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963B1 -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963B1
KR102524963B1 KR1020220116283A KR20220116283A KR102524963B1 KR 102524963 B1 KR102524963 B1 KR 102524963B1 KR 1020220116283 A KR1020220116283 A KR 1020220116283A KR 20220116283 A KR20220116283 A KR 20220116283A KR 102524963 B1 KR102524963 B1 KR 102524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bacillus
eco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산천초목조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천초목조경(주) filed Critical 산천초목조경(주)
Priority to KR102022011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3/00Herbicides; Algic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7/00Arthropodicides
    • A01P7/04Insecti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살충제 피레트린 0.1 내지 1.0 중량부;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제초제 2.3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ECO-FRIENDLY COMPOSITION FOR GRASS GROWTH AND SOIL IMPROVEMENT USING MICROORGANISM}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천연 미생물과 살충제에 작용 범위가 다른 제초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잔디에 해가 없고 병해충 및 잡초를 동시에 제거하며, 제거된 병해충 및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여 토양을 건강하게 하여, 잔디에 새로운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주변 토양의 산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잔디는 공원, 화단, 묘지 등과 같이 조경을 위해서 많이 사용될 뿐아니라 특별한 기능성에 의해 골프장, 운동 경기장과 같은 곳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시열을 낮추고 산소 정하와 도시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다양한 목적으로 잔디를 키워 이용하는 곳에서 양호한 잔디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잔디 관리에 있어서, 병해충 및 유해 식물은 바람직하지 않은 경쟁자들로서, 이들은 억제하는 데는 상당한 경비와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현재, 각 공원, 위락시설, 체육시설 등에서 문제되는 잔디의 효율적 관리와 효과적인 병충해 및 잡초 제거를 위해서 정기적으로 약제를 살포하는데 이렇게 약제를 사용시, 잔디의 생명에 지장이 없을 것, 주변 조경 수묵에 약해가 없을 것, 경제성이 있을 것 미관이 좋을 것 등의 요소가 만족되어야 한다.
그러나 주로 사용되는 약제는 농약,제초제,살충제 등과 같은 합성 화학 물질이며 이들은 토양을 산성화시키고 중금속과 같은 공해물질이 토양에 축적되어 잔디의 생장조건을 약화시킨다. 이에 더해서 일부 해충들은 흔히 사용되는 살충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게 되었다.
이는 농약, 제초제, 살충제 등의 사용량을 점점 증가시키며 토양에 축적된 오염물질이 빗물에 의해 지하수나 하천 등으로 유입되어 심각한 수질 오염을 일으켜 주변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인력이 투입되어 병충해 방제 및 재초를 할 경우, 병충해의 근원적 해결이 불가하며 잡초의 뿌리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병충해의 번식 및 잡초의 종족 번식력을 높여 더 많은 병충해와 잡초가 번식하게 된다.
또한, 인력에 의한 제초의 경우 호미 등으로 잔디의 런너를 손상시켜 잔디의 품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고, 토양 속의 잡초 씨앗의 발아조건이 형성되어 발아를 촉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충과 잡초 등의 유해 곤충 및 식물은 장기간에 걸쳐 토양 중에 잔디와 함께 상생하여 성장하기 때문에, 주변 식물 및 토양과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환경 친화적 잔디보호제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에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87742호는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 소금의 등을 조성한 잔디 관리용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34624호는 소금물을 주 재료로하는 잔디 관리용 조성물을 제시 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은 광물에서 추출한 천연 활성 성분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잔디 관리를 꾀하고 있으나 제조에 시간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어 비경제적이며 그 효과 또한 충분치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87742호(2016.12.1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34624호(2020.07.10.)
본 발명은 천연 추출 물질을 이용하여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잔디 관리를 할 수 있으며, 병충해의 제거가 우수할 뿐 아니라, 병충해를 억제하고, 제초 효과가 탁월하고, 지속효과가 우수하며, 잔디를 비롯한 주변 환경에도 유해하지 않은,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살충제 피레트린 0.1 내지 1.0 중량부;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제초제 2.3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천연살충제인 피레트린, 천연 미생물인 바실러스속 6종, 요소 비료 및 제초제를 최적 혼합비로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잔디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해충 및 잡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양의 산성화를 억제할 수 있어 토양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생한 병충해 및 유해 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살충제 피레트린 0.1 내지 1.0 중량부;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제초제 2.3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디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합성 화학 살충제 및/또는 제초제는 지하수 및 다른 환경에 잔존하여 다른 동·식물에게 독성, 발암 등의 유해한 영향을 주며 일부 해충은 많은 합성 화학 살충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식물과 해초류에서 유래한 천연살충제인 피레트린과 바실러스속 6종을 최적 비율로 포함함에 따라, 종래 제초제, 잔디보호제보다 적은 사용량으로도 우수한 병해충 박멸 효과, 토양 개선 효과, 잡초 발생 억제 효과를 가지면서도 주변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고, 지속 효과 또한 우수한 이점이 있다.
천연살충제 피레트린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살충제 피레트린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살충제 피레트린(pyrethrin, CAS No.121-21-1, (1S)-2-methyl-4-oxo-3-[(2Z)-2,4-pentadien-1-yl]-2-cyclopenten-1-yl (1R,3R)-2,2-dimethyl-3-(2-methyl-1-propen-1-yl)cyclopropanecarboxylate)은 국화과 꽃잎에서 추출하는 천연 살충 성분으로서, 진드기, 나방, 모기 등과 같은 해충, 곰팡이, 인체에 유해한 병해충 원인을 제거하는 성분이다.
상기 천연살충제 피레트린은 토양에 이로운 지렁이, 개미 등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산소나 햇빛에서는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잔류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피레트린은 현재 제충국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천연살충제 피레트린은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중량부 ,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천연살충제 피레트린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병충해 방재 효과가 극대화되며, 잔디의 황화, 고사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을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은 단백질 분해 효소를 분비하는 토양 미생물로서, 단백질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으로 만들어 식물이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실러스는 토양에 들어가서 단백질 원료가 되는 지렁이, 땅강아지, 선충 또는 미생물의 죽은 몸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분해된 산물은 식물체 내로 흡수가 되어 헥산을 만들 수 있는 재료가 되거나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토양 환경 또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토양 내에 들어간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은 식물, 요컨대 잔디의 뿌리털을 코팅시켜 발근 촉진 기능이 증대되고, 외부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신유도저항성(ISR)을 촉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아조토포르만스(bacillus azotoforman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및 바실러스 푸밀루스(bacillus pumulis)일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가장 대표적인 다기능성 근권 미생물로서, 토양에서 서식하며 그람 양성(Gram positive)의 아포 형성 균이다. 호기성이며, 내열성이 있고, 포도당과 같은 다양한 당류, 전분 등을 에너지원으로 대사하여, 메주나 청국장과 같은 발효 식품 제조에 이용되기도 하는 유기물 분해 미생물이다.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경우, 뿌리털 주변을 균총화시켜 보호 자극함으로써 새로운 잔디 개체의 성장을 촉진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ml에 대하여 0.3×108 내지 3×108 CFU/ml, 바람직하게는 0.5×108 내지 2×108 CFU/ml, 더욱 바람직하게는 0.8×108 내지 1.5×108 CFU/ml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잔디 개체의 성장이 촉진되는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다기능성 미생물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에 존재하지만, 조류의 깃털, 구체적으로 가슴 및 등쪽 깃털 등에서도 발견되어지며, 특히 가금류에 많이 존재하는 박테리아이다.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는 그람 양성균이며 열호기성 박테리아로, 최적의 성장 온도는 50℃이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 생육에 있어서 불리한 환경 조건하에서는 스포어 형태로 존재하다가 유리한 조건이 되면 빠르게 성장한다.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는 유기물 분해 효과가 뛰어나 토양 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잔디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항균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는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ml에 대하여 0.3×108 내지 3×108 CFU/ml, 바람직하게는 0.5×108 내지 2×108 CFU/ml, 더욱 바람직하게는 0.8×108 내지 1.5×108 CFU/ml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토양환경을 알칼리성화하는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바실러스 아조토포르만스는 최근 병 방제 효과가 뛰어나 미생물 살균제로 활용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미생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실러스 아조토포르만스는 토양개량 및 잔디의 생리활성을 유도하는 근권 미생물로서 잔디의 내병성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바실러스 아조토포르만스는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ml에 대하여 0.3×108 내지 3×108 CFU/ml, 바람직하게는 0.5×108 내지 2×108 CFU/ml, 더욱 바람직하게는 0.8×108 내지 1.5×108 CFU/ml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잔디의 내변성 향상에 기여하는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바실러스 메가테리움은 난용성 인삼연 가용화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비타민 B12를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이 상기 바실러스 메가테리움을 포함하는 경우, 강력 전분 분해력으로 탯취 분해력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탯취는 잔디의 살아있거나 고사한 줄기와 뿌리로 이루어진 단단한 혼합층으로서 잎과 토양표면 사이에 발생하는데, 주된 구성 성분은 셀룰로오스, 헤밀셀룰로오스와 리그닌 등으로 이루어지며, 리그닌은 상대적으로 분해 되기 어려운 성분으로 탯취 축적의 원인이 된다.
미부숙 탯취가 과도하게 축적되면 병해충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투수성과 통기성이 낮아지며, 시비효율 감소 등 잔디 관리상에 중요한 문제를 야기 시키게 되는데, 상기 바실러스 메가테리움을 포함함으로써 탯취 분해력이 극대화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토양 또는 잔디 개량제 사용을 통하여 전술한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바실러스 메가테리움은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ml에 대하여 0.3×108 내지 3×108 CFU/ml, 바람직하게는 0.5×108 내지 2×108 CFU/ml, 더욱 바람직하게는 0.8×108 내지 1.5×108 CFU/ml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잔디 잔재물의 분해력이 우수한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유포자성 유산균으로 알려진 상기 바실러스 코아귤란스는 프로바이오틱스, 락토바실러스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유익한 박테리아로 알려져 있다. 운동성이 있는 그람(Gram) 양성의 간균으로, 포자를 형성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뛰어나고 사료에 첨가 투여시 장관 내에서 사멸되지 않고 효소제와 협력하여 장내 세균총을 정상화시켜 정장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축산 농가의 사료 생균제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바실러스 코아귤란스가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메마른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바실러스 코아귤란스는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ml에 대하여 0.3×108 내지 3×108 CFU/ml, 바람직하게는 0.5×108 내지 2×108 CFU/ml, 더욱 바람직하게는 0.8×108 내지 1.5×108 CFU/ml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토양이 비옥해지는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바실러스 푸밀루스는 호기성 아포자균으로, 유기물 분해 능력이 우수하다. 상기 바실러스 푸밀루스는 모잘록병의 발생을 억제하고, 병반을 형성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바실러스 푸밀루스는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ml에 대하여 0.3×108 내지 3×108 CFU/ml, 바람직하게는 0.5×108 내지 2×108 CFU/ml, 더욱 바람직하게는 0.8×108 내지 1.5×108 CFU/ml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병충해를 예방하는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은 다양한 돌연 변이체 또는 변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돌연 변이체 또는 변종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제초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초제 2.3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초제는 플루록시피르-멥틸(Fluroxypyr-meptyl),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Triclopyr-TEA), 플라자설퓨론(Flazasulfuron) 및 펜디메탈린(Pendimethal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은 피리딘카르복실릭에시드계로서, 미탁제의 형태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은 토끼풀, 쑥 등의 광엽 잡초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는 아릴옥시알카노인에시드계 제초제일 수 있으며, 미탁제의 형태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초제는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과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를 함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과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를 함께 포함하는 경우, 잡초발생 후 1년생 및 다년생 광엽 잡초의 줄기와 잎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역할이 극대화됨으로써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과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는 광엽 잡초의 제거에 효과적으로서,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과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가 광엽 잡초의 잎을 통해 흡수됨으로써 식물의 분열조직에 집적되어 활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효소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식물의 기본적인 세포분열 및 생장을 억제시킴으로써 우수한 제초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과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는 미탁제의 형태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하늘아래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탁제의 추가 성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라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과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는 중량비로 1:0.6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0.9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과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전술한 효과가 극대화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 및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의 함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0.9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 및 상기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잔디 생육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잡초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제초제는 플라자설퓨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자설퓨론은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로서, 잡초 발생 후 1년생 및 다년생 화분과 잡초의 줄기와 잎을 처리하는 선택성 제초제로서 유용하기 때문에 상기 플라자설퓨론을 제초제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라자설퓨론은 화분과 잡초의 잎과 줄기를 통해 흡수되며, 식물의 분열조직에 집적되어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효소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식물의 기본적인 세포분열 및 생장을 억제시킴으로써 제초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라자설퓨론은 화분과 잡초제거에 효과적으로서, 잡초의 생육 초기에 사용하는 경엽처리형 제초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잡초 발생 전에 토양 처리를 하여도 잡초 발생을 억제하며, 화본과 잡초인 바랭이 등의 일년생 잡초, 광엽 잡초인 토끼풀, 사초과 잡초인 향부자 등의 다년생 잡초 및 포아풀 등의 월년생 잡초에도 살조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플라자설퓨론은 버디샷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플라자설퓨론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7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플라자설퓨론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잔디생육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잡초 제거 효과가 탁월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제초제는 펜디메탈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디메탈린은 디니트로아닐린계 제초제로서, 일년생 잡초의 분열조직의 세포분열을 억제하여 종자의 발아와 관련된 생리적 기작에 영향을 주어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펜디메탈린은 잔효성이 길어 지속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상기 제초제는 상기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디메탈린은 스톰프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펜디메탈린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펜디메탈린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주변 수목에 약영향을 주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잡초 제거 및 지속 기간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초제는 플루록시피르-멥틸,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 플라자설퓨론 및 펜디메탈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 및 트리클로피르티에이 0.6 내지 1.0 중량부, 상기 플라자설퓨론 0.7 내지 1.5 중량부, 및 상기 펜디메탈린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이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 플라자설퓨론 및 펜디메탈린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효과가 극대화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 플라자설퓨론 및 펜디메탈린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소비료, 해독제, 살충제, 곰팡이 제거제 및 진드기 살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천연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소비료 0.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소비료는 질소, 인산, 칼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상기 성분들이 혼합되어 중성을 이루고 있으며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잔디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요소비료는 중성비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소비료는 상기 질소를 46%의 조합으로 이루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비료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시판되는 것을 제한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소비료는 상기 물 100 중량부에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요소비료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영양 과다 공급으로 인하여 잡초가 활성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식물이나 광물 등에 함유된 살충 성분으로 데리스의 뿌리에서 추출한 로테논제, 담배에서 추출한 니코틴제, 마늘에서 추출한 알리틴제, 비석에서 분리한 비산, 클로버, 로즈마리, 민트 및 오렌지 등에서 추출한 식물 오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병충해 및 잡초를 동시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성분이 전술한 혼합비로 이루어진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을 1 내지 90% 농도(중량%)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처리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살포, 도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살충제 피레트린 0.1 내지 1.0 중량부;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제초제 2.3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잔디와 주변 환경에는 피해가 없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해충 및 잡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양의 산성화를 억제할 수 있어 토양을 개선할 수 있고, 발생한 병충해 및 유해 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천연살충제 피레트린과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을 최적화하여 함께 사용함으로써, 함께 사용되는 다른 제초 성분의 함량을 기존 사용량보다 줄일 수 있어, 잔디와 주변 환경에 피해를 주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물 20L에 대하여, 바실러스속 6종(상품명:물비늘) 10ml, 피레트린(상품명:제충국) 100ml, 플라자설퓨론(상표명:버디샷) 0.2ml, 플루록시피르멥틸.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 미탁제(상품명:하늘아래) 20ml, 펜디메탈린(상표명:스톰프) 20ml를 혼합하여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살충제)
비교예 1 내지 3으로 살충제인 코니도 수화제, 응애단, 모캡을 각각 물 100L에 대하여 150ml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내지 7(제초제)
비교예 4 내지 7로 제초제인 매드시, Mcpp, 포아그라스, 아지란을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매드시는 물 100L에 대하여 20ml, Mcpp는 물 100L에 대하여 68ml, 포아그라스는 물 100L에 대하여 20ml, 아지란은 물 100L에 대하여 80ml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제초 효과 확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살충제, 비교예 4 내지 7에 따른 제초제를 잔디(파종 2개월이 경과된 조이시아 그라스)에 처리하여 15일 후의 제초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때 제초 효과는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기준>
+++: 100% 제거
++: 50% 이상 100% 미만 제거
+: 20% 이상 50% 미만 제거
×: 20% 미만 제거(효과 없음)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띠풀 +++ × × × × × × ×
제비풀 +++ × × × × × × ×
제비꽃 풀 +++ × × × × × × ×
강아지풀 +++ ++ +++ +++ +++ +++ +++ ++
왕바랭이 +++ ++ + ++ + + × ×
새포아풀 +++ ++ × × + × × ×
뚝새풀 +++ +++ +++ + × × + ++
바랭이 +++ ++ ++ ++ ++ + + +
방동사니 +++ ++ ++ ++ + × ++ +
항부자 +++ × + ++ × ++ +++ ++
파대가리 +++ ++ ++ ++ × × × ++
실망초 +++ × ++ ++ × + +++ ×
큰망초 +++ + ++ ++ × × +++ ×
큰방가지똥 +++ ++ ++ ++ + ++ +++ +
민들레 +++ + × ++ ++ ++ + +
개망초 +++ × × ++ ++ ++ ++ ++
망초 +++ × ++ +++ × ++ ++ ×
+++ + ++ ++ ++ ++ ++ ×
붉은토끼풀 +++ ++ + + +++ ++ × ++
토끼풀 +++ ++ + + +++ × × +
비수리 +++ ++ + + ++ × × +
메듭풀 +++ ++ + ++ ++ +++ ++ ++
쇠비름 +++ ++ × + + +++ ++ +++
애기땅빈대 +++ + × ++ ++ ++ ++ ++
팽이밥 +++ + + × + × +++ ++
자주팽이밥 +++ ++ + × +++ ++ ++ ++
쇠뜨기 +++ + × + +++ ++ + +
개쇠뜨기 +++ +++ +++ ++ +++ +++ +++ +++
개여뀌 +++ ++ +++ +++ ++ +++ + ×
흰개여뀌 +++ ++ × ++ + × + ×
흰여뀌 +++ × × ++ + +++ ++ +++
애기수염 +++ × + × ++ ++ ++ ++
털비름 +++ ++ + × ++ +++ ++ ++
개비름 +++ ++ + × +++ × ++ +++
피막이풀 +++ ++ ++ ++ +++ ++ + +
쇠범꽃 +++ ++ ++ +++ +++ +++ ++ ++
개미자리 +++ ++ +++ +++ ++ ++ ++ ×
벼룩나물 +++ × +++ +++ ++ ++ +++ +
별꽃 +++ × ++ × ++ × × ++
점나도라물 +++ ++ ++ +++ +++ ++ ++ +++
질경이 +++ +++ ++ + + + + +
속속이풀 +++ ++ × × ++ + + +
황새냉이 +++ × ++ × + × × +
냉이 +++ + ++ × + × × ×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은 다양한 종류의 잡초의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살충제 피레트린 0.1 내지 1.0 중량부;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 1.0 내지 2.0 중량부; 및
    제초제 2.3 내지 5.0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미생물 바실러스속 6종은, 바실러스속 6종 ml에 대하여 0.3×108 내지 3×108 CFU/ml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0.3×108 내지 3×108 CFU/ml의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0.3×108 내지 3×108 CFU/ml의 바실러스 아조토포르만스(bacillus azotoformans), 0.3×108 내지 3×108 CFU/ml의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0.3×108 내지 3×108 CFU/ml의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및 0.3×108 내지 3×108 CFU/ml의 바실러스 푸밀루스(bacillus pumulis)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제초제는 플루록시피르-멥틸, 및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를 포함하되,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 및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를 1:0.6 내지 1:2.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제는 플라자설퓨론 및 펜디메탈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제는 플루록시피르-멥틸,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 플라자설퓨론 및 펜디메탈린을 포함하는 것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록시피르-멥틸 및 트리클로피르-티이에이는 상기 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6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자설퓨론은 상기 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7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디메탈린은 상기 물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요소비료, 해독제, 살충제, 곰팡이 제거제 및 진드기 살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천연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병충해 및 잡초를 동시 제거하는 것인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KR1020220116283A 2022-09-15 2022-09-15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KR102524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83A KR102524963B1 (ko) 2022-09-15 2022-09-15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283A KR102524963B1 (ko) 2022-09-15 2022-09-15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963B1 true KR102524963B1 (ko) 2023-04-25

Family

ID=8610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283A KR102524963B1 (ko) 2022-09-15 2022-09-15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9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2048A1 (en) * 2007-02-22 2010-06-17 Ciba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nd applying pesticide or herbicide formulation
KR101687742B1 (ko) 2016-02-18 2016-12-19 이세용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JP2018513133A (ja) * 2016-05-22 2018-05-24 アイベックス バイオノミク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農薬(agricultural chemicals)のためのエンハンサー組成物および農薬組成物
KR20180104165A (ko) * 2016-02-09 2018-09-19 바스프 에스이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푸자리시딘 및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조성물
KR102134624B1 (ko) 2019-06-05 2020-07-16 주식회사 삼성컴퍼니 소금을 주재료로 하는 분말형 잔디 보호용 제초제 조성물
JP2020532577A (ja) * 2017-09-06 2020-11-12 ユーピーエル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Upl Corporation Limited 対象植物の農作物において観察される、定量的、定性的および時間的な効果に対する増強作用をもたらす、フォルシステイン系生物刺激剤と対象の毒性農薬とのブレン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2048A1 (en) * 2007-02-22 2010-06-17 Ciba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nd applying pesticide or herbicide formulation
KR20180104165A (ko) * 2016-02-09 2018-09-19 바스프 에스이 파에니바실러스 균주 또는 푸자리시딘 및 화학적 살충제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조성물
KR101687742B1 (ko) 2016-02-18 2016-12-19 이세용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JP2018513133A (ja) * 2016-05-22 2018-05-24 アイベックス バイオノミク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農薬(agricultural chemicals)のためのエンハンサー組成物および農薬組成物
JP2020532577A (ja) * 2017-09-06 2020-11-12 ユーピーエル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Upl Corporation Limited 対象植物の農作物において観察される、定量的、定性的および時間的な効果に対する増強作用をもたらす、フォルシステイン系生物刺激剤と対象の毒性農薬とのブレンド
KR102134624B1 (ko) 2019-06-05 2020-07-16 주식회사 삼성컴퍼니 소금을 주재료로 하는 분말형 잔디 보호용 제초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vens et al. Integration of soil solarization with chemical, biological and cultural control for the management of soilborne diseases of vegetables
JP5410640B2 (ja) 植物の育成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組成物
KR102095537B1 (ko) 살균, 살충 및 식물 영양 성능을 보유한 친환경 작물 재배용 비료 조성물
CN104203871A (zh) 高效有机肥料及其组分
KR101502503B1 (ko) 천연 미네랄 성분을 이용한 과일, 채소 또는 곡식 재배방법
JP2010540622A (ja) 表面の微生物棲息密度向上させ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CN104628481A (zh) 一种防除猕猴桃溃疡病的肥药组合剂及其制备方法
Reddy Organic farming for sustainable horticulture
KR101073887B1 (ko) 유황발효액비와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병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753516A (zh) 一种白术和黄豆间作的生态栽培方法
Singh et al. Field efficacy of certain microbial insecticides against Plutella xylostella Linnaeus and Pieris brassicae Linnaeus under cabbage-crop-ecosystem of Manipur
CN107484601A (zh) 一种提高核桃增产的种植方法
WO2020262612A1 (ja) 植物病害防除剤及び植物病害防除法
Vaish et al. Microbial basis of organic farming systems with special reference to biodynamic preparations
KR102524963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JP2002180047A (ja) 土壌改良材とその製造方法
JPH0569801B2 (ko)
CN105941485A (zh) 一种园林高效除草剂
Ghoname et al. Finding natural alternatives to methyl bromide in greenhouse cantaloupe for yield, quality and disease control
WO2021033716A1 (ja) 火傷病防除剤及び火傷病防除方法
KR101398574B1 (ko) 친환경 잔디 생육 개선용 조성물
KR101782842B1 (ko) 병충해에 강한 허브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천연허브복합비료 및 그 이용방법
US20030078164A1 (en) Method for control of bacterial spot
KR100362929B1 (ko) 토양소독 기능을 가진 복합 호기미생물제제 및 이를이용한 토양소독방법.
KR100758007B1 (ko) 버크홀데리아 종 ppk0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잔디생장및 잔디병 발생 억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