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029A -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029A
KR20180037029A KR1020187006206A KR20187006206A KR20180037029A KR 20180037029 A KR20180037029 A KR 20180037029A KR 1020187006206 A KR1020187006206 A KR 1020187006206A KR 20187006206 A KR20187006206 A KR 20187006206A KR 20180037029 A KR20180037029 A KR 20180037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alve
cylinder
axis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야마구치
지하루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B60T8/364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having more than one electromagnetic coil inside a common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65Lift valves with valve member being at least partially ball-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55Continuously controlled electromagnetic valves
    • B60T8/366Valve details
    • B60T8/367Seat valves, e.g. poppe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86Braking, pressure equilibration, shock absorbing
    • F16K31/0693Pressure equilibration of the arm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밸브 시트와 제2 연통 구멍 사이의 흐름로에 유체를 여과하는 제1 필터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
본 발명은,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축 방향 단부에 유체를 여과하는 필터가 설치된 전자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4-211237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전자 밸브가 축 방향으로 장척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는, 밸브 시트와 제2 연통 구멍 사이의 흐름로(流路)에 유체를 여과하는 제1 필터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흐름로에 제1 필터 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2 유닛의 하우징의 배면 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하우징을 투시하여 나타내는 제2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차단 밸브(21)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차단 밸브(2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필터 부재(21-8)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SOL/V IN(22)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SOL/V IN(2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연통 밸브(23)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연통 밸브(2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SS/V IN(27)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SS/V IN(2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SS/V IN(27)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SS/V IN(27)의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실시예 1의 브레이크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브레이크 장치(1)는, 전동 차량에 적용되어 있다. 전동 차량은, 차륜을 구동하는 원동기로서, 엔진 외에 모터 제너레이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차나, 모터 제너레이터만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 등이다. 전동 차량에 있어서는, 모터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회생 제동 장치에 의해,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회생함으로써 차량을 제동하는 회생 제동이 실행 가능하다. 브레이크 장치(1)는, 액압에 의한 마찰 제동력을 차량의 각 차륜(FL∼RR)에 부여하는 액압 제동 장치이다. 각 차륜(FL∼RR)에는, 브레이크 작동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작동 유닛은, 휠 실린더(W/C)를 포함하는 액압 발생부이다. 브레이크 작동 유닛은 예컨대 디스크식이고, 캘리퍼(유압식 브레이크 캘리퍼)를 갖는다. 캘리퍼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브레이크 패드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디스크는 타이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브레이크 로터이다.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하여 소정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배치되고, 휠 실린더(W/C)의 액압에 의해 이동하여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마찰 제동력을 발생한다. 브레이크 장치(1)는 2계통(프라이머리(P) 계통 및 세컨더리(S) 계통)의 브레이크 배관을 갖는다. 브레이크 배관 형식은, 예컨대 X 배관 형식이다. 또, 전후 배관 등, 다른 배관 형식을 채용해도 좋다. 이하, P 계통에 대응하여 설치된 부재와 S 계통에 대응하는 부재를 구별하는 경우는, 각각의 부호의 말미에 첨자 P, S를 붙인다. 브레이크 장치(1)는, 브레이크 배관을 통해 각 브레이크 작동 유닛에 작동 유체(작동유)로서의 브레이크액을 공급하고, 휠 실린더(W/C)의 액압(브레이크 액압)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각 차륜(FL∼RR)에 액압 제동력을 부여한다.
브레이크 장치(1)는, 제1 유닛(1A)과 제2 유닛(1B)을 갖는다. 제1 유닛(1A)과 제2 유닛(1B)은, 차량의 운전실로부터 격리된 모터실 내에 설치되고, 복수의 배관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배관은, 마스터 실린더 배관(10M)(프라이머리 배관(10MP), 세컨더리 배관(10MS)), 휠 실린더 배관(10W), 배압 배관(10X) 및 흡입 배관(10R)을 갖는다. 흡입 배관(10R)을 제외한 각 배관(10M, 10W, 10X)은 금속제의 브레이크 파이프(금속 배관)이고, 구체적으로는 이중 감음 등의 강관이다. 각 배관(10M, 10W, 10X)은, 직선 부분과 절곡 부분을 갖고, 절곡 부분에서 방향을 바꾸어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배관(10M, 10W, 10X)의 양단부는, 플레어 가공이 실시된 수형의 관 이음매를 갖는다. 흡입 배관(10R)은, 고무 등의 재료에 의해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브레이크 호스(호스 배관)이다. 흡입 배관(10R)의 단부는, 니플(10R1, 10R2)을 통해 포트(873) 등에 접속되어 있다. 니플(10R1, 10R2)은, 관형부를 갖는 수지제의 접속 부재이다.
브레이크 페달(100)은,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의 입력을 받는 브레이크 조작 부재이다. 푸시 로드(101)는, 브레이크 페달(10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1 유닛(1A)은, 브레이크 페달(100)과 메카니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브레이크 조작 유닛이고, 마스터 실린더(5)를 갖는 마스터 실린더 유닛이다. 제1 유닛(1A)은, 리저버 탱크(4)와, 하우징(7)과, 마스터 실린더(5)와, 스트로크 센서(94)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를 갖는다. 리저버 탱크(4)는, 브레이크액을 저류하는 브레이크액원이고, 대기압에 해방되는 저압부이다. 리저버 탱크(4)에는 보급 포트(40)와 공급 포트(41)가 설치된다. 공급 포트(41)에는 흡입 배관(10R)이 접속되어 있다. 하우징(7)은, 그 내부에 마스터 실린더(5)나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를 수용(내장)하는 케이스이다. 하우징(7)의 내부에는, 마스터 실린더(5)용의 실린더(70)와,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용의 실린더(71)와, 복수의 유로(油路)(액로)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유로는, 보급 유로(72)와, 공급 유로(73)와, 정압(正壓) 유로(74)를 갖는다. 하우징(7)의 내부에는 복수의 포트가 형성되고, 이들 포트는 하우징(7)의 외표면에 개구한다. 복수의 포트는, 보급 포트(75P, 75S)와, 공급 포트(76)와, 배압 포트(77)를 갖는다. 각 보급 포트(75P, 75S)는, 리저버 탱크(4)의 보급 포트(40P, 40S)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공급 포트(76)에는 마스터 실린더 배관(10M)이, 배압 포트(77)에는 배압 배관(10X)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보급 유로(72)의 일단은 보급 포트(75)에 접속하고, 타단은 실린더(70)에 접속한다.
마스터 실린더(5)는, 휠 실린더(W/C)에 대하여 작동 액압을 공급 가능한 제1 액압원이고, 푸시 로드(101)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100)에 접속되고,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100)의 조작에 따라 작동한다. 마스터 실린더(5)는, 브레이크 페달(100)의 조작에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51)을 갖는다. 피스톤(51)은 실린더(70)에 수용되고, 액압실(50)을 구획한다. 마스터 실린더(5)는, 탠덤형이고, 피스톤(51)으로서, 푸시 로드(101)에 접속되어 있는 프라이머리 피스톤(51P)과, 프리 피스톤형의 세컨더리 피스톤(51S)을, 직렬로 갖는다. 피스톤(51P, 51S)에 의해 프라이머리실(50P)이 구획되고, 세컨더리 피스톤(51S)에 의해 세컨더리실(50S)이 구획되어 있다. 공급 유로(73)의 일단은 액압실(50)에 접속하고, 타단은 공급 포트(76)에 접속한다. 각 액압실(50P, 50S)은, 리저버 탱크(4)로부터 브레이크액이 보급되고, 상기 피스톤(51)의 이동에 의해 액압(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발생한다. 프라이머리실(50P) 내에는, 복귀 스프링으로서의 코일 스프링(52P)이 양피스톤(51P, 51S)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세컨더리실(50S) 내에는, 복귀 스프링으로서의 코일 스프링(52S)이 실린더(70)의 바닥부와 피스톤(51S)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스트로크 센서(94)는, 프라이머리 피스톤(51P)의 스트로크(페달 스트로크)를 검출한다. 프라이머리 피스톤(51P)에는 검출용의 마그넷이 설치되고, 센서 본체는 제1 유닛(1A)의 하우징(7)의 외면에 부착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작동하고, 브레이크 페달(100)에 반력 및 스트로크를 부여한다.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는, 피스톤(61)과, 이 피스톤(61)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정압실(601) 및 배압실(602)과, 정압실(601)의 용적이 축소하는 방향으로 피스톤(61)을 압박하는 탄성체(제1 스프링(64), 제2 스프링(65), 댐퍼(66))를 갖는다. 제1 스프링(64)과 제2 스프링(65) 사이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리테이너 부재(62)가 개재되어 있다. 정압 유로(74)의 일단은 세컨더리측의 공급 유로(73S)에 접속하고, 타단은 정압실(601)에 접속한다.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마스터 실린더(5)(세컨더리실(50S))로부터 정압실(601)에 브레이크액이 유입함으로써, 페달 스트로크가 발생함과 함께, 탄성체의 압박력에 의해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 반력이 생성된다. 또, 제1 유닛(1A)은, 차량의 엔진이 발생하는 흡기 부압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조작력을 배력하는 엔진 부압 부스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2 유닛(1B)은, 제1 유닛(1A)과 브레이크 작동 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액압 제어 장치이다. 제2 유닛(1B)은, 프라이머리 배관(10MP)을 통해 프라이머리실(50P)에 접속되고, 세컨더리 배관(10MS)을 통해 세컨더리실(50S)에 접속되고, 휠 실린더 배관(10W)을 통해 휠 실린더(W/C)에 접속되고, 배압 배관(10X)을 통해 배압실(60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유닛(1B)은, 흡입 배관(10R)을 통해 리저버 탱크(4)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유닛(1B)은, 하우징(8)과, 모터(20)와, 펌프(3)와, 복수의 전자 밸브(21) 등과, 복수의 액압 센서(91) 등과, 전자 제어 유닛(90)(이하, ECU라고 함)을 갖는다. 하우징(8)은, 그 내부에 펌프(3)나 전자 밸브(21) 등의 밸브체를 수용(내장)하는 케이스이다. 하우징(8)의 내부에는, 브레이크액이 유통하는 상기 2계통(P 계통 및 S 계통)의 회로(브레이크 액압 회로)가 복수의 유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유로는, 공급 유로(11)와, 흡입 유로(12)와, 토출 유로(13)와, 조압 유로(14)와, 감압 유로(15)와, 배압 유로(16)와,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와,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8)의 내부에는, 액 저장소인 리저버(내부 리저버)(120)와, 댐퍼(130)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의 내부에는 복수의 포트가 형성되고, 이들 포트는 하우징(8)의 외표면에 개구한다. 복수의 포트는,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프라이머리 포트(871P), 세컨더리 포트(871S))와, 흡입 포트(873)와, 배압 포트(874)와, 휠 실린더 포트(872)를 갖는다. 프라이머리 포트(871P)에는 프라이머리 배관(10MP)이, 세컨더리 포트(871S)에는 세컨더리 배관(10MS)이, 흡입 포트(873)에는 흡입 배관(10R)이, 배압 포트(874)에는 배압 배관(10X)이, 휠 실린더 포트(872)에는 휠 실린더 배관(10W)이, 각각 부착되어 접속되어 있다.
모터(20)는, 회전식의 전동기이고, 펌프(3)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축을 구비한다. 모터(20)는, 브러시리스 모터여도 좋고, 브러시 부착 모터여도 좋다. 모터(20)는, 회전축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리졸버를 구비한다. 리졸버는 모터(2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로서 기능한다. 펌프(3)는, 휠 실린더(W/C)에 대하여 작동 액압을 공급 가능한 액압원이고, 하나의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5개의 펌프부를 갖는다. 펌프(3)는, S 계통 및 P 계통에서 공통으로 이용된다. 전자 밸브(21) 등은,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솔레노이드에 대한 통전에 따라 밸브체가 스트로크하고, 유로의 개폐를 전환한다(유로를 단접(斷接)한다). 전자 밸브(21) 등은, 상기 회로의 연통 상태를 제어하고, 브레이크액의 유통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제어 액압을 발생한다. 복수의 전자 밸브(21) 등은, 차단 밸브(21), 증압 밸브(이하, SOL/V IN이라고 함)(22), 연통 밸브(23), 조압 밸브(24), 감압 밸브(이하, SOL/V OUT이라고 함)(25),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인 밸브(이하, SS/V IN이라고 함)(27) 및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아웃 밸브(이하, SS/V OUT이라고 함)(28)를 갖는다. 차단 밸브(21), SOL/V IN(22) 및 조압 밸브(24)는, 비통전 상태에서 밸브 개방하는 노멀 오픈형 전자 밸브이다. 연통 밸브(23), 감압 밸브(25), SS/V IN(27) 및 SS/V OUT(28)은, 비통전 상태에서 밸브 폐쇄하는 노멀 클로즈형 전자 밸브이다. 차단 밸브(21), SOL/V IN(22) 및 조압 밸브(24)는,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밸브의 개방도가 조정되는 비례 제어 밸브이다. 연통 밸브(23), 감압 밸브(25), SS/V IN(27) 및 SS/V OUT(28)은, 밸브의 개폐가 2치적으로 전환 제어되는 온·오프 밸브이다. 또, 이들 밸브에 비례 제어 밸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압 센서(91) 등은, 펌프(3)의 토출압이나 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검출한다. 복수의 액압 센서는, 마스터 실린더 액압 센서(91)와, 토출압 센서(93)와, 휠 실린더 액압 센서(92)(프라이머리압 센서(92P) 및 세컨더리압 센서(92S))를 갖는다.
이하, 제2 유닛(1B)의 브레이크 액압 회로를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각 차륜(FL∼RR)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그 부호의 말미에 각각 첨자 a∼d를 붙여 적절하게 구별한다. 공급 유로(11P)의 일단측은, 프라이머리 포트(871P)에 접속한다. 공급 유로(11P)의 타단측은, 전좌륜용의 유로(11a)와 후우륜용의 유로(11d)로 분기된다. 각 유로(11a, 11d)는 대응하는 휠 실린더 포트(872)에 접속한다. 공급 유로(11S)의 일단측은, 세컨더리 포트(871S)에 접속한다. 공급 유로(11S)의 타단측은, 전우륜용의 유로(11b)와 후좌륜용의 유로(11c)로 분기된다. 각 유로(11b, 11c)는 대응하는 휠 실린더 포트(872)에 접속한다. 공급 유로(11)의 상기 일단측에는 차단 밸브(21)가 설치된다. 상기 타단측의 각 유로(11)에는 SOL/V IN(22)이 설치된다. SOL/V IN(22)을 바이패스하여 각 유로(11)와 병렬로 바이패스 유로(110)가 형성되고, 바이패스 유로(110)에는 체크 밸브(220)가 설치된다. 체크 밸브(220)는, 휠 실린더 포트(872)의 측으로부터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의 측으로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흡입 유로(12)는, 리저버(120)와 펌프(3)의 흡입 포트(823)를 접속한다. 토출 유로(13)의 일단측은, 펌프(3)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토출 유로(13)의 타단측은, P 계통용의 유로(13P)와 S 계통용의 유로(13S)로 분기된다. 각 유로(13P, 13S)는, 공급 유로(11)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와 SOL/V IN(22) 사이에 접속한다. 토출 유로(13)의 상기 일단측에는 댐퍼(130)가 설치된다. 상기 타단측의 각 유로(13P, 13S)에는 연통 밸브(23)가 설치된다. 각 유로(13P, 13S)는, P 계통의 공급 유로(11P)와 S 계통의 공급 유로(11S)를 접속하는 연통로로서 기능한다. 펌프(3)는, 상기 연통로(토출 유로(13P, 13S)) 및 공급 유로(11P, 11S)를 통해, 각 휠 실린더 포트(872)에 접속한다. 조압 유로(14)는, 토출 유로(13)에 있어서의 댐퍼(130)와 연통 밸브(23) 사이와, 리저버(120)를 접속한다. 조압 유로(14)에는 조압 밸브(24)가 설치된다. 감압 유로(15)는, 공급 유로(11)의 각 유로(11a∼11d)에 있어서의 SOL/V IN(22)과 휠 실린더 포트(872) 사이와, 리저버(120)를 접속한다. 감압 유로(15)에는 SOL/V OUT(25)이 설치된다.
배압 유로(16)의 일단측은, 배압 포트(874)에 접속한다. 배압 유로(16)의 타단측은,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와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로 분기된다.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는, 공급 유로(11S)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S)와 SOL/V IN(22b, 22c) 사이에 접속한다.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에는 SS/V IN(27)이 설치된다. SS/V IN(27)을 바이패스하여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와 병렬로 바이패스 유로(170)가 형성되고, 바이패스 유로(170)에는 체크 밸브(270)가 설치된다. 체크 밸브(270)는, 배압 유로(16)의 측으로부터 공급 유로(11S)의 측으로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는, 리저버(120)에 접속한다.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에는 SS/V OUT(28)이 설치된다. SS/V OUT(28)을 바이패스하여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와 병렬로 바이패스 유로(180)가 형성되고, 바이패스 유로(180)에는 체크 밸브(280)가 설치된다. 체크 밸브(280)는, 리저버(120)의 측으로부터 배압 유로(16)의 측으로 향하는 브레이크액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공급 유로(11S)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S)와 세컨더리 포트(871S) 사이에는, 이 개소의 액압(스트로크 시뮬레이터(6)의 정압실(601)의 액압이고, 마스터 실린더 액압)을 검출하는 액압 센서(91)가 설치된다. 공급 유로(11)에 있어서의 차단 밸브(21)와 SOL/V IN(22) 사이에는, 이 개소의 액압(휠 실린더 액압에 상당)을 검출하는 액압 센서(92)가 설치된다. 토출 유로(13)에 있어서의 댐퍼(130)와 연통 밸브(23) 사이에는, 이 개소의 액압(펌프 토출압)을 검출하는 액압 센서(93)가 설치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X축, Y축, Z축을 갖는 3차원 직교 좌표계를 형성한다. 제1 유닛(1A) 및 제2 유닛(1B)이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Z축 방향이 연직 방향이 되고, Z축 정방향측이 연직 방향 상측이 된다. X축 방향이 차량의 전후 방향이 되고, X축 정방향측이 차량 전방측이 된다. Y축 방향이 차량의 가로 방향이 된다.
제1 유닛(1A)에 있어서, 푸시 로드(101)는, 브레이크 페달(100)과 접속하는 X축 부방향측의 단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하우징(7)의 X축 부방향측의 단부에는, 사각형 판상의 플랜지부(78)가 설치된다. 플랜지부(78)의 네 모퉁이에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다. 볼트 구멍에는, 제1 유닛(1A)을 차체측의 대시 패널에 고정하여 부착하기 위한 볼트(B1)가 관통한다. 하우징(7)의 Z축 정방향측에는 리저버 탱크(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유닛(1B)에 있어서, 하우징(8)은, 알루미늄 합금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대략 직방체상의 블록이다. 하우징(8)의 외표면은, 정면(801)과, 배면(802)과, 상면(803)과, 하면(804)과, 우측면(805)과, 좌측면(806)(도 3, 4 참조)을 갖는다. 하우징(8)의 정면(801)측 또한 상면(803)측의 모서리부에는, 오목부(807, 808)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은 마운트(102)를 통해 차체측(모터실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8)과 마운트(102) 사이에는 인슐레이터(103, 104)가 개재되어 있다. 하우징(8)의 정면(801)에는, 모터(20)가 배치되고, 모터 하우징(200)이 부착된다. 하우징(8)의 배면(802)에는, ECU(90)가 부착된다. 즉, ECU(90)는 하우징(8)에 일체적으로 구비된다. ECU(90)는, 도시 외의 제어 기판과 컨트롤 유닛 하우징(케이스)(901)을 갖는다. 제어 기판은, 모터(20)나 전자 밸브(21) 등의 솔레노이드에 대한 통전 상태를 제어한다. 또, 차량의 운동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 예컨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나 차량의 각속도(요 레이트)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를, 제어 기판에 탑재해도 좋다. 또한, 이들 센서가 유닛화된 복합 센서(콤바인 센서)를 제어 기판에 탑재해도 좋다. 제어 기판은 케이스(901)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901)는, 하우징(8)의 배면(802)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어 있는 커버 부재이다.
케이스(901)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커버 부재이고, 기판 수용부(902)와 커넥터부(903)를 갖는다. 기판 수용부(902)는, 제어 기판 및 전자 밸브(21) 등의 솔레노이드의 일부를 수용한다. 커넥터부(903)는, 기판 수용부(902)에 있어서의 상기 단자나 도전 부재보다 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고, 기판 수용부(902)의 Y축 정방향측으로 돌출한다. 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커넥터부(903)는, 하우징(8)의 좌측면(806)보다 약간 외측(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부(903)의 단자는, Y축 정방향측을 향하여 노출됨과 함께, Y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어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부(903)의 (Y축 정방향측을 향하여 노출되는) 각 단자는, 외부 기기나 스트로크 센서(94)(이하, 외부 기기 등이라고 함)에 접속 가능하다. 외부 기기 등에 접속하는 별도의 커넥터가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커넥터부(903)에 삽입됨으로써, 외부 기기 등과 제어 기판(ECU(90))의 전기적 접속이 실현된다. 또한, 커넥터부(903)를 통해, 외부의 전원(배터리)으로부터 제어 기판으로의 급전이 행해진다. 도전 부재는, 제어 기판과 모터(20)(의 스테이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로서 기능하고, 제어 기판으로부터 도전 부재를 통해 모터(20)(의 스테이터)로의 급전이 행해진다.
도 3, 4는, 하우징(8)을 투시하여 통로, 오목부나 구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우징(8)을 Y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본 배면 투시도, 도 4는 제2 유닛(1B)을 X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우측면도에 있어서, 하우징(8)을 투시하여 통로 등을 나타낸 것이다.
하우징(8)은, 캠 수용 구멍(81)과, 복수(5개)의 실린더 수용 구멍(82A∼82E)과, 리저버실(830)과, 댐퍼실(831)과, 액 저장실(832)과,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장착 구멍)(84x)(x = 1∼5, 7, 8)과, 복수의 센서 수용 구멍(85x)(x = 1∼3)과, 전원 구멍(86)과, 복수의 포트(87x)(x = 1∼4)와, 복수의 유로 구멍(88x)(x = -1y∼-5y, 0, 1)과, 복수의 볼트 구멍(핀 구멍)(89x)(x = 1∼5)을 갖는다. 이들 구멍이나 포트는 드릴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캠 수용 구멍(81)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정면(801)에 개구한다. 캠 수용 구멍(81)의 축심(O)은, 정면(801)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대략 중앙으로서, Z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Z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수용 구멍(82)은, 단차식의 원통형이고, 캠 수용 구멍(81)의 직경 방향(축심(O)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린더 수용 구멍(82)은, 축심(O)의 주위 방향에서 대략 균등(대략 등간격)하게 배치되어 있다. 축심(O)의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축심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72°(72°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이다. 복수의 실린더 수용 구멍(82A∼82E)은 Y축 방향을 따라 단열(單列)이고, 하우징(8)의 Y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리저버실(830)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상면(803)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Y축 방향 중앙에 개구한다. 리저버실(830)은,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와 휠 실린더 포트(872)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리저버실(830)(의 Z축 부방향측의 바닥부)은, 각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흡입 포트(823)보다 Z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리저버실(830)은, 축심(O)의 주위 방향에서, 인접하는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Y축 방향에서(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실린더 수용 구멍(82A∼82E)과 리저버실(830)은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댐퍼실(831)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하면(804)에 있어서의 X축 방향 대략 중앙측 또한 Y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Y축 부방향측에 개구한다. 댐퍼실(831)은, 캠 수용 구멍(81)보다 Z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 저장실(832)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식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하면(804)에 있어서의 X축 부방향측 또한 Y축 정방향측에 개구한다. 액 저장실(832)은, 캠 수용 구멍(81)보다 Z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 저장실(832)은, 하면(804)에 가까운 측(Z축 부방향측)에 대직경부(832l)를 갖고, 하면(804)으로부터 먼 측(Z축 정방향측)에 소직경부(832s)를 갖고, 대직경부(832l)와 소직경부(832s) 사이에 중직경부(832m)를 갖는다.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은, 단차식의 원통형이고,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면(802)에 개구한다.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은, 배면(802)에 가까운 측(Y축 부방향측)에 대직경부를 갖고, 배면(802)으로부터 먼 측(Y축 정방향 외측)에 소직경부를 갖고,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사이에 중직경부를 갖는다.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은 Y축 방향을 따라 단열이고, 하우징(8)의 Y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Y축 방향을 따라, 실린더 수용 구멍(82)과 밸브체 수용 구멍(84x)이 늘어선다. 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은 실린더 수용 구멍(82)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복수의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대직경부측(축심(O)으로부터 먼 측)의 끝을 연결하는 원 내에,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x)의 대부분이 수습된다. 또는, 이 원의 외주와 밸브체 수용 구멍(84x)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SOL/V OUT 수용 구멍(845)에는 SOL/V OUT(25)이 수용되어 있다. 또, 바이패스 유로(1100)나 체크 밸브(220)는, 구멍(842)에 설치되어 있는 컵형의 시일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SOL/V OUT 수용 구멍(845a∼845d)은, 배면(802)의 Z축 정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선다. P 계통의 2개는 X축 정방향측에, S 계통의 2개는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P 계통에서, 구멍(845a)은 구멍(845d)보다 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고, S 계통에서, 구멍(845b)은 구멍(845c)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SOL/V IN 수용 구멍(842)에는 SOL/V IN(22)이 수용되어 있다. SOL/V IN 수용 구멍(842a∼842d)은, 축심(O)(또는 하우징(8)의 Z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Z축 정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선다. SOL/V IN 수용 구멍(842)은, SOL/V OUT 수용 구멍(845)에 Z축 부방향측에서 인접한다. P 계통의 2개는 X축 정방향측에, S 계통의 2개는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P 계통에서, 구멍(842a)은 구멍(842d)보다 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고, S 계통에서, 구멍(842b)은 구멍(842c)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842a∼842d)의 축심은, 각각 구멍(845a∼845d)의 축심과 대략 동일한 X축 방향 위치이다.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에는 차단 밸브(21)가 수용되어 있다.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P, 841S)은, 하우징(8)의 Z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Z축 부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늘어선다. 구멍(841P)은 X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X축 정방향측에, 구멍(841S)은 X축 방향 중앙보다 약간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841P, 841S)의 축심은, 축심(O)보다 약간 Z축 부방향측이고, 각각 구멍(842d, 842c)의 축심과 대략 동일한 X축 방향 위치이다.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에는 연통 밸브(23)가 수용되어 있다.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P, 843S)은,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늘어선다.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에 Z축 부방향측에서 인접한다. 구멍(843P)은 X축 방향 중앙보다 X축 정방향측에, 구멍(843S)은 X축 방향 중앙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843P)의 축심은, 구멍(842a)의 축심보다 약간 X축 부방향측이고, 구멍(843S)의 축심은, 구멍(842b)의 축심보다 약간 X축 정방향측이다. 배면(802)에 있어서, Z축 방향에서(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의 개구부의 Z축 정방향 끝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개구부의 Z축 부방향 끝에 중복된다.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에는 조압 밸브(24)가 수용되어 있다.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은,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서, 축심(O)과 대략 동일한 X축 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은, X축 방향에서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P, 843S) 사이에 배치되고,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에 Z축 부방향측에서 인접한다.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과 대략 동일한 Z축 방향 위치이고, 구멍(843P, 843S)과 함께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선다. 배면(802)에 있어서, X축 방향에서(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의 개구부의 X축 방향 양끝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개구부의 X축 방향 끝에 중복된다.
SS/V IN 수용 구멍(847)에는 SS/V IN(27)이 수용되어 있다. 또, 바이패스 유로(170)나 체크 밸브(270)는, 구멍(847)에 설치되어 있는 컵형의 시일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SS/V OUT 수용 구멍(848)에는 SS/V OUT(28)이 수용되어 있다. 또, 바이패스 유로(180)나 체크 밸브(280)는, 구멍(848)에 설치되어 있는 컵형의 시일 부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멍(847, 848)은,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서, X축 방향으로 늘어선다. 구멍(847, 848)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 및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에 Z축 부방향측에서 인접한다. X축 방향에서, 구멍(848)의 축심은, 구멍(844)의 축심과 구멍(843P)의 축심 사이, 또한 구멍(841P)의 축심보다 약간 X축 정방향측에 있다. 배면(802)에 있어서, X축 방향에서(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구멍(848)의 개구부의 X축 정방향 끝은 구멍(843P)의 개구부의 X축 부방향 끝에 중복된다. Z축 방향에서(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구멍(848)의 개구부의 Z축 정방향 끝은 구멍(843P)의 개구부의 Z축 부방향 끝에 중복된다. X축 방향에서, 구멍(847)의 축심은, 구멍(844)의 축심과 구멍(843S)의 축심 사이, 또한 구멍(841S)의 축심보다 약간 X축 부방향측에 있다. 배면(802)에 있어서, X축 방향에서(Z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구멍(847)의 개구부의 X축 부방향 끝은 구멍(843S)의 개구부의 X축 정방향 끝에 중복된다. Z축 방향에서(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구멍(847)의 개구부의 Z축 정방향 끝은 구멍(843S)의 개구부의 Z축 부방향 끝에 중복된다.
복수의 센서 수용 구멍(85x)은,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배면(802)에 개구한다. 마스터 실린더압 센서 수용 구멍(851)에는 마스터 실린더압 센서(91)의 감압부가 수용되어 있다. 구멍(851)은, 하우징(8)의 X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Z축 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구멍(851)의 축심은, 축심(O)보다 약간 Z축 정방향측에 있다. 구멍(851)은, 구멍(842, 845, 841P, 841S)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토출압 센서 수용 구멍(853)에는 토출압 센서(93)의 감압부가 수용되어 있다. 구멍(853)은, 하우징(8)의 X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Z축 부방향측에 배치되고, 구멍(853)의 축심은, 구멍(847, 848)보다 약간 Z축 부방향측에 있다. 구멍(853)은, 구멍(844, 847, 848)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휠 실린더 액압 센서 수용 구멍(852)에는 휠 실린더 액압 센서(92)의 감압부가 수용되어 있다. 구멍(852P, 852S)은, 축심(O)과 대략 동일한 Z축 방향 위치에서, X축 방향으로 늘어선다. 구멍(852P)은 X축 방향 중앙보다 X축 정방향측에, 구멍(852S)은 X축 방향 중앙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852P)의 축심은, 구멍(842a)의 축심보다 약간 X축 정방향측이고, 구멍(852S)의 축심은, 구멍(842b)의 축심보다 약간 X축 부방향측이다. 구멍(852)은, 구멍(841, 842, 843)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구멍(86)은, 원통형이고, 하우징(8)(정면(801)과 배면(802) 사이)을 Y축 방향으로 관통한다. 전원 구멍(86)은, 하우징(8)의 X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Z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구멍(86)은, 구멍(842c, 842d) 및 구멍(845c, 845d)에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인접하는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는,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정면(801)에 있어서의 Z축 정방향측의 단부로서 오목부(807, 808) 사이에 끼인 부위에 개구한다. 프라이머리 포트(871P)는 X축 정방향측, 세컨더리 포트(871S)는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양포트(871P, 871S)는, X축 방향으로 늘어서고, X축 방향에서(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리저버실(830) 및 볼트 구멍(891)을 사이에 둔다. 각 포트(871P, 871S)는, 축심(O)의 주위 방향에서(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리저버실(830)과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 사이에 끼인다. Z축 방향에서(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의 개구와 볼트 구멍(891)의 개구는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휠 실린더 포트(872)는,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상면(803)의 Y축 부방향측(정면(801)보다 배면(802)에 가까운 위치)에 개구한다. 포트(872a∼872d)는, X축 방향으로 일렬로 늘어선다. P 계통의 2개는 X축 정방향측에, S 계통의 2개는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P 계통에서, 포트(872a)는 포트(872d)보다 X축 정방향측에 배치되고, S 계통에서, 포트(872b)는 포트(872c)보다 X축 부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포트(872c, 872d)는, 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흡입 포트(873)(리저버실(830))를 사이에 둔다. X축 방향에서(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포트(872)의 개구와 흡입 포트(873)(리저버실(830)의 개구)는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Y축 방향에서(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포트(872)의 개구와 흡입 포트(873)의 개구는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흡입 포트(873)는, 상면(803)에 있어서의 리저버실(830)의 개구부이고, 연직 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연직 방향 상측에 개구한다. 포트(873)는, 상면(803)에 있어서, X축 방향 중앙측 또한 Y축 방향 중앙측으로서, 휠 실린더 포트(872)보다 정면(801)에 가까운 위치에, 개구한다. 포트(873)는, 실린더 수용 구멍(82A∼82E)의 흡입 포트(823)보다 Z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은, 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포트(873)를 사이에 둔다. Y축 방향에서(X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실린더 수용 구멍(82A, 82E)의 개구와 포트(873)는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배압 포트(874)는, 그 축심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우측면(805)의 약간 Y축 부방향측 또한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 개구한다. Z축 방향에서, 포트(874)의 축심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의 축심과 SS/V OUT 수용 구멍(848)의 축심 사이에 있다.
복수의 유로 구멍(88x)은, 제1∼제5 구멍군(88-1y∼88-5y)과 유로 구멍(880, 881)을 갖는다. 제1 구멍군(88-1y)은,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과 마스터 실린더압 센서 수용 구멍(851)을 접속한다. 제2 구멍군(88-2y)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과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과 SOL/V IN 수용 구멍(842)과 SS/V IN 수용 구멍(847)과 휠 실린더 액압 센서 수용 구멍(852)을 접속한다. 제3 구멍군(88-3y)은,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토출 포트(821)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과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과 토출압 센서 수용 구멍(853)을 접속한다. 제4 구멍군(88-4y)은, 리저버실(830)과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흡입 포트(823)와 SOL/V OUT 수용 구멍(845)과 SS/V OUT 수용 구멍(848)과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을 접속한다. 제5 구멍군(88-5y)은, 배압 포트(874)와 SS/V IN 수용 구멍(847)과 SS/V OUT 수용 구멍(848)을 접속한다. 유로 구멍(880)은, SOL/V IN 수용 구멍(842)과 휠 실린더 포트(872)를 접속한다. 유로 구멍(881)은, 캠 수용 구멍(81)과 액 저장실(832)을 접속한다.
제1 구멍군(88-1y)은, 제1 구멍(88-11)∼제7 구멍(88-17)을 갖는다. 우선 P 계통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구멍(88-11P)은, 프라이머리 포트(871P)의 바닥부로부터 Y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2 구멍(88-12P)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1 구멍(88-11P)에 접속한다. 제3 구멍(88-13P)은, 배면(802)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2 구멍(88-12P)에 접속한다. 제4 구멍(88-14P)은, 제3 구멍(88-13P)의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5 구멍(88-15P)은, 배면(802)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4 구멍(88-14P)에 접속한다. 제6 구멍(88-16P)은, 제5 구멍(88-15P)의 Y축 정방향 단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P)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제7 구멍(88-17)은, 좌측면(806)으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5 구멍(88-15P)에 접속함과 함께 마스터 실린더압 센서 수용 구멍(851)에 접속한다. S 계통은, 제7 구멍(88-17)을 갖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하우징(8)의 X축 방향 중앙에 관하여 P 계통과 대칭이다.
제2 구멍군(88-2y)은, 제1 구멍(88-21)∼제7 구멍(88-27)을 갖는다. 우선 P 계통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구멍(88-21P)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된다. 제2 구멍(88-22P)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1 구멍(88-21P)에 접속한다. 제3 구멍(88-23P)은, 상면(803)으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2 구멍(88-22P)의 X축 정방향측에 접속한다. 제4 구멍(88-24P)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3 구멍(88-23P)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5 구멍(88-25a, 88-25d)은, 제4 구멍(88-24P)의 X축 정방향측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되어 각각 SOL/V IN 수용 구멍(842a, 842d)의 바닥부에 접속한다. 제6 구멍(88-26P)은, 제2 구멍(88-22P)의 도중으로부터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P)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제7 구멍(88-27P)은, 휠 실린더 액압 센서 수용 구멍(852P)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2 구멍(88-22P)의 도중에 접속한다. S 계통은, 제8 구멍(88-28)을 갖는 점을 제외하고, 하우징(8)의 X축 방향 중앙에 관하여 P 계통과 대칭이다. 제8 구멍(88-28)은, 하면(804)의 X축 부방향측으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SS/V IN 수용 구멍(847)의 중직경부에 접속함과 함께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S)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제3 구멍군(88-3y)은, 제1 구멍(88-31)∼제12 구멍(88-312)을 갖는다. 제1 구멍(88-31)은, 실린더 수용 구멍(82A)의 토출 포트(821)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2 구멍(88-32)은, 제1 구멍(88-31)의 단부로부터 X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B)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3 구멍(88-33)은, 실린더 수용 구멍(82B)의 토출 포트(821)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4 구멍(88-34)은, 제3 구멍(88-33)의 단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C)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5 구멍(88-35)은, 실린더 수용 구멍(82C)의 토출 포트(821)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6 구멍(88-36)은, 제5 구멍(88-35)의 단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D)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7 구멍(88-37)은, 실린더 수용 구멍(82D)의 토출 포트(821)로부터 X축 부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8 구멍(88-38)은, 제7 구멍(88-37)의 단부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E)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9 구멍(88-39)은, 토출압 센서 수용 구멍(853)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댐퍼실(831)에 접속함과 함께 실린더 수용 구멍(82C)의 토출 포트(821)에 접속한다. 제10 구멍(88-310)은, 댐퍼실(831)의 바닥부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11 구멍(88-311)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양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의 바닥부에 접속함과 함께 제10 구멍(88-310)의 단부에 접속한다. 제12 구멍(88-312)(도시하지 않음)은,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되어 제11 구멍(88-311)에 접속한다.
제4 구멍군(88-4y)은, 제1 구멍(88-41)∼제9 구멍(88-49)을 갖는다. 제1 구멍(88-41)은, 좌측면(806)으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리저버실(830)의 바닥부에 접속함과 함께 SOL/V OUT 수용 구멍(845)의 바닥부에 접속한다. 제2 구멍(88-42)은, 리저버실(830)의 바닥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Y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A)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한다. 제3 구멍(88-43)은, 리저버실(830)의 바닥부로부터 X축 정방향측 또한 Y축 정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E)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한다. 제4 구멍(88-44)은, 좌측면(806)으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A)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한다. 제5 구멍(88-45)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E)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한다. 제6 구멍(88-46)은, 액 저장실(832)의 바닥부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B)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함과 함께 제4 구멍(88-44)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7 구멍(88-47)은, 하면(804)으로부터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D)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함과 함께 제5 구멍(88-45)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8 구멍(88-48)은, 우측면(805)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 또한 Z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수용 구멍(82C)의 흡입 포트(823)에 접속함과 함께 제6 구멍(88-46)의 도중 및 제7 구멍(88-47)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9 구멍(88-49)은, SS/V OUT 수용 구멍(848)의 바닥부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제7 구멍(88-47)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5 구멍군(88-5y)은, 제1 구멍(88-51)∼제6 구멍(88-56)을 갖는다. 제1 구멍(88-51)은, 배압 포트(874)의 바닥부로부터 X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2 구멍(88-52)은, 제1 구멍(88-51)의 단부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3 구멍(88-53)은, 배면(802)으로부터 Y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3 구멍(88-53)은 도중에서 제2 구멍(88-52)에 접속한다. 제4 구멍(88-54)은, 좌측면(806)으로부터 X축 정방향측으로 연장된다. 제3 구멍(88-53)의 단부는 제4 구멍(88-54)의 도중에 접속한다. 제5 구멍(88-55)은, 제4 구멍(88-54)의 단부로부터 Y축 부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되어 SS/V IN 수용 구멍(847)의 바닥부에 접속한다. 제6 구멍(88-56)은, 제1 구멍(88-51)의 도중으로부터 Y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짧게 연장되어 SS/V OUT 수용 구멍(848)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구멍(880)은, 휠 실린더 포트(872)의 바닥부로부터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SOL/V OUT 수용 구멍(845)의 중직경부에 접속함과 함께, SOL/V IN 수용 구멍(842)의 중직경부에 접속한다. 구멍(881)은, 캠 수용 구멍(81)으로부터 X축 부방향측 또한 Z축 부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액 저장실(832)의 중직경부(832m)에 접속한다.
제1 구멍군(88-1y)의 제1 구멍(88-11)∼제6 구멍(88-16P)은,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을 접속하고, 공급 유로(11)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2 구멍군(88-2y)의 제1 구멍(88-21)∼제5 구멍(88-25)은,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과 SOL/V IN 수용 구멍(842)을 접속하고, 공급 유로(11)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6 구멍(88-26P)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과 제2 구멍(88-22P)을 접속하고, 토출 유로(13)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8 구멍(88-28)은, SS/V IN 수용 구멍(847)과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S)을 접속하고,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구멍(880)은, SOL/V IN 수용 구멍(842)과 휠 실린더 포트(872)를 접속하고, 공급 유로(11)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구멍(880)은, SOL/V IN 수용 구멍(842)과 SOL/V OUT 수용 구멍(845)을 접속하고, 감압 유로(15)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3 구멍군(88-3y)의 제1 구멍(88-31)∼제11 구멍(88-311)은,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토출 포트(821)와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을 접속하고, 토출 유로(13)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12 구멍(88-312)은, 제11 구멍(88-311)과 조압 밸브 수용 구멍(844)을 접속하고, 조압 유로(14)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4 구멍군(88-4y)의 제1 구멍(88-41)은, SOL/V OUT 수용 구멍(845)과 리저버실(830)을 접속하고, 감압 유로(15)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2 구멍(88-42)∼제8 구멍(88-48)은, 리저버실(830)과 실린더 수용 구멍(82)의 흡입 포트(823)를 접속하고, 흡입 유로(12)로서 기능한다. 제9 구멍(88-49)은, SS/V OUT 수용 구멍(848)과 제7 구멍(88-47)을 접속하고,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로서 기능한다. 제5 구멍군(88-5y)의 제1 구멍(88-51)∼제5 구멍(88-55)은, 배압 포트(874)와 SS/V IN 수용 구멍(847)을 접속하고, 배압 유로(16), 및 제1 시뮬레이터 유로(17)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제6 구멍(88-56)은, 제1 구멍(88-51)과 SS/V OUT 수용 구멍(848)을 접속하고, 제2 시뮬레이터 유로(18)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구멍(881)은, 캠 수용 구멍(81)과 액 저장실(832)을 접속하고, 드레인 유로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볼트 구멍(89x)은, 볼트 구멍(891∼895)을 갖는다. 볼트 구멍(891)은,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정면(801)에 개구한다. 구멍(891)은, 캠 수용 구멍(81)의 축심(O)에 관하여 대략 대칭 위치에 3개 형성된다. 축심(O)으로부터 각 구멍(891)까지의 거리는 대략 동일하다. 하나의 구멍(891)은, 정면(801)의 X축 방향 대략 중앙(X축 방향에서 축심(O)과 중복되는 위치) 또한 축심(O)보다 Z축 정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멍(891)은, X축 방향에서,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P, 871S)의 사이에 있고, 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리저버실(830)과 중복된다. 다른 2개의 구멍(891)은, X축 방향에서 축심(O)을 사이에 두고 양측, 또한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에 있다. 볼트 구멍(892)은,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배면(802)에 개구한다. 구멍(892)은, 배면(802)의 네 모퉁이에 각각 1개, 합계 4개 형성된다. 볼트 구멍(893)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상면(803)에 개구한다. 구멍(893)은, 상면(803)의 X축 방향 대략 중앙(X축 방향에서 축심(O)과 중복되는 위치) 또한 Y축 정방향측에 1개 형성된다. 볼트 구멍(894)은, 그 축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정면(801)에 개구한다. 구멍(894)은, 정면(801)에 있어서, 축심(O)보다 Z축 부방향측으로서 X축 방향 양끝에 2개 형성된다. 구멍(894)은, 축심(O)을 사이에 두고 마스터 실린더 포트(871)와 반대측에 위치한다. X축 부방향측의 구멍(894)은, 축심(O)을 사이에 두고 프라이머리 포트(871P)의 대략 반대측에 위치한다. X축 정방향측의 구멍(894)은, 축심(O)을 사이에 두고 세컨더리 포트(871S)의 대략 반대측에 위치한다. 구멍(894)의 축심은, Z축 부방향측의 볼트 구멍(891)의 축심보다 Z축 부방향측, 또한, X축 방향에서 측면(805, 806)에 가까운 측(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볼트 구멍(895)은, 그 축심이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서, 2개 형성되고, 하면(804)의 Y축 방향 대략 중앙 또한 X축 방향 양끝에 개구한다. Y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구멍(895)의 Z축 정방향측의 단부는, 볼트 구멍(894)과 중복된다.
ECU(90)는, 스트로크 센서(94) 및 액압 센서(91) 등의 검출치나 차량측으로부터의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내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전자 밸브(21) 등의 개폐 동작이나 모터(20)의 회전수(즉 펌프(3)의 토출량)를 제어함으로써, 각 차륜(FL∼RR)의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ECU(90)는, 각종 브레이크 제어(제동에 의한 차륜의 슬립을 억제하기 위한 안티 로크 브레이크 제어나,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력을 저감하기 위한 배력 제어나, 차량의 운동 제어를 위한 브레이크 제어나, 선행차 추종 제어 등의 자동 브레이크 제어나,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 등)를 실행한다. 차량의 운동 제어에는, 사이드 슬립 방지 등의 차량 거동 안정화 제어가 포함된다.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에서는, 회생 브레이크와 협조하여 목표 감속도(목표 제동력)를 달성하도록 휠 실린더 액압을 제어한다.
ECU(90)는, 브레이크 조작량 검출부(90a)와, 목표 휠 실린더 액압 산출부(90b)와, 답력 브레이크 창생부(創生部)(90c)와, 배력 제어부(90d)와, 제어 전환부(90e)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조작량 검출부(90a)는, 스트로크 센서(94)의 검출치의 입력을 받아 브레이크 조작량으로서의 브레이크 페달(100)의 변위량(페달 스트로크)을 검출한다. 목표 휠 실린더 액압 산출부(90b)는,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출된 페달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소정의 배력비, 즉 페달 스트로크와 운전자의 요구 브레이크 액압(운전자가 요구하는 차량 감속도(G)) 사이의 이상적인 관계 특성을 실현하는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또한,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 시에는, 회생 제동력과의 관계에서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예컨대, 회생 제동 장치의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생 제동력과 목표 휠 실린더 액압에 상당하는 액압 제동력의 합이,운전자가 요구하는 차량 감속도를 충족하는 것과 같은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또, 운동 제어 시에는, 예컨대 검출된 차량 운동 상태량(횡가속도 등)에 기초하여, 원하는 차량 운동 상태를 실현하도록, 각 차륜(FL∼RR)의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산출한다.
답력 브레이크 창생부(90c)는, 펌프(3)를 비작동으로 하고, 차단 밸브(21)를 열림 방향으로, SS/V IN(27)을 닫힘 방향으로, SS/V OUT(28)을 닫힘 방향으로 제어한다. 차단 밸브(21)가 열림 방향으로 제어된 상태에서, 마스터 실린더(5)의 액압실(50)과 휠 실린더(W/C)를 접속하는 유로 계통(공급 유로(11) 등)은, 페달 답력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마스터 실린더 액압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생하는 답력 브레이크(비배력 제어)를 실현한다. 또, SS/V OUT(28)이 닫힘 방향으로 제어됨으로써,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가 기능하지 않는다. 즉,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의 피스톤(61)의 작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액압실(50)(세컨더리실(50S))로부터 정압실(601)로의 브레이크액의 유입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휠 실린더 액압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압 가능하게 된다. 또, SS/V IN(27)을 닫힘 방향으로 제어해도 좋다.
차단 밸브(21)가 닫힘 방향으로 제어된 상태에서, SS/V IN(27)이 닫힘 방향, SS/V OUT(28)이 열림 방향으로 제어되어 있을 때는, 리저버(120)와 휠 실린더(W/C)를 접속하는 브레이크 계통(흡입 유로(12), 토출 유로(13) 등)은, 펌프(3)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액압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생하고, 배력 제어나 회생 협조 제어 등을 실현하는, 소위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배력 제어부(90d)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시에, 펌프(3)를 작동시키고, 차단 밸브(21)를 닫힘 방향으로, 연통 밸브(23)를 열림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제2 유닛(1B)의 상태를, 펌프(3)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생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펌프(3)의 토출압을 액압원으로 하여 마스터 실린더 액압보다 높은 휠 실린더 액압을 창생하고,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력으로는 부족한 액압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배력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펌프(3)를 소정 회전수로 작동시킨 채로 조압 밸브(24)를 제어하여 펌프(3)로부터 휠 실린더(W/C)에 공급되는 브레이크액량을 조정함으로써,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을 실현한다. 즉, 브레이크 장치(1)는, 엔진 부압 부스터 대신에 제2 유닛(1B)의 펌프(3)를 작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조작력을 보조하는 배력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배력 제어부(90d)는, SS/V IN(27)을 닫힘 방향으로, SS/V OUT(28)을 열림 방향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를 기능시킨다. 제어 전환부(90e)는, 산출된 목표 휠 실린더 액압에 기초하여, 마스터 실린더(5)의 동작을 제어하고, 답력 브레이크와 배력 제어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조작량 검출부(90a)에 의해 브레이크 조작의 개시를 검출하면, 산출된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이 소정치(예컨대 급제동시가 아닌 통상적인 브레이크시에 발생하는 차량 감속도(G)의 최대치 상당) 이하인 경우에는, 답력 브레이크 창생부(90c)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생시킨다. 한편, 브레이크 답입 조작시에 산출된 목표 휠 실린더 액압이 상기 소정치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배력 제어부(90d)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생시킨다.
또한, ECU(90)는,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 판별부(90f) 및 제2 답력 브레이크 창생부(90g)를 갖는다.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 판별부(90f)는, 브레이크 조작량 검출부(90a) 등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조작 상태를 검출하고, 브레이크 조작 상태가 소정의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별(판단)한다. 예컨대, 페달 스트로크의 시간당 변화량이 소정의 임계치를 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어 전환부(90e)는,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제2 답력 브레이크 창생부(90g)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생하도록, 제어를 전환한다. 제2 답력 브레이크 창생부(90g)는, 펌프(3)를 작동시키고, 차단 밸브(21)를 닫힘 방향으로, SS/V IN(27)을 열림 방향으로, SS/V OUT(28)을 닫힘 방향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펌프(3)가 충분히 높은 휠 실린더 액압을 발생 가능하게 되기까지의 사이에,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의 배압실(602)로부터 유출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휠 실린더 액압을 창생하는 제2 답력 브레이크를 실현한다. 또, 차단 밸브(21)를 열림 방향으로 제어해도 좋다. 또한, SS/V IN(27)을 닫힘 방향으로 제어해도 좋고, 이 경우, 배압실(602)로부터의 브레이크액은, (휠 실린더(W/C)측이 배압실(602)측보다 아직 저압이기 때문에 밸브 개방 상태가 되는) 체크 밸브(270)를 통과하여, 휠 실린더(W/C)측으로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SS/V IN(27)을 열림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배압실(602)측으로부터 휠 실린더(W/C)측으로 브레이크액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 후, 급브레이크 조작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지 않게 되고, 및/또는, 펌프(3)의 토출 능력이 충분해진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면, 제어 전환부(90e)는, 배력 제어부(90d)에 의해 휠 실린더 액압을 창생하도록, 제어를 전환한다. 즉, SS/V IN(27)을 닫힘 방향으로, SS/V OUT(28)을 열림 방향으로 제어한다. 이에 따라, 스트로크 시뮬레이터(6)를 기능시킨다. 또, 제2 답력 브레이크의 후에 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로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차단 밸브(21), SOL/V IN(22), 연통 밸브(23), 조압 밸브(24), SS/V IN(27), SS/V OUT(28)의 구성을 도 5∼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차단 밸브·조압 밸브]
차단 밸브(21)와 조압 밸브(24)의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차단 밸브(21)만을 설명한다.
도 5는 차단 밸브(21)의 종단면도, 도 6은 차단 밸브(21)의 분해 사시도이고, (a)는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Y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차단 밸브(21)는, 코일(21-1), 실린더(21-2), 아마추어(가동 철심)(21-3), 플런저(밸브체)(21-4), 밸브 보디(21-5), 시트 부재(21-6), 보디 부재(21-7), 제1 필터 부재(21-8), 제2 필터 부재(21-9) 및 시일 부재(21-10)를 갖는다.
코일(21-1)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한다. 코일(21-1)은 자성 재료로 형성된 요크(21-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21-2)는, 비자성 재료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1-2)의 Y축 정방향 끝은 개구하고, Y축 부방향 끝은 반구형의 바닥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실린더(21-2)의 Y축 정방향 끝은, 후술하는 밸브 보디(21-5)의 제1 원통부(21-5a)에 용착되어 있다.
아마추어(21-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실린더(21-2)의 내부를 Y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마추어(21-3)의 Y축 정방향 끝의 중심에는, 플런저(21-4)가 압입되는 오목부(21-3a)가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21-3)는, 코일(21-1)의 통전 시, 코일(21-1)이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Y축 정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런저(21-4)는, 수지 등의 비자성 재료로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1-4)는, 실린더(21-2)의 내부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21-4)의 Y축 부방향측에는 Y축 정방향 끝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21-4a)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1-4)의 Y축 정방향 끝인 선단부(21-4b)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1-4a)는, 아마추어(21-3)의 오목부(21-3a)에 압입되어 있다. 플런저(21-4)는 아마추어(21-3)와 일체로 구동한다.
밸브 보디(21-5)는, 자성 재료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21-5)는,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고 자로 형성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원통부(21-5a), 하우징(8)에 코킹 고정되는 직경 확장된 피코킹부(21-5b) 및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고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 내에 삽입되는 제2 원통부(21-5c)를 갖는다. 제1 원통부(21-5a)의 내주에는 제1 수용 구멍(삽입 구멍)(21-5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부(21-5c)의 내주에는 제1 수용 구멍(21-5d)보다 대직경의 제2 수용 구멍(21-5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 구멍(21-5d)의 Y축 정방향 끝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21-5f)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1-5f)와 플런저(21-4)의 대직경부(21-4a)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21-12)이 수축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1-12)은, 플런저(21-4)를 Y축 부방향으로 압박한다. 제2 수용 구멍(21-5e)에는, 복수의 축 방향 유로(21-5g)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1-6)는,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1-6)는, Y축 부방향 끝에 바닥부(21-6a)를 갖고, Y축 정방향 끝이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1-6)는, 소직경부(21-6b), 대직경부(21-6c) 및 제1 단차부(21-6d)를 갖는다. 소직경부(21-6b)는, 바닥부(21-6a)를 갖고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고, 밸브 보디(21-5)의 제2 수용 구멍(21-5e)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바닥부(21-6a)에는, 제1 연통 구멍(21-6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21-6e)의 주위에는, 플런저(21-4)의 선단부(21-4b)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21-6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1-6c)는, 소직경부(21-6b)보다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고, 소직경부(21-6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21-6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직경부(21-6b)와 대직경부(21-6c)를 접속한다.
보디 부재(21-7)는,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 내에 배치되고, 시트 부재(21-6)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보디 부재(21-7)는, Y축 정방향 끝에 바닥부(21-7a)를 갖고, 소직경부(21-7b), 대직경부(21-7c) 및 제2 단차부(21-7d)를 갖는다. 소직경부(21-7b)는, 바닥부(21-7a)를 갖고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21-7a)에는, 제2 연통 구멍(21-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 구멍(21-7e)은, 제1 구멍(88-21)과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21-7c)는, 소직경부(21-7b)보다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고, 소직경부(21-7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1-7c)에는, 시트 부재(21-6)의 대직경부(21-6c)가 감합되어 있다. 대직경부(21-7c)의 내주면에는, 시트 부재(21-6a)의 대직경부(21-6c)의 외주면(21-6g)과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1-7g)이 설치되어 있다. 대직경부(21-7c)에 있어서, 내측 접촉면(21-7g)보다 Y축 부방향측에는, 복수의 유통 구멍(21-7f)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구멍(21-7f)은, 제6 구멍(88-16)과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차부(21-7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직경부(21-7b)와 대직경부(21-7c)를 접속한다. 시트 부재(21-6) 및 보디 부재(21-7)에 의해 위요된 내부 공간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흐름로(내부 유로)(21-13)이다.
제1 필터 부재(21-8)는, 흐름로(21-1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제2 연통 구멍(21-7e)으로부터 제1 연통 구멍(21-6e)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플런저(21-4)나 밸브 시트(21-6f)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시트 부재(21-6)의 제1 단차부(21-6d) 및 보디 부재(21-7)의 제2 단차부(21-7d)에 각각 걸어 맞춰져 Y축 방향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시트 부재(21-6)의 대직경부(21-6c)의 내주면(21-6h)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1-6)의 내주면(21-6h)과 제1 필터 부재(21-8)의 외주면(21-8c) 사이에는, 후술하는 메시부(21-8a)의 눈의 크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제1 필터 부재(21-8)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측면 단면도이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고, 메시부(21-8a) 및 프레임(21-8b)을 갖는다. 메시부(21-8a)는, 소정의 눈의 크기를 갖는 메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1-8b)은 환형으로 형성되고, 메시부(21-8a)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1-8b)의 일단면에 있어서, 게이트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오목부(21-8d)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8d)를 형성한 것에 의해, 게이트 나머지 높이가 프레임(21-8b)의 일단면을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필터 부재(21-8)는, 오목부(21-8d)를 Y축 부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1-9)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1-9)는, 보디 부재(21-7)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필터 부재(21-8)와 Y축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있다. 제2 필터 부재(21-9)는, 제6 구멍(88-16)으로부터 유통 구멍(21-7f)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플런저(21-4)나 밸브 시트(21-6f)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21-10)는, O 링이고, 보디 부재(21-7)의 소직경부(21-7b)의 외주에 장착되고, 소직경부(21-7b)의 외주면과 차단 밸브 수용 구멍(841)의 내주면 사이를 시일한다.
다음으로, 차단 밸브(21)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21-1)이 비통전일 때, 아마추어(21-3) 및 플런저(21-4)는 코일 스프링(21-12)의 압박력에 의해 Y축 부방향으로 압박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21-4)의 선단부(21-4b)는 밸브 시트(21-6f)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6 구멍(88-16)과 제1 구멍(88-21)은, 유통 구멍(21-7f), 축 방향 유로(21-5g), 제1 연통 구멍(21-6e) 및 제2 연통 구멍(21-7e)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코일(21-1)이 소정의 전류에 의해 통전되면, 요크(21-11), 아마추어(21-3), 제1 원통부(21-5a)에 자로가 형성되고, 아마추어(21-3)와 제1 원통부(21-5a)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21-3) 및 플런저(21-4)는 Y축 정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런저(21-4)의 선단부(21-4b)가 밸브 시트(21-6f)와 접촉하면, 제6 구멍(88-16)과 제1 구멍(88-21)이 차단된다. 또한, 코일(21-1)에 대한 통전력을 PWM 제어에 의해 제어하고, 흡인력을 비례 제어함으로써, 선단부(21-4b)와 밸브 시트(21-6f) 사이의 간극(흐름로 단면적)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하는 유량(액압)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조압 밸브(24)의 각 부위의 부호는, 차단 밸브(21)에 있어서의 동일 부위의 부호 2124로 치환한 것으로 한다.
[SOL/V IN]
도 8은 SOL/V IN(22)의 종단면도, 도 9는 SOL/V IN(22)의 분해 사시도이고, (a)는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Y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SOL/V IN(22)은, 코일(22-1), 실린더(22-2), 아마추어(가동 철심)(22-3), 플런저(밸브체)(22-4), 밸브 보디(22-5), 시트 부재(22-6), 보디 부재(22-7), 제1 필터 부재(22-8), 제2 필터 부재(22-9) 및 시일 부재(22-10)를 갖는다.
코일(22-1)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한다. 코일(22-1)은 자성 재료로 형성된 요크(22-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22-2)는, 비자성 재료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2-2)의 Y축 정방향 끝은 개구하고, Y축 부방향 끝은 반구형의 바닥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실린더(22-2)의 Y축 정방향 끝은, 후술하는 밸브 보디(22-5)의 제1 원통부(22-5a)에 용착되어 있다.
아마추어(22-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실린더(22-2)의 내부를 Y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마추어(22-3)는, 코일(22-1)의 통전 시, 코일(22-1)이 발생시킨 전자력에 의해 Y축 정방향으로 이동한다.
플런저(22-4)는, 수지 등의 비자성 재료로 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2-4)는, 실린더(22-2)의 내부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22-4)의 Y축 부방향측에는 Y축 정방향 끝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22-4a)가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22-4)의 Y축 정방향 끝인 선단부(22-4b)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2-4a)의 Y축 부방향 끝은, 아마추어(22-3)의 Y축 정방향 끝과 접촉하고 있다. 플런저(22-4)는 아마추어(22-3)와 일체로 구동한다.
밸브 보디(22-5)는, 자성 재료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22-5)는,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고 자로 형성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원통부(22-5a), 하우징(8)에 코킹 고정되는 직경 확장된 피코킹부(22-5b) 및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고 SOL/V IN 수용 구멍(842) 내에 삽입되는 제2 원통부(22-5c)를 갖는다. 제1 원통부(22-5a)의 내주에는 제1 수용 구멍(삽입 구멍)(22-5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부(22-5c)의 내주에는 제1 수용 구멍(22-5d)보다 대직경의 제2 수용 구멍(22-5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용 구멍(22-5d)의 Y축 정방향 끝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22-5f)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2-5f)와 플런저(22-4)의 대직경부(22-4a)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22-12)이 수축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2-12)은, 플런저(22-4)를 Y축 부방향으로 압박한다. 제2 수용 구멍(22-5a)에는, 복수의 축 방향 유로(22-5g)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2-6)는, SOL/V IN 수용 구멍(84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2-6)는, Y축 부방향 끝에 바닥부(22-6a)를 갖고, Y축 정방향 끝이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2-6)는, 소직경부(22-6b), 대직경부(22-6c) 및 제1 단차부(22-6d)를 갖는다. 소직경부(22-6b)는, 바닥부(22-6a)를 갖고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고, 밸브 보디(22-5)의 제2 수용 구멍(22-5e)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바닥부(22-6a)에는, 제1 연통 구멍(22-6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22-6e)의 주위에는, 플런저(22-4)의 선단부(22-4b)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22-6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2-6c)는, 소직경부(22-6b)보다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고, 소직경부(22-6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22-6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직경부(22-6b)와 대직경부(22-6c)를 접속한다.
보디 부재(22-7)는, SOL/V IN 수용 구멍(842) 내에 배치되고, 시트 부재(22-6)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보디 부재(22-7)는, Y축 정방향 끝에 바닥부(22-7a)를 갖고, 소직경부(22-7b), 대직경부(22-7c) 및 제2 단차부(22-7d)를 갖는다. 소직경부(22-7b)는, 바닥부(22-7a)를 갖고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22-7a)에는, 제2 연통 구멍(22-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 구멍(22-7e)은, 제5 구멍(88-25)과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22-7c)는, 소직경부(22-7b)보다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고, 소직경부(22-7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2-7c)에는, 시트 부재(22-6)의 대직경부(22-6c)가 감합되어 있다. 대직경부(22-7c)의 내주면에는, 시트 부재(22-6)의 대직경부(22-6c)의 외주면(22-6g)과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2-7g)이 설치되어 있다. 대직경부(22-7c)에 있어서, 내측 접촉면(22-7g)보다 Y축 부방향측에는, 복수의 유통 구멍(22-7f)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구멍(22-7f)은, 유로 구멍(880)과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차부(22-7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직경부(22-7b)와 대직경부(22-7c)를 접속한다. 시트 부재(22-6) 및 보디 부재(22-7)에 의해 위요된 내부 공간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흐름로(내부 유로)(22-13)이다.
제1 필터 부재(22-8)는, 흐름로(22-1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2-8)는, 제2 연통 구멍(22-7e)으로부터 제1 연통 구멍(22-6e)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플런저(22-4)나 밸브 시트(22-6f)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필터 부재(22-8)는, 시트 부재(22-6)의 제1 단차부(22-6d) 및 보디 부재(22-7)의 제2 단차부(22-7d)에 각각 걸어 맞춰져 Y축 방향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2-8)는, 시트 부재(22-6)의 대직경부(22-6c)의 내주면(22-6h)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2-6)의 내주면(22-6h)과 제1 필터 부재(22-8)의 외주면(22-8c) 사이에는, 후술하는 메시부(22-8a)의 눈의 크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2-8)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낸 제1 필터 부재(21-8)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필터(22-8)는, 오목부를 Y축 정방향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2-9)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2-9)는, 보디 부재(22-7)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필터 부재(22-8)와 Y축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있다. 제2 필터 부재(22-9)는, 유로 구멍(880)으로부터 유통 구멍(22-7f)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플런저(22-4)나 밸브 시트(22-6f)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22-10)는, 컵 시일이고, 보디 부재(22-7)의 소직경부(22-7b)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22-10)는, (제5 구멍(88-25)의 액압 > 유로 구멍(880)의 액압)일 때에는, 제5 구멍(88-25)으로부터 유로 구멍(880)으로의 브레이크액의 누설을 시일하고, (제5 구멍(88-25)의 액압 < 유로 구멍(880)의 액압)일 때에는, 유로 구멍(880)으로부터 제5 구멍(88-25)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을 허용함으로써, 체크 밸브(220)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SOL/V IN(22)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22-1)이 비통전일 때, 아마추어(22-3) 및 플런저(22-4)는 코일 스프링(22-12)의 압박력에 의해 Y축 부방향으로 압박되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22-4)의 선단부(22-4b)는 밸브 시트(22-6f)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5 구멍(88-25)과 유로 구멍(880)은, 유통 구멍(22-7f), 축 방향 유로(22-5g), 제1 연통 구멍(22-6e) 및 제2 연통 구멍(22-7e)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코일(22-1)이 소정의 전류에 의해 통전되면, 요크(22-11), 아마추어(22-3), 제1 원통부(22-5a)에 자로가 형성되고, 아마추어(22-3)와 제1 원통부(22-5a)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22-3) 및 플런저(22-4)는 Y축 정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런저(22-4)의 선단부(22-4b)가 밸브 시트(22-6f)와 접촉하면, 제5 유로(88-25)와 유로 구멍(880)이 차단된다. 또한, 코일(22-1)에 대한 통전력을 PWM 제어에 의해 제어하고, 흡인력을 비례 제어함으로써, 선단부(22-4b)와 밸브 시트(22-6f) 사이의 간극(흐름로 단면적)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하는 유량(액압)을 실현할 수 있다.
[연통 밸브]
도 10은 연통 밸브(23)의 종단면도, 도 11은 연통 밸브(23)의 분해 사시도이고, (a)는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Y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연통 밸브(23)는, 코일(23-1), 실린더(23-2), 보디 센터(고정 철심)(23-3), 아마추어(밸브체·가동 철심)(23-4), 플랜지 링(23-5), 시트 부재(23-6), 보디 부재(23-7), 제1 필터 부재(23-8), 제2 필터 부재(23-9) 및 시일 부재(23-10)를 갖는다.
코일(23-1)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한다. 코일(23-1)은 자성 재료로 형성된 요크(23-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23-2)는, 비자성 재료로 양끝이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센터(23-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센터(23-3)의 Y축 정방향 끝은, 실린더(23-2)의 Y축 부방향 끝에 용착되어 있다. 보디 센터(23-3)는, 코일(23-1)의 통전 시, 코일(23-1)이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아마추어(23-4)를 흡인한다.
아마추어(23-4)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23-4)는, 실린더(23-2)의 내부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아마추어(23-4)의 Y축 부방향 끝에는 Y축 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3-4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4a)의 바닥부와 보디 센터(23-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23-12)이 수축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3-12)은, 아마추어(23-4)를 Y축 정방향으로 압박한다. 코일(23-1)의 비통전 시, 실린더(23-2)의 Y축 정방향 끝과 아마추어(23-4)의 Y축 부방향 끝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23-4)의 Y축 정방향 끝에는, 구형의 밸브체(23-4b)가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링(23-5)은, 자성 재료로 양끝이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 링(23-5)은, 하우징(8)에 코킹 고정되는 직경 확장된 피코킹부(23-5a)를 갖는다.
시트 부재(23-6)는,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3-6)는, Y축 부방향 끝에 바닥부(23-6a)를 갖고, Y축 정방향 끝이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3-6)는, 소직경부(23-6b), 대직경부(23-6c) 및 제1 단차부(23-6d)를 갖는다. 소직경부(23-6b)는, 바닥부(23-6a)를 갖고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23-6a)에는, 제1 연통 구멍(23-6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23-6e)의 주위에는, 아마추어(23-4)의 선단부(23-4b)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23-6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3-6c)는, 소직경부(23-6b)보다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고, 소직경부(23-6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23-6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직경부(23-6b)와 대직경부(23-6c)를 접속한다.
보디 부재(23-7)는,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 내에 배치되고, 시트 부재(23-6)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보디 부재(23-7)는, Y축 정방향 끝에 바닥부(23-7a)를 갖고, 소직경부(23-7b), 대직경부(23-7c) 및 제2 단차부(23-7d)를 갖는다. 소직경부(23-7b)는, 바닥부(23-7a)를 갖고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23-7a)에는, 제2 연통 구멍(23-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 구멍(23-7e)은, 제11 구멍(88-311)과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는, 소직경부(23-7b)보다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고, 소직경부(23-7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에는, 시트 부재(23-6)의 대직경부(23-6c)가 감합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는, 실린더(23-2)의 Y축 정방향 끝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의 내주면에는, 시트 부재(23-6)의 대직경부(23-6c)의 외주면(23-6g)과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3-7g)이 설치되어 있다. 대직경부(23-7c)에 있어서, 내측 접촉면(23-7g)보다 Y축 부방향측에는, 복수의 유통 구멍(23-7f)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구멍(23-7f)은, 제6 구멍(88-26)과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차부(23-7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직경부(23-7b)와 대직경부(23-7c)를 접속한다. 시트 부재(23-6) 및 보디 부재(23-7)에 의해 위요된 내부 공간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흐름로(내부 유로)(23-13)이다.
제1 필터 부재(23-8)는, 흐름로(23-1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3-8)는, 제2 연통 구멍(23-7e)으로부터 제1 연통 구멍(23-6e)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아마추어(23-4)나 밸브 시트(23-6f)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필터 부재(23-8)는, 시트 부재(23-6)의 제1 단차부(23-6d) 및 보디 부재(23-7)의 제2 단차부(23-7d)에 각각 걸어 맞춰져 Y축 방향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3-8)는, 시트 부재(23-6)의 대직경부(23-6c)의 내주면(23-6h)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3-6)의 내주면(23-6h)과 제1 필터 부재(23-8)의 외주면(23-8c) 사이에는, 후술하는 메시부(23-8a)의 눈의 크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3-8)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낸 제1 필터 부재(21-8)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필터 부재(23-8)는, 오목부를 Y축 부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3-9)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3-9)는, 보디 부재(23-7)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필터 부재(23-8)와 Y축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있다. 제2 필터 부재(23-9)는, 제11 구멍(88-311)으로부터 유통 구멍(23-7f)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아마추어(23-4)나 밸브 시트(23-6f)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23-10)는, O 링이고, 보디 부재(23-7)의 소직경부(23-7b)의 외주에 장착되고, 소직경부(23-7b)의 외주면과 연통 밸브 수용 구멍(843)의 내주면 사이를 시일한다.
다음으로, 연통 밸브(23)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23-1)이 비통전일 때, 아마추어(23-4)는 코일 스프링(23-12)의 압박력에 의해 Y축 정방향으로 압박되고 있기 때문에, 아마추어(23-4)의 선단부(23-4b)는 밸브 시트(23-6f)와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6 구멍(88-26)과 제11 구멍(88-311)은 차단되어 있다.
코일(23-1)이 소정의 전류에 의해 통전되면, 요크(23-11), 보디 센터(23-3), 아마추어(23-4)에 자로가 형성되고, 보디 센터(23-3)와 아마추어(23-4)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23-4)는 Y축 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아마추어(23-4)의 선단부(23-4b)가 밸브 시트(23-6f)로부터 이격되면, 제6 구멍(88-26)과 제11 구멍(88-311)이 유통 구멍(23-7f), 축 방향 유로(23-5g), 제1 연통 구멍(23-6e) 및 제2 연통 구멍(23-7e)을 통해 연통된다.
[SS/V IN·SS/V OUT]
SS/V IN(27)과 SS/V OUT(28)의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SS/V IN(27)만을 설명한다.
도 12는 SS/V IN(27)의 종단면도, 도 13은 SS/V IN(27)의 분해 사시도이고, (a)는 Y축 정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 (b)는 Y축 부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SS/V IN(27)은, 코일(27-1), 실린더(27-2), 보디 센터(고정 철심)(27-3), 아마추어(밸브체)(27-4), 플랜지 링(27-5), 시트 부재(27-6), 보디 부재(27-7), 제1 필터 부재(27-8), 제2 필터 부재(27-9) 및 시일 부재(27-10)를 갖는다.
코일(27-1)은, 통전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한다. 코일(27-1)은 자성 재료로 형성된 요크(27-11)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27-2)는, 비자성 재료로 양끝이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센터(27-3)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센터(27-3)의 Y축 정방향 끝은, 실린더(27-2)의 Y축 부방향 끝에 용착되어 있다. 보디 센터(27-3)는, 코일(27-1)의 통전 시, 코일(27-1)이 발생한 전자력에 의해 아마추어(27-4)를 흡인한다.
아마추어(27-4)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27-4)는, 실린더(27-2)의 내부에 있어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아마추어(27-4)의 Y축 부방향 끝에는 Y축 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7-4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7-4a)의 바닥부와 보디 센터(27-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27-12)이 수축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7-12)은, 아마추어(27-4)를 Y축 정방향으로 압박한다. 코일(27-1)의 비통전 시, 실린더(27-2)의 Y축 정방향 끝과 아마추어(27-4)의 Y축 부방향 끝 사이에는, 소정의 갭이 형성되어 있다. 아마추어(27-4)의 Y축 정방향 끝에는, 구형의 밸브체(27-4b)가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링(27-5)은, 자성 재료로 양끝이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SS/V IN 수용 구멍(847)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 링(27-5)은, 하우징(8)에 코킹 고정되는 직경 확장된 피코킹부(27-5a)를 갖는다.
시트 부재(27-6)는, SS/V IN 수용 구멍(84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7-6)는, Y축 부방향 끝에 바닥부(27-6a)를 갖고, Y축 정방향 끝이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7-6)는, 소직경부(27-6b), 대직경부(27-6c) 및 제1 단차부(27-6d)를 갖는다. 소직경부(27-6b)는, 바닥부(27-6a)를 갖고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27-6a)에는, 제1 연통 구멍(27-6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 구멍(27-6e)의 주위에는, 아마추어(27-4)의 선단부(27-4b)가 접촉하는 밸브 시트(27-6f)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7-6c)는, 소직경부(27-6b)보다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고, 소직경부(27-6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27-6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직경부(27-6b)와 대직경부(27-6c)를 접속한다.
보디 부재(27-7)는, SS/V IN 수용 구멍(847) 내에 배치되고, 시트 부재(27-6)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보디 부재(27-7)는, Y축 정방향 끝에 바닥부(27-7a)를 갖고, 소직경부(27-7b), 대직경부(27-7c) 및 제2 단차부(27-7d)를 갖는다. 소직경부(27-7b)는, 바닥부(27-7a)를 갖고 Y축 정방향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27-7a)에는, 제2 연통 구멍(27-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통 구멍(27-7e)은, 제5 구멍(88-55)과 접속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는, 소직경부(27-7b)보다 Y축 부방향측에 설치되고, 소직경부(27-7b)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에는, 시트 부재(27-6)의 대직경부(27-6c)가 감합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는, 실린더(27-2)의 Y축 정방향 끝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의 내주면에는, 시트 부재(27-6)의 대직경부(27-6c)의 외주면(27-6g)과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7-7g)이 설치되어 있다. 대직경부(27-7c)에 있어서, 내측 접촉면(27-7g)보다 Y축 부방향측에는, 복수의 유통 구멍(27-7f)이 형성되어 있다. 유통 구멍(27-7f)은, 제8 구멍(88-28)과 접속되어 있다. 제2 단차부(27-7d)는, Y축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직경부(27-7b)와 대직경부(27-7c)를 접속한다. 시트 부재(27-6) 및 보디 부재(27-7)에 의해 위요된 내부 공간은, 브레이크액이 흐르는 흐름로(내부 유로)(27-13)이다.
제1 필터 부재(27-8)는, 흐름로(27-1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7-8)는, 제2 연통 구멍(27-7e)으로부터 제1 연통 구멍(27-6e)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아마추어(27-4)나 밸브 시트(27-6f)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필터 부재(27-8)는, 시트 부재(27-6)의 제1 단차부(27-6d) 및 보디 부재(27-7)의 제2 단차부(27-7d)에 각각 걸어 맞춰져 Y축 방향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다. 제1 필터 부재(27-8)는, 시트 부재(27-6)의 대직경부(27-6c)의 내주면(27-6h)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시트 부재(27-6)의 내주면(27-6h)과 제1 필터 부재(27-8)의 외주면(27-8c) 사이에는, 후술하는 메시부(27-8a)의 눈의 크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필터 부재(27-8)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낸 제1 필터 부재(21-8)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필터 부재(27-8)는, 오목부를 Y축 정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7-9)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어 있다. 제2 필터 부재(27-9)는, 보디 부재(27-7)의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1 필터 부재(27-8)와 Y축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있다. 제2 필터 부재(27-9)는, 제8 구멍(88-28)으로부터 유통 구멍(27-7f)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여, 브레이크액 내의 오염물 등이 아마추어(27-4)나 밸브 시트(27-6f)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 부재(27-10)는, 컵 시일이고, 보디 부재(27-7)의 소직경부(27-7b)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22-10)는, (제8 구멍(88-28)의 액압 > 제5 구멍(88-55)의 액압)일 때에는, 제8 구멍(88-28)으로부터 제5 구멍(88-55)으로의 브레이크액의 누설을 시일하고, (제8 구멍(88-28)의 액압 < 유로 구멍(880)의 액압)일 때에는, 제5 구멍(88-55)으로부터 제8 구멍(88-28)으로의 브레이크액의 흐름을 허용함으로써, 체크 밸브(270)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SS/V IN(27)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27-1)이 비통전일 때, 아마추어(27-4)는 코일 스프링(27-12)의 압박력에 의해 Y축 정방향으로 압박되고 있기 때문에, 아마추어(27-4)의 선단부(27-4b)는 밸브 시트(27-6f)와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5 구멍(88-55)과 제8 구멍(88-28)은 차단되어 있다.
코일(27-1)이 소정의 전류에 의해 통전되면, 요크(27-11), 보디 센터(27-3), 아마추어(27-4)에 자로가 형성되고, 보디 센터(27-3)와 아마추어(27-4) 사이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아마추어(27-4)는 Y축 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아마추어(27-4)의 선단부(27-4b)가 밸브 시트(27-6f)로부터 이격되면, 제5 구멍(88-55)과 제8 구멍(88-28)이 유통 구멍(27-7f), 축 방향 유로(27-5g), 제1 연통 구멍(27-6e) 및 제2 연통 구멍(23-7e)을 통해 연통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SS/V OUT(28)의 각 부위의 부호는, SS/V IN(27)에 있어서의 동일 부위의 부호 2728로 치환한 것으로 한다.
[축 방향의 장척화의 억제]
실시예 1의 제2 유닛(1B)에 있어서, 차단 밸브(21), SOL/V IN(22), 연통 밸브(23), 조압 밸브(24), SS/V IN(27), SS/V OUT(28)에는, 브레이크액의 흐름이 쌍방향으로 생기기 때문에, 오염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부재가 2개 필요하다. 종래의 전자 밸브에서는, 일방향으로부터의 오염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부재가 전자 밸브의 축 방향 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가 축 방향으로 장척화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는, 차단 밸브(21)에 있어서, 밸브 시트(21-6f)와 제2 연통 구멍(21-7e) 사이의 흐름로에 제1 필터 부재(21-8)가 설치되어 있다. 또, SOL/V IN(22), 연통 밸브(23), 조압 밸브(24), SS/V IN(27), SS/V OUT(28)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이에 따라,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고, 제2 유닛(1B)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1B)의 소형화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1)의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1)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는, 통전 시에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21(22, 23, 24, 27, 28)-1)과, 코일(21(22, 23, 24, 27, 28)-1)의 내주에 배치된 비자성체의 실린더(21(22, 23, 24, 27, 28)-2)와, 코일(21(22, 23, 24, 27, 28)-1)이 발생하는 전자력을 이용하여 실린더(21(22, 23, 24, 27, 28)-2) 내에서 실린더(21(22, 23, 24, 27, 28)-2)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플런저(21(22, 24)-4)/아마추어(23(27, 28)-4)와, 흐름로(21(22, 23, 24, 27, 28)-13)와, 흐름로(21(22, 23, 24, 27, 28)-13)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과,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의 주위에 형성되고 플런저(21(22, 24)-4)/아마추어(23(27, 28)-4)가 접촉하여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을 폐색하기 위한 밸브 시트(21(22, 23, 24, 27, 28)-6f)와, 흐름로(21(22, 23, 24, 27, 28)-13)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7e)과, 흐름로(21(22, 23, 24, 27, 28)-13)에 설치되고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과 제2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7e) 사이를 유통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는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를 구비했다.
따라서, 밸브 시트(21(22, 23, 24, 27, 28)-6f)와 제2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7e) 사이의 흐름로(21(22, 23, 24, 27, 28)-13) 내에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의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다.
(2) (1)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에 있어서, 바닥부(21(22, 23, 24, 27, 28)-6a)에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을 구비한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와,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개구부측에 감합하고 바닥부(21(22, 23, 24, 27, 28)-6a)에 제2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7e)을 구비한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를 구비하고, 흐름로(21(22, 23, 24, 27, 28)-13)는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와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따라서,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와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 사이의 공간 내에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의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다.
(3) (2)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에 있어서,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통형 벽은, 내주면에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통형 벽의 외주면(21-6g)에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1(22, 23, 24, 27, 28)-7g)과, 내측 접촉면(21(22, 23, 24, 27, 28)-7g)보다 개구부측에 형성되고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에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통 구멍(21(22, 23, 24, 27, 28)-7f)을 갖고,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외주측에 유통 구멍(21(22, 23, 24, 27, 28)-7f)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는 제2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통 구멍(21(22, 23, 24, 27, 28)-7f)으로부터 흐름로(21(22, 23, 24, 27, 28)-13)로 유입하는 오염물을 제2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9)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4) (3)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에 있어서, 제2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9)는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와 제2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9)가 축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의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다.
(5) (2)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에 있어서,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개구부측에는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바닥부측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바닥부(21(22, 23, 24, 27, 28)-6a)로부터 제1 단차부(21(22, 23, 24, 27, 28)-6d)를 통해 직경 확장한 대직경부(21(22, 23, 24, 27, 28)-6c)가 형성되고,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바닥부측에는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개구부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개구부로부터 제2 단차부(21(22, 23, 24, 27, 28)-7d)를 통해 직경 축소한 소직경부(21(22, 23, 24, 27, 28)-7b)가 형성되고, 공간(21(22, 23, 24, 27, 28)-13)은 제1 단차부(21(22, 23, 24, 27, 28)-6d)와 제2 단차부(21(22, 23, 24, 27, 28)-7d) 사이에 형성되고,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는 제1 단차부(21(22, 23, 24, 27, 28)-6d) 및 제2 단차부(21(22, 23, 24, 27, 28)-7d)와 축 방향으로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서로 대향 배치된 제1 단차부(21(22, 23, 24, 27, 28)-6d) 및 제2 단차부(21(22, 23, 24, 27, 28)-7d)를 이용하여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6) (5)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에 있어서, 공간(21(22, 23, 24, 27, 28)-13)은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에 있어서의 환형의 통형 벽의 내주면(21(22, 23, 24, 27, 28)-7g)에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에 있어서의 환형의 통형 벽의 외주면(21-6g)을 접촉하여 형성되고,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는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통형 벽의 내주면(21(22, 23, 24, 27, 28)-6h)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와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를 중첩하는 것만으로 공간(21(22, 23, 24, 27, 28)-13)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내측에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를 감입하는 것만으로 공간(21(22, 23, 24, 27, 28)-13) 내에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가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6)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에 있어서,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는 메시부(21-8a)와 메시부(21-8a)의 외주에 설치된 환형의 프레임(21-8b)을 갖고,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통형 벽의 내주면(21(22, 23, 24, 27, 28)-6h)과 프레임(21-8b)의 외주면(21-8c) 사이에 메시부(21-8a)의 눈의 크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내측에 프레임(21-8b)을 감입하는 것만으로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가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에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와 프레임(21-8b)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오염물이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8) (7)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에 있어서, 프레임(21-8b)은 축 방향에 있어서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내주면(21(22, 23, 24, 27, 28)-6h)과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내주면(21(22, 23, 24, 27, 28)-7g)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따라서,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내측에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를 감입하는 것만으로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가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9) (2)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에 있어서,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바닥부측에는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개구부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소직경부(21(22, 23, 24, 27, 28)-7b)가 형성되고, 소직경부(21(22, 23, 24, 27, 28)-7b)의 외주에는 하우징(타부재)(8)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21(22, 23, 24, 27, 28)-1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소직경부(21(22, 23, 24, 27, 28)-7b)에 의해 시일 부재(21(22, 23, 24, 27, 28)-10)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0) (2)에 기재된 전자 밸브(23(27, 28))에 있어서, 실린더(23(27, 28)-2)의 일단측에 고정된 보디 센터(23(27, 28)-3)와, 실린더(23(27, 28)-2) 내에서 보디 센터(23(27, 28)-3)와 아마추어(23(27, 28)-4)의 타단 사이에 수축 설치되고 아마추어(23(27, 28)-4)를 밸브 시트(23(27, 28)-6f)를 향하여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23(27, 28)-12)을 구비하고, 코일(23-1)이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아마추어(23(27, 28)-4)가 보디 센터(23(27, 28)-3)를 향하여 흡인된다.
따라서, 노멀 클로즈형 전자 밸브(23(27, 28))에 있어서,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다.
(11) (2)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4))에 있어서, 실린더(21(22, 24)-2) 내를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마추어(21(22, 24)-3)와, 실린더(21(22, 24)-2) 내에서 플런저(21(22, 24)-4)를 아마추어(21(22, 24)-3)를 향하여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21(22, 24)-12)을 구비하고, 코일(21(22, 24)-1)이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플런저(21(22, 24)-4)가 아마추어(21(22, 24)-3)와 함께 밸브 시트(21(22, 24)-6f)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노멀 오픈형 전자 밸브(21(22, 24))에 있어서,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다.
(12) (11)에 기재된 전자 밸브(21(22, 24))에 있어서, 실린더(21(22, 24)-2)는 일단측이 폐색되고 타단측이 개구하고, 실린더(21(22, 24)-2)의 타단측에 형성되고 플런저(21(22, 24)-4)가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수용 구멍(21(22, 24)-5d)과, 제1 수용 구멍(21(22, 24)-5d)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부(21(22, 24)-5f)와, 플런저(21(22, 24)-4)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플런저(21(22, 24)-4)의 타단측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21(22, 24)-4a)를 구비하고, 코일 스프링(21(22, 24)-12)은 걸림부(21(22, 24)-5f)와 대직경부(21(22, 24)-4a) 사이에 수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노멀 오픈형 전자 밸브(21(22, 24))에 있어서,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다.
(13) 제2 유닛(1B)은, 내부에 유로를 구비한 하우징(8)과, 하우징(8)의 일측면에 개구하고 유로와 접속하는 밸브체 수용 구멍(841(842, 843, 844, 847, 848))과, 하우징(8)에 있어서 밸브체 수용 구멍(841(842, 843, 844, 847, 848))의 축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고 통전 시에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21(22, 23, 24, 27, 28)-1)과, 코일(21(22, 23, 24, 27, 28)-1)의 내주에 배치된 비자성체의 실린더(21(22, 23, 24, 27, 28)-2)와, 코일(21(22, 23, 24, 27, 28)-1)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을 이용하여 실린더(21(22, 23, 24, 27, 28)-2) 내에서 실린더(21(22, 23, 24, 27, 28)-2)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플런저(21(22, 24)-4)/아마추어(23(27, 28)-4)와, 바닥부(21(22, 23, 24, 27, 28)-6a)에 형성된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과 플런저(21(22, 24)-4)/아마추어(23(27, 28)-4)가 접촉하여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을 폐색하기 위한 밸브 시트(21(22, 23, 24, 27, 28)-6f)를 갖는 바닥이 있는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와, 밸브체 수용 구멍(841(842, 843, 844, 847, 848)) 내에 고정되고 바닥부(21(22, 23, 24, 27, 28)-7a)에 제2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7e)이 형성된 바닥이 있는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와,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개구부측과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개구부측이 감합하여 형성된 내부 유로(21(22, 23, 24, 27, 28)-13)와, 내부 유로(21(22, 23, 24, 27, 28)-13)에 설치된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를 갖는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를 구비했다.
따라서, 흐름로(21(22, 23, 24, 27, 28)-13) 내에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의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고, 제2 유닛(1B)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14) (13)에 기재된 제2 유닛(1B)에 있어서,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통형 벽은, 내주면에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의 통형 벽의 외주면(21(22, 23, 24, 27, 28)-6g)에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21(22, 23, 24, 27, 28)-7g)과, 내측 접촉면(21(22, 23, 24, 27, 28)-7g)보다 개구부측에 형성되고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에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통 구멍(21(22, 23, 24, 27, 28)-7f)을 구비하고,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의 외주측에 유통 구멍(21(22, 23, 24, 27, 28)-7f)으로 유입하는 브레이크액을 여과하는 제2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통 구멍(21(22, 23, 24, 27, 28)-7f)으로부터 흐름로(21(22, 23, 24, 27, 28)-13)로 유입하는 오염물을 제2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9)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15) (14)에 기재된 제2 유닛(1B)에 있어서, 제2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9)는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와 제2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9)가 축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의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다.
(16) 브레이크 장치(1)는, 내부에 유로를 구비한 하우징(8)과, 하우징(8)의 일측면에 개구하고 유로와 접속하는 복수의 밸브체 수용 구멍(841(842, 843, 844, 847, 848))과, 하우징(8)에 있어서 각 밸브체 수용 구멍(841(842, 843, 844, 847, 848))의 축 방향의 위치에 배치되고, 통전 시에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21(22, 23, 24, 27, 28)-1)과, 각 코일(21(22, 23, 24, 27, 28)-1)의 내주에 배치된 비자성체의 실린더(21(22, 23, 24, 27, 28)-2)와, 코일(21(22, 23, 24, 27, 28)-1)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을 이용하여 실린더(21(22, 23, 24, 27, 28)-2) 내에서 실린더(21(22, 23, 24, 27, 28)-2)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플런저(21(22, 24)-4)/아마추어(23(27, 28)-4)와, 바닥부(21(22, 23, 24, 27, 28)-6a)에 형성된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과 플런저(21(22, 24)-4)/아마추어(23(27, 28)-4)가 접촉하여 제1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6e)을 폐색하기 위한 밸브 시트(21(22, 23, 24, 27, 28)-6f)를 구비한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와, 밸브체 수용 구멍(841(842, 843, 844, 847, 848)) 내에 고정되고 바닥부(21(22, 23, 24, 27, 28)-7a)에 제2 연통 구멍(21(22, 23, 24, 27, 28)-7e)이 형성된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와, 시트 부재(21(22, 23, 24, 27, 28)-6)와 보디 부재(21(22, 23, 24, 27, 28)-7)에 의해 위요되고 브레이크액이 유통하는 내부 공간(21(22, 23, 24, 27, 28)-13)과, 내부 공간(21(22, 23, 24, 27, 28)-13)에 설치된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를 갖는 복수의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를 구비했다.
따라서, 흐름로(21(22, 23, 24, 27, 28)-13) 내에 제1 필터 부재(21(22, 23, 24, 27, 28)-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밸브(21(22, 23, 24, 27, 28))의 축 방향의 장척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고,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또는,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1 필터 부재는, 시트 부재와 보디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시트 부재의 개구부측과 보디 부재의 개구부측이 감합하여 형성된 내부 유로) 내이면,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의 차단 밸브(21)에서는, 제1 필터 부재(21-8)가 보디 부재(21-7)의 소직경부(21-7b)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 15의 차단 밸브(21)에서는, 제1 필터 부재(21-8)가 시트 부재(21-6)의 소직경부(21-6b)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구성은 노멀 클로즈형 전자 밸브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6의 SS/V IN(27)에서는, 필터 부재(27-8)가 보디 부재(27-7)의 소직경부(27-7b)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 17의 SS/V IN(27)에서는, 제1 필터 부재(27-8)가 시트 부재(27-6)의 소직경부(27-6b)에 장착되어 있다.
본원은, 2015년 9월 8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15-17663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5년 9월 8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15-176636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로서 본원에 도입된다.
8: 하우징
841, 842, 843, 844, 847, 848: 밸브체 수용 구멍(장착 구멍)
21(22, 23, 24, 27, 28)-1: 코일
21(22, 23, 24, 27, 28)-2: 실린더
21(22, 24)-3: 아마추어(가동 철심)
23(27, 28)-3: 보디 센터(고정 철심)
21(22, 24)-4: 플런저(밸브체)
23(27, 28)-4: 아마추어(밸브체, 가동 철심)
21(22, 24)-5: 밸브 보디
23(27, 28)-5: 플랜지 링
21(22, 23, 24, 27, 28)-6: 시트 부재
21(22, 23, 24, 27, 28)-6e: 제1 연통 구멍
21(22, 23, 24, 27, 28)-6f: 밸브 시트
21(22, 23, 24, 27, 28)-7: 보디 부재
21(22, 23, 24, 27, 28)-7e: 제2 연통 구멍
21(22, 23, 24, 27, 28)-8: 제1 필터 부재(필터 부재)
21(22, 23, 24, 27, 28)-9: 제2 필터 부재
21(22, 23, 24, 27, 28)-10: 시일 부재
21(22, 23, 24, 27, 28)-11: 요크
21(22, 23, 24, 27, 28)-12: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
21(22, 23, 24, 27, 28)-13: 흐름로(내부 유로, 내부 공간)

Claims (20)

  1. 전자 밸브로서,
    통전 시에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된, 비자성체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코일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실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밸브체와,
    흐름로(流路)와,
    상기 흐름로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연통 구멍과,
    상기 제1 연통 구멍의 주위에 형성된 밸브 시트로서, 상기 밸브체가 접촉하여 상기 제1 연통 구멍을 폐색하기 위한 밸브 시트와,
    상기 흐름로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연통 구멍과,
    상기 흐름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통 구멍과 상기 제2 연통 구멍 사이를 유통하는 유체를 여과하는 제1 필터 부재
    를 구비한 전자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통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를 갖는 시트 부재와,
    상기 제2 연통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를 갖고, 상기 시트 부재의 개구부측에 감합하는 보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흐름로는,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보디 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것인 전자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부재의 통형 벽은,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주면은, 상기 시트 부재의 통형 벽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과, 상기 내측 접촉면보다 개구부측에 형성된 유통 구멍으로서, 상기 제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유로(油路)를 형성하는 유통 구멍을 갖고,
    상기 유통 구멍에 유입하는 유체를 여과하는 제2 필터 부재가, 상기 보디 부재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전자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 부재는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전자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의 개구부측에는, 상기 시트 부재의 바닥부측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시트 부재의 바닥부로부터 제1 단차부를 통해 직경 확장한 대직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디 부재의 바닥부측에는, 상기 보디 부재의 개구부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보디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제2 단차부를 통해 직경 축소한 소직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제1 단차부와 상기 제2 단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 부재는 상기 제1 단차부와 상기 제2 단차부 중 적어도 한쪽에 걸어 맞추는 것인 전자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시트 부재에 있어서의 환형의 통형 벽의 외주면이 상기 보디 부재에 있어서의 환형의 통형 벽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 부재는 상기 시트 부재의 통형 벽의 내주면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인 전자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 부재는, 메시부와, 상기 메시부의 외주에 설치된 환형의 프레임을 갖고,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통형 벽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메시부의 눈의 크기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자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내주면과 상기 보디 부재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것인 전자 밸브.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부재의 바닥부측에는 상기 보디 부재의 상기 개구부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소직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의 외주에는 타부재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인 전자 밸브.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일단측에 고정된 고정 철심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밸브체 사이에 수축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하여 압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상기 고정 철심을 향하여 흡인되는 것인 전자 밸브.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를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철심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가동 철심을 향하여 압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상기 가동 철심과 함께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인 전자 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폐색한 일단과, 개구한 타단을 갖고,
    상기 실린더의 상기 타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가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 구멍과,
    상기 삽입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밸브체의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의 타단측보다 직경이 큰 대직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대직경부 사이에 수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전자 밸브.
  13. 액압 제어 장치로서,
    내부에 유로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있어서 개구하고, 상기 유로와 접속하는 구멍과,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축 방향을 따른 위치에 배치되고, 통전 시에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에 배치된, 비자성체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코일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실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밸브체와,
    제1 연통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밸브체가 접촉하여 상기 제1 연통 구멍을 폐색하기 위한 밸브 시트를 갖는 바닥이 있는 시트 부재와,
    제2 연통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를 갖고, 상기 구멍 내에 고정되는 바닥이 있는 보디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개구부측과 상기 보디 부재의 개구부측이 감합하여 형성된 내부 유로와,
    상기 내부 유로에 설치된 제1 필터 부재
    를 갖는 전자 밸브를 구비한 액압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부재의 통형 벽은,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주면은, 상기 시트 부재의 통형 벽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내측 접촉면과, 상기 내측 접촉면보다 개구부측에 형성된 유통 구멍으로서, 상기 제1 연통 구멍에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유통 구멍에 유입하는 유체를 여과하는 제2 필터 부재가, 상기 보디 부재의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액압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 부재는 상기 제1 필터 부재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액압 제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로서,
    상기 실린더의 일단측에 고정된 고정 철심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밸브체 사이에 수축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하여 압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상기 고정 철심을 향하여 흡인되는 노멀 클로즈형 전자 밸브와,
    상기 실린더 내를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철심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가동 철심을 향하여 압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상기 가동 철심과 함께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하여 이동하는 노멀 오픈형 전자 밸브
    를 구비한 것인 액압 제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 부재의 바닥부측에는 상기 보디 부재의 개구부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소직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직경부의 외주에는 타부재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인 액압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의 개구부측에는, 상기 시트 부재의 바닥부측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상기 시트 부재의 바닥부로부터 제1 단차부를 통해 직경 확장한 대직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디 부재의 바닥부측에는, 상기 보디 부재의 개구부측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보디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제2 단차부를 통해 직경 축소한 소직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유로는 상기 제1 단차부와 상기 제2 단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 부재는 상기 제1 단차부와 상기 제2 단차부 중 적어도 한쪽에 걸려 있는 것인 액압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는, 상기 시트 부재에 있어서의 환형의 통형 벽의 외주면이 상기 보디 부재에 있어서의 환형의 통형 벽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1 필터 부재는 상기 시트 부재의 통형 벽의 내주면에 면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인 액압 제어 장치.
  20. 브레이크 장치로서,
    내부에 유로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있어서 개구하고, 상기 유로와 접속하는 복수의 장착 구멍과,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각 장착 구멍의 축 방향을 따른 위치에 배치되고, 통전 시에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각 코일의 내주에 배치된, 비자성체로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코일이 발생시키는 전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실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밸브체와,
    제1 연통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밸브체가 접촉하여 상기 제1 연통 구멍을 폐색하기 위한 밸브 시트를 구비한 시트 부재와,
    제2 연통 구멍이 형성된 바닥부를 갖고, 상기 장착 구멍 내에 고정되는 보디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와 상기 보디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브레이크액이 유통하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된 필터 부재
    를 갖는 복수의 전자 밸브를 구비한 브레이크 장치.
KR1020187006206A 2015-09-08 2016-08-17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 KR20180037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6636 2015-09-08
JP2015176636A JP6521807B2 (ja) 2015-09-08 2015-09-08 電磁弁、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装置
PCT/JP2016/073955 WO2017043269A1 (ja) 2015-09-08 2016-08-17 電磁弁、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029A true KR20180037029A (ko) 2018-04-10

Family

ID=5823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206A KR20180037029A (ko) 2015-09-08 2016-08-17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51108A1 (ko)
JP (1) JP6521807B2 (ko)
KR (1) KR20180037029A (ko)
CN (1) CN108027079A (ko)
DE (1) DE112016004068T5 (ko)
WO (1) WO2017043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3493B2 (ja) * 2016-03-18 2019-12-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弁およびブレーキ装置
JP2018163074A (ja) * 2017-03-27 2018-10-18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油圧センサ取付構造
JP6838461B2 (ja) * 2017-03-30 2021-03-03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油圧センサ取付構造
JP6916033B2 (ja) * 2017-04-24 2021-08-11 株式会社Soken 電磁弁
KR102183953B1 (ko) * 2019-08-27 2020-1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부스터를 이용한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33180A (ko) * 2019-09-18 2021-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부스터를 이용한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783484B1 (ja) * 2020-03-09 2020-11-11 金子産業株式会社 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872U (ko) * 1985-11-29 1987-06-10
DE4141751A1 (de) * 1991-12-18 1993-06-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schalten einer drucksteuereinrichtung
DE19635693A1 (de) * 1996-09-03 1998-03-05 Bosch Gmbh Robert Magnetventil für eine schlupfgeregelt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WO1999044872A1 (de) * 1998-03-03 1999-09-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JP2004340325A (ja) * 2003-05-19 2004-12-02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電磁弁
US7246632B2 (en) * 2004-03-30 2007-07-24 Nissin Kogyo Co., Ltd. Normally-closed electromagnetic valv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DE102004048861A1 (de) * 2004-10-07 2006-04-20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Ventil, insbesondere für Bremskraftanlagen in Kraftfahrzeugen
DE102007007784B4 (de) * 2007-02-16 2019-01-24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JP4412343B2 (ja) * 2007-03-30 2010-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DE102007027184A1 (de) * 2007-06-13 2008-12-18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KR100863548B1 (ko) * 2007-11-13 2008-10-15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100003784A (ko) * 2008-07-02 2010-01-1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및 그 제조방법
CN201322017Y (zh) * 2008-12-12 2009-10-0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直动型电液伺服阀的气压平衡式端盖
JP2010223364A (ja) * 2009-03-24 2010-10-0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磁弁
DE102009055293A1 (de) 2009-12-23 2011-06-30 Robert Bosch GmbH, 70469 Magnetventilvorrichtung
DE102010029384A1 (de) * 2010-05-27 2011-12-0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Steuerung des Druckes in einem Hydrauliksystem, insbesondere in einem elektronisch geregelten Brems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5409686B2 (ja) * 2011-03-31 2014-02-05 日信工業株式会社 常開型電磁弁
DE102012205503A1 (de) * 2012-04-04 2013-10-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schlupfgeregelte Kraftfahrzeugbremsanlagen
DE102012206791B4 (de) * 2012-04-25 2024-03-28 Robert Bosch Gmbh Ventilpatrone für ein stellbares Ventil und zugehöriges Magnetventil
JP6050705B2 (ja) * 2013-03-13 2016-12-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弁
JP2015176636A (ja) 2014-03-12 2015-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中空箱状筐体の封止構造および該封止構造の形成方法
KR101907036B1 (ko) * 2014-04-11 2018-10-12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DE102014225251A1 (de) * 2014-12-09 2016-06-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schlupfgeregelte Kraftfahrzeugbremsanlagen
DE102015205543A1 (de) * 2015-03-26 2016-09-29 Robert Bosch Gmbh Hydraulikblock für ein Hydroaggregat einer Bremsregelung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21807B2 (ja) 2019-05-29
US20180251108A1 (en) 2018-09-06
CN108027079A (zh) 2018-05-11
DE112016004068T5 (de) 2018-05-30
JP2017053401A (ja) 2017-03-16
WO2017043269A1 (ja)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7029A (ko) 전자 밸브,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
KR101991211B1 (ko)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91212B1 (ko) 액압 제어 장치 및 브레이크 시스템
JP6721207B2 (ja) ブレーキ装置、ブレーキシステムおよびマスタシリンダ
JP6521309B2 (ja) ブレーキ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WO2017056690A1 (ja)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CN108349463B (zh) 液压控制装置以及制动系统
JP6493758B2 (ja) ポンプ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WO2017029988A1 (ja) ブレーキ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2016102563A (ja) ブレーキ装置及び電磁弁
JP6613485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制御方法
CN109311459B (zh) 液压控制装置及制动系统
JP2019018816A (ja) ブレーキ装置およびマスタシリンダ
JP2018012377A (ja) ブレーキ装置およびマスタ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