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087Y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087Y1
KR200186087Y1 KR2020000000372U KR20000000372U KR200186087Y1 KR 200186087 Y1 KR200186087 Y1 KR 200186087Y1 KR 2020000000372 U KR2020000000372 U KR 2020000000372U KR 20000000372 U KR20000000372 U KR 20000000372U KR 200186087 Y1 KR200186087 Y1 KR 200186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r
clip
pap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광
Original Assignee
김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섭 filed Critical 김종섭
Priority to KR2020000000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0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7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with sliding clamping mean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립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클립은 수직상태의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의 상하 단부에서 동일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선단의 일정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및 일정크기의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하 단부에서 동일방향으로 대칭 되게 절곡된 한 쌍의 수평판과 상기 한 쌍의 수평판의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협지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내에 삽입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여러 장의 종이류를 협지하는 협지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한 쌍의 수평판과 협지판의 절곡 연결부위에 타격점을 형성하는 탄성보강수단을 추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한 장의 종이를 협지하고 탈거하여도 협지부재는 고정부재내에서 자연스럽게 종이와 함께 이탈되며, 또한 여러 장의 종이를 협지하여 장시간이 경과하거나, 제품을 여러번 사용하여도 협지부재가 탄성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제기능을 반영구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 클립의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상품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고안은 서류 등을 철하고 보관할 때 사용하는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종이류를 협지하는 협지부재로 이루어진 클립을 개량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한 장의 종이도 용이하게 협지할 수 있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문서나 서류를 임시로 철하여 보관할 경우에는 집게나 공구를 이용하는 클립이 사용되고 있다.
도 9 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클립의 사용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이러한 클립은 도면부호 100 으로 나타내며, 중앙판(102), 수평판(104) 협지판(106) 및 개방판(10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판(102)은 수직상태이며, 상기 수평판(104)은 상기 중앙판(102)의 상하 단부에서 동일방향 대칭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협지판(106)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협지판(106)은 서로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판(108)은 서로 밀착된 상기 한 쌍의 협지판(106)의 각 단부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클립(100)을 사용하여 서류(110) 등을 철할 때에는 상기 클립(100)을 클립장착구(도시 생략)에 삽입하여 누름판을 밀어 올림으로써 용이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필요에의해 클립(100)을 서류(110)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수평판(104)을 파지한 후 상기 클립(100)을 탈거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협지판(106)의 탄성력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클립(100)의 탈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류(110)의 표면에 손상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상기 클립(10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클립장착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사무용 클립 어셈블리(출원번호 99-15978)와 일본 도꾜긴조꾸고꾜가부사끼가이샤 에서 출원한 클립(출원번호 94-28447)이 있다. 상기의 클립(200)은 도 10 에 도시되었는데 상기의 클립(200)은 수직상태의 중앙판(251)과 상기 중앙판(251)의 상하 단부에서 동일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지지판(253)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253)의 선단의 일정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255)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및 일정크기의 수직판(231)과 상기 수직판(231)의 상하 단부에서 동일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된 한 쌍의 수평판(233)과 상기 한 쌍의 수평판(233)의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협지판(235)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재내에 삽입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여러 장의 종이류를 협지하는 협지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류 등의 종이류를 철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클립(200)의 양쪽 손잡이날개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고정부재에 안착된 협지부재를 당기면 걸림돌기(255)는 가이드홈에 걸리게 되고 한 쌍의 협지판(235)은 탄성에 의하여 서로 간격이 확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협지판(235) 사이에 서류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협지부재 쪽으로 밀면 상기 협지부재는 고정부재내에 안착되면서 상기 협지판(235)이 확대된 상태에서 좁혀지므로 종이류를 협지하고, 반대로 클립(200)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뒤로 당기면 분리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클립(200)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는 것을 본원 고안인이 여러번의 시험으로 확인하였다.
첫째, 상기 클립은 한두 장의 종이는 협지할 수 있으나 분리할 때는 상기 고정부재내의 협지부재가 종이와 함께 고정부재내에서 이탈하여, 다음단계에서 종이를 협지할 수 있는 준비 단계가 자연스럽게 되어야 하나 상기의 클립은 협지부재가 고정부재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착된 상태로 그대로 있게 된다.(도 5 에 도시된 모양 참조) 따라서, 서류가 강제적으로 이탈되어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클립이 도 1 에서와 같은 모양으로 개방된 상태로 있지 않아서 다시 사용하려면 사용자는 클립을 또 다시 개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이를 협지한 상태에서 장시간 (5 내지 7일)이 경과하거나 여러번의 사용에 의하여 상기 협지부재의 협지판(235)의 탄성력이 현저히 감소한다. 따라서, 도 5 의 (나)에 도시한 것과 같이 협지판(235)의 서로 벌어져 종이를 협지하지 못하는 중대한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장의 종이를 협지하고 탈거하여도 협지부재는 고정부재내에서 자연스럽게 종이와 함께 이탈되며, 또한 여러장의 종이를 협지하여 장시간이 경과하거나, 제품을 여러번 사용하여도 협지부재가 탄성력을 그대로 유지하고제기능을 반영구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클립의 사용상태도 및 요부확대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클립이 탈거될 때의 단면작동도 및 요부확대도.
도 4 는 탄성보강수단으로서 타격점을 형성하였을 때 응력이 분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 는 종래기술에 따른 클립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탄성을 잃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종래기술에 따른 협지판과 도 1 에 따른 클립의 협지판이 종이를 협지할 때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7 은 도 1 에 따른 클립의 단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8 은 도 1 에 따른 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9 는 종래기술에 따른 클립의 사용상태도.
도 10 은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클립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클립, 30:협지부재, 31:수직판, 33:수평판, 34:밀기구멍, 35:협지판, 36:타격점, 37:가이드 홈, 38:압착점, 50:고정부재, 51:중앙판, 53:지지판, 55:걸림돌기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의해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클립은 수직상태의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의 상하 단부에서 동일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선단의 일정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및 일정크기의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하 단부에서 동일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된 한 쌍의 수평판과 상기 한 쌍의 수평판의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협지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재내에 삽입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여러 장의 종이류를 협지하는 협지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한 쌍의 수평판과 협지판의 연결부위의 탄성한도를 넓히기 위한 탄성보강수단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탄성보강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평판과 협지판의 절곡 연결부위에 타격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직판과 수평판의 절곡 연결부위의 일정위치에 타격점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협지판의 선단에 한 쌍의 압착점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지지판의 외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엠보싱을 추가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중앙판에는 밀기구멍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특징에 따라, 사용자가 서류 등의 종이류를 철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클립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고정부재에 안착된 협지부재를 당기면 걸림돌기는 가이드 홈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한 쌍의 협지편은 탄성에 의하여 서로의 간격이 확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협지판 사이에 서류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협지부재 쪽으로 밀면 상기 협지부재는 고정부재내에 안착되면서 상기 협지판이 확대된 상태에서 좁혀지므로 종이를 단단히 협지하게 된다. 반대로, 종이에서 클립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간단히 상기 고정부재를 당기기만 하면 부드럽게 분리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과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 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은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내에 안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종이(12)류 등을 협지할 수 있는 탄성재의 협지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협지부재(30)보다 더 높은 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협지부재(3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재료를 사용하는데 수직상태의 중앙판(51), 상기 중앙판(51)의 상하단부에서 동일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되는데 내측으로 좁혀지는 형상의 한 쌍의 지지판(53)의 각각에는 선단의 일정 부위를 각각 절개하여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55)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5)는 협지부재(30)의 가이드홈(37)에 끼워져서 상기 협재부재(30)의 전후방으로 이동을 안내하고, 또한 스토퍼 역활을 하게된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협지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50)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수직판(31)과, 한 쌍의 수평판(33) 및 상기 수평판(33)에 각각 연결되는 협지판(35)이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수평판(33)은 상기 고정부재(50)의 걸림돌기(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37)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판(31)의 상하단부에서 동일방향으로 절곡되어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50)에 내장될 때 상기 고정부재(50)의 한 쌍의 지지판(53)의 내측벽을 일정 크기의 탄지력으로 가압시킨다.
게다가, 도 3 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한 쌍의 협지판(35)은 상기 한 쌍의 수평판(33)의 선단부에서 예각을 형성하면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협지판(35)은 길이가 서로 다르다. 즉 상기의 협지판(35)은 길이가 샹대적으로 길면서 종이류를 받쳐주는 역활을 하는 장협지판(35a)과, 길이가 상기 장협지판(35a)보다는 짧으면서 종이가 상기 클립(10)에서 탈거 할 때는 종이(12)를 움켜 잡아서 상기 협지부재(30)도 종이(12)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도와 주는 단협지판(35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이(12)를 상기 클립(10)에서 탈거할 때는 상기 협지부재(30)는 도면에서 사선으로 표현한 것과 같이 상부의 단협지판(35b)이 전방으로 약간 찌그러지면서 슬라이딩되어 탈거된다.
이때, 상기 협지부재(30)의 수직판(31)과 수평판(33) 사이에는 절곡된 선을 따라 벤딩과 이완이 반복하여 형성된다. 이하는 도 4 를 참조로 하여 상술한다. 도면의 (가)와 (나)에 도시된 것은 일반적인 수직면(61)과 수평면(63)이 연결되어 접히고 펼때 절첩선(65)을 따라서 벤딩과 이완이 반복하여 발생되므로 시간이 경과하거나 반복 운동이 지속되면 쉽게 피로하게 되어 탄성력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종래의 클립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사용회수가 증가하거나 종이류를 협지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탄성력을 상실하여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인데 그 이유는 상술한 이유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즉, 종래기술에의한 클립(200)의 수평판(233)과 협지판(235) 사이 및 수직판(231)과 수평판(233) 사이에서 벤딩과 이완이 반복하여 진행되면 그 사이에 있는 일직선상의 절첨선에 응력이 집중되고 쉽게 재료가 피로하게 되어 필요한 탄성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도 10 참조 ) 따라서 클립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중요한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인은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시험을 한 결과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게 되었다. 즉 도 4 의 (다)와 (라)에 도시된 것을 참조로 하여 상술하면 수직면(61)과 수평면(63) 사이의 접히는 부분에 타격점(66)을 주게되면 도면에 도시된 것 처럼 절첨선(68)이 상하로 분산된다. 따라서 응력은 넓게 퍼지고 한곳에 집중되지 않아서 응력을 재료의 피로한도 이내로 낮출 수 있으므로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도 클립이 제기능을 발휘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인은 t=0.13mm 스테인레스 판으로 협지부재를 만들고 도면에 도시된 것 처럼 수평판(33)과 협지판(35)사이의 절첩선에 한 쌍의 타격점(32)을 두고(도 1 참조), 수직판(31)과 장협지판(35a)이 연결되는 수평판(33)의 절첩선에 한개의 타격점(36)을 만들었을 때(도 3 참조) 부드러운 동작을 느끼면서 필요한 탄성력을 유지 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클립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한두 장의 종이를 클립에 협지하고 탈거하게 되면 클립은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이 개방된 상태로 되는 것이 정상이나 종래의 클립은 단지 종이만 이탈되고 클립은 도 5 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협지부재가 고정부재 내에 안착된 상태로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는 도 6 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한 쌍의 협지판 사이에 한두 장의 종이가 협지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먼저 도 3 를 참조로 하여 장협지판(35a)과 단협지판(35b)의 기능과 역활을 설명한다. 클립(10)에 협지된 종이(12)를 클립(10)에서 탈거할 때에는 장협지판(35a)은 협지된 종이(12)를 단협지판(35b)으로 밀어주는 역활을 하게되고, 이때 밀어준 종이(12)를 단협지판(35b)은 종이(12) 표면에 걸림쇠 역활을 하면서 종이(12)와 함께 클립(10)의 고정부재(50)에서 협지부재(30)가 이탈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한다. 그러나 도 6 의 (가) 와 (나)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클립(200)에서는 장협지판(235a)과 단협지판(235b)이 일직선으로 종이류에 협지되므로 한두 장의 종이를 협지하는 경우에는 단협지판(235b)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종이표면에서 그냥 미끄러진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6 의 (다)와 (라)에 도시한 본 고안의 클립(10)에서는 협지판(35)의 선단의 중앙 일정위치에 원호의 모양으로 형성되게 하여 장협지판(35a)과 단협지판(35b) 사이에서 종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단협지판(35b)에는 도면 6 의 (다)와 (라)에 도시한 한 쌍의 압착점(36)을 추가로 형성하여 단협지판(35b)의 기능를 보강하였다. 상기 한 쌍의 압착점(36)의 높이는 8/100 mm 일 때가 종이의 표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단협지판(35b)이 제기능을 최고로 발휘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협지부재(30)가 고정부재(50)내에 안착된 상태로 클립(10)이 보관 되다가 종이(12)를 협지하기 위하여 상기 클립(1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협지부재(30)를 고정부재(50)내에서 탈거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협지부재(30)내에 종이(12)가 협지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으로 상기 고정부재(50)와 협지부재(30)을 탈거하여야 한다. 이때 도 7 에 도시한 밀기구멍(34)으로 각 사무실이나 가정에 흔히 사용되는 샤프 연필의 연필 꼭지를 밀어 넣으면 쉽게 협지부재(30)의 수직판(31)을 밀어서 고정부재(50)내의 협지부재(30)를 쉽게 탈거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클립(10)의 협지부재(30)는 스테인레스 판 및 고정부재(50)는 탄소강으로 프레스에의해 절단 및 벤딩 등의 작업 공정을 거쳐서 제작되는데, 이때 생기는 응력을 풀림하기 위하여 상기의 협지부재(30)는 320℃ 의 온도에서, 고정부재(50)는 800℃ 의 온도에서 각각 약 2 시간동안 풀림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탄소강의 고정부재(50)에는 마찰을 감소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니켈 도금처리 한다.
도 8 은 상기와 같은 클립(10)을 사용자가 쉽게 사용하기 위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사용자는 종이(120를 정렬한 후 클립(10)을 고정할 부분에 위치를 잡고 왼손으로는 종이(12)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협지부재(30)의 끝과 고정부재(50)를 함께 파지하면서 협지부재(30)가 고정부재(50)내에 안착되도록 밀어 넣으면 되고,(도 8 (가)) 반대로 종이를 상기 클립(10)에서 탈거 할 때에는 왼손으로는 종이를 파지하고 오른손으로는 클립(10)의 고정부재(50)를 부드럽게 당기기만 하면 된다.(도 8 (나))
이때 사용자는 니켈 도금 처리된 고정부재(50)의 표면을 파지하고 당기게 되나 표면이 미끄러우면 사용자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더욱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고정부재(50)의 표면에 엠보싱 처리를 한 미끄럼 방지턱(52)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도 2 의 요부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협지부재(30)의 수평판(33)에도 내측으로 벤딩처리를 하여 부드러운 곡면으로 처리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은 한 장의 종이를 협지하고 탈거하여도 협지부재는 고정부재내에서 자연스럽게 종이와 함께 이탈되며, 또한 여러장의 종이를 협지하여 장시간이 경과하거나, 제품을 여러번 사용하여도 협지부재가 탄성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제기능을 반영구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 클립의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상품성이 증대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6)

  1. 수직상태의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의 상하 단부에서 동일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의 선단의 일정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고정부재; 및 일정크기의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하 단부에서 동일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곡된 한 쌍의 수평판과 상기 한 쌍의 수평판의 선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협지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재내에 삽입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여러 장의 종이류를 협지하는 협지부재로 이루어진 클립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평판과 협지판의 연결부위의 탄성한도를 넓히기 위한 탄성보강수단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보강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평판과 협지판의 절곡 연결부위에 타격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과 수평판의 절곡 연결부위의 일정위치에 타격점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판의 선단에 한 쌍의 압착점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외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엠보싱을 추가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에는 밀기구멍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2020000000372U 2000-01-07 2000-01-07 클립 KR200186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372U KR200186087Y1 (ko) 2000-01-07 2000-01-07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372U KR200186087Y1 (ko) 2000-01-07 2000-01-07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087Y1 true KR200186087Y1 (ko) 2000-06-15

Family

ID=1963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372U KR200186087Y1 (ko) 2000-01-07 2000-01-07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0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7818A (en) Key ring holder
US5085404A (en) Staple removing device
WO2007089056A1 (en) Binder clip
KR20000029203A (ko) 클립
JPH01306185A (ja) 紙綴じ針除去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86087Y1 (ko) 클립
KR20220087345A (ko)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KR920002258Y1 (ko) 제침기(staple remover)
US6224035B1 (en) Staple removing device
US20120279019A1 (en) Deformable paper clip
JPS58126194A (ja) 挾み装置
CN115379955A (zh) 夹持器具
FR2745527A1 (fr) Pince a papiers
KR200166167Y1 (ko) 사무용 클립 어셈블리
JP2000037980A (ja) クリップ
JP2002219890A (ja) クリップ
JP3116262B2 (ja) 指掛け部付きクリップ
KR100430963B1 (ko) 머리핀
KR200238587Y1 (ko) 날클립 제거기
KR200335727Y1 (ko) 제침기
JP3015575U (ja) 挟み具
JPH08267975A (ja) 書類挟持用クリップ体
KR200379239Y1 (ko) 화일용 클램프
KR200343701Y1 (ko)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KR200258627Y1 (ko) 매직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