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345A -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 Google Patents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345A
KR20220087345A KR1020210060182A KR20210060182A KR20220087345A KR 20220087345 A KR20220087345 A KR 20220087345A KR 1020210060182 A KR1020210060182 A KR 1020210060182A KR 20210060182 A KR20210060182 A KR 20210060182A KR 20220087345 A KR20220087345 A KR 20220087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slip
band
pai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4314B1 (ko
Inventor
김천기
Original Assignee
김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기 filed Critical 김천기
Priority to JP202353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JP7475619B2/ja
Priority to PCT/KR2021/015547 priority patent/WO2022131530A1/ko
Priority to EP21906835.0A priority patent/EP4261045A4/en
Priority to US18/268,193 priority patent/US11932045B2/en
Publication of KR20220087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6Fasteners comprising two co-operating jaws closed by spring action and that can be manually opened, e.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43K23/04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enabling the writing implement to be set upright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문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가지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는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며 문서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단을 가지는 집게본체와, 집게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구에 결합되고 집게본체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가지는 집게에 탈착 가능한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로서, 논슬립부 그리고 고정부를 포함한다. 논슬립부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는 유연 소재로 형성되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문서와 접촉되도록 가압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가압단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된 문서와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논슬립밴드를 가진다. 고정부는 논슬립부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손잡이 삽입구에 삽입되어 논슬립부를 집게본체에 결합시킨다.

Description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NON-SLIP ASSEMBLY FOR BINDER CLIP}
본 발명은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가지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이 클램프 또는 바인더 클립이라고도 불리는 집게는 통상적으로 집게본체에 한 쌍의 손잡이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눌러 집게본체를 벌릴 수 있으며, 집게는 여러 장의 문서를 집어 합본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집게는 여러 종류의 크기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집게본체의 내부 끝까지 문서가 밀어 넣어질수록 집게는 문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집게의 크기에 비해 고정하려는 문서의 양이 적을 경우 집게에 집힌 문서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거나 쉽게 흩트려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대량의 종이를 합본하는 경우에는 그에 비례하여 집게의 크기가 커야 하기 때문에, 집게에 문서가 깊게 물리게 된다. 이로 인해 문서 윗부분에 인쇄된 글자를 읽기가 힘든 경우가 흔하며, 특히 문서 묶음이 두꺼울 경우 뒤편으로 갈수록 문서 윗부분을 읽기 어려워 집게의 위치를 바꾸거나 일부만 물려서 읽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집게는 주로 금속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집게가 딱딱하고 매끈한 표면에 놓여 있을 때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고, 딱딱한 표면에 집게가 부딪힐 때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집게에 필기구를 부착하는 기능이 부재함에 따라 문서와 별도로 필기구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문서의 좌측 상단부분 또는 중앙 상단부분에 집게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문서가 쌓이게 되면 집게끼리 서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집게끼리의 결합을 통해 유관문서를 합본하는 기능도 없어 문서관리와 휴대상 곤란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46881호(2018.05.09.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문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가지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며 문서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단을 가지는 집게본체와, 상기 집게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본체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가지는 집게에 탈착 가능한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로서,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는 유연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문서와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단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된 문서와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논슬립밴드를 가지는 논슬립부; 그리고 상기 논슬립부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논슬립부를 상기 집게본체에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단이 일단부에 형성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고,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한 쌍의 가압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압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단이 일단부에 형성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고,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집게본체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집게편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압단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논슬립밴드와 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밴드와, 상기 연결편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부가 절개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외면에 밀착되어 라벨이 고정되도록 하는 라벨 고정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필기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고정홈을 가지는 제1필기구 고정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필기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2고정홈을 가지는 제2필기구 고정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되는 문서를 지지하고, 상기 연결밴드와 함께 필기구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는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는 각각 상기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에 상기 고정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삽입구에 밀착되는 삽입구캡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논슬립부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는 유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어 삽입된 문서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논슬립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가 집게의 손잡이 고정부에 삽입되어 논슬립부가 집게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논슬립부는 라벨을 고정할 수 있는 라벨 고정부, 필기구를 고정할 수 있는 필기구 고정부 및 고정돌기, 복수의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가짐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서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 결합되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라벨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라벨 고정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제1필기구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제2필기구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고정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논슬립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100)는 집게(1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집게(10)는 통상적으로 종이 클램프, 집게 클립 또는 바인더 클립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100)는,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3)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는 집게본체(20)와, 집게본체(20)에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구(24)에 양단부(31)가 결합되고 집게본체(20)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30)를 가지는 집게(1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집게본체(2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집게편(21)과, 집게편(2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22), 그리고 집게편(2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집게편(21)이 오므려질 때 문서를 가압하는 가압단(27)을 가질 수 있다.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100)는 논슬립부(110) 그리고 고정부(120)를 가질 수 있다.
논슬립부(110)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는 유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재로는 예를 들면, 고무 또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논슬립부(110)는 삽입공간(23)으로 삽입되는 문서와 접촉되도록 가압단(27)의 사이에 배치되고, 가압단(27)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된 문서와의 미끄럼이 방지되는 논슬립밴드(111)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논슬립부(110)는 한 쌍의 가압단(27) 중 어느 하나의 가압단(27)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논슬립부(110)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논슬립부(110)의 양단부에서 중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손잡이 삽입구(24)에 삽입되어 논슬립부(110)를 집게본체(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논슬립부(110)가 한 쌍의 가압단(27)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부(120)는 손잡이 삽입구(24)에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 삽입구(24)에 삽입된 고정부(120)가 잘 빠지지 않도록, 고정부(120)는 손잡이 삽입구(24)의 내측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가 손잡이 삽입구(24)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논슬립부(110)는 집게본체(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30)를 이용하여 집게편(21)을 벌리게 되면 논슬립밴드(111)는 집게편(21)과 일체로 벌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집게편(21)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게 되면, 논슬립밴드(111)는 집게편(21)의 가압단(27)에 의해 가압되어 오므려지면서 내부 삽입공간(114)의 문서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논슬립부(110)는 마찰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압단(27)에 의해 가압되는 논슬립밴드(111) 사이에서 문서의 미끄러짐이 감소되어 문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문서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논슬립밴드(111)는 가압단(27)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가압단(27)에 의해 논슬립밴드(111)가 가압되면, 고정부(120)가 손잡이 삽입구(24)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고정부(120) 및 논슬립부(110)는 서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20)는 삽입구캡(121)을 가질 수 있다. 삽입구캡(121)은 고정부(12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120)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20)가 손잡이 삽입구(24)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구캡(121)은 손잡이 삽입구(24)의 일단부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삽입구캡(121)은 고정부(120)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집게(10)가 지면이나 바닥과 접촉되며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집게 모서리 부분에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구캡(121)은 손잡이 삽입구(24)가 바닥과 닿았을 때 소음과 충격을 줄여주는 범퍼 역할을 하므로 손잡이 삽입구(24)를 완전히 막을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100)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한 쌍의 가압단(27)에 모두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논슬립부(110)가 한 쌍의 가압단(27)에 모두 구비되면, 삽입되는 문서의 양측면이 모두 논슬립밴드(111)에 밀착되어 가압될 수 있기 때문에, 문서와의 논슬립이 더욱 확실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서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가 집게에 결합되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100)의 논슬립부(110)는 집게본체(20)의 내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몸체밴드(112)와 연결밴드(113)를 가질 수 있다.
몸체밴드(112) 및 연결밴드(113)는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도 5 참조),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는 유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밴드(112) 및 연결밴드(113)가 집게(10)에 결합될 때에는 집게(10)의 삽입공간(23)에 삽입되어 집게본체(20)에 대응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각각의 몸체밴드(112)에는 한 쌍의 가압단(27)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논슬립밴드(111)가 연결될 수 있다.
논슬립부(110)가 집게(10)의 삽입공간(23)에 삽입되고, 고정부(120)가 손잡이 삽입구(24)에 삽입 결합되었을 때, 몸체밴드(112)는 집게편(21)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고, 연결밴드(113)는 연결편(22)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밴드(113)는 한 쌍의 몸체밴드(112)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도 5를 기준으로 했을 때, 몸체밴드(112)는 논슬립부(110)의 상측부분 및 하측부분에 해당될 수 있고, 연결밴드(113)는 논슬립부(110)의 중앙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고정부(120)가 손잡이 삽입구(24)에 삽입 결합되고, 논슬립밴드(111)가 집게본체(20)의 삽입공간(23)에 삽입된 상태에서, 논슬립부(110) 및 집게본체(20)는 일체로 연동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30)를 이용하여 집게편(21)을 벌리게 되면 몸체밴드(112)는 집게편(21)과 일체로 벌어질 수 있고, 집게편(21)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게 되면 몸체밴드(112)는 집게편(21)과 일체로 오므려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라벨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논슬립부(110)는 라벨 고정부(130)를 가질 수 있다. 라벨 고정부(130)는 몸체밴드(112) 및 연결밴드(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부가 절개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라벨 고정부(130)는 집게편(21) 및 연결편(22) 중 적어도 한 곳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7은 라벨 고정부(130)가 연결밴드(113)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는데, 라벨 고정부(130)는 연결밴드(113)에 형성되는 절개선(1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집게본체(20)의 연결편(22)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논슬립부(11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라벨 고정부(130)는 연결편(22)의 외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 고정부(130)는 라벨(40)의 양단부를 고정시켜 라벨(40)이 연결편(22)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라벨 고정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라벨 고정부(130a)가 한 쌍의 몸체밴드(112a,112b) 중 일측의 몸체밴드(112a)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몸체밴드(112a)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라벨 고정부(130a)는 한 쌍의 집게편(21a,21b) 중 일측의 집게편(21a)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벨 고정부(130a)는 라벨(41)의 양단부를 고정시켜 라벨(41)이 집게편(21a)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라벨 고정부는 타측의 몸체밴드(112b)에 형성되어 타측의 집게편(21b)에 라벨이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전술한 형태의 라벨 고정부가 복수개가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제1필기구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논슬립부(110)는 제1필기구 고정부(140)를 가질 수 있다.
제1필기구 고정부(140)는 몸체밴드(112a,112b) 및 연결밴드(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필기구 고정부(140)는 논슬립부(1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필기구 고정부(140)는 관통 형성되는 제1고정홈(141)을 가질 수 있으며, 제1고정홈(141)에는 필기구(5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필기구 고정부(140)는 연결밴드(113)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필기구 고정부(140)는 집게본체(2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필기구(50)는 제1고정홈(141)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필기구가 함께 휴대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제1고정홈(141)은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십자형태의 절개선(141a)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필기구 고정부(140)는 도 9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밴드(112a,112b) 중 일측의 몸체밴드(112a)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타측의 몸체밴드(112b)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고정홈(141)은 제1필기구 고정부(14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고정구(142)를 더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제2필기구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논슬립부(110)는 제2필기구 고정부(150)를 가질 수 있다.
제2필기구 고정부(150)는 몸체밴드(112a,112b) 및 연결밴드(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 형성되는 제2고정홈(151)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제2필기구 고정부(150)가 연결밴드(113)에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2필기구 고정부(150)는 제1필기구 고정부(140)가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제2필기구 고정부(150)는 논슬립부(1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밴딩이 자유로울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제2필기구 고정부(150)가 상측으로 밴딩된 상태에서 필기구(50)가 제2고정홈(15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필기구(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필기구 고정부(150)가 한 쌍의 몸체밴드(112a,11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몸체밴드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고정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논슬립부(110)는 복수의 고정돌기(160)를 가질 수 있다. 고정돌기(160)는 몸체밴드(112)의 일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논슬립부(110)가 집게(10)에 결합되었을 때, 고정돌기(160)는 내부 삽입공간(114)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돌기(160)는 좌우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내부 삽입공간(114)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서로 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돌기(160)는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160)는 내부 삽입공간(114)으로 삽입되는 문서를 약하게 지지하면서 삽입 제한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문서(60)가 너무 깊이 삽입 고정되면 문서(60)의 상부에 인쇄된 글자가 안보이게 될 수 있는데, 문서(60)가 고정돌기(160)에 의해 지지되는 깊이까지만 삽입되게 되면, 문서(60)의 상부에 인쇄된 글자가 안보이게 되는 문제도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160)는 내부 삽입공간(114)으로 필기구(50)가 삽입되면 연결밴드(113)와 함께 필기구(50)를 가압하여 필기구(5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돌기(160)는 문서가 삽입되는 방향, 즉 도 11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고정돌기(160)의 약한 저항을 무시하고 문서(60)를 깊게 삽입할 경우에는 좌우측의 고정돌기(160)가 굴절되면서 문서(60) 삽입 시에 저항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문서(60)를 몸체밴드(112)의 내부 끝까지 삽입하거나 뺄 때에도 사용상 불편함 없이 종래의 집게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더하여, 펜꽂이로 사용 시에는 필기구를 고정시키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즉,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고정돌기(160)는 삽입된 필기구(50)의 외주면을 연결밴드(113)와 함께 효과적으로 접촉 가압하여 필기구(50)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지지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필기구(50)의 직경을 고려했을 때, 고정돌기(160)가 배치되는 위치는 연결밴드(113)로부터 고정돌기(160)까지의 거리가 필기구(50)의 직경보다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논슬립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밴드(112) 및 연결밴드(113)는 주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밴드(112)는 제1주름(170)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연결밴드(113)는 제2주름(171)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밴드(112)의 제1주름(170)은 삽입되는 문서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논슬립 효과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밴드(113)는 몸체밴드(112)보다 두껍게 형성되거나, 제2주름(171)이 제1주름(170)보다 더 작은 주름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연결밴드(113)가 몸체밴드(112)보다 좀 더 강성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문서(60)의 삽입이 몸체밴드(112)의 영역에 한정되도록 할 수 있고, 연결밴드(113)의 영역에서는 필기구(5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논슬립부(110)는 결합부(180)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180)는 몸체밴드(112) 및 연결밴드(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집게본체(2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180)는 논슬립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의 결합부(180)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80)는 결합구(181)를 가질 수 있으며, 결합구(181)는 다른 결합구(181)와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각각 문서가 고정된 다수의 집게(10a,10b)가 서로 닿도록 쌓아진 상태인 경우에도, 집게(10a,10b)가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연관성 있는 서류끼리 집게를 결합시켜 합본한 상태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결합구(181)는 단추 형태, 패스너(Fastener)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80)는 전술한 제1필기구 고정부(140) 또는 제2필기구 고정부(150)에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집게 20: 집게본체
21: 집게편 22: 연결편
24: 손잡이 삽입구 30: 손잡이
40,41: 라벨 50: 필기구
60: 문서 10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110: 논슬립부 111: 논슬립밴드
112,112a,112b: 몸체밴드 113: 연결밴드
120: 고정부 121: 삽입구캡
130,130a: 라벨 고정부 131: 절개선
140: 제1필기구 고정부 150: 제2필기구 고정부
160: 고정돌기 170: 제1주름
171: 제2주름 180: 결합부

Claims (10)

  1.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며 문서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단을 가지는 집게본체와, 상기 집게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본체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가지는 집게에 탈착 가능한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로서,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는 유연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문서와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단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단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된 문서와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논슬립밴드를 가지는 논슬립부; 그리고
    상기 논슬립부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논슬립부를 상기 집게본체에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단이 일단부에 형성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고,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한 쌍의 가압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압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단이 일단부에 형성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고,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집게본체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집게편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압단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논슬립밴드와 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밴드와,
    상기 연결편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부가 절개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외면에 밀착되어 라벨이 고정되도록 하는 라벨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필기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고정홈을 가지는 제1필기구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필기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2고정홈을 가지는 제2필기구 고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되는 문서를 지지하고, 상기 연결밴드와 함께 필기구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는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는 상기 몸체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는 각각 상기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에 상기 고정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삽입구에 밀착되는 삽입구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KR1020210060182A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KR10250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36424A JP7475619B2 (ja) 2020-12-17 2021-11-01 ダブルクリップ用ノンスリップ組立体
PCT/KR2021/015547 WO2022131530A1 (ko) 2020-12-17 2021-11-01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EP21906835.0A EP4261045A4 (en) 2020-12-17 2021-11-01 NON-SLIP ARRANGEMENT FOR A TIE CLAMP
US18/268,193 US11932045B2 (en) 2020-12-17 2021-11-01 Non-slip assembly for binder cl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533 2020-02-14
KR20200001912 2020-06-02
KR1020200177543A KR20210103927A (ko) 2020-02-14 2020-12-17 넌슬립 집게조립체
KR1020200177543 2020-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345A true KR20220087345A (ko) 2022-06-24
KR102504314B1 KR102504314B1 (ko) 2023-02-27

Family

ID=775069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43A KR20210103927A (ko) 2020-02-14 2020-12-17 넌슬립 집게조립체
KR1020210060183A KR102504315B1 (ko)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KR1020210060182A KR102504314B1 (ko)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43A KR20210103927A (ko) 2020-02-14 2020-12-17 넌슬립 집게조립체
KR1020210060183A KR102504315B1 (ko)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1039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1045A4 (en) 2020-12-17 2024-03-20 Chun Ki Kim NON-SLIP ARRANGEMENT FOR A TIE CLAMP
JP2024500503A (ja) 2021-07-15 2024-01-09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5722A1 (en) * 2001-12-21 2003-06-26 Shogbamimu Ladi O. Clip with contact plates
JP2008080505A (ja) * 2006-09-25 2008-04-10 Yutaka Tatehora クリップ
JP2014073641A (ja) * 2012-10-05 2014-04-24 Hitoshi Kawakami ダブルクリップ
KR20160086451A (ko) * 2015-01-09 2016-07-20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무용 더블 클립
KR20180046881A (ko) 2016-10-28 2018-05-09 최중경 집게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173A (ja) 1993-09-24 1995-04-0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原子間力顕微鏡用カンチレバーとその製造方法
KR200371257Y1 (ko) 2004-10-12 2004-12-30 성정하 집게형 책갈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5722A1 (en) * 2001-12-21 2003-06-26 Shogbamimu Ladi O. Clip with contact plates
JP2008080505A (ja) * 2006-09-25 2008-04-10 Yutaka Tatehora クリップ
JP2014073641A (ja) * 2012-10-05 2014-04-24 Hitoshi Kawakami ダブルクリップ
KR20160086451A (ko) * 2015-01-09 2016-07-20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무용 더블 클립
KR20180046881A (ko) 2016-10-28 2018-05-09 최중경 집게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314B1 (ko) 2023-02-27
KR102504315B1 (ko) 2023-02-27
KR20210103927A (ko) 2021-08-24
KR20220087346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7345A (ko)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US9511615B2 (en) Binder clip
JP2017105099A (ja) クリップファイル
US5682650A (en) Sheet clipping device
US5608950A (en) File with gripping devices
JP7475619B2 (ja) ダブルクリップ用ノンスリップ組立体
KR102563370B1 (ko) 집게용 필기구 꽂이
JP2611636B2 (ja) 用箋挟
JP7186916B1 (ja) ファイル
KR200166167Y1 (ko) 사무용 클립 어셈블리
KR20090012410U (ko)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다용도 클립
JP3168657U (ja) ホルダ
JP2009298141A (ja) 書類ホルダー補助具
KR200258627Y1 (ko) 매직 클립
KR101617195B1 (ko) 문서 고정용 클립
JP2005041007A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ファイル
KR200294104Y1 (ko) 서류 고정용 클립
JP3624770B2 (ja) ファイル
KR200379239Y1 (ko) 화일용 클램프
AU2010200414A1 (en) Paper Holder
JP4101151B2 (ja) ダブルクリップ用インデックスおよびこれを背板に装着してなるダブルクリップ
KR200258689Y1 (ko) 코너 클립
US20080121773A1 (en) Holder
KR200312506Y1 (ko) 파일홀더
JP2005178286A (ja) カードホルダ、及びカードホルダを備えたファ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