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538A -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538A
KR20180075538A KR1020187012593A KR20187012593A KR20180075538A KR 20180075538 A KR20180075538 A KR 20180075538A KR 1020187012593 A KR1020187012593 A KR 1020187012593A KR 20187012593 A KR20187012593 A KR 20187012593A KR 20180075538 A KR20180075538 A KR 20180075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ans
case
wall
ga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히코 시마즈
Original Assignee
호치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치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호치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7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설치 대상물의 설치면에 장착되는 경보 장치(100)로서, 설치면(900)과 대향하는 설치면측 대향면(12B)을 갖는 경보 장치(100)이며, 기체에 포함된 연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검출 수단을 수용하는 케이스(2); 및 기체를 케이스(2)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경보 장치
본 발명은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5년 10월 26일자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인 특허출원 2015-210083호, 2015년 11월 11일자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인 특허출원 2015-221522호, 2015년 11월 09일자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인 특허출원 2015-219764호, 2015년 11월 20일자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인 특허출원 2015-227679호, 2015년 12월 01일자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인 특허출원 2015-234712호 및 2015년 12월 01일자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인 특허출원 2015-234713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으로, 전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종래, 감시영역 천장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감시영역 내 연기를 검지하여 경보하는 경보기가 알려져 있었다. 이 경보기는 경보 회로의 회로 기판 등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연기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 경보기에서는 검지부가 케이스 외부에 노출되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경보기의 외관이 번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감시영역의 미관을 해칠 가능성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경보기를 설치한 감시영역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보기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검지부를 케이스 내부에 수용한 경보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경보기는 개구부를 케이스 측벽에 마련하고, 이 마련한 개구부를 통해 연기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켜서 유입된 연기를 검지부에서 검지하였다. 그리고 이 경보기는 케이스를 보강하기 위해, 개구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세로 바(bar) 및 가로 바가 마련되어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0-39936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보기는 검지부가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검지부가 케이스에서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검지부로의 연기 유입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 경보기 케이스 내부나 검지부로의 연기 유입 특성에 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보기는 검지부가 개구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기 때문에 먼지, 수증기, 또는 외란광(外亂光) 등과 같은 외란이 개구부를 통해 검지부에 직접적으로 침입하여, 이러한 침입으로 인해 연기 오(誤)검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세로 바 및 가로 바를 포함한 경보기 전체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에 금형을 이용해서 경보기를 제조할 경우에는 경보기의 외형(특히 세로 바 및 가로 바가 마련되어 있는 개구부 주변)을 형성하기 위해 틀로 모양을 내는 공정(shape punching step)이 번잡해져, 제조 비용이 증대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 경보 장치의 오검출을 방지하는 것, 또는 경보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설치 대상물의 설치면에 장착되는 경보 장치로서, 상기 설치면과 대향하는 장착면을 갖는 경보 장치이며, 기체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을 수용하는 수용 수단; 및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 수단;을 구비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로 유도하는 외부 유도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제1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외부 유도 수단은 상기 설치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기체를 상기 제1 유입 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 수단 내부에 유입시킨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외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유입 개구는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외벽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유도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유도하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간이, 상기 외벽에서의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 일부인 제1 외벽과 상기 설치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외벽을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제1 외부 유도 수단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외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유입 개구는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외벽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유도 수단은 상기 외벽에서의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 일부인 제1 외벽의 단부보다, 상기 외벽에서의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과는 반대측 일부인 제2 외벽의 단부를,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제2 외부 유도 수단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벽은 상기 장착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을 갖는 것이며, 상기 설치면과 상기 수용 수단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 수단을 상기 설치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수단은 외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유입 개구는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외벽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 일부인 제1 수용 수단; 및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과는 반대측 일부인 제2 수용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수용 수단의 직경이 상기 장착 수단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 및 상기 기체를 상기 검출 공간에 유입시키는 제2 유입 개구로서 상기 구획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2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수용 수단 내부에서의 상기 검출 공간 외측에서, 상기 구획 부재에서의 상기 제2 유입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측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용 수단 내부를 이동하는 상기 기체를 상기 제2 유입 개구를 통해 상기 검출 공간에 유도하는 내부 유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유도 수단은 상기 수용 수단 내부를 이동하는 상기 기체를 상기 제2 유입 개구에 유도하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간이 상기 대향면과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대향면을 상기 구획 부재에서 떨어뜨려 상기 구획 부재와 비접촉 상태로 함으로써 형성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 내부에 유입시키는 제1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 및 상기 기체를 상기 검출 공간에 유입시키는 제2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제1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상기 기체를 상기 제2 유입 개구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편이며, 상기 유도편의 상기 제2 유입 개구측 선단을 상기 구획벽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하였다.
청구항 9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편의 상기 선단은 상기 제2 유입 개구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8 또는 9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 개구는 복수의 상기 구획벽 상호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도편은 복수의 상기 구획벽 중 적어도 1개의 상기 구획벽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제1 유입 개구측에서 상기 제2 유입 개구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편은 상기 수용 수단 외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유도편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 내부에는 상기 경보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전기적 구성요소 배치영역; 및 상기 전기적인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전기적 구성요소 비배치영역;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도편은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 비배치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8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보 장치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편은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유도편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유입 개구로서,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 내부에 유입시키는 상기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은 검출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검출 공간에 존재하는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의 상기 검출 공간은 상기 검출 공간의 어느 부분도 상기 유입 개구에 위치하는 일 없이 상기 유입 개구보다 상기 장착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 수단을 배치하는 배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 수단은 상기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상기 기체를 상기 검출 수단에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치 수단은 상기 유입 개구와 상기 검출 수단 사이에서 상기 기체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검출 수단측에서 상기 유입 개구측까지 넓어져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을 상기 장착면측에서 덮는 제1 수용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을 상기 장착면의 반대측에서 덮는 제2 수용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수용 수단 및 상기 제2 수용 수단은 상기 제1 수용 수단과 상기 제2 수용 수단 사이에 상기 유입 개구로서의 틈이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7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 개구, 또는, 상기 제1 수용 수단 및 상기 제2 수용 수단 사이에서의 상기 유입 개구에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이르는 유도 공간으로서 상기 기체를 상기 검출 수단에 유도하는 상기 유도 공간의 적어도 한쪽을 구획하고 있는 유입 구획 수단을 구비한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8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 구획 수단은 상기 제1 수용 수단 또는 상기 제2 수용 수단 중 한쪽 수용 수단과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용 수단 또는 상기 제2 수용 수단 중 다른 쪽 수용 수단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 수용 수단에 대하여 상기 다른 쪽 수용 수단을 고정 지지하고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 개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기체를 내부에 유입시키는 슬릿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입 개구는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유입 개구에 대하여 직교한 상태로 상기 유입 개구와 연통(連通)되어 있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0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가 상기 검출 수단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방지편은 상기 수용 수단 내부에서의 상기 슬릿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22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0 또는 2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경보 장치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수용 수단 외벽에서의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2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경보 장치의 전원으로서의 전지이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검출 수단 이외의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검출 수단 및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수용하고,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유입 개구측에서 상기 검출 수단측에 유도하는 상기 유도 수단으로서,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에서 상기 검출 수단측에 이르는 상기 유도 수단을 가진다.
청구항 25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4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구성요소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수용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수용벽이다.
청구항 26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5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수용벽의 제1 부분이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을 형성하고 있는 제1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제1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상기 수용벽 중 상기 제1 부분 이외의 제2 부분이다.
청구항 27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5 또는 26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수용벽 전체가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에서 떨어져 있는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상기 수용벽과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을 결합하는 결합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결합벽이다.
청구항 28에 기재된 경보 장치는 청구항 27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상기 수용벽에서 상기 검출 수단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돌편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유도 수단이 기체를 수용 수단의 내부로 유도하므로, 예를 들면 기체가 수용 수단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외부 유도 수단이, 설치면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를 수용 수단 내부로 유도하므로, 예를 들면 설치면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가 수용 수단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기체를 제1 유입 개구에 유도하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예를 들면 설치면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가 제1 유입 개구를 통해 수용 수단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유입 개구의 폭을 넓히지 않고 수용 수단 내부로의 기체 유입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수용 수단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1 유입 개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바형상 보강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유입 개구의 폭을 넓힐 필요가 없으므로 제1 유입 개구의 폭을 비교적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경보 장치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기체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부품 등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보 장치의 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제2 외벽의 단부가 제1 외벽의 단부보다 수용 수단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예를 들면 제2 외벽의 단부를 이용해서 제1 유입 개구에 기체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수단 내부로의 기체 유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피검출 물질을 더욱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제1 외벽이, 장착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장착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수용 수단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경보 장치의 외관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이용해서 경보 장치를 시인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얇고 콤팩트한 인상을 줄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제1 수용 수단의 직경이 장착 수단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경보 장치를 설치면에 장착했을 경우에 장착 수단이 노출되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경보 장치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내부 유도 수단이, 수용 수단의 내부를 이동하는 기체를 검출 공간으로 유도하므로, 예를 들면 수용 수단의 내부를 이동하는 기체가 검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출 물질을 더욱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2 유입 개구의 크기를 넓히지 않고 검출 공간으로의 기체 유입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제2 유입 개구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먼지가 검출 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검출 공간으로의 먼지 침입에 기초한 오보(즉, 피검출 물질의 오검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제1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기체를 제2 유입 개구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편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제1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기체가 검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유도편의 제2 유입 개구측 선단을 구획벽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제1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기체를 유도편의 선단과 구획벽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어 기체가 검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더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유도편의 선단이 제2 유입 개구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기체를 유도편을 따라 제2 유입 개구 근방까지 유도할 수 있어 기체가 검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더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유도편이 구획벽의 연장선상에서 제1 유입 개구측에서 제2 유입 개구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기체를 유도편 및 구획벽을 따라 검출 공간까지 유도할 수 있어 기체가 검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수용 수단의 외벽에서 연장되어 있는 제1 유도편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제1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기체가 검출 공간에 도달하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체가 검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제1 유도편이 전기적 구성요소 비배치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비교적 넓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기체를 유도할 수 있어 기체가 검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구성요소 수용 수단에서 연장되어 있는 제2 유도편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구성요소 수용 수단에 의해 기체가 흐르기 어렵게 되어 있는 위치에서 기체를 유도할 수 있어 검출 공간으로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검출 수단의 검출 공간이, 검출 공간의 어느 부분도 유입 개구에 위치하는 일 없이 유입 개구보다 장착면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유입 개구를 통해 수용 수단의 내부에 침입하는 외란(예를 들면 먼지, 수증기 또는 외란광 등)을 검출 공간에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경보 장치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기체를 검출 수단에 유도하는 배치 수단이, 장착면을 따른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유입 개구를 통해 수용 수단 내부에 침입하는 외란을 막아낼 수 있어 경보 장치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배치 수단이 검출 수단에 기체를 유도하므로 검출 공간으로 기체를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배치 수단이, 유입 개구와 검출 수단 사이에서 기체 유로가 형성되도록 검출 수단측에서 유입 개구측까지 넓어져 있으므로, 예를 들면 유입 개구를 통해 수용 수단에 유입된 기체를 검출 수단에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제1 수용 수단 및 제2 수용 수단이, 제1 수용 수단과 제2 수용 수단 사이에 유입 개구로서의 틈이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제1 수용 수단 및 제2 수용 수단을 서로 결합했을 경우에 유입 개구도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유입 개구를 형성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한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수용 수단을 형성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경보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유입 구획 수단이, 유입 개구 또는 유입 개구에서 검출 수단에 이르는 유도 공간의 적어도 한쪽을 구획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구획되어 있는 유입 개구 또는 유도 공간을 통해 기체를 의도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수단에 유입된 기체가 검출 수단에 도달하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유입 구획 수단이 한쪽 수용 수단에 대해 다른 쪽 수용 수단을 고정 지지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제1 수용 수단 및 제2 수용 수단의 상호간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수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경보 장치의 강도를 한층 더 강고히 할 수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기체를 수용 수단 내부에 유입시키는 슬릿이, 유입 개구에 대해 직교한 상태에서 유입 개구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용 수단 외부의 기체를 유입 개구뿐만 아니라 슬릿을 통해 수용 수단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용 수단 내부로의 기체 유입을 촉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유입 개구의 폭을 넓히지 않고 수용 수단 내부로의 기체 유입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용 수단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입 개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유입 개구에 바형상 보강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유입 개구의 폭을 넓힐 필요가 없으므로 유입 개구의 폭을 비교적 좁게 할 수 있어, 경보 장치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기체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부품 등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보 장치의 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방지편이, 수용 수단 내부에서의 슬릿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방지편에 의해 기체 중의 먼지가 막아지기 때문에 먼지가 검출 수단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2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슬릿이 수용 수단 외벽에서의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용 수단의 외벽에서 유입 개구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즉, 구성요소 수용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 주변에서 기체 유입을 촉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3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구성요소가 전지이므로 예를 들면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사이즈를 비교적 크게 구성하는 것을 요하는 점에서, 수용 수단의 외벽에서 비교적 긴 거리에 걸쳐 유입 개구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의 주변에서 기체 유입을 촉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4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기체를 유입 개구측에서 검출 수단측에 유도하므로, 예를 들면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기체가 검출 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5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유도 수단이 수용벽이므로 예를 들면 기체를 유도하기 위한 전용 부품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보 장치의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경보 장치 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26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제1 구성요소 수용 수단에서 수용벽의 제1 부분이 수용 수단의 외벽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 수용 수단 자체를 수용 수단에서의 외측 근처 위치에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용 수단 내부에서 검출 수단 주변에, 기체를 유도하기 위해 충분한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기체가 검출 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27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수용벽과 수용 수단의 외벽을 결합하는 결합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결합벽 및 수용벽을 따라 기체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기체가 검출 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28에 기재된 경보 장치에 따르면, 수용벽에서 검출 수단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편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수용벽 및 돌편을 따라 기체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기체가 검출 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경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경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경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측에서 본 경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측에서 본 경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장착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장착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이면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이면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이면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표면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표면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검출부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방충망이 생략된 상태인 검출부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검출부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검출부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검출부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회로부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회로부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회로부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3의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영역 Ar1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도 4의 영역 Ar2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도 4에서 기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2에서 기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2의 슬릿(213a, 213b) 주변의 확대도에서 기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경보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의 기본적 개념]
먼저, 실시형태의 기본적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는 개략적으로 설치 대상물의 설치면에 장착되는 경보 장치로서, 설치면과 대향하는 장착면을 갖는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경보 장치"란 경보를 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감시영역의 기체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에 대한 경보를 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면 가스 경보기 및 화재 경보기(연기 경보기) 등을 포함한 개념이다. "감시영역"이란 감시 대상 영역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경보 장치가 설치되는 영역이며, 예를 들면 주택 내 영역(예를 들면 방 등), 주택 이외 건물 내 영역 등을 포함한 개념이다. 또한 "설치 대상물"이란 경보 장치를 설치하는 대상물로서, 예를 들면 감시영역 내 천장, 벽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설치면"이란 경보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 대상물의 면으로서, 예를 들면 천장의 감시영역측 면(즉, 천장의 하부면), 벽의 감시영역측 면(즉, 벽의 실내측 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장착면"이란 경보 장치에 마련되어 있는 면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설치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면에 장착되는 면이다. 또한 "피검출 물질"이란 검출 대상 물질이고, 구체적으로는 기체에 포함되는 물질이며 예를 들면 기체 중의 일산화탄소 및 연기 등을 포함한 개념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피검출 물질"이 "연기"이고, "경보 장치"가 연기로 인한 산란광에 기초해서 경보하는 "화재 경보기(연기 경보기)"이고, "감시영역"이 "주택 내 영역인 방"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치 대상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천장" 또는 "벽" 등을 들 수 있으며, "설치 대상물"이 "천장"인 경우를 이하에서 도시하면서 "설치 대상물"이 "벽"인 경우도 적절히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경보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경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경보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3은 경보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하측에서 본 경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측에서 본 경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아래 설명에서는 각 도면에 표시한 X-Y-Z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구체적으로는 Z방향이 연직 방향(즉,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이고, X방향 및 Y방향이 연직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 방향인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Z방향을 높이 방향이라 칭하고, +Z방향을 상측(평면)이라 칭하고, -Z방향을 하측(저면)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X-Y-Z방향"에 관한 용어에 대해서는 도시된 경보 장치(100)에서 각 구성품의 상대적 위치관계(또는 방향) 등을 설명하기 위한 편의적인 표현인 것으로 하고, 도 4의 케이스(2)의 검출 공간(34)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검출 공간(34)에서 떨어지는 방향을 "외측"이라 칭하고, 검출 공간(34)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내측"이라 칭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들 각 도면에 도시한 경보 장치(100)는 기체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인 연기를 검출하여 경보하는 경보 수단이고,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시영역 천장에서의 하측(-Z방향) 면(즉, 하면)인 설치면(900), 또는 감시영역 벽에서의 감시영역측 면(즉, 벽의 실내측 면)인 도시하지 않은 설치면(이하, 벽 설치면)에 장착해서 이용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장착 베이스(1), 케이스(2), 도 5의 검출부 커버(3), 검출부 본체(4) 및 회로부(5)를 구비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치면(900)이 XY 평면을 따른 방향(즉, 수평 방향)에서 넓어져 있고, 도시하지 않은 "벽 설치면"이 상기 설치면(90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즉, 연직 방향)으로 넓어져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경보 장치(100) 전체의 구성을 설명한 뒤 각 구성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구성 - 장착 베이스)
먼저, 도 7은 장착 베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8은 장착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장착 베이스(1)는 설치면(900) 또는 도시하지 않은 "벽 설치면"에 대해 케이스(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이고,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와 설치면(900) 또는 도시하지 않은 "벽 설치면" 사이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도 7의 장착 후크(11) 및 본체부(12)를 구비한다.
(구성 - 장착 베이스 - 장착 후크)
도 7의 장착 후크(11)는 장착 베이스(1)를 설치면(900) 또는 도시하지 않은 "벽 설치면"에 장착하기(즉,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2)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편이며, 예를 들면 나사 구멍(111)을 구비한다. 나사 구멍(111)은 장착 베이스(1)를 장착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장착 나사가 삽입 통과되는 구멍이다. 그리고 나사 구멍(111)과 설치면(900) 또는 도시하지 않은 "벽 설치면"에 대해, 장착 나사를 연속적으로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장착 베이스(1)를 설치면(900) 또는 도시하지 않은 "벽 설치면"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구성 - 장착 베이스 - 본체부)
도 7의 본체부(12)는 장착 베이스(1)의 본체이고, 예를 들면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넓어져 있으며, 소정 직경의 원반형상을 보이는 것으로서, 장착 후크(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지제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케이스측 대향면(12A), 및 도 8의 설치면측 대향면(12B)을 구비한다. 도 7의 케이스측 대향면(12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와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가 장착되는 면이고, 설치면측 대향면(12B)은 설치면(900)과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면(900)에 장착되는 장착면(즉, XY 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넓어져 있는 장착면)이다. 또한 본체부(1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구멍(121) 및 걸어맞춤부(122)를 구비한다. 나사 구멍(121)은 설치면(900)에 장착 베이스(1)를 장착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장착 나사가 삽입 통과되는 구멍이다. 그리고 나사 구멍(121)과 설치면(900)에 대해, 장착 나사를 연속적으로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장착 베이스(1)를 설치면(900)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어맞춤부(122)는 도 3의 케이스(2)가 장착되는 장착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6의 후술하는 이면 케이스(21)의 걸어맞춤부(214)에 걸어맞춘다. 이러한 본체부(12)의 외경(外徑)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기존의 장착 베이스와 동일한 크기(예를 들면 10cm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구성 - 케이스)
다음으로, 도 3의 케이스(2)는 도 5의 검출부 커버(3), 검출부 본체(4) 및 회로부(5)(이하, 수용 대상물)를 수용하는 수용 수단이고, 구체적으로는 장착 베이스(1)를 통해 설치면(900)에 장착되는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도 5의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를 구비한다.
(구성 - 케이스 - 이면 케이스)
도 9는 이면 케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이면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이면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의 이면 케이스(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베이스(1)측(즉, 상측(+Z방향))에서 "수용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1 수용 수단(한쪽 수용 수단)이고, 표면 케이스(22)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표면 케이스(22)와의 사이에 도 3의 후술하는 외부 유입 개구(23)로서의 틈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 이면 케이스(21)는 도 4의 케이스(2) 외부를 이동하는 기체(한편, 설치면(90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를 포함)를 케이스(2) 내부로 유도하는 외부 유도 수단이고, 또한 케이스(2) 내부를 이동하는 기체를 후술하는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내부 유도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검출부 본체(4)와의 사이에서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검출 공간(34)에 이르는 기체의 유로(유도 공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 9~도 11의 이면 케이스(21)는 예를 들면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넓어져 있고, 장착 베이스(1)보다 직경이 큰 원반형상을 보이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제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 및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을 구비한다. 도 4의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은 이면 케이스(21)의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넓어져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며, 즉 장착 베이스(1)와 대향하는 것이고, 도 5의 유도 오목부(211a)를 구비한다. 이 유도 오목부(211a)는 도 4의 검출 공간(34)에 대해 기체를 유도하는 유도 수단인데,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은 이면 케이스(21)에서의 높이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외벽)을 형성하는 제1 외벽으로서,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의 외연부에서 외측을 향해 넓어지면서, 하측(-Z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이면 케이스(21)는 보다 자세하게는 구성품 케이스(611~616), 숏 핀(621~623), 롱 핀(631, 632), 방지편(641, 642) 및 리브(651~659)(이하, "구성품 케이스(611~616), 숏 핀(621~623), 롱 핀(631, 632), 방지편(641, 642) 및 리브(651~659)"를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라고 총칭함)를 구비한다. 한편, 구성품 케이스(611~616)에 관한 구성인 구성품 케이스(611~616), 숏 핀(621~623) 및 롱 핀(632), 리브(651, 652, 654, 655, 659)가 구성요소 수용 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구성품 케이스(616)가 제1 구성요소 수용 수단에 대응하고, 구성품 케이스(611~614), 숏 핀(621~623), 롱 핀(632) 및 리브(651, 652, 654, 659)가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리브(651, 652, 654, 659)가 결합벽에 대응한다. 먼저,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 중 구성품 케이스(611~616)는 경보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품(구성요소) 중, 검출 수단인 도 4의 검출부 커버(3), 검출 공간(34), 검출부 본체(4), 발광부(52) 및 수광부(53) 이외의 구성품을 수용하는 수용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구성품을 수용하는 공간인 구성품 수용 공간(구성요소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수용벽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이 구성품 케이스(611~616)(구체적으로는 구성품 케이스(611~616)의 수용벽)는 기체를 도 4의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며, 유도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품의 배치 장소 등을 고려하면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숏 핀(621~623)은 기체를 도 4의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9의 구성품 케이스(611~613)에서 돌출되어 연장되는 돌편으로서, 제2 유도편이다. 또한 롱 핀(631, 632)은 기체를 도 4의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9의 리브(657, 659)(즉,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연장되는 제1 유도편으로서, 숏 핀(621)보다 충분히 길다. 또한 방지편(641, 642)은 기체를 도 4의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며, 또한 도 9의 후술하는 슬릿(213a, 213b)을 통해 내부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먼지가 도 4의 검출 공간(34)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수단이다. 도 9의 리브(651~659)는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고, 또한 이면 케이스(21)를 보강하는 보강 수단이며, 또한 도 6의 표면 케이스(22)와 이면 케이스(21) 사이의 높이 방향(Z방향)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즉, 도 3의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를 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고, 구체적으로는 도 3, 4의 외부 유입 개구(23), 케이스(2)의 내부 및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검출 공간(34)에 이르는 기체의 유로를 구획하는 유입 구획 수단이며, 예를 들면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이란, 외부 유입 개구(23)에서의 상측 끝에서 하측 끝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리브(651~659)를 서로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적절히 "리브(65)"라고 총칭하고,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성 - 케이스 - 표면 케이스)
도 12는 표면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표면 케이스의 정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의 표면 케이스(2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대상물"을 사이에 끼고 장착 베이스(1)측과는 반대측(즉, 하측(-Z방향))에서 "수용 대상물"을 수용하는 제2 수용 수단(다른 쪽 수용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이면 케이스(21)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면 케이스(21)와의 사이에 도 3의 외부 유입 개구(23)로서의 틈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외부 유입 개구"(23)란, 케이스(2) 외부의 기체를 케이스(2)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 수단이고, 특히 케이스(2) 외부에서 설치면(90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를 케이스(2) 내부에 유입시키는 제1 유입 개구로서, XY 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케이스(2)의 이면 케이스(21)와 표면 케이스(22)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다. 이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에 대해서는 먼지, 외란광,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 경보 장치(100)의 외관이 사용자에게 주는 인상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예를 들면 3~5(mm)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표면 케이스(22)는 도 4의 케이스(2)의 외부를 이동하는 기체(한편, 설치면(90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를 포함)를 케이스(2) 내부로 유도하는 외부 유도 수단이다.
이 도 12 및 도 13의 표면 케이스(22)는 예를 들면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넓어져 있고, 이면 케이스(21)보다 직경이 큰 원반형상을 보이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지제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표면 케이스측 노출벽(221) 및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222)을 구비한다. 먼저, 표면 케이스측 노출벽(221)은 표면 케이스(22)에서의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넓어져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즉 사용자에 의해서 주로 시인되도록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의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222)은 표면 케이스(22)에서의 높이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외벽)을 형성하는 제2 외벽으로서, 표면 케이스측 노출벽(221)의 외연부에서 외측을 향해 넓어지면서 상측(+Z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표면 케이스(22)는 보다 자세하게는 누름 버튼(223), 나사 보스(224) 및 지지부(225)를 구비한다. 먼저, 누름 버튼(223)은 경보 장치(100)를 조작하는 조작 수단이고, 구체적으로는 도 5의 후술하는 회로부(5)의 스위치(55)를 표면 케이스(22)의 외측에서 누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6의 나사 보스(224)는 표면 케이스(22)와 이면 케이스(21) 사이의 높이 방향(Z방향)의 상대적 위치관계(즉, 도 3의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를 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고, 또한 도 6의 표면 케이스(22)와 이면 케이스(21)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표면 케이스측 노출벽(221)에서의 상측(+Z방향) 면에 마련된 것으로, 예를 들면 소정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높이 방향(Z방향)에서 세워서 마련되는 기둥형상을 보인다. 또한 지지부(225)는 검출부 본체(4)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표면 케이스측 노출벽(221)에서의 상측(+Z방향) 면의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222)측에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돌편이다.
(구성 - 검출부 커버)
다음으로 도 14는 검출부 커버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방충망이 생략된 상태인 검출부 커버의 정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의 검출부 커버(3)는 산란광을 이용해서 연기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4의 검출 공간(34)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로서, 검출부 본체(4)의 상측(+Z방향)에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검출부 커버(3), 검출 공간(34), 검출부 본체(4)의 일부, 후술하는 발광부(52) 및 수광부(53)가 검출 수단에 대응한다. 이 검출부 커버(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개구가 막힌 원통형상을 보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천장판(31), 래버린스(32), 방충망(33)을 구비한다. 여기서 도 4의 "검출 공간"(34)이란, 연기를 검출하는 공간이다. 도 5의 천장판(31)은 검출 공간(34)을 덮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보다 직경이 작은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Z방향) 면에는 래버린스(3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래버린스(32)는 검출 공간(34)을 구획하는 구획벽이고, 구체적으로는 검출 공간(34)에 외란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판(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래버린스(32)에서의 서로 이웃하는 것들 사이에 내부 유입 개구(35)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내부 유입 개구"(35)란, 검출 공간(34)에 기체를 유입시키는 제2 유입 개구로서, 래버린스(32) 사이의 틈으로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복수의 내부 유입 개구(35) 각각을 구별하는 경우에는 부호 "35" 다음에 영자 "a", "b" 등을 붙여 예를 들면 부호 "35a", 부호 "35b" 등을 이용해서 설명하고, 복수의 내부 유입 개구(35) 각각을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호 "35"를 이용해서 설명하기로 한다(한편, 래버린스(3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임). 도 5로 돌아가서, 방충망(33)은 외기가 방충망(33)의 작은 구멍을 통해 검출 공간(34)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검출 공간(34)에 벌레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 수단이며, 래버린스(32)의 외주를 둘러싸는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벌레가 침입하기 곤란한 크기의 작은 구멍을 다수개 가진다.
(구성 - 검출부 본체)
다음으로 도 16은 검출부 본체의 저면도이고, 도 17은 검출부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검출부 본체의 정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의 검출부 본체(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 커버(3)를 배치하는 배치 수단이고, 또한 검출부 커버(3)와 함께 검출 공간(34)을 구획하는 구획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케이스(2)에 유입된 기체가 검출부 본체(4)와 표면 케이스(22) 사이에 들어가지 않도록 차폐한 다음, 이면 케이스(21)와의 사이에서 기체의 유로를 형성한다. 이 검출부 본체(4)는 예를 들면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도 4의 검출부 커버(3)측에서 외부 유입 개구(23)측까지 넓어져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 커버(3)의 천장판(31)보다 직경이 크면서 표면 케이스(22)보다 약간 직경이 작고, 일부가 잘려나간 원반형상을 보이는 것으로서, 또한 내측 일부가 하측(-Z방향)에서 상측(+Z방향)을 향해 융기된 형상을 보이며, 전체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제이다. 한편 "표면 케이스(22)보다 약간 직경이 작다"란, 검출부 본체(4)의 직경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 본체측 단부(400a)가 내측에서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에 접촉할 정도의 "직경"임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검출부 본체측 단부"(400a)란, 검출부 본체(4)의 외측 가장자리로서 외부 유입 개구(23)측 가장자리이다.
이 도 6의 검출부 본체(4)는 보다 자세하게는 도 16~도 18의 플랜지부(41), 경사부(42), 융기부(43), 검출부 본체 잘림부(44), 스피커 수용부(45) 및 소자 커버(46)를 구비한다. 플랜지부(41)는 검출부 본체(4)에서의 외측 근처의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넓어져 있는 부분이며, 위치 결정 오목부(411)를 구비한다. 이 위치 결정 오목부(411)는 검출부 본체(4)에 대한 이면 케이스(21)의 리브(65)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41)에서의 외연부에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상측(+Z방향)에서 하측(-Z방향)을 향해 움푹 패어 있다. 또한 경사부(42)(경사면)는 플랜지부(41)에서 연속되는 부분이며, 도 4의 검출 공간(34)을 외부 유입 개구(23)보다 상측(+Z방향)에 마련하기 위해, 플랜지부(41)(XY 평면을 따른 방향)에 대해 상측(+Z방향)을 향해 경사진 부분이다. 또한 융기부(43)는 검출부 커버(3)가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플랜지부(41)보다 상측(+Z방향)에 위치해 있으며 경사부(42)에서 연속해서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넓어져 있는 부분이다. 이 융기부(43)에서의 상측(+Z방향) 면에는 도 6의 배치 오목부(4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치 오목부(431)는 검출부 커버(3)가 배치되는 부분이며, 구체적으로는 원형상 오목부이고 검출부 커버(3)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오목부이다. 또한 검출부 본체 잘림부(44)는 경보 장치(100)에 대해 후술하는 구성품 케이스(616)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구성품 케이스(616)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잘려나간 부분이다. 또한 스피커 수용부(45)는 검출부 본체(4)와 표면 케이스(22)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할 스피커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하측(-Z방향)에서 상측(+Z방향)을 향해 융기되어 있는 부분이다. 또한 소자 커버(46)는 회로부(5)에서의 후술하는 발광부(52) 및 수광부(53)를 상측(+Z방향)에서 덮고 발광부(52) 및 수광부(53)에 먼지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융기부(43)에서의 배치 오목부(431)에 형성된 것이며, 회로부(5)에서의 후술하는 발광부(52) 및 수광부(53)와 도 4의 검출 공간(34) 사이의 광로를 형성하기 위한 광로 구멍을 가진다.
(구성 - 회로부)
다음으로 도 19는 회로부의 저면도이고, 도 20은 회로부의 평면도이고, 도 21은 회로부의 정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의 회로부(5)는 경보를 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형성하는 회로 수단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회로 기판(51), 발광부(52), 수광부(53), 실드(54), 스위치(55) 및 전원 커넥터(CN1)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51)은 경보 장치(100)의 각 소자가 실장되는 실장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상측(+Z방향)의 실장면(이하, 상측 실장면) 또는 하측(-Z방향)의 실장면(이하, 하측 실장면)에 각 소자가 솔더 등을 이용해서 실장되도록 소정 위치에 스루 홀 및 상기 스루 홀을 둘러싼 단자 등이 마련되어 있다. 발광부(52)는 발광하는 발광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52)보다 상측(+Z방향)에 마련되는 검출 공간(34)을 향해 발광할 수 있도록 회로 기판(51)의 상측 실장면에 실장되는 소자로서,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이다. 수광부(53)는 발광부(52)에 의해서 발광된 빛이 연기 입자에 의해서 산란됨으로써 생기는 산란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수광부(53)보다 상측(+Z방향)에 마련되는 검출 공간(34)에서 나온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회로 기판(51)의 상측 실장면에 실장되는 소자로서, 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이다. 도 21의 실드(54)는 수광부(53)를 전자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차폐 수단이며, 또한 수광부(53)를 회로 기판(51)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회로 기판(51)의 상측 실장면에 실장되는 도전성 소자로서,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된다. 도 19의 스위치(55)는 경보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회로 기판(51)의 하측 실장면에 실장되는 소자로서, 예를 들면 푸시 스위치이다. 도 20의 전원 커넥터(CN1)는 경보 장치(100)에 대해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전원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전지에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로 기판(51)의 상측 실장면에 실장된다.
(구성 - 상세)
다음으로 도 1의 경보 장치(100)에서의 기체 유입에 대한 구성을 한층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222), 도 1의 슬릿(213a, 213b), 도 9의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 검출 공간(34), 및 도 5의 유도 오목부(211a)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성 - 상세 -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 및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
먼저, 도 4의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면 케이스(21)에서의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넓어져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이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은 장착 베이스(1)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면 케이스(21)에서의 높이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외벽)을 형성하는 제1 외벽으로서,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의 외연부에서 외측을 향해 넓어지면서, 하측(-Z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은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에 가까워짐에 따라(즉, 상측(+Z방향)을 향함에 따라)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과 장착 베이스(1)와 설치면(900) 사이에 외부 정체점(P1)이 만들어져 있다. 이처럼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이 경사져 있는" 구성이 제1 외부 유도 수단에 대응한다. 여기서 "외부 정체점"(P1)이란, 기체가 이동하기 어려워져서 머무는 공간으로서, "머물러 있는 기체 이외의 기체"(즉, 이동하고 있는 기체)가 상기 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머물러 있는 기체 이외의 기체"를 상기 외부 정체점(P1) 이외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공간이며, 구체적으로는 경보 장치(100)로 향하는 기류를 고려한 상기 경보 장치(100)의 형상에 기초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기체를 외부 유입 개구(23)에 유도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스(2)의 외부에서 설치면(90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를 외부 유입 개구(23)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구성 - 상세 -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
또한 도 4의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2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케이스(22)에서의 높이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외벽)을 형성하는 제2 외벽으로서, 표면 케이스측 노출벽(221)의 외연부에서 외측을 향해 넓어지면서 상측(+Z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이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222)은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 가까워짐에 따라(즉, 상측(+Z방향)을 향함에 따라) 외측을 향하도록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그리고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222)의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는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의 이면 케이스측 단부(212a)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처럼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가 이면 케이스측 단부(212a)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이 제2 외부 유도 수단에 대응한다. 한편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란, 표면 케이스(22)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로서, 외부 유입 개구(23)측 가장자리이다. 또한 "이면 케이스측 단부"(212a)란, 이면 케이스(21)에서의 외측 가장자리로서, 외부 유입 개구(23)측 가장자리이다.
여기서 이면 케이스측 단부(212a)에 대한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의 위치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가 이면 케이스측 단부(212a)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한, 외부의 기체를 케이스(2)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 성능 및 경보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주는 시각적 인상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예를 들면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가 표면 케이스(22)의 두께분만큼 이면 케이스측 단부(212a)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위치관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을 따라 상측(+Z방향)에서 하측(-Z방향)으로 향하는 기체가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에 닿음으로써, 외부 유입 개구(23)를 향해 유도되므로 기체를 외부 유입 개구(23)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구성 - 상세 - 슬릿)
또한 도 1의 슬릿(213a, 213b)은 외부 유입 개구(23)와 함께 기체를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11의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 마련된다. 이 슬릿(213a, 213b)에 대해서는 외부 기체를 도 1의 케이스(2)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 성능 및 케이스(2)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예를 들면 케이스(2)에서의 외부 유입 개구(23)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즉, 구성품 케이스(616)) 주변의 유도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슬릿(213a, 213b)은 외부 유입 개구(23)에 대하여 직교한 상태에서 외부 유입 개구(23)와 연통되도록, 구성품 케이스(616)의 양측(구체적으로는 구성품 케이스(616)에서의 외측 수용벽(616a)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경보 장치(100)를 중심으로 한 전방위의 기체를 경보 장치(100)에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구성 - 상세 - 이면 케이스의 내부 부재)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한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즉, 구성품 케이스(611~616), 숏 핀(621~623), 롱 핀(631, 632), 방지편(641, 642) 및 리브(651~659))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도 3의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 도 22에서는 도 6의 방충망(33) 및 배치 오목부(431)의 선이 설명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구성 - 상세 - 이면 케이스의 내부 부재 - 구성품 케이스)
도 22의 구성품 케이스(611~6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보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품(구성요소) 중 검출 수단인 도 4의 검출부 커버(3), 검출 공간(34), 검출부 본체(4), 발광부(52) 및 수광부(53) 이외의 구성품을 수용하는 수용 수단(구성요소 수용 수단)이며, 또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다. 한편, 구성품 케이스(613, 614)는 도 6의 나사 보스(224)와 접촉함으로써 표면 케이스(22)와 이면 케이스(21) 사이의 높이 방향(Z방향)의 상대적 위치관계(즉, 도 3의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를 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기도 하다. 도 22로 돌아가서, 구체적으로 구성품 케이스(611)는 전기적 구성요소인 전원 커넥터(CN1)를 수용하는 것이며, 구성품 케이스(612)는 전기적 구성요소인 도시하지 않은 이보(移報, transfer) 커넥터를 수용하는 것이며, 구성품 케이스(613, 614)는 전기적이 아니라 기계적인 구성요소인 고정 나사(613a, 614a)를 수용하는 것이며, 구성품 케이스(615)는 전기적이 아니라 기계적인 구성요소인 도 5의 누름 버튼(223) 일부를 수용하는 것이며, 구성품 케이스(616)는 경보 장치(100)의 전원인 동시에 전기적인 구성요소인 도시하지 않은 전지를 수용하는 구성요소 수용 수단이다. 여기서 "이보 커넥터"란, 연기를 검출했음을 나타내는 이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이보 신호의 출력 필요 여부에 따라 마련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예를 들면 이보 커넥터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고정 나사"(613a, 614a)란, 도 5의 이면 케이스(21)와 표면 케이스(22)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이다. 그리고 이들 구성품 케이스(611~616)에 대해서는 구성품의 위치, 크기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경보 장치(100)를 중심으로 한 전방위의 기체를 적절히 경보 장치(100)에 유입시킨 후에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도록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장착 후크(11)를 이용해서 도시하지 않은 "벽 설치면"에 경보 장치(100)가 장착된 경우의 상기 경보 장치(100)의 중심 등을 고려하여, 도 22의 구성품 케이스(616)는 장착 후크(11)측(즉 -X방향) 끝에 마련된다. 그리고 구성품 케이스(616)의 외측 수용벽(616a)(제1 부분)이 케이스(2) 외벽(구체적으로는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의 일부를 형성하게 되어, 구성품 케이스(616)의 내측 수용벽(616b)(제2 부분)이 기체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 구성품 케이스(616)는 구성품 케이스(611~616) 중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 형상을 보인다. 또한, 구성품 케이스(616)의 Z방향에서의 높이는 도 5의 경보 장치(100)가 조립된 경우에 구성품 케이스(616)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단부 또는 면)가 검출부 본체(4)에 접촉(또는 접근)하여, 검출부 본체(4)와 함께 기체 유로를 구획하도록 검출부 본체(4)의 형상에 대응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한편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 중 "구성품 케이스(616)" 이외의 것의 Z방향 높이에 대해서도 구성품 케이스(616)와 마찬가지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구성품 케이스(611)는 구성품 케이스(611)에 수용되는 구성품의 위치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구성품 케이스(616) 근방의 위치이면서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에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며, 또한 리브(651)를 통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구성품 케이스(612)는 구성품 케이스(612)에 수용되는 구성품의 위치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구성품 케이스(611) 근방의 위치이면서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에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직사각형 형상을 보이며, 또한 리브(652)를 통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구성품 케이스(613, 614)는 구성품 케이스(613, 614)에 수용되는 구성품의 위치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검출 공간(34)을 사이에 끼고 서로 반대측 위치이면서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에서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또한 원형상을 보이며, 또한 리브(654, 659)를 통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구성품 케이스(615)는 구성품 케이스(615)에 수용되는 구성품의 위치 및 형상 등을 고려하여 검출 공간(34)을 사이에 끼고 구성품 케이스(616)와는 반대측 위치이며,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에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직사각형 형상을 보인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케이스(2) 내부는 전기적 구성품(전기적 구성요소)을 수용하는 구성품 케이스(611, 612, 616)가 마련되어 있으며, 구성품 케이스가 비교적 밀집되어 마련되는 한쪽 배치영역(도 22의 이점 쇄선을 경계로 한 도면 좌측 영역)(전기적 구성요소 배치영역)과, 구성품 케이스(611, 612, 616)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구성품 케이스가 그다지 밀집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 배치영역(도 22의 이점 쇄선을 경계로 한 도면 우측 영역)(전기적 구성요소 비배치영역)으로 나뉘게 된다.
(구성 - 상세 - 이면 케이스의 내부 부재 - 숏 핀)
숏 핀(621~6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구성품 케이스(611~623)에서 검출 공간(34)을 향해 돌출해서 연장되는 돌편으로서, 제2 유도편이다. 이러한 숏 핀(621~623)에 대해서는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의 구성에 기인한 기류를 고려하여 임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경보 장치(100)를 중심으로 한 전방위의 기체를 적절히 경보 장치(100)에 유입시킨 후에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도록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23은 도 22의 영역(Ar1)의 확대도이다. 예를 들면 도 23의 숏 핀(621~623)은 숏 핀(621~623)에서의 검출 공간(34)측 선단이 래버린스(32)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가 되고, 상기 선단이 내부 유입 개구(35a~35c) 근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구성 - 상세 - 이면 케이스의 내부 부재 - 롱 핀)
도 22의 롱 핀(631, 6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리브(657, 659)(즉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연장되는 돌편(제1 유도편)으로서, 숏 핀(621)보다 충분히 길다. 이러한 롱 핀(631, 632)에 대해서는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 구성에 기인한 기류를 고려하여 임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경보 장치(100)를 중심으로 한 전방위의 기체를 적절히 경보 장치(100)로 유입시킨 후,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도록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롱 핀(631, 632)은 "다른 쪽 배치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도 23의 롱 핀(631, 632)에서의 검출 공간(34)측 선단이 래버린스(32)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가 되고, 상기 선단이 내부 유입 개구(35d, 35e)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롱 핀(631)은 래버린스(32d)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고, 즉 래버린스(32d)의 연장선상에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롱 핀(632)은 래버린스(32e)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구성 - 상세 - 이면 케이스의 내부 부재 - 방지편)
도 22의 방지편(641, 6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며, 또한 슬릿(213a, 213b)을 통해 내부에 유입되는 기체에 포함된 먼지가 검출 공간(34)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수단이며, 또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다. 이러한 방지편(641, 642)에 대해서는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 및 슬릿(213a, 213b)의 구성에 기인한 기류를 고려하여 임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구성품 케이스(616) 주변의 기체를 적절히 경보 장치(100)에 유입시킨 후,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으면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방지편(641, 642)은 슬릿(213a, 213b)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구체적으로는 구성품 케이스(616)의 내측 수용벽(616b)에서의 검출 공간(34)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에서, 상기 내측 수용벽(616b)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검출 공간(34)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구성 - 상세 - 이면 케이스의 내부 부재 - 리브)
도 22의 리브(651~659)(한편, 리브(655)에 대해서는 도 9 참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며, 또한 이면 케이스(21)를 보강하는 보강 수단이다. 또한 리브(651~659)는 도 6의 이면 케이스(21)에 대해 표면 케이스(22)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 지지 수단이며, 또한 표면 케이스(22)와 이면 케이스(21) 사이의 높이 방향(Z방향)의 상대적 위치관계(즉, 도 3의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를 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이다. 또한 리브(651~659)는 도 4의 외부 유입 개구(23) 및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검출 공간(34)에 이르는 기체 유로를 구획하는 유입 구획 수단이다. 여기서 "이면 케이스(21)에 대해 표면 케이스(22)를 고정 지지한다"란,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 상호간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이들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를 서로 고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높이 방향(Z방향), 또는 설치면(900)을 따르는 방향(XY 평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 상호간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이들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를 서로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도 22의 리브(651~659)에 대해서는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의 구성에 기인한 기류, 이면 케이스(21)의 강도 및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을 고려하여 임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경보 장치(100)를 중심으로 한 전방위의 기체를 적절히 경보 장치(100)에 유입시킨 후,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고 이면 케이스(21)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 도 3의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이 "3~5(mm)"가 되도록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리브(651~659)는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이면 케이스(21)의 내부를 향해 소정 길이(예를 들면 1~2(cm))만큼 연장되어 있다. 특히 리브(651~659) 중에서 리브(651, 652, 654, 659)는 이들 리브(651, 652, 654, 659)에서의 내측(검출 공간(34)측) 단부가 구성품 케이스(611~614)에 이를 때까지 연장되어 구성품 케이스(611~614)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4의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케이스(2) 내부로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확실히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리브(65)(리브(651~659)의 총칭)는 경보 장치(100)를 조립하는 경우에 검출부 본체(4)의 플랜지부(41)에서의 위치 결정 오목부(411)에 접촉하도록, 하측(-Z방향)을 향해(즉 표면 케이스(22)를 향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보다 하측(-Z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면 케이스(21)를 보강하면서 경보 장치(100)에서 검출부 본체(4)를 확실하게 고정한 후,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구성 - 상세 - 검출 공간)
도 24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4, 24의 검출 공간(3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기를 검출하는 공간으로서, 경보 장치(100)에 의해서 검출되는 연기가 존재하는 공간이며,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 내부에서 검출부 커버(3) 및 검출부 본체(4)에 의해서 구획되어 형성되는 공간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이 검출 공간(34)에 대해서는 도 6의 검출부 본체(4)의 융기부(43)에 대해 검출부 커버(3)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검출 공간(34)의 어느 부분도 외부 유입 개구(23)에 위치하는 일 없이 검출 공간(34) 모두가 외부 유입 개구(23)보다 상측(+Z방향)에 마련되도록(즉, 검출 공간(34)의 모든 부분이 외부 유입 개구(23)의 가장 상측(+Z방향) 끝부분보다도 더욱 상측(+Z방향)에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검출 공간(34)으로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먼지, 외란광 등이 검출 공간(34)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경보 장치(100)에 의한 연기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검출 공간(34)은 검출부 커버(3)의 천장판(31), 래버린스(32) 및 검출부 본체(4)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 중, 검출부 본체(4)의 차광판(431a)의 상측(+Z방향) 단부보다 더욱 상측(+Z방향)에 존재하는 공간이다. 여기서 "차광판"(431a)이란, 차광하는 차광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발광부(52)에 의해서 발광된 빛이 수광부(53)에 직접 입사하지 않도록 발광부(52)에 의해서 발광된 빛을 차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측(+Z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차광판(431a)은 예를 들면 차광판(431a)의 상측(+Z방향) 단부의 높이가 검출부 본체(4)의 융기부(43)에서의 배치 오목부(431) 이외의 부분인 평면부(432)에서의 상측(+Z방향) 면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 공간(34)에 대해서는 도 6의 검출부 본체(4)의 융기부(43)에 대해 검출부 커버(3)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23의 검출 공간(34)의 어느 부분도 외부 유입 개구(23)에 위치하는 일 없이 검출 공간(34) 모두가 외부 유입 개구(23)보다 상측(+Z방향)에 마련되도록(즉, 검출 공간(34)의 모든 부분이 외부 유입 개구(23)의 가장 상측(+Z방향)의 끝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도 23에 편의상 그려진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2점 쇄선 중 상측 2점 쇄선보다 더욱 상측(+Z방향)에 마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검출 공간(34)에 외란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함으로써 오검출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연기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어 연기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란"이란,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 이외의 대상이며 구체적으로는 경보 장치(100)에서 오검출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대상이며, 예를 들면 먼지, 수증기 또는 외란광 등이다. 또한 "오검출"이란, 피검출 물질을 잘못 검출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로 잘못 알고 외란을 검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도 23의 검출 공간(34)에 비교적 대량의 외란이 침입했을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현상이다.
(구성 - 상세 - 이면 케이스의 오목부)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이면 케이스(21)의 유도 오목부(211a)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도 4의 영역(Ar2)의 확대도이다. 도 5의 유도 오목부(211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검출 공간(34)에 대해 기체를 유도하는 유도 수단이며, 또한 검출부 커버(3)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211)에서의 하측(-Z방향) 면에서, 하측(-Z방향)에서 상측(+Z방향)을 향해 움푹 패어 있는 부분이고, 도 25의 검출부 커버(3)의 천장판(31)보다 직경이 큰 부분이며, 대향면(211b, 211c)을 갖는 부분이다. 이 대향면(211b, 211c)은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내부 유도 수단이며, 구체적으로는 검출부 커버(3)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천장판(31) 등)와 대향하는 면으로서, 검출부 커버(3)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가 되도록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검출부 커버(3)에서 떨어져 있는 부분이다. 대향면(211b)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도 오목부(211a)에서의 하측(-Z방향) 면에서 높이 방향(Z방향)에 있어서 하측(-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대향면(211c)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향면(211b)에서 연속되어 있고, 장착 베이스(1)에서 떨어짐에 따라(즉, 하측(-Z방향)을 향함에 따라) 외측을 향하도록 방충망(33) 및 래버린스(32)에 대해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특히 대향면(211b)이 검출부 커버(3)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대향면(211b)과 검출부 커버(3)의 일부(예를 들면 천장판(31)) 사이에 내부 정체점(P2)이 만들어져 케이스(2) 내부를 이동하는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내부 정체점"(P2)이란, 기체가 이동하기 어려워져 머무는 공간으로서, "머물러 있는 기체 이외의 기체"(즉, 이동하고 있는 기체)가 상기 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머물러 있는 기체 이외의 기체"를 상기 내부 정체점(P2) 이외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공간이며,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 내부의 기류를 고려한 상기 케이스(2) 내부의 형상에 기초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공간이다.
(조립 방법)
다음으로 경보 장치(100)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6에서 회로부(5)의 회로 기판(51)에 대해 각 소자를 실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 지그에 회로 기판(51)을 배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솔더 등을 이용해서 각 소자를 실장한다.
다음으로 검출부 본체(4)에 대해 검출부 커버(3)를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배치 오목부(431)에 검출부 커버(3)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누름 버튼(223) 및 회로 기판(51)을 표면 케이스(22)에 배치하고, 또한 검출부 커버(3)가 배치된 검출부 본체(4)를 표면 케이스(22)에 배치한다. 검출부 본체(4)의 배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로 기판(51)의 발광부(52) 및 수광부(53)가 검출부 본체(4)의 소자 커버(46)에 의해 적절하게 덮이면서, 검출부 본체(4)의 위치 결정 오목부(411)가 표면 케이스(2)의 지지부(225)에 지지되도록(올려놓이도록) 배치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52)는 천장판(31)측(즉 상측(+Z방향))을 향해 발광하고, 수광부(53)는 천장판(31)측에서 나온 산란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이면 케이스(21)를 표면 케이스(22)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이면 케이스(21)의 구성품 케이스(613, 614)가 검출부 본체(4)의 삽입 통과 구멍(47)을 통해 도 6의 표면 케이스(22)의 나사 보스(224)와 대향하여 접촉하면서, 이면 케이스(21)의 리브(65)가 검출부 본체(4)의 위치 결정 오목부(411) 내에 마련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이면 케이스(21)를 표면 케이스(22)에 고정하여 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나사(613a, 614a)를 이면 케이스(21)의 구성품 케이스(613, 614)로 통하는 삽입 통과 구멍(613b, 614b)에 삽입 통과시키고, 삽입 통과한 고정 나사(613a, 614a)를 이용해서 도 5의 구성품 케이스(613, 614)와 도 6의 나사 보스(224)를 서로 나사식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 경우 검출부 본체(4)의 위치 결정 오목부(411)는 표면 케이스(22)의 지지부(225)와 이면 케이스(21)의 리브(65)에 의해서 끼워져서 고정된다. 또한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가 리브(65)에 의해서 서로 고정 지지되게 된다(즉, 이면 케이스(21)에 대해 표면 케이스(22)가 고정 지지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유입 개구(23)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경보 장치(100)의 조립이 종료된다. 또한 도 6의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가 리브(65)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의 높이 방향(Z방향) 및 설치면(900)을 따른 방향(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도 6의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가 리브(65)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고정 지지되게 된다. 먼저, 높이 방향(Z방향)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나사(613a, 614a)를 나사 보스(224)와 나사식 결합시켰을 경우, 이면 케이스(21)의 리브(65)가 검출부 본체(4)(구체적으로는 검출부 본체(4)의 위치 결정 오목부(411))를 통해 표면 케이스(22)에 밀어붙여지게 되므로 높이 방향(Z방향)에서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게 되어, 이들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가 높이 방향(Z방향)에서 간접적으로 고정 지지되게 된다. 또한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나사(613a, 614a)를 나사 보스(224)와 나사식 결합시켰을 경우, 이 고정 나사(613a, 614a)가 검출부 본체(4)의 삽입 통과 구멍(47)을 삽입 통과하게 되므로 검출부 본체(4)가 표면 케이스(22)에 대해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면 케이스(21)의 리브(65)가 이 고정되어 있는 검출부 본체(4)의 위치 결정 오목부(411) 내에 마련되므로,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리브(65)가 위치 결정 오목부(411)의 끝에 걸려서 상기 위치 결정 오목부(411)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게 되어, 이들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가 XY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 간접적으로 고정 지지되게 된다.
(설치 방법)
다음으로 경보 장치(100)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장착 베이스(1)를 도 4의 설치면(90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설치면측 대향면(12B)을 설치면(900)과 대향시킨 상태에서 도 6의 나사 구멍(121)을 통해, 장착 나사를 설치면(900)에 나사식 결합시킴으로써 장착 베이스(1)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조립 방법"에 의해서 조립된 도 4의 경보 장치(100)의 케이스(2)를 장착 베이스(1)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장착 베이스(1)의 걸어맞춤부(122)에 대해 도 6의 이면 케이스(21)의 걸어맞춤부(214)를 걸어맞춤으로써 케이스(2)를 장착한다. 이렇게 해서 경보 장치(100)의 설치가 종료된다.
(기체의 유도)
다음으로 이와 같이 조립되어 설치된 경보 장치(100)에서의 기체 유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도 4에서 기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도 22에서 기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8은 도 22의 슬릿(213a, 213b) 주변의 확대도에서 기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한편, 이들 각 도면의 화살표 F1~F5, F21 및 F22는 연기를 포함한 기체가 흐르는 방향(즉, 기류 방향)에 대한 소정의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 등의 결과에 근거한 기류 방향을 예시하는 것이다. 경보 장치(100)는 케이스(2) 외부의 모든 방향에서 설치면(900)을 따라서 이동하는 기체를 경보 장치(100) 내부에 유도할 수 있고, 또한 숏 핀(621~623) 및 롱 핀(631, 632)을 포함한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 등을 이용해서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예를 들면 도 26~도 28의 화살표 F1~F5, F21 및 F22를 따라서 유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의 화살표 F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면(90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는 외부 정체점(P1)에 의해서 이동 방향이 설치면(900)을 따른 방향에서 외부 유입 개구(23)를 향한 방향으로 변경되어 외부 유입 개구(23)에 유도된다. 이 경우,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가 이면 케이스측 단부(212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외부 정체점(P1)에 의해서 유도된 기체는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에서의 상측(+Z방향) 선단(선단면)에 닿아 외부 유입 개구(23)를 통해 케이스(2) 내부에 확실하게 유도되게 된다. 이후, 케이스(2) 내부에 유도된 기체는 검출부 본체(4)의 플랜지부(41)를 따라서 내측으로 유도된 뒤 검출부 본체(4)의 경사부(42)를 따라서 내부 정체점(P2)측에 유도된다. 그리고 이후 내부 정체점(P2)측에 유도된 기체는 내부 정체점(P2)에 의해서 검출 공간(34)에 유도되게 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 본체측 단부(400a)가 내측에서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에 접촉해 있으므로, 도 26의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케이스(2)에 유입된 기체가 검출부 본체(4)와 표면 케이스(22) 사이에 들어가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어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케이스(2)에 유입된 기체를 내부 정체점(P2)측(즉, 검출 공간(34)측)에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기체 중의 먼지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연기 입자보다 크고 무겁기 때문에 경사부(42)에 머물러 검출 공간(34)에는 도달하지 않게 된다. 즉, 먼지가 검출 공간(34)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체(구체적으로는 연기 입자)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7의 화살표 F2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체는 예를 들면 도 26에서 자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 내부에 유입된 뒤, 도 27의 구성품 케이스(614), 롱 핀(632)을 따라서 롱 핀(632)에서의 래버린스(32e)측 선단까지 유도된다. 이 경우 케이스(2)에 대한 기체 유입으로 인해 케이스(2)의 내압이 상승하는데, 롱 핀(632)의 상기 선단이 래버린스(32e)를 포함한 래버린스(32) 전체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영역(Ar3)에서 롱 핀(632)의 상기 선단과 래버린스(32) 사이의 틈(개구)을 통해 기체가 이동하게(흘러가게) 됨으로써, 예를 들면 롱 핀(632)의 선단까지 유도된 전술한 기체는 화살표 F21이 나타내는 방향 및 화살표 F22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유도되고, 검출 공간(34)에 확실히 유도되게 된다.
또한 도 27의 화살표 F3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체는 롱 핀(631)을 따라서 롱 핀(631)에서의 래버린스(32d)측 선단까지 유도되는데, 이 경우 롱 핀(631)이 래버린스(32d)의 연장선상에서 연장되어 있으므로, 롱 핀(631)의 상기 선단까지 유도된 기체는 래버린스(32d)를 따른 방향으로 기체가 유도되어 검출 공간(34)에 확실하게 유도된다.
또한 도 28의 화살표 F4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체는 경보 장치(100)의 외부에서 외측 수용벽(616a)에 닿는데, 슬릿(213a)을 통해 경보 장치(100) 내부에 유도된 후 방지편(641)에 의해서 이동하는 방향이 바뀐 뒤, 구성품 케이스(611) 및 구성품 케이스(616)의 내측 수용벽 사이에 유도된 뒤 검출 공간(34)에 확실하게 유도되게 된다. 이 경우 방지편(641)에 의해 기체 중의 먼지가 막아내지므로 검출 공간(34)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8의 화살표 F5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체는 경보 장치(100)의 외부에서 외측 수용벽(616a)에 닿는데, 슬릿(213b)을 통해 경보 장치(100) 내부에 유도된 후 방지편(642)에 의해서 이동하는 방향이 바뀐 뒤, 구성품 케이스(614) 및 롱 핀(632)을 따라 검출 공간(34)에 확실하게 유도되게 된다. 이 경우 방지편(642)에 의해서 기체 중의 먼지가 막아내지므로 검출 공간(34)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성의 상세에 대응하는 효과)
전술한 구성의 상세에서 설명한 것에 의해, 도 4의 경보 장치(100)를 중심으로 한 전방위의 기체를 경보 장치(100)에 유입시킨 뒤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할 수 있어 연기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52)가 천장판(31)측(즉 상측(+Z방향))을 향해 발광하고, 수광부(53)가 천장판(31)측의 산란광을 수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먼지가 퇴적되지 않는 측(즉 상측(+Z방향))을 향해 발광하므로, 퇴적된 먼지로 인해 뜻하지 않은 반사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뜻하지 않은 반사광이 수광부(53)에 수광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보 장치(100)에 의한 연기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케이스(22) 및 이면 케이스(21) 각각을 Z방향에서 분할되는 금형을 이용해서 성형(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경보 장치(100)의 케이스(2) 제조에서 XY 평면을 따른 방향으로 틀로 모양 내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경보 장치(100)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의 이면 케이스(21)를 장착 베이스(1)보다 직경을 크게 하면서 또한 표면 케이스(22)를 이면 케이스(21)보다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도 3의 경보 장치(100)를 설치면(900)에 장착했을 경우에 주로 표면 케이스(22)가 사용자에게 시인됨으로써 경보 장치(100)를 시인한 사용자에 대해 심플하고 스마트한 인상을 줄 수 있게 된다(즉, 경보 장치(100)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 및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222)을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함으로써 시각적 효과를 이용해서 경보 장치(100)를 시인한 사용자에 대해 얇고 스마트한 인상을 줄 수 있게 된다(즉, 경보 장치(100)의 의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4의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이 경사져 있는 것, 또는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가 이면 케이스측 단부(212a)보다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설치면(90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를 케이스(2) 내부로 유도하므로, 예를 들면 설치면(90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의 케이스(2) 내부로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외부 정체점(P1)이 형성되므로, 예를 들면 설치면(90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의 외부 유입 개구(23)를 통한 케이스(2) 내부로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을 넓히지 않고 케이스(2) 내부로의 기체 유입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2)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외부 유입 개구(23)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외부 유입 개구(23)에 바형상 보강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을 넓힐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을 비교적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경보 장치(100)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기체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부품 등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보 장치(100)의 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가 이면 케이스측 단부(212a)보다 외측에 배치되므로, 예를 들면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를 이용해서 외부 유입 개구(23)에 기체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2) 내부로의 기체 유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기체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더욱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이 상측(+Z방향)을 향함에 따라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경보 장치(100)의 외관에 대한 시각적 효과를 이용해서 경보 장치(100)를 시인하는 사용자에게 얇고 콤팩트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도 5의 이면 케이스(21)의 직경이 장착 베이스(1)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경보 장치(100)를 도 3의 설치면(900)에 장착했을 경우에, 장착 베이스(1)가 노출되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경보 장치(100)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5의 대향면(211b)이, 케이스(2) 내부를 이동하는 기체를 검출 공간(34)으로 유도하므로, 예를 들면 케이스(2) 내부를 이동하는 기체의 검출 공간(34)으로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어 기체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더욱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3의 내부 유입 개구(35)의 크기를 넓히지 않고 검출 공간(34)으로의 기체 유입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내부 유입 개구(35)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어, 먼지가 검출 공간(34)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검출 공간(34)으로의 먼지 침입에 근거한 오보(즉, 피검출 물질의 오검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오검출"이란, 피검출 물질을 잘못 검출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로 잘못 알고 먼지 등을 검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도 4의 검출 공간(34)에 비교적 대량의 먼지가 침입했을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현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5의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유입된 기체를 도 23의 내부 유입 개구(35)측으로 유도하는 도 22의 숏 핀(621~623) 및 롱 핀(631, 632)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 25의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유입된 기체의 도 22의 검출 공간(34)으로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도 23의 숏 핀(621~623) 및 롱 핀(631, 632)의 내부 유입 개구(35)측 선단을 래버린스(32)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유입된 기체를 롱 핀(632)의 선단과 래버린스(32e)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체가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더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숏 핀(621~623) 및 롱 핀(631, 632)의 선단이 내부 유입 개구(35)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기체를 숏 핀(621~623) 및 롱 핀(631, 632)을 따라 내부 유입 개구(35) 근방까지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가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더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롱 핀(631)이 래버린스(32d)의 연장선상에서 도 25의 외부 유입 개구(23)측에서 도 23의 내부 유입 개구(35d)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기체를 롱 핀(631) 및 래버린스(32d)를 따라서 검출 공간(34)까지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가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연장되어 있는 롱 핀(631, 632)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 25의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유입된 기체가 도 22의 검출 공간(34)에 도달하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가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롱 핀(631, 632)이 도 22의 "다른 쪽 배치영역"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비교적 넓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기체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가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구성품 케이스(611~613)에서 연장되어 있는 숏 핀(621~623)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구성품 케이스(611~613)에 의해서 기체가 흐르기 어렵게 되어 있는 위치에서 기체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가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23의 검출 공간(34)이 검출 공간(34)의 어느 부분도 외부 유입 개구(23)에 위치하지 않고 외부 유입 개구(23)보다 도 3의 설치면측 대향면(12B)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 25의 외부 유입 개구(23)를 통해 케이스(2) 내부에 침입하는 외란을 검출 공간(34)에 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경보 장치(100)에서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하는 도 25의 검출부 본체(4)가 도 3의 설치면측 대향면(12B)을 따른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도 25의 경사부(42)를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외부 유입 개구(23)를 통해 케이스(2) 내부에 침입하는 외란을 막아낼 수 있기 때문에 경보 장치(100)에서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검출부 본체(4)가 검출 공간(34)에 기체를 유도하므로 검출 공간(34)으로 기체를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검출부 본체(4)가 외부 유입 개구(23)와 검출 공간(34) 사이에서 기체 유로가 형성되도록 검출 공간(34)측에서 외부 유입 개구(23)측까지 넓어져 있으므로, 예를 들면 외부 유입 개구(23)를 통해 케이스(2)에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확실히 유도할 수 있으므로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3의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가 이면 케이스(21)와 표면 케이스(22) 사이에 외부 유입 개구(23)로서의 틈이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를 서로 결합했을 경우에 외부 유입 개구(23)도 동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유입 개구(23)를 형성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한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케이스(2)를 형성하는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경보 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리브(651~659)가 도 4의 외부 유입 개구(23) 및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검출 공간(34)에 이르는 기체 유로를 구획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구획되어 있는 외부 유입 개구(23) 및 유로를 통해 기체를 의도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2)에 유입된 기체가 검출 공간(34)에 도달하지 않고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리브(65)(리브(651~659)의 총칭)가 이면 케이스(21)에 대해 표면 케이스(22)를 고정 지지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이면 케이스(21) 및 표면 케이스(22) 상호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경보 장치(100)의 강도를 한층 더 강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체를 도 1의 케이스(2) 내부에 유입시키는 슬릿(213a, 213b)이, 외부 유입 개구(23)에 대하여 직교한 상태에서 외부 유입 개구(23)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케이스(2) 외부의 기체를 외부 유입 개구(23)뿐만 아니라 슬릿(213a, 213b)을 통해 케이스(2)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2) 내부로의 기체 유입을 촉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을 넓히지 않고 케이스(2) 내부로의 기체 유입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2)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외부 유입 개구(23)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외부 유입 개구(23)에 바형상 보강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을 넓힐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 유입 개구(23)의 폭을 비교적 좁게 할 수 있으므로 경보 장치(100)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기체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부품 등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보 장치(100)의 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방지편(641, 642)이 도 1의 케이스(2) 내부에서 도 22의 슬릿(213a, 213b)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방지편(641, 642)에 의해서 기체 중의 먼지가 막아내지기 때문에 먼지가 검출 공간(34)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슬릿(213a, 213b)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의 구성품 케이스(616)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의 도 1의 외부 유입 개구(23)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즉, 구성품 케이스(616)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 주변에서 기체 유입을 촉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구성품 케이스(616)가 도시하지 않은 전지를 수용하므로 예를 들면 구성품 케이스(616)의 사이즈를 비교적 크게 구성하는 것을 요하는 점에서,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비교적 긴 거리에 걸쳐 도 1의 외부 유입 개구(23)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의 주변에서 기체 유입을 촉진할 수 있어,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체를 도 4의 외부 유입 개구(23)측에서 도 22의 검출 공간(34)측에 유도하므로, 예를 들면 도 4의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유입된 기체가 도 22의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출 물질(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기)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하는 경보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구성품 케이스(611~616)가 유도 수단으로서 기능하므로, 예를 들면 기체를 유도하기 위한 전용 부품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보 장치(100)의 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경보 장치(100)의 제공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구성품 케이스(616)의 외측 수용벽(616a)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구성품 케이스(616) 자체를 도 4의 케이스(2)의 외측 근처 위치에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2) 내부에서 도 22의 검출 공간(34) 주변에, 기체를 유도하기 위해 충분한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도 4의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유입된 기체가 도 22의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구성품 케이스(611~614)와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을 결합하는 리브(651, 652, 654, 659)를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리브(651, 652, 654, 659) 및 구성품 케이스(616~614)를 따라 기체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도 4의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유입된 기체가 도 22의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구성품 케이스(611~614)에서 검출 공간(34)을 향해 돌출하는 숏 핀(621~623), 롱 핀(632)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구성품 케이스(611~614) 및 숏 핀(621~623), 롱 핀(632)을 따라서 기체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도 4의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유입된 기체가 도 22의 검출 공간(34)으로 유입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예]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수단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각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및 개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해결하려는 과제나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먼저,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나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실시환경이나 구성의 상세에 따라서 달라질 가능성이 있으며 전술한 과제의 일부만 해결하거나 전술한 효과의 일부만 발휘하는 경우가 있다.
(분산이나 통합에 대하여)
또한 전술한 구성은 기능 개념적인 것이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필요는 없다. 즉, 각 부의 분산이나 통합의 구체적 형태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임의의 단위로 기능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산 또는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보 장치(100)의 케이스(2)와 장착 베이스(1)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이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이 감시영역의 설치면에 직접 장착되도록 해도 된다.
(이면 케이스의 형상에 대하여)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이 상측(+Z방향)을 향함에 따라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이 상측(+Z방향)을 향함에 따라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4의 외부 정체점(P1)은 만들어지지 않게 되지만, 설치면(900)을 따라 이동하는 기체를 외부 유입 개구(23)에 대해,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을 따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을 경사지게 하지 않고 높이 방향(Z방향)에서 똑바로 연장되도록 구성한 다음, 장착 베이스(1)를 이용해서 이 변형예에서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의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장착 베이스(1)의 두께를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의 높이 방향(Z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하고, 장착 베이스(1)에서의 이면 케이스(21)와 대향하는 측의 직경을 이면 케이스(2)와 동일한 직경으로 설정한 다음, 상측(즉 +Z방향)을 향함에 따라 장착 베이스(1)의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대해 또한, 장착 베이스(1)를 투명하게 함으로써 상기 장착 베이스(1)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해도 된다.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에 대하여 - 1)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를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용할 구성품의 구성(예를 들면 형상, 크기, 개수 및 배치 위치 등), 이면 케이스(21) 자체의 구성(예를 들면 형상, 크기 및 요구되는 강도 등) 및 기류 등에 따라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의 구성(예를 들면 형상, 크기, 개수 및 배치 위치 등)의 생략, 변경 또는 추가 등을 해도 된다. 특히 도 22의 롱 핀(631, 632)에 대해 이들과 동일한 구성의 롱 핀을 1개만 마련해도 되고 3개 이상 마련해도 된다. 또한 롱 핀(631, 632)에 대해 리브(657, 659) 이외의 소정 위치에서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롱 핀(631, 632)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리브(65)가 마련되지 않은 위치에서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되고, 구성품 케이스(611~616)에서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되고,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 및 구성품 케이스(611~616)와 떨어진 위치에서 연장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롱 핀(631, 632)에 대해서는 일직선으로 연장되지 않아도 되며, 구체적으로는 구부러져도 되고 절곡되어도 된다. 또한 숏 핀(621~623)에 대해서는 이들과 동일한 구성인 숏 핀을 1개만 마련해도 되고 2개 마련해도 되고 4개 이상 마련해도 된다. 또한 숏 핀(621~623)에 대해, 구성품 케이스(611~613) 이외의 소정 위치에서 돌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구성품 케이스(614~616)에서 돌출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리브(65)에서 돌출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리브(65)가 마련되지 않은 위치에서 돌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22의 리브(651~659)에 대해, 외부 유입 개구(23) 또는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검출 공간(34)에 이르는 기체 유로 중 외부 유입 개구(23)만 구획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유로만 구획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한편, 유로만 구획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브(651~659)가 도 9의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떨어져서 이면 케이스(21) 내측에 마련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리브(65)(리브(651~659)의 총칭)에서의 XY 평면을 따른 방향의 길이를 적절히 연장하여 래버린스(32) 근방까지 연장시켜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2의 롱 핀(631)을 롱 핀(632)과 같이 구성품 케이스(614)와 동일한 구성인 구성품 케이스에 결합시켜서 마련함으로써, 롱 핀(631)을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돌편으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구성품 케이스(615)를 구성품 케이스(611~614)와 같이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에서 떨어진 위치에 마련하고 또한 유도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돌편을 마련하여, 도 9의 리브(655)를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212)과 구성품 케이스(615)를 결합하는 결합벽으로 이용함으로써 "유도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돌편", 리브(655) 및 구성품 케이스(615)를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으로 사용해도 된다.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에 대하여 - 2)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9의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를 이면 케이스(21)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9의 "이면 케이스(21)의 내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도 6의 검출부 본체(4)와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되고, 이면 케이스(21) 및 검출부 본체(4)와 별체로 형성한 후, 예를 들면 접착제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해서 이면 케이스(21) 또는 검출부 본체(4)에 고정해도 된다.
(리브에 대하여)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65)(리브(651~659)의 총칭)를 이면 케이스(21)에 일체적으로 마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리브(65)를 표면 케이스(22)에 일체적으로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표면 케이스(22)에 마련된 리브(65)는 표면 케이스(22)에 대해 이면 케이스(21)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 지지 수단으로 기능하게 되고, 또한 표면 케이스(22)가 "한쪽 수용 수단"에 대응하고 이면 케이스(21)가 "다른 쪽 수용 수단"에 대응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리브(65) 중 "일부 리브"를 표면 케이스(22)에 일체적으로 마련하고, 리브(65) 중 상기 "일부 리브" 이외의 리브인 "다른 일부 리브"를 이면 케이스(21)에 일체적으로 마련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리브(65)(리브(651~659)의 총칭) 모두가 검출부 본체(4)의 플랜지부(41)에서의 위치 결정 오목부(411)에 접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검출부 본체(4)의 플랜지부(41)에서의 복수의 위치 결정 오목부(411)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 결정 오목부(411)에 대응하는 부분을 잘라내, 플랜지부(41)에서 상기 잘라내져 있는 부분과 대향하는 리브(65)(이하, 대향 리브)가 직접 표면 케이스(22)에 접촉하도록 구성한 다음, 경보 장치(100)가 조립되었을 경우에 "대향 리브"가 표면 케이스(22)에 접촉함으로써 이면 케이스(21)에 대해 표면 케이스(22)를 고정 지지해도 된다.
(검출 공간에 대하여)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검출 공간(34)은 검출 공간(34)의 어느 부분도 외부 유입 개구(23)에 위치하는 일 없이 검출 공간(34) 모두가 외부 유입 개구(23)보다 상측(즉 +Z방향)에 마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의 검출 공간(34)을 검출 공간(34)의 어느 부분도 외부 유입 개구(23)에 위치하는 일 없이 검출 공간(34) 모두가 외부 유입 개구(23)보다 하측(즉 -Z방향)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이 변형예의 경보 장치(100)를 설치면(900)에 장착했을 경우, 및 "벽 설치면"에 장착했을 경우의 양쪽 경우에, 먼지, 외란광 등이 검출 공간(34)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경보 장치(100)에 의한 연기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양쪽 경우에 검출 공간(34)으로 외란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입된 기체를 검출 공간(34)에 유도함으로써 오검출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연기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어 연기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슬릿에 대하여)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의 슬릿(213a, 213b)이 마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슬릿(213a, 213b)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슬릿(이하, 변형예의 슬릿)을 슬릿(213a, 213b) 대신에 1개만 또는 2개 이상 마련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변형예의 슬릿"을 이면 케이스(21) 또는 표면 케이스(22)의 구성품 케이스(616) 양측 이외의 부분에 마련해도 되고, 외부 유입 개구(23)에서 떨어진 위치에(즉, 외부 유입 개구(23)와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마련해도 되고, 상기 외부 유입 개구(23)에 연장되는 방향에 관계 없이 소정 방향(예를 들면, 외부 유입 개구(23)가 연장되는 방향 등)을 따라 마련해도 된다.
(피검출 물질에 대하여)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검출 물질"이 "연기"이고, "경보 장치"가 "화재 경보기(연기 경보기)"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피검출 물질"이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 등의 (유독) 가스이고, "경보 장치"가 "가스 경보기"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검출부 본체에 대하여)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검출부 본체측 단부(400a)가 내측에서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에 접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경보 장치(100)의 부품(예를 들면 검출부 본체(4) 또는 표면 케이스(22))의 교차 등을 고려하여 검출부 본체측 단부(400a)와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서로 약간의 틈(예를 들면 수 밀리미터 등)을 두고 떨어진 상태에서 근접하는 것에 대해서도 허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약간의 틈이 검출부 본체측 단부(400a)와 표면 케이스측 단부(222a)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케이스(2) 외부에서 케이스(2) 내부로 외부 유입 개구(23)를 통한 기체 유입 촉진이 확인될 경우, 예를 들면 검출부 본체(4)와 표면 케이스(22) 사이로 상기 틈을 통한 기체 이동에 기초해서 일어나는, 케이스(2) 내압의 저하로 인한 기체 유입 촉진 정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틈이 명시적으로 마련되도록 경보 장치(100)를 구성해도 된다.
(내부 정체점에 대하여)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5의 대향면(211b)과 검출부 커버(3)의 일부(예를 들어 천장판(31)) 사이에 내부 정체점(P2)이 만들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의 케이스(2) 내부에 유입된 기체의 유입량 및 속도에 따라, 도 25의 대향면(211b, 211c)과 검출부 커버(3)의 일부(예를 들면 천장판(31)(방충망(33)을 통한) 래버린스(32)) 사이에 내부 정체점(P2)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어, 이 경우에도 만들어진 내부 정체점(P2)에 의해서 기체가 검출 공간(34)으로 유도될 수 있다.
(경보 장치의 장착에 대하여)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경보 장치(100)가 설치면(900)에 장착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경보 장치(100)가 도시하지 않은 "벽 설치면"에 장착되어도 되고, 이 경우에도 경보 장치(100)가 설치면(900)에 장착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케이스의 개구에 대하여)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케이스(2)에는 도 3에 도시한 외부 유입 개구(23) 이외에는 아무런 개구를 마련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도 23에서 Y방향을 따라 연장된 2개의 2점 쇄선 중 상측(+Z방향)의 2점 쇄선보다 상측(+Z방향)에는 아무런 개구를 마련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1 장착 베이스
2 케이스
3 검출부 커버
4 검출부 본체
5 회로부
11 장착 후크
12 본체부
12A 케이스측 대향면
12B 설치면측 대향면
21 이면 케이스
22 표면 케이스
23 외부 유입 개구
31 천장판
32 래버린스
32d 래버린스
32e 래버린스
33 방충망
34 검출 공간
35 내부 유입 개구
35a 내부 유입 개구
35b 내부 유입 개구
35c 내부 유입 개구
35d 내부 유입 개구
35e 내부 유입 개구
41 플랜지부
42 경사부
43 융기부
44 검출부 본체 잘림부
45 스피커 수용부
46 소자 커버
47 삽입 통과 구멍
51 회로 기판
52 발광부
53 수광부
54 실드
55 스위치
65 리브
100 경보 장치
111 나사 구멍
121 나사 구멍
122 걸어맞춤부
211 이면 케이스측 대향벽
211a 유도 오목부
211b 대향면
211c 대향면
212 이면 케이스측 외주벽
212a 이면 케이스측 단부
213a 슬릿
213b 슬릿
214 걸어맞춤부
221 표면 케이스측 노출벽
222 표면 케이스측 외주벽
222a 표면 케이스측 단부
223 누름 버튼
224 나사 보스
225 지지부
400a 검출부 본체측 단부
411 위치 결정 오목부
431 배치 오목부
611 구성품 케이스
612 구성품 케이스
613 구성품 케이스
613a 고정 나사
613b 삽입 통과 구멍
614 구성품 케이스
614a 고정 나사
614b 삽입 통과 구멍
615 구성품 케이스
616 구성품 케이스
616a 외측 수용벽
616b 내측 수용벽
621 숏 핀
622 숏 핀
623 숏 핀
631 롱 핀
632 롱 핀
641 방지편
642 방지편
651 리브
652 리브
653 리브
654 리브
655 리브
656 리브
657 리브
658 리브
659 리브
900 설치면
Ar1 영역
Ar2 영역
Ar3 영역
CN1 전원 커넥터
F1 화살표
F2 화살표
F3 화살표
F4 화살표
F5 화살표
F21 화살표
F22 화살표
P1 외부 정체점
P2 내부 정체점

Claims (28)

  1. 설치 대상물의 설치면에 장착되는 경보 장치로서, 상기 설치면과 대향하는 장착면을 갖는 경보 장치이며,
    기체에 포함된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을 수용하는 수용 수단; 및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로 유도하는 유도 수단;을 구비하는 경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로 유도하는 외부 유도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제1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외부 유도 수단은 상기 설치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기체를, 상기 제1 유입 개구를 통해 상기 수용 수단 내부에 유입시키는 경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외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유입 개구는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외벽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유도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유도하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간이, 상기 외벽에서의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 일부인 제1 외벽과 상기 설치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외벽을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제1 외부 유도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보 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외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유입 개구는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외벽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유도 수단은 상기 외벽에서의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 일부인 제1 외벽의 단부보다, 상기 외벽에서의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과는 반대측 일부인 제2 외벽의 단부를,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제2 외부 유도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경보 장치.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벽은 상기 장착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는 경보 장치.
  6.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설치면과 상기 수용 수단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 수단을 상기 설치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수단은 외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유입 개구는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외벽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 일부인 제1 수용 수단과, 상기 제1 유입 개구에 대한 상기 장착면측과는 반대측 일부인 제2 수용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수용 수단의 직경이 상기 장착 수단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보 장치.
  7. 청구항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와, 상기 기체를 상기 검출 공간에 유입시키는 제2 유입 개구로서 상기 구획 부재에 마련된 상기 제2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수용 수단 내부에서의 상기 검출 공간 외측에서, 상기 구획 부재에서의 상기 제2 유입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측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를 이동하는 상기 기체를, 상기 제2 유입 개구를 통해 상기 검출 공간에 유도하는 내부 유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유도 수단은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를 이동하는 상기 기체를 상기 제2 유입 개구에 유도하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공간이 상기 대향면과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대향면을 상기 구획 부재에서 떨어뜨려 상기 구획 부재와 비접촉 상태로 함으로써 형성되는 경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제1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과, 상기 기체를 상기 검출 공간에 유입시키는 제2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제1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상기 기체를 상기 제2 유입 개구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편이고,
    상기 유도편의 상기 제2 유입 개구측 선단을 상기 구획벽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로 한 경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도편의 상기 선단은 상기 제2 유입 개구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보 장치.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 개구는 복수의 상기 구획벽 상호간의 틈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도편은 복수의 상기 구획벽 중 적어도 1개의 상기 구획벽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제1 유입 개구측에서 상기 제2 유입 개구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경보 장치.
  11.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편은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에서 연장되어 있는 제1 유도편을 가지고 있는 경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에는 상기 경보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전기적 구성요소 배치영역과, 상기 전기적인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전기적 구성요소 비배치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유도편은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 비배치영역에 마련되는 경보 장치.
  13. 청구항 8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경보 장치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도편은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에서 연장되어 있는 제2 유도편을 가지고 있는 경보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장착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유입 개구로서, 상기 기체를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에 유입시키는 상기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검출 수단은 검출 공간을 가지고 있고, 상기 검출 공간에 존재하는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 수단의 상기 검출 공간은 상기 검출 공간의 어느 부분도 상기 유입 개구에 위치하는 일 없이 상기 유입 개구보다 상기 장착면측에 마련되어 있는 경보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 수단을 배치하는 배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배치 수단은 상기 유입 개구에서 유입된 상기 기체를 상기 검출 수단에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장착면을 따른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경보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배치 수단은 상기 유입 개구와 상기 검출 수단 사이에서 상기 기체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검출 수단측에서 상기 유입 개구측까지 넓어져 있는 경보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을 상기 장착면측에서 덮는 제1 수용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을 상기 장착면의 반대측에서 덮는 제2 수용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수용 수단 및 상기 제2 수용 수단은 상기 제1 수용 수단과 상기 제2 수용 수단 사이에 상기 유입 개구로서의 틈이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경보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유입 개구, 또는, 상기 제1 수용 수단 및 상기 제2 수용 수단 사이에서의 상기 유입 개구에서 상기 검출 수단에 이르는 유도 공간으로서 상기 기체를 상기 검출 수단에 유도하는 상기 유도 공간의 적어도 한쪽을 구획하고 있는 유입 구획 수단을 구비하는 경보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유입 구획 수단은 상기 제1 수용 수단 또는 상기 제2 수용 수단 중 한쪽 수용 수단과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용 수단 또는 상기 제2 수용 수단 중 다른 쪽 수용 수단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 수용 수단에 대해 상기 다른 쪽 수용 수단을 고정 지지하고 있는 경보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 개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기체를 내부에 유입시키는 슬릿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입 개구는 상기 장착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유입 개구에 대하여 직교한 상태에서 상기 유입 개구와 연통되어 있는 경보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포함된 먼지가 상기 검출 수단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방지편은 상기 수용 수단 내부에서의 상기 슬릿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경보 장치.
  22. 청구항 20 또는 21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경보 장치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슬릿은 상기 수용 수단 외벽에서의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양쪽에 마련되어 있는 경보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경보 장치의 전원으로서의 전지인 경보 장치.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보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검출 수단 이외의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내부에 유입시키는 유입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검출 수단 및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수용하고,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기체를 상기 유입 개구측에서 상기 검출 수단측에 유도하는 상기 유도 수단으로서,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에서 상기 검출 수단측에 이르는 상기 유도 수단을 가지는 경보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구성요소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수용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수용벽인 경보 장치.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수용벽의 제1 부분이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을 형성하고 있는 제1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제1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상기 수용벽 중 상기 제1 부분 이외의 제2 부분인 경보 장치.
  27. 청구항 25 또는 26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수용벽 전체가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에서 떨어져 있는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상기 수용벽과 상기 수용 수단의 외벽을 결합하는 결합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결합벽인 경보 장치.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은 상기 제2 구성요소 수용 수단의 상기 수용벽에서 상기 검출 수단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도 수단은 상기 돌편인 경보 장치.
KR1020187012593A 2015-10-26 2016-10-25 경보 장치 KR201800755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0083 2015-10-26
JP2015210083 2015-10-26
JP2015219764 2015-11-09
JPJP-P-2015-219764 2015-11-09
JP2015221522 2015-11-11
JPJP-P-2015-221522 2015-11-11
JPJP-P-2015-227679 2015-11-20
JP2015227679 2015-11-20
JPJP-P-2015-234712 2015-12-01
JPJP-P-2015-234713 2015-12-01
JP2015234712 2015-12-01
JP2015234713 2015-12-01
PCT/JP2016/081584 WO2017073562A1 (ja) 2015-10-26 2016-10-25 警報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538A true KR20180075538A (ko) 2018-07-04

Family

ID=5863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593A KR20180075538A (ko) 2015-10-26 2016-10-25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21845B2 (ko)
EP (1) EP3376483A4 (ko)
JP (1) JP6681913B2 (ko)
KR (1) KR20180075538A (ko)
CN (2) CN112185055A (ko)
SG (1) SG11201803389PA (ko)
TW (1) TWI740854B (ko)
WO (1) WO20170735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12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더벨 화재감지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225A1 (ja) * 2017-06-14 2018-12-20 ホーチキ株式会社 警報装置
CN107516396A (zh) * 2017-09-05 2017-12-26 深圳市泰和安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光电烟雾传感器
JP7080030B2 (ja) * 2017-10-19 2022-06-03 能美防災株式会社 感知器
JP7165861B2 (ja) * 2018-06-28 2022-1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警報器
JP7199166B2 (ja) * 2018-06-28 2023-01-05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感知器
JP2020004130A (ja) * 2018-06-28 2020-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防災機器
JP7401967B2 (ja) * 2018-11-05 2023-12-20 能美防災株式会社 非常警報装置
US11849716B2 (en) * 2022-01-17 2023-12-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sect guard for an aspirated smoke, gas, 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a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8675A (en) * 1969-09-19 1973-01-02 Furukawa Electric Co Ltd Smoke detector in which air entrance and egress are located in oppositely disposed surfaces which are shaped to cause an air velocity differential
US4171486A (en) * 1977-08-31 1979-10-16 Emhart Industries, Inc. Ionization smoke detector with controlled sensitivity
JPS557658A (en) * 1978-06-30 1980-0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
US5751218A (en) * 1996-07-19 1998-05-12 Simplex Time Recorder Company Smoke detector housing for improved smoke collection
JP3612922B2 (ja) * 1997-02-25 2005-01-26 松下電工株式会社 煙感知器
CN1224206A (zh) * 1997-12-24 1999-07-28 西门子建筑技术公司 光学烟雾报警器
JP2001014570A (ja) * 1999-04-28 2001-01-19 Nittan Co Ltd 火災感知器
CN2469508Y (zh) * 2001-03-30 2002-01-02 北京国泰怡安电子有限公司 光电感烟探测器
AU762183B2 (en) * 2001-04-24 2003-06-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ire detector unit
ATE318000T1 (de) * 2002-06-20 2006-03-15 Siemens Schweiz Ag Brandmelder
ES2259353T3 (es) * 2002-06-20 2006-10-01 Siemens Schweiz Ag Detector de humos por dispersion de luz.
CN2602372Y (zh) * 2003-02-20 2004-02-04 卓盈科技有限公司 一种烟雾探测器
DE102004004098B3 (de) * 2004-01-27 2005-09-01 Wagner Alarm- Und Sicherungssysteme Gmbh Verfahren zur Auswertung eines Streulichtsignals und Streulichtdetekto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WO2006112085A1 (ja) * 2005-03-31 2006-10-26 Fenwal Controls Of Japan, Ltd. 光電式煙感知器
US7616126B2 (en) * 2006-07-18 2009-11-10 Gentex Corporation Optical particle detectors
CN200996940Y (zh) * 2007-01-15 2007-12-26 张维国 一种烟雾探测室结构
JP5172412B2 (ja) * 2008-03-24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火災警報器
US8610586B2 (en) * 2008-03-24 2013-12-17 Panasonic Corporation Sensor
JP5244496B2 (ja) * 2008-08-07 2013-07-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警報器
JP2009237697A (ja) * 2008-03-26 2009-10-15 Nohmi Bosai Ltd 光電式煙感知器
CN201259719Y (zh) * 2008-06-27 2009-06-17 北京利达华信电子有限公司 烟感探测器
KR20100037539A (ko) * 2008-10-01 2010-04-09 노미 보사이 가부시키가이샤 광전식 연기 감지기
JP5643522B2 (ja) * 2010-03-05 2014-12-17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煙感知器
GB201006683D0 (en) * 2010-04-21 2010-06-09 Fireangel Ltd Smoke alarm
JP5484219B2 (ja) 2010-06-30 2014-05-07 ニッタン株式会社 熱煙複合式感知器
JP6022801B2 (ja) * 2012-04-17 2016-11-09 ホーチキ株式会社 感知器システム、感知器及び取外治具
US9007222B2 (en) * 2012-09-21 2015-04-14 Google Inc. Detector unit and sensing chamber therefor
CN203422822U (zh) * 2013-09-18 2014-02-05 宁波尚泰电子有限公司 烟雾报警器
CN204423580U (zh) * 2015-01-20 2015-06-24 西安博康电子有限公司 一种点型主动感烟探测器
JP6455470B2 (ja) * 2016-03-15 2019-01-23 オムロン株式会社 粒子センサ、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12A (ko) *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더벨 화재감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6483A1 (en) 2018-09-19
US20190147717A1 (en) 2019-05-16
CN112185055A (zh) 2021-01-05
CN108475460A (zh) 2018-08-31
EP3376483A4 (en) 2019-09-18
TWI740854B (zh) 2021-10-01
WO2017073562A1 (ja) 2017-05-04
JP6681913B2 (ja) 2020-04-15
US10621845B2 (en) 2020-04-14
TW201719584A (zh) 2017-06-01
JPWO2017073562A1 (ja) 2018-08-16
SG11201803389PA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5538A (ko) 경보 장치
CA2660270C (en) Combination smoke and heat detector
CN110770804B (zh) 警报装置
JP2019016266A (ja) 警報装置
JP7013462B2 (ja) 警報装置
JP3977856B2 (ja) 火災感知器
JP2004227446A (ja) 煙感知器
JP6875943B2 (ja) 煙感知器
JP2022041608A (ja) 熱感知器
JP6622038B2 (ja) 警報器
JP2020113030A (ja) 火災検出装置
JP2022041609A (ja) 熱感知器
JP2019207650A (ja) 煙感知器
JP7329116B2 (ja) 煙感知器
WO2023228301A1 (ja) 報知機
JP7337548B2 (ja) 防災機器
JP2020102036A (ja) 火災検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