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104A - 소형의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소형의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104A
KR20180039104A KR1020187006482A KR20187006482A KR20180039104A KR 20180039104 A KR20180039104 A KR 20180039104A KR 1020187006482 A KR1020187006482 A KR 1020187006482A KR 20187006482 A KR20187006482 A KR 20187006482A KR 20180039104 A KR20180039104 A KR 20180039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level gauge
cap
driv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다베타
준야 가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180039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상부 선회체(4)는 선회 프레임(6)과, 엔진(7)과, 연료 탱크(11)와, 연료 탱크(11)의 상측을 덮어 설치된 운전석 대좌(16)와, 운전석 대좌(16)에 장착된 운전석(18)과, 운전석(18)의 주위를 덮는 캡(22)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 탱크(11)는, 캡(22)의 좌측면부(25)측에 치우쳐 선회 프레임(6)과 운전석 대좌(16)의 사이에 배치한다. 연료 탱크(11)의 외면에는 레벨 게이지(29)가 설치되어 있다. 캡(22)의 좌측면부(25)에는,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를 둘러싸는 급유용 개구(27)와, 레벨 게이지용 개구(28)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소형의 건설 기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 탱크 내의 유량을 확인하기 위한 레벨 게이지를 구비한 소형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 전측(前側)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을 가지고, 이 선회 프레임에는 원동기, 유압 펌프, 열 교환 장치, 연료 탱크 등이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탱크 내에 저장된 연료의 유량(액면 높이)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료 탱크에 레벨 게이지를 설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경우, 유압 셔블에는 연료 탱크를 덮는 외장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외장 커버 중 연료 탱크의 레벨 게이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외장 커버의 외부로부터 레벨 게이지를 눈으로 보는 개구부(들여다보기 창문)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외장 커버의 외부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레벨 게이지를 눈으로 봄으로써, 연료 탱크 내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321294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압 셔블은, 운전석을 덮는 캡과 엔진의 사이에 연료 탱크가 배치된 중형의 유압 셔블이다. 이 중형의 유압 셔블은,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 기기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통상 미니 셔블이라고 불리는 소형의 유압 셔블은, 건물의 내부의 해체 작업, 가로지(街路地) 등의 좁은 장소에서의 굴삭 작업 등에 이용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계 중량이 1∼8톤 정도까지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소형의 유압 셔블은 상부 선회체가 작아,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 기기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좁다. 이 때문에, 소형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선회 프레임 상의 협애(狹隘)한 스페이스 내에 엔진, 유압 펌프, 열 교환 장치, 연료 탱크 등을 서로 접근한 상태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소형의 유압 셔블에서는, 가동 시간을 길게 확보하기 위하여, 좁은 스페이스 내에 가능한 한 용량이 큰 연료 탱크를 배치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이와 같이, 좁은 스페이스 내에 용량이 큰 연료 탱크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다른 탑재 기기에 의해 연료 탱크의 배치가 제약을 받는다. 이 결과, 연료 탱크 내의 유량을 레벨 게이지에 의해 외부로부터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회 프레임 상의 좁은 스페이스 내에 연료 탱크를 배치한 경우에, 연료 탱크 내의 유량을 레벨 게이지에 의해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소형의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부측(前部側)에 설치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에 탑재된 원동기와, 외면에 연료를 공급하는 급유구를 가지고 상기 원동기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의 상측을 덮어 상기 선회 프레임에 설치되고 운전석이 장착되는 운전석 대좌(臺座)와, 상기 운전석 대좌에 장착된 상기 운전석의 주위를 덮는 박스체로 이루어지는 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소형의 건설 기계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캡의 외면측에 치우쳐 상기 선회 프레임과 상기 운전석 대좌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료 탱크의 외면에는,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액면 높이를 표시하는 레벨 게이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캡의 외면에는, 상기 연료 탱크의 급유구를 둘러싸는 급유용 개구를 설치함과 함께 상기 캡의 외부로부터 상기 레벨 게이지를 눈으로 보기 위한 레벨 게이지용 개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 프레임 상의 스페이스가 좁아, 연료 탱크의 상측에 운전석이 배치되는 경우에, 운전석을 덮는 캡의 외면에 레벨 게이지용 개구를 설치함으로써, 이 레벨 게이지용 개구를 통하여 연료 탱크의 레벨 게이지를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결과, 선회 프레임 상의 협애한 스페이스 내에 연료 탱크를 배치했을 때, 이 연료 탱크 내의 유량을, 캡의 외부로부터 레벨 게이지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소형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캡을 분리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의 상부 선회체로부터 캡, 외장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선회 프레임을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선회 프레임에 연료 탱크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연료 탱크를 장착한 선회 프레임에, 운전석 대좌를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선회 프레임에 연료 탱크와 운전석 대좌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운전석 대좌의 레벨 게이지 보지구(保持具)와 연료 탱크의 레벨 게이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 중의 레벨 게이지 보지구와 레벨 게이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캡을 단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캡의 급유용 개구, 레벨 게이지용 개구, 측면 커버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연료 탱크의 급유구에 비산 방지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연료 탱크의 급유구와 캡의 급유용 개구의 사이에 비산 방지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캡의 외부로부터 레벨 게이지용 개구를 통하여 레벨 게이지를 눈으로 보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 선회체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 중의 레벨 게이지용 개구, 레벨 게이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소형의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 소형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소형의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소형의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장치(3)를 개재하여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4)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4)의 전측에는, 좌, 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스윙식의 작업 장치(5)가 설치되고, 이 작업 장치(5)를 이용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이 행해진다. 여기서, 소형의 유압 셔블(1)은, 건물의 내부의 해체 작업, 가로지 등의 좁은 장소에서의 굴삭 작업에 이용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계 중량이 1∼8톤 정도까지 억제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4)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6), 엔진(7), 카운터 웨이트(9), 서포트 부재(10), 연료 탱크(11), 운전석 대좌(16), 운전석(18), 캡(22), 외장 커버(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형의 유압 셔블(1)은, 예를 들면 건물의 내부나 시가지 등 좁은 작업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상부 선회체(4)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압 셔블(1)은, 선회 프레임(6) 상에 각종 탑재 기기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좁아, 연료 탱크(11)의 상측에 운전석(18)이 배치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6)은, 선회 장치(3)를 개재하여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6)은 지지 구조체를 이루고, 상부 선회체(4)의 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6)은, 두께가 두꺼운 강판 등을 이용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6A)과, 당해 바닥판(6A) 상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워 설치된 좌측 세로판(6B), 우측 세로판(6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 우의 세로판(6B, 6C)의 전단부에는 지지 브래킷(6D)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6D)은, 작업 장치(5)의 기단(基端)에 설치된 스윙 포스트(5A)를 좌, 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좌, 우의 세로판(6B, 6C)의 후단부에는, 좌, 우의 후방 브래킷(6E, 6F)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좌, 우의 후방 브래킷(6E, 6F)에는, 후술하는 서포트 부재(10)의 좌, 우의 후방 다리부(10C, 10D)가 장착되어 있다. 바닥판(6A)의 전, 후 방향의 중간부에는, 좌측 세로판(6B)의 전, 후 방향의 중간부를 가로질러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판(6G)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가로판(6G)은, 우측 세로판(6C)으로부터 좌측 세로판(6B)을 넘어 바닥판(6A)의 좌단연부(左端緣部)까지 연장되어 있다.
가로판(6G)의 좌단부는 좌측 전방 브래킷(6H)이 되고, 이 좌측 전방 브래킷(6H)에는 서포트 부재(10)의 좌측 전방 다리부(10A)가 장착되어 있다. 바닥판(6A) 중 가로판(6G)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우단부에는, 바닥판(6A)으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하는 우측 전방 브래킷(6J)이 설치되어 있다. 이 우측 전방 브래킷(6J)에는 서포트 부재(10)의 우측 전방 다리부(10B)가 장착되어 있다.
좌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K)는, 바닥판(6A)의 좌단부이고 또한 전, 후 방향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좌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K)는, 역 L자형으로 절곡된 판체로 이루어지고, 바닥판(6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L)는, 좌측 세로판(6B)의 외면 중 좌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K)와 좌, 우 방향에서 대향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우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L)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상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좌, 우의 전방 대좌 지지 부재(6K, 6L)는, 후술하는 운전석 대좌(16)의 전측을 지지하고 있다.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6M)은, 바닥판(6A)의 좌단부이고 또한 좌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K)의 근방 부위에, 상, 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볼트 삽입 통과 구멍(6M)은, 후술하는 탱크 장착 볼트(14)가 삽입 통과되는 것이다. 또한, 좌측 전방 캡 지지판(6N)은, 바닥판(6A)의 좌전측(左前側)의 모서리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좌측 전방 캡 지지판(6N)은, 후술하는 캡(22)의 좌전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우측 전방 캡 지지판(6P)은, 바닥판(6A)의 우전측(右前側)의 모서리부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우측 전방 캡 지지판(6P)은 캡(22)의 우전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원동기로서의 엔진(7)은, 선회 프레임(6)의 가로판(6G)보다 후측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7)은, 크랭크축(도시 생략)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놓기 상태로 선회 프레임(6)에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의 좌측에는 유압 펌프(8)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8)는, 엔진(7)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를 향해 압유를 공급한다. 한편, 엔진(7)의 우측에는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등의 열 교환 장치(모두 도시 생략)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9)는 선회 프레임(6)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9)는 작업 장치(5)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것으로서, 좌, 우 방향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돌출하는 원호 형상의 중량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 부재(10)는, 선회 프레임(6)의 가로판(6G)보다 후측에 배치되고, 엔진(7)을 타고 넘도록 선회 프레임(6)에 장착되어 있다. 서포트 부재(10)는, 후술하는 운전석 대좌(16)가 장착됨과 함께, 캡(22)의 후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서포트 부재(10)는 좌측 전방 다리부(10A)와, 우측 전방 다리부(10B)와, 좌측 후방 다리부(10C)와, 우측 후방 다리부(10D)와, 이들 각 다리부(10A, 10B, 10C, 10D)의 상단에 장착된 지지 베이스(10E)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측 전방 다리부(10A)의 하단은, 선회 프레임(6)의 좌측 전방 브래킷(6H)에 볼트 조임되고, 좌측 전방 다리부(10A)의 상단은, 후방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우측 전방 다리부(10B)의 하단은, 선회 프레임(6)의 우측 전방 브래킷(6J)에 볼트 조임되고, 좌측 전방 다리부(10B)의 상단은, 후방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한편, 좌측 후방 다리부(10C)의 하단은, 선회 프레임(6)의 좌측 후방 브래킷(6E)에 볼트 조임되고, 좌측 후방 다리부(10C)의 상단은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후방 다리부(10D)의 하단은, 선회 프레임(6)의 우측 후방 브래킷(6F)에 볼트 조임되고, 우측 후방 다리부(10D)의 상단은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10E)는, 좌, 우의 전방 다리부(10A, 10B)의 상단과, 좌, 우의 후방 다리부(10C, 10D)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10E)는, 선회 프레임(6)의 좌, 우 방향의 폭 치수와 대략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지고, 각 다리부(10A, 10B, 10C, 10D)의 상단을 서로 연결한 상태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후방 대좌 지지 부재(10F)는, 좌측 전방 다리부(10A)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 후방 대좌 지지 부재(10F)는, 산형강(山形鋼)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좌측 전방 다리부(10A)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우측 후방 대좌 지지 부재(10G)는, 우측 전방 다리부(10B)의 상, 하 방향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우측 후방 대좌 지지 부재(10G)는, 산형강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우측 전방 다리부(10B)로부터 좌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좌, 우의 후방 대좌 지지 부재(10F, 10G)는, 운전석 대좌(16)의 후단측을 지지하는 것이다.
연료 탱크(11)는, 선회 프레임(6)의 좌측 세로판(6B)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또한 가로판(6G)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바닥판(6A) 상에 탑재되어 있다. 연료 탱크(11)는, 엔진(7)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연료 탱크(11)는,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11A), 바닥면(11B), 전면(前面)(11C), 후면(11D), 좌측면(11E), 우측면(11F)에 의해 둘러싸인 상자 형상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면 오목부(11G)는, 전면(11C)과 좌측면(11E)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전면 오목부(11G)는, 상, 하 방향의 전역에 걸쳐 후면(11D)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또한, 측면 오목부(11H)는, 좌측면(11E)의 상측 부위와 전면 오목부(11G)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측면 오목부(11H)는 우측면(11F)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연료 탱크(11)는 보통의 직방체가 아니라, 전면 오목부(11G), 측면 오목부(11H) 등을 가지는 복잡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1)는, 선회 프레임(6)에 탑재되는 각종 탑재 기기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가능한 한 큰 용량을 확보하고 있다.
급유구(11J)는, 연료 탱크(11)의 상면(11A), 후면(11D), 좌측면(11E)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급유구(11J)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연료 탱크(11)에 연료가 급유될 때에, 급유 노즐(도시 생략)이 삽입되는 것이다. 급유구(11J)는, 연료 탱크(11)의 외면으로부터 좌측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급유구(11J)의 돌출단은, 캡(22)의 후술하는 급유용 개구(27)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급유구(11J)는 덮개체(11K)에 의해 덮여 있다.
상측 탱크 브래킷(12)은, 연료 탱크(11)의 상면(11A), 전면(11C), 우측면(11F)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측 탱크 브래킷(12)에는,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A)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A)은, 후술하는 운전석 대좌(16)의 탱크 장착 너트(16K)에 대응하고 있다. 하측 탱크 브래킷(13)은, 연료 탱크(11)의 바닥면(11B), 좌측면(11E), 전면 오목부(11G)가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하측 탱크 브래킷(13)에는 2개의 용접 너트(13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용접 너트(13A)는, 선회 프레임(6)(바닥판(6A))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6M)에 대응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탱크 장착 볼트(14)는, 선회 프레임(6)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6M)에 상향으로 삽입 통과됨과 함께, 하측 탱크 브래킷(13)의 각 용접 너트(13A)에 나사 장착된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1)의 하측 탱크 브래킷(13)은 선회 프레임(6)의 바닥판(6A)에 고정된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탱크 장착 볼트(15)는, 상측 탱크 브래킷(12)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A)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운전석 대좌(16)의 탱크 장착 너트(16K)에 나사 장착된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1)의 상측 탱크 브래킷(12)은 운전석 대좌(16)에 고정된다.
이 결과, 연료 탱크(11)는, 선회 프레임(6)의 좌측 세로판(6B)의 좌측이고 또한 가로판(6G)의 전측에 위치하여 바닥판(6A) 상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11)는, 후술하는 캡(22)의 좌측면부(25)측에 치우쳐, 선회 프레임(6)과 운전석 대좌(1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운전석 대좌(16)는, 연료 탱크(11)의 상측을 덮은 상태로, 서포트 부재(10)를 개재하여 선회 프레임(6)에 설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 대좌(16)는, 직사각 형상의 상판(16A), 전판(16B), 좌측판(16C) 및 상자 형상의 구획판(16D)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판(16A)은, 선회 프레임(6)의 바닥판(6A)과 대략 동일한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가지고 있다. 전판(16B)은, 상판(16A)의 전단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수하(垂下)되고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판(16C)은, 전판(16B)의 좌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판(16A)의 전, 후 방향의 중간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다. 구획판(16D)은, 좌측판(16C)과 좌, 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면한 상태로 상판(16A)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전판(16B)의 하단에는, 전방을 향해 뻗어나오는 전방 플랜지판(16E)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판(16C)의 하단에는, 전방을 향해 뻗어나오는 좌측 전방 플랜지판(16F)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6G)은, 운전석 대좌(16)의 상판(16A)에 좌, 우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볼트 삽입 통과 구멍(16G)은, 서포트 부재(10)의 좌측 후방 대좌 지지 부재(10F)와 우측 후방 대좌 지지 부재(10G)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1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6H)은, 운전석 대좌(16)의 전방 플랜지판(16E)에 설치되어 있다. 볼트 삽입 통과 구멍(16H)은, 선회 프레임(6)의 우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L)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6J)은, 운전석 대좌(16)의 좌측 전방 플랜지판(16F)에 설치되어 있다. 볼트 삽입 통과 구멍(16J)은, 선회 프레임(6)의 좌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K)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탱크 장착 너트(16K)는, 운전석 대좌(16)의 구획판(16D) 중 전판(16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각 탱크 장착 너트(16K)는, 연료 탱크(11)에 설치된 상측 탱크 브래킷(12)의 각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2개의 대좌 장착 볼트(17A)는, 상판(16A)의 각 볼트 삽입 통과 구멍(16G)에 각각 삽입 통과됨과 함께, 서포트 부재(10)의 좌측 후방 대좌 지지 부재(10F) 및 우측 후방 대좌 지지 부재(10G)에 나사 장착된다. 또한, 대좌 장착 볼트(17B)는, 전방 플랜지판(16E)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6H)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선회 프레임(6)의 우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L)에 나사 장착된다. 대좌 장착 볼트(17C)는, 좌측 전방 플랜지판(16F)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16J)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선회 프레임(6)의 좌측 전방 대좌 지지 부재(6K)에 나사 장착된다. 이에 의해, 선회 프레임(6) 상에 서포트 부재(10)를 개재하여 운전석 대좌(16)가 장착된다.
이 때, 2개의 탱크 장착 볼트(15)는, 연료 탱크(11)에 설치된 상측 탱크 브래킷(12)의 각 볼트 삽입 통과 구멍(12A)에 삽입 통과되고, 추가로 각 탱크 장착 볼트(15)는, 운전석 대좌(16)의 각 탱크 장착 너트(16K)에 나사 장착된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1)는, 하측 탱크 브래킷(13)을 개재하여 선회 프레임(6)에 장착됨과 함께, 상측 탱크 브래킷(12)을 개재하여 운전석 대좌(16)에 장착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6)에 연료 탱크(11)와 운전석 대좌(16)가 장착된 상태에서, 운전석 대좌(16)를 구성하는 좌측판(16C)의 후단부(16C1)는, 연료 탱크(11)의 측면 오목부(11H)의 근방에 배치된다. 이 좌측판(16C)의 후단부(16C1)에는, 후술하는 레벨 게이지 보지구(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18)은, 선회 프레임(6)에 장착된 운전석 대좌(16)의 상판(16A) 상에 장착되어 있다. 운전석(18)은, 소형의 유압 셔블(1)을 조종하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것이며, 운전석(18)의 좌, 우 양측에는 선회 장치(3), 작업 장치(5) 등을 조작하는 조작 장치(19)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플로어 부재(20)는 운전석 대좌(16)의 전측에 설치되어 있다. 플로어 부재(20)는, 소형의 유압 셔블(1)에 탑승하는 오퍼레이터의 발판을 형성하는 것이다. 선회 프레임(6)의 바닥판(6A)과 플로어 부재(20)의 사이에는, 컨트롤 밸브 등의 탑재 기기(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 우의 주행용 레버·페달(21)은 플로어 부재(20)의 전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좌, 우의 주행용 레버·페달(21)은, 하부 주행체(2)의 주행 동작을 제어할 때에 조작된다.
캡(22)은, 운전석(18)의 주위를 둘러싸는 박스체로서 형성되고, 운전실을 획성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22)은 전면부(23)와, 전면부(23)와 전, 후 방향에서 대면하는 후면부(24)와, 좌측면부(25), 우측면부(도시 생략)와, 상면부(26)에 의해 둘러싸인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면부(25)와 우측면부는, 전면부(23) 및 후면부(24)를 사이에 두고 좌, 우 방향에서 대면하고 있다. 상면부(26)는 전면부(23), 후면부(24), 좌측면부(25), 우측면부의 상단을 폐색하고 있다.
캡(22)의 좌측면부(25)는, 좌측면 패널(25A)과, 좌측면 패널(25A)의 전측에 설치된 승강구(25B)와, 승강구(25B)를 개, 폐하기 위한 창문이 있는 도어(25C)와, 도어(25C)의 후측에 위치하는 좌측 후방 창문(25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도어(25C)를 엶으로써, 승강구(25B)를 통하여 캡(22) 내에 타고 내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캡(22)은, 후측이 서포트 부재(10)의 지지 베이스(10E)에 지지되고, 전측이 선회 프레임(6)의 좌측 전방 캡 지지판(6N) 및 우측 전방 캡 지지판(6P)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캡(22)은 선회 프레임(6) 상에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캡(22) 내에는 운전석(18), 조작 장치(19), 주행용 레버·페달(21) 등이 수용되고, 연료 탱크(11)는, 운전석 대좌(16)와 캡(22)의 좌측면부(2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급유용 개구(27)는, 캡(22)의 좌측면부(25) 중,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유용 개구(27)는, 좌측면부(25)의 좌측면 패널(25A) 중, 도어(25C)보다 후측이고 또한 좌측 후방 창문(25D)보다 하측이 되는 위치에, 직사각형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면부(25)의 급유용 개구(27)는, 선회 프레임(6)에 캡(22)을 탑재한 상태에 있어서,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를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는, 급유용 개구(27)를 개재하여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에 대하여, 캡(22)의 외부로부터 급유 노즐(도시 생략)이 끼워 넣어짐으로써, 급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는, 급유용 개구(27)의 전측에 나열되어 캡(22)의 좌측면부(25)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는, 상, 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레벨 게이지용 개구(28)의 상, 하 방향의 길이 치수는, 급유용 개구(27)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는, 연료 탱크(11)에 설치된 후술하는 레벨 게이지(29)를, 캡(22)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급유용 개구(27)와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는, 좌측면부(25)에 설치된 측면 커버(25E)에 의해 개, 폐 가능하게 덮여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레벨 게이지(29) 및 레벨 게이지 보지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벨 게이지(29)는, 연료 탱크(11)의 외면에 설치되고, 당해 연료 탱크(11) 내에 저장된 연료의 액면 높이를 외부로부터 눈으로 보는 것이다. 이 레벨 게이지(29)는, 가요성을 가지는 투명한 관체, 예를 들면 내유성(耐油性)을 가지는 투명한 비닐 튜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레벨 게이지(29)의 상단부(29A)는, 연료 탱크(11)의 상면(11A)에 접속됨과 함께, 연료 탱크(11) 내에 개구하고 있다. 한편, 레벨 게이지(29)의 하단부(29B)는, 급유구(11J)의 하부 근방에 위치하여 좌측면(11E)에 접속되고, 연료 탱크(11) 내에 개구하고 있다. 이 경우, 레벨 게이지(29)는, 상단부(29A)로부터 하단부(29B)를 향해 L자 형상으로 굴곡지면서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벨 게이지(29)는, 연료 탱크(11) 내에 저장된 연료의 유량(액면 높이)을, 연료 탱크(11)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벨 게이지 보지구(30)는, 운전석 대좌(16)를 구성하는 좌측판(16C)의 후단부(16C1)에 설치되어 있다. 레벨 게이지 보지구(30)는, 상, 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방 보지구(30A)와 하방 보지구(3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방 보지구(30A)와 하방 보지구(30B)는, 각각 봉재(棒材)를 L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예를 들면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좌측판(16C)의 후단부(16C1)에 고착되어 있다. 상방 보지구(30A)는, 좌측판(16C)의 후단부(16C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방 보지구(30B)는, 좌측판(16C)의 후단부(16C1)로부터 좌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가요성을 가지는 레벨 게이지(29)의 중간 부위는, 상방 보지구(30A)와 하방 보지구(30B)에 걸어 멈춤된다. 이에 의해, 레벨 게이지(29)는, 상방 보지구(30A)와 하방 보지구(30B)의 사이에서 상, 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상태로 보지된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1)에 설치된 레벨 게이지(29)는, 레벨 게이지 보지구(30)에 의해, 캡(22)의 좌측면부(25)에 형성된 레벨 게이지용 개구(28)에 대응한 위치에 보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벨 게이지(29)는, 캡(22)의 좌측면부(25)에 설치된 측면 커버(25E)를 엶으로써, 눈으로 볼 수 있다. 즉, 레벨 게이지(29)는,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를 통하여 캡(22)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레벨 게이지(29)에 의해 표시된 연료 탱크(11) 내의 유량(유면(油面) 높이)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비산 방지 커버(31)는,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와 캡(22)의 급유용 개구(27)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비산 방지 커버(31)는, 연료 탱크(11)에 대한 급유 작업 시에 급유구(11J)로부터 연료가 넘쳤을 때에, 이 넘친 연료가 연료 탱크(11)의 주위에 비산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산 방지 커버(31)는, 각뿔 형상의 통부(31A)와, 원 형상의 탱크측 개구(31B)와, 사각 형상의 캡측 개구(3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부(31A)는, 연료 탱크(11)로부터 캡(22)의 좌측면부(25)를 향해 확대 전개되어 있다. 탱크측 개구(31B)는, 통부(31A) 중 연료 탱크(11)측에 개구하고, 연료 탱크(11)의 급유구를 둘러싸고 있다. 캡측 개구(31C)는, 통부(31A) 중 탱크측 개구(31B)와는 반대측(캡(22)의 좌측면부(25)측)에 개구하고, 캡(22)의 급유용 개구(27)를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비산 방지 커버(31)의 탱크측 개구(31B)는,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에 끼워지고, 캡측 개구(31C)는, 급유용 개구(27)의 내주연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감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비산 방지 커버(31)는, 연료 탱크(11)의 급유구와 캡(22)의 급유용 개구(27)의 사이에 설치되고,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를 캡(22)의 내부에 대하여 차폐하고 있다.
외장 커버(32)는 캡(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외장 커버(32)는, 좌측 커버(32A) 및 우측 커버(도시 생략)와, 엔진 커버(32B)와, 좌측 스커트 커버(32C) 및 우측 스커트 커버(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측 커버(32A) 및 우측 커버는, 선회 프레임(6)의 후측에 배치되고, 엔진(7) 등을 좌, 우 방향으로부터 덮고 있다. 엔진 커버(32B)는, 카운터 웨이트(9)의 상측에 배치되고, 엔진(7) 등을 후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좌측 스커트 커버(32C) 및 우측 스커트 커버는, 선회 프레임(6)의 전측에 배치되고, 플로어 부재(20)의 주위를 덮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소형의 유압 셔블(1)은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다음에, 유압 셔블(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계 중량이 1∼8톤 정도인 소형의 유압 셔블(1)은, 트럭의 짐받이에 적재된 상태로 작업 현장까지 반송된다. 유압 셔블(1)이 작업 현장에 반송되면, 오퍼레이터는, 캡(22)의 도어(25C)를 열고, 승강구(25B)를 통하여 캡(22) 내에 올라타, 운전석(18)에 착석한다. 운전석(1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는, 엔진(7)을 작동시킨 후, 운전석(18)의 전측에 배치된 좌, 우의 주행용 레버·페달(21)을 조작한다. 이에 의해, 유압 셔블(1)은 원하는 작업 장소까지 자주한다.
소형의 유압 셔블(1)이 원하는 작업 장소까지 자주한 후에는, 오퍼레이터는, 운전석(18)의 좌, 우에 설치된 조작 장치(19)를 조작한다. 이에 의해,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상부 선회체(4)를 선회시키면서, 작업 장치(5)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해체 작업, 좁은 가로지 등에서의 도랑 파기 작업,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연료 탱크(11)에 저장된 연료의 유량을 확인할 때에는, 오퍼레이터는, 엔진(7)을 정지시킨 후, 승강구(25B)를 통하여 캡(22)으로부터 지면에 내려온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캡(22)의 좌측면부(25)에 설치된 측면 커버(25E)를 연다.
이에 의해, 좌측면부(25)에 형성된 급유용 개구(27)와 레벨 게이지용 개구(28) 및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를, 캡(22)의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연료 탱크(11)에 설치된 레벨 게이지(29)는, 운전석 대좌(16)에 설치된 레벨 게이지 보지구(30)에 의해, 레벨 게이지용 개구(28)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지되어 있다. 이 결과, 오퍼레이터는, 캡(22)의 외부로부터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를 통하여 레벨 게이지(29)를 눈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레벨 게이지(29)에 의해 표시된 유면 높이에 의해, 연료 탱크(11) 내에 저장된 연료의 유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형의 유압 셔블(1)은, 선회 프레임(6) 상의 스페이스가 좁아, 연료 탱크(11)의 상측에 운전석 대좌(16)를 개재하여 운전석(18)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석(18)을 덮는 캡(22)의 외면(좌측면부(25))에는, 레벨 게이지용 개구(28)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1)에 설치된 레벨 게이지(29)를,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를 통하여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결과, 선회 프레임(6) 상의 협애한 스페이스 내에 연료 탱크(11)가 배치되었다고 해도, 이 연료 탱크(11) 내의 유량을 캡(22)의 외부로부터 레벨 게이지(29)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11) 내에 충분한 연료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측면 커버(25E)를 닫아 급유용 개구(27)와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를 덮음으로써, 연료 탱크(11) 내의 유량을 확인하는 작업을 종료한다.
한편, 연료 탱크(11) 내의 연료가 부족한 경우에는, 급유용 개구(27) 내에 배치된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로부터 덮개체(11K)를 분리한다. 그리고, 급유구(11J)에 급유 노즐(도시 생략)을 끼워 넣고, 이 급유 노즐을 이용하여 연료를 급유한다.
이 경우,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와 급유용 개구(27)의 사이에는, 비산 방지 커버(31)가 설치되어 있다. 비산 방지 커버(31)의 탱크측 개구(31B)는,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에 끼워져 있다. 비산 방지 커버(31)의 캡측 개구(31C)는, 급유용 개구(27)의 내주연에 전체 둘레에 걸쳐 감합되어 있다. 따라서, 비산 방지 커버(31)는,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를 캡(22)의 내부에 대하여 차폐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1)로의 급유 작업 시에 급유구(11J)로부터 연료가 넘쳤다고 해도, 이 넘친 연료를, 비산 방지 커버(31)에 의해 캡(22)의 내부에 대하여 차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넘친 연료가, 고온이 된 엔진(7)에 부착되거나, 캡(22) 내에 비산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11)로의 급유 작업 시에는, 연료 탱크(11)의 레벨 게이지(29)를, 급유용 개구(27)의 전측에 나열되어 형성된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를 통하여 항상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결과, 연료 탱크(11) 내의 유면 높이를 확인하면서 급유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급유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소형의 유압 셔블(1)은, 연료 탱크(11)가, 캡(22)의 좌측면부(25)측에 치우쳐 선회 프레임(6)과 운전석 대좌(1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11)의 외면에는 레벨 게이지(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캡(22)의 좌측면부(25)에는,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를 둘러싸는 급유용 개구(27)와, 레벨 게이지용 개구(28)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회 프레임(6) 상의 스페이스가 좁아, 연료 탱크(11)의 상측에 운전석 대좌(16)를 개재하여 운전석(18)이 배치된 소형의 유압 셔블(1)에 있어서도, 캡(22)의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를 통하여, 연료 탱크(11)의 레벨 게이지(29)를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결과, 선회 프레임(6) 상의 협애한 스페이스 내에 연료 탱크(11)가 배치된 경우라도, 이 연료 탱크(11) 내의 유량을, 캡(22)의 외부로부터 레벨 게이지(29)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레벨 게이지(29)를 보지하는 레벨 게이지 보지구(30)는, 운전석 대좌(16)를 구성하는 좌측판(16C)의 후단부(16C1)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벨 게이지(29)는, 캡(22)의 레벨 게이지용 개구(28)에 대응한 위치에 항상 보지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11)가 캡(22)의 좌측면부(25)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배치되었다고 해도, 레벨 게이지(29)는,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를 통하여 캡(22)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레벨 게이지(29)는, 예를 들면 내유성을 가지는 투명한 비닐 튜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단부(29A)와 하단부(29B)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캡(22)에 설치된 레벨 게이지용 개구(28)와, 연료 탱크(11)에 설치된 레벨 게이지(29)의 위치 관계에 어긋남이 생긴 경우라도, 레벨 게이지(29)는, 레벨 게이지 보지구(30)에 의해 레벨 게이지용 개구(28)의 근방 위치에 보지된다.
게다가,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는, 급유용 개구(27)와 전, 후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캡(22)의 좌측면부(25)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급유용 개구(27) 내에 배치된 연료 탱크(11)로의 급유 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는,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를 통하여 연료 탱크(11)의 레벨 게이지(29)를 항상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결과, 연료 탱크(11) 내의 유면 높이를 확인하면서 급유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급유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산 방지 커버(31)는, 캡(22)의 급유용 개구(27)와 연료 탱크(11)의 급유구(11J)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료 탱크(11)로의 급유를 행할 때에 급유구(11J)로부터 연료가 넘쳤다고 해도, 비산 방지 커버(31)에 의해, 넘친 연료를 캡(22)의 내부에 대하여 차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넘친 연료가, 고온이 된 엔진(7)에 부착되거나, 캡(22) 내에 비산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탱크(11)가 캡(22)의 좌측면부(25)에 치우쳐 배치되고, 급유용 개구(27)와 레벨 게이지용 개구(28)가 각각 좌측면부(25)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연료 탱크(11)가 캡(22)의 우측면부에 치우쳐 배치되고, 급유용 개구와 레벨 게이지용 개구가 각각 우측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레벨 게이지용 개구(28)가, 급유용 개구(27)의 전측에 나열되어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레벨 게이지용 개구(28)는 급유용 개구(27)의 후측에 나열되어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소형의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소형의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1 : 소형의 유압 셔블(소형의 건설 기계)
2 : 하부 주행체
4 : 상부 선회체
5 : 작업 장치
6 : 선회 프레임
7 : 엔진(원동기)
11 : 연료 탱크
11J : 급유구
16 : 운전석 대좌
18 : 운전석
22 : 캡
25 : 좌측면부(외면)
27 : 급유용 개구
28 : 레벨 게이지용 개구
29 : 레벨 게이지
30 : 레벨 게이지 보지구
31 : 비산 방지 커버

Claims (5)

  1.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부측에 설치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선회 프레임에 탑재된 원동기와, 외면에 연료를 공급하는 급유구를 가지고 상기 원동기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 탱크의 상측을 덮어 상기 선회 프레임에 설치되고 운전석이 장착되는 운전석 대좌와, 상기 운전석 대좌에 장착된 상기 운전석의 주위를 덮는 박스체로 이루어지는 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소형의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캡의 외면측에 치우쳐 상기 선회 프레임과 상기 운전석 대좌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연료 탱크의 외면에는, 상기 연료 탱크 내의 액면 높이를 표시하는 레벨 게이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캡의 외면에는, 상기 연료 탱크의 급유구를 둘러싸는 급유용 개구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캡의 외부로부터 상기 레벨 게이지를 눈으로 보기 위한 레벨 게이지용 개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 대좌에는, 상기 레벨 게이지를 상기 레벨 게이지용 개구에 대응한 위치에 보지하는 레벨 게이지 보지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소형의 건설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게이지는, 상기 연료 탱크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가요성을 가지는 투명한 관체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소형의 건설 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게이지용 개구는, 상기 급유용 개구와 전, 후 방향으로 나열되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소형의 건설 기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기 급유용 개구와 상기 연료 탱크의 급유구의 사이에는, 급유되는 연료가 주위에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 커버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소형의 건설 기계.
KR1020187006482A 2015-09-16 2016-03-07 소형의 건설 기계 KR201800391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82892A JP6320977B2 (ja) 2015-09-16 2015-09-16 小型の建設機械
JPJP-P-2015-182892 2015-09-16
PCT/JP2016/056971 WO2017047130A1 (ja) 2015-09-16 2016-03-07 小型の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104A true KR20180039104A (ko) 2018-04-17

Family

ID=5828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482A KR20180039104A (ko) 2015-09-16 2016-03-07 소형의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92784B2 (ko)
EP (1) EP3351909B1 (ko)
JP (1) JP6320977B2 (ko)
KR (1) KR20180039104A (ko)
CN (1) CN108139257B (ko)
WO (1) WO2017047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9647B2 (ja) * 2015-12-17 2019-03-06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小型の建設機械
GB2591277B (en) * 2020-01-24 2024-04-10 Bamford Excavators Ltd A super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1233U (ja) * 1983-12-28 1985-07-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小型舟艇におけるオイルタンクのオイルレベル検知装置
GB2166093B (en) * 1984-10-26 1988-07-06 Kubota Ltd Earth moving vehicle
JP2503850Y2 (ja) * 1991-04-02 1996-07-03 デンヨー株式会社 ボンネット形エンジン作業機の燃料ゲ―ジブラケット
JPH053932U (ja) * 1991-06-28 1993-01-2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天板付き缶型容器における液面計の構造
JP2002103995A (ja) * 2000-09-29 2002-04-09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タンクの満量状態警告装置
JP2002234351A (ja) 2001-02-07 2002-08-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車両の燃料残量表示装置
JP2003211983A (ja) * 2002-01-22 2003-07-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3845039B2 (ja) 2002-05-20 2006-11-15 ヤンマー株式会社 超小旋回作業車
JP4437460B2 (ja) * 2005-05-17 2010-03-24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DE102005056981B4 (de) * 2005-11-30 2007-09-27 Sauer-Danfoss Aps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Minibagger
JP5566318B2 (ja) * 2011-02-23 2014-08-0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動油タンク
US20130284747A1 (en) * 2012-04-27 2013-10-31 Anthony M. Rund Fluid tank and mounting configuration
DE112013000191B4 (de) * 2013-09-27 2017-08-24 Komatsu Ltd. Reduktionsmittelbehälter und Arbeits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1909A4 (en) 2019-06-05
JP2017057622A (ja) 2017-03-23
EP3351909A1 (en) 2018-07-25
CN108139257A (zh) 2018-06-08
US20180291590A1 (en) 2018-10-11
CN108139257B (zh) 2020-05-29
US10392784B2 (en) 2019-08-27
JP6320977B2 (ja) 2018-05-09
WO2017047130A1 (ja) 2017-03-23
EP3351909B1 (en) 202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8912B2 (en) Hydraulic excavator
CN108699806B (zh) 工程机械
JP2007205100A (ja) 建設機械の車体フレームおよび建設機械
CN108138463B (zh) 小型工程机械
JP2017040137A (ja) 作業機械
KR20170066275A (ko) 작업 차량
US11499288B2 (en) Hydraulic excavator
KR20180039104A (ko) 소형의 건설 기계
JP5579678B2 (ja) 建設機械
KR102517802B1 (ko) 건설 기계
CN110226009B (zh) 液压挖掘机
JP2017072025A (ja) 油圧ショベル
JP6810085B2 (ja) 建設機械
KR102573793B1 (ko) 건설 기계
JP2021001434A (ja) 作業車両
KR20190043549A (ko) 건설 기계
KR102504696B1 (ko) 전동식 건설 기계
JP2023146297A (ja) 建設機械
JP2011074660A (ja) 建設機械
KR20230047175A (ko) 건설 기계
JP2022072674A (ja) 建設機械
JP2014156725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