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742B1 -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742B1
KR101687742B1 KR1020160019054A KR20160019054A KR101687742B1 KR 101687742 B1 KR101687742 B1 KR 101687742B1 KR 1020160019054 A KR1020160019054 A KR 1020160019054A KR 20160019054 A KR20160019054 A KR 20160019054A KR 101687742 B1 KR101687742 B1 KR 10168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evaporation
oscillatoria
salinity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용
Original Assignee
이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용 filed Critical 이세용
Priority to KR102016001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742B1/ko
Priority to PCT/KR2017/001708 priority patent/WO2017142323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은 식용 또는 잔디밭 잡초제거용으로 사용가능하며, 갯벌에 함유된 염생미생물이 포함된 해안 갯벌의 황토지장수를 내륙의 증발지 2차에 걸쳐 수분증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염생미생물이 더욱 효율적으로 증식되어, 이를 통하여 제조된 액상소금은 염도는 낮추되 우수한 맛과 영양성분을 지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상소금은 별도의 제초제용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바 저비용으로 매우 간단하게 잔디밭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수를 이용하여 잔디밭의 잡초를 제거함에 따라 염분이 토양에 집적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토양의 2차 오염을 자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MICROALGAE-CONTAINING LIQUID SALT FOR WEEDS ELIMINATION IN LAWN HAVING LOW SALT DENSITY}
본 발명은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미세조류를 함유하며 잔디밭 잡초제거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가능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소금은 고체소금을 정제수에 녹이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한편, 바닷가의 염전에서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들여 가두어 두고 수 내지 수십일 간 태양 및 자연풍에 의하여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고체소금에는 일반적으로 순수한 염화나트륨 (NaCl)이 80 내지 9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바, 이를 정제수에 녹여 제조된 액상소금은 주로 순수한 물과 염화나트륨으로 구성되는 용액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액상소금을 식용으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고체소금에 비하여 염화나트륨의 섭취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고체소금에 비하여 소금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염수는 종래에 잔디밭 잡초제거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하기 특허문헌 1에는 1리터당 20 내지 70g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염수 95중량%에 석회 4.05중량%와, 황토 0.1중량%와, 유기물 0.4중량%, 질소 0.16중량%, 유효인산 0.1중량%, 칼륨 0.1중량%, 칼슘 0.05중량%, 마그네슘 0.01중량%, 나트륨 0.01중량%, 전착제 0.02중량%를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를 주재로 하는 잔디보호용 제초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를 잔디밭에 살포한 후에 비가 내리는 경우는 상기 조성물이 잡초에서 쉽게 씻겨져 내리게 되어 제초 성능이 저하되며, 특히 상기 조성물을 장기간 반복 사용하게 되는 경우는 잔디밭 토양에 지속적으로 염분이 축적되어 토양이 염분에 의하여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맛과 영양이 우수하여 식용으로 사용가능함과 동시에 토양의 염분 오염 없이 잔디밭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46636호 (2002.07.1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맛과 영양성분을 지님에 따라 식용으로 사용가능함과 동시에 토양의 2차 오염을 줄이면서 잔디밭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은 갯벌에 함유된 오염물질 및 염분을 먹이로 하는 미세조류인 염생미생물이 포함된 해안 갯벌의 황토지장수를 내륙의 제1증발지에서 수분증발시키고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침전물 및 상기 침전물의 상층에 존재하는 상층수인 제1염수로 분리하며, 상기 제1염수에서 염생미생물을 자연증식시키는 제1증발단계; 및 상기 제1증발단계에서 생성된 제1염수를 내륙의 제2증발지로 옮기고 수분을 더욱 증발시켜 제2염수를 제조하며, 상기 제2염수에서 염생미생물을 더욱 자연증식시키는 제2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염수는 4 내지 5중량%의 염도를 갖고, 상기 제2염수는 7 내지 25 중량%의 염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단계에서는 제1염수 100㎖당 염생미생물이 100 내지 1,000마리의 밀도로 자연증식되며, 상기 제2증발단계에서는 제2염수 100㎖당 염생미생물이 5,000 내지 50,000마리의 밀도로 자연증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염수는 10 내지 20중량%의 염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생미생물은 오실라토리아속 (Oscillatoria sp.)에 속하는 미생물 또는 니키어속 (Nitzschia sp.)에 속하는 미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생미생물은 오실라토리아 안기나 (Oscillatoria anguina), 오실라토리아 아네이 (Oscillatoria annae), 오실라토리아 보네메소니 (Oscillatoria bonnemaisonii), 오실라토리아 칼리베아 (Ocillatoria chalybea), 오실라토리아 킬켄시스 (Oscillatoria chilkensis), 오실라토리아 크라사 (Oscillatoria crassa), 오실라토리아 크로아스달레이 (Oscillatoria croasdaleae), 오실라토리아 커비셉스 (Oscillatoria curviceps), 오실라토리아 데포페라타 (Oscillatoria depauperata), 오실라토리아 엔겔마니아나 (Oscillatoria engelmanniana), 오실라토리아 유베카 (Oscillatoria euboeica), 오실라토리아 피셔리 (Oscillatoria fischeri), 오실라토리아 프락타 (Oscillatoria fracta), 오실라토리아 프랠리키 (Oscillatoria froelichii), 오실라토리아 퍼니포리미스 (Oscillatoria funiformis), 오실라토리아 인디카 (Oscillatoria indica), 오실라토리아 제넨시스 (Oscillatoria jenensis), 오실라토리아 레비스 (Oscillatoria levis), 오실라토리아 리모사 (Oscillatoria limosa), 오실라토리아 마하발레쉬와렌시스 (Oscillatoria mahabaleshwarensis), 오실라토리아 메이져 (Oscillatoria major), 오실라토리아 마가리티페라 (Oscillatoria margaritifera), 오실라토리아 미니아타 (Oscillatoria miniata), 오실라토리아 미누티시마 (Oscillatoria minutissima), 오실라토리아 무랄리스 (Oscillatoria muralis), 오실라토리아 니티다 (Oscillatoria nitida), 오실라토리아 닐스트로미카 (Oscillatoria nylstromica), 오실라토리아 옵스큐라 (Oscillatoria obscura), 오실라토리아 올리바세오브루네아 (Oscillatoria olivaceobrunnea), 오실라토리아 프린셉스 (Oscillatoria princeps), 오실라토리아 프로보시데아 (Oscillatoria proboscidea), 오실라토리아 펄크라 (Oscillatoria pulchra), 오실라토리아 람포이데아 (Oscillatoria rhamphoidea), 오실라토리아 리베이 (Oscillatoria ribeyi), 오실라토리아 산타 (Oscillatoria sancta), 오실라토리아 서브레비스 (Oscillatoria subbrevis), 오실라토리아 섭카피타타 (Oscillatoria subcapitata), 오실라토리아 타페티포르미스 (Oscillatoria tapetiformis), 오실라토리아 테니오이데스 (Oscillatoria tenioides), 오실라토리아 트리코이데스 (Oscillatoria trichoides), 및 오실라토리아 베르시컬러 (Oscillatoria versicolor)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생미생물은 니키어 아키쿨라리스 (Nitzschia acicularis), 니키어 암피비아 (Nitzschia amphibia), 니키어 안구스타타 (Nitzschia angustata), 니키어 브레비시마 (Nitzschia brevissima), 니키어 클라우시 (Nitzschia clausii), 니키어 덴티쿨라 (Nitzschia denticula), 니키어 디스퓨타타 (Nitzschia disputata), 니키어 디시파타 (Nitzschia dissipata), 니키어 필리포르미스 (Nitzschia filiformis), 니키어 폰티쿨라 (Nitzschia fonticula), 니키어 프리지다 (Nitzschia frigida), 니키어 그라실리스 (Nitzschia gracilis), 니키어 휴플레라니아 (Nitzschia heuflerania), 니키어 라쿰 (Nitzschia lacuum), 니키어 팔레아 (Nitzschia palea), 니키어 페르미누타 (Nitzschia perminuta), 니키어 퍼실라 (Nitzschia pusilla), 니키어 렉타 (Nitzschia recta), 니키어 시그마 (Nitzschia sigma), 니키어 시그모이데아 (Nitzschia sigmoidea), 니키어 시누아타 (Nitzschia sinuata) 및 니키어 투비콜라 (Nitzschia tubicola)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단계는 내륙의 제1증발지에 상기 황토지장수를 1 내지 2m의 깊이로 넣고 수행되며, 상기 제2증발단계는 상기 제1염수를 내륙의 제2증발지에 1 내지 2㎝의 깊이로 넣고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증발단계는 20 내지 30℃에서 열대성 남서풍이 불 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증발단계는 2단계 이상의 연속된 증발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미세조류를 함유한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상 소금은 식용 또는 잔디밭 잡초 제거용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상소금은 염도는 낮추되 우수한 맛과 영양성분을 지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상소금은 별도의 제초제용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바 저비용으로 매우 간단하게 잔디밭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수를 이용하여 잔디밭의 잡초를 제거함에 따라 염분이 토양에 집적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토양의 2차 오염을 자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염도를 낮추어 염화나트륨 섭취를 줄이면서 소금의 맛과 천연 영양성분의 함량을 높인 식용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및 잔디밭의 잡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 염분에 의한 토양의 2차 오염을 자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잔디밭 잡초 제거용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액상소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식용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잔디밭 잡초 제거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결코 식용 또는 잔디밭 잡초 제거용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의 기술적사상을 내포하는 모든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은 액상소금의 용도에 불문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은 해안의 갯벌에 존재하는 황토지장수를 이용하여 이를 일정 염분 농도를 지닐 때까지 제1증발단계 및 제2증발단계로 2차에 걸쳐 자연증발시키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은 갯벌에 함유된 오염물질 및 염분을 먹이로 하는 미세조류인 염생미생물이 포함된 해안 갯벌의 황토지장수를 내륙의 제1증발지에서 수분증발시키고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침전물 및 상기 침전물의 상층에 존재하는 상층수인 제1염수로 분리하며, 상기 염생미생물을 상기 제1염수 100㎖당 100 내지 1,000마리의 밀도로 자연증식시키는 제1증발단계; 및 상기 제1증발단계에서 생성된 제1염수를 내륙의 제2증발지로 옮기고 수분을 더욱 증발시켜 제2염수를 제조하며, 상기 염생 미생물을 상기 제2염수 100㎖당 5,000 내지 50,000마리의 밀도로 더욱 자연증식시키는 제2증발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황토지장수는 3.2 내지 3.4중량%의 염도를 갖고, 상기 제1염수는 4 내지 5중량%의 염도를 갖고, 상기 제2염수는 7 내지 25 중량%의 염도를 갖도록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염도"는 각 단계의 용액 등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NaCl)의 질량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황토지장수"는 해안의 갯벌에 존재하는 바닷물을 의미하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는 서해안의 갯벌에 존재하는 바닷물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황토지장수는 통상적으로 바닷물의 염도와 유사한 3.2 내지 3.4중량% 정도의 염도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해안 갯벌의 황토지장수에는 바닷물 이외에도 각종 미네랄성분 및 각종 해양 미생물이 존재하며, 특히 이러한 황토지장수에는 해안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 성분 또한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황토지장수를 내륙의 증발지로 옮겨 2차에 걸쳐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염분 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황토지장수에 포함된 염생미생물의 밀도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식용 및 잔디밭 잡초 제거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액상소금을 저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염생미생물"은 염분을 주 먹이로 하여 증식되며 대사과정을 통하여 염분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미생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염생미생물은 염분뿐만 아니라 해수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 기름, 환경호르몬 등을 분해하여 이를 정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며, 예를 들어 오실라토리아속 (Oscillatoria sp.) 또는 니키어속 (Nitzschia sp.)에 속하는 해양성 미세조류일 수 있다.
상기 염생미생물은 갯벌에 존재하는 황토지장수에는 100㎖당 10마리 미만의 밀도로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미생물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별도의 실험실 배양조건에서 배양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상기 미생물들을 내륙의 증발지에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증식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우선, 갯벌의 황토지장수를 수로 및 펌프 등을 이용하여 내륙의 제1증발지로 옮긴 후, 태양열 및 자연바람을 이용하여 1차로 수분을 증발시키는 제1증발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1증발단계가 수행되는 제1증발지는 해안에서 인접한 내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소나무 숲 등이 둘러싸인 곳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지는 깊이가 2미터 정도로 형성된 저수지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수지의 바닥은 내륙의 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증발지에 상기 황토지장수를 약 1 내지 2m의 깊이로 채운 후, 맑은날 10 내지 15일 정도의 기간동안 수분을 자연증발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1증발단계에서는 황토지장수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중금속 및 찌꺼기 등의 오염물질이 아래로 침전되어 침전물을 형성하고 상기 침전물의 상층에는 상대적으로 맑은 상층수인 제1염수가 형성되어 침전물 층과 제1염수 층으로 분리된다. 한편, 상기 제1염수는 수분의 증발에 의하여 최초의 황토지장수에 비하여 염도가 약 4 내지 5중량%로 증가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제1증발단계가 수행되는 도중에 상기 염생미생물은 제1염수 약 100㎖당 약 100 내지 1,000마리의 밀도로 자연증식된다. 즉, 제1증발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황토지장수의 염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이에 포함된 염생미생물의 먹이 밀도가 증가되어 염생미생물의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증발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염생미생물은 중금속 등과 같은 각종 해양 오염물질은 미생물 대사를 통하여 분해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염수가 미생물에 의하여 자연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연정화 효율은 염생미생물의 밀도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된다.
한편, 상기 제1증발단계에 의하여 오염물질이 어느 정도 침전되어 아래로 가라앉은 후에, 상층의 제1염수를 취하여 수로 및 펌프 등을 이용하여 내륙의 제2증발지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증발지는 주위환경이 깨끗한 장소를 선정하여 그 바닥을 황토옹기토기판 등으로 깔아 두어 준비하되, 황토옹기토기판 등으로 형성된 바닥이 거의 완전한 수평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2증발지는 상기 제1증발지와 달리 수심이 수 미터 정도로 깊은 저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제1염수를 약 1 내지 2㎝의 깊이로 매우 얕고 넓게 깔아 둘 수 있을 정도의 깊이 및 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증발지에 제1염수를 1 내지 2㎝의 깊이로 수평을 잘 맞추어 넓게 채워 넣은 후, 수 일에 걸쳐 수분을 자연증발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제2증발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기온 및 풍향조건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 제2증발단계는 맑은날 예를 들어 20 내지 30℃와 같이, 기온이 20℃이상일 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고온의 열대성 남서풍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는 제1염수에 포함된 수분의 활발한 증발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1염수에 포함된 염생미생물의 증식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2증발단계는 다수의 제2증발지에서 연속적으로 2단계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제2증발단계는 계단식으로 연결된 다수의 연속된 제2증발지를 거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단계에서는 상기 제1염수의 수분이 더욱 증발되어 염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제2염수를 얻을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염도계를 이용하여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적정 염도에 도달하였을 때 이를 회수하여 적당한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증발단계는 이를 수행하는 시간에 따라 염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2염수를 곧바로 취하여 이를 식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잔디밭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증발단계 이후에 염화나트륨을 석출 분리해 냄으로써 과도한 염도를 낮추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염화나트륨만을 석출 분리해서 염화나트륨의 농도를 낮추어 상대적으로 마그네슘, 황, 철, 아연, 및 셀레늄 등의 천연미네랄의 함량을 높일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염화나트륨의 농도를 낮춘 후에 보오메 약 10 내지 20도 정도의 원수를 추가로 투입하여 호염성미생물, 토착분해균주, 및 해양성미세조류를 추가적으로 자연증식시킴으로써, 이들 미생물이 배출하는 유용한 성분인 클로로필a, 베타카로틴 등의 함량을 높이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도 있다.
상기 제2증발단계는 제2염수 100㎖당 5,000 내지 50,000마리의 밀도로 염생미생물이 자연증식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증발단계는 상기 제2염수의 염도가 약 7 내지 25 중량%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염분 농도범위에서는 식용 액상 소금으로 사용될 경우 고유의 소금 맛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이와 같은 염분 농도를 지니는 제2염수를 이용하여 잔디밭의 잡초를 제거할 경우 매우 효율적인 잡초제거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한편, 잔디 및 잡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염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10 내지 20중량%의 염도 범위에서 잔디밭의 잡초제거 효율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상기 염생미생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실라토리아속 (Oscillatoria sp.) 또는 니키어속 (Nitzschia sp.)에 속하는 해양성 미세조류일 수 있으며, 오실라토리아속에 속하는 미생물로는 오실라토리아 안기나 (Oscillatoria anguina), 오실라토리아 아네이 (Oscillatoria annae), 오실라토리아 보네메소니 (Oscillatoria bonnemaisonii), 오실라토리아 칼리베아 (Ocillatoria chalybea), 오실라토리아 킬켄시스 (Oscillatoria chilkensis), 오실라토리아 크라사 (Oscillatoria crassa), 오실라토리아 크로아스달레이 (Oscillatoria croasdaleae), 오실라토리아 커비셉스 (Oscillatoria curviceps), 오실라토리아 데포페라타 (Oscillatoria depauperata), 오실라토리아 엔겔마니아나 (Oscillatoria engelmanniana), 오실라토리아 유베카 (Oscillatoria euboeica), 오실라토리아 피셔리 (Oscillatoria fischeri), 오실라토리아 프락타 (Oscillatoria fracta), 오실라토리아 프랠리키 (Oscillatoria froelichii), 오실라토리아 퍼니포리미스 (Oscillatoria funiformis), 오실라토리아 인디카 (Oscillatoria indica), 오실라토리아 제넨시스 (Oscillatoria jenensis), 오실라토리아 레비스 (Oscillatoria levis), 오실라토리아 리모사 (Oscillatoria limosa), 오실라토리아 마하발레쉬와렌시스 (Oscillatoria mahabaleshwarensis), 오실라토리아 메이져 (Oscillatoria major), 오실라토리아 마가리티페라 (Oscillatoria margaritifera), 오실라토리아 미니아타 (Oscillatoria miniata), 오실라토리아 미누티시마 (Oscillatoria minutissima), 오실라토리아 무랄리스 (Oscillatoria muralis), 오실라토리아 니티다 (Oscillatoria nitida), 오실라토리아 닐스트로미카 (Oscillatoria nylstromica), 오실라토리아 옵스큐라 (Oscillatoria obscura), 오실라토리아 올리바세오브루네아 (Oscillatoria olivaceobrunnea), 오실라토리아 프린셉스 (Oscillatoria princeps), 오실라토리아 프로보시데아 (Oscillatoria proboscidea), 오실라토리아 펄크라 (Oscillatoria pulchra), 오실라토리아 람포이데아 (Oscillatoria rhamphoidea), 오실라토리아 리베이 (Oscillatoria ribeyi), 오실라토리아 산타 (Oscillatoria sancta), 오실라토리아 서브레비스 (Oscillatoria subbrevis), 오실라토리아 섭카피타타 (Oscillatoria subcapitata), 오실라토리아 타페티포르미스 (Oscillatoria tapetiformis), 오실라토리아 테니오이데스 (Oscillatoria tenioides), 오실라토리아 트리코이데스 (Oscillatoria trichoides), 및 오실라토리아 베르시컬러 (Oscillatoria versicolor)를 예로 들 수 있고, 니커어속에 속하는 미생물로는 니키어 아키쿨라리스 (Nitzschia acicularis), 니키어 암피비아 (Nitzschia amphibia), 니키어 안구스타타 (Nitzschia angustata), 니키어 브레비시마 (Nitzschia brevissima), 니키어 클라우시 (Nitzschia clausii), 니키어 덴티쿨라 (Nitzschia denticula), 니키어 디스퓨타타 (Nitzschia disputata), 니키어 디시파타 (Nitzschia dissipata), 니키어 필리포르미스 (Nitzschia filiformis), 니키어 폰티쿨라 (Nitzschia fonticula), 니키어 프리지다 (Nitzschia frigida), 니키어 그라실리스 (Nitzschia gracilis), 니키어 휴플레라니아 (Nitzschia heuflerania), 니키어 라쿰 (Nitzschia lacuum), 니키어 팔레아 (Nitzschia palea), 니키어 페르미누타 (Nitzschia perminuta), 니키어 퍼실라 (Nitzschia pusilla), 니키어 렉타 (Nitzschia recta), 니키어 시그마 (Nitzschia sigma), 니키어 시그모이데아 (Nitzschia sigmoidea), 니키어 시누아타 (Nitzschia sinuata) 및 니키어 투비콜라 (Nitzschia tubicola)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본 발명의 효과를 명확하게 비교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비교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내지 10
충남 태안 안면읍 갯벌에 고인 황토지장수 약 10톤을 갯벌로부터 약 500미터 거리에 위치하며 가로×세로×깊이가 10m×10m×1m인 내륙의 제1증발지로 배수관과 펌프를 이용하여 옮기고, 평균 최고 기온이 약 25℃로 유지되는 맑은 날 평균 염도가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가 될 때까지 수분을 자연증발시키고 이를 침전층과 상층액 (제1염수)으로 자연분리시켰다. 그 후, 상기 제1증발지에 담긴 황토지장수의 상층액 약 2톤을 별도의 배수관과 펌프를 이용하여 황토옹기판이 바닥에 수평으로 깔린 제2증발지로 옮겼으며 제2증발지에서의 상기 상층액의 초기 평균 깊이가 약 1㎝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제2증발지에 위치한 상기 상층액을 평균 최고 기온이 약 25℃로 유지되는 맑은 날 남서풍이 불 때 평균 염도가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가 될 때까지 수분을 자연증발시킴으로써 실시예 1 내지 10의 제2염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7
충남 태안 안면읍 갯벌에 고인 황토지장수 약 10톤을 갯벌로부터 약 500미터 거리에 위치하며 가로×세로×깊이가 10m×10m×1m인 내륙의 제1증발지로 배수관과 펌프를 이용하여 옮기고, 평균 최고 기온이 약 25℃로 유지되는 맑은 날 평균 염도가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가 될 때까지 수분을 자연증발시키고 이를 침전층과 상층액 (제1염수)으로 자연분리시켰다. 그 후, 상기 제1증발지에 담긴 황토지장수의 상층액 약 2톤을 별도의 배수관과 펌프를 이용하여 황토옹기판이 바닥에 수평으로 깔린 제2증발지로 옮겼으며 제2증발지에서의 상기 상층액의 초기 평균 깊이가 약 1㎝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제2증발지에 위치한 상기 상층액을 평균 최고 기온이 약 25℃로 유지되는 맑은 날 남서풍이 불 때 평균 염도가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가 될 때까지 수분을 자연증발시킴으로써 비교예 1 내지 7의 제2염수를 제조하였다.
[미세조류의 수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제1염수 및 제2염수 각각 100㎖를 취하여 현미경을 이용하여 오실라토리아속 (Oscillatoria sp.) 또는 니키어속 (Nitzschia sp.)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미세조류의 수를 측정하였다. 현미경 관찰은 각각 1㎖샘플을 10회씩 관찰하여 관찰된 미세조류 수의 총 합에 10을 곱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1염수 제2염수
염도
(중량%)
미생물수
(마리/100㎖)
염도
(중량%)
미생물수
(마리/100㎖)
실시예 1 4 120 7 8,500
실시예 2 4 150 10 9,100
실시예 3 4 130 15 10,200
실시예 4 4 150 20 21,000
실시예 5 4 140 25 36,000
실시예 6 5 130 7 9,200
실시예 7 5 140 10 10,100
실시예 8 5 160 15 12,000
실시예 9 5 180 20 23,000
실시예 10 5 150 25 40,000
비교예 1 4 120 6 4,100
비교예 2 4 150 5 3,200
비교예 3 4 130 26 41,000
비교예 4 5 130 27 40,800
비교예 5 5 140 28 40,300
비교예 6 5 160 29 41,200
비교예 7 5 180 30 41,000
비교예 8 내지 12
충남 태안 안면읍 갯벌에 고인 황토지장수 약 1톤을 갯벌로부터 약 500미터 거리에 위치하고 황토옹기판이 바닥에 수평으로 깔린 증발지로 옮겼으며 증발지에서의 황토지장수의 초기 평균 깊이가 약 1㎝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증발지에 위치한 상기 상층액을 평균 최고 기온이 약 25℃로 유지되는 맑은 날 평균 염도가 하기 표 2에 기재된 농도가 될 때까지 수분을 자연증발시킴으로써 비교예 8 내지 12의 액상소금을 제조하였다.
[미세조류의 수 측정]
상기 비교예 8 내지 12의 액상소금 각각 100㎖를 취하여 현미경을 이용하여 오실라토리아속 (Oscillatoria sp.) 또는 니키어속 (Nitzschia sp.)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미세조류의 수를 측정하였다. 현미경 관찰은 각각 1㎖샘플을 10회씩 관찰하여 관찰된 미세조류 수의 총 합에 10을 곱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염도
(중량%)
미생물수
(마리/100㎖)
비교예 8 7 320
비교예 9 10 340
비교예 10 15 510
비교예 11 20 620
비교예 12 25 650
실시예 11 내지 20
상기 실시예 1 내지 10 (순서대로 실시예 11 내지 20에 대응)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제2염수를 더욱 증발시켜 염화나트륨을 석출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하기 표 3에 기재된 염도를 갖는 제3염수를 제조하였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제3염수에 보메 (Baume)비중이 약 10인 해양 원수 (바닷물)를 첨가함으로써 하기 표 3에 기재된 염도를 갖는 실시예 11 내지 20의 제4염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내지 17
상기 실시예 1 내지 5 (순서대로 비교예 13 내지 17과 대응)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제2염수를 더욱 증발시켜 염화나트륨을 석출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하기 표 3에 기재된 염도를 갖는 제3염수를 제조하였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제3염수에 보메 (Baume)비중이 약 10인 해양 원수 (바닷물)를 첨가함으로써 하기 표 3에 기재된 염도를 갖는 비교예 13 내지 17의 제4염수를 제조하였다.
[미세조류의 수 측정]
상기 실시예 11 내지 20 및 비교예 13 내지 17의 제4염수 각각 100㎖를 취하여 현미경을 이용하여 오실라토리아속 (Oscillatoria sp.) 또는 니키어속 (Nitzschia sp.)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미세조류의 수를 측정하였다. 현미경 관찰은 각각 1㎖샘플을 10회씩 관찰하여 관찰된 미세조류 수의 총 합에 10을 곱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염도 (중량%)
염도
(중량%)
미생물수
(마리/100㎖)
염도
(중량%)
미생물수
(마리/100㎖)
실시예 11 26 10,200 7 31,500
실시예 12 27 11,000 10 35,400
실시예 13 28 15,000 15 42,000
실시예 14 29 25,000 20 52,000
실시예 15 30 41,000 25 85,000
실시예 16 26 11,000 7 33,000
실시예 17 27 12,000 10 36,000
실시예 18 28 12,500 15 51,000
실시예 19 29 24,500 20 72,000
실시예 20 30 40,500 25 86,000
비교예 13 26 10,200 6 12,000
비교예 14 27 11,000 5 11,500
비교예 15 28 15,000 26 85,200
비교예 16 29 25,000 27 86,100
비교예 17 30 41,000 28 86,200
[잔디밭 잡초 제거력 테스트]
가로×세로 2m×2m인 포장에 잔디 (Zoysia japonica)와 함께 하기 표 4에 기재된 잡초를 심었으며, 잔디와 잡초가 충분히 자랐을 때, 실시예 1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17의 염수 300㎖를 각각의 잔디밭 포장에 살포하여 잡초 제거력을 테스트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에 각각 나타내었다. 잡초 제거력 테스트는 염수 살포 전과 살포 7일 후의 잔디 및 잡초의 개체수를 세어 고사한 잔디 및 잡초의 개체수의 비율 (%)을 각각 계산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염수 접착력 테스트]
가로×세로 2m×2m인 포장에 잔디 (Zoysia japonica)와 하기 표 4에 기재된 잡초를 1:1의 개체수가 되도록 심었으며, 잔디와 잡초가 충분히 자랐을 때, 실시예 1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17의 염수 300㎖를 각각의 잔디밭 포장에 살포하고, 약 24시간 경과 후에, 분사기를 이용하여 물 10ℓ를 고르게 스프레이 분사하였으며, 7일 후 잡초의 개체수를 세어 고사한 잡초의 개체수의 비율 (%)을 계산함으로써 염수가 얼마나 물에 씻겨져 내려가 않고 잡초 등에 접착되어 있는 힘을 발휘하는 지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에 각각 나타내었다.
[토양 염도 측정 1]
가로×세로 2m×2m인 포장에 잔디 (Zoysia japonica)와 함께 하기 표 4에 기재된 잡초를 심었으며, 잔디와 잡초가 충분히 자랐을 때, 실시예 1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17의 염수 300㎖를 각각의 잔디밭 포장에 살포한 후 30일 후에 토양의 염도 (S1)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에 각각 나타내었다. 토양염도는 상기 포장 면적의 1/10에 포함된 염화나트륨의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테스트하였다.
[토양 염도 측정 2]
가로×세로 2m×2m인 포장에 잔디 (Zoysia japonica)와 하기 표 4에 기재된 잡초를 1:1의 개체수가 되도록 심었으며, 잔디와 잡초가 충분히 자랐을 때, 실시예 1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17의 염수 300㎖를 각각의 잔디밭 포장에 살포하고, 약 24시간 경과 후에, 분사기를 이용하여 물 10ℓ를 고르게 스프레이 분사하였으며, 30일 후에 토양의 염도 (S2)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6에 각각 나타내었다. 토양염도는 상기 포장 면적의 1/10에 포함된 염화나트륨의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테스트하였다.
구분 명칭 학명
A 개망초 Erigeron annuus
B 고들빼기 Youngia sonchifolia
C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구분

잔디밭 잡초 제거력 테스트
(고사된 개체수 비율: %)
토양
염도(S1)

염수 접착력 테스트
(고사된 개체수 비율: %)
토양
염도(S2)

잔디 잡초 잔디 잡초
A B C A B C
실시예 1 2 85 84 82 0.5 2 74 77 81 0.6
실시예 2 3 100 99 100 0.7 2 87 91 91 0.8
실시예 3 2 98 100 98 1.1 2 85 92 88 1.0
실시예 4 3 100 99 100 2.0 3 84 87 87 2.1
실시예 5 4 84 83 82 3.1 2 67 71 75 3.2
실시예 6 3 84 83 83 0.6 2 68 72 71 0.5
실시예 7 2 100 99 99 0.8 1 91 88 85 0.7
실시예 8 3 99 100 99 1.0 2 90 85 86 1.1
실시예 9 4 99 98 100 2.1 1 87 86 87 2.2
실시예 10 2 82 84 82 3.2 2 64 71 70 3.3
실시예 11 3 84 82 83 0.1 1 71 70 69 0.1
실시예 12 2 99 99 100 0.2 2 85 87 88 0.2
실시예 13 4 100 100 100 0.3 1 84 83 86 0.3
실시예 14 4 98 99 98 0.4 2 85 86 87 0.4
실시예 15 2 86 83 82 0.5 1 67 71 70 0.5
실시예 16 3 84 99 83 0.1 2 69 67 71 0.1
실시예 17 4 99 98 99 0.2 2 82 81 83 0.2
실시예 18 2 98 100 100 0.3 2 83 84 85 0.3
실시예 19 3 97 97 98 0.4 1 84 87 86 0.4
실시예 20 4 82 84 82 0.5 2 69 65 70 0.5

구분

잔디밭 잡초 제거력 테스트
(고사된 개체수 비율: %)
토양
염도(S1)
염수 접착력 테스트
(고사된 개체수 비율: %)
토양
염도(S2)

잔디 잡초 잔디 잡초
A B C A B C
비교예 1 2 55 54 53 1.5 2 44 45 48 2.4
비교예 2 3 73 72 71 2.1 2 51 51 61 2.6
비교예 3 62 98 100 98 3.1 51 55 52 61 3.1
비교예 4 63 100 99 100 6.0 49 63 61 57 5.7
비교예 5 70 84 83 82 9.3 57 47 51 55 8.7
비교예 6 72 84 83 83 12.3 63 68 75 73 10.5
비교예 7 75 100 99 99 13.6 67 82 83 75 12.5
비교예 8 3 99 100 99 1.6 2 90 85 86 3.1
비교예 9 4 99 98 100 7.1 1 87 86 87 7.2
비교예 10 2 82 84 82 10.2 2 64 71 70 10.3
비교예 11 3 84 82 83 15.1 1 71 70 69 12.1
비교예 12 2 99 99 100 21.3 2 85 87 88 19.2
비교예 13 4 90 97 100 0.2 1 84 83 86 0.2
비교예 14 4 98 99 98 0.4 2 85 86 87 0.4
비교예 15 2 86 83 82 0.5 1 67 71 70 0.5
비교예 16 3 84 99 83 1.1 2 69 67 71 1.2
비교예 17 4 99 98 99 6.2 2 82 81 83 7.1
상기 5 및 6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소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염수의 경우, 잔디는 그대로 보존한 채, 나머지 잡초만을 효율적으로 고사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염분을 분해할 수 있는 미세조류로 인하여 토양의 2차 염분 오염 또한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5 및 6에서 실시예 11 내지 20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1 내지20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10에 비하여 토양의 염분 오염을 더욱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갯벌에 함유된 오염물질 및 염분을 먹이로 하는 미세조류인 염생미생물이 포함된 해안 갯벌의 황토지장수를 내륙의 제1증발지에서 수분증발시키고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침전물 및 상기 침전물의 상층에 존재하는 상층수인 제1염수로 분리하며, 상기 제1염수에서 염생미생물을 자연증식시키는 제1증발단계;
    상기 제1증발단계에서 생성된 제1염수를 내륙의 제2증발지로 옮기고 수분을 더욱 증발시켜 제2염수를 제조하며, 상기 제2염수에서 염생미생물을 더욱 자연증식시키는 제2증발단계;
    상기 제2염수에 포함된 염화나트륨을 석출분리 제거하여 상기 제2염수에 포함된 마그네슘, 황, 철, 아연 및 셀레늄의 상대적인 함량 비율이 증가된 제3염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염수에 보메 (Baume)비중이 10인 해양원수를 첨가하여 제4염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염수는 4 내지 5중량%의 염도를 갖고, 상기 제2염수는 7 내지 25 중량%의 염도를 가지며,
    상기 제1증발단계는 내륙의 제1증발지에 상기 황토지장수를 1 내지 2m의 깊이로 넣고 수행되고, 상기 제2증발단계는 상기 제1염수를 내륙의 제2증발지에 1 내지 2㎝의 깊이로 넣고 수행되며,
    상기 제2증발지의 바닥은 황토옹기토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4염수에는 오실라토리아속 (Oscillatoria sp.) 또는 니키어속 (Nitzschia sp.)에 속하는 미세조류가 31,500마리/100㎖ 내지 86,000마리/100㎖의 밀도로 존재하며,
    상기 제2증발단계는 20 내지 30℃에서 열대성 남서풍이 불 때 수행되는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염수는 10 내지 20중량%의 염도를 갖는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증발단계는 2단계 이상의 연속된 증발단계로 수행되는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KR1020160019054A 2016-02-18 2016-02-18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KR10168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054A KR101687742B1 (ko) 2016-02-18 2016-02-18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PCT/KR2017/001708 WO2017142323A1 (ko) 2016-02-18 2017-02-16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054A KR101687742B1 (ko) 2016-02-18 2016-02-18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742B1 true KR101687742B1 (ko) 2016-12-19

Family

ID=5773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054A KR101687742B1 (ko) 2016-02-18 2016-02-18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7742B1 (ko)
WO (1) WO2017142323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23A1 (ko) * 2016-02-18 2017-08-24 이세용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KR101928514B1 (ko) * 2017-12-27 2018-12-12 푸름바이오 주식회사 해수를 이용한 친환경 잔디 보호제
KR101998229B1 (ko) 2018-09-07 2019-07-09 강태곤 해수를 이용한 고염도 용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염도 용액
KR20190139445A (ko) * 2018-06-08 2019-12-18 박철호 중금속을 제거한 소금물과 서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친환경 제초제 조성물
KR102064303B1 (ko) * 2018-06-08 2020-01-09 박철호 중금속을 제거한 소금물과 서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잡초의 발아를 억제하는 방법
KR102068937B1 (ko) * 2019-08-06 2020-01-21 주식회사 씨앤드터치 해수를 이용한 친환경 잡초 제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34624B1 (ko) 2019-06-05 2020-07-16 주식회사 삼성컴퍼니 소금을 주재료로 하는 분말형 잔디 보호용 제초제 조성물
KR102327187B1 (ko) 2021-05-14 2021-11-17 주식회사 삼성컴퍼니 미량비료를 이용한 제초제 조성물
KR102524963B1 (ko) 2022-09-15 2023-04-25 산천초목조경(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RU2795813C1 (ru) * 2021-11-30 2023-05-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асноя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792A (ko) * 2005-05-06 2006-11-10 남궁선 잔디의 병 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52020B1 (ko) * 2011-05-12 2012-06-08 한국해양연구원 미세조류 유용성분을 함유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소금
KR20140024629A (ko) * 2012-08-20 2014-03-03 (주)솔트리퍼블릭 호기성균을 이용한 천일염의 세척방법과 이를 위한 세척장치
KR20150096998A (ko) * 2014-02-17 2015-08-26 곽민선 친환경의 기능성 천일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742B1 (ko) * 2016-02-18 2016-12-19 이세용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792A (ko) * 2005-05-06 2006-11-10 남궁선 잔디의 병 방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152020B1 (ko) * 2011-05-12 2012-06-08 한국해양연구원 미세조류 유용성분을 함유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소금
KR20140024629A (ko) * 2012-08-20 2014-03-03 (주)솔트리퍼블릭 호기성균을 이용한 천일염의 세척방법과 이를 위한 세척장치
KR20150096998A (ko) * 2014-02-17 2015-08-26 곽민선 친환경의 기능성 천일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2323A1 (ko) * 2016-02-18 2017-08-24 이세용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KR101928514B1 (ko) * 2017-12-27 2018-12-12 푸름바이오 주식회사 해수를 이용한 친환경 잔디 보호제
KR20190139445A (ko) * 2018-06-08 2019-12-18 박철호 중금속을 제거한 소금물과 서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친환경 제초제 조성물
KR102064303B1 (ko) * 2018-06-08 2020-01-09 박철호 중금속을 제거한 소금물과 서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잡초의 발아를 억제하는 방법
KR102072844B1 (ko) * 2018-06-08 2020-03-02 박철호 중금속을 제거한 소금물과 서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친환경 제초제 조성물
KR101998229B1 (ko) 2018-09-07 2019-07-09 강태곤 해수를 이용한 고염도 용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염도 용액
KR102134624B1 (ko) 2019-06-05 2020-07-16 주식회사 삼성컴퍼니 소금을 주재료로 하는 분말형 잔디 보호용 제초제 조성물
KR102068937B1 (ko) * 2019-08-06 2020-01-21 주식회사 씨앤드터치 해수를 이용한 친환경 잡초 제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27187B1 (ko) 2021-05-14 2021-11-17 주식회사 삼성컴퍼니 미량비료를 이용한 제초제 조성물
RU2795813C1 (ru) * 2021-11-30 2023-05-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асноя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102524963B1 (ko) 2022-09-15 2023-04-25 산천초목조경(주)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잔디 생육 및 토양 개선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323A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742B1 (ko) 미세조류를 함유한 잔디밭 잡초제거용 저염도 액상소금의 제조방법
Foissner et al. Soil ciliates (Protozoa, Ciliophora) from Namibia (Southwest Africa), with emphasis on two contrasting environments, the Etosha region and the Namib Desert
Šťastný Desmids (Conjugatophyceae, Viridiplantae) from the Czech Republic; new and rare taxa, distribution, ecology
Collins et al. Signy island, maritime Antarctic
CN102926351A (zh) 一种基于生态袋的河湖边坡生态三段治理方法
Entz Lake Nasser and Lake Nubia
Saenger et al. The mangrove vegetation of the Atlantic coast of Africa: a review
Adamec Ecological requirements and recent European distribution of the aquatic carnivorous plant Aldrovanda vesiculosa L.—a review
Petersen et al. Rivers of the Nordic countries
Soulié-Märsche Charophytes, indicators for low salinity phases in North African sebkhet
Mironga The effect of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infestation on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Lake Naivasha and the status of control
Anderson et al. Sources and fates of nitrogen in Virginia coastal bays
Serag Ecology and biomass production of Cyperus papyrus L. on the Nile bank at Damietta, Egypt
Kobulova et al. Bioresource potential of Phytoplankton of lake Khadicha (Bukhara, Uzbekistan)
Haines et al. Coastal marshes
Almestrand et al. Studies on the vegetation and hydrochemistry of
Papp Selection of important bryophyte areas in Hungary
Wilcox et al. The role of Sphagnum fimbriatum in secondary succession in a road salt impacted bog
Gorlacheva et al. Lake-margin ecosystems of saline lakes of the Borzya group (Zabaikalsky Krai, Russia) during the initial filling phase
Rimac et al. Bryum klinggraeffii and Philonotis marchica–new to the bryoflora of Croatia
Leuschner et al. Salt marshes and inland saline habitats
CN206220215U (zh) 一种食虫植物养殖用温房雨水回收利用系统
Szeląg-Wasielewska et al. Seasonal variation of the calcifying green alga Phacotus lenticularis (Ehrenb.) Stein in water bodies under human influence (mid-western Poland)
Denys et al. A survey of the acid water diatom assemblages of two heathland relics in the Belgian northern Campine (Groot & Klein Schietveld, Brasschaat) with an assessment of their conservational value
Hancock Sources and utilisation of nutrients in the Loch of Strathbeg, Aberdeensh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