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195B1 - 문서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문서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195B1
KR101617195B1 KR1020140043335A KR20140043335A KR101617195B1 KR 101617195 B1 KR101617195 B1 KR 101617195B1 KR 1020140043335 A KR1020140043335 A KR 1020140043335A KR 20140043335 A KR20140043335 A KR 20140043335A KR 101617195 B1 KR101617195 B1 KR 101617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lip plate
plate
document
deform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802A (ko
Inventor
서영석
서성원
서예원
Original Assignee
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석 filed Critical 서영석
Priority to KR102014004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19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류 또는 문서 다발을 철할 수 있는 클립을 평판에 가깝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하나의 클립으로 얇은 두께의 문서는 물론 클립의 두께보다 두꺼운 문서도 견고하게 철할 수 있는 문서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은, 판형으로 이루어져 문서의 일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클립판과; 판형으로 이루어져 문서의 타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2 클립판; 및 상기 제1 클립판과 제2 클립판을 상호 연결하고, 높낮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재는 제1 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제1 장홈, 및 제2 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제2 장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서 고정용 클립{CLIP FOR FIXING PAPERS}
본 발명은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을 매우 얇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하나의 클립으로 다양한 문서의 두께를 철할 수 있는 문서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립은 각종 서류, 종이 등을 철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무용품의 일종이다. 이러한 클립은 다양한 형태로 생산 판매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형태로서 강선을 코일 형태로 감은 코일형 클립과, 한 쌍의 판형 부재를 집게 형태로 형성하여 탄성력에 의해 문서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집게형 클립이 있다.
그런데, 코일형 클립은 그 두께가 평판에 가까워 비교적 두꺼운 문서나 종이는 철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집게형 클립은 두꺼운 서류를 철할 수 있으나 그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집게를 벌리기 위한 손잡이 등의 추가적인 부품이 더 필요하여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행특허 1과 같이 두개의 경사판이 접하도록 굽혀서 제작한 평판형 클립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특허 1에 제시된 평판형 클립은 종래 코일형 클립보다는 좀더 두꺼운 문서를 철할 수 있었으나, 그 두께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면 다른 사이즈로 제작된 별개의 평판형 클립을 이용해야만 했다.
결국, 선행특허1에 의하더라도 사용자가 다양한 문서 두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평판형 클립을 구비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선행특허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8016호 (2003.09.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류 또는 문서 다발을 철할 수 있는 클립을 평판에 가깝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하나의 클립으로 얇은 두께의 문서는 물론 클립의 두께보다 두꺼운 문서도 견고하게 철할 수 있는 문서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은, 판형으로 이루어져 문서의 일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클립판과; 판형으로 이루어져 문서의 타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2 클립판; 및 상기 제1 클립판과 제2 클립판을 상호 연결하고, 높낮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재는 제1 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제1 장홈, 및 제2 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제2 장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에 의하면, 클립 사이에 삽입되는 문서가 클립의 초기 파지 가능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 이에 대응하여 그 높이가 탄력적으로 조절됨으로써 보다 두꺼운 문서 다발도 고정시킬 수 있는 바, 하나의 클립으로 다양한 두께의 서류 또는 문서를 철할 수 있어 그 경제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립을 평판형에 가깝께 제작할 수 있어 문서와의 마찰면적의 증가로 문서에 대한 파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클립의 모양을 보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클립판 또는 제2 클립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클립판 또는 제2 클립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확장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클립판 또는 제2 클립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재의 사시도로서, 도 5(a)는 문서를 파지하기 전의 가변부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문서를 파지하였을 때의 가변부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은 제1 클립판(10), 제2 클립판(20), 및 가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눌림부(15,25)와 가압편(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1 클립판(10)은 제2 클립판(20)과 함께 문서 다발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해당 문서 다발을 파지하는 구성부로서, 제1 클립판(10)은 문서 다발의 최상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클립판(10)은 다각형의 박판 부재로 구성된다. 참고로 도 1 실시예의 제1 클립판(10)은 적어도 일 모서리가 모따기된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성하였다.
제1 클립판(10)을 박판으로 구성한다면, 도 1의 직사각형 모양 외에 어떠한 모양으로도 형성가능한데, 예컨대, 도 4 (a)와 같은 삼각형 모양, 도 4 (b)와 같은 사다리꼴 모양, 및 도 4 (c)와 같은 오각형 모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2 클립판(20)은 제1 클립판(10)과 함께 문서 다발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해당 문서 다발을 파지하는 구성부로서, 제2 클립판(20)은 문서 다발의 최하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클립판(20)은 다각형의 박판 부재로 구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 실시예와 같이 제2 클립판(20)은 적어도 일 모서리가 모따기된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하여, 서류를 넘길 때 서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클립판(20)은 제1 클립판(10) 대비 가로 길이는 동일하고, 세로 길이는 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클립을 문서에 끼울 때 제1 클립판(10)이 먼저 종이에 닿게함으로써 클립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끼우는 동작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클립판(20)은 제1 클립판(10)과 마찬가지로 박판형으로 구성한다면, 삼각형, 사다리꼴, 오각형 등 어떠한 모양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클립판(20)에는 가압편(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가압편(21)은 제2 클립판(20)의 내측면 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 상태에서 소정의 외력(예컨대, 삽입되는 문서)에 의해 눌림 동작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복원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편(21)은 제2 클립판(20)의 일 영역(바람직하게는 중심부)을 '∩' 자 형태로 절개한 후, 상기 절개된 부위를 내측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제2 클립판(20)의 내측면 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가압편에 의해, 본 고안의 클립은 클립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량의 문서를 파지할 때 감소되는 파지력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압편(21)이 절곡되는 정도는 20°내지 80°범위 내의 경사도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의 가변부재(30)는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을 상호 연결하고, 특히 높낮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 클립판(10)은 가변부재(30)의 일측 변 부위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결되고, 제2 클립판(20)은 가변부재(30)의 타측 변 부위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가변부재(30)의 양측 변 부위에서 각각 굽혀진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은 도 3과 같이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변부재(30)는 이와 같이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을 상호 연결하며 각 클립판이 문서 다발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 사이에 파지되는 문서의 두께가 가변부재(30)의 최초 높이 보다 두꺼울 경우 이에 대응하여 그 높이가 탄력적으로 조절됨으로써 보다 두꺼운 문서 다발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부재(30)는 이와 같이 문서 두께에 따라 그 높이가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제1 장홈(31)과 제2 장홈(32)을 갖는 부재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가변부재(30)는 양측 변 부위에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이 연결되어 있는 판형 부재(33)로 이루어지되, 이러한 가변부재(30)의 판형 부재(33)는 제1 클립판(10) 또는 제2 클립판(20)의 두께(T2)보다 더 큰 두께(T1)(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로 형성된다.
이는, 가변부재(30)에 소정의 두께(T1)를 부여함으로써, 후술할 제1 장홈(31)과 제2 장홈(32)에 의해 구현되는 높이 변화가 스프링과 같이 탄력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문서의 두께가 가변부재(30)의 최초 높이 보다 두꺼울 경우 가변부재(30)는 제1 장홈(31)과 제2 장홈(32)이 벌어지며 인장되고, 해당 문서가 제거될 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최초 높이로 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가변부재(30)의 높낮이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1 장홈(31)은 제1 방향(D1)으로 절개 형성된 장홈 형태로 구성되고, 제2 장홈(32)은 제2 방향(D2)으로 절개 형성된 장홈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방향(D1)이란 제2 방향(D2)과 구별되는 방향을 지칭하는데, 도 1 및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장홈(31)이 외부와 연통되는 우측 종단에서 제1 장홈(31)이 가변부재(30)의 내부에서 절개가 종료되는 지점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2 방향(D2)은 전술한 제1 방향(D1)과 다른 방향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장홈(31)과 제2 장홈(32)은 상호 다른 높이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장홈(31) 및 제2 장홈(32)의 길이는 가변부재(30)의 판형의 가로 길이의 절반을 넘지 않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변부재(30)의 충분한 탄성력의 보장하여 가변부재가 높이 증가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 장홈(31)과 제2 장홈(32)은 기다란 타원형 형태를 갖는 장요홈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장홈(31)은 도 3을 기준으로 제3 방향(D3)으로 향할 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는 형태 즉, 사다리꼴 모양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가변부재의 내측(즉, 제1 및 제2 클린판이 구비되는 측)에서 외측(즉, 눌림부가 구비되는 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이는,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눌림부(15,25)를 통한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 간의 강제 벌림 동작이 보다 원활히 발생할 수 있도록 함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눌림부(15,25)는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 간의 강제 벌림 동작을 손쉽게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부로서, 눌림부(15,25)는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은 각 일측 종단부에 일체로 돌출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사용자는 제1 클립판(10)의 일측 모서리(즉, 가변부재와 연접하는 모서리 부위)를 따라 바(Bar) 형태로 돌출 형성된 눌림부(15)와, 제2 클립판(20)의 일측 모서리(즉, 가변부재와 연접하는 모서리 부위)를 따라 바(Bar) 형태로 돌출 형성된 눌림부(15)를 잡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의 전단부는 상호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철하고자 하는 문서를 보다 손쉽게 클립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벌림 동작후 상기 누름 동작을 해제하면,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은 각각 원래 상태로 복귀되어 문서의 양측면을 가압하며 파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7 (a)는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문서 고정용 클립의 벌림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클립판과 제2 클립판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은 제1 클립판(40), 제2 클립판(50), 눌림부(45,55), 및 가변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실시예의 제1 클립판(40)은 제2 클립판(50)과 함께 문서 다발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해당 문서 다발을 파지하는 구성부로서, 제1 클립판(40)은 문서 다발의 최상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제2 클립판(50)은 문서 다발의 최하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클립판(40) 및 제2 클립판(50)은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는 눌림부(45,55)를 통한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 간의 강제 벌림 동작을 구현하기 위함인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은 각각 눌림부(45,55)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상호 벌림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와 같은 별도의 구배부(15,25) 및 상호 교차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그 모양 역시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즉, 제2 실시예의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은 제1 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구배부를 갖는 삼각형, 사다리꼴 및 오각형 모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으면서,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의 구배부가 상호 교차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도 8 (a) 내지 (e)와 같이 삼각형, 오각형, 사다리꼴 및 직사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으면서 구배부가 상호 교차하지 않고, 제2 클립판(50)이 제1 클립판(40)의 내측면 상에 대향하며 배치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의 가변부재(60)는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을 상호 연결하고, 특히 높낮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가변부재(60)는 이와 같이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을 상호 연결하며 각 클립판이 문서 다발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 사이에 파지되는 문서의 두께가 가변부재(60)의 최초 높이 보다 두꺼울 경우 이에 대응하여 그 높이가 탄력적으로 조절됨으로써 보다 두꺼운 문서 다발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가변부재(60)는 바(bar)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의 상단부는 제1 클립판(40)의 일측 종단(즉, 일측 변 부위)으로부터 제1 클립판(40)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1 클립판(40)의 하면의 우측 지점 상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의 하단부는 제2 클립판(50)의 일측 종단(즉, 제1 클립판(40)과 동일한 일측 변 부위)으로부터 제2 클립판(50)의 내측으로 이격(L1)된 위치에서 제2 클립판(50)의 상면의 좌측 지점 상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가변부재(60)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 사이의 내측 공간에서 상호 사선 구조로 연결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가변부재(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의 일측 종단으로부터 소정 거리(L1)만큼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는데, 이와 같이 가변부재(60)에 의해 구분되는 이격 공간(즉, 제1 클립판(40) 또는 제2 클립판(50)의 일단부 영역)에 의해 본 발명의 눌림부(45,55)가 마련되게 된다.
여기서, 가변부재(60)의 이격 거리 즉, 눌림부(45,55)의 폭은 1㎜ 내지 5㎜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눌림부(45,55)는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 간의 벌림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부이다. 즉, 사용자는 제1 클립판(40)에 마련된 눌림부(45)와 제2 클립판(50)에 마련된 눌림부(55)를 잡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의 전단부는 상호 벌어지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철하고자 하는 문서를 보다 손쉽게 클립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벌림 동작후 상기 누름 동작을 해제하면,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은 각각 도7(a)와 같은 원래 상태로 복귀되어 문서의 양측면을 가압하며 파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2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고정시킬 문서 다발의 두께가 가변부재(60)의 최초 높이 보다 두꺼울 경우 사선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가변부재(60)는 그 경사도가 높아지며 상승 동작되어 제1 클립판(40)과 제2 클립판(50) 간의 이격 거리를 증대시킴으로써 보다 두꺼운 문서 다발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해당 문서 다발이 제거되면, 가변부재(6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최초 높이로 되돌옴으로써 얇은 두께의 문서 다발 역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확장 실시예에 따른 문서 고정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확장 실시예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보강대(70)는 제2 클립판(50)의 상면과 가변부 하단부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9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대(70)는 제2 클립판(50)의 눌림부(55)로부터 돌출 형성된 부재로 구성되고, 그 일측면은 제2 클립판(50)의 상면 상에 결합되어 있는 가변부재(60)의 하단부와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대는 제2 클립판(50)은 물론 제1 클립판(40)에도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우 보강대는 제1 클립판(40)의 하면과 가변부 상단부의 측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부재(60)와 제2 클립판(50)(또는 제1 클립판(40)) 사이에 이들과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보강대(70)를 더 마련함으로써, 가변부재(60)의 반복적인 경사도 변화(즉, 높낮이 변화) 동작을 보다 안정적으로 그리고 파손없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긴 사용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컨대, 제1 클립판과 제2 클립판은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도록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소정 모양 내지 구조를 갖는 관통홈이 더 형성된 판형 부재 역시 본 발명의 판형 부재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40: 제1 클립판
15,25,45,55: 눌림부
20,50: 제2 클립판
21: 가압편
30,60: 가변부재
31: 제1 장홈
32: 제2 장홈
70: 보강대

Claims (7)

  1. 삭제
  2. 문서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으로서,
    판형으로 이루어져 문서의 일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1 클립판(10);
    판형으로 이루어져 문서의 타측 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2 클립판(20); 및
    상기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을 상호 연결하고, 높낮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가변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재(30)는,
    제1 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제1 장홈(31); 및
    제2 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제2 장홈(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상호 반대 방향이고, 상기 제1 장홈(31)과 상기 제2 장홈(32)은 상호 다른 높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고정용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립판(20)의 일 영역을 절개하여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한 가압편(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고정용 클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판(10)과 제2 클립판(20)의 각 일측 모서리 부위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눌림부(15,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고정용 클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홈(31) 또는 제2 장홈(32)은 상기 가변부재(30)의 내측(상기 제1 및 제2 클립판이 구비되는 측)에서 외측(눌림부(15,25)가 구비되는 측)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고정용 클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판(10) 또는 상기 제2 클립판(20)은 적어도 일 모서리가 모따기된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고정용 클립.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립판(20)의 세로 길이는 상기 제1 클립판(10)의 세로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고정용 클립.
KR1020140043335A 2014-04-11 2014-04-11 문서 고정용 클립 KR10161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35A KR101617195B1 (ko) 2014-04-11 2014-04-11 문서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35A KR101617195B1 (ko) 2014-04-11 2014-04-11 문서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02A KR20150117802A (ko) 2015-10-21
KR101617195B1 true KR101617195B1 (ko) 2016-05-02

Family

ID=5440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335A KR101617195B1 (ko) 2014-04-11 2014-04-11 문서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1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870A (ja) * 2000-12-26 2002-07-10 Kyowa Metal Work Co Ltd クリップ
JP2009012241A (ja) * 2007-07-03 2009-01-22 Max Co Ltd 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870A (ja) * 2000-12-26 2002-07-10 Kyowa Metal Work Co Ltd クリップ
JP2009012241A (ja) * 2007-07-03 2009-01-22 Max Co Ltd 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802A (ko)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4414B2 (en) Fastener
US8499403B2 (en) Brush
WO2014016568A1 (en) Binder clip
US20080178976A1 (en) Combination money clip and credit card holder
JP5653355B2 (ja) クリップ
CN101795871A (zh) 具有可沉入槽或者夹槽的夹边的文件夹
KR20220087345A (ko)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KR101617195B1 (ko) 문서 고정용 클립
KR102458294B1 (ko) 길이가 가변되는 파일 홀더
JP4308846B2 (ja) 紙葉をクランプするためのクリップ
JP2006520704A5 (ko)
CN218112175U (zh) 一种新型票夹
JP3123472U (ja) クリップ
US20040262908A1 (en) Clip and clipboard
JP4032361B1 (ja) 用紙係止用具
EP2636337B1 (en) Brush with means for removing hair from the same
JP7075548B1 (ja) コーナーフィッティング
JP5489291B2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の製造方法
US20190308438A1 (en) Flat Binder Clip
JP3168657U (ja) ホルダ
KR20220161747A (ko) 클립 분리형 클립보드
KR200294104Y1 (ko) 서류 고정용 클립
WO2020217712A1 (ja) 清掃シート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具及び保持具を用いた清掃具
KR200186103Y1 (ko) 서류 보관용 파일
KR200343753Y1 (ko) 서류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