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879Y1 - 집게 - Google Patents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879Y1
KR200161879Y1 KR2019970034147U KR19970034147U KR200161879Y1 KR 200161879 Y1 KR200161879 Y1 KR 200161879Y1 KR 2019970034147 U KR2019970034147 U KR 2019970034147U KR 19970034147 U KR19970034147 U KR 19970034147U KR 200161879 Y1 KR200161879 Y1 KR 200161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ounting portion
hinge
present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974U (ko
Inventor
이윤기
Original Assignee
이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기 filed Critical 이윤기
Priority to KR2019970034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87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부력을 보유하기 위해서 강으로 된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고 고탄력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전체를 압출 및 절단작용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그 제조가 간단하여 대량으로 생산할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조단가를 낮출수 있도록 한 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집게는 물체를 취부하는 취부부(11)와 상기 취부부(11)를 벌리는데 이용되는 손잡이부(13)를 구비하여 각종 물체를 취부하는 집게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11)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힌지작용을 할수 있도록 폭이 취부부(11)보다 좁은 힌지부(12), 그리고 상기 취부부(11)가 물체를 취부할 때 앙 끝단이 서로 만나 외부로 약간 휘어서 힌지부(12)와 함께 취부부(11)에 탄성력을 가하고 물체를 취부하지 않을 때에는 양 끝단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앙쪽 손잡이부(13)에서 각각 서로 만나는 방향을 향하여 일정길이 뻗어 있는 가압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취부부(11), 힌지부(12), 손잡이부(13) 및 가압부(14)가 고탄력플라스틱의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쪽 취부부(11)의 외부면에 각각 압력보상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게
본 고안은 어느 한 물체를 다른 물체에 고정하거나 동일의 물체들을 서로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부력을 보유하기 위해서 강으로 된 탄성체를 사용하지 않고 고탄력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전체를 압출 및 절단작용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그 제조가 간단하여 대량으로 생산할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조단가를 낮출수 있도록 한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게는 빨래를 빨래줄에 걸 때, 다수매의 서류를 철할 때, 접목시 등, 어느 한 물체를 다른 물체에 고정하거나 동일의 물체들을 서로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등 각종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종래의 집게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서 얇은 두께의 힌지(1a), 취부부(1b) 및 손잡이부(1c)가 형성되어 있는 집게부(1)와, 상기 집게부(1)의 취부부(1b)의 양측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종래의 집게를 사용할 때에 집게부(1)의 손잡이부(1c)를 손으로 누르면 힌지(1a)의 힌지작용에 의해서 취부부(1b)가 벌려지고, 그 취부부(1b)내에 취부하고자 하는 물체를 위치시킨후 손잡이부(1c)를 놓으면 탄성부재(2)의 탄성에 의해서 취부하고자 하는 물체가 취부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집게는 집게부(1)를 플라스틱사출에 의해서 성형하여야 하고 또한 탄성부재(2)를 별도로 만든후 탄성부재(2)를 집게부(1)에 결합하여야 하는 번잡한 절차를 거쳐서 제조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집게는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고 그에 따라 제조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제조단가를 저렴하게 하는 집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집게는 물체를 취부하는 취부부와 상기 취부부를 벌리는데 이용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각종 물체를 취부하는 집게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힌지작용을 할수 있도록 폭이 취부부 보다 좁은 힌지부, 그리고 상기 취부부가 물체를 취부할 때 양 끝단이 서로 만나 외부로 약간 휘어서 힌지부와 함께 취부부에 탄성력을 가하고 물체를 취부하지 않을 때에는 양 끝단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양쪽 손잡이부에서 각각 서로 만나는 방향을 향하여 일정길이 뻗어 있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취부부, 힌지부, 손잡이부 및 가압부가 고탄력플라스틱의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쪽 취부부의 외부면에 각각 압력보상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집게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집게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집게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집게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집게의 사용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집게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집게의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집게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집게의 평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집게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집게부 1a :힌지
1b : 취부부 1c : 손잡이부
2 : 탄성부재 11 : 취부부
11a : 압력보상홈 12 : 힌지부
13 : 손잡이부 14 : 가압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집게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상기 집게의 정면도이며, 제4도는 상기 집게의 측면도이고, 제2도는 상기 집게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집게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고탄력플라스틱의 재료를 이용하여 압출에 의해서 정면형상을 성형한 후 일정 두께로 절단하여 최종제품이 형성되어서 일체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집게는 물체를 취부하는 취부부(11), 힌지작용을 할수 있도록 폭이 좁은 힌지부(12), 상기 취부부(11)를 벌리는데 이용되는 손잡이부(13), 상기 취부부(11)가 물체를 취부할 때 힌지부(12)와 함께 취부부(11)에 탄성력을 가하는 가압부(14)로 이루어져 있다.
힌지부(12)는 힌지작용을 할수 있도록 취부부(11)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으며, 취부부(11)는 물체의 취부역할을 할수 있도록 폭이 다소 크게 되어 있다.
또한 가압부(14)도 플렉시블하도록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상기의 취부부(11), 힌지부(12), 손잡이부(13) 및 가압부(14)는 동일 재질, 즉 고탄력플라스틱재질로 되어 있으며, 압출과 절단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제3도와 같은 형상을 갖는 금형에 고탄력 플라스틱을 통과시켜서 단면이 제3도에 나타난 형상으로 길게 형성한 후에, 용도에 따라 일정길이의 두께, 즉 제4도에 나타난 두께로 절단하여 본 고안의 집게를 일체로 만든다. 본 고안의 집게는 탄력성이 우수한 연질의 고탄력 플라스틱재료로 제조된다.
본 고안의 집게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물체를 취부하고자 하여 두 개의 손잡이부(13)를 누르면 제5도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4)의 중심이 외부로 휘어지고 힌지부(12)의 힌지작용으로 인하여 취부부(11)가 벌어진다.
그리고 벌어진 취부부(11)내로 취부하고자 하는 물체를 위치시키고 손잡이부(13)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가압부(14)와 힌지부(12)의 복원력에 의해서 취부부(11)에 취부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 본 고안의 집게는 물체를 취부할 수 있는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6도에 도시한 집게는 그 형상만 제2도의 집게와 다르고 나머지는 제2도의 집게와 동일한다. 즉 금형의 형상만 바꾸고 압출 및 절단작용을 행하면 제6도의 집게가 형성된다. 제6도의 집게의 작용 및 효과는 제2도의 집게와 동일하다.
제7도의 집게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7도에 도시한 집게도 제2도의 집게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형성되나, 그 정면형상이 제2도의 것과 약간 다르다. 즉 아무런 힘도 가하지 않고 아무런 물체도 취부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가압부(14)가 외부로 휘어지게 되어 있고 가압부(14)와 손잡이부(13)가 각각의 끝단에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제7도의 집게는 가압부(14)가 힌지부(11)로 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물체의 취부시 취부부(11)에 가하는 힘이 크게 되며 또한 가압부(14)가 정상상태에서 외부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13)를 누를때 사용하는 사람의 손가락에 걸리는 힘이 적게 된다. 그외의 작용효과는 제2도의 것과 유사하다.
제8도 내지 제10도의 집게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8도에 도시된 집게는 가압부(14)가 양쪽 손잡이부(13)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떨어져 있다. 즉 제9도에 도시된 양쪽의 가압부(14)가 각각 양쪽 손잡이부(13)에서 서로 만나는 방향을 향하여 일정길이 뻗어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압부(14)의 끝단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집게는 어떤 물체를 취부하였을 때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14)의 끝단이 서로 만나 외부로 약간 휘어지게 되며 휘어진 만큼 탄성력이 발생하여 취부부(11)에 취부력을 가하게 된다. 물론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힌지부(12)의 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도 취부부(11)에서 취부력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제8도 내지 제10도의 집게는 양쪽 취부부(11)의 외부면에 각각 압력보상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력보상홈(11a)은 보다 큰 물체 또는 서서히 벌어지는 특성이 있는 물체를 취부할 때 제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부(11)의 선단부가 외부로 벌어지도록 하여 취부되는 물체에 강한 취부력을 가하지 않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에 집게의 취부력이 일정하여 취부되는 물체가 손상을 입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집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출 및 절단작용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생산성의 측면에는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사출에 의해서도 제조할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집게는 종래 집게와 마찬가지로 여러 용도로 사용할수 있다. 즉 빨래집게, 서류집게 등 어느 한 물체를 다른 물체에 고정하거나 동일의 물체들을 서로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등 종래 집게가 하는 역할을 모두 할수 있다.
본 고안의 집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집게의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면서도, 압출 및 절단작용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간단하게 제조할수 있어서 조립공정이 필요없으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어 대량으로 생산할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조단가가 저렴하게 되고, 또한 양쪽 취부부(11)의 외면에 각각 압력보상홈(11a)이 형성된 경우에는 물체를 취부할 때 취부되는 물체를 강하게 취부함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묘목과 같이 점차로 확장되는 물체를 취부한 경우에는 압력보상홈으로 인하여 취부부가 점차 벌여지므로 취부압력이 일정하여 피취부 물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물체의 취부시 힌지부(12)의 복원력뿐만 아니라 가압부(14)의 복원력도 함께 작용하므로 물체의 취부력이 강하고 가압부(14)가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취부 초기에 사용자의 손 끝에 걸리는 힘이 적다는 효과도 발휘한다.
이상의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수 있음은 자명하므로 이와 같이 변경된 실시예들은 첨부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물체를 취부하는 취부부(11)와 상기 취부부(11)를 벌리는데 이용되는 손잡이부(13)를 구비하여 각종 물체를 취부하는 집게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11)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힌지작용을 할수 있도록 폭이 취부부(11)보다 좁은 힌지부(12), 그리고 상기 취부부(11)가 물체를 취부할 때 양 끝단이 서로 만나 외부로 약간 휘어서 힌지부(12)와 함께 취부부(11)에 탄성력을 가하고 물체를 취부하지 않을 때에는 양 끝단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양쪽 손잡이부(13)에서 각각 서로 만나는 방향을 향하여 일정길이 뻗어 있는 가압부(14)를 포함하며, 상기 양쪽 취부부(11)의 외부면에 각각 압력보상홈(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취부부(11), 힌지부(12), 손잡이부(13) 및 가압부(14)가 고탄력플라스틱 재료로 되어 있고 압출 및 절단작용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
KR2019970034147U 1996-11-27 1997-11-27 집게 KR200161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147U KR200161879Y1 (ko) 1996-11-27 1997-11-27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42414 1996-11-27
KR2019960042414 1996-11-27
KR2019960042414U KR19980029351U (ko) 1996-11-27 1996-11-27 집게
KR2019970034147U KR200161879Y1 (ko) 1996-11-27 1997-11-27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74U KR19980031974U (ko) 1998-08-17
KR200161879Y1 true KR200161879Y1 (ko) 1999-12-01

Family

ID=539849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414U KR19980029351U (ko) 1996-11-27 1996-11-27 집게
KR2019970034147U KR200161879Y1 (ko) 1996-11-27 1997-11-27 집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414U KR19980029351U (ko) 1996-11-27 1996-11-27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293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95Y1 (ko) * 2008-05-28 2011-02-14 홍창호 신발보관집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1317B2 (en) * 2004-08-24 2012-05-22 Young Kook Cho Clamping device, mould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25987B1 (ko) * 2012-09-26 2014-08-05 장호석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95Y1 (ko) * 2008-05-28 2011-02-14 홍창호 신발보관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74U (ko) 1998-08-17
KR19980029351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3450A (en) Pliers of plastic
US4813107A (en) Spring clamp
GB2296260B (en) Hollow needle for tag attacher
JP2010012152A (ja) 挟み具
GB2290703A (en) Garment hanger
KR200161879Y1 (ko) 집게
HK82495A (en) Clamping device and tensioning device
KR101909657B1 (ko) 집게 클립
JP3519016B2 (ja) 合成樹脂製事務用クリップ
US5063640A (en) Endless filament paper clip
US5699815A (en) Hair clip
KR960014743B1 (ko) 끈고정구
GB2207047A (en) A hair clip
JPH05270188A (ja) クリップ
KR200490612Y1 (ko) 시트지 부착용 헤라
JPH0746804Y2 (ja) クリップ
CN217479793U (zh) 一种衣夹
KR100295408B1 (ko) 끈 고정구
JPH0635204Y2 (ja) ケーブルクランプ機構
CN210576551U (zh) 一种包胶鳄鱼夹
JPH0712047Y2 (ja) クリップ
JPH0532645Y2 (ko)
KR940004514Y1 (ko) 탁상일기의 일지결속장치
KR200171844Y1 (ko) 비닐팩 용기의 집게형 개폐장치
KR20000074275A (ko) 미장공사용 흙받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