 실시예 2.2, 도 12 참조).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및 Lu17007은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종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에 언급된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 (본 명세서 및 이 특허 출원의 도 12 내지 22 참조) 및 독일의 Borriss 교수의 미공개 결과에서 제시된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에 따라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종은 다음과 같이 2개의 하위 종으로 새로운 분류학적 분류를 요구하였다: 1)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아종 폴리믹사 및 2)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아종 플란타럼 (plantarum); 및 3) 신규한 종 파에니바실러스 nov. spec. 에피파이티커스(epiphyticus).
피. 폴리믹사 균주 SQR-21, CF05, CICC 10580, NRRL B-30509 및 A18와 함께 표준 균주 피. 폴리믹사 DSM36은 5종의 보존성 하우스 키핑 유전자 (dnaN, gyrB, recA, recNrpoA)에 대해 분석된 각각의 최대 공산 계통도에서 개별 클러스터를 형성하였다 (본 명세서 및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의 도 17-21).
매우 유사한 결과가 박테리아 종들 중에서 계통발생학적 관련성의 결정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평균 아미노산 동일성 (Average Amino acid Identity) (AAI)의 결정에 의해 얻어졌다. 이 방법은 아미노산 수준 상에서 코어 게놈의 평균 동일성의 계산을 기반으로 한다 (Proc. Natl. Acad. USA 102, 2567-2572, 2005). 본 명세서 및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 중 도 22의 최종 AAI-매트릭스에 따라서, 피. 폴리믹사 DSM 36은 피. 폴리믹사 SQR-21 균주와 함께 그에 도시된 2종의 다른 서브 클러스터와는 상이한 서브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균주 피. 폴리믹사 M-1, 1-43, SC2 및 Sb3-1과 함께 균주 Lu16674 및 Lu17007은 5종의 보존성 하우스 키핑 유전자 (dnaN, gyrB, recA, recNrpoA)에 대해 분석된 각각의 최대 공산 계통도에서 제2의 서브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도 17-21). 코어 게놈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본 명세서 및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 중 도 22의 AAI-매트릭스에 따라서, 이러한 제2의 서브 클러스터는 피. 폴리믹사 M-1 및 SC2 균주와 함께 이의 대표적인 균주 Lu16674 및 Lu17007에 의해 확증된다.
2개의 서브 클러스터 간 차이는 신규한 종을 정당화할 만큼 그렇게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양쪽 클러스터의 대표 간 AAI 동일성 수준은 약 97.5 %로 2종의 별개의 하위종으로의 분류가 정당화되었다.
따라서, 표준 피. 폴리믹사 균주 DSM 36T 따른 제1 서브 클러스터를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아종 폴리믹사로 지정하는 것이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에서 제안되었다. 균주 DSM 36이외에도, 피. 폴리믹사 균주 SQR-21, CF05, CICC 10580, NRRL B-30509 및 A18이 아종으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아종 폴리믹사에 속하게 될 것이다.
추가로, 제1의 서브 클러스터를 신규한 아종인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아종 플란타럼으로 지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균주 Lu16674 및 Lu17007이외에도, 피. 폴리믹사 균주 M-1, 1-43, SC2 및 Sb3-1이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아종 플란타럼에 속하게 될 것이다.
균주 Lu17015는 표준 균주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DSM36 = ATCC 842와 코어 게놈의 유전자 간에 오직 94.9%의 AAI 동일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 및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의 도 22). 따라서, 균주 Lu17015는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종 또는 임의의 다른 기지의 파에니바실러스 종으로도 지정할 수 없었다. 유사한 값이 균주 E681 (94.7%) 및 CR2 (94.9%)에 대해 확인되었다. 서로 간에, 이들 3가지 균주는 적어도 98.1% 동일성 (AAI)을 갖는다. Konstantinides 및 Tiedje (Proc Natl. Acad. Sci. USA. 102, 2567-2572, 2005)의 종 정의에 따라서, 균주 Lu17015 및 또한 균주 E681 및 CR2는 신규한 종으로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신규한 종으로서 파에니바실러스 spec. nov. 에피파이티커스가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에서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균주 Lu17015는 파에니바실러스 에피파이티커스에 속한다. 상기 균주는 표준 균주가 될 것이라고 제안되었다. 유사하게, 5종의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서열 비교를 기반으로 하는 계통도 (본 명세서 및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의 도 17-21)는 이 클러스터가 모든 다른 피. 폴리믹사 균주로부터 떨어져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Lu17015이외에도, 피. 폴리믹사 균주 E681, CR2 TD94, DSM 365 및 WLY78이 파에니바실러스 spec. nov. 에피파이티커스에 속할 것이라고 제안되었다.
파에니바실러스는 리포펩티드, 예를 들어 폴리믹신, 옥타펩틴, 폴리펩틴, 펠기펩틴 및 푸자리시딘 등의 많은 항생제 대사산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푸자리시딘은 종종 다음의 구조적 특징을 공유하는 환형 리포뎁시펩티드 부류 유래의 파에니바실러스 종으로부터 단리된 항생제 그룹이다: 그 중 3개가 L-Thr, D-allo-Thr 및 D-Ala인 6개 아미노산 잔기를 비롯하여 아미드 결합에 의해 N-말단 L-Thr에 부착된 15-구아니디노-3-히드록시펜타데칸산 꼬리부로 이루어진 거대 환형 고리 (ChemMedChem 7, 871-882, 2012; J. Microbiol. Meth. 85, 175-182, 2011, 문헌 내 표 1). 이들 화합물은 N-말단 L-Thr 히드록실 기와 C-말단 D-Ala 카보닐 기 사이의 락톤 브릿지에 의해 고리화된다. 뎁시펩티드 고리 내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그 자체가 또한 GHPD 사슬을 보유하는 상기 언급된 L-Thr에서 출발하여 C-말단 D-Ala로 종료되게 번호매겨진다. 파에니바실러스로부터 단리된 푸자리시딘의 비제한적인 예는 LI-F03, LI-F04, LI-F05, LI-F07 및 LI-F08 (J. Antibiotics 40(11), 1506-1514, 1987; Heterocycles 53(7), 1533-1549, 2000; Peptides 32, 1917-1923, 2011) 및 푸자리시딘 A (LI-F04a라고도 함), B (LI-F04b라고도 함), C (LI-F03a라고도 함) 및 D (LI-F03b라고도 함) (J. Antibiotics 49(2), 129-135, 1996; J. Antibiotics 50(3), 220-228, 1997)로 지정된다. 푸자리시딘의 아미노 사슬은 리보솜으로 생성되지 않지만 비리보솜 펩티드 신써타제 (synthetase)에 의해 생성된다. 기지의 푸자리시딘의 구조식은 표 1에 표시하였다 (Biotechnol Lett. 34, 1327-1334, 2012; 문헌 내 도 1).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LI-F03a, LI-F03b 내지 LI-F08a 및 LI-F08b로서 지정된 화합물, 및 화학식 I 및 I.1의 푸자리시딘은 또한 푸자리시딘 패밀리 내에서 그들의 구조에 기인하여 푸자리시딘 LI-F03a, LI-F03b 내지 LI-F08a 및 LI-F08b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표 1 참조).
단리된 푸자리시딘 항생제 중에서, 푸자리시딘 A는 다양한 임상적으로 관련된 진균 및 그람-양성 박테리아 예컨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가장 유망한 항미생물 활성을 보여주었다 (MIC 값 범위: 0.78-3.12 ㎍/mL) (ChemMedChem 7, 871-882, 2012). 천연 발생 GHPD 대신에 12-구아니디노-도데칸산 (12-GDA) 또는 12-아미노-도데칸산 (12-ADA)을 함유하는 푸자리시딘 유사체의 합성이 확립되었지만, 12-ADA에 의한 GHPD의 치환은 그 결과로 항미생물 활성의 완전한 손실을 초래한 반면 12-GDA에 의한 GHPD의 치환은 항미생물 활성을 유지하였다 (Tetrahedron Lett. 47, 8587-8590, 2006; ChemMedChem 7, 871-882, 2012).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화살표는 GHPD의 카보닐 모이어티와 L-Thr (L-트레오닌)의 아미노 기 사이, 또는 한 아미노산의 카보닐 기와 이웃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 사이의 단일 (아미드) 결합을 정의하고, 화살표 끝은 상기 아미노산 L-Thr 또는 상기 이웃하는 아미노산과의 부착을 의미하며;
화살표 머리가 없는 단일선은 D-Ala (D-알라닌)의 카보닐 기와 L-Thr의 히드록실 기 사이의 단일 (에스테르) 결합을 정의하고; GHPD는 15-구아니디노-3-히드록시펜타데칸산이다.
* 미공개된 PCT 특허 출원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에서 알려진 이들 2종의 푸자리시딘 1A1B의 경우에서, 환형 펩티드의 6개 아미노산의 입체 형태는 설명되지 않았다.
푸자리시딘 A, B, C 및 D가 또한 식물 병원성 진균 예컨대 푸사리움 옥시 스포럼 (Fusarium oxysporum), 아스퍼질러스 니거 (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 (Aspergillus oryzae), 및 페니실럼 토미이 (Penicillum thomii)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J. Antibiotics 49(2), 129-135, 1996; J. Antibiotics 50(3), 220-228, 1997). 푸자리시딘 예컨대 Li-F05, LI-F07 및 LI-F08은 다양한 식물 병원성 진균 예컨대 푸사리움 모닐리포르메 (Fusarium moniliforme), 에프. 옥시스포럼, 에프. 로세움 (F. roseum), 기베렐라 후지쿠로이 (Giberella fujkuroi), 헬민토스포리움 세사멈 (Helminthosporium sesamum) 및 페니실리움 엑스판섬 (Penicillium expansum)에 대해 특정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J. Antibiotics 40(11), 1506-1514, 1987). 푸자리시딘은 또한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를 포함한 그람-양성 박테리아에 대해 항박테리아 활성을 갖는다 (J. Antibiotics 49, 129-135, 1996; J. Antibiotics 50, 220-228, 1997). 또한, 푸자리시딘은 카놀라의 검은 뿌리 썩음병을 초래하는 렙토스파에리아 마쿨란스 (Leptosphaeria maculans)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다 (Can. J. Microbiol. 48, 159-169, 2002). 게다가, 특정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D-allo-Thr이 이의 히드록실 기를 통해서 추가의 알라닌에 에스테르 브릿지를 사용해 결합된, 푸자리시딘 A 및 B 및 이의 2종의 관련 화합물이 배양된 파슬리 세포에서 내성 반응을 유도하고 푸사리움 옥시스포럼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WO 2006/016558; EP 1 788 074 A1).
WO 2007/086645는 효소가 푸자리시딘 A, B, C, D, LI-F03, LI-F04, LI-F05, LI-F07 및 LI-F08의 합성에 관여하는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균주 E681로부터 단리된 푸자리시딘 신써타제 효소 및 이의 코딩 유전자를 기술한다.
상기에 언급된 PCT/EP2015/067925 (WO 2016/020371)에서 박테리아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전체 배양 브로쓰, 배양 배지 및 세포 무함유 추출물이 그중에서도 알테르나리아 (Alternaria) 종,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ytis cinerea) 및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에 대한 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의 유기 추출물의 생물활성 유도된 분획화는 2종의 신규한 푸자리시딘-유형 화합물 (본 명세서에서 푸자리시딘 1A1B라고 함)의 단리를 이끌어내었고, 이의 구조는 1D-NMR 및 2D-NMR 분광법을 비롯하여 질량 분광법에 의해 밝혀졌다:
Figure pct00002
작물 질환에 대해 사용을 위한 생물살충제는 그 자체로 다양한 작물에 대해 이미 확립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생물살충제는 이미 노균병 질환을 방제하는데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들의 이득은 0일의 수확전 간격 및 경증 내지 중증 질환 압박 하에서 사용 능력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정 조건 하에서 생물살충제는 또한 단점, 예컨대 높은 특이성 (해충/병원체의 정확한 식별 및 다수 제품의 사용을 요구), 느린 작용 속도 (따라서 해충 발생이 작물에 즉각적 위협이 되면 그들은 부적합함), 다양한 생물적 및 무생물적 인자의 영향에 기인한 다양한 효능 (생물살충제가 일반적으로 표적 곤충 해충/병원체 내에서 복제에 의해 해충/병원체 방제가 일어나는 살아있는 유기체이기 때문), 및 내성 발생 등을 가질 수 있다.
실질적인 농업적 경험은 유해한 진균 또는 곤충 또는 다른 해충의 방제에서 개별 활성 성분의 반복적이고 배타적인 적용이 많은 경우에서 대상 활성 성분에 대한 자연적이거나 또는 적응된 내성을 발생시키는 진균 균주 또는 해충 단리체의 신속한 선택을 초래시킨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 그 이후에 대상 활성 성분으로 이들 진균 또는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내성 진균 균주 또는 곤충 단리체의 선택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요즘에는 다양한 활성 성분의 혼합물이 유해한 진균 또는 곤충 또는 다른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적용된다. 상이한 작용 기전을 갖는 살충 활성 화합물 및/또는 생물살충제를 조합하여, 비교적 장기간 동안 성공적인 방제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단점을 극복하고, 가능한 낮은 시용량에서, 효과적인 내성 관리 및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 곤충 또는 다른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 또는 효과적인 식물 성장 조절을 위해, 적용되는 활성 화합물의 감소된 총량에서, 유해 진균 또는 해충에 대해 개선된 활성 또는 개선된 식물 성장 조절 활성 (상승작용 혼합물) 및 특히 일정 지표에 대해, 확장된 활성 스펙트럼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충 방제 분야에서 발생되는 전형적인 하나의 문제는 여전히 효과적인 해충 방제를 가능하게 하면서 비호의적인 환경적 또는 독성학적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피하기 위해 활성 성분의 시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구에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해충은 유해 동물, 및 유해한 진균을 포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용량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활성 스펙트럼을 강화시키고/시키키거나 장기간 방제와 넉다운 (knock-down) 활성을 조합하고/하거나 내성 관리를 하고/하거나 식물 건강을 촉진 (증가)시키는 문제를 해결한 살충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목적이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속의 박테리아 균주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 살충제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혼합물 및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1)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이의 배양 배지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2) 하기 A) 내지 N)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
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A) 호흡 억제제
- Qo 부위의 복합체 III의 억제제: 아족시스트로빈 (A.1.1), 쿠메톡시스트로빈 (A.1.2), 쿠목시스트로빈 (A.1.3), 디목시스트로빈 (A.1.4), 에네스트로부린 (A.1.5), 페나민스트로빈 (A.1.6), 페녹시스트로빈/플루페녹시스트로빈 (A.1.7), 플루옥사스트로빈 (A.1.8), 크레속심-메틸 (A.1.9), 만데스트로빈 (A.1.10), 메토미노스트로빈 (A.1.11), 오리사스트로빈 (A.1.12), 피콕시스트로빈 (A.1.13), 피라클로스트로빈 (A.1.14), 피라메토스트로빈 (A.1.15), 피라옥시스트로빈 (A.1.16), 트리플록시스트로빈 (A.1.17), 2-(2-(3-(2,6-디클로로페닐)-1-메틸-알릴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아세타미드 (A.1.18), 피리벤카브 (A.1.19), 트리클로피리카브/클로로딘카브 (A.1.20), 파목사돈 (A.1.21), 페나미돈 (A.1.21), 메틸-N-[2-[(1,4-디메틸-5-페닐-피라졸-3-일)옥실메틸]페닐]-N-메톡시-카바메이트 (A.1.22), 1-[3-클로로-2-[[1-(4-클로로페닐)-1H-피라졸-3-일]옥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A.1.23), 1-[3-브로모-2-[[1-(4-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A.1.24), 1-[2-[[1-(4-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메틸]-3-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A.1.25), 1-[2-[[1-(4-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메틸]-3-플루오로-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A.1.26), 1-[2-[[1-(2,4-디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메틸]-3-플루오로-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A.1.27), 1-[2-[[4-(4-클로로페닐)티아졸-2-일]옥시메틸]-3-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A.1.28), 1-[3-클로로-2-[[4-(p-톨릴)티아졸-2-일]옥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A.1.29), 1-[3-시클로프로필-2-[[2-메틸-4-(1-메틸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A.1.30), 1-[3-(디플루오로메톡시)-2-[[2-메틸-4-(1-메틸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A.1.31), 1-메틸-4-[3-메틸-2-[[2-메틸-4-(1-메틸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테트라졸-5-온 (A.1.32), 1-메틸-4-[3-메틸-2-[[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테트라졸-5-온 (A.1.33), (Z,2E)-5-[1-(2,4-디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2-메톡시이미노-N,3-디메틸-펜트-3-엔아미드 (A.1.34), (Z,2E)-5-[1-(4-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2-메톡시이미노-N,3-디메틸-펜트-3-엔-아미드 (A.1.35), 피리미노스트로빈 (A.1.36), 비푸준지 (bifujunzhi) (A.1.37), 2-(오르쏘-((2,5-디메틸-페닐-옥시메틸렌)페닐)-3-메톡시-아크릴산 메틸에스테르 (A.1.38);
- Qi 부위의 복합체 III의 억제제: 시아조파미드 (A.2.1), 아미술브롬 (A.2.2), [(6S,7R,8R)-8-벤질-3-[(3-히드록시-4-메톡시-피리딘-2-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A.2.3), [2-[[(7R,8R,9S)-7-벤질-9-메틸-8-(2-메틸프로파노일옥시)-2,6-디옥소-1,5-디옥소난-3-일]카바모일]-4-메톡시-3-피리딜]옥시메틸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A.2.4), [(6S,7R,8R)-8-벤질-3-[[4-메톡시-3-(프로파노일옥시-메톡시)피리딘-2-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A.2.5);
- 복합체 II의 억제제: 베노다닐 (A.3.1), 벤조빈디플루피르 (A.3.2), 빅사펜 (A.3.3), 보스칼리드 (A.3.4), 카르복신 (A.3.5), 펜푸람 (A.3.6), 플루오피람 (A.3.7), 플루토라닐 (A.3.8), 플룩사피록사드 (A.3.9), 푸라메트피르 (A.3.10), 이소페타미드 (A.3.11), 이소피라잠 (A.3.12), 메프로닐 (A.3.13), 옥시카르복신 (A.3.14), 펜플루펜 (A.3.15), 펜티오피라드 (A.3.16), 세닥산 (A.3.19), 테클로프탈람 (A.3.20), 티플루자미드 (A.3.21),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A.3.22), 3-(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A.3.23), 1,3-디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A.3.24), 3-(트리플루오로메틸)-1,5-디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A.3.25), 1,3,5-트리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A.3.26), 3-(디플루오로메틸)-1,5-디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A.3.27), 3-(디플루오로메틸)-N-(7-플루오로-1,1,3-트리메틸-인단-4-일)-1-메틸-피라졸-4-카복사미드 (A.3.28), 메틸 (E)-2-[2-[(5-시아노-2-메틸-페녹시)메틸]페닐]-3-메톡시-프로프-2-에노에이트 (A.3.30);
- 다른 호흡 억제제: 디플루메토림 (A.4.1); 니트로페닐 유도체: 비나파크릴 (A.4.2), 디노부톤 (A.4.3), 디노캅 (A.4.4), 플루아지남 (A.4.5), 페림존 (A.4.7); 유기금속 화합물: 펜틴 염, 예를 들어 펜틴-아세테이트 (A.4.8), 펜틴 클로라이드 (A.4.9) 또는 펜틴 히드록시드 (A.4.10); 아메토크트라딘 (A.4.11); 실티오팜 (A.4.12);
B) 스테롤 생합성 억제제 (SBI 살진균제)
- C14 디메틸라제 억제제: 트리아졸: 아자코나졸 (B.1.1), 비테르타놀 (B.1.2), 브로무코나졸 (B.1.3), 시프로코나졸 (B.1.4), 디페노코나졸 (B.1.5), 디니코나졸 (B.1.6), 디니코나졸-M (B.1.7), 에폭시코나졸 (B.1.8), 펜부코나졸 (B.1.9), 플루퀸코나졸 (B.1.10), 플루실라졸 (B.1.11), 플루트리아폴 (B.1.12), 헥사코나졸 (B.1.13), 이미벤코나졸 (B.1.14), 이프코나졸 (B.1.15), 메트코나졸 (B.1.17), 미클로부타닐 (B.1.18), 옥스포코나졸 (B.1.19), 파클로부트라졸 (B.1.20), 펜코나졸 (B.1.21), 프로피코나졸 (B.1.22), 프로티오코나졸 (B.1.23), 시메코나졸 (B.1.24), 테부코나졸 (B.1.25), 테트라코나졸 (B.1.26), 트리아디메폰 (B.1.27), 트리아디메놀 (B.1.28), 트리티코나졸 (B.1.29), 유니코나졸 (B.1.30), 1-[rel-(2S;3R)-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라닐메틸]-5-티오-시아네이토-1H-[1,2,4]트리아졸 (B.1.31), 2-[rel-(2S;3R)-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라닐메틸]-2H-[1,2,4]트리아졸-3-티올 (B.1.32), 2-[2-클로로-4-(4-클로로페녹시)페닐]-1-(1,2,4-트리아졸-1-일)펜탄-2-올 (B.1.33), 1-[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시클로프로필-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B.1.34), 2-[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1,2,4-트리아졸-1-일)부탄-2-올 (B.1.35), 2-[2-클로로-4-(4-클로로페녹시)페닐]-1-(1,2,4-트리아졸-1-일)부탄-2-올 (B.1.36), 2-[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1-(1,2,4-트리아졸-1-일)부탄-2-올 (B.1.37), 2-[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 (B.1.38), 2-[2-클로로-4-(4-클로로페녹시)페닐]-3-메틸-1-(1,2,4-트리아졸-1-일)부탄-2-올 (B.1.39), 2-[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1,2,4-트리아졸-1-일)펜탄-2-올 (B.1.40), 2-[4-(4-플루오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 (B.1.41), 2-[2-클로로-4-(4-클로로페녹시)페닐]-1-(1,2,4-트리아졸-1-일)펜트-3-인-2-올 (B.1.42), 2-(클로로메틸)-2-메틸-5-(p-톨릴메틸)-1-(1,2,4-트리아졸-1-일메틸)시클로펜타놀 (B.1.43); 이미다졸: 이마잘릴 (B.1.44), 퍼푸라조에이트 (B.1.45), 프로클로라즈 (B.1.46), 트리플루미졸 (B.1.47); 피리미딘, 피리딘 및 피페라진: 페나리몰 (B.1.49), 피리페녹스 (B.1.50), 트리포린 (B.1.51), [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디플루오로페닐)-이속사졸-4-일]-(3-피리딜)메탄올 (B.1.52);
- 델타14-리덕타제 억제제: 알디모르프 (B.2.1), 도데모르프 (B.2.2), 도데모르프-아세테이트 (B.2.3), 펜프로피모르프 (B.2.4), 트리데모르프 (B.2.5), 펜프로피딘 (B.2.6), 피페랄린 (B.2.7), 스피록사민 (B.2.8);
- 3-케토 리덕타제의 억제제: 펜헥사미드 (B.3.1);
- 다른 스테롤 생합성 억제제: 클로르페노미졸 (B.4.1);
C) 핵산 합성 억제제
- 페닐아미드 또는 아실 아미노산 살진균제: 베날락실 (C.1.1), 베날락실-M (C.1.2), 키랄락실 (C.1.3), 메탈락실 (C.1.4), 메탈락실-M (C.1.5), 오푸레이스 (C.1.6), 옥사딕실 (C.1.7);
- 다른 핵산 합성 억제제: 히멕사졸 (C.2.1), 옥틸리논 (C.2.2), 옥솔린산 (C.2.3), 부피리메이트 (C.2.4), 5-플루오로시토신 (C.2.5), 5-플루오로-2-(p-톨릴메톡시)-피리미딘-4-아민 (C.2.6), 5-플루오로-2-(4-플루오로페닐메톡시)피리미딘-4-아민 (C.2.7), 5-플루오로-2-(4-클로로페닐메톡시)피리미딘-4 아민 (C.2.8);
D) 세포 분열 및 세포골격의 억제제
- 튜불린 억제제: 베노밀 (D1.1), 카벤다짐 (D.1.2), 푸베리다졸 (D1.3), 티아벤다졸 (D1.4), 티오파네이트-메틸 (D1.5), 3-클로로-4-(2,6-디플루오로페닐)-6-메틸-5-페닐-피리다진 (D.1.6), 3-클로로-6-메틸-5-페닐-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다진 (D.1.7), N-에틸-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부탄아미드 (D.1.8), N-에틸-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2-메틸술파닐-아세타미드 (D.1.9),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N-(2-플루오로에틸)부탄아미드 (D.1.10),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N-(2-플루오로에틸)-2-메톡시-아세타미드 (D.1.11),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N-프로필-부탄아미드 (D.1.12),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2-메톡시-N-프로필-아세타미드 (D.1.13),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2-메틸술파닐-N-프로필-아세타미드 (D.1.14),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N-(2-플루오로에틸)-2-메틸술파닐-아세타미드 (D.1.15), 4-(2-브로모-4-플루오로-페닐)-N-(2-클로로-6-플루오로-페닐)-2,5-디메틸-피라졸-3-아민 (D.1.16);
- 다른 세포 분열 억제제: 디에토펜카브 (D.2.1), 에타복삼 (D.2.2), 펜시쿠론 (D.2.3), 플루오피콜리드 (D.2.4), 족사미드 (D.2.5), 메트라페논 (D.2.6), 피리오페논 (D.2.7);
E) 아미노산 및 단백질 합성의 억제제
- 메티오닌 합성 억제제: 시프로디닐 (E.1.1), 메파니피림 (E.1.2), 피리메타닐 (E.1.3);
- 단백질 합성 억제제: 블라스티시딘-S (E.2.1), 카수가마이신 (E.2.2), 카수가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히드레이트 (E.2.3), 밀디오마이신 (E.2.4), 스트렙토마이신 (E.2.5), 옥시테트라사이클린 (E.2.6);
F) 신호 전달 억제제
- MAP / 히스티딘 키나제 억제제: 플루오로이미드 (F.1.1), 이프로디온 (F.1.2), 프로시미돈 (F.1.3), 빈클로졸린 (F.1.4), 플루디옥소닐 (F.1.5);
- G 단백질 억제제: 퀴녹시펜 (F.2.1);
G) 지질 및 막 합성 억제제
- 인지질 생합성 억제제: 에디펜포스 (G.1.1), 이프로벤포스 (G.1.2), 피라조포스 (G.1.3), 이소프로티올란 (G.1.4);
- 지질 과산화: 디클로란 (G.2.1), 퀸토젠 (G.2.2), 테크나젠 (G.2.3), 톨클로포스-메틸 (G.2.4), 비페닐 (G.2.5), 클로로넵 (G.2.6), 에트리디아졸 (G.2.7);
- 인지질 생합성 및 세포벽 침착: 디메토모르프 (G.3.1), 플루모르프 (G.3.2), 만디프로파미드 (G.3.3), 피리모르프 (G.3.4), 벤티아발리카브 (G.3.5), 이프로발리카브 (G.3.6), 발리페날레이트 (G.3.7);
- 세포막 투과성 및 지방산에 영향을 미치는 화합물: 프로파모카브 (G.4.1);
- 옥시스테롤 결합 단백질의 억제제: 옥사티아피프롤린 (G.5.1),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히드로-1,2-옥사졸-5-일}페닐 메탄술포네이트 (G.5.2),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 1,3-티아졸-4-일]-4,5-디히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 메탄술포네이트 (G.5.3);
H) 다중 부위 작용 억제제
- 무기 활성 물질: 보르도 (Bordeaux) 혼합물 (H.1.1), 구리 (H.1.2), 구리 아세테이트 (H.1.3), 구리 히드록시드 (H.1.4), 구리 옥시클로라이드 (H.1.5), 염기성 구리 술페이트 (H.1.6), 황 (H.1.7);
- 티오카바메이트 및 디티오카바메이트: 페르밤 (H.2.1), 만코제브 (H.2.2), 마네브 (H.2.3), 메탐 (H.2.4), 메티람 (H.2.5), 프로피넵 (H.2.6), 티람 (H.2.7), 지넵 (H.2.8), 지람 (H.2.9);
- 유기염소 화합물: 아닐라진 (H.3.1), 클로로탈로닐 (H.3.2), 카프타폴 (H.3.3), 캅탄 (H.3.4), 폴펫 (H.3.5), 디클로플루아니드 (H.3.6), 디클로로펜 (H.3.7), 헥사클로로벤젠 (H.3.8), 펜타클로르페놀 (H.3.9) 및 이의 염, 프탈리드 (H.3.10), 톨릴플루아니드 (H.3.11);
- 구아니딘 및 기타: 구아니딘 (H.4.1), 도딘 (H.4.2), 도딘 유리 염기 (H.4.3), 구아자틴 (H.4.4), 구아자틴-아세테이트 (H.4.5), 이미녹타딘 (H.4.6),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H.4.7),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H.4.8), 디티아논 (H.4.9),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라온 (H.4.10);
I) 세포벽 합성 억제제
- 글루칸 합성의 억제제: 발리다마이신 (I.1.1), 폴리옥신 B (I.1.2);
- 멜라닌 합성 억제제: 피로퀼론 (I.2.1), 트리시클라졸 (I.2.2), 카프로파미드 (I.2.3), 디시클로메트 (I.2.4), 페녹사닐 (I.2.5);
J) 식물 방어 유도제
- 아시벤졸라-S-메틸 (J.1.1), 프로베나졸 (J.1.2), 이소티아닐 (J.1.3), 티아디닐 (J.1.4), 프로헥사디온-칼슘 (J.1.5); 포스포네이트: 포세틸 (J.1.6), 포세틸-알루미늄 (J.1.7), 아인산 및 이의 염 (J.1.8), 포타슘 또는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J.1.9);
K) 미지의 작용 방식
- 브로노폴 (K.1.1), 치노메티오나트 (K.1.2), 시플루페나미드 (K.1.3), 시목사닐 (K.1.4), 다조메트 (K.1.5), 데바카브 (K.1.6), 디클로시메트 (K.1.7), 디클로메진 (K.1.8), 디펜조콰트 (K.1.9), 디펜조콰트-메틸술페이트 (K.1.10), 디페닐라민 (K.1.11), 페니트로판 (K.1.12), 펜피라자민 (K.1.13), 플루메토베르 (K.1.14), 플루술파미드 (K.1.15), 플루티아닐 (K.1.16), 하핀 (K.1.17), 메타술포카브 (K.1.18), 니트라피린 (K.1.19), 니트로탈-이소프로필 (K.1.20), 톨프로카브 (K.1.21), 옥신-구리 (K.1.22), 프로퀴나지드 (K.1.23), 테부플로퀸 (K.1.24), 테크로프탈람 (K.1.25), 트리아족시드 (K.1.26), 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K.1.27), 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K.1.28), N'-[4-[[3-[(4-클로로페닐)메틸]-1,2,4-티아디아졸-5-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K.1.29), N'-(5-브로모-6-인단-2-일옥시-2-메틸-3-피리딜)-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K.1.30), N'-[5-브로모-6-[1-(3,5-디플루오로페닐)에톡시]-2-메틸-3-피리딜]-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K.1.31), N'-[5-브로모-6-(4-이소프로필시클로헥속시)-2-메틸-3-피리딜]-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K.1.32), N'-[5-브로모-2-메틸-6-(1-페닐-에톡시)-3-피리딜]-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K.1.33), 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라닐-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K.1.34),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라닐-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K.1.35), 2-(4-클로로페닐)-N-[4-(3,4-디메톡시-페닐)-이속사졸-5-일]-2-프로프-2-이닐옥시-아세타미드 (K.1.36),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이속사졸리딘-3-일]-피리딘 (피리속사졸) (K.1.37), 3-[5-(4-메틸페닐)-2,3-디메틸-이속사졸리딘-3-일]-피리딘 (K.1.38), 5-클로로-1-(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2-메틸-1H-벤조이미다졸 (K.1.39), 에틸 (Z)-3-아미노-2-시아노-3-페닐-프로프-2-에노에이트 (K.1.40), 피카부트라족스 (K.1.41), 펜틸 N-[6-[[(Z)-[(1-메틸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딜]카바메이트 (K.1.42), 2-[2-[(7,8-디플루오로-2-메틸-3-퀴놀릴)옥시]-6-플루오로-페닐]프로판-2-올 (K.1.44), 2-[2-플루오로-6-[(8-플루오로-2-메틸-3-퀴놀릴)옥시]페닐]프로판-2-올 (K.1.45), 3-(5-플루오로-3,3,4,4-테트라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K.1.46), 3-(4,4-디플루오로-3,3-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K.1.47), 3-(4,4,5-트리플루오로-3,3-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K.1.48), 9-플루오로-2,2-디메틸-5-(3-퀴놀릴)-3H-1,4-벤즈옥사제핀 (K.1.49), 2-(6-벤질-2-피리딜)-퀴나졸린 (K.1.50), 2-[6-(3-플루오로-4-메톡시-페닐)-5-메틸-2-피리딜]퀴나졸린 (K.1.51), 3-[(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일)메톡시]-1,2-벤조티아졸 1,1-디옥시드 (K.1.52);
L) 성장 조절인자
아브시스산, 아미도클로르, 안시미돌, 6-벤질아미노퓨린, 브라시놀리드, 부트랄린, 클로르메콰트, 클로르메콰트 클로라이드, 콜린 클로라이드, 시클라닐리드, 다미노지드, 디케구락, 디메티핀, 2,6-디메틸퓨리딘, 에테폰, 플루메트랄린, 플루르프리미돌, 플루티아세트, 포르클로르페누론, 지베렐산, 이나벤피드, 인돌-3-아세트산, 말레산 히드라지드, 메플루이디드, 메피콰트, 메피콰트 클로라이드, 나프탈렌아세트산, N-6-벤질아데닌, 파클로부트라졸, 프로헥사디온, 프로헥사디온-칼슘, 프로히드로자스몬, 티디아주론, 트리아펜테놀, 트리부틸 포스포로트리티오에이트, 2,3,5-트리-요오도벤조산, 트리넥사팍-에틸, 유니코나졸;
M) M.1 내지 M.15 부류 유래의 제초제
M.1 지질 생합성 억제제: 알록시딤, 알록시딤-소듐, 부트록시딤, 클레토딤, 클로디나포프, 클로디나포프-프로파르길, 시클록시딤, 시할로포프, 시할로포프-부틸, 디클로포프, 디클로포프-메틸, 페녹사프로프, 페녹사프로프-에틸, 페녹사프로프-P, 페녹사프로프-P-에틸, 플루아지포프, 플루아지포프-부틸, 플루아지포프-P, 플루아지포프-P-부틸, 할록시포프, 할록시포프-메틸, 할록시포프-P, 할록시포프-P-메틸, 메타미포프, 피녹사덴, 프로폭시딤, 프로파퀴자포프, 퀴잘로포프, 퀴잘로포프-에틸, 퀴잘로포프-테푸릴, 퀴잘로포프-P, 퀴잘로포프-P-에틸, 퀴잘로포프-P-테푸릴, 세톡시딤, 테프랄록시딤, 트랄콕시딤, 4-(4'-클로로-4-시클로프로필-2'-플루오로[1,1'-비페닐]-3-일)-5-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2H-피란-3(6H)-온 (CAS 1312337-72-6); 4-(2',4'-디클로로-4-시클로프로필[1,1'-비페닐]-3-일)-5-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2H-피란-3(6H)-온 (CAS 1312337-45-3); 4-(4'-클로로-4-에틸-2'-플루오로[1,1'-비페닐]-3-일)-5-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2H-피란-3(6H)-온 (CAS 1033757-93-5); 4-(2',4'-디클로로-4-에틸[1,1'-비페닐]-3-일)-2,2,6,6-테트라-메틸-2H-피란-3,5(4H,6H)-디온 (CAS 1312340-84-3); 5-(아세틸옥시)-4-(4'-클로로-4-시클로프로필-2'-플루오로[1,1'-비페닐]-3-일)-3,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2H-피란-3-온 (CAS 1312337-48-6); 5-(아세틸옥시)-4-(2',4'-디클로로-4-시클로프로필-[1,1'-비페닐]-3-일)-3,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2H-피란-3-온; 5-(아세틸옥시)-4-(4'-클로로-4-에틸-2'-플루오로[1,1'-비페닐]-3-일)-3,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2H-피란-3-온 (CAS 1312340-82-1); 5-(아세틸옥시)-4-(2',4'-디클로로-4-에틸[1,1'-비페닐]-3-일)-3,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2H-피란-3-온 (CAS 1033760-55-2); 4-(4'-클로로-4-시클로프로필-2'-플루오로[1,1'-비페닐]-3-일)-5,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5-옥소-2H-피란-3-일 카본산 메틸 에스테르 (CAS 1312337-51-1); 4-(2',4'-디클로로-4-시클로프로필- [1,1'-비페닐]-3-일)-5,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5-옥소-2H-피란-3-일 카본산 메틸 에스테르; 4-(4'-클로로-4-에틸-2'-플루오로[1,1'-비페닐]-3-일)-5,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5-옥소-2H-피란-3-일 카본산 메틸 에스테르 (CAS 1312340-83-2); 4-(2',4'-디클로로-4-에틸[1,1'-비페닐]-3-일)-5,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5-옥소-2H-피란-3-일 카본산 메틸 에스테르 (CAS 1033760-58-5); 벤푸레세이트, 부틸레이트, 시클로에이트, 달라폰, 디메피퍼레이트, EPTC, 에스프로카브, 에토푸머세이트, 플루프로파네이트, 몰리네이트, 오르벤카브, 페불레이트, 프로술포카브, TCA, 티오벤카브, 티오카르바질, 트리알레이트 및 베르놀레이트;
M.2 ALS 억제제: 아미도술푸론, 아짐술푸론, 벤술푸론, 벤술푸론-메틸, 클로리무론, 클로리무론-에틸, 클로르술푸론, 시노술푸론, 시클로술파무론, 에타메트술푸론, 에타메트술푸론-메틸, 에톡시술푸론, 플라자술푸론, 플루세토술푸론, 플루피르술푸론, 플루피르술푸론-메틸-소듐, 포람술푸론, 할로술푸론, 할로술푸론-메틸, 이마조술푸론, 아이오도술푸론, 아이오도술푸론-메틸-소듐, 아이오펜술푸론, 아이오펜술푸론-소듐, 메소술푸론, 메타조술푸론, 메트술푸론, 메트술푸론-메틸, 니코술푸론, 오르쏘술파무론, 옥사술푸론, 프리미술푸론, 프리미술푸론-메틸, 프로피리술푸론, 프로술푸론, 파라조술푸론, 피라조술푸론-에틸, 림술푸론, 술포메투론, 술포메투론-메틸, 설포술푸론, 티펜술푸론, 티펜술푸론-메틸, 트리아술푸론, 트리베누론, 트리베누론-메틸, 트리플록시술푸론, 트리플루술푸론, 트리플루술푸론-메틸, 트리토술푸론, 이마자메타벤즈, 이마자메타벤즈-메틸, 이마자목스, 이마자피크, 이마자피르, 이마자퀸, 이마제타피르; 클로란술람, 클로란술람-메틸, 디클로술람, 플루메트술람, 플로라술람, 메토술람, 페녹스술람, 피리미술판 및 피록스술람; 비스피리백, 비스피리백-소듐, 피리벤족심,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백, 피리미노백-메틸, 피리티오백, 피리티오백-소듐, 4-[[[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페닐]메틸]아미노]-벤조산-1-메틸에틸 에스테르 (CAS 420138-41-6), 4-[[[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페닐]메틸]아미노]-벤조산 프로필 에스테르 (CAS 420138-40-5), N-(4-브로모페닐)-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젠메탄아민 (CAS 420138-01-8); 플루카르바존, 플루카르바존-소듐, 프로폭시카르바존, 프로폭시카르바존-소듐, 티엔카르바존, 티엔카르바존-메틸; 트리아파몬;
M.3 광합성 억제제: 아미카르바존; 클로로트리아진; 아메트린, 아트라진, 클로라이드존, 시아나진, 데스메트린, 디메타메트린,헥사지논, 메트리부진, 프로메톤, 프로메트린, 프로파진, 시마진, 시메트린, 터부메톤, 터부틸라진, 터부트린, 트리에타진; 클로로브로무론, 클로로톨루론, 클로록수론, 디메푸론, 디우론, 플루오메투론, 이소프로투론, 이소우론, 리누론, 메타미트론,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토벤주론, 메톡수론, 모노리누론, 네부론, 시두론, 테부티우론, 티아디아주론, 데스메디팜, 카부틸레이트, 펜메디팜, 펜메디팜-에틸, 브로모페녹심, 브로목시닐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아이옥시닐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브로마실, 레나실, 터바실, 벤타존, 벤타존-소듐, 피리데이트, 피리다폴, 펜타노클로르, 프로파닐; 디콰트, 디콰트-디브로마이드, 파라콰트, 파라콰트-디클로라이드, 파라콰트-디메틸술페이트;
M.4 프로토포르피리노겐-IX 옥시다제 억제제: 악시플루오르펜, 악시플루오르펜-소듐, 아자페니딘, 벤카르바존, 벤즈펜디존, 비페녹스, 부타페나실, 카펜트라존, 카펜트라존-에틸, 클로르메톡시펜, 시니돈에틸, 플루아졸레이트, 플루펜피르, 플루펜피르-에틸, 플루미클로락,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 플루오로글리코펜,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플루티아세트, 플루티아세트-메틸, 포메사펜, 할로사펜, 락토펜, 옥사디아르길, 옥사디아존, 옥시플루오르펜, 펜톡사존, 프로플루아졸,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 피라플루펜-에틸, 사플루페나실, 술펜트라존, 티디아지민, 티아페나실, 트리플루디목사진, 에틸 [3-[2-클로로-4-플루오로-5-(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3-일)페녹시]-2-피리딜옥시]아세테이트 (CAS 353292-31-6), N-에틸-3-(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5-메틸-1H-피라졸-1-카복사미드 (CAS 452098-92-9), N 테트라히드로퍼푸릴-3-(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5-메틸-1H-피라졸-1-카복사미드 (CAS 915396-43-9), N-에틸-3-(2-클로로-6-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5-메틸-1H-피라졸-1-카복사미드 (CAS 452099-05-7), N-테트라히드로퍼푸릴-3-(2-클로로-6-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5-메틸-1H-피라졸-1-카복사미드 (CAS 452100-03-7), 3-[7-플루오로-3-옥소-4-(프로프-2-이닐)-3,4-디히드로-2H-벤조[1,4]옥사진-6-일]-1,5-디메틸-6-티옥소-[1,3,5]트리아지난-2,4-디온 (CAS 451484-50-7), 2-(2,2,7-트리플루오로-3-옥소-4-프로프-2-이닐-3,4-디히드로-2H-벤조[1,4]옥사진-6-일)-4,5,6,7-테트라히드로-이소인돌-1,3-디온 (CAS 1300118-96-0), 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3-(2,2,7-트리플루오로-3-옥소-4-프로프-2-이닐-3,4-디히드로-2H-벤조[1,4]옥사진-6-일)-1H-피리미딘-2,4-디온 (CAS 1304113-05-0), 메틸 (E)-4-[2-클로로-5-[4-클로로-5-(디플루오로메톡시)-1H-메틸-피라졸-3-일]-4-플루오로-페녹시]-3-메톡시-부트-2-에노에이트 (CAS 948893-00-3), 3-[7-클로로-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지미다졸-4-일]-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미딘-2,4-디온 (CAS 212754-02-4);
M.5 표백 제초제: 베플루부타미드, 디플루페니칸, 플루리돈, 플루로클로리돈, 플루르타몬, 노르플루라존, 피콜리나펜, 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 (CAS 180608-33-7); 벤조비시클론, 벤조페납, 비시클로피론, 클로마존, 펜퀸트리온, 이소옥사플루톨, 메소트리온, 피라술포톨, 피라졸리네이트, 피라족시펜, 술코트리온, 테푸릴트리온, 템보트리온, 톨피랄레이트, 토프라메존; 아클로니펜, 아미트롤, 플루메투론;
M.6 EPSP 신타제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 글리포세이트-포타슘, 글리포세이트-트리메슘 (술포세이트);
M.7 글루타민 신타제 억제제: 빌라나포스 (비알라포스), 빌라나포스-소듐,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P,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M.8 DHP 신타제 억제제: 아술람;
M.9 유사분열 억제제: 벤플루랄린, 부트랄린, 디니트라민, 에탈플루랄린, 플루클로랄린, 오리잘린, 펜디메탈린, 프로디아민, 트리플루랄린; 아미프로포스, 아미프로포스-메틸, 부타미포스; 클로르탈, 클로르탈-디메틸, 디티오피르, 티아조피르, 프로피자미드, 테부탐; 카베타미드, 클로르프로팜, 플람프로프, 플람프로프-이소프로필, 플람프로프-메틸, 플람프로프-M-이소프로필, 플람프로프-M-메틸, 프로팜;
M.10 VLCFA 억제제: 아세토클로르, 알라클로르, 부타클로르, 디메타클로르, 디메텐아미드, 디메텐아미드-P, 메타자클로르, 메톨라클로르, 메톨라클로르-S, 페톡사미드, 프레틸라클로르, 프로파클로르, 프로프이소클로르, 테닐클로르, 플루페나세트, 메페나세트, 디페나미드, 나프로아닐리드, 나프로파미드, 나프로파미드-M, 펜트라자미드, 아닐로포스, 카펜스트롤, 페녹사술폰, 입펜카르바존, 피페로포스, 피록사술폰, 화학식 II.1, II.2, II.3, II.4, II.5, II.6, II.7, II.8 및 II.9의 이속사졸린 화합물:
Figure pct00003
;
M.11 셀룰로스 생합성 억제제: 클로르티아미드, 디클로베닐, 플루폭삼, 인다지플람, 이속사벤, 트리아지플람, 1-시클로헥실-5-펜타플루오르페닐옥시-14-[1,2,4,6]티아트리아진-3-일아민 (CAS 175899-01-1);
M.12 디커플러 (decoupler) 제초제: 디노셉, 디노터브, DNOC 및 이의 염;
M.13 옥신계 제초제: 2,4-D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클라시포스, 2,4-DB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아미노피랄리드 및 이의 염 예컨대 아미노피랄리드-디메틸암모늄, 아미노피랄리드-트리스(2-히드록시프로필)암모늄 및 이의 에스테르, 베나졸린, 베나졸린-에틸, 클로람벤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클로메프로프, 클로피랄리드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디캄바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디클로르프로프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디클로르프로프-P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플루록시피르, 플루록시피르-부토메틸, 플루록시피르-멥틸, 할라욱시펜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CAS 943832-60-8); MCPA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MCPA-티오에틸, MCPB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메코프로프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메코프로프-P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피클로람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퀸클로락, 퀸머락, TBA (2,3,6)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트리클로피르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4-아미노-3-클로로-6-(4-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실산, 벤질 4-아미노-3-클로로-6-(4-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실레이트 (CAS 1390661-72-9);
M.14 옥신 수송 억제제: 디플루펜조피르, 디플루펜조피르-소듐, 나프탈람 및 나프탈람-소듐;
M.15 다른 제초제: 브로모부티드, 클로르플루레놀, 클로르플루레놀-메틸, 신메틸린, 쿠밀루론, 시클로피리모레이트 (CAS 499223-49-3)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달라폰, 다조메트, 디펜조콰트, 디펜조콰트-메틸술페이트, 디메티핀, DSMA, 다이므론, 엔도탈 및 이의 염, 에토벤자니드, 플루레놀, 플루레놀-부틸, 플루르프리미돌, 포사민, 포사민-암모늄, 인다노판, 말레산 히드라지드, 메플루이디드, 메탐, 메티오졸린 (CAS 403640-27-7), 메틸 아지드, 메틸 브로마이드, 메틸-다이므론, 메틸 아이오다이드, MSMA, 올레산, 옥사지클로메폰, 펠라르곤산, 피리부티카브, 퀴노클라민, 트리디판;
N) 하기 N.1 내지 N.29 부류의 살충제
N.1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 (AChE) 억제제: 알디카브, 알라니카브, 벤디오카브, 벤퓨라카브, 부토카복심, 부톡시카복심,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술판, 에티오펜카브, 페노부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브, 이소프로카브,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톨카브,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수르,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메타카브, XMC, 자일릴카브 및 트리아자메이트;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카두사포스,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 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술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팜푸르,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미시아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 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퀴날포스, 술포텝,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N.2 GABA-게이팅 클로라이드 채널 길항제: 엔도술판, 클로르단; 에티프롤, 피프로닐, 플루피프롤, 피라플루프롤, 피리프롤;
N.3 소듐 채널 조정인자: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알레트린, d-트랜스 알레트린, 비펜트린, 바이오알레트린, 바이오알레트린 S-시클로펜테닐, 바이오레스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사이플루트린, 베타-사이플루트린, 사이할로트린, 람다-사이할로트린, 감마-사이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베타-사이퍼메트린, 세타-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델타메트린, 엠펜트린,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레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헵타플루트린, 이미프로트린, 메퍼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몸플루오로트린, 퍼메트린, 페노트린, 프랄레트린, 프로플루트린, 피레트린 (피레트럼), 레스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틸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트랄로메트린 및 트랜스플루트린; DDT, 메톡시클로르;
N.4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효현제 (nAChR):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시클록사프리드,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2E-)-1-[(6-클로로피리딘-3-일)메틸]-N'-니트로-2-펜틸리덴히드라진카복시미드아미드; 1-[(6-클로로피리딘-3-일)메틸]-7-메틸-8-니트로-5-프로폭시-1,2,3,5,6,7-헥사히드로이미다조[1,2-a]피리딘; 니코틴;
N.5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알로스테릭 활성인자: 스피노사드, 스피네토람;
N.6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인자: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이버멕틴, 레피멕틴, 밀베멕틴;
N.7 유충 호르몬 모방체: 히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페녹시카브, 피리프록시펜;
N.8 다양한 비특이적 (다중-부위) 억제제: 메틸 브로마이드 및 다른 알킬 할라이드; 클로로피크린, 술푸릴 플루오라이드, 보락스, 토주석;
N.9 선택적 동시아목 (homopteran) 먹이공급 차단제 (feeding blocker):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N.10 진드기 성장 억제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디플로비다진; 에톡사졸;
N.11 곤충 중장막의 미생물 교란인자: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러스 스파에리커스 (Bacillus sphaericus) 및 그들이 생성하는 살충 단백질: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 (israelensis), 바실러스 스파에리커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아이자와이 (aizawa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쿠르스타키 (kurstak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테네브리온시스 (tenebrionis), Bt 작물 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2Ab, mCry3A, Cry3Ab, Cry3Bb, Cry34/35Ab1;
N.12 미토콘드리아 ATP 신타제의 억제제: 디아펜티우론; 아조시클로틴, 사이헥사틴, 펜부타틴 옥시드, 프로파자이트, 테트라디폰;
N.13 양성자 구배의 교란을 통한 산화적 인산화의 언커플러: 클로르페나피르, DNOC, 술플루라미드;
N.14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채널 차단제: 벤술탑, 카르탑 히드로클로라이드, 티오시클람, 티오술탭 소듐;
N.15 키틴 생합성의 억제제 제0형: 비스트리플루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N.16 키틴 생합성의 억제제 제1형: 부프로페진;
N.17 탈피 교란인자: 시로마진;
N.18 엑디손 수용체 효현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푸페노지드, 크로마페노지드;
N.19 옥토파민 수용체 효현제: 아미트라즈;
N.20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II 전자 수송 억제제: 히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N.21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 전자 수송 억제제: 페나자퀸,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로테논;
N.22 전압-의존적 소듐 채널 차단제: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2-[2-(4-시아노페닐)-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히드라진카복사미드, N-(3-클로로-2-메틸페닐)-2-[(4-클로로페닐)-[4-[메틸(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메틸렌]-히드라진카복사미드;
N.23 아세틸 CoA 카복실라제의 억제제: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마트;
N.24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V 전자 수송 억제제: 알루미늄 포스파이드, 칼슘 포스파이드, 포스핀, 징크 포스파이드, 시아니드;
N.25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I 전자 수송 억제제: 시에노피라펜, 시플루메토펜;
N.28 리아노딘 수용체-조정인자: 플루벤디아미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시클라닐리프롤, 테트라닐리프롤; (R)-3-클로로-N1-{2-메틸-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N2-(1-메틸-2-메틸술포닐에틸)프탈아미드, (S)-3-클로로-N1-{2-메틸-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N2-(1-메틸-2-메틸술포닐에틸)프탈아미드, 메틸-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1,2-디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 N-[4,6-디클로로-2-[(디에틸-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4-클로로-2-[(디에틸-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6-메틸-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4-클로로-2-[(디-2-프로필-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6-메틸-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4,6-디클로로-2-[(디-2-프로필-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4,6-디브로모-2-[(디에틸-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2-(5-아미노-1,3,4-티아디아졸-2-일)-4-클로로-6-메틸페닐]-3-브로모-1-(3-클로로-2-피리디닐)-1H-피라졸-5-카복사미드; 3-클로로-1-(3-클로로-2-피리디닐)-N-[2,4-디클로로-6-[[(1-시아노-1-메틸에틸)아미노]카보닐]페닐]-1H-피라졸-5-카복사미드; 3-브로모-N-[2,4-디클로로-6-(메틸카바모일)페닐]-1-(3,5-디클로로-2-피리딜)-1H-피라졸-5-카복사미드; N-[4-클로로-2-[[(1,1-디메틸에틸)아미노]카보닐]-6-메틸페닐]-1-(3-클로로-2-피리디닐)-3-(플루오로메톡시)-1H-피라졸-5-카복사미드; 사이할로디아미드;
N.29. 미지의 또는 불확실한 작용 방식의 살충 활성 화합물: 아피도피로펜, 아폭솔라네르, 아자디라치틴, 아미도플루메트, 벤족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브로플라닐리드,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치노메티오나트, 크리올라이트, 디클로로메조티아즈, 디코폴, 플루페네림, 플로메토퀸, 플루엔술폰, 플루헥사폰, 플루오피람, 플루피라디푸론, 플루랄라네르, 메톡사디아존, 피페로닐 부톡시드, 피플루부미드,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술폭사플로르, 티옥사자펜, 트리플루메조피림, 11-(4-클로로-2,6-디메틸페닐)-12-히드록시-1,4-디옥사-9-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크-11-엔-10-온, 3-(4'-플루오로-2,4-디메틸비페닐-3-일)-4-히드록시-8-옥사-1-아자스피로-[4.5]데크-3-엔-2-온, 1-[2-플루오로-4-메틸-5-[(2,2,2-트리플루오로에틸)술피닐]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1,2,4-트리아졸-5-아민, 바실러피르머스 (Bacillus firmus); (E/Z)-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6-클로로-5-플루오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2,2,2-트리플루오로-N-[1-[(6-플루오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아세타미드; (E/Z)-N-[1-[(6-브로모-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1-(6-클로로-3-피리딜)에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디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2-클로로-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디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2-클로로피리미딘-5-일)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아미드.); 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티오아세타미드; 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N'-이소프로필-아세타미딘; 플루아자인돌리진; 4-[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H-이속사졸-3-일]-2-메틸-N-(1-옥소티에탄-3-일)벤즈아미드; 플룩사메타미드; 5-[3-[2,6-디클로로-4-(3,3-디클로로알릴옥시)페녹시]프로폭시]-1H-피라졸; 3-(벤조일메틸아미노)-N-[2-브로모-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3-(벤조일메틸아미노)-2-플루오로-N-[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 N-[3-[[[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페닐]-N-메틸-벤즈아미드; N-[3-[[[2-브로모-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N-메틸-벤즈아미드; 4-플루오로-N-[2-플루오로-3-[[[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페닐]-N-메틸-벤즈아미드; 3-플루오로-N-[2-플루오로-3-[[[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페닐]-N-메틸-벤즈아미드; 2-클로로-N-[3-[[[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페닐]-3-피리딘카복사미드; 4-시아노-N-[2-시아노-5-[[2,6-디브로모-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카바모일]페닐]-2-메틸-벤즈아미드; 4-시아노-3-[(4-시아노-2-메틸-벤조-일)아미노]-N-[2,6-디클로로-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N-[5-[[2-클로로-6-시아노-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카바모일]-2-시아노-페닐]-4-시아노-2-메틸-벤즈아미드; N-[5-[[2-브로모-6-클로로-4-[2,2,2-트리플루오로-1-히드록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카바모일]-2-시아노-페닐]-4-시아노-2-메틸-벤즈아미드; N-[5-[[2-브로모-6-클로로-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카바모일]-2-시아노-페닐]-4-시아노-2-메틸-벤즈-아미드; 4-시아노-N-[2-시아노-5-[[2,6-디클로로-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카바모일]페닐]-2-메틸-벤즈아미드; 4-시아노-N-[2-시아노-5-[[2,6-디클로로-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카바모일]페닐]-2-메틸-벤즈아미드; N-[5-[[2-브로모-6-클로로-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카바모일]-2-시아노-페닐]-4-시아노-2-메틸-벤즈아미드; 2-(1,3-디옥산-2-일)-6-[2-(3-피리디닐)-5-티아졸릴]-피리딘; 2-[6-[2-(5-플루오로-3-피리디닐)-5-티아졸릴]-2-피리디닐]-피리미딘; 2-[6-[2-(3-피리디닐)-5-티아졸릴]-2-피리디닐]-피리미딘; N-메틸술포닐-6-[2-(3-피리딜)티아졸-5-일]피리딘-2-카복사미드; N-메틸술포닐-6-[2-(3-피리딜)티아졸-5-일]피리딘-2-카복사미드; N-에틸-N-[4-메틸-2-(3-피리딜)티아졸-5-일]-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메틸-N-[4-메틸-2-(3-피리딜)티아졸-5-일]-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2-디메틸-N-[4-메틸-2-(3-피리딜)티아졸-5-일]-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에틸-2-메틸-N-[4-메틸-2-(3-피리딜)티아졸-5-일]-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4-클로로-2-(3-피리딜)티아졸-5-일]-N-에틸-2-메틸-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4-클로로-2-(3-피리딜)티아졸-5-일]-N,2-디메틸-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4-클로로-2-(3-피리딜)티아졸-5-일]-N-메틸-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4-클로로-2-(3-피리딜)티아졸-5-일]-N-에틸-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1-[(6-클로로-3-피리디닐)메틸]-1,2,3,5,6,7-헥사히드로-5-메톡시-7-메틸-8-니트로-이미다조[1,2-a]피리딘; 1-[(6-클로로피리딘-3-일)메틸]-7-메틸-8-니트로-1,2,3,5,6,7-헥사히드로이미다조[1,2-a]피리딘-5-올; 1-이소프로필-N,5-디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1,2-디메틸프로필)-N-에틸-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N,5-디메틸-N-피리다진-4-일-1-(2,2,2-트리플루오로-1-메틸-에틸)-피라졸-4-카복사미드; 1-[1-(1-시아노시클로프로필)에틸]-N-에틸-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N-에틸-1-(2-플루오로-1-메틸-프로필)-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1,2-디메틸프로필)-N,5-디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1-(1-시아노시클로프로필)에틸]-N,5-디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N-메틸-1-(2-플루오로-1-메틸-프로필]-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실)-N-에틸-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실)-N,5-디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N-(1-메틸에틸)-2-(3-피리디닐)-2H-인다졸-4-카복사미드; N-시클로프로필-2-(3-피리디닐)-2H-인다졸-4-카복사미드; N-시클로헥실-2-(3-피리디닐)-2H-인다졸-4-카복사미드; 2-(3-피리디닐)-N-(2,2,2-트리플루오로에틸)-2H-인다졸-4-카복사미드; 2-(3-피리디닐)-N-[(테트라히드로-2-푸라닐)메틸]-2H-인다졸-5-카복사미드; 메틸 2-[[2-(3-피리디닐)-2H-인다졸-5-일]카보닐]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 N-[(2,2-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필)메틸]-2-(3-피리디닐)-2H-인다졸-5-카복사미드; N-(2,2-디플루오로프로필)-2-(3-피리디닐)-2H-인다졸-5-카복사미드; 2-(3-피리디닐)-N-(2-피리미디닐메틸)-2H-인다졸-5-카복사미드; N-[(5-메틸-2-피라지닐)메틸]-2-(3-피리디닐)-2H-인다졸-5-카복사미드, N-[3-클로로-1-(3-피리딜)피라졸-4-일]-N-에틸-3-(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술파닐)프로판아미드; N-[3-클로로-1-(3-피리딜)피라졸-4-일]-N-에틸-3-(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술피닐)-프로판아미드; N-[3-클로로-1-(3-피리딜)피라졸-4-일]-3-[(2,2-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필)메틸술파닐]-N-에틸-프로판아미드; N-[3-클로로-1-(3-피리딜)피라졸-4-일]-3-[(2,2-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필)메틸술피닐]-N-에틸-프로판아미드; 사롤라네르, 로틸라네르.
성분 2)로서 언급된 활성 물질들, 그들의 제조 및 그들의 살충 활성은 공지되어 있으며 (cf.: http://www.alanwood.net/pesticides/); 이들 물질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IUPAC 명명법으로 기재되는 화합물, 그들의 제조 및 그들의 살충 활성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Can. J. Plant Sci. 48(6), 587-94, 1968; EP-A 141 317; EP-A 152 031; EP-A 226 917; EP-A 243 970; EP-A 256 503; EP-A 428 941; EP-A 532 022; EP-A 1 028 125; EP-A 1 035 122; EP-A 1 201 648; EP-A 1 122 244, JP 2002316902; DE 19650197; DE 10021412; DE 102005009458; US 3,296,272; US 3,325,503; WO 98/46608; WO 99/14187; WO 99/24413; WO 99/27783; WO 00/29404; WO 00/46148; WO 00/65913; WO 01/54501; WO 01/56358; WO 02/22583; WO 02/40431; WO 03/10149; WO 03/11853; WO 03/14103; WO 03/16286; WO 03/53145; WO 03/61388; WO 03/66609; WO 03/74491; WO 04/49804; WO 04/83193; WO 05/120234; WO 05/123689; WO 05/123690; WO 05/63721; WO 05/87772; WO 05/87773; WO 06/15866; WO 06/87325; WO 06/87343; WO 07/82098; WO 07/90624, WO 10/139271, WO 11/028657, WO2012/168188, WO 2007/006670, WO 2011/77514; WO13/047749, WO 10/069882, WO 13/047441, WO 03/16303, WO 09/90181, WO 13/007767, WO 13/010862, WO 13/127704, WO 13/024009, WO 13/024010 및 WO 13/047441, WO 13/162072, WO 13/092224, WO 11/135833, CN 1907024, CN 1456054).
혼합물은 살충제 II로서 그룹 A), B), C), D), E), F), G), H), I), J) 및 K)로부터 선택되는 서로 독립적인 살진균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혼합물은 살충제 II로서 그룹 L)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성장 조절인자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혼합물은 살충제 II로서 그룹 M)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초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추가의 구체예에 따라서, 혼합물은 살충제 II로서 그룹 N)으로부터 선택되는 살충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그룹 A)에서 Qo 부위의 복합체 III의 억제제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A.1.1), (A.1.4), (A.1.8), (A.1.9), (A.1.10), (A.1.12), (A.1.13), (A.1.14), (A.1.17), (A.1.21), (A.1.24), (A.1.25), (A.1.26), (A.1.27), (A.1.28), (A.1.29), (A.1.30), (A.1.31), (A.1.32), (A.1.33), (A.1.34) 및 (A.1.35)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A.1.1), (A.1.4), (A.1.8), (A.1.9), (A.1.13), (A.1.14), (A.1.17), (A.1.24), (A.1.25), (A.1.26), (A.1.27), (A.1.28), (A.1.29), (A.1.30), (A.1.31), (A.1.32), (A.1.33), (A.1.34) 및 (A.1.3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A)에서 Qi 부위의 복합체 III의 억제제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A.2.1), (A.2.3), (A.2.4) 및 (A.2.5)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A.2.3), (A.2.4) 및 (A.2.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A)에서 복합체 II의 억제제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A.3.2), (A.3.3), (A.3.4), (A.3.7), (A.3.9), (A.3.11), (A.3.12), (A.3.14), (A.3.16), (A.3.19), (A.3.20), (A.3.21), (A.3.22), (A.3.23), (A.3.24), (A.3.25), (A.3.27) 및 (A.3.28)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A.3.2), (A.3.3), (A.3.4), (A.3.7), (A.3.9), (A.3.12), (A.3.14), (A.3.17), (A.3.19), (A.3.22), (A.3.23), (A.3.24), (A.3.25), (A.3.27), (A.3.28) 및 (A.3.29)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룹 A)에서 다른 호흡 억제제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A.4.4) 및 (A.4.11); 특히 (A.4.11)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B)에서 C14 디메틸라제 억제제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B.1.4), (B.1.5), (B.1.8), (B.1.10), (B.1.11), (B.1.12), (B.1.13), (B.1.17), (B.1.18), (B.1.21), (B.1.22), (B.1.23), (B.1.25), (B.1.26), (B.1.29), (B.1.31), (B.1.32), (B.1.33), (B.1.34), (B.1.35), (B.1.36), (B.1.37), (B.1.38), (B.1.39), (B.1.40), (B.1.41), (B.1.42), (B.1.43) 및 (B.1.46)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B.1.5), (B.1.8), (B.1.10), (B.1.17), (B.1.23), (B.1.25), (B.1.31), (B.1.32), (B.1.33), (B.1.34), (B.1.35), (B.1.36), (B.1.37), (B.138), (B.1.39), (B.1.40), (B.1.41), (B.1.42), (B.1.43) 및 (B.1.46)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B)에서 델타14-리덕타제 억제제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B.2.4), (B.2.5), (B.2.6) 및 (B.2.8); 특히 (B.2.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C)에서 페닐아미드 및 아실 아미노산 살진균제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C.1.1), (C.1.2), (C.1.4) 및 (C.1.5)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C.1.1) 및 (C.1.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C)에서 다른 핵산 합성 억제제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C.2.6) 및 (C.2.7)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D)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D.1.1), (D.1.2), (D.1.5), (D.2.4) 및 (D.2.6)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D.1.2), (D.1.5) 및 (D.2.6)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E)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E.1.1), (E.1.3), (E.2.2) 및 (E.2.3); 특히 (E.1.3)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F)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F.1.2), (F.1.4) 및 (F.1.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G)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G.3.1), (G.3.3), (G.3.6), (G.5.1), (G.5.2) 및 (G.5.3)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G.3.1), (G.5.1), (G.5.2) 및 (G.5.3)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H)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H.2.2), (H.2.3), (H.2.5), (H.2.7), (H.2.8), (H.3.2), (H.3.4), (H.3.5), (H.4.9) 및 (H.4.10)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H.2.2), (H.2.5), (H.3.2), (H.4.9) 및 (H.4.10)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I)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I.2.2) 및 (I.2.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J)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J.1.2), (J.1.5) 및 (J.1.8); 특히 (J.1.5)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2)로서 그룹 K)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화합물 (K.1.41), (K.1.42), (K.1.44), (K.1.45), (K.1.46), (K.1.47), (K.1.48) 및 (K.1.49)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K.1.41), (K.1.44), (K.1.45), (K.1.46), (K.1.47), (K.1.48) 및 (K.1.49)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원체에 대해 길항 활성을 나타내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미생물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 배양 브로쓰, 배양 배지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분획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전체 배양 브로쓰"는 배양 배지에 현탁된 영양 세포 및/또는 포자 및 임의로 개별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대사산물을 함유하는 미생물의 액체 배양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배양 배지"는 상기 배지, 바람직하게 액체 브로쓰에서 미생물을 배양하고, 배지 중에 성장된 세포를 제거했을때 남겨져서 수득될 수 있는 배지로서, 예를 들어 액체 브로스 중에 성장된 세포가 원심분리, 여과, 침강 또는 당분야에 잘 알려진 다른 수단에 의해 제거되었을 때 남겨지는 상청액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개별 미생물이 생성시켜서 배양 배지로 분비된 대사산물을 포함한다. 때때로 "상청액"이라고도 하는 "배양 배지"는 약 2 내지 30℃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 4 내지 20℃의 온도)에서 약 10분 내지 60분 (보다 바람직하게, 약 15분 내지 30분) 동안 약 5,000 내지 20,000 x g (보다 바람직하게 약 15,000 x g)에서 원심분리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세포 무함유 추출물"은 당분야에 공지된 세포 파괴 방법, 예컨대 용매-기반 (예를 들어, 때때로 적합한 염과 조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알콜), 온도-기반, 전단력 적용, 초음파기 사용에 의한 세포 파괴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개별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영양 세포, 포자 및/또는 전체 배양 브로쓰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추출물은 통상의 농축 기술 예컨대 건조, 증발, 원심분리 등에 의해 농축될 수 있다. 유기 용매 및/또는 물-기반 배지를 사용한 특정 세척 단계가, 바람직하게는 사용 전에 미정제 추출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용어 "대사산물"은 살충 활성 또는 식물 성장, 식물의 물 이용 효율성, 식물 건강, 식물 외관, 또는 본 명세서의 식물 활성 주변 토양 중 유익한 미생물 개체군의 개선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임의의 유익한 효과를 갖는 미생물 (예컨대 진균 및 박테리아, 특히 본 발명의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임의의 성분, 화합물, 물질 또는 부산물 (제한없이 소형 분자 2차 대사산물, 폴리케티드, 지방산 신타제 생성물, 비리보솜 펩티드, 리보솜 펩티드, 단백질 및 효소 포함)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리물"은 이의 천연 기원으로부터 분리된 순수한 미생물 배양물, 예컨대 단일 미생물 콜로니를 배양하여 수득된 단리물을 의미한다. 단리물은 미생물의 불균질한, 야생 개체군으로부터 유래되는 순수한 배양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균주"는 동일 종의 균주 또는 다른 단리물의 것과는 구별되는, 동일 계통에 속하는 표현형 및/또는 유전자형 특질을 나타내는 박테리아 단리물 또는 단리물 그룹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이의 배양 배지"는 다음의 경우에서처럼, 용어 "이의 배양 배지" 직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박테리아 균주의 배양 배지를 의미한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및 이의 배양 배지"는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및 각각의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배양 배지를 의미한다. 유사하게, 동일한 논리가 유사한 용어 예컨대 "이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 "이의 전체 배양 브로쓰" 및 "이의 대사산물"을 비롯하여 이러한 용어의 조합 예컨대 "이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에도 적용된다.
추가의 구체예는 성분 1)로서 하기의 특징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 그람-양성 구조의 막대형 세포,
- 그람 염료와 약한 반응, 종종 심지어 음성으로 염색,
- 분명하게 포자낭 (모세포)를 팽창시키는 타원형 내생포자로 분화,
- 나이트레이트 존재 또는 부재 여부와 무관하게 공기 부재 하에서 강력하게 성장하는 통성 혐기성 성장,
- 다양한 당류의 발효,
- 포도당을 포함한 다양한 당류로부터 산 및 가스 형성,
- 아도니톨 및 솔비톨로부터 산의 비생성,
- 우레아제-음성 (피. 발리더스 (P. validus) 제외),
- 아르기닌 디히드롤라제 음성,
- 시트레이트 비이용성,
- 10% 염화나트륨 존재 하에서 비성장,
- DNA, 단백질, 전분을 분해하는 수많은 세포외 가수분해 효소의 분비; 및/또는
- 40% 내지 54%의 DNA G+C 함량.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Paenibacillus polymyxa), 파에니바실러스 에피파이티커스 (Paenibacillus epiphyticus),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Paenibacillus peoriae), 파에니바실러스 테라에 (Paenibacillus terrae), 파에니바실러스 자밀라에 (Paenibacillus jamilae), 파에니바실러스 크리벤시스 (Paenibacillus kribbensis); 파에니바실러스 아밀롤리티커스 (Paenibacillus amylolyticus), 파에니바실러스 바시노넨시스 (Paenibacillus barcinonensis), 파에니바실러스 툰드라 (Paenibacillus tundra), 파에니바실러스 일리노이센시스 (Paenibacillus illinoisensis), 파에니바실러스 막쿠아리엔시스 (Paenibacillus macquariensis), 파에니바실러스 타이쿤젠시스 (Paenibacillus taichungensis), 파에니바실러스 글리카닐리티커스 (Paenibacillus glycanilyticus) 및 파에니바실러스 오도리페르 (Paenibacillus odorifer)의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파에니바실러스 에피파이티커스,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파에니바실러스 테라에, 파에니바실러스 자밀라에 및 파에니바실러스 크리벤시스의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파에니바실러스 에피파이티커스,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및 파에니바실러스 자밀라에의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파에니바실러스 에피파이티커스 및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의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및 파에니바실러스 에피파이티커스의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1)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DSMZ에 기탁된 Lu16774,
2)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DSMZ에 기탁된 Lu17007, 및
3)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DSMZ에 기탁된 Lu17015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1)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아종 플란타럼 균주 Lu16774,
2)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아종 플란타럼 균주 Lu17007, 및
3)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에피파이티커스 균주 Lu17015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성분 1)로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물 이외에도, 본 발명은 성분 1)로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중 어느 하나의 본래 기탁물로부터 물리적으로 유래되었던지 독립적으로 단리되었던지 간에, 그들이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동정된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보유하는 한, 그러한 임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러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중 어느 하나 (상기 균주의 돌연변이체를 포함) 의 임의의 자손을 포함한다.
용어 "돌연변이체"는 직접 돌연변이체 선택에 의해 수득된 미생물을 비롯하여 추가로 돌연변이유발되었거나 또는 아니면 조작된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의 도입을 통함) 미생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체예는 개별 미생물의 돌연변이체, 변이체, 및 또는 유도체, 천연 발생 및 인공적으로 유도된 돌연변이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돌연변이체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기지의 돌연변이원, 예컨대 X-선, UV 조사 또는 N-메틸-니트로소구아니딘을 미생물에 가하여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처리에 후속하여 바람직한 특징을 보이는 돌연변이체 균주에 대한 스크리닝이 수행될 수 있다.
돌연변이체 균주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컨대 직접 돌연변이체 선택, 화학적 돌연변이유발법 또는 유전자 조작법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의 도입에 의함)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돌연변이체는 기지의 돌연변이원, 예컨대 X-선, UV 조사 또는 N-메틸-니트로소구아니딘을 적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처리에 후속하여 바람직한 특징을 보이는 돌연변이체 균주에 대한 스크리닝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으로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16S rDNA 서열 중 어느 하나, 즉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으로 서열 목록에 기재된 뉴클레오티드 서열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99.6%, 바람직하게 적어도 99.8%, 보다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99.9%, 및 특히 100.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보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으로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16S rDNA 서열 중 어느 하나, 즉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3으로 서열 목록에 기재된 뉴클레오티드 서열 중 어느 하나와 100%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완전한 16S rDNA 서열이 정렬된 서열창 내에서 최적 정렬 이후,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서열 중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99.6% 동일성 또는 서열번호 3과 적어도 99.8% 동일성;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의 서열 중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99.8% 동일성; 보다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의 서열 중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99.9% 동일성; 보다 더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의 서열 중 적어도 하나와 99.9%를 초과하는 동일성; 특히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및 서열번호 3의 서열 중 적어도 하나와 100% 동일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a)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DSMZ에 기탁된 Lu16774;
b)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DSMZ에 기탁된 Lu17007;
c)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DSMZ에 기탁된 Lu17015; 및
d) d1)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9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6%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2) 서열번호 14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8%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3)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10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9%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4) 서열번호 15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2%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5)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11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2%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6) 서열번호 16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8%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7)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12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8%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8) 서열번호 17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3%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9) 서열번호 8 또는 서열번호 13의 DNA 서열과 100.0%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10) 서열번호 18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9%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균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9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6%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N DNA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14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8%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성분 1)로서, 완전한 dnaN DNA 서열이 정렬된 서열창 내에서 최적 정렬 이후, 서열번호 4 및 서열번호 9의 DNA 서열 중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99.6% 동일성 또는 서열번호 14와 적어도 99.8% 동일성;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4와 적어도 99.9% 동일성; 특히 서열번호 14와 100% 동일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dnaN DNA 서열 중 어느 하나, 즉 서열번호 4,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4의 DNA 서열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99.8%, 특히 100.0%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10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9%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gyrB DNA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15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2%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성분 1)로서, 완전한 gyrB DNA 서열이 정렬된 서열창 내에서 최적 정렬 이후,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10 중 적어도 하나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9% 동일성 또는 서열번호 15와 적어도 99.9% 동일성;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5와 적어도 99.9% 동일성; 특히 서열번호 15와 100% 동일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gyrB DNA 서열 중 어느 하나, 즉 서열번호 5, 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5의 DNA 서열 중 어느 하나와 100.0%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11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2%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recF DNA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16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8%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성분 1)로서, 완전한 recF DNA 서열이 정렬된 서열창 내에서 최적 정렬 이후, 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11의 DNA 서열 중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99.2% 동일성 또는 서열번호 16과 적어도 99.8% 동일성;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6과 적어도 99.9% 동일성; 특히 서열번호 16과 100% 동일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recF DNA 서열 중 어느 하나, 즉 서열번호 6,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6의 DNA 서열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99.8%, 특히 100.0%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12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8%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recN DNA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17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3%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성분 1)로서, 완전한 recN DNA 서열이 정렬된 서열창 내에서 최적 정렬 이후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12의 DNA 서열 중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99.8% 동일성 또는 서열번호 17과 적어도 99.3% 동일성;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7과 적어도 99.6% 동일성; 특히 서열번호 17과 100% 동일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recN DNA 서열 중 어느 하나, 즉 서열번호 7, 서열번호 12 및 서열번호 17의 DNA 서열 중 어느 하나와 적어도 99.8%, 특히 100.0%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서열번호 8 또는 서열번호 13의 DNA 서열과 100.0%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rpoA DNA 서열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18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9%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성분 1)로서, 완전한 rpoA DNA 서열이 정렬된 서열창 내에서 최적 정렬 이후, 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13의 DNA 서열 중 적어도 하나와 100.0% 동일성 또는 서열번호 18과 적어도 99.9% 동일성;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7과 적어도 99.9% 동일성; 특히 서열번호 18과 100% 동일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특히 성분 1)로서,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rpoA DNA 서열 중 어느 하나, 즉 서열번호 8,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8의 DNA 서열 중 어느 하나와 100.0%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예는 성분 1)로서, 하기 균주 중 어느 하나의 동정된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파에니바실러스 속의 구성원인, 적어도 하나의 단리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1)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2)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또는
3)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15.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1)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DSMZ에 기탁된 균주 Lu16774,
2)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DSMZ에 기탁된 균주 Lu17007,
3)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DSMZ에 기탁된 균주 Lu17015, 및
4) 상기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중 하나의 동정된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균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원체에 대해 길항 활성을 보이고,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생성할 수 있는 1) 내지 3)의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리된 미생물; 또는 상기 능력을 보유하는, 즉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원체에 대한 상기 길항 활성을 보유하고,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생성시키는 상기 능력을 보유하는 이의 돌연변이체 균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1)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2)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및
3)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15.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1)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2)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3)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15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생물; 또는 상기 균주 중 하나의 동정된 특징 전부를 갖는 이의 돌연변이체 균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배양 배지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은 리포펩티드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폴리믹신, 옥타펩틴, 폴리펩틴, 펠기펩틴 및 푸자리시딘의 군에서 선택된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하기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은 15-구아니디노-3-히드록시펜타데칸산 (GHPD) 및 12-구아니디노도데칸산 (12-GDA)으로부터 선택되고;
X1 트레오닌이고;
X2 는 이소루신 및 발린으로부터 선택되고;
X3 은 티로신, 발린, 이소루신 및 페닐알라닌으로부터 선택되고;
X4 는 트레오닌이고;
X5 는 글루타민 및 아스파라긴으로부터 선택되고;
X6 은 알라닌이고;
여기서 화살표는 R의 카보닐 모이어티와 아미노산 X1 의 아미노 기 사이, 또는 한 아미노산의 카보닐 기와 이웃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 사이의 단일 (아미드) 결합을 정의하고, 화살표의 끝은 상기 아미노산 X1 또는 상기 이웃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에의 부착을 의미하며;
화살표 머리가 없는 단일선은 X6 의 카보닐 기와 X1 의 히드록실 기 사이의 단일 (에스테르) 결합을 정의한다.
추가 구체예는 성분 1)로서 적어도 하나의 하기 화학식 I.1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R은 15-구아니디노-3-히드록시펜타데칸산 (GHPD) 및 12-구아니디노도데칸산 (12-GDA)으로부터 선택되고;
X1 은 트레오닌이고;
X2 는 이소루신이고;
X3 은 티로신이고;
X4 는 트레오닌이고;
X5 는 글루타민 및 아스파라긴으로부터 선택되고;
X6 은 알라닌이고;
여기서 화살표는 R의 카보닐 모이어티와 아미노산 X1 의 아미노 기 사이 또는 아미노산의 카보닐 기와 이웃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 사이의 단일 (아미드) 결합을 정의하며, 화살표의 끝은 상기 아미노산 X1 또는 상기 이웃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에의 부착을 의미하고;
화살표 머리가 없는 단일선은 X6 의 카보닐 기와 X1의 히드록실 기 사이의 단일 (에스테르) 결합을 정의한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화학식 I에서 X1 은 바람직하게 L-트레오닌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화학식 I에서 X2 는 바람직하게 D-이소루신 또는 D-allo-이소루신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화학식 I에서 X3 은 바람직하게 L-티로신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화학식 I에서 X4 는 바람직하게 D-allo-트레오닌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화학식 I에서 X5 는 바람직하게 D-글루타민 또는 D-아스파라긴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화학식 I에서 R은 바람직하게 GHPD이다.
화학식 I.1의 프자리시딘에 대한 화학식 I.1의 스케치도는 또한 다음과 같이 도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X는 -NH-(C=O)-CH2-CH(OH)-(CH2)12-NH-C(=NH)NH2 및 -NH-(C=O)-(CH2)11-NH-C(=NH)NH2로부터 선택되고;
R1 은 1-히드록시에틸이고;
R2 는 1-메틸프로필 (sec-부틸)이고;
R3 은 4-히드록시벤질이고;
R4 는 1-히드록시에틸이고;
R5 는 카바모일에틸 및 카바모일메틸로부터 선택되고;
R6 은 메틸이다.
유사하게, 상기 언급된 화학식 I.1의 대안적인 스케치도를 기반으로 하는 바람직한 구체예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I에서 R1 은 바람직하게 (1S,2R)-1-히드록시에틸이다.
화학식 I에서 R2 는 바람직하게 (1R,2R)-1-메틸프로필 또는 (1R,2S)-1-메틸프로필이다.
화학식 I에서 R3 은 바람직하게 (S)-4-히드록시-벤질이다.
화학식 I에서 R4 는 바람직하게 (1S,2R)-1-히드록시에틸이다.
화학식 I에서 R5 는 바람직하게 (R)-카바모일에틸 및 (R)-카바모일메틸이다.
화학식 I에서 X는 바람직하게 -NH-(C=O)-CH2-CH(OH)-(CH2)12-NH-C(=NH)NH2이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추가로 본 발명은 성분 1)로서, 화학식 I에서 R이 GHPD이고 X5 가 푸자리시딘 1A 의 경우 아스파라긴이고 X5 가 푸자리시딘 1B 의 경우 글루타민인,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7
.
더욱이, R이 GHTD인 것을 포함하여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과 유사하게 합성될 수 있다 (Biopolymers 80(4), 541, 2005; J. Peptide Sci. 12S, 219, 2006; Tetrahedron Lett. 47(48), 8587-90, 2006; Biopolymers 88(4), 568, 2007; ChemMedChem 7, 871-882, 2012).
본 발명은 또한 성분 1)로서, 본 발명의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또는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및 그들 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비롯하여, 식물 병원체의 방제 또는 억제, 또는 식물 병원체 감염의 예방을 위한, 또는 유해 미생물에 의한 침습 파괴에 대해 재료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용도, 및 병원체, 그들 서식지 또는 병원체 공격에 대하여 보호하려는 재료 또는 식물, 또는 토양 또는 번식 재료를, 본 발명의 조성물,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또는 화학식 I이 푸자리시딘 및 그들 염의 유효량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구체예는 하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 및 도면에서 개시된다.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동정된 특징은 그들이 개별 균주의 대사산물인,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할 수 있고, 특히 푸자리시딘 1A1B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분 1)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 또는 1B를 생산할 수 있고, 특히 푸자리시딘 1A1B를 생산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원 및 하나의 질소원을 포함하는 성장 배지에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분 1)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원 및 하나의 질소원을 포함하는 성장 배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 또는 1B를 생산하고, 특히 푸자리시딘 1A1B를 생산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성분 1)로서,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원체에 대한 길항 활성을 보이고,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할 수 있고, 특히 푸자리시딘 1A1B를 생산할 수 있는,
1)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2)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및
3)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15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리된 미생물; 또는 상기 능력을 보유하는, 즉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원체에 대한 상기 길항 활성을 보유하고,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하는, 특히 푸자리시딘 1A1B를 생산하는 상기 능력을 보유하는 이의 돌연변이체 균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또는 이의 돌연변이체 균주의 추가의 동정된 특징은,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할 수 있고, 특히 푸자리시딘 1A1B를 생산하는 그들의 능력 이외에도, 그들이 푸자리시딘 A, 푸자리시딘 B, 푸자리시딘 C, 푸자리시딘 D, LI-F06a, LI-F06b 및 LI-F08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분 1)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할 수 있고, 특히 푸자리시딘 1A1B로를 생산할 수 있으며, 푸자리시딘 A, 푸자리시딘 B, 푸자리시딘 C, 푸자리시딘 D, LI-F06a, LI-F06b 및 LI-F08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분 1)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할 수 있고, 특히 푸자리시딘 1A1B로를 생산할 수 있으며, 푸자리시딘 A, 푸자리시딘 B, 푸자리시딘 C, 푸자리시딘 D, LI-F06a, LI-F06b 및 LI-F08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세개의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추가의 동정된 특징은 그들의 항진균 활성이다. 특히 이들 균주는 알테르나리아 (Alternaria) 종,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ytis cinerea),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 및 스크레로티니아 스크레로티오럼 (Sclerotinia sclerotiorum)을 포함한 식물 병원체의 감염에 대하여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알테르나리아 종은 바람직하게 에이. 솔라니 (A. solani) 및 에이. 알테르나타 (A. alternata)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에이. 솔라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분 1)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특히 알테르나리아 종,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및 스크레로티니아 스크레로티오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병원체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가지며, 여기서 알테르나리아 종은 바람직하게 에이. 솔라니 및 에이. 알테르나타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에이. 솔라니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상기 병원체 중 적어도 2종 또는 4종 전부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식물 병원체 알테르나리아 솔라니,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및 스크레로티니아 스크레로티오럼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갖는다.
식물 병원체에 대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길항 활성은 바람직한 식물 병원성 진균 예컨대 알테르나리아 종,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및 스크레로티니아 스크레로티오럼을 사용하여 시험관내 대립 어세이에서 확인할 수 있고, 여기서 알테르나리아 종은 바람직하게 에이. 솔라니 및 에이. 알테르나타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에이. 솔라니이다.
이들 식물 병원성 진균의 성장 배지로서, 리터 당 10 g 맥아 추출물 (Sigma Aldrich, 70167); 4 g 박토 효모 추출물 (Becton Dickinson, 212750); 4 g 포도당 일수화물 (Sigma Aldrich, 16301); 20 g 한천 (Becton Dickinson, 214510), 증류수 (pH 약 7)를 포함하는 ISP2 배지가 사용된다. PHYTIN용 성장 배지로서, 리터 당 200 mL의 야채 주스, 3 g 칼슘 카보네이트 (Merck Millipore, 1020660250); 30 g 한천 (Becton Dickinson, 214510), pH 6.8, 증류수를 포함하는 V8 배지가 사용된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한천 플레이트의 한쪽 면 위에 점-접종하였다. 한 종의 활성적으로 성장하는 식물 병원체를 함유하는 한천 블록 (대략 0.3 ㎠)을 플레이트의 중심에 놓았다. 약 25℃에서 7 내지 14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식물 병원체의 성장을 특히 억제 구역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음의 길항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항생작용은 진균-무함유 구역 (억제 구역)의 직경의 평가에 의해 점수매겼다. 경쟁은 대조군 플레이트와 비교하여 박테리아 균주가 있는 플레이트 상의 진균 병원체의 성장 직경을 비교하여 점수매겼다. 균기생은 박테리아가 진균 병원체보다 과성장하고 또한 병원체에 균기생하는 경우에 기록될 수 있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성분 1)로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및 기탁된 균주의 동정된 특징 중 하나, 둘, 셋 또는 그 이상을 갖는 임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동정된 특징은 하기 a) 내지 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a) 알테르나리아 종 (Alternaria 종),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ytis cinerea),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 및 스크레로티니아 스크레로티오럼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병원체에 대한 항진균 활성 (여기서 알테르나리아 종은 바람직하게 에이. 솔라니 및 에이. 알테르나타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이. 솔라니임);
(b) 화학식 I의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푸자리시딘 1A 및/또는 1B,를 생산하는 능력;
(c)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푸자리시딘 A, B, C, D, LI-F06a, LI-F06b 및 LI-F08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하는 능력; 및
(d)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키티나제, 셀룰라제 및 아밀라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해성 효소를 생산 및 분비하는 능력.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탄소원 및 하나의 질소원을 포함하는 성장 배지에서, (b), (c) 및 (d)로 언급되는 능력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분 1)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기탁된 균주의 동정된 특징 중 둘 이상을 가지며, 적어도 특징 (a) 및 (b)를 갖는 균주가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분 1)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a) 알테르나리아 종,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및 스크레로티니아 스크레로티오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병원체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가지며, 여기서 알테르나리아 종은 바람직하게 에이. 솔라니 및 에이. 알테르나타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에이. 솔라니이고, (b)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특히 푸자리시딘 1B를 생산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분 1)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a) 알테르나리아 종,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및 스크레로티니아 스크레로티오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병원체 중 3종 또는 전부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가지며, 여기서 알테르나리아 종은 바람직하게 에이. 솔라니 및 에이. 알테르나타로부터 선택되고, 특히 에이. 솔라니이며, (b)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생산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 또는 1B를 생산할 수 있고, 특히 푸자리시딘 1A1B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성분 1)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단리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로 제공된다.
용어 "단리된" 또는 "실질적으로 정제된"은 본 발명의 균주를 자연 환경으로부터 제거하고 단리하거나 또는 분리하였고, 자연적으로 회합된 다른 성분이 적어도 60%가 없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75%가 없고,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90%가 없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95%가 없고, 가장 바람직하게 적어도 99%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단일 미생물 콜로니를 배양하여 수득된 단리물은 본 발명의 단리된 균주의 예이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성분 1)로서 임의의 생리학적 상태 예컨대 활성 또는 휴면기인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포함한다. 휴면기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예를 들어, 냉동, 건조, 또는 동결건조 또는 부분 건조 (부분 건조된 유기체를 생산하는 과정은 WO 2008/002371에 제공됨) 또는 포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혼합물은 성분 1)로서 포자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혼합물은 성분 1)로서 전체 배양 브로쓰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포함한다.
배양물은 바람직하게 단리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정제된 배양물이다.
"단리된 배양물" 또는 "실질적으로 정제된 배양물"은 균주가 정상적으로 수득될 수 있고/있거나 균주가 성장하는 천연 서식지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물질의 상당량을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균주의 배양물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단리된 배양물" 또는 "실질적으로 정제된 배양물"은 정상적으로 균주를 수득할 수 있고/있거나 균주가 성장하는 천연 서식지에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물질이 적어도 60%가 없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75%가 없고, 보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90%가 없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95%가 없고, 가장 바람직하게 적어도 99%가 없다. 이러한 "단리된 배양물" 또는 "실질적으로 정제된 배양물"은 본 발명의 균주의 복제를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한 양으로 임의의 다른 미생물을 정상적으로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혼합물에서 사용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회분식 과정 또는 유가식 또는 반복 유가식 과정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배양할 수 있다. 기지의 배양 방법에 관한 고찰은 Chmiel의 교과서 (Bioprozesstechnik 1. Einfuhrung in die Bioverfahrenstechnik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1991)) 또는 Storhas의 교과서 (Bioreaktoren und periphere Einrichtungen (Vieweg Verlag, Braunschweig/Wiesbaden, 199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어야 하는 배지는 적절한 방식으로 특정 균주의 요건을 충족해야만 한다.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배양 배지의 설명은 핸드북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the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 C., USA, 1981)]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이들 배지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탄소원, 질소원, 무기 염, 비타민 및/또는 미량의 원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탄소원은 당류, 예컨대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이다. 매우 양호한 탄소원은 예를 들어 포도당, 프룩토스, 만노스, 갈락토스, 리보스, 소르보스, 리불로스, 락토스, 말토스, 수크로스, 라피노스, 전분 또는 셀룰로스이다. 당류는 또한 복합 화합물, 예컨대 당밀, 또는 정제당 유래의 다른 부산물을 통해 배지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탄소원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탄소원은 오일 및 지방 예컨대 대두유, 해바라기유, 땅콩유 및 코코넛유, 지방산 예컨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또는 리놀레산, 알콜 예컨대 글리세롤, 메탄올 또는 에탄올 및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또는 락트산이다. 질소원은 일반적으로 유기 또는 무기 질소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이다. 질소원의 예는 암모니아 가스 또는 암모늄 염, 예컨대 암모늄 술페이트, 암모늄 클로라이드,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카보네이트 또는 암모늄 나이트레이트, 나이트레이트들, 우레아, 아미노산 또는 복합 질소원, 예컨대 옥수수 침지액, 대두분, 대두 단백질, 효모 추출물, 고기즙 등을 포함한다. 질소원을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배지에 존재할 수 있는 무기 염 화합물은 칼슘, 마그네슘, 소듐, 코발트, 몰리브덴, 포타슘, 망간, 아연, 구리 및 철의 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또는 술페이트 염을 포함한다. 무기 황-함유 화합물은 예를 들어 술페이트, 술파이트, 디티오나이트, 테트라티오네이트, 티오술페이트, 술파이드를 비롯하여, 유기 황 화합물, 예컨대 머캅탄 및 티올이 황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산, 포타슘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또는 디포타슘 히드로겐포스페이트 또는 상응하는 소듐-함유 염이 인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용액 중에 금속 이온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킬레이트화제가 배지에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킬레이트화제는 디히드록시페놀, 예컨대 카테콜 또는 프로토카테추에이트, 또는 유기산, 예컨대 시트르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발효 배지는 또한 다른 성장 인자들, 예컨대 예를 들어, 바이오틴, 리보플라빈, 티아민, 폴산, 니코틴산, 판토테네이트 및 피리독신을 포함하는, 성장 촉진인자 또는 비타민을 함유할 수 있다. 성장 인자 및 염은 종종 배지의 복합 성분, 예컨대 효모 추출물, 당밀, 옥수수 침지액 등에서 유래된다. 또한, 적합한 전구체가 배지에 첨가될 수 있다. 배지 중 화합물의 정확한 조성은 특정 실험에 강력하게 의존적이며 각각의 특정 경우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정되어야만 한다. 배지 최적화에 관한 정보는 교과서 ["Applied Microbiol. Physiology, A Practical Approach" (Publ. P.M. Rhodes, P.F. Stanbury, IRL Press (1997) p. 53-73, ISBN 0 19 963577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성장 배지는 또한 상업적 공급처, 에컨대 스탠다드 1 (Merck) 또는 BHI (Brain heart infusion, DIFCO) 등에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성장 배지는 L-아라비노스, N-아세틸-D-글루코사민, D-갈락토스, L-아스파르트산, D-트레할로스, D-만노스, 글리세롤, D-글루콘산, D-자일로스, D-만니톨, D-리보스, D-프룩토스, α-D-포도당, 말토스, D-멜리바이오스, 티미딘, α-메틸-D-갈락토시드, α-D-락토스, 락툴로스, 수크로스, 우리딘, α-히드록시 글루타르산-γ-락톤, β-메틸-D-글루코시드, 아도니톨, 말토트리오스, 2-데옥시아데노신, 아데노신, 시트르산, 무스산, D-셀로바이오스, 이노신, L-세린, L-알라닐-글리신, D-갈락투론산,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린, 이눌린, 펙틴, 아미그달린, 젠티오바이오스, 락티톨, D-멜레지토스, α-메틸-D-글루코시드, β-메틸-D-갈락토시드, β-메틸-D-자일로시드, 팔라티노스, D-라피노스, 스타키오스, 투라노스, γ-아미노 부티르산, D-글루오사민, D-락트산, L-리신, 3-히드록시 2-부타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소원; 및 암모니아, 나이트라이트, 나이트레이트, L-알라닌, L-아스파라긴, L-아스파르트산, L-글루탐산, L-글루타민, 글리신, 아미노산 다임: Ala-Asp, AlaGln, Ala-Glu, Ala-His, Gly-Gln, Gly-Glu, Gly-Met, 및 Met-Ala; 특히 나이트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소원을 포함한다. 이들 배지는 무기 염 및 비타민 및/또는 미량의 원소가 보충될 수 있다. 균주는 이들 성장 배지에서 푸자리시딘 1A 및 1B를 생산할 수 있다.
배지의 모든 성분은 가열 (2.0 bar 및 121℃에서 20분) 또는 멸균 여과에 의해 멸균된다. 성분은 함께, 또는 필요하면 개별적으로 멸균할 수 있다. 배지의 모든 성분은 성장 시작시에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임의로 연속적으로 또는 회분식 공급으로 첨가될 수 있다.
배양 온도는 정상적으로 15℃ 내지 36℃, 바람직하게 25℃ 내지 33℃이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실험 동안 변화될 수 있다. 배지의 pH 값은 5 내지 8.5 범위, 바람직하게 대략 7.0이어야 한다. 성장 동안 pH 값은 염기성 화합물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 수, 또는 산성 화합물 예컨대 인산 또는 황산을 첨가하여 성장 동안 제어될 수 있다. 소포제, 예를 들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는 거품발생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미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선택적인 작용의 적합한 물질, 예를 들어 항생제가 배지에 첨가될 수 있다. 산소 또는 산소 함유 가스 혼합물, 예를 들어 대기 공기가 호기성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배양물에 공급된다. 배양 온도는 정상적으로 20℃ 내지 45℃이다. 배양은 최대의 바람직한 생성물이 형성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는 정상적으로 10시간 내지 160시간 내에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균주는 배지 다양한 표준 미생물학 배지 예컨대 루리아-버타니 (Luria-Bertani) (LB) 브로쓰, 트립티카제-소이 브로쓰 (TSB), 효모 추출물/맥아 추출물/포도당 브로쓰 (YMG, ISP2) 중에 15℃ 내지 36℃에서 18시간 내지 360시간 동안, 액체 배지 또는 페트리 디쉬 상에서 한천-고화된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다. 통기가 필요할 수 있다. 박테리아 세포 (영양 세포 및 포자)는 세척하고 농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5 내지 30℃의 온도에서 약 15분 동안 7,000 x g에서의 원심분리에 의함).
본 발명은 또한 성분 1)로서 배지에서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배양하고, 배양 브로쓰로부터 배지를 분리하여 (따라서, 배지에서 성장된 세포가 전체 배양 브로쓰로부터 제거되어 남은것) 수득될 수 있는 배양 배지, 예를 들어 전체 배양 브로쓰의 상청액, 즉 브로쓰에서 성장된 세포 및 다른 찌꺼기가 원심분리, 여과, 침강 또는 당분야에 잘 알려진 다른 수단에 의해 제거되어 남은 액체 브로쓰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청액은 예를 들어 약 2 내지 30℃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 4 내지 20℃의 온도)에서 약 10 내지 60분 (보다 바람직하게 약 15 내지 30분) 동안 약 5,000 내지 20,000 x g (보다 바람직하게 약 15,000 x g)에서 원심분리하여 수득될 수 있다.
이러한 배양 배지는 배양된 균주에 의해 생산되는 살충성 대사산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성분 1)로서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 무함유 추출물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균주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배양할 수 있다. 세포는 또한 고주파 초음파에 의해서, 예를 들어 프렌치 프레스 셀 중 고압에 의해서, 삼투용해에 의해서, 세제의 작용에 의해서, 용해성 효소 또는 유기 용매에 의해서, 호모게나이저에 의해서 또는 열거된 몇몇 방법의 조합에 의해서 파괴될 수 있다. 추출은 바람직하게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2-프로판올 등), 보다 더 바람직하게 2-프로판올 (예를 들어, 배양 부피에 대해 1:1 비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분리는 염 예컨대 NaCl의 첨가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유기상을 수집할 수 있고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은 통상의 증류 및/또는 건조 이후 메탄올에 재현탁 및 여과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은 배양된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살충성 대사산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균주에 특이적인 살충성 대사산물은 특히 본 발명의 균주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배양되었을 때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이러한 배지 또는 추출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론은 개별 살충성 대사산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회수하는"는 배양 배지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로부터 화합물을 추출하거나, 수확하거나, 단리하거나 또는 정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화합물을 회수하는 단계는 제한없이, 통상의 수지 (예를 들어, 음이온 또는 양이온 교환 수지, 비이온성 흡착 수지 등)의 처리, 통상의 흡착제 (예를 들어, 활성화된 차콜, 규산, 실리카겔, 셀룰로스, 알루미나 등)의 처리, pH의 변경, 용매 추출 (예를 들어 통상의 용매 예컨대 알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에 의함), 증류, 투석, 여과, 농축, 결정화, 재결정화, pH 조정, 동결건조 등을 포함하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통상적인 단리 또는 정제 방법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사산물은 먼저 미생물을 제거하여 배양 배지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나머지 브로쓰는 이후에 원치 않는 양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양이온 교환 수지를 통해서, 또는 원치않는 무기 음이온 및 유기산을 제거시키기 위해 음이온 교환 수지를 통해서 또는 그 위를 통과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성분 1)로서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전체 배양 브로쓰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기 전체 배양 브로쓰는 푸자리시딘 1A1B를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미생물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전체 배양 브로쓰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기 전체 배양 브로쓰는 푸자리시딘 1A1B를 포함한다.
상기 푸자리시딘-유형 대사산물은 이것을 생산할 수 있는 개별 미생물의 배양 배지로 분비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성분 1)로서,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배양 배지 및/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기 배양 배지 및/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은 푸자리시딘 1A1B를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성분 1)로서,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파에니바실러스 속의 미생물의 배양 배지 및/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기 배양 배지 및/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은 푸자리시딘 1A1B를 포함한다.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성분 1)로서, 바람직하게 푸자리시딘 1A1B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배양 배지 및/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기 배양 배지 및/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은 푸자리시딘 1A1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성분 1)로서, 개별적으로,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및/또는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혼합물 및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하는 농화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본 발명의 생성물 (미생물 균주, 작용제 또는 제제)과 관련하여 "조성물"은 성분의 조합을 의미하며, 여기서 "제제화"는 제제를 형성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의 조성에 대한 공식, 예컨대 레시피를 사용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제라고도 한다.
성분 1)로서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박테리아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및 성분 2)로서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항진균제 또는 살진균제로서 적합하다. 그들은 특히 플라스모디오포로마이세테스 (Plasmodiophoromycetes), 페로노스포로마이세테스 (Peronosporomycetes) (동의어. 우마이세테스 (Oomycetes)), 키트리디오마이세테스 (Chytridiomycetes), 자이고마이세테스 (Zygomycetes), 아스코마이세테스 (Ascomycetes), 바시디오마이세테스 (Basidiomycetes) 및 듀테로마이세테스 (Deuteromycetes) (이명: 불완전 진균류)의 부류로부터 유래되는, 토양 유래 진균을 포함하는 광범위 스펙트럼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두드러진 유효성으로 구별된다. 일부는 전신적으로 효과적이며 그들은 엽면 살진균제, 종자 드레싱을 위한 살진균제 및 토양 살진균제와 같이 작물 보호에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그들은 그 중에서도 식물의 뿌리 또는 목질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진균을 방제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재배 식물, 예컨대 곡물, 예를 들어, 밀, 호밀, 보리, 라이밀, 귀리 또는 쌀; 비트, 예를 들어 사탕무 또는 사료용 비트; 과일, 예컨대 인과류, 핵과류 또는 장과류, 예를 들어 사과, 배, 자두, 복숭아, 아몬드, 체리, 딸기, 라즈베리, 블랙베리 또는 구스베리; 콩과 식물, 예컨대 렌틸, 완두콩, 알팔파 또는 대두; 오일 식물, 예컨대 유채, 겨자, 올리브, 해바라기, 코코넛, 코코아 콩, 피마자유 식물, 기름 야자, 땅콩 또는 대두; 박과, 예컨대 호박, 오이 또는 멜론; 섬유 식물, 예컨대 목화, 아마, 대마 또는 황마; 감귤류 과일, 예컨대 오렌지, 레몬, 자몽 또는 귤; 채소류, 예컨대 시금치, 상추, 아스파라거스, 양배추, 당근, 양파, 토마토, 감자, 박과 또는 파프리카; 녹나무과 식물, 예컨대 아보카도, 계피 또는 장뇌; 에너지 및 원료 식물, 예컨대 옥수수, 대두, 유채, 사탕수수 또는 기름 유자; 옥수수; 담배; 견과류; 커피; 차; 바나나; 포도나무 (식용 포도 및 포도 주스 포도 덩굴); 홉; 잔디; 스위트 리프 (스테비아라고도 함); 천연 고무 식물 또는 관상용 및 삼림 식물, 예컨대 화초, 관목, 활엽수 또는 상록수, 예를 들어 침엽수; 및 식물 번식 재료, 예컨대 종자, 및 이들 식물의 작물 물질 상에서 다수의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에 특히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농작물, 예컨대 감자, 사탕무, 담배, 밀, 호밀, 보리, 귀리, 쌀, 옥수수, 목화, 대두, 유채, 콩류, 해바라기, 커피 또는 사탕수수; 과일; 포도나무; 관상용 식물; 또는 채소류, 예컨대 오이, 토마토, 콩 또는 호박에서 다수의 진균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용어 "식물 번식 재료"는 식물의 번식에 사용할 수 있는, 식물의 모든 발생부 예컨대 종자 및 영양 식물 재료 예컨대 꺽꽂이순 및 덩이줄기 (예를 들어, 감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토양으로부터 출아 후 또는 발아 후 이식되는 묘목 및 어린 식물을 포함하여, 종자, 뿌리, 열매, 덩이줄기, 구근, 뿌리줄기, 새순, 새싹, 및 식물의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이들 어린 식물은 또한 함침 또는 주입에 의한 전체 또는 부분 처리를 통해 이식전에 보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및 조성물로 식물 번식 재료의 처리는 곡물, 예컨대 밀, 호밀, 보리 및 귀리; 쌀, 옥수수, 목화 및 대두에 대해 다수의 진균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용어 "재배 식물"은 제한없이 시판 중이거나 또는 개발 중인 농업 생물공학 제품을 포함하여 육종, 돌연변이유발 또는 유전자 조작에 의해 변형된 식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참조: http://cera-gmc.org/, 이곳의 GM 작물 데이타베이스 참조). 유전자 변형된 식물은 유전 물질이 교배 육종, 돌연변이 또는 자연적 재조합에 의해 자연 상황 하에서는 쉽게 수득될 수 없는, 재조합 DNA 기술의 사용에 의해 변형된 식물이다. 전형적으로 식물의 일정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유전자가 유전자 변형된 식물의 유전 물질에 통합되었다. 이러한 유전자 변형은 또한 제한없이 예를 들어 글리코실화 또는 중합체 첨가 예컨대 프레닐화, 아세틸화 또는 파르네실화 모이어티 또는 PEG 모이어티에 의한, 단백질(들), 올리고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표적화 번역 후 변형을 포함한다.
육종, 돌연변이유발 또는 유전자 조작에 의해 변형된 식물은 예를 들어 육종 또는 유전자 조작의 통상적 방법의 결과로서 특정 부류의 제초제, 예컨대 옥신 제초제 예컨대 디캄바 또는 2,4-D; 표백 제초제 예컨대 히드록실페닐피루베이트 디옥시게나제 (HPPD) 억제제 또는 파이토엔 데사투라제 (PDS) 억제제;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제 (ALS) 억제제 예컨대 술포닐 우레아 또는 이미다졸리논; 에놀피루빌시키메이트-3-포스페이트 신타제 (EPSPS) 억제제, 예컨대 글리포세이트; 글루타민 신써타제 (GS) 억제제 예컨대 글루포시네이트; 프로토포르피리노겐-IX 옥시다제 억제제; 지질 생합성 억제제 예컨대 아세틸 CoA 카복실라제 (ACCase) 억제제; 또는 옥시닐 (즉, 브로목시닐 또는 아이옥시닐) 제초제의 적용에 내성이 부여되었다. 뿐만 아니라, 식물은 다수의 유전자 변형을 통해서 다수 부류의 제초제에 대해 내성이 되었고, 예컨대 글리포세이트 및 글루포시네이트 둘 모두에 대해, 또는 글리포세이트 및 다른 부류의 제초제 예컨대 ALS 억제제, HPPD 억제제, 옥신 제초제, 또는 ACCase 억제제에 대해 내성이 되었다. 이들 제초제 내성 기술은 예를 들어 Pest Managem. Sci. 61, 2005, 246; 61, 2005, 258; 61, 2005, 277; 61, 2005, 269; 61, 2005, 286; 64, 2008, 326; 64, 2008, 332; Weed Sci. 57, 2009, 108; Austral. J. Agricult. Res. 58, 2007, 708; Science 316, 2007, 1185, 및 이에 인용된 참조에 기술되어 있다. 몇몇 재배 식물은 통상의 육종 방법 (돌연변이유발법)에 의해 제조제에 내성이 부여되었는데, 예를 들어 Clearfield® 여름 유채 (캐놀라, BASF SE, Germany)는 이미다졸리논, 예를 들어 이마자목스에 내성이거나, 또는 ExpressSun® 해바라기 (DuPont, USA)는 술포닐 우레아, 예를 들어 트리베누론에 내성이다. 유전자 조작 방법이 사용되어 재배 식물 예컨대 대두, 목화, 옥수수, 비트 및 유채가 제초제 예컨대 글리포세이트 및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하여 내성이 부여되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상표명 RoundupReady® (글리포세이트-내성, Monsanto, U.S.A.), Cultivance® (이미다졸리논 내성, BASF SE, Germany) 및 LibertyLink® (글루포시네이트-내성, Bayer CropScience, Germany) 하에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식물은 또한 재조합 DNA 기술의 사용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살충 단백질, 특히 바실러스 박테리아 속, 특히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로부터 알려진 것들, 예컨대 δ-내독소, 예를 들어 CryIA(b), CryIA(c), CryIF, CryIF(a2), CryIIA(b), CryIIIA, CryIIIB(b1) 또는 Cry9c; 영양성 살충 단백질 (VIP), 예를 들어 VIP1, VIP2, VIP3 또는 VIP3A; 박테리아 군집화 선충류, 예를 들어 포토랍더스 (Photorhabdus) 종 또는 제노랍더스 (Xenorhabdus) 종의 살충 단백질; 동물이 생산하는 독소, 예컨대 전갈 독소, 거미류 독소, 말벌 독소, 또는 다른 곤충-특이적 신경독소; 진균에 의해 생산되는 독소, 예컨대 스트렙토마이세테스 (Streptomycetes) 독소, 식물 렉틴, 예컨대 완두콩 또는 보리 렉틴; 어글루티닌; 프로테이나제 억제제, 예컨대 트립신 억제제,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파타틴, 시스타틴 또는 파파인 억제제; 리보솜-불활성화 단백질 (RIP), 예컨대 리신, 옥수수-RIP, 아브린, 루핀, 사포린 도는 브리오딘; 스테로이드 대사 효소, 예컨대 3-히드록시-스테로이드 옥시다제, 엑디스테로이드-IDP-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콜레스테롤 옥시다제, 엑디손 억제제 또는 HMG-CoA-리덕타제; 이온 채널 차단제, 예컨대 소듐 또는 칼슘 채널의 차단제; 유충 호르몬 에스터라제; 이뇨 호르몬 수용체 (헬리코키닌 수용체); 스틸벤 신타제, 비벤질 신타제, 키티나제 또는 글루카나제를 합성할 수 있는 것들을 포괄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이들 살충 단백질 또는 독소는 또한 프리-독소, 하이브리드 단백질, 절두형 또는 아니면 변형된 단백질로서 분명하게 이해된다. 하이브리드 단백질은 단백질 도메인의 새로운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WO 02/015701 참조). 이러한 독소 또는 이러한 독소를 합성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된 식물의 추가예는 예를 들어, EP-A 374 753, WO 93/007278, WO 95/34656, EP-A 427 529, EP-A 451 878, WO 03/18810 및 WO 03/52073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전자 변형된 식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출판물에 기술되어 있다. 유전자 변형된 식물에 함유되는 이들 살충 단백질은 이들 단백질을 생산하는 식물에 대해서 절지동물의 모든 분류학적 군, 특히 딱정벌레 (초시류 (Coeloptera)), 두 날개 곤충 (쌍시류 (Diptera)), 및 나방 (인시류 (Lepidoptera)) 및 선충 (선충류 ((Nematoda))으로부터의 유해한 해충에 대한 저항력을 부여한다.
하나 이상의 살충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된 식물은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출판물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YieldGard® (Cry1Ab 독소를 생산하는 옥수수 품종), YieldGard® Plus (Cry1Ab 및 Cry3Bb1 독소를 생산하는 옥수수 품종), Starlink® (Cry9c 독소를 생산하는 옥수수 품종), Herculex® RW (Cry34Ab1, Cry35Ab1 및 효소 포스피노트리신-N-아세틸트랜스퍼라제 [PAT]를 생산하는 옥수수 품종); NuCOTN® 33B (Cry1Ac 독소를 생산하는 목화 품종), Bollgard® I (Cry1Ac 독소를 생산하는 목화 품종), Bollgard® II (Cry1Ac 및 Cry2Ab2 독소를 생산하는 목화 품종); VIPCOT® (VIP-독소를 생산하는 목화 품종); NewLeaf® (Cry3A 독소를 생산하는 감자 품종); Bt-Xtra®, NatureGard®, KnockOut®, BiteGard®, Protecta®, Bt11 (예를 들어, Agrisure® CB) 및 Bt176 (Syngenta Seeds SAS, France) (Cry1Ab 독소 및 PAT 효소를 생산하는 옥수수 품종), MIR604 (Syngenta Seeds SAS, France) (Cry3A 독소의 변형된 형태를 생산하는 옥수수 품중, WO 03/018810 참조), MON 863 (Monsanto Europe S.A., Belgium) (Cry3Bb1 독소를 생산하는 옥수수 품종), IPC 531 (Monsanto Europe S.A., Belgium) (Cry1Ac 독소의 변형된 형태를 생산하는 목화 품종) 및 1507 (Pioneer Overseas Corporation, Belgium) (Cry1F 독소 및 PAT 효소를 생산하는 옥수수 품중)과 같이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식물은 또한 재조합 DNA 기술의 사용에 의해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진균 병원체에 대해 이들 식물의 내성 또는 저항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것을 포괄한다. 이러한 단백질의 예는 소위 "발병-관련 단백질 (pathogenesis-related proteins)" (PR 단백질, 예를 들어 EP-A 392 225 참조), 식물 질환 내성 유전자 (예를 들어, 멕시코 야생 감자 솔라눔 불보카스타눔 (Sholanum bulbocastanum)으로부터 유래된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에 대하여 작용하는 내성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감자 품종) 또는 T4-리소자임 (예를 들어, 박테리아 예컨대 어위니아 아밀보라 (Erwinia amylvora)에 대하여 내성이 증가된 이들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감자 품종)이 있다. 이러한 유전자 변형된 식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출판물에 기술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또한 재조합 DNA 기술의 사용에 의해 생산량 (예를 들어, 생물량 생산, 곡실 수율, 전분 함량, 오일 함량 또는 단백질 함량), 가뭄, 염도 또는 다른 성장-제한 환경 인자에 대한 저항력, 또는 이들 식물의 해충 및 진균,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병원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합성할 수 있는 식물을 포괄한다.
더 나아가서, 식물은 또한 재조합 DNA 기술의 사용에 의해서, 특히 인간 또는 동물 영양섭취를 향상시키도록 변형된 양의 물질 함량 또는 신규 물질 함량을 함유하는 식물, 예를 들어, 건강-증진 장쇄 오메가-3 지방산 또는 불포화 오메가-9 지방산을 생산하는 오일 작물 (예를 들어, Nexera® 유채, DOW Agro Sciences, Canada)을 포괄한다.
더 나아가서, 식물은 또한 재조합 DNA 기술의 사용에 의해서, 특히 원료 생산을 향상시키도록, 변형된 양의 물질 함량 또는 신규 물질 함량을 함유하는 식물, 예를 들어 아밀로펙틴을 증가된 양으로 생산하는 감자 (예를 들어, Amflora® 감자, BASF SE, Germany)를 포괄한다.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다음의 식물 질환을 방제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관상수, 채소류 (예를 들어, 에이. 칸디다 (A. candida)) 및 해바라기 (예를 들어, 에이. 트라고포고니스 (A. tragopogonis))에 대한 알부고(Albugo) 종 (흰녹병); 채소류, 유채 (에이. 브라시콜라 (A. brassicola) 또는 브라시카에(brassicae)), 사탕무 (에이. 테누이스 (A. tenuis)), 과일, 쌀, 대두, 감자 (예를 들어, 에이. 솔라니 (A. solani) 또는 에이. 알테르나타 (A. alternata)), 토마토 (예를 들어, 에이 솔라니. 또는 에이. 알테르나타) 및 밀에 대한 알테르나리아 (Alternaria) 종 (알테르나리아 잎반점병); 사탕무 및 채소류에 대한 아파토마이세스 (Aphanomyces) 종; 곡물 및 채소류에 대한 아스코카이타 (Ascochyta) 종, 예를 들어, 밀에 대한 에이 트리티시 (A. tritici) (탄저병) 및 보리에 대한 에이. 호르데이 (A. hordei); 비폴라리스 (Bipolaris) 및 드레크슬레라 (Drechslera) 종 (완전세대형: 코클리오볼러스 (Cochliobolus) 종), 예를 들어, 옥수수에 대한 남부 잎마름병 (디. 마이디스 (D. maydis)) 또는 북부 잎마름병 (비. 제이콜라 (B. zeicola)), 예를 들어, 곡물에 대한 잎반점병 (비. 소로키니아나 (B. sorokiniana)) 및 예를 들어, 쌀 및 잔디에 대한 비. 오리자에 (B. oryzae); 곡물 (예를 들어, 밀 또는 보리)에 대한 블루메리아 (Blumeria)(이전에 에리시페( Erysiphe)) 그라미니스 (graminis) (백분병); 과일 및 베리류(예를 들어, 딸기), 채소류 (예를 들어, 상추, 당근, 셀러리 및 양배추), 유채, 화초, 포도나무, 삼림용 식물 및 밀에 대한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ytis cinerea) (완전세대형: 보트리오티니아 푸크켈리아나 (Botryotinia fuckeliana): 회색 곰팡이); 상추에 대한 브레미아 락투카에 (Bremia lactucae) (노균병); 활엽수 및 상록수에 대한 세라토시스티스 (Ceratocystis) (이명: 오피오스토마 (Ophiostoma)) 종 (부패 또는 시들음), 예를 들어, 느릅나무에 대한 씨. 울미 (C. ulmi) (네덜란드 느릅나무병); 옥수수 (예를 들어, 회색 잎반점병: 씨. 제아에마이디스 (C. zeaemaydis)), 쌀, 사탕무 (예를 들어, 씨. 베티콜라 (C. beticola)), 사탕수수, 채소류, 커피, 대두 (예를 들어, 씨. 소지나 (C. sojina) 또는 씨. 키쿠치이(C. kikuchii)) 및 쌀에 대한 세르코스포라 (Cercospora) 종 (세르코스포라 잎반점병); 토마토 (예를 들어, 씨. 풀범 (C. fulvum): 잎곰팡이병) 및 곡물에 대한 클라도스포리움 (Cladosporium) 종, 예를 들어, 밀에 대한 씨. 헤르바럼 (C. herbarum) (검은이삭병); 곡물에 대한 클라비셉스 푸르푸레아 (Claviceps purpurea) (맥각병); 옥수수 (씨. 카보넘(C. cabonum)), 곡물 (예를 들어, 시. 사티버스 (C. sativus), 불완전세대: 비. 소로키니아나 (B. sorokiniana)) 및 쌀 (예를 들어, 씨. 미야베아너스, 불완전세대: 에이치. 오리자에 (H. oryzae))에 대한 코클리오볼러스 (Cochliobolus) (불완전세대: 비폴라리스의 헬민토스포리움 (Helminthosporium)) 종 (잎반점병); 면화 (예를 들어, 씨. 고시피이 (C. gossypii)), 옥수수 (예를 들어, 씨. 그라미니콜라 (C. graminicola): 탄저병 줄기 썩음병), 장과류, 감자 (예를 들어, 씨. 코코데스 (C. coccodes): 검은점병), 콩류 (예를 들어, 씨. 린데무티아넘(C. lindemuthianum)) 및 대두 (예를 들어, 씨. 트룬카텀 (C. truncatum) 또는 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C. gloeosporioides))에 대한 콜레토트리춤 (Colletotrichum) (완전세대형: 글로메렐라 (Glomerella)) 종 (탄저병); 쌀에 대한 코르티시움(Corticium) 종, 예를 들어, 씨. 사사키이 (C. sasakii) (잎집무늬마름병); 대두 및 관상수에 대한 코리네스포라 카시이콜라 (Corynespora cassiicola) (잎반점병); 올리브 나무에 대한 시클로코니움 (Cycloconium) 종, 예를 들어, 씨. 올레아기넘 (C. oleaginum) 올리브 나무; 과일 나무, 포도나무 (예를 들어, 씨. 리리오덴드리 (C. liriodendri), 완전세대형: 네오넥트리아 리리오덴드리 (Neonectria liriodendri): 흑족병) 및 관상수에 대한 시린드로카르폰 (Cylindrocarpon) 종 (예를 들어, 과수 동고병 또는 어린 포도나무 쇠약, 완전세대형: 넥트리아 (Nctria) 또는 네오넥트리아 (Neonectria) 종; 대두에 대한 데마토포라 (Dematophora) (완전세대형: 로젤리니아 (Rosellinia)) 네카트릭스 (necatrix) (뿌리 및 줄기 썩음병); 대두에 대한 디아포르테 (Diaporthe) 종, 예를 들어, 디. 파세올로럼 (D. phaseolorum) (모잘록병); 옥수수, 곡물, 예컨대 보리 (예를 들어, 디. 테레스 (D. teres), 망반병) 및 밀 (예를 들어, 디. 트리티시레펜티스 (D. triticirepentis): 황갈색반점병), 쌀 및 잔디에 대한 드레키스레라 (Drechslera) (이명: 헬민토스포리움, 완전세대형: 파이레노포라 (Pyrenophora)) 종; 포르미티포리아 (Formitiporia) (이명: 펠리너스 (Phellinus)) 푼크타타 (punctata), 에프. 메디테라네아 (F. mediterranea), 파에오모니엘라 클라미도스포라 (Phaeomoniella chlamydospora) (이전에 파에오아크레모니움 클라미도스포럼 (Phaeoacremonium chlamydosporum)), 파에오아크레모니움 알레오필럼 (Phaeoacremonium aleophilum) 및/또는 보트리오스파에리아 옵투사 (Botryosphaeria obtusa)에 의해 야기되는, 포도나무에 대한 에스카 (Esca) (줄기마름병, 졸증); 인과류 과일 (이. 피리 (E. pyri)), 장과류 (이. 베네타(E. veneta): 탄저병) 및 포도나무 (이. 암펠리나 (E. ampelina): 탄저병)에 대한 엘시노에 (Elsinoe) 종; 쌀에 대한 엔틸로마 오리자에 (Entyloma oryzae) (잎 깜부기); 밀에 대한 에피코컴 (Epicoccum) 종 (검은 곰팡이); 사탕무 (이. 베타에 (E. betae)), 채소류 (예를 들어, 이. 피시 (E. pisi)), 예컨대 조롱박 (예를 들어, 이. 시코라세아럼 (E. cichoracearum)), 양배추, 유채 (예를 들어, 이. 크루시페라럼 (E. cruciferarum))에 대한 에리시페 (Erysiphe) 종 (백분병); 과일 나무, 포도나무 및 관상수 나무에 대한 유티파 라타 (Eutypa lata) (유티파 캔커 (Eutypa canker) 또는 줄기마름병, 불완전세대: 시토스포리나 라타 (Cytosporina lata), 이명: 리베르텔라 블레파리스 (Libertella blepharis)); 옥수수 (예를 들어, 이. 투르시컴 (E. turcicum))에 대한 엑세로힐럼 (Exserohilum) (이명: 헬민토스포리움) 종; 다양한 식물에 대한 후사리움 (Fusarium) (완전세대형: 기베렐라 (Gibberella)) 종 (시들음, 뿌리 또는 줄기 썩음병), 예컨대 곡물 (예를 들어, 밀 또는 보리)에 대한 에프. 그라미네아럼 (F. graminearum) 또는 에프. 컬모럼 (F. culmorum) (뿌리 썩음, 붉은 곰팡이병 또는 이삭 마름병), 토마토에 대한 에프. 옥시스포럼 (F. oxysporum), 에프. 솔라니 (F. solani) (에프. 종 글리시네스 현재 이명 에프. 비르굴리포르메(F. virguliforme)) 및 에프. 투쿠마니아에 (F. tucumaniae) 및 에프. 브라실리엔스 (F. brasiliense) (각각 대두에서 급사 증후군을 야기함), 및 옥수수에 대한 에프. 베르티실리오이데스 (F. verticillioides); 곡물 (예를 들어, 밀 또는 보리) 및 옥수수에 대한 가에우만노마이세스 그라미니스 (Gaeumannomyces graminis) (입고병); 곡물 (예를 들어, 쥐. 제아에 (G. zeae)) 및 쌀 (예를 들어, 쥐. 푸지쿠로이 (G. fujikuroi): 벼키다리병)에 대한 기베렐라 (Gibberella) 종; 포도나무, 인과류 과일 및 다른 식물에 대한 글로메렐라 신굴라타 (Glomerella cingulata) 및 면화에 대한 쥐. 고시피이 (G. gossypii); 쌀에 대한 곡물-염색 복합증 (Grain-staining complex); 포도나무에 대한 구이그나르디아 비드웰리이 (Guignardia bidwellii) (흑균병); 장미과 식물 및 주니퍼에 대한 짐노스포란지움 (Gymnosporangium) 종, 예를 들어, 배에 대한 쥐. 사비나에 (G. sabinae) (녹병); 옥수수, 곡물 및 쌀에 대한 헬민토스포리움 종 (이명: 드레크슬레라 (Drechslera), 완전세대형: 코클리오볼러스 (Cochliobolus)); 커피에 대한 헤밀레이아 (Hemileia) 종, 예를 들어, 에이치. 바스타트릭스 (H. vastatrix) (커피잎 녹병); 포도나무에 대한 이사리옵시스 클라비스포라 (Isariopsis clavispora) (이명: 클라도스포리움 비티스 (Cladosporium vitis)); 대두 및 면화에 대한 마크로포미나 파세올리나 (Macrophomina phaseolina) (이명: 파세올리 (phaseoli)) (뿌리 및 줄기 썩음병); 곡물 (예를 들어, 밀 또는 보리)에 대한 미크로도치움 (Microdochium) (이명: 후사리움 (Fusarium)) 니발레 (nivale) (분홍 설부병)); 대두에 대한 미크로스파에라 디푸사 (Microsphaera diffusa) (백분병); 핵과류 및 다른 장미과 식물에 대한 모닐리니아 (Monilinia) 종, 예를 들어, 엠. 락사 (M. laxa), 엠. 프룩티콜라 (M. fructicola) 및 엠. 프룩티제나 (M. fructigena) (꽃 및 가지 마름병, 갈색 부패병); 곡물, 바나나, 장과류 및 땅콩에 대한 마이코스파에렐라 (Mycosphaerella) 종, 예컨대 예를 들어, 밀에 대한 엠. 그라미니콜라 (M. graminicola) (불완전세대: 셉토리아 트리티시 (Septoria tritici), 셉토리아 무늬병) 또는 바나나에 대한 엠. 피지엔시스 (M. fijiensis) (검은 시가토카병); 양배추 (예를 들어, 피. 브라시카에 (P. brassicae)), 유채 (예를 들어, 피. 파라시티카 (P. parasitica)), 양파 (예를 들어, 피. 데스트룩토르 (P. destructor)), 담배 (피. 타바시나(P. tabacina)) 및 대두 (예를 들어, 피. 만슈리카 (P. manshurica))에 대한 페로노스포라 (Peronospora) 종 (노균병); 대두에 대한 파콥소라 파키리지 (Phakopsora pachyrhizi) 및 피. 메이보미아에 (P. meibomiae) (대두 녹병); 예를 들어, 포도나무 (예를 들어, 피. 트라케이필라 (P. tracheiphila) 및 피. 테트라스포라 (P. tetraspora)) 및 대두 (예를 들어, 피. 그레가타 (P. gregata): 줄기 썩음병)에 대한 피알로포라 (Phialophora) 종; 유채 및 양배추에 대한 포마 린감 (Phoma lingam) (뿌리 및 줄기 썩음병) 및 사탕무에 대한 피. 베타에 (P. betae) (뿌리 썩음, 잎반점병 및 잘록병); 해바라기, 포도나무 (예를 들어, 피. 비티콜라 (P. viticola): 캔 및 잎 반점병) 및 대두 (예를 들어, 줄기 썩음병: 피. 파세올리 (P. phaseoli), 완전세대형: 디아포르테 파세올로럼 (Diaporthe phaseolorum))에 대한 포몹시스 (Phomopsis) 종; 옥수수에 대한 파이소더마 마이디스 (Physoderma maydis) (갈색 반점병); 다양한 식물, 예컨대 파프리카 및 조롱박 (예를 들어, 피. 카프시시 (P. capsici)), 대두 (예를 들어, 피. 메가스페르마 (P. megasperma), 이명: 피. 소자에 (P. sojae)), 감자 및 토마토 (예를 들어, 피. 인페스탄스 (P. infestans): 잎마름병) 및 활엽수 (예를 들어, 피. 라모럼 (P. ramorum): 참나무 급사병)에 대한 파이토프토라 (Phytophthora) 종 (시들음, 뿌리, 잎, 과일 및 윗뿌리); 양배추, 유채, 래디쉬 및 다른 식물에 대한 플라스모디오포라 브라시카에 (Plasmodiophora brassicae) (뿌리혹병); 플라스모파라 (Plasmopara) 종, 예를 들어, 포도나무에 대한 피. 비티콜라 (P. viticola) (포도덩굴 노균병) 및 해바라기에 대한 피. 할스테디이 (P. halstedii); 장미과 식물, 홉, 인과류 및 장과류에 대한 포도스파에라 (Podosphaera) 종 (백분병), 예를 들어, 사과에 대한 피. 루코트리카 (P. leucotricha); 예를 들어, 곡물, 예컨대 보리 및 밀 (피. 그라미니스 (P. graminis)) 및 사탕무 (피. 베타에 (P. betae))에 대한 폴리믹사 (Polymyxa) 종 및 그로 인해 전파된 바이러스 질환; 곡물, 예를 들어, 밀 또는 보리에 대한 슈노세르코스포렐라 헤르포트리코이데스 (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눈무늬병, 완전세대: 타페시아 얄룬다에 (Tapesia yallundae)); 다양한 식물에 대한 슈도페로노스포라 (Pseudoperonospora) (노균병), 예를 들어, 조롱박에 대한 피. 큐벤시스 (P. cubensis) 또는 홉에 대한 피. 후밀리 (P. humili); 포도나무에 대한 슈도페지큘라 트라케이필라 (Pseudopezicula tracheiphila) (레드 파이어 질환 또는 로트브레너 (rotbrenner), 불완전세대: 피알로포라 (Phialophora)); 다양한 식물에 대한 푸시니아 (Puccinia) 종 (녹병), 예를 들어, 곡물, 예컨대 예를 들어, 밀, 보리 또는 호밀에 대한 피. 트리티시나 (P. triticina) (갈녹병 또는 잎녹병), 피. 스트리이포르미스 (P. striiformis) (줄녹병 또는 황녹병), 피. 호르데이 (P. hordei) (좀녹병), 피. 그라미니스 (P. graminis) (줄기 녹병 또는 흑녹병) 또는 피. 레콘디타 (P. recondita)(갈녹병 또는 잎녹병), 사탕수수에 대한 피. 쿠에니이 (P. kuehnii) (오렌지 녹병) 및 아스파라거스에 대한 피. 아스파라기 (P. asparagi); 밀에 대한 파이레노포라 (Pyrenophora) (불완전세대: 드레크슬레라) 트리티시레펜티스 (triticirepentis) (황갈색반점병) 또는 보리에 대한 피. 테레스 (P. teres) (망반병); 쌀에 대한 피리쿨라리아 (Pyricularia) 종, 예를 들어, 피. 오리자에 (P. oryzae) (완전세대형: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 및 잔디 및 곡물에 대한 피. 그리세아 (P. grisea); 잔디, 쌀, 옥수수, 밀, 면화, 유채, 해바라기, 대두, 사탕무, 채소류 및 다양한 다른 식물 (예를 들어, 피. 울티멈 (P. ultimum) 또는 피. 알파니데르마텀 (P. aphanidermatum))에 대한 파이티움 (Pythium) 종 (잘록병); 라물라리아 (Ramularia) 종, 예를 들어, 보리에 대한 알. 콜로시그니 (R. collocygni) (라물라리아 잎반점병, 생리학적 잎반점병) 및 사탕무에 대한 알. 베티콜라 (R. beticola); 면화, 쌀, 감자, 잔디, 옥수수, 유채, 감자, 사탕무, 채소류 및 다양한 다른 식물에 대한 리족토니아 (Rhizoctonia) 종, 예를 들어, 대두에 대한 알. 솔라니 (R. solani) (뿌리 및 줄기 썩음병), 쌀에 대한 알. 솔라니 (잎집무늬마름병) 또는 밀 또는 보리에 대한 알. 세레알리스 (R. cerealis) (리족토니아 봄마름병); 딸기, 당근, 양배추, 포도나무 및 토마토에 대한 리조푸스 스톨로니퍼 (Rhizopus stolonifer) (검은 곰팡이, 무름병); 보리, 호밀 및 라이밀에 대한 린코스포리움 세칼리스 (Rhynchosporium secalis) (스캘드); 쌀에 대한 사로클라디움 오리자에 (Sarocladium oryzae) 및 에스. 아테누아텀 (S. attenuatum) (잎집썩음병); 채소류 및 농작물, 예컨대 유채, 해바라기 (예를 들어, 에스. 스크레로티오럼 (S. sclerotiorum)) 및 대두 (예를 들어, 에스. 롤프시이 (S. rolfsii) 또는 에스. 스크레오티오럼 (S. sclerotiorum))에 대한 스크레로티니아 (Sclerotinia) 종 (줄기 썩음병 또는 흰곰팡이); 다양한 식물에 대한 셉토리아 (Septoria) 종, 예를 들어, 대두에 대한 에스. 글리시네스 (S. glycines) (갈색점무늬병), 밀에 대한 에스. 트리티시 (S. tritici) (셉토리아 반점병) 및 곡물에 대한 에스. (이명 스타고노스포라 (Stagonospora) 노도럼 (nodorum) (스타고노스포라 반점병); 포도나무에 대한 운시눌라 (Uncinula)(이명: 에리시페(Erysiphe)) 네카토르 (necator) (백분병, 불완전세대: 오이디움 툭케리 (Oidium tuckeri)); 옥수수 (예를 들어, 에스. 투르시컴 (S. turcicum), 이명: 헬민토스포리움 투르시컴 (Helminthosporium turcicum)) 및 잔디에 대한 세토스파에리아 (Setospaeria) 종 (잎마름병); 옥수수, (예를 들어, 에스. 레이리아나 (S. reiliana): 이삭 깜부기병), 수수 및 사탕수수에 대한 스파세로테카 (Sphacelotheca) 종 (깜부기병); 조롱박에 대한 스파에로테카 풀리기네아 (Sphaerotheca fuliginea) (백분병); 감자에 대한 스폰고스포라 서브테라네아 (Spongospora subterranea) (가루 붉은 곰팡이병) 및 이로 인해 전파된 바이러스 질환; 곡물에 대한 스타고노스포라 (Stagonospora) 종, 예를 들어, 밀에 대한 에스. 노도럼 (S. nodorum) (스타고노스포라 반점병, 완전세대형: 렙토스파에리아 (Leptosphaeria) [이명: 파에오스파에리아 (Phaeosphaeria)] 노도럼); 감자에 대한 신키트리움 엔도비오티컴 (Synchytrium endobioticum) (감자 사마귀병); 타프리나 (Taphrina) 종, 예를 들어, 복숭아에 대한 티. 데포르만스 (T. deformans) (잎말림병) 및 자두에 대한 티. 프루니 (T. pruni) (자두 주머니병); 담배, 인과류 과일, 채소류, 대두 및 면화에 대한 티엘라비옵시스 (Thielaviopsis) 종 (검은 뿌리 썩음병), 예를 들어, 티. 바시콜라 (T. basicola) (이명: 칼라라 엘레간스 (Chalara elegans)); 곡물에 대한 틸레티아 (Tilletia) 종 (깜부기병 또는 비린깜부기병), 예컨대 예를 들어, 밀에 대한 티. 트리티시 (T. tritici) (이명: 티. 카리에스 (T. caries), 밀 깜부기병) 및 티. 콘트로베르사 (T. controversa) (난쟁이 깜부기병); 보리 또는 밀에 대한 티풀라 인카르나타 (Typhula incarnata) (회색설부명); 우로시스티스 (Urocystis) 종, 예를 들어, 호밀에 대한 유. 오쿨타 (U. occulta) (줄기 깜부기병); 채소류, 예컨대 콩류 (예를 들어, 유. 아펜디큘라터스 (U. appendiculatus), 이명: 유. 파세올리 (U. phaseoli)) 및 사탕무 (예를 들어, 유. 베타에 (U. betae))에 대한 우로마이세스 (Uromyces) 종 (녹병); 곡물 (예를 들어, 유. 누다 (U. nuda) 및 유. 아바에나에 (U. avaenae)), 옥수수 (예를 들어, 유. 마이디스 (U. maydis): 옥수수 깜부기병) 및 사탕수수에 대한 유스틸라고 (Ustilago) 종 (겉깜부기병); 사과 (예를 들어, 브이. 이나에쿠알리스 (V. inaequalis)) 및 배에 대한 벤투리아 (Venturia) 종 (붉은 곰팡이병); 및 다양한 식물, 예컨대 과일 및 관상수, 포도나무, 장과류, 채소류 및 농작물에 대한 베르티실리움 (Verticillium) 종 (시들음), 예를 들어, 딸기, 유채, 감자 및 토마토에 대한 브이. 다흘리아에 (V. dahliae).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또한 저장된 생산물 또는 수확물의 보호 및 재료의 보호시에, 유해한 병원체, 특히 진균을 방제하는데 적합하다. 용어 "재료의 보호"는 유해한 미생물, 예컨대 진균 및 박테리아에 의한 침입 및 파괴에 대하여, 기술 및 무생물 재료, 예컨대 접착제, 풀, 목재, 종이 및 보드지, 옷감, 가죽, 페인트 분산물, 플라스틱, 냉각 윤활제, 섬유 또는 직물의 보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목재 및 다른 재료의 보호와 관련하여, 다음의 유해한 진균: 아스코마이세테스 (Ascomycetes) 예컨대 오피오스토마 (Ophiostoma) 종, 세라토시스티스 (Ceratocystis) 종,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스크레로포마 (Sclerophoma) 종, 카에토미움 (Chaetomium) 종, 휴미콜라 (Humicola) 종, 페트리엘라 (Petriella) 종, 트리추러스 (Trichurus) 종; 바시디오마이세테스 (Basidiomycetes) 예컨대 코니오포라 (Coniophora) 종, 코리오러스 (Coriolus) 종, 글로에오필럼 (Gloeophyllum) 종, 렌티너스 (Lentinus) 종, 플레우로터스 (Pleurotus) 종, 포리아 (Poria) 종, 세르풀라 (Serpula) 종 및 티로마이세스 (Tyromyces) 종, 듀테로마이세테스 (Deuteromycetes) 예컨대 아스퍼질러스 (Aspergillus) 종, 클라도스포리움 (Cladosporium) 종, 페니실리움 (Penicillium) 종, 트리코마 (Trichorma) 종, 알테르나리아 (Alternaria) 종, 파에실로마이세스 (Paecilomyces) 종 및 자이고마이세테스 (Zygomycetes) 예컨대 무코르 (Mucor) 종을 특히 주의하고, 또한 저장 생산물 및 수확물의 보호시에 다음의 효모 진균이 주목할만하다: 캔디다 (Candida) 종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방법은 또한 진균 및 미생물의 공격에 대하여 저장된 생산물 또는 수확물을 보호하는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용어 "저장된 생산물"은 자연 생활 주기로부터 채취되었고 장기간 보호가 바람직한,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천연 물질 및 그들의 가공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작물 기원, 예컨대 식물 또는 이의 일부분, 예를 들어 줄기, 잎, 덩이줄기, 종자, 과일 또는 곡물의 저장된 생산물은 신선하게 수확된 상태로 또는 가공된 형태, 예컨대 그 과정이 또한 수확후 처리로서 알려진, 사전 건조, 습윤, 세분, 분쇄, 가압 또는 로스팅된 형태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생산물의 정의에는 미가공 목재, 예컨대 건축 목재, 전기 철탑 및 장벽의 형태이거나, 또는 완제품, 예컨대 나무로 제작된 가구 또는 물체의 형태이건 무관하게, 목재가 포함된다. 동물 기원이 저장된 생산물은 대피, 가죽, 모피, 모발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은 불리한 효과 예컨대 부패, 변색, 또는 곰팡이를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저장된 생산물"은 식물 기원의 천연 물질 및 그들의 가공된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 과일 및 그들의 가공된 형태, 예컨대 인과류, 핵과류, 장과류 및 감귤류 과일 및 그들의 가공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및 조성물은 다양한 재배 식물, 예컨대 곡물, 예를 들어, 밀, 호밀, 보리, 라이밀, 귀리 또는 쌀; 비트, 예를 들어 사탕무 또는 사료용 비트; 과일, 예컨대 인과류, 핵과류 또는 장과류, 예를 들어 사과, 배, 자두, 복숭아, 아몬드, 체리, 딸기, 라즈베리, 블랙베리 또는 구스베리; 콩과 식물, 예컨대 렌틸, 완두콩, 알팔파 또는 대두; 기름 식물, 예컨대 유채, 겨자, 올리브, 해바라기, 코코넛, 코코아콩, 피마자유 식물, 기름 야자, 땅콩 또는 대두; 조롱박, 예컨대 호박, 오이 또는 멜론; 섬유 식물, 예컨대 면화, 아마, 대마 또는 황마; 감귤류 과일, 예컨대 오렌지, 레몬, 자몽 또는 귤; 채소류, 예컨대 시금치, 상추, 아스파라거스, 양배추, 당근, 양파, 토마토, 감자, 조롱박 또는 파프리카; 녹나무과 식물, 예컨대 아보카도, 계피 또는 장뇌; 에너지 및 원료 식물, 예컨대 옥수수, 대두, 유채, 사탕수수 또는 기름 야자; 옥수수; 담배; 견과류; 커피; 차; 바나나; 포도나무 (식용 포도 및 포도 주스 포도나무); 홉; 잔디; 천연 고무 식물 또는 관상용 및 삼림용 식물, 예컨대 화초, 관목, 활엽수 또는 상록수, 예를 들어 침엽수; 및 식물 번식 재료, 예컨대 종자, 및 이들 식물의 작물 물질에 대한 다수의 식물병원성 곤충 또는 다른 해충 (예를 들어, 나비목, 딱정벌레목, 파리목, 총채벌레목, 노린재목, 반시목, 동시아목, 흰개미, 메뚜기목, 거미류, 및 선충)을 방제하는데 특히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은 농작물, 예컨대 감자 사탕무, 담배, 밀, 호밀, 보리, 귀리, 쌀, 옥수수, 면화, 대두, 유채, 콩류, 해바라기, 커피 또는 사탕수수; 과일; 포도나무; 관상용; 또는 채소류, 예컨대 오이, 토마토, 콩 또는 호박에 대한 다수의 해충을 방제하는데 사용된다.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은 하기의 곤충목 유래의 유해 곤충을 방제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나비목 (Lepidopteran) (인시류 (Lepidoptera)), 예를 들어 아그로티스 입실론 (Agrotis ypsilon), 아그로티스 세게텀 (Agrotis segetum), 알라바마 아르길라세아 (Alabama argillacea), 안티카르시아 젬마탈리스 (Anticarsia gemmatalis), 아르기레스티아 콘주겔라 (Argyresthia conjugella), 아우토그라파 감마 (Autographa gamma), 부팔러스 피니아리우스 (Bupalus piniarius), 카코에시아 무리나나 (Cacoecia murinana), 카푸아 레티쿨라나 (Capua reticulana), 케이마토비아 브루마타 (Cheimatobia brumata), 코리스토네우라 푸미페라나 (Choristoneura fumiferana), 코리스토네우라 옥시덴탈리스 (Choristoneura occidentalis), 시르피스 우니푼크타 (Cirphis unipuncta), 시디아 포모넬라 (Cydia pomonella), 덴드롤리무스 피니 (Dendrolimus pini), 디아파니아 니티달리스 (Diaphania nitidalis), 디아트라에아 그란디오셀라 (Diatraea grandiosella), 에아리아스 인술라나 (Earias insulana), 엘라스모팔퍼스 리그노셀러스 (Elasmopalpus lignosellus), 유포에실리아 암비구엘라 (Eupoecilia ambiguella), 에베트리아 보울리아나 (Evetria bouliana), 펠티아 서브테라네아 (Feltia subterranea), 갈레리아 멜로넬라 (Galleria mellonella), 그라폴리타 푸네브라나 (Grapholitha funebrana), 그라폴리타 몰레스타 (Grapholitha molesta), 헬리오티스 아르미게라 (Heliothis armigera), 헬리오티스 비레센스 (Heliothis virescens), 헬리오티스 제아 (Heliothis zea), 헬룰라 운달리스 (Hellula undalis), 히베르니아 데폴리아리아 (Hibernia defoliaria), 히판트리아 쿠네아 (Hyphantria cunea), 히포노메우타 말리넬러스 (Hyponomeuta malinellus), 케이페리아 리코페르시셀라 (Keiferia lycopersicella), 람브디나 피셀라리아 (Lambdina fiscellaria), 라피그마 엑시구아 (Laphygma exigua), 류콥테라 코페엘라 (Leucoptera coffeella), 류콥테라 시텔라 (Leucoptera scitella), 리토콜레티스 블란카르델라 (Lithocolletis blancardella), 로베시아 보트라나 (Lobesia botrana), 록소스테게 스틱티칼리스 (Loxostege sticticalis), 리만트리아 디스파르 (Lymantria dispar), 리만트리아 모나차 (Lymantria monacha), 리오네티아 클레르켈라 (Lyonetia clerkella), 말라코소마 뉴스트리아 (Malacosoma neustria), 마메스트라 브라시카에 (Mamestra brassicae), 오르기이아 슈도추가타 (Orgyia pseudotsugata), 오스트리니아 누빌랄리스 (Ostrinia nubilalis), 파놀리스 플라메아 (Panolis flammea), 펙티노포라 고시피엘라 (Pectinophora gossypiella), 페리드로마 사우시아 (Peridroma saucia), 팔레라 부세팔라 (Phalera bucephala), 프토리마에아 오페르쿨렐라 (Phthorimaea operculella), 필록니스티스 시트렐라 (Phyllocnistis citrella), 피에리스 브라시카에 (Pieris brassicae), 플라티페나 스카브라 (Plathypena scabra), 플루텔라 실로스텔라 (Plutella xylostella), 슈도플러시아 인클루덴스 (Pseudoplusia includens), 리아시오니아 프루스트라나 (Rhyacionia frustrana), 스크로비팔풀라 압솔루타 (Scrobipalpula absoluta), 시토트로가 세레알렐라 (Sitotroga cerealella), 스파르가노티스 필레리아나 (Sparganothis pilleriana), 스포돕테라 프루기페르다 (Spodoptera frugiperda), 스포돕테라 리토랄리스 (Spodoptera littoralis), 스포돕테라 리투라 (Spodoptera litura), 타우마토포에아 피티오캄파 (Thaumatopoea pityocampa), 토르트릭스 비리다나 (Tortrix viridana), 트리코플러시아 니 (Trichoplusia ni) 및 제이라페라 카나덴시스 (Zeiraphera canadensis),
딱정벌레목 (beetles)(초시류 (Coleoptera)), 예를 들어, 아그릴러스 시누아터스 (Agrilus sinuatus), 아그리오테스 리네아터스 (Agriotes lineatus), 아그리오테스 옵스쿠러스 (Agriotes obscurus), 암피말러스 솔스티티알리스 (Amphimallus solstitialis), 아니산드러스 디스파르 (Anisandrus dispar), 안토노머스 그란디스 (Anthonomus grandis), 안토노머스 포모럼 (Anthonomus pomorum), 아토마리아 리네아리스 (Atomaria linearis), 블라스토파거스 피니페르다 (Blastophagus piniperda), 플리토파가 운다타 (Blitophaga undata), 프루추스 루피마너스 (Bruchus rufimanus), 브루추스 피소럼 (Bruchus pisorum), 프루추스 렌티스 (Bruchus lentis), 빅티스커스 베툴라에 (Byctiscus betulae), 카시다 네불로사 (Cassida nebulosa), 세로토마 트리푸르카타 (Cerotoma trifurcata), 세우토린추스 아시밀리스 (Ceuthorrhynchus assimilis), 세우토린추스 나피 (Ceuthorrhynchus napi), 카에톡네마 티비알리스 (Chaetocnema tibialis), 코노데루스 베스페르티너스 (Conoderus vespertinus), 크리오세리스 아스파라기 (Crioceris asparagi), 디아프로티카 롱기코르니스 (Diabrotica longicornis), 디아프로티카 스페시오사 (Diabrotica speciosa), 디아프로티카 12-푼크타타 (Diabrotica 12-punctata), 디아브로티카 비르기페라 (Diabrotica virgifera), 딜로보데러스 아브데러스 (Diloboderus abderus), 에필라츠나 바리베스티스 (Epilachna varivestis), 에피트릭스 히르티페니스 (Epitrix hirtipennis), 유티노보트러스 브라실리엔시스 (Eutinobothrus brasiliensis), 힐로비우스 아비에티스 (Hylobius abietis), 하이페라 브루네이페니스 (Hypera brunneipennis), 하이페라 포스티카 (Hypera postica), 입스 티포그라퍼스 (Ips typographus), 레마 빌리네아타 (Lema bilineata), 레마 멜라노푸스 (Lema melanopus), 렙티노타르사 데셈리네아타 (Leptinotarsa decemlineata), 리모니우스 칼리포르니커스 (Limonius californicus), 리소르홉트러스 오리조필러스 (Lissorhoptrus oryzophilus), 멜라노터스 코무니스 (Melanotus communis), 멜리게테스 아에네우스 (Meligethes aeneus), 멜롤론타 히포카스타니 (Melolontha hippocastani), 멜롤론타 멜롤론타 (Melolontha melolontha), 오울레마 오리자에 (Oulema oryzae), 오리티오르힌추스 술카터스 (Ortiorrhynchus sulcatus), 오리아조파거스 오리자에 (Oryazophagus oryzae), 오티오르힌추스 오바터스 (Otiorrhynchus ovatus), 파에돈 코클레아리아에 (Phaedon cochleariae), 필로트레타 크리소세팔라 (Phyllotreta chrysocephala), 필로파가 (Phyllophaga) 종, 필로파가 쿠야바나 (Phyllophaga cuyabana), 필로파가 트리티코파가 (Phyllophaga triticophaga), 필로페르타 홀르티콜라 (Phyllopertha horticola), 필로트레타 네모럼 (Phyllotreta nemorum), 필로트레타 스트리올라타 (Phyllotreta striolata), 포필리아 자포니카 (Popillia japonica), 시토나 리네아터스 (Sitona lineatus) 및 시토필러스 그라나리아 (Sitophilus granaria),
파리목 (dipteran) (쌍시류 (Diptera)), 예를 들어, 아데스 아에집티 (Aedes aegypti), 아에데스 벡산스 (Aedes vexans), 아나스트레파 루덴스 (Anastrepha ludens), 아노펠레스 마쿨리페니스 (Anopheles maculipennis), 세라티티스 카피타타 (Ceratitis capitata), 크리소미아 베지아나 (Chrysomya bezziana), 크리소미아 호미니보락스 (Chrysomya hominivorax), 크리소미아 마셀라리아 (Chrysomya macellaria), 콘타리니아 소르기콜라 (Contarinia sorghicola), 코르딜로비아 안트로포파가 (Cordylobia anthropophaga), 쿨렉스 피피엔스 (Culex pipiens), 다커스 쿠쿠르비타에 (Dacus cucurbitae), 다커스 올레아에 (Dacus oleae), 다시네우라 브라시카에 (Dasineura brassicae), 파니아 카니쿨라리스 (Fannia canicularis), 카스테로필러스 인테스티날리스 (Gasterophilus intestinalis), 그로시나 모르시탄스 (Glossina morsitans), 하에마토비아 이리탄스 (Haematobia irritans), 하플로딥로시스 에쿠에스트리스 (Haplodiplosis equestris), 힐레미이아 플라투라 (Hylemyia platura), 히포터마 리네아타 (Hypoderma lineata), 리리오미자 사티바에 (Liriomyza sativae), 리리오미자 트리폴리이 (Liriomyza trifolii), 루실리아 카프리나 (Lucilia caprina), 루실리아 쿠프리나 (Lucilia cuprina), 루실리아 세리카타 (Lucilia sericata), 리코리아 펙토랄리스 (Lycoria pectoralis), 마에티올라 데스트룩토르 (Mayetiola destructor), 무스카 도메스티카 (Musca domestica), 부시나 스타불란스 (Muscina stabulans), 오에스트러스 오비스 (Oestrus ovis), 오시넬라 프리트 (Oscinella frit), 페고미아 히소시아미 (Pegomya hysocyami), 포르비아 안티쿠아 (Phorbia antiqua), 포르비아 브라시카에 (Phorbia brassicae), 포르비아 코아르타타 (Phorbia coarctata), 라고레티스 세라시 (Rhagoletis cerasi), 라고레티스 포모넬라 (Rhagoletis pomonella), 타바너스 보비너스 (Tabanus bovinus), 티풀라 올레라세아 (Tipula oleracea) 및 티풀라 팔루도사 (Tipula paludosa),
총채벌레목 (thrips) (Thysanoptera), 예를 들어, 프랑클리니엘라 푸스카 (Frankliniella fusca), 프랑클리니엘라 옥시덴탈리스 (Frankliniella occidentalis), 프랑클리니엘라 트리티시 (Frankliniella tritici), 실토트립스 시트리 (Scirtothrips citri), 트립스 오리자에 (Thrips oryzae), 트립스 팔미 (Thrips palmi) 및 트립스 타바시 (Thrips tabaci),
벌목 (hymenopterans) (막시류 (Hymenoptera)), 예를 들어, 아크로밀멕스 암부구우스 (Acromyrmex ambuguus), 아크로밀멕스 크라시스피너스 (Acromyrmex crassispinus), 아크로밀멕스 헤이에리 (Acromyrmex heiery), 아크로밀멕스 란돌티 (Acromyrmex landolti), 아크로밀멕스 서브테라네우스 (Acromyrmex subterraneus), 아탈리아 로사에 (Athalia rosae), 아타 카피구아라 (Atta capiguara), 아타 세팔로테스 (Atta cephalotes), 아타 라에비가타 (Atta laevigata), 아타 로부스타 (Atta robusta), 아타 섹스덴스 (Atta sexdens), 아타 텍사나 (Atta texana), 홉로캄파 미누타 (Hoplocampa minuta), 홉로캅파 테스투디네아 (Hoplocampa testudinea), 모노모리움 파라오니스 (Monomorium pharaonis), 솔레놉시스 제미나타 (Solenopsis geminata) 및 솔레놉시스 인빅타 (Solenopsis invicta),
노린재목 (Heteropteran) (이시류 (Heteroptera)), 예를 들어, 아크로스텔럼 힐라레 (Acrosternum hilare), 블리서스 류콥테러스 (Blissus leucopterus), 실토펠티스 노타터스 (Cyrtopeltis notatus), 디켈롭스 푸르카터스 (Dichelops furcatus), 이스델커스 신굴라터스 (Dysdercus cingulatus), 디스데르커스 인테르메디우스 (Dysdercus intermedius), 유키스토스 헤로스 (Euchistos heros), 유리가스테르 인테그리셉스 (Eurygaster integriceps), 유시스터스 임픽티벤트리스 (Euschistus impictiventris), 렙토글로서스 필로퍼스 (Leptoglossus phyllopus), 리구스 리네올라리스 (Lygus lineolaris), 리구스 프라텐시스 (Lygus pratensis), 네자라 비리둘라 (Nezara viridula), 피에스마 콰드라타 (Piesma quadrata), 피에조도러스 구일디니 (Piezodorus guildini), 솔루베아 인술라리스 (Solubea insularis) 및 티안타 페르디토르 (Thyanta perditor),
반시목 (Hemiptera) 및 동시아목 (Homoptera), 예를 들어, 아크로스텔넘 힐라레 (Acrosternum hilare), 블리서스 류콥테러스 (Blissus leucopterus), 실토펠티스 노타터스 (Cyrtopeltis notatus), 디아포리나 시트리 (Diaphorina citri), 디스데르커스 신굴라터스 (Dysdercus cingulatus), 디스테르커스 인테르메디우스 (Dysdercus intermedius), 유리가스테르 인테그리셉스 (Eurygaster integriceps), 유스키스터스 임픽티벤트리스 (Euschistus impictiventris), 렙토글로서스 필로푸스 (Leptoglossus phyllopus), 리거스 리네올라리스 (Lygus lineolaris), 리거스 프라텐시스 (Lygus pratensis), 네자라 비리둘라 (Nezara viridula), 피에스마 쿠아드라타 (Piesma quadrata), 솔루베아 인술라리스 (Solubea insularis), 티안타 페르디토르 (Thyanta perditor), 아실토시폰 오노브리키스 (Acyrthosiphon onobrychis), 아델게스 라리시스 (Adelges laricis), 아피둘라 나스툴티이 (Aphidula nasturtii), 아피스 파바에 (Aphis fabae), 아피스 폴베시 (Aphis forbesi), 아피스 포미 (Aphis pomi), 아피스 고시피이 (Aphis gossypii), 아피스 그로술라리아에 (Aphis grossulariae), 아피스 스크네이데리 (Aphis schneideri), 아피스 스피라에콜라 (Aphis spiraecola), 아피스 삼부시 (Aphis sambuci), 아실토시폰 피섬 (Acyrthosiphon pisum), 아울라콜텀 솔라니 (Aulacorthum solani), 브라키카우더스 카르두이 (Brachycaudus cardui), 브라키카우더스 헬리크리시 (Brachycaudus helichrysi), 브라키카우더스 페르시카에 (Brachycaudus persicae), 브라키카우더스 프루니콜라 (Brachycaudus prunicola), 브레비코리네 브라시카에 (Brevicoryne brassicae), 카피토포러스 호르니 (Capitophorus horni), 세로시파 고시피이 (Cerosipha gossypii), 카에토시폰 프라가에폴리이 (Chaetosiphon fragaefolii), 크립토미주스 리비스 (Cryptomyzus ribis), 드레이푸시아 노드마니아나에 (Dreyfusia nordmannianae), 트레이푸시아 피세아에 (Dreyfusia piceae), 디사피스 라디콜라 (Dysaphis radicola), 디사울라콜텀 슈도솔라니 (Dysaulacorthum pseudosolani), 디사피스 플란타기네아 (Dysaphis plantaginea), 디사피스 피리 (Dysaphis pyri), 엠포아스카 파바에 (Empoasca fabae), 히알롭테러스 프루니 (Hyalopterus pruni), 히페로미주스 락투카에 (Hyperomyzus lactucae), 마크로시품 아베나에 (Macrosiphum avenae), 마크로시펌 유포르비아에 (Macrosiphum euphorbiae), 마크로시폰 로사에 (Macrosiphon rosae), 메고우라 비시아에 (Megoura viciae), 말라나피스 피라리우스 (Melanaphis pyrarius), 메토폴로피우 디로덤 (Metopolophium dirhodum), 미조데스 페르시카에 (Myzodes persicae), 미조스 아스칼로니커스 (Myzus ascalonicus), 미조스 세라시 (Myzus cerasi), 미조스 바리안스 (Myzus varians), 나소노비아 리비스-니그리 (Nasonovia ribis-nigri), 닐라팔바타 루겐스 (Nilaparvata lugens), 펨피거스 버사리우스 (Pemphigus bursarius), 벨킨시엘라 사카리시다 (Perkinsiella saccharicida), 포로돈 후물리 (Phorodon humuli), 프실라 말리 (Psylla mali), 프실라 피리 (Psylla piri), 로팔로미주스 아스칼로니커스 (Rhopalomyzus ascalonicus), 로팔로시펌 마이디스 (Rhopalosiphum maidis), 로팔로시품 파디 (Rhopalosiphum padi), 로팔로시품 인세르텀 (Rhopalosiphum insertum), 사파피스 말라 (Sappaphis mala), 사파피스 말리 (Sappaphis mali), 스키자피스 그라미넘 (Schizaphis graminum), 스키조네우라 라누기노사 (Schizoneura lanuginosa), 시토비온 아베나에 (Sitobion avenae), 트리알레우로데스 바포라리오럼 (Trialeurodes vaporariorum), 톡솝테라 아우란티이안드 (Toxoptera aurantiiand), 비테우스 비티폴리이 (Viteus vitifolii), 시멕스 렉툴라리우스 (Cimex lectularius), 시멕스 헤밉테루스 (Cimex hemipterus), 레두비우스 세닐리스 (Reduvius senilis), 트리아토마 (Triatoma) 종, 및 아릴러스 크리타터스 (Arilus critatus),
흰개미 (흰개미목 (Isoptera)), 예를 들어, 칼로테르메스 플라비콜리스 (Calotermes flavicollis), 코르니테르메스 쿠물란스 (Cornitermes cumulans), 헤테로테르메스 테누이스 (Heterotermes tenuis), 류코테르메스 플라비페스 (Leucotermes flavipes), 네오카프리테메스 오파쿠스 (Neocapritemes opacus), 프로코르니테르메스 트리아시페르 (Procornitermes triacifer); 레티쿨리테르메스 루시푸거스 (Reticulitermes lucifugus), 신테르메스 몰레스터스 (Syntermes molestus), 및 테르메스 나탈렌시스 (Termes natalensis),
메뚜기목 (Orthopteran) (직시류 (Orthoptera)), 예를 들어, 아케타 도메스티카 (Acheta domestica), 블라타 오리엔탈리스 (Blatta orientalis), 블라텔라 게르마니카 (Blattella germanica), 포르피쿨라 아우리쿨라리아 (Forficula auricularia), 그릴로탈파 그릴로탈파 (Gryllotalpa gryllotalpa), 로커스타 미그라토리아 (Locusta migratoria), 멜라노플러스 비티타터스 (Melanoplus bivittatus), 멜라노플러스 페무루브럼 (Melanoplus femurrubrum), 멜라노플러스 멕시카너스 (Melanoplus mexicanus), 멜라노플러스 산귀니페스 (Melanoplus sanguinipes), 멜라노플러스 스프레터스 (Melanoplus spretus), 노마다크리스 셉템파시아타 (Nomadacris septemfasciata), 페리플라네타 아메리카나 (Periplaneta americana), 스키스토셀카 아메리카나 (Schistocerca americana), 스키스토셀카 페레그리나 (Schistocerca peregrina), 스타우로노터스 마로카너스 (Stauronotus maroccanus) 및 타키시네스 아시나모러스 (Tachycines asynamorus),
거미목 (Arachnoidea), 예컨대 거미류 (arachinid), 예를 들어 공주진드기과 (Argasidae), 참진드기과 (Ixodidae) 및 옴진드기과 (Sarcoptidae)의 것, 예컨대 암플리옴마 아메리카넘 (Amblyomma americanum), 암블리옴마 바리에가텀 (Amblyomma variegatum), 아르가스 페르시커스 (Argas persicus), 부필러스 안눌라터스 (Boophilus annulatus), 부필러스 데콜로라터스 (Boophilus decoloratus), 부필러스 미크로플러스 (Boophilus microplus), 데르마센토르 실바럼 (Dermacentor silvarum), 히알롬마 트룬카텀 (Hyalomma truncatum), 익소데스 리시너스 (Ixodes ricinus), 익소데스 루비쿤더스 (Ixodes rubicundus), 오르니토도러스 모우바타 (Ornithodorus moubata), 오토비우스 메그니니 (Otobius megnini), 데르마니서스 갈리나에 (Dermanyssus gallinae), 프소롭테스 오비스 (Psoroptes ovis), 리피세팔러스 아펜디쿨라터스 (Rhipicephalus appendiculatus), 리피세팔러스 에베르트시 (Rhipicephalus evertsi), 사르콥테스 스카비에이 (Sarcoptes scabiei), 및 혹응애과 (Eriophyidae) 종 예컨대 아쿨러스 스크레크텐달리 (Aculus schlechtendali), 필로콥트라타 올레이보라 (Phyllocoptrata oleivora) 미 에리오피에스 셀도니 (Eriophyes sheldoni); 먼지응애과 (Tarsonemidae) 종 예컨대 피토네무스 팔리더스 (Phytonemus pallidus) 및 폴리파고타르소네무스 라투스 (Polyphagotarsonemus latus); 애응애과 (Tenuipalpidae) 종 예컨대 브레비팔퍼스 포에니시스 (Brevipalpus phoenicis); 응애과 (Tetranychidae) 종 예컨대 테트라니추스 신나바리너스 (Tetranychus cinnabarinus), 테트라니추스 칸자와이 (Tetranychus kanzawai), 테트라니추스 파시피커스 (Tetranychus pacificus), 테트라니추스 텔라리우스 (Tetranychus telarius) 및 테트라니추스 울티카에 (Tetranychus urticae), 파노니추스 울미 (Panonychus ulmi), 파노니추스 시트리 (Panonychus citri), 및 올리고니추스 프라텐시스 (Oligonychus pratensis).
특히, 본 발명의 혼합물은 딱정벌레목 (Coleoptera), 나비목 (Lepidoptera), 총채벌레목 (Thysanoptera), 동시아목 (Homoptera), 흰개미목 (Isoptera), 및 메뚜기목 (Orthoptera)의 해충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그들은 또한 다음의 식물 기생 선충을 방제하는데 적합하다: 예컨대 뿌리혹 선충 (root-knot nematode), 멜로이도기네 아레나리아 (Meloidogyne arenaria), 멜로이도기네 키트우디 (Meloidogyne chitwoodi), 멜로이도기네 엑시구아 (Meloidogyne exigua), 멜로이도기네 하플라 (Meloidogyne hapla), 멜로이도기네 인코그니타 (Meloidogyne incognita), 멜로이도기네 자바니카 (Meloidogyne javanica) 및 다른 멜로이도기네 (Meloidogyne) 종; 씨스트 선충 (cyst nematode), 글로보데라 로스토키엔시스 (Globodera rostochiensis), 글로보데라 팔리다 (Globodera pallida), 글로보데라 타바컴 (Globodera tabacum) 및 다른 글로보데라 (Globodera) 종, 헤테로데라 아베나에 (Heterodera avenae), 헤테로데라 글리시네스 (Heterodera glycines), 헤테로데라 스카치티이 (Heterodera schachtii), 헤테로데라 트리폴리이 (Heterodera trifolii), 및 다른 헤테로데라 (Heterodera) 종; 밀알 선충 (seed gall nematode), 안구이나 푸네스타 (Anguina funesta), 안구이나 트리티시 (Anguina tritici) 및 다른 안구이나 (Anguina) 종; 줄기 및 엽면 선충 (stem and foliar nematodes), 아펠렌코이데스 베세이이 (Aphelenchoides besseyi), 아펠렌코이데스 프라가리아에 (Aphelenchoides fragariae), 아펠렌코이데스 리츠제마보시 (Aphelenchoides ritzemabosi) 및 다른 아펠렌코이데스 (Aphelenchoides) 종; 침선충 (sting nematode), 벨로노라이무스 롱기카우다터스 (Belonolaimus longicaudatus) 및 다른 벨로노라이무스 (Belonolaimus) 종; 소나무재선충 (pine nematode), 버사펠렌추스 자일로필러스 (Bursaphelenchus xylophilus) 및 다른 버사펠렌추스 (Bursaphelenchus) 종; 고리 선충 (ring nematode), 크리코네마 (Criconema) 종, 크리코네멜라 (Criconemella) 종, 크리코네모이데스 (Criconemoides) 종, 및 메소크리코네마 (Mesocriconema) 종; 줄기 구근 선충 (stem and bulb nematode), 디틸렌추스 데스트럭토르 (Ditylenchus destructor), 디틸렌추스 딥사시 (Ditylenchus dipsaci), 디틸렌추스 마이셀리오파거스 (Ditylenchus myceliophagus) 및 다른 디틸렌추스 (Ditylenchus) 종; 송곳 선충 (awl nematode), 돌리코도러스 (Dolichodorus) 종; 나선 선충 (spiral nematode), 헬리코틸렌추스 디히스테라 (Helicotylenchus dihystera), 헬리코틸렌추스 멀티신크투스 (Helicotylenchus multicinctus) 및 다른 헬리코틸렌추스 (Helicotylenchus) 종, 로틸렌추스 로부스터스 (Rotylenchus robustus) 및 다른 로틸렌추스 (Rotylenchus) 종; 껍질 선충 (sheath nematode), 세미시클리오포라 (Hemicycliophora) 종 및 헤미크리코네모이데스 (Hemicriconemoides) 종; 히르슈만니엘라 (Hirshmanniella) 종; 작살나선 선충 (lance nematode), 호프롤라이무스 콜럼버스 (Hoplolaimus columbus), 호프롤라이무스 갈레아투스 (Hoplolaimus galeatus) 및 다른 호프롤라이무스 (Hoplolaimus) 종; 가뿌리혹 선충 (false root-knot nematode), 나코부스 아베란스 (Nacobbus aberrans) 및 다른 나코부스 (Nacobbus) 종; 바늘 선충 (needle nematode), 롱기도러스 엘롱가테스 (Longidorus elongates) 및 다른 롱기도러스 (Longidorus) 종; 핀 선충 (pin nematodes), 파라틸렌추스 (Paratylenchus) 종; 썩이 선충 (lesion nematodes), 프라틸렌추스 브라치우러스 (Pratylenchus brachyurus), 프라틸렌추스 코페아에 (Pratylenchus coffeae), 프라틸렌추스 커르비타터스 (Pratylenchus curvitatus), 프라틸렌추스 구데이이 (Pratylenchus goodeyi), 프라틸렌추스 네글렉투스 (Pratylencus neglectus), 프라틸렌추스 페네트란스 (Pratylenchus penetrans), 프라틸렌추스 스크리브네리 (Pratylenchus scribneri), 프라틸렌추스 벌너스 (Pratylenchus vulnus), 프라틸렌추스 제아에 (Pratylenchus zeae) 및 다른 프라틸렌추스 (Pratylenchus) 종; 라디나펠렌추스 코코필러스 (Radinaphelenchus cocophilus) 및 다른 라디나펠렌추스 (Radinaphelenchus) 종; 천공 선충 (burrowing nematode), 라도폴러스 시밀리스 (Radopholus similis) 및 다른 라도폴러스 (Radopholus) 종; 콩팥형 선충 (reniform nematode), 로틸렌추러스 레니포르미스 (Rotylenchulus reniformis) 및 다른 로틸렌추러스 (Rotylenchulus) 종; 스쿠텔로네마 (Scutellonema) 종; 곤봉근 선충 (stubby root nematode), 트리코도러스 프리미티버스 (Trichodorus primitivus) 및 다른 트리코도러스 (Trichodorus) 종; 파라트리코도러스 미노르 (Paratrichodorus minor) 및 다른 파라트리코도러스 (Paratrichodorus) 종; 위축 선충 (stunt nematode), 틸렌코르힌추스 클라이토니 (Tylenchorhynchus claytoni), 틸렌코르힌추스 두비우스 (Tylenchorhynchus dubius) 및 다른 틸렌코르힌추스 (Tylenchorhynchus) 종 및 멜리니우스 (Merlinius) 종; 감귤 선충 (citrus nematode), 틸렌추러스 세미페네트란스 (Tylenchulus semipenetrans) 및 다른 틸렌추러스 (Tylenchulus) 종; 검선충 (dagger nematode), 시피네마 아메리카넘 (Xiphinema americanum), 시피네마 인덱스 (Xiphinema index), 시피네마 디베르시카우다텀 (Xiphinema diversicaudatum) 및 다른 시피네마 (Xiphinema) 종; 및 다른 식물 기생 선충 종.
균등하게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동물 해충 (곤충, 진드기 또는 선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동물 해충 (곤충, 진드기 또는 선충), 그들 서식지, 번식지, 그들 활동지(locus) 또는 동물 해충 (곤충, 진드기 또는 선충) 공격에 대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및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혼합물의 유효량으로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살충적 유효량"은 표적 유기체의 존재 및 활성을 괴사, 사멸, 지연, 예방, 및 제거, 파괴, 또는 아니면 축소시키는 효과를 포함하여, 성장에 대해 관찰가능한 효과를 성취하는데 요구되는 본 발명의 혼합물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살충적 유효량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혼합물/조성물에 대해 가변적일 수 있다. 혼합물/조성물의 살충적 유효량은 또한 지배적인 조건 예컨대 바람직한 살충 효과 및 지속기간, 날씨, 표적종, 활동지, 적용 방식 등에 따라서 가변적일 것이다.
식물 번식 재료는 재식 또는 이식 시에 또는 그 이전에 예방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로 처리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해충으로부터 식물 번식 재료의 보호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식물 번식 재료는 본 발명의 혼합물의 유효량으로 처리된다.
동일하게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유해 진균으로부터 식물 번식 재료의 보호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식물 번식 재료는 본 발명의 혼합물의 유효량으로 처리된다.
동일하게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식물의 건강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식물은 본 발명의 혼합물의 유효량으로 처리된다.
용어 "식물 건강 유효량"은 하기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식물 건강 효과를 성취하는데 충분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사용하려는 양, 적용 방식 및 적합한 비율에 관한 보다 예시적인 정보를 하기에 제공한다. 여튼, 당업자는 이러한 양이 광범위한 범위로 가변적일 수 있고, 다양한 인자, 예를 들어 처리되는 재배 식물 또는 재료 및 기후 조건에 따라 좌우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보다 건강한 식물은 그들이 다른 것들 중에서도 더 나은 수확량 및/또는 식물 또는 작물의 더 나은 품질, 특히 수확된 식물 부분의 더 나은 품질을 야기하므로 바람직하다. 보다 건강한 식물은 또한 생물성 및/또는 무생물성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보다 우수하다. 생물성 스트레스에 대한 높은 내성은 이후에 당업자로에 의해 적용되는 살충제의 분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결과적으로 개별 살충제에 대한 내성의 발생을 완화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요약된 문제들을 해결하고, 특히, 식물의 건강, 특히 식물의 수확량을 개선시켜야 하는 살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어 "식물의 건강" 또는 "식물 건강"은 증가된 수확량, 초세, 수확된 식물 부분의 품질 및 무생물성 및/또는 생물성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과 같은 몇몇 양상들을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 결정되는 식물 및/또는 이의 생산물의 상태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혼합물의 상기 언급된 효과, 즉 향상된 식물의 건강은 또한 식물이 생물성 스트레스 하에 있지 않을 때 및 특히 식물이 해충 압박하에 있지 않을 때 존재한다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접종제 및/또는 엽면 적용 형태로서 종자 처리의 경우, 진균 또는 살충 공격을 겪은 식물은 병원성 진균 또는 임의의 다른 관련 해충에 대한 치료적 또는 예방적 처리가 수행되었고 생물성 스트레스 인자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없이 성장할 수 있는 식물과 비교하여, 보다 적은 생물량을 생산하고 감소된 수확량이 초래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임의의 생물성 스트레스의 부재 하에서도 향상된 식물 건강을 유도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혼합물의 긍정적인 효과가 단지 성분 1)의 박테리아 균주 및 살충제 II의 살충 활성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없고, 추가의 활성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적용은 또한 해충 압박 부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확량, 초세, 품질 및 무생물성 및/또는 생물성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기 열거된 각각의 식물 건강 지표는 각각 그 자체로서 또는 바람직하게 서로 조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식물의 "증가된 수확량"은 개별 식물의 생산물의 수확량이 동일한 조건이지만, 본 발명의 혼합물의 적용없이 생산된 식물의 동일 생산물의 수확량보다 측정가능한 양만큼 증가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접종제 및/또는 엽면 적용 형태로서, 종자 처리의 경우, 증가된 수확량은 특히 하기의 개선된 식물의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증가된 식물 중량; 및/또는 증가된 식물 길이; 및/또는 증가된 생물량 예컨대 더 높은 전체 생중량 (FW); 및/또는 식물 당 증가된 꽃의 수; 및/또는 더 높은 곡물 및/또는 과일 수확량; 및/또는 더 많은 분얼지 또는 곁가지 (분지); 및/또는 더 큰 잎; 및/또는 증가된 어린싹의 성장; 및/또는 증가된 단백질 함량; 및/또는 증가된 오일 함량; 및/또는 증가된 전분 함량; 및/또는 증가된 안료 함량; 및/또는 증가된 클로로필 함량 (클로로필 함량은 식물의 광합성률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따라서, 클로로필 함량이 높을수록 식물 수확량이 더 높음) 및/또는 증가된 식물 품질.
"곡물" 및 "과일"은 수확이후에 더욱 활용되는 임의의 식물 생산물, 예를 들어 적절한 의미로 과일, 채소류, 견과류, 곡물, 종자, 목질 (예를 들어, 육림 식물의 경우), 꽃 (예를 들어, 정원 식물, 관상수의 경우) 등, 식물에 의해 생산되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것으로서 이해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확량은 적어도 4% 만큼 증가된다. 대체로, 수확량 증가는 훨씬 더 높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 10 내지 20%, 또는 심지어 20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확량은, 해충 압박 부재 하에서 측정하면, 적어도 2% 만큼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수확량은 보다 더 높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4% 내지 5%까지 또는 심지어 그 이상일 수 있다.
식물의 상태에 대한 다른 지표는 초세이다. 초세는 몇몇 양상 예컨대 일반적인 외양으로 분명해진다.
엽면 적용의 경우, 개선된 초세는 특히, 다음의 개선된 식물의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식물의 개선된 활력; 및/또는 개선된 식물 성장; 및/또는 개선된 식물 발생; 및/또는 개선된 외양; 및/또는 개선된 식물 기립성 (적은 식물 쓰러짐/도복 및/또는 보다 큰 잎새; 및/또는 보다 큰 크기; 및/또는 증가된 식물 크기; 및/또는 증가된 분얼지 개수; 및/또는 증가된 곁가지 수; 및/또는 식물 당 증가된 꽃의 수; 및/또는 증가된 어린싹 성장; 및/또는 향상된 광합성 활성 (예를 들어, 증가된 기공 전도성 및/또는 증가된 CO2 동화율 기반)); 및/또는 조기 개화; 및/또는 조기 열매맺음; 및/또는 조기 곡물 성숙도; 및/또는 적은 비생산적 분얼지; 및/또는 적은 고사 기저잎; 및/또는 적게 요구되는 투입량 (예컨대 비료 또는 물); 및/또는 보다 녹색의 잎; 및/또는 단축된 영양기 하의 완전한 성숙; 및/또는 보다 용이한 수확; 및/또는 보다 신속하고 보다 균일한 숙성; 및/또는 보다 긴 저장 기간; 및/또는 보다 긴 원추꽃차례; 및/또는 노화 지연; 및/또는 보다 강력하고/하거나 보다 생산적인 분얼지; 및/또는 보다 나은 성분 추출률; 및/또는 개선된 종자 품질 (종자 생산을 위해 다음 절기에 파종을 위함); 및/또는 감소된 에틸렌 생산 및/또는 식물에 의한 이의 수용 억제.
식물의 상태에 대한 다른 지표는 식물 및/또는 이의 생산물의 "품질"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향상된 품질은 일정 식물 특징 예컨대 일정 성분의 함량 또는 조성이 본 발명의 혼합물의 적용이 없는, 동일 조건 하에서 생산된 식물의 동일한 인자에 비해 측정가능하거나 또는 인식가능한 양만큼 증가되거나 또는 개선된 것을 의미한다. 향상된 픔질은 특히 식물 또는 이의 생산물의 다음의 개선된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증가된 영양소 함량; 및/또는 증가된 단백질 함량; 및/또는 증가된 오일 함량; 및/또는 증가된 전분 함량; 및/또는 증가된 지방산의 함량; 및/또는 증가된 대사산물 함량; 및/또는 증가된 카로테노이드 함량; 및/또는 증가된 당류 함량; 및/또는 증가된 필수 아미노산의 양; 및/또는 개선된 영양소 조성; 및/또는 개선된 단백질 조성; 및/또는 개선된 지방산의 조성; 및/또는 개선된 대사산물 조성; 및/또는 개선된 카로테노이드 조성; 및/또는 개선된 당류 조성; 및/또는 개선된 아미노산 조성; 및/또는 개선 또는 최적의 과일 색상; 및/또는 개선된 잎 색상; 및/또는 더 높은 저장능; 및/또는 더 나은 수확 생산물의 가공능.
식물의 상태에 대한 다른 지표는 생물성 및/또는 무생물성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식물의 저항력 또는 내성이다. 특히 장기간 동안, 생물성 및 무생물성 스트레스는 식물에 유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생물성 스트레스는 생존 유기체에 의해 야기되는 반면 무생물성 스트레스는 예를 들어 환경적 극한성에 의해 야기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생물성 및/또는 무생물성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향상된 저항력 또는 내성"은 (1.) 생물성 및/또는 무생물성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일부 부정적 인자가 본 발명의 혼합물 처리가 없는, 동일 조건에 노출된 식물과 비교하여 측정가능하거나 또는 인식가능한 양으로 감소되고, (2.) 부정적 효과가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본 발명의 혼합물의 직접 작용에 의해, 예를 들어 미생물 또는 해충을 직접적으로 파괴하는 이의 살진균 또는 살충 작용에 의해서 감소되는 것이라기 보다는, 상기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식물 자체의 방어적 반응의 자극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생물성 스트레스 예컨대 병원체 및 해충에 의해 야기되는 부정적 인자는 널리 알려져 있고 생존 유기체, 예컨대 경쟁 식물 (예를 들어, 잡초), 미생물 (예컨대, 식물병원성 진균 및/또는 박테리아) 및/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다.
무생물성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부정적 인자는 역시 잘 알려져 있으며 종종 감소된 초세 (상기 참조), 예를 들어, 적은 수확율 및/또는 적은 활력으로서 관찰될 수 있으며, 양쪽 효과의 예들은 특히 타버린 잎, 적은 꽃, 이른 숙성, 늦은 작물 성숙도, 감소된 영양가일 수 있다.
무생물성 스트레스는 예를 들어 극한 온도 예컨대 고온 또는 저온 (고온 스트레스/저온 스트레스); 및/또는 강한 온도 변동; 및/또는 특정 계절의 이상 온도; 및/또는 가뭄 (가뭄 스트레스); 및/또는 과습도; 및/또는 고염도 (염 스트레스); 및/또는 방사선 (예를 들어 오존층 감소로 인해 증가된 UV 조사에 의함); 및/또는 증가된 오존 수준 (오존 스트레스); 및/또는 유기성 오염 (살충제의 식물독성량에 의함); 및/또는 무기성 오염 (예를 들어, 중금속 오염에 의함)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생물성 및/또는 무생물성 스트레스 인자의 결과로서, 스트레스 받은 식물의 수량 및 품질이 감소된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품질과 관련하여, 생식적 발육은 과일 또는 종자에 중요한 작물에 대한 결과에 의해 일반적으로 심각하게 영향받는다. 단백질의 합성, 축적 및 저장은 대개는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성장은 거의 모든 유형의 스트레스에 의해 느려지며, 다당류 합성은 구조적 및 저장용 둘 모두가 감소되거나 또는 변형되고, 이들 효과의 결과로서 생물량 (수확량)이 감소되며 생산물의 영양가의 변화가 초래된다.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식물의 건강 상태에 대해 상기 확인된 지표들은 상호의존적일 수 있고, 서로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물성 및/또는 무생물성 스트레스에 대해 증가된 내성은 더 나은 초세, 예를 들어 더 양호하고 더 큰 작물을 유도할 수 있고, 따라서 수확량이 증가될 수 있다. 반대로, 보다 발달된 뿌리계는 생물성 및/또는 무생물성 스트레스에 대해 증가된 내성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상호의존성 및 상호작용은 모두 알려져 있거나 또는 완전하게 이해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이한 지표가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식물 또는 이의 생산물의 증가된 수확량을 유발시킨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식물 또는 이의 생산물의 증가된 활력을 유발시킨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식물 또는 이의 생산물의 증가된 품질을 유발시킨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생물성 스트레스에 대하여 식물 또는 이의 생산물의 증가된 저항력 및/또는 내성을 유발시킨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무생물성 스트레스에 대하여 식물 또는 이의 생산물의 증가된 저항력 및/또는 내성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보조제 및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하는 농화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화학 조성물은 살진균적 또는 살충적 유효량의,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포함한다. 용어 "유효량"은 식물 건강을 촉진하거나, 재배 식물 상의 유해 진균 또는 유해 해충을 방제하거나 또는 재료의 보호에 충분하고, 처리된 식물 또는 재료에 실질적인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 또는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의 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은 광범위하게 다양할 수 있고, 다양한 인자들, 예컨대 방제하려는 진균 또는 해충 종, 처리되는 재배 식물 또는 재료, 기후 조건에 의존적이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는 농화학 조성물의 통상적인 유형, 예를 들어, 용액, 에멀션, 현탁액, 분제, 분말, 페이스트, 과립, 프레싱, 캡슐, 및 이의 조합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조성물 유형의 예는 식물 번식 재료 예컨대 종자의 처리를 위한 겔 제제 (예를 들어, GF)뿐만 아니라, 현탁액 (예를 들어, SC, OD, FS), 유화성 농축물 (예를 들어, EC), 에멀션 (예를 들어, EW, EO, ES, ME), 캡슐 (예를 들어, CS, ZC), 페이스트, 사탕형 알약, 습윤성 분말 또는 분제 (예를 들어, WP, SP, WS, DP, DS), 프레싱 (예를 들어, BR, TB, DT), 과립 (예를 들어, WG, SG, GR, FG, GG, MG), 살충 물품 (예를 들어, LN)이 있다. 이들 및 추가 조성물 유형은 문헌 ["Catalogue of pesticide formulation types and international coding system", Technical Monograph No. 2, 6th Ed. May 2008, CropLife International]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식물을 위한 접종제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용어 "접종제"는 본 발명의 단리된 균주 및 임의로, 생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을 포함할 수 있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접종제 및 다른 적합한 조성물은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서 활성 성분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보조제 (불활성 성분)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H.D. Burges: Formulation of Microbial Biopesticides, Springer, 1998] 참조).
건식 제제를 생성하기 위해서, 박테리아 세포, 바람직하게 포자는 적합한 건식 담체 (예를 들어, 점토)에 현탁될 수 있다. 액상 제제를 생성하기 위해서, 세포, 바람직하게 포자는 바람직한 포자 밀도까지 적합한 액상 담체 (예를 들어, 물 기반)에 재현탁될 수 있다. mL 당 포자의 포자 밀도수는 약 20 내지 약 30℃의 온도에서 수 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한천 배지, 예를 들어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 상의 콜로니-형성 유닛 (CFU) 개수를 동정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개별 성분 예컨대 키트의 일부분, 또는 2성분 또는 3성분 혼합물의 일부분은, 분무 탱크에서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적용에 사용되는 용기 (예를 들어, 종자 처리기 드럼, 종자 펠렛화 기계, 배낭식 분무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혼합될 수 있으며, 추가의 보조제가 적절하다면 첨가될 수 있다. 생존 미생물, 예컨대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가 이러한 키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 키트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화학 살충제) 및 추가 보조제의 양 및 선택은 사용자가 횬합하는 조성물 중 미생물 살충제의 생존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주의해야만 한다. 특히 살균제 및 용매의 경우, 개별 미생물 살충제와의 상용성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및/또는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은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와 함께, 농화학 조성물의 통상적인 유형, 예를 들어 용액, 에멀션, 현탁액, 분제, 분말, 페이스트, 과립, 프레싱, 캡슐, 및 이의 혼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조성물 유형의 예는 식물 번식 재료 예컨대 종자의 처리를 위한 겔 제제 (예를 들어, GF)뿐만 아니라, 현탁액 (예를 들어, SC, OD, FS), 유화성 농축물 (예를 들어, EC), 에멀션 (예를 들어, EW, EO, ES, ME), 캡슐 (예를 들어, CS, ZC), 페이스트, 사탕형 알약, 습윤성 분말 또는 분제 (예를 들어, WP, SP, WS, DP, DS), 프레싱 (예를 들어, BR, TB, DT), 과립 (예를 들어, WG, SG, GR, FG, GG, MG), 살충 물품 (예를 들어, LN)이 있다. 이들 및 추가의 조성물 유형은 문헌 ["Catalogue of pesticide formulation types and international coding system", Technical Monograph No. 2, 6th Ed. May 2008, CropLife International]에 정의되어 있다.
조성물은 예컨대 문헌 [Mollet and Grubemann, Formulation technology, Wiley VCH, Weinheim, 2001]; 또는 [Knowles, New developments in crop protection product formulation, Agrow Reports DS243, T&F Informa, London, 2005]에 기술된, 기지의 방식으로 제조된다.
적합한 보조제는 용매, 액상 담체, 고형 담체 또는 충전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유화제, 습윤제, 어쥬번트, 가용화제, 침투 강화제, 보호성 콜로이드, 접착제, 증점제, 보습제, 기피제, 유인제, 섭식자극제 (feeding stimulant), 상용화제, 살균제, 동결방지제, 소포제, 착색제, 점착제 및 결합제가 있다.
적합한 용매 및 액상 담체는 물 및 유기 용매, 예컨대 중간 비등점 내지 고비등점의 미네랄유 분획, 예를 들어 케로센, 디젤유; 식물성 또는 동물 기원의 오일; 지방족, 환형 및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톨루엔, 파라판,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알킬화된 나프탈렌; 알콜,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벤질알콜, 시클로헥산올; 글리콜; DMSO; 케톤, 예를 들어, 시클로헥산온; 에스테르, 예를 들어, 락테이트, 카보네이트, 지방산 에스테르, 감마-부티로락톤; 지방산; 포스포네이트; 아민; 아미드, 예를 들어, N-메틸피롤리돈, 지방산 디메틸아미드; 및 이의 혼합물이 있다.
적합한 고형 담체 또는 충전제는 미네랄토류, 예를 들어, 실리케이트, 실리카겔, 탈크, 카올린, 석회석, 석회, 백악, 점토, 돌로마이트, 규조토, 벤토나이트, 칼슘 술페이트, 마그네슘 술페이트, 마그네슘 옥시드; 다당류, 예를 들어, 셀룰로스, 전분; 비료, 예를 들어, 암모늄 술페이트,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나이트레이트, 우레아; 식물성 기원의 생산물, 예를 들어, 곡물 가루, 나무껍질 가루, 나무 가루, 견과껍질 가루, 및 이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표면-활성 화합물, 예컨대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블록 중합체, 다가전해질, 및 이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유화제, 분산제, 가용화제, 습윤제, 침투 강화제, 보호성 콜로이트, 또는 어쥬번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는 문헌 [McCutcheon's, Vol.1: Emulsifiers & Detergents, McCutcheon's Directories, Glen Rock, USA, 2008 (International Ed. 또는 North American Ed.)]에 열거되어 있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술포네이트,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카복실레이트의 알칼리, 알칼리토 또는 암모늄 염, 및 이의 혼합물이다. 술포네이트의 예는 알킬아릴술포네이트, 디페닐술포네이트, 알파-올레핀 술포네이트, 리그닌 술포네이트, 지방산 및 오일의 술포네이트, 에톡실레이트화 알킬페놀의 술포네이트, 알콕실레이트화 아릴페놀의 술포네이트, 축합 나프탈렌의 술포네이트, 도데실벤젠 및 트리데실벤진의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및 알킬나프탈렌의 술포네이트, 술포숙시네이트 또는 술포숙시나메이트이다. 술페이트의 예는 지방산 및 오일, 에톡실레이트화 알킬페놀, 알콜, 에톡실레이트화 알콜,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술페이트이다. 포스페이트의 예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가 있다. 카복실레이트의 예는 알킬 카복실레이트, 및 카복실레이트화 알콜 또는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가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콕실레이트, N-치환된 지방산 아미드, 아민 옥시드, 에스테르, 당-기반 계면활성제, 중합성 계면활성제, 및 이의 혼합물이 있다. 알콕실레이트의 예는 1 내지 50 당량으로 알콕실레이트화된 화합물 예컨대 알콜, 알킬페놀, 아민, 아미드, 아릴페놀, 지방산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바람직하게 에틸렌 옥시드가 알콕실화에 이용될 수 있다. N-치환된 지방산 아미드의 예는 지방산 글루카미드 또는 지방산 알카놀아미드가 있다. 에스테르의 예는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또는 모노글리세라이드이다. 당-기반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소르비탄, 에톡실레이트화 소르비탄, 수크로스 및 포도당 에스테르 또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가 있다. 중합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비닐피롤리돈, 비닐알콜,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있다.
적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급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2개의 소수성 기를 갖는 4급 암모늄 화합물, 또는 장쇄 1차 아민의 염이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베타인 및 이미다졸린이다. 적합한 블록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옥시드 및 폴리프로필렌 옥시드의 블록을 포함하는 A-B 또는 A-B-A 유형의 블록 중합체, 또는 알카놀, 폴리에틸렌 옥시드 및 폴리프로필렌 옥시드를 포함하는 A-B-C 유형의 블록 중합체이다. 적합한 다가전해질은 다가산 또는 다가염기이다. 다가산의 예는 폴리아크릴산의 알칼리 염 또는 다가산 콤 (comb) 중합체이다. 다가염기의 예는 폴리비닐 아민 또는 폴리에틸렌아민이다.
적합한 어쥬번트는 그들 자체로 무시할 정도이거나 또는 심지어 전혀 살충 활성을 갖지 않으며, 표적에 대한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또는 대사산물의 생물학적 성능을 개선시키는 화합물이다. 예에는 계면활성제, 미네랄 또는 식물성 오일, 및 다른 보조제가 있다. 추가 예는 문헌 [Knowles, Adjuvants and additives, Agrow Reports DS256, T&F Informa UK, 2006, chapter 5]에 열거되어 있다.
적합한 증점제는 다당류 (예를 들어, 잔탄검,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무기 점토 (유기적으로 변형 또는 미변형), 폴리카복실레이트, 및 실리케이트이다.
적합한 살균제는 브로노폴 및 이소티아졸리논 유도체 예컨대 알킬이소티아졸리논 및 벤즈이소티아졸리논이다. 적합한 동결방지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우레아 및 글리세린이다. 적합한 소포제는 실리콘, 장쇄 알콜, 및 지방산의 염이다. 적합한 착색제 (예를 들어, 적색, 청색 또는 녹색)는 낮은 수용성의 안료 및 수용성 염료이다. 예에는 무기 착색제 (예를 들어, 철 옥시드, 티탄 옥시드, 철 헥사시아노페레이트) 및 유기 착색제 (예를 들어, 알리자린-, 아조- 및 프탈로시아닌 착색제)가 있다. 적합한 점착제 또는 결합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레이트, 생물학적 또는 합성 왁스, 및 셀룰로스 에테르이다.
세포 또는 포자의 형태로 생존 미생물, 예컨대 파에니바실러스 속의 박테리아 균주가 조성물의 일부를 형성할 때, 이러한 조성물은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서 활성 성분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보조제 (불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H.D. Burges: Formulation of Microbial Biopesticides, Springer, 1998] 참조). 이러한 조성물의 적합한 통상적 유형은 현탁액, 분제, 분말, 페이스트, 과립, 프레싱, 캡슐, 및 이의 혼합물이다. 조성물 유형의 예는 식물 번식 재료 예컨대 종자의 처리를 위해 겔 제제 (예를 들어, GF) 뿐만 아니라, 현탁액 (예를 들어, SC, OD, FS), 캡슐 (예를 들어, CS, ZC), 페이스트, 사탕형 알약, 습윤성 분말 또는 분제 (예를 들어, WP, SP, WS, DP, DS), 프레싱 (예를 들어, BR, TB, DT), 과립 (예를 들어, WG, SG, GR, FG, GG, MG), 살충 물품 (예를 들어, LN)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제제 유형 또는 보조제의 선택은 조성물의 저장 동안 및 토양, 식물 또는 식물 번식 재료에 최종적으로 적용할 때 미생물의 생존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고려해야 한다. 적합한 제제는 예를 들어, WO 2008/002371, US 6,955,912, US 5,422,107에 언급되어 있다.
적합한 보조제의 예는 본 명세서의 앞쪽에서 언급된 것들이고, 이러한 보조제의 선택 및 양은 조성물 중 미생물 살충제의 생존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특히 살균제 및 용매의 경우, 개별 미생물 살충제의 개별 미생물과의 상용성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또한, 미생물 살충제가 있는 조성물은 안정화제 또는 영양소 및 UV 보호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 또는 영양소는 예를 들어 알파-토코페롤, 트레할로스, 글루타메이트, 포타슘 소르베이트, 다양한 당류 예컨대 포도당, 수크로스, 락토스 및 말토덱스트린이다 (H.D. Burges: Formulation of Microbial Biopesticides, Springer, 1998). 적합한 UV 보호제는 예를 들어 티타늄 디옥시드, 아연 옥시드 및 철 옥시드 안료와 같은 무기 화합물 또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및 페닐트리아진과 같은 유기 화합물이다. 조성물은 본 명세서의 조성물에 대해 언급된 보조제 이외에도 임의로 0.1 - 80%의 안정화제 또는 영양소 및 0.1-10%의 UV 보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농화학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90 중량%, 및 특히 0.5 내지 75 중량%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활성 물질은 90% 내지 100%, 바람직하게 95% 내지 100%의 순도 (NMR 스펙트럼에 따름)로 이용된다.
조성물 유형 및 그들 제조의 예는 다음과 같다:
i) 수용성 농축물 (SL, LS)
10-60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 및 5-15 wt%의 습윤제 (예를 들어, 알콜 알콕실레이트)를 100 wt%까지 물 및/또는 수용성 용매 (예를 들어, 알콜)에 용해시킨다. 활성 물질은 물로 희석시 용해된다.
ii) 분산성 농축물 (DC)
5-25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 및 1-10 wt%의 분산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 피롤리돈)를 100 wt%까지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논)에 용해시킨다. 물로 희석하여 분산물이 제공된다.
iii) 유화성 농축물 (EC)
15-70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 및 5-10 wt%의 유화제 (예를 들어, 칼슘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및 피마자유 에톡실레이트)를 100 wt%까지 수불용성 유기 용매(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에 용해시킨다. 물로 희석하여 에멀션이 제공된다.
iv) 에멀션 (EW, EO, ES)
5-40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 및 1-10 wt%의 유화제 (예를 들어, 칼슘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및 피마자유 에톡실레이트)를 20-40 wt%의 수불용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에 용해시킨다. 혼합물을 유화기를 통해서 100 wt%까지 물에 유입시키고 균질한 에멀션으로 만든다. 물로 희석하여 에멀션이 제공된다.
v) 현탁액 (SC, OD, FS)
교반 밀볼에서, 20-60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을 2-10 wt% 분산제 및 습윤제 (예를 들어, 소듐 리그노술포네이트 및 알콜 에톡실레이트), 0.1-2 wt% 증점제 (예를 들어, 잔탄검) 및 물을 100 wt%까지 첨가하면서 분쇄하여 미세 활성 물질 현탁액을 제공한다. 물로 희석하여 활성 물질의 안정한 현탁액이 제공된다. FS 유형 조성물의 경우 최대 40 wt%의 결합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콜)가 첨가된다.
vi) 수분산성 과립 및 수용성 과립 (WG, SG)
50-80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을 분산제 및 습윤제 (예를 들어, 소듐 리그노술포네이트 및 알콜 에톡실레이트)를 100 wt%까지 첨가하여 미세하게 분쇄시키고 기술 기기 (예를 들어, 압출기, 분무 타워, 유동층)를 통해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 과립으로서 제조한다. 물로 희석하여 활성 성분의 안정한 분산액 또는 용액이 제공된다.
vii) 수분산성 분말 및 수용성 분말 (WP, SP, WS)
50-80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을 1-5 wt%의 분산제 (예를 들어, 소듐 리그노술포네이트), 1-3 wt%의 습윤제 (예를 들어, 알콜 에톡실레이트) 및 고형 담체 (예를 들어, 실리카 겔)를 100 wt%까지 첨가하면서 회전자-고정자 밀에서 분쇄시킨다. 물로 희석하여 활성 물질의 안정한 분산액 또는 용액이 제공된다.
viii) 겔 (GW, GF)
교반되는 볼밀에서, 5-25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을 3-10의 wt% 분산제 (예를 들어, 소듐 리그노술포네이트), 1-5 wt%의 증점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물을 100 wt%까지 첨가하면서 분쇄하여 활성 성분의 미세 현탁액을 제공한다. 물로 희석하여 활성 물질의 안정한 현탁액이 제공된다.
ix) 마이크로에멀션 (ME)
5-20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을 5-30 wt%의 유기 용매 블렌드 (예를 들어, 지방산 디메틸아미드 및 시클로헥사논), 10-25 wt%의 계면활성제 블렌드 (예를 들어, 알콜 에톡실레이트 및 아릴페놀 에톡실레이트), 및 물에 100 wt%가 되도록 첨가한다. 이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자발적으로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마이크로에멀션을 생성시킨다.
x) 마이크로캡슐 (CS)
5-50 wt%의 본 발명의 혼합물, 0-40 wt%의 수불용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 2-15 wt%의 아크릴계 단량체 (예를 들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및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유성상을 보호성 콜로이드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콜)의 수성 용액에 분산시킨다. 라디칼 개시제에 의해 개시되는 라디칼 중합반응 결과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마이크로캡슐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5-50 wt%의 본 발명의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또는 대사산물, 0-40 wt%의 수불용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 및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예를 들어, 디페닐메텐-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유성층을 보호성 콜로이드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콜)의 수성 용액에 분산시킨다. 폴리아민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아민)을 첨가한 결과로 폴리우레아 마이크로캡슐이 형성된다. 단량체는 양이 1-10 wt%까지이다. wt%는 전체 CS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xi) 분제 (DP, DS)
1-10 wt%의 본 발명의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또는 대사산물을 미세하게 분쇄하고 고형 담체 (예를 들어, 미분 카올린)와 100 wt%까지 친밀 혼합시킨다.
xii) 과립 (GR, FG)
0.5-30 wt%의 본 발명의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또는 대사산물을 미세하게 분쇄하고 고형 담체 (예를 들어, 실리케이트)와 100 wt%까지 회합시킨다. 과립화는 압출, 분무-건조 또는 유동층에 의해 수행된다.
xiii) 초저 부피 액체 (UL)
1-50 wt%의 본 발명의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또는 대사산물을 100 wt%까지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에 용해시킨다.
조성물 유형 i) 내지 xiii)은 임의로 보조제, 예컨대 0.1-1 wt%의 살균제, 5-15 wt%의 동결방지제, 0.1-1 wt%의 소포제, 및 0.1-1 wt%의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자 처리용 용액 (LS), 현탁에멀션 (SE), 유동성 농축물 (FS), 건식 처리용 분말 (DS), 슬러리 처리용 수분산성 분말 (WS), 수용성 분말 (SS), 에멀션 (ES), 유화성 농축물 (EC) 및 겔 (GF)은 일반적으로 식물 번식 재료, 특히 종자의 처리 목적을 위해 적용된다.
프리믹스 조성물에 대한 토양 적용 또는 종자 처리 제제 유형의 바람직한 예는 WS, LS, ES, FS, WG 또는 CS-유형이다.
전형적으로, 종자 처리 적용을 위한 프리믹스 제제는 0.5 내지 99.9%, 특히 1 내지 95%의 바람직한 성분, 및 99.5 내지 0.1%, 특히 99 내지 5%의 고형 또는 액상 어쥬번트 (예를 들어, 용매 예컨대 물 포함)를 포함하고, 여기서 보조제는 프리믹스 제제를 기반으로 0 내지 50%, 특히 0.5 내지 40% 양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업적 제품은 바람직하게 농축물 (예를 들어, 프리믹스 조성물 (제제))로서 제제화될 수 있지만, 최종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희석 제제 (예를 들어, 탱크 믹스 조성물)를 적용하게 될 것이다.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및 조성물을, 식물 번식 재료, 특히 종자에 처리하거나 또는 적용하기 위한 종자 처리 방법은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번식 재료의 드레싱, 코팅, 필름코팅, 펠렛화 및 함침 적용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합에 적용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은 발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의해 식물 번식 재료 상에 적용되거나 또는 처리된다. 따라서, 식물 번식 재료, 예컨대 종자에 적용 (또는 처리)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의 예는 종자 드레싱, 종자 코팅 또는 종자 펠렛화 등이다.
식물 번식 재료는 종자, 종자 조각 (즉, 줄기) 또는 종구이다.
본 발명의 방법이 임의의 생리학적 상태의 종자에 적용될 수 있다고 여겨지지만, 종자는 처리 과정 동안 손상이 일어나지 않게 충분히 내구성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종자는 재배지로부터 수확되어, 식물로부터 제거되고, 임의의 수심, 줄기, 외피, 및 주변 펄프 또는 다른 종자이외의 식물 재료로부터 분리된 종자이다. 종자는 또한 처리가 종자에 생물학적 손상을 야기시키지 않는 정도로 생물학적으로 안정한 것이다. 처리는 종자의 수확과 종자의 파종 사이 임의 시기 또는 파종 과정 동안 (종자 직접 적용) 종자에 적용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종자는 또한 처리 이전 또는 이후에 프라이밍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혼합물 및 조성물 중 성분의 균일한 분포, 및 종자에 이의 부착은 번식 재료 처리 동안 바람직하다. 처리는 그 본래의 크기 및/또는 형상이 중간 상태 (예컨대, 코팅)까지 인식가능한 식물 번식 재료, 예컨대 종자 상에 조합물을 함유하는 제제, 예를 들어 활성 성분(들)의 혼합물의 얇은 필름 (드레싱)부터, 그 다음으로 종자의 본래 형상 및/또는 크기가 더 이상 인식가능하지 않은 보다 두꺼운 필름 (예컨대 상이한 물질 (예컨대 담체, 예를 들어 점토; 예컨대 다른 활성 성분의 상이한 제제; 중합체; 및 착색제)의 많은 층으로 펠렛화)까지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전체 식물 번식 재료 또는 오직 단일면 또는 단일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이의 오직 일부분 상에 조합된 성분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적화된 방식으로 식물 번식 재료 상에,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EP954213B1 및 WO06/112700에 제공된 설명을 통해서 이들 적용 방법을 이해할 것이다.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및 조성물은 또한 "알약" 또는 "펠렛" 또는 적합한 기재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처리된 알약, 또는 기재를 식물 번식 재료 옆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파종한다. 이러한 기술은 당분야, 특히 EP1124414, WO07/67042, 및 WO 07/67044에 공지되어 있다. 식물 번식 재료 상에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개별적으로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및 조성물의 적용은 또한 살충제-처리된 종자 옆에 하나 이상의 살충제-함유 입자를 위치시켜 본 발명의 조합물로 처리된 식물 번식 재료를 보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살충제의 양은 살충제-처리된 종자 및 살충제-함유 입자가 함께 살충제의 유효 용량을 함유하도록 하고, 살충제-처리된 종자에 함유된 살충제 용량은 살충제의 최대 식물무독성 용량 미만이거나 또는 그와 동일하다. 이러한 기술은 당분야, 특히 WO2005/120226에 공지되어 있다.
종자 상에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및 조성물의 적용은 또한 종자 상에 제어 방출 코팅을 포함하고, 여기서 조합물의 성분은 시간 경과에 따라 성분을 방출하는 재료에 도입된다. 제어 방출 종자 처리 기술의 예는 일반적으로 당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중합체 필름, 왁스, 또는 다른 종자 코팅을 포함하며, 여기서 성분들은 제어 방출 재료에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재료의 층 사이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둘 모두일 수 있다.
종자는 임의의 바람직한 배열로 또는 동시에,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이 그에 적용되어 처리될 수 있다.
종자 처리는 미파종된 종자에 대해 일어나고, 용어 "미파종된 종자"는 종자의 수확과, 식물의 발아 및 성장의 목적을 위해 토양에의 종자의 파종 사이의 임의 기간의 종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미파종 종자에 대한 처리는 활성 성분이 토양에 적용되는 실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재식 과정 동안 종자를 표적으로 하는 임의의 적용 실시를 포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처리는 파종된 종자가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로 사전처리되도록 종자의 파종 이전에 발생된다. 특히, 파종 코팅 또는 파종 펠렛화가 바람직하다. 처리의 결과로서, 성분들이 종자 상에 부착되며 그러므로 해충 방제에 이용가능하다.
처리된 파종은 임의의 다른 활성 성분 처리된 파종과 동일한 방식으로 저장되고, 취급되고, 파종 및 재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해충, 유해 진균으로부터 식물 번식 재료를 보호하고/하거나, 상기 식물 번식 재료로부터 성장된 식물의 건강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식물 번식 재료가 파종되는 토양은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혼합물 또는 조성물의 유효량으로 처리된다.
사용자는 예비정량 (predosage) 장치, 배낭식 분무기, 분무 탱크, 분무 비행기, 또는 관개 시스템으로부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농화학 조성물은 바람직한 적용 농도까지 물, 완충액, 및/또는 추가 보조제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즉석 사용 분무액 또는 농화학 조성물이 수득된다. 일반적으로, 20 내지 2000 리터, 바람직하게 50 내지 400 리터의 즉석 사용 분문액이 1 헥타르의 농업적으로 유용한 면적에 적용된다.
식물 번식 재료, 특히 종자의 처리에 관한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은 2배 내지 10배 희석 후, 즉석 사용 조제물 중에 0.01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40 중량%의 활성 성분 농도를 제공한다. 적용은 파종 이전 또는 그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식물 번식 재료, 특히 종자 상에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대사산물 또는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은 번식 재료의 드레싱, 코팅 펠렛화, 살포, 침지 및 고랑내 적용 방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전체 배양 브로쓰,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또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종자 드레싱, 펠렛화, 코팅 및 살포에 의해서, 발아가 유도되지 않게 하는 방법에 의해 식물번식 재료 상에 적용된다.
박테리아 균주가 작물 보호에 이용되는 경우, 균주가 엽면 처리로서 또는 토양에 적용되고, 시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1 x 106 내지 5 x 1016 (또는 그 이상) CFU/ha, 바람직하게 약 1 x 107 내지 약 1 x 1016 CFU/ha, 보다 더 바람직하게 1 x 1012 내지 5 x 1015 CFU/ha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균주가 종자 처리에 이용되는 경우, 식물 번식 재료에 대한 시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1 x 101 내지 1 x 1012 (또는 그 이상) CFU/종자, 바람직하게 약 1 x 103 내지 약 1 x 1010 CFU/종자,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 약 1 x 103 내지 약 1 x 106 CFU/종자의 범위이다. 대안적으로, 식물 번식 재료에 대한 시용량은 바람직하게 종자 100 kg 당 약 1 x 107 내지 1 x 1016 (또는 그 이상) CFU, 바람직하게 종자 100 kg 당 1 x 109 내지 약 1 x 1015 CFU, 보다 더 바람직하게 종자 100 kg 당 1 x 1011 내지 약 1 x 1015 CFU의 범위이다.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및/또는 대사산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이 이용될 때, 예를 들어 액상 제제의 경우 현탁 매질 또는 추출 매질의 건조 또는 증발 이후에 수득되는 고형 물질 (건조물)이 활성 성분으로서 간주된다. 식물 보호에서 이용시, 적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바람직한 효과의 종류에 따라서, ha 당 0.001 내지 2 kg, 바람직하게 ha 당 0.005 내지 2 kg, 보다 바람직하게 ha 당 0.05 내지 0.9 kg, 및 특히 ha 당 0.1 내지 0.75 kg이다. 식물 번식 재료 예컨대 종자를, 예를 들어, 종자에 살포하거나, 코팅하거나 또는 침지하여 처리할 때, 100 킬로그램의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 종자) 당 0.1 내지 1000 g, 바람직하게 1 내지 1000 g, 보다 바람직하게 1 내지 100 g, 및 가장 바람직하게 5 내지 100 g의 활성 성분의 양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재료 또는 저장된 생산물의 보호에서 사용시, 적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적용 영역의 종류 및 바람직한 효과에 따라 좌우된다. 재료의 보호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양은 처리되는 재료의 입방 미터 당 0.001 g 내지 2 kg, 바람직하게 0.005 g 내지 1 kg의 활성 성분이다.
일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개별 성분 예컨대 키트의 일부분, 또는 2성분 또는 3성분 혼합물의 일부분은, 분무 탱크 또는 적용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용기 (예를 들어, 종자 처리기 드럼, 종자 펠렛화 기계, 배낭식 분무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혼합될 수 있으며, 추가의 보조제가 적절하다면 첨가될 수 있다.
생존 미생물, 예컨대 파에니바실러스 속의 박테리아 균주가 이러한 키트의 일부를 형성하면, 성분 (예를 들어, 화학적 살충제) 및 추가 보조제의 선택 및 양이 사용자에 의해 혼합되는 조성물 중 미생물의 생존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해야만 한다. 특히 살균제 및 용매의 경우, 개별 미생물과의 상용성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사용가능한 살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키트이고, 이 키트는 a)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성분 1)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b)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성분 2)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임의로 c) 적어도 하나의 보조제 및 임의로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은 추가의 활성 성분 3)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다양한 유형의 오일, 습윤제, 어쥬번트, 비료, 또는 미량영양소, 및 추가 살충제 (예를 들어, 제초제, 살충제, 살진균제, 성장 조절인자, 경감제, 생물살충제)가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세포 무함유 추출물, 배양 배지, 대사산물,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및 조성물에 프리믹스로서, 또는 적절하다면 사용 직전 (탱크 믹스)에 첨가될 수 있다. 이들 작용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1:100 내지 100:1, 바람직하게 1:10 내지 10: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물살충제를 더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뿐만 아니라 보조제 및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 미생물 살충제를 포함한다.
살충제는 일반적으로, 이의 효과를 통해서, 해충을 막거나, 무력화시키거나, 사멸시키거나 또는 아니면 방해하는 화학제 또는 생물학제 (예컨대 바이러스, 박테리아, 항미생물제 또는 소독제)이다. 표적 해충은 특성을 파괴하거나, 해를 야기하거나, 질환을 확산시키거나 또는 질환의 매개체인 곤충, 식물 병원체, 잡초, 연체동물, 조류, 포유동물, 어류, 선충 (회충), 및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살충제는 또한 기대 성장, 개화기, 또는 식물 증식률을 변경시키는 식물 성장 조절인자; 일반적으로 수확을 촉진하도록, 식물로부터 잎 또는 다른 군엽을 떨어지게 하는 고엽제; 살아있는 조직, 예컨대 원치않는 식물 꼭대기부의 건조를 촉진하는 건조제; 일정 해충에 대한 방어를 위해 식물 생리학을 활성화시키는 식물 활성인자; 작물에 대한 살충제의 원치않는 제초 작용을 감소시키는 경감제; 및 식물 성장, 생물량, 산출량 또는 작물의 수확가능한 상품의 임의의 다른 품질 변수를 증가시키도록 식물 생리학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 성장 촉진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그룹 A) 내지 N)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와 함께 적용하여, 상승작용 효과가 수득될 수 있으며, 즉 개별 효과의 단순 부가 이상이 수득된다 (상승작용 혼합물).
일 구체예에 따라서, 혼합물은 상승작용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성분 1) 및 성분 2)를 포함한다.
용어 "상승작용 효과"는 특히 Colby의 식에 의해 정의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Colby, S. R., "Calculating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s of herbicide combinations", Weeds, 15, pp. 20-22, 1967).
용어 "상승작용 효과"는 Tammes 방법의 적용에 의해 정의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Tammes, P. M. L., "Isoboles, a graphic representation of synergism in herbicides", Netherl. J. Plant Pathol. 70, 1964).
이것은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를 공동으로 (예를 들어, 탱크-믹스로서) 또는 개별적으로, 또는 연속으로 적용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별 적용 사이의 시간 간격은 먼저 적용된 활성 물질이 추가의 활성 물질(들)의 적용 시점에 충분한 양으로 작용 부위에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 보장되도록 선택된다. 적용 순서는 본 발명의 작업에 필수적이지 않다.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대사산물 및 살충제 II를 순차적으로 적용할 때, 양쪽 적용 사이의 시간은 예를 들어 2시간 내지 7일로 다양할 수 있다. 또한 0.25시간 내지 30일, 바람직하게 0.5시간 내지 14일, 특히 1시간 내지 7일 또는 1.5시간 내지 5일, 보다 더 바람직하게 2시간 내지 1일 범위의 보다 광범위한 범위도 가능하다. 살충제 II가 제1 처리로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지기 형태를 포함하여 생존 미생물 세포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미생물 살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총 중량비는 다음과 같이 1 x 1010 CFU가 개별 활성 성분의 총 중량 중 1 그램과 동등하다는 방정식으로 개별 활성 성분의 총 중량을 계산하도록 개별 미생물의 CFU의 양을 사용해 결정할 수 있다. 콜로니 형성 유닛은 생존 미생물 세포, 특히 진균 및 박테리아 세포의 단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및 조성물에서 성분 1) 및 성분 2)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활성 성분의 특성에 따라 좌우되고, 일반적으로 1:10,000 내지 10,000:1의 범위이고, 종종 1:100 내지 100:1의 범위, 정규적으로 1:50 내지 50:1의 범위, 바람직하게 1:20 내지 20:1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 1:10 내지 10:1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 1:4 내지 4:1의 범위, 특히 1:2 내지 2:1의 범위이다.
혼합물 및 조성물의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성분 1) 및 성분 2)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000:1 내지 1:1의 범위, 종종 100: 1 내지 1:1의 범위, 정규적으로 50:1 내지 1:1의 범위, 바람직하게 20:1 내지 1:1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 10:1 내지 1:1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 4:1 내지 1:1의 범위, 특히 2:1 내지 1:1의 범위이다.
혼합물 및 조성물의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성분 1) 및 성분 2)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20,000:1 내지 1:10의 범위, 종종 10,000:1 내지 1:1의 범위, 정규적으로 5,000:1 내지 5:1의 범위, 바람직하게 5,000:1 내지 10:1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 2,000:1 내지 30:1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 2,000:1 내지 100:1의 범위, 특히 1,000:1 내지 100:1의 범위이다.
혼합물 및 조성물의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성분 1) 및 성분 2)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1 내지 1:1000의 범위, 종종 1:1 내지 1:100의 범위, 정규적으로 1:1 내지 1:50의 범위, 바람직하게 1:1 내지 1:2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 1:1 내지 1:10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 1:1 내지 1:4의 범위, 특히 1:1 내지 1:2의 범위이다.
혼합물 및 조성물의 추가 구체예에 따라서, 성분 1) 및 성분 2)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0:1 내지 1:20,000의 범위, 종종 1:1 내지 1:10,000의 범위, 정규적으로 1:5 내지 1:5,000의 범위, 바람직하게 1:10 내지 1:5,00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 1:30 내지 1:2,000의 범위, 보다 더 바람직하게 1:100 내지 1:2,000의 범위, 특히 1:100 내지 1:1,00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 및 조성물은 살진균제 및/또는 살충제로서 사용 형태에서, 또한 다른 활성 물질, 예를 들어 제초제, 살충제, 성장 조절인자, 살진균제 또는 그외 비료와 함께 존재할 수 있거나, 프리믹스로서 존재하거나, 또는 적절하다면, 사용직전이 되어서야 존재할 수 있다 (탱크 믹스).
본 발명의 2성분 혼합물 또는 그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다른 살진균제와 혼합한 결과 많은 경우에서 살진균제 내성 발생의 예방 또는 살진균 활성 스펙트럼의 확장을 야기시킨다. 더 나아가서, 상승작용 효과가 수득된다.
본 발명의 2성분 혼합물 또는 그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다른 살충제와 혼합한 결과 많은 경우에서 살충 내성 발생의 예방 또는 살충 활성 스펙트럼의 확장이 야기된다. 더 나아가서, 많은 경우에서, 상승작용 효과가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들을 포함하는 혼합물 및 조성물은 상기 바람직한 구체예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이의 배양 배지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성분 1), 및 살충제 II (성분 2) 이외에도, 성분 3)으로서, 추가의 살충제를, 바람직하게 상승작용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는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성분 3)은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그룹 SF) 및 SI)로부터 선택되는 살충제 III이며, 단 이들 3성분 혼합물 각각에서 살충제 III은 선택된 살충제 II와 상이하다. 이들 3성분 혼합물은 식물 번식 재료의 처리 (즉, 종자 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혼합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다음의 살충제 III 목록은 가능한 조합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그들에 국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SF) 살진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아족시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트리플록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페나민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만데스트로빈,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으로부터 선택되는 Qo 부위의 복합체 III의 억제제;
- 플룩사피록사드, 보스칼리드, 벤조빈디플루피르,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플루오피람, 빅사펜, 이소피라잠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체 II의 광범위 스펙트럼 피리딘 및 피라졸 억제제;
- 카르복신, 베노다닐, 펜푸람, 플루토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로부터 선택되는 복합체 II의 바시디오마이세테스 (Basidiomycetes)-특이적 억제제;
- ATP 생성 억제제 실티오팜;
- 이프코나졸, 디페노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프로클로라즈, 트리티코나졸, 플루트리아폴, 시프로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플루퀸코나졸, 플루실라졸,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메트코나졸, 미클로부타닐, 시메코나졸, 테부코나졸, 트리아디메놀, 유니코나졸, 티아벤다졸로부터 선택되는 살진균성 아졸 화합물;
- 옥사티아피프롤린, 발리페날레이트, 메탈락실, 메탈락실-M, 에타복삼, 디메토모르프, 족사미드, 플루모르프, 만디프로파미드, 피리모르프, 벤티아발리카브, 이프로발리카브로부터 선택되는 우마이세테스 (Oomycetes) 살진균제;
- MAP / 히스티딘 키나제 억제제: 플루디옥소닐;
- 티오파네이트-메틸, 카벤다짐으로부터 선택되는 벤지미다졸 화합물;
- 티람, 지람으로부터 선택되는 디티오카바메이트 화합물;
SI) 살충제
- 피프로닐, 에티프롤, 바닐리프롤, 피라플루프롤, 피리프롤, 5-아미노-1-(2,6-디클로로-4-메틸-페닐)-4-술핀아모일-1H-피라졸-3-카보티오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GABA 길항제 화합물;
- 클로란트라닐리프롤 및 플루벤디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나비목 (lepidopteran)-특이적 리아노딘 수용체;
- 교차-스펙트럼 리아노딘 수용체 억제제: 사이안트라닐리프롤;
- 테플루트린, 비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사이플루트린, 베타-사이플루트린, 람다-사이할로트린, 델타메트린,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발레레이트, 플루사이트리네이트, 퍼메트린로부터 선택되는 피레트로이드 소듐 채널 조정인자;
- 전신 활성 네오니코티노이드 화합물: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디노테푸란, 아세타미프리드, 플루피라디푸론, 티아클로프리드, 트리플루메조피림, 니텐피람;
-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인자 및 술폭시민: 술폭사플로르, 아세페이트, 클로르피리포스, 티오디카브, 아바멕틴, 스피노사드;
- 다른 살충제: 티옥사자펜.
보다 바람직하게, 살충제 III은 다음의 그룹 SF) 및 SI)로부터 선택된다:
SF) 살진균제
아족시스트로빈,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플룩사피록사드, 보스칼리드, 옥사티아피프롤린, 메탈락실, 메탈락실-M, 에타복삼, 디메토모르프, 발리페날레이트, 시프로코나졸, 시페노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플루트리아폴, 티아벤다졸, 이프코나졸, 테부코나졸, 트리아디메놀, 프로클로라즈, 플루퀸코나졸, 트리티코나졸, 플루디옥시닐, 카르복신, 실티오팜, 지람, 티람, 카벤다짐, 티오파네이트-메틸;
SI) 살충제
피프로닐, 클로티아니딘, 티아메톡삼, 아세타미프리드,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술폭사플로르, 메티오카브, 테플루트린, 비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스피노사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사이안트라닐리프롤, 티오디카브, 트리플루메조피림, 아세페이트, 클로르피리포스, 플루피라디푸론, 아바멕틴, 티옥사자펜.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및 이의 대사산물에 관한 실시예
실시예 1: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단리
독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럽 소재로부터 토양 샘플을 채취하였다. 이들 토양에 대해 통상적으로 알려진 미생물 단리 절차를 적용하여서, 본 발명자는 다양한 박테리아를 수득하고, 이에 대해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순수한 단리물을 제공하기 위해 통상적인 단리 기술을 더욱 수행하였다.
표준 미생물 농축 기술 (C. A. Reddy, T. J. Beveridge, J. A. Breznak, G. A. Marzluf, T. M. Schmidt, and L. R. Snyder (eds.). Methods for General and Molecular Microbiology, Am. Soc. Microbiol., Washington, District of Columbia)에 따라서 각 유형의 박테리아를 단리하였다.
하기의 균주를 단리하여 부다페스트 조약 하에서 2013년 2월 20일에 독일 생물자원 센터 (DSMZ)에 기탁하였다:
a) 기탁 번호 DSM 26969를 갖는 DSMZ에 기탁된 Lu16774
b) 기탁 번호 DSM 26970를 갖는 DSMZ에 기탁된 Lu17007
c) 기탁 번호 DSM 26971을 갖는 DSMZ에 기탁된 Lu17015.
실시예 2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특징 규명
실시예 2.1: 16S-rDNA 서열분석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은 DSMZ (Braunschweig, Germany)에서 PCR-증폭된 16S rDNA의 직접 서열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
게놈 DNA 추출은 제조사의 지시서에 따라서 MasterPureTM 그람 양성 DNA 정제 키트를 사용해 수행하였다. 16S rDNA의 PCR-매개 증폭 및 PCR 생성물의 정제는 이전에 기술된 대로 수행하였다 (Int. J. Syst. Bacteriol. 46, 1088-1092, 1996). 정제된 PCR 생성물은 제조사의 프로토콜에서 지시하는 대로 BigDye® Terminator v1.1 사이클 시퀀싱 키트 (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해 서열분석하였다. 서열 반응물은 3500xL Genetic Analyzer (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해 전기영동하였다. 서열 모호성은 단일 게놈 내에 상이한 서열로 16S rRNA를 코딩하는 몇몇개의 시스트론의 존재에 기인할 수 있다 (J. Bacteriol. 178(19), 5636-5643, 1996).
균주로부터의 최종 서열 데이타를 정렬 에디터 AE2 (http://iubio.bio.indiana.edu/soft/molbio/unix/ae2.readme)에 입력하였고, 최종 rRNA 분자의 2차 구조에 따라 수동으로 정렬시키고 퍼미큐테스 (Firmicutes)에 속하는 유기체의 대표적인 16S rRNA 유전자 서열과 비교하였다 (Nucl. Acids Res. 27, 171-173, 1999). 비교를 위해서, 16S rRNA 서열은 EMBL 및 RDP 데이타 베이스로부터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균주의 16S rDNA 서열은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은 서열 목록에 기재한다.
Figure pct00008
16S rDNA 유전자 동일성 값 (%)은 비교된 서열의 정렬 내에서 서열의 쌍별 비교에 의해 계산하였다.
쌍별 서열 정렬을 기반으로 하는 오직 2개 서열로 수행된 비교는 이진값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표시된다. 다른 값들은 비교 내의 모든 서열의 다중 서열 정렬을 기반으로 한다. 다중 서열 비교로부터의 더 높은 동일성 값은 비교된 서열의 서열 데이타가 상이한 길이여서 보다 짧은 정렬을 야기하였다는 문제로 인한 것이다.
3종의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간의 완전한 rDNA 서열의 쌍별 비교로부터의 동일성%는 99.5 내지 99.9% 였다 (표 3, 이진값).
Figure pct00009
관련 분류군과 3종의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완전한 16S rRNA 서열의 비교 (도 9 참조) 결과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표준-균주 DSM 8320)와 99.8%로 높은 동일성 백분율이 확인되었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와 피. 페오리아에의 쌍별 서열 정렬에 대한 이진값은 다음과 같다: 개별적으로 Lu16774: 99.5%, Lu17007: 99.5%; 및 Lu17015: 99.7% 동일성.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15 및 Lu17007가 속하는 종의 최종 평가는 16S rRNa 서열 데이타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완전한 rDNA의 서열분석 결과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NRRL BD-62에 대해 피. 페오리아에 (표준 균주 DSM 8320)와 100.0% 동일성인 것으로 밝혀져서 이 균주 BD-62에 대한 피. 페오리아에 종 지정이 확증되었다 (도 9 참조).
피. 페오리아에와 모든 3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밀접한 관련성은 그 결과로 99.8%의 동일성 값이 생성된 피. 페오리아에 균주 BD-62의 16S rRNA 서열과의 비교에 의해 확증되었다 (도 9 참조).
계통발생학적 계통도의 제작을 위해서, ARB 패키지의 작업 (Nucl. Acids Res. 35, 7188-7196, 2007)을 사용하였는데, 진화적 거리값을 기반으로 하여 계통수는 Jukes 및 Cantor (Mol. Biol. Evol. 4, 406-425, 1987)의 교정법을 사용해 이웃-결합 방법 (neighbor-joining method)에 의해 제작하였다 (Jukes, T. H. & Cantor C. R. (1969). Evolution of protein molecules. In Mammalian protein metabolism, pp. 21-132. Edited by H. N. Munro. New York: Academic press). 계통수의 뿌리는 분석에 코넬라 써모톨러란스 (Cohnella thermotolerans)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포함시켜 결정하였다. 계통도 아래의 기준자는 100개 뉴클레오티드 당 1개 뉴클레오티드 치환을 의미한다. 결과는 도 10에 제공한다.
이들 서열의 계통발생적 계통도 (도 10)는 3종의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가 서로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그들 각각에 대해 알려진 그들의 가장 가까운 동족이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균주 NRRL BD-62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2: 리보프린트 (RiboPrint)-분석
표준화된, 자동화 리보타이핑은 독립형, 자동화 장비에서 리포타이핑을 위해 분자적 처리 단계들을 조합한다. 그 절차는 세포 용해, 제한 효소 EcoRI로 염색체 DNA의 분해, 전기영동에 의한 단편의 분리, 나일론막으로 DNA 단편의 전달, 이. 콜라이 유래의 rrnB 오페론으로부터 생성된 프로브와의 혼성화, rrn 오페론 서열을 함유하는 단편과 프로브의 화학발광적 검출, 이미지 검출 및 리포브린트 패턴의 컴퓨터 분석을 포함한다 (Food Technology 50(1), 77-81, 1996; Proc. Natl. Acad. Sci. USA 92, 5229-5233, 1995; Int. Journ. Syst. Bact. 44(3), 454-460, 1994).
리보타이핑은 독일 소재의 DSMZ가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를 제한효소 EcoRI을 사용해 피. 페오리아에 균주 BD-62와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최종 패턴은 RiboPrinter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통합 DuPont 아이덴티피케이션 라이브러리 (Identification Library)를 비롯하여 BioNumerics 소프트웨어 (Applied Maths, Belgium)를 사용해 비교하였다.
BD-62와 모든 3종의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유사성은 0.24 내지 0.5였다 (도 11). 2개 그룹에서 3개 균주 그룹은, 제1 그룹이 Lu17015를 포함하는 반면, 제2 그룹은 균주 Lu16774 및 Lu17007을 포함한다. 어떠한 균주도 DuPont 아이덴티피케이션 라이브러리 내 임의 균주와 0.84보다 높은 유사성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자동적으로 동정되지 않았다.
균주 BD-62는 DuPont 아이덴티피케이션 라이브러리의 등록 DUP-13142를 기반으로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로서 동정되었다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DSM 8320을 기반으로 등록).
실시예 2.3: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 특징규명
균주는 문헌 [Gordon, R.E., Haynes, W.C. & Pang. C.H.-N. (1973): The Genus Bacillus, Agriculture Handbook no. 427.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에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게 DSMZ에서 특징규명되었다. 그 결과를 표 4에 제공한다.
Figure pct00010
DSMZ에서 수행된 세포 지방산의 분석은 그 결과로 모든 균주가 파에니바실러스 종에 대한 전형적인 프로파일을 보여주었다.
입수가능한 유전자학, 생리학 및 생화학 데이타를 사용하여,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가 파에니바실러스 속에 속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를 비롯하여 BD-62가 포도당으로부터 가스를 생산하므로, 그들 중 어떠한 것도 파에니바실러스 자밀라에 (Paenibacillus jamilae)에 속하지 않는다.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와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사이의 표현형적 구별은 특정 기질로부터의 산 생산 특징을 사용해 주로 가능하다 (Int. J. Syst. Bacteriol. 43(2), 388-390, 1993; In. J. Syst. Bacteriol. 46(6), 988-1003, 1996).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 중 어떠한 것도 이들 2개 종 중 어느 것과도 완전하게 표 4에 요약된 이의 특징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았지만, 입수가능한 유전자학, 생리학 및 생화학 데이타를 합하면 필시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및 피. 폴리믹사 종 또는 적어도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및 피. 폴리믹사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다른 종을 가리킨다.
지금까지 기술된 매우 많은 수의 파에니바실러스 종에 기인하여, 표 4의 생리학적 및 형태학적 기준을 기반으로 검사된 3종의 단리물의 올바른 분류학상 종을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Rainer Borriss, Humboldt University Berlin, 미공개 결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속에서 종을 완전하게 결정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종 및 균주는 16S-rDNA 분석을 기반으로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BD-62로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도 11 참조).
실시예 2.4: DnaN, GyrB, RecF, RecN 및 RpoA를 코딩하는 유전자 기반 계통발생적 분석
DnaN, GyrB, RecF, RecN 및 RpoA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완전한 게놈 서열 또는 공공 데이타베이스로부터 추출하였다 (표 28에 요약된 서열 목록).
동일성 표 (도 12 내지 16)는 모든 서열을 모든 다른 서열과 정렬시키는 모든 접근법을 이용하여 생성시켰다. 서열 정렬은 프로그램 니들 (EMBOSS package 6.6.0; Trends in Genetics 16 (6), 276―277)로 수행하였다. 표준 매개변수가 여기서 사용되었다 (갭 생성 10.0; 갭 확장 0.5). 동일성 점수는 임의의 갭을 고려하지 않는 정렬을 기반으로 계산된다.
계통수의 경우 (도 17 내지 21), 다중 서열 정렬이 Clustal Omega (version 1.2.0; Molecular Systems Biology 7: 539, doi:10.1038/msb.2011.75)에 의해 수행되었다. 게통수는 소프트웨어 Dnaml (Phylip 3.696 패키지에서 공급; Felsenstein 1981, http://evolution.genetics.washington.edu/phylip.html)을 사용하여 최대 공산 방법에 의해 계산된다. 계통도는 2의 전이-전환 비율을 적용하면서 F84 거리 모델을 사용해 확립하였다. 계통수는 덴드로스코프 (Dendroscope) 도구 (http://dendroscope.org/)를 사용해 그래프화하였다.
Figure pct00011
실시예 2.5: 코어 게놈 비교 및 AAI 매트릭스
게놈 비교는 기센 대학의 소프트웨어 패키지 EDGAR (BMC Bioinformatics 10, 154, 2009; (https://edgar.computational.bio.uni-giessen.de/cgi-bin/edgar.cgi)를 사용해 수행하였다. 코어 게놈의 결정, 완전한 게놈 서열을 기반으로 한 계통발생적 계통도 및 AAI 매트릭스 값은 소프트웨어 패키지 EDGAR을 사용해 수행하였다. 결과는 도 22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3: 생체내 검사를 위한 균주의 성장 (발효능)
온실 및 현장 실험을 위해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먼저 ISP2 플레이트 (BD [USA]의 즉석 사용 한천, 카탈로그 번호 277010) 상에서 성장시켰다. 이후에, 액체 ISP2 배지를 함유하는 바플형 진탕 플라스크에 한천 플레이트 유래의 콜로니를 접종하였고, 5 내지 7일 동안 150 rpm 및 25℃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실험에 따라서, 전체 배양 브로쓰, 또는 원심분리 및 H2O-세척된 세포 펠렛, 또는 상청액을 식물에 적용하였다. 10 L 발효배양기까지 확장이 가능하였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ISP2 액체 배지 (10g/ℓ 맥아 추출물, 4 g/ℓ 박토 효모 추출물, 4 g/ℓ 포도당 일수화물)에서 6일 동안 22℃ 및 150 rpm에서 성장되었다. 박테리아 성장을 의미하는 OD600nm 를 상이한 시점에 측정하였다.
Figure pct00012
실시예 4 - 항진균 활성에 대한 시험관내 대립 어세이
식물 병원체에 대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길항 활성을 시험관내 대립 어세이에서 확인하였다. 사용된 식물병원성 진균은 스크레로티나 스크레로티오럼 (Sclerotina sclerotiorum) (SCLSCL),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ytis cinerea) (BOTRCI), 알테르나리아 종 (Alternaria sp.) (ALTESP) 및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감자역병균) (PHYTIN)이다.
BOTRCI, ALTESP, SCLSCL을 위한 성장 배지로서, 리터 당 10 g 맥아 추출물 (Sigma Aldrich, 70167); 4 g 박토 효모 추출물 (Becton Dickinson, 212750); 4 g 포도당 일수화물 (Sigma Aldrich, 16301); 20 g 한천 (Becton Dickinson, 214510), pH 약 7, 증류수를 포함하는 ISP2 배지가 사용되었다. PHYTIN을 위한 배지로서, 리터 당 200 mL의 야채 주스, 3 g 칼슘 카보네이트 (Merck Millipore, 1020660250); 30 g 한천 (Becton Dickinson, 214510), pH 6.8, 증류수를 포함하는 V8 배지가 사용되었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한천 플레이트의 한쪽 면 상에 점-접종하였다. 하나의 왕성하게 성장하는 식물 병원체를 함유하는 한천 블록 (대략 0.3 ㎠)을 플레이트의 중심에 놓았다. 7일 내지 14일 동안 25℃에서 인큐베이션시킨 후, 식물 병원체의 성장을 특히 억제 구역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후에, 한천 플레이트를 평가 이전에 약 7 내지 14일 동안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항생작용은 진균-무함유 구역 (억제 구역)의 직경을 평가하여 점수매겼다. 경쟁은 대조군 플레이트와 비교하여 박테리아 균주와 플레이트 상의 진균 병원체의 성장 직경을 비교해 점수매겼다. 균기생은 박테리아가 진균 병원체보다 과성장하고 또한 병원체에 기생하는 경우에 기록될 수 있다. 이것은 현미경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모든 시험된 식물 병원체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보였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5 -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한 활성의 온실 실험
사용예 5.1: 보호적 적용에 의한 감자역병균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 Phytophthora infestans )에 의해 초래되는 토마토 잎마름병에 대한 활성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어린 토마토 묘목 ("Goldene Koenigin")을 기술되는 온실 시험에서 사용되었다. 2개의 복제물 (화분 당 각각 1개 식물)을 처리 당 사용하였다. 식물은 온실 내 대략 22℃에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기재 (Universal, Floragard)에서 성장시켰다. 습도는 특정한 장비를 사용해 제어하였다 (∼90% 습도). 식물에 분무 캐비넷을 사용하여 (설정에 따라서) 개별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6일 배양물의 미정제/전제 배양 브로쓰를 흘러넘치게 분무하였다. 균주에 대한 배양 조건은 실시예 3에 기술되어 있다. 적용 후 1일에, 처리된 식물에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IN)의 포자낭 현탁액이 접종되었다. 접종 후, 시험 식물을 즉시 습식 챔버로 옮겼다. 잎에서 진균 공격 정도는 접종 후 5 내지 7일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미처리 대조군에서 진균 공격은 80 내지 100%였고, 비교 이유로 100%로 설정하였다.
Figure pct00014
사용예 5.2: 보호적 적용에 의한 보트리티스 시네레아에 의해 초래되는 피망의 회색 곰팡이에 대한 활성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어린 피망 묘목 ("Neusiedler Ideal")을 기술된 온실 시험에 사용하였다. 2개 복제물 (화분 당 각각 1개 식물)을 처리 당 사용하였다. 식물은 온실 내 대략 22℃에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기재 (Universal, Flora-gard)에서 성장시켰다. 습도는 특정 장비를 사용해 제어하였다 (∼90% 습도). 식물에 분무 캐비넷을 사용하여 (설정에 따라서)개별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6일 배양물의 미정제 배양 브로쓰를 흘러넘치게 분무하였다. 균주에 대한 배양 조건은 실시예 3에 기술되어 있다. 적용 후 1일에, 처리된 식물에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CI)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접종 후, 시험 식물을 즉시 습식 챔버로 옮겼다. 잎 상에서 진균 공격 정도는 접종 후 5 내지 7일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미처리된 대조군에서 진균 공격은 80 내지 100%였고, 비교 이유로 100%로 설정하였다.
Figure pct00015
사용예 5.3: 보호적 적용에 의한 알테르나리아 솔라니에 의해 야기된 토마토 겹무늬병에 대한 활성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어린 토마토 묘목 ("Goldene Koenigin")을 기술된 온실 시험에서 사용하였다. 2개 복제물 (화분 당 각 1개 식물)을 처리 당 사용하였다. 온실 내 대략 22℃에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기재 (Universal, Floragard)에서 식물을 성장시켰다. 습도는 특정 장비를 사용해 제어하였다 (∼90% 습도). 식물은 분무 캐비넷을 사용해 (설정에 따라서) 개별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6일 배양물의 미정제/전체 배양 브로쓰가 흘러넘치게 분무되었다. 균주에 대한 배양 조건은 실시예 3에 기술되어 있다. 적용 후 1일에, 처리된 식물에 알테르나리아 솔라니 (ALTESO)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접종 후, 시험 식물을 즉시 습식 챔버로 옮겼다. 잎 상에서 진균 공격 정도는 접종 후 5 내지 7일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미처리 대조군에서 진균 공격은 80 내지 100%였고, 비교 이유로 100%로 설정되었다.
Figure pct00016
사용예 5.4: 보호적 적용에 의한 파콥소라 파키리지 ( Phakopsora pachyrhizi )에 의해 야기된 대두의 대두 녹병에 대한 활성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어린 대두 묘목 ("Mentor")을 기술된 온실 시험에서 사용하였다. 2개 복제물 (화분 당 각 1개 식물)을 처리 당 사용하였다. 식물은 온실 내 대략 22℃에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기재 (Universal, Floragard)에서 성장시켰다. 습도는 특정 장비를 사용해 제어하였다 (∼90% 습도). 식물은 분무 캐비넷을 사용해 (설정에 따라서) 파에니바실러스 종의 2 내지 6일 배양물의 미정제 배양 브로쓰를 흘러넘치게 분무하였다. 적용 후 1일에, 처리된 식물에 파코스포라 파키리지 (PHAKPA)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접종 후, 시험 식물을 즉시 습식 챔버로 옮겼다. 잎 상에서의 진균 공격 정도는 접종 후 5 내지 7일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사용예 5.5: 보호적 적용에 의한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럼( Fusarium graminearum )에 의해 야기된 밀의 푸사리움 이삭마름병에 대한 활성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어린 밀 묘목을 기술된 온실 시험에서 사용하였다. 2개 복제물 (화분 당 각 1개 식물)을 처리 당 사용하였다. 식물은 온실 내 대략 22℃에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기재 (Universal, Floragard)에서 성장시켰다. 습도는 특정 장비를 사용해 제어하였다 (∼90% 습도). 식물에 분무 캐비넷을 사용하여 (설정에 따라서) 파에니바실러스 종의 2-6일 배양물의 미정제 배양 브로쓰를 흘러넘치게 분무하였다. 배양 조건은 실시예 3에 기술되어 있다. 적용 후 1일에, 처리된 식물에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럼 (GIBBZE)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접종 후, 시험 식물은 즉시 습식 챔버로 옮겼다. 잎 상에서 진균 공격 정도는 접종 후 5 내지 7일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사용예 5.6: 보호적 적용에 의한 셉토리아 트리티시 ( Septoria tritici )에 의해 야기된 밀의 반점 잎마름병에 대한 활성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어린 밀 묘목을 기술된 온실 시험에서 사용하였다. 2개 복제물 (화분 당 각 1개 식물)을 처리 당 사용하였다. 식물은 온실 내 대략 22℃에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기재 (Universal, Floragard)에서 성장시켰다. 습도는 특정 장비를 사용해 제어하였다 (∼90% 습도). 식물에 분무 캐비넷을 사용하여 (설정에 따라서) 파에니바실러스 종의 2-6일 배양물의 미정제 배양 브로쓰를 흘러넘치게 분무하였다. 배양 조건은 실시예 3에 기술되어 있다. 적용 후 1일에, 처리된 식물에 셉토리아 트리티시 (SEPTTR)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접종 후, 시험 식물을 즉시 습식 챔버로 옮겼다. 잎 상의 진균 공격 정도는 접종 후 21일 내지 28일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사용예 5.7: 보호적 적용에 의한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파에니바실러스 세포 및 상청액의 활성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의 6일 배양물 유래의 전체 배양 브로쓰를 사용예 3에 따라서 수득하였고, 사용예 5.1 내지 5.3의 실험 설정에서처럼 사용하였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전체 배양 브로쓰는 0.2 μm 공극 크기의 필터를 통해 여과시켜서 배양 배지 및 미정제 세포 분획을 수득하였다. 미정제 세포 분획은 본래 부피의 3배의 인산염-완충 염수로 더욱 세척하여 세척된 세포를 수득할 수 있다.
온실 시험은 개별 병원체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및 알테르나리아 솔라니에 대해 상기 사용예 5.1, 5.2 및 5.3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잎에서 진균 공격 정도는 접종 후 5 내지 7일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미처리된 대조군에서 진균 공격은 80 내지 100%였고, 비교 이유로 100%로 설정하였다.
Figure pct00017
실시예 6 - 효소 시험
사용예 6.1: 키티나제
키티나제 시험 고형 배지:
2 g/ℓ NaNO3, 1g/ℓ K2HPO4, 0.5 g/ℓ MgSO4, 0.5 g/ℓ KCl, 0.2 g/ℓ 펩톤, 15 g/ℓ 한천, 10 g/ℓ 게껍질 유래 키틴 (Sigma-Aldrich C7170).
시험 고형 배지를 오토클레이브시키고 9 cm 페트리 디쉬에 채웠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플레이트의 중심에 접종하고 2일 동안 27℃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이후에, 플레이트를 1:3 희석된 Lugol 용액 (Carl Roth N052.2)으로 5 내지 10분간 염색시켰다. Lugol 용액을 부어버리고 플레이트를 사진찍어 평가하였다. 상이한 균주의 성장은 5 내지 10 mm를 넘지 않았다. 미염색 구역 (키티나제 활성에 해당)은 0 mm (무활성; 표 11에서 "-") 내지 수 cm (표 11에서 "+")로 다양하였다.
사용예 6.2: 셀룰라제
셀룰라제 시험 고형 배지:
2 g/ℓ NaNO3, 1g/ℓ K2HPO4, 0.5 g/ℓ MgSO4, 0.5 g/ℓ KCl, 0.2 g/ℓ 펩톤, 15 g/ℓ 한천,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소듐 염 (Sigma-Aldrich 419273).
배지를 오토클레이브하여 9 cm 페트리 디쉬에 부었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플레이트의 중심에 접종하였고 2일 동안 27℃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이후 플레이트를 1:3 희석된 Lugol 용액 (Carl Roth N052.2)으로 5 내지 10분간 염색시켰다. Lugol 용액을 부어버리고 플레이트를 사진찍었다.
사용예 6.3: 아밀라제
아밀라제 시험 고형 배지:
2 g/ℓ NaNO3, 1g/ℓ K2HPO4, 0.5 g/ℓ MgSO4, 0.5 g/ℓ KCl, 0.2 g/ℓ 펩톤, 15 g/ℓ 한천, 10 g/ℓ 가용성 전분 (Merck 1.01252).
배지를 오토클레이브하여 9 cm 페트리 디쉬에 부었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플레이트의 중심에 접종하고 2일 동안 27℃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를 1:3 희석된 Lugol 용액 (Carl Roth N052.2)으로 5 내지 10분간 염색하였다. Lugol 용액을 부어버리고 플레이트를 사진찍었다.
Figure pct00018
실시예 7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로부터 수득되는 푸자리시딘-유형 대사산물
실시예 7.1: 박테리아 단리물의 대규모 배양 및 푸자리시딘-유형 대사산물의 추출
a) 배양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를 GYM 배지 (10 g/ℓ 포도당, 4 g/ℓ 효모 추출물, 10 g/ℓ 맥아 추출물; 오토클레이빙전에 pH 5.5로 조정됨) 및 20 g/ℓ 한천을 함유하는 한천 플레이트 상에서 배양시켰다. 배양은 10 내지 20일 동안 실온에서 수행되었다. 유지를 위해서 동일한 배지의 한천 슬랜트를 사용하였고 4℃에 저장하였다.
소규모 액체 배양 (500 mL 플라스크 중 250 mL GYM 배지)에 4 내지 5 조각의 잘 성장시킨 한청 배양물을 접종하고 회전식 진탕기에서 120 rpm으로 실온 (20-23℃)에서 배양하였다.
대규모 발효배양을 250 mL의 잘 성장시킨 액체 배양물을 접종시킨 15 L의 GYM 배지가 있는 20 L 발효기에서 수행하였고 (기포 형성때문에 발효기의 전체 수용량을 사용하지 않았음), 발효배양을 교반 (120 rpm) 및 통기 (3 L/분)하면서 5 내지 8일 동안 실온 (20-23℃)에서 수행하였다.
b) 추출
동일한 부피의 이소프로판올을 전체 배양 브로쓰에 첨가하였다 (액체 배양물로부터 생물량의 분리를 수행하지 않았음). 2시간 내지 16시간 동안 교반 및 인큐베이션 후, 통상의 식염 (염화나트륨 - 100 내지 200 g/ℓ)을 유기층 및 수성층의 분리가 가시화될 때 까지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소프로판올층을 진공 농축시켰다. 여전히 대량의 염을 함유하는 최종 추출물을 메탄올에 용해시켰고, 염 잔류물의 보다 나은 침전을 위해 원심분리시키고, 유기층을 다시 농축시켰다. 이 단계는 염 침전물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때까지 반복하였다.
c) 정제
i)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30 그램의 추출물을 메탄올에 용해시켰고 50 g의 실리카 겔 (Merck, K60, 70-230 메쉬)에 결합시키고, 40℃에서 건조시켰으며 1 kg의 실리카 겔 (컬럼 10 cm 직경, 대략 30 cm 높이) 상에 층상으로 놓아두었다.
용리는 다음과 같이 4개 단계로 수행되었다:
단계 1 - 4 L 에틸 아세테이트
단계 2 - 4 L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3:1, v/v)
단계 3 - 7 L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1:1, v/v)
단계 4 - 4 L 메탄올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3 분획 (중간체 1)을 진공 하에 건조시켰고 0.1% 포름산 (FA) 중 40% 메탄올 (MeOH)에 용해시켰다 (농도: 100 mg/ml). 다른 분획은 폐기하였다.
ii) 크롬본드 (Chromabond) HR-X 분획화
20 mL의 중간체 1을 이전에 평형화 (0.1% FA 중 40% MeOH 사용)시킨 크롬본드 HR-X 카트리지 (Macherey-Nagel, 1000 mg, ref 730941) 위에 적재시켰다. 카트리지를 100 mL의 0.1% FA 중 40% MeOH로 세척하였고 60 mL의 0.1% FA 중 70% MeOH로 용리하였다. 이 중간체 1-1을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iii) 썬파이어 (Sunfire) C18 컬럼 상의 분취용 HPLC
중간체 1-1을 DMSO에 용해시켰고 (농도: 200 mg/mL), 300 μl의 중간체 1-1을 다음과 같이 썬파이어 C18 컬럼 (19 x 250 mm, 5 μm, Waters)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10 mL/분에서 16분, 등용매 70% 0.2 FA; 30% 아세토니트릴 (ACN),
14 mL/분에서 1분, 65%까지 농도 구배 0.2% FA; 35% ACN,
14 mL/분에서 5분, 등용매 65% 0.2% FA; 35% ACN.
5개 분획이 검출될 수 있었다. 전체 5개 최종 분획을 진공 하에 건조시켰고 DMSO에 용해시켰다 (농도: 125 mg/mL). 추가 정제는 동일한 컬럼 및 모든 분획에 대해 조정된 등용매 조건 (유속: 10.5 mL/분)을 사용해 수행하였다 (작업 당 12.5 mg):
분획 1: 69% 0.2 FA; 31% ACN; 2개 피크 검출됨 (1-1 및 1-2)
분획 2: 69% 0.2 FA; 31% ACN; 2개 피크 검출됨 (2-1 및 2-2)
분획 3: 69% 0.2 FA; 31% ACN; 3개 피크 검출됨 (3-1, 3-2 및 3-3)
분획 4/5: 67% 0.2 FA; 33% ACN; 1개 피크 검출됨 (4/5)
분획 6: 65% 0.2 FA; 35% ACN; 2개 피크 검출됨 (6-1 및 6-2)
다음의 샘플들의 순도 및 분량은 NMR 분석 및 구조 해석에 충분하였다: 피크 1-2, 2-1, 3-2, 4/5 및 6-1.
실시예 7.2: 화합물 1A 및 1B의 구조적 해석
분획 2의 피크 2-1로부터, 화합물 1A1B 의 혼합물(약 3:7의 비율)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α]D 25 = +20.9 (c = 0.6, DMSO-d6)).
주요 성분, 화합물 1B의 분자식 C47H78N10O12 m/z 975.5863 [M+H]+; ESI-MS: 975.6 (100%, [M+H]+), 488.4 (51%, [M+2H]2+)에서 피크를 제공하는 HR-ESI-MS 스펙트럼으로부터 추론되었다.
게다가, 혼합물은 또한 미량 성분으로서, 보다 가벼운 상동체 1A을 함유하였는데, 양쪽 화합물 간 질량 차이는 14 amu였다. 이러한 관찰은 m/z 961.6에서 ESI-MS 스펙트럼으로 관찰된 제2 피크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NMR 스펙트럼 (표 12)은 δ 6.83과 8.58 사이의 교환가능한 양성자의 신호이외에도, δ 166.0-174.5 범위에서 카보닐의 공명 및 δ 47.8과 δ 60.4 사이의 메틴 신호를 포함하여 펩티드를 의미하였다.
화합물 1B 의 1D- 및 2D-NMR 데이타의 광범위 분석은 티로신 (Tyr), 글루타민 (Gln), 알라닌 (Ala), 2개 트레오닌 (Thr1 및 Thr2) 및 이소루신 (Ile)을 포함하는 6개 아미노산의 존재를 밝혀주었다. 그들 서열은 아미드 기능에 걸쳐 2개 또는 3개 결합 상관관계를 사용하여 확인되었다. 따라서, COSY, NOESY (도 2) 및 HMBC (도 3) 스펙트럼은 δ 8.58에서 Thr2의 질소-양성자로부터 δ 3.84에서 Thr2의 메틴 양성자 신호 및 δ 166.7에서 Tyr의 카보닐까지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한편 동일한 상관관계가 δ 8.52에서 Tyr의 질소-양성자와 δ 2.60에서 Tyr의 메틸렌 양성자의 신호 및 δ 170.4에서 Ile의 카보닐 사이에서 확인되었다. 더 나아가서, δ 4.16에서 Ile의 메틴 수소는 δ 170.4에서 Ile의 카보닐 신호와 강력한 상관관계를 가졌고 δ 168.6에서 Thr1의 것과 약한 접촉이 있었으며; Thr1의 δ 5.30에서 β-메틴 양성자의 신호는 Ala의 δ 170.4에서 카보닐 신호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상기 언급된 상관관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것들은 Ala의 δ 7.27에서 N-양성자부터 동일한 아미노산의 δ 4.20에서의 메틴 양성자까지 전개되는 한편 이 후자의 양성자는 이의 아미노의 카보닐 및 Gln의 것과 동일한 상호작용을 가졌다. 그외에도, 크로스 피크가 Gln의 δ 8.20에서 교환가능한 양성자에서부터 Gln의 δ 3.87에서 메틴 수소 및 δ 170.6에서 Thr2의 카보닐까지 밝혀졌고; 이들 상기 언급된 데이타는 화합물 1B에 대한 시클로뎁시펩티드 구조를 의미하였다.
이러한 시클로뎁시펩티드 1B는 Thr1에 부착된 말단 구아니딘 β-히드록시 지방산을 함유하는데 핵심 상관관계가 δ 4.39에서 이의 α-메틴 양성자의 신호와 δ 171.9에서 카보닐의 공명 사이에 관찰되었기 때문이고; δ 171.9부터 카보닐부터 δ 2.35에서의 α-메틸렌 양성자 및 δ 3.77에서의 β-메틴 양성자까지의 HMBC 접촉을 비롯하여 δ 3.03에서의 메틸렌 양성자와 δ 157.2에서의 구아니딘 탄소 사이에서도 추가로 관찰되었다. 측쇄는 m/z 256.2에서 부모 [M+H]+ 이온의 APCI-MS-MS 스펙트럼에서 관찰된 단편 이온을 기반으로 β-히드록시와 구아니딘 기 사이에 12개 메틸렌 기를 함유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유사하게, 이 스펙트럼은 아미노산의 연결 서열을 확증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 화합물 1B의 구조를 해석하게 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도 4b).
1D- 및 2D-스펙트럼 중 2.80, 2.52/36.3에서 CH2 기의 신호는 아마도 화합물 1A에서 아스파라긴 (Asn)의 β-CH2 기에 해당되었다. 이러한 결론은 m/z 961.6에서 부모 피크의 MS/MS로부터 수득된 단편과 함께 보고된 데이타 (Heterocycles 53, 1533-1549, 2000)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도 4a). 유사하게, 후자는 양쪽 화합물에서 아미노산의 연속 서열을 확증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 1A1B의 구조를 해석하게 하는 정보 (도 4a, 4b)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7.3: 푸자리시딘 C 및 D로서 화합물 2A 및 2B의 구조적 동정
분획 1의 피크 1-2로부터, 화합물 2A2B의 혼합물 (약 1:1 비율)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보다 무거운 성분, 화합물 2B의 분자식은 저해상도 질량 분광법을 기반으로 C46H76N10O12 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NMR 데이타의 분석 (표 13)은 화합물 2B 를 푸자리시딘 D로 동정할 수 있게 하였다. 혼합물의 보다 가벼운 성분, 화합물 2A는 유사하게 푸자리시딘 C로서 동정되였고, 여기서 푸자리시딘 C의 Gln 잔기는 Asn으로 대체되어있다.
개별적으로, 화합물 2B2A에 대하여 m/z 961.6 및 947.6의 부모 이온의 질량 분광적 단편화 패턴 (도 5a, 5b)은 치환된 지방산 측쇄의 길이가 화합물 1B 에서와 동일하다는 것을 확증하였다. 푸자리시딘 C 및 D는 이전에 Kajimura 등이 보고한 바 있다 (J. Antibiot. 50, 220-228, 1997).
실시예 7.4: LI-F08b로서 화합물 3의 구조적 동정
분획 6의 피크 6-1로부터, 화합물 3 갈색 오일로서 단리되었고 이의 낮은 해상도는 m/z 925.6 [M+H]+ 에서 피크를 나타내었고, NMR 데이타 (표 14)와 조합하여 분자식 C44H80N10O11을 이끌어내었다. 화합물 3은 방향족 신호의 존재를 제외하고 NMR 스펙트럼에서 화합물 1B 및 화합물 2B (푸자리시딘 D)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표 14). 따라서, 펩티드의 특징적인 공명 즉 δ 6.89 내지 8.49에서 질소에 부착된 양성자의 10개 신호, δ 168.1 내지 174.3 범위에서 8개의 카보닐 공명, 및 δ 48.0 내지 59.5에 포함된 6개의 N-메틴 신호가 관찰되었다. HMQC, COSY 및 TOCSY 스펙트럼의 상세한 분석은 Gln, Thr의 2개 유닛, Ile의 2개 유닛 및 Ala을 포함한 6개 아미노산의 존재를 밝혀주었다. 더욱이, 이들 스펙트럼은 화합물 1A, 1B 및 푸자리시딘 C (2A) 및 D (2B)에서 처럼 말단 구아니딘을 갖는 동일한 β-히드록실 지방산에 기인하는 화학적 이동을 보여주었다. 이 측쇄의 위치는 Thr1의 δ 4.44에서 N-메틴의 양성자 신호와 지방산의 δ 172.1에서의 카보닐 신호 사이의 HMBC 스펙트럼 상에서 확인된 장거리 범위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결정되었다. 아미노산의 서열은 NOESY 상호작용 및 단편화 패턴으로부터 추론하였다 (도 6).
NMR 데이타 (표 14) 및 질량 분광법의 조합으로 대사산물 화합물 3을 LI-F08b로서 동정되게 하였고,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또한 푸자리시딘 LI-F08b라고 하며, Kuroda 등이 처음 보고하였었다 (Heterocycles 53, 1533-1549, 2000).
실시예 7.5: 개별적으로, LI-F06a 및 LI-F06b로서 화합물 4A 및 4B, 및 푸자리시딘 A 및 B로서 화합물 5A 및 5B의 구조적 동정
분획 4/5의 피크 4/5로부터, 2개의 추가 대사산물, 화합물 4A4B 의 혼합물(약 1:3 비율)이 수득되었고, ESI-MS 스펙트럼에서 m/z 897.5 (4A) 및 911.6 (4B)에서 2개 피크를 제공하여, 2개의 추가의 동종성 시클로뎁시펩티드를 시사하였다. 그들의 NMR 스펙트럼 (표 15)에서 펩티드를 의미하는 공명을 비롯하여 구아니딘 기로 종결된 β-히드록실 지방산의 것들이 관찰되었다. 화합물 4A4B (도 7a, 7b)에 대해 확인된 양쪽 부모 이온의 단편화 패턴은 아미노산의 서열을 결정하고 혼합물의 성분이 각각 LI-F06a (4A) 및 LI-F06b (4B)로서 동정되도록 하였다.
분획 3의 피크 3-2로부터 수득된, 화합물 5A5B의 혼합물 (약 1:3 비율)을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혼합물의 ESI 질량 스펙트럼은 m/z 883.6 (5A) 및 897.5 (5B)에서 2개 피크를 보여주었고 NMR 데이타 (표 16)와 함께 이들 부모 이온의 단편화 패턴 (도 8a, 8b)은 성분들을 푸자리시딘 A (5A) 및 푸자리시딘 B (5B)로서 동정될 수 있게 하였다. 4A, 4B, 5A 5B에 대해 확인된 데이타는 이전에 보고된 것들과 일치하였다 (J. Antibiot. 50, 220-228, 1997; Heterocycles 53, 1533-1549, 2000).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입체형태를 결정하기 위해 가수분해 실험은 수행하지 않았다.
실시예 8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에 의해 생산되는 대사산물
실시예 8.1: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에 의한 대사산물의 생산
일반적으로 푸자리시딘, 및 특히 푸자리시딘 A, B, C, D, LI-F06a, LI-F06b, LI-F08b, 1A1B 의 존재는 상기 실시예 7.1에서 기술된 절차 단계들에 따라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에 대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25
모든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전체 배양 브로쓰는 실시예 7에서 동정된 적어도 하나의 푸자리시딘을 함유하였다 (표 17). 이들 푸자리시딘 중 어떠한 것도 피. 페오리아에 균주 BD-62의 전체 배양 브로쓰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전체 배양 브로쓰는 모두 푸자리시딘 1A 1B를 함유하였다. 게다가,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의 전체 배양 브로쓰는 모두 푸자리시딘 A, B, C 및 D를 비롯하여 LI-F08b를 함유하였다. 또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및 Lu17015의 전체 배양 브로쓰는 푸자리시딘 LI-F06a 및 LI-F06b를 함유하였다.
푸자리시딘 1A 1B는 밀접하게 관련된 피. 페오리아에 균주 BD-62의 전체 배양 브로쓰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푸자리시딘 A, B, C 및 D, LI-F06a, LI-F06b 및 LI-F08b도 역시 피. 페오리아에 균주 BD-62의 전체 배양 브로쓰에 존재하지 않았다.
실시예 9: 다양한 진균 병원체에 대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에 의한 대사산물의 활성
수득된 푸자리시딘 A, B, D, 1A1B는 다음의 실험에서 사용되었다.
진균 성장 어세이는 병원체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CI, YBA [10 g 박토 펩톤 (Becton Dickinson 211677), 10 g 효모 추출물 (Becton Dickinson 212750), 20 g 소듐 아세테이트, 1000 mL까지 증류수 첨가]에 존재) 또는 알테르나리아 솔라니 (ALTESO, YBG [10g 박토 펩톤 (Becton Dickinson 211677), 10 g 효모 추출물 (Becton Dickinson 212750), 20 g 글리세린 99%, 1000 mL 까지 증류수]에 존재)의 포자 현탁액을 사용해 96웰 플레이트에서 수행하였다. 푸자리시딘 및 화합물 1A 및 1B를 DMSO에 용해시켜 희석시켰다. 60 μM에서 부터 아래로 0.3 μM까지 범위의 상이한 농도를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파이펫팅하였다. 104 포자/mL의 수현탁액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약 18℃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진균 성장은 포자의 접종 후 3 및 7일에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서 600 nm에서의 광학 밀도를 측정하여 결정하였고 미처리 대조군 (DMSO)과 비교하였다. 이후에 IC50 (진균 성장의 50% 억제에 필요한 개별 대사산물의 농도 [μM])을 결정하였다.
특히, 화합물 1A 및 1B가 0.4-0.6 μM의 IC50 값으로 최고의 항진균 효능을 보여주었다 (표 18).
Figure pct00026
또한, 온실 시험을 개별 병원체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CI), 알테르나리아 솔라니 (ALTESO),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IN), 파콥소라 파키리지 (PHAKPA) 및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럼 (GIBBZE)에 대해서 상기 사용예 5.1 내지 5.5에 기술된 바와 같이 푸자리시딘 1A 및 1B로 수행하였다. 잎에서 진균 공격 정도는 접종 후 5 내지 7일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화합물 1A 및 1B는 7.2 ppm 정도로 낮은 용량 수준에서 이미 작물 식물 상의 중요한 진균 질환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이었고, 푸자리시딘 A, B 및 D 보다 더 높은 항진균성 효능을 보여주였다 (표 19 내지 21).
Figure pct00027
실시예 10: 온실 시험에서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v. ssp. 플란타럼 M-1과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nov. ssp. 플란타럼 균주 Lu16674 및 Lu17007의 활성의 비교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Lu16674 및 M1의 6일 배양물로부터의 전체 배양 브로쓰를 사용예 3에 따라서 수득하였고 사용예 5.1 내지 5.5의 실험 셋업에서처럼 사용하였다. 온실 시험은 개별 병원체에 대해서 상기 사용예 5.1 내지 5.5에 기술된 대로 수행하였다. 잎에서 진균 공격 정도는 접종 후 5 내지 7일에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및 Lu17007은 높은 희석 인자에서도 작물 식물에 대해 중요한 진균 질환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이었고, 밀접하게 관련된 균주 M-1보다 더 높은 항진균 효능을 보였다 (표 22 내지 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실시예 11: 본 발명의 혼합물 및 조성물에 관한 실시예
활성 화합물은 디메틸 술폭시드 중 10000 ppm의 농도를 갖는 스톡 용액으로서 개별적으로 제제화하였다. 파에니바실러스 LU17007은 실험 제제로서 사용되었고 활성 화합물의 명시된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였다. 제품 피카부트라족스는 상업적 완성 제제로서 사용되었고 활성 화합물의 명시된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였다.
1.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시험에서 회색 곰팡이 보트리티스 시네레아에 대한 활성 (Botrci)
스톡 용액은 비율에 따라 혼합하였고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MTP) 상에 파이펫팅하였고 명시된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였다. 이후에 수성 바이오몰트 (biomalt) 또는 효모-박토펩톤-아세트산나트륨 용액 중 보트리티스 시네레아의 포자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18℃ 온도의 수증기-포화된 챔버에 위치시켰다. 흡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MTP를 접종 후 7일에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28에 도시하였다.
2.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시험에서 벼 도열병 피리큘라리아 오리자에 ( Pyricularia oryzae ) 에 대한 활성 (Pyrior)
스톡 용액을 비율에 따라 혼합하였고,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MTP) 상에 파이펫팅하였고 명시된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였다. 이후에 수성 바이오몰트 또는 효소-박토펩톤-글리세린 용액 중 피리큘라리아 오리자에의 포자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18℃ 온도에서 수증기-포화된 챔버에 위치시켰다. 흡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MTP는 접종 후 7일에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29에 표시하였다.
3. 셉토리아 트리티시에 의해 야기된 밀 잎마름병에 대한 활성 (Septtr)
스톡 용액은 비율에 따라 혼합하였고,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MTP) 상에 파이펫팅시켰고 명시된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였다. 이후에 수성 바이오몰트 또는 효모-박토펩톤-글리세린 용액 중 셉토리아 트리티시의 포자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18℃ 온도의 수증기-포화된 챔버에 위치시켰다. 흡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MTP를 접종 후 7일에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0에 표시하였다.
4. 알테르나리아 솔라니에 의해 야기된 겹무늬병에 대한 활성 (Alteso)
스톡 용액을 비율에 따라 혼합하였고,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MTP) 상에 파이펫팅하고 명시된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였다. 이후에 수성 바이오몰트 또는 효모-박토펩톤-글리세린 용액 중 알테르나리아 솔라니의 포자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18℃ 온도의 수증기-포화된 챔버에 위치시켰다. 흡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MTP를 접종 후 7일에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1에 표시하였다.
5. 렙토스파에리아 노도럼 ( Leptosphaeria nodorum )에 의해 야기된 밀 잎반점병에 대한 활성 (Leptno)
스톡 용액을 비율에 따라 혼합하고,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MTP) 상에 파이펫팅하였으며 명시된 농도까지 물로 희석하였다. 이후에 수성 바이오몰트 또는 효모-박토펩톤-글리세린 용액 중 렙토스파에리아 노도럼의 포자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18℃ 온도의 수증기-포화된 챔버에 위치시켰다. 흡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MTP를 접종 후 7일에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2에 표시하였다.
측정된 매개변수는 활성 화합물-무함유 대조군 변이체의 성장 (100%) 및 진균-무함유 및 활성 화합물-무함유 블랭크 값과 비교하여 개별 활성 화합물에서 병원체의 상대적 성장률 (%)을 결정하였다.
이들 백분율을 효능으로 전환시켰다.
Colby의 식을 사용한 기대 효능 (E Colby )의 계산
활성 화합물 조합의 기대 효능은 Colby의 식 (Colby, S.R. "Calculating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s of herbicide combinations", Weeds 15, pp. 20-22, 1967)을 사용해 결정하였고 계측된 효능과 비교하였다.
Colby의 식: EColby = PA + PB - PA * PB /100
EColby 농도 a 및 b의 활성 화합물 A 및 B의 혼합물을 사용할 때, 미처리된 대조군에 대한 %로 표시되는 기대 효능
PA 농도 a의 활성 화합물 A를 사용할 때, 미처리된 대조군에 대한 %로 표시되는 효능
PB 농도 b의 활성 화합물 B를 사용할 때, 미처리된 대조군에 대한 %로 표시되는 효능
상승작용 인자 (Synergy Factor (SF))의 계산
상승작용의 결정을 위해서, 혼합물의 관측된 실험 효능 Emeasured 과 혼합물의 기대 효능 Ecolby 사이의 상승작용 인자 (SF)는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SF = Emeasured / EColby
1 보다 크거나 또는 작은 상승작용 인자는 생물학적으로 2개 성분이 서로 함께 또는 서로에 대하여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독립적인 작용의 가정으로부터의 편차를 의미한다. SF > 1 인 경우, 상승작용이 관측되고; SF < 1 인 경우, 길항작용이 관측된다.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문헌들은 참조로 편입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화합물 1A, 1B, 2A, 2B, 3, 4A, 4B, 5A 5B.
도 2. 화합물 1B의 핵심 NOESY 및 COSY 상관관계.
도 3. 화합물 1B의 HMBC 상관관계.
도 4. a) 화합물 1A 및 b) 화합물 1B의 단편화 패턴.
도 5. a) 화합물 2A (푸자리시딘 C) 및 b) 화합물 2B (푸자리시딘 D)의 단편화 패턴.
도 6. 화합물 3 (LI-F08b)의 단편화 패턴.
도 7. a) 화합물 4A (LI-F06a) 및 b) 화합물 4B (LI-F06b)의 단편화 패턴.
도 8. a) 화합물 5A (푸자리시딘 A) 및 b) 화합물 5B (푸자리시딘 B)의 단편화 패턴.
도 9는 다중 서열 정렬 이후 관련 분류군과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완전한 16S rDNA 서열의 동일성 백분율을 보여준다.
범례: * 균주 번호: 1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2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15; 3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4 =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Paenibacillus peoriae) NRRL BD-62; 5 = 파에니바실러스 아나에리카너스(Paenibacillus anaericanus) MH21; 6 = 파에니바실러스 브라실리엔시스 (Paenibacillus brasiliensis) PB172; 7 = 파에니바실러스 캄피나센시스 (Paenibacillus campinasensis) 324; 8 = 파에니바실러스 치벤시스 (Paenibacillus chibensis) JCM 9905; 9 = 파에니바실러스 글루카노라이티커스 (Paenibacillus glucanolyticus) DSM 5162; 10 = 파에니바실러스 후나넨시스 (Paenibacillus hunanensis) FeL05; 11 = 파에니바실러스 자밀라에 (Paenibacillus jamilae) CECT 5266; 12 = 파에니바실러스 크리벤시스 (Paenibacillus kribbensis) AM49; 13 = 파에니바실러스 락티스 (Paenibacillus lactis) MB 1871; 14 = 파에니바실러스 라우터스 (Paenibacillus lautus) JCM 9073; 15 = 파에니바실러스 마세란스 (Paenibacillus macerans) IAM 12467; 16 = 파에니바실러스 마실리엔시스 (Paenibacillus massiliensis) 2301065; 17 = 파에니바실러스 파불리 (Paenibacillus pabuli) HSCC 492; 18 =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DSM 8320 (BD-57); 19 = 파에니바실러스 피니 (Paenibacillus pini) S22; 20 =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IAM 13419; 21 = 파에니바실러스 푸리스파티이 (Paenibacillus purispatii) ES_MS17; 22 = 파에니바실러스 세디미니스 (Paenibacillus sediminis) GT-H3; 23 = 파에니바실러스 테라에 (Paenibacillus terrae) AM141; 24 = 파에니바실러스 테리게나 (Paenibacillus terrigena) A35; 25 = 파에니바실러스 티모넨시스 (Paenibacillus timonensis) 2301032; 26 = 파에니바실러스 투리센시스 (Paenibacillus turicensis) MOL722; 27 = 파에니바실러스 울리기니스 (Paenibacillus uliginis) N3/975; 28 = 코넬라 써모톨러란스 (Cohnella thermotolerans) CCUG 47242. 균주 6 내지 28은 개별 종에 대한 표준 균주이다.
균주 Lu16774, Lu17007 및 Lu17015와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NRRL BD-62 및 DSM 8320)의 유사성은 굵은체로 표시하였다.
도 10은 다른 분류군 (도 9)과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16S-rDNA 서열의 동일성%로부터 계산된 계통학적 계통도를 도시한다. 계통수의 뿌리는 분석에 코넬라 써모톨러란스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포함시켜 결정하였다. 계통도 아래의 기준자는 100개 뉴클레오티드 당 1개 뉴클레오티드 치환을 의미한다.
도 11은 리보프린터 미생물 특징규명 시스템 (RiboPrinter Microbial Characterization System)을 사용하여 밀접하게 관련된 피. 페오리아에 균주 BD-62의 샘플과 비교한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샘플로부터 수득된 리보프린트 패턴 및 그로부터 생성된 계통발생적 계통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중 서열 정렬 이후, 관련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와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dnaN 유전자의 DNA 서열의 동일성 백분율을 도시한다.
범례: * 균주 번후: 1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2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3 =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15; 4 = 피. 페오리아에 DSM 8320T = KCTC 3763T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AGFX00000000; J. Bacteriol. 194, 1237-1238, 2012); 5 = 피. 폴리믹사 1-43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ASRZ01000000; 기탁 번호 GCMCC 4965; CN 102352332 B); 6 = 피. 폴리믹사 A18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JWJJ00000000.1; NCBI 프로젝트 ID 225496); 7 = 피. 폴리믹사 ATCC 842T = DSM 36T = KCTC 3858T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AFOX00000000; J. Bacteriol. 193(18), 5026-5027, 2011); 8 = 피. 폴리믹사 CF05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CP009909; Genome Announc 3(2):e00198-15. Doi:10.1128/genomeA.00198-15); 9 = 피. 폴리믹사 CICC 10580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JNCB00000000; Genome Announc. 2(4):e00854-14. doi:10.1128/genomeA.00854-14); 10 = 피. 폴리믹사 DSM 365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JMIQ00000000; J. Biotechnol. 195, 72-73, 2015); 11 = 피. 폴리믹사 E681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CP000154; GenomeNet Ref Seq NC_014483.2; J. Bacteriol. 192(22), 6103-6104, 2010); 12 = 피. 폴리믹사 M-1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HE577054.1; GenomeNet Ref Seq NC_017542.1); 13 = 피. 폴리믹사 NRRL B-30509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JTHO00000000; Genome Announc. 2015 Mar-Apr; 3(2): e00372-15); 14 = 피. 폴리믹사 SC2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CP002213; J. Bacteriol. 193 (1), 311-312, 2011); 15 = 피. 폴리믹사 SQR-21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CP006872; GenomeNet Ref Seq NZ_CP006872.1; Genome Announc. 2014 Mar-Apr; 2(2): e00281-14); 16 = 피. 폴리믹사 Sb3-1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CP010268; Genome Announc. 2015 Mar-Apr; 3(2): e00052-15); 17 = 피. 폴리믹사 TD94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ASSA00000000); 17 = 피. 폴리믹사 WLY78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ALJV00000000); 피. 테라에 HPL-003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CP003107; NCBI 참조 서열 NC_016641.1); 피. 폴리믹사 CR1 (유전자은행 수탁 번호 CP006941; Genome Announc. 2014 Jan-Feb; 2(1): e01218-13).
도 13은 다중 서열 정렬 이후, 관련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에 대한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완전한 gyrB 유전자의 DNA 서열의 동일성 백분율을 도시한다. 균주 번호는 도 12의 범례에 기술되어 있다.
도 14는 다중 서열 정렬 이후, 관련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에 대한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완전한 recF 유전자의 DNA 서열의 백분율 동일성을 도시한다. 균주 번호는 도 12의 범례에 기술되어 있다.
도 15는 다중 서열 정렬 이후, 관련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에 대한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완전한 recN 유전자의 DNA 서열의 동일성 백분율을 도시한다. 균주 번호는 도 12의 범례에 기술되어 있다.
도 16은 다중 서열 정렬 후 관련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에 대한 본 발명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완전한 rpoA 유전자의 DNA 서열의 동일성 백분율을 도시한다. 균주 번호는 도 12의 범례에 기술되어 있다.
도 17 은 피. 폴리믹사 복합체의 균주의 완전한 dnaN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최대 공산 계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0.1의 기준자는 1% 뉴클레오티드 교환에 상응된다.
도 18은 피. 폴리믹사 복합체의 균주의 완전한 gyrB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최대 공산 계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0.1의 기준자는 1% 뉴클레오티드 교환에 상응된다.
도 19는 피. 폴리믹사 복합체의 균주의 완전한 recF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최대 공산 계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0.1의 기준자는 1% 뉴클레오티드 교환에 상응된다.
도 20은 피. 폴리믹사 복합체의 균주의 완전한 recN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최대 공산 계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0.1의 기준자는 1% 뉴클레오티드 교환에 상응된다.
도 21은 피. 폴리믹사 복합체의 균주의 완전한 rpoA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최대 공산 계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0.1의 기준자는 1% 뉴클레오티드 교환에 상응된다.
도 22는 실시예 2.5에 따라서 수행된 피. 폴리믹사 복합체의 대표적인 게놈의 아미노산 지수 (AAI) 매트릭스를 도시한다. 균주 번호는 도 12의 범례에 기술되어 있다.
독일 생물 자원 센터 (DSMZ) DSM26969 20130220 독일 생물 자원 센터 (DSMZ) DSM26970 20130220 독일 생물 자원 센터 (DSMZ) DSM26971 20130220
<110> BASF SE <120> Paenibacillus strains <130> 160069 <150> EP16154807.8 <151> 2016-02-09 <160> 18 <170> BiSSAP 1.2 <210> 1 <211> 1539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539)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6774 complete 16S rDNA" /mol_type="other DNA" <220> <221> unsure <222> (37)..(58) <400> 1 tttgatcctg gctcaggacg aacgctggcg gcgtgcntaa tacatgcaag tcgagcgngn 60 ttatntagaa gcttgcttct anaattncna gcggcggacg ggtgagtaac acgtaggcaa 120 cctgcccaca agacagggat aactaccgga aacggtagct aatacccgat acatcctttt 180 cctgcatggg agaaggagga aagncggagc aatctgtcac ttgtggatgg gcctgcggcg 240 cattagctag ttggtggggt aanggcctac caaggcgacg atgcgtagcc gacctgagag 300 ggtgatcggc cacactggga ctgagacacg gcccagactc ctacgggagg cagcagtagg 360 gaatcttccg caatgggcga aagcctgacg gagcaacgcc gcgtgagtga tgaaggtttt 420 cggatcgtaa agctctgttg ccagggaaga acgtcttgta gagtaactgc tacaagagtg 480 acggtacctg agaagaaagc cccggctaac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540 gggcaagcgt tgtccggaat tattgggcgt aaagcgcgcg caggcggctc tttaagtctg 600 gtgtttaatc ccgaggctca acttcgggtc gcactggaaa ctggngagct tgagtgcaga 660 agaggagagt ggaattccac gtgtagcggt gaaatgcgta gagatgtgga ggaacaccag 720 tggcgaaggc gactctctgg gctgtaactg acgctgaggc gcgaaagcgt ggggagcaaa 780 caggattaga taccctggta gtccacgccg taaacgatga atgctaggtg ttaggggttt 840 cgataccctt ggtgccgaag ttaacacatt aagcattccg cctggggagt acggtcgcaa 900 gactgaaact caaaggaatt gacggggacc cgcacaagca gtggagtatg tggtttaatt 960 cgaagca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cct ctgaccggtc tagagatagn 1020 cctttccttc gggacagagg a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1080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gct tagttgccag caggtcaagc 1140 tgggcactct aagcagactg ccggtgacaa accggaggaa ggtggggatg acgtcaaatc 1200 atcatgcccc ttatgacctg ggctacacac gtactacaat ggccggtaca acgggaagcg 1260 aagncgcgag gtggagccaa tcctagaaaa gccggtctca gttcggattg taggctgcaa 1320 ctcgcctaca tgaagtcgga attgctagta atcgcggatc agcatgccgc ggtgaatacg 1380 ttcccgggtc ttgtacacac cgcccgtcac accacgagag tttacaacac ccgaagtcgg 1440 tgaggtaacc gcaaggngcc agccgccgaa ggtggggtag atgattgggg tgaagtcgta 1500 acaaggtagc cgtatcggaa ggtgcggctg gatcacctc 1539 <210> 2 <211> 1545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545)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sp. plantarum" /note="Strain Lu17007 complete 16S rDNA" /mol_type="other DNA" <220> <221> unsure <222> (58)..(60) <400> 2 tttgatcctg gctcaggacg aacgctggcg gcgtgcctaa tacatgcaag tcgagcgngn 60 ttatntagaa gcttgcttct anataancta gcggcggacg ggtgagtaac acgtaggcaa 120 cctgcccaca agacagggat aactaccgga aacggtagct aatacccgat acatcctttt 180 cctgcatggg agaaggagga aagacggagc aatctgtcac ttgtggatgg gcctgcggcg 240 cattagctag ttggtggggt aawggcctac caaggcgacg atgcgtagcc gacctgagag 300 ggtgatcggc cacactggga ctgagacacg gcccagactc ctacgggagg cagcagtagg 360 gaatcttccg caatgggcga aagcctgacg gagcaacgcc gcgtgagtga tgaaggtttt 420 cggatcgtaa agctctgttg ccagggaaga acgtcttgta gagtaactgc tacaagagtg 480 acggtacctg agaagaaagc cccggctaac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540 gggcaagcgt tgtccggaat tattgggcgt aaagcgcgcg caggcggctc tttaagtctg 600 gtgtttaatc ccgaggctca acttcgggtc gcactggaaa ctggngagct tgagtgcaga 660 agaggagagt ggaattccac gtgtagcggt gaaatgcgta gagatgtgga ggaacaccag 720 tggcgaaggc gactctctgg gctgtaactg acgctgaggc gcgaaagcgt ggggagcaaa 780 caggattaga taccctggta gtccacgccg taaacgatga atgctaggtg ttaggggttt 840 cgataccctt ggtgccgaag ttaacacatt aagcattccg cctggggagt acggtcgcaa 900 gactgaaact caaaggaatt gacggggacc cgcacaagca gtggagtatg tggtttaatt 960 cgaagcaacg cgaagaacct taccaggtct tgacatccct ctgaccggtc tagagatagn 1020 cctttccttc gggacagagg agacaggtgg tgcatggttg tcgtcagctc gtgtcgtgag 1080 atgttgggtt aagtcccgca acgagcgcaa cccttatgct tagttgccag caggtcaagc 1140 tgggcactct aagcagactg ccggtgacaa accggaggaa ggtggggatg acgtcaaatc 1200 atcatgcccc ttatgacctg ggctacacac gtactacaat ggccggtaca acgggaagcg 1260 aagccgcgag gtggagccaa tcctagaaaa gccggtctca gttcggattg taggctgcaa 1320 ctcgcctaca tgaagtcgga attgctagta atcgcggatc agcatgccgc ggtgaatacg 1380 ttcccgggtc ttgtacacac cgcccgtcac accacgagag tttacaacac ccgaagtcgg 1440 tgaggtaacc gcaaggagcc agccgccgaa ggtggggtag atgattgggg tgaagtcgta 1500 acaaggtagc cgtatcggaa ggtgcggctg gatcacctcc tttct 1545 <210> 3 <211> 1547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547) <223> /organism="Paenibacillus epiphyticus" /note="Strain Lu17015 complete 16S rDNA" /mol_type="other DNA" <220> <221> unsure <222> (68)..(87) <400> 3 tgagtttgat cctggctcag gacgaacgct ggcggcgtgc ctaatacatg caagtcgagc 60 ggggttgntt agaagcttgc ttctaancaa cctagcggcg gacgggtgag taacacgtag 120 gcaacctgcc cacaagacag ggataactac cggaaacggt agctaatacc cgatacatcc 180 ttttcctgca tgggagaagg aggaaagacg gagcaatctg tcacttgtgg atgggcctgc 240 ggcgcattag ctagttggtg gggtaaaggc ctaccaaggc gacgatgcgt agccgacctg 300 agagggtgat cggccacact gggactgaga cacggcccag actcctacgg gaggcagcag 360 tagggaatct tccgcaatgg gcgaaagcct gacggagcaa cgccgcgtga gtgatgaagg 420 ttttcggatc gtaaagctct gttgccaggg aagaacgtct tgtagagtaa ctgctacaag 480 agtgacggta cctgagaaga aagccccggc taactacgtg ccagcagccg cggtaatacg 540 tagggggcaa gcgttgtccg gaattattgg gcgtaaagcg cgcgcaggcg gctctttaag 600 tctggtgttt aatcccgagg ctcaacttcg ggtcgcactg gaaactgggg agcttgagtg 660 cagaagagga gagtggaatt ccacgtgtag cggtgaaatg cgtagatatg tggaggaaca 720 ccagtggcga aggcgactct ctgggctgta actgacgctg aggcgcgaaa gcgtggggag 780 caaacaggat tagataccct ggtagtccac gccgtaaacg atgaatgcta ggtgttaggg 840 gtttcgatac ccttggtgcc gaagttaaca cattaagcat tccgcctggg gagtacggtc 900 gcaagactga aactcaaagg aattgacggg gacccgcaca agcagtggag tatgtggttt 960 aattcgaagc aacgcgaaga accttaccag gtcttgacat ccctctgacc ggtctagaga 1020 tagncctttc cttcgggaca gaggagacag gtggtgcatg gttgtcgtca gctcgtgtcg 1080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ta tgcttagttg ccagcaggtc 1140 aagctgggca ctctaagcag actgccggtg acaaaccgga ggaaggtggg gatgacgtca 1200 aatcatcatg ccccttatga cctgggctac acacgtacta caatggccgg tacaacggga 1260 agcgaaatcg cgaggtggag ccaatcctag aaaagccggt ctcagttcgg attgtaggct 1320 gcaactcgcc tacatgaagt cggaattgct agtaatcgcg gatcagcatg ccgcggtgaa 1380 tacgttcccg ggtcttgtac acaccgcccg tcacaccacg agagtttaca acacccgaag 1440 tcggtggggt aacccgcaag ggagccagcc gccgaaggtg gggtagatga ttggggtgaa 1500 gtcgtaacaa ggtagccgta tcggaaggtg cggctggatc acctcct 1547 <210> 4 <211> 1143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143)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6774 dnaN" /mol_type="DNA" <400> 4 atgaagatta gcattctgaa aaacgttttg aacgaggcca tacaacatgt atccaaagcg 60 atatccagtc gaacgacaat tccaattttg agtggtatta agctggatgt gaatcaccag 120 ggagtcacac tgaccgccag cgatacagac atctctattc aatcctttat tccgatggag 180 gatggtgacc aaacggtcgt tcagatcgaa caacccggca gtgtagtgct acccgctaaa 240 ttctttgtcg aaattatcaa aaagttgccg tctcaggaga tccgtatgga ggtaaaagac 300 caattccaaa cctttatctc atccggtgct actgaaattc agatcgttgg tttggaccct 360 gaagaatttc cggtgcttcc caacattgaa gaaaatcaag tgatctctgt gccaggtgat 420 ttgcttaaaa atatgattaa acagacggta ttctccatct ctacccatga aacgacacct 480 attttgactg gtgtattgtg gaatctggct gagggcgaat tgaaatttgt cgcaacggac 540 cgccaccgcc ttgccacccg cagcgctcat ttggagacgt ctgaaggctt gcgttttagc 600 aatgttgtca ttgcaggcaa aacgctcaat gagctgagca gaattattcc ggatcaaaat 660 atgcttgtgg atatcgtcgt agcggacaat caggtattat ttaaggtgga tcgcgtgtta 720 ttttactctc gcatcttgga cggcacctat cctgatactt ctagaattat tccgacttcc 780 tacaaaacag aactgattgt ggacacaaaa agtttgagcg agtctattga ccgtgcttat 840 ttgctgtccc gtgaggaaaa aacgaatatt gtaaaaatgc aatcgttgga aaacggtgat 900 ctagagattt cctccagctc atctgaactt ggtaaagtgc gtgaggaagt aaatgtatcc 960 aaatttgagg gagagccact caaaatctcg ttcaactcca aatatatgct cgacgtgctg 1020 aaggtaattg acagcgagca gctgacgatt gcttttaccg gcattatgag ccccattatt 1080 ttaaaaccgg cagattccag caatgcgctg tatatcatcc tgccatatcg cacaaccaac 1140 tag 1143 <210> 5 <211> 1980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980)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6774 gyrB" /mol_type="DNA" <400> 5 atggtcgaca aaatcgactt gtctgcggga gcttccggta cacagaacgg agcttcagaa 60 tatggcgcgg acgacattca agtgctcgaa gggcttgtgg cagttcgcaa acggccgggc 120 atgtacatcg ggagcaccag ttcttcggga ctgcatcatt tggtatggga aattgtagac 180 aacgcggtgg atgaacatct cgccaagttt tgctctcgca ttgatatcac aatgcataag 240 gacggttctg ttacagtatc agacaacggg cgcggtattc ctacgggaat gcacaaaatg 300 ggaattccta cgcctcaagt tgtattcacc attttgcacg ccggaggtaa gtttggcggt 360 tcgggatata aaaagtccgg gggtctgcat ggggtaggtg cgtctgtaac gaacgctctt 420 tcggaatggc ttgaagtgga aatctaccgg gacggcaaga ttcaccgtca gcggtttgaa 480 tattggcagg acaagaaggg cgtggagcat gtcggtgaac cgaccacagg ccttgaagtg 540 ctgggcaata ctaacaagac gggctcgaaa attacattta aaccggatat tcgcgttttt 600 cagtcaggaa ttcattttaa ctacgatacg ctggctgaac gccttcagga gattgctttt 660 ctgaattccg gccttcgtat tcagcttaaa gacgaacgca gcggaaagtc agatgaatat 720 ttttatgagg gtggagcaag tcagtttgtt tcttttttga atgagggtaa ggatgtactg 780 catgatgtta ttcactttaa tgccgagaaa gaagacattg aagtggagat tgccatccaa 840 tacaatgccg gctacacaga gacgattgct tcgttcgtta actccattcc gacacgtggc 900 gggggtacgc atgaaacagg cttcaaaacc gcttacactc gtatcatgaa cgactatgca 960 cgcaaaacag cgatgttgaa ggaaaaggat aaaaacctgg aaggtaacga tctgcgtgag 1020 ggtatgatgg ctgtaatcag tgtcaagatg gccgaggttg aatttgtcgg tcagacaaaa 1080 gatcagctgg gtagtgcttc ggcgcggagt acagtggatg ccatcgtatc tgaacaaatg 1140 cagcgctttt tggaggaaaa tccacagata gcgcaaacct tgatcagaaa ggcagttcaa 1200 gcatccaaag cgcgtgaagc tgcacgtaag gctcgggacg aaatgcgttc tggcaagaaa 1260 cgcagtgaaa gttctaattt gaatggcaaa ctgtcgcctg cgcagtctaa ggattttaca 1320 cgtaatgagt tatttatcgt ggaaggcgat tcggctggag gatcggccaa acaaggacgg 1380 gattccaaaa tccaggcaat tttgccgtta aagggcaagc cgatgaatcc ggaaaaatca 1440 aagttggcgg atattatgaa aaatgatgag tatcgtgcga ttacggcagc gattggcgcg 1500 ggggtaggaa ctgagttcac gctggaagac agcaattatt ccaaaatcat cattatgacc 1560 gatgcagata cagatggcgc gcacattcaa gtactgttgt tgacgttctt ttatcggtac 1620 atgaaagaac tcattgatgc aggacgcata tttattgctc agccgccatt gtataaaata 1680 acccgcaagt cgggtaagct cgaaacggtt cgttatgcct ggactgacga gcagcttgat 1740 aattacttaa aagaatttgg acgaaatttt gagcttcaac gttataaagg actcggggag 1800 atgaaccctg atcagttatg ggaaacgaca atgaatcccg agtcacgcac cctgttgcgc 1860 gttcagattg aggatgctgc caaagctgaa cgccgtgtgt ccacattgat gggtgataag 1920 gtggatccac gtaagcgctg gatcgtggaa aacgtggatt tcacggaata cgtagagtag 1980 1980 <210> 6 <211> 1116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116)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6774 recF" /mol_type="DNA" <400> 6 gtgtttgtga acaacattgt tttgcagcag taccggaact ataaacagct ggagctgaat 60 gaattcgggc ccgttaattt gctgatcgga caaaatgcgc aaggcaaaac gaatctggtt 120 gaggcgattt ttgtattagc cttaactaaa agtcaccgaa cgtcccgtga caaggaatta 180 atttctttcg gggctacttc cacacatcta gctgctgatg tggataagaa atacgggaaa 240 atcagattgg atctctcgtt atccacacaa ggcaaaaaag caaagatcaa cgggctagag 300 cagcgaaagc tgagcgattt tatcggttcg ttaaacgtgg tcatgtttgc gcccgaggat 360 ctggaaattg tcaaaggaac accgggggtt cgccgccggt ttcttgacat ggaaattgga 420 caagttgcgc caggatattt gtatcatttg cagcaatatc agaaagtgct ggttcagcgg 480 aataacctgc tcaagcaagc ttgggggaaa gatatggcgt ccgtgcagct gatgctggag 540 gtatggaatg agcaacttgt tgagcatggt gttaaaattg taaaaaagcg gaaacaattt 600 ataacaaagc tacaaaagtg ggcccaagcc attcatgaag ggattgcagg tgggacagaa 660 gagttaaaat tagcctatgt tccctctttc ggtgagccag aggaagaaga tgaagctgtc 720 ttattggagc gatttatgat aaagttatcc caaatgaggg aacaggaaat ccgccgtggc 780 atgactttgg cgggacccca tcgtgatgat ttggcctttg ccattaacgg cagagaagtg 840 catacgtatg gctctcaggg gcagcagcgg acgacggccc tgtctttgaa gctggccgaa 900 atagaattaa ttcatgagga aattggggag tatcctatcc tgctgctgga tgatgtattg 960 tccgagctgg acccctatcg tcagactcag ctgatcgaga ctttccaaag caaggtacag 1020 acctttatca cggcaaccgg gattgagacg ttgaacgcag aacgacttaa gggtgcccat 1080 atttatcacg tccacgacgg gcatgtggaa cactaa 1116 <210> 7 <211> 1719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719)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6774 recN" /mol_type="DNA" <400> 7 atgctggtca ctttgtctat acggaatttg gcagtcgtag aagctgtcga tgttcatttt 60 tataaaggat ttcatgtatt gagcggagaa actggtgctg gtaaatccat tattatcgac 120 gcacttgggc tgattgcggg cggcagggga tctgctgatc tagtgcgtta cggatgtgat 180 aaagccgaaa tggaagcctt gtttgaattg ccggtcaaac atcccgtttg gaatacgttg 240 gaggaacaag ggattaaggc taatccagaa gagcatttgc tgattcgtcg agaacttaca 300 gttcagggga aaagctcatc tcgaattaac ggtcagatgg ttaatttaac gatgctgcgt 360 gaggtaggtg agcaactcgt taatatccac gggcagcatg agcatcaaag cttgctgcgt 420 gcggatcgcc atcttgcgct gctggatacg ttcggtgact cggtcattgg tccagtcaaa 480 gcgctttacc gggagcgcta caatgctttt gtcaaagcgg aaaaagaagt aagagaattg 540 caaagctcca gtcaaaaggc ttatcagcta ttggacatgt atcgcttcca attggaagag 600 atcgctgcgg cggagttaaa attgggtgaa gatgaattat tggcagagga acgggtcaag 660 ctatcccata gtgagaaaat gatggatgga gtatcaggag catacgagct gttaagtggc 720 agaggtggtc tggatacggt caataacgtg ttgtccagat taaatgatgt tcagagctac 780 gacagtaaaa gccttcagcc cattgcggag cagattcaat ctgctttcta tcagttggag 840 gatgcagcgt ttcaattacg ctcttatcgt gaggatattg aatttaatcc gggcaagctg 900 catgaggtgg agcaacgttt gaatcaaatt accgggttac agcgaaaata tggtgatagt 960 atagagcaga ttttggaata ctatagccgt attgagcagg aaaccgatct gttggaaaat 1020 aaagatgagc ggctggagca gctcattgca aagcgggatg agttgctttc gaatttgctg 1080 gagattgctg aagagcttac agaggcacgt gaaatttgtg ctgaagagct tgcagagcaa 1140 gtagagcagg aattaaaaga tcttcaaatg gaaagaacgt cactcaaggt gcgtattgat 1200 ccaattgaag atccacgtgg atatgaatat aaaggtctaa aggtacgacc taccaagcaa 1260 gggatagata atgcggaatt tctgatttcg cccaatccag gtgagccact tcgcccactc 1320 ggtaaaatcg cttccggtgg tgagttatca cgtatcatgt tggcgatgaa aagtattttt 1380 gcgcgtcatg atcaaattcc ggtgctcatt tttgacgagg tggataccgg ggtaagtggt 1440 cgtgcagctc agtccatagc cgagaagctt tatcgtttgt cttccgtttg tcaggtgttt 1500 tccattactc atttgccgca ggtggcatgt atggcagatc atcagtacct gattgagaaa 1560 aatgttcatg acggacggac catgactcaa attgagggac taacggagga aggtcgtgtt 1620 aaggaattgg cacggatgct gggtggggta gaaattaccg aaaaaacatt gcatcacgca 1680 caggaaatgc tgaatttggc ggaaggaaag aaagcctga 1719 <210> 8 <211> 945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945)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6774 rpoA" /mol_type="DNA" <400> 8 gtgatagaaa tcgaaaagcc gaaaattgag acggttgacg tcaatgatga tggcacctat 60 ggaaaattcg tagtagaacc gctggaacgc ggatacggta cgacgcttgg gaactcgctt 120 cgccgtattc tgttatcctc gttaccgggg gcagcagtca catcggttca gatcgatggg 180 gttctgcacg agtttgcaac ggttcccggt gtgaaggaag acgtaacgga gatcattctg 240 aacttgaaag ctttatcgct taaaatccac tcagatgaag agaaagtact tgaaatcgat 300 gcggaaggcg aaggagttgt aacggcaggt gatatccgtg cggatagtga tgtggaaatt 360 cttaatccgg atcttcacat tgcaacgctc ggaccgggtt cgagacttca catgcgtatt 420 tttgccaatc gcggtcgcgg ttacgttaag caggatcgga ataaacgtga tgaccagccg 480 atcggcgtca ttcccgtcga ctccatctac actccgattg cacgcgtgaa ctacggcgta 540 gaaaatacgc gtgtcggcca ggttacgaat tatgacaagc tgacacttga ggtttggact 600 gacggaacta ttcgtcctga agaagctgtg agccttggag ccaaaatttt gaccgagcat 660 gtgatgctat tcgtgggtct cacggatgaa gcaaaagatg cagaaattat ggtcgaaaaa 720 gaagaagaca aaaaagaaaa agttcttgaa atgacgatcg aagagctgga tctctccgtc 780 cgttcctata actgccttaa gcgcgctggt atcaatacgg tacaagaact cacgactaaa 840 tctgaagaag atatgatgaa ggtccgtaac ttgggtcgca aatctttgga agaagtacaa 900 gagaagctcg aggaacttgg tttaggactt cgtacggaag aatag 945 <210> 9 <211> 1143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143)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7007 dnaN" /mol_type="DNA" <400> 9 atgaagatta gcattctgaa aaacgttttg aacgaggcca tacaacatgt atccaaagcg 60 atatccagtc gaacgacaat tccaattttg agtggtatta agctggatgt gaatcaccag 120 ggagtcacac tgaccgccag cgatacagac atctctattc aatcctttat tccgatggag 180 gatggtgacc aaacggtcgt tcagatcgaa caacccggca gtgtagtgct acccgctaaa 240 ttctttgtcg aaattatcaa aaagttgccg tctcaggaga tccgtatgga ggtaaaagac 300 caattccaaa cctttatctc atccggtgct actgaaattc agatcgttgg tttggaccct 360 gaagaatttc cggtgcttcc caacattgaa gaaaatcaag tgatctctgt gccaggtgat 420 ttgcttaaaa atatgattaa acagacggta ttctccatct ctacccatga aacgacacct 480 attttgactg gtgtattgtg gaatctggct gagggcgaat tgaaatttgt cgcaacggac 540 cgccaccgcc ttgccacccg cagcgctcat ttggagacgt ctgaaggctt gcgttttagc 600 aatgttgtca ttgcaggcaa aacgctcaat gagctgagca gaattattcc ggatcaaaat 660 atgcttgtgg atatcgtcgt agcggacaat caggtattat ttaaggtgga tcgcgtgtta 720 ttttactctc gcatcttgga cggcacctat cctgatactt ctagaattat tccgacttcc 780 tacaaaacag aactgattgt ggacacaaaa agtttgagcg agtctattga ccgtgcttat 840 ttgctgtccc gtgaggaaaa aacgaatatt gtaaaaatgc aatcgttgga aaacggtgat 900 ctagagattt cctccagctc atctgaactt ggtaaagtgc gtgaggaagt aaatgtatcc 960 aaatttgagg gagagccact caaaatctcg ttcaactcca aatatatgct cgacgtgctg 1020 aaggtaattg acagcgagca gctgacgatt gcttttaccg gcattatgag ccccattatt 1080 ttaaaaccgg cagattccag caatgcgctg tatatcatcc tgccatatcg cacaaccaac 1140 tag 1143 <210> 10 <211> 1980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980)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7007 gyrB" /mol_type="DNA" <400> 10 atggtcgaca aaatcgactt gtctgcggga gcttccggta cacagaacgg agcttcagaa 60 tatggcgcgg acgacattca agtgctcgaa gggcttgtgg cagttcgcaa acggccgggc 120 atgtacatcg ggagcaccag ttcttcggga ctgcatcatt tggtatggga aattgtagac 180 aacgcggtgg atgaacatct cgccaagttt tgctctcgca ttgatatcac aatgcataag 240 gacggttctg ttacagtatc agacaacggg cgcggtattc ctacgggaat gcacaaaatg 300 ggaattccta cgcctcaagt tgtattcacc attttgcacg ccggaggtaa gtttggcggt 360 tcgggatata aaaagtccgg gggtctgcat ggggtaggtg cgtctgtaac gaacgctctt 420 tcggaatggc ttgaagtgga aatctaccgg gacggcaaga ttcaccgtca gcggtttgaa 480 tattggcagg acaagaaggg cgtggagcat gtcggtgaac cgaccacagg ccttgaagtg 540 ctgggcaata ctaacaagac gggctcgaaa attacattta aaccggatat tcgcgttttt 600 cagtcaggaa ttcattttaa ctacgatacg ctggctgaac gccttcagga gattgctttt 660 ctgaattccg gccttcgtat tcagcttaaa gacgaacgca gcggaaagtc agatgaatat 720 ttttatgagg gtggagcaag tcagtttgtt tcttttttga atgagggtaa ggatgtactg 780 catgatgtta ttcactttaa tgccgagaaa gaagacattg aagtggagat tgccatccaa 840 tacaatgccg gctacacaga gacgattgct tcgttcgtta actccattcc gacacgtggc 900 gggggtacgc atgaaacagg cttcaaaacc gcttacactc gtatcatgaa cgactatgca 960 cgcaaaacag cgatgttgaa ggaaaaggat aaaaacctgg aaggtaacga tctgcgtgag 1020 ggtatgatgg ctgtaatcag tgtcaagatg gccgaggttg aatttgtcgg tcagacaaaa 1080 gatcagctgg gtagtgcttc ggcgcggagt acagtggatg ccatcgtatc tgaacaaatg 1140 cagcgctttt tggaggaaaa tccacagata gcgcaaacct tgatcagaaa ggcagttcaa 1200 gcatccaaag cgcgtgaagc tgcacgtaag gctcgggacg aaatgcgttc tggcaagaaa 1260 cgcagtgaaa gttctaattt gaatggcaaa ctgtcgcctg cgcagtctaa ggattttaca 1320 cgtaatgagt tatttatcgt ggaaggcgat tcggctggag gatcggccaa acaaggacgg 1380 gattccaaaa tccaggcaat tttgccgtta aagggcaagc cgatgaatcc ggaaaaatca 1440 aagttggcgg atattatgaa aaatgatgag tatcgtgcga ttacggcagc gattggcgcg 1500 ggggtaggaa ctgagttcac gctggaagac agcaattatt ccaaaatcat cattatgacc 1560 gatgcagata cagatggcgc gcacattcaa gtactgttgt tgacgttctt ttatcggtac 1620 atgaaagaac tcattgatgc aggacgcata tttattgctc agccgccatt gtataaaata 1680 acccgcaagt cgggtaagct cgaaacggtt cgttatgcct ggactgacga gcagcttgat 1740 aattacttaa aagaatttgg acgaaatttt gagcttcaac gttataaagg actcggggag 1800 atgaaccctg atcagttatg ggaaacgaca atgaatcccg agtcacgcac cctgttgcgc 1860 gttcagattg aggatgctgc caaagctgaa cgccgtgtgt ccacattgat gggtgataag 1920 gtggatccac gtaagcgctg gatcgtggaa aacgtggatt tcacggaata cgtagagtag 1980 1980 <210> 11 <211> 1116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116)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7007 recF" /mol_type="DNA" <400> 11 gtgtttgtga acaacattgt tttgcagcag taccggaact ataaacagct ggagctgaat 60 gaattcgggc ccgttaattt gctgatcgga caaaatgcgc aaggcaaaac gaatctggtt 120 gaggcgattt ttgtattagc cttaactaaa agtcaccgaa cgtcccgtga caaggaatta 180 atttctttcg gggctacttc cacacatcta gctgctgatg tggataagaa atacgggaaa 240 atcagattgg atctctcgtt atccacacaa ggcaaaaaag caaagatcaa cgggctagag 300 cagcgaaagc tgagcgattt tatcggttcg ttaaacgtgg tcatgtttgc gcccgaggat 360 ctggaaattg tcaaaggaac accgggggtt cgccgccggt ttcttgacat ggaaattgga 420 caagttgcgc caggatattt gtatcatttg cagcaatatc agaaagtgct ggttcagcgg 480 aataacctgc tcaagcaagc ttgggggaaa gatatggcgt ccgtgcagct gatgctggag 540 gtatggaatg agcaacttgt tgagcatggt gttaaaattg taaaaaagcg gaaacaattt 600 ataacaaagc tacaaaagtg ggcccaagcc attcatgaag ggattgcagg tgggacagaa 660 gagttaaaat tagcctatgt tccctctttc ggtgagccag aggaagaaga tgaagctgtc 720 ttattggagc gatttatgat aaagttatcc caaatgaggg aacaggaaat ccgccgtggc 780 atgactttgg cgggacccca tcgtgatgat ttggcctttg ccattaacgg cagagaagtg 840 catacgtatg gctctcaggg gcagcagcgg acgacggccc tgtctttgaa gctggccgaa 900 atagaattaa ttcatgagga aattggggag tatcctatcc tgctgctgga tgatgtattg 960 tccgagctgg acccctatcg tcagactcag ctgatcgaga ctttccaaag caaggtacag 1020 acctttatca cggcaaccgg gattgagacg ttgaacgcag aacgacttaa gggtgcccat 1080 atttatcacg tccacgacgg gcatgtggaa cactaa 1116 <210> 12 <211> 1719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719)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7007 recN" /mol_type="DNA" <400> 12 atgctggtca ctttgtctat acggaatttg gcagtcgtag aagctgtcga tgttcatttt 60 tataaaggat ttcatgtatt gagcggagaa actggtgctg gtaaatccat tattatcgac 120 gcacttgggc tgattgcggg cggcagggga tctgctgatc tagtgcgtta cggatgtgat 180 aaagccgaaa tggaagcctt gtttgaattg ccggtcaaac atcccgtttg gaatacgttg 240 gaggaacaag ggattaaggc taatccagaa gagcatttgc tgattcgtcg agaacttaca 300 gttcagggga aaagctcatc tcgaattaac ggtcagatgg ttaatttaac gatgctgcgt 360 gaggtaggtg agcaactcgt taatatccac gggcagcatg agcatcaaag cttgctgcgt 420 gcggatcgcc atcttgcgct gctggatacg ttcggtgact cggtcattgg tccagtcaaa 480 gcgctttacc gggagcgcta caatgctttt gtcaaagcgg aaaaagaagt aagagaattg 540 caaagctcca gtcaaaaggc ttatcagcta ttggacatgt atcgcttcca attggaagag 600 atcgctgcgg cggagttaaa attgggtgaa gatgaattat tggcagagga acgggtcaag 660 ctatcccata gtgagaaaat gatggatgga gtatcaggag catacgagct gttaagtggc 720 agaggtggtc tggatacggt caataacgtg ttgtccagat taaatgatgt tcagagctac 780 gacagtaaaa gccttcagcc cattgcggag cagattcaat ctgctttcta tcagttggag 840 gatgcagcgt ttcaattacg ctcttatcgt gaggatattg aatttaatcc gggcaagctg 900 catgaggtgg agcaacgttt gaatcaaatt accgggttac agcgaaaata tggtgatagt 960 atagagcaga ttttggaata ctatagccgt attgagcagg aaaccgatct gttggaaaat 1020 aaagatgagc ggctggagca gctcattgca aagcgggatg agttgctttc gaatttgctg 1080 gagattgctg aagagcttac agaggcacgt gaaatttgtg ctgaagagct tgcagagcaa 1140 gtagagcagg aattaaaaga tcttcaaatg gaaagaacgt cactcaaggt gcgtattgat 1200 ccaattgaag atccacgtgg atatgaatat aaaggtctaa aggtacgacc taccaagcaa 1260 gggatagata atgcggaatt tctgatttcg cccaatccag gtgagccact tcgcccactc 1320 ggtaaaatcg cttccggtgg tgagttatca cgtatcatgt tggcgatgaa aagtattttt 1380 gcgcgtcatg atcaaattcc ggtgctcatt tttgacgagg tggataccgg ggtaagtggt 1440 cgtgcagctc agtccatagc cgagaagctt tatcgtttgt cttccgtttg tcaggtgttt 1500 tccattactc atttgccgca ggtggcatgt atggcagatc atcagtacct gattgagaaa 1560 aatgttcatg acggacggac catgactcaa attgagggac taacggagga aggtcgtgtt 1620 aaggaattgg cacggatgct gggtggggta gaaattaccg aaaaaacatt gcatcacgca 1680 caggaaatgc tgaatttggc ggaaggaaag aaagcctga 1719 <210> 13 <211> 945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945) <223> /organism="Paenibacillus polymyxa spp. plantarum" /note="Strain Lu17007 rpoA" /mol_type="DNA" <400> 13 gtgatagaaa tcgaaaagcc gaaaattgag acggttgacg tcaatgatga tggcacctat 60 ggaaaattcg tagtagaacc gctggaacgc ggatacggta cgacgcttgg gaactcgctt 120 cgccgtattc tgttatcctc gttaccgggg gcagcagtca catcggttca gatcgatggg 180 gttctgcacg agtttgcaac ggttcccggt gtgaaggaag acgtaacgga gatcattctg 240 aacttgaaag ctttatcgct taaaatccac tcagatgaag agaaagtact tgaaatcgat 300 gcggaaggcg aaggagttgt aacggcaggt gatatccgtg cggatagtga tgtggaaatt 360 cttaatccgg atcttcacat tgcaacgctc ggaccgggtt cgagacttca catgcgtatt 420 tttgccaatc gcggtcgcgg ttacgttaag caggatcgga ataaacgtga tgaccagccg 480 atcggcgtca ttcccgtcga ctccatctac actccgattg cacgcgtgaa ctacggcgta 540 gaaaatacgc gtgtcggcca ggttacgaat tatgacaagc tgacacttga ggtttggact 600 gacggaacta ttcgtcctga agaagctgtg agccttggag ccaaaatttt gaccgagcat 660 gtgatgctat tcgtgggtct cacggatgaa gcaaaagatg cagaaattat ggtcgaaaaa 720 gaagaagaca aaaaagaaaa agttcttgaa atgacgatcg aagagctgga tctctccgtc 780 cgttcctata actgccttaa gcgcgctggt atcaatacgg tacaagaact cacgactaaa 840 tctgaagaag atatgatgaa ggtccgtaac ttgggtcgca aatctttgga agaagtacaa 900 gagaagctcg aggaacttgg tttaggactt cgtacggaag aatag 945 <210> 14 <211> 1143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143) <223> /organism="Paenibacillus epiphyticus" /note="Strain Lu17015 dnaN" /mol_type="DNA" <400> 14 atgaagatca gcattctgaa aaacgttttg aacgaggcta tacaacatgt atccaaagcg 60 atatcaagtc ggactacgat tccaattctg agtggtatta agctggatgt gaatcaccag 120 ggagtaacgc tgaccgccag cgatacagac atctccattc aatcctttat tccgatggag 180 gatggtgacc aaactgttgt tcaggtcgaa caacccggca gtgttgtgct gcctgccaaa 240 ttctttgtcg aaattatcaa aaagttgccg tcgcaggaga tccatatgga ggtaaaagac 300 caatttcaaa cctttatctc gtctggcgca actgaaattc agattgttgg cttggaccct 360 gaagaattcc cggtgcttcc caacattgaa gaaaatcaag tcatctctgt accaggagat 420 ttacttaaaa atatgattaa acagacggta ttctccatct ccacccacga aacgacaccg 480 attttaactg gcgtgttgtg gaatctggct gagggtgaat tgaagtttgt ggcaacggac 540 cgccaccgcc ttgccacccg tagcgctcat ttggagacgt ctgaaggctt gcgttttagc 600 aatgttgtca ttgcgggcaa aacgctgaat gagctgagca gaattattcc agatcaaaat 660 atgcttgtgg atatcgtagt agcggacaat caggtattat tcaaagtaga tcgggtgcta 720 ttttattccc gcatcttgga cggcacctat cctgatactt ctagaattat tccgacctcc 780 tacaaaacag aactgattgt ggatacaaaa agtttaagtg agtcaattga ccgtgcttat 840 ttgctgtccc gtgaggaaaa aacgaatatt gtaaaaatgc agtcgctgga aaatggcggt 900 ttggagattt cctctagttc ctctgagctt ggcaaagtgc gtgaggaagt aactgtgtcc 960 aaatttgagg gagagccgct caaaatttcg ttcaactcta aatacatgct cgacgtgctg 1020 aaggtgattg acagcgagca gctgacgatt gcttttaccg gcattatgag ccccattatt 1080 ttaaaaccgg ctgattccag caatgcgctg tatatcatcc tgccatatcg cacaaccaac 1140 tga 1143 <210> 15 <211> 1980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980) <223> /organism="Paenibacillus epiphyticus" /note="Strain Lu17015 gyrB" /mol_type="DNA" <400> 15 atggtcgaca aaatcgactt gtctgcggga gtgtccggca cacaaagcgg agcttcggaa 60 tatggcgcgg acgacattca agtgctcgaa gggcttgtgg cagttcgcaa acggccgggc 120 atgtacatcg ggagcaccag ttcttcgggg ctgcatcatt tggtatggga aattgtagac 180 aacgcggtgg atgaacatct cgccaagttt tgctctcgca ttgatattac aatgcataag 240 gacggttccg ttacagtatc agacaacggg cgcggtattc ctacgggaat gcacaaaacg 300 ggaattccta cgcctcaggt tgtattcacc attttgcacg ccggaggtaa gtttggcggt 360 tcgggatata aaaaatccgg gggtctgcac ggtgtaggtg cgtctgtaac gaacgctctt 420 tcggaatggc ttgaagtaga aatttaccgg gacggcaaga ttcaccgtca gcggtttgaa 480 tattggcagg acaagaaggg cgtggagcat gtcggggaac cgaccacagg ccttgaagtg 540 ctgggcaata ctaacaagac gggctcgaaa attacattta aaccggatat tcgtgttttt 600 caggcaggca ttcattttaa ctacgatacg ttggctgagc gccttcagga aattgctttt 660 ctaaattcgg gccttcgtat tcaacttaaa gacgaacgca gcggaaagtc agatgagtat 720 ttttatgagg gtggcgcaag tcagtttgtt gcttttctga atgagggcaa ggatgtgctg 780 catgacgtta ttcactttaa tgccgagaaa gaagacattg aagtagagat tgccatccag 840 tacaatgctg gttatacaga gacgattgct tcgttcgtta actccattcc gacacgtgga 900 ggaggtacgc atgaaacggg attcaaaacc gcttacactc gtgtcatgaa cgactatgcc 960 cggaaaacgg tgatgttgaa agaaaaggat aaaaacttgg agggcaacga tctacgtgag 1020 ggcatgatgg ctgtaatcag tgtcaagatg gctgaggttg aatttgtcgg ccagacaaag 1080 gatcagctgg gaagcgcttc ggcacggagt acagtggatg ccatcgtatc tgagcagatg 1140 cagcgttttt tggaagaaaa tccgcagata gcacaaactt tgatcaagaa ggcagttcaa 1200 gcatccagag cacgtgaagc tgcacgtaaa gctcgggatg aaatgcgttc cggtaaaaag 1260 cgcagtgaaa gttccaattt gaatggtaaa ctatcgcctg cgcagtccaa ggattttaca 1320 cgtaatgagt tgtttattgt ggaaggcgat tcggctggag gatcagccaa gcagggacgg 1380 gattccaaaa ttcaggccat attgccgcta aagggcaagc cgatgaatcc ggaaaaatcc 1440 aaactggcgg atattatgaa gaatgatgag taccgtgcta ttacagcagc tattggtgcg 1500 ggagtaggaa cagagttttc gctggaagac agcaattatt ccaaaatcat cattatgacc 1560 gatgcagata cagatggtgc gcacattcaa gtgctgttgt tgacgttctt ttatcggtac 1620 atgaaagagc ttattgatgc aggacgcata tttattgctc aaccgccatt gtataaaata 1680 actcgaaagt cgggtaagct cgaaacggtg cgttatgctt ggactgacga gcagcttgat 1740 aattatttaa aagaatttgg acgaaatttt gagcttcagc gctataaagg acttggggaa 1800 atgaaccctg atcagttatg ggaaacaacg atgaatcccg attcacgcac cttgctacgc 1860 gttcagatag aggatgcagc caaggctgaa cgcagggtgt ccactttgat gggtgataag 1920 gtggatccgc gcaagcgctg gatcgtggaa aacgtagatt ttacggaata cgtagagtag 1980 1980 <210> 16 <211> 1116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116) <223> /organism="Paenibacillus epiphyticus" /note="Strain Lu17015 recF" /mol_type="DNA" <400> 16 gtgtttgtga acaacattgt tttgcagcag taccggaact atgaacagct ggagctgaat 60 gaatttgggc ccgttaattt gctgatcgga caaaatgcgc agggcaaaac gaatctggta 120 gaggcaattt ttgtactggc tttaaccaaa agtcatcgaa cgtcccgcga caaggagtta 180 atctctttcg gggctacttc cactcaccta gctgcggatg tggataaaaa atacgggaaa 240 atcagactgg atctcgcgtt atccacacaa ggcaaaaaag caaagatcaa cggactggag 300 cagcgcaaac tgagcgattt tatcggttcg ttaaatgtgg tcatgtttgc acctgaggat 360 ctggaaattg tgaaaggaac accgggggtt cgccgccggt ttcttgacat ggaaatcgga 420 caggttgcgc caggatatct gtatcatttg cagcaatatc agaaagtatt ggttcagcga 480 aacaacctgc tcaagcaagc ttggggtaag gatatggcgt cagtgcagct gatgctggag 540 gtatggaatg agcaacttgt tgagcatggt gttaaaattg ttaaaaagcg gaaacaattt 600 ataacaaagc tacaaaagtg ggctcaggcc attcatgaag ggatcgcagg tgggacagaa 660 gagttaaaat taacctatgt tccctccttc agtgagccag aggaagaaga tgaagctgtc 720 ttattggagc gatttatgat aaagttatcc caaatgaggg aacaggaaat ccgccgtggc 780 atgactttgg cgggacccca tcgtgacgat ttggcctttg ccattaacgg cagagaagtg 840 catacgtatg gctctcaggg gcagcagcgg acgacggccc tgtccttgaa gttggccgaa 900 atagagttaa ttcatgagga aattggtgaa tatcctgtct tgctgctgga tgatgttttg 960 tccgagctgg acccctatcg tcagacccag ctgatcgaga ctttccaaag caaggtacag 1020 acctttatca cggcaaccgg ggttgagact ttgaacgcag aacgactcaa ggatgccaat 1080 atttatcacg tccacgacgg gcatgtggaa cactaa 1116 <210> 17 <211> 1719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1719) <223> /organism="Paenibacillus epiphyticus" /note="Strain Lu17015 recN" /mol_type="DNA" <400> 17 atgctggtca ctttgtctat acggaatttg gcggtcgtag aggccgtcga tgttcatttt 60 tataaagggt ttcatgtctt gagcggggaa acaggtgctg gtaaatccat tattatcgat 120 gcgcttggcc tgattgcagg cggtaggggc tctgctgatc tagtgcgtta cggttgtgat 180 aaagcagaga tggaagcctt gtttgagctg ccggtaaaac atccagtttg gaaaacactt 240 gaggaacaag ggattaaggc caatgcggag gagcatttgc tgattcgtcg cgaacttacg 300 gttcagggga aaagctcttc tcgaattaac ggtcagatgg ttaatttaac gatgctgcgt 360 gaggtaggtg agcagctcgt caatatccac gggcaacatg agcatcaaag cctgctacgt 420 gcagatcgcc atctggcgct gctggatacg ttcggtgatt cggtgatcgg tccagtcaaa 480 acgctttacc gtgagcgtta caatgctttt gtcaaagcgg aaaaagaagt aagagaactg 540 caaagctcca gtcaaaaggc ttatcagctt ttggatatgt accgatttca attagaagag 600 atcgctgcgg cggagttgaa attgggagaa gatgaattat tggcagagga acgggtcaag 660 ctatcccata gtgagaaaat gatggatggg atatcaggag catacgaact gctaagcggc 720 agaggtgggc tggatacgat caataacgta ttgtctagat tgaacgatgt ccaaagctat 780 gacagcaaaa gccttcagcc cattgcggag cagattcagt ctgcttttta ccagttagag 840 gacgcagcat tccaattacg ttcttatcgt gaggatattg aatttaatcc aggcaagctg 900 catgaagtgg agcaacgttt gaatcaaatt accggattac agcgaaaata tggtgatagt 960 atagagcaga ttttggaata ctatagccgt attgagcagg aaaccgatct gctggaaaat 1020 aaagatgagc ggctggagca gctcattgca aaacgggatg agttgctttc cgatttgctg 1080 gagatttcag aagagcttac agaagcacgt gaaatttgtg ctgaagagct tgcagagcaa 1140 gtggagcagg agttaaaaga cctgcagatg gaaagaacgt cactcaaggt gcgcattgat 1200 ccaattgaag atccacgcgg atatgagtat aaaggtctga aggtaaggcc taccaagcaa 1260 ggaattgata atgcggaatt tcttatttca cccaatccag gtgagccact acgtccactt 1320 ggtaagatcg cttcaggcgg tgagctatca cgtatcatgt tggcgatgaa aagtattttt 1380 gcgcgtcatg atcaaattcc agtactcatt tttgacgagg tggataccgg ggtgagtggt 1440 cgtgcagctc aatccattgc cgagaagcta tatcgtttat cttccgtttg tcaggtgttt 1500 tccattactc atttgccaca ggtggcatgt atggcagatc atcagtacct tattgagaaa 1560 aatgttcatg atggacggac catgactcaa attgagggac ttacggagga cgggcgtgtc 1620 aaggaattgg cacggatgct gggcggcgtg gaaattaccg aaaaaacatt gcatcacgca 1680 caggaaatgc tgaatttggc ggaaggaaag aaagcctga 1719 <210> 18 <211> 945 <212> DNA <213> Paenibacillus sp. <220> <221> source <222> (1)..(945) <223> /organism="Paenibacillus epiphyticus" /note="Strain Lu17015 rpoA" /mol_type="DNA" <400> 18 gtgatagaaa tcgaaaagcc gaaaattgag acggttgacg tcaatgatga tggcacctat 60 ggaaaattcg tagtagaacc gctggaacgc ggatacggta cgacgttggg aaactcgctt 120 cgccgtattc tgttatcctc gttaccgggg gcagcagtca catcggttca gatcgatggg 180 gttctgcacg agtttgcaac ggttcccggt gtgaaggaag acgtaacgga gatcattctg 240 aacttgaaag ctttatcgct taaaatccac tcggatgaag agaaagtact cgaaatcgat 300 gcggaaggcg aaggagttgt aacggcagga gatatccgtg cggatagtga tgtggaaatt 360 cttaatccgg atcttcacat tgctacgctc ggaccgggtt cgagacttca catgcgtatt 420 tttgccaatc gcggtcgcgg ttacgttaag caggatcgga acaaacgtga tgaccagccg 480 atcggcgtca ttcccgtcga ctccatctac actccgattg cacgcgtgaa ctacggcgta 540 gaaaatacgc gtgtcggcca ggttacgaat tacgacaagc tgacacttga ggtttggact 600 gacggaagta ttcgtcccga ggaagcagtg agccttggag ccaaaatttt gaccgagcat 660 gtgatgttgt tcgtgggtct cacggacgag gcaaaagatg ctgaaattat ggttgaaaaa 720 gaagaagaca agaaagaaaa agttcttgaa atgacgatcg aagagctgga tctctccgtc 780 cgttcctata actgccttaa gcgcgctggt atcaatacgg tacaagaact cacgactaaa 840 tctgaagaag atatgatgaa ggtccgtaac ttgggtcgca aatctttgga agaagtacaa 900 gagaagctcg aggaacttgg tttaggactt cgtacggaag aatag 945

Claims (17)

  1. 활성 성분으로서,
    1)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Paenibacillus) 균주, 이의 배양 배지, 세포 무함유 추출물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 및
    2) 하기 그룹 A) 내지 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충제 II
    를 포함하는 혼합물:
    A) 호흡 억제제
    - Qo 부위의 복합체 III의 억제제: 아족시스트로빈, 쿠메톡시스트로빈, 쿠목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페나민스트로빈, 페녹시스트로빈/플루페녹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만데스트로빈,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 트리플록시스트로빈, 2-(2-(3-(2,6-디클로로페닐)-1-메틸-알릴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아세타미드, 피리벤카브, 트리클로피리카브/클로로딘카브, 파목사돈, 페나미돈, 메틸-N-[2-[(1,4-디메틸-5-페닐-피라졸-3-일)옥실메틸]페닐]-N-메톡시-카바메이트, 1-[3-클로로-2-[[1-(4-클로로페닐)-1H-피라졸-3-일]옥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1-[3-브로모-2-[[1-(4-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1-[2-[[1-(4-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메틸]-3-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1-[2-[[1-(4-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메틸]-3-플루오로-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1-[2-[[1-(2,4-디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메틸]-3-플루오로-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1-[2-[[4-(4-클로로페닐)티아졸-2-일]옥시메틸]-3-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1-[3-클로로-2-[[4-(p-톨릴)티아졸-2-일]옥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1-[3-시클로프로필-2-[[2-메틸-4-(1-메틸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1-[3-(디플루오로메톡시)-2-[[2-메틸-4-(1-메틸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4-메틸-테트라졸-5-온, 1-메틸-4-[3-메틸-2-[[2-메틸-4-(1-메틸피라졸-3-일)페녹시]메틸]페닐]테트라졸-5-온, 1-메틸-4-[3-메틸-2-[[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테트라졸-5-온, (Z,2E)-5-[1-(2,4-디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2-메톡시이미노-N,3-디메틸-펜트-3-엔아미드, (Z,2E)-5-[1-(4-클로로페닐)피라졸-3-일]옥시-2-메톡시이미노-N,3-디메틸-펜트-3-엔아미드, 피리미노스트로빈, 비푸준지 (bifujunzhi), 2-(오르쏘-((2,5-디메틸페닐-옥시메틸렌)페닐)-3-메톡시-아크릴산 메틸에스테르;
    - Qi 부위의 복합체 III의 억제제: 시아조파미드, 아미술브롬, [(6S,7R,8R)-8-벤질-3-[(3-히드록시-4-메톡시-피리딘-2-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2-[[(7R,8R,9S)-7-벤질-9-메틸-8-(2-메틸프로파노일옥시)-2,6-디옥소-1,5-디옥소난-3-일]카바모일]-4-메톡시-3-피리딜]옥시메틸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6S,7R,8R)-8-벤질-3-[[4-메톡시-3-(프로파노일옥시메톡시)피리딘-2-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 복합체 II의 억제제: 베노다닐, 벤조빈디플루피르, 빅사펜, 보스칼리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오피람, 플루토라닐, 플룩사피록사드, 푸라메트피르, 이소페타미드, 이소피라잠,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테클로프탈람, 티플루자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3-(트리플루오로메틸)-1-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3-디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3-(트리플루오로메틸)-1,5-디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3,5-트리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1,5-디메틸-N-(1,1,3-트리메틸인단-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3-(디플루오로메틸)-N-(7-플루오로-1,1,3-트리메틸-인단-4-일)-1-메틸-피라졸-4-카복사미드, 메틸 (E)-2-[2-[(5-시아노-2-메틸-페녹시)메틸]페닐]-3-메톡시-프로프-2-에노에이트;
    - 다른 호흡 억제제: 디플루메토림; 니트로페닐 유도체: 비나파크릴, 디노부톤, 디노캅, 플루아지남, 페림존; 유기금속 화합물: 펜틴-아세테이트, 펜틴 클로라이드 또는 펜틴 히드록시드와 같은 펜틴 염; 아메토크트라딘; 실티오팜;
    B) 스테롤 생합성 억제제 (SBI 살진균제)
    - C14 디메틸라제 억제제: 트리아졸: 아자코나졸, 비테르타놀, 브로무코나졸, 시프로코나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에폭시코나졸, 펜부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헥사코나졸, 이미벤코나졸, 이프코나졸, 메트코나졸, 미클로부타닐, 옥스포코나졸, 파클로부트라졸, 펜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시메코나졸, 테부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1-[rel-(2S;3R)-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라닐메틸]-5-티오시아네이토-1H-[1,2,4]트리아졸, 2-[rel-(2S;3R)-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라닐메틸]-2H-[1,2,4]트리아졸-3-티올, 2-[2-클로로-4-(4-클로로페녹시)페닐]-1-(1,2,4-트리아졸-1-일)펜탄-2-올, 1-[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시클로프로필-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2-[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1,2,4-트리아졸-1-일)부탄-2-올, 2-[2-클로로-4-(4-클로로페녹시)페닐]-1-(1,2,4-트리아졸-1-일)부탄-2-올, 2-[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메틸-1-(1,2,4-트리아졸-1-일)부탄-2-올, 2-[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 2-[2-클로로-4-(4-클로로페녹시)페닐]-3-메틸-1-(1,2,4-트리아졸-1-일)부탄-2-올, 2-[4-(4-클로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1,2,4-트리아졸-1-일)펜탄-2-올, 2-[4-(4-플루오로페녹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 2-[2-클로로-4-(4-클로로페녹시)페닐]-1-(1,2,4-트리아졸-1-일)펜트-3-인-2-올, 2-(클로로메틸)-2-메틸-5-(p-톨릴메틸)-1-(1,2,4-트리아졸-1-일메틸)시클로펜타놀; 이미다졸: 이마잘릴, 퍼푸라조에이트, 프로클로라즈, 트리플루미졸; 피리미딘, 피리딘 및 피페라진: 페나리몰, 피리페녹스, 트리포린, [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디플루오로페닐)이속사졸-4-일]-(3-피리딜)메탄올;
    - 델타14-리덕타제 억제제: 알디모르프, 도데모르프, 도데모르프-아세테이트, 펜프로피모르프, 트리데모르프, 펜프로피딘, 피페랄린, 스피록사민;
    - 3-케토 리덕타제의 억제제: 펜헥사미드;
    - 다른 스테롤 생합성 억제제: 클로르페노미졸;
    C) 핵산 합성 억제제
    - 페닐아미드 또는 아실 아미노산 살진균제: 베날락실, 베날락실-M, 키랄락실, 메탈락실, 메탈락실-M, 오푸레이스, 옥사딕실;
    - 다른 핵산 합성 억제제: 히멕사졸, 옥틸리논, 옥솔린산, 부피리메이트, 5-플루오로시토신, 5-플루오로-2-(p-톨릴메톡시)피리미딘-4-아민, 5-플루오로-2-(4-플루오로페닐메톡시)피리미딘-4-아민, 5-플루오로-2-(4-클로로페닐메톡시)피리미딘-4-아민;
    D) 세포 분열 및 세포골격의 억제제
    - 튜불린 억제제: 베노밀, 카벤다짐, 푸베리다졸, 티아벤다졸, 티오파네이트-메틸, 3-클로로-4-(2,6-디플루오로페닐)-6-메틸-5-페닐-피리다진, 3-클로로-6-메틸-5-페닐-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다진, N-에틸-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부탄아미드, N-에틸-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2-메틸술파닐-아세타미드,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N-(2-플루오로에틸)부탄아미드,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N-(2-플루오로에틸)-2-메톡시-아세타미드,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N-프로필-부탄아미드,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2-메톡시-N-프로필-아세타미드,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2-메틸술파닐-N-프로필-아세타미드, 2-[(3-에티닐-8-메틸-6-퀴놀릴)옥시]-N-(2-플루오로에틸)-2-메틸술파닐-아세타미드, 4-(2-브로모-4-플루오로-페닐)-N-(2-클로로-6-플루오로-페닐)-2,5-디메틸-피라졸-3-아민;
    - 다른 세포 분열 억제제: 디에토펜카브, 에타복삼, 펜시쿠론, 플루오피콜리드, 족사미드, 메트라페논, 피리오페논;
    E) 아미노산 및 단백질 합성의 억제제
    - 메티오닌 합성 억제제: 시프로디닐,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 단백질 합성 억제제: 블라스티시딘-S, 카수가마이신, 카수가마이신 히드로클로라이드-히드레이트, 밀디오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옥시테트라사이클린;
    F) 신호 전달 억제제
    - MAP/히스티딘 키나제 억제제: 플루오로이미드,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플루디옥소닐;
    - G 단백질 억제제: 퀴녹시펜;
    G) 지질 및 막 합성 억제제
    - 인지질 생합성 억제제: 에디펜포스, 이프로벤포스, 피라조포스, 이소프로티올란;
    - 지질 과산화: 디클로란, 퀸토젠, 테크나젠, 톨클로포스-메틸, 비페닐, 클로로넵, 에트리디아졸;
    - 인지질 생합성 및 세포벽 침착: 디메토모르프, 플루모르프, 만디프로파미드, 피리모르프, 벤티아발리카브, 이프로발리카브, 발리페날레이트;
    - 세포막 투과성 및 지방산에 영향을 미치는 화합물: 프로파모카브;
    - 옥시스테롤 결합 단백질의 억제제: 옥사티아피프롤린,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히드로-1,2-옥사졸-5-일}페닐 메탄술포네이트,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히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 메탄술포네이트;
    H) 다중 부위 작용성 억제제
    - 무기 활성 물질: 보르도 (Bordeaux) 혼합물, 구리, 구리 아세테이트, 구리 히드록시드, 구리 옥시클로라이드, 염기성 구리 술페이트, 황;
    - 티오카바메이트 및 디티오카바메이트: 페르밤, 만코제브, 마네브, 메탐, 메티람, 프로피넵, 티람, 지넵, 지람;
    - 유기염소 화합물: 아닐라진, 클로로탈로닐, 카프타폴, 캅탄, 폴펫,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로로펜, 헥사클로로벤젠, 펜타클로르페놀 및 이의 염, 프탈리드, 톨릴플루아니드;
    - 구아니딘 및 기타: 구아니딘, 도딘, 도딘 유리 염기, 구아자틴, 구아자틴-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 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이미녹타딘-트리스(알베실레이트), 디티아논,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라온;
    I) 세포벽 합성 억제제
    - 글루칸 합성의 억제제: 발리다마이신, 폴리옥신 B;
    - 멜라닌 합성 억제제: 피로퀼론, 트리시클라졸, 카프로파미드, 디시클로메트, 페녹사닐;
    J) 식물 방어 유도제
    - 아시벤졸라-S-메틸, 프로베나졸, 이소티아닐, 티아디닐, 프로헥사디온-칼슘; 포스포네이트: 포세틸, 포세틸-알루미늄, 아인산 및 이의 염, 포타슘 또는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K) 미지의 작용 방식
    - 브로노폴, 치노메티오나트, 시플루페나미드, 시목사닐, 다조메트, 데바카브, 디클로시메트, 디클로메진, 디펜조콰트, 디펜조콰트-메틸술페이트, 디페닐라민, 페니트로판, 펜피라자민, 플루메토베르, 플루술파미드, 플루티아닐, 하핀, 메타술포카브, 니트라피린, 니트로탈-이소프로필, 톨프로카브, 옥신-구리, 프로퀴나지드, 테부플로퀸, 테클로프탈람, 트리아족시드, N'-(4-(4-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N'-(4-(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N'-[4-[[3-[(4-클로로페닐)메틸]-1,2,4-티아디아졸-5-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N'-(5-브로모-6-인단-2-일옥시-2-메틸-3-피리딜)-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N'-[5-브로모-6-[1-(3,5-디플루오로페닐)에톡시]-2-메틸-3-피리딜]-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N'-[5-브로모-6-(4-이소프로필시클로헥스옥시)-2-메틸-3-피리딜]-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N'-[5-브로모-2-메틸-6-(1-페닐에톡시)-3-피리딜]-N-에틸-N-메틸-포름아미딘, 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라닐-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라닐-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 포름아미딘, 2-(4-클로로페닐)-N-[4-(3,4-디메톡시-페닐)-이속사졸-5-일]-2-프로프-2-이닐옥시-아세타미드, 3-[5-(4-클로로페닐)-2,3-디메틸-이속사졸리딘-3-일]-피리딘 (피리속사졸), 3-[5-(4-메틸페닐)-2,3-디메틸-이속사졸리딘-3-일]-피리딘, 5-클로로-1-(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2-메틸-1H-벤조이미다졸, 에틸 (Z)-3-아미노-2-시아노-3-페닐-프로프-2-에노에이트, 피카부트라족스, 펜틸 N-[6-[[(Z)-[(1-메틸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딜]카바메이트, 2-[2-[(7,8-디플루오로-2-메틸-3-퀴놀릴)옥시]-6-플루오로-페닐]프로판-2-올, 2-[2-플루오로-6-[(8-플루오로-2-메틸-3-퀴놀릴)옥시]페닐]프로판-2-올, 3-(5-플루오로-3,3,4,4-테트라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3-(4,4-디플루오로-3,3-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3-(4,4,5-트리플루오로-3,3-디메틸-3,4-디히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9-플루오로-2,2-디메틸-5-(3-퀴놀릴)-3H-1,4-벤즈옥사제핀, 2-(6-벤질-2-피리딜)퀴나졸린, 2-[6-(3-플루오로-4-메톡시-페닐)-5-메틸-2-피리딜]퀴나졸린, 3-[(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일)메톡시]-1,2-벤조티아졸 1,1-디옥시드;
    L) 푸라닐)메틸]절인자
    아브시스산, 아미도클로르, 안시미돌, 6-벤질아미노퓨린, 브라시놀리드, 부트랄린, 클로르메콰트, 클로르메콰트 클로라이드, 콜린 클로라이드, 시클라닐리드, 다미노지드, 디케구락, 디메티핀, 2,6-디메틸퓨리딘, 에테폰, 플루메트랄린, 플루르프리미돌, 플루티아세트, 포르클로르페누론, 지베렐산, 이나벤피드, 인돌-3-아세트산, 말레산 히드라지드, 메플루이디드, 메피콰트, 메피콰트 클로라이드, 나프탈렌아세트산, N-6-벤질아데닌, 파클로부트라졸, 프로헥사디온, 프로헥사디온-칼슘, 프로히드로자스몬, 티디아주론, 트리아펜테놀, 트리부틸 포스포로트리티오에이트, 2,3,5-트리-요오도벤조산, 트리넥사팍-에틸, 유니코나졸;
    M) M.1 내지 M.15 부류의 제초제
    M.1 지질 생합성 억제제: 알록시딤, 알록시딤-소듐, 부트록시딤, 클레토딤, 클로디나포프, 클로디나포프-프로파르길, 시클록시딤, 시할로포프, 시할로포프-부틸, 디클로포프, 디클로포프-메틸, 페녹사프로프, 페녹사프로프-에틸, 페녹사프로프-P, 페녹사프로프-P-에틸, 플루아지포프, 플루아지포프-부틸, 플루아지포프-P, 플루아지포프-P-부틸, 할록시포프, 할록시포프-메틸, 할록시포프-P, 할록시포프-P-메틸, 메타미포프, 피녹사덴, 프로폭시딤, 프로파퀴자포프, 퀴잘로포프, 퀴잘로포프-에틸, 퀴잘로포프-테푸릴, 퀴잘로포프-P, 퀴잘로포프-P-에틸, 퀴잘로포프-P-테푸릴, 세톡시딤, 테프랄록시딤, 트랄콕시딤, 4-(4'-클로로-4-시클로프로필-2'-플루오로[1,1'-비페닐]-3-일)-5-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2H-피란-3(6H)-온 (CAS 1312337-72-6); 4-(2',4'-디클로로-4-시클로프로필[1,1'-비페닐]-3-일)-5-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2H-피란-3(6H)-온 (CAS 1312337-45-3); 4-(4'-클로로-4-에틸-2'-플루오로[1,1'-비페닐]-3-일)-5-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2H-피란-3(6H)-온 (CAS 1033757-93-5); 4-(2',4'-디클로로-4-에틸[1,1'-비페닐]-3-일)-2,2,6,6-테트라-메틸-2H-피란-3,5(4H,6H)-디온 (CAS 1312340-84-3); 5-(아세틸옥시)-4-(4'-클로로-4-시클로프로필-2'-플루오로[1,1'-비페닐]-3-일)-3,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2H-피란-3-온 (CAS 1312337-48-6); 5-(아세틸옥시)-4-(2',4'-디클로로-4-시클로프로필-[1,1'-비페닐]-3-일)-3,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2H-피란-3-온; 5-(아세틸옥시)-4-(4'-클로로-4-에틸-2'-플루오로[1,1'-비페닐]-3-일)-3,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2H-피란-3-온 (CAS 1312340-82-1); 5-(아세틸옥시)-4-(2',4'-디클로로-4-에틸[1,1'-비페닐]-3-일)-3,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2H-피란-3-온 (CAS 1033760-55-2); 4-(4'-클로로-4-시클로프로필-2'-플루오로[1,1'-비페닐]-3-일)-5,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5-옥소-2H-피란-3-일 카본산 메틸 에스테르 (CAS 1312337-51-1); 4-(2',4'-디클로로-4-시클로프로필-[1,1'-비페닐]-3-일)-5,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5-옥소-2H-피란-3-일 카본산 메틸 에스테르; 4-(4'-클로로-4-에틸-2'-플루오로[1,1'-비페닐]-3-일)-5,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5-옥소-2H-피란-3-일 카본산 메틸 에스테르 (CAS 1312340-83-2); 4-(2',4'-디클로로-4-에틸[1,1'-비페닐]-3-일)-5,6-디히드로-2,2,6,6-테트라메틸-5-옥소-2H-피란-3-일 카본산 메틸 에스테르 (CAS 1033760-58-5); 벤푸레세이트, 부틸레이트, 시클로에이트, 달라폰, 디메피퍼레이트, EPTC, 에스프로카브, 에토푸머세이트, 플루프로파네이트, 몰리네이트, 오르벤카브, 페불레이트, 프로술포카브, TCA, 티오벤카브, 티오카르바질, 트리알레이트 및 베르놀레이트;
    M.2 ALS 억제제: 아미도술푸론, 아짐술푸론, 벤술푸론, 벤술푸론-메틸, 클로리무론, 클로리무론-에틸, 클로르술푸론, 시노술푸론, 시클로술파무론, 에타메트술푸론, 에타메트술푸론-메틸, 에톡시술푸론, 플라자술푸론, 플루세토술푸론, 플루피르술푸론, 플루피르술푸론-메틸-소듐, 포람술푸론, 할로술푸론, 할로술푸론-메틸, 이마조술푸론, 아이오도술푸론, 아이오도술푸론-메틸-소듐, 아이오펜술푸론, 아이오펜술푸론-소듐, 메소술푸론, 메타조술푸론, 메트술푸론, 메트술푸론-메틸, 니코술푸론, 오르쏘술파무론, 옥사술푸론, 프리미술푸론, 프리미술푸론-메틸, 프로피리술푸론, 프로술푸론, 피라조술푸론, 피라조술푸론-에틸, 림술푸론, 술포메투론, 술포메투론-메틸, 설포술푸론, 티펜술푸론, 티펜술푸론-메틸, 트리아술푸론, 트리베누론, 트리베누론-메틸, 트리플록시술푸론, 트리플루술푸론, 트리플루술푸론-메틸, 트리토술푸론, 이마자메타벤즈, 이마자메타벤즈-메틸, 이마자목스, 이마자피크, 이마자피르, 이마자퀸, 이마제타피르; 클로란술람, 클로란술람-메틸, 디클로술람, 플루메트술람, 플로라술람, 메토술람, 페녹스술람, 피리미술판 및 피록스술람; 비스피리백, 비스피리백-소듐, 피리벤족심, 피리프탈리드, 피리미노백, 피리미노백-메틸, 피리티오백, 피리티오백-소듐, 4-[[[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페닐]메틸]아미노]-벤조산-1-메틸에틸 에스테르 (CAS 420138-41-6), 4-[[[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페닐]메틸]아미노]-벤조산 프로필 에스테르 (CAS 420138-40-5), N-(4-브로모페닐)-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젠메탄아민 (CAS 420138-01-8); 플루카르바존, 플루카르바존-소듐, 프로폭시카르바존, 프로폭시카르바존-소듐, 티엔카르바존, 티엔카르바존-메틸; 트리아파몬;
    M.3 광합성 억제제: 아미카르바존; 클로로트리아진; 아메트린, 아트라진, 클로리다존, 시아나진, 데스메트린, 디메타메트린, 헥사지논, 메트리부진, 프로메톤, 프로메트린, 프로파진, 시마진, 시메트린, 터부메톤, 터부틸라진, 터부트린, 트리에타진; 클로로브로무론, 클로로톨루론, 클로록수론, 디메푸론, 디우론, 플루오메투론, 이소프로투론, 이소우론, 리누론, 메타미트론, 메타벤즈티아주론, 메토벤주론, 메톡수론, 모노리누론, 네부론, 시두론, 테부티우론, 티아디아주론, 데스메디팜, 카부틸레이트, 펜메디팜, 펜메디팜-에틸, 브로모페녹심, 브로목시닐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아이옥시닐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브로마실, 레나실, 터바실, 벤타존, 벤타존-소듐, 피리데이트, 피리다폴, 펜타노클로르, 프로파닐; 디콰트, 디콰트-디브로마이드, 파라콰트, 파라콰트-디클로라이드, 파라콰트-디메틸술페이트;
    M.4 프로토포르피리노겐-IX 옥시다제 억제제: 악시플루오르펜, 악시플루오르펜-소듐, 아자페니딘, 벤카르바존, 벤즈펜디존, 비페녹스, 부타페나실, 카펜트라존, 카펜트라존-에틸, 클로르메톡시펜, 시니돈-에틸, 플루아졸레이트, 플루펜피르, 플루펜피르-에틸, 플루미클로락,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미옥사진, 플루오로글리코펜,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 플루티아세트, 플루티아세트-메틸, 포메사펜, 할로사펜, 락토펜, 옥사디아르길, 옥사디아존, 옥시플루오르펜, 펜톡사존, 프로플루아졸, 피라클로닐, 피라플루펜, 피라플루펜-에틸, 사플루페나실, 술펜트라존, 티디아지민, 티아페나실, 트리플루디목사진, 에틸 [3-[2-클로로-4-플루오로-5-(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2,4-디옥소-1,2,3,4-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3-일)-페녹시]-2-피리딜옥시]아세테이트 (CAS 353292-31-6), N-에틸-3-(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5-메틸-1H-피라졸-1-카복사미드 (CAS 452098-92-9), N 테트라히드로퍼푸릴-3-(2,6-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5-메틸-1H-피라졸-1-카복사미드 (CAS 915396-43-9), N-에틸-3-(2-클로로-6-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5-메틸-1H-피라졸-1-카복사미드 (CAS 452099-05-7), N-테트라히드로퍼푸릴-3-(2-클로로-6-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5-메틸-1H-피라졸-1-카복사미드 (CAS 452100-03-7), 3-[7-플루오로-3-옥소-4-(프로프-2-이닐)-3,4-디히드로-2H-벤조[1,4]옥사진-6-일]-1,5-디메틸-6-티옥소-[1,3,5]트리아지난-2,4-디온 (CAS 451484-50-7), 2-(2,2,7-트리플루오로-3-옥소-4-프로프-2-이닐-3,4-디히드로-2H-벤조[1,4]옥사진-6-일)-4,5,6,7-테트라히드로-이소인돌-1,3-디온 (CAS 1300118-96-0), 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3-(2,2,7-트리플루오로-3-옥소-4-프로프-2-이닐-3,4-디히드로-2H-벤조[1,4]옥사진-6-일)-1H-피리미딘-2,4-디온 (CAS 1304113-05-0), 메틸 (E)-4-[2-클로로-5-[4-클로로-5-(디플루오로메톡시)-1H-메틸-피라졸-3-일]-4-플루오로-페녹시]-3-메톡시-부트-2-에노에이트 (CAS 948893-00-3), 3-[7-클로로-5-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지미다졸-4-일]-1-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리미딘-2,4-디온 (CAS 212754-02-4);
    M.5 표백 제초제: 베플루부타미드, 디플루페니칸, 플루리돈, 플루로클로리돈, 플루르타몬, 노르플루라존, 피콜리나펜, 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미딘 (CAS 180608-33-7); 벤조비시클론, 벤조페납, 비사이클로피론, 클로마존, 펜퀸트리온, 이소옥사플루톨, 메소트리온, 피라술포톨, 피라졸리네이트, 피라족시펜, 술코트리온, 테푸릴트리온, 템보트리온, 톨피랄레이트, 토프라메존; 아클로니펜, 아미트롤, 플루메투론;
    M.6 EPSP 신타제 억제제: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 글리포세이트-포타슘, 글리포세이트-트리메슘 (술포세이트);
    M.7 글루타민 신타제 억제제: 빌라나포스 (비알라포스), 빌라나포스-소듐, 글루포시네이트, 글루포시네이트-P,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M.8 DHP 신타제 억제제: 아술람;
    M.9 유사분열 억제제: 벤플루랄린, 부트랄린, 디니트라민, 에탈플루랄린, 플루클로랄린, 오리잘린, 펜디메탈린, 프로디아민, 트리플루랄린; 아미프로포스, 아미프로포스-메틸, 부타미포스; 클로르탈, 클로르탈-디메틸, 디티오피르, 티아조피르, 프로피자미드, 테부탐; 카베타미드, 클로르프로팜, 플람프로프, 플람프로프-이소프로필, 플람프로프-메틸, 플람프로프-M-이소프로필, 플람프로프-M-메틸, 프로팜;
    M.10 VLCFA 억제제: 아세토클로르, 알라클로르, 부타클로르, 디메타클로르, 디메텐아미드, 디메텐아미드-P, 메타자클로르, 메톨라클로르, 메톨라클로르-S, 페톡사미드, 프레틸라클로르, 프로파클로르, 프로프이소클로르, 테닐클로르, 플루페나세트, 메페나세트, 디페나미드, 나프로아닐리드, 나프로파미드, 나프로파미드-M, 펜트라자미드, 아닐로포스, 카펜스트롤, 페녹사술폰, 입펜카르바존, 피페로포스, 피록사술폰, 화학식 II.1, II.2, II.3, II.4, II.5, II.6, II.7, II.8 및 II.9의 이속사졸린 화합물:
    Figure pct00035
    ;
    M.11 셀룰로스 생합성 억제제: 클로르티아미드, 디클로베닐, 플루폭삼, 인다지플람, 이속사벤, 트리아지플람, 1-시클로헥실-5-펜타플루오르페닐옥시-14-[1,2,4,6]티아트리아진-3-일아민 (CAS 175899-01-1);
    M.12 디커플러 (decoupler) 제초제: 디노셉, 디노터브, DNOC 및 이의 염;
    M.13 옥신계 제초제: 2,4-D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클라시포스, 2,4-DB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아미노피랄리드-디메틸암모늄, 아미노피랄리드-트리스(2-히드록시프로필)암모늄 및 이의 에스테르와 같은 아미노피랄리드 및 이의 염, 베나졸린, 베나졸린-에틸, 클로람벤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클로메프로프, 클로피랄리드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디캄바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디클로르프로프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디클로르프로프-P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플루록시피르, 플루록시피르-부토메틸, 플루록시피르-멥틸, 할라욱시펜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CAS 943832-60-8); MCPA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MCPA-티오에틸, MCPB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메코프로프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메코프로프-P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피클로람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퀸클로락, 퀸머락, TBA (2,3,6)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트리클로피르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4-아미노-3-클로로-6-(4-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실산, 벤질 4-아미노-3-클로로-6-(4-클로로-2-플루오로-3-메톡시페닐)-5-플루오로피리딘-2-카복실레이트 (CAS 1390661-72-9);
    M.14 옥신 수송 억제제: 디플루펜조피르, 디플루펜조피르-소듐, 나프탈람 및 나프탈람-소듐;
    M.15 다른 제초제: 브로모부티드, 클로르플루레놀, 클로르플루레놀-메틸, 신메틸린, 쿠밀루론, 시클로피리모레이트 (CAS 499223-49-3) 및 이의 염 및 에스테르, 달라폰, 다조메트, 디펜조콰트, 디펜조콰트-메틸술페이트, 디메티핀, DSMA, 다이므론, 엔도탈 및 이의 염, 에토벤자니드, 플루레놀, 플루레놀-부틸, 플루르프리미돌, 포사민, 포사민-암모늄, 인다노판, 말레산 히드라지드, 메플루이디드, 메탐, 메티오졸린 (CAS 403640-27-7), 메틸 아지드, 메틸 브로마이드, 메틸-다이므론, 메틸 아이오다이드, MSMA, 올레산, 옥사지클로메폰, 펠라르곤산, 피리부티카브, 퀴노클라민, 트리디판;
    N) N.1 내지 N.29 부류의 살충제
    N.1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 (AChE) 억제제: 알디카브, 알라니카브,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부토카복심, 부톡시카복심,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술판, 에티오펜카브, 페노부카브, 포르메타네이트, 푸라티오카브, 이소프로카브, 메티오카브, 메토밀, 메톨카브, 옥사밀, 피리미카브, 프로폭수르,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트리메타카브, XMC, 자일릴카브 및 트리아자메이트; 아세페이트,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에틸, 아진포스메틸, 카두사포스,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메틸, 쿠마포스, 시아노포스, 데메톤-S-메틸,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DDVP, 디크로토포스,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술포톤, EPN,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팜푸르, 페나미포스, 페니트로티온, 펜티온, 포스티아제이트, 헵테노포스, 이미시아포스, 이소펜포스,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 살리실레이트, 이속사티온, 말라티온, 메카르밤, 메타미도포스, 메티다티온, 메빈포스,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오메토에이트, 옥시데메톤-메틸, 파라티온, 파라티온-메틸,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포스-메틸, 프로페노포스, 프로페탐포스, 프로티오포스, 피라클로포스, 피리다펜티온, 퀴날포스, 술포텝, 테부피림포스, 테메포스, 터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티오메톤, 트리아조포스, 트리클로르폰, 바미도티온;
    N.2 GABA-게이팅 클로라이드 채널 길항제: 엔도술판, 클로르단; 에티프롤, 피프로닐, 플루피프롤, 피라플루프롤, 피리프롤;
    N.3 소듐 채널 조정인자: 아크리나트린, 알레트린, d-시스-트랜스 알레트린, d-트랜스 알레트린, 비펜트린, 바이오알레트린, 바이오알레트린 S-시클로펜테닐, 바이오레스메트린, 시클로프로트린, 사이플루트린, 베타-사이플루트린, 사이할로트린, 람다-사이할로트린, 감마-사이할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베타-사이퍼메트린, 세타-사이퍼메트린, 제타-사이퍼메트린, 사이페노트린, 델타메트린, 엠펜트린,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프로파트린, 펜발레레이트, 플루시트리네이트, 플루메트린,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할펜프록스, 헵타플루트린, 이미프로트린, 메퍼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몸플루오로트린, 퍼메트린, 페노트린, 프랄레트린, 프로플루트린, 피레트린 (피레트럼), 레스메트린, 실라플루오펜, 테플루트린, 테트라메틸플루트린, 테트라메트린, 트랄로메트린 및 트랜스플루트린; DDT, 메톡시클로르;
    N.4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효현제 (agonist) (nAChR):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시클록사프리드, 디노테푸란, 이미다클로프리드, 니텐피람,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2E)-1-[(6-클로로피리딘-3-일)메틸]-N'-니트로-2-펜틸리덴히드라진카복시미드아미드; 1-[(6-클로로피리딘-3-일)메틸]-7-메틸-8-니트로-5-프로폭시-1,2,3,5,6,7-헥사히드로이미다조[1,2-a]피리딘; 니코틴;
    N.5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알로스테릭 활성인자: 스피노사드, 스피네토람;
    N.6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인자: 아바멕틴, 에마멕틴 벤조에이트, 이버멕틴, 레피멕틴, 밀베멕틴;
    N.7 유충 호르몬 모방체: 히드로프렌, 키노프렌, 메토프렌; 페녹시카브, 피리프록시펜;
    N.8 다양한 비(非)특이적 (다중-부위) 억제제: 메틸 브로마이드 및 다른 알킬 할라이드; 클로로피크린, 술푸릴 플루오라이드, 보락스, 토주석;
    N.9 선택적 동시아목 (homopteran) 먹이공급 차단제 (feeding blocker): 피메트로진, 플로니카미드;
    N.10 진드기 성장 억제제: 클로펜테진, 헥시티아족스, 디플로비다진; 에톡사졸;
    N.11 곤충 중장막의 미생물 교란인자: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 (Bacillus sphaericus) 및 그들이 생산하는 살충 단백질: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이스라엘렌시스 (israelensis),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아이자와이(aizawa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쿠르스타키(kurstaki), 바실러스 투린지엔시스 아종 테네브리오니스 (tenebrionis), Bt 작물 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2Ab, mCry3A, Cry3Ab, Cry3Bb, Cry34/35Ab1;
    N.12 미토콘드리아 ATP 신타제의 억제제: 디아펜티우론; 아조시클로틴, 사이헥사틴, 펜부타틴 옥시드, 프로파자이트, 테트라디폰;
    N.13 양성자 구배의 파괴를 통한 산화적 인산화의 언커플러: 클로르페나피르, DNOC, 술플루라미드;
    N.14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nAChR) 채널 차단제: 벤술탑, 카르탑 히드로클로라이드, 티오시클람, 티오술탭 소듐;
    N.15 키틴 생합성의 제0형 억제제: 비스트리플루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디플루벤주론, 플루시클록수론, 플루페녹수론, 헥사플루무론, 루페누론, 노발루론, 노비플루무론, 테플루벤주론, 트리플루무론;
    N.16 키틴 생합성의 제1형 억제제: 부프로페진;
    N.17 탈피 교란인자: 시로마진;
    N.18 엑디손 수용체 효현제: 메톡시페노지드, 테부페노지드, 할로페노지드, 푸페노지드, 크로마페노지드;
    N.19 옥토파민 수용체 효현제: 아미트라즈;
    N.20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II 전자 수송 억제제: 히드라메틸논, 아세퀴노실, 플루아크리피림;
    N.21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 전자 수송 억제제: 페나자퀸, 펜피록시메이트, 피리미디펜, 피리다벤, 테부펜피라드, 톨펜피라드; 로테논;
    N.22 전압-의존적 소듐 채널 차단제: 인독사카브, 메타플루미존, 2-[2-(4-시아노페닐)-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N-[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히드라진카복사미드 또는 M.22 B.2: N-(3-클로로-2-메틸페닐)-2-[(4-클로로페닐)-[4-[메틸(메틸술포닐)아미노]페닐]메틸렌]-히드라진카복사미드;
    N.23 아세틸 CoA 카복실라제의 억제제: 스피로디클로펜, 스피로메시펜, 스피로테트라마트;
    N.24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V 전자 수송 억제제: 알루미늄 포스파이드, 칼슘 포스파이드, 포스핀, 징크 포스파이드, 시아니드;
    N.25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I 전자 수송 억제제: 시에노피라펜, 시플루메토펜;
    N.28 리아노딘 수용체-조정인자: 플루벤디아미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시안트라닐리프롤, 시클라닐리프롤 테트라닐리프롤; (R)-3-클로로-N1-{2-메틸-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N2-(1-메틸-2-메틸술포닐에틸)프탈아미드, (S)-3-클로로-N1-{2-메틸-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N2-(1-메틸-2-메틸술포닐에틸)프탈아미드, 메틸-2-[3,5-디브로모-2-({[3-브로모-1-(3-클로로피리딘-2-일)-1H-피라졸-5-일]카보닐}아미노)벤조일]-1,2-디메틸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 N-[4,6-디클로로-2-[(디에틸-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4-클로로-2-[(디에틸-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6-메틸-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4-클로로-2-[(디-2-프로필-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6-메틸-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4,6-디클로로-2-[(디-2-프로필-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4,6-디브로모-2-[(디에틸-람다-4-술파닐리덴)카바모일]페닐]-2-(3-클로로-2-피리딜)-5-(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3-카복사미드; N-[2-(5-아미노-1,3,4-티아디아졸-2-일)-4-클로로-6-메틸페닐]-3-브로모-1-(3-클로로-2-피리디닐)-1H-피라졸-5-카복사미드; 3-클로로-1-(3-클로로-2-피리디닐)-N-[2,4-디클로로-6-[[(1-시아노-1-메틸에틸)아미노]카보닐]페닐]-1H-피라졸-5-카복사미드; 3-브로모-N-[2,4-디클로로-6-(메틸카바모일)페닐]-1-(3,5-디클로로-2-피리딜)-1H-피라졸-5-카복사미드; N-[4-클로로-2-[[(1,1-디메틸에틸)아미노]카보닐]-6-메틸페닐]-1-(3-클로로-2-피리디닐)-3-(플루오로메톡시)-1H-피라졸-5-카복사미드; 사이할로디아미드;
    N.29. 미지 또는 불확실한 작용 방식의 살충 활성 화합물: 아피도피로펜, 아폭솔라네르, 아자디라치틴, 아미도플루메트, 벤족시메이트, 비페나제이트, 브로플라닐리드,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치노메티오나트, 크리올라이트, 디클로로메조티아즈, 디코폴, 플루페네림, 플로메토퀸, 플루엔술폰, 플루헥사폰, 플루오피람, 플루피라디푸론, 플루랄라네르, 메톡사디아존, 피페로닐 부톡시드, 피플루부미드, 피리달릴, 피리플루퀴나존, 술폭사플로르, 티옥사자펜, 트리플루메조피림, 11-(4-클로로-2,6-디메틸페닐)-12-히드록시-1,4-디옥사-9-아자디스피로[4.2.4.2]-테트라데크-11-엔-10-온, 3-(4'-플루오로-2,4-디메틸비페닐-3-일)-4-히드록시-8-옥사-1-아자스피로-[4.5]데크-3-엔-2-온, 1-[2-플루오로-4-메틸-5-[(2,2,2-트리플루오로에틸)술피닐]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1,2,4-트리아졸-5-아민, 바실러스 피르머스 (Bacillus firmus); (E/Z)-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6-클로로-5-플루오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2,2,2-트리플루오로-N-[1-[(6-플루오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아세타미드; (E/Z)-N-[1-[(6-브로모-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1-(6-클로로-3-피리딜)에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디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2-클로로-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디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2-클로로피리미딘-5-일)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아세타미드; (E/Z)-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판아미드); 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티오아세타미드; N-[1-[(6-클로로-3-피리딜)메틸]-2-피리딜리덴]-2,2,2-트리플루오로-N'-이소프로필-아세타미딘; 플루아자인돌리진; 4-[5-(3,5-디클로로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4H-이속사졸-3-일]-2-메틸-N-(1-옥소티에탄-3-일)벤즈아미드; 플룩사메타미드; 5-[3-[2,6-디클로로-4-(3,3-디클로로알릴옥시)페녹시]프로폭시]-1H-피라졸; 3-(벤조일메틸아미노)-N-[2-브로모-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3-(벤조일메틸아미노)-2-플루오로-N-[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벤즈아미드; N-[3-[[[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페닐]-N-메틸-벤즈아미드; N-[3-[[[2-브로모-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2-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N-메틸-벤즈아미드; 4-플루오로-N-[2-플루오로-3-[[[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페닐]-N-메틸-벤즈아미드; 3-플루오로-N-[2-플루오로-3-[[[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페닐]-N-메틸-벤즈아미드; 2-클로로-N-[3-[[[2-아이오도-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미노]카보닐]페닐]-3-피리딘카복사미드; 4-시아노-N-[2-시아노-5-[[2,6-디브로모-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카바모일]페닐]-2-메틸-벤즈아미드; 4-시아노-3-[(4-시아노-2-메틸-벤조일)아미노]-N-[2,6-디클로로-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2-플루오로-벤즈아미드; N-[5-[[2-클로로-6-시아노-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카바모일]-2-시아노-페닐]-4-시아노-2-메틸-벤즈아미드; N-[5-[[2-브로모-6-클로로-4-[2,2,2-트리플루오로-1-히드록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카바모일]-2-시아노-페닐]-4-시아노-2-메틸-벤즈아미드; N-[5-[[2-브로모-6-클로로-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카바모일]-2-시아노-페닐]-4-시아노-2-메틸-벤즈아미드; 4-시아노-N-[2-시아노-5-[[2,6-디클로로-4-[1,2,2,3,3,3-헥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필]페닐]카바모일]페닐]-2-메틸-벤즈아미드; 4-시아노-N-[2-시아노-5-[[2,6-디클로로-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카바모일]페닐]-2-메틸-벤즈아미드; N-[5-[[2-브로모-6-클로로-4-[1,2,2,2-테트라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페닐]카바모일]-2-시아노-페닐]-4-시아노-2-메틸-벤즈아미드; 2-(1,3-디옥산-2-일)-6-[2-(3-피리디닐)-5-티아졸릴]-피리딘; 2-[6-[2-(5-플루오로-3-피리디닐)-5-티아졸릴]-2-피리디닐]-피리미딘; 2-[6-[2-(3-피리디닐)-5-티아졸릴]-2-피리디닐]-피리미딘; N-메틸술포닐-6-[2-(3-피리딜)티아졸-5-일]피리딘-2-카복사미드; N-메틸술포닐-6-[2-(3-피리딜)티아졸-5-일]피리딘-2-카복사미드; N-에틸-N-[4-메틸-2-(3-피리딜)티아졸-5-일]-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메틸-N-[4-메틸-2-(3-피리딜)티아졸-5-일]-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2-디메틸-N-[4-메틸-2-(3-피리딜)티아졸-5-일]-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에틸-2-메틸-N-[4-메틸-2-(3-피리딜)티아졸-5-일]-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4-클로로-2-(3-피리딜)티아졸-5-일]-N-에틸-2-메틸-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4-클로로-2-(3-피리딜)티아졸-5-일]-N,2-디메틸-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4-클로로-2-(3-피리딜)티아졸-5-일]-N-메틸-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N-[4-클로로-2-(3-피리딜)티아졸-5-일]-N-에틸-3-메틸티오-프로판아미드; 1-[(6-클로로-3-피리디닐)메틸]-1,2,3,5,6,7-헥사히드로-5-메톡시-7-메틸-8-니트로-이미다조[1,2-a]피리딘; 1-[(6-클로로피리딘-3-일)메틸]-7-메틸-8-니트로-1,2,3,5,6,7-헥사히드로이미다조[1,2-a]피리딘-5-올; 1-이소프로필-N,5-디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1,2-디메틸프로필)-N-에틸-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N,5-디메틸-N-피리다진-4-일-1-(2,2,2-트리플루오로-1-메틸-에틸)피라졸-4-카복사미드; 1-[1-(1-시아노시클로프로필)에틸]-N-에틸-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N-에틸-1-(2-플루오로-1-메틸-프로필)-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1,2-디메틸프로필)-N,5-디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1-(1-시아노시클로프로필)에틸]-N,5-디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N-메틸-1-(2-플루오로-1-메틸-프로필]-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실)-N-에틸-5-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1-(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실)-N,5-디메틸-N-피리다진-4-일-피라졸-4-카복사미드, N-(1-메틸에틸)-2-(3-피리디닐)-2H-인다졸-4-카복사미드; N-시클로프로필-2-(3-피리디닐)-2H-인다졸-4-카복사미드; N-시클로헥실-2-(3-피리디닐)-2H-인다졸-4-카복사미드; 2-(3-피리디닐)-N-(2,2,2-트리플루오로에틸)-2H-인다졸-4-카복사미드; 2-(3-피리디닐)-N-[(테트라히드로-2-푸라닐)메틸]-2H-인다졸-5-카복사미드; 메틸 2-[[2-(3-피리디닐)-2H-인다졸-5-일]카보닐]히드라진카복실레이트; N-[(2,2-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필)메틸]-2-(3-피리디닐)-2H-인다졸-5-카복사미드; N-(2,2-디플루오로프로필)-2-(3-피리디닐)-2H-인다졸-5-카복사미드; 2-(3-피리디닐)-N-(2-피리미디닐메틸)-2H-인다졸-5-카복사미드; N-[(5-메틸-2-피라지닐)메틸]-2-(3-피리디닐)-2H-인다졸-5-카복사미드, N-[3-클로로-1-(3-피리딜)피라졸-4-일]-N-에틸-3-(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술파닐)프로판아미드; N-[3-클로로-1-(3-피리딜)피라졸-4-일]-N-에틸-3-(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술피닐)프로판아미드; N-[3-클로로-1-(3-피리딜)피라졸-4-일]-3-[(2,2-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필)메틸술파닐]-N-에틸-프로판아미드; N-[3-클로로-1-(3-피리딜)피라졸-4-일]-3-[(2,2-디플루오로시클로프로필)메틸술피닐]-N-에틸-프로판아미드; 사롤라네르, 로틸라네르.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파에니바실러스 폴리믹사 (Paenibacillus polymyxa), 파에니바실러스 에피파이티커스 (Paenibacillus epiphyticus), 파에니바실러스 페오리아에 (Paenibacillus peoriae), 파에니바실러스 테라에 (Paenibacillus terrae), 파에니바실러스 자밀라에 (Paenibacillus jamilae) 및 파에니바실러스 크리벤시스 (Paenibacillus kribbensis) 종으로부터 선택되는 혼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a) 수탁 번호 DSM 26969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6774;
    b) 수탁 번호 DSM 26970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07;
    c) 수탁 번호 DSM 26971 하에 DSMZ에 기탁된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Lu17015; 및
    d) d1) 서열번호 4 또는 서열번호 9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6%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2) 서열번호 14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8%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3)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10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9%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4) 서열번호 15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2%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5)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11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2%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6) 서열번호 16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8%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7) 서열번호 7 또는 서열번호 12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8%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8) 서열번호 17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3%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9) 서열번호 8 또는 서열번호 13의 DNA 서열과 100.0%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또는
    d10) 서열번호 18의 DNA 서열과 적어도 99.9%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
    을 나타내는 DNA 서열을 포함하는 박테리아 균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혼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알테르나리아 (Alternaria) 종,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Botrytis cinerea),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 및 스크레로티니아 스크레로티오럼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병원체 중 적어도 둘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갖는 혼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 공급원 및 하나의 질소 공급원을 포함하는 성장 배지에서 하기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시킬 수 있는 혼합물:
    Figure pct00036
    .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1)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실질적으로 정제된 배양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1)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파에니바실러스 균주의 전체 배양 브로쓰, 배양 배지 또는 세포 무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1)은 폴리믹신 (polymyxin), 옥타펩틴 (octapeptin), 폴리펩틴 (polypeptin), 펠기펩틴 (pelgipeptin) 및 푸자리시딘 (fusaricidin)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은 하기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으로부터 선택되는 혼합물:
    Figure pct00037

    [상기 식에서,
    R은 15-구아니디노-3-히드록시펜타데칸산 (GHPD) 및 12-구아니디노도데칸산 (12-GDA)으로부터 선택되고;
    X1 은 트레오닌이고;
    X2 이소루신 및 발린으로부터 선택되고;
    X3 은 티로신, 발린, 이소루신 및 페닐알라닌으로부터 선택되고;
    X4 는 트레오닌이고;
    X5 는 글루타민 및 아스파라긴으로부터 선택되고;
    X6 은 알라닌이고;
    화살표는 R의 카보닐 모이어티와 아미노산 X1 의 아미노 기 사이, 또는 한 아미노산의 카보닐 기와 이웃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 사이의 단일 (아미드) 결합을 정의하고, 화살표의 끝은 상기 아미노산 X1 또는 상기 이웃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에의 부착을 의미하며;
    화살표 머리가 없는 단일선은 X6 의 카보닐 기와 X1 의 히드록실 기 사이의 단일 (에스테르) 결합을 정의함].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은 하기 화학식 I의 푸자리시딘으로부터 선택되는 혼합물:
    Figure pct00038

    [상기 식에서,
    R은 15-구아니디노-3-히드록시펜타데칸산 (GHPD) 및 12-구아니디노도데칸산 (12-GDA)으로부터 선택되고;
    X1 은 트레오닌이고;
    X2 는 이소루신이고;
    X3 은 티로신이고;
    X4 는 트레오닌이고;
    X5 는 글루타민 및 아스파라긴으로부터 선택되고;
    X6 은 알라닌이고;
    화살표는 R의 카보닐 모이어티와 아미노산 X1 의 아미노 기 사이, 또는 한 아미노산의 카보닐 기와 이웃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 사이의 단일 (아미드) 결합을 정의하고, 화살표 끝은 상기 아미노산 X1 또는 상기 이웃하는 아미노산의 아미노 기에의 부착을 의미하며;
    화살표 머리가 없는 단일선은 X6 의 카보닐 기와 X1 의 히드록실 기 사이의 단일 (에스테르) 결합을 정의함].
  11.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사산물은 하기 푸자리시딘 1A1B 로부터 선택되는 혼합물:
    Figure pct00039
    .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1) 및 성분 2)를 상승작용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혼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혼합물 및 보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하기 SF) 및 SI)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살충제 III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SF) 살진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아족시스트로빈, 피콕시스트로빈, 트리플록시스트로빈, 디목시스트로빈, 에네스트로부린, 페나민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크레속심-메틸, 만데스트로빈, 메토미노스트로빈, 오리사스트로빈, 피라메토스트로빈, 피라옥시스트로빈으로부터 선택되는 Qo 부위의 복합체 III의 억제제;
    - 플룩사피록사드, 보스칼리드, 벤조빈디플루피르, 펜플루펜, 펜티오피라드, 세닥산, 플루오피람, 빅사펜, 이소피라잠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체 II의 광범위 피리딘 및 피라졸 억제제;
    - 카르복신, 베노다닐, 펜푸람, 플루토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로부터 선택되는 복합체 II의 바시디오마이세테스 (Basidiomycetes)-특이적 억제제;
    ATP 생성 억제제 실티오팜;
    - 이프코나졸, 디페노코나졸, 프로티오코나졸, 프로클로라즈, 트리티코나졸, 플루트리아폴, 시프로코나졸,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플루퀸코나졸, 플루실라졸, 헥사코나졸,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메트코나졸, 미클로부타닐, 시메코나졸, 테부코나졸, 트리아디메놀, 유니코나졸, 티아벤다졸로부터 선택되는 살진균성 아졸 화합물;
    - 옥사티아피프롤린, 발리페날레이트, 메탈락실, 메탈락실-M, 에타복삼, 디메토모르프, 족사미드, 플루모르프, 만디프로파미드, 피리모르프, 벤티아발리카브, 이프로발리카브로부터 선택되는 우마이세테스 (Oomycetes) 살진균제;
    - MAP / 히스티딘 키나제 억제제: 플루디옥소닐;
    - 티오파네이트-메틸, 카벤다짐으로부터 선택되는 벤지미다졸 화합물;
    - 티람, 지람으로부터 선택되는 디티오카바메이트 화합물;
    SI) 살충제
    - 피프로닐, 에티프롤, 바닐리프롤, 피라플루프롤, 피리프롤, 5-아미노-1-(2,6-디클로로-4-메틸-페닐)-4-술핀아모일-1H-피라졸-3-카보티오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GABA 길항제 화합물;
    - 클로란트라닐리프롤 및 플루벤디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나비목-특이적 리아노딘 수용체 억제제;
    - 교차-스펙트럼 리아노딘 수용체 억제제: 사이안트라닐리프롤;
    - 테플루트린, 비펜트린, 사이퍼메트린, 알파-사이퍼메트린, 사이플루트린, 베타-사이플루트린, 람다-사이할로트린, 델타메트린,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토펜프록스, 펜발레레이트, 플루사이트리네이트, 퍼메트린으로부터 선택되는 파이레트로이드 (pyrethroid) 소듐 채널 조정인자;
    - 전신 활성 네오니코티노이드 화합물: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디노테푸란, 아세타미프리드, 플루피라디푸론, 티아클로프리드, 트리플루메조피림, 니텐피람;
    -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인자 및 술폭시민: 술폭사플로르, 아세페이트, 클로르피리포스, 티오디카브, 아바멕틴, 스피노사드;
    - 다른 살충제: 티옥사자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부를 갖는 식물 번식 재료.
  16. 식물 병원체의 방제 또는 억제, 또는 식물 병원체 감염의 예방을 위한, 또는 유해 미생물에 의한 침습 파괴로부터 재료의 보호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혼합물 또는 제13항 또는 제14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용도.
  17. 병원체의 방제, 억제, 또는 병원체 감염의 예방 방법으로서, 병원체, 그들 서식지 또는 병원체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려는 식물 또는 재료, 또는 토양 또는 번식 재료를,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혼합물의 유효량 또는 제13항 또는 제14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유효량으로 처리하는, 병원체의 방제, 억제, 또는 병원체 감염의 예방 방법.
KR1020187025906A 2016-02-09 2017-02-06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푸자리시딘 및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조성물 KR20180104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54807.8 2016-02-09
EP16154807.8A EP3205208A1 (en) 2016-02-09 2016-02-09 Mixtur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paenibacillus strains or fusaricidins and chemical pesticides
PCT/EP2017/052532 WO2017137351A1 (en) 2016-02-09 2017-02-06 Mixtur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paenibacillus strains or fusaricidins and chemical pestici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165A true KR20180104165A (ko) 2018-09-19

Family

ID=5545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906A KR20180104165A (ko) 2016-02-09 2017-02-06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푸자리시딘 및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190110480A1 (ko)
EP (3) EP3205208A1 (ko)
JP (1) JP6875409B2 (ko)
KR (1) KR20180104165A (ko)
CN (2) CN115005215A (ko)
AR (1) AR107562A1 (ko)
AU (2) AU2017217191B2 (ko)
BR (1) BR112018015535B8 (ko)
CA (1) CA3012437A1 (ko)
CL (2) CL2018002197A1 (ko)
ES (1) ES2959636T3 (ko)
MX (2) MX2018009719A (ko)
PL (1) PL3413714T3 (ko)
RU (1) RU2754451C2 (ko)
UA (1) UA127242C2 (ko)
WO (1) WO20171373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963B1 (ko) * 2022-09-15 2023-04-25 산천초목조경(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5209A1 (en) 2016-02-09 2017-08-16 Basf Se Mixtur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paenibacillus strains or metabolites thereof and other biopesticides
WO2019052898A1 (en) * 2017-09-13 2019-03-21 Basf Se NEW AGROCHEMICAL FORMULATIONS
CN107746894B (zh) * 2017-10-26 2020-05-26 中国农业大学 快速鉴定大豆疫霉β-tubulin基因核苷酸点突变及其对噻唑菌胺抗药性的方法
CN111253467B (zh) * 2018-12-03 2023-03-14 中国科学院上海有机化学研究所 新型镰孢菌素及其制备方法和应用
MX2021009954A (es) 2019-02-19 2021-12-10 Gowan Company L L C Composiciones liquidas estables y metodos para usar las mismas.
CN109762778B (zh) * 2019-04-11 2019-07-19 鲁东大学 类芽孢杆菌及其生物防治制剂的制备方法
CN110079480B (zh) * 2019-05-06 2020-12-18 北京航天恒丰科技股份有限公司 耐草甘膦的胶质类芽孢杆菌jd-07、菌剂及应用
CN110157638B (zh) * 2019-05-08 2020-06-23 长江师范学院 一种克里布所类芽孢杆菌yy-1及其应用
CN110432257A (zh) * 2019-08-01 2019-11-12 上海海洋大学 一种蟹类干制标本制作方法
WO2021097162A1 (en) * 2019-11-13 2021-05-20 Bayer Cropscience Lp Beneficial combinations with paenibacillus
CN111087329A (zh) * 2019-12-27 2020-05-01 天津阿尔塔科技有限公司 一种异丙草胺代谢物m6的制备方法
CN111543439A (zh) * 2020-05-19 2020-08-18 渭南职业技术学院 一种农用杀菌组合物
CA3185682A1 (en) * 2020-07-31 2022-02-03 Colin Douglas Miln Formulations
WO2022029027A1 (en) 2020-08-03 2022-02-10 Basf Se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roving plant health
JP2023553717A (ja) 2020-12-17 2023-12-25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胞子組成物、その生成及び使用
MX2023007582A (es) 2020-12-23 2023-07-07 Basf Se Mezclas y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fusaricidina a, fusaricidina b y fungicidas.
CN112899188A (zh) * 2021-01-29 2021-06-04 西南大学 一种促进作物根系发育的微生物菌剂及其制备与应用
CN113215061B (zh) * 2021-06-15 2022-12-06 四川农业大学 一种枯草芽孢杆菌scau-z8及其应用
CN113337441B (zh) * 2021-06-24 2022-08-09 哈尔滨工业大学 一种耐高温硫氧化菌株lyh-2及其应用
CN113699182B (zh) * 2021-08-31 2023-09-15 西南大学 沉默桑实杯盘菌G蛋白γ亚基编码基因CsGγ的沉默载体及其应用和方法
CN113584076B (zh) * 2021-08-31 2023-09-15 西南大学 沉默桑实杯盘菌G蛋白β亚基编码基因CsGβ2的沉默载体及其应用和方法
CN113699181B (zh) * 2021-08-31 2023-09-15 西南大学 沉默桑实杯盘菌G蛋白α亚基编码基因CsGPA3的沉默载体及其应用和方法
CN113584077B (zh) * 2021-08-31 2023-09-15 西南大学 沉默桑实杯盘菌关键致病基因CsGPA1的沉默载体及其应用和方法
WO2023036938A1 (en) 2021-09-10 2023-03-16 Basf Se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microorganisms and uses thereof
CN113667621B (zh) * 2021-09-15 2023-03-10 中国林业科学研究院亚热带林业研究所 一种吉伦伯不动杆菌及其应用
WO2023088791A1 (en) 2021-11-22 2023-05-25 Basf Se Paenibacillus strains producing low amounts of dab comprising compounds.
CN114275906A (zh) * 2021-12-10 2022-04-05 安徽安泰农业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养猪场污水处理复合菌剂及其制备方法
CN114375989B (zh) * 2021-12-29 2024-03-26 淮阴工学院 杰米拉类芽孢杆菌w51在草莓和桃采后病害防治中的应用及应用方法
CN114965804B (zh) * 2022-04-24 2023-11-24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同时测定土壤中异丙噻菌胺及其代谢物ppa残留的方法
CN115166114B (zh) * 2022-07-12 2024-03-15 江苏恒生检测有限公司 一种用于水或土壤中双唑草腈代谢物的检测方法
CN115060839B (zh) * 2022-07-19 2024-04-23 江苏恒生检测有限公司 一种基于液相色谱质谱法测定双唑草腈代谢物的方法
CN116515719A (zh) * 2023-07-03 2023-08-01 中建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水质改良的微生物复合菌剂、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5503A (en) 1965-02-18 1967-06-13 Diamond Alkali Co Polychloro derivatives of mono- and dicyano pyridines and a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US3296272A (en) 1965-04-01 1967-01-03 Dow Chemical Co Sulfinyl- and sulfonylpyridines
DE3338292A1 (de) 1983-10-21 1985-05-02 Basf Ag, 6700 Ludwigshafen 7-amino-azolo(1,5-a)-pyrimidine und diese enthaltende fungizide
CA1249832A (en) 1984-02-03 1989-02-07 Shionogi & Co., Ltd. Azolyl cycloalkanol derivatives and agricultural fungicides
BR8600161A (pt) 1985-01-18 1986-09-23 Plant Genetic Systems Nv Gene quimerico,vetores de plasmidio hibrido,intermediario,processo para controlar insetos em agricultura ou horticultura,composicao inseticida,processo para transformar celulas de plantas para expressar uma toxina de polipeptideo produzida por bacillus thuringiensis,planta,semente de planta,cultura de celulas e plasmidio
DE3545319A1 (de) 1985-12-20 1987-06-25 Basf Ag Acrylsaeureester und fungizide, d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
MY100846A (en) 1986-05-02 1991-03-15 Stauffer Chemical Co Fungicidal pyridyl imidates
CA1293975C (en) 1986-08-12 1992-01-07 Naoko Sasaki Pyridinecarboxam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fungicide
EP0374753A3 (de) 1988-12-19 1991-05-29 American Cyanamid Company Insektizide Toxine, Gene, die diese Toxine kodieren, Antikörper, die sie binden, sowie transgene Pflanzenzellen und transgene Pflanzen, die diese Toxine exprimieren
EP0392225B1 (en) 1989-03-24 2003-05-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Disease-resistant transgenic plants
DK0427529T3 (da) 1989-11-07 1995-06-26 Pioneer Hi Bred Int Larvedræbende lactiner og planteinsektresistens baseret derpå
AU628229B2 (en) 1989-11-10 1992-09-10 Agro-Kanesho Co. Ltd. Hexahydrotriazine compounds and insecticides
JP2828186B2 (ja) 1991-09-13 1998-11-25 宇部興産株式会社 アクリレート系化合物、その製法及び殺菌剤
UA48104C2 (uk) 1991-10-04 2002-08-15 Новартіс Аг Фрагмент днк, який містить послідовність,що кодує інсектицидний протеїн, оптимізовану для кукурудзи,фрагмент днк, який забезпечує направлену бажану для серцевини стебла експресію зв'язаного з нею структурного гена в рослині, фрагмент днк, який забезпечує специфічну для пилку експресію зв`язаного з нею структурного гена в рослині, рекомбінантна молекула днк,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оптимізованої для кукурудзи кодуючої послідовності інсектицидного протеїну, спосіб захисту рослин кукурудзи щонайменше від однієї комахи-шкідника
JP3046167B2 (ja) 1992-12-25 2000-05-29 株式会社北海道グリーン興産 植物病害防除菌、これを用いた防除剤及び防除剤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US5530195A (en) 1994-06-10 1996-06-25 Ciba-Geigy Corporation Bacillus thuringiensis gene encoding a toxin active against insects
DE19650197A1 (de) 1996-12-04 1998-06-10 Bayer Ag 3-Thiocarbamoylpyrazol-Derivate
NL1004759C2 (nl) 1996-12-12 1998-06-15 Plantenkwekerij G N M Grootsch Werkwijze voor het telen van een plant met behulp van een teeltblok, teeltblok en inrichting voor het behandelen van dergelijke blokken.
TW460476B (en) 1997-04-14 2001-10-21 American Cyanamid Co Fungicidal trifluoromethylalkylamino-triazolopyrimidines
US6103228A (en) 1997-05-09 2000-08-15 Agraquest,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lant pests
SK283036B6 (sk) 1997-05-09 2003-02-04 Agraquest, Inc. Biologicky čistá kultúra kmeňa Bacillus subtilis, metabolit, supernatant, prostriedok a spôsob ochrany alebo ošetrenia rastlín a plodov
TR200000735T2 (tr) 1997-09-18 2000-07-21 Basf Aktiengesellschaft Benzamidoksim türevi, ara ürünler ve üretim yöntemleri.
DE19750012A1 (de) 1997-11-12 1999-05-20 Bayer Ag Isothiazolcarbonsäureamide
AU1621799A (en) 1997-12-04 1999-06-16 Dow Agrosciences Llc Fung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and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A2238289C (en) 1998-05-20 2013-08-06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Biocontrol agent and fungicide for blackleg disease
NZ511311A (en) 1998-11-17 2002-10-25 Kumiai Chemical Industry Co Pyrimidinylbenzimidazole and triazinylbenzimidazole derivatives useful as agricultural, horticultural bactericides
IT1303800B1 (it) 1998-11-30 2001-02-23 Isagro Ricerca Srl Composti dipeptidici aventi elevata attivita' fungicida e loroutilizzo agronomico.
JP3417862B2 (ja) 1999-02-02 2003-06-16 新東工業株式会社 酸化チタン光触媒高担持シリカ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770077B2 (en) 1999-03-11 2004-02-12 Dow Agrosciences Llc Heterocyclic substituted isoxazolidines and their use as fungicides
JP4584461B2 (ja) 1999-03-30 2010-11-24 アグラクエス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植物の病気を制御するためのBacilluspumilus菌株
US6586617B1 (en) 1999-04-28 2003-07-01 Sumitomo Chemical Takeda Agro Company, Limited Sulfonamide derivatives
UA73307C2 (uk) 1999-08-05 2005-07-15 Куміаі Кемікал Індастрі Ко., Лтд. Похідна карбамату і фунгіцид сільськогосподарського/садівницького призначення
US20060150489A1 (en) 1999-08-26 2006-07-13 Legro Robert J Protection of germinating seed and pills containing pesticides
NL1012918C2 (nl) 1999-08-26 2001-02-27 Incotec Internat B V Werkwijze voor het beschermen van te ontkiemen zaad en pesticidehoudende pil.
DE10021412A1 (de) 1999-12-13 2001-06-21 Bayer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SK10822002A3 (sk) 2000-01-25 2003-05-02 Syngenta Participations Ag Herbicídna kompozícia a jej použitie na kontrolu buriny
US6376548B1 (en) 2000-01-28 2002-04-23 Rohm And Haas Company Enhanced propertied pesticides
IL167954A (en) 2000-02-04 2007-10-31 Sumitomo Chemical Co History of pyrimidine
CN1218037C (zh) 2000-03-31 2005-09-07 佐佐木康晴 厚壁孢子及其生产方法
CA2419029A1 (en) 2000-08-25 2002-02-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Bacillus thuringiensis crystal protein hybrids
EP1322614A2 (en) 2000-09-18 2003-07-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yridinyl amides and imides for use as fungicides
ES2339532T3 (es) 2000-11-17 2010-05-21 Dow Agrosciences Llc Compuestos que tienen actividad fungicida y procedimientos para obtenerlos y usarlos.
JP5034142B2 (ja) 2001-04-20 2012-09-26 住友化学株式会社 植物病害防除剤組成物
DE10136065A1 (de) 2001-07-25 2003-02-13 Bayer Cropscience Ag Pyrazolylcarboxanilide
AR037228A1 (es) 2001-07-30 2004-11-03 Dow Agrosciences Llc Compuestos del acido 6-(aril o heteroaril)-4-aminopicolinico, composicion herbicida que los comprende y metodo para controlar vegetacion no deseada
FR2828196A1 (fr) 2001-08-03 2003-02-07 Aventis Cropscience Sa Derives de chromone a action fongicide, procede de preparation et application dans le domaine de l'agriculture
ES2330089T3 (es) 2001-08-17 2009-12-04 Mitsui Chemicals Agro, Inc. Derivado de 3-fenoxi-4-piridazinol y composicion herbicida que lo contiene.
US7183299B2 (en) 2001-08-20 2007-02-27 Nippon Soda Co., Ltd. Tetrazoyl oxime derivative and agricultural chemical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US7230167B2 (en) 2001-08-31 2007-06-12 Syngenta Participations Ag Modified Cry3A toxins and nucleic acid sequences coding therefor
AU2002361696A1 (en) 2001-12-17 2003-06-30 Syngenta Participations Ag Novel corn event
AU2002354251A1 (en) 2001-12-21 2003-07-09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Bactericidal composition
TWI327462B (en) 2002-01-18 2010-07-21 Sumitomo Chemical Co Condensed heterocyclic sulfonyl urea compound, a herbicide contain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weed control using the same
DE10204390A1 (de) 2002-02-04 2003-08-14 Bayer Cropscience Ag Disubstituierte Thiazolylcarboxanilide
DK1480955T3 (da) 2002-03-05 2007-10-29 Syngenta Participations Ag O-cyclopropyl-carboxanilider og deres anvendelse som fungicider
GB0227966D0 (en) 2002-11-29 2003-01-08 Syngenta Participations Ag Organic Compounds
WO2004083193A1 (ja) 2003-03-17 2004-09-3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アミド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殺菌剤組成物
CN1201657C (zh) 2003-03-25 2005-05-18 浙江省化工研究院 甲氧基丙烯酸甲酯类化合物杀菌剂
TWI355894B (en) 2003-12-19 2012-01-11 Du Pont Herbicidal pyrimidines
SI1725561T1 (sl) 2004-03-10 2010-09-30 Basf Se Dialkil amino triazolopirimidini postopek za njihovo proizvodnjo njihova uporaba za nadzor patogenih gljiv in agensi vsebujoči omenjeno spojino
DE502005009861D1 (de) 2004-03-10 2010-08-19 Basf Se 5,6-dialkyl-7-amino-triazolopyrimid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bekämpfung von schadpilzen sowie sie enthaltende mittel
US20080020999A1 (en) 2004-06-03 2008-01-24 Klapproth Michael C Fungicidal Mixtures Of Amidinylphenyl Compounds
GB0412974D0 (en) 2004-06-10 2004-07-14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hod of applying active ingredients
PE20060096A1 (es) 2004-06-18 2006-03-16 Basf Ag (orto-fenil)-anilidas de acido 1-metil-3-difluorometil-pirazol-4-carboxilico como agentes fungicidas
WO2005123689A1 (de) 2004-06-18 2005-12-29 Basf Aktiengesellschaft 1-methyl-3-trifluormethyl-pyrazol-4-carbonsäure-(ortho-phenyl)-anilide und ihre verwendung als fungizid
NZ552836A (en) 2004-07-13 2010-05-28 William Brower Microbial mixture for treating plants to control or suppress a plant pathogen, particularly blight
KR101227714B1 (ko) 2004-08-09 2013-01-29 가켄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신규 페니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들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질을 이용한 식물 병해 방제
GB0418048D0 (en) 2004-08-12 2004-09-15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hod for protecting useful plants or plant propagation material
US8020343B2 (en) 2004-12-23 2011-09-20 Becker Underwood Inc. Enhanced shelf life and on seed stabilization of liquid bacterium inoculants
DE102005007160A1 (de) 2005-02-16 2006-08-24 Basf Ag Pyrazolcarbonsäureanil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sie enthaltende Mittel zur Bekämpfung von Schadpilzen
JP2008530057A (ja) 2005-02-16 2008-08-0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5−アルコキシアルキル−6−アルキル−7−アミノアゾロピリミジン、それらの製造方法、有害菌類を防除す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および上記物質を含む組成物
DE102005009458A1 (de) 2005-03-02 2006-09-07 Bayer Cropscience Ag Pyrazolylcarboxanilide
NL1028815C2 (nl) 2005-04-19 2006-10-20 Grow Beheer B V Het planten van plantmateriaal.
JP2006328022A (ja) * 2005-05-30 2006-12-07 Keio Gijuku ヘプタデプシン生産菌を含む植物病害防除剤
BRPI0612637B1 (pt) 2005-07-07 2016-08-02 Basf Ag compostos de n-tio-antranilamida, processos para preparação de tais compostos, e de uma composição, uso de tais compostos, métodos para controle de insetos, acarídeos ou nematóides, para proteção de plantas em desenvolvimento do ataque 5 ou infestação por insetos, acarídeos ou nematóides, e, composições
CN1907024A (zh) 2005-08-03 2007-02-07 浙江化工科技集团有限公司 取代甲氧基丙烯酸甲酯类化合物杀菌剂
EP1795071A1 (en) 2005-12-07 2007-06-13 Incotec International B.V. Modified active-ingredient-containing pellets/capsules
CN1317953C (zh) * 2005-12-07 2007-05-30 南京农业大学 一种能防除连作作物枯萎病的拮抗菌及其微生物有机肥料
CA2626103C (en) 2006-01-13 2013-07-30 Dow Agrosciences Llc 6-(poly-substituted aryl)-4-aminopicolinates and their use as herbicides
KR100762315B1 (ko) 2006-01-24 2007-10-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푸자리시딘 생합성 효소 및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EP1983832A2 (en) 2006-02-09 2008-10-29 Syngeta Participations AG A method of protecting a plant propagation material, a plant, and/or plant organs
BRPI0905613B1 (pt) 2008-01-15 2021-06-22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Composições e método para controle de fungos fitopatogênicos de plantas, safras ou sementes
CN100589699C (zh) * 2008-01-21 2010-02-17 安徽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防治水稻纹枯病的多粘类芽孢杆菌与井冈霉素组合物
WO2009126473A1 (en) 2008-04-07 2009-10-15 Bayer Cropscience Lp Stable aqueous spore-containing formulation
GB0823002D0 (en) 2008-12-17 2009-01-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Isoxazoles derivatives with plant growth regulating properties
CN101550405B (zh) * 2009-03-31 2010-12-08 江苏丘陵地区镇江农业科学研究所 防治水稻干尖线虫病或蔬菜线虫病的菌株tx-4及制剂
CN101906075B (zh) 2009-06-05 2012-11-07 中国中化股份有限公司 含取代苯胺基嘧啶基团的e-型苯基丙烯酸酯类化合物及其应用
EP2473483A4 (en) 2009-09-01 2013-10-16 Dow Agrosciences Llc SYNERGISTIC FUNG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A 5-FLUOROPYRIMIDINE DERIVATIVE FOR FUNGUS CONTROL IN CEREALS
EP2510097A4 (en) 2009-12-09 2013-06-26 Best Environmental Technologies Inc ANTIMICROBIAL ACTIVE FROM PAENIBACILLUS SP. AND METHOD AND ITS USES
CA2785169C (en) 2009-12-22 2016-11-22 Mitsui Chemicals Agro, Inc.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by applying the same
KR101313900B1 (ko) * 2010-04-28 2013-09-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푸자리시딘을 이용한 식물 보호 방법
RU2569962C2 (ru) 2010-04-28 2015-12-10 Сумитомо Кемикал Компани, Лимитед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борьбы с заболеваниями растений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EP2532233A1 (en) 2011-06-07 2012-12-12 Bayer CropScience AG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JP5789340B2 (ja) 2011-07-13 2015-10-07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グロ ベー.ブイ. 殺菌性置換2−[2−ハロゲンアルキル−4−(フェノキシ)−フェニル]−1−[1,2,4]トリアゾール−1−イル−エタノール化合物
CA2840284A1 (en) 2011-07-15 2013-01-24 Basf Se Fungicidal alkyl-substituted 2-[2-chloro-4-(4-chloro-phenoxy)-phenyl]-1-[1,2,4]triazol-1-yl-ethanol compounds
US20140179519A1 (en) 2011-08-12 2014-06-26 Basf Se N-thio-anthranilamide compounds and their use as pesticides
CN103857666B (zh) 2011-08-12 2016-12-14 巴斯夫欧洲公司 N-硫代邻氨基苯甲酰胺化合物及其作为农药的用途
JP6005652B2 (ja) 2011-09-26 2016-10-12 日本曹達株式会社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MY167697A (en) 2011-09-29 2018-09-21 Mitsui Chemicals Agro Inc Method for producing 4,4-difluoro-3,4- dihydroisoquinoline derivatives
CN102352332B (zh) 2011-10-21 2013-01-16 中国农业大学 固氮类芽孢杆菌1-43及其应用
PL2793579T6 (pl) 2011-12-21 2018-08-31 Basf Se Zastosowanie związków typu strobiluryny do zwalczania fitopatogennych grzybów opornych na inhibitory qo
US20150011389A1 (en) * 2012-01-25 2015-01-08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ntaining Fluopyram and Biological Control Agent
BR122019010667B1 (pt) 2012-02-27 2020-12-22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combinação, método para controle de fungos fitopatogênicos prejudiciais e uso da referida combinação
JP6107377B2 (ja) 2012-04-27 2017-04-05 住友化学株式会社 テトラゾリノ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US9693565B2 (en) * 2012-12-03 2017-07-04 Bayer Cropscience Ag Composition comprising biological control agents
WO2014086856A1 (en) * 2012-12-04 2014-06-12 Basf Agro B.V., Arnhem (Nl) Compositions comprising a quillay extract and a biopesticide
US20160278384A1 (en) * 2013-03-20 2016-09-29 Basf Corporation Synergis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bacillus subtilis strain and a biopesticide
RU2539738C1 (ru) * 2013-08-20 2015-01-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Биомедхим" (ЗАО НПП "Биомедхим") ШТАММ БАКТЕРИЙ Paenibacillus sp. ДЛЯ ПОЛУЧЕНИЯ БИОПРЕПАРАТА ПРОТИВ ЗАБОЛЕВАНИЙ ПШЕНИЦЫ, ВЫЗЫВАЕМЫХ ФИТОПАТОГЕННЫМИ ГРИБАМИ
CN103621560A (zh) * 2013-11-28 2014-03-12 仲恺农业工程学院 一种多粘类芽孢杆菌与苯醚甲环唑的复配杀菌剂及其应用
WO2015184170A1 (en) * 2014-05-28 2015-12-03 Bayer Cropscience Lp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ungal and bacterial diseases in plants
UA128055C2 (uk) * 2014-08-04 2024-03-27 Басф Се Протигрибкові штами paenibacillus, сполуки типу фузарицидину та їх застосування
CN105237203B (zh) * 2015-10-13 2018-07-27 山东锦鸿源生态农业有限责任公司 一种长效花生生物药肥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963B1 (ko) * 2022-09-15 2023-04-25 산천초목조경(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7351A1 (en) 2017-08-17
CN109068645A (zh) 2018-12-21
AU2017217191B2 (en) 2021-11-11
EP4292433A2 (en) 2023-12-20
RU2018131441A (ru) 2020-03-11
UA127242C2 (uk) 2023-06-21
AR107562A1 (es) 2018-05-09
AU2017217191A1 (en) 2018-08-23
AU2022200847A1 (en) 2022-03-03
JP2019509991A (ja) 2019-04-11
BR112018015535B1 (pt) 2023-03-07
JP6875409B2 (ja) 2021-05-26
CN115005215A (zh) 2022-09-06
RU2754451C2 (ru) 2021-09-02
EP3413714A1 (en) 2018-12-19
CA3012437A1 (en) 2017-08-17
EP4292433A3 (en) 2024-03-06
CL2018002197A1 (es) 2018-09-14
US20190110480A1 (en) 2019-04-18
ES2959636T3 (es) 2024-02-27
RU2018131441A3 (ko) 2020-07-02
MX2018009719A (es) 2018-09-10
BR112018015535B8 (pt) 2023-03-28
PL3413714T3 (pl) 2024-01-22
AU2022200847B2 (en) 2024-03-07
EP3205208A1 (en) 2017-08-16
CL2023000924A1 (es) 2023-09-15
EP3413714B1 (en) 2023-07-26
CN109068645B (zh) 2022-07-08
MX2023010171A (es) 2023-09-14
BR112018015535A2 (pt)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00847B2 (en) Mixtur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paenibacillus strains or fusaricidins and chemical pesticides
EP3413715B1 (en) Mixtur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paenibacillus strains or metabolites thereof and other biopesticides
CN105939603B (zh) 包含羧酰胺化合物的农业混合物
AU2017204506A1 (en) Pesticidal mixtures
EA031644B1 (ru) Синерге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штамм bacillus subtilis и пестицид
AU2013349839A1 (en) Pesticidal mixtures
WO2015180983A1 (en) Mixtures comprising nitrogen-fixing bacteria and biopesticides and chemical pesticides
AU2013349881A1 (en) Pesticidal mixtures
WO2015181008A1 (en) Ternary mixtures comprising biopesticides and chemical fungicides and chemical insecticides
WO2015180999A1 (en) Ternary mixtures comprising biopesticides and sdhi fungicides and azole-type fungicides
WO2015180985A1 (en) Ternary mixtures comprising biopesticides and oomycetes fungicides and sdhi fungicides
EP2962567A1 (en) Ternary mixtures comprising biopesticides and at least two chemical insecticides
CN116234444A (zh) 包含硫杂环丁烷氧基化合物、其氧化物或其盐的具有杀虫活性的混合物
RU2799074C1 (ru) Смеси и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штаммы paenibacillus или фузарицидины и химические пестициды
BR122022023079B1 (pt) Mistura, composição, material de propagação de plantas, uso de uma mistura e método de controle, supressão de patógenos ou prevenção de infecção por patógenos
BR122022023093B1 (pt) Mistura, composição, material de propagação de plantas, uso de uma mistura e método de controle, supressão de patógenos em plantas ou prevenção de infecção por patógenos de plant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