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247B1 - 스톱램프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톱램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247B1
KR100761247B1 KR1020050038422A KR20050038422A KR100761247B1 KR 100761247 B1 KR100761247 B1 KR 100761247B1 KR 1020050038422 A KR1020050038422 A KR 1020050038422A KR 20050038422 A KR20050038422 A KR 20050038422A KR 100761247 B1 KR100761247 B1 KR 10076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stop lamp
cas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067A (ko
Inventor
박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Priority to KR102005003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247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4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접점 구조를 2중 접촉구조로 하여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스톱램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톱램프 스위치는 케이스,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케이스의 내외측으로 직선이동하는 작동로드, 작동로드를 수용하며 케이스에 결합되는 마운팅 볼트, 한 쌍씩 짝을 이루어 외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하 배치되는 제 1단자 및 제 2단자, 제 1단자 및 제 2단자와 각각 대향하며 작동로드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제 1콘택트 및 제 2콘택트를 포함하고, 제 1단자와 제 2단자를 이루는 각각의 한 쌍의 단자 중 각 단자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접점이 구비되고, 제 1콘택트와 제 2콘택트에는 각각 제 1단자와 제 2단자의 고정 접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 접점이 구비된다. 고정 접점과 이동 접점의 직경은 1.7㎜~2.3㎜으로 형성되고, 제 1콘택트와 제 2콘택트의 두께는 0.27㎜~0.33㎜으로 형성된다. 마운팅 볼트는 스틸을 사용하여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형성된다.
스톱램프, 스위치, 고정 접점, 이동 접점, 2중 접점

Description

스톱램프 스위치{STOP LAMP SWITCH}
도 1은 종래의 스톱램프 스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스톱램프 스위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램프 스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램프 스위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램프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램프 스위치의 작동을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상부 케이스 104: 하부 케이스
106: 마운팅 볼트 110: 작동로드
112: 제 1걸림턱 114: 제 2걸림턱
116: 제 1스프링 118: 제 2스프링
121a,121b,121c,121d: 제 1이동 접점 122: 제 1콘택트
131a,131b,131c,131d: 제 2이동 접점 132: 제 2콘택트
141a,141b,141c,141d: 제 1고정접점 142a,142b: 제 1단자
143a,143b,143c,143d: 제 2고정접점 144a,144b: 제 2단자
150: 단자 브라켓
본 발명은 스톱램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접점 구조를 2중 접촉구조로 하여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반면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스톱램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톱램프 스위치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장착되어 차량의 제동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 차량후방에 설치된 스톱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스톱램프 스위치의 일례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329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스톱램프 스위치의 외관과 내부구조를 각각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톱램프 스위치는 일면에 마운팅 볼트(6)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2)와, 상부 케이스(2)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4)와, 마운팅 볼트(6)를 관통하여 상,하부 케이스(2, 4)내로 삽입되고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작동로드(10)와, 상,하부 케이스(2, 4)의 측면에 결합되고 스톱램프용 외부회로와 크루즈(Cruise)용 외부회로와 연결되는 단자(22a, 22b, 24a, 24b)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진다. 스톱램프 스위치는 마운팅 볼트(6)와 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8)에 의해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장착된다.
상,하부 케이스(2, 4)의 내부에는 스톱램프용 외부회로와 연결된 단자(22a, 22b)에 설치되는 제 1고정 접점(21a, 21b)과, 크루즈용 외부회로와 연결된 단자(24a, 24b)에 설치되는 제 2고정 접점(23a, 23b)과, 작동로드(10)에 결합되어 작동로드(10)와 함께 직선이동하는 박판의 도전성 제 1콘택트(15) 및 제 2콘택트(17)와, 제 1 및 제 2콘택트(15, 17)에 제 1고정 접점(21a, 21b)과 제 2고정 접점(23a, 23b)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제 1이동 접점(11a, 11b) 및 제 2이동 접점(13a, 13b)이 구비된다. 제 1 및 제 2콘택트(15, 17) 사이에는 제 1이동 접점(11a, 11b)과 제 1고정 접점(21a, 21b)의 접촉과 제 2이동 접점(13a, 13b)과 제 2고정 접점(23a, 23b)의 접촉을 확실히 보장하기 위한 제 1스프링(16)이 구비된다. 또한, 제 2콘택트(17)와 하부 케이스(4) 사이에는 제 1이동 접점(11a, 11b)이 제 1고정 접점(21a, 21b)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작동로드(10)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 2스프링(18)이 설치된다. 미설명 부호 30은 상,하부 케이스(2, 4)의 내부에 구비되어 단자(22a, 22b, 24a, 24b)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브라켓이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작동로드(10)가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 경우로서 스톱램프가 작동되는 상태이다. 즉,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작동로드(10)가 제 2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여 제 1이동 접점(11a, 11b)이 제 1고정 접점(12a, 12b)에 접촉되어 스톱램프를 온(ON) 작동시키게 된다. 더욱이, 제 1스프링(16)이 압축되면서 그 탄성 복원력이 제 1콘택트(15)에 가해져 제 1이동 접점(11a, 11b)은 제 1고정 접점(12a, 12b)에 견고하게 접촉하게 된다.
반대로,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발을 떼면, 작동로드(10)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이동하여 제 2이동 접점(13a, 13b)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 2고정 접점(23a, 23b)에 접촉되어 크루즈 상태로 전환된다. 동시에, 제 1이동 접점(11a, 11b)이 제 1고정 접점(12a, 12b)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스톱램프는 오프(OFF)상태로 절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톱램프 스위치에 있어서, 스위치의 구조적 전기 통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일대일 접촉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 유입 등으로 인하여 통전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직경이 대략 4.0㎜이고 콘택트의 두께가 대략 0.8㎜로서 그 크기가 크고 두꺼우므로, 이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시 소음이 발생하여 최근 차량 개발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간주되는 차량 정숙도에 악영향을 끼치고, 차량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에 직접 고정되는 마운팅 볼트는 베릭(Beric)을 사용한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상부 케이스와 일체로 제조되는데, 장착을 위해 너트를 조일 때 마운팅 볼트가 부러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접점 구조를 2중 접촉구조로 하여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톱램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스톱램프 스위치를 제 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스톱램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톱램프 스위치는 케이스,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케이스의 내외측으로 직선이동하는 작동로드, 작동로드를 수용하며 케이스에 결합되는 마운팅 볼트, 한 쌍씩 짝을 이루어 외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하 배치되는 제 1단자 및 제 2단자, 제 1단자 및 제 2단자와 각각 대향하며 작동로드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제 1콘택트 및 제 2콘택트를 포함하고, 제 1단자와 제 2단자를 이루는 각각의 한 쌍의 단자 중 각 단자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접점이 구비되고, 제 1콘택트와 제 2콘택트에는 각각 제 1단자와 제 2단자의 고정 접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 접점이 구비되고, 마운팅 볼트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고, 케이스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마운팅 볼트는 상기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형성되며, 제 1콘택트를 지지하도록 제 1인슐레이터가 제 1콘택트의 배면에 밀착되고 제 2콘택트를 지지하도록 제 2인슐레이터가 제 2콘택트의 상면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접점과 이동 접점의 직경은 1.7㎜~2.3㎜으로 형성되고, 제 1콘택트와 제 2콘택트의 두께는 0.27㎜~0.33㎜으로 형성된다.
삭제
작동로드에는 제 1콘택트의 상측과 제 2콘택트의 하측에 제 1콘택트와 제 2콘택트의 이동범위를 각각 제한하기 위한 제 1걸림턱과 제 2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제 1걸림턱 상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램프 스위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스톱램프 스위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개구된 상부 케이스(102)의 하측에 상단이 개구된 하부 케이스(104)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들 케이스(102, 104)의 결합을 위해 상부 케이스(102)의 대향하는 두 측면에는 절결부(103)가 구비되고, 하부 케이스(104)에는 절결부(103)와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103)에 래치되는 래치부(105)가 돌출형성된다. 상부 케이스(102)의 상면 중심에는 마운팅 볼트(106)가 상측으로 연장구비된다. 마운팅 볼트(106)는 너트(108)에 의해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하부 케이스(104)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되고, 마운팅 볼트(106)는 강성이 높은 스틸을 사용하여 상부 케이스(102)에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너트(108)의 조임시 마운팅 볼트(106)의 파손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하부 케이스(102, 104)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단자(142a, 142b, 144a, 144b)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140)이 부착된다. 복수의 단자는 스톱램프용 외부회로와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제 1단자(142a, 142b)와, 제 1단자(142a, 142b)의 하측에 구비되고 크루즈용 외부회로와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제 2단자(144a, 144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단자(142a, 142b, 144a, 144b)는 상,하부 케이스 (102, 104)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하부 케이스(102, 104)의 내부에는 복수의 단자(142a, 142b, 144a, 144b)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슬릿을 가지는 단자 브라켓(150)이 구비된다. 한 쌍의 제 1단자(142a, 142b) 중 각 단자에는 한 쌍의 제 1고정 접점(141a, 141b)(141c, 141d)이 설치되고, 한 쌍의 제 2단자(144a, 144b) 중 각 단자에는 한 쌍의 제 2고정 접점(143a, 143b)(143c, 143d)이 설치된다.
마운팅 볼트(106)에는 길이방향으로 그 중심부를 관통하는 관통로(107)가 구비되고, 관통로(107)를 통해 작동로드(110)가 상,하부 케이스(102, 104) 내로 삽입된다. 작동로드(110)의 상단 일부는 마운팅 볼트(106)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되고, 브레이크 페달(도시되지 않음)과 연동하여 상,하부 케이스(102, 104)의 내외측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작동로드(110)에는 제 1단자(142a, 142b)의 고정 접점(141a, 141b, 141c, 141d)과 대응되는 이동 접점을 가지는 제 1이동부(120)와, 제 1이동부(120)의 하측에 구비되고 제 2단자(144a, 144b)의 고정 접점(143a, 143b, 143c, 143d)과 대응되는 이동 접점을 가지는 제 2이동부(130)가 결합되어 작동로드(110)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 1이동부(120)는 박판형상의 도전성 제 1콘택트(122)와, 제 1콘택트(122)에 제 1고정 접점(141a, 141b, 141c, 141d)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 1이동 접점(121a, 121b, 121c, 121d)과, 제 1콘택트(122)를 지지하도록 제 1콘택트(122)의 배면에 밀착되는 제 1인슐레이터(124, insulator)를 포함한다. 제 1콘택트(122)와 제 1인슐레이터(124)의 중심부에는 각각 작동로드(110)가 통과되는 공간부 (122a, 124a)가 구비된다.
제 1이동부(120)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2이동부(130)는 박판형상의 도전성 제 2콘택트(132)와, 제 2콘택트(132)에 제 2고정 접점(143a, 143b, 143a, 143d)과 대응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 2이동 접점(131a, 131b, 131c, 131d)과, 제 2콘택트(132)를 지지하도록 제 2콘택트(132)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2인슐레이터(134)를 포함한다. 제 2인슐레이터(134)의 중심부에는 후술할 제 1스프링(116)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5)가 돌출형성된다. 제 2인슐레이터(134)의 지지부(135)와 제 2콘택트(132)의 중심부에는 각각 작동로드(110)가 통과되는 공간부(134a, 132a)가 구비된다.
상기 모든 접점은 직경이 1.7㎜~2.3㎜(바람직하게는, 2.0㎜)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접점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고정 접점과 이동 접점의 접촉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여 차량의 정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모든 콘택트의 두께는 0.27㎜~0.33㎜(바람직하게는, 0.3㎜)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작동로드(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마운팅 볼트(106)가 변형되어 콘택트가 소정의 경사로 상하 이동하더라도, 콘택트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콘택트 자체의 유연성으로 인해 모든 접점 개소가 충분히 접촉되어 접점 신뢰성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작동로드(110)에는 제 1이동부(120)의 상측에 작동로드(110)의 둘레를 따라 제 1이동부(12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 1걸림턱(112)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제 2이동부(130)의 하측에 제 2이동부(13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 2걸림턱(114)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 1이동부(120)의 제 1인슐레이터(124)와 제 2이동부(130)의 제 2인슐레이터(134) 사이에는 제 1스프링(116)이 구비된다. 제 1스프링(116)의 하단 일부는 제 2인슐레이터(134)의 지지부(135)에 감겨 지지된다. 제 1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 제 1이동 접점(121a, 121b, 121c, 121d)과 제 1고정 접점(141a, 141b, 141c, 141d)의 접촉 및 제 2이동 접점(131a, 131b, 131c, 131d)과 제 2고정 접점(143a, 143b, 143a, 143d)의 접촉이 확실히 보장되는데, 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작동로드(110)와 하부 케이스(104) 사이에는 제 1이동 접점(121a, 121b, 121c, 121d)이 제 1고정 접점(141a, 141b, 141c, 141d)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작동로드(110)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제 2스프링(118)이 구비된다. 제 2스프링(118)의 하단은 하부 케이스(104)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작동로드(110)의 하단일부를 감싸며 제 2걸림턱(114)에 지지된다.
미설명 부호 119는 작동로드(110)에 끼워져 제 1걸림턱(112) 상에 위치되는 오링(O-ring)형상의 완충부재로서, 제 1 및 제 2스프링(116, 118)에 의한 작동로드(110)의 이동시 작동로드(110)와 단자 브라켓(150)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충격과 소음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톱램프 스위치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작동로드(110)가 압축되어 있던 제 2스프링(1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간 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스톱램프가 작동되는 상태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제 1스프링(11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1이동 접점(121a, 121b, 121c, 121d)이 제 1고정 접점(141a, 141b, 141c, 141d)에 접촉되면서 스톱램프를 온(ON) 작동시키게 된다. 동시에, 작동로드(110)의 제 2걸림턱(114)에 작용하는 제 2스프링(1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작동로드(110)가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2걸림턱(114)에 지지되는 제 2이동 접점(131a, 131b, 131c, 131d)은 제 2고정접점(143a, 143b, 143c, 143d)으로부터 이격되고, 제 1스프링(116)은 다시 압축상태로 변형되면서 제 1이동 접점(121a, 121b, 121c, 121d)과 제 1고정 접점(141a, 141b, 141c, 141d)의 접촉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또한, 작동로드(110)의 제 1걸림턱(112) 상에 안착되는 완충부재(119)는 제 1걸림턱(112)과 단자 브라켓(150)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충격과 소음발생을 억제한다.
반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발을 떼면, 작동로드(110)는 케이스(102, 104)의 내측으로 가압되어 하향이동한다. 작동로드(1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제 2스프링(11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 2스프링(118)을 압축시키고, 압축상태에 있던 제 1스프링(11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2이동 접점(131a, 131b, 131c, 131d)이 제 2고정접점(143a, 143b, 143c, 143d)에 접촉되어 크루즈상태로 전환된다. 이후, 작동로드(110)가 더 하향이동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110)의 제 1걸림턱(112)에 의해 제 1이동 접점(121a, 121b, 121c, 121d)이 제 1스프링(116)을 압축시키면서 하향이동하여 제 1고정 접점(141a, 141b, 141c, 141d)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스톱램프는 오프(OFF)상태로 절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톱램프 스위치는 스톱램프 및 크루즈용 단자의 고정 접점과 이동 접점의 접점방식을 2중 접점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스위치 내부에 미세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통전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 접점과 이동 접점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고정 접점과 이동 접점의 접촉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켜 최근 요구되는 차량의 정숙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택트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마운팅 볼트가 변형되어 콘택트가 약간의 경사를 두고 상하이동하더라도 콘택트 자체의 유연성에 의해 고정 접점과 이동 접점의 모든 접점 개소에서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져 접점 신뢰성이 상당히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케이스,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과 연동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외측으로 직선이동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를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마운팅 볼트, 한 쌍씩 짝을 이루어 외부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하 배치되는 제 1단자 및 제 2단자, 상기 제 1단자 및 제 2단자와 각각 대향하며 상기 작동로드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제 1콘택트 및 제 2콘택트를 포함하는 스톱램프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단자와 제 2단자를 이루는 각각의 한 쌍의 단자 중 각 단자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콘택트와 제 2콘택트에는 각각 상기 제 1단자와 제 2단자의 고정 접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 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 볼트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운팅 볼트는 상기 케이스에 인서트 사출성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콘택트를 지지하도록 제 1인슐레이터가 상기 제 1콘택트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2콘택트를 지지하도록 제 2인슐레이터가 상기 제 2콘택트의 상면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램프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과 이동 접점의 직경은 1.7㎜~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램프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콘택트와 제 2콘택트의 두께는 0.27㎜~0.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램프 스위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에는 상기 제 1콘택트의 상측과 제 2콘택트의 하측에 제 1콘택트와 제 2콘택트의 이동범위를 각각 제한하기 위한 제 1걸림턱과 제 2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1걸림턱 상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램프 스위치.
  7. 삭제
KR1020050038422A 2005-05-09 2005-05-09 스톱램프 스위치 KR100761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22A KR100761247B1 (ko) 2005-05-09 2005-05-09 스톱램프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422A KR100761247B1 (ko) 2005-05-09 2005-05-09 스톱램프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067A KR20060116067A (ko) 2006-11-14
KR100761247B1 true KR100761247B1 (ko) 2007-09-27

Family

ID=3765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422A KR100761247B1 (ko) 2005-05-09 2005-05-09 스톱램프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2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085B1 (ko) * 2009-04-21 2009-12-21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아크방전 방지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한 스톱 램프 스위치
KR101443744B1 (ko) * 2013-03-20 2014-09-25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전자식 스위치의 접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271B1 (ko) * 2006-07-27 2013-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톱 램프 스위치
KR101361370B1 (ko) * 2012-08-16 2014-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비상등 스위치의 락킹핀 고정 및 컨텍트 단자 통전 장치
KR101483150B1 (ko) * 2013-07-01 2015-01-16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백업 램프 스위치 어셈블리
KR101510984B1 (ko) * 2014-01-20 2015-04-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유도전류를 이용한 차량용 스톱 램프 스위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315A (ko) * 2004-11-23 2006-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 스위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315A (ko) * 2004-11-23 2006-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 스위치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5731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085B1 (ko) * 2009-04-21 2009-12-21 주식회사 다이나트론 아크방전 방지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한 스톱 램프 스위치
KR101443744B1 (ko) * 2013-03-20 2014-09-25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전자식 스위치의 접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067A (ko) 200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247B1 (ko) 스톱램프 스위치
KR100494772B1 (ko) 차량의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US8129639B2 (en)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6138560B2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6258090B2 (ja) 給電レール
CN114365355A (zh) 用于导体的连接端子
CN104508910A (zh) 带有用于操作弹簧件的按压件的连接端子或接线端子
KR101300200B1 (ko)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JP2013038019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4858508B2 (ja) 電磁開閉装置
US8093976B2 (en) Vehicle switch
CN110994298A (zh) 同轴开关
KR100814318B1 (ko)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JP2012142229A (ja) スイッチ装置
CN111463069B (zh) 电磁继电器
JP4280146B2 (ja) 車両用スイッチ
CN110970775B (zh) 同轴开关
KR100798337B1 (ko) 자동차용 도어 램프의 스위치
JP4030730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3331677A (ja) スイッチ装置
WO2013027330A1 (en) Connector
CN102473535B (zh) 用于电磁开关设备的触点装置
CN110932025A (zh) 同轴开关
KR20180066799A (ko) 주차 브레이크용 램프 스위치
KR100317168B1 (ko) 제동등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