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201A -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201A
KR20180058201A KR1020170156098A KR20170156098A KR20180058201A KR 20180058201 A KR20180058201 A KR 20180058201A KR 1020170156098 A KR1020170156098 A KR 1020170156098A KR 20170156098 A KR20170156098 A KR 20170156098A KR 20180058201 A KR20180058201 A KR 20180058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protector
pressing member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179B1 (ko
Inventor
마누 샤르마
히만슈 차만
산켓 카우시크
도시카즈 마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신
Publication of KR2018005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8Detection using safety edges by transmission of mechanical forces, e.g. rigid or mov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인풋 유닛(2)과, 검출된 도어의 개폐 상태를 프로텍터(31)의 구동 기구(32)에 전달하는 케이블(4)을 구비한다. 인풋 유닛(2)은,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이동하는 플런저(plunger)(24), 플런저(24)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레버(25), 제1 레버(25)의 회전을 전동(傳動) 요소에 전달하는 제2 레버(26), 제1 레버(25)와 제2 레버(26)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스프링(28), 및 제1 레버(25)와 제2 레버(26)를 초기 위치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29)을 구비한다. 프로텍터(31)가 이동 불가능일 때, 제1 레버(25)가 제1 스프링(2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레버(2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DOOR EDGE PROTECTOR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8,826,596호에 개시된 차량용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는, 가동 프로텍터, 프로텍터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 및 도어의 개폐 상태를 구동 기구에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인풋 유닛을 구비한다. 프로텍터는, 차량 도어의 개방 시에만 도어 에지를 보호하도록, 차량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정해진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도어 에지는, 선회형의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중, 힌지측 단부의 반대측의 단부(선단측 단부)의 에지이다.
미국특허 제8,826,596호
도어 개방 시에 어떤 장애물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프로텍터를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도어를 닫은 것이 인풋 유닛으로부터 구동 기구에 전달되어도, 프로텍터가 이동 불가능하므로 구동 기구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물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프로텍터를 이동할 수 없는 상태라도, 구동 기구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태양은, 차량 도어의 에지인 도어 에지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프로텍터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아웃풋 유닛과,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인풋 유닛과, 상기 인풋 유닛이 검출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상기 구동 기구에 기계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동(傳動)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전동 요소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인풋 유닛이 검출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 대응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에지를 덮는 세트 위치를 포함하는 궤적을 따라 상기 프로텍터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풋 유닛은,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이면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이면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인풋 요소와, 상기 인풋 요소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을 상기 전동 요소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2 레버와,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를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인풋 요소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위치에,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텍터가 이동 불가능일 때, 상기 인풋 요소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2 레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를 제공한다.
프로텍터의 이동 불가능 시에 도어가 닫힌 상태로 되어 인풋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제1 레버가 제1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레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 상대 회전에 의해, 인풋 유닛으로부터 전동 요소를 통한 구동 기구로의 도어의 개폐 상태의 기계적인 전달은 행해지지 않아, 구동 기구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에 의하면, 장애물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프로텍터를 이동할 수 없는 상태라도, 구동 기구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아웃풋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을 개방 상태로 한 인풋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을 개방 상태로 한 인풋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을 개방 상태로 한 인풋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인풋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레버 어셈블리를 분리한 상태의 인풋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액추에이터 기구(機構)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액추에이터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액추에이터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액추에이터 기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선회형의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 양단 중, 힌지에 근접하는 측을 힌지측 단부라고 칭하고, 힌지측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선단측 단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선단측 단부의 에지를 도어 에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면에 나타낸 직사각형 좌표계(XYZ 좌표계)는, 차량 도어에 대하여 고정하여 설정되어 있다. 즉 차량 도어가 선회하면, 이 직사각형 좌표계도 선회한다.
X축은 차량 도어의 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X축의 화살표는, 선단측 단부(도어 에지를 포함함)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X축의 화살표 방향을 +X 방향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인 방향을 -X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즉, -X 방향은, 힌지측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X 방향과 -X 방향을 총칭하여, 간단하게 X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Y축은 차량 도어의 폭 방향을 나타낸다. Y축의 화살표는, 차량 도어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Y축의 화살표 방향을 +Y 방향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인 방향을 -Y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즉, -Y 방향은, 차량 도어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Y 방향과 -Y 방향을 총칭하여, 간단하게 Y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Z축은 차량 도어의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Z축의 화살표는, 차량 도어의 높이 방향 상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Z축의 화살표의 방향을 +Z 방향이라고 하고, 그것과는 반대인 방향을 -Z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즉, -Z 방향은, 차량 도어의 높이 방향 하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Z 방향과 -Z 방향을 총칭하며, 간단하게 Z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차량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으면, X 방향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고, Y 방향은 차량의 폭 방향을 나타내고, Z 방향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는, 인풋 유닛(2), 아웃풋 유닛(3), 및 케이블(전동 요소)(4)을 구비한다. 인풋 유닛(2)은, 차량 도어의 힌지측 단부의 부근에 수용되고, 아웃풋 유닛(3)은 차량 도어의 선단측 단부의 부근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블(4)은, 전체가 차량 도어 내에 수용되고, 인풋 유닛(2)과 아웃풋 유닛(3)을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4)은, 아우터(outer) 케이블(4a)과, 아우터 케이블(4a)에 이동 가능하게 삽통(揷通)된 이너(inner) 케이블(4b)을 구비한다.
인풋 유닛(2)은,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인풋 유닛(2)이 검출한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는, 케이블(4)에 의해 아웃풋 유닛(3)에 기계적으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도어가 닫힘 상태이면, 화살표(A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풋 유닛(2)의 플런저(plunger)(인풋 요소)(24)의 선단부(24a)가 차체에 의해 하우징(21) 내를 향하여 밀어넣어진다. 플런저(24)가 압입 위치(제2 위치)일 때, 인풋 유닛(2)은, 아웃풋 유닛(3)으로부터 이너 케이블(4b)을 잡아당긴다. 한편, 차량 도어가 열림 상태이면, 플런저(24)가 화살표(A2)로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직동(直動)한다. 플런저(24)가 돌출 위치(제1 위치)이면, 인풋 유닛(2)은, 아웃풋 유닛(3)을 향하여 이너 케이블(4b)을 보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웃풋 유닛(3)은, 도어 에지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31)와, 프로텍터(31)를 유지하고, 또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32)와, 구동 기구(32)를 수용한 하우징(33)을 구비한다.
도 1에서만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기구(32)는, 하우징(33)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가동의 로드형 부재(34)(예를 들면, 링크)를 구비한다. 로드형 부재(34)의 선단에 프로텍터(31)가 유지되어 있다. 구동 기구(32)는, 인풋 유닛(2)에 의한 이너 케이블(4b)의 잡아당김과 보내기에 따라, 즉 인풋 유닛(2)이 검출한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프로텍터(31)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있어서 2점 쇄선(T)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닫힘 상태에 대응하는 수납 위치(P1)와, 차량 도어의 열림 상태에 대응하여 도어 에지를 덮는 세트 위치(P2)를 포함하는 궤적을 따라 프로텍터(31)가 이동하도록, 로드형 부재(34)를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32)는, 캠, 캠 팔로워(cam follower), 피니언(pinion), 랙(rack), 스프링과 같은 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구동 기구(32)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인풋 유닛(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풋 유닛(2)의 하우징(21)은 보디(21A, 21B)로 이루어지는 하우징(21)을 구비한다. 보디(21A, 21B)는, 4개의 소경(小徑)의 나사(22)와 5개의 대경(大徑)의 나사(23)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도 7을 주로 참조한다. 이들 도면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디(21A)와 나사(22, 2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인풋 유닛(2)의 하우징(21)에는,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이너 케이블(4b)의 잡아당김과 보내기를 행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기구(30)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액추에이터 기구(30)는, 플런저(24), 제1 레버(25), 제2 레버(26), 핀(27), 제1 스프링(제1 가압 부재)(28), 및 제2 스프링(제2 가압 부재)(29)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레버(25, 26)는 판금을 타발(打拔)하여 형성한 부품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1 및 제2 스프링(28, 29)은, 모두 토션(torsion) 코일 스프링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스프링(28, 29)은, 선형 스프링 재료를 복수 회 권취하여 구성되는 코일부(28a, 28b)와, 코일부(28a, 29a)로부터 연장되는 1개의 선형 스프링 재료인 한 쌍의 단부(28b, 28c, 29b, 29c)를 각각 구비한다.
액추에이터 기구(30)의 개요는 하기와 같다. 도 8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레버(25)와 제2 레버(26)는 동축(同軸)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스프링(28)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레버 어셈블리(20)를 구성하고 있다. 레버 어셈블리(20)는, 하우징(21)의 보디(21A)에 대하여 XZ 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즉, 제1 레버(25)와 제2 레버(26)는, 제1 스프링(28)에 의해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레버 어셈블리(20)는 제2 스프링(29)에 의해 화살표(B1)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있다. 레버 어셈블리(20)의 일단, 구체적으로는 제1 레버(25)의 단부는 핀(27)에 의해 플런저(24)의 기단부(基端部)(24b)에 연결되고, 플런저(24)의 진퇴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다. 레버 어셈블리(20)의 타단, 구체적으로는 제2 레버(26)의 단부에는 이너 케이블(4b)이 연결되어 있고, 레버 어셈블리(20)의 회전에 의해 이너 케이블(4b)의 잡아당김과 보내기가 행해진다.
이하, 액추에이터 기구(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플런저(24)는, 보디(21A)에 설치된 양단 개구의 가이드부(21a)에 의해, 화살표(A1,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직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플런저(24)의 선단부(24a)는, 가이드부(21a)를 통하여 하우징(21)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플런저(24)의 기단부(24b)에는 관통공인 장공(長孔)(24c)이 설치되어 있다. 장공(24c)은, 그 길이 방향이 플런저(24)의 직동 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21A)의 내면에는 축지지부(21a)가 돌출되어 있다. 축지지부(21a)는, 짧은 원통형의 통형부(21b)와, 통형부(21b)의 내측에 동축으로 배치된 대략 원기둥형의 축형부(21c)를 구비한다. 축형부(21c)의 보디(21A)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은, 통형부(21b)의 보디(21A)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크다. 축형부(21c)에는 나사(23)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보디(21A)의 내면에는, 축지지부(21a)의 통형부(21b)를 에워싸도록 홈(21e)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스프링(29)은 축지지부(21a)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스프링(29)의 코일부(29a)는 통형부(21b)에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제2 스프링(29)의 한쪽의 단부(29b)는, 홈(21e)에 수용되어 있다. 단부(29b)의 굴곡한 선단은, 홈(21e)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걸어맞춤공에 삽통되고, 이에 따라 제2 스프링(29)이 보디(21A)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제2 스프링(29)의 다른 쪽의 단부(29c)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레버(25)와 제2 레버(26)의 양쪽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레버(25)는, 베어링 구멍(25a)이 형성된 베어링부(25b)와, 베어링부(25b)로부터 연장되는 암(arm)부(25c)를 구비한다. 베어링 구멍(25a)은 원형의 관통공이다. 베어링 구멍(25a)의 주위에는 버링(burring)부(25d)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부(25b)에는, 스프링받이로서 기능하는 절입(cuts)(25e)이 설치되어 있다. 암부(25c)는, 베어링부(25b)로부터 베어링 구멍(25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25f)과, 제1 부분(25f)의 선단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부분(25g)을 구비한다. 제2 부분(25g)의 선단부에는, 원형의 관통공인 핀 구멍(25h)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부분(25g)의 기단부에는, 돌기형의 스프링받이(25i)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레버(25)는, 제2 스프링(29)에 중첩하는 태양으로서, 축지지부(21a)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레버(25)의 베어링 구멍(25a)에, 축지지부(21a)의 축형부(21c)가 삽통되어 있다. 이 삽통에 의해, 제1 레버(25)는, 축지지부(21a),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형부(21c)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 레버(25)의 버링부(25d)는 통형부(21b)와 축형부(21c)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環形)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레버(25)의 암부(25c)의 제2 부분(25g)은, 플런저(24)의 기단부(24b)에 형성된 슬릿(slit)(24d)(도 6 참조) 내에 위치하고 있다. 플런저(24)의 기단부(24b)와 암부(25c)의 제2 부분(25g)은, 핀(2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핀(27)은, 가느다란 원기둥형의 핀 본체(27a)와, 핀 본체(27a)의 일단에 설치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부(27b)를 구비한다. 핀 본체(27a)는, 플런저(24)의 기단부(24b)에 설치된 장공(24c)과, 제1 레버(25)의 암부(25c)의 제2 부분(25g)에 설치된 핀 구멍(25h)에 삽통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핀(27)에 의한 연결에 의해, 플런저(24)의 직동에 연동하여 제1 레버(25)가 축지지부(21a)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핀(27)의 헤드부(27b)와는 반대측의 선단부는, 장공(24c)에 삽입된 후에 확경(擴徑)되며, 이에 따라 핀(27)이 장공(24c)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레버(26)는, 베어링 구멍(26a)이 형성된 베어링부(26b)와, 베어링부(26b)로부터 돌출하는 탭형부(26c)를 구비한다. 베어링 구멍(26a)은 원형의 관통공이다. 베어링 구멍(26a)의 주위에는 원통부(26d)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부(26b)에는, 스프링받이로서 기능하는 절입(26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입(26e)의 치수 및 형상은, 전술한 제1 레버(25)의 절입(25e)과 거의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탭형부(26c)에는 원형의 관통공인 장착공(26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탭형부(26c)에는, 베어링부(26b)와 인접한 부분에, 스프링받이로서 기능하는 삽통공(26g)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삽통공(26g)은 탭형부(26c)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레버(26)는, 제1 레버(25)에 중첩하는 태양이며, 축지지부(21a)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레버(26)의 베어링 구멍(26a)에 축지지부(21a)의 축형부(21c)가 삽통되어 있다. 이 삽통에 의해, 제2 레버(26)는, 축지지부(21a),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형부(21c)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레버(25)도 축지지부(21a)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1 레버(25)와 제2 레버는, 축지지부(21a)에 의해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레버(25)의 베어링부(25b)와 제2 레버(26)의 베어링부(26b)는,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중첩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레버(26)의 탭형부(26c)의 삽통공(26g)에는, 어댑터(5)를 통하여 이너 케이블(4b)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삽통공(26g)과 어댑터(5)는 회전 대우(turning pair)를 구성하고 있다. 아우터 케이블(4)은 캡(6)을 통하여 보디(21A)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디(21A)에 형성된 절결(21f)에 캡(6)이 끼워 넣어져 있다.
도 3 및 도 4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레버(25)와 제2 레버(26)는, 절입(25e, 26e)(전술한 바와 같이 형상 및 치수가 거의 일치하고 있다)의 축지지부(21a) 주위의 회전 각도가 대략 위치맞춤되도록, 축지지부(21a)에 지지되어 있다. 이 위치맞춤된 절입(25e, 26e) 내에 제2 스프링(29)의 단부(29c)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제2 스프링(29)의 단부(29c)는 제1 및 제2 레버(25, 26)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제2 스프링(29)의 단부(29c)는, 축지지부(21a)가 돌출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29d)과, 이 제1 부분(29d)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부분(29e)을 구비한다. 제1 부분(29d)은 보디(21A)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제1 및 제2 레버(25, 26)의 베어링부(25b, 26b)를 관통하는 태양이며, 절입(25e, 26e)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부분(29e)은 제2 레버(26)의 베어링부(26b)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스프링(29)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29b)에 있어서 보디(21A)에 걸어맞추어지고, 단부(29c)에 있어서 제1 및 제2 레버(25, 26)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걸어맞춤에 의해, 제1 및 제2 레버(25, 26)는,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B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축지지부(21a) 주위에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도 3 및 도 8에서 나타내는 초기 위치가 되도록, 제1 및 제2 레버(25, 26)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제1 및 제2 레버(25, 26)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24)는 하우징(21)으로부터 돌출한 돌출 위치, 즉 차량 도어가 열림 상태일 때의 위치에 있다.
도 4 및 도 5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프링(28)의 코일부(28a)는 제2 레버(26) 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프링(28)의 코일부(28a)에, 제2 레버(26)의 원통부(26d)가 유삽(遊揷)되어 있다. 제1 스프링(28)의 한쪽의 단부(28b)는, 스프링받이(25i)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1 레버(25)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한, 제1 스프링(28)의 다른 쪽의 단부(28c)의 Y 방향으로 굴곡한 선단부는, 삽통공(26g)에 삽통됨으로써 제2 레버(26)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제1 스프링(28)은 제1 레버(25)와 제2 레버(26)를 축지지부(21a) 주위에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특히 인풋 유닛(2)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8∼도 11을 주로 참조한다. 도 8∼도 11에서는, 차량 도어와 차체를 각각 부호 100, 101로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레버 어셈블리(20)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초기 상태일 때는, 차량 도어(100)는 개방 상태에 있다. 차량 도어(100)의 개방 시에 프로텍터(31)가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 즉 장애물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프로텍터를 이동할 수 없는 상태는 아닌 것으로 가정한다. 이 가정 하에서는, 차량 도어(100)가 닫히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24)가 차체(101) 측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 화살표(A1) 방향으로 직동한다. 또한, 이 직동에 연동하여, 제1 레버(25)가 제2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B2)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1 레버(25)와 제1 스프링(28)에 의해 연결된 제2 레버(26)도 제2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B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 시에는, 제1 레버(25)와 제2 레버(26)의 사이에서의 축지지부(21a) 주위의 상대적인 회전은 생기지 않는다. 즉, 제1 레버(25)와 제2 레버(26)의 사이의 상대적인 자세는, 레버 어셈블리(2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자세인 채로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레버 어셈블리(20)는 구부러지지 않고 축지지부(21a) 주위에 회전한다. 이 레버 어셈블리(20)의 회전에 의해 이너 케이블(4b)이 잡아 당겨지고, 구동 기구(32)에 의해 프로텍터(31)가 세트 위치(P2)로부터 수납 위치(P1)를 향하여 궤적(T)을 따라 이동한다. 도 9는 레버 어셈블리(20)의 통상 작동 위치이며, 차량 도어(100)는 폐쇄 상태에 있다. 이 통상 작동 위치에서 다시 차량 도어(100)가 개방되면, 제2 스프링(29)의 탄성적인 가압력에 의해 플런저(24)가 화살표(A2) 방향으로 직동하고, 레버 어셈블리(20)가 화살표(B1) 방향으로 회전하고, 레버 어셈블리(20)는 도 8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레버 어셈블리(20)의 회전에 의해 이너 케이블(4b)이 보내지고, 구동 기구(32)에 의해 프로텍터(31)가 수납 위치(P1)로부터 세트 위치(P2)를 향하여 궤적(T)을 따라 이동한다.
레버 어셈블리(20)는 도 8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에 있고, 차량 도어(100)는 개방 상태이지만, 프로텍터(31)가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장애물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프로텍터(31)를 이동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텍터(31)를 이동할 수 없는 것은 구동 기구(32)와 이너 케이블(4b)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 레버(26)가 축지지부(21a) 주위에 회전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가정 하에서는, 차량 도어(100)가 닫히면, 플런저(24)가 차체(101) 측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 화살표(A1) 방향으로 직동하고 돌출위치로부터 압입 위치로 이동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직동에 연동하여, 제1 레버(25)는 화살표(C1)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제2 레버(26)는 회전하지 않고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즉, 플런저(24)의 돌출위치로부터 압입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제1 레버(25)가 제1 스프링(2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레버(2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1 레버(25)만이 축지지부(21a) 주위에 회전함으로써, 레버 어셈블리(2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부러진 비상 작동 위치가 된다. 이 비상 작동 위치에서는, 제1 레버(25)는 제1 스프링(28) 및 제2 스프링(29)의 탄성적인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C1)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 있다. 한편, 비상 작동 위치에서의 제2 레버(26)는, 축지지부(21a) 주위에 회전하지 않고 초기 위치에서의 축지지부(21a) 주위의 회전 각도 위치를 유지한다.
장애물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프로텍터(31)를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차량 도어(100)가 닫히더라도 레버 어셈블리(20)가 도 10에 나타내는 비상 작동 위치가 되고, 제2 레버(26)는 축지지부(21a) 주위에 회전하지 않고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프로텍터(31)가 이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 차량 도어(100)가 닫힌 경우, 제2 레버(26)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레버 어셈블리(20)에 의하여 이너 케이블(4b)이 잡아 당겨지는 것은 실행되지 않는다. 그 결과, 구동 기구(32)는 작동하지 않고 프로텍터(31)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구동 기구(32)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에 의하면, 장애물에 걸리는 등의 이유로 프로텍터(31)를 이동할 수 없는 상태라도, 구동 기구(32)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에 의하면, 프로텍터(31)를 이동할 수 없는 상태라도, 구동 기구(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레버 어셈블리(20)가 도 10에 나타내는 비상 작동 위치일 때, 프로텍터(31)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복귀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가정 하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레버(26)가 제1 스프링(28)의 탄성적인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C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제2 레버(26)의 회전에 의해, 이너 케이블(4b)이 구동 기구(32)로 보내지고,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1)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제1 스프링(28)의 탄성적인 가압력이 제2 스프링(29)의 탄성적인 가압력보다 크면, 프로텍터(31)가 이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 차량 도어(100)가 열림 상태로부터닫힘 상태가 되어도, 제1 레버(25)를 제2 레버(2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레버 어셈블리(20)는 도 10에 나타내는 비상 작동 위치는 되지 않으며, 도 8에 나타내는 통상 작동 위치가 된다. 그 결과, 레버 어셈블리(20)에 의한 이너 케이블(4b)의 잡아 당김이 실행되어, 구동 기구(32)에 과도한 부하가 작용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스프링(28)의 탄성적인 가압력을 제2 스프링(29)의 탄성적인 가압력보다 작게 설정하고, 프로텍터(31)가 이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 차량 도어(100)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가 된 경우에는, 제1 레버(25)가 제2 레버(26)에 대하여 확실하게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레버 어셈블리(20)가 도 10에 나타내는 비상 작동 위치가 되도록 하고 있다.

Claims (5)

  1. 차량 도어의 에지인 도어 에지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와, 상기 프로텍터를 유지하고, 또한 상기 프로텍터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기구(機構)를 구비하는 아웃풋 유닛;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인풋 유닛; 및
    상기 인풋 유닛이 검출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상기 구동 기구에 기계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전동(傳動)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전동 요소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기 인풋 유닛이 검출한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 대응하는 수납 위치와, 상기 도어의 열림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에지를 덮는 세트 위치를 포함하는 궤적을 따라 상기 프로텍터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풋 유닛은,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이면 제1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이면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인풋 요소;
    상기 인풋 요소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1 레버;
    상기 제1 레버의 회전을 상기 전동 요소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2 레버;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를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 가압 부재; 및
    상기 인풋 요소의 상기 제1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위치에,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를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텍터가 이동 불가능일 때, 상기 인풋 요소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2 레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력은, 상기 제2 가압 부재의 가압력보다 작은,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풋 유닛은, 상기 인풋 요소, 상기 제1 레버, 상기 제2 레버, 상기 제1 가압 부재, 및 상기 제2 가압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레버와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축지지부에 동축(同軸)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토션(torsion)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코일부는,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와 동축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한 쌍의 단부(端部) 중의 한쪽이 상기 제1 레버에 걸어맞추어지고, 다른 쪽이 상기 제2 레버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토션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제2 가압 부재의 코일부는, 상기 축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와 동축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한 쌍의 단부 중의 한쪽이 상기 하우징에 걸어맞추어지고, 다른 쪽이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KR1020170156098A 2016-11-23 2017-11-22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KR102468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611039980 2016-11-23
IN201611039980 2016-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201A true KR20180058201A (ko) 2018-05-31
KR102468179B1 KR102468179B1 (ko) 2022-11-16

Family

ID=6206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098A KR102468179B1 (ko) 2016-11-23 2017-11-22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51210B2 (ko)
KR (1) KR102468179B1 (ko)
CN (1) CN108082067B (ko)
DE (1) DE102017127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3731B (zh) * 2021-04-19 2022-09-27 金湖县华明客车门系统有限公司 一种用在客车上的折叠式内摆门
CN113565378B (zh) * 2021-07-30 2022-08-02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滑移门定位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3275A1 (de) * 2006-11-03 2008-05-08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Schutzeinrichtung für Kanten an Fahrzeugen, vorzugsweise für Türkanten eines Kraftfahrzeuges
JP2011080301A (ja) * 2009-10-08 2011-04-21 Honda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ロッ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226A (en) * 1977-06-15 1979-01-18 Souji Kawada Device of protecting door painting in automobile
DE102007057936B4 (de) * 2007-12-01 2012-05-31 Ford-Werke Gmbh Türkantenschutzeinrichtung
JP4963720B2 (ja) * 2009-12-21 2012-06-27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アクチュエータ
JP5375588B2 (ja) * 2009-12-24 2013-12-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10029065B4 (de) 2010-05-18 2023-10-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ürkantenschutzeinrichtung
JP5723661B2 (ja) * 2011-04-19 2015-05-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チャイルドプロテクタ機構
CZ2012901A3 (cs) * 2012-12-17 2014-06-25 Ĺ KODA AUTO a.s. Ochranný prostředek hrany dveří
CN103122744B (zh) * 2013-03-06 2015-03-04 上海应用技术学院 车门开启防护器
ES2581515T3 (es) * 2013-08-20 2016-09-06 Peter Andrä Puerta abatible con un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parada
KR101926878B1 (ko) * 2013-08-20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엣지 프로텍터
JP6331479B2 (ja) * 2014-02-28 2018-05-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ロッキングレバー及び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20150114344A (ko) * 2014-04-01 2015-10-12 이은규 회전운동을 이용한 자동차 문 보호장치
KR20150073885A (ko) * 2015-01-05 2015-07-01 김의석 차량 도어 충격흡수장치
CN205297217U (zh) * 2016-01-21 2016-06-08 林建安 一种移动式汽车门防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3275A1 (de) * 2006-11-03 2008-05-08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Schutzeinrichtung für Kanten an Fahrzeugen, vorzugsweise für Türkanten eines Kraftfahrzeuges
JP2011080301A (ja) * 2009-10-08 2011-04-21 Honda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7377A1 (de) 2018-05-24
JP2018083621A (ja) 2018-05-31
CN108082067A (zh) 2018-05-29
KR102468179B1 (ko) 2022-11-16
CN108082067B (zh) 2022-07-08
JP6951210B2 (ja)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1697B2 (ja) リニア駆動装置、排ガス再循環制御バルブ
CN103835612A (zh) 门开闭装置
JP5578339B2 (ja) 制御装置
KR20180058201A (ko) 도어 에지 프로텍터 장치
JP2016535222A (ja) カム歯車及びカム歯車を備えたリニア駆動装置
US9929489B2 (en) Connector
EP2902655A2 (en) Resistance generation apparatus
CN111284311A (zh) 辊单元
US20080164129A1 (en) Safety Switch Mounting
CN108290482B (zh) 门边保护装置
EP1555160B1 (en) Vehicle mirror apparatus
CN215340700U (zh) 一种显影盒
JP5026594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開閉装置
KR102337587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조작 핸들 장치
JP6199300B2 (ja) ケーブル装置
JP2020123869A (ja) カメラカバー及び開閉操作具
CN112790653B (zh) 开闭构件驱动装置和便盖开闭单元
KR100958819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외장형 전자기기
JP3121177U (ja) ドアの接点式給電装置
CN201181665Y (zh) 一种可调滚轮转臂型操动装置
JP2005054971A (ja) ヒンジ装置
KR101372801B1 (ko)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
CN104247164A (zh) 控制装置
CN116867603A (zh) 用于夹持开口部件的定位设备
KR20230137638A (ko) 힌지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