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200B1 -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200B1
KR101300200B1 KR1020120026093A KR20120026093A KR101300200B1 KR 101300200 B1 KR101300200 B1 KR 101300200B1 KR 1020120026093 A KR1020120026093 A KR 1020120026093A KR 20120026093 A KR20120026093 A KR 20120026093A KR 101300200 B1 KR101300200 B1 KR 10130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witching terminal
contact
bas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민삼
김현호
이기봉
최태식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신아에스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아에스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신아에스엠에스
Priority to KR102012002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1Composite material
    • H01H1/023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는, 전기 절연성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 가이드 플레이트;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칭 단자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칭 단자 사이에 개재된 접촉 플레이트; 양단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각각 체결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와 외부 전기 장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어셈블리 커텍터 사이에 가변 저항 회로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과, 내부에 상기 스위칭부가 수납되는 스위칭부 수납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인쇄회로기판 수납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스위칭부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MICROSWITCH DEVICE}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차량의 각종 편의 시설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사용자가 더 안정적이면서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각종 편의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들 편의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스위치 장치들이 제공된다. 예컨대 윈도우, 트렁크 도어 등과 같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에 시소 스위치 장치,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는 다양한 스위치 장치가 제공되므로, 이들 스위치 장치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소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개발된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는 조립 과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수반된다. 즉,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의 치수가 매우 작고 정교한 조립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계적 공정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각 부품들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면 불량이 발생하며, 따라서 차량의 안전사고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의 제조 공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 공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접촉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개선된 조립 구조의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는, 전기 절연성 베이스 플레이트; 각각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동시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 가이드 플레이트;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칭 단자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칭 단자 사이에 개재된 접촉 플레이트; 양단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각각 체결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와 외부 전기 장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어셈블리 커텍터 사이에 가변 저항 회로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과, 내부에 상기 스위칭부가 수납되는 스위칭부 수납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인쇄회로기판 수납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스위칭부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칭 단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으로 돌출된 실장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거치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편; 및 상기 각각의 지지편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한상의 지지편; 및 상기 제1 스위칭 단자의 상기 한쌍의 지지편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플레이트는, 몸체부; 한쌍의 접촉편; 상기 한쌍의 접촉편 각각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위칭 단자의 상기 돌출부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되는 거치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에 체결되는 원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 커넥터는 접지선,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제1 스위칭 단자가 상기 접지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단자 및 상기 제1 신호선 사이에는 제1 저항이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3 스위칭 단자 및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에는 제2 저항이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단자 및 상기 제3 스위칭 단자 사이에는 제3 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 접촉 플레이트는 표면이 은으로 도금된 전기전도성 금속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는 장치의 특성상 매우 작은 치수의 부품들을 조립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 궁극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의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는 스위칭부의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조립후 외부 진동에 의해 각 부품의 체결 상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의 내부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스위칭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스위칭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3 스위칭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스위칭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접촉 플레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가변 저항 회로의 회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배선 상태를 도시한 표면도이다.
도 10은 후면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내부의 조립 상태를 개요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100)과, 여기에 수납되는 스위칭부 및 인쇄회로기판(30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스위칭부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스위칭부는 전기 절연성 재료(예컨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각각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즉,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동시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210, 220, 230)와,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소정의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40)와, 일측이 제1 스위칭 단자(210)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제2 스위칭 단자(220) 및 제3 스위칭 단자(230) 사이에 개재된 접촉 플레이트(250)와, 양단이 가이드 플레이트(240) 및 접촉 플레이트(250)에 각각 체결된 코일 스프링(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210, 220, 230) 및 접촉 플레이트(250)는, 산화 방지를 위하여 표면이 은으로 도금된 전기 전도성의 금속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스위칭부는 하우징(100)에 마련된 스위칭부 수납부(120)에 매설된다(도 3 참조). 그리고, 수납부(120)에 스위칭부가 수납될 때 접촉 플레이트(250)에 버튼(104)이 거치되며, 버튼(104)의 상단이 버튼홀(104a)을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외부로 돌출된 버튼(104)의 상단에는 캡(103)이 씌워지고, 이 캡(103)은 레버(102)의 동작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소정의 영역에 거치된 레버(102)가 눌리면, 버튼(104)에 의해 접촉 플레이트(250) 및 가이드 플레이트(240)가 아래쪽으로 눌려진다. 그에 따라, 초기에 제2 스위칭 단자(220)에 접촉되어 있던 접촉 플레이트(250)의 몸체부(251; 도 7 참조)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제3 스위칭 단자(230)에 접촉하게 된다. 그 후, 레버(102)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코일 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 플레이트(250) 및 가이드 플레이트(24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접촉 플레이트(250)의 몸체부(251)는 다시 제2 스위칭 단자(220)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술한 스위칭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부품들의 치수는, 접촉 플레이트(250)의 최장 길이가 대략 7mm, 가이드 플레이트(240)의 길이가 대략 10mm, 코일 스프링(260)의 길이가 대략 6mm 정도로, 매우 작은 치수를 가진다. 따라서, 이들 구성부품들을 조립에는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또한, 접촉 플레이트(250) 및 가이드 플레이트(24)는 일측이 단순 거치된 상태로 지지되고 타측이 코일 스프링(260)에 체결되어 연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칭부를 하우징(100)에 수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으면, 외부 진동에 의해 접촉 플레이트(250), 가이드 플레이트(240) 및 코일 스프링(260)의 체결 상태가 해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칭부의 동작 중에 각 구성부품들의 체결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측면 및 하우징(100)의 스위칭부 수납부(120)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돌기를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플레이트(200) 및 하우징(100)의 체결 구조에 대한 일례로서, 도 2에서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측면에 다수의 위치결정돌기(202)를 형성하고, 도 3에서와 같이 하우징(100)의 소정의 영역에 가이드홈(122)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홈(122)은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위치결정돌기(202)와 접촉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위치결정돌기(202)가 가이드홈(122)에 끼워짐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하우징(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서로 끼워맞춤되는 위치결정돌기(201) 및 가이드홈(122)은 스위칭부를 하우징에 수납할 때 조립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도 2에서 보듯이, 한쌍의 위치결정돌기(202)를 이웃하여 형성하고, 또한 가이드홈(122) 내부에 이탈방지구(124)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된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서 보듯이, 이탈방지구(124)의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경사진 선단부분이 하우징에 수납된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하우징(100)에 마련된 수납부(120)에는 버튼(104)이 상하로 이동될 때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튼 가이드(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104)에는 한쌍의 버튼 가이드(110)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바(104b)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앞에서 설명한 위치결정돌기 및 가이드홈 체결 구조의 견고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고, 표 2에는 비교를 위하여 위치결정돌기 및 가이드홈 체결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우징의 체결 강도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샘플 번호(실시예) 1 2 3 4 5 6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우징의 체결 강도
(단위: Kg)

1.55

1.65

1.75

1.9

1.71

1.67
샘플 번호(비교예) 1 2 3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우징의 체결 강도
(단위: Kg)

1.05

1.19

1.15
위 표 1 및 표 2에서 보듯이, 위치결정돌기 및 가이드홈 구조를 형성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의 경우 가장 낮은 강도를 보인 샘플에서도 1.55Kg의 강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에는 가장 높은 강도를 보인 샘플이 1.19kg의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는 위치결정돌기 및 가이드홈 체결 구조를 통해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에는,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의 세부 구조와 접촉 플레이트의 세부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4에서 보듯이, 제2 스위칭 단자(22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300)에 실장되는 실장부(221),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돌출부(222) 및 접촉 플레이트(250)의 몸체부가 접촉되는 접촉부(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보듯이, 제3 스위칭 단자(23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300)에 실장되는 실장부(231),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거치부(232) 및 접촉 플레이트(250)의 몸체부에 접촉되는 접촉부(23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듯이, 제1 스위칭 단자(2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후면으로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300)에 실장되는 실장부(211),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거치부(212),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편(213), 및 각각의 지지편(213)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1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지지편(213)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사이에 간격(2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플레이트(240)는, 일측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의해 지지되는 한상의 지지편(241), 및 제1 스위칭 단자(210)의 상기 한쌍의 지지편(213) 사이에 형성된 간격(215)에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편(2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스프링 고정편(242)은 제1 스위칭 단자(210)의 한쌍의 지지편(213)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서 보듯이, 접촉 플레이트(250)는, 몸체부(251), 이 몸체부(251)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접촉편(252), 이 한쌍의 접촉편(252) 각각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1 스위칭 단자(210)의 돌출부(214)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되는 거치부(253), 몸체부(251)에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260)의 일단에 체결되는 원형홀(254)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몸체부(251)에는 레버(102)의 동작에 의해 제2 스위칭 단자(220)의 접촉부(223) 또는 제3 스위칭 단자(230)의 접촉부(233)에 접촉될 때 전기적 도통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접촉부(25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접촉 플레이트(250) 및 코일 스프링(260)은 매우 작은 치수(대략 6~7mm)를 갖기 때문에, 이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코일 스프링(260)의 일단을 접촉 플레이트(250)에 체결하는 것이 어려운데, 코일 스프링(260)의 일단이 체결될 홀을 원형 형상을 가진 원형홀(254)로 형성하면, 접촉 플레이트(250)에 코일 스프링(26)을 체결하는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인쇄회로기판(300)은 하우징(100)에 마련된 인쇄회로기판 수납부(130)에 수납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300)에는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210, 220, 230)가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300)에는 스위칭부와 외부 전기 장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어셈블리 커넥터(500)가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인쇄회로기판(300)에는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들(210, 220, 230)과 어셈블리 커넥터들(500) 사이에 소정의 저항 소자들이 형성된 가변 저항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는 각각 인쇄회로기판(300)의 후면(300a)과 상면(300b)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면부호 "COM"은 제1 스위칭 단자(210)가 접속되는 접속홀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NC"는 제2 스위칭 단자(220)가 접속되는 접속홀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NO"는 제3 스위칭 단자(230)가 접속되는 접속홀을 가리킨다. 또한, 도면부호 "Y"는 어셈블리 커넥터 중 제1 신호선이 접속될 접속홀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P"는 어셈블리 커넥터 중 제2 신호선이 접속되는 접속홀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B"는 어셈블리 커넥터 중 접지선이 접속되는 접속홀을 가리킨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인쇄회로기판(300)에 형성된 가변 저항 회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제1 스위칭 단자(210, COM 단자)는 접지선(B)과 연결되고, 제2 스위칭 단자(220, NC 단자) 및 제1 신호선(Y) 사이에는 제1 저항(R1)이 직렬 연결되며, 제3 스위칭 단자(230, NO 단자) 및 제2 신호선(P) 사이에는 제2 저항(R2)이 직렬 연결되고, 제2 스위칭 단자(220, NC 단자) 및 제3 스위칭 단자(230, NO 단자) 사이에는 제3 저항(R3)이 직렬 연결되어 형성되어 가변 저항 회로를 구성한다. 즉, 초기에는 COM 단자(즉, 제1 스위칭 단자)가 NC 단자(즉, 제2 스위칭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가, 레버(102)에 따른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COM 단자가 NO 단자(즉, 제3 스위칭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스위칭부의 동작에 의해 외부 어셈블리 커넥터와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들 사이의 저항 연결 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를 통해,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저항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에는 후면 커버(400)의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후면 커버(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스위칭부 및 인쇄회로기판을 실장하고,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와 어셈블리 커넥터를 솔더링한 후에 하우징(100)을 최종적으로 마감한다. 특히, 도 1에서 보듯이, 하우징(100)에는 위치고정격자(140)가 형성될 수 있고, 후면 커버(400)에는 고정홈(4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고정격자(140) 및 고정홈(410)을 끼워맞춤으로써 후면 커버(400)가 하우징(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는 장치의 특성상 매우 작은 치수의 부품들을 조립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 궁극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의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는 스위칭부의 조립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조립후 외부 진동에 의해 각 부품의 체결 상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전기 절연성 베이스 플레이트(200); 각각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동시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210, 220, 230);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 가이드 플레이트(240);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칭 단자(210)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칭 단자(220, 230) 사이에 개재된 접촉 플레이트(250); 양단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접촉 플레이트에 각각 체결된 코일 스프링(260);을 포함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와 외부 전기 장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어셈블리 커텍터 사이에 가변 저항 회로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300)과,
    내부에 상기 스위칭부가 수납되는 스위칭부 수납부(12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되는 인쇄회로기판 수납부(130);가 형성된 하우징(10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스위칭부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단자(21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후면으로 돌출된 실장부(21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거치부(212);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편(213); 및 상기 각각의 지지편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40)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한상의 지지편(241); 및 상기 제1 스위칭 단자(210)의 상기 한쌍의 지지편(213)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고정편(242);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플레이트(250)는, 몸체부(251); 한쌍의 접촉편(252); 상기 한쌍의 접촉편 각각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위칭 단자의 상기 돌출부(214)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되는 거치부(253);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에 체결되는 원형홀(2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 커넥터는 접지선,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저항 회로는, 제1 스위칭 단자가 상기 접지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단자 및 상기 제1 신호선 사이에는 제1 저항이 직렬 연결되며, 상기 제3 스위칭 단자 및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에는 제2 저항이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칭 단자 및 상기 제3 스위칭 단자 사이에는 제3 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스위칭 단자, 접촉 플레이트는 표면이 은으로 도금된 전기전도성 금속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KR1020120026093A 2012-03-14 2012-03-14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KR10130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093A KR101300200B1 (ko) 2012-03-14 2012-03-14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093A KR101300200B1 (ko) 2012-03-14 2012-03-14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200B1 true KR101300200B1 (ko) 2013-08-26

Family

ID=4922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093A KR101300200B1 (ko) 2012-03-14 2012-03-14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2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2768A1 (en) * 2014-10-03 2016-04-06 Omron Corporation Switch device
KR101799856B1 (ko) * 2016-09-21 2017-11-22 덕일산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
KR20180002613U (ko) * 2017-02-23 2018-08-31 김종석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
JP2019160551A (ja) * 2018-03-13 2019-09-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679A (ja) 2005-09-30 2009-03-12 レオポルト・コスタール・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電気スイッチ装置
JP2011146257A (ja) 2010-01-14 2011-07-28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KR101116276B1 (ko) 2010-06-23 2012-03-07 주식회사 신성계전 타임스위치의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679A (ja) 2005-09-30 2009-03-12 レオポルト・コスタール・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電気スイッチ装置
JP2011146257A (ja) 2010-01-14 2011-07-28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KR101116276B1 (ko) 2010-06-23 2012-03-07 주식회사 신성계전 타임스위치의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의 연결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2768A1 (en) * 2014-10-03 2016-04-06 Omron Corporation Switch device
KR101799856B1 (ko) * 2016-09-21 2017-11-22 덕일산업 주식회사 마이크로 스위치 어셈블리
KR20180002613U (ko) * 2017-02-23 2018-08-31 김종석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88028Y1 (ko) * 2017-02-23 2018-12-05 김종석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
JP2019160551A (ja) * 2018-03-13 2019-09-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
WO2019176266A1 (ja) * 2018-03-13 2019-09-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
JP6996365B2 (ja) 2018-03-13 2022-01-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スイッチ装置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2169A (en) Electrical connectors
EP2665165B1 (en) Motor for driving lenses
KR101300200B1 (ko)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JP5685209B2 (ja) 電池ホルダ
JP3716345B2 (ja) 携帯電話のバッテリ接続端子
CN108232503B (zh) 连接器装置
US6597796B2 (en) Microphone with a variable resistance switch
US11088485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3929946B2 (ja) コネクタ
KR100761247B1 (ko) 스톱램프 스위치
US9373462B2 (en) Push switch
JP3274137B2 (ja) 電気的な消費機、特に自動車のダッシュボードにおける表示機器のための電気的な消費機をon・off切換えするための装置
KR20180102809A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KR20130040965A (ko) 스위치 장치
JP2000133338A (ja) 電気的接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969993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KR102297327B1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의 마이크로 스위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윈도우 스위치 유닛
KR101991105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4326871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846202B1 (ko) 복수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WO2004064094A1 (en) Switching device with integrated light source
TWI828038B (zh) 螺絲保持結構、端子台以及電氣設備
KR20080015996A (ko) 시트 스위치 구조
TWI829071B (zh) 螺絲保持結構、端子台以及電氣設備
CN215496484U (zh) 一种多位带灯自锁按键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