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145B1 -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145B1
KR100797145B1 KR1020050131770A KR20050131770A KR100797145B1 KR 100797145 B1 KR100797145 B1 KR 100797145B1 KR 1020050131770 A KR1020050131770 A KR 1020050131770A KR 20050131770 A KR20050131770 A KR 20050131770A KR 100797145 B1 KR100797145 B1 KR 10079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ower
ignition switch
open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524A (ko
Inventor
천덕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50131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145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원을 점화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ECU/연료펌프/인젝터/공기흐름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고, 점화스위치가 "OFF" 또는 "ACC" 상태일 때만, 주유캡을 오픈시키는 주유캡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주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는 상기 점화스위치가 "OFF" 또는 "ACC" 위치일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 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점화스위치가 "ST" 위치일 경우, 상기 ECU/인젝터/공기흐름센서 측으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수단1과; 상기 개폐수단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로 도통/차단시키는 주유캡 스위치 및; 상기 점화스위치가 "ST" 위치일 경우, 연료 펌프 측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수단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엔진이 작동하는 가운데 인화성이 강한 연료의 주입으로 인해 화재 발생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한편, 엔진의 공회전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와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주유캡, 점화스위치, 솔레노이드, 발전기

Description

차량의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ing device of a motorcar}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0a :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 1 : 배터리
2 : 점화스위치 3 : 주유캡 솔레노이드
4 : 주유캡 5 : 발전기
5a : L단자 11 : 개폐수단1
12 : 주유캡 스위치 13 : 개폐수단2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스위치가 "OFF" 및 "ACC" 또는 "ST" 위치일 경우에 따라 주유캡 솔레노이드 측으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어 주유캡을 오픈시킬 수 있는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에서 운전자가 자동차에 주유를 하고자 할 때, 엔진이 작동중일 경우에는 인화성이 강한 연료의 주입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성과 엔진의 공회전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와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주유소에서 주유 시, 운전자는 반드시 자동차의 엔진을 정지시켜야 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 주유구 캡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아래에 장착되어 있는 주유캡 레버를 조작하면 자동차의 엔진작동상태와 관계없이 주유캡 레버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어 주유캡의 록킹을 해제하거나, 캡 오픈스위치를 눌러 전기적으로 록킹 해제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록킹을 해제하여 스프링의 탄성으로 캡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엔진이 작동상태인 것을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주유캡 레버를 작동하여 주유캡을 개방하고 자동차에 주유를 하는 경우가 간혹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재사고의 위험성과 주유하는 동안 엔진의 공회전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스위치가 "OFF" 및 "ACC" 또는 "ST" 위치일 경우에 따라 주유캡 솔레노이드 측으로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는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어 주유캡을 오픈시킬 수 있는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원을 점화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ECU/연료펌프/인젝터/공기흐름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점화스위치가 "OFF" 또는 "ACC" 상태일 때만, 주유캡을 오픈시키는 주유캡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주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는 상기 점화스위치가 "OFF" 또는 "ACC" 위치일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 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점화스위치가 "ST" 위치일 경우, 상기 ECU/인젝터/공기흐름센서 측으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수단1과; 상기 개폐수단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로 도통/차단시키는 주유캡 스위치 및; 상기 점화스위치가 "ST" 위치일 경우, 연료 펌프 측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수단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원을 점화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ECU/연료펌프/인젝터/공기흐름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점화스위치가 "OFF" 또는 "ACC" 상태일 때 만, 주유캡을 오픈 시키는 주유캡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주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보다 발전기의 L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클 경우,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발전기의 L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보다 클 경우, 상기 주유캡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사전에 프로그램화되고, 논리 회로적으로 설계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전술한 개폐수단1ㆍ2는 예컨대, 전류가 코일에 흐르는 여부에 따라 여자되어 접점 동작하는 릴레이일 수도 있고, 리드 스위치일 수도 있으며, 그밖에 입력신호에 따라 접점 반응하는 개폐기이면 모두 만족한다.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터리(1)의 전원을 점화스위치(2)의 조작에 따라, ECU/연료펌프/인젝터/공기흐름센서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전술한 점화스위치(2)가 "OFF" 또는 "ACC" 상태일 때 만, 주유캡(4)을 오픈 시키는 주유캡 솔레노이드(3)를 동작시켜 주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10)의 일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화스위치(2)가 "OFF" 또는 "ACC" 위치일 경우, 배터리(1)의 전원을 주유캡 솔레노이드(3) 측으로 공급하고, 점화스위치(2)가 "ST" 위치일 경우, ECU/인젝터/공기흐름센서 측으로 배터리(1)의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수단1(11)과; 개폐수단1(1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주유캡 솔레노이드(3)로 도통/차단시키는 주유캡 스위치(12) 및; 점화스위치(2)가 "ST" 위치일 경우, 연료 펌프 측으로 배터리(1)의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수단2(1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전술한 개폐수단1ㆍ2(11)(13)는 전류가 코일에 흐르는 여부에 따라 여자되어 접점 동작하는 릴레이를 적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점화스위치(2)가 "ST"위치에서는 개폐수단1(11)과 개폐수단2(13)로 배터리(1)의 전원이 공급되고, 릴레이의 코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코일에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접점이 여자되면서 ECU/연료펌프/인젝터/공기흐름센서 내지는 점화코일 측으로 접속되어, 해당 부분으로 전원을 공급시켜 엔진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주유캡(4)을 오픈 시키는 주유캡 솔레노이드(3) 측으로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주유캡(4)을 열수가 없어 주유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점화스위치(2)가 "OFF" 또는 "ACC" 위치에서는 배터리(1)의 전원이 주유캡 솔레노이드(3) 측으로 공급되도록 개폐수단1(11)이 접속되어, 주유캡 스위치(4)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1)의 전원이 주유캡 솔레노이드(3)로 공급되며, 이로써 주유캡(4)의 오픈이 가능하도록 되어, 주유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타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1)의 전원 보다 발전기(5)의 L단자(5a)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클 경우, 주유캡 솔레노이드로(3)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배터리(1)의 전원이 발전기(5)의 L단자(5a)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보다 클 경우, 주유캡 스위치(12)의 조작에 따라, 주유캡 솔레노이드(3)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사전에 프로그램화되고, 논리 회로적으로 설계된 마이컴(10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점화스위치(2)가 "ST"에 위치하여 엔진이 작동 상태에 있으면, 발전기(5)의 L단자(5a)에서는 약 14[V]의 전압이 출력되며, 엔진이 정지상태에 있고 점화스위치(2)에 삽입된 키가 ACC"에 위치하거나, 스타트 모터(미도시) 구동으로 즉시 엔진이 시동될 수 있는 위치로 있으면, 발전기(5)의 L단자(5a)로부터 1~3[V]의 전압이 출력되어, 마이컴(10a)으로 입력된다.
이때 발전기(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배터리(1)의 전압 보다 클 경우, 즉, 엔진에 시동이 걸린 경우, 주유캡 솔레노이드로(3)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주유캡(4)을 열수 없도록 하여 주유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배터리(1)의 전압이 발전기(5)의 L단자(5a)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보다 클 경우, 즉, 엔진에 시동이 걸리지 않은 경우에는 주유캡 스위치(12)의 조작에 따라, 주유캡 솔레노이드(3)로 전원이 공급되므로, 주유캡(4)을 열수가 있어 주유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어 주유캡을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엔진이 작동하는 가운데 인화성이 강한 연료의 주입으로 인해 화재 발생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한편, 엔진의 공회전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와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3)

  1. 삭제
  2. 배터리의 전원을 점화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ECU/연료펌프/인젝터/공기흐름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점화스위치가 "OFF" 또는 "ACC" 상태일 때만, 주유캡을 오픈시키는 주유캡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주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는 상기 점화스위치가 "OFF" 또는 "ACC" 위치일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 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점화스위치가 "ST" 위치일 경우, 상기 ECU/인젝터/공기흐름센서 측으로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수단1과; 상기 개폐수단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로 도통/차단시키는 주유캡 스위치 및; 상기 점화스위치가 "ST" 위치일 경우, 연료 펌프 측으로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수단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3. 배터리의 전원을 점화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ECU/연료펌프/인젝터/공기흐름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점화스위치가 "OFF" 또는 "ACC" 상태일 때만, 주유캡을 오픈시키는 주유캡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 주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원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유캡 개폐 제어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전원보다 발전기의 L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클 경우,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발전기의 L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보다 클 경우, 상기 주유캡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주유캡 솔레노이드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사전에 프로그램화되고, 논리 회로적으로 설계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KR1020050131770A 2005-12-28 2005-12-28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KR10079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770A KR100797145B1 (ko) 2005-12-28 2005-12-28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770A KR100797145B1 (ko) 2005-12-28 2005-12-28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524A KR20070069524A (ko) 2007-07-03
KR100797145B1 true KR100797145B1 (ko) 2008-01-22

Family

ID=3850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770A KR100797145B1 (ko) 2005-12-28 2005-12-28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1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424U (ko) * 1997-10-28 1999-05-25 현성옥 차량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주유구 캡 개폐장치
KR20020072267A (ko) * 2002-08-22 2002-09-14 (주)대봉정밀 자동차 연료주입구 커버의 안전개폐장치
KR20030081980A (ko) * 2002-04-15 2003-10-22 오옥남 주유중 엔진전원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424U (ko) * 1997-10-28 1999-05-25 현성옥 차량의 시동 온.오프에 따른 주유구 캡 개폐장치
KR20030081980A (ko) * 2002-04-15 2003-10-22 오옥남 주유중 엔진전원 차단장치
KR20020072267A (ko) * 2002-08-22 2002-09-14 (주)대봉정밀 자동차 연료주입구 커버의 안전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524A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5602C (en) Lpg fuel shutoff system
KR20090061035A (ko) 릴리프 스위치를 갖는 내연 기관용 스타터
KR100797145B1 (ko) 차량의 전원공급장치
KR200260931Y1 (ko) 자동차 주유시의 엔진 제어장치
AU2006201752B2 (en) Diagnosing System and Method of LPI Engine
KR100501581B1 (ko) 자동차의 안전주유 유도시스템
JPS58204957A (ja) 電動式燃料ポンプの駆動制御装置
KR200431722Y1 (ko) 자동차의 주유구 개방장치
KR100428327B1 (ko) 엘피지 가스 누출 방지장치가 설치된 연료장치
KR200185610Y1 (ko) 주유중 엔진구동 제어장치
KR19980032050U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시 엔진 정지장치
KR920008806Y1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개폐조절회로
KR100721241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차단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90252B1 (ko) 자동차의 주유캡작동레버를 이용한 시동차단장치
KR200196279Y1 (ko) 주유중 시동 정지 장치
KR200301860Y1 (ko) 자동차엔진 구동정지장치
KR100777203B1 (ko) 주유 중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0371928Y1 (ko) 자동차의 주유캡작동레버를 이용한 시동차단장치
KR200415652Y1 (ko) 자동차의 안전 시동 제어 장치
KR200420761Y1 (ko) 주유구 자동 개폐 시스템
KR20020055617A (ko) Lpg차량의 엔진 시동장치
KR100717317B1 (ko) 누출 차단 밸브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736793B1 (ko) 차량용 시동 지연 장치
KR100280147B1 (ko) 자동차의 시동(점화)단속장치_
KR100687609B1 (ko) 자동차의 주유캡버튼스위치를 이용한 시동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