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701Y1 -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 Google Patents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701Y1
KR200343701Y1 KR20-2003-0037661U KR20030037661U KR200343701Y1 KR 200343701 Y1 KR200343701 Y1 KR 200343701Y1 KR 20030037661 U KR20030037661 U KR 20030037661U KR 200343701 Y1 KR200343701 Y1 KR 200343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teel
strong
lever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판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판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판교
Priority to KR20-2003-0037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3Devices for applying fasteners, e.g. clips, to bundle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2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or withdrawing split pins or cir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1/00Hand tools for applying fasteners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력이 커서 두께가 두꺼운 서류의 제철이 가능한 동시에 손잡이가 불필요하여 제철된 서류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력클립의 설치 및 취급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는,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걸림편이 형성된 클립을 제철하기 위한 집게에 있어서, 상부레버(52)와 하부레버(54)가 힌지축(56)을 기준으로 상하 각운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의 앞쪽에 클립(40)의 몸체가 수용되는 수용홈부(58)가 형성되며 이 수용홈부의 앞쪽에 해당되는 상부 및 하부레버의 선단부에 상기 걸림편(44)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52b,54b)가 돌출된 것이다.

Description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A TONGS FOR CLIP}
본 고안은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꺼운 서류를 제철하고 적층이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삭제 구성된 강력클립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서류를 제철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문구에는 서류의 종류나 두께 또는 보관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클립이 사용되고 있는데, 서류의 두께가 얇은 경우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날크립(10)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날크립(10)은 그 사용시에 날크립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홀더에 날크립을 삽입하고 홀더의 앞부분을 서류의 모서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홀더의 손잡이를 전방으로 밀어 가압하게 되면 날크립이 전진 이동되면서 서류의 상하면에 협지되는 체결방식을 갖는 것으로 사용자의 가압력 한계와 홀더의 크기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날크립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없으므로 제철하는 서류의 두께가 일정한 두께 이상이 되면 그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제철하고자 하는 서류의 두께가 매우 두꺼운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2)의 상하측에 선형부재로 형성된 손잡이(24)가 구비된 서류집게(20)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서류집게는 서류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력이 크고 두꺼운 서류의 제철이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서류의 제철시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잡이(24)를 가압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가압시에 비교적 많은 힘이 들고 심할 경우 통증이 유발되는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서류집게(20)를 제철한 상태에서 그 상하측으로 손잡이(24)가 돌출되므로이 손잡이에 의해 다수 개의 서류를 적층하여 장기간 보관하거나 취급하기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류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력이 커서 두께가 두꺼운 서류의 제철이 가능한 동시에 손잡이가 불필요하여 제철된 서류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력클립의 설치 및 취급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걸림편이 형성된 클립을 제철하기 위한 집게에 있어서, 상부레버와 하부레버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하 각운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의 앞쪽에 클립의 몸체가 수용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며 이 수용홈부의 앞쪽에 해당되는 상부 및 하부레버의 선단부에 상기 걸림편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홈부는 상부 및 하부레버의 선단부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클립의 몸체의 단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힌지축상에는 일단이 상부레버의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레버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부 및 하부레버의 선단부가 서로 밀착되게 하는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된 탄성부재가 구성된다.
이에 따른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에 의하면, 강력클립에 의해 두꺼운 서류를 통증의 유발없이 작은 힘으로 손쉽게 서류를 제철할 수 있고, 강력클립에 손잡이가 불필요하게 되어 다수 개의 서류를 적층하여 장기간 보관하거나 취급하기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날크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손잡이를 갖는 집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철용 집게가 사용되는 강력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강력클립, 44:걸림편,
46:틈새, 50:집게,
52:상부레버, 52b,54b:걸림돌기,
54:하부레버, 56:힌지축,
58:수용홈부, 59:탄성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철용 집게가 사용되는 강력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50)는, 서류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력이 커서 두께가 두꺼운 서류의 제철이 가능한 동시에 손잡이가 불필요하여 제철된 서류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력클립(40)을 취급하기 위해 구성되는 바, 이 강력클립(40)은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2)의 단면(측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42)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걸림편(4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편(44)은 몸체(42)의 선단부가 상측을 향해 원형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단부와 클립 몸체의 경사면과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틈새(46)가 형성된다.
상기한 강력클립(40)의 제철용 집게(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부재가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절곡되어 자루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레버(52)와 하부레버(54)가 대향되게 힌지축(5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각운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레버(52,54)의 머리부에 힌지부(52a,54a)가 형성되고 이 힌지부에 결합되는 힌지축(56) 앞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클립의 몸체(42)가 수용되는 수용홈부(58)가 형성되도록 요입되며 이 수용홈부(58)의 앞쪽에 해당되는 상부 및 하부레버(52,54)의 선단부에는 강력클립(40)의 걸림편(44)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52b,54b)가 돌출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부(58)는 상부 및 하부레버(52,54)의 선단부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클립의 몸체(42)의 단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56)상에는 선형부재가 권취된 후 그 일단이 상부레버 (52)의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레버(54)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부 및 하부레버의 선단부를 서로 밀착시키려는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된 탄성부재(59)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술한 도 3에 도시된 강력클립(40)을 이용하여 서류를 제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제철용 집게의 상부 및 하부레버(52,54)를 눌러 선단부를 벌어지게 한 다음 클립 몸체(42)를 수용홈부(58) 내부로 밀어 넣는 동시에 상부 및 하부레버의 가압력을 점차적으로 해제시키면서 걸림편(44)의 틈새(46)에 걸림돌기 (52b,54b)가 삽입되도록 하여 강력클립을 장착한다.
이와 같이 강력클립(40)이 제철용 집게(50)에 장착되면 서류의 고정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부 및 하부레버(52,54)가 내측으로 모아지게 가압력을 인가시키면 집게의 선단부가 벌어지게 되면서 강력클립의 선단부 또한 벌어져 개방되는데, 이때 서류의 고정위치가 강력클립의 개구부 내부에 위치되게 밀어 넣은 후 상부 및하부레버에 인가되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강력클립(40)의 선단부가 서류의 상,하면상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강력클립(40)이 서류에 고정된 후 제철용 집게(50)의 걸림돌기(52b,54b)를 걸림편(44)으로부터 빼내어 이탈시키면 그 장착과정이 완료되며, 반대로 서류에 고정되어 있는 강력클립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동작과 유사한 동작으로 걸림돌기(52b,54b)를 걸림편(44)내에 삽입한 후 상부 및 하부레버(52,54)를 눌러 개방시킨 다음 외측으로 이탈시키면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를 이용하여 서류가 삽입되는 홈의 높이가 크고 고정력이 강한 강력클립에 의해 서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통증의 유발없이 작은 힘으로 손쉽게 서류를 제철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은 제철용 집게를 사용할 경우 강력클립은 손잡이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다수 개의 서류를 적층하여 장기간 보관하거나 취급하기가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걸림편이 형성된 클립을 제철하기 위한 집게에 있어서,
    상부레버와 하부레버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상하 각운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의 앞쪽에 클립의 몸체가 수용되는 수용홈부가 형성되며 이 수용홈부의 앞쪽에 해당되는 상부 및 하부레버의 선단부에 상기 걸림편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부는 상부 및 하부레버의 선단부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클립의 몸체의 단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상에는 일단이 상부레버의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부레버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부 및 하부레버의 선단부가 서로 밀착되게 하는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된 탄성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KR20-2003-0037661U 2003-12-03 2003-12-03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KR200343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61U KR200343701Y1 (ko) 2003-12-03 2003-12-03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61U KR200343701Y1 (ko) 2003-12-03 2003-12-03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701Y1 true KR200343701Y1 (ko) 2004-03-04

Family

ID=4934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661U KR200343701Y1 (ko) 2003-12-03 2003-12-03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7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09B1 (ko) * 2005-08-19 2007-05-11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산화이트륨 소결체, 정전척 및 산화이트륨 소결체의 제조방법
JP2022083472A (ja) * 2020-11-25 2022-06-06 有限会社斎藤塗装店 シート挟持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109B1 (ko) * 2005-08-19 2007-05-11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산화이트륨 소결체, 정전척 및 산화이트륨 소결체의 제조방법
JP2022083472A (ja) * 2020-11-25 2022-06-06 有限会社斎藤塗装店 シート挟持具
JP7276886B2 (ja) 2020-11-25 2023-05-18 有限会社斎藤塗装店 シート吊り下げ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0955B2 (ja) 髭剃カートリッジに解放可能に接続されるシェーバのためのハンドル
JP3923536B2 (ja) 止血クリップ支持具
CA1294845C (en) Medical clamp
US64091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ack tool
CA1138625A (en) Clip driver
US7124561B2 (en) Tape guide device for gardening buncher
JPH0616667Y2 (ja) ステ−プラ−
KR200343701Y1 (ko)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JP2018024233A (ja) ハンドル挿入式バインディングクリップ
JP2003054508A (ja) ストラップを突刺す係止装置を備える低挿入力のケーブルタイ
WO2009132074A2 (en) Magnetic organizer
US9352449B1 (en) Sanding block
KR200343702Y1 (ko) 강력클립
US5906448A (en) Clipboard with hole punch
EP0606679B1 (en) Clamp for leaf or sheet shaped material
US5090663A (en) Staple remover
US7712190B2 (en) Clip for clipping sheets together
US20020095748A1 (en) Clip
KR200335727Y1 (ko) 제침기
JP3244620U (ja) ペンを容易に固定するクリップ、およびこのクリップを有するクリップボード
KR200258627Y1 (ko) 매직 클립
KR200186087Y1 (ko) 클립
JP2001059505A (ja) 金属クリップ着脱用器具
KR200166167Y1 (ko) 사무용 클립 어셈블리
KR200238104Y1 (ko) 스테플리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