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99B1 -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99B1
KR101870399B1 KR1020160106343A KR20160106343A KR101870399B1 KR 101870399 B1 KR101870399 B1 KR 101870399B1 KR 1020160106343 A KR1020160106343 A KR 1020160106343A KR 20160106343 A KR20160106343 A KR 20160106343A KR 101870399 B1 KR101870399 B1 KR 101870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lashing bridge
hull
rear vertical
l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580A (ko
Inventor
한충범
조성옥
현기주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 삼정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테크 filed Critical (주) 삼정테크
Priority to KR102016010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2열 횡대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와,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사이에 선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단의 플랫폼(4)과, 상기 후방 수직지주대(3)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판(5)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를 구성하되,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와 최외곽의 두번째에 위치한 수직지주대 사이에는 전ㆍ후방 경사지지대(6)(7)가 각각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소화된 보강 구조에 의해 선박의 롤링 발생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과도한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래싱 브리지로 인한 선체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별도의 선체 추가보강 없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 for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2열 횡대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와,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 사이에 선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단의 플랫폼과, 상기 후방 수직지주대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를 구성하되,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와 최외곽의 두번째에 위치한 수직지주대 사이에는 전ㆍ후방 경사지지대가 각각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소화된 보강 구조에 의해 선박의 롤링 발생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과도한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래싱 브리지로 인한 선체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별도의 선체 추가보강 없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운반선에 선적할 때, 컨테이너를 화물창 내부에 적재할 경우에는 컨테이너가 셀 가이드에 따라 격납되므로 특별히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나, 컨테이너를 갑판 상부에 적재할 경우에는 선박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적재된 컨테이너가 쓰러지지 않도록 컨테이너의 측벽이나 바닥에 설치된 래싱아이(lashing eye)나 래싱링(lashing ring)에 로프나 밴드를 걸어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컨테이너 운반선(10)의 갑판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고박하기 위한 구조물인 래싱 브리지(11)가 선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종래의 래싱 브리지는 대부분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2열 횡대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12)(13)와,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12)(13) 사이에 선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단의 플랫폼(14)과, 상기 후방 수직지주대(13)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판(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래싱 브리지(11)는 작업자가 전ㆍ후방 수직지주대(12)(13) 사이에 설치된 플랫폼(14)를 따라 통행하면서 컨테이너의 래싱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수직지주대와 수직지주대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적재된 컨테이너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되므로 컨테이너의 유지 보수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선박의 운항 중에는 항상 선체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피칭 (pitching)과 선체가 폭방향으로 흔들리는 롤링(rolling)이 발생하게 되고, 피칭보다 롤링 현상이 발생할 경우 갑판 상부에 적재된 화물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래싱 브리지(11)는 과도한 롤링 발생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으므로, 안전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래싱 브리지의 전ㆍ후방에 '∧'자형태의 지지대를 번갈아 설치하여 횡방향의 힘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하는 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래싱 브리지는 '∧'자형태로 된 지지대의 자체 중량이 너무 무거워 선체 중량을 과도하게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자형태로 된 지지대의 하단부를 갑판 또는 해치코밍에 용접 고정하기 위해서는 갑판 또는 해치코밍의 내측면에 두꺼운 보강판을 덧대는 선체 보강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시공이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838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2열 횡대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와,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 사이에 선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단의 플랫폼과, 상기 후방 수직지주대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를 구성하되,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와 최외곽의 두번째에 위치한 수직지주대 사이에는 전ㆍ후방 경사지지대가 각각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소화된 보강 구조에 의해 선박의 롤링 발생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과도한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래싱 브리지로 인한 선체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별도의 선체 추가보강 없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2열 횡대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와,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 사이에 선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단의 플랫폼과, 상기 후방 수직지주대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에 있어서,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와 최외곽의 두번째에 위치한 수직지주대 사이에는 전ㆍ후방 경사지지대가 최상단 플랫폼의 하단부로부터 30 ~ 50도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각각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직지지판의 양측 상하부에는 보강용 브라켓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에 의하면, 간소화된 보강 구조에 의해 선박의 롤링 발생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과도한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래싱 브리지로 인한 선체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별도의 선체 추가보강 없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운반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가)(나)는 종래의 래싱 브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래싱 브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경사지지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래싱 브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래싱 브리지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래싱 브리지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래싱 브리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복수단의 플랫폼(4), 복수개의 수직지지판(5), 전ㆍ후방 경사지지대(6)(7)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는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2열 횡대로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는 갑판 상면에 고정설치되고, 그 외 수직지주대는 전부 해치코밍의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는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각 파이프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단의 플랫폼(4)은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사이에 선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대 역할을 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이동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플랫폼(4)은 3단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선박의 규모에 따라 3단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복수개의 수직지지판(5)은 상기 후방 수직지주대(3)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선박의 롤링 발생시 횡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 후방 수직지주대(3)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ㆍ후방 경사지지대(6)(7)는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와 최외곽의 두번째에 위치한 수직지주대 사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선박의 롤링 발생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과도한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ㆍ후방 경사지지대(6)(7)는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각 파이프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ㆍ후방 경사지지대(6)(7)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로부터 최외곽의 두번째에 위치한 수직지주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되, 최상단 플랫폼(4)의 하단부로부터 30 ~ 50도의 각도(a)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ㆍ후방 경사지지대(6)(7)를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와 최외곽의 두번째에 위치한 수직지주대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각각 고정설치하게 되면, 선박의 롤링 발생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과도한 힘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판(5)의 양측 상하부에 보강용 브라켓(8)를 고정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판(5)의 양측 상하부에 보강용 브라켓(8)을 고정설치하게 되면, 수직지지판(5)에 의한 지지력 보강효과를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래싱 브리지(1)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의 설치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는 전체 프레임을 완성한 후 조선소로 운반하여 건조 중인 선박의 갑판 상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는 갑판 상면에 고정설치하고, 그 외 수직지주대는 전부 해치코밍의 상면에 고정설치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는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의 횡방향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전ㆍ후방 경사지지대(6)(7)가 전ㆍ후방 수직지주대(2)(3)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와 최외곽의 두번째에 위치한 수직지주대 사이에만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래싱 브리지로 인한 선체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별도의 선체 추가보강 없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의 작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해석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8b에 도시된 구조해석 결과는 래싱 브리지에 구비된 각각의 래싱 아이에 200kN의 힘이 가해졌을 때 래싱 브리지의 각 지점에 걸리는 응력(N/㎟)을 색상으로 도시한 것인데, 각 색상에 해당하는 응력값은 도면 우측에 있는 색상 인덱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각 래싱 브리지에 대한 구조해석은 시뮬레이션에 의해 나타난 응력 분포상태와 최대 응력값을 보고 평가를 하게 되는데, 응력값이 높으면 재질의 항복점을 초과하여 변형 또는 파단이 발생하게 되므로 응력값이 낮을수록 안정적이라 할 수 있다.
우선, 종래의 래싱 브리지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를 보면, 도 6a과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의 후방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지지판 중 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지판의 상부 외측에 응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 때 최대 응력값은 645N/㎟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래싱 브리지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를 보면, 도 7a 와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의 후방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지지판 중 중앙에 위치한 수직지지판의 상부 외측에 응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 때 최대 응력값은 516N/㎟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래싱 브리지(1)의 양측 끝단부에 설치된 전ㆍ후방 경사지지대(6)(7)에 의해 응력 집중부위가 래싱 브리지의 후방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지지판 중 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지판으로부터 중앙에 위치한 수직지지판의 상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최대 응력값이 종래의 래싱 브리지보다 20% 정도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래싱 브리지의 구조해석 결과를 보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싱 브리지의 후방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지지판 중 중앙에 위치한 수직지지판의 상부 외측에 응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 때 최대 응력값은 291N/㎟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직지지판(5)의 양측 상하부에 고정설치된 보강용 브라켓(8)에 의해 수직지지판(5)의 보강효과가 더욱더 증대되면서 최대 응력값이 종래의 래싱 브리지보다 55% 정도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1 : 래싱 브리지
2 : 전방 수직지주대
3 : 후방 수직지주대
4 : 플랫폼
5 : 수직지지판
6 : 전방 경사지지대
7 : 후방 경사지지대
8 : 보강용 브라켓

Claims (3)

  1.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2열 횡대로 설치되는 다수의 전ㆍ후방 수직지주대와,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 사이에 선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단의 플랫폼과, 상기 후방 수직지주대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지지판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에 있어서,
    상기 전ㆍ후방 수직지주대 중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수직지주대와 최외곽의 두번째에 위치한 수직지주대 사이에는 전ㆍ후방 경사지지대가 최상단 플랫폼의 하단부로부터 30 ~ 50도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각각 고정설치되며,
    상기 수직지지판의 양측 상하부에는 보강용 브라켓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
  2. 삭제
  3. 삭제
KR1020160106343A 2016-08-22 2016-08-22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 KR10187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43A KR101870399B1 (ko) 2016-08-22 2016-08-22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43A KR101870399B1 (ko) 2016-08-22 2016-08-22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80A KR20180021580A (ko) 2018-03-05
KR101870399B1 true KR101870399B1 (ko) 2018-06-25

Family

ID=6172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43A KR101870399B1 (ko) 2016-08-22 2016-08-22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94A (ko) 2019-09-03 2021-03-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마진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9873A (ko) 2022-09-20 2024-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7379B (zh) * 2018-05-16 2020-07-28 大连中远海运川崎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伸缩式集装箱绑扎桥
KR102605680B1 (ko) * 2019-12-09 2023-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브리지
CN112298462B (zh) * 2020-10-28 2022-06-24 上海东鼎钢结构有限公司 一种适用于集装箱船的绑扎桥组合立柱
CN115158589A (zh) * 2022-08-18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绑扎桥无余量搭载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794A (ko) 2019-09-03 2021-03-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마진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605296B1 (ko) 2019-09-03 2023-1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마진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9873A (ko) 2022-09-20 2024-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래싱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80A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399B1 (ko)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리지
KR102169409B1 (ko) 화물선용 래싱 브리지
US7237500B2 (en) Hull construction for side hulls of trimaran and the like
CN105600181A (zh) 一种总段组装运输平台
KR20210072891A (ko) 래싱 브리지
KR101727765B1 (ko) 컨테이너선용 래싱브리지
CN216999749U (zh) 一种便于基坑后续施工的基坑支撑装置
KR20010062618A (ko) 자동차운반선에 있어서의 차량갑판의 거더구조
CN210001381U (zh) 电梯的拱形结构轿底
KR100897702B1 (ko) 크로스 빔을 이용한 컨테이너 운반선의 격벽구조
CN207193774U (zh) 扣索平台
KR20170019991A (ko) 컨테이너 선의 라싱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10789679A (zh) 一种用于集装箱船舱盖支撑盒垫块装焊的移动式登高梯架
KR20210072892A (ko) 래싱 브리지
CN204432928U (zh) 整船称重及位移时的围裙约束工装
CN213474741U (zh) 多货叉载货平台及堆垛机
KR20210072878A (ko) 래싱 브리지
CN214492922U (zh) 通用敞车使用卷钢座架
CN216187806U (zh) 集装箱底框架结构
CN218506381U (zh) 防撞墙运输架
US1823081A (en) Channel construction for the tops of the tanks of vessels
KR20210072881A (ko) 래싱 브리지
SU921929A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 кузова с рамо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9147523A (ja) 洋上浮体構造物のタワー構造物支持構造
KR20190004500A (ko) 래싱 브릿지 핸드 레일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하는 래싱 브릿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