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13U -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13U
KR20180002613U KR2020170005416U KR20170005416U KR20180002613U KR 20180002613 U KR20180002613 U KR 20180002613U KR 2020170005416 U KR2020170005416 U KR 2020170005416U KR 20170005416 U KR20170005416 U KR 20170005416U KR 20180002613 U KR20180002613 U KR 201800026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in
cover plate
push switch
main bod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028Y1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ublication of KR20180002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0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살균기의 본체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드핀, 버튼이 돌출된 전면이 본체의 입구를 향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푸시스위치, 탄성을 갖도록 횡방향으로 절곡되고 슬라이드핀의 후단이 접촉된 덮개판 및 버튼의 외주면을 감싸고 덮개판의 전후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보호패킹을 포함하여, 도어가 닫히면서 슬라이드핀을 후진 이동시키고 후진 이동하는 슬라이드핀은 덮개판을 누르고, 눌린 덮개판은 푸시스위치의 버튼을 누르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핀의 후진력을 덮개판의 탄성과 보호패킹의 탄성에 의해 감소시켜 푸시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이물질이 버튼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Shock-absorbing type switch assembly of sterilizer}
도어의 개폐에 따라 살균 작동이 시작 또는 정지되는 살균기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살균기는 자외선이 조사되면서 대상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균을 제거하는 전자기기로, 사용된 물컵이나 칫솔, 젖병 소독 등 가정이나 식당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살균기는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자외선이 조사되면 사용자의 피부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살균기의 도어가 닫혀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살균 작동을 제어하고 있다. 도어의 개폐 상태를 체크하는데 일반적으로 스위치가 사용된다.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기회로의 접속상태를 변경하여 전자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품으로, 조작방식에 따라 회전 스위치, 슬라이드(slide) 스위치, 푸시(push) 스위치, 훅(hook) 스위치, 멀티웨이(multiway) 스위치 등이 있다. 이 중 푸시스위치는 사용자가 누르거나 때는 조작에 의해 스위치 내부의 접점이 변하여 온/오프가 제어되는 방식으로, 살균기를 포함한 도어가 있는 가전기기 예컨대, 냉장고나 오븐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가전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푸시스위치는 도어가 닫힌 경우 버튼이 눌리면서 회로가 연결되어 살균시스템이 작동하고, 도어가 열린 경우 버튼이 나오면서 회로가 개방되어 살균시스템이 정지하게 된다. 살균기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도어의 무게는 상당하다.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경우에 도어의 하중에 상당하는 충격이 스위치에 가해지게 되는데, 반복되는 충격에 스위치가 파손되기 쉬웠고, 물과 같은 액체류가 스위치 내부에 유입되어 스위치 내부의 전자부품을 녹슬게 하거나 합선을 일으켜 고장이 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17596호의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는 누름버튼 스위치를 설치하여 문이 열리면 자외선 램프가 꺼지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형태의 스위치 구조로서, 문이 닫히는 충격을 스위치가 직접 받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문을 강하게 닫게 되면 스위치가 파손될 수도 있다. 보통 문을 열때보다 닫을 때 덜 신경을 쓰게 되어 문을 필요 이상의 힘으로 닫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 스위치가 파손이 되는 사례가 많았다. 더하여, 물이 있는 컵을 소독기에 넣는 과정에서 던지는 경우가 많아 물이 스위치로 유입될 수 있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스위치가 받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이물질이 스위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살균기의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살균기는, 본체의 입구에 장착된 도어의 개폐에 따라 살균 작동이 시작 또는 정지되는 살균기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전측 일부는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고 후측 타부는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의 입구 주변 벽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본체의 입구에 장착된 도어의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본체의 입구 주변 벽체의 관통공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드핀;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의 눌림 여부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변경되는 푸시 스위칭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이 돌출된 전면이 상기 본체의 입구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푸시스위치; 탄성을 갖도록 횡방향으로 절곡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종방향의 일단의 전면 측에 상기 슬라이드핀의 후단이 접촉되면서 상기 푸시스위치의 버튼 부위를 덮도록 타단이 상기 푸시스위치에 매립 고정되는 덮개판; 및 상기 푸시스위치의 버튼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덮개판의 전후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보호패킹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슬라이드핀을 후진 이동시키고, 후진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핀은 상기 덮개판을 누르고, 눌린 상기 덮개판은 상기 푸시스위치의 버튼을 누르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핀의 후진력이 상기 덮개판 및 상기 보호패킹의 탄성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푸시스위치의 버튼을 감싸고 있는 상기 보호패킹에 의해 상기 푸시스위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다.
상기 보호패킹은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된 외통;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보다 직경이 작은 내통; 및 상기 내통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상기 외통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푸시스위치에 접촉하는 패킹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스위치의 버튼은 상기 외통과 내통의 중공을 직선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덮개판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통이 밀려 후진하면서 상기 내통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통의 양단 중 상기 덮개판과 마주하는 단부면은 상기 덮개판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스위치에 매립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꺾여져 상기 푸시스위치의 버튼 부위를 덮도록 연장되며 말단 측이 상기 슬라이드핀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드핀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동하게 되는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의 고정부는 상기 회동부의 일모서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만곡지게 굽어 연장되어,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핀의 후진으로 상기 회동부가 휘어지는 경우에 상기 도어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분산할 수 있다.
걸고리형의 양단을 갖는 인장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의 걸고리는 상기 덮개판의 회동부의 말단 측의 걸림공에 결합하고 타단의 걸고리는 상기 본체의 벽체의 걸림공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덮개판과 상기 본체의 벽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슬라이드핀을 후진 이동시키고, 상기 후진 이동하는 슬라이드핀은 상기 덮개판을 누르고, 눌린 상기 덮개판은 상기 푸시스위치의 버튼을 누르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핀의 후진력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핀은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로 홈이 두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홈 중 하나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각 홈에는 상기 슬라이드핀이 통과되는 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환형의 스토퍼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핀이 상기 두 개 홈의 이격거리만큼 전후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핀의 후단에 탄성재질의 반구형 캡이 씌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핀이 본체의 입구에 장착된 도어의 일측에 접촉되어 본체의 입구 주변 벽체의 관통공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삽입되고, 푸시스위치는 버튼이 본체의 입구를 향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덮개판은 탄성을 갖도록 횡방향으로 절곡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의 전면측에 슬라이드핀의 후단이 접촉되면서 푸시스위치의 버튼 부위를 덮도록 설치되고, 보호패킹은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푸시스위치의 버튼의 외주면을 감싸고 덮개판의 전후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도어가 닫히면서 발생하는 슬라이드핀의 후진력을 덮개판과 보호커버의 탄성에 의해 감소시켜 푸시스위치의 버튼이 간접적으로 눌려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슬라이드핀의 간극으로 유입된 물과 같은 이물질이 푸시스위치의 버튼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패킹은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의 외통과 내통, 그리고 내통의 외주면을 감싸는 패킹스프링으로 구성되고 푸시스위치의 버튼이 외통과 내통의 중공을 직선으로 일직선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덮개판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외통을 푸시스위치 측으로 밀어 외통의 내부로 내통이 삽입됨으로써 도어가 닫히면서 발생하는 슬라이드핀의 후진력을 보호커버의 자체 탄성력과 패킹스프링의 복원력으로 감소시켜 푸시스위치의 버튼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덮개판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푸시스위치에 매립 고정되는 고정부와 슬라이드핀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동하고 고정부로부터 꺾여진 회동부를 포함함으로써, 슬라이드핀과 푸시스위치 사이에 사각판 형태의 덮개판이 차단벽과 같은 역할을 하여 살균기의 벽체 관통공으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푸시스위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판의 고정부는 회동부의 일모서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만곡지게 굽어 연장됨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핀의 후진으로 회동부가 휘어지는 경우에 도어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곡률진 고정부가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덮개판 자체의 내구성 및 복원성을 강화할 수 있다.
완충스프링이 걸고리형의 양단을 갖는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덮개판과 본체의 벽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도어가 닫히면서 발생하는 슬라이드핀의 후진력을 완충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감소시켜 푸시스위치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핀은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로 형성된 두 홈이 본체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위치하고 각 홈에 환형의 스토퍼가 결합되어 두 홈의 이격거리만큼 슬라이드핀이 전후진됨으로써, 슬라이드핀과 본체 사이의 간극을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스토퍼가 본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 축적이 방지되며 스토퍼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유리하다.
슬라이드핀의 후단에 탄성재질의 반구형 캡이 씌어짐으로써 슬라이드핀의 후단과 덮개판의 전면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덮개판과 마찰로 인한 슬라이드핀이나 덮개판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 설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살균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살균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살균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살균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핀이 덮개판을 후진시켜 푸시스위치의 버튼을 누르는 구조로서 도어로부터 받는 충격을 감소시키면서 외부의 이물질이 푸시스위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를 간략하게 “스위치 어셈블리”라 호칭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은 도어가 한쌍으로 설치된 양문형 구조의 살균기로 도시하였으며, 도면에 도시된 양문형 뿐 아니라 단문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의 내부 설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는 살균기의 케이스인 본체(10)의 입구에 설치되며, 슬라이드핀(20), 푸시스위치(40), 덮개판(30) 및 보호패킹(60)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드핀(20)은 일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전측 일부는 본체(10)의 외측에 위치하고 후측 타부는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본체(10)의 입구 주변 벽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본체(10)의 입구에 장착된 도어(11)의 일측에 접촉되어 본체(10)의 입구 주변 벽체의 관통공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슬라이드핀(20) 자체는 스테인리스 같은 금속재질로 제조되며 양끝단이 각각 둥근 형태로 라운드지게 가공되어 도어(11)나 후술할 덮개판(30)과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살균기의 본체(10)에 형성된 구멍과 슬라이드핀(20)은 미세한 간극이 있어 슬라이드핀(20)이 전후진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이물질, 특히 액체류가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핀(20)은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로 홈이 두 개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홈 중 하나는 본체(10)의 외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한다. 슬라이드핀(20)의 각 홈에는 슬라이드핀(20)이 통과되는 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환형의 스토퍼(21)가 결합되어 슬라이드핀(20)이 두 개 홈의 이격거리만큼 전후진 이동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핀(20)에 형성된 두 홈은 본체(10)의 벽체를 기준으로 각각 외부와 내부에 위치하고, 각 홈에는 환형의 스토퍼(21)가 결합되어 있다. 스토퍼(21)는 일부가 개구된 환형의 링으로서 대표적으로 “E“형의 링일 수 있다.스토퍼(21)는 슬라이드핀(20)의 둘레를 감싸 결합하며 두 개의 고정링(21)이 슬라이드핀(20)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슬라이드핀(20)의 두 스토퍼(20)가 본체(10)의 벽체를 기준으로 살균기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드핀(20)이 완전히 관통공을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 왕복이동을 할 수 있다.
푸시스위치(40)는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45)의 눌림 여부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변경되는 푸시 스위칭 구조로 형성되어 버튼(45)이 돌출된 전면이 본체(10)의 입구를 향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푸시스위치(40)는 버튼(45)의 전후진에 따라 내부 접속상태가 변경되는 구조의 스위치로써, 스위치(40)의 주요 구성은 하우징(41), 개방단자(42), 연결단자(43), 접속판(44) 및 버튼(45)이다.
하우징(41)은 사각 박스 형태로 내부에 개방단자(42), 연결단자(43) 및 접속판(44) 등 여러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하여 제조되며, 일측에 버튼(45)이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개구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41)의 형상과 크기는 본 실시예의 특징과는 관련성이 낮기에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개방단자(42)와 연결단자(43)은 각각 도전성의 금속으로 일자형의 판형태로 형성되고, 도 1-2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하우징(41) 내에 조립된다. 즉, 일부는 하우징(41) 내부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하우징(41)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접속판(44)이 개방단자(42)와 접촉하면 전체적인 살균 시스템이 개방회로가 되어 살균기의 작동이 정지하게 되는 반면, 접속판(44)이 연결단자(43)에 접촉하면 전체적인 살균 시스템이 폐쇄회로가 되어 살균기가 작동하게 된다. 접속판(44)은 금속성의 막대로 개방단자(42)와 연결단자(43) 사이에 배치되며, 후술할 버튼(45)의 이동에 의해 개방단자(42) 및 연결단자(43)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게 된다. 접속판(44)은 판스프링(미도시)과 연결되어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버튼(45)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우징(41)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45)의 일부는 후술할 덮개판()을 향하도록 하우징(41) 외측에 위치하고, 타부는 접속판(44)과 접촉하도록 하우징(41) 내측에 위치한다. 버튼(45)이 최대로 돌출된 경우에는 접속판(44)이 개방단자(42)와 접촉하고, 버튼(45)이 눌려 최대로 삽입된 경우에는 접속판(44)이 연결단자(43)와 접촉하게 된다. 외부에 노출된 버튼(45)의 끝단은 후술할 덮개판(30)과 접촉하며, 마모를 고려하여 끝단은 둥근 반구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보호패킹(60)은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의 외주면을 감싸며 덮개판(30)의 전후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된다. 보호패킹(60)은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버튼(45)을 감싸도록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핀(20)의 후진력을 보호패킹(60)의 탄성력으로 감소시켜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푸시스위치는 버튼이 노출되어 외부의 이물질, 특히 물과 같이 유체가 버튼으로 유입되어 푸시스위치 내부회로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실시예는 길이가 신축되는 보호패킹(60)이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을 감싸도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버튼(45)을 통해 푸시스위치(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패킹(60)은 구체적으로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된 외통(61)과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외통(61)보다 직경이 작은 내통(62), 및 내통(62)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외통(61)에 접촉하고 타단이 푸시스위치(40)에 접촉하는 패킹스프링(63)으로 구성된다. 외통(61)은 고무재질일 수 있고, 내통(62)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 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덮개판(30)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외통(61)이 밀려 후진하면서 내통(62)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다시말해, 보호패킹(60)은 2단 망원경과 같이 내통(62)이 외통(61)의 내부로 들어가는 절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외통(61)이 최대한 전진된 상태에서도 외통(61)과 내통(62)은 일부 겹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외통(61)의 높이는 덮개판(30)의 절곡된 고정부(32) 높이와 유사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슬라이드핀(20)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패킹스프링(63)이 갖는 탄성력이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통(61)의 양단 중 덮개판(30)과 마주하는 단부면은 덮개판(30)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외통(61)이 덮개판(30)과 마주하는 단부는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외통(61)의 끝단이 평평한 면을 가지는 경우 덮개판(30)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점에서 덮개판(30)이 외통(61)의 일측을 우선 눌러 가압하게된다. 따라서, 외통(61)의 후진 방향과 덮개판(30)이 가압방향이 서로 일치되지 않아 외통(61)이 경사지게 짖눌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외통(61)의 단부면이 덮개판(30)의 경사진 후면에 접촉되도록 경사진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통(61)이 덮개판(30)에 고르게 눌리면서 후진할 수 있다.
덮개판(30)은 탄성을 갖도록 횡방향으로 절곡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종방향의 일단의 전면 측에 슬라이드핀(20)의 후단이 접촉되면서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 부위를 덮도록 타단이 푸시스위치(40)에 매립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덮개판(30)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푸시스위치(40)에 매립 고정되는 고정부(32)와 고정부(32)로부터 둔각으로 꺾여져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 부위를 덮도록 연장되며 말단 측이 슬라이드핀(20)의 후단에 접촉되어 슬라이드핀(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동하게 되는 회동부(31)로 구성된다.
회동부(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사각판 형태로서,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한 슬라이드핀(20) 후단과 접촉한다. 회동부(31)는 고정부(32)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부분으로 전면은 슬라이드핀(20)의 끝단과 접촉하고 후면은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 끝단과 접촉하거나 대면하도록, 본체(10)의 벽체 내측과 푸시스위치(4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회동부(31)의 길이축은 슬라이드핀(20)의 길이축과 경사를 가지도록 비스듬히 배치되며, 회동부(31)의 일 모서리에 절곡형성된 고정부(32)가 스위치(40)에 매립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회동부(31)가 슬라이드핀(20)의 후진에 의해 밀려 휘어지거나 후진하는 경우에 고정부(32)의 고정으로 복원성을 가지고 슬라이드핀(20)의 후진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여기서, 덮개판(30)의 고정부(32)는 회동부(31)의 일모서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만곡지게 굽어 연장되어, 도어(11)가 닫히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핀(20)의 후진으로 회동부(31)가 휘어지는 경우에 도어(11)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판(30)의 회동부(31)는 슬라이드핀(20)의 왕복이동으로 인해 반복적인 후진력을 받게 되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31)와 고정부(32)의 연결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할 수 있어 내구성이나 사용수명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회동부(31)의 폭 방향의 양단이 절곡되어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을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된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핀(20)과 본체(10)의 관통공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푸시스위치(40)로 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스위치는 문에 비해 굉장히 작은 크기이고 살균기의 도어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도어가 닫히는 경우 스위치에 상당한 충격이 직접적으로 인가되는 구조였다. 특히 스위치의 버튼이 충격으로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스위치가 파손되지 않더라고 스위치과 본체의 관통공 사이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푸시스위치가 합선에 의해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살균기 도어의 충격을 간접적으로 푸시스위치에 전달하여 푸시스위치의 버튼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물과 같은 액체류의 이물질이 푸시스위치 내로 유입되지 않는 구조를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살균기의 도어가 닫히는 본체(10) 전면에 슬라이드핀(2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삽입하고, 슬라이드핀(20)이 노출된 부분의 끝단과 살균기의 본체(10) 내부에 각각 고정링(21)이 결합되어 있다. 두 고정링(21)의 이격거리만큼 슬라이드핀(20)이 후진하면서 사각형의 덮개판(30)을 밀게 되고, 덮개판(30)이 후진하면서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을 누르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덮개판(30)은 슬라이드핀(20)과 푸시스위치(4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서, 슬라이드핀(20)의 틈새로 유입된 이물질이 푸시스위치(4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가림판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스위치의 고장을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핀(20)과 본체(10)의 간극으로 유입된 물과 같은 이물질이 푸시스위치(40)로 유입되지 않도록, 버튼(45)을 감싸고 덮개판(30)의 후진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의 보호패킹(60)을 장착하였다. 이로 인해, 푸시스위치(40)의 내부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핀(20)의 후진력을 보호패킹(60)의 탄성력으로 완충하여 푸시스위치(40)에 버튼(45)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살균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살균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평면도이다.
우선, 도 3은 살균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로 푸시스위치(40) 내의 판스프링(미도시)이 접속판(44)를 밀어 버튼(45)이 최대한 돌출된 상태이다. 버튼(45)은 덮개판(30)을 전진시키거나 덮개판(30) 자체의 복원성에 의해 슬라이드핀(20)을 최대한 전진시킨다. 이 때, 슬라이드핀(20)은 환형의 스토퍼(21) 두 개가 서로 이격되게 결합되어 있고, 하나는 살균기 본체(10)의 외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살균기 본체(10)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슬라이드핀(20)이 살균기 본체(10)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지 않도록 스토퍼(21)가 본체(10) 벽면에 접촉할 때까지 최대한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푸시스위치(40)에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접속판(44)이 개방단자(42)와 접촉한 상태가 되어 살균 시스템의 작동이 정지함으로서 살균기 내에 자외선이 조사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살균기의 도어(11)가 닫힌 상태로 도어(11)가 슬라이드핀(20)을 밀어 후진시킨다. 슬라이드핀(20)의 전단에 결합된 스토퍼(21)가 살균기의 본체(10) 전면에 접촉할 때까지 슬라이드핀(20)이 최대한 후진한다. 슬라이드핀(20)에 접촉한 덮개판(30)은 고정부(32)가 푸시스위치(4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부(31)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덮개판(30)의 자체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핀(20)의 후진력이 감소하게 되고, 감소된 후진력은 덮개판(30)을 매개로 푸시스위치(40)에 전달되어 버튼(45)를 누르게 된다. 버튼(45)의 후진에 의해 접속판(44)은 이동하여 연결단자(43)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살균 시스템이 가동되어 살균기 내에 자외선이 조사하게 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17596호의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는 누름버튼 스위치를 설치하여 문이 열리면 자외선 램프가 꺼지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인 형태의 스위치 구조로서, 문이 닫히는 충격을 스위치가 직접 받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문을 강하게 닫게 되면 스위치가 파손될 수도 있다. 보통 문을 열 때보다 닫을 때 덜 신경을 쓰게 되어 문을 필요 이상의 힘으로 닫는 경우가 많으며, 실제 스위치가 파손이 되는 사례가 많았다. 더하여, 물이 있는 컵을 소독기에 넣는 과정에서 던지는 경우가 많아 물이 스위치로 유입될 수 있는 단점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이 자체 탄성을 갖는 덮개판(30)에 의해 눌리도록 하여 도어가 닫힐 때 푸시스위치(40)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덮개판(30)의 전후면에 각각 슬라이드핀(20)과 푸시스위치(40)를 분리배치하여 이물질이 푸시스위치(4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어셈블리는 본체(10)에 설치되며, 슬라이드핀(20), 푸시스위치(40), 덮개판(30), 보호패킹(60) 및 완충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완충스프링(50)을 제외한 슬라이드핀(20), 덮개판(30), 푸시스위치(40) 및 보호패킹(60)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완충스프링(50)은 걸고리형의 양단을 갖는 인장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의 걸고리는 덮개판(30)의 회동부(31)의 말단 측의 걸림공에 결합하고 타단의 걸고리는 본체(10)의 벽체의 걸림공에 결합함으로써 덮개판(30)과 본체(10)의 벽체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도어(11)가 닫히면서 슬라이드핀(20)을 후진 이동시키고, 후진 이동하는 슬라이드핀(20)은 덮개판(30)을 누르고, 눌린 덮개판(30)은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을 누르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핀(20)의 후진력이 완충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감소된다.
다시 말해, 완충스프링(50)은 철선이 복수 회 권취되고 양단에 각각 걸고리가 형성된다. 완충스프링(50) 일단의 걸고리는 덮개판(30)의 회동부(31)에 결합하고 타단의 걸고리는 살균기 본체(10)의 벽체에 결합되어 덮개판(30)과 본체(10)를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로, 살균기 본체(10)의 도어(11)가 닫힘에 의해 슬라이드핀(20)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덮개판(30)의 회동부(31)가 후진하는 충격을 덮개판(30) 자체의 복원성에 더하여 완충스프링(50)의 탄성력이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슬라이드핀(20)의 후진력을 전부 덮개판(30)의 탄성으로 완충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는 덮개판(30)의 완충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덮개판(30)과 살균기 본체(10) 내부 사이에 완충스프링(50)을 연결하였다. 덮개판(30)이 슬라이드핀(20)에 의해 후진하는 경우 덮개판(30)의 자체 탄성 뿐 아니라 완충스프링(50)의 탄성이 더해져 전체적인 복원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완충스프링(50)의 타단에 돌출된 걸고리는 살균기의 본체(10) 벽면이 아닌 살균기의 본체(10) 내부의 다른 구성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덮개판(30)은 푸시스위치(40)에 삽입되는 부분을 축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완충스프링(50)이 설치되는 부분이 멀수록 적은 탄성력으로 큰 복원성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덮개판(30)에 있어서 푸시스위치(40)로부터 최대한 먼 지점에 완충스프링(5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의 개폐에 따라 슬라이드핀(20)이 전후진 하면서 덮개판(30)을 반복적으로 밀게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슬라이드핀(20)의 후단과 접촉하는 덮개판(30)의 전면 부분이 마모되며 심하면 파손에 이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드핀(20)의 후단에 탄성재질의 반구형 캡(22)가 추가로 씌어질 수 있다. 캡(22)는 탄성의 고무재질이 적절하며, 슬라이드핀(20)의 후단과 덮개판(30)의 전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덮개판(30)과 마찰로 인해 슬라이드핀(20)이나 덮개판(3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살균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살균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대한 평면도이다. 우선, 도 6은 살균기의 문이 열린 상태로 살균 시스템의 작동이 정지하는 점에 대해서는 도 4에 대한 설명과 같다. 이 상태에서는 완충스프링(50)이 초기 상태로서, 완충스프링(50)의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도 7는 도어(11)가 닫힌 상태로 살균 시스템이 가동되는 점에 대해서는 도 5에 대한 설명과 같다. 이 상태에서는 완충스프링(50)이 인장됨에 따라 초기 상태로 복원되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덮개판(30)에 인가하게 된다. 완충스프링(50)과 누름판(30)이 연결된 지점이 슬라이드핀(20)과 덮개판(30)이 접촉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푸시스위치(40)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적은 탄성력으로도 큰 복원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체(10)의 도어가 닫히면서 발생하는 슬라이드핀(20)의 후진력은 완충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대폭 감소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 도어
20: 슬라이드핀 21: 스토퍼
22: 캡
30: 덮개판 31: 회동부
32: 고정부
40: 푸시스위치 41: 하우징
42: 개방단자 43: 연결단자
44: 접속판 45: 버튼
50: 완충스프링
60 : 보호패킹 61 : 외통
62 : 내통 63 : 패킹스프링

Claims (8)

  1. 본체(10)의 입구에 장착된 도어(11)의 개폐에 따라 살균 작동이 시작 또는 정지되는 살균기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자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전측 일부는 본체(10)의 외측에 위치하고 후측 타부는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입구 주변 벽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본체(10)의 입구에 장착된 도어(11)의 일측에 접촉되어 상기 본체(10)의 입구 주변 벽체의 관통공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드핀(20);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45)의 눌림 여부에 따라 스위칭 상태가 변경되는 푸시 스위칭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45)이 돌출된 전면이 상기 본체(10)의 입구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푸시스위치(40);
    탄성을 갖도록 횡방향으로 절곡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종방향의 일단의 전면 측에 상기 슬라이드핀(20)의 후단이 접촉되면서 상기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 부위를 덮도록 타단이 상기 푸시스위치(40)에 매립 고정되는 덮개판(30); 및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덮개판(30)의 전후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보호패킹(60)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11)가 닫히면서 상기 슬라이드핀(20)을 후진 이동시키고, 후진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핀(20)은 상기 덮개판(30)을 누르고, 눌린 상기 덮개판(30)은 상기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을 누르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핀(20)의 후진력이 상기 덮개판(30) 및 상기 보호패킹(60)의 탄성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을 감싸고 있는 상기 보호패킹(60)에 의해 상기 푸시스위치(4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스위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킹(60)은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된 외통(61);
    중공을 갖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61)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내통(62); 및
    상기 내통(62)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상기 외통(61)의 하단에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푸시스위치(40)의 표면에 접촉하는 패킹스프링(63)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은 상기 외통(61)과 내통(62)의 중공을 일직선으로 관통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덮개판(30)이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통(61)이 밀려 후진하면서 상기 내통(62)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스위치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61)의 양단 중 상기 덮개판(30)과 마주하는 단부면은 상기 덮개판(30)의 후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스위치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스위치(40)에 매립 고정되는 고정부(32)와 상기 고정부(32)로부터 꺾여져 상기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 부위를 덮도록 연장되며 말단 측이 상기 슬라이드핀(20)의 후단에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드핀(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회동하게 되는 회동부(31)를 포함하는 스위치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0)의 고정부(32)는 상기 회동부(31)의 일모서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만곡지게 굽어 연장되어, 상기 도어(11)가 닫히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핀(20)의 후진으로 상기 회동부(31)가 휘어지는 경우에 상기 도어(11)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분산하는 스위치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걸고리형의 양단을 갖는 인장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의 걸고리는 상기 덮개판(30)의 회동부(31)의 말단 측의 걸림공에 결합하고 타단의 걸고리는 상기 본체(10)의 벽체의 걸림공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덮개판(30)과 상기 본체(10)의 벽체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스프링(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11)가 닫히면서 상기 슬라이드핀(20)을 후진 이동시키고, 상기 후진 이동하는 슬라이드핀(20)은 상기 덮개판(30)을 누르고, 눌린 상기 덮개판(30)은 상기 푸시스위치(40)의 버튼(45)을 누르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핀(20)의 후진력이 상기 완충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감소되는 스위치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핀(20)은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로 홈이 두 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홈 중 하나는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각 홈에는 상기 슬라이드핀(20)이 통과되는 관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환형의 스토퍼(21)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핀(20)이 상기 두 홈의 이격거리만큼 전후진 이동하게 되는 스위치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핀(20)의 후단에 탄성재질의 반구형 캡(22)이 씌어지는 스위치 어셈블리.
KR2020170005416U 2017-02-23 2017-10-19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8802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04 2017-02-23
KR20170000904 2017-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13U true KR20180002613U (ko) 2018-08-31
KR200488028Y1 KR200488028Y1 (ko) 2018-12-05

Family

ID=6340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16U KR200488028Y1 (ko) 2017-02-23 2017-10-19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02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562B1 (ko) * 1995-03-16 1999-04-15 오일환 세탁기 덮개의 자동개폐장치
JP2006216351A (ja) * 2005-02-03 2006-08-17 Funa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リンタ装置
KR101017596B1 (ko) * 2010-12-03 2011-02-28 (주)하인스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
KR101300200B1 (ko) * 2012-03-14 2013-08-26 (주)신아에스엠에스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562B1 (ko) * 1995-03-16 1999-04-15 오일환 세탁기 덮개의 자동개폐장치
JP2006216351A (ja) * 2005-02-03 2006-08-17 Funa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リンタ装置
KR101017596B1 (ko) * 2010-12-03 2011-02-28 (주)하인스 도어 열림 구조를 개선한 컵 살균 건조소독기
KR101300200B1 (ko) * 2012-03-14 2013-08-26 (주)신아에스엠에스 마이크로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028Y1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371B2 (en) Door damper
US9163447B1 (en) Hinge with damping device
US10538950B2 (en)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and counterbalance spring
US10280662B2 (en) Safety door lock using door handle
US20080042447A1 (en) Door latch device for a domestic appliance, in particular for a dish washer
US20060207843A1 (en) Damping device for pieces of furniture
KR101653226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손잡이 장치
KR200488028Y1 (ko) 살균기의 완충형 스위치 어셈블리
EP2689705A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closing of a door of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for a washing machine, such as a dishwasher
US20180100339A1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EP1090324B1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with safety locking
US10453627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appliance door position switch for sabbath mode operation
KR101188042B1 (ko) 방화형 도어클로저
US9328544B1 (en) Hinge device
AU2009286984A1 (en) Safety closure device for drawers and doors
US9955840B2 (en) Cleaning tool for a floor cleaning appliance
US6000796A (en) Slidably resilient hinge for eyeglass frames
KR20120019787A (ko) 오븐기용 도어 힌지 장치
CN112739881B (zh) 具有终端速度衰减的家电和陈设的铰链装置
KR10047900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200387961Y1 (ko) 드럼세탁기용 도어의 힌지장치
CN109452840B (zh) 烹饪器具
GB2397095A (en) Retracting striker for a door of an electric household machine
KR101042646B1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CN109411275B (zh) 开关机构及电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