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881A - 집게 클립 - Google Patents

집게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881A
KR20180046881A KR1020170139554A KR20170139554A KR20180046881A KR 20180046881 A KR20180046881 A KR 20180046881A KR 1020170139554 A KR1020170139554 A KR 1020170139554A KR 20170139554 A KR20170139554 A KR 20170139554A KR 20180046881 A KR20180046881 A KR 20180046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haft
lower member
clip
upper member
shaf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657B1 (ko
Inventor
최중경
Original Assignee
최중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경 filed Critical 최중경
Publication of KR2018004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문서 또는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 클립으로서, 일측에 형성된 탄성 축 부재;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된 외팔보 형상의 상부 부재; 및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 축 부재를 기준으로 상부 부재와 대칭적으로 배치된 외팔보 형상의 하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에 각각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외팔보 형상의 한 쌍의 손잡이 지렛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표면이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형성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가 결합 되며, 상기 손잡이 지렛대는 상기 힌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공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게 클립{clamping clip}
본 발명은 집게 클립에 관한 것으로, 강한 탄성을 이용하여 큰 힘이 필요한 집게 클립을 적은 힘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함으로써,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도 쉽게 사용 가능한 집게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 클립은 우리 주변에서 사무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인 집게 클립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5297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집게 클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를 절곡하여, 탄성 축 부재(2)를 중심으로 상부 부재(1)와 하부 부재(3)의 자유단부(개구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맞닿아 접촉되어 본체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부재(1) 및 상기 하부 부재(3)의 탄성 복원력과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손잡이 지렛대(4)가 상기 상부 부재(1) 및 상기 하부 부재(3)에 결합 된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4)는 상기 상부 부재(1) 및 상기 하부 부재(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4)는 상기 탄성 축 부재(2)와 상기 상부 부재(1) 또는 상기 하부 부재(3)와 경계를 이루는 모서리(경계선)를 작용점(b)으로 하고 상기 작용점(b)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팔보 형태의 상기 손잡이 지렛대(4)의 자유단부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힘점(c)이 형성된다. 상기 집게 클립은 상기 상부 부재(1) 및 상기 하부 부재(3)에 회전되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4)가 상기 본체의 개구부(h)에 한 쌍이 결합 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 부재(1)와 상기 하부 부재(3)에 각각 결합 된 상기 손잡이 지렛대(4)를 서로 동시에 감싸 쥐어서 압축하면 집게 클립 개구부(입구, h)가 열려 서류를 고정하거나 물체를 잡을 수 있다. 이때 손잡이 지렛대에 가하는 압축력을 해제하면 상기 집게 클립은 탄성 복원되어 고정이 완료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집게 클립의 경우 받침점(a)과 작용점(b) 간 거리(d)대비 받침점(a)과 힘 점(c) 간 거리(e)의 비가 대략 1:1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집게 클립은 강한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서류나 물체를 집는 원리이므로 강한 탄성 복원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큰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집게 클립은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의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집게 클립은 손잡이 지렛대(4)가 필요 이상으로 커서 사용 후 접어놓을 때 서류나 물건의 표면을 과도하게 덮으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집게 클립은 손잡이 지렛대(4)가 크므로 재료가 낭비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집게 클립은 포장시 부피가 크므로 제조원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다. 상기 집게 클립은 손잡이 지렛대(4)가 집게 입구에 결합 되어 있으므로 집게 입구가 두꺼워져 섬세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집게 클립이 많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조사나 및 판매자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지 않고 있다. 또한, 제품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금전적인 손실 및 사용상의 불편함이 모두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776059 (사무용 클립) 2007. 11. 6 대한민국 공개실용 20-2009-0012410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다용도 클립) 2009. 12. 3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107655 (고정 클립) 2012. 1. 1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92438 (부착형 문서클립) 2001. 10. 24 대한민국 공개실용 20-1993-0006699 (사류파지용 코일 클립) 1993. 10. 4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집게 클립의 사용시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포장시 부피가 작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적은 양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집게 클립의 입구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섬세한 작업이 가능한 집게 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얇은 소재로도 집게 클립의 개구부 고정 기능을 충분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은, 문서 또는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 클립으로서,
일측에 형성된 탄성 축 부재;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된 외팔보 형상의 상부 부재; 및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 축 부재를 기준으로 상부 부재와 대칭적으로 배치된 외팔보 형상의 하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에 각각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외팔보 형상의 한 쌍의 손잡이 지렛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표면이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형성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가 결합 되며, 상기 손잡이 지렛대는 상기 힌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공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사이에 배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조립공이 형성된 면을 포함하는 상기 힌지부의 측면은, 상기 조립공을 중심으로 탄성 축 부재와 가까워지는 방향의 변의 기울기가 상기 탄성 축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의 변의 기울기보다 급경사가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의 받침점을 구성하도록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 받침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 받침부는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경계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지렛대는 상기 돌출 받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부재 또는 상기 하부 부재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5° 내지 60°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은, 문서 또는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 클립으로서,
일측에 형성된 탄성 축 부재;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된 외팔보 형상의 상부 부재; 및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 축 부재를 기준으로 상부 부재와 대칭적으로 배치된 외팔보 형상의 하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에 각각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외팔보 형상의 한 쌍의 손잡이 지렛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지렛대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에 각각 결합 되는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 지렛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조립공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립공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와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경계선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부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의 받침점을 구성하도록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 받침부가 구비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손잡이 지렛대의 작용점인 힌지부가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로부터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쪽으로 이동하여 배치됨으로써 받침점을 기준으로 작용점과의 거리보다 힘점과의 거리가 훨씬 크게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를 열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무용 서류 정리 또는 물체를 집을 때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지렛대를 접었을 때 외부로 돌출되는 양이 적으므로 서류나 제품의 표면을 과도하게 덮는 종래 집게 클립의 큰 단점을 해소하고, 재료의 낭비를 줄일 뿐 아니라, 포장시 부피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힌지부를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집게 클립 입구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섬세한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사용이 쉽고 강한 고정력을 가질 뿐 아니라, 가격도 저렴하여 만족도가 높은 집게 클립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힌지부가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부근으로부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에 까지 길게 연결되어 있어 상기 탄성 축 부재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손실없이 전달하도록 보강된 구조로 이루어진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기존 제품보다 얇은 소재를 사용해도 충분한 고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게 클립의 구조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지렛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게 클립을 사용 후 접거나 제품 포장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게 클립으로 서류를 집은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집 게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 예를 지렛대의 원리에 대응시킨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집게 클립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집게 클립을 사용 후 접거나 제품 포장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집게 클립으로 서류를 집은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집게 클립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집게 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 예를 지렛대의 원리에 대응시킨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집게 클립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집게 클립을 사용 후 접거나 제품 포장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집게 클립으로 서류를 집은 사용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집게 클립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10)은 문서 또는 물체를 잡을 수 있는 집게 클립이다. 상기 집게 클립(10)은 탄성 축 부재(40)와, 상부 부재(20)와, 하부 부재(30)와, 손잡이 지렛대(70)와, 힌지부(60)와, 조립공(62)과, 돌출 받침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축 부재(40)는 상기 집게 클립(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 축 부재(40)는 후술하는 상부 부재(20)와 하부 부재(30)의 일측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부재(20)는 외팔보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상부 부재(20)의 일단부는 상기 탄성 축 부재(40)의 경계선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부재(20)는 상기 탄성 축 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재(30)는 상기 탄성 축 부재(40)와 연결된다. 상기 하부 부재(30)는 상기 탄성 축 부재(4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부재(20)와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하부 부재(30)는 외팔보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하부 부재(30)의 일단부는 상기 탄성 축 부재(40)의 경계선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 축 부재(40)와 상기 상부 부재(20)와 상기 하부 부재(3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삼각 기둥 형태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상부 부재(20)와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 부재(20)와 상기 하부 부재(30)에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은 상기 탄성 축 부재(40)에 의해 발생 된다.
상기 상부 부재(20), 상기 하부 부재(30) 및 상기 탄성 축 부재(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소재로는 탄소강, 스테인리스강이 채용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소재로는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부타디엔스티렌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70)는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70)는 상기 상부 부재(20)와 상기 하부 부재(3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70)는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에 각각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70)는 일종의 외팔보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70)는 후술하는 힌지부(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70)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에 결합 되는 힌지축(72)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축(72)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60)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70)가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에 결합 되는 부위다. 상기 힌지부(60)는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60)는 상기 상부 부재(20) 또는 상기 하부 부재(30)의 표면이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60)는 상기 상부 부재(20) 또는 상기 하부 부재(30)의 표면을 금형으로 스탬핑(stamping) 가공하여 절개되지 않은 구조의 소성 변형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60)는 상기 상부 부재(20)와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에 견고한 고정력을 형성 및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부(60)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강성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손잡이 지렛대(70)가 결합 되는 조립공(62)을 제공한다. 상기 힌지부(60)는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을 절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성 변형을 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힌지부(60)는 가공 경화 및 소성 가공에 의해 변형된 부위의 단면 강도가 증가하여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집중되더라도 손상되지 않고 외력을 직접적으로 상기 상부 부재(20)와 상기 하부 부재(30)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힌지부(60)는 상기 탄성 축 부재(40)의 경계선으로부터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입구부)까지의 길이가 길더라도 상기 탄성 축 부재(40)에서 발생하는 탄성 복원력이 강성이 보강된 상기 힌지부(60)의 구조로 인하여 소실되지 않고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까지 양호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60)는 종래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서 변형을 위한 재료를 공급 받는 구조이므로 가공시 불량률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60)는 제작 공정이 단순하여 가공성이 우수하므로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 조립공(62)은 상기 힌지부(6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조립공(62)은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힌지부(60)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조립공(62)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공(62)에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의 힌지축(72)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조립공(62)은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25)와 상기 탄성 축 부재(40)와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경계선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조립공(62)은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의 작용점(b)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힌지부(60)는 상기 조립공(62)이 형성된 면이 삼각형 형상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립공(62)이 형성된 면은 상기 조립공(62)을 중심으로 탄성 축 부재(40)와 가까워지는 방향의 변의 기울기가 상기 탄성 축 부재(40)와 멀어지는 방향의 변의 기울기보다 급경사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20)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부(60)은 도 11에 도시된 제2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20)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상기 힌지부(60)와 상기 탄성 축 부재(40)와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경계선 사이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상기 조립공(62)과 상기 탄성 축 부재(40)의 경계선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의 받침점(a)을 구성한다.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상기 탄성 축 부재(40)와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경계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일종의 직선형 성형 비드(bead)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의 중간부가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의 자유단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탄성 축 부재(40)의 경계선과 상기 손잡이 지렛대(70)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 지렛대(70)가 상기 돌출 받침점(a)을 기준으로 상기 조립공(62)에 조립된 힌지축(72)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가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 받침부(50)는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에 각각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지렛대(70)는 상기 돌출 받침부(5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부재(20) 또는 상기 하부 부재(30)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θ)가 5° 내지 60°를 이루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와 상기 상부 부재(20) 또는 상기 하부 부재(30)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θ)가 5°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돌출 받침부(50)의 역할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와 상기 상부 부재(20) 또는 상기 하부 부재(30)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θ)가 60°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에 압축력을 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의 자유단부에 압축력을 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10)은 지렛대의 원리가 최적으로 적용되도록 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받침점(a)과 작용점(b) 간 거리(d) 대비 받침점(a)과 힘 점(c) 간 거리(e) 비가 크면 클수록 힘 점(c)에서 적은 힘으로도 작용점(b)에서는 그 비율만큼 큰 힘이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10)은 받침점(a)과 작용점(b)의 거리(d)대비 받침점(a)과 힘 점(c)의 거리(e) 비례를 최대한 크게 하여 힘 점(c)에서 적은 힘으로도 작용점(b)에서는 비례만큼 큰 힘이 작용 되도록 함으로써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의 결합 위치인 조립공(62)의 위치를 상기 탄성 축 부재(40)의 경계선에 가까운 위치로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손잡이 지렛대(70)의 길이를 크게 줄여, 제품 제작시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줄임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손잡이 지렛대(70)의 길이를 줄였다 해도 집게 클립의 사용에는 큰 문제가 없다.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의 결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두꺼웠던 종래 집게 클립 입구(개구부)의 두께를 크게 줄여, 본 발명의 집게 클립(10)의 개구부를 얇게 하여 섬세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고, 집게 클립(10)의 용도를 좀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10)에서 손잡이 지렛대(70)는 서류나 물건을 덮지 않으며 만약 덮는 상황이 발생해도 덮는 양이 적다. 이에 비하여 종래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지렛대(70)가 과다하게 길어 손잡이 지렛대(70) 전체가 서류의 상부를 심각하게 가리고 물품을 덮어 사용자가 서류의 페이지를 넘기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 지렛대를 빼 버리기도 한다. 이 경우 집게 클립의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구조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10)은 상술한 제1실시 예에 비하여 상기 힌지부(60)가 상부 부재(20) 및 하부 부재(30)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 점과, 상술한 돌출 받침부(50)가 형성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2실시 예는 상기 돌출 받침부(50)에 관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 예를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 예에서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의 받침점(a)이 상기 탄성 축 부재(40)의 경계선이 된다. 제2실시 예의 경우에는 제1실시 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손잡이 지렛대(70)에 압축력을 가할 때 상기 탄성 축 부재(40)의 경계선이 곡면을 형성하므로 제1실시 예에 비하여 직관적인 힘의 전달이 이루지지 않은 점에서 효과가 감소하나 힌지부(60)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부 부재(20) 및 하부 부재(30)의 강성이 충분하게 확보되고, 힌지부(60)에 구비된 조립공(62)이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탄성 축 부재(40)쪽으로 이동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적은 힘으로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를 열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10)은 상술한 제1실시 예에 비하여 상기 탄성 축 부재(40)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10)의 구성 중 탄성 축 부재(40)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서술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 예를 참고하기로 한다.
제3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10)의 탄성 축 부재(40)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 축 부재(40)는 상부 힌지 부재(42)와, 하부 힌지 부재(44)와, 탄성 중심축(48)과, 탄성판(8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힌지 부재(42)는 상기 상부 부재(20)가 굽힘 가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힌지 부재(42)의 하단에는 중심축공(46)이 구비된다. 상기 중심축공(46)은 상기 상부 부재(20)와 상기 상부 힌지 부재(42)의 경계선과 평행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하부 힌지 부재(44)는 상기 하부 부재(30)가 구부러진 구조로 가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힌지 부재(44)의 상단에는 중심축공(46)이 구비된다. 상기 중심축공(46)은 상기 상부 부재(20)에 구비된 중심축공(46)과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 중심축(48)은 상기 상부 힌지 부재(42)와 상기 하부 힌지 부재(44)는 상기 중심축공(46)이 동일 축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공(46)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 중심축(48)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힌지 부재(42)와 상기 하부 힌지 부재(44)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탄성판(80)은 상기 상부 힌지 부재(42)와 상기 하부 힌지 부재(44)에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일종의 스프링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상기 탄성판(80)의 일단부는 상기 상부 부재(20)에 결합 되고 상기 탄성판(80)의 타단부는 상기 하부 부재(30)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판(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 부재(20)의 자유단부와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된다.
상술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10)은 제1실시 예를 통해 상술한 힌지부(60)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부 부재(20) 및 하부 부재(30)의 강성이 충분하게 확보되고, 힌지부(60)에 구비된 조립공(62)이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탄성 축 부재(40)쪽으로 이동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적은 힘으로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자유단부를 열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집게 클립(10)은 상술한 제1실시 예에 비하여, 힌지부(60)가 상기 상부 부재(20) 및 상기 하부 부재(30)의 표면을 절개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시켜 조립공을 형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돌출 받침부(50)의 구성이 상부 부재(20) 및 하부 부재(30)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실시 예와 다를 뿐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손잡이 지렛대의 작용점인 힌지부가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로부터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쪽으로 이동하여 배치됨으로써 받침점을 기준으로 작용점과의 거리보다 힘점과의 거리가 훨씬 크게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를 열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무용 서류 정리 또는 물체를 집을 때 힘이 약한 여성이나 노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 지렛대를 접었을 때 외부로 돌출되는 양이 적으므로 서류나 제품의 표면을 덮는 종래 집게 클립의 큰 단점을 해소하고, 재료의 낭비를 줄일 뿐 아니라, 포장시 부피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힌지부를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집게 클립 입구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섬세한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사용이 쉽고 강한 고정력을 가질 뿐 아니라, 가격도 저렴하여 만족도가 높은 집게 클립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힌지부가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부근으로부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 근처까지 길게 연결되어 있어 상기 탄성 축 부재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을 손실없이 전달하도록 보강된 구조로 이루어진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클립은 기존 제품보다 얇은 소재를 사용해도 충분한 고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0 : 집게 클립
20 : 상부 부재
30 : 하부 부재
40 : 탄성 축 부재
42 : 상부 힌지 부재
44 : 하부 힌지 부재
46 : 중심축공
48 : 탄성 중심축
50 : 돌출 받침부
60 : 힌지부
62 : 조립공
70 : 손잡이 지렛대
72 : 힌지축
80 : 탄성판(스프링)
a : 받침점
b : 작용점
c : 힘점
d : 받침점과 작용점 간 거리
e : 받침점과 힘점 간 거리
θ : 손잡이 지렛대와 상부 부재(또는 하부 부재)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

Claims (5)

  1. 문서 또는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 클립으로서,
    일측에 형성된 탄성 축 부재;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된 외팔보 형상의 상부 부재; 및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 축 부재를 기준으로 상부 부재와 대칭적으로 배치된 외팔보 형상의 하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에 각각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외팔보 형상의 한 쌍의 손잡이 지렛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표면이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성 변형되어 형성된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가 결합 되며, 상기 손잡이 지렛대는 상기 힌지부의 측면에 형성된 조립공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이 형성된 면을 포함하는 상기 힌지부의 측면은, 상기 조립공을 중심으로 탄성 축 부재와 가까워지는 방향의 변의 기울기가 상기 탄성 축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의 변의 기울기보다 급경사가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의 받침점을 구성하도록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 받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받침부는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경계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지렛대는 상기 돌출 받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부재 또는 상기 하부 부재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5° 내지 6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클립.
  5. 문서 또는 물체를 집을 수 있는 집게 클립으로서,
    일측에 형성된 탄성 축 부재;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된 외팔보 형상의 상부 부재; 및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 축 부재를 기준으로 상부 부재와 대칭적으로 배치된 외팔보 형상의 하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와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에 각각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외팔보 형상의 한 쌍의 손잡이 지렛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지렛대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에 각각 결합 되는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 지렛대는 상기 힌지부에 형성된 조립공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립공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자유단부와 상기 탄성 축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경계선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힌지부와,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와 상기 탄성 축 부재의 경계선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 지렛대의 받침점을 구성하도록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 받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클립.
KR1020170139554A 2016-10-28 2017-10-25 집게 클립 KR101909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42306 2016-10-28
KR1020160142306 2016-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881A true KR20180046881A (ko) 2018-05-09
KR101909657B1 KR101909657B1 (ko) 2018-10-24

Family

ID=6202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554A KR101909657B1 (ko) 2016-10-28 2017-10-25 집게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9657B1 (ko)
WO (1) WO20180801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346A (ko) 2020-02-14 2022-06-24 김천기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9576A (zh) * 2018-10-30 2019-01-08 大庆元子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翻折侧旋式夹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373U (ko) * 1978-09-25 1980-03-28
JP3119064B2 (ja) * 1994-02-02 2000-12-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冷蔵庫扉の収納装置及びその成形用金型
JP2003127575A (ja) * 2001-10-22 2003-05-08 Wild Gear:Kk 合成樹脂製クリップ
JP3119064U (ja) * 2005-11-02 2006-02-16 義之 後藤 バインダークリップ
KR20100042358A (ko) * 2008-10-16 2010-04-26 이기현 서류 집게
KR101307003B1 (ko) * 2012-06-08 2013-09-11 구본화 사무용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346A (ko) 2020-02-14 2022-06-24 김천기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KR20220087345A (ko) 2020-02-14 2022-06-24 김천기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0153A1 (ko) 2018-05-03
KR101909657B1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1234B2 (ja) 挟み具
KR101909657B1 (ko) 집게 클립
US6629443B2 (en) Ergonomic crimping apparatus
CN102574278B (zh) 开合作业器
JP3200934U (ja) 交換可能な引き手を備えたファスナーヘッド組立構造
JP5856113B2 (ja) クリップ
JP6285516B2 (ja) 掴み器
JP3950281B2 (ja) プライヤ
JP5597470B2 (ja) 睫毛カール器
JP5810256B2 (ja) 綴じ具及びファイル
JP2006346881A (ja) 用箋挟み用挟み具
JP3015575U (ja) 挟み具
JP7026360B1 (ja) 挟み具
JP6562520B2 (ja) 挟持具
KR200161879Y1 (ko) 집게
JP5671173B1 (ja) ピンチ具
JP5886169B2 (ja) プライヤ
JP3839427B2 (ja) ピンチ
JP2023020670A (ja) 携帯型シート挟持具
JP2012115472A (ja) 挟み具
JP2023024199A (ja) クリップ
JP5526167B2 (ja) 開閉作業具
KR200304038Y1 (ko) 머리 집게
JP3124547U (ja) 連結した箸
JP2023076357A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