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655A - 로터리 래치와 이젝션 스프링을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 래치와 이젝션 스프링을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655A
KR20180097655A KR1020187020597A KR20187020597A KR20180097655A KR 20180097655 A KR20180097655 A KR 20180097655A KR 1020187020597 A KR1020187020597 A KR 1020187020597A KR 20187020597 A KR20187020597 A KR 20187020597A KR 20180097655 A KR20180097655 A KR 20180097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latch
striker
legs
zone
ejec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외머 이난
미카엘 숄츠
홀게르 쉬퍼
토마스 쉐넨베르크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9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53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means providing a stable, i.e. indexed, position of lock parts
    • E05B15/006Spring-biased ball or roller entering a no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05B17/0033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for opening only
    • E05B17/0037Spring-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86A single spring working on more than one elemen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2), 폴, 스트라이커(2)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젝션 스프링(9) 및 로터리 래치(4)를 가지며, 로터리 래치(4)는 회전 열림 방향(7), 회전 닫힘 방향(8), 열림 위치 및 메인 잠김 위치를 갖고, 이젝션 스프링(9)은 레그(27)를 갖고, 레그(27)는 로터리 래치(4)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스트라이커(2)에 대해 직접적으로 배치되며, 레그(27)는 로터리 래치(4)가 메인 잠김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 있는 로터리 래치(4)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에 대해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 래치와 이젝션 스프링을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 폴, 스트라이커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젝션 스프링 및 로터리 래치를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터리 래치는 회전 열림 방향, 회전 닫힘 방향, 열림 위치 및 메인 잠김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안전 장치는 DE 10 2010 037 937 A1에 개시되어 있는데,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안전 장치를 이동시킬 때, 이젝션 스프링이 지지의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이젝션 스프링에 더하여, 안전 장치는 로터리 래치에 작용하기 위한 로터리 래치 스프링을 가지며, 로터리 래치의 외주가 따라 움직이는 궤적의 외측에 이젝션 스프링이 배열된다. 이에 이젝션 스프링을 위해 추가적인 설치 공간이 필요하며, 또한 자동차에서 자동차 로크가 비교적 큰 설치 공간을 갖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나아가 로터리 래치 스프링을 따라 추가적인 이젝션 스프링에 의해 자동차 로크의 전체적인 무게도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 설치 공간이 감소한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안전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편리한 다른 형태를 갖는 유리한 설계는 나머지 청구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야기된다. 특히 독립항과 종속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이 추가되거나, 상세한 설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기 다른 구성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와 연관될 수 있다.
필요 설치 공간이 감소한 안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스트라이커, 폴, 스트라이커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젝션 스프링 및 로터리 래치를 가지며, 로터리 래치는 회전 열림 방향, 회전 닫힘 방향, 열림 위치 및 메인 잠김 위치를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가 제시된다. 나아가 이젝션 스프링은 레그를 가지며, 레그는 로터리 래치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스트라이커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레그는 로터리 래치가 메인 잠김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리 래치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에 직접적으로 인접한다.
로터리 래치는 로드 암과 캐치 암을 가지며, 캐치 암과 로드 암은 로터리 래치의 닫힘 과정 동안 스트라이커를 수용하는 로터리 래치의 포크형 삽입 구역을 형성한다. 캐치 암과 로드 암은 머리 영역을 각각 가지며, 두 머리 영역은 유리하게, 로터리 래치의 회전축으로부터 가장 먼 로터리 래치의 영역이다. 두 머리 영역은 로터리 래치의 닫힘 과정 동안 스트라이커가 들어가는 삽입 구역의 개구를 형성한다. 머리 영역은 캐치 암 또는 로드 암의 각 끝단으로부터 로터리 래치의 회전축으로, 캐치 암 또는 로드 암의 길이의 1/5까지 바람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로드 암과 캐치 암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호형으로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로터리 래치의 닫힘 운동 동안 삽입 구역 내에서 스트라이커의 가이드를 가능하게 한다.
로터리 래치는 메인 래칫을 가지며, 메인 잠김 위치에서 폴은 메인 래칫을 감싸 회전 열림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를 차단한다. 안전 장치는 로터리 래치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체결(bolting)되며, 스트라이커가 바람직하게 부착된 전방 후드는 닫힘 위치에 있게 된다. 로터리 래치의 열림 위치에서, 스트라이커 또는 스트라이커에 배열된 전방 후드는 로터리 래치로부터 풀린다. 로터리 래치의 회전 열림 방향은 로터리 래치가 메인 잠김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회전하는 방향이다. 회전 닫힘 방향은 회전 열림 방향의 반대로 회전하는 방향이다.
스트라이커의 이탈이라 함은 이탈 후, 스트라이커가 로터리 래치로부터 풀리도록 스트라이커가 이동하며, 로터리 래치는 열림 위치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젝션 스프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트라이커가 이탈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스트라이커의 이탈을 지지한다. 로터리 래치에 대한 레그의 직접적인 인접이라 함은 특히 레그가 로터리 래치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로터리 래치에 대한 상대 속도가 영과 같으며 로터리 래치에 연결된 안전 장치의 구성요소에 인접하게 배치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로터리 래치는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로터리 래치의 메인 소재에 연뎔되는 태핏을 가질 수 있다. 상대 속도가 모든 방향에서 영과 같은 태핏에 대한 레그의 직접적인 인접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래치에 대한 직접적인 인접에 대응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스트라이커가 이탈하는 동안, 이젝션 스프링이 스트라이커를 통해 초기에 간접적으로, 그리고 그 후 태핏을 이용하여 회전 열림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로터리 래치를 구동한다. 태핏은 로터리 래치와 단일의 구성요소로, 그리고 예컨대 핀 또는 맨드릴로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이젝션 스프링은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비틀림 응력이 가해지는 레그 스프링으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그는 로터리 래치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스트라이커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직접적이라는 말은 특히 레그와 스트라이커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제공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젝션 스프링에 스프링 강도를 바람직하게 부여하는 이젝션 스프링의 메인 스프링 소재는 로터리 래치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스트라이커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레그는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으로부터 시작하여, 적어도 3-5cm의 직경으로 바람직하게 연장된다.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은 로터리 래치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바람직하게 이어진다. 제1 변형예는 이젝션 스프링과 로터리 래치가 공통의 회전축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 경우 안전 장치는 매우 작게 구성될 수 있으며, 안전 장치에서 필요한 설치 공간이 감소한다. 나아가 이젝션 스프링의 구성은 이젝션 스프링에 작용하는 토크가 로터리 래치에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안전 장치의 구성 동안, 이젝션 스프링에 의해 발생한 토크가 로터리 래치에 작용하는 토크로 전환될 필요가 없도록 용이하게 한다.
제2 변형예는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이 로터리 래치의 회전축에 대해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로터리 래치의 회전축이 폴의 회전축 및 로터리 래치가 충돌하는 동안 제1 변형예에 비해 이젝션 스프링의 확장된 레버 암을 제공하는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 사이에 배열된다. 이젝션 스프링은 베어링 소켓에 의해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로터리 래치의 중간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는 메인 잠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회전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6도로 회전한다. 유리하게는 레그가 몇몇 중간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레그의 각 위치는 중간 위치에서 원형의 부채꼴을 형성하는데, 이는 레그의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회전 열림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의 메인 잠김 위치에 배치된다.
이젝션 스프링은 중간 위치에서는 직접적으로, 메인 잠김 위치에서는 회전 열림 방향으로 스트라이커에 의해 간접적으로 로터리 래치에 작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메인 잠김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로터리 래치가 이동하는 동안 매 레그의 위치마다 스트라이커와 로터리 래치의 삽입 구역 사이에 접촉이 존재한다. 이는 스트라이커와 삽입 구역 사이에 영구적인 접촉이 보장되지 않는 안전 장치에 비해, 안전 장치의 소음 발생을 유리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젝션 스프링의 레그를 갖는 제시된 안전 장치에 의해, 로터리 래치를 구동하기 위한 추가적인 로터리 래치 스프링을 없앨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안전 장치를 위한 필요 설치 공간이, 다른 한 편으로는 안전 장치의 전체적인 무게가 감소한다.
유리한 구성은 로터리 래치가 메인 잠김 위치를 가지며, 레그가 로터리 래치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로터리 래치는 예비 래칫을 가지며, 폴은 예비 잠김 위치에서 예비 래칫을 둘러싸 회전 열림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를 차단한다. 이젝션 스프링의 메인 스프링 소재는 예비 잠김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의 태핏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로터리 래치의 예비 잠김 위치에서, 안전 장치는 회전 열림 방향의 회전으로부터 로터리 래치를 고정하며, 로터리 래치의 삽입 구역에 의해 둘러싸인 스트라이커는 열림 방향으로 차단된다. 이에 전방 후드가 열림 방향으로 차단된다. 예비 잠김 위치에서 전방 후드의 이러한 고정은 로터리 래치가 메인 잠김 위치로부터 우연히 풀릴 경우, 전방 후드의 의도치 않은 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회전 열림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가 회전하는 동안, 레그가 스트라이커와 로터리 래치에 교대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교대로라는 말은 레그가 로터리 래치의 제1 위치에서는 스트라이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레그와 로터리 래치의 접촉이 취소되고, 로터리 래치가 제1 위치로부터 회전 열림 방향으로 회전한 로터리 래치의 제2 위치에서는 레그가 로터리 래치, 예컨대 태핏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스트라이커와 레그 사이의 접촉이 취소됨을 의미한다. 레그의 이러한 인접 상태의 변화에 의해, 회전 열림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가 회전하는 동안, 메인 잠김 위치로부터 바람직하게 시작하여, 예비 잠김 위치를 거쳐 열림 위치로, 레그의 인접 상태의 변화가 제공되지 않는 실시예에 비해, 레그가 더 큰 원형의 부채꼴을 펼칠 수 있다.
레그의 원형의 부채꼴이 더 크게 펼쳐질수록, 회전 열림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가 회전하는 동안, 이젝션 스프링에 의해 나오는 작업이 더 효과적이다. 이탈 동안 스트라이커의 전체적으로 일정한 스트로크 동안, 이젝션 스프링에 의해 나오는 작업이 더 효과적일수록, 이탈 동안 이젝션 스프링에 의해 스트라이커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힘의 영향이 더 크다. 이젝션 스프링이 스트라이커와 로터리 래치에 교대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제공하는 안전 장치는 더 작은 크기의 이젝션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안전 장치의 설치 공간과 무게가 감소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는 스트라이커로부터 로터리 래치로 레그의 인접 상태가 변하는 동안, 레그와 스트라이커 사이에 마찰이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레그가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레그가 회전하는 동안 스트라이커와 레그 사이에서 상대 속도가 감소한다. 이처럼 스트라이커와 레그 사이의 감소한 상대 속도는 스트라이커로부터 로터리 래치로 레그의 인접 상태가 변하는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인접 상태가 변하는 동안 레그와 스트라이커 사이에 마찰이 보장된다.
레그와 스트라이커 사이의 마찰은 한편으로는 레그와 스트라이커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직접적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로터리 래치의 삽입 구역에 대한 스트라이커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레그와 로터리 래치 또는 로터리 래치의 태핏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으로부터 시작하여 간접적으로, 인접 상태가 변하는 동안 일어난다. 인접 상태가 변하는 동안 마찰은 한편으로 전방 후드를 여는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도록 보장하는 회전 열림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가 이동하는 동안 스트라이커의 연속적인 열림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레그와 스트라이커 사이의 마찰은 인접 상태가 변하는 동안 소음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그는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에 수직인 제1 평면에서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으로 휘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을 갖는다. 제1 구역은 오목하며, 즉 안쪽으로 휘어져 있으며, 레그로부터 시작하는 내측은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이 배치된 측으로 정의된다. 매우 유리하게는 제1 구역이 로터리 래치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스트라이커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레그의 제1 구역의 오목한 곡률은 레그가 직선의 제1 구역을 갖는 변형예에 비해, 스트라이커의 상대 스트로크 구역이 감소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상대 스트로크 구역은 특정 시간 간격 내에서, 스트라이커의 커버한 스트로크 구역이 분자이고 레그의 커버한 회전각이 분모인 몫으로 계산된다.
회전 열림 방향으로 레그가 회전하는 동안 스트라이커의 감소한 상대 스트로크 구역은 매 스트라이커의 스트로크 구역마다 이젝션 스프링에 의해 나오는 작업이 증가하여, 스트라이커에 작용하는 이젝션 스프링의 스프링 힘이 증가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곡선 구역을 갖는 레그를 갖는 이젝션 스프링을 갖는 안전 장치에서, 이젝션 스프링이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안전 장치의 무게와 필요 설치 공간이 감소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그는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에 수직인 제1 평면이나 제2 평면에서, 제1 구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가지며, 제2 구역은 제1 구역의 반대 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2 구역은 볼록하며, 즉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으며, 외측은 레그로부터 바라볼 때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이 위치한 곳의 반대에 배치된 측으로 정의된다.
제2 구역의 볼록한 곡률은 매 레그의 커버한 회전각마다 스트라이커의 스트로크 구역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의 상대 스트로크 구역에서 이러한 증가는 이젝션 스프링의 이탈에 의해 야기된 스트라이커의 가속이 제2 구역에서 감소할 수 있게 한다. 제2 구역에서 스트라이커의 더 낮은 가속은 스트라이커가 레그의 제2 구역을 따라 신장하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스트라이커로부터 로터리 래치로 레그의 인접 상태가 변하는 동안, 스트라이커는 레그의 제2 구역에 인접하게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제2 구역의 볼록한 곡률에 의해 얻은 스트라이커의 가속의 감소에 의해, 인접 상태의 변화가 달성되는 기간이 증가한다. 이러한 기간의 증가는 한편으로는 하나의 안전 장치의 구성에서 레그의 기하에 대한 태핏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접 상태가 변하는 동안 소음을 감소시키고 레그와 스트라이커 사이의 마찰을 보장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레그는 이젝션 스프링의 회전축에 수직인 제1 평면, 제2 평면 또는 제3 평면에서 제2 구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3 구역을 가지며, 제3 구역은 제2 구역의 반대 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된다. 제3 구역의 곡률은 제1 구역의 곡률과 같은 방식으로 배향되며, 즉 오목하다. 제3 구역의 오목한 곡률은 제1 구역의 오목한 곡률이 스트라이커의 상대 스트로크 구역을 감소시킬 수 있어, 매 레그의 회전각마다 태핏의 스트로크 구역, 즉 상대 스트로크 구역을 동일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젝션 스프링에 의해 로터리 래치에 작용하는 토크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젝션 스프링은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2 및/또는 제3 구역의 곡률은 그 정도의 측면에서, 구성에서 레그의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이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곡률의 정도는 레그의 길이에 걸쳐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의 범위 내에서, 제1 구역이 메인 잠김 위치에서 거의 수평인 정렬을 가지며, 스트라이커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정렬은 제1 구역의 시작과 끝 사이의 연결선에 의해 특정되며, 제1 구역은 레그를 따라 연장된다.
메인 잠김 위치에서 레그의 제1 구역의 거의 수평인 정렬은 특히 자동차에 설치되는 안전 장치의 상태와 관련된다. 설치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수평인 선이 자동차의 차량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거의 수평이라는 말은 연결선이 자동차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적어도 20도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15도보다 작은 각도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특히 유리하게는 레그의 수평인 제1 구역이 이젝션 스프링의 코일에 접한다. 메인 잠김 위치에서 레그의 제1 구역의 거의 수평인 정렬은 거의 수직인, 특히 상방으로 정렬되는 자동차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레그가 초기에 회전하는 동안 레그로부터 스트라이커로 작용하며, 스트라이커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대한 거의 전체적인 수직 항력으로 작용하는 수직 항력을 야기할 수 있다.
이는 이젝션 스프링이 회전 열림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를 구동할 수 있게 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라이커를 이탈시키기 위해 더 작은 크기의 것일 수 있다.
유리한 다른 형태는 이젝션 스프링이 나선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이는 이젝션 스프링이 레그 스프링으로 사용되는 안전 장치에 비해, 안전 장치의 특히 더 좁은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인 이젝션 스프링의 구성은 공통의 회전축에서 로터리 래치와 이젝션 스프링의 공동의 수용을 특히 단순화할 수 있다. 이젝션 스프링의 더 좁은 설계는 레그 스프링에 비해, 특히 나선형 스프링인 것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베어링이 조인트 회전축을 위한 베어링 쌍에 배열될 수 있어, 회전축이 더 짧아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축의 베어링 하중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발명의 명칭이 "로터리 래치 및 예비 잠김 위치와 메인 잠김 위치를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rotary latch and pre-locking position and a main locking position)"인 동 출원인의 관련 특허출원에서, 그 내용은 설명한 기술적 특징을 전부 갖는 본 출원의 원 공개의 대상을 이루는데, 폴은 로터리 래치의 예비 잠김 위치에서는 캐치 암에, 로터리 래치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는 로터리 래치의 로드 암에 걸린다. 우선 폴의 이러한 걸림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특허출원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은 본 출원의 원 공개와 관련된다. 이는 특히 딜레이 메커니즘(delay mechanism)의 가능한 구성 및 안전 장치를 열기 위한 절차와 관련된다.
발명의 명칭이 "로터리 래치와 보호 위치를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rotary latch and a protective position)"인 동 출원인의 다른 관련 특허출원에서, 그 내용도 설명한 기술적 특징을 전부 갖는 본 출원의 원 공개의 대상을 완전히 이루는데, 안전 장치는 회전 닫힘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 요소로 설명되어 있다. 우선 안전 장치의 안전을 개선하는 상기 관련 특허출원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은 본 출원의 원 공개와 관련된다. 이는 특히 차단 요소의 구성 및 폴과 로터리 래치를 갖는 차단 요소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특징 및 세부 사항들은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그리고 도면에 기반하여 도출된다.
도 1a 내지 1f 및 도 2a 내지 2b는 열림 과정 동안, 안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c 내지 2f는 닫힘 과정 동안, 도 1a에 따른 안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안전 장치 및 스트라이커에 배열된 전방 후드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1f 및 2a 내지 2b는 열림 과정 동안, 자동차용 안전 장치(1)를 나타낸다. 안전 장치(1)는 스트라이커(2), 폴(3) 및 로터리 래치(4)를 갖는다. 로터리 래치(4)는 로드 암(5), 캐치 암(6), 회전 열림 방향(7), 회전 닫힘 방향(8), 예비 잠김 위치 및 메인 잠김 위치를 갖는다. 나아가 안전 장치(1)는 로터리 래치(4)의 닫힘 방향(8)으로 압박되어 스트라이커(2)를 이탈시키고 회전 열림 방향(7)으로 로터리 래치(4)에 작용하는 이젝션 스프링(9)을 갖는다. 이젝션 스프링(9)은 고정단(36)을 바람직하게 갖는데, 이는 안전 장치(1)의 고정 지지부(37)를 지탱한다. 고정단(36)은 베어링 소켓(25)으로 유리하게 연장되어, 고정단(36)이 이젝션 스프링(9)의 회전축(43)에 대해 움직일 수 없도록 베어링 소켓(25)을 둘러싼다. 폴(3)은 회전 잠김 방향(11)으로 폴(3)에 작용하는 폴 스프링(10)을 갖는다. 나아가 폴(3)은 회전 열림 방향(7)의 회전에 대해, 도 1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를 고정하는 래치 노즈(12)를 갖는다.
캐치 암(6)과 로드 암(5)은 스트라이커(2)를 수용하는 로터리 래치(4)의 포크형 삽입 구역(13)을 형성한다. 로드 암(5)과 캐치 암(6)은 로터리 래치(4)의 닫힘 동작과 열림 동작 동안, 삽입 구역(13) 내에서 스트라이커(2)를 가이드할 수 있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캐치 암(6)은 회전 열림 방향(7)의 방향으로 절곡 탄젠트(15)를 갖는 헤드 영역(14)을 가지며, 절곡 탄젠트(15)는 예비 래칫(16)을 형성한다. 나아가 로드 암(5)은 회전 열림 방향(7)의 방향으로 절곡 탄젠트(18)를 갖는 헤드 영역(17)을 가지며, 절곡 탄젠트(18)는 메인 래칫(19)을 형성한다. 도 1a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폴(12)은 메인 래칫(19)을 둘러싼다. 나아가 로터리 래치(4)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이젝션 스프링(9)은 스트라이커(2)를 통해 회전 열림 방향(7)의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4)에 작용하며, 메인 래칫(19)은 폴(3)의 래치 노즈(12)를 압박하여 래치 노즈(12)의 접촉면에 압력을 생성하는데, 이는 도 1a에 나타난 잠김 위치에서 폴 스프링(10)에 의해 힘이 작용하는 폴을 추가적으로 고정한다.
로터리 래치(4)는 예비 잠김 위치로부터, 그리고 메인 잠김 위치로부터 회전 잠김 방향(11)에 대항하여, 폴(3)의 회전에 의해 풀림 위치로 풀릴 수 있다. 만약 로터리 래치(4)의 로드 암(5)이나 캐치 암(6)이 폴의 래치 노즈(12)에서 회전 열림 방향(7)으로 지나갈 수 있다면, 폴(3)은 풀림 위치에 배치하게 된다.
이젝션 스프링(9)은 레그 스프링으로 바람직하게 형성되며, 이젝션 스프링(9)은 레그(27) 및 이젝션 스프링(9)에 스프링 강도를 부여하는 메인 스프링 소재를 갖는다. 메인 스프링 소재는 바람직하게 금속이다. 스트라이커(2)는 메인 잠김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메인 스프링 소재상에서 레그(27)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구성은 메인 스프링 소재가 보호 커버를 구비하도록 제공되며, 보호 커버는 레그(27)의 한 부분으로 보인다. 이 경우 레그(27)는 메인 잠김 위치에서 스트라이커(2)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2b는 스트라이커(2)가 로터리 래치(4)의 로드 암(5)으로부터 풀리는, 즉 로드 암(5)에 의한 스트라이커(2)의 상방의 움직임의 차단이 취소되는 열림 위치에 있는 로터리 래치(4)를 나타낸다. 도 1d는 로터리 래치(4)가 메인 잠김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메인 잠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회전 열림 방향(7)으로 회전하는 중간 위치에 있는 로터리 래치(4)를 나타낸다. 도 1d에 나타난 중간 위치에서, 레그(27)는 로터리 래치(4)의 태핏(21)에, 즉 로터리 래치(4)에 직접적으로 배치된다. 특수한 구성에서, 태핏(21)은 캐치 암(6)의 표면의 한 부분이다. 아무튼 태핏(21)은 태핏(21)과 로터리 래치(4) 사이의 상대 속도가 영(zero)으로 되어, 태핏(21)에 대한 레그(27)의 직접적인 인접 상태가 로터리 래치(4)에 대한 레그의 직접적인 인접 상태에 상응하도록, 캐치 암(6)에 연결된다.
또한 도 2b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열림 위치에서, 레그(27)는 로터리 래치(4)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나아가 열림 위치에서, 스트라이커(2)와 레그(27) 사이의 접촉이 상승한다.
레그(27)가 로터리 래치(4)의 열림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때, 로터리 래치(4)가 회전 열림 방향(7)으로 작용하여, 캐치 암(2)이 스트라이커(2)에 눌리게 된다. 따라서 이젝션 스프링(9)에 의해, 상승하는 힘이 스트라이커(2)에 전달되고, 캐치 암(6)과 스트라이커(2) 사이의 접촉이 로터리 래치(4)의 열림 위치에서 보장된다.
스트라이커(2)의 이탈 동안 캐치 암(6)과 스트라이커(2) 사이의 접촉의 유지는 레그(27)가 열림 위치에서 스트라이커(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성에 비해, 스트라이커(2)의 이탈 동안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로드 암(5)의 내면에서 스트라이커(2)의 멈춤을 야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림 위치로 로터리 래치(4)의 열림 동안 로터리 래치(4)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상승하는 힘은 레그(27)가 로터리 래치(4)의 열림 동안 오직 스트라이커(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변형예에 비해, 스트라이커(2)의 스트로크 경로(22)의 확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트로크 경로(22)의 증가는 맞물림 영역이 전방 후드의 모서리와 그 아래에 배치된 자동차 섀시의 다른 모서리 사이에서 증가하는 만큼, 스트라이커(2)에 연결된 전방 후드의 작업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며, 전방 후드의 파지가 용이해진다.
도 1a 내지 1f 및 2a 내지 2f에 나타난 안전 장치(1)의 실시예에서, 이젝션 스프링(9)은 회전축(34)을 갖는데, 이는 로터리 래치(4)의 회전축(20)에 대해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스트라이커(2)의 중심과 이젝션 스프링(9)의 회전축(34) 사이에서 연장된 도 1a에 나타난 레버 암(26)은 배치된 회전축(34, 20)에 의해, 그리고 이젝션 스프링(9)과 로터리 래치(4)가 공통의 회전축을 갖는 안전 장치에 비해 확장된다. 다른 구성에서, 로터리 래치(4)와 이젝션 스프링(9)은 공통의 회전축을 갖는다. 이는 보다 작은 설계와 무게 절감의 이점을 갖는다.
도 1의 평면은 이젝션 스프링(9)의 회전축(34)에 수직으로 정렬된 모습으로, 이하 제1 평면을 이룬다.
이젝션 스프링(9)의 레그(27)는 제1 구역(28)을 갖는데, 이는 이젝션 스프링(9)의 회전축(34)으로 제1 평면에서 휘어져, 이젝션 스프링(9)의 코일에 바람직하게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구역(28)은 오목하며, 즉 안쪽으로 휘어져 있으며, 레그(27)에 대한 내부는 이젝션 스프링(9)의 회전축(34)이 배치된 측에 의해 정의된다. 도 1a에 도시된 로터리 래치(4)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제1 구역(28)은 스트라이커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레그(27)의 제1 구역(28)의 오목한 곡률은 레그(27)가 직선의 제1 구역(28)을 갖는 변형예에 비해, 매 레그(27)의 커버한 회전각(30)마다 스트라이커(2)의 스트로크 구역(29)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는데, 이하 로터리 래치(4)의 메인 잠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회전 열림 방향(7)으로 레그(27)의 회전 동안 스트라이커(2)의 상대 스트로크 구역이라 한다.
회전 열림 방향(7)으로 레그(27)의 회전 동안 스트라이커(2)의 감소한 상대 스트로크 구역은 매 스트라이커(2)의 스트로크 구역마다 이젝션 스프링(9)으로부터 나오는 작업이 증가하여, 스트라이커(2)에 작용하는 이젝션 스프링(9)의 스프링 힘이 감소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a에 나타난 이러한 구성에서, 이젝션 스프링(9)은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안전 장치(1)의 무게와 필요 설치 공간이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a는 메인 잠김 위치에 있는 제1 구역(28)이 도 1의 그림 평면에서 수평선과 약 12도의 각도를 포함하는, 즉 거의 수평으로 정렬되는 것을 나타낸다.
나아가 레그(27)는 제1 구역(28)에 인접한 제2 구역(31)을 가지며, 제2 구역(31)은 제1 구역(28)의 반대 방향의 곡률을 갖는다. 제2 구역(31)은 볼록하며, 즉 바깥쪽으로 휘어지며, 외측은 레그(27)로부터 바라볼 때 이젝션 스프링(9)의 회전축(34)이 위치한 곳의 반대에 배치된 측으로 정의된다.
제2 구역(31)의 볼록한 곡률은 스트라이커(2)의 상대 스트로크 구역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으며, 스트라이커(2)가 제2 구역(31)을 따라 미끄러진다면, 이젝션 스프링(9)에 의해 야기되는 스트라이커(2)의 가속이 감소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의 가속의 감소는 인접 상태가 변하는 동안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스트라이커(2)에 대한 레그(27)의 인접으로부터 로터리 래치(4)에 대한 레그(27)의 인접으로 스트라이커(2)의 이탈 동안, 레그(27)의 인접 상태의 변화를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메인 잠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폴(3)은 바람직하게 전기적 구동에 의해, 잠김 위치로부터 도 1b에 나타난 풀림 위치로 이동한다. 회전 열림 방향(7)으로 풀린 로터리 래치(4)는 스트라이커(2)와 로드 암(5) 사이의 접촉을 통해, 이젝션 스프링(9)에 의해 가속되어, 도 1c에 나타난 위치로 회전한다.
도 1c는 메인 잠김 위치와 도 1e에 나타난 예비 잠김 위치 사이의 위치에 있는 로터리 래치(4)를 나타낸다. 도 1b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위치에 비해, 레그(27)는 회전 열림 방향(7)으로 특정 각도(32)로 회전하고, 스트라이커(2)는 특정 스트로크 구역(33)으로 상방으로 상승해 있다. 스트라이커(2)의 상대 스트로크 구역은 예컨대 도 1c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위치에서, 분자가 스트로크 구역(33)이고 분모가 레그(27)의 커버한 회전각(32)인 몫으로 계산된다. 도 1c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위치에서, 레그(27)는 스트라이커(2)에 인접하게 배치되지만, 로터리 래치(4)나 태핏(21)에는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는다. 나아가 도 1c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위치에서, 절곡 탄젠트(15)는 폴(3)의 붐(boom)에 의해 차단된다. 이러한 차단 후, 폴(3)은 폴 스프링(10)에 의해, 도 1d에 나타난 잠김 위치로 부딪히도록 회전하는데, 붐에 의한 차단은 상승한다.
도 1c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로터리 래치(4)는 회전 열림 방향(7)으로, 스트라이커(2) 및 스트라이커(2)와 로드 암(5) 사이의 접촉을 통해, 이젝션 스프링(9)에 의해 회전한다. 로터리 래치(4)의 예비 잠김 위치의 도달 직전에, 바람직하게는 도달 전 대략 2 내지 5도의 회전각을 가질 때, 레그(27)는 태핏(2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동시에 레그(27)는 스트라이커(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곡선 구역(31)은 레그(27)의 개방단의 방향으로 도면에 나타난 모서리 너머로 바람직하게 연장되어, 로터리 래치(4)가 스트라이커(2)와 태핏(21)상에서 도 1d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위치로부터 더 회전하는 동안, 레그(27)가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러한 구성에서 볼록하게 휘어진다. 따라서 레그(12)와 태핏(21) 사이의 상대 속도는 태핏(21)상의 레그(27)의 충격 동안 실질적으로 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소음은 태핏(21)상의 레그(27)의 충격 동안 감소한다.
도 1e는 예비 잠김 위치에 있는 로터리 래치(4)를 나타내는데, 폴(3)은 회전 열림 방향(7)으로 캐치 암(6) 및 로터리 래치(4)를 차단한다. 예비 잠김 위치에서, 레그(27)는 스트라이커(2)와 태핏(21) 및 로터리 래치(4)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1e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예비 잠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폴(3)은 잠김 위치로부터 풀림 위치로 회전한다. 이는 수동으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폴(3)의 풀림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는 회전 열림 방향(7)으로 풀려, 도 1f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 열림 방향(7)으로 이젝션 스프링(9)에 의한 레그(27)와 태핏(21)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가속된다.
도 2a는 로터리 래치(4)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로터리 래치(4)는 도 1f에 나타난 위치에 비해, 회전 열림 방향(7)으로 회전해 있다. 로터리 래치(4)가 아직 열림 위치에 있지 않은 이러한 로터리 래치(4)의 위치에서, 레그(27)와 스트라이커(2) 사이에서 접촉이 취소되어, 레그(27)가 태핏(2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1c로부터 시작하여 도 1d, 1e, 1f를 통해 도 2a로 움직이는 과정은 스트라이커(2)로부터 로터리 래치(4)로 레그(27)의 인접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데, 레그(27)는 인접 상태의 변화 동안, 레그(27)와 스트라이커(2) 사이에 마찰이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인접 상태의 변화 동안 얻은 로터리 래치(4)의 각 위치에서, 마찰은 캐치 암(6)과 스트라이커(2)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과 함께, 레그(27)와 스트라이커(2)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또는 태핏(21)에 대한 레그(27)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레그(27)와 스트라이커(2)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인접 상태의 변화는 스트라이커(2)의 이탈 동안, 이젝션 스프링(9)의 레그(27)가 로터리 래치(4)보다 더 넓은 회전 영역으로 펼쳐지도록 야기한다. 이는 인접 상태의 변화가 없는 변형예에 비해, 이젝션 스프링(9)이 더 효과적으로 이완하며, 이젝션 스프링(9)이 스트라이커(2)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더 효과적인 작업을 내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이젝션 스프링(9)이 더 작은 크기를 가져, 안전 장치(1)의 설치 공간과 무게가 감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2a 내지 2f는 안전 장치(1)의 닫힘 과정을 나타낸다. 도 2a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열림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스트라이커(2)는 캐치 암(6)을 이용하여 회전 닫힘 방향(8)으로 로터리 래치(4)를 이동시킨다. 열림 위치로부터 예비 잠김 위치의 방향으로 로터리 래치(4)가 이동하는 동안, 헤드 영역(14)의 절곡 탄젠트(15)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3)의 래치 노즈(12)에서 캐치 암(6)에 부딪힌다. 래치 노즈(12)에 절곡 탄젠트(15)가 부딪힌 후, 캐치 암(6)은 잠김 위치로부터 풀림 위치의 방향으로 폴(3)을 밀며, 캐치 암(6)은 래치 노즈(12)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2c는 캐치 암(6)이 래치 노즈(12)를 통과하고, 폴(3)이 폴 스프링(10)에 의해 잠김 위치로 이동한 후, 예비 잠김 위치에 있는 캐치(4)를 나타낸다. 이러한 위치는 예컨대 스트라이커(2)가 부착된 전방 후드가 충분한 힘으로 눌리지 않아, 로터리 래치(4)가 한 번의 눌림으로 메인 잠김 위치를 얻는 경우로 가정할 수 있다. 안전 장치(1)의 닫힘 과정 동안 예비 잠김 위치에 있는 로터리 래치(4)의 걸림은 로터리 래치(4)가 다시 열림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방 후드의 스냅 열림을 방지한다.
만약 도 2e에 나타난 로터리 래치(4)의 예비 잠김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스트라이커(2)가 한 번 더 눌린다면, 절곡 탄젠트(18)는 래치 노즈(12)에서 로드 암(5)의 헤드 영역(17)에 부딪혀, 로드 암(5)이 래치 노즈(12)를 통과할 수 있는 풀림 위치로 폴(3)을 회전시킨다. 로드 암(5)이 래치 노즈(12)를 통과한 후, 폴 스프링(10)은 래치 노즈(12)가 로드 암(5)의 헤드 영역(17)의 절곡 탄젠트(18)를 감싸는 잠김 위치로 폴(3)을 이동시키며, 로터리 래치(4)는 메인 잠김 위치에 있게 된다.
도 3은 예컨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로 배치된 안전 장치(1)에서 제공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2)에 배열된 전방 후드(66)를 나타낸다. 안전 장치(1)는 전방 후드(66)의 전방 영역에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대안적으로 안전 장치(1)는 전방 후드(66)의 후방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Claims (9)

  1. 자동차용 안전 장치(1)로서,
    스트라이커(2), 폴, 스트라이커(2)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젝션 스프링(9) 및 로터리 래치(4)를 가지며,
    로터리 래치(4)는 회전 열림 방향(7), 회전 닫힘 방향(8), 열림 위치 및 메인 잠김 위치를 갖되,
    이젝션 스프링(9)은 레그(27)를 갖고, 레그(27)는 로터리 래치(4)의 메인 잠김 위치에서 스트라이커(2)에 대해 직접적으로 배치되며, 레그(27)는 로터리 래치(4)가 메인 잠김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 있는 로터리 래치(4)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에 대해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4)는 예비 잠김 위치를 가지며,
    레그(27)는 예비 잠김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4)에 직접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레그(27)는 회전 열림 방향(7)으로 로터리 래치(4)가 회전하는 동안, 스트라이커(2)와 로터리 래치(4)상에 교대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레그(27)는 스트라이커(2)로부터 로터리 래치(4)로 레그(27)의 인접 상태가 변하는 동안, 레그(27)와 스트라이커(2) 사이에 마찰이 제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젝션 스프링(9)은 회전축(34)을 가지며,
    회전축(34)에 수직인 제1 평면에서 레그(27)는 회전축(34)으로 휘어진 제1 구역(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1).
  6. 제5항에 있어서,
    회전축(34)에 수직인 제1 평면 또는 제2 평면에서 레그(27)는 적어도 제1 구역(28)에 인접한 제2 구역(31)을 가지며,
    제2 구역(31)은 제1 구역(28)의 반대 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회전축(34)에 수직인 제1 평면, 제2 평면 또는 제3 평면에서 레그(27)는 적어도 제2 구역(28)에 인접한 제3 구역(31)을 가지며,
    제3 구역(31)은 제2 구역(28)의 반대 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이젝션 스프링(9)은 나선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구역(28)은 메인 잠김 위치에서 거의 수평인 정렬을 가지며, 스트라이커(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1).
KR1020187020597A 2015-12-22 2016-11-28 로터리 래치와 이젝션 스프링을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 KR20180097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22583.2 2015-12-22
DE102015122583.2A DE102015122583A1 (de) 2015-12-22 2015-12-22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Drehfalle und einer Auswurffeder
PCT/DE2016/100554 WO2017108022A1 (de) 2015-12-22 2016-11-28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drehfalle und einer auswurff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655A true KR20180097655A (ko) 2018-08-31

Family

ID=5757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597A KR20180097655A (ko) 2015-12-22 2016-11-28 로터리 래치와 이젝션 스프링을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62276B2 (ko)
EP (1) EP3394372B1 (ko)
KR (1) KR20180097655A (ko)
CN (1) CN108603389B (ko)
DE (1) DE102015122583A1 (ko)
WO (1) WO2017108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3232B (zh) * 2016-01-29 2019-10-25 开开特股份公司 机动车锁
EP3613928B1 (en) * 2018-08-17 2021-06-09 Inteva Products, LLC Inside release spring for vehicle door
JP7206877B2 (ja) * 2018-12-14 2023-01-18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ドアロック構造
IT201900024433A1 (it) * 2019-12-18 2021-06-18 Cebi Italy Spa Serratura double pull per veicolo.
JP7319317B2 (ja) * 2021-03-29 2023-08-01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車両用ロック装置
JP7319318B2 (ja) * 2021-03-29 2023-08-01 株式会社城南製作所 車両用ロック装置
DE102022114137A1 (de) 2022-06-03 2023-12-1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ieß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88935A1 (fr) * 1980-08-22 1982-02-26 Renault Serrure de capot ou de coffre d'un vehicule automobile
GB2402961B (en) * 2003-06-14 2006-09-13 Bloxwich Eng Hood latches for vehicles
FR2889230B1 (fr) * 2005-07-28 2008-12-19 Coutier Moulage Gen Ind Serrure a absorption de choc pour un capot de vehicule automobile
FR2897380B1 (fr) * 2006-02-13 2012-05-18 Coutier Moulage Gen Ind Serrure a double retention pour capot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0037937A1 (de) 2010-10-04 2012-04-05 Kirchhoff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0061518B4 (de) * 2010-12-23 2022-03-24 Witte Automotive Gmbh Frontklappenschloss
US9382735B2 (en) 2013-09-18 2016-07-0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EP2902272B1 (en) * 2014-01-30 2016-07-06 Volvo Car Corporation Hood latch assembly
DE102014003737A1 (de) * 2014-03-18 2015-09-24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CN204826948U (zh) * 2015-08-10 2015-12-02 青州市胜通汽车配件有限公司 拖拉机机罩锁
CN105155949A (zh) * 2015-08-31 2015-12-1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前罩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7291A1 (en) 2019-01-17
DE102015122583A1 (de) 2017-06-22
US11162276B2 (en) 2021-11-02
EP3394372A1 (de) 2018-10-31
CN108603389A (zh) 2018-09-28
WO2017108022A1 (de) 2017-06-29
EP3394372B1 (de) 2022-04-20
CN108603389B (zh)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7655A (ko) 로터리 래치와 이젝션 스프링을 갖는 자동차용 안전 장치
JP6234799B2 (ja) 車両用アクティブフードラッチ装置
EP2493713B1 (en) Device for prevention of door opening during roll-over
US7073846B2 (en) Bonnet lift with actuator fitted with a hook latching system
KR101801399B1 (ko) 자동차 문짝용 핸들
JP5601837B2 (ja) 安全装置を備えた車両ハンドル
KR102541353B1 (ko) 로터리 래치 및 보호 위치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 장치
US11214995B2 (en) Safety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rotary latch and a pre-latching position and a main latching position
US10934746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door leaf
JP6036637B2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5663738B2 (ja) 自動車の開閉部のためのノブ
EP2703582B1 (en) Vehicle panel handle for opening a panel of an automotive vehicle
KR101144044B1 (ko) 차량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JP5926106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1080771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EP3121354B1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door handle
JP4560776B2 (ja) ドアの開状態防止構造
JP2017538879A (ja) 自動車ドア用ラッチ
KR20170019540A (ko) 차량용 도어래치의 잠금구조
JP2008189076A (ja) 車両用ドア構造
JP5064199B2 (ja) 自動車のドアロック装置
CN105917061A (zh) 机动车门拉手
KR20150063478A (ko) 셔터 또는 도어용 록
JP6844906B2 (ja) 自動車用閉錠補助具
JP6411278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