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258Y1 - 제침기(staple remover) - Google Patents

제침기(staple rem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258Y1
KR920002258Y1 KR2019890019166U KR890019166U KR920002258Y1 KR 920002258 Y1 KR920002258 Y1 KR 920002258Y1 KR 2019890019166 U KR2019890019166 U KR 2019890019166U KR 890019166 U KR890019166 U KR 890019166U KR 920002258 Y1 KR920002258 Y1 KR 920002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s
body piece
outer body
pap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093U (ko
Inventor
구자명
Original Assignee
구자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명 filed Critical 구자명
Priority to KR2019890019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258Y1/ko
Priority to JP1990400787U priority patent/JPH03130384U/ja
Priority to US07/629,624 priority patent/US5090662A/en
Publication of KR910011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2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 B25C11/02Pin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침기(STAPLE REMOVER)
제 1 도는 종래고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측본체편 2 : 힌지핀
3 : 외측본체편 1a, 3a : 제침부
1b, 3b : 파지부 1c, 3c : 집게부
1d, 3d : 직선부 1e, 3e : 융기부
1f, 3f : 측판 1g, 3g : 곡면부
본 고안은 호치키스(STAPLER)에 의하여 다수의 적층된 종이를 철한 상태로 제본하고 있는 스테이플(STAPLE)을 종이로 부터 분리, 제거시키기 위한 제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종이를 철하여 제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가 접합하여 배열된 스테이플을 호치키스에 내장하여 상기 호치키스를 이용하여 상기 스테이플이 종이를 철하여 제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이가 제본된 상태에서 제본상태를 해제 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본상태에 있는 스테이플을 종이로부터 분리하여 제거시켜야 한고, 이를 위한 여러가지 수단이 강구되었다.
이러한 스테이플을 제거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종래 수단인 제침기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제침기는 외측본체편(3)의 측판(3f)내부에 내측본체편(1)을 끼워넣어 힌지핀(2)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및 외측본체편(1, 3)은 제침부(1a, 3a), 곡면부(1g, 3g), 직선부(1d, 3d)및 측판(1f, 3f)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및 외측본체편(1, 3)은 선단부위에 종이를 철하고 있는 스테이플을 파고들어갈수 있도록 뾰족하고 예리한 각도를 가지며 한쌍이 되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제침부(1a, 3a)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침부(1a, 3a)로 부터 시작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침부(1a, 3a)에 의해 종이로부터 뽑혀진 스테이플을 지속적으로 뽑아내기 위한 곡면부(1g, 3g)를 각각 가진다.
또한 상기 내측 및 외측본체편(1, 3)의 후단부위에는 상기 곡면부(1g, 3g)의 종료부위로 부터 시작하는 각각의 직선부(1d, 3d)로 부터 소정크기 만큼 튀어나온 측판(1f, 3f)을 형성하되, 내측본체편(1)의 양측판(1f)을 외측본체편(3)의 양측판(3f) 사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힌지핀(2)으로 내, 외측 스프링을 설치하여 내측본체편(1)의 제침부(1a)는 외측본체편(3)의 제침부(3a)의 내측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내측본체편(1)의 양 제침부(1a)는 외측본체편(3)의 양 제침부(3a)의 내측에서 이동하였다.
그러므로, 다수의 종이를 철하여 제본하고 있는 상태의 스테이플을 종이로부터 뽑아내어 분리, 제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침부(1a, 3a)를 스테이플에 인접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부(1b, 3b)에 힘을 가하면 외측본체편(3)의 제침부(3a)와 내측본체편(1)의 제침부(1a)는 힌지핀(2)을 중심으로 원호회전하게 되어 스테이플의 양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시에 접근하고, 이로인해 각 제침부(1a, 3a)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하면서 스테이플의 밑면과 종이의 사이에 파고 들어가며, 이어서 계속되는 제침부(1a, 3a)의 이동에 따라 스테이플은 곡면부(1g, 3g)를 따라 상승하여 종이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제침기는, 종이에 박혀있는 스테이플의 양단이 동시에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한쪽만 분리되는 상태가 발생하며, 이경우에는 사용자가 재차 손가락으로 스테이플을 잡고서 뽑아내야하는 불편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테이플을 뽑아내기 위한 일차적인 동작으로 스테이플을 완벽하게 뽑아낼수 있는 압지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스테이플이 한쪽만 뽑히고 다른쪽은 종이에 박혀있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뽑아낼수 있는 집게수단을 가지는 제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내, 외측본체편중에서 임의의 본체편의 직선부에 스테이플을 압지하기 위한 융기부를 형성하여 스테이플을 제거시키기 위한 동작수행시 상기 융기부와 융기부에 대응하는 타측 본체편의 직선부가 스테이플을 일정한 압력을 가진 상태로 눌러 잡도록 하여 스테이플을 제거시킬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테이플의 한쪽부위는 뽑혀지고 다른 부위는 종이에 박혀 있는 경우 이를 뽑아내기 위하여 내, 외측본체편의 후단부에 스테이플을 압지하기 위한 별도의 집게수단인 집게부를 형성하여 상기 집게부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집게기능을 수행하여 스테이플을 손쉽게 뽑아낼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 3 도는 이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외측본체편(3)과 내측본체편(1)을 구비하고, 외측본체편(3)과 내측본체편(1)을 힌지핀(2)으로 연결하고, 양측본체편(1, 3)사이에는 탄력부재(4)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측본체편(3)의 선단부에는 종이를 철하고 있는 스테이플을 파고 들어갈수 있도록 뾰족하고 예리한 각도를 가지는 제침부(3a)및 일정곡률을 가지는 곡면부(3g)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테이플을 파지하는 집게 수단인 집게부(1c)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중에서 제침부(3a), 곡면부(3g), 상기 곡면부(3g)의 종료부위에서 부터 시작되는 직선부(3d)와 직선부(3d)의 종료부위에서 튀어나오도록 형성된 측판(3f), 그리고 상기 측판(3f)의 연장선상에 형성된 집게부(1c)는 모두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간격을 가지는 대향부위에 동일한 형상의 각 부위를 형성하므로써 대칭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외측본체편(3)의 일측면에는 스테이플제거시 외측본체편(3)에 힘을 가하기 위한 파지부(3b)를 고정한다.
그리고, 내측본체편(1)은 상기 외측본체편(3)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외측본체편(3)과 각각 대응하는 동일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선단부로부터 제침부(1a), 곡면부(1g), 직선부(1a), 측판(1f) 및 집게부(1c)를 형성한다.
그리고, 내측본체편(1)의 측판(1f)을 외측본체편(3)의 측판(3f)사이에 끼워넣어, 힌지핀(2)으로 양측본체편(1, 3)을 연결하되, 내측본체편(1)의 집게부(1c)가 외측본체편(3)의 집게부(3c)사이를 통과하여 외부로 튀어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내측본체편(1)중에서 상기 곡면부(1g)의 종료부위에서 부터 시작하는 직선부(1d)에는 스테이플제거 수행시 일정높이만큼 곡면부(1g)를 따라 상승한 스테이플을 압착하여 압지하기 위한 융기부(1e)를 형성하되 이 융기부(1e)는 융기부(1e)가 형성된 내측본체편(1)의 직선부(1d)와 대응하는 외측본체편(3)의 직선부(3d)와 맞닿도록 튀어나오게 형성한다.
상기 융기부(1e)는 내측본체편(1)의 2개부위에 형성된 직선부(1d)중 하나의 직선부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거나 제 3 도에 도시된 융기부(1e, 1e')와 같이 2개부위의 직선부(1d)에 모두 형성할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3e)는 외측본체편(3)의 직선부(3d)에 형성될수도 있으며, 양측본체편(1, 3)의 직선부(1d, 3d)중 임의의 직선부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거나 모든 직선부(1d, 3d)에 동시에 형설할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본상태에 있는 스테이플을 뽑아내고자 하는 경우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b, 3b)에 힘을 가하면 양제침부(1a, 3a)는 힌지핀(2)을 중심으로 소정구간 만큼 원호회전하고, 이때 양제침부(1a, 3a)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지하면서 스테이플(7)에 파고든다.
이어서 양 제침부(1a, 3a)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스테이플(7)은 곡면부(1g, 3g)를 따라 상승하면서 뽑아지게 된다.
이때 곡면부(1g, 3g)를 지나 융기부(1e)에 도달한 스테이플(7)은 융기부(1e)와 상기 융기부(1e)에 대항하는 타측본체편의 직선부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압지되고, 스테이플(7)이 압지된 상태에서 제침기를 잡아 당기면 스테이플은 종이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침부, 곡면부 및 융기부를 이용하여 스테이플을 뽑아내기 위한 과정에서 스테이플의 한쪽부분만 뽑혀지고 다른 부분은 계속해서 종이에 박혀있어 이를 뽑아내고 하는 경우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본체편(1, 3)의 후단부에 형성된 집게부(1c, 3c)를 스테이플(7)에 향하도록 한후 파지부(1b, 3b)에 힘을 가하면 상기 양 집게부(1c, 3c)는 집게와 같이 스테이플(7)을 압착하여 압지하게 되고, 이상태에서 제침기를 잡아당기면 스테이플을 원활히 뽑아내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양측본체편(1, 3)의 직선부(1d, 3d)에 융기부(1e)를 형성하여 스테이플의 제거시 스테이플을 상기 융기부와 직선부가 압착하여 압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뽑아내도록 하므로써 스테이플 제거능률을 증진시키고, 스테이플을 정확하게 뽑아낼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양측본체편(1, 3)의 후단부에 집게수단인 집게부(1c, 3c)를 구비하여 스테이플을 효과적으로 파지하여 뽑아낼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침부(1a, 3a)과 파지부(1b, 3b) 및 직선부(1d, 3d)로되는, 내, 외측본체편(1,3)을 힌지핀(2)으로 연결하여서 되는 제침기에 있어서, 내, 외측본체편(1,3)의 후단에 형성되어 스테이플을 압착하여 압지하는 집게부(1c, 3c)와 ; 상기 내, 외측본체편(1,3)의 직선부(1d, 3d)에 돌출되어 스테이플을 압착하여 압지하기 위한 융기부(1e, 3e)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c, 3c)는 ''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침기.
KR2019890019166U 1989-12-18 1989-12-18 제침기(staple remover) KR920002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166U KR920002258Y1 (ko) 1989-12-18 1989-12-18 제침기(staple remover)
JP1990400787U JPH03130384U (ko) 1989-12-18 1990-12-17
US07/629,624 US5090662A (en) 1989-12-18 1990-12-18 Staple rem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166U KR920002258Y1 (ko) 1989-12-18 1989-12-18 제침기(staple rem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093U KR910011093U (ko) 1991-07-29
KR920002258Y1 true KR920002258Y1 (ko) 1992-04-06

Family

ID=1929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166U KR920002258Y1 (ko) 1989-12-18 1989-12-18 제침기(staple remov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90662A (ko)
JP (1) JPH03130384U (ko)
KR (1) KR9200022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471A (en) * 1992-04-10 1995-01-24 Funnell; David M. Surgical biopsy instrument
US5284322A (en) * 1992-12-08 1994-02-08 Clark Conrad J Staple puller with means for gripping a staple
US5354033A (en) * 1993-05-10 1994-10-11 Erwin Cheldin Double-jawed staple remover
US5938178A (en) * 1998-06-10 1999-08-17 Oh; Tae Gon Staple Remover
US6145811A (en) * 1999-03-31 2000-11-14 Erkie, Inc. Staple remover having planar pressing surfaces and staple receiving locking notches
US6772996B1 (en) * 2003-09-05 2004-08-10 Donald G. Carlson Double ended staple remover/pliers
US6854714B1 (en) * 2003-12-08 2005-02-15 Lawson A. Wood Staple puller with pliers for removing stragglers
US20100101028A1 (en) * 2008-10-29 2010-04-29 Erkie, Inc. Multi-function tool including a letter opener and staple remover
EP2976384A2 (en) 2013-03-19 2016-01-27 IGAP S.p.A. "thermoplastic polymer formulation containing recycled polyolefins and method of preparing"
CN108724109B (zh) * 2018-08-22 2020-06-30 浙江海洋大学 一种双面起钉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3050A (en) * 1932-12-12 1936-03-03 William G Pankonin Tool for removing staples
US3143800A (en) * 1962-10-19 1964-08-11 Felix B Vizzi Destapling device
US3311346A (en) * 1966-05-06 1967-03-28 Jr Lathan C Almond Staple extractor
JPS6039476A (ja) * 1983-08-11 1985-03-01 ミヨシ油脂株式会社 繊維用柔軟剤組成物
FI82866C (fi) * 1985-06-24 1991-04-25 Siemens Ag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strukturerade vaermebestaendiga skikt och deras anvaendning.
US4784370A (en) * 1987-08-04 1988-11-15 Strickland Larry D Staple remov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093U (ko) 1991-07-29
JPH03130384U (ko) 1991-12-27
US5090662A (en)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258Y1 (ko) 제침기(staple remover)
JPS58501211A (ja) スキンクリップ取外し装置
US5085404A (en) Staple removing device
SE443705B (sv) Kirurgisk heftapparat
US5183196A (en) Stapler assistor
EP0124556A1 (en) STAPLER WITH CONVEYABLE ANVIL.
JPH01306185A (ja) 紙綴じ針除去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4921216A (en) Staple remover
WO2006077878A1 (ja) 医療用ステープル
US5749564A (en) Staple removing device
US4782986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ving margin portions from perforated flexible sheet materials
GB2297054A (en) Staple remover
NO812785L (no) Instrument til uttrekning av hefteklammer.
KR200316327Y1 (ko) 탈침기
WO1997043093A1 (en) Improved staple remover
US5284322A (en) Staple puller with means for gripping a staple
KR200335727Y1 (ko) 제침기
US9114597B1 (en) Protected prong file faste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116262B2 (ja) 指掛け部付きクリップ
TWM379495U (en) Stapler remover can safety recover stapler pin
KR200279785Y1 (ko) 제침기
KR200186087Y1 (ko) 클립
CN211661962U (zh) 一种卡扣式省力订书起钉器
CN213259292U (zh) 一种医院档案管理用起钉装置
JPH08141932A (ja) 針ぬき付ホッチキ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