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811A -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811A
KR20030092811A KR1020020030639A KR20020030639A KR20030092811A KR 20030092811 A KR20030092811 A KR 20030092811A KR 1020020030639 A KR1020020030639 A KR 1020020030639A KR 20020030639 A KR20020030639 A KR 20020030639A KR 20030092811 A KR20030092811 A KR 2003009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ler
filler door
vehicle
straight ro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772B1 (ko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772B1/ko
Priority to JP2002361431A priority patent/JP2004001680A/ja
Priority to CNB02159113XA priority patent/CN1232421C/zh
Priority to US10/330,399 priority patent/US6793266B2/en
Publication of KR2003009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4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fuel inlet covers essentially flush with the vehicl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46Arrangements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 필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연료 필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고 또한,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외부의 습기로부터 차단되는 곳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스프링의 부식 등으로 발생되는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A FUEL FILLER DOOR ASSEMBLY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감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 필러 도어는 차량의 후방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레버 등으로 조작하면 그 조작력에 의해 도어캐치가 작동하여 도어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있던 연료 필러 도어가 개방되고, 연료의 주입후 연료 필러 도어를 닫을 때에는 수동으로 연료 필러 도어를 차체쪽으로 밀어서 상기 도어캐치에 의해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 필러 도어를 차체에 장착하는 데에 필요한 구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연료 필러 도어(100)와, 상기 연료 필러 도어(100)를 차체에 지지하기 위한 힌지브라켓(102)과, 상기 힌지브라켓(102)에 대하여 상기 연료 필러 도어(1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핀(104)과, 상기 연료 필러 도어(100)가 개방되는 상태로 탄지하는 도어스프링(10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보면, 상기 연료 필러 도어(100)는 차체(B)측에 설치된 도어캐치(C)에 의해 그 닫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와 같이 연료 필러 도어(100)가 닫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별도로 전기 스위치(108)를 구비하여 도시되지 않은 운전석의 표시등 등으로 연료 필러 도어(100)가 개방된 상태를 알려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료 필러 도어(100)의 닫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별도로 전기 스위치(108)를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전기 스위치(108)를 장착하는 데에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고, 상기 연료 필러 도어(100)를 열린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어스프링(106)은 그 설치 위치상 쉽게 외부의 습기가 스며들 수 있는 상태여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어스프링(106)의 부식 등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 필러 도어의 열린 상태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도어스프링의 부식 등으로 발생되는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연료 필러 도어의 조립도 및 분해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연료 필러 도어의 폐쇄 및 개방상태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러 도어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도 5의 연료 필러 도어가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연료 필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도 7의 연료 필러 도어가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5 내지 8에 도시된 연료 필러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연료 필러 도어의 주요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료 필러 도어1-1; 돌출부
3; 힌지핀5; 힌지브라켓
7; 직선로드9; 가이드볼트
11; 고정너트13; 와셔
15; 스위치브라켓19; 토션스프링
21; 단자핀21-1; 부도체부
21-2; 전도체부23; 단자플레이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는 차체에 연료 필러 도어의 내측면을 밀 수 있는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직선로드와; 상기 직선로드가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내측면을 밀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직선로드의 차체에 대한 직선 슬라이딩 상태에 따라 접촉상태가 전환되도록 설치된 두 전기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의 연료 필러 도어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각각 입체도와 단면도로서 도시하고 있고, 도 9와 도 10은 주요 구성품의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상태도이다.
도 9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필러 도어(1)는 힌지핀(3)으로 힌지브라켓(5)을 통해 차체(B)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료 필러 도어(1)와 힌지브라켓(5)의 사이에는 종래와는 달리 도어 스프링(106)과 같은 탄성부재가 사용되지 않고, 그 대신, 차체(B)에 연료 필러 도어(1)의 내측면을 밀 수 있는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직선로드(7)와, 상기 직선로드(7)가 상기 연료 필러 도어(1)의 내측면을 밀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직선로드(7)는 상기 연료 필러 도어(1)를 힌지로 지지하는 힌지브라켓(5) 및 차체(B)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힌지브라켓(5) 및 차체(B)에는 상기 직선로드(7)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볼트(9)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고정너트(11)가 와셔(13)와 함께 상기가이드볼트(9)를 차체(B)에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직선로드(7)가 설치된 차체(B)의 내측 부위에는 스위치브라켓(15)이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브라켓(15)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는바,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직선로드(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체(B)에 고정된 스위치브라켓(15)에 고정되며 중앙의 코일부는 상기 스위치브라켓(15)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토션스프링(19)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에는 상기 직선로드(7)의 차체(B)에 대한 직선 슬라이딩 상태에 따라 접촉상태가 전환되도록 설치된 두 전기도체가 설치되어, 상기 직선로드(7)가 상기 연료 필러 도어(1)를 개방하는 동작 자체에 의하여 연료 필러 도어(1)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도체는 상기 직선로드(7)가 상기 토션스프링(19)에 의해 연료 필러 도어(1)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상기 스위치브라켓(15)에 설치된 단자핀(21)과, 상기 직선로드(7)에 돌출되게 설치된 단자플레이트(23)로 구성하였다.
상기 단자핀(21)은 적절한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브라켓(15)에 고정되는 부분인 부도체부(21-1)와 상기 부도체부(21-1)에 일체로 상기 단자플레이트(23)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전도체부(21-2)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전도체부(21-2)에 제1전선(31)을 연결하고, 상기 직선로드(7)의 단자플레이트(23)에 제2전선(32)을 연결하여, 상기 전도체부(21-2)와 단자플레이트(23)에 의해 상기 제1전선(31)과 제2전선(32)의 연결상태가 절환되어 운전석에 설치된 표시등 등을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직선로드(7)의 직선 슬라이딩 상태를 외부 입력으로 하여 온/오프 상태가 절환되는 별도의 패키지화된 스위치나 기타 전기 접점의 접속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연료 필러 도어(1)의 내측면에는 상기 직선로드(7)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받기에 용이하도록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연료 필러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연료 필러 도어(1)는 차체(B)에 설치된 도어캐치(C)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19)이 상기 직선로드(7)를 통해 제공하는 탄성력을 극복하는 상태로 닫혀 있다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캐치(C)가 상기 연료 필러 도어(1)를 자유롭게 하면, 상기 직선로드(7)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토션스프링(19)의 탄성력으로 개방된다.
이때, 상기 직선로드(7)는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돌출부(1-1)를 밀면서 이동하여 상기 단자플레이트(23)가 상기 단자핀의 전도체부(21-2)에 접촉하는 상태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플레이트(23)와 전도체부(21-2)에 의해 상기 제1전선(31)과 제2전선(32)이 서로 도통되는 결과가 되어 운전석에 설치된 표시등을 점등시킬 수 있어서,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언제든지 연료 필러 도어(1)가 개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연료 필러 도어(1)를 닫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상기 연료 필러 도어(1)를 차체(B)쪽으로 밀어서, 상기 직선로드(7)가 토션스프링(19)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도어캐치(C)에 의해 상기 연료 필러 도어(1)가 닫힌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연료 필러 도어(1)가 닫히게 되면, 상기 단자플레이트(23)가 상기 단자핀의 전도체부(21-2)로부터 이격되므로 제1전선(31)과 제2전선(32)의 연결이 차단됨에 의해 운전석의 표시등은 소등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연료 필러 도어(1)를 개방하는 힘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19)이 연료 필러 도어(1)의 내측에 있는 차체(B)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의 습기가 침입하지 못하는 구조이어서 그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 필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연료 필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고 또한, 연료 필러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외부의 습기로부터 차단되는 곳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도어스프링의 부식 등으로 발생되는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laims (7)

  1. 차체에 연료 필러 도어의 내측면을 밀 수 있는 방향으로 직선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직선로드와;
    상기 직선로드가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내측면을 밀도록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직선로드의 차체에 대한 직선 슬라이딩 상태에 따라 접촉상태가 전환되도록 설치된 두 전기도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직선로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차체에 고정된 스위치브라켓에 고정되며, 중앙의 코일부는 상기 스위치브라켓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도체는
    상기 직선로드가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연료 필러 도어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트로크를 제한하도록 상기 스위치브라켓에 설치된 단자핀과;
    상기 직선로드에 돌출되게 설치된 단자플레이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은
    상기 스위치브라켓에 고정되는 부도체부와;
    상기 부도체부에 일체로 상기 단자플레이트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전도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로드는
    상기 연료 필러 도어를 힌지로 지지하는 힌지브라켓 및 차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 및 차체에는
    상기 직선로드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볼트와;
    상기 가이드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도어 필러에는
    상기 직선로드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을 받기에 용이하도록 내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KR10-2002-0030639A 2002-05-31 2002-05-31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KR10049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639A KR100494772B1 (ko) 2002-05-31 2002-05-31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JP2002361431A JP2004001680A (ja) 2002-05-31 2002-12-12 車両の燃料フィラドアアセンブリ
CNB02159113XA CN1232421C (zh) 2002-05-31 2002-12-20 机动车的加油盖组件
US10/330,399 US6793266B2 (en) 2002-05-31 2002-12-27 Fuel filler door assembly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639A KR100494772B1 (ko) 2002-05-31 2002-05-31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811A true KR20030092811A (ko) 2003-12-06
KR100494772B1 KR100494772B1 (ko) 2005-06-13

Family

ID=2957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639A KR100494772B1 (ko) 2002-05-31 2002-05-31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93266B2 (ko)
JP (1) JP2004001680A (ko)
KR (1) KR100494772B1 (ko)
CN (1) CN12324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27930A3 (de) * 2003-10-29 2005-11-30 Alfred Engelmann Holding GmbH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und/oder Entriegelung einer Tanklappe
DE102004010294B4 (de) * 2004-03-03 2007-05-03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Tankmulde für Automobile
JP3959074B2 (ja) * 2004-05-11 2007-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フュエルフィラーリッド構造
US7195093B1 (en) * 2004-06-07 2007-03-27 Faryab Ahmadi Fuel door actuated ignition cut off
JP4490763B2 (ja) * 2004-08-23 2010-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キャップ
FR2899624B1 (fr) * 2006-04-11 2008-05-16 Renault Sas Agencement d'un ouvrant sur un support
CN100590022C (zh) * 2007-07-24 2010-02-17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集成装饰板功能的加油口门
US20090091438A1 (en) * 2007-10-09 2009-04-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inadvertent check engine telltale
US9067489B2 (en) * 2007-10-09 2015-06-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of preventing inadvertent check engine telltale
JP4371167B2 (ja) * 2008-03-31 2009-11-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接続用コードの支持構造
US7806456B1 (en) * 2008-04-14 2010-10-05 Kumars Zandparsa Fuel cap smart vehicle selector lever
KR101428083B1 (ko) 2008-07-16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필러도어
JP5580576B2 (ja) * 2009-11-19 2014-08-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DE102010041861A1 (de) * 2010-10-01 2012-04-05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betankbares Fahrzeug
JP5438223B2 (ja) * 2010-10-12 2014-03-1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充電リッドの開閉検出装置
CN101994446B (zh) * 2010-11-05 2013-05-2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加油口盖导向装置
CN102303648B (zh) * 2011-05-27 2013-05-22 北京北机机电工业有限责任公司 车辆上的小开口机构及具有该小开口机构的车辆
KR101284299B1 (ko) * 2011-06-13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DE102011116068A1 (de) * 2011-07-22 2013-01-24 Kiekert Ag Tankklappenverriegelung
KR101245173B1 (ko) 2011-10-31 2013-03-19 (주) 코스텍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도어 개폐장치
CN102490591A (zh) * 2011-11-18 2012-06-1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油箱门总成与汽车侧围的连接结构
JP6017857B2 (ja) * 2012-06-25 2016-11-02 アイシン機工株式会社 車両用リッドロック装置
DE102012023657A1 (de) * 2012-11-28 2014-05-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lappen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5728055B2 (ja) * 2013-08-30 2015-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ロック機構のケーブルガード構造
DE102014109724A1 (de) * 2014-07-11 2016-01-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karosserieteil
JP6396163B2 (ja) * 2014-10-08 2018-09-26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進退移動装置
KR101567246B1 (ko) 2014-10-17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츄에이터 일체형 푸시 오프너
KR101776461B1 (ko) * 2016-02-24 201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오프너
US11052755B2 (en) 2019-07-11 2021-07-06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Compound spring for capless fuel door
JP7368151B2 (ja) * 2019-09-18 2023-10-24 株式会社Subaru フラップ開閉機構
CN115707618A (zh) * 2021-08-20 2023-02-2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491A (en) * 1974-06-21 1975-10-28 Tom C Montgomery Remote controlled gas tank lock
JPS58152624A (ja) 1982-03-05 1983-09-10 Nissan Motor Co Ltd フイラ−キヤツプの装着確認装置
JPS60199727A (ja) * 1984-03-24 1985-10-09 Toyota Motor Corp 車両用燃料タンク
US4862856A (en) 1986-11-29 1989-09-05 Isuzu Motors Limited Control system of evaporated fuel
JP2604383B2 (ja) 1987-08-10 1997-04-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フィラーチューブのベントカットバルブ
US4917418A (en) 1988-12-12 1990-04-17 Babcock Industries Inc. Fuel filler door release system
US5080421A (en) * 1989-03-22 1992-01-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preventing discharge of fuel vapor
US5076622A (en) * 1990-07-25 1991-12-31 Lectron Products, Inc. Fuel filler latch assembly
US5066062A (en) * 1990-09-13 1991-11-19 Sekulovski Bill G Fuel tank lock
JPH06107001A (ja) * 1992-09-30 1994-04-19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US5661811A (en) * 1994-08-25 1997-08-26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Rear seat audio control with multiple media
US5538312A (en) * 1995-01-05 1996-07-23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sliding door and fuel cap lockout mechanism
DE19501493B4 (de) * 1995-01-19 2006-06-22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KR970030664U (ko) * 1995-12-28 1997-07-24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열림지시장치
KR100263996B1 (ko) * 1996-11-22 2000-08-16 정몽규 연료주입구의도어자동개폐장치
KR19980034187U (ko) * 1996-12-10 1998-09-05 박병재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US5906405A (en) * 1997-01-16 1999-05-2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vehicle sliding door interlock mechanism
SE510067C2 (sv) 1997-08-25 1999-04-12 Volvo Ab Anordning för detektering av ett definerat relativläge
KR19990037331U (ko) * 1998-03-03 1999-10-05 정몽규 연료 주입구 개폐장치
US6352295B1 (en) * 1999-04-27 2002-03-05 American Moto Products, Inc. Fuel door assembly
US6260544B1 (en) 2000-05-01 2001-07-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w fuel vapor emissions fuel system
KR100410511B1 (ko) * 2001-04-06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캐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2421C (zh) 2005-12-21
CN1462705A (zh) 2003-12-24
US6793266B2 (en) 2004-09-21
US20030222476A1 (en) 2003-12-04
KR100494772B1 (ko) 2005-06-13
JP2004001680A (ja) 200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772B1 (ko)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JPH0722029Y2 (ja) 自照式電源スイッチ付回路遮断器
US7924125B2 (en) Stop lamp switch
US8129639B2 (en)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7161104B2 (en) Trip-free PCB mountable relay configuration and method
KR100253490B1 (ko) 차량용 레버스위치의 구조
KR100761247B1 (ko) 스톱램프 스위치
US5821490A (en) Push button switch module
US5920047A (en) Lever switch for a vehicle
JPH10134663A (ja) スイッチ
US7495187B2 (en) Electrical switch
US3048673A (en) Switching device
US6600115B2 (en) Switching device
CN101752134B (zh) 电气墙板开关
US7196278B2 (en) Key operated security switch
KR100658045B1 (ko) 시그널 스위치 장치
US10121626B2 (en) Electrical switch unit for an electrical device
TR199801146A2 (xx) İlk hareket motorunun manyet düğmesi için terminal yapısı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AU782740B2 (en) Switching device
JP3159026B2 (ja) ブレーカ装置
US2642504A (en) Electric circuit operating device
KR0133475Y1 (ko) 트렁크 리드 잠금장치
KR100296747B1 (ko) 차량의스톱램프스위치구조
KR200417540Y1 (ko) 전원 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