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760A -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760A
KR20180054760A KR1020187010836A KR20187010836A KR20180054760A KR 20180054760 A KR20180054760 A KR 20180054760A KR 1020187010836 A KR1020187010836 A KR 1020187010836A KR 20187010836 A KR20187010836 A KR 20187010836A KR 20180054760 A KR20180054760 A KR 20180054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alve
housing
opening
passa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1211B1 (ko
Inventor
다카히로 야마구치
지하루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60T13/145Master cylinder integrated or hydraulically coupled with booster
    • B60T13/146Part of the system directly actuated by boost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B60T8/368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modulator unit on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58Armature and valve member being one singl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6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41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14Special measures for giving the operating person a "feeling" of the response of the actuated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하우징 내의 유로를 밸브 폐쇄하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와,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밸브부와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하우징 내의 유로를 밸브 개방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본 발명은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기술로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내부에 유통로[유로(油路)]가 형성된 기체(하우징)에 장치되어, 유통로 내의 브레이크액의 유동을 개폐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 및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를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43202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와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는 구조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 전용의 부품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부품 개수나 공정수의 증대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주목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하우징 내의 유로를 밸브 폐쇄하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와,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밸브부와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하우징 내의 유로를 밸브 개방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하우징 내의 유로를 밸브 폐쇄하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와,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밸브부와 축 방향 길이에 맞추어지고,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하우징 내의 유로를 밸브 개방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하여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를 구비한 제1 유닛과,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유로를 통해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에 대하여 작동 액압을 발생시키는 액압원과,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밸브 폐쇄하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이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내에의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허가하기 위한 전환 전자 밸브와,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밸브부와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밸브 개방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이며, 마스터 실린더와 휠 실린더 사이의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전환하는 차단 전자 밸브와, 액압원과 차단 전자 밸브 및 전환 전자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을 일체적으로 구비한 제2 유닛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으로는, 이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제2 유닛의 하우징의 배면 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하우징을 투시하여 나타내는 제2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차단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차단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제1 필터 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SOL/V IN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SOL/V IN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연통 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연통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SS/V IN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SS/V IN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SOL/V OUT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1의 시트 부재의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 1의 보디 부재의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 1의 각 전자 밸브의 높이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브레이크 장치(1)는, 전동 차량에 적용되어 있다. 전동 차량은, 차륜을 구동시키는 원동기로서, 엔진 외에 모터 제네레이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차나, 모터 제네레이터만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등이다. 전동 차량에 있어서는, 모터 제네레이터를 포함하는 회생 제동 장치에 의해,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회생시킴으로써 차량을 제동하는 회생 제동을 실행 가능하다. 브레이크 장치(1)는, 액압에 의한 마찰 제동력을 차량의 각 차륜(FL∼RR)에 부여하는 액압 제동 장치이다. 각 차륜(FL∼RR)에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이 마련되어 있다. 브레이크 작동 유닛은, 휠 실린더(W/C)를 포함하는 액압 발생부이다. 브레이크 작동 유닛은 예컨대 디스크식이고, 캘리퍼(유압식 브레이크 캘리퍼)를 갖는다. 캘리퍼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디스크는 타이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브레이크 로터이다.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배치되고, 휠 실린더(W/C)의 액압에 의해 이동하여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마찰 제동력을 발생한다. 브레이크 장치(1)는 2 계통[프라이머리(P) 계통 및 세컨더리(S) 계통]의 브레이크 배관을 갖는다. 브레이크 배관 형식은, 예컨대 X 배관 형식이다. 또한, 전후 배관 등, 다른 배관 형식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하, P 계통에 대응하여 마련된 부재와 S 계통에 대응하는 부재를 구별하는 경우는, 각각의 부호의 말미에 첨자 P, S를 붙인다. 브레이크 장치(1)는, 브레이크 배관을 통해 각 브레이크 작동 유닛에 작동 유체(작동유)로서의 브레이크액을 공급하여, 휠 실린더(W/C)의 액압(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각 차륜(FL∼RR)에 액압 제동력을 부여한다.
브레이크 장치(1)는, 제1 유닛(1A)과 제2 유닛(1B)을 갖는다. 제1 유닛(1A)과 제2 유닛(1B)은, 차량의 운전실로부터 격리된 모터실 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배관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배관은, 마스터 실린더 배관(10M)[프라이머리 배관(10MP), 세컨더리 배관(10MS)], 휠 실린더 배관(10W), 배압 배관(10X) 및 흡입 배관(10R)을 갖는다. 흡입 배관(10R)을 제외한 각 배관(10M, 10W, 10X)은 금속제의 브레이크 파이프(금속 배관)이고, 구체적으로는 이중권 등의 강관이다. 각 배관(10M, 10W, 10X)은, 직선 부분과 절곡 부분을 가지고, 절곡 부분에서 방향을 바꾸어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배관(10M, 10W, 10X)의 양 단부는, 플레어 가공이 실시된 수형의 파이프 이음을 갖는다. 흡입 배관(10R)은, 고무 등의 재료에 의해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브레이크 호스(호스 배관)이다. 흡입 배관(10R)의 단부는, 니플(10R1, 10R2)을 통해 포트(873) 등에 접속되어 있다. 니플(10R1, 10R2)은, 관형부를 갖는 수지제의 접속 부재이다.
브레이크 페달(100)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의 입력을 받는 브레이크 조작 부재이다. 푸시 로드(101)는, 브레이크 페달(10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유닛(1A)은, 브레이크 페달(100)과 메카니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브레이크 조작 유닛이고, 마스터 실린더(5)를 갖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이다. 제1 유닛(1A)은, 리저버 탱크(4)와, 하우징(7)과, 마스터 실린더(5)와, 스트로크 센서(9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를 갖는다. 리저버 탱크(4)는, 브레이크액을 저류하는 브레이크 액원이고, 대기압에 해방되는 저압부이다. 리저버 탱크(4)에는 보급 포트(40)와 공급 포트(41)가 마련된다. 공급 포트(41)에는 흡입 배관(10R)이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7)은, 그 내부에 마스터 실린더(5)나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를 수용(내장)하는 케이스이다. 하우징(7)의 내부에는, 마스터 실린더(5)용의 실린더(70)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용의 실린더(71)와, 복수의 유로(액로)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유로는, 보급 유로(72)와, 공급 유로(73)와, 정압 유로(74)를 갖는다. 하우징(7)의 내부에는 복수의 포트가 형성되고, 이들 포트는 하우징(7)의 외표면에 개구한다. 복수의 포트는, 보급 포트(75P, 75S)와, 공급 포트(76)와, 배압 포트(77)를 갖는다. 각 보급 포트(75P, 75S)는, 리저버 탱크(4)의 보급 포트(40P, 40S)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공급 포트(76)에는 마스터 실린더 배관(10M)이, 배압 포트(77)에는 배압 배관(10X)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보급 유로(72)의 일단은 보급 포트(75)에 접속하고, 타단은 실린더(70)에 접속한다.
마스터 실린더(5)는, 휠 실린더(W/C)에 대하여 작동 액압을 공급 가능한 제1 액압원이고, 푸시 로드(101)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100)에 접속되어,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100)의 조작에 따라 작동한다. 마스터 실린더(5)는, 브레이크 페달(100)의 조작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51)을 갖는다. 피스톤(51)은 실린더(70)에 수용되어, 액압실(50)을 구획한다. 마스터 실린더(5)는, 탠덤형이고, 피스톤(51)으로서, 푸시 로드(101)에 접속되어 있는 프라이머리 피스톤(51P)과, 프리피스톤형의 세컨더리 피스톤(51S)을, 직렬로 갖는다. 피스톤(51P, 51S)에 의해 프라이머리실(50P)이 구획되고, 세컨더리 피스톤(51S)에 의해 세컨더리실(50S)이 구획되어 있다. 공급 유로(73)의 일단은 액압실(50)에 접속하고, 타단은 공급 포트(76)에 접속한다. 각 액압실(50P, 50S)은, 리저버 탱크(4)로부터 브레이크액을 보급받아, 상기 피스톤(51)의 이동에 의해 액압(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발생한다. 프라이머리실(50P) 내에는, 복귀 스프링으로서의 코일 스프링(52P)이 양 피스톤(51P, 51S)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세컨더리실(50S) 내에는, 복귀 스프링으로서의 코일 스프링(52S)이 실린더(70)의 바닥부와 피스톤(51S)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스트로크 센서(94)는, 프라이머리 피스톤(51P)의 스트로크(페달 스트로크)를 검출한다. 프라이머리 피스톤(51P)에는 검출용의 마그넷이 마련되고, 센서 본체는 제1 유닛(1A)의 하우징(7)의 외면에 장치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브레이크 페달(100)에 반력 및 스트로크를 부여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는, 피스톤(61)과, 이 피스톤(61)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정압실(601) 및 배압실(602)과, 정압실(601)의 용적이 축소하는 방향으로 피스톤(61)을 편향시키는 탄성체[제1 스프링(64), 제2 스프링(65), 댐퍼(66)]를 갖는다. 제1 스프링(64)과 제2 스프링(65) 사이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리테이너 부재(62)가 개재되어 있다. 정압 유로(74)의 일단은 세컨더리측의 공급 유로(73S)에 접속하고, 타단은 정압실(601)에 접속한다.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5)[세컨더리실(50S)]로부터 정압실(601)에 브레이크액이 유입함으로써, 페달 스트로크가 발생하며, 탄성체의 편향력에 의해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 반력이 생성된다. 또한, 제1 유닛(1A)은, 차량의 엔진이 발생하는 흡기 부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조작력을 배력하는 엔진 부압 부스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2 유닛(1B)은, 제1 유닛(1A)과 브레이크 작동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액압 제어 장치이다. 제2 유닛(1B)은, 프라이머리 배관(10MP)을 통해 프라이머리실(50P)에 접속되고, 세컨더리 배관(10MS)를 통해 세컨더리실(50S)에 접속되고, 휠 실린더 배관(10W)을 통해 휠 실린더(W/C)에 접속되고, 배압 배관(10X)을 통해 배압실(60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유닛(1B)은, 흡입 배관(10R)을 통해 리저버 탱크(4)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유닛(1B)은, 하우징(8)과, 모터(20)와, 펌프(3)와, 복수의 전자 밸브(21) 등과, 복수의 액압 센서(91) 등과, 전자 제어 유닛(90)(이하, ECU라고 함)을 갖는다. 하우징(8)은, 그 내부에 펌프(3)나 전자 밸브(21) 등의 밸브체를 수용(내장)하는 케이스이다. 하우징(8)의 내부에는, 브레이크액이 유통하는 상기 2 계통(P 계통 및 S 계통)의 회로(브레이크 액압 회로)가 복수의 유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유로는, 공급 유로(11)와, 흡입 유로(12)와, 토출 유로(13)와, 조압 유로(14)와, 감압 유로(15)와, 배압 유로(16)와,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와,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8)의 내부에는, 액체 저장소인 리저버(내부 리저버)(120)와, 댐퍼(130)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의 내부에는 복수의 포트가 형성되고, 이들 포트는 하우징(8)의 외표면에 개구한다. 복수의 포트는,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프라이머리 포트(871P), 세컨더리 포트(871S)]와, 흡입 포트(873)와, 배압 포트(874)와, 휠 실린더 포트(872)를 갖는다. 프라이머리 포트(871P)에는 프라이머리 배관(10MP)이, 세컨더리 포트(871S)에는 세컨더리 배관(10MS)이, 흡입 포트(873)에는 흡입 배관(10R)이, 배압 포트(874)에는 배압 배관(10X)이, 휠 실린더 포트(872)에는 휠 실린더 배관(10W)이, 각각 장치되어 접속되어 있다.
모터(20)는, 회전식의 전동기이고, 펌프(3)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축을 구비한다. 모터(20)는, 브러시리스 모터여도 좋고, 브러시를 갖는 모터여도 좋다. 모터(20)는, 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리졸버를 구비한다. 리졸버는 모터(2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로서 기능한다. 펌프(3)는, 휠 실린더(W/C)에 대하여 작동 액압을 공급 가능한 액압원이고, 1개의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5개의 펌프부를 갖는다. 펌프(3)는, S 계통 및 P 계통에서 공통으로 이용된다. 전자 밸브(21) 등은,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솔레노이드에의 통전에 따라 밸브체가 스트로크하여, 유로의 개폐를 전환한다(유로를 단절/접속한다). 전자 밸브(21) 등은, 상기 회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여, 브레이크액의 유통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제어 액압을 발생한다. 복수의 전자 밸브(21) 등은, 차단 밸브(21), 증압 밸브(이하, SOL/V IN이라고 함)(22), 연통 밸브(23), 조절 압력 밸브(24), 감압 밸브(이하, SOL/V OUT이라고 함)(25),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인 밸브(이하, SS/V IN이라고 함)(27)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아웃 밸브(이하, SS/V OUT이라고 함)(28)를 갖는다. 차단 밸브(21), SOL/V IN(22) 및 조절 압력 밸브(24)는, 비통전 상태로 밸브 개방하는 노멀 오픈형 전자 밸브이다. 연통 밸브(23), 감압 밸브(25), SS/V IN(27) 및 SS/V OUT(28)은, 비통전 상태로 밸브 폐쇄하는 노멀 클로즈형 전자 밸브이다. 차단 밸브(21), SOL/V IN(22) 및 조절 압력 밸브(24)는,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밸브의 개방도가 조정되는 비례 제어 밸브이다. 연통 밸브(23), 감압 밸브(25), SS/V IN(27) 및 SS/V OUT(28)은, 밸브의 개폐가 이치적으로 전환하여 제어되는 온·오프 밸브이다. 또한, 이들 밸브에 비례 제어 밸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압 센서(91) 등은, 펌프(3)의 토출압이나 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검출한다. 복수의 액압 센서는, 마스터 실린더 액압 센서(91)와, 토출압 센서(93)와, 휠 실린더 액압 센서(92)[프라이머리압 센서(92P) 및 세컨더리압 센서(92S)]를 갖는다.
이하, 제2 유닛(1B)의 브레이크 액압 회로를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각 차륜(FL∼RR)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그 부호의 말미에 각각 첨자 a∼d를 붙여 적절하게 구별한다. 공급 유로(11P)의 일단측은, 프라이머리 포트(871P)에 접속한다. 공급 유로(11P)의 타단측은, 전좌륜용의 유로(11a)와 후우륜용의 유로(11d)로 분기된다. 각 유로(11a, 11d)는 대응하는 휠 실린더 포트(872)에 접속한다. 공급 유로(11S)의 일단측은, 세컨더리 포트(871S)에 접속한다. 공급 유로(11S)의 타단측은, 전우륜용의 유로(11b)와 후좌륜용의 유로(11c)로 분기된다. 각 유로(11b, 11c)는 대응하는 휠 실린더 포트(872)에 접속한다. 공급 유로(11)의 상기 일단측에는 차단 밸브(21)가 마련된다. 상기 타단측의 각 유로(11)에는 SOL/V IN(22)이 마련된다. SOL/V IN(22)을 바이패스하여 각 유로(11)와 병렬로 바이패스 유로(110)가 마련되고, 바이패스 유로(110)에는 체크 밸브(220)가 마련된다. 체크 밸브(220)는, 휠 실린더 포트(872)의 측으로부터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의 측을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흡입 유로(12)는, 리저버(120)와 펌프(3)의 흡입 포트(823)를 접속한다. 토출 유로(13)의 일단측은, 펌프(3)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토출 유로(13)의 타단측은, P 계통용의 유로(13P)와 S 계통용의 유로(13S)로 분기된다. 각 유로(13P, 13S)는, 공급 유로(11)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와 SOL/V IN(22) 사이에 접속한다. 토출 유로(13)의 상기 일단측에는 댐퍼(130)가 마련된다. 상기 타단측의 각 유로(13P, 13S)에는 연통 밸브(23)가 마련된다. 각 유로(13P, 13S)는, P 계통의 공급 유로(11P)와 S 계통의 공급 유로(11S)를 접속하는 연통로로서 기능한다. 펌프(3)는, 상기 연통로[토출 유로(13P, 13S)] 및 공급 유로(11P, 11S)를 통해, 각 휠 실린더 포트(872)에 접속한다. 조압 유로(14)는, 토출 유로(13)에 있어서의 댐퍼(130)와 연통 밸브(23) 사이와, 리저버(120)를 접속한다. 조압 유로(14)에는 조절 압력 밸브(24)가 마련된다. 감압 유로(15)는, 공급 유로(11)의 각 유로(11a∼11d)에 있어서의 SOL/V IN(22)과 휠 실린더 포트(872) 사이와, 리저버(120)를 접속한다. 감압 유로(15)에는 SOL/V OUT(25)이 마련된다.
배압 유로(16)의 일단측은, 배압 포트(874)에 접속한다. 배압 유로(16)의 타단측은,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와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로 분기된다.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는, 공급 유로(11S)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S)와 SOL/V IN(22b, 22c) 사이에 접속한다.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에는 SS/V IN(27)이 마련된다. SS/V IN(27)을 바이패스하여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와 병렬로 바이패스 유로(170)가 마련되고, 바이패스 유로(170)에는 체크 밸브(270)가 마련된다. 체크 밸브(270)는, 배압 유로(16)의 측으로부터 공급 유로(11S)의 측을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는, 리저버(120)에 접속한다.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에는 SS/V OUT(28)이 마련된다. SS/V OUT(28)을 바이패스하여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와 병렬로 바이패스 유로(180)가 마련되고, 바이패스 유로(180)에는 체크 밸브(280)가 마련된다. 체크 밸브(280)는, 리저버(120)의 측으로부터 배압 유로(16)의 측을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공급 유로(11S)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S)와 세컨더리 포트(871S) 사이에는, 이 부분의 액압[스트로크 시뮬레이터(6)의 정압실(601)의 액압이며, 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검출하는 액압 센서(91)가 마련된다. 공급 유로(11)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와 SOL/V IN(22) 사이에는, 이 부분의 액압(휠 실린더 액압에 상당)을 검출하는 액압 센서(92)가 마련된다. 토출 유로(13)에 있어서의 댐퍼(130)와 연통 밸브(23) 사이에는, 이 부분의 액압(펌프 토출압)을 검출하는 액압 센서(93)가 마련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X축, Y축, Z축을 갖는 삼차원 직교 좌표계를 마련한다. 제1 유닛(1A) 및 제2 유닛(1B)이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Z축 방향이 연직 방향이 되고, Z축 정방향측이 연직 방향 상측이 된다. X축 방향이 차량의 전후 방향이 되고, X축 정방향측이 차량 전방측이 된다. Y축 방향이 차량의 횡방향이 된다.
제1 유닛(1A)에 있어서, 푸시 로드(101)는, 브레이크 페달(100)과 접속하는 X축 부방향측의 단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하우징(7)의 X축 부방향측의 단부에는, 사각형 판형의 플랜지부(78)가 마련된다. 플랜지부(78)의 4 코너에는, 볼트 구멍이 마련된다. 볼트 구멍에는, 제1 유닛(1A)을 차체측의 대시 패널에 고정하여 장치하기 위한 볼트(B1)가 관통한다. 하우징(7)의 Z축 정방향측에는 리저버 탱크(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유닛(1B)에 있어서,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대략 직육면체형의 블록이다. 하우징(8)의 외표면은, 정면(801)과, 배면(802)과, 상면(803)과, 하면(804)과, 우측면(805)과, 좌측면(806)(도 3, 4 참조)을 갖는다. 하우징(8)의 정면(801)측 또한 상면(803)측의 코너부에는, 오목부(807, 808)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은 마운트(102)를 통해 차체측(모터실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8)과 마운트(102) 사이에는 인슐레이터(103, 104)가 개재되어 있다. 하우징(8)의 정면(801)에는, 모터(20)가 배치되고, 모터 하우징(200)이 장치된다. 하우징(8)의 배면(802)에는, ECU(90)가 장치된다. 즉, ECU(90)는 하우징(8)에 일체적으로 구비된다. ECU(90)는, 도면 밖의 제어 기판과 제어 유닛 하우징(케이스)(901)을 갖는다. 제어 기판은, 모터(20)나 전자 밸브(21) 등의 솔레노이드에의 통전 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차량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 예컨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나 차량의 각속도(요우 레이트)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를, 제어 기판에 탑재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센서가 유닛화된 복합 센서(콤바인 센서)를 제어 기판에 탑재하여도 좋다. 제어 기판은 케이스(901)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901)는, 하우징(8)의 배면(802)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어 있는 커버 부재이다.
케이스(901)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커버 부재이고, 기판 수용부(902)와 커넥터부(903)를 갖는다. 기판 수용부(902)는, 제어 기판 및 전자 밸브(21) 등의 솔레노이드의 일부를 수용한다. 커넥터부(903)는, 기판 수용부(902)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나 도전 부재보다 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고, 기판 수용부(902)의 Y축 정방향측으로 돌출한다. X축 방향에서 보아, 커넥터부(903)는, 하우징(8)의 좌측면(806)보다 약간 외측(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부(903)의 단자는, Y축 정방향측을 향하여 노출되며, Y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어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부(903)의 (Y축 정방향측을 향하여 노출되는)각 단자는, 외부 기기나 스트로크 센서(94)(이하, 외부 기기 등이라고 함)에 접속 가능하다. 외부 기기 등에 접속하는 별도의 커넥터가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커넥터부(903)에 삽입됨으로써, 외부 기기 등과 제어 기판[ECU(90)]의 전기적 접속이 실현된다. 또한, 커넥터부(903)를 통해, 외부의 전원(배터리)으로부터 제어 기판에의 급전이 행해진다. 도전 부재는, 제어 기판과 모터(20)(의 스테이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로서 기능하고, 제어 기판으로부터 도전 부재를 통해 모터(20)(의 스테이터)에의 급전이 행해진다.
도 3, 4는 하우징(8)을 투시하여 통로, 오목부나 구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우징(8)을 Y축 부방향측에서 본 배면 투시도이고, 도 4는 제2 유닛(1B)을 X축 정방향측에서 본 우측면도에 있어서, 하우징(8)을 투시하여 통로 등을 나타낸 것이다.
하우징(8)은, 캠 수용 구멍(81)과, 복수(5개)의 실린더 수용 구멍(82A∼82E)과, 리저버실(830)과, 댐퍼실(831)과, 액 저장실(832)과,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장착 구멍)(84x)(x=1∼5, 7, 8)과, 복수의 센서 수용 구멍(85x)(x=1∼3)과, 전원 구멍(86)과, 복수의 포트(87x)(x=1∼4)와, 복수의 유로 구멍(88x)(x=-1y∼-5y, 0, 1)과, 복수의 볼트 구멍(핀 구멍)(89x)(x=1∼5)을 갖는다. 이들 구멍이나 포트는 드릴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캠 수용 구멍(81)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정면(801)에 개구한다. 캠 수용 구멍(81)의 축심(O)은, 정면(801)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대략 중앙으로서, Z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Z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수용 구멍(82)은, 단차식의 원통형이고, 캠 수용 구멍(81)의 직경 방향[축심(O)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린더 수용 구멍(82)은, 축심(O)의 둘레 방향으로 대략 균등(대략 등간격)하게 배치되어 있다. 축심(O)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축심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72°(72°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범위)이다. 복수의 실린더 수용 구멍(82A∼82E)은 Y축 방향을 따라 단열(單列)이고, 하우징(8)의 Y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리저버실(830)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상면(803)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Y축 방향 중앙에 개구한다. 리저버실(830)은,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와 휠 실린더 포트(872)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리저버실(830)(의 Z축 부방향측의 바닥부)은, 각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흡입 포트(823)보다 Z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리저버실(830)은, 축심(O)의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Y축 방향에서(X축 방향에서 보아), 실린더 수용 구멍(82A∼82E)과 리저버실(830)은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댐퍼실(831)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하면(804)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대략 중앙측 또한 Y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Y축 부방향측에 개구한다. 댐퍼실(831)은, 캠 수용 구멍(81)보다 Z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 저장실(832)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식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하면(804)에 있어서의 X축 부방향측 또한 Y축 정방향측에 개구한다. 액 저장실(832)은, 캠 수용 구멍(81)보다 Z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 저장실(832)은, 하면(804)에 가까운 측(Z축 부방향측)에 대직경부(832l)를 가지고, 하면(804)으로부터 먼 측(Z축 정방향측)에 소직경부(832s)를 가지고, 대직경부(832l)와 소직경부(832s) 사이에 중직경부(832m)를 갖는다.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은, 단차식의 원통형이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면(802)에 개구한다.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은, 배면(802)에 가까운 측(Y축 부방향측)에 대직경부를 가지고, 배면(802)으로부터 먼 측(Y축 정방향외측)에 소직경부를 가지고,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사이에 중직경부를 갖는다.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은 Y축 방향을 따라 단열이고, 하우징(8)의 Y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Y축 방향을 따라, 실린더 수용 구멍(82)과 밸브체 수용 구멍(84x)이 배열된다. Y축 방향에서 보아,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은 실린더 수용 구멍(82)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복수의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대직경부측[축심(O)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원 내에,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의 대부분이 들어간다. 또는, 이 원의 외주와 밸브체 수용 구멍(84x)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SOL/V OUT 수용 구멍(845)에는 SOL/V OUT(25)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 유로(1100)나 체크 밸브(220)는, 구멍(842)에 설치되어 있는 컵형의 시일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SOL/V OUT 수용 구멍(845a∼845d)은, 배면(802)의 Z축 정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된다. P 계통의 2개는 X축 정방향측에, S 계통의 2개는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P 계통에서, 구멍(845a)은 구멍(845d)보다 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고, S 계통에서, 구멍(845b)은 구멍(845c)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SOL/V IN 수용 구멍(842)에는 SOL/V IN(22)이 수용되어 있다. SOL/V IN 수용 구멍(842a∼842d)은, 축심(O)[또는 하우징(8)의 Z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Z축 정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된다. SOL/V IN 수용 구멍(842)은, SOL/V OUT 수용 구멍(845)에 Z축 부방향측에서 인접한다. P 계통의 2개는 X축 정방향측에, S 계통의 2개는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P 계통에서, 구멍(842a)은 구멍(842d)보다 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고, S 계통에서, 구멍(842b)은 구멍(842c)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842a∼842d)의 축심은, 각각 구멍(845a∼845d)의 축심과 대략 동일한 X축 방향 위치이다.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에는 차단 밸브(21)가 수용되어 있다.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P, 841S)은, 하우징(8)의 Z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Z축 부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구멍(841P)은 X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X축 정방향측에, 구멍(841S)은 X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841P, 841S)의 축심은, 축심(O)보다 약간 Z축 부방향측이고, 각각 구멍(842d, 842c)의 축심과 대략 동일한 X축 방향 위치이다.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에는 연통 밸브(23)가 수용되어 있다.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P, 843S)은,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에 Z축 부방향측에서 인접한다. 구멍(843P)은 X축 방향 중앙보다 X축 정방향측에, 구멍(843S)은 X축 방향 중앙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843P)의 축심은, 구멍(842a)의 축심보다 약간 X축 부방향측이고, 구멍(843S)의 축심은, 구멍(842b)의 축심보다 약간 X축 정방향측이다. 배면(802)에 있어서, Z축 방향에서(X축 방향에서 보아),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의 개구부의 Z축 정방향 단부는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개구부의 Z축 부방향 단부에 중첩된다.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에는 조절 압력 밸브(24)가 수용되어 있다.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은,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서, 축심(O)과 대략 동일한 X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은, X축 방향에서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P, 843S) 사이에 배치되고,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에 Z축 부방향측에서 인접한다.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과 대략 동일한 Z축 방향 위치이고, 구멍(843P, 843S)과 함께 X축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된다. 배면(802)에 있어서, X축 방향에서(Z축 방향에서 보아),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의 개구부의 X축 방향 양 단부는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개구부의 X축 방향 단부에 중첩된다.
SS/V IN 수용 구멍(847)에는 SS/V IN(27)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 유로(170)나 체크 밸브(270)는, 구멍(847)에 설치되어 있는 컵형의 시일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SS/V OUT 수용 구멍(848)에는 SS/V OUT(28)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 유로(180)나 체크 밸브(280)는, 구멍(848)에 설치되어 있는 컵형의 시일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멍(847, 848)은,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구멍(847, 848)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 및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에 Z축 부방향측에서 인접한다. X축 방향에서, 구멍(848)의 축심은, 구멍(844)의 축심과 구멍(843P)의 축심 사이, 또한 구멍(841P)의 축심보다 약간 X축 정방향측에 있다. 배면(802)에 있어서, X축 방향에서(Z축 방향에서 보아), 구멍(848)의 개구부의 X축 정방향 단부는 구멍(843P)의 개구부의 X축 부방향 단부에 중첩된다. Z축 방향에서(Y축 방향에서 보아), 구멍(848)의 개구부의 Z축 정방향 단부는 구멍(843P)의 개구부의 Z축 부방향 단부에 중첩된다. X축 방향에서, 구멍(847)의 축심은, 구멍(844)의 축심과 구멍(843S)의 축심 사이, 또한 구멍(841S)의 축심보다 약간 X축 부방향측에 있다. 배면(802)에 있어서, X축 방향에서(Z축 방향에서 보아), 구멍(847)의 개구부의 X축 부방향 단부는 구멍(843S)의 개구부의 X축 정방향 단부에 중첩된다. Z축 방향에서(Y축 방향에서 보아), 구멍(847)의 개구부의 Z축 정방향 단부는 구멍(843S)의 개구부의 Z축 부방향 단부에 중첩된다.
복수의 센서 수용 구멍(85x)은,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배면(802)에 개구한다. 마스터 실린더압 센서 수용 구멍(851)에는 마스터 실린더압 센서(91)의 감압부가 수용되어 있다. 구멍(851)은, 하우징(8)의 X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Z축 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구멍(851)의 축심은, 축심(O)보다 약간 Z축 정방향측에 있다. 구멍(851)은, 구멍(842, 845, 841P, 841S)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토출압 센서 수용 구멍(853)에는 토출압 센서(93)의 감압부가 수용되어 있다. 구멍(853)은, 하우징(8)의 X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Z축 부방향측에 배치되고, 구멍(853)의 축심은, 구멍(847, 848)보다 약간 Z축 부방향측에 있다. 구멍(853)은, 구멍(844, 847, 848)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휠 실린더 액압 센서 수용 구멍(852)에는 휠 실린더 액압 센서(92)의 감압부가 수용되어 있다. 구멍(852P, 852S)은, 축심(O)과 대략 동일한 Z축 방향 위치에서,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구멍(852P)은 X축 방향 중앙보다 X축 정방향측에, 구멍(852S)은 X축 방향 중앙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852P)의 축심은, 구멍(842a)의 축심보다 약간 X축 정방향측이고, 구멍(852S)의 축심은, 구멍(842b)의 축심보다 약간 X축 부방향측이다. 구멍(852)은, 구멍(841, 842, 843)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구멍(86)은, 원통형이고, 하우징(8)[정면(801)과 배면(802) 사이]을 Y축 방향으로 관통한다. 전원 구멍(86)은, 하우징(8)의 X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Z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구멍(86)은, 구멍(842c, 842d) 및 구멍(845c, 845d)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는,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정면(801)에 있어서의 Z축 정방향측의 단부로서 오목부(807, 808)에 끼인 부위에 개구한다. 프라이머리 포트(871P)는 X축 정방향측, 세컨더리 포트(871S)는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양 포트(871P, 871S)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X축 방향에서(Y축 방향에서 보아), 리저버실(830) 및 볼트 구멍(891)을 사이에 둔다. 각 포트(871P, 871S)는, 축심(O)의 둘레 방향에서(Y축 방향에서 보아), 리저버실(830)과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에 끼인다. Z축 방향에서(X축 방향에서 보아),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의 개구와 볼트 구멍(891)의 개구는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휠 실린더 포트(872)는,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상면(803)의 Y축 부방향측[정면(801)보다 배면(802)에 가까운 위치]에 개구한다. 포트(872a∼872d)는, X축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된다. P 계통의 2개는 X축 정방향측에, S 계통의 2개는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P 계통에서, 포트(872a)는 포트(872d)보다 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고, S 계통에서, 포트(872b)는 포트(872c)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포트(872c, 872d)는, Y축 방향에서 보아, 흡입 포트(873)[리저버실(830)]를 사이에 둔다. X축 방향에서(Y축 방향에서 보아), 포트(872)의 개구와 흡입 포트(873)[리저버실(830)의 개구]는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Y축 방향에서(X축 방향에서 보아), 포트(872)의 개구와 흡입 포트(873)의 개구는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흡입 포트(873)는, 상면(803)에 있어서의 리저버실(830)의 개구부이고, 연직 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연직 방향 상측에 개구한다. 포트(873)는, 상면(803)에 있어서, X축 방향 중앙측 또한 Y축 방향 중앙측으로서, 휠 실린더 포트(872)보다 정면(801)에 가까운 위치에, 개구한다. 포트(873)는, 실린더 수용 구멍(82A∼82E)의 흡입 포트(823)보다 Z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은, Y축 방향에서 보아, 포트(873)를 사이에 둔다. Y축 방향에서(X축 방향에서 보아),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의 개구와 포트(873)는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배압 포트(874)는, 그 축심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우측면(805)의 약간 Y축 부방향측 또한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 개구한다. Z축 방향에서, 포트(874)의 축심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의 축심과 SS/V OUT 수용 구멍(848)의 축심 사이에 있다.
복수의 유로 구멍(88x)은, 제1∼제5 구멍군(88-1y∼88-5y)과 유로 구멍(880, 881)을 갖는다. 제1 구멍군(88-1y)은,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과 마스터 실린더압 센서 수용 구멍(851)을 접속한다. 제2 구멍군(88-2y)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과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과 SOL/V IN 수용 구멍(842)과 SS/V IN 수용 구멍(847)과 휠 실린더 액압 센서 수용 구멍(852)을 접속한다. 제3 구멍군(88-3y)은,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토출 포트(821)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과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과 토출압 센서 수용 구멍(853)을 접속한다. 제4 구멍군(88-4y)은, 리저버실(830)과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흡입 포트(823)와 SOL/V OUT 수용 구멍(845)과 SS/V OUT 수용 구멍(848)과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을 접속한다. 제5 구멍군(88-5y)은, 배압 포트(874)와 SS/V IN 수용 구멍(847)과 SS/V OUT 수용 구멍(848)을 접속한다. 유로 구멍(880)은, SOL/V IN 수용 구멍(842)과 휠 실린더 포트(872)를 접속한다. 유로 구멍(881)은, 캠 수용 구멍(81)과 액 저장실(832)을 접속한다.
제1 구멍군(88-1y)은, 제1 구멍(88-11)∼제7 구멍(88-17)을 갖는다. 먼저 P 계통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구멍(88-11P)은, 프라이머리 포트(871P)의 바닥부로부터 Y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2 구멍(88-12P)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1 구멍(88-11P)에 접속한다. 제3 구멍(88-13P)은, 배면(802)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2 구멍(88-12P)에 접속한다. 제4 구멍(88-14P)은, 제3 구멍(88-13P)의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5 구멍(88-15P)은, 배면(802)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4 구멍(88-14P)에 접속한다. 제6 구멍(88-16P)은, 제5 구멍(88-15P)의 Y축 정방향 단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P)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제7 구멍(88-17)은, 좌측면(806)으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5 구멍(88-15P)에 접속하며 마스터 실린더압 센서 수용 구멍(851)에 접속한다. S 계통은, 제7 구멍(88-17)을 갖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하우징(8)의 X축 방향 중앙에 관해서 P 계통과 대칭이다.
제2 구멍군(88-2y)은, 제1 구멍(88-21)∼제7 구멍(88-27)을 갖는다. 먼저 P 계통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구멍(88-21P)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된다. 제2 구멍(88-22P)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1 구멍(88-21P)에 접속한다. 제3 구멍(88-23P)은, 상면(803)으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2 구멍(88-22P)의 X축 정방향측에 접속한다. 제4 구멍(88-24P)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3 구멍(88-23P)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5 구멍(88-25a, 88-25d)은, 제4 구멍(88-24P)의 X축 정방향측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되어 각각 SOL/V IN 수용 구멍(842a, 842d)의 바닥부에 접속한다. 제6 구멍(88-26P)은, 제2 구멍(88-22P)의 도중으로부터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P)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제7 구멍(88-27P)은, 휠 실린더 액압 센서 수용 구멍(852P)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2 구멍(88-22P)의 도중에 접속한다. S 계통은, 제8 구멍(88-28)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하우징(8)의 X축 방향 중앙에 관해서 P 계통과 대칭이다. 제8 구멍(88-28)은, 하면(804)의 X축 부방향측으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SS/V IN 수용 구멍(847)의 중직경부에 접속하며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S)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제3 구멍군(88-3y)은, 제1 구멍(88-31)∼제12 구멍(88-312)을 갖는다. 제1 구멍(88-31)은, 실린더 수용 구멍(82A)의 토출 포트(821)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2 구멍(88-32)은, 제1 구멍(88-31)의 단부로부터 X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B)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3 구멍(88-33)은, 실린더 수용 구멍(82B)의 토출 포트(821)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4 구멍(88-34)은, 제3 구멍(88-33)의 단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C)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5 구멍(88-35)은, 실린더 수용 구멍(82C)의 토출 포트(821)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6 구멍(88-36)은, 제5 구멍(88-35)의 단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D)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7 구멍(88-37)은, 실린더 수용 구멍(82D)의 토출 포트(821)로부터 X축 부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8 구멍(88-38)은, 제7 구멍(88-37)의 단부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E)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9 구멍(88-39)은, 토출압 센서 수용 구멍(853)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댐퍼실(831)에 접속하며 실린더 수용 구멍(82C)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10 구멍(88-310)은, 댐퍼실(831)의 바닥부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11 구멍(88-311)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양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의 바닥부에 접속하며 제10 구멍(88-310)의 단부에 접속한다. 제12 구멍(88-312)(도시하지 않음)은,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되어 제11 구멍(88-311)에 접속한다.
제4 구멍군(88-4y)은, 제1 구멍(88-41)∼제9 구멍(88-49)을 갖는다. 제1 구멍(88-41)은, 좌측면(806)으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리저버실(830)의 바닥부에 접속하며 SOL/V OUT 수용 구멍(845)의 바닥부에 접속한다. 제2 구멍(88-42)은, 리저버실(830)의 바닥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Y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A)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한다. 제3 구멍(88-43)은, 리저버실(830)의 바닥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Y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E)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한다. 제4 구멍(88-44)은, 좌측면(806)으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A)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한다. 제5 구멍(88-45)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E)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한다. 제6 구멍(88-46)은, 액 저장실(832)의 바닥부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B)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하며 제4 구멍(88-44)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7 구멍(88-47)은, 하면(804)으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D)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하며 제5 구멍(88-45)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8 구멍(88-48)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C)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하며 제6 구멍(88-46)의 도중 및 제7 구멍(88-47)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9 구멍(88-49)은, SS/V OUT 수용 구멍(848)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7 구멍(88-47)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5 구멍군(88-5y)은, 제1 구멍(88-51)∼제6 구멍(88-56)을 갖는다. 제1 구멍(88-51)은, 배압 포트(874)의 바닥부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2 구멍(88-52)은, 제1 구멍(88-51)의 단부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3 구멍(88-53)은, 배면(802)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3 구멍(88-53)은 도중에 제2 구멍(88-52)에 접속한다. 제4 구멍(88-54)은, 좌측면(806)으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3 구멍(88-53)의 단부는 제4 구멍(88-54)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5 구멍(88-55)은, 제4 구멍(88-54)의 단부로부터 Y축 부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되어 SS/V IN 수용 구멍(847)의 바닥부에 접속한다. 제6 구멍(88-56)은, 제1 구멍(88-51)의 도중에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되어 SS/V OUT 수용 구멍(848)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구멍(880)은, 휠 실린더 포트(872)의 바닥부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SOL/V OUT 수용 구멍(845)의 중직경부에 접속하며, SOL/V IN 수용 구멍(842)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구멍(881)은, 캠 수용 구멍(81)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액 저장실(832)의 중직경부(832m)에 접속한다.
제1 구멍군(88-1y)의 제1 구멍(88-11)∼제6 구멍(88-16P)은,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을 접속하여, 공급 유로(11)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2 구멍군(88-2y)의 제1 구멍(88-21)∼제5 구멍(88-25)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과 SOL/V IN 수용 구멍(842)을 접속하여, 공급 유로(11)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6 구멍(88-26P)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과 제2 구멍(88-22P)을 접속하여, 토출 유로(13)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8 구멍(88-28)은, SS/V IN 수용 구멍(847)과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S)을 접속하여,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구멍(880)은, SOL/V IN 수용 구멍(842)과 휠 실린더 포트(872)를 접속하여, 공급 유로(11)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구멍(880)은, SOL/V IN 수용 구멍(842)과 SOL/V OUT 수용 구멍(845)을 접속하여, 감압 유로(15)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3 구멍군(88-3y)의 제1 구멍(88-31)∼제11 구멍(88-311)은,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토출 포트(821)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을 접속하여, 토출 유로(13)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12 구멍(88-312)은, 제11 구멍(88-311)과 조절 압력 밸브 수용 구멍(844)을 접속하여, 조압 유로(14)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4 구멍군(88-4y)의 제1 구멍(88-41)은, SOL/V OUT 수용 구멍(845)과 리저버실(830)을 접속하여, 감압 유로(15)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2 구멍(88-42)∼제8 구멍(88-48)은, 리저버실(830)과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흡입 포트(823)를 접속하여, 흡입 유로(12)로서 기능한다. 제9 구멍(88-49)은, SS/V OUT 수용 구멍(848)과 제7 구멍(88-47)을 접속하여,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로서 기능한다. 제5 구멍군(88-5y)의 제1 구멍(88-51)∼제5 구멍(88-55)은, 배압 포트(874)와 SS/V IN 수용 구멍(847)을 접속하여, 배압 유로(16) 및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6 구멍(88-56)은, 제1 구멍(88-51)과 SS/V OUT 수용 구멍(848)을 접속하여,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구멍(881)은, 캠 수용 구멍(81)과 액 저장실(832)을 접속하여, 드레인 유로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볼트 구멍(89x)은, 볼트 구멍(891∼895)을 갖는다. 볼트 구멍(891)은,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정면(801)에 개구한다. 구멍(891)은, 캠 수용 구멍(81)의 축심(O)에 관해서 대략 대칭 위치에 3개 마련된다. 축심(O)으로부터 각 구멍(891)까지의 거리는 대략 같다. 1개의 구멍(891)은, 정면(801)의 X축 방향 대략 중앙[X축 방향에서 축심(O)과 중첩되는 위치] 또한 축심(O)보다 Z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멍(891)은, X축 방향에서,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P, 871S) 사이에 있고, Y축 방향에서 보아, 리저버실(830)과 중첩된다. 다른 2개의 구멍(891)은, X축 방향에서 축심(O)을 사이에 두고 양측, 또한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 있다. 볼트 구멍(892)은,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배면(802)에 개구한다. 구멍(892)은, 배면(802)의 4 코너에 각각 1개, 합계 4개 마련된다. 볼트 구멍(893)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상면(803)에 개구한다. 구멍(893)은, 상면(803)의 X축 방향 대략 중앙[X축 방향에서 축심(O)과 중첩되는 위치] 또한 Y축 정방향측에 1개 마련된다. 볼트 구멍(894)은,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정면(801)에 개구한다. 구멍(894)은, 정면(801)에 있어서,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으로서 X축 방향 양 단부에 2개 마련된다. 구멍(894)은, 축심(O)을 사이에 두고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와 반대측에 위치한다. X축 부방향측의 구멍(894)은, 축심(O)을 사이에 두고 프라이머리 포트(871P)의 대략 반대측에 위치한다. X축 정방향측의 구멍(894)은, 축심(O)을 사이에 두고 세컨더리 포트(871S)의 대략 반대측에 위치한다. 구멍(894)의 축심은, Z축 부방향측의 볼트 구멍(891)의 축심보다 Z축 부방향측, 또한, X축 방향에서 측면(805, 806)에 가까운 측(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볼트 구멍(895)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2개 마련되고, 하면(804)의 Y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X축 방향 양 단부에 개구한다. Y축 방향에서 보아, 구멍(895)의 Z축 정방향측의 단부는, 볼트 구멍(894)과 중첩된다.
ECU(90)는, 스트로크 센서(94) 및 액압 센서(91) 등의 검출값이나 차량측으로부터의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내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전자 밸브(21) 등의 개폐 동작이나 모터(20)의 회전수[즉 펌프(3)의 토출량]를 제어함으로써, 각 차륜(FL∼RR)의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ECU(90)는, 각종 브레이크 제어(제동에 의한 차륜의 슬립을 억제하기 위한 안티록 브레이크 제어나,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력을 저감하기 위한 배력 제어나, 차량의 운동 제어를 위한 브레이크 제어나, 선행차 추종 제어 등의 자동 브레이크 제어나,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 등)를 실행한다. 차량의 운동 제어에는, 사이드 슬립 방지 등의 차량 거동 안정화 제어가 포함된다.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에서는, 회생 브레이크와 협조하여 목표 감속도(목표 제동력)를 달성하도록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한다.
ECU(90)는, 브레이크 조작량 검출부(90a)와, 목표 휠 실린더 액압 산출부(90b)와, 답력 브레이크 창출부(90c)와, 배력 제어부(90d)와, 제어 전환부(90e)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조작량 검출부(90a)는, 스트로크 센서(94)의 검출값의 입력을 받아 브레이크 조작량으로서의 브레이크 페달(100)의 변위량(페달 스트로크)을 검출한다. 목표 휠 실린더 액압 산출부(90b)는,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출된 페달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배력비, 즉 페달 스트로크와 운전자의 요구 브레이크 액압[운전자가 요구하는 차량 감속도(G)] 사이의 이상의 관계 특성을 실현하는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또한,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 시에는, 회생 제동력과의 관계로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예컨대, 회생 제동 장치의 제어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생 제동력과 목표 휠 실린더 액압에 상당하는 액압 제동력의 합이,운전자가 요구하는 차량 감속도를 충족하는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또한, 운동 제어 시에는, 예컨대 검출된 차량 운동 상태량(횡가속도 등)에 기초하여, 원하는 차량 운동 상태를 실현하도록, 각 차륜(FL∼RR)의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답력 브레이크 창출부(90c)는, 펌프(3)를 비작동으로 하고, 차단 밸브(21)를 개방 방향으로, SS/V IN(27)을 폐쇄 방향으로, SS/V OUT(28)을 폐쇄 방향으로 제어한다. 차단 밸브(21)가 개방 방향으로 제어된 상태로, 마스터 실린더(5)의 액압실(50)과 휠 실린더(W/C)를 접속하는 유로 계통[공급 유로(11) 등]은, 페달 답력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마스터 실린더 액압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하는 답력 브레이크(비배력 제어)를 실현한다. 또한, SS/V OUT(28)이 폐쇄 방향으로 제어됨으로써,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가 기능하지 않는다. 즉,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의 피스톤(61)의 작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액압실(50)[세컨더리실(50S)]로부터 정압실(601)에의 브레이크액의 유입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압 가능해진다. 또한, S/V IN(27)을 폐쇄 방향으로 제어하여도 좋다.
차단 밸브(21)가 폐쇄 방향으로 제어된 상태로, SS/V IN(27)이 폐쇄 방향, SS/V OUT(28)이 개방 방향으로 제어되고 있을 때는, 리저버(120)와 휠 실린더(W/C)를 접속하는 브레이크 계통[흡입 유로(12), 토출 유로(13) 등]은, 펌프(3)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액압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하여, 배력 제어나 회생 협조 제어 등을 실현하는, 소위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배력 제어부(90d)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 시에, 펌프(3)를 작동시켜, 차단 밸브(21)를 폐쇄 방향으로, 연통 밸브(23)를 개방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제2 유닛(1B)의 상태를, 펌프(3)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펌프(3)의 토출압을 액압원으로 하여 마스터 실린더 액압보다 높은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하여,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력으로는 부족한 액압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배력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펌프(3)를 미리 정해진 회전수로 작동시킨 채로 조절 압력 밸브(24)를 제어하여 펌프(3)로부터 휠 실린더(W/C)에 공급되는 브레이크 액량을 조정함으로써,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실현한다. 즉, 브레이크 장치(1)는, 엔진 부압 부스터 대신에 제2 유닛(1B)의 펌프(3)를 작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조작력을 보조하는 배력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배력 제어부(90d)는, SS/V IN(27)을 폐쇄 방향으로, SS/V OUT(28)을 개방 방향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를 기능시킨다. 제어 전환부(90e)는, 산출된 목표 휠 실린더 액압에 기초하여, 마스터 실린더(5)의 동작을 제어하여, 답력 브레이크와 배력 제어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조작량 검출부(90a)에 의해 브레이크 조작의 개시를 검출하면, 산출된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이 미리 정해진 값[예컨대 급제동 시가 아닌 통상 브레이크 시에 발생하는 차량 감속도(G)의 최대값 상당] 이하인 경우에는, 답력 브레이크 창출부(90c)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시킨다. 한편, 브레이크 답입 조작 시에 산출된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이 상기 미리 정해진 값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배력 제어부(90d)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시킨다.
또한, ECU(90)는,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 판별부(90f) 및 제2 답력 브레이크 창출부(90g)를 갖는다.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 판별부(90f)는, 브레이크 조작량 검출부(90a) 등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조작 상태를 검출하고, 브레이크 조작 상태가 미리 정해진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판단)한다. 예컨대, 페달 스트로크의 시간당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전환부(90e)는,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라고 판정되었을 때, 제2 답력 브레이크 창출부(90g)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하도록, 제어를 전환한다. 제2 답력 브레이크 창출부(90g)는, 펌프(3)를 작동시켜, 차단 밸브(21)를 폐쇄 방향으로, SS/V IN(27)을 개방 방향으로, SS/V OUT(28)을 폐쇄 방향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펌프(3)가 충분히 높은 휠 실린더 액압을 발생 가능해질 때까지의 동안,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의 배압실(602)로부터 유출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하는 제2 답력 브레이크를 실현한다. 또한, 차단 밸브(21)를 개방 방향으로 제어하여도 좋다. 또한, SS/V IN(27)을 폐쇄 방향으로 제어하여도 좋고, 이 경우, 배압실(602)로부터의 브레이크액은, [휠 실린더(W/C)측이 배압실(602)측보다 아직 저압이기 때문에 밸브 개방 상태가 되는]체크 밸브(270)를 통하여, 휠 실린더(W/C)측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S/V IN(27)을 개방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배압실(602)측으로부터 휠 실린더(W/C)측에 브레이크액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 후,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라고 판정되지 않게 되고, 및/또는, 펌프(3)의 토출 능력이 충분해진 것을 나타내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성립하면, 제어 전환부(90e)는, 배력 제어부(90d)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출하도록, 제어를 전환한다. 즉, SS/V IN(27)을 폐쇄 방향으로, SS/V OUT(28)을 개방 방향으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를 기능시킨다. 또한, 제2 답력 브레이크 후에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로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차단 밸브(21), SOL/V IN(22), 연통 밸브(23), 조절 압력 밸브(24), SS/V IN(27), SS/V OUT(28)의 구성을 도 5∼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장치 등의 액압 제어 장치의 각 밸브는, 각각 전용의 부품 설정이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이하의 기재와 같이, 각 밸브에 있어서 공통화할 수 있는 부위를 발견함으로써, 액압 제어 장치 전체의 생산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차단 밸브·조절 압력 밸브]
차단 밸브(21)와 조절 압력 밸브(24)의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차단 밸브(21)만을 설명한다.
도 5는 차단 밸브(21)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차단 밸브(21)의 분해 사시도이고, (a)는 Y축 정방향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Y축 부방향측에서 본 도면이다.
차단 밸브(21)는, 코일(21-1), 실린더(21-2), 아마추어(21-3), 플런저(21-4), 밸브 보디(21-5), 시트 부재(21-6), 보디 부재(21-7), 제1 필터 부재(21-8), 제2 필터 부재(21-9) 및 시일 부재(21-10)를 갖는다. 또한, 코일(21-1), 실린더(21-2), 아마추어(21-3), 밸브 보디(21-5)에 의해 전자 구동부(21-15)를 구성하고 있다.
코일(21-1)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한다. 코일(21-1)은 자성 재료로 형성된 요크(21-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21-2)는, 비자성 재료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1-2)의 Y축 정방향 단부는 개구하고, Y축 부방향 단부는 반구형의 바닥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실린더(21-2)의 Y축 정방향 단부는, 후술하는 밸브 보디(21-5)의 제1 원통부(21-5a)에 용착되어 있다.
아마추어(21-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실린더(21-2)의 내부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아마추어(21-3)의 Y축 정방향 단부의 중심에는, 플런저(21-4)가 압입되는 오목부(21-3a)가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21-3)는, 코일(21-1)의 통전 시, 코일(21-1)이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Y축 정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런저(21-4)는, 수지 등의 비자성 재료로 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1-4)는, 실린더(21-2)의 내부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21-4)의 Y축 부방향측에는 Y축 정방향 단부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21-4a)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1-4)의 Y축 정방향 단부인 선단부(21-4b)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1-4a)는, 아마추어(21-3)의 오목부(21-3a)에 압입되어 있다. 플런저(21-4)는 아마추어(21-3)와 일체로 구동된다.
밸브 보디(21-5)는, 자성 재료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21-5)는,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어 자로 형성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원통부(21-5a), 하우징(8)에 코오킹 고정되는 직경 확장된 피코오킹부(21-5b) 및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 내에 삽입되는 제2 원통부(21-5c)를 갖는다. 제1 원통부(21-5a)의 내주에는 제1 수용 구멍(삽입 구멍)(21-5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부(21-5c)의 내주에는 제1 수용 구멍(21-5d)보다 대직경의 제2 수용 구멍(21-5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 구멍(21-5d)의 Y축 정방향 단부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21-5f)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1-5f)와 플런저(21-4)의 대직경부(21-4a)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1-12)이 수축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1-12)은, 플런저(21-4)를 Y축 부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제2 수용 구멍(21-5e)에는, 복수의 축 방향 유로(21-5g)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1-6)는,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1-6)는, Y축 부방향 단부에 바닥부(21-6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1-6i)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1-6)는, 소직경부(21-6b), 대직경부(21-6c) 및 제1 단차부(21-6d)를 갖는다. 소직경부(21-6b)는, 바닥부(21-6a)를 가지고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고, 밸브 보디(21-5)의 제2 수용 구멍(21-5e)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바닥부(21-6a)에는, 제1 연통 구멍(21-6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21-6e)의 주위에는, 플런저(21-4)의 선단부(21-4b)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21-6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1-6c)는, 소직경부(21-6b)보다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1-6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21-6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1-6b)와 대직경부(21-6c)를 접속한다.
보디 부재(21-7)는,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 내에 배치되고, 시트 부재(21-6)의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보디 부재(21-7)는, Y축 정방향 단부에 바닥부(21-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1-7h)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부재(21-7)는, 소직경부(21-7b), 대직경부(21-7c) 및 제2 단차부(21-7d)를 갖는다. 소직경부(21-7b)는, 바닥부(21-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바닥부(21-7a)에는, 제2 연통 구멍(21-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 구멍(21-7e)은, 제1 구멍(88-21)과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21-7c)는, 소직경부(21-7b)보다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1-7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1-7c)에는, 시트 부재(21-6)의 대직경부(21-6c)가 감합되어 있다. 대직경부(21-7c)의 내주면에는, 시트 부재(21-6a)의 대직경부(21-6c)의 외주면(21-6g)과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1-7g)이 마련되어 있다. 대직경부(21-7c)에 있어서, 내측 접촉면(21-7g)보다 Y축 부방향측에는, 복수의 유통 구멍(21-7f)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구멍(21-7f)은, 제6 구멍(88-16)과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차부(21-7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1-7b)와 대직경부(21-7c)를 접속한다. 시트 부재(21-6) 및 보디 부재(21-7)에 의해 위요된 내부 공간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유통로(내부 유로)(21-13)이다. 또한, 시트 부재(21-6)와 보디 부재(21-7)에 의해 밸브부(21-14)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유통로(21-13) 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제2 연통 구멍(21-7e)으로부터 제1 연통 구멍(21-6e)에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플런저(21-4)나 밸브 시트(21-6f)에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시트 부재(21-6)의 제1 단차부(21-6d) 및 보디 부재(21-7)의 제2 단차부(21-7d)에 각각 걸어 맞추어져 Y축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시트 부재(21-6)의 대직경부(21-6c)의 내주면(21-6h)에 면하여 마련되어 있다. 시트 부재(21-6)의 내주면(21-6h)과 제1 필터 부재(21-8)의 외주면(21-8c) 사이에는, 후술하는 메쉬부(21-8a)의 굵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제1 필터 부재(21-8)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면 단면도이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고, 메쉬부(21-8a) 및 프레임(21-8b)을 갖는다. 메쉬부(21-8a)는, 미리 정해진 굵기를 갖는 메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1-8b)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메쉬부(21-8a)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21-8b)의 일단면에 있어서, 게이트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오목부(21-8d)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8d)를 마련함으로써, 게이트 나머지 높이가 프레임(21-8b)의 일단면을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오목부(21-8d)를 Y축 부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1-9)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1-9)는, 보디 부재(21-7)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필터 부재(21-8)와 Y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1-9)는, 제6 구멍(88-16)으로부터 유통 구멍(21-7f)에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플런저(21-4)나 밸브 시트(21-6f)에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21-10)는, O 링이고, 보디 부재(21-7)의 소직경부(21-7b)의 외주에 장착되어, 소직경부(21-7b)의 외주면과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내주면 사이를 시일한다.
다음에, 차단 밸브(21)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21-1)이 비통전일 때, 아마추어(21-3) 및 플런저(21-4)는 코일 스프링(21-12)의 편향력에 의해 Y축 부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21-4)의 선단부(21-4b)는 밸브 시트(21-6f)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6 구멍(88-16)과 제1 구멍(88-21)은, 유통 구멍(21-7f), 축 방향 유로(21-5g), 제1 연통 구멍(21-6e) 및 제2 연통 구멍(21-7e)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코일(21-1)이 미리 정해진 전류에 의해 통전되면, 요크(21-11), 아마추어(21-3), 제1 원통부(21-5a)에 자로가 형성되고, 아마추어(21-3)와 제1 원통부(21-5a)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21-3) 및 플런저(21-4)는 Y축 정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런저(21-4)의 선단부(21-4b)가 밸브 시트(21-6f)와 접촉하면, 제6 구멍(88-16)과 제1 구멍(88-21)이 차단된다. 또한, 코일(21-1)에의 통전력을 PWM 제어에 의해 제어하고, 흡인력을 비례 제어함으로써, 선단부(21-4b)와 밸브 시트(21-6f) 사이의 간극(유통로 단면적)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원하는 유량(액압)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조절 압력 밸브(24)의 각 부위의 부호는, 차단 밸브(21)에 있어서의 동일 부위의 부호의 21을 24로 대체한 것으로 한다.
[SOL/V IN]
도 8은 SOL/V IN(22)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SOL/V IN(22)의 분해 사시도이고, (a)는 Y축 정방향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Y축 부방향측에서 본 도면이다.
SOL/V IN(22)은, 코일(22-1), 실린더(22-2), 아마추어(22-3), 플런저(22-4), 밸브 보디(22-5), 시트 부재(22-6), 보디 부재(22-7), 제1 필터 부재(22-8), 제2 필터 부재(22-9) 및 시일 부재(22-10)를 갖는다. 또한, 코일(22-1), 실린더(22-2), 아마추어(22-3), 밸브 보디(22-5)에 의해 전자 구동부(22-15)를 구성하고 있다.
코일(22-1)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한다. 코일(22-1)은 자성 재료로 형성된 요크(22-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22-2)는, 비자성 재료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2-2)의 Y축 정방향 단부는 개구하고, Y축 부방향 단부는 반구형의 바닥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실린더(22-2)의 Y축 정방향 단부는, 후술하는 밸브 보디(22-5)의 제1 원통부(22-5a)에 용착되어 있다.
아마추어(22-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실린더(22-2)의 내부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아마추어(22-3)는, 코일(22-1)의 통전 시, 코일(22-1)이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Y축 정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런저(22-4)는, 수지 등의 비자성 재료로 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2-4)는, 실린더(22-2)의 내부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22-4)의 Y축 부방향측에는 Y축 정방향 단부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22-4a)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2-4)의 Y축 정방향 단부인 선단부(22-4b)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2-4a)의 Y축 부방향 단부는, 아마추어(22-3)의 Y축 정방향 단부와 접촉하고 있다. 플런저(22-4)는 아마추어(22-3)와 일체로 구동된다.
밸브 보디(22-5)는, 자성 재료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22-5)는,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어 자로 형성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원통부(22-5a), 하우징(8)에 코오킹 고정되는 직경 확장된 피코오킹부(22-5b) 및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SOL/V IN 수용 구멍(842) 내에 삽입되는 제2 원통부(22-5c)를 갖는다. 제1 원통부(22-5a)의 내주에는 제1 수용 구멍(삽입 구멍)(22-5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부(22-5c)의 내주에는 제1 수용 구멍(22-5d)보다 대직경의 제2 수용 구멍(22-5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 구멍(22-5d)의 Y축 정방향 단부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22-5f)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2-5f)와 플런저(22-4)의 대직경부(22-4a)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2-12)이 수축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2-12)은, 플런저(22-4)를 Y축 부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제2 수용 구멍(22-5e)에는, 복수의 축 방향 유로(22-5g)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2-6)는, SOL/V IN 수용 구멍(84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2-6)는, Y축 부방향 단부에 바닥부(22-6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2-6i)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2-6)는, Y축 부방향 단부에 바닥부(22-6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2-6)는, 소직경부(22-6b), 대직경부(22-6c) 및 제1 단차부(22-6d)를 갖는다. 소직경부(22-6b)는, 바닥부(22-6a)를 가지고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고, 밸브 보디(22-5)의 제2 수용 구멍(22-5e)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바닥부(22-6a)에는, 제1 연통 구멍(22-6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22-6e)의 주위에는, 플런저(22-4)의 선단부(22-4b)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22-6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2-6c)는, 소직경부(22-6b)보다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2-6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22-6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2-6b)와 대직경부(22-6c)를 접속한다.
보디 부재(22-7)는, SOL/V IN 수용 구멍(842) 내에 배치되고, 시트 부재(22-6)의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보디 부재(22-7)는, Y축 정방향 단부에 바닥부(22-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2-7h)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부재(22-7)는, 소직경부(22-7b), 대직경부(22-7c) 및 제2 단차부(22-7d)를 갖는다. 소직경부(22-7b)는, 바닥부(22-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바닥부(22-7a)에는, 제2 연통 구멍(22-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 구멍(22-7e)은, 제5 구멍(88-25)과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22-7c)는, 소직경부(22-7b)보다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2-7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2-7c)에는, 시트 부재(22-6)의 대직경부(22-6c)가 감합되어 있다. 대직경부(22-7c)의 내주면에는, 시트 부재(22-6a)의 대직경부(22-6c)의 외주면(22-6g)과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2-7g)이 마련되어 있다. 대직경부(22-7c)에 있어서, 내측 접촉면(22-7g)보다 Y축 부방향측에는, 복수의 유통 구멍(22-7f)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구멍(22-7f)은, 유로 구멍(880)과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차부(22-7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2-7b)와 대직경부(22-7c)를 접속한다. 시트 부재(22-6) 및 보디 부재(22-7)에 의해 위요된 내부 공간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유통로(내부 유로)(22-13)이다. 또한, 시트 부재(22-6)와 보디 부재(22-7)에 의해 밸브부(22-14)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2-8)는, 유통로(22-13) 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2-8)는, 제2 연통 구멍(22-7e)으로부터 제1 연통 구멍(22-6e)에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플런저(22-4)나 밸브 시트(22-6f)에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필터 부재(22-8)는, 시트 부재(22-6)의 제1 단차부(22-6d) 및 보디 부재(22-7)의 제2 단차부(22-7d)에 각각 걸어 맞추어져 Y축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2-8)는, 시트 부재(22-6)의 대직경부(22-6c)의 내주면(22-6h)에 면하여 마련되어 있다. 시트 부재(22-6)의 내주면(22-6h)과 제1 필터 부재(22-8)의 외주면(22-8c) 사이에는, 후술하는 메쉬부(22-8a)의 굵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2-8)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낸 제1 필터 부재(21-8)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필터(22-8)는, 오목부를 Y축 정방향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2-9)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2-9)는, 보디 부재(22-7)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필터 부재(22-8)와 Y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2-9)는, 유로 구멍(880)으로부터 유통 구멍(22-7f)에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플런저(22-4)나 밸브 시트(22-6f)에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22-10)는, 컵 시일이고, 보디 부재(22-7)의 소직경부(22-7b)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22-10)는, [제5 구멍(88-25)의 액압>유로 구멍(880)의 액압]일 때에는, 제5 구멍(88-25)으로부터 유로 구멍(880)에의 브레이크액의 누설을 시일하고, [제5 구멍(88-25)의 액압<유로 구멍(880)의 액압]일 때에는, 유로 구멍(880)으로부터 제5 구멍(88-25)에의 브레이크액의 흐름을 허용함으로써, 체크 밸브(220)의 기능을 달성하고 있다.
다음에, SOL/V IN(22)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22-1)이 비통전일 때, 아마추어(22-3) 및 플런저(22-4)는 코일 스프링(22-12)의 편향력에 의해 Y축 부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22-4)의 선단부(22-4b)는 밸브 시트(22-6f)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5 구멍(88-25)과 유로 구멍(880)은, 유통 구멍(22-7f), 축 방향 유로(22-5g), 제1 연통 구멍(22-6e) 및 제2 연통 구멍(22-7e)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코일(22-1)이 미리 정해진 전류에 의해 통전되면, 요크(22-11), 아마추어(22-3), 제1 원통부(22-5a)에 자로가 형성되고, 아마추어(22-3)와 제1 원통부(22-5a)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22-3) 및 플런저(22-4)는 Y축 정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런저(22-4)의 선단부(22-4b)가 밸브 시트(22-6f)와 접촉하면, 제5 유로(88-25)와 유로 구멍(880)이 차단된다. 또한, 코일(22-1)에의 통전력을 PWM 제어에 의해 제어하고, 흡인력을 비례 제어함으로써, 선단부(22-4b)와 밸브 시트(22-6f) 사이의 간극(유통로 단면적)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원하는 유량(액압)을 실현할 수 있다.
[연통 밸브]
도 10은 연통 밸브(23)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연통 밸브(23)의 분해 사시도이고, (a)는 Y축 정방향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Y축 부방향측에서 본 도면이다.
연통 밸브(23)는, 코일(23-1), 실린더(23-2), 보디 센터(23-3), 아마추어(23-4), 플랜지 링(23-5), 시트 부재(23-6), 보디 부재(23-7), 제1 필터 부재(23-8), 제2 필터 부재(23-9) 및 시일 부재(23-10)를 갖는다. 또한, 코일(23-1), 실린더(23-2), 아마추어(23-4)에 의해 전자 구동부(23-15)를 구성하고 있다.
코일(23-1)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한다. 코일(23-1)은 자성 재료로 형성된 요크(23-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23-2)는, 비자성 재료로 양 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센터(23-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센터(23-3)의 Y축 정방향 단부는, 실린더(23-2)의 Y축 부방향 단부에 용착되어 있다. 보디 센터(23-3)는, 코일(23-1)의 통전 시, 코일(23-1)이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아마추어(23-4)를 흡인한다.
아마추어(23-4)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23-4)는, 실린더(23-2)의 내부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아마추어(23-4)의 Y축 부방향 단부에는 Y축 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3-4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4a)의 바닥부와 보디 센터(23-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3-12)이 수축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3-12)은, 아마추어(23-4)를 Y축 정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코일(23-1)의 비통전 시, 실린더(23-2)의 Y축 정방향 단부과 아마추어(23-4)의 Y축 부방향 단부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갭이 마련되어 있다. 아마추어(23-4)의 Y축 정방향 단부에는, 구형의 밸브체(23-4b)가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링(23-5)은, 자성 재료로 양 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 링(23-5)은, 하우징(8)에 코오킹 고정되는 직경 확장된 피코오킹부(23-5a)를 갖는다.
시트 부재(23-6)는,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3-6)는, Y축 부방향 단부에 바닥부(23-6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3-6i)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3-6)는, 소직경부(23-6b), 대직경부(23-6c) 및 제1 단차부(23-6d)를 갖는다. 소직경부(23-6b)는, 바닥부(23-6a)를 가지고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바닥부(23-6a)에는, 제1 연통 구멍(23-6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23-6e)의 주위에는, 아마추어(23-4)의 선단부(23-4b)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23-6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3-6c)는, 소직경부(23-6b)보다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3-6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23-6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3-6b)와 대직경부(23-6c)를 접속한다.
보디 부재(23-7)는,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 내에 배치되고, 시트 부재(23-6)의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보디 부재(23-7)는, Y축 정방향 단부에 바닥부(23-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3-7h)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부재(23-7)는, 소직경부(23-7b), 대직경부(23-7c) 및 제2 단차부(23-7d)를 갖는다. 소직경부(23-7b)는, 바닥부(23-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바닥부(23-7a)에는, 제2 연통 구멍(23-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 구멍(23-7e)은, 제11 구멍(88-311)과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는, 소직경부(23-7b)보다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3-7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에는, 시트 부재(23-6)의 대직경부(23-6c)가 감합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는 실린더(23-2)의 Y축 정방향 단부의 내주에 삽입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의 선단은, 실린더(23-2)를 통해 피코오킹부(23-5a)의 Y축 정방향측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는, 실린더(23-2)의 Y축 정방향 단부를 대직경부(23-7c)의 외주면을 따라 코오킹하여 고정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의 내주면에는, 시트 부재(23-6a)의 대직경부(23-6c)의 외주면(23-6g)과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3-7g)이 마련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에 있어서, 내측 접촉면(23-7g)보다 Y축 부방향측에는, 복수의 유통 구멍(23-7f)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구멍(23-7f)은, 제6 구멍(88-26)과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차부(23-7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3-7b)와 대직경부(23-7c)를 접속한다. 시트 부재(23-6) 및 보디 부재(23-7)에 의해 위요된 내부 공간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유통로(내부 유로)(23-13)이다. 또한, 시트 부재(23-6)와 보디 부재(23-7)에 의해 밸브부(23-14)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3-8)는, 유통로(23-13) 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3-8)는, 제2 연통 구멍(23-7e)으로부터 제1 연통 구멍(23-6e)에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아마추어(23-4)나 밸브 시트(23-6f)에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필터 부재(23-8)는, 시트 부재(23-6)의 제1 단차부(23-6d) 및 보디 부재(23-7)의 제2 단차부(23-7d)에 각각 걸어 맞추어져 Y축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3-8)는, 시트 부재(23-6)의 대직경부(23-6c)의 내주면(23-6h)에 면하여 마련되어 있다. 시트 부재(23-6)의 내주면(23-6h)과 제1 필터 부재(23-8)의 외주면(23-8c) 사이에는, 후술하는 메쉬부(23-8a)의 굵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3-8)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낸 제1 필터 부재(21-8)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필터 부재(23-8)는, 오목부를 Y축 부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3-9)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3-9)는, 보디 부재(23-7)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필터 부재(23-8)와 Y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3-9)는, 제6 구멍(88-26)으로부터 유통 구멍(23-7f)에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아마추어(23-4)나 밸브 시트(23-6f)에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23-10)는, O 링이고, 보디 부재(23-7)의 소직경부(23-7b)의 외주에 장착되어, 소직경부(23-7b)의 외주면과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의 내주면 사이를 시일한다.
다음에, 연통 밸브(23)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23-1)이 비통전일 때, 아마추어(23-4)는 코일 스프링(23-12)의 편향력에 의해 Y축 정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아마추어(23-4)의 선단부(23-4b)는 밸브 시트(23-6f)와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6 구멍(88-26)과 제11 구멍(88-311)은 차단되어 있다.
코일(23-1)이 미리 정해진 전류에 의해 통전되면, 요크(23-11), 보디 센터(23-3), 아마추어(23-4)에 자로가 형성되고, 보디 센터(23-3)와 아마추어(23-4)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23-4)는 Y축 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아마추어(23-4)의 선단부(23-4b)가 밸브 시트(23-6f)로부터 이격되면, 제6 구멍(88-26)과 제11 구멍(88-311)이 유통 구멍(23-7f), 축 방향 유로(23-5g), 제1 연통 구멍(23-6e) 및 제2 연통 구멍(23-7e)을 통해 연통된다.
[SS/V IN·SS/V OUT]
SS/V IN(27)과 SS/V OUT(28)의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SS/V IN(27)만을 설명한다.
도 12는 SS/V IN(27)의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SS/V IN(27)의 분해 사시도이고, (a)는 Y축 정방향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Y축 부방향측에서 본 도면이다.
SS/V IN(27)은, 코일(27-1), 실린더(27-2), 보디 센터(27-3), 아마추어(27-4), 플랜지 링(27-5), 시트 부재(27-6), 보디 부재(27-7), 제1 필터 부재(27-8), 제2 필터 부재(27-9) 및 시일 부재(27-10)를 갖는다. 또한, 코일(27-1), 실린더(27-2), 아마추어(27-4)에 의해 전자 구동부(27-15)를 구성하고 있다.
코일(27-1)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한다. 코일(27-1)은 자성 재료로 형성된 요크(27-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27-2)는, 비자성 재료로 양 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센터(27-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7-2)의 Y축 부방향 단부에 용착되어 있는 보디 센터(27-3)는, 코일(27-1)의 통전 시, 코일(27-1)이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아마추어(27-4)를 흡인한다.
아마추어(27-4)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27-4)는, 실린더(27-2)의 내부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아마추어(27-4)의 Y축 부방향 단부에는 Y축 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7-4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7-4a)의 바닥부와 보디 센터(27-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7-12)이 수축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7-12)은, 아마추어(27-4)를 Y축 정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코일(27-1)의 비통전 시, 실린더(27-2)의 Y축 정방향 단부와 아마추어(27-4)의 Y축 부방향 단부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갭이 마련되어 있다. 아마추어(27-4)의 Y축 정방향 단부에는, 구형의 밸브체(27-4b)가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링(27-5)은, 자성 재료로 양 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SS/V IN 수용 구멍(847)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 링(27-5)은, 하우징(8)에 코오킹 고정되는 직경 확장된 피코오킹부(27-5a)를 갖는다.
시트 부재(27-6)는, SS/V IN 수용 구멍(84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7-6)는, Y축 부방향 단부에 바닥부(27-6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7-6i)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7-6)는, 소직경부(27-6b), 대직경부(27-6c) 및 제1 단차부(27-6d)를 갖는다. 소직경부(27-6b)는, 바닥부(27-6a)를 가지고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바닥부(27-6a)에는, 제1 연통 구멍(27-6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27-6e)의 주위에는, 아마추어(27-4)의 밸브체(27-4b)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27-6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7-6c)는, 소직경부(27-6b)보다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7-6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27-6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7-6b)와 대직경부(27-6c)를 접속한다.
보디 부재(27-7)는, SS/V IN 수용 구멍(847) 내에 배치되고, 시트 부재(27-6)의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보디 부재(27-7)는, Y축 정방향 단부에 바닥부(27-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7-7h)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부재(27-7)는, 소직경부(27-7b), 대직경부(27-7c) 및 제2 단차부(27-7d)를 갖는다. 소직경부(27-7b)는, 바닥부(27-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바닥부(27-7a)에는, 제2 연통 구멍(27-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 구멍(27-7e)은, 제5 구멍(88-55)과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는, 소직경부(27-7b)보다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7-7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에는, 시트 부재(27-6)의 대직경부(27-6c)가 감합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는 실린더(27-2)의 Y축 정방향 단부의 내주에 삽입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의 선단은, 실린더(27-2)를 통해 피코오킹부(27-5a)의 Y축 정방향측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는, 실린더(27-2)의 Y축 정방향 단부를 대직경부(27-7c)의 외주면을 따라 코오킹하여 고정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의 내주면에는, 시트 부재(27-6a)의 대직경부(27-6c)의 외주면(27-6g)과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7-7g)이 마련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에 있어서, 내측 접촉면(27-7g)보다 Y축 부방향측에는, 복수의 유통 구멍(27-7f)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구멍(27-7f)은, 제8 구멍(88-28)과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차부(27-7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7-7b)와 대직경부(27-7c)를 접속한다. 시트 부재(27-6) 및 보디 부재(27-7)에 의해 위요된 내부 공간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유통로(내부 유로)(27-13)이다. 또한, 시트 부재(27-6)와 보디 부재(27-7)에 의해 밸브부(27-14)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7-8)는, 유통로(27-13) 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7-8)는, 제2 연통 구멍(27-7e)으로부터 제1 연통 구멍(27-6e)에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아마추어(27-4)나 밸브 시트(27-6f)에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필터 부재(27-8)는, 시트 부재(27-6)의 제1 단차부(27-6d) 및 보디 부재(27-7)의 제2 단차부(27-7d)에 각각 걸어 맞추어져 Y축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7-8)는, 시트 부재(27-6)의 대직경부(27-6c)의 내주면(27-6h)에 면하여 마련되어 있다. 시트 부재(27-6)의 내주면(27-6h)과 제1 필터 부재(27-8)의 외주면(27-8c) 사이에는, 후술하는 메쉬부(27-8a)의 굵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7-8)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낸 제1 필터 부재(21-8)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필터 부재(27-8)는, 오목부를 Y축 정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7-9)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7-9)는, 보디 부재(27-7)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필터 부재(27-8)와 Y축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7-9)는, 제8 구멍(88-28)으로부터 유통 구멍(27-7f)에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아마추어(27-4)나 밸브 시트(27-6f)에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27-10)는, 컵 시일이고, 보디 부재(27-7)의 소직경부(27-7b)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22-10)는, [제8 구멍(88-28)의 액압>제5 구멍(88-55)의 액압]일 때에는, 제8 구멍(88-28)으로부터 제5 구멍(88-55)에의 브레이크액의 누설을 시일하고, [제8 구멍(88-28)의 액압<유로 구멍(880)의 액압]일 때에는, 제5 구멍(88-55)으로부터 제8 구멍(88-28)에의 브레이크액의 흐름을 허용함으로써, 체크 밸브(270)의 기능을 달성하고 있다.
다음에, SS/V IN(27)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27-1)이 비통전일 때, 아마추어(27-4)는 코일 스프링(27-12)의 편향력에 의해 Y축 정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아마추어(27-4)의 밸브체(27-4b)는 밸브 시트(27-6f)와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5 구멍(88-55)과 제8 구멍(88-28)은 차단되어 있다.
코일(27-1)이 미리 정해진 전류에 의해 통전되면, 요크(27-11), 보디 센터(27-3), 아마추어(27-4)에 자로가 형성되고, 보디 센터(27-3)와 아마추어(27-4)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27-4)가 Y축 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아마추어(27-4)의 밸브체(27-4b)가 밸브 시트(27-6f)로부터 이격되면, 제5 구멍(88-55)과 제8 구멍(88-28)이 유통 구멍(27-7f), 축 방향 유로(27-5g), 제1 연통 구멍(27-6e) 및 제2 연통 구멍(23-7e)을 통해 연통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SS/V OUT(28)의 각 부위의 부호는, SS/V IN(27)에 있어서의 동일 부위의 부호의 27을 28로 대체한 것으로 한다.
[SOL/V OUT]
도 13은 SOL/V OUT(25)의 종단면도이다.
SOL/V OUT(25)은, 코일(25-1), 실린더(25-2), 보디 센터(25-3), 아마추어(25-4), 플랜지 링(25-5), 시트 부재(25-6), 보디 부재(25-7), 제1 필터 부재(25-8), 제2 필터 부재(25-9) 및 시일 부재(25-10)를 갖는다. 또한, 코일(25-1), 실린더(25-2), 아마추어(25-4)에 의해 전자 구동부(25-15)를 구성하고 있다.
코일(25-1)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한다. 코일(25-1)은 자성 재료로 형성된 요크(25-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25-2)는, 비자성 재료로 양 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센터(25-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센터(25-3)의 Y축 정방향 단부는, 실린더(25-2)의 Y축 부방향 단부에 용착되어 있다. 보디 센터(25-3)는, 코일(25-1)의 통전 시, 코일(25-1)이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아마추어(25-4)를 흡인한다.
아마추어(25-4)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25-4)는, 실린더(25-2)의 내부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아마추어(25-4)의 Y축 부방향 단부에는 Y축 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5-4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5-4a)의 바닥부와 보디 센터(25-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5-12)이 수축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5-12)은, 아마추어(25-4)를 Y축 정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코일(25-1)의 비통전 시, 실린더(25-2)의 Y축 정방향 단부과 아마추어(25-4)의 Y축 부방향 단부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갭이 마련되어 있다. 아마추어(25-4)의 Y축 정방향 단부에는, 구형의 밸브체(25-4b)가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링(25-5)은, 자성 재료로 양 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 링(25-5)은, 하우징(8)에 코오킹 고정되는 직경 확장된 피코오킹부(25-5a)를 갖는다.
시트 부재(25-6)는, SOL/V OUT 수용 구멍(84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5-6)는, Y축 부방향 단부에 바닥부(25-6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5-6i)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5-6)는, 소직경부(25-6b), 대직경부(25-6c) 및 제1 단차부(25-6d)를 갖는다. 소직경부(25-6b)는, 바닥부(25-6a)를 가지고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바닥부(25-6a)에는, 제1 연통 구멍(25-6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25-6e)의 주위에는, 아마추어(25-4)의 선단부(25-4b)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25-6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5-6c)는, 소직경부(25-6b)보다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5-6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25-6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5-6b)와 대직경부(25-6c)를 접속한다.
보디 부재(25-7)는, SOL/V OUT 수용 구멍(845) 내에 배치되고, 시트 부재(25-6)의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보디 부재(25-7)는, Y축 정방향 단부에 바닥부(25-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 단부에 개구한 개구부(25-7h)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부재(25-7)는, 소직경부(25-7b), 대직경부(25-7c) 및 제2 단차부(25-7d)를 갖는다. 소직경부(25-7b)는, 바닥부(25-7a)를 가지고 Y축 정방향측에 마련되어 있다. 바닥부(25-7a)에는, 제2 연통 구멍(25-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 구멍(25-7e)은, 제1 구멍(88-41)과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25-7c)는, 소직경부(25-7b)보다 Y축 부방향측에 마련되고, 소직경부(25-7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5-7c)에는, 시트 부재(25-6)의 대직경부(25-6c)가 감합되어 있다. 대직경부(25-7c)는 실린더(25-2)의 Y축 정방향 단부의 내주에 삽입되어 있다. 대직경부(25-7c)의 선단은, 실린더(25-2)를 통해 피코오킹부(25-5a)의 Y축 정방향측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다. 대직경부(25-7c)는, 실린더(25-2)의 Y축 정방향 단부를 대직경부(25-7c)의 외주면을 따라 코오킹하여 고정되어 있다. 대직경부(25-7c)의 내주면에는, 시트 부재(25-6a)의 대직경부(25-6c)의 외주면(25-6g)과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5-7g)이 마련되어 있다. 대직경부(25-7c)에 있어서, 내측 접촉면(25-7g)보다 Y축 부방향측에는, 복수의 유통 구멍(25-7f)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구멍(25-7f)은, 제6 구멍(88-26)과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차부(25-7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직경부(25-7b)와 대직경부(25-7c)를 접속한다. 시트 부재(25-6) 및 보디 부재(25-7)에 의해 위요된 내부 공간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유통로(내부 유로)(25-13)이다. 또한, 시트 부재(25-6)와 보디 부재(25-7)에 의해 밸브부(25-14)를 구성하고 있다.
제2 필터 부재(25-9)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5-9)는, 보디 부재(25-7)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5-9)는, 유로 구멍(880)으로부터 유통 구멍(25-7f)에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아마추어(25-4)나 밸브 시트(25-6f)에 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25-10)는, O 링이고, 보디 부재(25-7)의 소직경부(25-7b)의 외주에 장착되어, 소직경부(25-7b)의 외주면과 SOL/V OUT 수용 구멍(845)의 내주면 사이를 시일한다.
다음에, SOL/V OUT(25)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25-1)이 비통전일 때, 아마추어(25-4)는 코일 스프링(25-12)의 편향력에 의해 Y축 정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아마추어(25-4)의 선단부(25-4b)는 밸브 시트(25-6f)와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로 구멍(880)과 제1 구멍(88-41)은 차단되어 있다.
코일(25-1)이 미리 정해진 전류에 의해 통전되면, 요크(25-11), 보디 센터(25-3), 아마추어(25-4)에 자로가 형성되고, 보디 센터(25-3)와 아마추어(25-4)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25-4)가 Y축 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아마추어(25-4)의 선단부(25-4b)가 밸브 시트(25-6f)로부터 이격되면, 유로 구멍(880)과 제1 구멍(88-41)이 유통 구멍(25-7f), 축 방향 유로(25-5g), 제1 연통 구멍(25-6e) 및 제2 연통 구멍(25-7e)을 통해 연통된다.
[시트 부재 및 보디 부재의 성형]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 및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의 시트 부재, 보디 부재는 제1 연통 구멍 및 제2 연통 구멍의 직경은 상이하지만, 그 외의 부위는 공통 부위로 하고 있다. 도 15는 시트 부재의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보디 부재의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 및 보디 부재는, 먼저 판재를 블랭킹(프레스 가공)하여 대략적인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 후, 버어(플래쉬)나 모따기 등을 행하여 정형한다. 마지막으로 전자 밸브마다 직경이 상이한 제1 연통 구멍 및 제2 연통 구멍을 뚫어 완성된다.
[요상(腰上)·요하(腰下) 높이의 공통화]
도 17은 각 전자 밸브의 밸브단(보디 부재의 선단)을 동일선상에 배열하였을 때의 각 전자 밸브의 높이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자 밸브의 밸브 단부로부터 피코오킹부의 Y축 정방향측의 면까지의 높이는 같다. 각 전자 밸브의 밸브 단부로부터 피코오킹부의 Y축 정방향측의 면까지의 높이(요하 높이)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의 보디 부재가 실린더를 사이에 두고 플랜지 링의 피코오킹부에 접촉함으로써 결정된다.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에 의해 결정된 요하 높이에 맞추어, 시트 부재의 밸브 보디에의 압입량이 조정된다. 각 전자 밸브의 요하 높이를 같게 함으로써, 하우징(8)의 각 전자 밸브의 수용 구멍의 깊이를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자 밸브의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코일의 단부까지 높이는 같다. 각 전자 밸브의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코일의 단부까지의 높이(요상 높이)는, 코일의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각 전자 밸브의 요크의 높이를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작용]
종래,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에서는 구조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 전용의 부품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부품 개수나 공정수의 증대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실시예 1에서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예컨대 SS/V IN(27)]의 밸브부(27-14)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예컨대 차단 밸브(21)]의 밸브부(21-14)가 공통 부위를 갖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의 밸브부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의 밸브부에서 공통 부위를 갖기 때문에, 양 밸브부의 대부분을 공통화할 수 있어, 전자 밸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예컨대 SS/V IN(27)]의 밸브부(27-14)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27-6)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예컨대 차단 밸브(21)]의 밸브부(21-14)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21-6)에서는, 시트 부재(27-6)의 제1 연통 구멍(27-6e)을 제외한 부위와 시트 부재(21-6)의 제1 연통 구멍(21-6e)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공통 부위가 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각 전자 밸브의 특성에 따라 제1 연통 구멍을 설정하면서, 시트 부재의 다른 부분은 공통 부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예컨대 SS/V IN(27)]의 밸브부(27-14)를 구성하는 보디 부재(27-7)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예컨대 차단 밸브(21)]의 밸브부(21-14)를 구성하는 보디 부재(21-7)에서는, 보디 부재(27-7)의 제2 연통 구멍(27-7e)을 제외한 부위와, 보디 부재(21-7)의 제2 연통 구멍(21-7e)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공통 부위가 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각 전자 밸브의 특성에 따라 제2 연통 구멍을 설정하면서, 보디 부재의 다른 부분은 공통 부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예컨대 SS/V IN(27)]는, 코일(27-1), 실린더(27-2), 아마추어(27-4)로 이루어지는 전자 구동부(27-15)를 가지고,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예컨대 차단 밸브(21)]는, 코일(21-1), 실린더(21-2), 아마추어(21-3), 밸브 보디(21-5)로 이루어지는 전자 구동부(21-15)를 갖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상이한 부재를 갖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에, 공통 부위를 갖는 밸브부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예컨대 차단 밸브(21)]의 밸브부(21-14)의 축 방향 길이를,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예컨대 SS/V IN(27)]의 밸브부(27-14)의 축 방향 길이에 맞추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각 전자 밸브를 수용하는 하우징(8)의 수용 구멍의 깊이를 맞출 수 있어, 하우징(8) 내의 유로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예컨대 차단 밸브(21)]의 밸브부(21-14)를 배치하는 하우징(8)의 SS/V IN 수용 구멍(847)과,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예컨대 SS/V IN(27)]의 밸브부(27-14)를 배치하는 하우징(8)의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의 깊이를 맞추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하우징(8)을 박육화, 소형화할 수 있어, 수용 구멍을 가공할 때의 가공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예컨대 SS/V IN(27)]의 시트 부재(27-6), 보디 부재(27-7),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예컨대 차단 밸브(21)]의 시트 부재(21-6), 보디 부재(21-7)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시트 부재, 보디 부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예컨대 SS/V IN(27)]를 수용하는 SS/V IN 수용 구멍(847)과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예컨대 차단 밸브(21)]를 수용하는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쌍방을, 하우징(8)의 일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내부에 마련하였다. 이에 의해, 하우징(8)의 박육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구멍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8)의 일측면으로부터 전자 밸브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하우징(8)의 SOL/V OUT 수용 구멍(845)과 SOL/V IN 수용 구멍(842)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유로 중 SOL/V OUT 수용 구멍(845)과 SOL/V IN 수용 구멍(842)을 접속하는 유로 구멍(880)을, 하우징(8)의 일면을 따라 마련하였다. 이에 의해, 유로 구멍(880)을 하우징(8)의 면에 대하여 경사하여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8)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예컨대 SS/V IN(27)]의 코일(27-1)을,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예컨대 차단 밸브(21)]의 코일(27-1)의 축 방향 길이에 맞추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요크를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1B)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효과]
이하에서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로서 SS/V IN(27),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로서 차단 밸브(21)를 적용한 경우의 효과를 설명한다.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로서 연통 밸브(23), SOL/V OUT(25), SS/V OUT(28),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로서 SOL/V IN(22)을 적용한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단, (9)는 제외함].
(1) 내부에 유로를 갖는 하우징(8)과,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부(27-14)(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유로를 밸브 폐쇄하는 SS/V IN(27)(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과,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내부에 배치되고, 밸브부(27-14)와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밸브부(21-14)(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유로를 밸브 개방하는 차단 밸브(21)(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의 밸브부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의 밸브부에서 공통 부위를 갖기 때문에, 양 밸브부의 대부분을 공통화할 수 있어, 전자 밸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밸브부(27-14)(제1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개구부(27-6i)(제1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연통 구멍(27-6e)(제1 통로 구멍)을 갖는 시트 부재(27-6)(제1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개구부(27-7h)(제2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27-7h)(제2 개구부)측으로부터 개구부(27-6i)(제1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제1 연통 구멍(27-6e)(제1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2 연통 구멍(27-7e)(제2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유통 구멍(27-7f)(제1 관통 구멍)을 갖는 보디 부재(27-7)(제2 부재)를 구비하고, 밸브부(21-14)(제2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개구부(21-6i)(제3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연통 구멍(21-6e)(제3 통로 구멍)을 갖는 시트 부재(21-6)(제3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개구부(21-7h)(제4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21-7h)(제4 개구부)측으로부터 개구부(21-6i)(제3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제1 연통 구멍(27-6e)(제1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2 연통 구멍(21-7e)(제4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유통 구멍(21-7f)(제2 관통 구멍)을 갖는 보디 부재(21-7)(제4 부재)를 구비하고, 시트 부재(27-6)(제1 부재)의 제1 연통 구멍(27-6e)(제1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시트 부재(21-6)(제3 부재)의 제1 연통 구멍(21-6e)(제3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공통 부위가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각 전자 밸브의 특성에 따라 제1 연통 구멍을 설정하면서, 시트 부재의 다른 부분은 공통 부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보디 부재(27-7)(제2 부재)의 제2 연통 구멍(27-7e)(제2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보디 부재(21-7)(제4 부재)의 제2 연통 구멍(21-7e)(제4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공통 부위가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각 전자 밸브의 특성에 따라 제2 연통 구멍을 설정하면서, 보디 부재의 다른 부분은 공통 부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SS/V IN(27)(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은,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코일(27-1)(제1 전자 코일)과, 코일(27-1)(제1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밸브부(27-14)(제1 밸브부)에서 보디 부재(27-7)(제2 부재)의 개구부(27-7h)(제2 개구부)측과 접속되는 비자성재의 실린더(27-2)(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실린더(27-2)(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코일(27-1)(제1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제1 연통 구멍(27-6e)(제1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밸브체(27-4b)(제1 밸브체)가 마련된 아마추어(27-4)(제1 가동 부재)를 갖는 전자 구동부(27-15)(제1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차단 밸브(21)(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는,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코일(21-1)(제2 전자 코일)과, 코일(21-1)(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밸브부(21-14)(제2 밸브부)에서 시트 부재(21-6)(제3 부재)의 바닥벽측과 접속되는 자성재의 밸브 보디(21-5)(고정 부재)와, 코일(21-1)(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밸브 보디(21-5)(고정 부재)의 일단이 수용되는 비자성재의 실린더(21-2)(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실린더(21-2)(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코일(21-1)(제2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제1 연통 구멍(21-6e)(제3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선단부(21-4b)(제2 밸브체)가 마련된 플런저(21-4)(제2 가동 부재)를 갖는 전자 구동부(21-15)(제2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상이한 부재를 갖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에, 공통 부위를 갖는 밸브부를 장착할 수 있다.
(5) 밸브부(21-14)(제2 밸브부)의 축 방향 길이를, 밸브부(27-14)(제1 밸브부)의 축 방향 길이에 맞추도록 하였다.
따라서, 각 전자 밸브를 수용하는 하우징(8)의 수용 구멍의 깊이를 맞출 수 있어, 하우징(8) 내의 유로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6) 하우징(8)은, 밸브부(27-14)(제1 밸브부)를 배치하는 SS/V IN 수용 구멍(847)(제1 구멍부)과, SS/V IN 수용 구멍(847)(제1 구멍부)의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의 깊이를 맞추어, 밸브부(21-14)(제2 밸브부)를 배치하는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제2 구멍부)을 갖도록 하였다.
따라서, 하우징(8)을 박육화, 소형화할 수 있어, 수용 구멍을 가공할 때의 가공량을 억제할 수 있다.
(7) 시트 부재(27-6)(제1 부재), 보디 부재(27-7)(제2 부재), 시트 부재(21-6)(제3 부재), 보디 부재(21-7)(제4 부재)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하였다.
따라서, 시트 부재, 보디 부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SS/V IN 수용 구멍(847)(제1 구멍부)과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제2 구멍부)의 쌍방을, 하우징(8)의 일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내부에 마련하였다.
따라서, 하우징(8)의 박육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구멍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8)의 일측면으로부터 전자 밸브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1) SOL/V OUT 수용 구멍(845)(제1 구멍부)과 SOL/V IN 수용 구멍(842)(제2 구멍부)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유로 중 SOL/V OUT 수용 구멍(845)(제1 구멍부)과 SOL/V IN 수용 구멍(842)(제2 구멍부)을 접속하는 유로 구멍(880)을, 하우징(8)의 일면을 따라 마련하였다.
따라서, 유로 구멍(880)을 하우징(8)의 면에 대하여 경사하여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8)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2) SS/V IN(27)(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은,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코일(27-1)(제1 전자 코일)을 갖는 전자 구동부(27-15)(제1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차단 밸브(21)(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는,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여, 코일(27-1)(제1 전자 코일)의 축 방향 길이에 맞춘 코일(21-1)(제2 전자 코일)을 갖는 전자 구동부(21-15)(제2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요크를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1B)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3) 내부에 유로를 갖는 하우징(8)과,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부(27-14)(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유로를 밸브 폐쇄하는 SS/V IN(27)(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과,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내부에 배치되고, 밸브부(27-14)(제1 밸브부)와 축 방향 길이를 맞추어,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밸브부(21-14)(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유로를 밸브 개방하는 차단 밸브(21)(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의 밸브부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의 밸브부에서 공통 부위를 갖기 때문에, 양 밸브부의 대부분을 공통화할 수 있어, 전자 밸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7)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5)와, 마스터 실린더(5)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하여 브레이크 페달(100)(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를 구비한 제1 유닛(1A)과, 제1 유닛(1A)에 접속되고, 내부에 유로가 마련된 하우징(8)과, 하우징(8)의 내부에 마련되고, 유로를 통해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W/C)에 대하여 작동 액압을 발생시키는 펌프(3)(액압원)와,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부(27-14)(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밸브 폐쇄하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이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 내에의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허가하기 위한 SS/V IN(27)(전환 전자 밸브)과, 하우징(8)의 면으로부터 하우징(8)의 내부에 배치되고, 밸브부(27-14)(제1 밸브부)와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밸브부(21-14)(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밸브 개방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이며, 마스터 실린더(5)와 휠 실린더(W/C) 사이의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전환하는 차단 밸브(21)(차단 전자 밸브)와, 펌프(3)(액압원)와 차단 밸브(21)(차단 전자 밸브) 및 SS/V IN(27)(전환 전자 밸브)을 구동시키기 위한 ECU(90)(제어 유닛)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제2 유닛(1B)을 구비하였다.
따라서,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의 밸브부와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의 밸브부에서 공통 부위를 갖기 때문에, 양 밸브부의 대부분을 공통화할 수 있어, 전자 밸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 1에 기초하여 설명해 왔지만, 각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예 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하, 실시형태로부터 파악되는 기술 사상을 열거한다.
(8) 상기 (1)에 기재된 액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밸브부의 축 방향 길이에 맞추어져도 좋다.
(9) 상기 (8)에 기재된 액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밸브부를 배치하는 제1 구멍부와,
상기 제1 구멍부의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의 깊이에 맞추어, 상기 제2 밸브부를 배치하는 제2 구멍부
를 가져도 좋다.
(14) 상기 (13)에 기재된 액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1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통로 구멍을 갖는 제1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2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2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3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3 통로 구멍을 갖는 제3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4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3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4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4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3 부재의 상기 제3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5) 상기 (14)에 기재된 액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부를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4 부재의 상기 제4 개구부를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6) 상기 (15)에 기재된 액압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1 전자 코일과,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부에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부측과 접속되는 비자성재의 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1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밸브체가 마련된 제1 가동 부재를 갖는 제1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2 전자 코일과,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밸브부에서 상기 제3 부재의 바닥벽측과 접속되는 자성재의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이 수용되는 비자성재의 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에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3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2 밸브체가 마련된 제2 가동 부재를 갖는 제2 전자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8) 상기 (17)에 기재된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1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통로 구멍을 갖는 제1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2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2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3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3 통로 구멍을 갖는 제3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4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3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4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4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3 부재의 상기 제3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19) 상기 (18)에 기재된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4 부재의 상기 제4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20) 상기 (19)에 기재된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1 전자 코일과,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부에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부측과 접속되는 비자성재의 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1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밸브체가 마련된 제1 가동 부재를 갖는 제1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2 전자 코일과,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밸브부에서 상기 제3 부재의 바닥벽측과 접속되는 자성재의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이 수용되는 비자성재의 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3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2 밸브체가 마련된 제2 가동 부재를 갖는 제2 전자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21) 통전 시에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을 수납하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에 통전하였을 때에 상기 코일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성체의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비자성체의 플런저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플런저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밸브 보디와,
일단에 개구된 제1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상기 플런저의 선단부에 의해 개폐하는 제1 통로 구멍과 갖는 제1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2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상기 제1 통로 구멍과 연통하는 연통하는 제2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부재로 이루어지는 밸브부와,
상기 플런저에 형성된 수취부와 밸브 보디에 형성된 수취부 사이에 상기 플런저를 위요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를 상기 제1 연통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제1 부재의 바닥벽측을 상기 밸브 보디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밸브를 상기 밸브 보디에 대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만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신규의 교시나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는 일없이 예시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상기 실시형태를 임의로 조합하여도 좋다.
본원은 2015년 10월 21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5-20711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5년 10월 21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5-207114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전체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로서 삽입된다.
1A : 제1 유닛
1B : 제2 유닛
3 : 펌프(액압원)
5 : 마스터 실린더
6 :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8 : 하우징
21 : 차단 밸브(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 차단 전자 밸브)
21-1 : 코일(제2 전자 코일)
21-2 : 실린더(컵형 부재)
21-4 : 플런저(제2 가동 부재)
21-4b : 선단부(제2 밸브체)
21-5 : 밸브 보디(고정 부재)
21-6 : 시트 부재(제3 부재)
21-6e : 제1 연통 구멍(제3 통로 구멍)
21-6i : 개구부(제3 개구부)
21-7 : 보디 부재(제4 부재)
21-7e : 제2 연통 구멍(제4 통로 구멍)
21-7f : 유통 구멍(제2 관통 구멍)
21-7h : 개구부(제4 개구부)
21-14 : 밸브부(제2 밸브부)
21-15 : 전자 구동부(제2 전자 구동부)
27 : SS/V IN(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 전환 전자 밸브)
27-1 : 코일(제1 전자 코일)
27-2 : 실린더(통형 부재)
27-4 : 아마추어(제1 가동 부재)
27-4b : 밸브체(제1 밸브체)
27-6 : 시트 부재(제1 부재)
27-6e : 제1 연통 구멍(제1 통로 구멍)
27-6i : 개구부(제1 개구부)
27-7 : 보디 부재(제2 부재)
27-7e : 제2 연통 구멍(제2 통로 구멍)
27-7f : 유통 구멍(제1 관통 구멍)
27-7h : 개구부(제2 개구부)
27-14 : 밸브부(제1 밸브부)
27-15 : 전자 구동부(제1 전자 구동부)
100 :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 조작 부재)
W/C : 휠 실린더

Claims (20)

  1. 액압 제어 장치로서, 상기 액압 제어 장치는,
    내부에 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상기 유로를 밸브 폐쇄하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부와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상기 유로를 밸브 개방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1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통로 구멍을 갖는 제1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2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2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3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3 통로 구멍을 갖는 제3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4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3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4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4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3 부재의 상기 제3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4 부재의 상기 제4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1 전자 코일과,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부에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부측과 접속되는 비자성재의 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1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밸브체가 마련된 제1 가동 부재
    를 갖는 제1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2 전자 코일과,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밸브부에서 상기 제3 부재의 바닥벽측과 접속되는 자성재의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이 수용되는 비자성재의 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3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2 밸브체가 마련된 제2 가동 부재
    를 갖는 제2 전자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밸브부의 축 방향 길이에 맞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밸브부를 배치하는 제1 구멍부와,
    상기 제1 구멍부의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의 깊이에 맞추어, 상기 제2 밸브부를 배치하는 제2 구멍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부재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부의 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밸브부의 축 방향 길이에 맞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밸브부를 배치하는 제1 구멍부와,
    상기 제1 구멍부의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의 깊이에 맞추어, 상기 제2 밸브부를 배치하는 제2 구멍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부와 제2 구멍부의 쌍방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멍부와 제2 구멍부는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로 중 상기 제1 구멍부와 제2 구멍부를 접속하는 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1 전자 코일을 갖는 제1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고,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축 방향 길이에 맞춘 제2 전자 코일을 갖는 제2 전자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3. 내부에 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상기 유로를 밸브 폐쇄하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부와 축 방향 길이를 맞추고,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상기 유로를 밸브 개방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1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통로 구멍을 갖는 제1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2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2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3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3 통로 구멍을 갖는 제3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4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3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4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4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3 부재의 상기 제3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부를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4 부재의 상기 제4 개구부를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1 전자 코일과,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부에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부측과 접속되는 비자성재의 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1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밸브체가 마련된 제1 가동 부재
    를 갖는 제1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2 전자 코일과,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밸브부에서 상기 제3 부재의 바닥벽측과 접속되는 자성재의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이 수용되는 비자성재의 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3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2 밸브체가 마련된 제2 가동 부재
    를 갖는 제2 전자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제어 장치.
  17.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액압을 발생하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유출된 브레이크액이 유입하여 브레이크 조작 부재의 의사 조작 반력을 생성하는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를 구비한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에 접속되고, 내부에 유로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로를 통해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에 대하여 작동 액압을 발생시키는 액압원과,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밸브 폐쇄하는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이며, 상기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내로의 상기 브레이크액의 유입을 허가하기 위한 전환 전자 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부와 공통의 형상을 한 공통 부위를 갖는 제2 밸브부를 가지고, 비통전 시에 밸브 개방하는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이며, 상기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휠 실린더 사이의 유로의 연통 상태를 전환하는 차단 전자 밸브와,
    상기 액압원과 상기 차단 전자 밸브 및 상기 전환 전자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을 일체적으로 구비한 제2 유닛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1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통로 구멍을 갖는 제1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2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2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1 관통 구멍을 갖는 제2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밸브부는,
    일단에 개구된 제3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벽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유로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3 통로 구멍을 갖는 제3 부재와,
    일단에 개구된 제4 개구부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제3 개구부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바닥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통로 구멍에 축 방향으로 연통하는 제4 통로 구멍과, 둘레벽에 직경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 형성된 제2 관통 구멍을 갖는 제4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3 부재의 상기 제3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와, 상기 제4 부재의 상기 제4 통로 구멍을 제외한 부위의 형상이, 상기 공통 부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폐쇄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1 전자 코일과,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밸브부에서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2 개구부측과 접속되는 비자성재의 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1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1 밸브체가 마련된 제1 가동 부재
    를 갖는 제1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시 개방형 전자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방에 마련되고, 통전함으로써 전자력을 발생하는 제2 전자 코일과,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밸브부에서 상기 제3 부재의 바닥벽측과 접속되는 자성재의 고정 부재와,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내주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이 수용되는 비자성재의 컵형 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형 부재의 내주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전자 코일의 흡인력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측에 상기 제3 통로 구멍의 개폐에 이용되는 제2 밸브체가 마련된 제2 가동 부재
    를 갖는 제2 전자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KR1020187010836A 2015-10-21 2016-09-01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91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7114A JP6521831B2 (ja) 2015-10-21 2015-10-21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JP-P-2015-207114 2015-10-21
PCT/JP2016/075622 WO2017068870A1 (ja) 2015-10-21 2016-09-01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760A true KR20180054760A (ko) 2018-05-24
KR101991211B1 KR101991211B1 (ko) 2019-06-19

Family

ID=5855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836A KR101991211B1 (ko) 2015-10-21 2016-09-01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312151A1 (ko)
JP (1) JP6521831B2 (ko)
KR (1) KR101991211B1 (ko)
CN (1) CN108137017B (ko)
DE (1) DE112016004837T5 (ko)
WO (1) WO2017068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036B1 (ko) * 2016-03-28 2023-06-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밸브블록
JP2018199412A (ja) * 2017-05-26 2018-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液圧ブレーキ装置
JP7158944B2 (ja) * 2018-08-01 2022-10-24 Thk株式会社 負圧発生構造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CN109826995B (zh) * 2019-03-25 2023-12-29 西华大学 一种多重密封高速电磁阀
CN109847134B (zh) * 2019-04-10 2023-09-12 台州欧思托气动机械科技有限公司 腹膜透析仪用的电磁阀组以及具有该阀组的腹膜透析仪
DE102019133667A1 (de) * 2019-12-10 2021-06-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Regelung von Drücken eines Strömungsmittels mit einem Ven-ti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8680A (ja) * 1998-10-28 2002-09-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磁式装置、特にスリップコントロールされた液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電磁式装置
JP2008143202A (ja) 2006-12-06 2008-06-26 Nissin Kogyo Co Ltd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の基体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5030333A (ja) * 2013-08-01 2015-02-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KR20150059739A (ko) * 2012-09-21 2015-06-02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브레이크 유닛
KR20150087895A (ko) * 2014-01-23 2015-07-31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시스템의 유압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9617B2 (ja) * 1997-11-14 2009-11-25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スリップコントロール式ブレーキ装置用の液圧装置
JP3932710B2 (ja) * 1998-12-12 2007-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液圧制御ユニット
DE20212237U1 (de) * 2002-08-08 2002-12-19 Bosch Gmbh Robert Hydraulikaggregat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mit Blockierschutzeinrichtung
JP4045969B2 (ja) * 2003-02-17 2008-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動制御装置
JP4446919B2 (ja) * 2005-04-01 2010-04-07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EP2441995B1 (en) * 2009-06-11 2014-12-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valve control device, and actuator
JP5381514B2 (ja) * 2009-08-31 2014-01-0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US8939430B2 (en) * 2009-12-21 2015-01-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omagnetic linear valve
DE102010000901A1 (de) * 2009-12-23 2011-06-30 Robert Bosch GmbH, 70469 Magnetventil sowie Fahrerassistenzeinrichtung
DE102010042845A1 (de) * 2010-10-25 2012-04-26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einrichtung sowie Fahrerassistenzeinrichtung
DE102012205859A1 (de) * 2011-04-19 2012-10-2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emsanlage
DE102012205860A1 (de) * 2011-04-19 2012-10-2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DE102011076556A1 (de) * 2011-05-26 2012-11-2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schlupfgeregelte Kraftfahrzeugbremsanlagen
JP6379621B2 (ja) 2014-04-18 2018-08-29 フリュー株式会社 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6544643B2 (ja) * 2015-10-26 2019-07-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8680A (ja) * 1998-10-28 2002-09-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磁式装置、特にスリップコントロールされた液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電磁式装置
JP2008143202A (ja) 2006-12-06 2008-06-26 Nissin Kogyo Co Ltd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の基体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KR20150059739A (ko) * 2012-09-21 2015-06-02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브레이크 유닛
JP2015030333A (ja) * 2013-08-01 2015-02-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KR20150087895A (ko) * 2014-01-23 2015-07-31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브레이크시스템의 유압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6004837T5 (de) 2018-07-12
WO2017068870A1 (ja) 2017-04-27
CN108137017A (zh) 2018-06-08
CN108137017B (zh) 2020-09-08
JP6521831B2 (ja) 2019-05-29
KR101991211B1 (ko) 2019-06-19
JP2017077812A (ja) 2017-04-27
US20180312151A1 (en)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211B1 (ko)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91212B1 (ko)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20180037029A (ko)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
JP6532104B2 (ja)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6521309B2 (ja) ブレーキ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6721207B2 (ja) ブレーキ装置、ブレーキシステムおよびマスタシリンダ
KR101985155B1 (ko) 펌프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85154B1 (ko)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20170102945A (ko)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JP6613485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制御方法
CN109311459B (zh) 液压控制装置及制动系统
JP2016190548A (ja)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2019018816A (ja) ブレーキ装置およびマスタシリンダ
JP2021113032A (ja) 液圧制御ユニット
JP2019217792A (ja) ブレーキ制御装置、ブレーキ制御方法およびブレーキ制御装置に用いられる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