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801B1 -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801B1
KR101372801B1 KR1020120153408A KR20120153408A KR101372801B1 KR 101372801 B1 KR101372801 B1 KR 101372801B1 KR 1020120153408 A KR1020120153408 A KR 1020120153408A KR 20120153408 A KR20120153408 A KR 20120153408A KR 101372801 B1 KR101372801 B1 KR 10137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vehicle
coil spring
knob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찬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노브를 회전시키면 노브, 컨트롤러, 컨택트 등의 단계를 거쳐서 신호를 전달하는 도어트림 스위치를 노브를 회전시키면 곧바로 컨택트가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도어트림 스위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설치공간을 작게 하여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손가락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부; 다리부와 버튼부로 구성되어 버튼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가락삽입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노브; 상기 노브의 다리부의 회동방향의 전방에 구비되는 컨택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A SWITCH FOR FUELCAP WHITCH USED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손가락을 이용하여 노브를 회전시키면 노브, 컨트롤러, 컨택트 등의 단계를 거쳐서 신호를 전달하는 도어트림 스위치를 노브를 회전시키면 곧바로 컨택트가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도어트림 스위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설치공간을 작게 하여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에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연료도어 스위치는 차량의 연료통에 구비된 도어캡(DOORCAP)을 열 때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차량의 연료통은 운전자의 직간접적인 승인 없이 외부에서 쉽게 열릴 경우 연료도난 또는 방화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거의 모든 차량의 연료도어(FUEL DOOR)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가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여 열어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운전자는 주유소 등에 진입하여 차량의 내부에서 스위치를 조작하여 연료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도어 스위치구조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연료도어 스위치는 노브(KNOB, 10)와 컨트롤러(30) 및 컨택트(50, CONTAC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브(10)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절곡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컨트롤러(30)는 노브(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노브(10)가 회동하면 그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30)에 의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된 힘이 컨택트(50)를 누르면 접점이 이루어져서 전기적 신호를 도어캡(DOOR CAP)에 전달하여 상기 도어캡이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연료도어 스위치는 운전자가 조작하기 가장 편리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운전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차량의 도어트림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런데, 차량의 도어트림은 디자인적인 측면이나 차량의 경량화를 위하여 가급적 얇게 하며, 측면 윈도우를 작동시키는 모터와 스피커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차량에 사용되는 각 구성부품과 마찬가지로 도어트림 스위치 또한 가능한 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JP 2009-234627 A1 KR 10-1996-0041175 A1 KR 10-1996-0027147 A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트림의 스위치를 노브와 컨택트로만 구성되도록 하여 노브를 회동시키면 상기 노브가 직접 컨택트를 누를 수 있도록 하여 스위치의 구조를 소형화 할 수 있고, 구성부품이 줄어들기 때문에 고장의 염려가 적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구조는 종래의 스위치보다 작은 크기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도어트림에 장착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어트림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손가락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부; 다리부와 버튼부로 구성되어 버튼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가락삽입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노브; 상기 노브의 다리부의 회동방향의 전방에 구비되는 컨택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노브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절곡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를 상방향으로 올리면 상기 다리부가 차량의 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컨택트부의 일단을 타측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컨택트부는 일단에 확장부가 구비된 푸쉬로드와, 일단이 상기 푸쉬로드의 확장부 타측면에 대면되도록 상기 푸쉬로드의 타측이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제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1 코일스프링 및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의 사이에서 상기 푸쉬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컨택트 및 상기 푸쉬로드의 타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컨택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1 컨택트는 타측이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컨택트의 외측에는 상기 제1,2 코일스프링의 지름보다 큰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컨택트는 일측이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의 타측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버튼부가 차량의 전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도어트림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구조는 종래의 스위치구조에 비하여 구성부품이 줄어들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트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운전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구성부품이 줄어들기 때문에 고장의 가능성이 줄어들어 차량의 유지관리비가 감소 되고, 차량의 품질향상으로 인하여 소비자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도어 스위치구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료도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스위치의 컨택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료도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의 구성은, 케이스부(100)와 노브(110) 및 켄택트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100)는 후술하여 설명할 구성부품을 내장하는 것으로, 구성부품이 내장된 상태의 모듈로 제작된 후에 차량의 도어트림의 내측에 결합된다. 케이스부(100)는 운전자가 후술하여 설명할 버튼부(113)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손가락삽입부(105)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부(100)의 외측면에는 도어트림에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장착걸이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부(100)는 차량의 도어트림의 내측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손가락삽입부(105)가 구비되어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형이 가능하다.
노브(110)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버튼부(113)가 되고 타측은 후술하여 설명할 컨택트부(150)를 일어주는 다리부(115)가 된다. 그리하여 버튼부(113)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절곡된 부분(버튼부와 다리부가 만나는 부분)이 케이스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버튼부(113)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손가락삽입부(105)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버튼부(113)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운전자가 케이스부(100)의 손가락삽입부(105)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버튼부(113)를 상방향으로 올리면 다리부(115)가 전방(버튼부(113)와 동일한 방향,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컨택트부(150)의 일단을 밀어주게 된다. 컨택트부(150)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스위치의 컨택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스위치의 컨택트부(150)는 푸쉬로드(151), 제1 코일스프링(153), 제2 코일스프링(155), 제1 컨택트(157) 및 제2 컨택트(15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푸쉬로드(151)는 일단의 소정 길이에 확장부가 구비되어 있고, 그 외의 몸체는 상기 확장부 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T형으로 구성된다. 푸쉬로드(151)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기 때문에, 길이방향의 단면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푸쉬로드(15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코일스프링(153)은 전술하여 설명한 푸쉬로드(151)의 확장부보다는 작게 구성되되, 상기 제1 코일스프링(153)의 내측에 상기 푸쉬로드(151)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푸쉬로드(151)의 타측이 제1 코일스프링(153)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며, 제1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푸쉬로드(151)의 확장부 타측면에 대면되도록 결합된다. 제1 코일스프링(153)은 푸쉬로드(151)의 타측에 다소 느슨하게 결합되어 상기 푸쉬로드(151)가 외력을 받으면 상기 제1 코일스프링(153)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왕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코일스프링(155)은 제1 코일스프링(153)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코일스프링(153)의 타측에 구비된다.
제1 컨택트(157)는 제1 코일스프링(153)과 제2 코일스프링(155)의 사이에서, 푸쉬로드(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컨택트(157)는 중심부에 푸쉬로드(151) 보다 큰 지름의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푸쉬로드(151)의 타측이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결합된다. 제1 컨택트(157)의 외측면은 제2 코일스프링(155)의 내측보다 작아서 상기 제2 코일스프링(155)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컨택트(157)의 외측에 제1,2 코일스프링(153, 155)의 지름보다 큰 플레이트(158)가 더 구비된다. 그리하여 제1 컨택트(157)가 제1,2 코일스프링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구비되면서, 푸쉬로드(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컨택트(157)가 푸쉬로드(151)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제2 코일스프링(155)의 타측방향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제1 컨택트(157)는 플레이트(15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컨택트(157)의 몸체 길이만큼만 밀려 들어가게 됨은 물론이다.
제2 컨택트(159)는 푸쉬로드(151)의 타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의 외측면은 케이스부(100)에 고정된다. 이때 제2 컨택트(159)는 일측이 상기 제2 코일스프링(155)의 내측에 구비되어, 푸쉬로드(151)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밀리면 제2 컨택트(159)의 일부가 제2 코일스프링(155)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결국 푸쉬로드(151) 상에서 일측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하게 된다. 실제 움직임은 푸쉬로드(151)가 제2 컨택트(159)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컨택트(157)와 제2 컨택트(159)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다소의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컨택트(157)와 제2 컨택트(159)의 역할을 푸쉬로드(151)가 타측방향으로 외력을 받아 밀리면, 서로 가까워지면서 접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반드시 제1,2 스프링의 내측에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2 스프링보다 큰 원통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 코일스프링(153, 155)의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푸쉬로드(151)가 타측방향로 밀리면 제1,2 컨택트(157, 159)의 내측으로 제2 코일스프링(155)의 일부가 압축되면서 밀려 들어가고, 그리하여 제1,2 컨택트(157, 159)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운전자가 주유소에 진입하여 연료도어의 캡을 열고자 할 경우에, 운전자는 손가락을 케이스부(100)의 손가락삽입부(105)로 밀어넣어 노브(110)의 버튼부(113)를 잡아당긴다. 버튼부(113)가 위로 올라가면서 회전하면, 상기 버튼부(113)와 일체로 연결된 다리부(115)가 버튼부(113)의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다리부(115)의 회동방향 전방에는 컨택트부(150)가 구비되어, 상기 다리부(115)가 컨택트부(150)의 푸쉬로드(151) 일단을 밀게 된다. 푸쉬로드(151)가 밀리며, 상기 푸쉬로드(151)는 제2 컨택트(159)의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밀려 들어가게 된다. 푸쉬로드(151)가 제2 컨택트(159)의 타측으로 밀려 들어가면 제1,2 코일스프링(153, 155)이 수축되면서 제1,2 컨택트(157, 159)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져서 접점을 하게 된다. 제1,2 컨택트(157, 159)가 접점하면 전기적신호가 연료의 도어캡(미도시)에 전달되어 도어캡이 개방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케이스부(100)는 종래의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최소한 도 1의 컨트롤러(30)의 크기만큼은 작아짐) 설치공간이 좁은 도어트림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케이스부(100)를 버튼부(113) 방향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하면 운전자가 매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나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케이스부
110: 노브
113: 버튼부
115: 다리부
150: 컨택트부
151: 푸쉬로드
153: 제1 코일스프링
155: 제2 코일스프링
157: 제1 컨택트
159: 제2 컨택트

Claims (5)

  1. 손가락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부;
    다리부와 버튼부로 구성되어 버튼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가락삽입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노브;
    상기 노브의 다리부의 회동방향의 전방에 구비되는 컨택트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절곡부가 상기 케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를 상방향으로 올리면 상기 다리부가 차량의 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컨택트부의 일단을 타측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컨택트부는 일단에 확장부가 구비된 푸쉬로드와, 일단이 상기 푸쉬로드의 확장부 타측면에 대면되도록 상기 푸쉬로드의 타측이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제1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1 코일스프링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코일스프링과, 상기 제1 코일스프링 및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의 사이에서 상기 푸쉬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컨택트 및 상기 푸쉬로드의 타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컨택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는 타측이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컨택트의 외측에는 상기 제1,2 코일스프링의 지름보다 큰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컨택트는 일측이 상기 제2 코일스프링의 타측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버튼부가 차량의 전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도어트림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KR1020120153408A 2012-12-26 2012-12-26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 KR10137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08A KR101372801B1 (ko) 2012-12-26 2012-12-26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08A KR101372801B1 (ko) 2012-12-26 2012-12-26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801B1 true KR101372801B1 (ko) 2014-03-11

Family

ID=5064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408A KR101372801B1 (ko) 2012-12-26 2012-12-26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8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209A (ko) * 1997-04-25 1998-11-16 김영귀 도어 내측핸들의 구조
KR100373119B1 (ko) 2000-08-22 2003-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100535505B1 (ko) 2004-03-15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인사이드 핸들 로드의 압축 코일 스프링 적용구조
JP2012154091A (ja) 2011-01-26 2012-08-16 Toyota Auto Body Co Ltd ドアの閉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8209A (ko) * 1997-04-25 1998-11-16 김영귀 도어 내측핸들의 구조
KR100373119B1 (ko) 2000-08-22 2003-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100535505B1 (ko) 2004-03-15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인사이드 핸들 로드의 압축 코일 스프링 적용구조
JP2012154091A (ja) 2011-01-26 2012-08-16 Toyota Auto Body Co Ltd ドアの閉ロッ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2447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US9382734B2 (en) Door handle arrangement
US8100439B2 (en) Device for fixing a door or flap
CN112204217B (zh) 门扇把手装置,特别是用于机动车辆的
JP4456521B2 (ja) 自動車用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30092811A (ko)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US8129639B2 (en)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06310151A5 (ko)
JP2015196435A (ja) 車両用デフレクタ装置
EP1971792B1 (en) Linear damper with integrated switch
KR101372801B1 (ko)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되는 연료도어 스위치 구조
US9224556B2 (en) Switch
CN111524261A (zh) 一种车钥匙远程操控装置
CN110644874A (zh) 用于门锁的手柄装置
KR20170070578A (ko) 차량의 푸쉬 락 스위치 장치
KR101776461B1 (ko) 연료도어 오프너
KR101286942B1 (ko) 슬라이딩 접점을 구비하는 스위치 구조
CN110402476B (zh) 开关装置
EP3633704A1 (en) Switch
KR20150015054A (ko) 차량의 연료도어 오프너
KR100818849B1 (ko)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CN219626883U (zh) 接收器及监控系统
US8057255B1 (en) Connector with a battery sandwiched between a housing and a printed circuit board
KR101410813B1 (ko) 트럭의 오버헤드 콘솔
US10709241B2 (en) Drawer assembly with integral latch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