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411A - 캡 및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캡 및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411A
KR20180134411A KR1020187033514A KR20187033514A KR20180134411A KR 20180134411 A KR20180134411 A KR 20180134411A KR 1020187033514 A KR1020187033514 A KR 1020187033514A KR 20187033514 A KR20187033514 A KR 20187033514A KR 20180134411 A KR20180134411 A KR 20180134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ontainer
groove
dischar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509B1 (ko
Inventor
타카아키 사키무라
마사시 사사키
쇼지 우에히라
사토시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도쿄 라이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라이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라이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65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토출 용기(1)에 사용되며, 압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내용물(100)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0)의 입구부(32)에 형성되는 캡(11)으로서, 토출구(64a)를 갖는 고리형의 저벽(64), 저벽(64)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리형의 홈(64c), 홈(64c)에 형성된 유통구(64d), 및 유통구(64d)에 접속된 유통홈(64e)을 갖는 기부(51)와, 한쪽 끝이 홈(64c)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지지부(81), 지지부(81)에 접속된 복수의 탄성편(82), 및 복수의 탄성편(82)에 접속되어 토출구(64a)를 개폐하는 밸브체(83)를 갖는 역지 밸브(53)와, 저벽(64)을 덮는 토출 노즐(5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캡 및 토출 용기
본 발명은 용기 내의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캡 및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용한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 용기로서, 가요성이 우수한 내용기 및 당해 내용기가 내장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며 역지 밸브 및 토출 노즐을 갖는 캡을 구비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토출 용기는 이른바 이중 용기로 불리며, 외용기에 흡기 밸브를 갖고, 외용기가 압압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내용기가 압축되어, 내용물을 토출 노즐로부터 토출한다.
또한, 토출 용기는 내용물을 토출 후 외용기가 복원됨으로써, 흡기 밸브로부터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공기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토출 용기는 내용기의 복원을 가능한 한 억제하고, 내용기에 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토출 용기는 캡에 형성된 덮개체가 닫혀져, 덮개체의 내면에 형성된 밀봉 링과 토출 노즐의 개구부가 감합함으로써, 내용기가 밀봉된다.
그러나, 이러한 토출 용기는 내용물을 토출한 후 토출 노즐의 역지 밸브가 닫히면, 토출 노즐 내에 내용물이 잔존하고, 당해 잔존한 내용물이 토출 노즐의 선단에 남아, 당해 선단으로부터 액누출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덮개체를 닫을 때, 밀봉 링이 토출 노즐의 토출구과 감합하면, 토출구에 위치하는 잔존한 내용물이 넘쳐 흘러, 캡 내가 더러워질 우려가 있었다.
이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5533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토출한 후, 토출 노즐 내에 잔존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토출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 토출 용기는 토출 노즐 내에 역지 밸브의 밸브체가 당접하는 밸브 시트를 형성하면서, 당해 밸브 시트에 내용물의 유통을 허용하는 유통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중간 마개 부재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당해 유통홈으로부터 내용기 내에 되돌린다. 이에 의해, 토출 용기는 토출 노즐 내에 잔류한 내용물에 의한 액누출이나 캡의 오염을 억제한다.
상술한 토출 용기는 유통홈이 밸브체 및 벨브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점에서, 토출 노즐의 개구와 유통홈이 가깝다. 이 때문에, 토출 노즐을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로 토출 용기를 기울였을 때, 유통홈으로부터 내용기의 내용물이 토출 노즐의 개구로부터 액누출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시의 액누출을 방지 가능한 캡 및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동 토출 용기에 사용되는 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캡의 주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동 캡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캡에 사용되는 역지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토출 용기에 사용되는 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동 캡에 사용되는 역지 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동 역지 밸브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 사용되는 캡의 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 사용되는 캡의 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토출 용기에 사용되는 캡의 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토출 용기에 사용되는 캡의 주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토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동 토출 용기에 사용되는 캡의 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의 구성을 일부 생략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토출 용기(1)에 사용되는 캡(11)의 구성으로서, 내용물(100)을 토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캡(11)의 구성으로서, 내용물(100)의 토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캡(11)의 캡 본체(41)의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과 역지 밸브(53)의 지지부(81)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냄과 함께, 내용물(100)의 흐름의 일 예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캡(11)에 사용되는 캡 본체(41)의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캡(11)에 사용되는 역지 밸브(53)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용기(1)는 용기 본체(10)와 캡(11)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 용기(1)는 용기 본체(10) 내에 액상의 내용물(100)을 수용함과 함께, 용기 본체(10)에 압압력을 인가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내용물(100)을 적당량 토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용물(100)이란 예를 들면, 간장, 올리브유나 샐러드유 등의 식용유, 폰즈, 소스, 맛국물, 화장수, 샴푸 및 린스 등의 액상물이다.
용기 본체(10)는 개구단에 캡(11)이 고정되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10)는 예를 들면, 박리 가능한 이른바 이중 용기이다. 용기 본체(10)는 예를 들면, 다층 블로우 성형에 의해, 외장과, 그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내장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10)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외용기(21)와, 외용기(21) 내에 일체로 형성되고, 일부가 외용기(21)에 대해 박리된 백 형상의 내용기(22)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10)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몸통부(31)와, 몸통부(31)와 연속되어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입구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흡기 밸브(33)를 구비한다.
입구부(32)는 몸통부(31)의 단부에 연속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입구부(32)는 중도부에 형성되고, 바깥쪽을 향해 원고리형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32a)와, 단부보다 약간 몸통부(31)측에 구성되며, 중심을 향해 안쪽으로 원고리형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부(32b)를 갖는다.
흡기 밸브(33)는 외용기(21)와 내용기(22) 사이에 흡기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흡기 밸브(33)는 몸통부(31) 및 내용기(22) 간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되었을 경우에 열림으로써, 몸통부(31) 및 내용기(22) 사이의 공간에 공기를 공급한다.
외용기(21)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된다. 외용기(21)는 압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내용기(22)는 외용기(21)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에 대해 상용성이 없는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내용기(22)는 외용기(21)보다 얇게 구성되며, 높은 가요성을 갖는다. 내용기(22)는 백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용물(100)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캡(11)은 캡 본체(41)와, 캡 본체(41)와 힌지(42)를 개재하여 연결된 덮개체(43)를 구비하고 있다. 캡(11)은 캡 본체(41)의 일부, 힌지(42) 및 덮개체(43)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다.
캡 본체(41)는 입구부(32)와 고정되는 기부(51)와, 기부(51)에 형성되는 토출 노즐(52)과, 기부(51) 및 토출 노즐(52) 사이에 형성된 역지 밸브(5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캡 본체(41)는 기부(51)와 토출 노즐(52) 사이에, 역지 밸브(53)를 수용 가능하면서 역지 밸브(53)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밸브실(54)을 갖는다.
기부(51)는 힌지(42) 및 덮개체(43)와 일체로 성형된다. 기부(51), 힌지(42) 및 덮개체(43)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구성된다. 기부(51)는 원통형의 외통(61)과, 외통(61)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게 구성된 내통(62)과, 외통(61) 및 내통(62)의 한쪽 단부와 연속되는 원고리판 형상의 벽부(63)와, 내통(62)의 다른 한쪽 단부에 형성된 원고리판 형상의 저벽(64)을 구비하고 있다.
외통(61)의 내경은 입구부(32)의 제1 돌기부(32a)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된다. 외통(61)은 개구되는 단부측 내주면에, 제1 돌기부(32a)와 계합되는 고리형의 돌기(61a)를 갖는다. 내통(62)은 벽부(63)측 내주면에 고리형의 오목부(62a)를 갖는다.
벽부(63)는 외통(61) 및 내통(62) 사이의 주면에 고리형 돌기(63a)를 갖는다. 고리형 돌기(63a)는 입구부(32)의 단부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벽부(63)는 외주연의 일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통(61)의 외주면과의 능부의 일부에 형성된 힌지(42)를 갖는다. 또한, 벽부(63)는 돌기 형상의 계합부(63b)를 갖는다. 계합부(63b)는 예를 들면, 벽부(63)의 주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그 선단부가 직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기이다.
저벽(64)은 원고리형으로 구성된다. 저벽(64)은 직경 방향의 중앙에 형성된 토출구(64a)와, 토출구(64a)의 주위에 형성된 밸브 시트(64b)와, 내통(62)과 인접 한 외주부에 형성된 홈(64c)과, 홈(64c)에 형성된 유통구(64d)와, 홈(64c)에 형성되며 유통구(64d)에 연속되는 유통홈(64e)을 구비하고 있다. 저벽(64)은 밸브 시트(64b)를 포함하는 밸브 시트부를 구성한다.
저벽(64)은 적어도 벽부(63)측 주면의 일부 또는 주면의 전부가 홈(64c)측보다 토출구(64a)측에서 벽부(63)측에 위치하도록 주면이 경사진다. 즉, 저벽(64)은 밸브 시트(64b) 및 홈(64c)이 축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출 용기(1)가 용기 본체(10)의 바닥이 아래쪽에, 캡(11)이 위쪽에 위치하는, 이른바 직립 자세일 때, 밸브 시트(64b)는 홈(64c)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밸브 시트(64b)는 예를 들면, 토출구(64a)의 내주면이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짐으로써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64c)은 원통형의 패임이며, 그 저면이 원고리형의 평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홈(64c)은 원호 형상의 유통구(64d)와, 유통구(64d)에 형성된 유통홈(64e)을 갖는다.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은 밸브실(54) 및 용기 본체(10)의 내용기(22) 내에 연속되는 유로를 구성한다.
유통구(64d)는 홈(64c)의 저부이면서 홈(64c)의 직경 방향 중심측의 내측면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유통구(64d)는 캡 본체(41)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힌지(42)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유통구(64d)는 유통홈(64e)보다 큰 개구 면적이되, 기부(51)의 성형시 버가 발생해도 당해 개구를 폐색하지 않는 크기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유통구(64d)의 직경 방향의 폭은 홈(64c)의 직경 방향의 폭보다 좁게 구성된다.
유통홈(64e)은 홈(64c)의 직경 방향 중심측의 내측면으로서, 유통구(64d)의 둘레 방향의 중심에 형성된다. 유통홈(64e)의 저벽(64)의 벽부(63)측 주면으로부터의 깊이는 당해 주면으로부터 홈(64c)의 저면까지의 깊이보다 깊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유통홈(64e)은 홈(64c)의 저면을 넘어 유통구(64d)까지 형성된다. 유통홈(64e)은 밸브실(54)로부터 유통구(64d)에 연속되는 유로를 구성한다. 구체예로서, 유통홈(64e)은 유통구(64d)의 홈(64c)에서 개구되는 개구단에 연속된다.
유통홈(64e)은 홈(64c)의 직경 방향 중심측의 내측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의 깊이가 소정의 깊이로 구성된다. 여기서, 소정의 깊이란, 홈(64c)에 역지 밸브(53)의 후술하는 지지부(81)가 배치되었을 때, 내용물(100)의 표면 장력에 의해 공기의 유통을 저지 가능하게, 당해 내용물(100)에 의해 당해 지지부(81)의 내주면과 유통홈(64e)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이 폐색 가능해지는 유통홈(64e)의 깊이이다. 이 때문에, 유통홈(64e)의, 홈(64c)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의 깊이는 토출 용기(1)에 수용되는 내용물(100)에 의해 적절히 설정된다.
토출 노즐(52)은 중심이 개구되는 원반형의 천벽부(71)와, 천벽부(71)의 한쪽 주면의 개구되는 중심에 형성된 원통형의 노즐부(72)와, 천벽부(71)의 다른 한쪽 주면의 외주연측에 형성된 원통부(73)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 노즐(52)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에 의해 구성된다.
천벽부(71)의 외경은 내통(62)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노즐부(72)는 선단의 개구가 캡(11)의 내용물(100)의 토출구를 구성한다.
원통부(73)의 외경은 천벽부(71)의 외경보다 작되, 내통(62)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된다. 원통부(73)는 외주면에 내통(62)의 오목부(62a)와 계합되는 원고리형의 볼록부(73a)를 갖는다. 원통부(73)는 천벽부(71)의 다른 한쪽 주면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가, 벽부(63)의 주면으로부터 홈(64c)까지의 길이와 지지부(81)의 축 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원통부(73)는 토출 노즐(52)이 기부(51)에 조립되었을 때, 홈(64c)에 배치된 지지부(81)의 단부와 당접 가능한 길이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지 밸브(53)는 원통형의 지지부(81)와, 지지부(81)의 내주면으로부터 지지부(81)의 중심축을 향해 연신하는 복수의 탄성편(82)과, 복수의 탄성편(82)에 접속된 밸브체(83)를 구비하고 있다. 역지 밸브(5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에 의해 구성된다.
지지부(81)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그 내주면의 일부가 유통홈(64e)과 소정의 유로를 구성한다. 지지부(81)의 축 방향의 양 단면이 기부(51)의 홈(64c)의 저면 및 토출 노즐(52)의 원통부(73)의 단면에 의해 유지된다.
탄성편(82)은 띠 형상의 소편상으로 구성된다. 탄성편(82)은 지지부(81)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탄성편(82)은 4개 형성된다. 복수의 탄성편(82)은 서로 이웃하는 탄성편(82) 사이에 내용물(100)의 유로를 구성한다. 복수의 탄성편(82)은 밸브 시트(64b)를 향해 밸브체(83)를 상시 탄성 지지한다. 복수의 탄성편(82)은 용기 본체(10)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높아지고, 또한 밸브체(83)가 초동하는 압력이 밸브체(83)에 가해지면, 밸브체(83)가 밸브 시트(64b)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밸브체(83)는 원 형상으로 구성되며, 밸브 시트(64b)와 당접하는 당접면(83a)을 갖는다. 당접면(83a)의 면 방향은 밸브 시트(64b)의 면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구성된다.
덮개체(43)는 힌지(42)를 개재하여 캡 본체(41)와 일체로 구성된다. 덮개체(43)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덮개체(43)는 내주면에 형성되며 계합부(63b)와 계합되는 볼록 형상의 피계합부(43a)와, 토출 노즐(52)과 대향되는 주면에 형성되고 노즐부(72)를 폐색하는 밀봉 링(43b)을 갖는다. 밀봉 링(43b)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그 외경이 노즐부(72)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내용물(100)이 충전된 토출 용기(1)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10)가 아래쪽 및 캡(11)이 위쪽인 직립 자세로 보관된다. 사용시, 즉, 내용물(100)을 토출할 때는 먼저, 사용자는 토출 용기(1)를 파지하고, 덮개체(43)를 열어, 노즐부(72)를 토출처로 향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내용물(100)을 토출하는 동안, 외용기(21)를 압압하여, 외용기(21)에 압압력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외용기(21)는 탄성 변형되고, 외용기(21)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외용기(21) 및 내용기(22) 사이의 공간의 공기가 압축되어 내용기(22)에 압압력이 인가된다. 이에 의해, 내용기(22)가 탄성 변형되어, 내용기(22) 내의 압력이 증가한다. 내용기(22)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고, 또한 밸브체(83)가 초동하는 압력이 밸브체(83)에 가해지면, 밸브체(83)가 내용물(100)에 압압되어 밸브 시트(64b)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해,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100)은 토출구(64a)로부터, 서로 이웃하는 탄성편(82) 사이를 지나 밸브실(54)로 이동하여, 노즐부(72)로부터 토출된다. 내용물(100)이 노즐부(72)로부터 토출됨으로써, 토출된 내용물(100)의 체적만큼 내용기(22)의 용적이 감소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원하는 내용물(100)을 토출시킨 후, 외용기(21)의 압압을 해제한다. 외용기(21)의 압압을 해제함으로써, 밸브체(83)는 탄성편(82)의 복원력으로 밸브 시트(64b)와 당접하고, 외용기(21)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 때, 내용기(22)가 약간 복원되지만, 내용기(22)는 가요성이 높고, 복원력이 약한 점에서, 내용기(22)의 형상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유지된 상태로 외용기(21)의 형상이 복원되어감으로써, 외용기(21) 및 내용기(22) 사이의 공간이 부압이 된다.
이에 의해, 외용기(21)의 흡기 밸브(33)로부터 외용기(21) 및 내용기(22) 사이의 공간에 흡기된다. 그 결과, 내용기(22)의 형상, 다시 말하면 내용기(22)의 용적이 거의 동일한 용적으로 유지된 상태, 엄밀히는 내용기(22)의 약간의 복원에 의해 내용기(22)의 용적이 약간 증가한 상태에서, 대기압과 외용기(21) 및 내용기(22)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동일해진다.
여기서, 내용기(22)의 약간의 복원은 외용기(21)의 복원시에 있어서, 복원시 외용기(21)의 복원 스피드에 대해, 흡기 밸브(33)로부터 외용기(21)와 내용기(22) 사이의 공간에 대한 흡기가 따라 가지 못하는 현상에 의해 발생된다.
또한, 이 내용기(22)의 약간의 복원에 의해, 밸브실(54) 및 노즐부(72)에 잔존하는 내용물(100)은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실(54)로부터, 유통홈(64e) 및 유통구(64d)를 통해, 내용기(22)측으로 이동한다. 밸브실(54) 및 노즐부(72)에 잔존하는 내용물(100)은 표면 장력에 의해 유통홈(64e)을 밀봉하는 양을 적어도 유통홈(64e)에 남기며, 공기를 흡인하지 않고 내용물(100)만을 내용기(22) 내에 흡입하는 액흡인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통홈(64e)은 홈(64c)의 직경 방향 중심측의 내측으로서, 홈(64c)의 저면을 넘어 유통구(64d)까지 형성된다. 또한, 유통홈(64e)은 유통구(64d)의 내용기(22)측 개구단까지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내용물(100)의 이동의 일 예를 상술하면,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100)은 먼저, 내용기(22)측을 향해 유통홈(64e)을 이동하면서, 유통홈(64e)의 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내용물(100)은 유통구(64d)를 따라 내용기(22)측을 향해 이동한다. 즉, 내용물(100)은 외용기(21)의 대략 축 방향을 따라 내용기(22)측으로 이동하면서, 도중에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다시 대략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내용기(22)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에 의하면, 내용물(100)의 토출 후 밸브실(54)에 잔존하는 내용물(100)은 외용기(21)의 복원에 수반하여 내용기(22)의 형상이 약간 복원됨으로써 발생되는 내용기(22)의 부압에 의해, 유통홈(64e) 및 유통구(64d)를 통해 내용기(22)측으로 이동한다.
그 후, 유통홈(64e)을 밀봉할 수 있는 양의 내용물(100)이, 밸브실(54) 내의 적어도 유통홈(64e)의 주위에 남아, 공기가 내용기(22)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면, 액흡인에 의해 밸브실(54) 내의 내용물(100)이 흡입된 경우에는, 유통홈(64e)에만 내용물(100)이 잔존하고, 내용물(100)의 표면 장력에 의해 유통홈(64e)은 밀봉되어 내용기(22)에 대한 공기의 침입이 방지된다. 밸브실(54) 내에 내용물(100)이 잔존하는 경우에는, 당해 내용물(100)에 의해 유통홈(64e)이 막혀 내용기(22)에 대한 공기의 침입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토출 용기(1)는 액흡인시 공기의 흡입을 방지 가능함과 함께, 액흡인 후 유통홈(64e)에 내용물(100)이 위치함으로써, 보관시 공기가 내용기(22)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 용기(1)는 유통홈(64e)에 잔존하는 내용물(100)에 의해 기밀하게 밀봉되는 점에서, 내용물(100)의 토출시나 보관시, 당해 유통홈(64e)으로부터 내용기(22)측에 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은 저벽(64)의 외주연, 다시 말하면, 밸브실(54)의 외주연측에 형성된다. 또한, 홈(64c)은 밸브 시트(64b)와, 토출 용기(1)가 직립 상태에 있어서, 높이 방향으로 낮은 위치가 된다. 이에 의해, 내용물(100)을 토출한 후, 토출 용기(1)를 직립 자세로 되돌리면, 홈(64c)은 밸브실(54)의 아래쪽에 위치함으로써, 밸브실(54)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100)이 유통홈(64e)에 잔존한다.
그 결과, 토출 용기(1)는 액흡인 후라도, 유통홈(64e)을 내용물(100)의 표면 장력에 의해 밀봉할 수 있다. 또한, 토출 용기(1)는 직립 상태에 있어서, 저벽(64)의 중앙부보다 낮은 외주부에 홈(64c)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흡인 후 밸브실(54)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100)은 직립 상태에 있어서 홈(64c) 부근에 모인다. 이 때문에, 노즐부(72)가 아래를 향한 경우여도, 밸브실(54)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100)은 노즐부(72)로부터 먼 홈(64c) 부근으로부터 노즐부(72)를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해, 다음 내용물(100)이 노즐부(72)로부터 토출되기 전에, 밸브실(54)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100)이 노즐부(72)로부터 액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말하면, 밸브실(54)은 기부(51)의 저벽(64), 토출 노즐(52)의 천벽부(71), 원통부(73) 및 역지 밸브(53)의 지지부(81)에 의해 구성되며, 내경이 토출구(64a) 및 노즐부(72)의 개구보다 큰 공간이다. 이 때문에, 토출 용기(1)를 노즐부(72)가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 자세를 취했을 경우, 내용물(100)이 유통구(64d)로부터 유통홈(64e)을 통해, 밸브실(54)의 공간에 누출되어도, 당해 누출된 내용물(100)이 즉시 노즐부(72)로부터 외부에 적하하지 않는다.
또한, 토출 용기(1)는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을 캡(11)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힌지(42)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토출 용기(1)는 사용시, 힌지(42)를 위쪽으로, 그리고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을 아래쪽으로 하고, 노즐부(72)가 토출 대상을 향한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밸브실(54)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100)을 확실히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외용기(21)의 복원시, 토출 후 잔류하는 내용물(100)을 확실히 흡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통홈(64e)을 지지부(81)가 배치되는 홈(64c)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사용 또는 경시에 의한 역지 밸브(53)의 기능 저하가 발생하더라도, 액흡인 및 누출의 기능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유통홈(64e)이 밸브 시트(64b)에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에 의한, 또는, 경시적 변화에 의한 탄성편(82)의 탄성력의 저하 또는 변형이 발생되면, 밸브 시트(64b)에 대한 밸브체(83)의 접촉력이 저하된다. 이 경우, 토출 용기(1)를 노즐부(72)가 아래쪽이 되는 자세로 하면, 내용물(100)의 자체 무게에 의해, 역지 밸브(53)가 약간 열림 기미가 되어, 유통홈으로부터의 액누출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유통홈(64e)을 홈(64c)에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사용에 의한, 또는, 경시적 변화에 의한 역지 밸브(53)의 기능 저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액흡인 및 누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에 의하면, 밸브실(54)을 구성하는 저벽(64)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홈(64c)에, 밸브실(54) 및 용기 본체(10) 내에 연속되는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시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A)의 구성을 도 7 내지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A)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토출 용기(1A)에 사용되는 캡(11A)의 구성으로서, 내용물(100)의 토출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캡(11A)에 사용되는 역지 밸브(53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역지 밸브(53A)의 유통홈(81b)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A)의 구성 중,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의 구성과 동등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용기(1A)는 용기 본체(10)와, 캡(11A)을 구비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11A)은 캡 본체(41A)와, 캡 본체(41A)와 힌지(42)를 개재하여 연결된 덮개체(43)를 구비하고 있다. 캡(11A)은 캡본체(41A)의 일부, 힌지(42) 및 덮개체(43)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다.
캡 본체(41A)는 입구부(32)와 고정되는 기부(51A)와, 기부(51A)에 형성되는 토출 노즐(52)과, 기부(51A) 및 토출 노즐(52) 사이에 형성된 역지 밸브(53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캡 본체(41A)는 기부(51)와 토출 노즐(52) 사이에, 역지 밸브(53A)를 수용 가능하면서 역지 밸브(53A)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밸브실(54)을 갖는다.
기부(51A)는 힌지(42) 및 덮개체(43)와 일체로 성형된다. 기부(51A), 힌지(42) 및 덮개체(43)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구성된다. 기부(51A)는 외통(61)과, 내통(62)과, 벽부(63)와, 내통(62)의 다른 한쪽 단부에 형성된 원고리판 형상의 저벽(64A)을 구비하고 있다.
저벽(64A)은 원고리형으로 구성된다. 저벽(64A)은 토출구(64a)와, 밸브 시트(64b)와, 홈(64c)과, 유통구(64d)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저벽(64A)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캡(11)의 저벽(64)과, 저벽(64)의 유통홈(64e)을 갖지 않는 구성에서 상이하다.
저벽(64A)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저벽(64)와 동일하게, 적어도 벽부(63)측 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홈(64c)으로부터 토출구(64a)를 향하고 벽부(63)측을 향해 경사진다.
유통구(64d)는 홈(64c)의 저부이면서 캡 본체(41)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힌지(42)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유통구(64d)의 직경 방향의 폭은 예를 들면, 홈(64c)의 직경 방향의 폭보다 좁게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지 밸브(53A)는 원통형의 지지부(81A)와, 지지부(81A)의 내주면으로부터 지지부(81A)의 중심축을 향해 연신하는 복수의 탄성편(82)과, 복수의 탄성편(82)에 접속된 밸브체(8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81A)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지지부(81A)의 외경은 홈(64c)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구성된다. 지지부(81A)는 토출 노즐(52)의 원통부(73)와 대향되는 단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서부(81a)와, 외주면에 형성된 단수 또는 복수의 유통홈(81b)을 갖는다. 또한, 지지부(81A)는 홈(64c)과 당접하는 단부의 단면과 외주면의 능부에 형성되고, 당해 능부와 홈(64c)의 직경 방향 바깥쪽 각부 사이에 유통홈(81b)과 유통구(64d)에 연속되는 유로를 구성 가능하게, 둘레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의 곡률 반경의 곡면으로 형성된 모깎기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지지부(81A)는 외주면측 능부에 있어서, 홈(64c)의 각부와 함께, 유통홈(81b) 및 유통구(64d)에 연속되는 전체 둘레에 걸친 고리형의 유로를 구성한다.
복수의 스페이서부(81a)는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지지부(81A)의 단면에 형성된다. 스페이서부(81a)의 주면의 면 방향은 지지부(81A)의 단면의 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른다. 스페이서부(81a)의 주면은 원통부(73)의 단면과 당접한다. 복수의 스페이서부(81a)는 서로 이웃하는 스페이서부(81a) 사이에 내용물(100)의 유로를 구성한다.
유통홈(81b)은 지지부(81A)의 외주면에, 지지부(81A)의 축 방향의 양 단면 사이에 걸쳐 형성된다. 유통홈(81b)은 지지부(81A)의 외주면이면서 둘레 방향으로 유통구(64d)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또는, 등간격으로, 지지부(81A)의 외주면에 복수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통홈(81b)은 지지부(81A)의 외주면에 8개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유통홈(81b)은 홈(64c)의 각부 및 지지부(81A)의 능부에 의해 구성되는 유로를 개재하여 유통구(64d)에 유체적으로 연속되는 구성이면, 그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유통홈(81b)은 밸브실(54)로부터 유통구(64d)로 연속되는 유로를 구성한다.
유통홈(81b)은 홈(64c)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의 깊이가 소정의 깊이로 구성된다. 여기서, 소정의 깊이란 홈(64c)에 역지 밸브(53A)의 후술하는 지지부(81A)가 배치되었을 때, 당해 지지부(81A)의 내주면과 유통홈(81b)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이, 공기의 유통을 저지 가능하게 내용물(100)의 표면 장력에 의해 당해 내용물(100)에 의해 폐색 가능한 깊이이다. 유통홈(81b)은 예를 들면, 지지부(81A)의 원통부(73)측 단부가 다른 단부보다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개구 단면적이 크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유통홈(81b)은 원통부(73)측 단부에 있어서의 지지부(81A)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의 깊이가, 다른 단부의 당해 깊이보다 얕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A)에 의하면, 밸브실(54)로부터 서로 이웃하는 스페이서부(81a) 간, 유통홈(81b), 홈(64c)의 각부 및 지지부(81A)의 능부 간의 유로, 그리고, 유통구(64d)를 통해 용기 본체(10)의 내용기(22)에 대한 유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토출 용기(1A)는 상술한 토출 용기(1)와 동일하게, 밸브실(54)을 구성하는 저벽(64A)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홈(64c) 및 역지 밸브(53A)의 지지부(81A)에, 밸브실(54) 및 용기 본체(10) 내에 연속되는 유통구(64d) 및 유통홈(81b)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시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토출 용기(1A)는 지지부(81A)의 외주면으로서, 틈(63c)의 측면과 지지부(81A)의 외주면 사이의 일부에 유통홈(81b)을 형성하며, 지지부(81A)의 외경을 홈(64c)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지지부(81A)의 유통홈(81b)을 제외한 외주면이 홈(64c)의 내주면과 밀착함으로써, 당해 구성에 의해 유통홈(81b)의 유로 단면적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점에서, 유통홈(81b)에 있어서, 원하는 유로 단면적을 얻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토출 용기(1A)는 밸브실(54)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100)을 확실하면서 안정되게, 유통홈(81b)으로부터 액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토출 용기(1A)는 내용물(100)의 특성에 따라 유통홈(81b)의 깊이를 설정하기 쉽고, 또한, 공기의 흡입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토출 용기(1A)는 노즐부(72)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자세에 있어서, 유통홈(81b)으로부터의 액누출을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B)의 구성을,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B)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B)의 구성 중,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A)의 구성과 동등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용기(1B)는 용기 본체(10)와 캡(11B)을 구비하고 있다.
캡(11B)은 캡 본체(41B)와, 캡 본체(41B)와 힌지(42)를 개재하여 연결된 덮개체(43)를 구비하고 있다. 캡(11B)은 캡 본체(41B)의 일부, 힌지(42) 및 덮개체(43)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다.
캡 본체(41B)는 입구부(32)와 고정되는 기부(51B)와, 기부(51B)에 형성되는 토출 노즐(52)과, 기부(51B) 및 토출 노즐(52) 사이에 형성된 역지 밸브(53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캡 본체(41B)는 기부(51B)와 토출 노즐(52) 사이에, 역지 밸브(53B)를 수용 가능하면서 역지 밸브(53B)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밸브실(54)을 갖는다.
기부(51B)는 힌지(42) 및 덮개체(43)와 일체로 성형된다. 기부(51B), 힌지(42) 및 덮개체(43)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구성된다. 기부(51B)는 외통(61)과, 내통(62B)과, 벽부(63)와, 내통(62B)의 다른 한쪽 단부에 형성된 원고리판 형상의 저벽(64A)을 구비하고 있다.
내통(62B)은 역지 밸브(53B)의 후술하는 지지부(81B)와 대향되는 측면이면서 저벽(64A)의 유통구(64d)와 인접하는 위치에 유통홈(62b)을 갖는다. 유통홈(62b)은 홈(64c)으로부터 지지부(81B)의 상단까지 형성된다. 유통홈(62b)은 유통구(64d)와 유체적으로 연속된다.
유통홈(62b)은 밸브실(54)로부터 유통구(64d)로 연속되는 유로를 구성한다. 유통홈(62b)은 내통(62B)의 내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의 깊이가 소정의 깊이로 구성된다. 여기서, 소정의 깊이란, 홈(64c)에 역지 밸브(53B)의 지지부(81B)가 배치되었을 때, 내용물(100)의 표면 장력에 의해 공기의 유통을 저지 가능하게, 당해 내용물(100)에 의해 당해 지지부(81B)의 내주면과 유통홈(62b)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이 폐색 가능해지는 유통홈(62b)의 깊이이다.
역지 밸브(53B)는 원통형의 지지부(81B)와, 지지부(81B)의 내주면으로부터 지지부(81B)의 중심축으로 향해 연신하는 복수의 탄성편(82)과, 복수의 탄성편(82)에 접속된 밸브체(8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81B)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지지부(81B)는 토출 노즐(52)의 원통부(73)와 대향되는 단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서부(81a)를 갖는다. 즉, 역지 밸브(53B)는 역지 밸브(53A)의 유통홈(81b)을 갖지 않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출 용기(1B)에 의하면, 밸브실(54)로부터 서로 이웃하는 스페이서부(81a) 간, 유통홈(62b) 및 유통구(64d)를 통해 용기 본체(10)의 내용기(22)에 대한 유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토출 용기(1B)는 밸브실(54)을 구성하는 저벽(64A)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홈(64c) 및 역지 밸브(53B)의 지지부(81B)에, 밸브실(54) 및 용기 본체(10) 내에 연속되는 유통구(64d) 및 유통홈(62b)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토출 용기(1, 1A)와 동일하게, 사용시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에 사용되는 기부(51C)의 구성을,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에 사용되는 기부(51C)의 구성을 일부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의 구성 중,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의 구성과 동등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와, 기부(51C)의 구성이 상이한 것 뿐이며, 다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용기(1)에 사용되는 기부(51C)는 외통(61)과, 내통(62)과, 벽부(63)와, 내통(62)의 다른 한쪽 단부에 형성된 원고리판 형상의 저벽(64C)을 구비하고 있다.
저벽(64C)은 원고리형으로 구성된다. 저벽(64C)은 토출구(64a)와, 밸브 시트(64b)와, 홈(64c)과, 유통구(64d)와, 유통구(64d)에 연속되는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유통홈(64e)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기부(51C)는 유통홈(64e)을 3개 형성하는 구성이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1개의 유통구(64d)에 1개의 유통홈(64e)을 형성하는 기부(51)와 이 점에서 상이하다.
3개의 유통홈(64e)은 홈(64c)의 직경 방향 중심측의 내측면으로서, 유통구(64d)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유통홈(64e)의 저벽(64)의 벽부(63)측 주면으로부터의 깊이는 당해 주면으로부터 홈(64c)의 저면까지의 깊이보다 깊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유통홈(64e)은 홈(64c)의 저면을 넘어 유통구(64d)까지 형성된다.
유통홈(64e)은 밸브실(54)로부터 유통구(64d)에 연속되는 유로를 구성한다. 유통홈(64e)은 홈(64c)의 직경 방향 중심측의 내측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의 깊이가 소정의 깊이로 구성된다. 여기서, 소정의 깊이란, 홈(64c)에 역지 밸브(53)의 후술하는 지지부(81)가 배치되었을 때, 내용물(100)의 표면 장력에 의해 공기의 유통을 저지 가능하게, 당해 내용물(100)에 의해 당해 지지부(81)의 내주면과 유통홈(64e)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이 폐색 가능해지는 유통홈(64e)의 깊이이다. 이 때문에, 유통홈(64e)의, 홈(64c)의 외주면으로부터의 직경 방향의 깊이는 토출 용기(1)에 수용되는 내용물(100)에 의해 적절히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부(51C)를 갖는 토출 용기(1)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부(51)를 갖는 토출 용기(1)와 동일하게, 사용시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유통홈(64e)의 총 개구 면적이 향상되는 점에서, 내용물(100)을 확실히 액흡인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에 사용되는 기부(51D)의 구성을,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에 사용되는 기부(51D)의 구성을 일부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한편,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의 구성 중,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의 구성과 동등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1)와 기부(51D)의 구성이 상이한 것 뿐이며, 다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 용기(1)에 사용되는 기부(51D)는 외통(61)과, 내통(62)과, 벽부(63)와, 내통(62)의 다른 한쪽 단부에 형성된 원고리판 형상의 저벽(64D)을 구비하고 있다.
저벽(64D)은 원고리형으로 구성된다. 저벽(64D)은 토출구(64a)와, 밸브 시트(64b)와, 홈(64c)과, 복수의, 예를 들면 3개의 유통구(64d)와, 복수의 유통구(64d)에 각각 형성된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유통홈(64e)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5 실시형태에 따른 기부(51D)는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을 3개 형성하는 구성이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1개의 유통구(64d)에 1개의 유통홈(64e)을 형성하는 기부(51)와 이 점에서 상이하다.
3개의 유통구(64d)는 인접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은 캡(11)의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힌지(42)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3개의 유통홈(64e)은 홈(64c)의 직경 방향 중심측의 내측면으로서, 유통구(64d)의 둘레 방향의 중심에 형성된다. 유통홈(64e)의 저벽(64)의 벽부(63)측 주면으로부터의 깊이는 당해 주면으로부터 홈(64c)의 저면까지의 깊이보다 깊게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유통홈(64e)은 홈(64c)의 저면을 넘어 유통구(64d)까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부(51D)를 갖는 토출 용기(1)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부(51)를 갖는 토출 용기(1)와 동일하게, 사용시의 액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로, 기부(51D)를 갖는 토출 용기(1)는 상술한 제4 실시형태에 따른 기부(51)를 갖는 토출 용기(1)와 동일하게, 유통홈(64e)의 총 개구 면적이 향상되는 점에서, 내용물(100)을 확실히 액흡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예에서는, 용기 본체(10)는 외용기(21) 및 내용기(22)를 갖는 이중 용기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원력이 작은 수지 재료로 구성된 튜브 용기 등이어도 된다. 즉, 용기 본체(10)는 압압력에 의한 변형 후의 외용기(21)의 복원에 의해,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 81b, 62b)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지 않고,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 81b, 62b)으로부터 내용물(100)만을 흡입 가능하면서, 내용물(100)의 표면 장력에 의해 유통홈(64e, 81b, 62b)을 시일 가능한 복원력을 갖는 용기 본체(10)이면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유통구(64d)의 직경 방향의 폭이 홈(64c)의 직경 방향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며, 유통구(64d)가 홈(64c)의 외주면측에 형성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통구(64d)는 유통홈(64e)보다 큰 개구 면적이되, 기부(51)의 성형시 버가 생겨도 당해 개구를 폐색하지 않는 크기이며, 유통홈(64e)으로부터 액흡인된 내용물(100)을 내용기(22)에 이동 가능한 구성이면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통구(64d)의 홈(64c)에서 개구되는 개구단에 연속되는 유통홈(64e)을, 홈(64c)의 외주면으로서 유통구(64d)의 둘레 방향의 중심에 형성하는 구성을,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3개의 유통홈(64e)이 유통구(64d)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3개의 유통구(64d)에 각각 1개의 유통홈(64e)을 형성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통홈(64e)은 유통구(64d)의 둘레 방향의 양 단부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유통홈(64e)은 외용기(21)의 복원시 밸브실(54)에 잔존하는 내용물(100)을 흡입 가능하며, 또한 외용기(21)의 복원이 종료되었을 때, 내용물(100)의 표면 장력에 의해 시일됨으로써, 공기가 용기 본체(10) 내에 침입하지 않는 유로 단면적을 구성 가능하면 된다. 유통홈(64e)의 위치, 형상 및 치수 등은 내용물(100)의 특성이나 용기 본체(10)의 특성에 의해, 상기 기능을 갖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도 14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에 따른 기부(51E)의 저벽(64E)과 같이, 4개의 유통구(64d)와, 유통구(64d)에 각각 형성되는 유통홈(64e)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에 따른 기부(51F)의 저벽(64F)과 같이, 유통홈(64e)은 유통구(64d)의 홈(64c)에서 개구되는 개구단에 연속되는 구성이 아닌, 유통구(64d)의 내용기(22)에서 개구되는 개구단에 연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저벽(64F)에 있어서는, 유통홈(64e)으로부터 액흡인된 내용물(100)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64c)으로부터 내용기(22)까지 일부가 직선상으로 이동하고, 나머지가 유통구(64d)에서 직경 방향으로 퍼지듯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토출 용기(1)는 액흡인시 내용물(100)이 매끄럽게 이동함으로써, 내용물(100)의 이동이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토출 용기(1)의 캡(11)은 캡 본체(41)와, 캡 본체(41)와 힌지(42)를 개재하여 연결된 덮개체(43)를 구비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3 변형예로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11G)은 힌지(42)를 갖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캡 본체(41G)에는 외주면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고리형의 계합부(63b)를 형성하고, 덮개체(43G)에는 그 내주면에 계합부(63b)와 계합되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고리형의 피계합부(43a)를 형성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캡(11G)에 있어서는, 토출 용기(1G)의 사용시 기울이는 방향이 동일하지 않다. 이 때문에, 도 17의 기부(5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100)의 액흡인이 홈(64c)에서 균등하게 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90°간격으로 등간격으로 4개의 유통구(64d)를 형성하고, 이 유통구(64d)에 각각 유통홈(64e)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기부(51G)를 형성함으로써, 토출 용기(1)의 경사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여도, 어느 유통구(64d) 및 유통홈(64e)으로부터 내용물(100)을 액흡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변형예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캡(11)은 힌지(42)를 갖지 않으며, 캡 본체(41)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덮개체(43)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수나사 및 암나사의 나합에 의해 캡 본체(41)에 덮개체(43)를 구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는 가능한 한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되고, 그 경우 조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는 다양한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 요건에 있어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Claims (11)

  1. 압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형성되는 캡으로서,
    토출구를 갖는 고리형의 저벽, 상기 저벽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리형의 홈, 상기 홈에 형성된 유통구, 및 상기 유통구에 접속된 유통홈을 갖는 기부와,
    한쪽 끝이 상기 홈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접속된 복수의 탄성편, 및 상기 복수의 탄성편에 접속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갖는 역지 밸브와,
    상기 저벽을 덮는 토출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토출구보다 상기 기부의 축 방향으로 용기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에 힌지를 개재하여 일체로 형성된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유통구 및 상기 유통홈은 상기 힌지와 상기 기부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홈은 상기 홈의 직경 방향으로 중심측의 내측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홈은 상기 유통구보다 둘레 방향의 길이가 짧게 구성되고, 상기 유통구의 둘레 방향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구는 복수 형성되고,
    상기 유통홈은 상기 유통구에 각각 형성되는 캡.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에 고정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통구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캡.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통홈은 상기 유통구에 복수 형성되는 캡.
  9. 압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형성되는 캡으로서,
    토출구를 갖는 고리형의 저벽, 상기 저벽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리형의 홈, 및 상기 홈에 형성된 유통구를 갖는 기부와,
    한쪽 끝이 상기 홈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접속된 복수의 탄성편, 상기 복수의 탄성편에 접속되며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체,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통구에 접속되는 유통홈을 갖는 역지 밸브와,
    상기 저벽을 덮는 토출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에 힌지를 개재하여 일체로 형성된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유통구는 상기 힌지와 상기 기부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유통홈은 상기 유통구보다 둘레 방향의 길이가 짧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 복수 또는 상기 유통구에 대향하여 단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캡과,
    상기 캡이 고정되는 입구부를 갖는 외용기, 및 상기 외용기 내에 형성되고 상기 외용기의 변형에 수반하여 변형되는 내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KR1020187033514A 2016-05-20 2017-04-24 캡 및 토출 용기 KR102067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1804 2016-05-20
JPJP-P-2016-101804 2016-05-20
PCT/JP2017/016210 WO2017199697A1 (ja) 2016-05-20 2017-04-24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411A true KR20180134411A (ko) 2018-12-18
KR102067509B1 KR102067509B1 (ko) 2020-01-17

Family

ID=6032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514A KR102067509B1 (ko) 2016-05-20 2017-04-24 캡 및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1017B2 (ko)
EP (1) EP3447000B1 (ko)
JP (1) JP6790087B2 (ko)
KR (1) KR102067509B1 (ko)
CN (1) CN109153481B (ko)
WO (1) WO2017199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8440B2 (ja) * 2015-04-15 2019-07-24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容器及びキャップ
JP6776044B2 (ja) * 2016-07-27 2020-10-2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吐出キャップ
JP7092980B2 (ja) * 2017-01-30 2022-06-2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JP6888991B2 (ja) * 2017-03-16 2021-06-18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吐出キャップ
JP7231818B2 (ja) * 2017-12-21 2023-03-0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KR102122717B1 (ko) * 2018-02-06 2020-06-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JP7080471B2 (ja) * 2018-02-22 2022-06-06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JP7129200B2 (ja) * 2018-04-17 2022-09-01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容器蓋
CN110921090B (zh) * 2018-09-20 2022-03-29 宏全国际股份有限公司 逆止瓶盖及其止回阀
KR102076658B1 (ko) * 2019-05-31 2020-02-13 임종수 튜브용기 내의 액상 내용물을 방울 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714A (ja) * 2009-01-30 2010-08-12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容器
JP2013151316A (ja) * 2011-12-26 2013-08-08 Yoshino Kogyosho Co Ltd スクイズ容器
JP2014125268A (ja) * 2012-12-27 2014-07-07 Yoshino Kogyosho Co Ltd スクイズ容器
JP2016037290A (ja) * 2014-08-05 2016-03-22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211614A1 (es) * 1976-05-17 1978-02-15 Ferrante J Mejoras en recipientes dosificadores de liquidos
FR2650255B1 (fr) * 1989-07-25 1992-01-10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d'un ou plusieurs produit(s) sous forme de creme, de liquide ou de poudre, notamment de produits cosmetiques
EP0540129B1 (fr) * 1989-07-25 1996-03-06 L'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n particulier cosmétique ou pharmaceutique
IT1301901B1 (it) * 1998-08-03 2000-07-07 Guala Closures Spa Chiusura con dispositivo anti spruzzo per contenitori di liquidi.
US6315160B1 (en) * 2000-01-18 2001-11-13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viscuous material
US7328820B2 (en) * 2000-12-14 2008-02-12 John L. Young Vented fluid closure and container
US20050098589A1 (en) * 2002-03-21 2005-05-12 Beiersdorf Ag Valve device for opening a container comprising a re-aeration mechanism
US20050103801A1 (en) * 2002-03-21 2005-05-19 Beiersdorf Ag Multi-chamber container with device for discharge of a substance
JP4415412B2 (ja) * 2004-12-24 2010-02-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吐出容器
US6951295B1 (en) * 2005-01-18 2005-10-04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Flow control element and dispensing structure incorporating same
CN201031011Y (zh) * 2007-02-05 2008-03-05 陈伟平 旋式双阀的液体包装瓶瓶盖组合
GB0822447D0 (en) * 2008-12-09 2009-01-14 Carbonite Corp Dispensing containers
JP5727888B2 (ja) 2011-02-28 2015-06-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5667010B2 (ja) * 2011-06-09 2015-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CN103974881B (zh) * 2011-12-26 2016-03-02 株式会社吉野工业所 挤压容器
EP3015383B1 (en) * 2013-06-28 2018-06-27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walled container
GB201401497D0 (en) * 2014-01-29 2014-03-12 Jackel Int Ltd Valve assembly
KR102183292B1 (ko) * 2014-05-14 2020-11-26 도쿄 라이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T516449B1 (de) * 2014-11-13 2016-07-15 Wieder Manuel Verschluss für eine Trinkflasche
CN110770133B (zh) * 2017-04-05 2021-11-05 龟甲万株式会社 排出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714A (ja) * 2009-01-30 2010-08-12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容器
JP2013151316A (ja) * 2011-12-26 2013-08-08 Yoshino Kogyosho Co Ltd スクイズ容器
JP2014125268A (ja) * 2012-12-27 2014-07-07 Yoshino Kogyosho Co Ltd スクイズ容器
JP2016037290A (ja) * 2014-08-05 2016-03-22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7000A1 (en) 2019-02-27
EP3447000A4 (en) 2020-01-01
WO2017199697A1 (ja) 2017-11-23
JPWO2017199697A1 (ja) 2019-03-14
US10781017B2 (en) 2020-09-22
CN109153481B (zh) 2020-06-12
EP3447000B1 (en) 2022-08-24
KR102067509B1 (ko) 2020-01-17
JP6790087B2 (ja) 2020-11-25
CN109153481A (zh) 2019-01-04
US20190291930A1 (en)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4411A (ko) 캡 및 토출 용기
JP6549198B2 (ja) 液体ディスペンサ装置
CN109715516B (zh) 排出容器
EP2848551B1 (en) Mouth plug for liquid container
KR101933398B1 (ko) 용기 및 캡
KR2021013385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CN109415144B (zh) 泡沫吐出容器
US10315209B2 (en) Dispenser in particular for liquid to pasty substances
US20210187530A1 (en) Spray pump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102271374B1 (ko) 펌프 조립체
JP6408283B2 (ja) 吐出キャップを有する吐出容器
JP6887721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CN112074466B (zh) 泡沫喷出容器
JP7080471B2 (ja)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JP6899582B2 (ja) キャップ
JP6961210B2 (ja)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JP2017193352A (ja) キャップ
JP6560906B2 (ja) 吐出容器
KR20050030853A (ko) 점안약 용기의 적하노즐
KR101663206B1 (ko) 디스펜서
JP7254341B2 (ja) キャップ及び容器
JP2016216050A (ja) キャップ
JP6896342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