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627Y1 - 매직 클립 - Google Patents

매직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627Y1
KR200258627Y1 KR2019990005088U KR19990005088U KR200258627Y1 KR 200258627 Y1 KR200258627 Y1 KR 200258627Y1 KR 2019990005088 U KR2019990005088 U KR 2019990005088U KR 19990005088 U KR19990005088 U KR 19990005088U KR 200258627 Y1 KR200258627 Y1 KR 200258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inclined portions
magic
cut
c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840U (ko
Inventor
장순봉
Original Assignee
장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봉 filed Critical 장순봉
Priority to KR2019990005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62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627Y1/ko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다양한 종류의 강성 부재를 이용해 그 파지부를 개방함으로써 서류 등을 파지할 수 있는 매직 클립이 제공된다. 상기 클립은 직사각형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부로부터 서로 접근하여 그 단부가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경사부; 및 상기 각 제1 및 제2경사부가 다수의 변(cut lines)을 갖도록 절개되어 그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이격됨으로써 강성 부재 삽입을 위한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삽입편을 포함한다. 별도의 클리핑 장치 없이 동전 또는 또다른 클립 등을 그 삽입편 내부로 삽입하여 함께 내측으로 가압하므로써 그 파지부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매직 클립 {MAGIC CLIP}
본 고안은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클리핑 장치 없이도 동전 등의 강성 부재를 사용하여 그를 개방함으로써 서류 등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매직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클립(10)이 도시되어 있다. 클립(10)은 일반적으로 그 양단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소정 탄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서류 뭉치 등을 파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클리핑 장치, 즉, 상기 양단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클리핑 장치 없이도 그 자체적으로 파지부(12)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의 클립들이 많이 시판되고 있다.
국내 실용신안 공개 번호 제95-4124호, 제92-7765호 등에는 클립 상에 별도의 가압 스프링 등을 결합시켜 상기 스프링을 함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파지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클립들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클립 등을 포함한 근래의 클립들은 그 구조가 단순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지 않으며, 별도의 가압 스프링 등이 추가됨으로써 휴대시 그 부피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 클립의 양측 경사면을 일부 절개하여 삽입편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편에 동전 또는 또다른 클립 등을 삽입하여 함께 가압함으로써 파지부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매직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직 클립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매직 클립의 평면도.
도 4는 동전을 이용하여 상기 매직 클립을 개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매직 클립 210 : 플레이트
221, 222 : 제1 및 제2경사부 225 : 파지부
231, 232 : 제1 및 제2삽입편
본 고안의 목적은 서류 등의 적층된 종이들을 함께 파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직사각형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서로 접근하도록 연장하여 그 각 단부가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경사부 및 각 제1 및 제2경사부의 일부분들이 다수의 변(cut lines)을 갖도록 절개되어 제1 및 제2경사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이격됨으로써 강성부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단부는 대략 외측으로 플레어(flare)되어 있는 제1 및 제2삽입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클립(magic clip)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위 제1 및 제2삽입편은 제1 및 제2경사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후 절개된 다수의 변 방향으로 제1 및 제2경사부와 나란히 연장하여 그 사이에 강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직 클립(200)은 종래의 날 클립의 경사부를 절개하여 특수한 형상의 삽입편을 형성한 것으로서, 그 형상은 대략 종래의 날 클립으로부터 연상하여 이하 설명을 읽어가면 더욱 명료할 것이다.
도 2 및 3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직 클립(200)의 전체 사시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매직 클립(200)은 서류 등의 적층된 종이들을 함께 파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 너비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 플레이트(210), 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서로 접근하도록 연장하여 그 각 단부가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파지부(225)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경사부(221, 222)를 포함한다. 재질은 소정 탄성을 갖는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합성 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제1 및 제2경사부(221, 222)의 소정 부위가 다수의 변(cut lines)을 갖도록 절개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대략 다섯 변을 갖도록 절개된다. 제1 및 제2경사부(221, 222)와는 그 일변만이 함께하는 각 편린들은 제1 및 제2경사부(221, 222)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이격됨으로써 소정 간격 및 소정 깊이를 갖는 삽입 공간(240)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삽입편(231, 232)을 이룬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삽입편(231, 232)은 제1 및 제2경사부(221, 222)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후 상기 절개된 다수의 변 방향으로 대략 제1 및 제2경사부(221, 222)와 나란히 연장한다. 따라서, 삽입 공간(240)에는 동전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같은 종류의 매직 클립 또는 종래의 날 클립, 기타 모든 강성 부재들이 삽입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삽입편(231, 232)의 연장 단부는 대략 외측으로 플레어(flare)되어 상기 동전 등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 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전(1)을 삽입하여 각 파지부(225)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된다. 사용자는 동전의 후위를 좁혀 파지부(235)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서류 뭉치 등을 삽입할 수 있다. 그 후,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매직 클립(200) 본래의 탄성력에 의해 서류 뭉치는 안정적으로 파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매직 클립은 별도의 클리핑 장치 없이 동전 또는 또다른 클립 등을 그 삽입편 내부로 삽입하여 함께 내측으로 가압하므로써 그 파지부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이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에는 비누뿐만 아니라 물수건 등도 수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2)

  1. 서류 등의 적층된 종이들을 함께 파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직사각형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 서로 접근하도록 연장하여 그 각 단부가 서로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경사부; 및
    상기 각 제1 및 제2경사부의 일부분들이 다수의 변(cut lines)을 갖도록 절개되어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이격됨으로써 강성부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단부는 대략 외측으로 플레어(flare)되어 있는 제1 및 제2삽입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클립(magic cli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삽입편은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후 상기 절개된 다수의 변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경사부와 나란히 연장하여 그 사이에 강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직 클립.
KR2019990005088U 1999-03-30 1999-03-30 매직 클립 KR200258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088U KR200258627Y1 (ko) 1999-03-30 1999-03-30 매직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088U KR200258627Y1 (ko) 1999-03-30 1999-03-30 매직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40U KR20000018840U (ko) 2000-10-25
KR200258627Y1 true KR200258627Y1 (ko) 2001-12-28

Family

ID=5476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088U KR200258627Y1 (ko) 1999-03-30 1999-03-30 매직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6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907B1 (ko) * 2019-10-22 2021-03-03 김서진 서류 구분 고정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40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8924A (en) Spanner holder
US4947524A (en) Resilient sheet-steel paper clip
US5309605A (en) Spring clip
KR200258627Y1 (ko) 매직 클립
KR20220087345A (ko)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JP3519016B2 (ja) 合成樹脂製事務用クリップ
KR200166167Y1 (ko) 사무용 클립 어셈블리
KR200335727Y1 (ko) 제침기
JP2002120480A (ja) クリップ
KR200259759Y1 (ko) 포도덩굴의 지지구
KR20090012410U (ko)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다용도 클립
KR200343701Y1 (ko)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KR200258689Y1 (ko) 코너 클립
KR200343702Y1 (ko) 강력클립
KR900000130Y1 (ko) 압압식 지철구
CA2391074A1 (en) A notepad and notepad holder
KR200186087Y1 (ko) 클립
KR200343753Y1 (ko) 서류집게
JP3061797U (ja) 保護筒におけるしんきゅう針抜け止めストッパ―
JP3012921U (ja) 綴込み用紙
KR200209592Y1 (ko) 클립
JP2598897Y2 (ja) 書類保持具
JP3055715U (ja) メモホルダー
KR0127752Y1 (ko) 서류제본물
JP3707789B1 (ja) 多機能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