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663A -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663A
KR20180050663A KR1020187006951A KR20187006951A KR20180050663A KR 20180050663 A KR20180050663 A KR 20180050663A KR 1020187006951 A KR1020187006951 A KR 1020187006951A KR 20187006951 A KR20187006951 A KR 20187006951A KR 20180050663 A KR20180050663 A KR 2018005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eat
child car
folding
folding memb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3574B1 (ko
Inventor
마틴 포스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8665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5066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5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side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로서, 상기 어린이 카시트는 시트 부재(10), 특히 시트 쉘, 및 바람직하게 폴딩 부재(11)를 포함하며 특히 표준 폭 내에 위치된 휴지 위치로부터 특히 휴지 위치의 외측에 위치된 기능적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반대로 이동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린이 카시트는 위치 변경 장치를 가지고, 상기 위치 변경 장치는 상기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휴지 위치로부터 또는 휴지 위치와 기능적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부터 기능적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CHILD CAR SEAT FOR ATTACHING TO A MOT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child car seat)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어린이 카시트"는(고전적) 어린이 카시트 및 베이비 시트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문맥에서 어린이 카시트에 제공되는 특징은 기본적으로 베이비 시트에 적용가능하고 아무런 언급이 없는 한 반대로도 언급된다. 용어 "어린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어린이들 및 베이비들 뿐만 아니라 영유아들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도 이해된다.
자동차 시트에 부착될 수 있는 어린이 카시트 및 베이비 시트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어린이 카시트 또는 베이비 시트는 영유아들, 베이비들 및 어린이들을 위한 좌석 설비(seating accommodation)로서 사용되며, 특히 사고의 경우에 이들을 한층 더 보호한다. 이러한 유형의 어린이 카시트는 자동차의 벨트 시스템 또는 이소픽스 디텐트(isofix detent)에 의해 체결된다. 이러한 유형의 체결은 자동차 시트 상에 어린이 카시트를 고정시켜, 특히 후방 충돌(충격)의 경우에, 어린이 카시트가 자동차 시트 상에 유지되고 전방을 향하여 던져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벨트 체결 및 아이소픽 디텐트에 의한 체결은 시트의 측방향 이동에 대한 어린이 카시트 또는 베이비 시트의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 시트는 측면 충격의 경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예를 들어 WO 2013/189819 A에 기술된 것과 같이, 어린이 카시트에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장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어린이 카시트에서, 시트 쉘(sheet shell) 및 이에 적용된 측면 충격 보호 부재가 제공되는데, 이 부재는 휴지(resting) 위치로부터 기능적(functional)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충격 보호 부재는 어린이 카시트 시트에 앉아 있는 어린이의 등 뒤쪽에 임의의 측방향 힘을 전달하여 시트 쉘로 안내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유형의 측면 충격 보호 부재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측면 충격의 결과에 대한 보호는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간주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충격에 대한 개선된 보호를 특징으로 하며, 특히 측면 충격 보호 부재의 기능적 위치의 조작성 및 설정을 단순화하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어린이 카시트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상기 목적은 시트 부재, 특히 시트 쉘, 및 바람직하게 폴딩(folding) 부재(11)를 포함하고, 특히 표준 폭 내에 위치된 휴지 위치로부터 특히 휴지 위치의 외측에 위치된 기능적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반대로 이동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에 의해 해결되는데, 상기 어린이 카시트는 위치 변경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변경 장치는 상기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휴지 위치로부터 또는 휴지 위치와 기능적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부터 기능적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준 폭은 바퀴 달린 차량에 고정되고 및/또는 사용될 수 있는 바퀴 달린 차량, 장비 및 부품에 대한 통일된 기술적 처방의 채택에 대한 협약 및 이러한 처방에 근거하여 인정된 상호 승인을 위한 조건(1995년 10월 16일 발효된 보정을 포함하는 개정본 2), E/ECE/324, E/ECE/TRANS/505, Rev. 1/ADD.15/2009년 5월 19일에 작성된 Rev. 6, 부속서 17 - 부록 2에 따르면 44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점은 위치 변경 장치가 제공되어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기능적 위치로 독립적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라 손으로 수행되는 기능적 위치로의 유지 또는 이동의 결과로서, 예를 들어 로킹이 (정확하게) 트리거링되지 않을 때 또는 휴지 위치와 기능적 위치 사이의 단 하나의 중간 위치가 설정될 때 안전상의 허점이 있다고 확인되었다. 따라서,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그 기능적 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 변경 장치의 작업은 사용자로부터 제거된다. 전반적으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근본적으로 독립적인 측면(그러나 전술한 측면과 결합될 수도 있음)에 따르면, 시트 부재(시트 쉘) 및 특히 표준 폭 내에 위치된 휴지 위치로부터 특히 휴지 위치의 외측에 위치된 기능적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반대로 이동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가 제안되고, 상기 측면 충격 보호 부재는 폴딩 부재를 포함하며, 시트 부재의 외부 벽의 지지 섹션은 폴딩 부재가 시트 부재의 외부 벽의 지지 섹션에 의한 폴딩 및/또는 결합 중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언폴딩된 상태의) 기능적 위치에 있는 폴딩 부재는 시트 부재의 (상기) 외부 벽의 (상기) 지지 섹션에 수용(유지 또는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적인 측면은 폴딩 부재를 휴지 위치로부터 기능적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또는 폴딩 부재를 기능적 위치에 (결합) 수용 (유지) 하기 위해 시트 부재의 외부 벽을 사용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어린이 카시트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오작동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특히, WO 2013/189819 A1에 따라 제안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retaining) 볼트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actuating device)가 제공되는데, 이는 상기 작동 장치가 작동되거나 작동되었을 때 위치 변경 장치가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휴지 위치로부터 또는 휴지 위치와 기능적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위치 변경 장치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작동을 추가로 단순화시킨다.
"중간 위치"는 특히 측면 충격 보호 부재가 휴지 위치로부터 기능적 위치로 부분적으로만 이동되는,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만 폴딩된 상태(예: 전체 개방 각도의 10-80%, 더 바람직하게 10-60%에 대응하는 각도 만큼 또는 예를 들어 특히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전체 연장 거리의 10-90%, 특히 10-60%만큼 부분적으로만 연장되는) 위치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중간 위치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의 원위단(distal end)이 휴지 위치와 기능적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측면 방향으로의 거리의 10-90%, 바람직하게 10-60%를 커버할 때 존재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측면 충격 보호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능적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폴딩되고, 피봇되고, 연장되고 및/또는 푸싱되고 및/또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당겨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 장치는 작동 버튼, 바람직하게 언로킹 버튼, 특히 푸시 버튼 또는 슬라이딩 버튼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조작성이 한층 더 단순화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특정 실시 예에서, 폴딩 부재 및/또는 작동 장치는 지지 부재의 외부 벽에 매립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트 부재의 외부 벽의 인접한 표면에 대한 오버행(overhang)을 갖는 측면 부착이 또한 가능하다. 특히, 폴딩 부재 및/또는 작동 장치는 시트 부재의 외부 벽 내로 폴딩딜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린이 카시트가 미리 정의된 폭, 특히 휴지 위치에 제공되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의 결과로서 어린이 카시트의 표준 폭 또는 엔벨로프 커브(envelope curve)를 넘어서 돌출하지 않으며, 폴딩 부재가 제자리에 있을 때, 부가적으로 어린이 카시트의 관리성을 선호하는, 어린이 카시트의 통상의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능적 위치에서, 폴딩 부재는 시트 부재의 외부 벽에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폴딩 부재의 섹션 만이 외부 벽에 걸쳐 돌출한다. 바람직하게, 기능적 위치에서, 폴딩 부재는 시트 부재의 외부 벽에 걸쳐 그 길이의 적어도 50%, 더 바람직하게 적어도 70%, 그러나 최대 90%, 바람직하게 80% 돌출한다.
특정 실시 예에서, 위치 변경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특히 하나의 인장(tension) 스프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시트 부재의 외부 벽의 (상기) 지지 섹션은 위치 변경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가늘고 긴(elongate) 구멍이 회전 축의(슬라이딩) 수용을 위해, 바람직하게 폴딩 부재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에 의해,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그 기능적 위치로 밀어주는 간단한 방식으로 힘이 제공될 수 있다. 시트 부재의 외부 벽의 섹션들이 시트 이동 장치의 일부로서 사용되면, 전체 구조물이 단순화되고 안전성이 개선된다. (예를 들어 시트 부재상의 고정 된 위치에 부착된) 회전축의 (슬라이딩) 수용을 위한 가늘고 긴 구멍은 폴딩 부재가 동시에 간단한 방식으로 회전하여 그 기능적 위치(특히 로킹되어 있는)로 이동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늘고 긴 구멍은 폴딩 부재의 동시 회전 및 병진 변위를 허용한다. 전체적으로 핸들링이 더욱 단순화된다.
바람직하게, 기능적 위치에서 폴딩 부재의 근위단은 특히 시트 부재의 외부 벽의 리테이닐 섹션(리테이닝 리셉터클)에 결합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리테이닝 또는 결합 기능은 시트 부재의 다르게 제공된 외부 벽과 함께 폴딩 부재 자체에 의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 지지 섹션은 가이드 섹션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섹션은 폴딩 부재의 (상기) 근위단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언폴딩 동안) 가이드 섹션 상에서 강제적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가이드 섹션은 스프링 힘(또는 다른 압축력 또는 인장력)에 의해 근위단이 언폴딩 동안 가이드 섹션에 가압되어 가이드 섹션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으로, 이것은 한정된 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폴딩 동안 특정 지지체가 제공되어 전체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전반적으로 구성요소가 거의 없어 핸들링이 용이해지고, 이는 또한 암시적으로 안전성 향상을 의미한다.
폴딩 부재의 근위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지지 섹션 및/또는 가이드 섹션 및/또는 리테이닝 섹션(리테이닝 리셉터클)은 리세스 및/또는(내측으로) 만곡된 (오목한) 리셉터클을 가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폴딩 부재 또는 지지 섹션 또는 지지 섹션 부분의 이러한 형성은 폴딩 부재의 단순화된 안내 및 리테이닝(결합)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작동이 단순화된다.
리테이닝 섹션은 가이드 섹션에 인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닝 섹션은 가이드 섹션에 대해 절곡된다(bent). 결과적으로, 리테이닝 섹션과 가이드 섹션 사이에 명확하게 한정된 경계가 존재하여, 한편으로는 폴딩 부재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안내될 수 있고, 그 다음(이 경계를 넘어갈 때) 리테이닝 섹션 내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선택적으로 거기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어린이 카시트의 기능성, 특히 핸들링 및 작동이 단순화된다.
기능적 위치에서, 폴딩 부재는 폴딩 부재를 당김으로써, (예를 들어, 원위단에서), 휴지 위치로의 이동이 (단지) 가능하도록, 특히 기능적 위치에서의 로킹은 (단지) 당겨서 취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능적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의 이동은 자동적으로 발생하지 않고(그러나 또한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음), 휴지 위치로부터 기능적 위치로의 이동에 관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수동으로 수행된다. 이것은 전체 시스템을 더 단순화한다. 특히, 반대의 경우(기능적 위치에서 휴지 위치로의 이동)에, 휴지 위치가 궁극적으로 완전히 도달되었거나 중간 위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안전성 관련이 낮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바람직하게, 폴딩 부재는 기능적 위치에서, 특히 (휴지 위치로의) (원치않는) 폴딩에 대해 기능적 위치에 로킹된다. 이것은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폴딩 부재, 특히 근위-원위 방향으로 진행하는 섹션은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아이디어는 또한 독립적으로 (아마도 위의 측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결합하여) 개시되고 청구된다. 폴딩 부재의 절곡된 디자인의 결과로서, 이것은 공간 절약 방식으로 휴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동시에 측면 충돌에 대해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폴딩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위-원위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아치형(arcuate)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폴딩 부재는 근위-원위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면 및 절곡된 하부면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방안의 결과로서, 폴딩 부재는 시트 부재의 외측 벽에 효과적으로 매립 될 수 있다(전체적으로 공간을 절약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근위-원위 방향은 폴딩 부재의 근위단에서 원위단으로 진행하는 방향에 의해 정의된다.
원칙적으로, 단 하나의 측방향으로 부착된 측면 충격 보호 부재 또는 폴딩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하게, 대응하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가 어린이 카시트의 양 측면에 제공된다. 이들은 (각 구조의 미러링은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충격 보호 부재를 2개 이상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양 측면에 각각 2개씩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종속항들로부터 얻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카시트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어린이 카시트의 다른 섹션을 도시하고;
도 3은 어린이 카시트의 내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어린이 카시트의 다른 섹션을 도시하고;
도 4는 부분적으로 폴딩된 폴딩 부재를 갖는 도 3과 유사한 어린이 카시트의 섹션을 도시하고;
도 5는 완전히 폴딩된 폴딩 부재를 갖는 도 3 및 도 4와 유사한 어린이 카시트의 섹션을 도시하고;
도 6은 개략 측면도에서 폴딩된 폴딩 부재를 갖는 어린이 카시트의 섹션을 도시하고;
도 7은 어린이 카시트의 일부를 통한 섹션을 도시하고;
도 8은 폴딩 부재의 제 2 위치에서의 도 7과 유사한 섹션을 도시하고;
도 9는 폴딩 부재의 추가 위치에서의 도 8 및 도 9와 유사한 섹션을 도시하고;
도 10은 폴딩 부재의 기능적 위치에서의 도 7 내지 도 9와 유사한 섹션을 도시하고;
도 11은 어린이 카시트의 내부의 뷰가 노출된 어린이 카시트의 섹션을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카시트의 측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품 및 동일한 효과를 갖는 동일한 부품에 대해 사용된다.
도 1은 도 12에 따른 어린이 카시트의 상부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어린이 카시트는 시트 부재(시트 쉘)(10) 및 측면 충격 보호 부재, 즉 폴딩 부재(11) 및 언로킹 버튼(12)을 포함한다. 도 1 및 특히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폴딩 부재(11) 및 언로킹 버튼(12)은 시트 부재(10)의 외부면(13)에 매립되어 언로킹 버튼(12)과 폴딩 부재(11)(도 2 참조)는 시트 부재(10)의 외부면의 인접 섹션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넘어 간다. 도 1 및 도 2에서, 폴딩 부재(11) 및 언로킹 버튼(12)에 인접한 외부면(13)의 부분은 (비교적 편평한) 돌출부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폴딩 부재는 이미 외측으로 약간 변위되어 측면 충격 보호 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언로킹 버튼(12)은 축 방향으로 장착되지만, 슬라이드 버튼일 수도 있고 다르게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언로킹 버튼은 푸시 버튼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로킹 버튼(12) 또는 폴딩 부재(11)는 또한 외부면(13)에 부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이로부터 돌출됨).
도 1 및 도 2에서, 폴딩 부재(11)는 휴지 위치에 위치된다.
어린이 카시트의 내부가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는 도 3에 따른 도면에서, 폴딩 부재(11)가 더 상세하게 도시된다. 특히, 폴딩 부재(11)는 폴딩 부재(11)에 제공된 가늘고 긴 구멍(15)에 의해 축(14) 상에 장착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폴딩 부재(11)는 한편으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다른 한편으로 이 축을 갖는 가늘고 긴 구멍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폴딩 부재(11)의 근위단(17)에 대한 리셉터클(16)은 도 3으로부터 추가로 추론될 수 있다. 이 리셉터클(16)에서, 폴딩 부재는 기능적 위치(도 3에 도시되지 않음)에 수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16)(포켓)은 본 실시 예에 따라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지만, (직접적으로) 시트 부재(시트 쉘)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 즉 시트 부재의 외부 벽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도 3에서는 볼 수 없음)은 도시되는데, 작동 버튼(12)을 트리거링할 때 폴딩 부재(11)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기능적 위치를 채택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도 4는 작동 버튼(12)이 트리거링된 직후에 채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원칙적으로, 이것은 폴딩 부재(11)를 도 3에 따른 휴지 위치로부터 도 5에 따른 기능적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시퀀스(회전) 동안 임의로 선택된 중간 위치이다. 따라서, 도 5는 기능적 위치, 즉 폴딩 부재(11)의 단부 위치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폴딩 부재(11)의 근위단(17)은 리셉터클(16)에 수용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에지(18)는 폴딩 부재(11)의 근위단(17)에서 절곡되게(볼록하게) 구성된다. 유사하게, 리셉터클(16)은 또한 절곡되게(오목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근위단(17)은 리셉터클(16)에 접촉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바람직한 억지 끼워 맞춤(tight fit)이 달성된다(이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피봇식 폴딩 부재(11)를 갖는 어린이 카시트의 측면도의 일부를 도시한다. 시트 부재(10)는 폴딩 부재(11)의 근위단(17)이 폴딩 동안 슬라이딩할 수 있는 가이드면(19)을 가진다. 스프링(여기서는 볼 수 없다)은 근위단(17) 또는 그것의 단부 에지(18)가 가이드면(19) 상에 가압되는 것을 보장한다. 가이드면(19)은 또한 볼록하게(부분적으로), 즉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부재는 특히 근위단(18)에서 원위단(20)(도 6 참조)으로 진행하는 근위-원위 방향으로 만곡되게 디자인된다. 결과적으로, 폴딩 부재(11)는 외부 벽(13)에 특히 유리하게 매칭된다.
근위-원위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폴딩 부재(11)는 편평한 상부면(21) 및 만곡된 하부면(22)을 가지며, 여기서 "상부"는 폴딩 상태에서 이 표면이 시트 부재(10)로부터 멀어지며, 따라서 "하부"는 대응하는 표면이 폴딩 상태에서 시트 부재 쪽으로 향하는 사실에 관련된다. 폴딩 부재의 단면은 근위-원위 방향으로 대략 반달(half-moon) 형상이다(따라서, 상부면(21)은 적어도 약간 오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가이드면(19)(도 6 참조)은 폴딩 부재(11)가 스프링과 협력하여 기능적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보장한다.
스프링과의 협력은 도 7 내지 도 11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도 7은 어린이 카시트의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폴딩 부재(11)는 휴지 위치에 위치된다. 작동 버튼(12)(도 7에 도시되지 않음, 도 1 및 도 2 참조)이 작동되면, 폴딩 부재(11)의 원위단(또한 도 7에 도시되지 않음)(도 6 참조)은 도 7에 도시된 스프링 부재(31)의 스프링력의 결과로서 폴딩 부재(11)의 근위단(17)이 리셉터클 또는 가이드면(19)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이는 도 8에 도시됨).
이해를 돕기 위해, 스프링 부재(31)는 서스펜션 포인트들(32) 사이에서 작용하거나 또는 이들에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도면에 도시된 스프링은 순수하게 개략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원위단(17)이 가이드면(19)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동안, 폴딩 부재(11)는 도 9에 도시된 중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중간 위치에서, 원위단 에지(18)는 가이드면(19)과 리셉터클(16) 사이의 위치에 (정확하게) 있다. 이제 스프링(31)이 더 작용하면, 원위단(17)은 도 10의 단부 위치(기능적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리셉터클(16) 내로 슬라이딩한다. 리셉터클(16) 내로의 이런 슬라이딩 동안, 축(14)은 가늘고 긴 구멍(15)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러한 이유로, 가늘고 긴 구멍(15)은 근위-원위 방향으로 배향된다.
도 11은 기능적 위치에 있는 폴딩 부재(11)를 도시한다. 폴딩 부재(11)가 이제 화살표(23)의 방향으로 당겨지면, 근위단(17)는 리셉터클(16)(도 9 및 도 10의 반대의 경우를 참조)로부터 외부로 이동하여, 도 9에 따른 위치에 도달한 후 다시 폴딩될 수 있고, 따라서 휴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극복해야 하는 스프링의 인장력에 대해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제 폴딩 부재(암)를 편평한 (닫힌)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기 위해, 이것이 잠깐 당겨져서 들어 올려지고, 그 다음 다시 로킹 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면 충분할 수 있다.
리셉터클(16)(포켓)은 후방 충돌(충격)의 경우에 폴딩 부재(11)가 견고하게지지되고 유지되는 장점을 가지며, 이는 전체적으로 단순한 방식으로 측면 충격 보호 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설명은 하나의 측방향으로 부착된 측면 충격 보호 부재 또는 폴딩 부재(11)에 상세히 관련된다. 그러나, 유리하게는 대응하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가 어린이 카시트의 양 측면에 제공된다. 이들(각 구조의 미러링을 제외하고)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측면 충격 보호 부재(전술한 바와 같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양 측면에 각각 2개씩 제공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자체 및 임의의 조합, 특히 도면에 도시된 세부사항으로 볼 때 상기 설명된 모든 부분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청구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에 대한 수정은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10 시트 부재
11 폴딩 부재
12 언로킹 버튼
13 외부면
14 축
15 가늘고 긴 구멍
16 리셉터클
17 근위단
18 말단 에지
19 가이드면
20 원위단
21 상부면
22 하부면
23 화살표
31 스프링 부재
32 서스펜션 포인트

Claims (13)

  1.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로서,
    상기 어린이 카시트는 시트 부재(10), 특히 시트 쉘(seat shell), 및 바람직하게 폴딩 부재(11)를 포함하고, 특히 표준 폭 내에 위치된 휴지 위치로부터 특히 휴지 위치의 외측에 위치된 기능적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반대로 이동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어린이 카시트는 위치 변경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변경 장치는 상기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휴지 위치로부터 또는 휴지 위치와 기능적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부터 기능적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2.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로서,
    상기 어린이 카시트는 시트 부재(10), 특히 시트 쉘, 및 특히 표준 폭 내에 위치된 휴지 위치로부터 특히 휴지 위치의 외측에 위치된 기능적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될 수 있는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충격 보호 부재는 폴딩 부재(11)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의 외부 벽의 지지 섹션(16, 19)은 상기 폴딩 부재(11)가 폴딩 및/또는 결합 중에 상기 시트 부재(10)의 외부 벽의 지지 섹션(16, 19)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안내되고 및/또는 기능적 위치 내의 폴딩 부재(11)가 상기 지지 섹션(16, 19)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카시트는 작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 장치는, 상기 작동 장치가 작동될 때, 상기 위치 변경 장치가 측면 충격 보호 부재를 휴지 위치로부터 또는 휴지 위치와 기능적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로부터 기능적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위치 변경 장치와 협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 특히 제3항에 있어서, 작동 장치는 작동 버튼(12), 바람직하게 언로킹 버튼, 특히 푸시 버튼 또는 슬라이딩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지 위치에서, 폴딩 부재(11) 및/또는 작동 장치(12)는 지지 부재(10)의 외부 벽(13)에 매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변경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31), 특히 인장 스프링 및/또는 시트 부재(10)의 외부 벽(13)의 지지 섹션(16, 19) 및/또는 바람직하게 회전축(14)을 수용하기 위해 폴딩 부재(11)에 있는 가늘고 긴 구멍(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적 위치에서, 폴딩 부재(11)의 근위단(17)은 리테이닝 섹션(16), 특히 시트 부재(10)의 외부 벽(13)의 리테이닝 리셉터클에 특별히 결합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섹션은 가이드 섹션(19)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섹션은 폴딩 부재(11)의 (상기) 근위단(17)이 언폴딩 중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상기 가이드 섹션에 강제적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딩 부재(11)의 근위단 에지(18)는 적어도 단면에서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지지 섹션 및/또는 가이드 섹션 및/또는 리테이닝 섹션은 리세스를 가지고 및/또는 만곡된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1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섹션(16)는 가이드 섹션에 인접하고, 상기 리테이닝 섹션은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섹션에 대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1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적 위치에서, 폴딩 부재(11)는, 예를 들어 원위단에서, 상기 폴딩 부재를 당김으로써 휴지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유지되며, 특히 기능적 위치에서의 로킹은 (단지) 당김으로써 취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1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딩 부재(11)는 특히 폴딩과 관련하여 기능적 위치에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1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딩 부재(11)는 특히 근위-원위 방향으로 진행되는 섹션에서 절곡되고 및/또는 근위-원위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치형이 되도록 구성되고,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면 및 절곡된 하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KR1020187006951A 2015-09-09 2016-09-09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KR102523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5104791.6 2015-09-09
DE202015104791.6U DE202015104791U1 (de) 2015-09-09 2015-09-09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CT/EP2016/071288 WO2017042326A1 (de) 2015-09-09 2016-09-09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663A true KR20180050663A (ko) 2018-05-15
KR102523574B1 KR102523574B1 (ko) 2023-04-18

Family

ID=5486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951A KR102523574B1 (ko) 2015-09-09 2016-09-09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414297B2 (ko)
EP (4) EP3753781B1 (ko)
JP (2) JP6748193B2 (ko)
KR (1) KR102523574B1 (ko)
CN (1) CN108025661A (ko)
BR (1) BR112018003890B1 (ko)
DE (4) DE202015104791U1 (ko)
DK (1) DK3347233T3 (ko)
ES (3) ES2794558T3 (ko)
PL (3) PL3347233T3 (ko)
WO (1) WO20170423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2262B2 (en) 2018-07-16 2021-07-27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4791U1 (de) 2015-09-09 2015-11-26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102016111608B4 (de) * 2016-06-24 2018-10-25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Kindersitz mit Seitenaufprallschutz
DE102017124014A1 (de) * 2017-10-16 2019-04-18 Recaro Child Safety Gmbh & Co. Kg Kindersitzsystem
US10857968B2 (en) * 2017-12-07 2020-12-08 Bambino Prezioso Switzerland Ag Lateral shock absorber and child car safety seat therewith
CN113910996B (zh) * 2017-12-07 2023-12-26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侧撞保护装置及具有该侧撞保护装置的儿童安全座椅
CN108790970A (zh) * 2018-05-04 2018-11-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防侧撞的儿童安全座椅
CN115352332A (zh) * 2018-10-01 2022-11-1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汽车安全座椅及其侧撞保护机构
CN115675211A (zh) * 2019-04-26 2023-02-03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侧撞保护机构及儿童安全座椅
CN111845481B (zh) * 2019-04-26 2022-12-20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111845483B (zh) * 2019-04-29 2023-09-1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侧撞保护装置及儿童安全座椅
CN110254303A (zh) * 2019-06-19 2019-09-2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116061781A (zh) * 2019-07-18 2023-05-05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侧撞保护机构、其使用方法和儿童安全座椅
CN112810509B (zh) * 2019-11-15 2023-02-17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侧撞保护连动机构及安全座椅底座
CN113386639A (zh) 2020-03-13 2021-09-14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113815502A (zh) * 2020-06-19 2021-12-21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侧撞保护机构
CN114248668A (zh) * 2020-09-25 2022-03-29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侧撞保护装置
DE202020106236U1 (de) 2020-10-30 2022-02-01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AU2021201210B1 (en) 2021-02-24 2021-07-29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Child safety seat
WO2024061943A1 (de) * 2022-09-23 2024-03-28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8959A2 (en) * 1998-05-18 1999-11-24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safety seat
EP1927502A1 (en) * 2006-11-28 2008-06-04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Child vehicle safety seat
EP2746097A1 (en) * 2012-12-21 2014-06-25 Britax Childcare Pty Ltd. Mechanical side impact protection for a child restraint
US20150336482A1 (en) * 2012-06-18 2015-11-26 Cybex Gmbh Child Safety Seat or Baby Carrier for Mounting on a Motor Vehicle Seat and Side Impact Bar for Such a Sea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7565B2 (ja) 1997-06-20 2007-10-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DE19814920C2 (de) 1998-04-03 2002-06-20 Siemens Restraint Systems Gmbh Mechanische Stützvorrichtung für einen Sitz eines Kraftfahrzeuges gegen die Seitenstrukturen des Fahrzeuges
DE10136309C1 (de) 2001-04-25 2002-11-07 Weber Jos Gmbh & Co Kg Ascher für Fahrzeuge oder dergleichen
JP4837881B2 (ja) * 2003-01-14 2011-12-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付き容器
GB0513459D0 (en) * 2005-07-01 2005-08-10 Britax Excelsior Child support
US7909403B2 (en) 2008-03-03 2011-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nipulable seat bolster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EP2578444B2 (de) 2009-07-14 2020-10-28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Kindersitz mit Seitenaufprallschutz
CN201587341U (zh) 2009-12-28 2010-09-22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
DE102012005691B4 (de) 2012-03-21 2014-12-24 Audi Ag Verstellvorrichtung für an einem Fahrzeugsitz beidseitig verschwenkbar angeordnete Seitenwangen
CN203032420U (zh) * 2013-01-05 2013-07-0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具有侧向防撞系统的儿童座椅
CN104709125B (zh) 2015-01-22 2017-01-04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带有侧防护和提升座垫的集成式儿童汽车座椅
DE202015104791U1 (de) 2015-09-09 2015-11-26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8959A2 (en) * 1998-05-18 1999-11-24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safety seat
EP1927502A1 (en) * 2006-11-28 2008-06-04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Child vehicle safety seat
US20150336482A1 (en) * 2012-06-18 2015-11-26 Cybex Gmbh Child Safety Seat or Baby Carrier for Mounting on a Motor Vehicle Seat and Side Impact Bar for Such a Seat
EP2746097A1 (en) * 2012-12-21 2014-06-25 Britax Childcare Pty Ltd. Mechanical side impact protection for a child restrai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2262B2 (en) 2018-07-16 2021-07-27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3781B1 (de) 2021-11-10
EP3957520A1 (de) 2022-02-23
DK3347233T3 (da) 2020-07-20
PL3753781T3 (pl) 2022-05-16
JP2020196441A (ja) 2020-12-10
JP7348147B2 (ja) 2023-09-20
JP2018526279A (ja) 2018-09-13
EP3753781A1 (de) 2020-12-23
KR102523574B1 (ko) 2023-04-18
ES2834645T3 (es) 2021-06-18
CN108025661A (zh) 2018-05-11
US20180244178A1 (en) 2018-08-30
DE202016008731U1 (de) 2019-04-18
JP6748193B2 (ja) 2020-08-26
ES2794558T3 (es) 2020-11-18
PL3564068T3 (pl) 2021-04-06
EP3347233A1 (de) 2018-07-18
DE202015104791U1 (de) 2015-11-26
EP3564068A1 (de) 2019-11-06
EP3957520B1 (de) 2024-05-29
WO2017042326A1 (de) 2017-03-16
ES2906253T3 (es) 2022-04-13
DE202016008675U1 (de) 2018-12-12
DE202016008894U1 (de) 2020-07-03
BR112018003890A2 (pt) 2018-09-25
EP3564068B1 (de) 2020-09-09
PL3347233T3 (pl) 2020-10-19
BR112018003890B1 (pt) 2022-07-26
US10414297B2 (en) 2019-09-17
EP3347233B1 (de)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663A (ko)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카시트
EP3666588B1 (en) Lateral protecting mechanism
US9610868B2 (en) Lateral protecting mechanism and child safety seat therewith
CN113910996B (zh) 侧撞保护装置及具有该侧撞保护装置的儿童安全座椅
EP2703210B1 (en) Child seat with belt tensioning mechanism for improved installation
US11560073B2 (en) Child safety seat or baby carrier for mounting on a motor vehicle seat and side impact bar for such a seat
CN107839555B (zh) 儿童安全座椅支撑座
KR101786779B1 (ko)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CN112238798B (zh) 侧撞保护机构及儿童安全座椅
CN102897062B (zh) 伸缩式连接装置及儿童汽车座椅
MX2015001089A (es) Asa retractil de vehiculo con percha integrada desplegable.
CN109305072B (zh) 儿童安全座椅支撑座
JP202353072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側面衝撃保護機構
KR102220039B1 (ko)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KR10186905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스트라이커 회동장치
US20240001823A1 (en) Child seat for mounting on a motor vehicle seat
WO2017051467A1 (ja) シートバックの前倒し装置及び乗り物用シート
KR100521129B1 (ko) 에어백 작동 차단을 위한 접이식 시트
KR100482636B1 (ko) 더블 폴딩 시트의 힌지부 구조
KR20160003937A (ko) 시트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