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702Y1 - 강력클립 - Google Patents

강력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702Y1
KR200343702Y1 KR20-2003-0037662U KR20030037662U KR200343702Y1 KR 200343702 Y1 KR200343702 Y1 KR 200343702Y1 KR 20030037662 U KR20030037662 U KR 20030037662U KR 200343702 Y1 KR200343702 Y1 KR 200343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trong
bent
handle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판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판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판교
Priority to KR20-2003-0037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7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력이 커서 두께가 두꺼운 서류의 제철이 가능한 동시에 손잡이가 불필요하여 제철된 서류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력클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강력클립(40)은, 판형부재가 삼각형 형상으로 절곡된 몸체의 앞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클립에 있어서, 상기 몸체(42)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몸체의 경사면상으로 굴곡되게 걸림편(44)이 형성되는 한편 이 걸림편(44)의 단부와 몸체(42)의 경사면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새(46)가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강력클립{A CLIP}
본 고안은 강력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꺼운 서류를 제철하고 적층이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삭제되고 조임력이 향상된 강력클립에 관한 것이다.
서류를 제철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문구에는 서류의 종류나 두께 또는 보관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클립이 사용되고 있는데, 서류의 두께가 얇은 경우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날크립(10)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날크립(10)은 그 사용시에 날크립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홀더에 날크립을 삽입하고 홀더의 앞부분을 서류의 모서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홀더의 손잡이를 전방으로 밀어 가압하게 되면 날크립이 전진 이동되면서 서류의 상하면에 협지되는 체결방식을 갖는 것으로 사용자의 가압력 한계와 홀더의 크기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날크립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 없으므로 제철하는 서류의 두께가 일정한 두께 이상이 되면 그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제철하고자 하는 서류의 두께가 매우 두꺼운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류집게(20)가 사용되는데, 이 서류집게(20)는 판재를 삼각형 형상으로 절곡시킨 몸체(22)와, 이 몸체(22)의 상하측에 선형부재로 형성된 손잡이(24)가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4)는 선형부재가 대략 "U" 자 형상으로 굴곡되고 그 양단부에 직교되게 절곡되는 고정부(24a)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몸체(22)의 개구부 양단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4)의 고정부(24a)가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몸체(22)의 상,하면상에 밀착되게 형성된 걸림고리(22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서류집게(20)는 서류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력이 크고 두꺼운 서류의 제철이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서류의 제철시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손잡이(24)를 가압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가압시에 비교적 많은 힘이 들고 심할경우 통증이 유발되는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서류집게(20)를 제철한 상태에서 그 상하측으로 손잡이(24)가 돌출되므로 이 손잡이에 의해 다수 개의 서류를 적층하여 장기간 보관하거나 취급하기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류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력이 커서 두께가 두꺼운 서류의 제철이 가능한 동시에 손잡이가 불필요하여 제철된 서류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강력클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형부재가 삼각형 형상으로 절곡된 몸체의 앞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클립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몸체의 경사면상으로 굴곡되게 걸림편이 형성되는 한편 이 걸림편의 단부와 몸체의 경사면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른 강력클립에 의하면, 두꺼운 서류를 통증의 유발없이 작은 힘으로 손쉽게 서류를 제철할 수 있고, 강력클립에 손잡이가 불필요하게 되어 다수 개의 서류를 적층하여 장기간 보관하거나 취급하기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날크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일반적인 손잡이를 갖는 집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강력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력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강력클립, 42:몸체,
44:걸림편, 46:틈새,
50:집게.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3a은 본 고안에 따른 강력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력클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강력클립(40)은, 서류를 눌러 고정하는 고정력이 커서 두께가 두꺼운 서류의 제철이 가능한 동시에 손잡이가 불필요하여 제철된 서류의 적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2)의 단면(측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42)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걸림편(4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편(44)은 몸체(42)의 선단부가 상측을 향해 원형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단부와 클립 몸체의 경사면과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틈새(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강력클립은 후술되는 제철용 집게(50)에 의해 서류에 설치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바, 상기 틈새(46)는 그 상하 간격이 후술되는 제철용 집게(50)의 걸림돌기(52b,54b)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술한 도 3a에 도시된 강력클립(40)을 이용하여 서류를 제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철용 집게의 상부 및 하부레버(52,54)를 눌러 선단부를 벌어지게 한 다음 클립 몸체(42)를 제철용 집게의 수용홈부(58) 내부로 밀어 넣는 동시에 상부 및 하부레버의 가압력을 점차적으로 해제시키면서 걸림편(44)의 틈새(46)에 걸림돌기(52b,54b)가 삽입되도록 하여 강력클립을 장착한다.
이와 같이 강력클립(40)이 제철용 집게(50)에 장착되면 서류의 고정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부 및 하부레버(52,54)가 내측으로 모아지게 가압력을 인가시키면집게의 선단부가 벌어지게 되면서 강력클립의 선단부 또한 벌어져 개방되는데, 이때 서류의 고정위치가 강력클립의 개구부 내부에 위치되게 밀어 넣은 후 상부 및 하부레버에 인가되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강력클립(40)의 선단부가 서류의 상,하면상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강력클립(40)이 서류에 고정된 후 제철용 집게(50)의 걸림돌기(52b,54b)를 걸림편(44)으로부터 빼내어 이탈시키면 그 장착과정이 완료되며, 반대로 서류에 고정되어 있는 강력클립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동작과 유사한 동작으로 걸림돌기(52b,54b)를 걸림편(44)내에 삽입한 후 상부 및 하부레버(52,54)를 눌러 개방시킨 다음 외측으로 이탈시키면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강력클립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강력클립에 따르면 서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제철용 집게를 이용하여 통증의 유발없이 작은 힘으로 손쉽게 서류를 제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다수 개의 서류를 적층하여 장기간 보관하거나 취급하기가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판형부재가 삼각형 형상으로 절곡된 몸체의 앞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클립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몸체의 경사면상으로 굴곡되게 걸림편이 형성되는 한편 이 걸림편의 단부와 몸체의 경사면 사이에 소정 간격의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력클립.
KR20-2003-0037662U 2003-12-03 2003-12-03 강력클립 KR200343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62U KR200343702Y1 (ko) 2003-12-03 2003-12-03 강력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662U KR200343702Y1 (ko) 2003-12-03 2003-12-03 강력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702Y1 true KR200343702Y1 (ko) 2004-03-04

Family

ID=4942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662U KR200343702Y1 (ko) 2003-12-03 2003-12-03 강력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7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7524A (en) Resilient sheet-steel paper clip
JP2019528416A (ja) ばね装置及び結合装置
JPH0586564U (ja) クリップ
WO2011016503A1 (ja) クリップ
KR930003072Y1 (ko) 클립 드라이버
JP2018024233A (ja) ハンドル挿入式バインディングクリップ
KR200343702Y1 (ko) 강력클립
KR200343701Y1 (ko)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
US5906448A (en) Clipboard with hole punch
US5410783A (en) Clamp for leaf of sheet shaped products
US20020095748A1 (en) Clip
US4343451A (en) Sensor retaining system
US7712190B2 (en) Clip for clipping sheets together
CN1058229C (zh) 夹子
JP2002120480A (ja) クリップ
KR200258627Y1 (ko) 매직 클립
JP2001105773A (ja) クリップ
JP2000037980A (ja) クリップ
KR200186087Y1 (ko) 클립
JPH0126888Y2 (ko)
KR200238587Y1 (ko) 날클립 제거기
JPS58556Y2 (ja) 綴り具
KR200238104Y1 (ko) 스테플리무버
JPH0243237Y2 (ko)
JPH07329471A (ja) 指掛け部付き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