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291A - 시트의 양측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의 양측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291A
KR20180064291A KR1020170159156A KR20170159156A KR20180064291A KR 20180064291 A KR20180064291 A KR 20180064291A KR 1020170159156 A KR1020170159156 A KR 1020170159156A KR 20170159156 A KR20170159156 A KR 20170159156A KR 20180064291 A KR20180064291 A KR 2018006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unit
conveying
sub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418B1 (ko
Inventor
게이스케 엔도
히로시 하기와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5/00Recirculating articles, i.e. feeding each article to, and delivering it from, the same machine work-station more than on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1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 G03G15/232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234Arrangements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by inverting and refeeding the image receiving material with an image on one face to the recording member to transfer a second image on its second face, e.g. by using a duplex tray; Details of duplex trays or i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G03G15/6564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with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9Refeeding path for composite copy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4Electronic sequencing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3Required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99Timing,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919Special copy medium handling apparatus
    • G03G2215/00945Copy material feeding speed varied over the feed pa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7Type of toner image to be fixed 
    • G03G2215/2083Type of toner image to be fixed  duple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unters In Electrophotography And Two-Sided Copy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유닛은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반전 유닛은 시트를 주 이송 경로로부터 인입하고, 시트를 부-이송 경로에 급지하기 위해서 시트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킨다. 제어 유닛에 의해서, 이송 유닛은,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되고 제1 시트를 따르는 제2 시트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을 통과한 후에,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주 이송 경로로 이송하고, 그리고 제2 시트가 분지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시트의 후행 단부를 분지 지점의 하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시트의 양측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BLE TO FORM IMAGES ON BOTH SIDES OF SHEET}
본 발명은 시트의 양측면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트의 양측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는 주 이송 경로(일본 특허 공개 제2002-12374호)에 더하여 보조 이송 경로(부(sub)-이송 경로)를 포함한다. 부-이송 경로는, 주 이송 경로로부터 분지되고 다시 주 이송 경로와 병합되는 이송 경로이고, 시트를 뒤집기 위해서 이용된다. 화상이 제1 면 상에 형성된 시트가 부-이송 경로로 전송되고, 그 진행 방향이 반전된다. 시트는 그에 따라 뒤집히고 주 이송 경로를 따라 다시 화상 형성 유닛으로 전송되며, 화상이 제2 면 상에 형성된다.
복수의 시트의 양측면 상에 화상을 형성할 때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복수의 시트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시트의 제1 면 상에서의 화상 형성 및 화상이 제1 면 상에 형성된 다른 시트의 제2 면 상에서의 화상 형성이 교번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수의 시트가 대기할 수 있도록 긴 부-이송 경로가 제공되는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가 증가될 것이다. 또한, 주 이송 경로로부터 부-이송 경로로 이송된 시트의 선행 단부가, 부-이송 경로 내에서 이미 대기 중에 시트의 후행 단부와 충돌하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시트의 양측면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선행 시트와 다음 시트 사이의 접촉을 회피하면서 부-이송 경로의 길이를 단축시킨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 그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를 주 이송 경로에 급지하도록 구성된 급지 유닛;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된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 주 이송 경로로부터 이송된, 화상 형성 유닛에 의해서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인입하도록, 그리고 시트의 후행 단부가 주 이송 경로 및 부-이송 경로의 분지 지점을 통과한 후에, 시트를 부-이송 경로에 급지하기 위해서 시트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된 반전 유닛;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시트를 부-이송 경로 및 주 이송 경로의 병합 지점으로부터 주 이송 경로로 다시 이송하도록 구성된 이송 유닛; 및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제1 시트가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도록 반전 유닛 및 이송 유닛을 제어하게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대기하는 제1 시트는 분지 지점에 걸쳐지고(straddle), 제어 유닛은,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되고 제1 시트를 뒤따르는 제2 시트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을 통과한 후에, 이송 유닛이 대기 중인 제1 시트를 주 이송 경로로 이송하게 하며, 제2 시트가 분지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시트의 후행 단부를 분지 지점의 하류로 이동시킨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이중 인쇄 중의 시트 이송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의 이송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 도표이다.
도 8a 및 도 8b는 부-이송 경로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부-이송 경로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 도표이다.
도 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 도표이다.
도 18은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 도표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부-이송 경로의 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는 단지 예이고,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화상 형성 장치
도 1은 다중-색채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 형성 장치(100)를 도시한다. 프로세스 스테이션(프로세스 카트리지)(5Y, 5M, 5C, 및 5K)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유닛이다. 4개의 프로세스 스테이션(5Y, 5M, 5C, 및 5K)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그 토너 색채가 상이하다. 참조 부호에 이어지는 Y, M, C, 및 K는, 토너 색채인, 황색, 마젠타색(magenta), 시안색(cyan), 및 흑색(K)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문자(Y, M, C, 및 K)는 구체적인 프로세스 스테이션에 관한 설명을 제외하고 생략되었다. 토너 용기(23)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이다. 광감성 드럼(1)은 정전기적 잠상 및 토너 화상을 보유하기 위한 상 담지체이다. 대전 롤러(2)는 상응하는 광감성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노광 장치(7)는 입력 화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레이저 빔이 상응하는 광감성 드럼(1)의 표면을 스캔하게 하고, 화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정전기적 잠상을 상응하는 광감성 드럼(1)의 표면 상에 형성한다. 노광 장치(7)의 각각은, 좁은 의미에서, 정전기적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이다. 노광 장치(7)가 정전기적 잠상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타이밍(화상 형성 타이밍)은 후술되는 제어기에 의해서 지시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현상 롤러(3)는, 상응하는 토너 용기(23) 내에 저장된 토너를 정전기적 잠상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서 정전기적 잠상을 현상하고,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제1 전사 롤러(6)는 상응하는 광감성 드럼(1)이 보유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8)에 전사한다. 중간 전사 벨트(8)는 연신 방식으로 구동 롤러(9) 및 대향 롤러(10) 주위에 감겨지고, 구동 롤러(9)에 의해서 화살표(A)에 의해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중간 전사 벨트(8) 회전의 결과로서, 대향 롤러(10)는 또한 중간 전사 벨트(8)를 따라 회전된다.
급지 장치(12)는 시트(P)를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한다. 주 이송 경로(r1)는, 급지 카세트(13)로부터 (분지 지점으로도 지칭되는) 반전 지점(뒤집기 지점)(201)까지 연장되는 이송 경로다. 급지 장치(12)는, 선행 시트와 다음 시트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도록, 본질적으로 시트를 급지한다. 이는, 프로세스 스테이션(5)이, 선행 시트에 전사하고자 하는 화상 및 다음 시트에 전사하고자 하는 화상을, 그들 사이에 일정 간극을 가지고,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형성하기 때문이다. 급지 롤러(14)는 급지 카세트(13) 내에 저장된 시트(P)의 각각을 이송 롤러 쌍(15)에 급지한다. 이송 롤러 쌍(15)은 시트(P)를 정합 롤러 쌍(16)에 급지한다. 중간 전사 벨트(8)에 의해서 이송되는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되는 타이밍과 시트(P)가 정합 롤러 쌍(16)에 의해서 이송되는 타이밍과 일치되도록, 정합 롤러 쌍(16)이 시트(P)를 이송한다.
이차 전사 롤러(11)는 중간 전사 벨트(8)가 보유한 토너 화상을 시트(P)에 전사한다. 이차 전사 롤러(11) 및 중간 전사 벨트(8)는 이차 전사 유닛(80)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유닛(80)에 의해서 시트(P)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차 전사 유닛(80)은 좁은 의미에서 화상 형성 유닛이다. 중간 전사 벨트(8) 및 이차 전사 롤러(11)에 의해서 협지된(nipped) 시트(P)가 정착 디바이스(17)에 급지된다. 정착 디바이스(17)는 정착 롤러(18) 및 정착 롤러(18)에 대해서 가압되는 압력 롤러(19)를 포함한다. 정착 롤러(18)는 정착 히터(30) 및 정착 히터(3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31)를 포함한다. 토너 화상은 시트(P)의 가열 및 가압에 의해서 시트(P)에 정착된다. 화상 형성이 완료된 시트(P)는 플래퍼(flapper)(55)에 의해서 배지 경로(r3)로 안내되고, 그러한 배지 경로는 주 이송 경로(r1)로부터 분지되는 이송 경로다. 시트(P)는, 배지 경로(r3)의 단부(출구)에 제공된 배지 롤러(20)에 의해서 배지 트레이(90)로 배지된다.
시트(P)의 제2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 플래퍼(55)는 시트(P)를 반전 유닛(70)으로 안내한다. 다시 말해서, 시트(P)는, 주 이송 경로(r1)의 출구인 반전 지점(201)으로부터 반전 유닛(70)에 진입하고, 반전 롤러 쌍(50)을 향해서 이동된다. 반전 지점(201)은 또한 반전 유닛(70)의 입구이다. 도 1에서, 반전 유닛(70)은, 반전 지점(201)의 좌측에 위치되는 이송 경로고, 반전 롤러 쌍(50)을 포함한다. 반전 롤러 쌍(50)은 반전 방향에서의 회전에 의해서 시트(P)를 주 이송 경로(r1)로부터 반전 유닛(70) 내로 당긴다. 그에 따라, 시트(P)의 일부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측으로 배지된다. 시트 센서(61)가 시트(P)의 후행 단부를 검출할 때, 반전 롤러 쌍(50)이 정지된다. 반전 롤러 쌍(50)이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 시트(P)는 반전 지점(201)을 통해서 부-이송 경로(r2)에 급지된다. 다시 말해서, 시트(P)가 이송되는 방향이 반대가 된(반전된) 결과로서, 시트(P)가 뒤집힌다. 반전 지점(201)은 또한 반전 유닛(70)의 출구이고, 그리고 또한 부-이송 경로(r2)의 입구이다. 다시 말해서, 반전 지점(201)은, 주 이송 경로(r1), 부-이송 경로(r2), 및 반전 유닛(7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지점이다. 부-이송 경로(r2)는 또한 병합 지점(200)에서 주 이송 경로(r1)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부-이송 경로(r2)는, 반전 지점(201)로부터 병합 지점(200)까지 연장되는 보조 이송 경로다. 병합 지점(200)은 또한 부-이송 경로(r2)의 출구이다. 주 이송 경로(r1) 내에서, 병합 지점(200)은 정합 롤러 쌍(16)의 상류에 제공된다. 반전 롤러 쌍(50)이 정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할 때, 이송 롤러 쌍(51), 이송 롤러 쌍(52), 및 이송 롤러 쌍(53)이 또한 회전되기 시작한다. 시트(P)는 이송 롤러 쌍(51), 이송 롤러 쌍(52), 및 이송 롤러 쌍(53)에 의해서 이송되고, 병합 지점(200)을 향해서 진행된다. 이송 롤러 쌍(53)은, 시트(P)의 선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에 도달하기 전에, 시트(P)의 이송을 중지시킬 수 있다. 시트(P)의 이송을 재개하는 이송 롤러 쌍(53)의 결과로서, 시트(P)는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고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한다. 시트(P) 이송 타이밍이 정합 롤러 쌍(16)에 의해서 조정된 후에, 시트(P)는 이차 전사 유닛(80)까지 이송된다. 시트(P)의 제2 면이 중간 전사 벨트(8)와 접촉되는 것의 결과로서, 토너 화상이 제2 면에 전사된다. 정착 디바이스(17)는 토너 화상을 시트(P)의 제2 면에 정착시킨다. 플래퍼(55)는, 이중 인쇄가 완료된 시트(P)를 배지 경로(r3)를 향해서 안내한다. 그에 따라, 화상이 양측면에 형성된 시트(P)는 배지 트레이(90)로 배지된다.
시트 센서(62)가 병합 지점(200)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시트(P)의 선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에 도달될 때, 시트 센서(62)는 검출 신호의 레벨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시트(P)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할 때, 시트 센서(62)는 검출 신호의 레벨을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한다. 다시 말해서, 시트(P)가 시트 센서(62)를 통과하는 동안 검출 신호의 레벨은 온으로 유지된다. 시트(P)가 시트 센서(62)를 통과하지 않는 동안 검출 신호의 레벨은 오프로 유지된다. 시트 센서(62)는, 시트(P)가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시트 센서(63)는 시트(P)가 정합 롤러 쌍(16)을 통과한 것 또는 안정적-속력 지점(202)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제어 시스템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인쇄기 제어 유닛(101)은 CPU(104) 및 ROM 및 RAM(미도시)과 같은 회로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 내에 제공된 여러 유닛을 제어한다. 제어 프로그램은 ROM 내에 저장된다. CPU(104)는 화상 형성 유닛(110), 모터 구동 유닛(111), 플래퍼 구동 유닛(112), 및 센서 유닛(113)에 연결된다. 화상 형성 유닛(110)은 정착 디바이스(17), 노광 장치(7), 프로세스 스테이션(5), 등을 포함한다. 모터 구동 유닛(111)은 CPU(10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구동 모터(M1, M2, 및 M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이다. 모터(M1)는 반전 롤러 쌍(50)을 구동한다. 모터(M2)는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을 구동한다.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은 또한 상이한 모터들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모터(M3)는 정합 롤러 쌍(16)을 구동한다. 구동 롤러(9) 등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도 3a 내지 도 3c에서 생략되었다. 플래퍼 구동 유닛(112)은 CPU(104)에 의해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플래퍼(55)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시트(P)를 배지 경로(r3)로 또는 부-이송 경로(r2)로 안내한다. 센서 유닛(113)은 시트 센서(61, 62, 및 63)에 연결되고, 시트 센서(61, 62, 및 63)에 의해서 출력된 검출 신호를 CPU(104)에 출력한다. 이러한 시트 센서를 이용하는 대신에, 모터 구동 유닛(111)에 의해서 각각의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 펄스의 수를 계수하는 것에 의해서, CPU(104)가 각각의 시트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구동 펄스의 수는 각각의 모터의 회전 샤프트의 회전 각도에, 그리고 각각의 롤러의 회전 각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시트(P)가 이송된 거리는 또한 구동 펄스의 수에 비례한다.
제어기(102)는, 화상 데이터의 색채 공간을 변화시키고 인쇄기 제어 유닛(101)에 인쇄를 지시하기 위한 제어기이다. 제어기(102)는 네트워크, 인쇄기 케이블, 또는 기타를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103)에 연결된다. 제어기(102)는 화상 정보 및 인쇄 명령을 호스트 컴퓨터(103)로부터 수신한다. 제어기(102)는 비트맵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 화상 정보를 분석하고, 인쇄기 제어 유닛(101)으로부터 전송되는 TOP 신호와 동시에 비트맵 데이터를 인쇄기 제어 유닛(101)에 전송한다. 인쇄기 제어 유닛(101)은 또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04)의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인쇄기 제어 유닛(101)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은 또한 주문형집적회로(ASIC)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CPU(104)에 의해서 제공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또한 ASIC 또는 FPGA와 같은 하드웨어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FPGA"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의 약자이다.
이중 순환
화상 형성 장치(100)는 또한 복수의 이중 인쇄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본질적으로, N개의 시트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후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의 제2 면 상에서의 화상 형성 및 시트의 제1 면의 화상 형성을 교번적으로 실시한다. 다시 말해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부-이송 경로로부터 급지된 시트 상의 화상 형성 및 급지 카세트(13)로부터 새로 급지된 시트 상에서의 화상 형성을 교번적으로 실행한다.
도 3a는 N=3인 경우를 도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시트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시트를 부-이송 경로(r2)에 급지한다. 그 후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부-이송 경로(r2)로부터 다시 급지된 시트의 제2 면 상에서의 화상 형성 및 급지 장치(12)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제1 면 상에서의 화상 형성을 교번적으로 실행한다. 다시 말해서, 제3 시트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한 후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1 시트의 제2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4 시트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이어서 제2 시트의 제2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5 시트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이어서 제3 시트의 제2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3 내지 제5 시트의 제2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도 3a에 도시된 이러한 경우는, 3개의 시트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의 이송 경로 내에서 순환되는 3-시트 순환 모드를 설명한다.
도 3b는 2-시트 순환 모드를 도시한다. 도 3c는 1-시트 순환 모드를 도시한다. 1- 시트 순환 모드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러한 시트의 제2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순환 모드는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의 길이에 따라 선택된다.
화상이 제1 면 상에 형성된 시트는 다시 부-이송 경로(r2)를 통해서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되고, 화상이 그 제2 면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가 부-이송 경로(r2)를 따라 이동되는 시간량은 화상 형성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선행 시트가 부-이송 경로(r2)를 따라서 이동되는 동안, 화상이 다음 시트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경우에, 이동 시간은 낭비되지 않으며, 생산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2-시트 순환 모드 및 3-시트 순환 모드는 1-시트 순환 모드보다 더 생산적이다. 따라서, 토너 화상을 제2 면에 전사하는 타이밍까지 부-이송 경로(r2)를 따른 시트 이송이 완료된다면, 생산성이 높아질 것이다. 주 이송 경로 및 부-이송 경로에 의해서 형성된 순환 경로 내에서 순환될 수 있는 시트의 수는 부-이송 경로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의해서 인쇄될 수 있는 시트(P)의 최대 크기가 레저 크기(Ledger size)라고 가정한다. 이송 방향에서의 레저 크기의 시트(P)의 길이는 431.8 mm이다. 이러한 경우에, 엽서 크기(215.9mm) 및 A4 크기(210 mm)의 시트(P)의 경우에, 3-시트 순환 모드가 이용될 수 있다. 레저/A3 크기의 시트(P)의 경우에, 2-시트 순환 모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송 제어
도 4는 비교예를 도시한다. 비교예의 부-이송 경로(r2)는, 3개의 시트(P1, P2, 및 P3)가 반전 롤러 쌍(50)으로부터 병합 지점(200)까지의 경로 내에서 대기할 수 있을 정도로, 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할 수 있는 시트의 수는 부-이송 경로(r2)의 단축에 의해서 감소되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소형화된다. 반전 롤러 쌍(50)의 반전 회전으로 인해서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할 때, CPU(104)는 반전 롤러 쌍(50)이 정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또한 시트(P1 및 P2)의 이송을 재개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이러한 실시예의 3-시트 순환 모드를 도시한다. 모든 시트가 엽서/A4 크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1.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화상이 제1 면에 형성된 제1 시트(P1)를 반전 지점(201)으로 이송한다.
2.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반전 롤러 쌍(5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시트(P1)를 반전 유닛(70) 내로 당기고, 그 이후에 반전 롤러 쌍(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P1)를 부-이송 경로에 급지하고, 시트(P1)를 병합 지점(200)을 향해 이송한다.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제2 시트(P2)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이어서 제2 시트(P2)를 반전 지점(201)으로 이송한다.
3.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P1)를 대기 위치에서 정지 및 대기시키고, 그러한 대기 위치는 병합 지점(200) 이전에 위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반전 롤러 쌍(5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시트(P2)를 반전 유닛(70) 내로 당기고, 그 이후에 반전 롤러 쌍(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P2)를 부-이송 경로(r2)에 급지하고, 시트(P2)를 병합 지점(200)을 향해 이송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급지 장치(12)가 제3 시트(P3)를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하게 한다. 병합 지점(200)의 상류에서 대기 중인 시트(P1)는 시트(P3)와 충돌하지 않는다.
4.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가 시트(P3)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안, 시트(P1)는 병합 지점(200)의 전방에서 계속 대기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P2)의 후행 단부가 반전 롤러 쌍(50)에 의해서 협지되게 하여 시트(P2)를 대기시킨다. 시트의 중심 주위의 시트(P2)의 부분이 이송 롤러 쌍(51)에 의해서 협지된다. 시트(P2)의 선행 단부는 이송 롤러 쌍(52)의 이전에 정지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그 제1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안, 시트(P3)를 반전 지점(201)을 향해서 이송한다.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는 타이밍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P1) 및 시트(P2)의 이송을 재개한다.
5.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P2)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는 시점에, 시트(P3)의 선행 단부는 반전 지점(201)에 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P3)는 시트(P2)와 충돌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또한 이송 롤러 쌍(53)을 이용하여 시트(P1)를 이송하고 시트(P1)를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한다.
6.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P1)가 정합 롤러 쌍(16)을 통과할 때 정합 롤러 쌍(16)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중간 전사 벨트(8)에 의해서 이송되는 제2 면을 위한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되는 타이밍을, 시트(P1)의 제2 면이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되는 타이밍과 동기화시킨다. 또한, 시트(P1) 이송의 정지시에,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P2)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시트(P2)는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또한 반전 지점(201)을 향해서 시트(P3)를 이송한다.
따라서, 부-이송 경로의 길이가 짧다면, 시트(P2)의 후행 단부 및 그 주위의 부분은,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는 시점에 반전 지점(201)을 막는다. 다시 말해서, 시트(P2)는 반전 지점(201)에 걸쳐진다. 그러나,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는 시트(P3)의 후행 단부에 의해서 격발되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트(P1)를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하고, 또한 시트(P2)를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하류로 이동시키며, 그에 의해서 반전 유닛(70) 및 반전 지점(201)이 비워지게 한다. 따라서, 시트(P3) 및 시트(P2)는 반전 지점(201)에서 서로 충돌하지 않고, 3개의 시트가 순환 경로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에서, 부-이송 경로의 길이는 충분히 길고, 그에 따라, 시트(P3)가 반전 유닛(70) 내로 당겨진 후에, 상단 시트(P1)가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된다. 대조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상단 시트(P1)는, 시트(P3)가 반전 유닛(70)에 도달하기 전에,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된다. 이러한 급지 방법은 선행적 급지로 지칭될 수 있다.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할 때, 인쇄기 제어 유닛(101)은, 반전 롤러 쌍(50)에 의해서 협지되면서 대기하였던 시트(P2)의 이송을 재개한다. 다시 말해서, 시트(P3)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될 때까지, 시트(P2)의 후행 단부는 반전 지점(201)을 통과한다. 따라서, 시트(P2) 및 시트(P3)는 반전 지점(201)에서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P2)의 후행 단부가 반전 롤러 쌍(50) 및 부-이송 경로(r2)에 걸쳐진 상태로 시트(P2)가 대기하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부-이송 경로(r2)의 길이는 비교예의 부-이송 경로(r2)의 길이보다 짧아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할 때로부터 시트(P3)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이내에, 시트(P2)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의 하류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할 때의 시점에, 시트(P3)의 선행 단부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거리는, 대기 시트(P2)의 후행 단부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거리보다 길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트(P2 및 P3)의 이송 속력은 동일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시트의 길이는 반전 지점(201)으로부터 병합 지점(200)까지 부-이송 경로(r2)를 따른 거리보다 짧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레저 크기의 시트에서, 시트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할 때까지, 시트의 후행 단부는 병합 지점(200)을 통과할 수 없고, 그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는 적용될 수 없다.
흐름도
도 6은 이중 인쇄를 실시하기 위해서 CPU(104)에 의해서 실행되는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이중 인쇄가 M개의 시트에 대해서 실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N-시트 순환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M 및 N은 자연수이며, M > N이다). 부-이송 경로(r2)의 길이는, 최대 N-1개의 시트가 대기할 수 있는 길이이다. 최후방 시트는 반전 롤러 쌍(50)에 의해서 협지되면서 대기한다. 즉, 최후방 시트는 반전 롤러 쌍(50) 및 부-이송 경로(r2)에 걸쳐져서 대기한다. 제어기(102)는 호스트 컴퓨터(103)에 의해서 전송되는 인쇄 지시를 수신한다. 제어기(102)는, 인쇄 지시에 따라 이중 인쇄를 실시하도록 인쇄 제어 유닛(101)에 지시한다.
단계(S601)에서, CPU(104)는 화상 형성 유닛(110), 모터 구동 유닛(111), 플래퍼 구동 유닛(112) 등을 제어하여, 제1 내지 N-1번째 시트의 각각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제1 내지 N-1번째 시트를 부-이송 경로(r2)에 급지하고, 이러한 시트들이 대기하게 한다. 만약 N=3이라면, CPU(104)는 급지 장치(12)가 제1 시트(P1)를 급지하게 하고, 제1 시트(P1)가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할 때, 모터(M3)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서 정합 롤러 쌍(16)을 정지시킨다. 만약 정합 롤러 쌍(16)의 회전 속력이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면, 정합 롤러 쌍(16)의 정지는 필수적이지 않다. CPU(104)는 화상 형성 유닛(110)의 화상 형성 타이밍과 동시에 모터(M3)의 회전을 재개하고, 정합 롤러 쌍(16)을 회전시키며, 시트(P1)를 이차 전사 유닛(80)까지 이송하고, 토너 화상을 시트(P1)의 제1 면에 전사한다. CPU(104)는 플래퍼 구동 유닛(112)을 통해서 플래퍼(55)를 제어하고, 시트(P1)를 반전 롤러 쌍(50)까지 안내한다. 시트(P1)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할 때, CPU(104)가 모터(M1)를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반전 롤러 쌍(50)을 회전시키기 시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시트(P1)의 선행 단부의 도달을 위해서 준비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CPU(104)는, 제어기(102)에 의해서 시트(P2)의 공급을 지시 받을 때, 시트(P2)를 급지하도록 급지 장치(12)에 지시한다. 시트(P1)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할 때, CPU(104)는 모터(M1)를 이용하여 정방향으로 반전 롤러 쌍(50)을 회전시키기 시작하고, 모터(M2)를 이용하여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을 회전시키기 시작하며, 그에 의해서 시트(P1)를 대기 위치까지 이송한다. 시트(P2)가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할 때, CPU(104)는 모터(M3)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서 정합 롤러 쌍(16)을 정지시킨다. CPU(104)는 화상 형성 유닛(110)의 화상 형성 타이밍과 동시에 모터(M3)의 회전을 재개하고, 정합 롤러 쌍(16)을 회전시키며, 시트(P2)를 이차 전사 유닛(80)까지 이송하고, 토너 화상을 시트(P2)의 제1 면에 전사한다. CPU(104)는 플래퍼 구동 유닛(112)을 통해서 플래퍼(55)를 제어하고, 시트(P2)를 반전 롤러 쌍(50)까지 안내한다. 시트(P2)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할 때, CPU(104)는 모터(M1)를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반전 롤러 쌍(50)을 회전시키기 시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시트(P2)의 선행 단부의 도달을 위해서 준비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CPU(104)는, 제어기(102)에 의해서 시트(P3)의 공급을 지시 받을 때, 시트(P3)를 급지하도록 급지 장치(12)에 지시한다.
단계(S602)에서, CPU(104)는 급지 장치(12)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제1 면 상에서의 화상 형성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N-1개의 시트가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한다면, CPU(104)는 N번째 시트의 제1 면 상에 화상 형성을 시작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유닛(110), 모터 구동 유닛(111), 플래퍼 구동 유닛(112), 등을 제어한다.
단계(S603)에서, CPU(104)는, 시트 센서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화상이 형성되는 시트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화상이 형성되는 시트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였다면, CPU(104)는 단계(S604)로 진행된다. 화상이 제1 면 상에 형성된 시트를 반전 롤러 쌍(50)을 향해서 이송하기 위해서, CPU(104)가 플래퍼(55) 및 반전 롤러 쌍(50)을 제어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단계(S604)에서, CPU(104)는, 부-이송 경로(r2) 내에 대기하는 시트의 이송을 재개한다. CPU(104)는 모터 구동 유닛(111)을 통해서 모터(M1)를 시동하여 반전 롤러 쌍(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터(M2)를 시동하여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을 회전시키고, 그리고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이송을 재개한다. 따라서, 부-이송 경로(r2) 내의 앞쪽에 위치되는 시트는 주 이송 경로(r1)로 이송된다. 또한, 반전 롤러 쌍(50)에 의해서 협지되어 대기하였던 시트의 후행 단부는 반전 지점(201)의 하류로 이동된다. 따라서, 다음 시트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한 경우에도, 다음 시트는 선행 시트와 충돌하지 않는다. 반전 롤러 쌍(50)에 의해서 협지되면서 대기하였던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할 때, CPU(104)는 모터(M1)의 회전을 정방향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전환하고, 주 이송 경로(r1)로부터 급지될 시트를 준비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주 이송 경로(r1)로부터 급지되고 반전 롤러 쌍(50) 내로 당겨지는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할 때, CPU(104)는 모터(M1)의 회전을 역방향으로부터 정방향으로 전환하고, 이러한 시트를 부-이송 경로(r2)에 급지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앞쪽으로부터 2번째에 위치된 시트의 선행 단부가 대기 위치에 도달할 때, CPU(104)는 모터(M1 및 M2)를 정지시킨다.
단계(S605)에서, CPU(104)는 부-이송 경로(r2)로부터 주 이송 경로(r1)로 급지된 시트의 제2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이러한 시트를 배지한다. 예를 들어,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을 이용하여 시트 이송 타이밍을 화상 형성 타이밍과 동기화시키면서 시트를 이차 전사 유닛(80)에 급지한다. CPU(104)는 플래퍼(55)를 전환하고, 제2 면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지 경로(r3)로 안내하고, 시트를 배지 트레이(90)로 배지한다.
단계(S606)에서, CPU(104)는 급지 장치(12)로부터 주 이송 경로(r1)로 새롭게 급지되는 시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만약 M개의 시트가 이미 급지되었다면, CPU(104)는 더 이상 시트가 급지되지 않는다는 것(즉, 인쇄 작업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결정한다. 만약 급지 장치(12)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수가 M에 도달되지 않았다면, CPU(104)는 단계(S602)로 복귀되고 단계(S602) 내지 단계(S606)의 프로세싱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다시 말해서,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수가 상한 숫자, 즉 N-1에 도달할 때, 급지 장치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제1 면 상의 화상 형성 및 부-이송 경로(r2)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제2 면 상의 화상 형성이 교번적으로 실행된다. 만약 급지 장치(12)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수가 M에 도달되었다면, 급지 장치(12)로부터 주 이송 경로(r1)로 새롭게 급지되는 시트가 더 이상 없고, 그에 따라 CPU(104)는 단계(S607)로 진행된다.
단계(S607)에서, CPU(104)는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한 N-1개의 시트의 제2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이러한 시트를 배지한다. 예를 들어,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을 이용하여 시트 이송 타이밍을 화상 형성 타이밍과 동기화시키면서 시트를 이차 전사 유닛(80)에 급지한다. CPU(104)는 플래퍼(55)를 전환하고, 제2 면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배지 경로(r3)로 안내하고, 시트를 배지 트레이(90)로 배지한다. CPU(104)는 모터(M1 및 M2)를 제어하여 N-1개의 시트를 부-이송 경로(r2)의 하류로 이송한다. 도 3a 및 다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M개의 시트 중 마지막 N-1 시트의 제2 면 상에서의 화상 형성이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이는 더 이상의 시트가 급지 장치(12)로부터 새롭게 급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타이밍 도표
도 7은 이중 인쇄 중의 선행적 급지를 도시하는 타이밍 도표이다. 여기에서 N = 3으로 가정한다.
T100: 제3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할 때, 시트 센서(62)에 의해서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레벨은 오프(시트가 검출되지 않음)로 전환된다(단계(S603)에서 '예'). CPU(104)는 모터(M1)를 이용하여 반전 롤러 쌍(50)을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CPU(104)는 또한 모터(M2)를 회전시키고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을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이어서, 시트(P1 및 P2)는 부-이송 경로(r2)를 따라서 하향 이동된다.
T101: 제2 시트(P2)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할 때, 시트 센서(61)에 의해서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레벨은 오프(시트가 검출되지 않음)로 전환된다. 시트(P3)를 반전 롤러 쌍(50) 내로 당기기 위해서, CPU(104)는 역방향으로 모터(M1)를 회전시켜, 반전 롤러 쌍(5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T102: 시트(P1)의 선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에 도달될 때, 시트 센서(62)에 의해서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레벨은 온(시트가 검출됨)으로 전환된다.
T103: 시트(P1)의 선행 단부가, 정합 센서로도 지칭될 수 있는, 시트 센서(63)에 도달할 때, CPU(104)는 모터(M2 및 M3)를 정지시킨다. 결과적으로, 정합 롤러 쌍(16) 및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이 또한 정지된다.
T104: 시트(P3)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될 때, 시트 센서(61)에 의해서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레벨은 온(시트가 검출됨)으로 전환된다. 시트 센서(61)를 통과하는 시트(P3)의 후행 단부로 인해서 시트 센서(61)에 의해서 출력되는 검출 신호의 레벨이 오프(시트가 검출되지 않음)로 전환될 때, CPU(104)는 모터(M1)의 회전을 역회전으로부터 정회전으로 전환한다. 시트(P3)의 선행 단부가 부-이송 경로(r2) 상의 미리 결정된 대기 위치에 도달할 때, CPU(104)는 모터(M1)를 정지시킨다.
부-이송 경로의 길이
도 8a는 부-이송 경로(r2) 내의 시트의 대기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엽서 시트 및 레저 시트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송 방향에서의 엽서 시트의 시트 길이(Ltr)는 215.9 mm이다. 제1 시트(P1)의 선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상류 측으로, 거리(La)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CPU(104)가 모터(M2)를 제어한다. 시트의 선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하향 돌출된다면, 이러한 시트는 급지 장치(12)로부터 새롭게 급지되는 제3 시트(P3)와 충돌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송의 변동(variation) 또는 기타를 고려하여, 시트(P1)는, 그 선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상류 측으로, 거리(La)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대기한다. La는 시트 이송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 시뮬레이션 결과, 또는 기타를 기초로 결정된다. 선행 시트(P1)의 후행 단부와 다음 시트(P2) 사이의 거리는 Lb이다. Lb는, 시트(P1) 이송의 변동, 시트(P2) 이송의 변동, 및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허용될 수 있는 시트 길이의 여유 값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레저 시트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최대 인쇄 가능 크기를 가지는 시트의 예이다. 이송 방향에서의 레저 시트의 시트 길이(Lldr)는 431.8 mm이다. 레저 시트의 시트 길이가 너무 길기 때문에, 3-시트 순환 모드는 적용될 수 없고, 2-시트 순환 모드가 적용된다. 2-시트 순환 모드에서, 레저 시트는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경로 내에서 대기한다. CPU(104)는, 레저 시트의 선행 단부를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상류 측으로, 거리(La)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이는 엽서 크기의 경우에서와 같은 개념이다. 이송의 변동을 고려하여, 레저 시트의 후행 단부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거리를 Ls로 설정한다.
도 8a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 내의 부-이송 경로(r2)의 길이는 레저 시트의 길이에 의해서 제한된다.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거리(Ldup1)는 이하의 식을 만족시키도록 결정된다.
[수학식 1]
Ldup1 = La + Lldr + Ls
도 8b는 비교예의 부-이송 경로(r2) 내의 시트의 대기 상태를 도시한다. 엽서 시트의 경우에, 제2 시트(P2)의 후행 단부는 반전 지점(201)의 하류에 위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은 부-이송 경로(r2)의 거리(Ldup2)를 결정한다.
[수학식 2]
Ldup2 = La + Lltr + Lb + Lltr + Ls
= La + Lldr + Lb + Ls
식(1)과 식(2)의 비교에 의해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부-이송 경로(r2)의 길이는 비교예의 부-이송 경로(r2)의 길이보다 Lb 만큼 짧다.
이러한 실시예는 순환되는 시트의 수(N)가 3인 예를 주로 설명하나, N이 또한 4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이송 경로(r2)가 너무 짧아서, 제1 면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는 반전 롤러 쌍(50)과 부-이송 경로(r2)에 걸쳐져 있는 동안 대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대기 시트가 주 이송 경로(r1)로부터 급지되는 시트와 접촉되지 않도록, 대기 시트는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하류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면 상에서 인쇄되는 시트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할 때로부터 이러한 시트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반전 지점(201)에 존재하는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는 것을 끝마치도록, CPU(104)는 이송 제어를 실행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실시예는,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최후방 시트가 적어도 반전 지점(201)에 위치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앞쪽의 시트와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최후방 시트 사이에서, 복수의 시트가 대기할 수 있다. 앞쪽의 시트와 최후방 시트가 동일한 시트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3b에 도시된 2-시트 순환 모드가 CPU(104)에 의해서 실행된다. 따라서, N은 2보다 큰 정수이기만 하면된다.
제1 실시예에서, 순환되는 시트의 수는 시트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04)는,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은 경우에, 순환시키고자 하는 시트의 수를 3으로 설정할 수 있고,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보다 긴 경우에, 순환시키고자 하는 시트의 수를 2로 설정할 수 있다. 문턱값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미리 결정된 길이는 이송 경로의 길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는 이송 롤러 쌍(51 및 52)이 생략된 구성을 이용할 수 있고, 시트는 반전 롤러 쌍(50)으로부터 이송 롤러 쌍(53)으로 직접적으로 이송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제어 이외의 인자를 또한 고려하는 것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r2)의 길이가 결정되는 예이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공유되는 물품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할당하였고, 그에 관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시트가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기본 중량을 가지는 두꺼운 종이 및 코팅된 종이(광택 종이)뿐만 아니라, 비교적 작은 기본 중량을 가지는 일반적인 종이, 얇은 종이, 및 기타가 널리 이용된다. 여기에서, 시트의 기본 중량이 이송 제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전형적으로, 시트의 기본 중량은 시트 이송 효율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두꺼운 종이 및 광택 종이 경우의 이송 효율은 보통 종이 및 얇은 종이 경우의 이송 효율 보다 낮다. 이러한 이유로, 두꺼운 종이 및 광택 종이의 경우에, 이송 지연이 발생되기 쉽다. 이송 효율이 낮은 그러한 시트는 목표 위치의 상류에서 정지될 수 있다. 이는 선행 시트와 다음 시트가 반전 지점(201)에서 서로 접촉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시트 유형(기본 중량과 같이, 이송 효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개변수)을 고려한 이송 제어를 목적으로 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의 부-이송 경로(r2)의 거리(Ldup3)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Ldup2>Ldup3>Ldup1의 관계가 유지된다. 제2 실시예의 부-이송 경로(r2)의 거리(Ldup3)는 비교예의 부-이송 경로(r2)의 거리(Ldup2)보다 짧으나, 제1 실시예의 부-이송 경로(r2)의 거리(Ldup1)보다 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Ldup3)는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거리이고,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최후방 시트의 후행 단부는 반전 지점(201)에 위치된다. 따라서, 보통 종이 및 얇은 종이는 반전 지점(201)을 완전히 막지 않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두꺼운 종이 또는 기타의 경우에, 시트는 그 후행 단부가 반전 롤러 쌍(50)의 하류에 그리고 반전 지점(201)의 상류에 정지되어 대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반전 지점(201)을 막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보통 종이 또는 얇은 종이의 시트가 최후방 시트인 경우에, 다음 시트는 비교예에서와 같이 반전 유닛(70)까지 이송될 수 있으나, 두꺼운 종이 또는 기타의 시트가 최후방 시트인 경우에, 다음 시트는 반전 유닛(70)까지 이송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대기 시트의 선행적 급지가 두꺼운 종이 또는 기타에서 필요하다.
흐름도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이송 제어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공유되는 물품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할당하였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단계(S601)에서, 첫번째 내지 N-1번째 시트 상의 화상 형성이 완료되고, 이러한 시트는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한다. 단계(S602)에서, CPU(104)는 급지 장치(12)가 다음 시트(예를 들어, N번째 시트)를 급지하게 하고, 다음 시트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단계(S1001)에서, CPU(104)는 시트의 유형이 특정 유형(두꺼운 종이, 광택 종이, 등)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시트 기본 중량이 문턱값과 비교될 수 있거나, 시트 이송 효율이 문턱값과 비교될 수 있다. 시트의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가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103)로부터 제공된다. 시트의 유형이 특정 유형이라면, CPU(104)가 단계(S603)로 진행되어,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앞쪽의 시트의 선행적 급지를 실행한다. 따라서, CPU(104)는 급지 장치(12)로부터의 시트의 급지를 금지하는 한편, 부-이송 경로(r2)에서 대기하는 앞쪽의 시트를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한다. 그 이후에, CPU(104)는 단계(S604) 및 후속 단계의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다시 말해서, 두꺼운 종이 또는 기타의 경우에,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프로세싱이 적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다음 시트의 유형이 특정 유형이라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에, CPU(104)는 단계(S1002)로 진행된다. 만약 하나의 인쇄 작업을 구성하는 모든 M개의 시트가 동일한 유형이라면, 인쇄 작업에 의해서 지정된 유형이 결정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적어도 부-이송 경로(r2) 내의 최후방 시트의 유형이 결정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는, 최후방 시트가 반전 지점(201)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S1002)에서, CPU(104)는 제1 면 상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예를 들어, N번째 시트)가 반전 롤러 쌍(50)에 의해서 반전 유닛(70) 내로 당겨졌는지의 여부, 그리고 이러한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였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였다면, CPU(104)는 단계(S604)로 진행된다. 단계(S604)에서, CPU(104)는, 부-이송 경로(r2) 내에 대기하는 N-1개의 시트의 이송을 재개한다.
그에 따라,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이송의 타이밍 및 재개 격발은 높은 이송 효율의 시트와 낮은 이송 효율의 시트 간에 상이하다. 예를 들어, 보통 종이, 얇은 종이, 또는 기타의 시트가 부-이송 경로(r2) 내의 최후방 시트라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행적 급지는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급지 장치(12)로부터 다음 시트(N+1번째 시트)를 추가적으로 급지하는 것이 금지되지 않고, 이러한 시트 상의 화상 형성도 금지되지 않는다. 이는, 다른 시트 상에서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러한 시트를 배지 트레이(90)로 배지하는 동안, N개의 시트를 부-이송 경로(r2) 및 반전 유닛(70)에 의해서 형성된 대기 경로 내에서 대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들 중에서, 후행 단부 위치가 반전 지점에 가장 가까운 시트의 유형이 낮은 이송 효율을 가지는 특정 유형인 경우에, CPU(104)는 부-이송 경로(r2) 내의 앞쪽의 시트의 선행적 급지를 실시한다. 따라서, 다음 시트가, 반전 지점(201)에서, 선행 시트와 접촉할 가능성이 낮다. 다른 한편으로,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 중에서 후행 단부 위치가 반전 지점에 가장 근접한 시트의 유형이 이송 효율이 낮지 않은 유형이라면, CPU(104)는 선행적 급지를 실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CPU(104)는, N-1개의 시트가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게 하면서, 다음 시트를 반전 유닛(70)에 급지한다. 이러한 경우에, 반전 지점 가까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후행 단부는 반전 지점의 하류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시트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도 11은, 두꺼운 종이 또는 광택 종이와 같은, 낮은 이송 효율의(즉, 큰 기본 중량을 가지는) 시트를 위한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 도표이다. 여기에서 N = 3으로 가정한다.
T200: 제3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할 때, 모터(M2)가 시동되고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을 구동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시트(P2)의 후행 단부가 반전 롤러 쌍(50)의 하류에 위치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CPU(104)는 반전 롤러 쌍(50)을 구동하기 위해서 모터(M1)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T201: 시트(P2)가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에 의해서 하류로 이송되는 것으로 인해서, 시트(P2)의 후행 단부는 반전 지점(201)을 통과한다.
T202: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앞쪽에서 대기한 시트(P1)가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에 의해서 하류로 이송되는 것으로 인해서, 시트(P1)의 선행 단부는 병합 지점(200)에 도달된다.
T203: 시트(P1)의 선행 단부가 시트 센서(63)(정합 센서)에 도달할 때,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을 구동하는 모터(M3) 및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을 구동하는 모터(M2)를 정지시킨다.
T204: CPU(104)는, 시트(P3)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하기 전에, 모터(M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그에 따라, 시트(P3)를 수용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T205: 시트(P3)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선행적 급지를 실행할 지의 여부가 시트 유형에 따라 전환된다.
결과적으로, 시트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을 것인 반면, 부-이송 경로(r2)의 길이는 비교예보다 짧아지게 된다.
제3 실시예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시트의 선행 단부가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합치시키기 위해서,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의 회전 속력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지 장치(12)로부터 급지된 시트가 미리 결정된 타이밍 이후에 도착된다면, 시트 이송 속력이 일시적으로 증가된다. 급지 장치(12)로부터 급지된 시트가 미리 결정된 타이밍 이전에 도착된다면, 시트 이송 속력이 일시적으로 감소된다. 그러나, CPU(104)는, 시트의 선행 단부가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시트 이송 속력을 중간 전사 벨트(8)의 이송 속력까지 복원한다.
한편, 모터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 동일한 모터를 이용하여 이송 롤러 쌍(53) 및 정합 롤러 쌍(16)을 구동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정합 롤러 쌍(16)의 회전 속력이 변화된다면, 이송 롤러 쌍(53)의 회전 속력도 또한 변화된다. 만약 부-이송 경로(r2)를 따라서 이송되는 시트가 그 선행 단부 부근에서 이송 롤러 쌍(53)에 의해서 협지된다면, 그리고 그 중심 또는 후행 단부 부근에서 다른 모터로 구동되는 이송 롤러 쌍에 의해서 협지된다면, 시트는 상이한 측면을 향해서 당겨질 수 있거나 접힐 수 있다. 이러한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정합 롤러 쌍(16)에 대한 속력 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부-이송 경로(r2)를 따라서 이송되는 시트의 선행 단부가 이송 롤러 쌍(53)의 전방에서 대기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시트는 제1 실시예의 대기 위치의 상류인 대기 위치에서 대기할 필요가 있다. 만약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막는다면, 제1 면 상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는 반전 롤러 쌍(50)까지 이송될 수 없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부-이송 경로(r2)를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시트들 사이의 접촉을 회피하는 방법이 생각될 수 있으나, 이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크기 감소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모터의 수를 줄이면서 부-이송 경로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에서, 정합 롤러 쌍(16)이 속력 조정을 실시하는 동안, 시트는 이송 롤러 쌍(53) 전방의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시트는, 예를 들어, 상이한 측면들을 향해서 당겨질 가능성이 낮다. 정합 롤러 쌍(16)이 속력 조정을 완료하였을 때 시트 이송은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재개되고, 시트의 선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 전방의 대기 위치에 도달할 때 이송 롤러 쌍(53)은 클러치에 의해서 정지된다. 따라서, 부-이송 경로(r2)를 따라 이송되는 시트의 후행 단부는 반전 지점(201)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주 이송 경로(r1) 내에서, 정합 롤러 쌍(16)에 의한 시트 이송이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부-이송 경로(r2)를 단축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구성에 관한 설명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를 도시한다. 제3 실시예는, 2-시트 순환 모드를 이용하여 이중 인쇄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이며, 그에 따라, 부-이송 경로의 길이는 제1 실시예의 길이보다 짧다. 이러한 이유로, 이송 롤러 쌍(51) 및 이송 롤러 쌍(53)이 부-이송 경로(r2) 내에 제공되고, 이송 롤러 쌍(52)은 생략된다.
도 13은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모터(M1)는 반전 롤러 쌍(50) 및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가장 상류에 배열되는 이송 롤러 쌍(51)을 구동시킨다. 클러치(CL1)는 일방향 클러치이다. 모터(M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클러치(CL1)는 모터(M1)의 구동력을 이송 롤러 쌍(51)에 전달하고, 이송 롤러 쌍(51)이 회전된다. 다른 한편으로, 모터(M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클러치(CL1)는 모터(M1)의 구동력을 이송 롤러 쌍(51)에 전달하지 않는다. 반전 롤러 쌍(50)은 모터(M1)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 함께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모터(M3)는 정합 롤러 쌍(16) 및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가장 하류에 배열된 이송 롤러 쌍(53)을 구동시킨다. 클러치(CL2)는, 예를 들어, 모터 구동 유닛(111)을 통해서 CPU(104)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자기 클러치이다. 다시 말해서,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이 회전되는 동안에도, 클러치(CL2)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이송 롤러 쌍(53)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중 인쇄 중의 시트 이송 제어
도 14a 내지 도 14f는 엽서/A4-크기 시트를 이용한 2-시트 순환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04)는 화상이 제1 면에 형성된 제1 시트(P1)를 반전 지점(201)으로 이송한다.
2.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04)는 시트(P1)를 부-이송 경로(r2)를 따라서 경합 지점(competing point)(203)을 향해 이송한다. 다시 말해서, 급지 장치(12)로부터 급지된 제2 시트(P2)가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되는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서,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의 회전 속력을 조정하기 시작한다.
3.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합 지점(203)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 대기 위치(x0)에서 시트(P1)가 대기하도록, CPU(104)는 모터(M1)를 제어한다. CPU(104)는 모터(M2)를 회전시키고, 정합 롤러 쌍(16)을 이용하여 속력 조정을 실행하면서 이차 전사 유닛(80)을 향해서 시트(P2)를 이송한다. 시트(P1)가 경합 지점(203)의 상류에서 대기하기 때문에, 시트(P1)는 이송 롤러 쌍(53)의 이송 속력과 이송 롤러 쌍(51) 및 반전 롤러 쌍(50)의 이송 속력 사이의 차이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P2)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에 도달할 때,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이 화상 형성 유닛의 이송 속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도록, 모터(M1)를 제어한다. CPU(104)는 또한 모터(M3)의 구동력을 이송 롤러 쌍(53)에 전달하도록 클러치(CL2)를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서 시트(P1)의 이송을 재개한다. 이때, CPU(104)는 이송 롤러 쌍(51)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모터(M1)를 시동할 수 있다.
5.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P1)의 선행 단부가 제2 대기 위치(x1)에서 정지되도록, CPU(104)는 클러치(CL2)를 오프로 전환한다. 그에 따라, 정합 롤러 쌍(16)가 시트(P2)를 이송하는 동안, 이송 롤러 쌍(53)이 정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점에서, 시트(P1)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빠져나가도록, 부-이송 경로의 길이가 설계된다. 따라서, CPU(104)는, 시트(P1)의 선행 단부가 제2 대기 위치(x1)에서 정지되는 것과 동시에, 모터(M1)의 회전을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전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시트(P2)의 이송을 준비할 수 있다.
6.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04)는 플래퍼(55)를 제어하고 제2 시트(P2)를 반전 지점(201)을 향해서 이송한다. 시트(P1)의 후행 단부가 이러한 지점에서 반전 지점(201)을 빠져나갔기 때문에, 시트(P2)는 시트(P1)와 접촉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이송 제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반전 지점(201)로부터 제1 대기 위치(x0)까지의 거리가 시트의 길이보다 짧아질 수 있다.
도 15는 비교예의 부-이송 경로(r2)를 도시한다. 클러치(CL2)는 이러한 비교예에서 제공되지 않고, 그에 따라, 시트(P1)는 항상 제1 대기 위치(x0)에서 정지되고 대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트(P2)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제1 대기 위치(x0)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거리는 시트(P1)의 길이보다 길 필요가 있다. 대조적으로, 제1 대기 위치(x0)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거리가 시트의 길이보다 짧아질 수 있는 제3 실시예는 비교예보다 유리하다.
특히, 시트(P2)의 선행 단부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을 통과하는 때로부터 시트(P2)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 CPU(104)는, 반전 지점(201)에 존재하는 시트(P1)를 이동시키기 시작하여 시트(P1)의 후행 단부를 반전 지점(201)의 하류로 이동시킨다.
도 16은 이중 인쇄 중의 시트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1601)에서, CPU(104)는 화상 형성 유닛(110), 모터 구동 유닛(111), 플래퍼 구동 유닛(112) 등을 제어하여 선행 시트(제1 시트(P1))의 제1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선행 시트를 부-이송 경로(r2)에 급지하고, 선행 시트가 제1 대기 위치(x0)에서 대기하게 한다.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시트 센서(61)에 의해서 검출될 때로부터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제1 대기 위치(x0)에 도달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량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규정된 값)을 갖는다. 따라서, CPU(104)는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시트 센서(61)에 의해서 검출될 때 타이머를 시작시키고, 타이머에 의해서 계수되는 시간이 규정된 값에 도달할 때 모터(M1)를 정지시킨다. 그에 따라,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는 제1 대기 위치(x0)에서 정지된다.
단계(S1602)에서, CPU(104)는 급지 장치(12)로부터 다음 시트를 급지하고, 속력 조정을 실행하면서 다음 시트를 이송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시트를 급지하는 타이밍은, 선행 시트가 제1 대기 위치(x0)에 도달되는 타이밍 이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04)는,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가 시트 센서(62)에 도달되는 타이밍이 규정 타이밍(기준 타이밍)보다 늦는지의 여부에 따라,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을 조정한다. 이러한 속력 조정은, CPU(104)가 모터(M3)의 회전 속력을 조정하는 것의 결과로서 실행된다.
단계(S1603)에서, CPU(104)는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CPU(104)는, 시트 센서(63)가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를 검출할 때 시작된 타이머의 계수 값 및 이송 속력을 기초로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에 상응하는 거리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에 도달하였다면, CPU(104)는 단계(S1604)로 진행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CPU(104)는 모터(M3)를 이용하여 속력 조정을 완료하고, 이송 속력은 화상 형성 속력(중간 전사 벨트의 외주 속력)과 일치된다.
단계(S1604)에서, CPU(104)는, 제1 대기 위치(x0)에서 대기하고 있는 선행 시트의 이송을 재개한다. CPU(104)는 모터(M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고, 또한 클러치(CL2)를 온으로 전환한다. 결과적으로, 반전 롤러 쌍(50) 및 이송 롤러 쌍(51 및 53)은 동일한 이송 속력으로 부-이송 경로(r2)의 하류로 선행 시트를 이송한다.
단계(S1605)에서, CPU(104)는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CPU(104)는,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지나간 것을 시트 센서(61)가 검출하는 경우에,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CPU(104)는,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시트 센서(61)를 통과할 때의 시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시간은 시트 센서(61)와 반전 지점(201) 사이의 거리를 이송 속력으로 나눈 것에 의해서 얻어지는 시간이다. 만약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였다면, CPU(104)는 단계(S1606)로 진행된다.
단계(S1606)에서, CPU(104)는 모터(M1)의 회전을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전환하고, 그에 의해서 반전 롤러 쌍(50)의 회전을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반전 유닛(70)에서 다음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단계(S1607)에서, CPU(104)는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제2 대기 위치(x1)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CPU(104)는 타이머로 하여금 선행 시트의 이송이 재개된 이후의 경과 시간을 계수하게 하고, 경과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제2 대기 위치(x1)에 도달하였는지를 결정한다. 미리 결정된 시간은 제1 대기 위치(x0)와 제2 대기 위치(x1) 사이의 거리를 이송 속력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다. 관성으로 인해서, 클러치(CL2)가 오프로 전환된 이후에도 이송 롤러 쌍(53)이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여유분을 차감하는 것에 의해서,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만약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제2 대기 위치(x1)에 도달한다면, CPU(104)는 단계(S1608)로 진행된다.
단계(S1608)에서, CPU(104)는 클러치(CL2)를 오프로 전환하고 선행 시트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는 제2 대기 위치(x1)에서 정지된다. 모터(M3)는 이러한 지점에서 계속 회전되고, 그에 따라, 정합 롤러 쌍(16) 또한 다음 시트를 계속 이송한다. 다시 말해서, 선행 시트와 유사하게, 단계(S1601)로부터의 단계들이 또한 다음 시트에 순차적으로 적용된다.
단계(S1609)에서, 선행 시트의 제2 면 상의 화상 형성의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에, CPU(104)는 단계(S1610)로 진행된다. 단계(S1610)에서, CPU(104)는 선행 시트를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하고, 제2 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며, 배지 경로(r3)를 통해서 선행 시트를 배지한다. 예를 들어, 선행 시트의 제2 면의 선행 단부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에 도달할 때, CPU(104)는 플래퍼(55)를 전환하고, 양 면 상에 화상을 가지는 선행 시트를 배지 트레이(90)로 배지한다. 선행 시트의 배지가 완료된 후에, CPU(104)는 급지 장치(12)로부터 급지되는 제3 시트를 위해서 플래퍼(55)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한다. 그 후에, 제3 시트는 다음 시트로서의 역할을 하고, 화상은 그 제1 면 상에 형성되며, 제3 시트는 부-이송 경로(r2)에 급지된다. 이어서, 부-이송 경로(r2)로부터 급지된 제2 시트는 선행 시트로서의 역할을 하고, 화상은 그 제2 면 상에 형성되며, 제2 시트는 배지된다.
도 17은 2-시트 순환 모드를 도시한 타이밍 도표이다.
T300: 단계(S160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음 시트가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되는 타이밍과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되는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해서,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의 조정이 시작된다.
T301: 단계(S16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터(M1)는 선행 시트가 제1 대기 위치(x0)에 도달할 때 정지된다. 단계(S1601)가 다양한 종류의 이송 제어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하나의 단계로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단계가 단계(S1602) 이후에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T302: 단계(S160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에 도달할 때, 속력 조정이 종료된다.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을 화상 형성 유닛의 이송 속력으로 복원한다. 또한, 단계(S160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PU(104)는 모터(M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클러치(CL2)를 온으로 전환한다.
T303: 단계(S160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반전 롤러 쌍(50))을 통과할 때, 단계(S1606)에서 모터(M1)의 회전은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반전 롤러 쌍(50)은 다음 시트의 도착을 위해서 준비된다.
T304: 단계(S160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제2 대기 위치(x1)에 도달할 때, 클러치(CL2)가 분리되고, 단계(S1608)에서, 모터(M3)의 동력이 더 이상 이송 롤러 쌍(53)에 전달되지 않는다.
T305: 화상이 제1 면에 형성된 다음 시트는 반전 지점(201)을 향해서 이송되고,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는 곧 반전 지점(201)에 도달한다.
제3 실시예에서, CPU(104)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시트에 대한 속력 조정이 종료되는 타이밍(T302)에 따라 모터(M1)를 구동시키기 시작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PU(104)는 또한 다음 시트에 대한 속력 조정이 종료되기 전에 모터(M1)를 구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정합 롤러 쌍(16)의 속력이 프로세싱 속력으로 복원되는 동안 선행 시트의 이송이 시작될 수 있고,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이송 롤러 쌍(53)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속력 조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CPU(104)가 모터(M1)를 구동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은, 제1 대기 위치(x0)에서 대기하는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 위치와 이송 롤러 쌍(53) 사이의 부-이송 경로(r2) 내의 거리로부터 얻어진다.
제3 실시예가, 정합 롤러 쌍(16)을 이용하여, 급지 카세트(13)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이송 속력(급지 속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그리고 다시 이러한 이송 속력을 화상 형성 유닛의 이송 속력(프로세싱 속력)으로 복원하기 위한 제어를 설명하였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정합 롤러 쌍(16)에 의해서 증가 또는 감소되기 전의 급지 속력, 즉 시트의 이송 속력은 프로세싱 속력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급지 속력은 프로세싱 속력과 상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의 경우에, 시트 이송 속력은 2차례 변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급지 카세트(13)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이송 속력이 프로세싱 속력과 상이한 것을 가정한다. CPU(104)는, 시트의 선행 단부가 시트 센서(62)에 의해서 검출된 타이밍을 기초로, 시트 이송 속력을 프로세싱 속력으로 복원하는 타이밍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이송되는 시트의 위치는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형성된 화상과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의 경우에, 시트 이송 속력은 단지 한차례만 변화될 필요가 있다.
수정예
설계와 관련하여, 다음 시트의 급지 타이밍이 제3 실시예의 급지 타이밍 보다 늦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선행 시트는, 다음 시트가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하기 전에, 제1 대기 위치(x0)에 도달한다. 다시 말해서, CPU(104)는, 제1 대기 위치(x0)에서 선행 시트를 정지시키지 않고, 선행 시트를 계속 이송한다. 이는, 다음 시트가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할 때까지, 정합 롤러 쌍(16)의 속력 조정이 시작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음 시트가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할 때, 선행 시트의 이송이 중지될 필요가 있다. 이는 전술한 클러치(CL2)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도 18은, 다음 시트의 급지 타이밍이 늦게 설정되는 경우의 이송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 도표이다.
T400: CPU(104)는, 모터(M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클러치(CL2)를 온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하류로, 반전 유닛(70) 내로 당겨진 선행 시트를 이송한다. 클러치(CL2)를 온으로 전환하는 타이밍은,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제1 대기 위치(x0)에 도달하는 때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는 제1 대기 위치(x0) 및 경합 지점(203)을 통과하고, 제2 대기 위치(x1)를 향해서 더 이동된다. 다시 말해서, 수정예에서, 시트는 제1 대기 위치(x0)에서 정지되지 않는다.
T401: 다음 시트가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할 때, CPU(104)는 클러치(CL2)를 오프로 전환하고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을 조정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해서,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이송 롤러 쌍(53)의 하류이고 제2 대기 위치(x1)의 상류인 위치(중지 위치)에 도달할 때, 선행 시트가 정지된다. 이러한 중지 위치는 또한 대기 위치이다. 이송 속력이 조정되는 기간 동안, CPU(104)가 모터(M1)를 또한 정지시킨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이송 롤러 쌍(52)에 의해서 하류로 가압되는 것으로 인해서 선행 시트가 접히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T402: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에 도달할 때, CPU(104)는 속력 조정을 종료한다.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을 화상 형성 유닛의 이송 속력으로 복원한다. 또한, CPU(104)는 다시 모터(M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클러치(CL2)를 온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부-이송 경로(r2)를 따른 선행 시트의 이송이 재개된다.
T403: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반전 롤러 쌍(50))을 통과할 때, CPU(104)는 모터(M1)의 회전을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반전 롤러 쌍(50)은 다음 시트의 도착을 위해서 준비된다.
T404: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가 제2 대기 위치(x1)에 도달할 때, CPU(104)는 클러치(CL2)를 분리한다. 결과적으로, 모터(M3)의 동력은 이송 롤러 쌍(53)으로 더 이상 전달되지 않고,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는 제2 대기 위치(x1)에서 정지되고, 선행 시트는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정지된다.
T405: 화상이 제1 면에 형성된 다음 시트는 반전 지점(201)을 향해서 이송되고,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는 곧 반전 지점(201)에 도달한다.
그러한 경우에, 다음 시트의 급지 타이밍이 설계와 관련하여 늦게 설정된다면, CPU(104)는, 제1 대기 위치(x0)에서 선행 시트를 정지시키지 않고, 선행 시트를 하류로 더 이송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가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할 때, CPU(104)는 클러치(CL2)를 오프로 전환하고 모터(M1)를 정지시키며, 그에 의해서 선행 시트의 이송을 중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송 롤러 쌍(51 및 53) 사이의 이송 속력의 차이로 인한 선행 시트 상의 부하가 생성되지 않는다.
부-이송 경로의 길이
도 19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부-이송 경로(r2) 내의 선행 시트의 대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9b는, 선행 시트가 병합 지점(200)까지 이송될 때, 다음 시트의 위치를 도시한다. 엽서 시트의 경우에, 선행 시트의 선행 단부는 제1 대기 위치(x0)에서 제1 시간 동안 정지된다. 제1 대기 위치(x0)는 거리(La)만큼 경합 지점(203)의 상류에 있는 위치이다.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에 도달할 때, 선행 시트의 이송이 재개되고, 선행 시트는 제2 대기 위치(x1)에서 제2 시간 동안 정지된다. 제2 대기 위치(x1)는 거리(La)만큼 병합 지점(200)의 상류에 있는 위치이다. 여기에서, 거리(La)는 시트 이송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초로 얻어진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 단부가 제2 대기 위치(x1)에 배치된 엽서 시트의 후행 단부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거리(Ls)는 또한 이송의 변동을 고려하면서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이송의 예상된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의 하류에 배치되도록, Ls가 결정된다.
경합 지점(203) 및 반전 지점(201)으로부터의 거리(Ldup4)는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수학식 3]
Ldup4 = Lltr + Ls - Lc + La
여기에서, Lc는 제1 대기 위치(x0)와 제2 대기 위치(x1)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Lc는, 도 19b에 도시된, 안정적-속력 지점(202)으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거리(L2) 보다 짧은 거리이다.
도 19c는 도 15에 도시된 비교예의 부-이송 경로(r2)의 크기를 도시한다. 비교예에서,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는 반전 지점(201)의 하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송 경로 길이(Ldup5)는 이러한 제약에 의해서 결정된다.
[수학식 4]
Ldup5 = La + Lltr + Ls
따라서, 제3 실시예의 부-이송 경로 길이는 길이(Lc)만큼 비교예의 부-이송 경로 길이보다 짧다.
비록 제3 실시예에서 순환시키고자 하는 시트의 수가 2이지만, 3매 이상의 시트가 순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가 안정적-속력 지점(202)을 통과하였을 때 선행 시트가 반전 지점(201)에 존재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다음 시트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할 때까지, 선행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할 것만을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서, 또 다른 시트가 부-이송 경로(r2)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CPU(104)는 순환시키고자 하는 시트의 수를 시트 길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04)는,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은 경우에, 순환시키고자 하는 시트의 수를 3으로 설정할 수 있고,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보다 긴 경우에, 순환시키고자 하는 시트의 수를 2로 설정할 수 있다. 문턱값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미리 결정된 길이는 이송 경로의 길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는 이송 롤러 쌍(51)이 생략된 구성을 이용할 수 있고, 시트는 반전 롤러 쌍(50)으로부터 이송 롤러 쌍(53)으로 직접적으로 이송된다.
화상 형성 방법은 전자사진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고, 잉크젯 방법 또는 기타일 수도 있다.
요지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급지 장치(12)는 시트를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하는 급지 유닛의 예이다. 노광 장치(7),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차 전사 유닛(80)은, 주 이송 경로(r1)를 따라서 이송되는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의 예이다. 반전 롤러 쌍(50)을 포함하는 반전 유닛(70)은, 주 이송 경로(r1)를 따라서 이송되는 시트를 인입하고 시트의 이송 방향을 뒤집는 것에 의해서 이러한 시트를 부-이송 경로(r2)에 급지하는 반전 유닛의 예이다. 반전 유닛(70)은 또한, 화상 형성 유닛에 의해서 화상이 형성되고 주 이송 경로로부터 이송된 시트를 인입하고, 시트의 후행 단부가 주 이송 경로 및 부-이송 경로의 분지 지점을 통과한 후에, 시트를 부-이송 경로에 급지하기 위해서 시트의 이송 방향을 뒤집는 반전 유닛의 예이다.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 등은, 부-이송 경로(r2)에 급지된 시트를 주 이송 경로(r1)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의 예이다. 이송 롤러 쌍(51, 52, 및 53) 등은, 급지된 시트를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로 이송하고, 다시 부-이송 경로 및 주 이송 경로의 병합 지점으로부터 주 이송 경로로 이송하는 이송 유닛의 예이다. CPU(104) 및 모터 구동 유닛(111)은, 반전 유닛 및 이송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의 예이다. CPU(104) 및 모터 구동 유닛(111)은,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제1 시트가 분지 지점에 걸쳐져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도록 하기 위해서, 반전 유닛 및 이송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의 예이다.
도 5d 및 다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04)는, 제1 시트(P1)가 부-이송 경로(r2) 내의 하류측에서 대기되도록, 그리고 제2 시트(P2)가 반전 지점(201)을 막을 수 있게 대기되도록, 반전 유닛 및 이송 유닛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은 부-이송 경로 길이를 단축시키고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반전 지점(201)은, 부-이송 경로(r2) 내의 상류측에 위치되고 주 이송 경로(r1), 부-이송 경로(r2), 및 반전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의 예이다.
CPU(104)는,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된 제3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주 이송 경로(r1) 및 부-이송 경로(r2)의 병합 부분을 통과한 후에 제3 시트(P3)의 선행 단부가 연결 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부-이송 경로(r2)의 하류로 제1 시트(P1) 및 제2 시트(P2)를 이송하는 것을 재개한다. 이러한 제어로, 부-이송 경로 길이가 단축되는 경우에도, 시트들은 서로 접촉되지 않을 것이다. 2-시트 순환 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제1 시트 및 제2 시트가 동일한 시트라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4개 이상의 시트를 순환 경로 내에서 순환시키는 순환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시트가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존재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반전 유닛(70), 부-이송 경로(r2), 및 주 이송 경로(r1)에 의해서 형성된 순환 경로 내에 동시에 수용될 수 있는 시트의 최대의 수는 N이다.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제3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는 동안, 제2 시트(P2)는 반전 유닛(70)과 반전 지점(201)에 걸쳐져 대기한다. 다시 말해서, 주 이송 경로(r1)의 출구이고 또한 반전 유닛(70)의 입구인 반전 지점(201)은 제2 시트(P2)에 의해서 막힌다. 또한, N개의 시트에서 제3 시트(P3)를 배제한 (N-1)개의 시트가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한다.
부-이송 경로(r2)의 길이(Ldup)는, 반전 지점(201)로부터 병합 지점(200)까지의 길이이다. 제1 실시예에서, 부-이송 경로(r2)의 길이(Ldup1)는 (N-1)개의 시트의 전체 길이, (N-1)개의 시트 중 인접한 시트들 사이의 간극의 전체 길이, 및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제1 시트(P1)의 선행 단부가 대기하는 대기 위치까지의 거리의 합보다 짧다. 이는 도 8a에서 예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8a를 참조하면, 최후방 시트인 제2 시트(P2)의 후행 단부 지역은 반전 지점(201)의 상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부-이송 경로 길이를 단축시킨다.
CPU(104)는 또한,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된 제1 시트를 따르는 제2 시트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을 통과한 후에, 이송 유닛이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주 이송 경로로 이송하게 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시트가 분지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시트의 후행 단부를 분지 지점의 하류로 이동시킬 수 있다. CPU(104)는 또한, 이송 유닛이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주 이송 경로로 이송하도록, 그리고 그 후에 제1 시트가 다시 화상 형성 유닛의 상류에서 대기하도록, 반전 유닛 및 이송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CPU(104)는 또한,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는 시트를 검출하는 제1 검출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제1 검출 유닛은, 병합 지점(200)에 제공되는 시트 센서일 수 있다. 제1 검출 유닛은, 시트 이송에 관련되는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 펄스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기일 수 있다. CPU(104)는, 병합 지점(200)에 상응하는 미리 결정된 값에 계수기 값이 도달하는 경우에, 시트의 선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에 도달한 것 또는 그 후행 단부가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정합 롤러 쌍(16)은, 주 이송 경로(r1) 내에 제공되고 시트를 화상 형성 유닛 내로 급지하는 정합 롤러의 예이다.
CPU(104)는, 인지 시에, 정합 롤러 쌍(16)에 의해서 이송되는 제3 시트(P3)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였다는, 제1 검출 유닛으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제1 시트(P1)를 부-이송 경로(r2)로부터 주 이송 경로(r1) 내로 급지하기 위해서 이송 유닛의 구동을 재개한다. 따라서, CPU(104)는, 반전 지점(201)을 막고 있는 제2 시트(P2)를 하류로 더 이송할 수 있고, 반전 지점(201)을 비울 수 있다. 제1 시트의 선행 단부가 정합 롤러 쌍(16)에 도달할 때, CPU(104)는 이송 유닛에 의한 제1 시트(P1) 및 제2 시트(P2)의 이송을 정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는, 제1 시트(P1)가 이차 전사 유닛(80)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토너 화상이 그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CPU(104)는,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는 정합 롤러 쌍(16)에 의해서 이송되는 제3 시트(P3)의 후행 단부를 기초로, 반전 유닛(70) 내의 롤러인 반전 롤러 쌍(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2 시트(P2)를 부-이송 경로(r2)의 하류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 시트(P2)의 후행 단부가 반전 유닛(70) 및 반전 지점(201)을 통과할 때, CPU(104)는 반전 유닛(70) 내의 롤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반전 유닛(70)에서 제3 시트(P3)를 수용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CPU(104)는 또한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는 시트를 검출하는 제2 검출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제2 검출 유닛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는 시트를 검출하는 시트 센서(61)일 수 있다. 제2 검출 유닛은 또한 시트 이송에 관련되는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 펄스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기일 수 있다. 병합 지점(200)에 상응하는 미리 결정된 값에 계수기 값이 도달할 때, CPU(104)는, 시트의 선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에 도달한 것, 또는 그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을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CPU(104)는 또한, 제2 검출 유닛으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부-이송 경로(r2)의 하류로 이동하는 제2 시트(P2)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였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CPU(104)는 또한, 제1 시트(P1)를 주 이송 경로(r1)에 급지하기 위해서 이송 롤러 쌍(53)의 구동을 재개한 이후에 급지 장치(12)에 의한 시트의 급지를 금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급지 장치(12)로부터 급지된 시트와 부-이송 경로(r2)로부터 다시 급지된 시트 사이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CPU(104)는 또한, 시트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은 경우에,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수를 2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시트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보다 긴 경우에,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수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병합 지점으로부터 분지 지점까지 주 이송 방향에서의 거리가 또한 시트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 길이보다 길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CPU(104)는 또한, (N-1)개의 시트의 후방에서 대기하는 제2 시트(P2)의 유형에 따라,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N-1)개의 시트의 이송을 재개하는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트가 낮은 이송 효율을 가지는 시트라면, CPU(104)는, 제3 시트의 후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을 통과하였을 때,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N-1)개의 시트의 이송을 재개한다. 만약 제2 시트가 높은 이송 효율을 가지는 시트라면, CPU(104)는, 반전 유닛(70)을 향해서 이동되는 제3 시트의 후행 단부가 반전 지점(201)을 통과하였을 때,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N-1)개의 시트의 이송을 재개한다. 결과적으로, 두꺼운 종이 또는 광택 종이와 같이 비교적 낮은 이송 효율을 가지는 유형의 시트의 경우에 선행적 급지가 실행되고, 그에 따라, 반전 지점(201)에서 시트들 사이의 접촉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보통 종이 또는 얇은 종이와 같이 높은 이송 효율을 가지는 유형의 시트의 경우에, 선행적 급지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높은 이송 효율을 가지는 유형의 시트가 반전 지점(201)을 막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도 5a 및 다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이송 경로(r1)를 따른 병합 지점(200)으로부터 반전 지점(201)까지의 섹션의 거리는 시트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 길이보다 길다. 결과적으로, (N-1)개의 시트가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대기하는 동안, N번째 시트는 주 이송 경로(r1)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 롤러 쌍(51)은, 반전 유닛(70)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r2)에 급지된 시트를 이송하는 제1 이송 유닛의 예이다. 이송 롤러 쌍(53)은,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시트 이송 방향으로 제1 이송 유닛의 하류에 제공되고 시트를 부-이송 경로(r2) 및 주 이송 경로(r1)의 병합 지점(200)에 이송하는 제2 이송 유닛의 예이다. 정합 롤러 쌍(16)은, 병합 지점(200)과 화상 형성 유닛인 이차 전사 유닛(80) 사이에서 주 이송 경로(r1) 내에 제공되고 시트 이송 속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하면서 시트를 이송하는 제3 이송 유닛의 예이다. 모터(M3)는, 제2 이송 유닛 및 제3 이송 유닛을 구동하는 제1 구동 유닛의 예이다. CPU(104)는 반전 유닛(70), 제1 이송 유닛, 및 제1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의 예이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04)는, 제3 이송 유닛의 이송 속력의 가변적인 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반전 유닛(70)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r2)에 급지된 시트가 부-이송 경로(r2) 내의 제2 이송 유닛의 상류에 위치된 제1 대기 위치(x0)에서 대기하게 한다. 제3 이송 유닛의 이송 속력의 가변적인 조정이 완료될 때, CPU(104)는 시트를 제2 이송 유닛의 하류로 이송한다. 결과적으로, 이송 속력이 일시적으로 다른 이송 롤러 쌍(51 및 53)에 의해서 시트에 인가되는 부하가 감소된다.
제3 이송 유닛에 의한 제3 이송 유닛의 이송 속력의 가변적인 조정이 완료될 때, CPU(104)는, 제1 대기 위치(x0)에서 대기한 시트를, 제2 이송 유닛으로부터 하류에 위치되는 제2 대기 위치(x1)로 이송하고, 그리고 이러한 시트가 제2 대기 위치(x1)에서 대기하게 한다. 따라서,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시트는, 선행 시트와 접촉하지 않고, 반전 유닛(70)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다.
클러치(CL2)는 제2 이송 유닛을 제1 구동 유닛에 대해서 결합 및 분리시키는 클러치의 예이다. CPU(104)는, 클러치(CL2)가 제1 구동 유닛을 제2 이송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게 함으로써, 시트가 제2 대기 위치(x1)에서 대기하게 한다. 따라서, 정합 롤러 쌍(16) 및 이송 롤러 쌍(53)은 단일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고, 모터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1)는, 반전 유닛(70) 및 제1 이송 유닛(예를 들어, 이송 롤러 쌍(51))을 구동하는 제2 구동 유닛의 예이다. 클러치(CL1)는, 제2 구동 유닛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제2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제1 이송 유닛에 전달하고, 제2 구동 유닛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제2 구동 유닛의 구동력을 제1 이송 유닛에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 클러치의 예이다. 따라서, 반전 롤러 쌍(50) 및 이송 롤러 쌍(51)은 단일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모터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반전 롤러 쌍(50) 및 이송 롤러 쌍(51)이 단일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때에도, 반전 롤러 쌍(50)의 역회전은 일방향 클러치의 이용에 의해서 일찍 시작될 수 있다. 클러치(CL1 및 CL2)가 또한 솔레노이드 또는 기타에 의해서 결합 상태와 분리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전자기 클러치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104)는, 부-이송 경로(r2) 내의 최후방 시트의 후행 단부가, 부-이송 경로(r2) 내에서, 주 이송 경로(r1), 부-이송 경로(r2), 및 반전 유닛(70)을 연결하는 반전 지점(201)의 하류로 이송되었을 때, 제2 구동 유닛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반전 유닛(70)에서 다음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 길이는 또한 부-이송 경로(r2)의 입구로부터 제2 대기 위치까지의 거리 이하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정합 롤러 쌍(16)은 또한,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변화시키고 시트를 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제1 이송 유닛의 예라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노광 장치(7),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차 전사 유닛(80)은, 제1 이송 유닛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이송되는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의 예이다. 반전 유닛(70)은, 화상 형성 유닛에 의해서 화상이 형성되고 주 이송 경로로부터 이송된 시트를 인입하고, 시트의 후행 단부가 주 이송 경로 및 부-이송 경로의 분지 지점을 통과한 후에, 시트를 부-이송 경로에 급지하기 위해서 시트의 이송 방향을 뒤집는 반전 유닛의 예이다. 이송 롤러 쌍(53)은,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시트를 부-이송 경로로부터 주 이송 경로까지 다시 이송하는 제2 이송 유닛의 예이다. 모터(M3)는, 제1 이송 유닛 및 제2 이송 유닛을 구동하는 구동원의 예이다. CPU(104)는,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제1 시트가 부-이송 경로 내에서 제2 이송 유닛의 상류에서 대기하도록 하기 위해서, 반전 유닛 및 제2 이송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의 예이다. CPU(104)는 또한 반전 유닛으로 하여금, 제1 이송 유닛이 제1 시트를 따르는 제2 시트의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완료하는 타이밍에 따라 대기중인 제1 시트를 제2 이송 유닛에 이송하게 하고, 그리고 제2 시트가 분지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시트의 후행 단부를 분지 지점의 하류로 이동시키게 한다. CPU(104)는, 반전 유닛으로 하여금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제2 이송 유닛의 하류로 이송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 후에 제1 시트가 부-이송 경로 및 주 이송 경로의 병합 지점의 상류에서 다시 대기하도록 하기 위해서, 반전 유닛 및 제2 이송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클러치(CL2)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2 이송 유닛에 대해서 전달하거나 그로부터 분리하는 클러치의 예이다. CPU(104)는 또한, 클러치가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2 이송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게 함으로써, 제1 시트가 병합 지점의 상류에서 다시 대기하게 하도록 클러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송 롤러 쌍(51)은,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시트를 제2 이송 유닛까지 이송하는 제3 이송 유닛의 예이다. 모터(M1)는, 반전 유닛 및 제3 이송 유닛을 구동하는 제2 구동원의 예이다. 클러치(CL1)는, 제2 구동원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제2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3 이송 유닛에 전달하고, 제2 구동원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제2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3 이송 유닛에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 클러치의 예이다.
시트 센서(62)는, 급지 유닛과 화상 형성 유닛 사이에 제공되고 주 이송 경로를 따라서 이송되는 시트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의 예이다. 제2 시트의 선행 단부가 검출 유닛에 의해서 검출된 타이밍을 기초로, CPU(104)는 제1 속력을 설정할 수 있고, 제1 이송 유닛의 시트 이송 속력을 제2 속력으로부터 제1 속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추가적으로 시트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수정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반전 유닛(70)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r2)에 급지된 시트가 이송 롤러 쌍(53)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안,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의 가변적인 조정이 시작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CPU(104)는, 클러치(CL2)가 이송 롤러 쌍(53)을 모터(M3)로부터 분리하게 함으로써, 시트 이송을 정지시킨다.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의 가변적인 조정이 완료될 때, CPU(104)는, 클러치(CL2)가 모터(M3)를 이송 롤러 쌍(53)에 결합하게 함으로써, 시트 이송을 재개한다. 또한, CPU(104)는 다시, 시트의 선행 단부가 병합 지점(200)의 상류에 위치된 대기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클러치(CL2)가 이송 롤러 쌍(53)을 모터(M3)로부터 분리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송 속력이 일시적으로 다른 이송 롤러 쌍(51 및 53)에 의해서 시트에 인가되는 부하가 감소된다.
클러치(CL2)가 이송 롤러 쌍(53)을 모터(M3)로부터 분리하게 할 때, CPU(104)는 반전 유닛(70) 및 이송 롤러 쌍(51)의 정방향 회전을 정지시킨다. 클러치(CL2)가 이송 롤러 쌍(53)을 모터(M3)에 결합시키도록 할 때, CPU(104)는 반전 유닛(70) 및 이송 롤러 쌍(51)의 정방향 회전을 재개한다. 그에 따라, 이송 롤러 쌍(51 및 53)에 의해서 시트에 인가되는 부하가 감소된다.
CPU(104)는, 시트가 토너 화상 전사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과 토너 화상이 전사 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동기화하기 위해서,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을 일시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이 화상 형성 유닛(중간 전사 벨트(8))의 이송 속력과 합치될 때, CPU(104)는 정합 롤러 쌍(16)의 이송 속력의 가변적인 조정을 완료한다. 정합 롤러 쌍(16) 및 이송 롤러 쌍(53)이 동일한 모터로 구동되는 경우에, 이송 롤러 쌍(53)의 이송 속력이 또한 일시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이송 롤러 쌍(53)의 이송 속력이 이송 롤러 쌍(51)의 이송 속력과 일치되지 않는 상태로 진입하고, 이송 롤러 쌍(53)과 이송 롤러 쌍(51)에 걸쳐져 이송되는 시트에 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를 적용할 가치가 있다.
제2 이송 유닛이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제1 시트를 이송하는 동안, 제1 이송 유닛이 시트 이송 속력을 제2 속력으로부터 제1 속력으로 변화시키는 경우에, CPU(104)는 또한, 클러치가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2 이송 유닛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그리고 제1 시트가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도록, 클러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기하는 제1 시트는 분지 지점에 걸쳐진다. CPU(104)는 또한, 제1 이송 유닛이 제1 시트를 따르는 제2 시트의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완료하는 타이밍에 따라, 클러치가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2 이송 유닛에 전달하게 하고, 그리고 제2 시트가 분지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시트의 후행 단부를 분지 지점의 하류로 이동시키게 할 수 있다. CPU(104)는 또한, 제2 이송 유닛이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이송하게 할 수 있고, 그리고 그 후에 클러치가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2 이송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제1 시트가 부-이송 경로 및 주 이송 경로의 병합 지점의 상류에서 다시 대기하게 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을 포함하는, 전술한 기술적 용어에 부착된 숫자는 단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용어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부착된 것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각각의 숫자는 다른 숫자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송 유닛은 또한 제3 이송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다. 청구범위의 숫자는 상세한 설명 내의 숫자와 일치되거나, 그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구범위에서 기술된 제1 이송 유닛은 제3 이송 유닛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따라서, 숫자 자치는 어떠한 기술적 의미도 가지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하고 실행하고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저장 매체로부터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것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시되는 방법에 의해서 또한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을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기 위한 별개의 컴퓨터들 또는 별개의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저장부, 광 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가장 광의의 해석에 따르며, 그에 따라 모든 그러한 수정예 및 균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한다.

Claims (20)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를 주 이송 경로에 급지하도록 구성된 급지 유닛;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된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
    주 이송 경로로부터 이송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의해서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인입하고, 상기 시트의 후행 단부가 주 이송 경로 및 부-이송 경로의 분지 지점을 통과한 후에, 시트를 부-이송 경로에 급지하기 위해서 시트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된 반전 유닛;
    상기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시트를 부-이송 경로 및 주 이송 경로의 병합 지점으로부터 주 이송 경로로 다시 이송하도록 구성된 이송 유닛; 및
    상기 반전 유닛에 의해서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제1 시트가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도록 반전 유닛 및 이송 유닛을 제어하게 구성된 제어 유닛으로서, 대기하는 제1 시트는 분지 지점에 걸쳐지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되고 제1 시트를 뒤따르는 제2 시트의 후행 단부가 상기 병합 지점을 통과한 후에, 상기 이송 유닛이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주 이송 경로로 이송하게 하며, 제2 시트가 상기 분지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시트의 후행 단부를 상기 분지 지점의 하류로 이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이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상기 주 이송 경로로 이송하게 하고, 그 후에 상기 제1 시트가 다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상류에서 대기하게 하도록, 상기 이송 유닛을 제어하게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 지점을 통과하는 시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트의 후행 단부가 상기 병합 지점을 통과한 것을 상기 검출 유닛이 검출할 때,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시트를 상기 부-이송 경로로부터 상기 주 이송 경로로 급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송 유닛의 구동을 재개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시트의 유형에 따라,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제1 시트의 이송 재개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가 저(low) 이송 효율의 시트인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제2 시트의 후행 단부가 상기 병합 지점을 통과할 때,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제1 시트의 이송을 재개하고,
    상기 제1 시트가 고(high) 이송 효율의 시트인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반전 유닛을 향해서 이동되는 제2 시트의 후행 단부가 분지 지점을 통과할 때,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제1 시트의 이송을 재개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의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 이하인 경우에,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수를 2로 설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의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 보다 긴 경우에,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수를 1로 설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이송 경로에서의 상기 병합 지점으로부터 상기 분지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의 길이보다 긴, 화상 형성 장치.
  8.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를 주 이송 경로에 급지하도록 구성된 급지 유닛;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시트를 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1 이송 유닛;
    상기 제1 이송 유닛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이송되는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의해서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주 이송 경로로부터 이송된 시트를 인입하고, 상기 시트의 후행 단부가 상기 주 이송 경로 및 부-이송 경로의 분지 지점을 통과한 후에, 상기 시트를 상기 부-이송 경로에 급지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된 반전 유닛;
    상기 반전 유닛에 의해서 상기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시트를 상기 부-이송 경로로부터 상기 주 이송 경로로 다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2 이송 유닛;
    상기 제1 이송 유닛 및 제2 이송 유닛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원; 및
    상기 반전 유닛에 의해서 상기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제1 시트가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상기 제2 이송 유닛의 상류에서 대기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반전 유닛 및 상기 제2 이송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으로서, 상기 대기하는 제1 시트는 상기 분지 지점에 걸쳐지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반전 유닛이, 상기 제1 이송 유닛이 제1 시트를 따르는 제2 시트의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완료하는 타이밍에 따라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제2 이송 유닛에 이송하게 하고, 상기 제2 시트가 상기 분지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제1 시트의 후행 단부를 분지 지점의 하류로 이동시키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반전 유닛이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상기 제2 이송 유닛의 하류로 이송하고, 그 후에 제1 시트가 상기 부-이송 경로 및 주 이송 경로의 병합 지점의 상류에서 다시 대기하도록, 상기 반전 유닛 및 제2 이송 유닛을 제어하게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2 이송 유닛에 전달하고, 상기 제2 이송 유닛의 구동력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클러치가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2 이송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병합 지점의 상류에서 다시 대기하게 하도록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게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유닛에 의해서 상기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시트를 상기 제2 이송 유닛에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3 이송 유닛;
    상기 반전 유닛 및 제3 이송 유닛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2 구동원; 및
    상기 제2 구동원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2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3 이송 유닛에 전달하고, 상기 제2 구동원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2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3 이송 유닛에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된 일방향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시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급지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 사이에 제공되는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트의 선행 단부가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서 검출되는 타이밍을 기초로, 상기 제어 유닛은 제1 속력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이송 유닛이 상기 시트를 이송하는 이송 속력을 제2 속력으로부터 제1 속력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시트의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추가적으로 변화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 이하인 경우에,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수를 2로 설정하고,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보다 긴 경우에,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수를 1로 설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의 길이는 상기 부-이송 경로 내의 분지 지점으로부터 상기 부-이송 경로 및 주 이송 경로의 병합 지점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화상 형성 장치.
  15.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를 주 이송 경로에 급지하도록 구성된 급지 유닛;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급지된 시트의 이송 속력을 제2 속력으로부터 제1 속력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추가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시트를 상기 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 유닛;
    상기 제1 이송 유닛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이송되는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의해서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주 이송 경로로부터 이송된 시트를 인입하고, 상기 시트의 후행 단부가 상기 주 이송 경로 및 부-이송 경로의 분지 지점을 통과한 후에, 상기 시트를 상기 부-이송 경로에 급지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을 반전시키도록 구성된 반전 유닛;
    상기 반전 유닛에 의해서 상기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시트를 상기 부-이송 경로로부터 상기 주 이송 경로로 다시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2 이송 유닛;
    상기 제1 이송 유닛 및 제2 이송 유닛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원;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2 이송 유닛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2 이송 유닛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가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2 이송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게 하고, 상기 제2 이송 유닛이 제1 시트를 이송하는 동안 상기 제1 이송 유닛이 상기 시트의 이송 속력을 제2 속력으로부터 제1 속력으로 변화시키는 경우에, 상기 반전 유닛에 의해서 상기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제1 시트가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게 하도록,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게 구성된 제어 유닛으로서, 상기 제1 시트는 상기 분지 지점에 걸쳐져 대기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이송 유닛이 제1 시트를 따르는 제2 시트의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완료하는 타이밍에 따라, 상기 클러치가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제2 이송 유닛에 전달하게 하고, 상기 제2 시트가 상기 분지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제1 시트의 후행 단부를 상기 분지 지점의 하류로 이동시키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이송 유닛이 대기하는 제1 시트를 이송하게 하고, 그 이후에 상기 클러치가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제2 이송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부-이송 경로 및 주 이송 경로의 병합 지점의 상류에서 다시 대기하게 하도록 상기 제2 이송 유닛 및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게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유닛에 의해서 상기 부-이송 경로에 급지된 시트를 상기 제2 이송 유닛에 이송하도록 구성된 제3 이송 유닛;
    상기 반전 유닛 및 제3 이송 유닛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제2 구동원; 및
    상기 제2 구동원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제2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3 이송 유닛에 전달하고, 상기 제2 구동원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제2 구동원의 구동력을 상기 제3 이송 유닛에 전달하지 않도록 구성된 일방향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시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급지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 사이에 제공되는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트의 선행 단부가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서 검출되는 타이밍을 기초로, 상기 제어 유닛은 제1 속력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이송 유닛이 상기 시트를 이송하는 상기 이송 속력을 제2 속력으로부터 제1 속력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이송 속력을 제1 속력으로부터 제2 속력으로 추가적으로 변화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 이하인 경우에,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수를 2로 설정하고,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 길이가 미리 결정된 길이보다 긴 경우에, 상기 부-이송 경로 내에서 대기하는 시트의 수를 1로 설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이송 방향에서의 시트의 길이는 상기 부-이송 경로 내의 분지 지점으로부터 상기 부-이송 경로 및 주 이송 경로의 병합 지점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159156A 2016-12-05 2017-11-27 시트의 양측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182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6242 2016-12-05
JP2016236242 2016-12-05
JPJP-P-2017-192833 2017-10-02
JP2017192833A JP6587665B2 (ja) 2016-12-05 2017-10-02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291A true KR20180064291A (ko) 2018-06-14
KR102182418B1 KR102182418B1 (ko) 2020-11-24

Family

ID=6256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56A KR102182418B1 (ko) 2016-12-05 2017-11-27 시트의 양측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330803B1 (ko)
JP (1) JP6587665B2 (ko)
KR (1) KR102182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7665B2 (ja) 2016-12-05 2019-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247859B2 (en) 2018-06-27 2022-02-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d sheet feeding
JP7273640B2 (ja) * 2019-07-19 202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3045480A (ja) 2021-09-22 202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542A (ja) * 1996-12-09 1998-06-23 Fujitsu Ltd 反転給紙構造
JP2001019283A (ja) * 1999-07-09 2001-01-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両面装置
JP2016081007A (ja) * 2014-10-22 2016-05-16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搬送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605A (ja) * 1992-07-30 1994-02-2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シート給送装置及びシート給送方法
JP3548505B2 (ja) 2000-06-30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570897B2 (en) * 2005-04-08 2009-08-04 Canon Kabushiki Kaisha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control for ejecting different size recording sheet
JP5441520B2 (ja) * 2009-06-30 2014-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68354B2 (ja) * 2009-09-28 2012-07-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KR101643138B1 (ko) * 2009-10-12 2016-08-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9592992B2 (en) * 2014-12-19 2017-03-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587665B2 (ja) 2016-12-05 2019-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542A (ja) * 1996-12-09 1998-06-23 Fujitsu Ltd 反転給紙構造
JP2001019283A (ja) * 1999-07-09 2001-01-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両面装置
JP2016081007A (ja) * 2014-10-22 2016-05-16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搬送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3303B1 (en) 2024-01-24
KR102182418B1 (ko) 2020-11-24
EP3330803A2 (en) 2018-06-06
JP2018090417A (ja) 2018-06-14
EP4033303A1 (en) 2022-07-27
JP6587665B2 (ja) 2019-10-09
EP3330803B1 (en) 2022-04-06
EP3330803A3 (en)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47232B (zh) 图像形成设备
US7486902B2 (en) Image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80064291A (ko) 시트의 양측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JP5904176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0647019B (zh) 成像装置
CN109455544B (zh) 成像设备
US2006022812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626131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239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40114A (ja) 画像形成装置
JP674364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0032976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562668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066512A (ja) 画像形成装置
JP7422559B2 (ja) 画像形成装置
JP7346074B2 (ja) 画像形成装置
JP688287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788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19651A (ja) 搬送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JP2024044336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07871A (ja) 画像形成装置
JP6123255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20728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91060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0168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