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610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610A
KR20180099610A KR1020180101868A KR20180101868A KR20180099610A KR 20180099610 A KR20180099610 A KR 20180099610A KR 1020180101868 A KR1020180101868 A KR 1020180101868A KR 20180101868 A KR20180101868 A KR 20180101868A KR 20180099610 A KR20180099610 A KR 20180099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adder
wall portion
fulcrum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미야자키
사토시 안도
히로토모 오츠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63B9/0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70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선박은, 카고 홀드 (4) 를 구획하는 칸막이벽 (6) 이, 제 1 벽부 (7A) 와, 제 1 벽부 (7A) 보다 선미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부 (7B) 를 구비한다. 칸막이벽 (6) 은, 제 1 벽부 (7A) 로부터 돌출되는 제 1 지지부 (8A) 와, 제 2 벽부 (7B) 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지지부 (8B) 를 구비한다. 칸막이벽 (6) 은,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족장부 (9B) 와,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벽부 (7B)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사다리부 (10A) 와, 제 2 족장부 (9B) 와 제 1 벽부 (7A)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사다리부 (10B)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체 내부에 카고 홀드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극저온의 액체 등의 물체를 운반하기 위해서, 선폭 방향의 종단면이 다각형상을 이루는 상자형의 카고 탱크를 선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한 선박이 있다. 이와 같은 선박은, 선체의 내부 공간이 칸막이벽에 의해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 구분됨으로써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의 카고 홀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카고 홀드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카고 탱크가 수용되어 있다. 요컨대, 선체의 내부에는, 선수미 방향으로 복수의 카고 탱크가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서술한 선박은, 선체를 대형화하지 않고 카고 탱크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카고 탱크와 선체의 간극, 및, 카고 탱크와 칸막이벽의 간극을 가능한 한 작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선박의 카고 탱크는, 외면에 방열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방열재는 정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카고 탱크 주위의 선체와 칸막이벽은, 각각 방열재를 점검하기 위한 족장 (足場) 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족장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하 복수의 족장 사이에는, 작업자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사다리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칸막이벽의 가장 상방에 배치된 족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사다리는, 상갑판에 형성된 맨홀 등의 출입구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칸막이벽은, 판 부재와 소골 (小骨) 부재를 조합한, 이른바 판골 구조를 갖고 있다. 판 부재는, 선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골 부재는, 판 부재에 대해 선미측 또는 선수측 (일반적으로는 선미측) 을 향해 돌출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소골 부재는, 예를 들어, 단면 T 자 형상 등으로 되고, 선폭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판 부재에 용접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하나의 선박에 형성되는 복수의 칸막이벽은, 소골 부재가 돌출되는 방향이 선미측 또는 선수측으로 통일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상기 서술한 카고 탱크를 탑재하는 선박과는 상이하지만, 벌크 화물선에 있어서, 선창 (船倉) 측벽의 구조 부재인 홀드 프레임의 점검을 위해서 족장이나 사다리를 형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4632762호
상기 서술한 칸막이벽은, 그 판 부재보다도 선미측과 선수측 양방에 족장과 사다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선미측과 선수측 중, 소골 부재가 돌출되는 측에 배치되는 사다리는, 판 부재와 족장 사이의 공간에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족장은 선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선미측과 선수측 중, 소골 부재가 돌출되지 않는 측에 형성되는 족장 및 사다리는 모두 판 부재에 직접 고정된다. 그 때문에, 족장은, 사다리에 의해 승강하는 지점에, 상하로 관통하는 절결 (切欠) 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족장에 절결을 형성한 경우, 작업자는 족장 상을 이동할 때에 항상 발밑을 확인해야 해서 작업자의 부하가 증가해 버린다.
한편, 족장에 절결을 형성하지 않고 사다리를 형성하기 위해서, 족장과 판 부재를 브래킷 등에 의해 이간시켜, 족장과 판 부재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족장과 판 부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분만큼, 선수미 방향에 있어서의 카고 탱크의 설치 스페이스가 감소해 버려, 탱크 용량이 저하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탱크 용량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점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내부에 카고 홀드가 형성된 선체와, 이 카고 홀드를 선수미 방향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한다. 상기 칸막이벽은, 제 1 벽부와, 상기 제 1 벽부와 상이한 선폭 방향 위치이면서 또한 상기 제 1 벽부보다 선미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부를 구비한다. 이 칸막이벽은, 상기 제 1 벽부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2 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칸막이벽은, 상기 제 1 벽부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과 상기 제 2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족장과, 상기 제 2 벽부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과 상기 제 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족장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칸막이벽은, 상기 제 1 족장과 상기 제 2 벽부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사다리를 추가로 구비한다. 칸막이벽은, 상기 제 2 족장과 상기 제 1 벽부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사다리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칸막이벽의 선수미 방향의 두께 치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칸막이벽의 선미측에 제 1 지지부를 형성함과 함께, 칸막이벽의 선수측에 제 2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벽부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과 제 1 족장 사이에 제 1 사다리를 형성함과 함께, 제 1 벽부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과 제 2 족장 사이에 제 2 사다리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족장 및 제 2 족장에 대해, 사다리를 설치하기 위한 절결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칸막이벽의 두께 증가로 인해 카고 탱크의 용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점검 작업 중 발밑 확인에 의한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제 1 양태에 있어서의 제 1 족장이, 상기 카고 홀드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사다리가, 미리 정해진 수의 상기 제 1 족장을 건너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상기 제 1 사다리끼리는, 상기 제 1 족장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사다리가 배치되는 상기 제 1 족장과 상기 제 2 벽부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사이에, 상기 제 1 족장에 연속하는 제 1 플랫폼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사다리를 모든 제 1 족장에 건너도록 형성하는 경우보다 1 개의 제 1 사다리의 길이를 충분히 짧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제 1 사다리를 승강할 때에 발을 헛디디거나 하여 제 1 플랫폼 상에 낙하하였다고 해도, 그 낙하되는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의 데미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의 제 2 족장이, 상기 카고 홀드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2 사다리가, 미리 정해진 수의 상기 제 2 족장을 건너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상기 제 2 사다리끼리는, 상기 제 2 족장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2 사다리가 배치되는 상기 제 2 족장과 상기 제 1 벽부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사이에, 상기 제 2 족장에 연속하는 제 2 플랫폼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2 사다리를 모든 제 2 족장에 건너도록 형성하는 경우보다 1 개의 제 2 사다리의 길이를 충분히 짧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제 2 사다리를 승강할 때에 발을 헛디디거나 하여 제 2 플랫폼 상에 낙하하였다고 해도, 그 낙하되는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의 데미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제 2 또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랫폼과 상기 제 2 플랫폼 중, 적어도 일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카고 홀드 내에서 작업자가 쓰러진 경우 등에, 제 1 플랫폼 중 상하 방향에서 나열된 모든 제 1 플랫폼을 개방함으로써, 제 2 벽부의 선수측의 벽면과 제 1 족장 사이의 공간을, 작업자를 상갑판까지 끌어 올리는 레스큐 루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플랫폼 중 상하 방향에서 나열된 모든 제 2 플랫폼을 개방함으로써, 제 1 벽부의 선미측의 벽면과 제 2 족장 사이의 공간을, 작업자를 상갑판까지 끌어 올리는 레스큐 루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선박에 의하면, 탱크 용량의 감소를 억제하면서, 점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Ⅱ-Ⅱ 선을 따른 칸막이벽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칸막이벽을 선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칸막이벽을 선미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칸막이벽을 선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칸막이벽을 선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의 선박 (1) 은, LPG (liquefied petroleum gas) 를 운반하는 LPG 운반선이다. 이 선박 (1) 은, 보다 많은 LPG 를 운반하기 위해서, LPG 를 냉각 액화시켜 체적을 작게 한 상태에서 카고 탱크 (3) 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카고 탱크 (3) 에는, 그 외표면에 방열재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 의 선체 (2) 에는, 그 내부에 복수의 카고 홀드 (4)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카고 홀드 (4) 는, 카고 탱크 (3) 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이들 카고 홀드 (4) 는, 선수미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선수미 방향에서 이웃하는 카고 홀드 (4) 끼리는, 칸막이벽 (6) 에 의해 선수미 방향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고 홀드 (4) 는, 선체 (2) 의 상갑판 (5) 보다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도 1 에 있어서는, 선체 (2) 의 선수미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고, 각각 선수 방향을 「F」화살표로 나타내고, 선미 방향을 「A」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Ⅱ-Ⅱ 선을 따른 칸막이벽의 단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벽 (6) 은, 벽부 (7) 와, 지지부 (8) 와, 족장부 (9) 와, 사다리부 (10) 를 구비하고 있다.
벽부 (7) 는, 제 1 벽부 (7A) 와, 제 2 벽부 (7B)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벽부 (7A) 는, 선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벽부 (7B) 는, 제 1 벽부 (7A) 와 평행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 2 벽부 (7B) 는, 선폭 방향에 있어서 제 1 벽부 (7A) 와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벽부 (7B) 는, 선폭 방향으로 나열된 2 개의 제 1 벽부 (7A) 사이에 형성되고, 제 1 벽부 (7A) 보다 선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벽부 (7A) 와 제 2 벽부 (7B) 의 선수미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후술하는 제 1 지지부 (8A) 및 제 2 지지부 (8B) 의 각 선수미 방향의 길이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 (8) 는, 칸막이벽 (6) 의 강성을 확보하는, 이른바 소골재이다. 이 지지부 (8) 는, 제 1 지지부 (8A) 와, 제 2 지지부 (8B) 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칸막이벽을 선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칸막이벽을 선미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 (8A) 는, 제 1 벽부 (7A) 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11) 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선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지지부 (8A) 는, 벽면 (11) 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부 (8A) 는, 선수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 (13A) 와, 선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부 (14A) 를 구비하고, 단면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지지부 (8A) 는, 본체부 (13A) 의 기부가 벽면 (11) 에 대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2,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 (8B) 는, 제 2 벽부 (7B) 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12) 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선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2 지지부 (8B) 는, 벽면 (12) 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부 (8B) 는, 선수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 (13B) 와, 선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부 (14B) 를 구비하고, 단면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2 지지부 (8B) 는, 본체부 (13B) 의 기부가 벽면 (12) 에 대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3, 도 4 에 있어서는, 도시 사정상, 족장부 (9)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제 2 벽부 (7B) 는, 지지부 (8) 를 개재하여 제 1 벽부 (7A) 와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지지부 (8A) 의 설치 수보다 충분히 적은 2 개의 제 2 지지부 (8B) 가 선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지지부 (8A) 와 제 2 지지부 (8B) 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칸막이벽 (6) 의 일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벽 (6) 의 하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 1 지지부 (8A) 와 제 2 지지부 (8B) 가 형성되는 상하 방향의 범위는 상기 서술한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칸막이벽 (6) 의 상하 방향의 전역에 건너도록 형성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벽부 (7B) 에 연속하여 제 1 지지부 (8A) 의 상하로 돌아 들어가도록 벽부 (7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벽부 (7C) 는, 제 1 지지부 (8A) 의 상방과 하방의 양방에 있어서, 그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16a) 이, 제 1 지지부 (8A) 의 선단부 (14A) 의 선미측을 향하는 면 (17) 과 면일 (面一) 하게 되어 있다. 벽부 (7C) 는, 선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1 지지부 (8A) 끼리의 사이에, 오목상의 원호부 (18) 를 갖고 있다. 이들 원호부 (18) 에 의해, 선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1 지지부 (8A) 의 선단부 (14A) 끼리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부 (7C) 와 마찬가지로, 제 1 벽부 (7A) 에 연속하여 제 2 지지부 (8B) 의 상하로 돌아 들어가도록 벽부 (7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벽부 (7D) 는, 제 2 지지부 (8B) 의 상방과 하방의 양방에 있어서, 그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15a) 이, 제 2 지지부 (8B) 의 선단부 (14B) 의 선수측을 향하는 면 (19) 과 면일하게 되어 있다. 벽부 (7D) 는, 벽부 (7C) 와 마찬가지로, 선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2 지지부 (8B) 끼리의 사이에, 오목상의 원호부 (20) 를 갖고 있다. 이들 원호부 (20) 에 의해 선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2 지지부 (8B) 의 선단부 (14B) 끼리의 사이에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 형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칸막이벽을 선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칸막이벽을 선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족장부 (9) 는, 카고 탱크 (3) 의 방열재의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시에, 작업자가 주로 수평 방향으로 걸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족장부 (9) 는,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족장부 (9B) 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족장부 (9A) 는, 제 1 벽부 (7A) 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15) 과, 제 2 지지부 (8B)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 1 족장부 (9A) 는, 선폭 방향으로 긴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 1 벽부 (7A) 로부터 선수측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족장부 (9A) 는, 상하 방향, 즉 카고 홀드 (4) 의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족장부 (9B) 는, 선수미 방향에서 상기 서술한 제 1 족장부 (9A) 와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족장부 (9B) 는, 제 2 벽부 (7B) 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16) (도 2 참조) 과, 제 1 지지부 (8A) 에 의해 지지된다. 제 2 족장부 (9B) 는, 제 1 족장부 (9A) 와 마찬가지로, 선폭 방향으로 긴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 2 벽부 (7B) 로부터 선미측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족장부 (9B) 는, 상하 방향, 즉 카고 홀드 (4) 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족장부 (9B) 는, 작업자가 걸어서 이동할 수 있음과 함께, 가능한 한 선수미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도록 폭 치수 (W1) (예를 들어, 400 ㎜ 정도) 가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족장부 (9B) 는, 각각이 설치되는 카고 홀드 (4) 내에 있어서, 수평 방향에서 카고 탱크 (3) 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 (예를 들어, 200 ㎜ 정도) 이 확보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카고 홀드 (4) 에는, 측부 족장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측부 족장부는, 선수미 방향에서 이웃하는 칸막이벽 (6) 끼리를 연결하는 선체 (2) 의 양 측벽의 내면 (도시 생략) 에 고정되어 있다. 측부 족장부는, 1 개의 카고 홀드 (4) 에 있어서, 선미측에 배치되는 제 1 족장부 (9A), 및, 선수측에 배치되는 제 2 족장부 (9B) 에 연속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부 족장부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족장부 (9B) 를 각각 접속시킨다. 요컨대, 작업자는, 각각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 1 족장부 (9A), 측부 족장부, 및, 제 2 족장부 (9B) 상을 이동함으로써, 카고 탱크 (3) 의 주위를 일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다리부 (10) 는, 제 1 사다리부 (10A) 와, 제 2 사다리부 (10B) 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사다리부 (10A) 는,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벽부 (7B) 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12) 사이에 복수 배치되어 있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사다리부 (10A) 는,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1 족장부 (9A) 끼리의 사이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1 족장부 (9A) 끼리의 사이를 건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1 사다리부 (10A) 는,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벽부 (7B) 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12) 사이에 있어서, 제 2 지지부 (8B) 의 본체부 (13B), 및, 제 2 지지부 (8B) 와 선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1 지지부 (8A) 의 본체부 (13A) 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1 사다리부 (10A) 끼리는, 제 1 족장부 (9A) 가 연장되는 선폭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1 사다리부 (10A) 는, 상하 방향에서 다음다음에 배치되는 제 1 사다리부 (10A) 끼리가, 제 1 족장부 (9A) 가 연장되는 선폭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1 사다리부 (10A) 중, 가장 상방에 배치되는 제 1 사다리부 (10A) 는, 상갑판 (5) 에 형성되는 개구부 (도시 생략) 에 연결되어 있고, 상갑판 (5) 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작업자가 제 1 사다리부 (10A) 를 내려감으로써, 가장 상방에 배치된 제 1 족장부 (9A) 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사다리부 (10B) 는, 제 2 족장부 (9B) 와 제 1 벽부 (7A) 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11) 사이에 복수 배치되어 있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사다리부 (10B) 는, 제 1 사다리부 (10A) 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2 족장부 (9B) 끼리의 사이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2 족장부 (9B) 끼리의 사이를 건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 2 사다리부 (10B) 는, 제 2 족장부 (9B) 와 제 1 벽부 (7A) 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11) 사이에 있어서, 제 1 지지부 (8A) 의 본체부 (13A) 에 고정되어 있다.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2 사다리부 (10B) 끼리는, 제 1 사다리부 (10A) 와 마찬가지로, 제 2 족장부 (9B) 가 연장되는 선폭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2 사다리부 (10B) 는, 상하 방향에서 다음다음에 배치되는 제 2 사다리부 (10B) 끼리가, 제 2 족장부 (9B) 가 연장되는 선폭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 2 사다리부 (10B) 중, 가장 상방에 배치되는 제 2 사다리부 (10B) 는, 상갑판 (5) 에 형성되는 개구부 (도시 생략) 에 연결되어 있고, 상갑판 (5) 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작업자가 제 2 사다리부 (10B) 를 내려감으로써, 가장 상방에 배치된 제 2 족장부 (9B) 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상갑판 (5) 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제 1 사다리부 (10A) 와 제 2 사다리부 (10B) 에서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 1 사다리부 (10A) 가 제 1 지지부 (8A) 에 대해 모두 선폭 방향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사다리부 (10B) 가 제 2 지지부 (8B) 에 대해 모두 선폭 방향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제 1 사다리부 (10A) 및 제 2 사다리부 (10B) 가 설치되는 방향은 상기 서술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사다리부 (10A) 가 배치되는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벽부 (7B) 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12) 사이에는, 각각 제 1 플랫폼 (22)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플랫폼 (22) 은, 제 1 족장부 (9A) 에 연속하도록 하여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랫폼 (22) 은, 제 1 족장부 (9A) 로부터 제 2 벽부 (7B) 측, 바꿔 말하면 선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들 제 1 플랫폼 (22) 은, 복수의 제 1 사다리부 (10A) 의 하부가 각각 배치되는 공간, 바꿔 말하면, 선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2 개의 제 2 지지부 (8B) 와, 제 2 벽부 (7B) 와, 제 1 족장부 (9A) 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상하로 폐색한다. 제 1 플랫폼 (22) 상에는, 제 1 사다리부 (10A) 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용이하게 제 1 족장부 (9A) 와 제 1 사다리부 (10A)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사다리부 (10B) 가 배치되는 제 2 족장부 (9B) 와 제 1 벽부 (7A) 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11) 사이에는, 각각 제 2 플랫폼 (23)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2 플랫폼 (23) 은, 제 2 족장부 (9B) 에 연속하도록 하여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플랫폼 (23) 은, 제 2 족장부 (9B) 로부터 제 1 벽부 (7A) 측, 바꿔 말하면 선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들 제 2 플랫폼 (23) 은, 복수의 제 2 사다리부 (10B) 의 하부가 각각 배치되는 공간, 바꿔 말하면, 선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2 개의 제 1 지지부 (8A) 와, 제 1 벽부 (7A) 와, 제 2 족장부 (9B) 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상하로 폐색한다. 이들 제 2 플랫폼 (23) 상에는, 제 1 플랫폼 (22) 과 마찬가지로, 제 2 사다리부 (10B) 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용이하게 제 2 족장부 (9B) 와 제 2 사다리부 (10B)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제 1 족장부 (9A) 의 상방에는, 선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난간이 제 2 지지부 (8B) 에 고정되고 있다. 이 난간은, 선폭 방향에서 제 1 플랫폼 (22) 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동일하게,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제 2 족장부 (9B) 의 상방에는, 선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난간이 제 1 지지부 (8A) 에 고정되어 있다. 이 난간은, 선폭 방향에서 제 2 플랫폼 (23) 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플랫폼 (22) 중, 선폭 방향에서 소정 위치에 배치된 제 1 플랫폼 (22) 은, 각각 힌지 등을 통하여 상방으로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랫폼 (22) 을 모두 상방으로 요동시켜 개방함으로써, 제 2 지지부 (8B)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스큐 루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레스큐 루트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칸막이벽 (6) 의 내부를 통하여 카고 홀드 (4) 의 바닥부에까지 도달해 있다. 이 레스큐 루트에 의해, 예를 들어, 카고 홀드 (4) 내에서 컨디션이 나빠진 작업자들을, 카고 홀드 (4) 의 바닥부로부터 상갑판 (5) 사이에서, 로프 등을 사용하여 신속히 끌어 올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플랫폼 (23) 중, 선폭 방향에서 소정 위치에 배치된 제 2 플랫폼 (23) 은, 각각 힌지 등을 통하여 상방으로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플랫폼 (23) 을 모두 상방으로 요동시켜 개방함으로써, 제 2 지지부 (8B)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스큐 루트를 형성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선박 (1) 은, 칸막이벽 (6) 의 제 2 벽부 (7B) 가, 제 1 벽부 (7A) 와 상이한 선폭 방향 위치에서, 제 1 벽부 (7A) 보다 선미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지지부 (8A) 가, 제 1 벽부 (7A) 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11) 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지지부 (8B) 가, 제 2 벽부 (7B) 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12) 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칸막이벽 (6) 의 선수미 방향의 두께 치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제 1 벽부 (7A) 의 선미측에 제 1 지지부 (8A) 를 형성함과 함께, 제 2 벽부 (7B) 의 선수측에 제 2 지지부 (8B)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벽부 (7B) 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12) 과 제 1 족장부 (9A) 사이에 제 1 사다리부 (10A) 를 형성함과 함께, 제 1 벽부 (7A) 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11) 과 제 2 족장부 (9B) 사이에 제 2 사다리부 (10B) 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족장부 (9A) 및 제 2 족장부 (9B) 에 대해, 사다리부 (10) 를 설치하기 위한 절결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칸막이벽 (6) 의 두께 증가로 인해 카고 탱크 (3) 의 용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점검 작업 중의 발밑 확인에 의한 작업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는, 제 1 족장부 (9A) 가, 카고 홀드 (4) 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제 1 사다리부 (10A) 가,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1 족장 사이를 건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1 사다리부 (10A) 끼리가, 제 1 족장부 (9A) 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제 1 사다리부 (10A) 가 배치되는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벽부 (7B) 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12) 사이에, 제 1 족장부 (9A) 에 연속하는 제 1 플랫폼 (22)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사다리부 (10A) 를 상하 방향의 모든 제 1 족장부 (9A) 에 건너도록 형성하는 경우보다, 1 개의 제 1 사다리부 (10A) 의 길이를 충분히 짧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제 1 사다리부 (10A) 를 승강할 때에 발을 헛디디거나 하여 제 1 플랫폼 (22) 상에 낙하하였다고 해도, 그 낙하되는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의 데미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는, 제 2 족장부 (9B) 가, 카고 홀드 (4) 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제 2 사다리부 (10B) 가,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2 족장 사이를 건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2 사다리부 (10B) 끼리가, 제 2 족장부 (9B) 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제 2 사다리부 (10B) 가 배치되는 제 2 족장부 (9B) 와 제 1 벽부 (7A) 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11) 사이에, 제 2 족장부 (9B) 에 연속하는 제 2 플랫폼 (23)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사다리부 (10B) 를 상하 방향의 모든 제 2 족장부 (9B) 에 건너도록 형성하는 경우보다, 1 개의 제 2 사다리부 (10B) 의 길이를 충분히 짧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가 제 2 사다리부 (10B) 를 승강할 때에 발을 헛디디거나 하여 제 2 플랫폼 (23) 상에 낙하하였다고 해도, 그 낙하되는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의 데미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고 홀드 (4) 내에서 작업자가 쓰러진 경우 등에, 제 1 플랫폼 (22) 중 선폭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플랫폼을 모두 개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2 벽부 (7B) 의 선수측의 벽면 (12) 과 제 1 족장부 (9A) 사이의 공간을, 작업자를 상갑판 (5) 까지 끌어 올리는 레스큐 루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플랫폼 (23) 중 선폭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플랫폼 (23) 을 모두 개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벽부 (7A) 의 선미측의 벽면 (11) 과 제 2 족장부 (9B) 사이의 공간을, 작업자를 상갑판 (5) 까지 끌어 올리는 레스큐 루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족장부 (9A) 와 제 2 족장부 (9B) 의 어느 일방의 족장이 모두 칸막이벽 (6) 의 벽부 (7) 에 직접 지지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레스큐 루트를 위해서 필요한 요동 가능한 부재 (플랫폼) 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품 점수를 반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칸막이벽 (6) 의 선수측 및 선미측 양방에, 레스큐 루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더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사다리부 (10A) 가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1 족장부 (9A) 사이에 건너도록 형성되며, 또한, 제 2 사다리부 (10B) 가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제 2 족장부 (9B) 사이를 건너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 1 사다리부 (10A) 를, 미리 정해진 3 개 이상의 수의 제 1 족장부 (9A) 사이를 건너도록 형성하고, 제 2 사다리부 (10B) 를, 미리 정해진 3 개 이상의 수의 제 2 족장부 (9B) 사이를 건너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벽부 (7B) 가, 선폭 방향에서 2 개의 제 1 벽부 (7A)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2 개의 제 2 벽부 (7B) 사이에 제 1 벽부 (7A) 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사다리부 (10A) 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1 개만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복수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제 2 사다리부 (10B) 를 복수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선박 (1) 은, LPG 운반선의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선박 (1) 이 카고 탱크 (3) 에 저장하여 운반하는 것은 LPG 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LPG 와 같이 저온의 액체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아스팔트 등의 고온의 물질을 운반하는 선박에도 적용 가능하다.
1 : 선박
2 : 선체
3 : 카고 탱크
4 : 카고 홀드
5 : 상갑판
6 : 칸막이벽
7 : 벽부
7A : 제 1 벽부
7B : 제 2 벽부
7C : 벽부
7D : 벽부
8 : 지지부
8A : 제 1 지지부
8B : 제 2 지지부
9 : 족장부
9A : 제 1 족장부
9B : 제 2 족장부
10 : 사다리부
10A : 제 1 사다리부
10B : 제 2 사다리부
11 : 벽면
12 : 벽면
13A : 본체부
13B : 본체부
14A : 선단부
14B : 선단부
15 : 벽면
15a : 벽면
16 : 벽면
16a : 벽면
17 : 면
18 : 원호부
19 : 면
20 : 원호부
22 : 제 1 플랫폼
23 : 제 2 플랫폼

Claims (5)

  1. 내부에 카고 홀드가 형성된 선체와,
    이 카고 홀드를 선수미 방향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벽은,
    제 1 벽부와,
    상기 제 1 벽부와 상이한 선폭 방향 위치이면서 또한 상기 제 1 벽부보다 선미측에 위치하는 제 2 벽부와,
    상기 제 1 벽부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벽부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1 벽부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과 상기 제 2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족장과,
    상기 제 2 벽부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과 상기 제 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족장과,
    상기 제 1 족장과 상기 제 2 벽부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사다리와,
    상기 제 2 족장과 상기 제 1 벽부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사다리를 구비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족장은, 상기 카고 홀드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제 1 사다리는,
    미리 정해진 수의 상기 제 1 족장을 상기 상하 방향으로 건너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상기 제 1 사다리끼리는, 상기 제 1 족장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고,
    상기 제 1 사다리가 배치되는 상기 제 1 족장과 상기 제 2 벽부의 선수측을 향하는 벽면 사이에, 상기 제 1 족장에 연속하는 제 1 플랫폼을 구비하는 선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족장은, 상기 카고 홀드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제 2 사다리는,
    미리 정해진 수의 상기 제 2 족장을 건너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이웃하는 상기 제 2 사다리끼리는, 상기 제 2 족장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고,
    상기 제 2 사다리가 배치되는 상기 제 2 족장과 상기 제 1 벽부의 선미측을 향하는 벽면 사이에, 상기 제 2 족장에 연속하는 제 2 플랫폼을 구비하는 선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랫폼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선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랫폼과 상기 제 2 플랫폼 중, 적어도 일부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선박.
KR1020180101868A 2015-02-18 2018-08-29 선박 KR20180099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29729 2015-02-18
JP2015029729A JP6300279B2 (ja) 2015-02-18 2015-02-18 船舶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162A Division KR102116233B1 (ko) 2015-02-18 2015-08-11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610A true KR20180099610A (ko) 2018-09-05

Family

ID=566951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162A KR102116233B1 (ko) 2015-02-18 2015-08-11 선박
KR1020180101868A KR20180099610A (ko) 2015-02-18 2018-08-29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162A KR102116233B1 (ko) 2015-02-18 2015-08-11 선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00279B2 (ko)
KR (2) KR102116233B1 (ko)
CN (1) CN1058828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1957B (zh) * 2019-04-30 2021-10-0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贯穿多层长甲板的多功能围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2762B2 (ja) 2004-11-26 2011-02-16 ユニバーサル造船株式会社 船倉側壁構造部材の点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32762Y1 (ko) 1967-09-25 1971-11-12
JPS5536311Y2 (ko) * 1973-11-12 1980-08-26
JPS5297593A (en) * 1976-02-10 1977-08-16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Elevator in hold for ship
JPS6112493A (ja) * 1984-06-27 1986-01-2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における上下連絡用通路装置
JPH0520993U (ja) * 1991-08-30 1993-03-19 三井造船株式会社 タンカーのカーゴタンクの通路構造
JP3182827B2 (ja) * 1991-12-27 2001-07-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における区画室艤装方法
US5320055A (en) * 1992-09-29 1994-06-14 Metro Machine Corp. Double-layered vessel wall construction with longitudinally staggered cell-to-cell access openings through wall layer-connecting plates
US5363787A (en) * 1993-06-30 1994-11-15 Konopasek James L Liquid cargo container for marine transport
JP2596861Y2 (ja) * 1993-07-07 1999-06-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ケミカルタンカー
NO983204L (no) * 1998-04-16 1999-10-18 Allied Applied Marine Technolo Bulk carrier
JP2005239073A (ja) *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用脱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
JP2008110739A (ja) * 2006-10-31 2008-05-1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耐衝突船体構造、船舶及び船体の耐衝突性能向上方法
JP4454618B2 (ja) * 2006-12-19 2010-04-21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液体貨物運搬船の倉内装置
JP3142135U (ja) * 2008-03-21 2008-06-05 日本郵船株式会社 船倉内壁面用作業設備
KR20140002826U (ko) * 2012-11-05 2014-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플랫폼
JP5613289B1 (ja) * 2013-05-21 2014-10-22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チップ専用船の倉内トランク構造
KR20140140748A (ko) * 2013-05-30 2014-12-1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오픈해치 선박의 화물창 접근용 통행로 갑판의 최적배치 방법 및 그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2762B2 (ja) 2004-11-26 2011-02-16 ユニバーサル造船株式会社 船倉側壁構造部材の点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00279B2 (ja) 2018-03-28
KR102116233B1 (ko) 2020-05-28
KR20160101847A (ko) 2016-08-26
JP2016150695A (ja) 2016-08-22
CN105882897B (zh) 2018-06-12
CN105882897A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6580B2 (ja) 貨物専用ラッシングブリッジ
US9238500B2 (en) Cargo hold structure for a very large crude oil carrier
KR101870399B1 (ko)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
KR102655964B1 (ko) 밀폐 및 단열 탱크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20180099610A (ko) 선박
KR20140001952U (ko) 선박용 비상 탈출 구조
JP6048996B1 (ja) 車輌等運搬用船舶の上部構造とそれを備えた車輌等運搬用船舶
CN110072770B (zh) 船舶的居住区结构及货物运输船
JP4252966B2 (ja) バラ積み貨物船の点検用固定足場
CN107207075B (zh) 开闭装置、脚手架、以及船舶
JP4454618B2 (ja) 液体貨物運搬船の倉内装置
KR101280491B1 (ko) 컨테이너선용 래싱 브리지
KR101580977B1 (ko) 래싱 브리지
KR101295792B1 (ko) 선박
KR20170132597A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KR102179904B1 (ko) 컨테이너선
JP3118207U (ja) 船倉内点検設備
KR20160045276A (ko) 컨테이너 고박장치
KR20210072881A (ko) 래싱 브리지
US754107A (en) Ship construction.
JP2020142823A (ja) タンクコンテナ
KR20170035526A (ko) 복층 구조의 통로를 구비한 선박
KR20210072877A (ko) 래싱 브리지
KR20210072878A (ko) 래싱 브리지
KR20170000724U (ko) 부유식 생산설비의 안전통행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