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727Y1 - 제침기 - Google Patents
제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35727Y1 KR200335727Y1 KR20-2003-0029327U KR20030029327U KR200335727Y1 KR 200335727 Y1 KR200335727 Y1 KR 200335727Y1 KR 20030029327 U KR20030029327 U KR 20030029327U KR 200335727 Y1 KR200335727 Y1 KR 2003357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edle
- iron
- lower member
- external
- immers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 B25C11/02—Pin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침기에 관한 것으로, 제침기의 전단부 측에 형성된 절곡부재를 매개로 다양한 규격의 철침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침부에 형성된 밀착부재를 통하여 불완전하게 제침된 철침을 파지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완전하게 철침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제침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후단부가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반발하도록 이루어진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측 및 하부부재의 상측에는 각종 서류나 종이 등에 고정된 철침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침부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침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 전단부의 한 쌍의 외부제침부 사이에는 각종 서류나 종이 등과 철침 사이에 삽입되어 철침이 제거되도록 하는 판형상의 절곡부재가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제침부에는 그 일부분이 각각 내측을 향해 밀려 이동된 밀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가압에 따라 제침된 후 상기 외부제침부 및 삽입제침부의 만곡부분을 통하여 유도된 철침은 상기 상부부재의 삽입제침부 및 상기 밀착부재의 맞닿는 부분에 파지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제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서류 및 종이 등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는 사무용 철침의 제거시에 사용되는 제침기의 구조를 변경하여 모든 규격의 철침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제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서류 및 종이 등을 철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철침을 매개로 고정된 상기 서류나 종이 등을 추가 또는 제거하여 재분류시킬 시에는 상기 철침의 용이한 제거를 위해 일정 형상의 제침기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철침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종래 제침기의 구성에 있어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손잡이부(12,32)가 형성된 상부부재(30) 및 하부부재(10)가 그 후단부 측에 구비된 힌지부(14)를 통하여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맞닿을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하부부재(10)의 상측 가장자리부분을 따라서는 각각 외부제침부(20)가 수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외부제침부(20)의 사이에는 한 쌍의 내부제침부(22)가 상기 외부제침부(20)와 평행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30)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측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제침부(20) 및 내부제침부(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삽입제침부 (40)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제침부(20)와 내부제침부(22) 및 삽입제침부(40)는 그 전단부 측이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만곡부분을 갖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단부는 철침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뾰족한 형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또, 상기 상부부재(30)와 하부부재(10)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키는 상기 힌지부(14)의 인접한 위치에는 탄성부재(도시안됨)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부재(30)와 하부부재(10)의 전단부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반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30) 및 하부부재(10)의 몸체부 후단에는 상호 엇갈리게 연장된 상태로 결합된 파지부재(16)가 구비되어 상기 외부제침부(20)와 내부제침부(22) 및 삽입제침부(40)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철침을 상기 파지부재(16)를 통하여 가압 고정시킨 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제침기에 있어서, 다양한 규격을 갖는 철침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철침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제침부를 구성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한편, 임의의 철침 제거시에는 완전한 제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제침기의 후단부에 구성된 파지부재를 이용하여 불완전하게 제거된 철침을 제거할 시에는 그 과정이 매우 번거로워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시킴과 아울러, 제침기의 사용시에 상기 파지부재에 인체의 특정부위가 가압되어 상처를 입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제침기는 그 제조공정의 증가 및 복잡성으로 인하여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경제성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침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제침기의 전단부 측에 형성된 절곡부재를 매개로 다양한 규격의 철침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침부에 형성된 밀착부재를 통하여 불완전하게 제침된 철침을 파지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완전하게 철침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제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는, 각각의 후단부가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반발하도록 이루어진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측 및 하부부재의 상측에는 각종 서류나 종이 등에 고정된 철침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침부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침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 전단부의 한 쌍의 외부제침부 사이에는 각종 서류나 종이 등과 철침 사이에 삽입되어 철침이 제거되도록 하는 판형상의 절곡부재가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제침부에는 그 일부분이 각각 내측을 향해 밀려 이동된 밀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가압에 따라 제침된 후 상기 외부제침부 및 삽입제침부의 만곡부분을 통하여 유도된 철침은 상기 상부부재의 삽입제침부 및 상기 밀착부재의 맞닿는 부분에 파지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곡부재는 철침의 제침시에 각종 서류나 종이 등과 철침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서류나 종이 등을 고정시킨 철침의 제침시에 철침의 규격에 상관없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완벽하게 제침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제침기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제침기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부부재, 12,32: 손잡이부,
14: 힌지부, 16: 파지부재,
20: 외부제침부, 22: 내부제침부,
30: 상부부재, 40: 삽입제침부,
50: 절곡부재, 60: 밀착부재,
70a,70b: 철침, 80: 서류 및 종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는 그 상면에 손잡이부(32)가 형성된 상부부재(30)와 그 하면에 손잡이부(12)가 형성된 하부부재(10)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30)와 하부부재(10)는 각각의 후단부 측면을 관통하는 힌지부 (14)를 통하여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부(14)와 인접한 지점에는 탄성부재(도시안됨)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부재(30) 및 하부부재(10)의 전단부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반발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10)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을 따라서는 외부제침부 (20)가 상측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외부제침부(20)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전단부 측에는 그 바닥판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대략 사각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 절곡부재(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재(50)는 각종 서류나 종이 등에 고정된 철침의 제침시에 상기 각종 서류나 종이 및 철침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전단부는 뾰족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30)에는 상기 하부부재(10)에 형성된 외부제침부(20)의 내측과 인접한 지점에 위치되도록 한 쌍의 삽입제침부(40)가 하측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부재(10)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제침부(20) 및 상기 상부부재(30)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제침부(40)는 각종 서류나 종이 및 철침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그 전단부 측이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날카롭게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날카롭게 형성된 단부는 그 후단부 측을 향해 일정 거리만큼 만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 본 고안에 따라 상기 하부부재(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외부제침부(20)의 상기 만곡부분이 끝나는 지점에는 그 일부분이 각각의 내측면을 향해 밀려 이동된 형상으로 밀착부재(60)가 형성되는데, 상기 밀착부재(60)의 상단은 상기 상부부재(30) 삽입제침부(40)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를 이용한 제침시에 상기 외부제침부(20)와 삽입제침부(40) 및 절곡부재(50) 등을 매개로 제침되는 철침은 상기 외부제침부(20) 및 삽입제침부 (40)의 만곡부분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밀착부재(60) 및 상기 밀착부재(60)와 맞닿는 삽입제침부(40) 사이에 견고하게 파지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완전히 제침될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를 이용하여 각종 서류나 종이(80) 등을 고정시킨 넓은 폭 철침이나 굵은 철침(예컨대, 33호침 등)(70a)을 제침할 시에는 상기 각종 서류나 종이(80) 등과 철침(70a) 사이에 상기 하부부재(10)의 외부제침부(20) 및 상부부재(30)의 삽입제침부(40) 단부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부재(10) 및 상부부재(30)의 손잡이부(12,32)를 가압하여 그 후단부에 형성된 힌지부(14)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부재(10) 및 상부부재(30)의 전단부 측이 밀착되면서 상기 외부제침부(20) 및 삽입제침부(40)가 상기 각종 서류나 종이(80)와 철침(70a) 사이를 관통하여 교차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종 서류나 종이(80) 등에 고정된 상기 철침(70a)은 상기 외부제침부(20) 및 삽입제침부(40)의 뾰족한 전단부를 통하여 제침된 후 그 후측의 만곡부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외부제침부(20)의 밀착부재(60) 부근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철침(70a)이 각종 서류나 종이(80) 등으로부터 완전히 제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부부재(30) 및 하부부재(10)의 손잡이부(12,32)를 완전히 가압함에 따라 상기 철침(70a)이 상기 밀착부재(60) 및 삽입제침부(40)가 맞닿는 지점에 견고하게 파지되게 되고, 그 후 사용자로부터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각종 서류나 종이(80) 등으로부터 완전하게 제침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를 이용하여 좁은 폭 철침(예컨대, 10호침 등)(70b)을 제침할 시에는 상기 각종 서류나 종이(80) 등과 철침(70b) 사이에 상기 하부부재(10)의 절곡부재(50)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부재(10) 및 상부부재(30)의 손잡이부(12,32)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부재(30)의 삽입제침부(40)가 상기 절곡부재(50)와 교차되면서 상기 각종 서류나 종이(80) 등과 철침(70b) 사이를 통과하여 제침을 행하도록 한다.
이때에도, 상기 절곡부재(50) 및 삽입제침부(40)를 통하여 제침된 철침 (70b)은 상기 외부제침부(20) 및 삽입제침부(40) 후측의 만곡부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외부제침부(20)의 밀착부재(60)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철침(70b)이 상기 각종 서류나 종이(80) 등으로부터 완전히 제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밀착부재(60) 및 삽입제침부(40)를 이용하여 상기 철침(70b)을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을 인가함에 의해 완전한 제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서류나 종이 등을 고정시킨 철침의 제거시에 외부제침부와 삽입제침부 및 절곡부재를 매개로 철침의 규격에 상관없이 제침작업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철침의 제침 작업시에는 밀착부재를 통하여 불완전하게 제침된 철침을 간편하게 완전히 제침시킬 수가 있으므로, 기존의 불완전하게 제침된 철침을 제거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제침기는 철침의 제침작업을 매우 간편하면서도 완벽하게 수행할 수가 있으며, 그 구조도 매우 간단하여, 제품의 생산공정 및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 각각의 후단부가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성반발하도록 이루어진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측 및 하부부재의 상측에는 각종 서류나 종이 등에 고정된 철침을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침부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침기에 있어서,상기 하부부재 전단부의 한 쌍의 외부제침부 사이에는 각종 서류나 종이 등과 철침 사이에 삽입되어 철침이 제거되도록 하는 판형상의 절곡부재가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하부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외부제침부에는 그 일부분이 각각 내측을 향해 밀려 이동된 밀착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가압에 따라 제침된 후 상기 외부제침부 및 삽입제침부의 만곡부분을 통하여 유도된 철침은 상기 상부부재의 삽입제침부 및 상기 밀착부재의 맞닿는 부분에 파지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재는 철침의 제침시에 각종 서류나 종이 등과 철침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상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9327U KR200335727Y1 (ko) | 2003-09-16 | 2003-09-16 | 제침기 |
US10/928,012 US20050056817A1 (en) | 2003-09-16 | 2004-08-27 | Staple remo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9327U KR200335727Y1 (ko) | 2003-09-16 | 2003-09-16 | 제침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35727Y1 true KR200335727Y1 (ko) | 2003-12-11 |
Family
ID=3427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9327U KR200335727Y1 (ko) | 2003-09-16 | 2003-09-16 | 제침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056817A1 (ko) |
KR (1) | KR20033572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7983Y1 (ko) * | 2008-01-03 | 2010-03-08 | 지태제 | 일회용 집게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90198B1 (en) * | 2006-01-30 | 2006-08-15 | Genet Michael | Magnetic staple remover |
US20080041197A1 (en) * | 2006-08-21 | 2008-02-21 | Janet Lynn Lalond | Mechanically leveraged key ring open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57965A (en) * | 1995-08-09 | 1997-08-19 | Arias; Arturo G. | Staple and tack remover |
US6105936A (en) * | 1997-09-04 | 2000-08-22 | Malek; Shahin S. | Staple remover |
-
2003
- 2003-09-16 KR KR20-2003-0029327U patent/KR20033572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
- 2004-08-27 US US10/928,012 patent/US20050056817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7983Y1 (ko) * | 2008-01-03 | 2010-03-08 | 지태제 | 일회용 집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50056817A1 (en) | 2005-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85404A (en) | Staple removing device | |
KR200335727Y1 (ko) | 제침기 | |
US4953281A (en) | Method of making a staple remover | |
KR0157064B1 (ko) | 스프링 클립 | |
KR920002258Y1 (ko) | 제침기(staple remover) | |
US4656716A (en) | Hand tool for bending and straightening studs of bookbinding strips | |
JPS60500240A (ja) | クリップ取外しはさみ具 | |
JPS6334317Y2 (ko) | ||
JP2000158562A (ja) | プラスチックシート用罫線形成刃 | |
KR200258627Y1 (ko) | 매직 클립 | |
EP0289059B1 (en) | Filling tool for the insertion and fastening of bristle bundles | |
KR200186087Y1 (ko) | 클립 | |
CN218457833U (zh) | 一种被子夹 | |
JP3116262B2 (ja) | 指掛け部付きクリップ | |
JP7073187B2 (ja) | ネイルカバー | |
KR20020045526A (ko) | 연결구조 | |
KR200379239Y1 (ko) | 화일용 클램프 | |
KR200271204Y1 (ko) | 전선 연결구의 고정 해제장치 | |
KR960009777Y1 (ko) | 제침기겸용 커터 | |
JP3077370U (ja) | 綴り具 | |
JPH08510692A (ja) | ステープラー | |
JP3160214U (ja) | 薄型クリップ | |
JP2022064749A (ja) | 包装箱のブランクシート | |
KR200343352Y1 (ko) | 제침기를 구비한 스테이플러 | |
KR200254352Y1 (ko) | 스태플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