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187U -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187U
KR19980034187U KR2019960047127U KR19960047127U KR19980034187U KR 19980034187 U KR19980034187 U KR 19980034187U KR 2019960047127 U KR2019960047127 U KR 2019960047127U KR 19960047127 U KR19960047127 U KR 19960047127U KR 19980034187 U KR19980034187 U KR 199800341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iller
filler door
safety device
doo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정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7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187U/ko
Publication of KR19980034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18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hinged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연료 필러 도어 오픈 지시와 차량의 엔진 정지 여부와 연료 주유 작업의 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감지부(100)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개폐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연료 필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부(40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오픈 스위치를 조작하면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연료 필러 도어를 오픈시키고, 연료 주입 완료시에는 자동으로 연료 필러 도어를 크로스 시킴으로써 주유 작업자가 연료 필러 도어를 수조작하여 크로스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키고, 엔진 정지시에만 주유가 가능하게 하여 화재를 예방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연료 필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면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연료 필러 도어를 오픈시키고 연료 주입 완료시에는 자동으로 연료 필러 도어를 크로스시키도록 한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장치는 연료 필러 도어와 오픈 조작 레버가 케이블로 연결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오픈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케이블을 통하여 작용력을 전달받은 상기 연료 필러 도어가 오픈되고, 주유 작업 완료 후에는 작업자가 상기 연료 필러 도어를 수조작하여 크로스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장치는 차량에 연료를 주입시킨 후 주유 작업자는 연료 필러 도어를 수조작하여 크로스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엔진의 시동 중에도 연료 필러 도어가 오픈되고 주유 작업이 가능하여 엔진의 시동 상태로 연료 주유시에 스파크 등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연료 필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면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연료 필러 도어를 오픈시키고, 연료 주입 완료시에는 자동으로 연료 필러 도어를 크로스시킴으로써 주유 작업자가 연료 필러 도어를 수조작하여 크로스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키고, 엔진 정지시에만 주유가 가능하게 하여 화재를 예방시키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러 도어 개폐부의 구성도로,
도 2는 연료 필러 도어의 크로스 상태이고,
도 3은 연료 필러 도어의 오픈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 필러 도어2 : 힌지축
3 : 연료 필러 캡4 : 차체
5 : 완충 패드100 : 감지부
110 : 연료 필러 도어 스위치
120 : 점화 스위치130 : 적외선 감지기
200 : 제어부300 : 스위칭부
400 : 도어 개폐부410 : 힌지축
420 : 렉430 : 피니언
431 : 전자석432 : 리턴 스프링
RLY : 릴레이TR : 트랜지스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연료 필러 도어 오픈 지시와 차량의 엔진 정지 여부와 연료 주유 작업의 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개폐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연료 필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감지부로서, 사용자에 의한 연료 필러 도어 오픈 지시를 감지하는 오픈 신호부와, 차량의 엔진 정지 여부를 감지하는 엔진 상태 감지부 및, 연료 주유 작업의 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주유 작업 완료 감지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오픈 신호부는 운전석의 하단에 설치시킨 연료 필러 도어 스위치(110)로 구성되고, 상기 엔진 상태 감지부는 점화 스위치(120)로 구성되며, 상기 주유 작업 완료 감지부는 연료 주입구의 측벽에 설치시킨 적외선 감지기(130)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200은 제어부로서, 입력단에 상기 감지부(100)를 접속시키며 예컨대 전자 제어 유니트(electronic control unit)(E.C.U)로 구성된다.
300은 스위칭부로서,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하여 스위칭되며 예컨대 트랜지스터(TR)와 릴레이(RLY)로 구성된다.
400은 도어 개폐부로서, 상기 스위칭부(300)를 거쳐 상기 제어부(200)의 출력단과 접속되며 도 2 내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연료 필러 도어(1)의 힌지축(2)상에 형성시킨 피니언(410)과, 상기 피니언(410)과 체결되어 작용력을 전달하는 렉(420)과, 상기 스위칭부(300)의 동작에 따라 렉(42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동수단(430)은 예컨대 상기 렉(420)을 일방향으로 당기는 전자석(431)과 상기 렉(4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4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2 중 미설명 부호인 3은 연료 필러 캡이고, 4는 차체이며, 5는 완충 패드이다.
이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의 작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운전석의 하단에 설치시킨 연료 필러 도어 스위치(110)를 온시키면 제어부(200)에 연료 필러 도어 오픈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점화 스위치(120)의 연결 모드에 따라 엔진의 상태를 판단하여 엔진이 정지 상태이면 출력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에 제어 전류를 출력하고, 엔진이 시동상태이면 상기 트랜지스터(TR)에 제어 전류를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200)가 출력한 제어 전류는 저항을 거쳐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단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시키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R)는 도통상태에 놓이며, 이에 따라 릴레이(RLY)는 평시 오픈상태에서 크로스상태로 변환된다.
상기 릴레이(RLY)가 크로스되면 도어 개폐부(400)의 전자석(431)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전자석(431)이 자화되므로 렉(420)을 당긴다.
이에 따라, 상기 렉(420)과 체결되어 연료 필러 도어(1)의 힌지축(2)상에 형성된 피니언(410)이 회전하므로 상기 연료 필러 도어(1)가 오픈된다.
연료 주유자가 연료 필러 캡(3)을 열고 연료 주입기를 삽입하여 연료를 주입한 후 상기 연료 필러 캡(3)을 닫으면 연료 주입구의 측벽에 설치시킨 적외선 감지기(13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130)의 감지값에 따라 연료 주입 작업의 완료가 판단되면 미리 세팅된 소정 시간 후에 출력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에 출력하던 제어 전류를 차단시킨다.
이에 따라, 전자석(431)이 자성을 잃으므로 렉(420)은 리턴 스프링(432)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렉(420)에 체결된 피니언(410)이 회전하여 처음 상태로 환원되므로 연료 필러 도어(1)는 크로스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는, 사용자가 연료 필러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면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연료 필러 도어를 오픈시키고, 연료 주입 완료시에는 자동으로 연료 필러 도어를 크로스시킴으로써 주유 작업자가 연료 필러 도어를 수조작하여 크로스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키고, 엔진 정지시에만 주유가 가능하게 하여 화재를 예방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사용자에 의한 연료 필러 도어 오픈 지시와 차량의 엔진 정지 여부와 연료 주유 작업의 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연료 필러 도어의 개폐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연료 필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사용자에 의한 연료 필러 도어 오픈 지시를 감지하는 오픈 신호부; 차량의 엔진 정지 여부를 감지하는 엔진 상태 검지부; 연료 주유 작업의 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주유 작업 완료 감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신호부는 운전석의 하단에 설치시킨 연료 필러 도어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상태 감지부는 점화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 작업 완료 감지부는 연료 주입구에 설치시킨 적외선 감지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부는 연료 필러 도어의 힌지축상에 형성시킨 피니언; 상기 피니언과 체결되어 작용력을 전달하는 렉; 상기 렉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렉을 일방향으로 당기는 전자석; 상기 렉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KR2019960047127U 1996-12-10 1996-12-10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KR199800341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127U KR19980034187U (ko) 1996-12-10 1996-12-10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127U KR19980034187U (ko) 1996-12-10 1996-12-10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187U true KR19980034187U (ko) 1998-09-05

Family

ID=5398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127U KR19980034187U (ko) 1996-12-10 1996-12-10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1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772B1 (ko) * 2002-05-31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772B1 (ko) * 2002-05-31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4187U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의 안전 장치
KR19980032050U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시 엔진 정지장치
KR200260931Y1 (ko) 자동차 주유시의 엔진 제어장치
KR200141682Y1 (ko) 차량주행중 연료캡 및 연료캡도어 자동잠금장치
KR200145546Y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자동개폐장치
KR100290017B1 (ko) 가스자동차의 안전장치
KR19980032894U (ko) 차량의 연료캡 및 연료캡도어 연동 시동장치
KR100252242B1 (ko) 주유시 자동 제어되는 승합차의 필러 도어
KR100428327B1 (ko) 엘피지 가스 누출 방지장치가 설치된 연료장치
KR100412033B1 (ko) Lpg 차량의 lpg 스위치 보호장치 및 그 방법
KR200313244Y1 (ko) 자동차에서 시동 오프 시에 윈도우 자동 닫힘 장치
KR200141672Y1 (ko) 차량의 연료캡 자동잠금장치
KR100283326B1 (ko) 연료 주입시 자동 시동 오프장치
KR20040106421A (ko) 차량에 발진 보호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러한장치가 제공된 차량
KR100292282B1 (ko) 자동차의주유중엔진정지장치
KR19980051501U (ko) 연료 주입시 시동 오프 및 윈도우 하강 장치
KR200161436Y1 (ko) 자동차의 가스 자동 차단장치
KR200301860Y1 (ko) 자동차엔진 구동정지장치
KR200141680Y1 (ko) 차량의 연료캡 및 연료캡도어 자동개폐장치
KR920008806Y1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개폐조절회로
KR19980017468A (ko) 차량 주유시 엔진 자동오프 장치
KR0150300B1 (ko) 주유중 자동차의 출발방지장치
KR19990027287A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KR20020038100A (ko) 연료 주입시 차량의 시동 제어장치
KR20020074732A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주유구 개폐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