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062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062A
KR20180073062A KR1020160176493A KR20160176493A KR20180073062A KR 20180073062 A KR20180073062 A KR 20180073062A KR 1020160176493 A KR1020160176493 A KR 1020160176493A KR 20160176493 A KR20160176493 A KR 20160176493A KR 20180073062 A KR20180073062 A KR 2018007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polymer
resin composition
meth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738B1 (ko
Inventor
권경재
정대산
김태훈
김성룡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76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7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08F212/10Styrene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사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와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를 특정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등이 뛰어나면서도 유동지수가 우수하여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사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 PRODUCT COMPRISING TH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사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의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특정 조합으로 사용하여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등이 뛰어나면서도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사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ABS계 수지)는 가공성, 강성, 내충격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건축용 자재,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 차량류의 내외장재, 전기전자 제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ABS계 수지에 포함된 부타디엔 등 디엔계 고무 중합체의 이중결합이 공기 중의 산소, 오존 또는 빛 등에 의해 분해되면서 변색 및 물성 저하 현상 등 내후성이 취약하여 실외용 재료로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불안정한 부타디엔 고무 중합체 대신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에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공중합시킨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ASA계 수지)는 내후성, 내노화성 등이 우수하여 자동차, 선박, 레저용품, 건축자재, 원예용 등 다방면에 사용되고 있으나, 착색성 및 내충격성 등이 취약하여 높은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ASA계 수지의 내충격성을 개선하기 위해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ASA계 수지의 분자량을 높게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유동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의 입경을 조절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역시 유동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내후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41315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ASA계 수지) 고유의 내열성, 내후성 등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유동성을 저하시키 않고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열성형하여 제조되는 사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1)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5 내지 35 중량%; A-2)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20 중량%; B)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 및 C)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상기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A-1) 공중합체와 A-2)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0.3 내지 1: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1)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5 내지 35 중량%; A-2)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20 중량%; B)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 및 C) 상기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부;를 혼련한 뒤, 이를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의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를 특정 범위내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배합하여 내열성, 내후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유동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사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평균입경이 상이한 2종의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및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배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ASA계 수지 고유의 내열성, 내후성 등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유동지수가 저하되지 않고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1)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5 내지 35 중량%; A-2)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20 중량%; B)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 및 C)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상기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A-1) 공중합체와 A-2)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0.3 내지 1:0.8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평균입경은 다이나믹라이트스케트링법으로 Nicomp 380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ASA계 수지는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기재에서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메타크릴레이트계 고무 중합체, 아크릴레이트계 고무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본 기재에서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중합된 고무 중합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중합된 고무 중합체일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유도체라 함은 원 화합물의 수소원자 또는 원자단이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으로 치환된 화합물이고, 일례로 할로겐 또는 알킬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각 성분별로 상술하는 방식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1)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이하, '소구경 ASA계 수지'라고 한다.)
본 기재에서 소구경 ASA계 수지는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소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기재에서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중합된 고무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소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유화제, 개시제, 가교제 등을 포함하여 유화중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메타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례로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기재에서 유도체라 함은 원 화합물의 수소원자 또는 원자단이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으로 치환된 화합물이고, 일례로 할로겐 또는 알킬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유화제는 일례로 로진산염, 지방산염, 소듐 라우릴 설포네이트, 소듐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소듐 도데실 알릴 설포숙신산염, 탄소수 16 내지 18인 알케닐 숙신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0 중량부 기준 1 내지 4 중량부 또는 1.5 내지 3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범위 내에서 중합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개시제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3급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파라메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암모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0 중량부 기준 0.05 내지 0.2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일례로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 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 메틸올 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0 중량부 기준 0.02 내지 0.3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일례로, 80 내지 200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nm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nm인 것이다. 이 범위 내에서는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소구경 ASA계 수지는 상기 소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제, 개시제, 그라프트제, 분자량조절제 존재 하에 유화중합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는 일례로,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내충격성, 내후성 등의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는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 45 내지 59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3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8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내충격성, 내후성 등의 물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는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 45 내지 5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5 내지 42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알파-에틸스티렌, 오르토-에틸스티렌, 파라-에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기재에서 비닐시안 화합물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의 유화중합에 사용되는 유화제는 일례로, 탄소수 12 내지 20의 지방산 금속염, 로진산 금속염 등의 카르복실산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1 내지 3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의 유화중합에 사용되는 개시제는 상기 소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제조 시 사용될 수 있는 개시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3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제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릴 아민 또는 디아릴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0.1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조절제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t-도데실머캅탄, n-테트라데실머캅탄, n-옥틸머캅탄, sec-옥틸머캅탄, n-노닐머캅탄, n-데실머캅탄, n-도데실머캅탄 및 n-옥타데실머캅탄 등의 머캅탄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기준 0.02 내지 0.2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잇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는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는 본 기재의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를 상술한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경우 최종품의 내후성,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A-2)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이하, '대구경 ASA계 수지'라고 한다.)
본 기재에서 대구경 ASA계 수지는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의 대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이 그라프트된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대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는 일례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유화제, 개시제, 가교제 등을 포함하여 유화중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상기 소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제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상기 소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제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0 중량부 기준 0.1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 및 가교제는 상기 소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제조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물질을 동일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의 평균입경은 일례로, 350 내지 600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500nm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50nm인 것이다. 이 범위 내에서는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유동성, 가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대구경 ASA계 수지는 상기 대구경 (메타)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유화제, 개시제, 그라프트제, 분자량조절제 등의 존재 하에 유화중합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구경 ASA계 수지는 일례로,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대구경 ASA계 수지는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 45 내지 59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3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8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내충격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대구경 ASA계 수지는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 45 내지 5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5 내지 42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비닐시안 화합물은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 제조에 사용된 그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구경 ASA계 수지의 유화중합에 사용되는 유화제, 개시제, 그라프트제, 분자량조절제는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 제조 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물질을 동일한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대구경 ASA계 수지는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또한, 상기 대구경 ASA계 수지는 본 기재의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내충격성, 내후성, 유동성 등의 물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1) 소구경 ASA계 수지와 상기 A-2) 대구경 ASA계 수지를 1:0.3 내지 1:0.8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구경 ASA계 수지와 상기 A-2) 대구경 ASA계 수지의 중량비는 1:0.35 내지 1:0.6의 범위 내 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35 내지 1:0.45의 범위 내 인 것이다. 상술한 범위 내에서는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높게 유지되면서도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내후성, 내열성 및 가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B)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상기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특성, 가공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일례로, 알파-알킬스티렌 65 내지 8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가공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알파-알킬스티렌 7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내열성, 가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알파-알킬스티렌은 일례로 알파-메틸스티렌 및 알파-에틸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파-메틸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통상적인 괴상중합법 또는 유화중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제조비용의 측면에서 괴상중합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알파-알킬스티렌 및 비닐시안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반응용매, 분자량조절제 등의 존재 하에 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는 일례로, 에틸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본 기재의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여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일례로 110 내지 125℃ 또는 120 내지 125℃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수지 조성물의 열변형온도가 높아 최종 성형품의 내열특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기재에서 유리전이온도는 시차주사열계량법(DSC)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일례로 80,000 내지 150,000g/mol 또는 90,000 내지 13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가공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시료를 용매(일례로 THF)에 녹여 전처리한 뒤,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C)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상기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지수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충격강도 등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알킬렌 70 내지 85 중량%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유동지수가 저하되지 않고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렌 75 내지 85 중량%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렌 70 내지 80 중량%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내충격성, 유동성, 가공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알킬렌의 중량비가 일례로, 1:2 내지 1:6 또는 1:2.5 내지 1:5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최종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상기 알킬렌은 에틸렌, 프로필렌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일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을 의미한다.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일례로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 2 내지 20 또는 2 내지 10인 선형 알킬 (메타)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20인 분지형 알킬 (메타)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나 내열성 등이 더욱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일례로,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 70 내지 85 중량%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1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함으로써 최종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저하없이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본 기재의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부 또는 3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상술한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유동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용융유동지수(190℃, 하중 2.16kg)가 1 내지 10g/10min, 1 내지 5 g/10min 미만, 5 초과 내지 10g/10min 또는 4 내지 7g/10min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최종 수지 조성물의 유동지수가 높게 유지되어 가공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메타)아크리레이트 공중합체는 용융온도(melting point)가 일례로 90℃ 이상, 90 내지 110℃ 또는 92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종 수지 조성물의 유동지수가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내열 특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 첨가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당업에서 공지된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례로 활제, 산화방지제, 내후안정제, 조색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이형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일례로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및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일례로 페놀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후안정제는 일례로 벤조페논형 또는 아민형 내후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일례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상기 이형제는 일례로 글리세린스터레이트, 폴리에틸렌 테트라 스터레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색제는 일례로 유기안료, 무기안료 및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활제 0.1 내지 1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 내후안정제 0.1 내지 1 중량부 및 조색제 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제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수지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고 첨가제의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이하,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A-1)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5 내지 35 중량%; A-2)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20 중량%; B)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 및 C) 상기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부;를 혼련한 뒤, 이를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혼련 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제, 산화방지제, 내후안정제, 조색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이형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은 다른 첨가제나 산화-환원계 촉매, 중합수, 전해질 등의 반응물, 기타 반응조건들은 당업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범위 내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사출하는 공정을 통해 사출 성형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기재의 사출 성형품은 충격강도가 일례로 15kgfcm/cm 이상, 15 내지 20kgfcm/cm 또는 17 내지 20kgfcm/cm으로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지면서도, 유동지수(220℃, 하중 10kg)가 일례로 4 내지 10g/10min 또는 6 내지 8g/10min으로 가공 및 성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품은 열변형온도가 일례로 95℃ 이상 또는 95 내지 100℃로 내열특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재료들은 다음과 같다.
A-1) 소구경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 수지
1) 소구경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제조
10 L의 반응기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디 2-에틸헥실 술포 숙신산 나트륨염 1.5 중량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02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NaHCO3) 0.1 중량부, 칼륨 퍼설페이트 0.04 중량부 및 잔량의 이온교환수를 일괄투여하고 반응온도를 70℃까지 승온시킨 후, 1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합체 씨드(seed)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다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 디 2-에틸 헥실 술포 숙신산 나트륨염 0.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0.1 중량부 및 잔량의 이온교환수를 혼합한 혼합물과 개시제인 칼륨 퍼설페이트 0.06 중량부를 각각 70℃에서 3 시간 동안 연속투입하면서 중합하여 평균입경이 80 내지 100nm인 소구경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2) 소구경 ASA 수지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소구경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40 중량부, 스티렌 40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20 중량부를 혼합한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온교환수 63 중량부, 트리아릴 이소시아누레이트 0.2 중량부, 로진산칼륨 1.2 중량부, 수산화칼륨 0.042 중량부 및 분자량조절제로 t-도데실머캅탄 0.0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과 개시제인 칼슘 퍼설페이트 0.1 중량부를 각각 70℃에서 5 시간 동안 연속 투입하면서 중합반응 시키고, 중합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더 반응시킨 후, 60℃까지 냉각시켜 소구경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를 포함하는 소구경 ASA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구경 ASA 수지의 평균입경은 120nm이고, 그라프트율은 40%였다.
본 기재에서 그라프트율은 하기 수학식 1로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그라프트율(%) = (고무 중합체에 그라프트된 단량체 성분의 무게/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무게)*100
A-2) 대구경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 수지
1) 대구경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제조
10 L의 반응기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디 2-에틸헥실 술포숙신산 나트륨염 0.015 중량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0.02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NaHCO3) 0.1 중량부, 칼륨 퍼설페이트 0.04 중량부 및 잔량의 이온교환수를 일괄투입하고 반응온도를 70℃까지 승온시킨 후, 1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합체 씨드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다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디 2-에틸 헥실 술포 숙시네이트 나트륨염 0.28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0.1 중량부 및 잔량의 이온교환수를 혼합한 혼합물과 개시제인 칼륨 퍼설페이트 0.06 중량부를 각각 70℃에서 3 시간 동안 연속투입하면서 중합하여 평균입경이 350 내지 400nm인 대구경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2) 대구경 ASA 수지 제조
상기 대구경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 50 중량부, 스티렌 35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15 중량부의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이온교환수 63 중량부, 트리아릴 이소시아누레이트 0.2 중량부, 로진산 칼륨 1.2 중량부, 칼륨 히드록사이드 0.042 중량부 및 분자량조절제로 t-도데실머캅탄 0.0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과 개시제인 칼륨 퍼설페이트 0.1 중량부를 각각 70℃에서 5 시간 동안 연속투입하면서 중합 반응시키고, 중합 전환율을 높이기 위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더 반응시킨 후, 60℃까지 냉각시켜 대구경 아크릴계 고무 중합체를 포함하는 대구경 ASA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대구경 ASA 수지의 평균입경은 450nm이며, 그라프트율은 45%였다.
B)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제조
반응기에 알파메틸스티렌(AMS) 72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28 중량부, 반응용매로 톨루엔 5 중량부, 분자량조절제로 t-도데실머캅탄 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제조한 뒤, 이를 5시간 동안 연속투입하며 100℃에서 반응시켜 알파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g/mol이고 유리전이온도는 120℃로 확인되었다.
C) 에틸렌-(메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C-1) 용융유동지수(MFR)가 190℃, 하중 2.16kgf 조건에서 4g/10min인미국 Dupont사의 Elvaloy AC 3427(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을 사용하였다.
C-2) 용융유동지수(MFR)가 190℃, 하중 2.16kgf 조건에서 7g/10min인미국 Dupont사의 Elvaloy AC 3717(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을 사용하였다.
C-3) 용융유동지수(MFR)가 190℃, 하중 2.16kgf 조건에서 7g/10min인 미국 Dupont사의 Elvaloy AC 1330(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을 사용하였다.
D) 첨가제
활제로 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미드, 산화방지제로 페놀계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내후안정제로 힌더드 아민계 내후 안정제, 조색제로 흑색염료 50중량%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하기 표 1의 성분과 함량을 혼합하여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40℃, 150rpm의 조건으로 압출하여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사출(240℃, 20bar)하여 물성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A-1 25 25 25 25 25 10 30 25
A-2 10 10 10 10 10 25 15 10
B 65 65 65 65 65 65 65 65
C-1 3 10 - - - - - -
C-2 - - 3 10 - - - -
C-3 - - - - - - - 10
활제 0.5 0.5 0.5 0.5 0.5 0.5 0.5 0.5
산화방지제 0.5 0.5 0.5 0.5 0.5 0.5 0.5 0.5
내후안정제 0.5 0.5 0.5 0.5 0.5 0.5 0.5 0.5
흑색염료 3.0 3.0 3.0 3.0 3.0 3.0 3.0 3.0
(단위: 중량부)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편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1) 아이조드 충격강도(IMP,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3.2mm의 시편에 노치(notch)를 내어 측정하였다.
2) 열변형온도(HDT, ℃): ASTM D648에 의거하여 1.8MPa의 표면압력을 가하며 측정하였다.
3) 유동지수(MI, g/10min): ASTM D1238에 의거하여 220℃, 하중 10kg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IMP
(kgfcm/cm)
16 17 15 16 11 13 14 16
MI(g/10min) 7 7 7 7 7 4 4 6
HDT(℃) 96 95 96 95 96 96 94 9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시편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 대비 열변형온도가 동등한 수준이면서도, 충격강도 및 유동지수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용융유동지수가 4g/10min인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충격강도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동일한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 이의 함량 증가에 따라 충격강도 또한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3의 결과를 통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와 유동지수는 소구경 ASA 수지와 대구경 ASA 수지의 혼합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의 결과를 통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적용한 경우 내열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7)

  1. A-1)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5 내지 35 중량%; A-2)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20 중량%; B)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 및 C)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상기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A-1) 공중합체와 A-2) 공중합체의 중량비는 1:0.3 내지 1: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1) 공중합체는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2) 공중합체는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 4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4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중합체는 알파-알킬스티렌 65 내지 8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알킬스티렌은 알파-메틸스티렌 및 알파-에틸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110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1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중합체는 알킬렌 70 내지 85 중량%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1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중합체는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중합체는 용융유동지수(190℃, 하중 2.16kg)가 1 내지 1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산화방지제, 내후안정제, 조색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및 이형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활제 0.1 내지 1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 내후안정제 0.1 내지 1 중량부 및 조색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A-1) 평균입경 80 내지 2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15 내지 35 중량%; A-2) 평균입경 350 내지 600nm인 (메타)아크릴계 고무-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 내지 20 중량%; B) (알파-알킬스티렌)-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50 내지 80 중량%; 및 C) 상기 A-1) 공중합체, A-2) 공중합체 및 B) 공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 알킬렌-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상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 내지 20 중량부;를 혼련한 뒤, 이를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사출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충격강도가 15kgfcm/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유동지수(220℃, 하중 10kg)가 4 내지 1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열변형온도가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품.
KR1020160176493A 2016-12-22 2016-12-2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102171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93A KR102171738B1 (ko) 2016-12-22 2016-12-2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493A KR102171738B1 (ko) 2016-12-22 2016-12-2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062A true KR20180073062A (ko) 2018-07-02
KR102171738B1 KR102171738B1 (ko) 2020-10-29

Family

ID=6291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493A KR102171738B1 (ko) 2016-12-22 2016-12-22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7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668A1 (ko) * 2019-10-18 2021-04-22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방법
WO2021080199A1 (ko) * 2019-10-23 2021-04-29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1080201A1 (ko) * 2019-10-23 2021-04-29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10048402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3875535A4 (en) * 2018-10-31 2021-12-01 Lg Chem, Ltd. COMPOSITION OF THERMOPLASTIC RESIN
EP3872133A4 (en) * 2019-09-18 2021-12-29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985B1 (ko) * 1990-04-06 1999-06-15 스타르크 카르크 열가소성 성형재료
KR20070024168A (ko) * 2005-08-26 2007-03-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70070686A (ko) * 2005-12-29 2007-07-04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0126703A (ja) * 2008-12-01 2010-06-10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441315B1 (ko) 2011-12-30 2014-09-1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985B1 (ko) * 1990-04-06 1999-06-15 스타르크 카르크 열가소성 성형재료
KR20070024168A (ko) * 2005-08-26 2007-03-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70070686A (ko) * 2005-12-29 2007-07-04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0126703A (ja) * 2008-12-01 2010-06-10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441315B1 (ko) 2011-12-30 2014-09-1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5535A4 (en) * 2018-10-31 2021-12-01 Lg Chem, Ltd. COMPOSITION OF THERMOPLASTIC RESIN
US11286383B2 (en) 2018-10-31 2022-03-29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2022514964A (ja) * 2019-09-18 2022-02-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EP3872133A4 (en) * 2019-09-18 2021-12-29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JP2022528137A (ja) * 2019-10-18 2022-06-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それを含む成形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CN113597448A (zh) * 2019-10-18 2021-11-02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包含热塑性树脂组合物的模制品和制造模制品的方法
WO2021075668A1 (ko) * 2019-10-18 2021-04-22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방법
JP2022516346A (ja) * 2019-10-23 2022-02-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成形品
KR20210048264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10048402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1080201A1 (ko) * 2019-10-23 2021-04-29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3227248A (zh) * 2019-10-23 2021-08-06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制备它的方法和包含它的模制品
EP3885408A4 (en) * 2019-10-23 2022-03-02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THEM
JP2022517928A (ja) * 2019-10-23 2022-03-1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成形品
WO2021080199A1 (ko) * 2019-10-23 2021-04-29 (주)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3227247A (zh) * 2019-10-23 2021-08-06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热塑性树脂组合物的模制品
EP3882311A4 (en) * 2019-10-23 2022-11-09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IT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THEM
CN113227247B (zh) * 2019-10-23 2022-12-09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热塑性树脂组合物的模制品
CN113227248B (zh) * 2019-10-23 2023-02-03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制备它的方法和包含它的模制品
US11718745B2 (en) 2019-10-23 2023-08-08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738B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73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CN109071912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模制品
US873549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melt flow properties
US9944791B2 (en) Polymer composition
KR101332432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2674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N108822245B (zh) (甲基)丙烯酸类共聚物
KR101150016B1 (ko) 우수한 저광택성과 물성을 갖는 방향족 비닐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2018007663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100943961B1 (ko)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3409702A1 (en) Graft copolyme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product
KR20150068313A (ko) 스티렌계 내화학성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TWI564309B (zh) 耐熱性苯乙烯共聚物及包含彼之苯乙烯樹脂組成物
TWI542602B (zh) 耐熱性苯乙烯共聚物及包含彼之苯乙烯樹脂組成物
IE842149L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399671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9009033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94176B1 (ko) 내후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의 제조방법
CN111801363A (zh) 核-壳共聚物、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热塑性树脂组合物
JP4103972B2 (ja) ゴム変性熱可塑性樹脂
JP5828711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CN107880427B (zh) 橡胶改性树脂组成物及其制备方法
KR20150143020A (ko) 스크래치 보강제, 내스크래치성 보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10330425A (ja) スチレン系樹脂用加工助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H0629902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