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729A - 역지 밸브 구조, 그것을 사용한 노즐 부재 및 스퀴즈 용기 - Google Patents

역지 밸브 구조, 그것을 사용한 노즐 부재 및 스퀴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729A
KR20180085729A KR1020187014637A KR20187014637A KR20180085729A KR 20180085729 A KR20180085729 A KR 20180085729A KR 1020187014637 A KR1020187014637 A KR 1020187014637A KR 20187014637 A KR20187014637 A KR 20187014637A KR 20180085729 A KR20180085729 A KR 20180085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alve seat
valve element
elas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무라세
타다시 오츠카
Original Assignee
다케우치 프레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우치 프레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센주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우치 프레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뿐만아니라, 올바른 방향의 의도치 않은 압력에 대하여 유체가 토출되지 않는 역지 밸브 구조 및 그것을 사용한 스퀴즈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11)와, 그 용기(11)의 개구부(11a)에 부착되는 노즐 부재(12)를 구비한 스퀴즈 용기(10). 노즐 부재(12)에는 무부하 상태에서는 닫혀 있고, 하류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고, 상류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 구조(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지 밸브 구조(15)는 상류(용기(11))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에 대하여 탄성 밸브체(18)가 2단계의 탄성 변형을 하여 열린다.

Description

역지 밸브 구조, 그것을 사용한 노즐 부재 및 스퀴즈 용기
본 발명은 역지 밸브 구조, 그것을 사용한 노즐 부재 및 스퀴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점안약 등의 약액을 수용하고, 그것을 액적으로 적하하는 액적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액적 용기는 위생상 일반적으로 약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가 설치된다.
특허문헌 1, 2, 3에는 밸브 시트와, 지지체와, 그 사이에 지지되는 평판 형상의 밸브체로 이루어지는 역지 밸브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어느 밸브체도 상류(용기 내)로부터 하류(용기 외)로의 방향으로 밸브체의 중심이 돌출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류로부터 하류로의 압력을 받으면, 밸브체의 중심이 보다 돌출하도록 변형되고, 유체는 밸브체를 돌듯이 흐른다. 한편 하류로부터 상류로의 압력을 받으면, 밸브체는 평탄하게 되돌아가도록 변형되어 통로를 닫는다.
특허문헌 4, 5에는 중앙에 절결이 형성된 밸브체를 구비한 역지 밸브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류로부터 하류로의 압력을 받으면 밸브체의 중심의 절결이 열리고, 반대의 압력을 받으면 밸브체의 중심의 절결이 닫힌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밸브체의 원형 복귀에 의해 노즐의 남은 액을 되돌리는 효과가 기술되어 있다.
일본 특표 2011-515290호 공보 일본 특개 2004-225812호 공보 미국 특허 제4556086호 명세서 일본 특개 2004-291968호 공보 일본 특개 2007-119040호 공보
그러나 어느 역지 밸브 구조도 올바른 방향의 압력에 대해서는 밸브체가 간단히 열리는 것이다. 그 때문에 불시에 올바른 방향의 압력이 가해진 경우, 액체는 토출되게 된다. 또 유량의 조정이 개인의 조작에 맡겨지는 용기(예를 들면 스퀴즈 용기)의 경우, 개인차가 커진다.
본 발명은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뿐만아니라, 올바른 방향의 의도치 않은 압력에 대해서는 유체가 토출되지 않는 역지 밸브 구조 및 그것을 사용한 스퀴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역지 밸브 구조는 상류측에 있는 환 형상의 밸브 시트와, 하류측에 있는 환 형상의 지지부와, 그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탄성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밸브체가 환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의 통로가 상기 밸브 시트와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맞닿음으로써 닫혀 있고; 하류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에 대하여 상기 통로의 폐지(閉止) 상태가 유지되고; 상류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에 대하여 상기 탄성 밸브체의 내측부가 하류측을 향하여 변형하고; 상류로부터의 유체의 추가적인 압력에 대하여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탄성 변형하고, 상기 밸브 시트와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 사이의 맞닿음이 일부 해제되어 상기 통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역지 밸브 구조로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을 맞닿아 지지하는 상기 밸브 시트의 환 형상의 상류 지지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의 하류측의 단면을 맞닿아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의 환 형상의 하류 지지부 사이의 협지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로가 상기 밸브 시트의 상류 지지부와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과의 환 형상의 맞닿음에 의해 닫혀 있고; 상기 환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하류측의 단면 또는 상기 지지부의 환 형상의 하류 지지부에는 그들의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하류 지지부에 상기 연통로를 구성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탄성 밸브체의 하류측의 단면에 상기 연통로를 구성하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함몰부 또는 절결 등의 연통로가 복수개 환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밸브 시트의 상류 지지부가 밸브 시트의 상단 개구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측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고, 상기 상류 지지부가 상기 밸브 시트의 내면에 형성된 환 형상의 내측 플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측 가장자리부의 외주단이 협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역지 밸브 구조로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통체이며; 상기 밸브 시트의 상류 지지부가 밸브 시트의 내면으로부터 뻗는 플랜지부와, 그 플랜지부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뻗는 내통부를 가지고; 상기 내통부 및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방이 타방에 삽입되고, 타방의 내면과 일방의 외면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탄성 밸브체가 고정되고, 타방의 내면과 일방의 외면이 환 형상으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통로가 닫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외측 가장자리부에 내통부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내측부의 상류측의 면과 상기 밸브 시트의 내통부(의 하류측의 단부)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또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과 상기 밸브 시트의 플랜지부의 상면(하류측의 면) 사이에 간극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역지 밸브 구조로서, 상기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내측부가 상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노즐 부재는 가요성의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역지 밸브 구조와, 그 역지 밸브 구조의 지지부보다 하류측에 설치된 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즐 부재로서, 통 형상의 노즐 마개와, 그 노즐 마개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체와, 그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상기 탄성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마개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체가 상기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노즐 부재로서, 노즐이 액적 노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제1 태양은 가요성을 가지는 용기와, 본 발명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노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제2 태양은 가요성을 가지고, 노즐을 구비한 용기와, 본 발명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역지 밸브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의 스퀴즈 용기로서, 상기 노즐이 액적 노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역지 밸브 구조는 탄성 밸브체가 환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부를 가지고, 외측 가장자리부는 지지부 및 탄성 밸브체에 의해 구속(지지)되어 있고, 탄성 밸브체가 상류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에 대하여 내측부와 외측 가장자리부와 순서대로 2단계의 변형을 하기 때문에, 불시의 압력이 탄성 밸브체에 가해져도 간단히 열리지 않는다. 또 스퀴즈 용기 등 사용자가 토출량(유량)을 조작하는 용기 등의 것에 사용하는 경우, 그 토출량(유량)의 개인차를 작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류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이 없어졌을 때, 내측부(제1 변형)의 원형 복귀에 의해 지지체의 액체를 되돌릴 수 있다. 특히 토출 용기(스퀴즈 용기)의 경우, 토출 구멍 근방의 액 남김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역지 밸브 구조로서,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밸브 시트의 환 형상의 상류 지지부와, 지지부의 환 형상의 하류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시킴으로써 탄성 밸브체를 고정하고; 밸브 시트의 상류 지지부와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과의 환 형상의 맞닿음에 의해 시일 구조를 형성하고, 지지부의 하류 지지부와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하류측의 단면과의 환 형상의 맞닿음부에 연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시일 구조를 형성하는 압접 방향과,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고정 구조를 형성하는 지지 방향이 유체의 흐름과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역지 밸브 구조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 탄성 밸브체의 시일부와 지지부를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에 겸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구조가 간소하며 또한 조립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하류 지지부에 상기 연통로를 구성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탄성 밸브체의 하류측의 단면에 상기 연통로를 구성하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연통로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또 함몰부 또는 절결을 복수개 환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설치하는 경우, 협지된 탄성 밸브체에 뒤틀림이 생기기 어려워, 확실하게 시일할 수 있다. 또 역지 밸브 구조를 흐르는 유체를 균일하게 흘릴 수 있다.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류 지지부가 상기 밸브 시트의 상단 개구부인 경우, 탄성 밸브체의 협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측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는 경우, 외측 가장자리부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압력과, 내측부가 탄성 변형하는 압력에 큰 차를 둘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내측부의 원형 복귀에 의해 유체를 불러 들이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스퀴즈 용기 등을 압축시킬 때의 여유가 커진다.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고, 상기 상류 지지부가 상기 밸브 시트의 내면에 형성된 환 형상의 내측 플랜지인 경우, 탄성 밸브체는 실질적으로 밸브 시트에 수용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에 있어서의 탄성 밸브체의 취급이 용이하다. 또 밸브 시트의 상부(내측 플랜지보다 상방)의 내면이 탄성 밸브체를 반경 방향으로 지지한다.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외측 가장자리부의 외주단이 협지되어 있는 경우, 조립 공정에 있어서 탄성 밸브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또 탄성 밸브체의 외주단이 변형함으로써, 탄성 밸브체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역지 밸브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지 밸브 구조로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 및 상류 지지부의 내통부의 일방의 외면과 타방의 내면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 탄성 밸브체를 고정 구조 및 시일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전체의 구조가 간소하며 또한 조립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탄성 밸브체가 지지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되고, 외측 가장자리부에 내통부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내측부의 상류측의 면과 상기 밸브 시트의 내통부(의 하류측의 단부)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또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과 상기 밸브 시트의 플랜지부의 상면(하류측의 면) 사이에 간극을 가지는 경우, 유체를 각각의 간극을 통과시킴으로써 원활하게 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역지 밸브 구조로서, 상기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경우, 내측부의 탄성도를 높일 수 있고, 내측부의 원형 복귀로 불러 들이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내측부가 탄성 변형하는 압력과, 외측 가장자리부가 탄성 변형을 시작하는 압력에 큰 차를 둘 수 있고, 스퀴즈 용기 등을 압축할 때, 그 여유가 커진다. 또한 내측부가 상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경우, 원형 복귀로 불러 들이는 양을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즐 부재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역지 밸브 구조와, 그 지지부의 하류에 설치된 노즐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가요성의 용기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내용물의 토출량(유량)이 안정적인 토출 용기, 특히 스퀴즈 용기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노즐 부재로서, 통 형상의 노즐 마개와, 그 노즐 마개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체와, 그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상기 탄성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마개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체가 상기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조립하기 쉽다. 특히 노즐이 액적 노즐인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제1 태양은 가요성을 가지는 용기 및 본 발명의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제2 태양은 가요성을 가지는 노즐을 구비한 용기 및 그 용기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역지 밸브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이 역류하지 않아 위생적이다. 또 용기를 스퀴즈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그 토출량에 개인차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사용 후 노즐 근방의 액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로서, 상기 노즐이 액적 노즐인 경우, 액적 노즐로의 공급량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이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의 도 2a는 도 1의 스퀴즈 용기의 노즐 부재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2b, 2c는 각각 노즐 부재의 노즐 마개의 측면 단면도, 상저부(上底部)의 하면도이며, 도 2d는 노즐 부재의 밸브 시트체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2e는 노즐 부재의 탄성 밸브체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의 도 3a, 3b는 각각 노즐 부재의 탄성 밸브체의 제1 변형의 상태 및 제2 변형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의 도 4a는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노즐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4b는 노즐 마개의 상저부의 하면도이다.
도 5의 도 5a는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노즐 부재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5b는 노즐 마개의 상저부의 하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노즐 부재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5d는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노즐 부재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5e는 노즐 마개의 상저부의 하면도이다.
도 6의 도 6a는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노즐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6b는 노즐 마개의 상저부의 하면도이며, 도 6c는 그 노즐 부재의 탄성 밸브체의 제2 변형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6d, 도 6e는 각각 본 발명의 노즐 부재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의 도 7a는 본 발명의 스퀴즈 용기의 노즐 부재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7b는 노즐 마개의 하면도이다.
도 1의 스퀴즈 용기(10)는 가요성을 가지는 용기(11)와, 그 용기(11)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노즐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 부재(12)에는 무부하 상태에서는 닫혀 있고, 외기로부터의 물질의 흐름을 저지하고, 용기(11)(상류)로부터의 내용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 구조(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지 밸브 구조(15)는 용기(11)로부터의 내용물의 압력에 대하여 탄성 밸브체(18)가 2단계의 탄성 변형을 하여 열린다.
용기(11)는 예를 들면 동체부를 눌러 찌부러뜨리거나 하여 내부를 수축시킴으로써 내부의 액체를 토출하는 스퀴즈 용기용의 용기이다. 그리고 개구부에 캡(도시하지 않음)을 나사결합하여 닫는 것이다. 개구부에는 노즐 부재(12)와 연결하는 노즐 연결부(11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용기(11)로서는 내부를 수축 변형시켰을 때,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자 탄성 변형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용기(11)는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 특히 탄성 변형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부터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것 이외에 내측의 용기가 내용물의 토출에 의해 찌부러지는 이중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노즐 부재(12)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1)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통 형상의 노즐 마개(16)와, 그 노즐 마개(16)의 내부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체(17)와, 그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탄성 밸브체(18)로 이루어진다.
노즐 마개(16)는 용기(11)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그 개구부를 닫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의 노즐 기부(21)와, 그 상단을 닫는 상저부(22)와, 그 상저부(22)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뻗는 통 형상의 노즐(23)을 구비하고 있다. 노즐 마개(16)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부터 성형된다.
노즐 기부(21)는 밸브 시트체(17) 및 탄성 밸브체(18)를 수용하는 통체이다. 노즐 기부(21)의 통 형상의 하단(21a)은 용기(11)의 노즐 연결부(11a)와 연결하는 노즐 피연결부로 되어 있다. 이 노즐 연결부(11a)와 노즐 피연결부의 연결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노즐 피연결부의 위치도 노즐 기부(21)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하단(21a)은 밸브 시트체(17)와 연결하는 밸브 시트 연결부를 겸하고 있다. 그러나 밸브 시트 연결부의 위치도 노즐 기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상저부(22)는 노즐(23)에 연통하는 중심 구멍(22c)을 가지는 원판 형상의 것이다. 그 하면에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밸브체(18)를 하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환 형상의 하류 지지부(24)가 설치되어 있다. 하류 지지부(24)는 상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4a)와, 그 돌출부(24a)보다 하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4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함몰부(24b)가 하류 지지부(24)의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로를 구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돌출부(24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2c의 상상선은 후술하는 탄성 밸브체(18)의 외측 가장자리부(18a)를 나타낸다. 또한 이 하류 지지부(24)가 내외로 연통하는 연통로를 가지고 있으면, 돌출부(24a)와 함몰부(24b)의 구성 또는 돌출부(24a) 및/또는 함몰부(24b)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함몰부(24b)를 복수 환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탄성 밸브체(18)에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하는 것에 따라 시일성이 저하되기 어렵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즐 마개(16)와 밸브 시트체(17)를 연통하는 연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용물을 균일하게 흘릴 수 있다.
노즐(23)은 내용물의 토출구가 되는 통체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액적 노즐로 하고 있다.
밸브 시트체(17)는 노즐 마개(16)와 동축으로 하여 노즐 마개(16) 내에 삽입된다. 밸브 시트체(17)의 개구 상단은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밸브체(18)를 시일 작용으로써 지지하는 환 형상의 지지 돌기(상류 지지부)(17a)로 되어 있다. 지지 돌기(17a)는 단면 대략 삼각형이며 상단이 뾰족하게 되어 있다. 한편 밸브 시트체(17)의 하부는 노즐 기부(21)의 하단(21a)과 연결하는 밸브 시트 피연결부(17b)로 되어 있다. 이 하단(밸브 시트 연결부)(21a)과 밸브 시트 피연결부(17b)의 연결 구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밸브체(18)는 도 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외측 가장자리부(18a)와, 그 외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두께가 얇은 내측부(18b)로 이루어진다. 즉 내측부(18b) 쪽이 외측 가장자리부(18a)보다 상하 방향으로 외력을 받았을 때 탄력성이 커서 크게 변형한다. 탄성 밸브체(18)도 노즐 마개(16) 및 밸브 시트체(17)와 동축에 설치되어 있다. 탄성 밸브체(18)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합성 고무 등으로부터 성형된다.
외측 가장자리부(18a)는 노즐 마개(16)의 상저부(22)의 하류 지지부(24)와, 밸브 시트체(17)의 지지 돌기(상류 지지부)(17a) 사이에 협지된다. 즉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하류측의 단면(18a1)은 노즐 마개(16)의 하류 지지부(24)(실질적으로는 돌출부(24a))와 부분적으로 맞닿고,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상류측의 단면(18a2)은 밸브 시트체(17)의 지지 돌기(17a)의 전체 둘레와 맞닿는다. 외측 가장자리부(18a)는 원환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환 형상이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내측부(18b)는 상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된 탄성판이다. 탄성 밸브체(18)는 외측 가장자리부(18a)와 내측부(18b) 사이의 단차부(18c)가 하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내측부(18b)는 원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외측 가장자리부에 따라 형상은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외측 가장자리부(18a)는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 노즐 마개(16)와 밸브 시트체(17) 사이를 확실하게 시일 가능하면,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부(18b)보다 두께가 두꺼워도 된다. 예를 들면 외측 가장자리부(18a)는 균일한 두께가 아니어도 되고, 또 외측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서 내측 부분보다 두꺼운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면 내측부(18b)보다 얇은 부분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상류 지지부와 하류 지지부 사이에서 협지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가 두꺼운 영역이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노즐 부재(12)의 역지 밸브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역지 밸브 구조(15)는 상류측에 있는 밸브 시트체(17)의 지지 돌기(17a)(밸브 시트)와, 하류측에 있는 노즐 마개(16)의 상저부(22)의 하류 지지부(24)(지지부)와, 그들 사이에 협압 고정된 탄성 밸브체(1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 밸브체(18)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18a2)이 밸브 시트(지지 돌기(17a))에 대하여 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맞닿아 있고, 지지 돌기(17a)와 하류 지지부(24) 사이의 통로는 탄성 밸브체(18)에 의해 닫혀 있다(폐지 상태).
역지 밸브 구조(15)의 탄성 밸브체(18)가 탄성 밸브체(18)보다 하류측(도 1의 탄성 밸브체(18)보다 상측)으로부터 압력을 받았을 때, 탄성 밸브체(18)의 내측부(18b)가 그 압력을 받는다. 그러나 그 압력은 시일을 형성하는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상류측의 단면과 밸브 시트체(17)의 지지 돌기(17a)의 맞닿음에는 영향이 없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폐지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역지 밸브 구조(15)의 탄성 밸브체(18)가 탄성 밸브체(18)보다 상류측으로부터 압력을 받았을 때, 즉 용기(11)로부터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밸브체(18)의 내측부(18b)가 내용물의 압력 F1을 받아, 상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내측부(18b)가 하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변형한다(제1 변형). 또 내측부(18b)가 하류측으로 변형했을 때, 노즐 마개(16)의 중심 구멍(22c)을 막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탄성 밸브체(18)의 외측 가장자리부(18a)는 아직 탄성 변형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폐지 상태가 유지된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로부터 압력 F1보다 큰 압력 F2를 받으면, 외측 가장자리부(18a)가 노즐 마개(16)의 하류 지지부(24)의 요철에 따라 물결치듯이 탄성 변형한다(제2 변형). 이것에 의해 탄성 밸브체(18)의 상류측의 단면(18a2)과 밸브 시트체(17)의 지지 돌기(17a) 사이의 시일이 해제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탄성 밸브체(18)의 외주 가장자리를 돌아, 탄성 밸브체(18)의 하류측의 단면(18a1)과 노즐 마개(16)의 외주 가장자리의 함몰부(24b)(연통로) 사이를 통하여, 노즐(23)에 도달한다(도 3b의 화살표 참조).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밸브체(18)의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두께를 내측부(18b)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도 외측 가장자리부(18a)는 노즐 마개(16)와 밸브 시트체(17) 사이에서 협지되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부(18b)보다 변형을 일으키기 어렵다. 그 결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2단계의 변형을 일으킨다. 그러나 외측 가장자리부(18a)와 내측부(18b)에 탄성도의 차를 둔 쪽이 탄성 밸브체(18)의 장착 상태에 상관없이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아서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내측부(18b)의 제1 변형은 용기로부터의 압력 F1이 해제되었을 때,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탄성 변형이다. 그러나 압력 F1이 해제되었을 때 복귀하지 않는 변형이어도 된다. 그 경우, 탄성의 용기(11)를 사용한다. 즉 압축 변형시킨 용기(11)가 탄성 복귀함으로써 용기(11) 내가 감압 상태가 되므로, 그 흡인력에 의해 하류측으로 변형한 내측부(18b)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시킨다. 이것에 의해 마찬가지의 액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 부재(12)의 역지 밸브 구조(15)는 압력에 따라 탄성 밸브체(18)가 2단계의 변형을 행하기 때문에, 작은 압력에 대해서는 내측부(18b)가 변형(또는 탄성 변형)하여 흡수하여(제1 변형), 불필요하게 밸브가 열리는 일이 없다. 특히 소량 토출의 스퀴즈 용기에 사용하는 경우, 토출량의 개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스퀴즈 용기(10)를 떨어뜨리는 등, 용기에 불시의 외력이 가해져도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토출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사용 후 외측 가장자리부(18a)와 지지 돌기(17a)의 시일 작용이 되돌아가기 때문에, 외기로부터의 물질의 흡입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사용 후 내측부(18b)가 탄성 변형하고 있는 경우, 그 탄성력에 의해 내측부(18b)가 상류측으로 돌출한다. 또는 내측부(18b)가 비탄성 변형하고 있는 경우, 용기(11)의 압축된 동체부의 탄성력에 의해 하류측으로 돌출된 내측부(18b)가 상류측으로 돌출한다. 이와 같은 내측부(18b)의 원형 복귀에 의해 노즐(23)의 액체가 내부로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노즐(23)의 개구부 근방의 액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내측부(18b)를 상류측으로 만곡시키고 있기 때문에, 많은 액체를 끌어당길 수 있어, 액 남김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18b)를 만곡시키지 않고 평탄하게 해도, 원형 복귀에 의한 노즐(23)의 개구부 근방의 남은 액을 끌어당길 수 있다.
도 4의 스퀴즈 용기(30)는 도 1의 스퀴즈 용기(10)에 비해 탄성 밸브체보다 하류측의 공간(액 고임 공간)을 작게 한 것이다. 스퀴즈 용기(30)는 도 1의 스퀴즈 용기(10)와 마찬가지의 용기(11)와, 그 개구부에 부착되는 노즐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 부재(31)는 용기(11)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통 형상의 노즐 마개(32)와, 그 내부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체(33)와, 그들 사이에서 지지되는 탄성 밸브체(34)로 이루어진다. 이 노즐 부재(31)에도 역지 밸브 구조(15)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마개(32)는 탄성 밸브체(34)를 하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상저부(22)의 하면의 구조가 상이한 점 이외에는 도 1의 스퀴즈 용기의 노즐 마개(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상저부(22)의 하면에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부(36)와, 그 돌출부(36)를 둘러싸도록 돌출부(36)보다 낮게 설치된 복수의 팽출부(37)와, 인접하는 팽출부(37)의 사이에 설치되어,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으로 뻗는 함몰부(38)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36)는 하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뻗는 부채형의 돌기이며, 돌출면이 평평한 외측 볼록부(36a)와,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높이가 감소하도록 돌출면이 만곡면이 된 내측 볼록부(36b)로 이루어진다.
팽출부(37)는 돌출부(36)를 둘러싸는 부채형의 돌기이다.
그리고 도 4b의 상상선은 탄성 밸브체(18)를 지지하고, 하류측의 단면(18a1)과 맞닿는 환 형상의 하류 지지부(35)가 된다. 이 하류 지지부(35)는 외측 볼록부(36a), 팽출부(37), 함몰부(38)를 포함하고, 탄성 밸브체(34)에 대하여 요철을 가지고 있다.
하류 지지부(35)는 상저부(22)의 하면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심 구멍(22c)까지의 연통로를 확보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중심 구멍(22c)을 향하여 뻗는 연통로(함몰부(38))를 복수 등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탄성 밸브체(34)의 뒤틀림이 방지되어 시일성이 저하되기 어렵고, 내용물을 원활하게 흘릴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돌출부(36)(외측 볼록부(36a))는 외측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기 때문에, 탄성 밸브체(34)의 외주단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조립시에 탄성 밸브체(34)가 어긋나기 어려워,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탄성 밸브체(34)의 외주단이 변형함으로써 탄성 밸브체(34)가 어긋나거나, 역지 밸브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팽출부(37)나 내측 볼록부(36b)를 설치함으로써 노즐 마개(32) 내의 내부 공간(탄성 밸브체(34)보다 하류측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즉 액 고임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밸브 시트체(33)는 평탄한 상단면(상류 지지부)(33a)으로 탄성 밸브체(34)의 외주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밸브 시트체(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단면(33a)으로 탄성 밸브체(34)의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전체를 지지할 수 있고, 탄성 밸브체(34)의 외주단의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탄성 밸브체(34)의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상류측의 단면(18a2)과 면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탄성 밸브체(34)의 제2 변형이 일어났을 때, 확실하게 열게 할 수 있다.
탄성 밸브체(34)는 내측부(18b)가 평탄한 두께가 얇은 판인 점, 외측 가장자리부(18a)와 내측부(18b) 사이의 단차부(18c)가 상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탄성 밸브체(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 평판으로 함으로써, 탄성 밸브체(34)의 원형 복귀에 의한 액의 되돌림량은 감소하지만, 액 고임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용기(11)가 탄성을 가지는 경우, 내용물을 토출한 후, 용기는 약간이기는 하지만 탄성 복원하는 한편, 외기로부터의 물질의 흡입은 역지 밸브 구조에 의해 저지되므로 용기(11) 내는 감압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평판 형상의 내측부(18b)가 상류측으로 변위하는 힘을 받는다. 이 변위력에 의해 내측부(18b)가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 도 1의 탄성 밸브체(18)와 같이 상류측으로 만곡 변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액의 되돌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내용물을 충전할 때, 용기 내를 감압 상태로 하여 충전해도 된다. 이 경우도 탄성 밸브체(34)의 내측부(18b)를 도 2의 탄성 밸브체(18)의 내측부(18b)와 같이 상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액의 되돌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노즐 부재(31)도 도 1의 노즐 부재(12)와 마찬가지의 역지 밸브 구조를 가지고,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탄성 밸브체(34)가 2단계의 변형을 하여 열린다. 상세하게는 역지 밸브 구조(15)는 상류측에 있는 밸브 시트체(33)의 상단면(33a)(밸브 시트)과, 하류측에 있는 노즐 마개(32)의 상저부(22)의 하류 지지부(35)(지지부)와, 그들 사이에 협압 고정된 탄성 밸브체(3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 밸브체(34)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18a2)이 상단면(33a)과 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맞닿아 있고, 상단면(33a)과 하류 지지부(35) 사이의 통로는 탄성 밸브체(34)에 의해 닫혀 있다(폐지 상태).
그 때문에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폐지 상태가 유지되면서 먼저 내측부(18b)가 하류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제1 변형).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의 압력이 강해지면, 외측 가장자리부(18a)가 노즐 마개(32)의 하류 지지부(35)의 요철에 따라 탄성 변형(제2 변형)하여, 상단면(33a)(상류 지지부)과 탄성 밸브체(34)의 시일이 해제된다. 밸브 시트체(33)는 상류 지지부를 돌기가 아니라 맞닿음면(상단면(33a))으로 하고 있다. 도 1의 노즐 부재(12)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하게 밸브가 열리는 일이 없고, 특히 스퀴즈 용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사용 후 내측부(18b)의 원형 복귀에 의한 노즐(23)의 개구부 근방의 액 남김도 방지할 수 있다.
도 5의 스퀴즈 용기(40)는 도 1, 도 4의 스퀴즈 용기(10, 30)에 비해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높인 것이다. 스퀴즈 용기(40)는 도 1의 스퀴즈 용기(10)와 마찬가지의 용기(11)와, 그 개구부에 부착되는 노즐 부재(41)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 부재(41)는 용기(11)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통 형상의 노즐 마개(42)와, 그 내부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체(43)와, 밸브 시트체(43) 내에 삽입되고, 또한 노즐 마개(42)와 밸브 시트체(43) 사이에서 지지되는 탄성 밸브체(44)로 이루어진다.
노즐 마개(42)는 도 5a,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저부(22)의 외단부에 밸브 시트체(43)의 상단이 삽입되는 환 형상의 외측 홈(42a)이 형성되어 있는 점, 노즐(23)의 선단의 내면(42b)이 막자사발 형상 또는 나팔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점 이외에는 도 4의 스퀴즈 용기(30)의 노즐 마개(3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저부(22)의 하면에 돌출부(36), 팽출부(37) 및 함몰부(38)로 이루어지는 하류 지지부(35)(탄성 밸브체(44)의 하류측의 단면(18a1)과 맞닿는 부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노즐 기부(21)의 하단(21a)의 노즐 피연결부는 도 1의 노즐 피연결부와 형상을 상이하게 하고 있는데, 용기(11)와 노즐 부재(12)를 연결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밸브 시트체(43)는 상부 내면에 탄성 밸브체(44)를 지지하는 내측 플랜지(43a)가 형성되어 있는 점, 상단이 노즐 마개(42)의 환 형상의 외측 홈(42a)에 삽입되는 점 이외에는 도 2의 스퀴즈 용기의 밸브 시트체(1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상부 내면에 탄성 밸브체(44)를 지지하는 내측 플랜지(4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밸브체(44)는 노즐 마개(42)와 밸브 시트체(43)의 연결 상태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즉 조립 전(연결 전)에 있어서 밸브 시트체(43)의 상부에서 탄성 밸브체(44)를 평면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조립(연결) 공정이 용이하다. 또 탄성 밸브체(44)의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외단부를 정확하게 협지할 수 있다.
탄성 밸브체(44)는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높이(두께)가 도 1의 스퀴즈 용기(10) 또는 도 4의 스퀴즈 용기(30)보다 높게(두껍게) 되어 있다. 이 높이는 밸브 시트체(43)의 내측 플랜지(43a)의 위치(노즐 기부(21)의 상단으로부터의 깊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높이를 일정 이상 높게 함으로써,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높이를 크게 하는 경우,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탄성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외측 가장자리부(18a)가 하류측으로 압축 변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5c의 스퀴즈 용기(40a)와 같이 탄성 밸브체(44)의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높이를 한층 더 크게 함으로써,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 한층 더 시일성이 높아진다.
이 노즐 부재(41)도 도 3의 노즐 부재(31)와 마찬가지의 역지 밸브 구조를 가지고,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탄성 밸브체(44)가 2단계의 변형을 행하여 열린다. 이 역지 밸브 구조(15)는 상류측에 있는 밸브 시트체(43)의 내측 플랜지(43a)(밸브 시트)와, 하류측에 있는 노즐 마개(42)의 상저부(22)의 하류 지지부(35)(지지부)와, 그들 사이에 협압 고정된 탄성 밸브체(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 밸브체(44)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18a2)이 내측 플랜지(43a)와 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맞닿아 있고, 내측 플랜지(43a)와 하류 지지부(35) 사이의 통로는 탄성 밸브체(44)에 의해 닫혀 있다(폐지 상태).
즉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폐지 상태가 유지되면서 먼저 내측부(18b)가 하류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제1 변형).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의 압력이 강해지면,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하류측의 단면(18a1)이 노즐 마개(42)의 외주 가장자리의 요철에 따라 물결치듯이 탄성 변형하거나, 또는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하단 부위가 압축 변형(예를 들면 도 5c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의 단면(18a2)이 상승한다)(제2 변형)한다. 어느 탄성 변형을 채용할지는 외측 가장자리부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제2 변형에 의해 탄성 밸브체(44)에 의한 시일이 해제된다. 그 때문에 도 1의 노즐 부재(12)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하게 밸브가 열리는 일이 없고, 특히 스퀴즈 용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마찬가지로 사용 후 역지 밸브 구조의 작용에 의해 외기로부터의 물질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내측부(18b)의 원형 복귀에 의한 노즐(23)의 개구부 근방의 액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5a, 도 5c의 어느 경우도 탄성 밸브체(44)의 내측부(18b)를 도 2의 탄성 밸브체(18)의 내측부(18b)와 같이 상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시켜도 된다. 그것에 의해 액의 되돌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d의 스퀴즈 용기(50)는 탄성 밸브체(54)의 하류측으로 내용물이 통과하하는 절결(54a)이 형성되어 있다. 스퀴즈 용기(50)는 도 1의 스퀴즈 용기(10)와 마찬가지의 용기(11)와, 노즐 부재(51)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 부재(51)는 용기(11)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통 형상의 노즐 마개(52)와, 그 내부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체(53)와, 밸브 시트체(53) 내에 수용되어, 노즐 마개(52)와 밸브 시트체(53)의 사이에서 지지되는 탄성 밸브체(54)로 이루어진다.
노즐 마개(52)는 도 5d,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저부(22)의 하면 전체가 환 형상의 외측 홈(52a)을 남기고 외측 가장자리부 근방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외측 볼록부(36a)와,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높이가 감소하는 내측 볼록부(36b)로 이루어지는 돌출부(36)로 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도 1의 노즐 마개(1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하류 지지부(35)는 외측 볼록부(36a)와 내측 볼록부(36b)를 포함하고 있다.
밸브 시트체(53)는 도 5a의 스퀴즈 용기(40)의 밸브 시트체(4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탄성 밸브체(54)에는 외측 가장자리부(18a)와 내측부(18b)의 상면에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뻗는 절결(5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54a)은 노즐 마개(52)의 상저부(22)의 하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외측 가장자리와 중심 구멍(22c) 사이를 잇는 연통로가 된다. 다른 구성은 도 5a의 스퀴즈 용기(40)의 탄성 밸브체(4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이 노즐 부재(51)도 도 5a의 스퀴즈 용기(40)와 마찬가지로 역지 밸브 구조(15)를 구비하고 있고,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탄성 밸브체(54)가 2단계의 변형을 행하여 열린다. 그 때문에 불필요하게 밸브가 열리는 일이 없다. 또 사용 후 내측부(18b)의 원형 복귀에 의해 노즐(23)의 개구부 근방의 액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의 스퀴즈 용기(60)는 탄성 밸브체가 밸브 시트체와 걸어맞춰짐으로써 고정된 노즐 부재(61)를 구비한 것이다. 스퀴즈 용기(60)는 도 1의 스퀴즈 용기(10)와 마찬가지의 용기(11)와, 그 개구부에 부착되는 노즐 부재(61)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 부재(61)는 용기(11)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통 형상의 노즐 마개(62)와, 그 내부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체(63)와, 밸브 시트체(63)와 걸어맞춰지는 탄성 밸브체(64)로 이루어진다.
노즐 마개(62)는 도 5a의 스퀴즈 용기(40)의 노즐 마개(4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며, 상저부(22)의 하면에 외측 가장자리와 중심 구멍을 연통하는 통로(함몰부(38))가 형성된 것이다(도 6b 참조).
밸브 시트체(63)는 내측 플랜지(43a)의 내단으로부터 하류 방향을 향하여 뻗는 내통부(63a)가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도 5a의 스퀴즈 용기(40)의 밸브 시트체(4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내통부(63a)의 외면은 상류 방향을 향하여 퍼지도록 약간 사면으로 해도 된다.
탄성 밸브체(64)는 통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부(64a)와, 그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단을 닫는 두께가 얇은 내측부(64b)로 이루어진다. 외측 가장자리부(64a)의 높이는 밸브 시트체(63)가 노즐 마개(62)에 부착되었을 때의 내측 플랜지(43a)와 하류 지지부(35)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되어 있다. 즉 노즐 부재(61)를 조립한 상태에서 탄성 밸브체(64)는 외측 가장자리부(64a)와 내통부(63a)의 끼워맞춤에 의해 걸려 있다. 그리고 밸브 시트체(63)의 내통부(63a)의 상단(하류측의 단부)과 탄성 밸브체(64)의 내측부(64b)의 하면(상류측의 면) 사이에 환 형상의 간극(S1)이 있고, 또 밸브 시트체(63)의 내측 플랜지(43a)의 상면(하류측의 면)과 탄성 밸브체(64)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18a2) 사이에 환 형상의 간극(S2)이 있다. 그러나 간극(S1, S2)은 환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일정한 간격(높이)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플랜지(43a)의 상면의 일부에 융기부(63b)를 설치하고, 일부의 간극(S2)을 작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간극(S2)을 작게 함으로써, 탄성 밸브체(64)보다 하류측의 공간, 즉 액 고임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부(63a)의 상단으로부터 돌부(63c)를 연장 설치하고, 탄성 밸브체(64)의 내측부(64b)의 일부와 맞닿게 해도 된다. 즉 간극(S1)은 평면에서 보아 부채 형상이 된다. 이것에 의해 탄성 밸브체(64)를 돌부(63c)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극(S1, S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간극(S1, S2)을 환 형상으로 하거나, 상기 융기부(63b) 및 돌부(63c)를 복수를 등간격으로 환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통로를 반경 방향 균등하게 설치할 수 있어,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흘릴 수 있다.
이 노즐 부재(61)도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탄성 밸브체(64)가 2단계의 변형을 행하여 열린다. 이 역지 밸브 구조(15)는 상류측에 있는 밸브 시트체(63)의 내측 플랜지(43a) 및 내통부(63a)(밸브 시트)와, 하류측에 있는 노즐 마개(62)의 상저부(22)의 하류 지지부(35)(지지부)와, 그들 사이에 고정된 탄성 밸브체(6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 밸브체(64)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내면이 내통부(63a)의 외면과 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맞닿아 있고, 내측 플랜지(43a)와 하류 지지부(35) 사이의 통로는 탄성 밸브체(64)에 의해 닫혀 있다(폐지 상태).
즉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폐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먼저 내측부(64b)가 하류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제1 변형). 이어서 용기로부터의 내용물의 압력이 강해지면, 탄성 밸브체(64)의 내측부(64b)가 크게 탄성 변형하고, 그것에 따라 외측 가장자리부(64a)가 기울거나, 또는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부가 반경 방향으로 눌려퍼진다(제2 변형)(도 6c 참조). 이것에 의해 탄성 밸브체(64)의 외측 가장자리부(64a)의 내면과 밸브 시트체(63)의 내통부(63a)의 걸어맞추는 힘(끼워맞추는 힘)이 약해지고, 탄성 밸브체(64)에 의한 시일이 해제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내통부(63a)의 상부의 간극(S1), 탄성 밸브체(64)의 외측 가장자리부(64a)의 내면과 밸브 시트체(63)의 내통부(63a)의 사이, 외측 가장자리부의 하방의 간극(S2), 통로(함몰부(38))를 통하여 노즐(23)에 공급된다(도 6c의 화살표 참조). 또한 이 노즐 부재(61)도 다른 노즐 부재와 마찬가지로 사용 후 역지 밸브 구조의 작용에 의해 외기로부터의 물질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내측부(64b)의 원형 복귀에 의해 노즐(23)의 개구부 근방의 액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6a, 도 6d, 도 6e의 어느 경우도 탄성 밸브체(64)의 내측부(64b)를 도 2의 탄성 밸브체(18)의 내측부(18b)와 같이 상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액의 되돌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a의 스퀴즈 용기(70)는 도 1의 스퀴즈 용기(10)와 대략 마찬가지의 용기(11A)와, 그 개구부에 부착되는 노즐 부재(71)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 부재(71)는 용기(11A)의 개구부에 고정되는 통 형상의 노즐 마개(72)와, 그 내부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체(73)와, 밸브 시트체(73) 내에 수용되어, 노즐 마개(72)와 밸브 시트체(73) 사이에서 지지되는 탄성 밸브체(74)로 이루어진다.
노즐 마개(72)는 도 1~도 6의 노즐 마개(16, 32, 42, 52, 62)와는 상이하며, 용기(11A)의 개구부에 외측에서 끼우기 위해 노즐 기부(21)의 하방이 직경 확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면에서 보면 계단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하측 단차부(72a)의 내주면에는 걸어맞춤 홈(72b)이 설치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 홈(72b)과, 용기(11A)의 개구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걸어맞춤편(11b)을 걸어맞춤으로써, 노즐 마개(72)가 용기(11A)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하측 단차부(72a)의 내주면으로서 걸어맞춤 홈(72b)의 상방에는 종형 리브(72c)가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 종형 리브(72c)는 후술하는 밸브 시트체(73)의 외측 플랜지(73f)의 선단 돌기(73h)와 맞물리고, 노즐 마개(72)와 밸브 시트체(73)의 상대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대 회전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맞물림 이외에 접착이나 용착 등을 채용해도 된다.
상측 단차부(72d)의 내면에는 볼록부(72e)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볼록부(72e)는 후술하는 밸브 시트체(73)의 오목부(73e)와 끼워맞춰져, 노즐 마개(72)와 밸브 시트체(73)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저부(22)의 하면에는 중심 구멍(22c)을 둘러싸도록 하여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된 돌출부(72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 마개(72)에는 도 4b나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팽출부(37)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돌출부(72f)의 주위가 함몰부(연통로)(72g)가 된다. 또한 도 7b의 상상선은 탄성 밸브체(74)를 지지하고, 하류측의 단면(18a1)과 맞닿는 환 형상의 하류 지지부(35)를 나타내고 있다.
또 노즐 마개(72)의 함몰부(72g)에는 중심 구멍(22c)(노즐(23))을 향하는 내용물이 탄성 밸브체(74)에 의해 현저하게 가로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심 구멍(22c)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뻗는 적어도 1개의 가는 홈(72h)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심 구멍(22c)으로부터 돌출부(72f)와 돌출부(72f) 사이를 향하여 직경 외방향(방사 형상)으로 3개의 가는 홈(72h)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는 홈(72h)은 직경 외방향의 단부가 탄성 밸브체(74)의 외측 가장자리부(18a)보다 외측까지 이르고 있다. 그리고 연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중심 구멍(22c)에 근접함에 따라 깊이가 증가하고 있다. 단, 깊이는 일정해도 된다.
밸브 시트체(73)는 도 5에 나타내는 밸브 시트체(43)와 마찬가지로 그 내주면에 내측 플랜지(7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측 플랜지(73a)의 상면이 탄성 밸브체(74)의 상류측의 단면(18a2)과 맞닿는 상류 지지부로 되어 있다.
내측 플랜지(73a)의 내주단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 지지부의 면적을 넓히도록 하여 내주측을 향하여 뻗는 돌기부(73b)가 설치되어 있다. 단, 돌기부(73b)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내측 플랜지(73a)보다 위의 상측 통부(73c)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1개의 종형 홈(73d)이 설치되어 있다. 이 종형 홈(73d)은 탄성 밸브체(74)의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외주면 전체가 상측 통부(73c)의 내주면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중심 구멍(22c)을 향하는 내용물이 탄성 밸브체(74)에 의해 가로막히는 것을 막기 위한 것, 즉 내용물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종형 홈(73d)은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측 통부(73c)의 외주면에는 오목부(73e)가 설치되어 있고, 노즐 마개(72)의 상측 단차부(72d)의 내주면에 설치된 볼록부(72e)와 걸어맞춰져 있다.
상측 통부(73c)의 하방에는 직경 외방향으로 튀어나온 외측 플랜지(73f)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측 플랜지(73f)의 외주단에는 선단 돌기(73h)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노즐 마개(72)의 종형 리브(72c)와 맞물려 있다. 또 외측 플랜지(73f)의 하면은 용기(11A)의 개구부의 선단면(상단면)에 맞닿아 있다. 그 때문에 밸브 시트체(73)가 상류측(용기(11A) 내측)으로 어긋나 움직이는 일이 없고, 노즐 마개(72)의 하류 지지부(35)와의 사이에서 탄성 밸브체(74)를 안정적인 힘으로 지지(협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체(73)의 하류측으로의 이동은 노즐 마개(72)의 하측 단차부(72a)와 상측 단차부(72d) 사이의 수평 부분(직경 확대 단차부)(72i)이나 상저부(22)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외측 플랜지(73f)보다 아래의 하측 통부(73g)의 외주면은 용기(11A)의 개구부의 내주면과 밀접하고 있어, 이 부분으로부터의 내용물의 누설을 막고 있다.
탄성 밸브체(74)는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5a나 도 5c의 탄성 밸브체(44)와 마찬가지로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높이(두께)가 높게(두껍게) 되어 있다. 원통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상부에 막을 치도록 하여 설치된 두께가 얇은 내측부(18b)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내측부(18b)와 마찬가지로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 상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 노즐 부재(71)도 도 5a의 스퀴즈 용기(40)와 마찬가지로 탄성 밸브체(74)의 외측 가장자리부(18a)의 상류측의 단면(18a2)과, 밸브 시트체(73)의 상류 지지부(내측 플랜지(73a)의 상면)를 환 형상으로 맞닿게 하여 연통로를 폐지하는 역지 밸브 구조(15)를 구비하고 있다. 또 용기(11A)로부터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탄성 밸브체(74)가 2단계의 변형(내측부(18b)만이 하류측을 향하여 변형하는 제1 변형과, 외측 가장자리부(18a)가 변형하는 제2 변형)을 행하여 열린다. 그 때문에 불필요하게 밸브가 열리는 일이 없다. 또 사용 후 내측부(18b)의 원형 복귀에 의해 노즐(23)의 개구부 근방의 액 남김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도 5의 스퀴즈 용기(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10…스퀴즈 용기
11, 11A…용기
11a…노즐 연결부
11b…걸어맞춤편
12…노즐 부재
15…역지 밸브 구조
16…노즐 마개
17…밸브 시트체
17a…지지 돌기(상류 지지부)
17b…밸브 시트 피연결부
18…탄성 밸브체
18a…외측 가장자리부
18a1…하류측의 단면
18a2…상류측의 단면
18b…내측부
18c…단차부
21…노즐 기부
21a…노즐 기부의 하단
22…상저부
22c…중심 구멍
23…노즐
24…하류 지지부
24a…돌출부
24b…함몰부
30…스퀴즈 용기
31…노즐 부재
32…노즐 마개
33…밸브 시트체
33a…상단면(상류 지지부)
34…탄성 밸브체
35…하류 지지부
36…돌출부
36a…외측 볼록부
36b…내측 볼록부
37…팽출부
38…함몰부
40…스퀴즈 용기
40a…스퀴즈 용기
41…노즐 부재
42…노즐 마개
42a…외측 홈
42b…노즐 선단의 내면
43…밸브 시트체
43a…내측 플랜지
44…탄성 밸브체
50…스퀴즈 용기
51…노즐 부재
52…노즐 마개
52a…외측 홈
53…밸브 시트체
54…탄성 밸브체
54a…절결
60…스퀴즈 용기
61…노즐 부재
62…노즐 마개
63…밸브 시트체
63a…내통부
63b…융기부
63c…돌부
64…탄성 밸브체
64a…외측 가장자리부
64b…내측부
70…스퀴즈 용기
71…노즐 부재
72…노즐 마개
72a…하측 단차부
72b…걸어맞춤 홈
72c…종형 리브
72d…상측 단차부
72e…볼록부
72f…돌출부
72g…함몰부
72h…가는 홈
72i…직경 확대 단차부
73…밸브 시트체
73a…내측 플랜지
73b…돌기부
73c…상측 통부
73d…종형 홈
73e…오목부
73f…외측 플랜지
73g…하측 통부
73h…선단 돌기
74…탄성 밸브체

Claims (19)

  1. 상류측에 있는 환 형상의 밸브 시트와, 하류측에 있는 환 형상의 지지부와, 그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탄성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밸브체가 환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그 외측 가장자리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부를 가지고,
    상기 밸브 시트와 지지부 사이의 통로가 상기 밸브 시트와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환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맞닿음으로써 닫혀 있고,
    하류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에 대하여 상기 통로의 폐지 상태가 유지되고,
    상류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에 대하여 상기 탄성 밸브체의 내측부가 하류측을 향하여 변형하고,
    상류로부터의 유체의 추가적인 압력에 대하여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탄성 변형하고, 상기 밸브 시트와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 사이의 맞닿음이 일부 해제되어 상기 통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을 맞닿아 지지하는 상기 밸브 시트의 환 형상의 상류 지지부와,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의 하류측의 단면을 맞닿아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의 환 형상의 하류 지지부 사이의 협지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로가 상기 밸브 시트의 상류 지지부와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과의 환 형상의 맞닿음에 의해 닫혀 있고,
    상기 환 형상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하류측의 단면 또는 상기 지지부의 환 형상의 하류 지지부에는 그들의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 지지부에 상기 연통로를 구성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하류측의 단면에 상기 연통로를 구성하는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가 복수개 환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지지부가 상기 밸브 시트의 상단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고,
    상기 상류 지지부가 상기 밸브 시트의 내면에 형성된 환 형상의 내측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의 외주단이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통체이며,
    상기 밸브 시트의 상류 지지부가 밸브 시트의 내면으로부터 뻗는 플랜지부와, 그 플랜지부로부터 하류를 향하여 뻗는 내통부를 가지고,
    상기 내통부 및 외측 가장자리부의 일방이 타방에 삽입되고, 타방의 내면과 일방의 외면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탄성 밸브체가 고정되고, 타방의 내면과 일방의 외면이 환 형상으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통로가 닫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장자리부에 내통부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 밸브체의 내측부의 상류측의 면과 상기 밸브 시트의 내통부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또한
    상기 탄성 밸브체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상류측의 단면과 상기 밸브 시트의 플랜지부의 하류측의 면 사이에 간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가 상류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 밸브 구조.
  14. 가요성의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노즐 부재로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역지 밸브 구조와, 그 지지부의 하류에 설치된 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부재.
  15. 제 14 항에 있어서,
    통 형상의 노즐 마개와,
    그 노즐 마개에 삽입되는 통 형상의 밸브 시트체와,
    그들 사이에서 고정되는 상기 탄성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마개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체가 상기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부재.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액적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부재.
  17. 가요성을 가지는 용기와,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노즐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즈 용기.
  18. 가요성을 가지고, 노즐을 구비한 용기와, 그 용기에 설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역지 밸브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퀴즈 용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액적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퀴즈 용기.
KR1020187014637A 2015-11-20 2016-11-11 역지 밸브 구조, 그것을 사용한 노즐 부재 및 스퀴즈 용기 KR20180085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7601 2015-11-20
JP2015227601 2015-11-20
PCT/JP2016/083585 WO2017086255A1 (ja) 2015-11-20 2016-11-11 逆止弁構造、それを用いたノズル部材およびスクイズ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729A true KR20180085729A (ko) 2018-07-27

Family

ID=5871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637A KR20180085729A (ko) 2015-11-20 2016-11-11 역지 밸브 구조, 그것을 사용한 노즐 부재 및 스퀴즈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654629B2 (ko)
EP (1) EP3379119A4 (ko)
JP (1) JP6944376B2 (ko)
KR (1) KR20180085729A (ko)
CN (1) CN108474489B (ko)
BR (1) BR112018009473B1 (ko)
CA (1) CA3003384A1 (ko)
MX (1) MX2018005243A (ko)
RU (1) RU2727813C2 (ko)
WO (1) WO20170862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486B1 (ko) * 2022-08-24 2023-07-25 주식회사 이노아 무균·정량 유체 토출 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퀴즈 바틀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3528B2 (en) * 2016-01-22 2020-07-28 Rieke Packaging Systems Limited Dispensing closures and dispensers
DE102016212892C5 (de) * 2016-07-14 2020-01-30 F. Holzer Gmbh Pumpkopf sowie Dosiervorrichtung
JP6820169B2 (ja) * 2016-08-31 2021-01-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7218125B2 (ja) * 2018-08-28 2023-02-06 藤森工業株式会社 滴下装置および滴下容器
EP3632817A1 (en) * 2018-10-02 2020-04-08 Sulzer Mixpac AG Cartridge, method of making a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a cartridge
JP7403123B2 (ja) * 2019-07-01 2023-12-22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キャップ
US11904330B2 (en) 2022-02-28 2024-02-20 L'oreal Cosmetic dispenser with accordion bladder valve system
US11860017B2 (en) 2022-02-28 2024-01-02 L'oreal Cosmetic dispenser with bladder valve system
FR3135065B1 (fr) * 2022-04-29 2024-05-03 Oreal DISTRIBUTEUR DE COSMéTIQUE AVEC SYSTÈME DE VALVE À VESSI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6086A (en) 1984-09-26 1985-12-03 Burron Medical Inc. Dual disc low pressure back-check valve
JP2004225812A (ja) 2003-01-23 2004-08-12 Yushin Giken Kk 逆止弁
JP2004291968A (ja) 2001-03-15 2004-10-21 Tadashi Hagiwara 逆止弁及び逆止弁を備えた容器
JP2007119040A (ja) 2005-10-31 2007-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注出口装置
JP2011515290A (ja) 2008-03-27 2011-05-19 ルグザム ヘルスケア ラ ヴェルピリエール 容器内に保持された液体を分注す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9906A (en) * 1986-07-14 1988-04-26 Blairex Laboratories, Inc. Storage bottle for contact lens cleaning solution having a self closing valve assembly
US4765588A (en) * 1986-08-18 1988-08-23 Vernay Laboratories, Inc. Check valve for use with a syringe
US5836484A (en) * 1996-10-03 1998-11-17 Gerber; Bernard R. Contamination-safe multiple-dose dispensing cartridge for flowable materials
JP2003028328A (ja) 2001-07-17 2003-01-29 Yushin Giken Kk 逆止弁
US6616012B2 (en) * 2001-07-27 2003-09-09 Richard C. G. Dark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use
US6832706B2 (en) * 2003-01-10 2004-12-21 Alcoa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Dispensing closure
EP1561699B1 (en) * 2004-02-05 2009-12-09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Backflow preventing mouth plug and container fitted with it
US20060261097A1 (en) * 2005-05-04 2006-11-23 Bailey James C Dispensing valve
CN200958638Y (zh) * 2006-07-26 2007-10-10 凯喜姆阀门有限公司 喷嘴式止回阀
CA2798641C (en) * 2010-05-07 2015-07-07 Alps, Llc Dispensing machine valve and method
US20110290752A1 (en) * 2010-05-27 2011-12-01 Yeager Don F Inverted bottle assembly
JP2013147279A (ja) * 2012-01-20 2013-08-01 Daizo:Kk 容器本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該容器本体を用いた吐出容器および吐出製品
JP6022824B2 (ja) * 2012-06-25 2016-11-09 株式会社日本点眼薬研究所 フィルター付き吐出容器
JP2015048104A (ja) * 2013-08-30 2015-03-16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液滴容器
CN106573709B (zh) * 2014-05-14 2019-11-15 东京光工业株式会社 瓶盖
CN204403508U (zh) * 2014-12-25 2015-06-17 宁波乐惠食品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阀以及使用该阀的清洗阀、自动清洗装置和罐顶装置
KR102593083B1 (ko) * 2015-09-07 2023-10-24 미카사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6086A (en) 1984-09-26 1985-12-03 Burron Medical Inc. Dual disc low pressure back-check valve
JP2004291968A (ja) 2001-03-15 2004-10-21 Tadashi Hagiwara 逆止弁及び逆止弁を備えた容器
JP2004225812A (ja) 2003-01-23 2004-08-12 Yushin Giken Kk 逆止弁
JP2007119040A (ja) 2005-10-31 2007-05-17 Dainippon Printing Co Ltd 注出口装置
JP2011515290A (ja) 2008-03-27 2011-05-19 ルグザム ヘルスケア ラ ヴェルピリエール 容器内に保持された液体を分注する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486B1 (ko) * 2022-08-24 2023-07-25 주식회사 이노아 무균·정량 유체 토출 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퀴즈 바틀 제품
WO2024043689A1 (ko) * 2022-08-24 2024-02-29 주식회사 이노아 무균·정량 유체 토출 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퀴즈 바틀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54629B2 (en) 2020-05-19
BR112018009473B1 (pt) 2022-03-29
JP6944376B2 (ja) 2021-10-06
JPWO2017086255A1 (ja) 2018-10-04
US20180251273A1 (en) 2018-09-06
MX2018005243A (es) 2018-09-19
RU2018122250A (ru) 2019-12-24
RU2018122250A3 (ko) 2020-01-15
RU2727813C2 (ru) 2020-07-24
CN108474489A (zh) 2018-08-31
CA3003384A1 (en) 2017-05-26
EP3379119A4 (en) 2019-07-31
EP3379119A1 (en) 2018-09-26
BR112018009473A2 (pt) 2018-12-04
CN108474489B (zh) 2020-11-03
WO2017086255A1 (ja)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5729A (ko) 역지 밸브 구조, 그것을 사용한 노즐 부재 및 스퀴즈 용기
JP5529845B2 (ja) 容器内に保持された液体を分注する装置
US8616418B2 (en) Liquid dispensing device equipped with a sealing component
US7025233B2 (en) Fluid discharge pump for discharging fluid stored inside fluid storing portion
CN108778942B (zh) 分配闭合件和分配器
JP6548440B2 (ja) 容器及びキャップ
KR20160148600A (ko)
KR20180134411A (ko) 캡 및 토출 용기
US20150260179A1 (en) Fluent Product Dispensing Package and Diaphragm Pump For Use Therein
JP7092804B2 (ja) 改善されたトリガ機能を備えた製品を分注するための装置
CN114728731A (zh) 真空塞子以及塞子与容器的组合件
US20080031755A1 (en) Variable flow fluid pump
JP6560906B2 (ja) 吐出容器
JP5959570B2 (ja) キャップ
JP2019142566A (ja)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JP7266962B2 (ja) 吐出容器
WO2020162482A1 (ja) ディスペンサ
CN115697567A (zh) 用于流体产品的分配头和相关联的流体产品瓶
JP2016104642A (ja) エアーバックレスキャップ、およびこのキャップを備えた容器
JP2016216050A (ja) キャップ
KR20160111165A (ko) 디스펜서
JP6468975B2 (ja) 受皿付きポンプ容器
JP6714027B2 (ja) 流体容器
JP7173889B2 (ja) ディスペンサ
JP2018140804A (ja) 液体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