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549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549A
KR20190043549A KR1020197006479A KR20197006479A KR20190043549A KR 20190043549 A KR20190043549 A KR 20190043549A KR 1020197006479 A KR1020197006479 A KR 1020197006479A KR 20197006479 A KR20197006479 A KR 20197006479A KR 20190043549 A KR20190043549 A KR 2019004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rime mover
counterweight
mounting bracket
weigh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675B1 (ko
Inventor
유키 우미자키
마코토 모토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Publication of KR2019004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카운터웨이트(10)를 구성하는 좌웨이트부(11)와 우웨이트부(12)의 상측에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이 마련되어 있다.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좌웨이트부(11)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좌돌출 부재(17)와, 우웨이트부(12)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우돌출 부재(18)와, 좌돌출 부재(17)의 전측과 우돌출 부재(18)의 전측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9)에 의해, 카운터웨이트(10) 측이 열린 U자형의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는, 원동기 커버(28)가 힌지(31)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동기 커버(28)는, 힌지(31)를 중심으로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를 여는 개방 위치와, 점검 개구(15)를 닫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동기를 덮는 원동기 커버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의 대표예인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의 전측(前側)에 마련된 프론트 장치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를 구성하는 선회 프레임의 후측에는, 프론트 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는 카운터웨이트가 마련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 중 카운터웨이트보다 전측에는, 원동기, 유압 펌프, 열교환 장치 등의 탑재 기기가 탑재되어 있고, 이 탑재 기기들은 원동기 커버나 외장 커버에 의해 덮여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로서,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U자형의 오목부가 마련된 것이 알려져 있다. U자형의 오목부는, 원동기에 대한 점검 작업을 행하기 위한 점검 개구로 되어 있다. 이 카운터웨이트는, 좌우 방향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웨이트부와, 우측에 위치하는 우웨이트부와, 좌우의 웨이트부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웨이트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좌우 웨이트부와 하웨이트부에 의해 둘러싸인 U자형의 오목부(점검 개구)는, 보닛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89765호
여기에서, 상기 설명한 종래 기술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는, 좌웨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장착부와, 우웨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우장착부를 갖고 있다. 이 좌우의 장착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닛 스테이가 장착되고, 이 보닛 스테이에는 힌지를 통하여 보닛이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카운터웨이트는, 좌우의 웨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의 장착부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하여,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중심이, 좌우의 장착부의 분만큼 전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차체의 안정성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보닛은, 카운터웨이트의 좌우의 웨이트부 간에 장착된 보닛 스테이에 힌지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좌우의 장착부에 보닛 스테이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원동기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개구가 보닛 스테이에 의해 좁혀져, 점검 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점검 개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의 전측에 마련된 프론트 장치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 선회체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 상기 선회 프레임의 후측에 마련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전측에 위치하며 상기 선회 프레임에 탑재된 원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좌우 방향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좌웨이트부와, 좌우 방향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우웨이트부와, 상기 좌웨이트부 및 상기 우웨이트부의 하측을 연결한 하웨이트부와, 상기 좌웨이트부, 상기 우웨이트부 및 상기 하웨이트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원동기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개구에 의해 구성된 건설 기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구성하는 상기 좌웨이트부와 상기 우웨이트부의 상측에는, 상기 좌웨이트부와 상기 우웨이트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커버 장착 브래킷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은, 상기 좌웨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좌돌출 부재와, 상기 우웨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우돌출 부재와, 상기 좌돌출 부재의 전측과 상기 우돌출 부재의 전측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결 부재에 의해 프레임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의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기 점검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원동기 커버가 회동 부재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동기 커버는, 좌웨이트부 및 우웨이트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 장착 브래킷의 연결 부재에 장착된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카운터웨이트의 일부를 전방으로 돌출시켜 원동기 커버를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카운터웨이트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장착 브래킷은, 좌우의 웨이트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좌우의 돌출 부재와, 좌우의 돌출 부재의 전측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의 점검 개구의 상측에 큰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점검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을, 원동기 커버를 닫은 상태로 우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을, 원동기 커버를 연 상태로 우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외장 커버, 원동기, 카운터웨이트, 커버 장착 브래킷 등을, 원동기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카운터웨이트, 커버 장착 브래킷, 원동기 커버 등을 카운터웨이트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카운터웨이트, 커버 장착 브래킷, 시일재 등을 카운터웨이트의 후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카운터웨이트, 커버 장착 브래킷, 배수 파이프, 배수홈 등을 카운터웨이트의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커버 장착 브래킷, 원동기 커버, 스프링 부재, 스토퍼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실시형태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의 차체는,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의 전부 중앙에는, 스윙식의 프론트 장치(4)가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프론트 장치(4)의 기단측에는 스윙 포스트(4A)가 마련되고, 스윙 포스트(4A)는, 후술하는 스윙 브래킷(5A)에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프론트 장치(4)는, 상부 선회체(3)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또한 상하 방향으로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사 등의 굴삭 작업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차체 프레임으로서의 선회 프레임(5)을 갖고 있다. 선회 프레임(5)은, 선회 장치(6)를 통하여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의 전단측(前端側)에는 원통형의 스윙 브래킷(5A)이 마련되고, 스윙 브래킷(5A)은, 프론트 장치(4)의 스윙 포스트(4A)를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5)의 좌전측에는, 운전실을 형성하는 캡(7)이 마련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의 후단측에는, 프론트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는 후술하는 카운터웨이트(10)가 마련되어 있다. 또, 선회 프레임(5) 중 카운터웨이트(10)보다 전측에는, 원동기로서의 엔진(8)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로 배치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8)의 상부 위치에는 급유구(8A)가 마련되어 있다. 엔진(8)에 대한 점검 작업시에는, 급유구(8A)를 통해서 엔진(8)에 윤활유(엔진 오일)가 공급된다.
또한, 상부 선회체(3)에는, 선회 프레임(5) 상에 배치된 엔진(8)을 후방 및 상방으로부터 덮는 후술하는 원동기 커버(28)와, 엔진(8)을 포함하는 유압 펌프, 열교환 장치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의 탑재 기기를 덮는 외장 커버(9)가 마련되어 있다. 외장 커버(9)는, 엔진(8) 등의 탑재 기기를 좌측방으로부터 덮는 좌측면 커버(9A)와, 탑재 기기를 우측방으로부터 덮는 우측면 커버(9B)와, 원동기 커버(28)의 상면판(29)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탑재 기기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면 커버(9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면 커버(9C)는, 원동기 커버(28)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상면판(29)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좌상면 커버(9D)와, 상면판(29)의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우상면 커버(9E)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카운터웨이트(10)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카운터웨이트(10)는, 선회 프레임(5)의 후단측에 마련되어, 프론트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다. 여기에서, 카운터웨이트(10)는, 후술하는 좌웨이트부(11)와, 우웨이트부(12)와, 하웨이트부(14)와, 점검 개구(15)를 포함해 구성되며, 원호상으로 만곡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량물로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10)의 좌웨이트부(11)는, 카운터웨이트(10)의 좌우 방향의 좌측에 배치되어,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있다. 좌웨이트부(11)의 후면(11A)은, 원호상으로 만곡한 만곡면이 되어, 외장 커버(9)를 구성하는 좌측면 커버(9A)의 외측면에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좌웨이트부(11)의 우측에는, 당해 후면(11A)으로부터 내측(엔진(8) 측)으로 오목한 함몰면(11B)이 마련되어 있다. 좌웨이트부(11)의 후면(11A)과 함몰면(11B)의 사이에는, 원동기 커버(28)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후면판(30)을 수용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원동기 커버(28)를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로 했을 때에, 원동기 커버(28)의 후면판(30)과 좌웨이트부(11)의 후면(11A)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웨이트부(11)의 상단은 평탄한 상단면(11C)으로 되어 있다. 상단면(11C)의 우측에는, 당해 상단면(11C)로부터 하측으로 오목한 브래킷 장착면(11D)이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브래킷 장착면(11D)은, 후술하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좌돌출 부재(17)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단면(11C)과 브래킷 장착면(11D)의 사이에는, 좌돌출 부재(17)의 높이 치수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원동기 커버(28)를 폐쇄 위치로 했을 때에, 원동기 커버(28)의 상면판(29)과 좌웨이트부(11)의 상단면(11C)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10)의 우웨이트부(12)는, 카운터웨이트(10)의 좌우 방향의 우측에 배치되어,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있다. 우웨이트부(12)의 후면(12A)은, 원호상으로 만곡한 만곡면이 되어, 외장 커버(9)를 구성하는 우측면 커버(9B)의 외측면에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우웨이트부(12)의 좌측에는, 후면(12A)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한 함몰면(12B)이 마련되어 있다. 우웨이트부(12)의 후면(12A)과 함몰면(12B)의 사이에는, 원동기 커버(28)의 후면판(30)을 수용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원동기 커버(28)를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로 했을 때에, 원동기 커버(28)의 후면판(30)과 우웨이트부(12)의 후면(12A)이 매끄럽게 연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웨이트부(12)의 상단은 평탄한 상단면(12C)으로 되어 있다. 상단면(12C)의 좌측에는, 당해 상단면(12C)으로부터 하측으로 오목한 브래킷 장착면(12D)이 인접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브래킷 장착면(12D)은, 후술하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우돌출 부재(18)가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단면(12C)과 브래킷 장착면(12D)의 사이에는, 우돌출 부재(18)의 높이 치수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원동기 커버(28)를 폐쇄 위치로 했을 때에, 원동기 커버(28)의 상면판(29)과 우웨이트부(12)의 상단면(12C)이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배수홈(13)은, 우웨이트부(12) 중 엔진(8)과 대면하는 내측면(12E)에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홈(13)은, 우웨이트부(12)의 내측면(12E)에 상하 방향으로 홈을 냄으로써, 우웨이트부(12)를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수홈(13)의 상단측에는, 배수 파이프(26)의 타단(他端)(26B)이 접속되고, 배수홈(13)의 하단은 카운터웨이트(10)의 하단(10A)으로 개구하고 있다. 즉, 배수홈(13)은, 배수 파이프(26)의 타단(26B)이 접속된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홈이 나있다.
카운터웨이트(10)의 하웨이트부(14)는, 카운터웨이트(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좌웨이트부(11) 및 우웨이트부(12)의 하측을 연결하고 있다. 하웨이트부(14)의 좌단부(14A)는, 좌웨이트부(11)의 좌단연보다 좌측으로 돌출되고, 하웨이트부(14)의 우단부(14B)는, 우웨이트부(12)의 우단연보다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웨이트부(14)의 후면(14C)은, 원호상으로 만곡한 만곡면이 되어, 외장 커버(9)를 구성하는 좌측면 커버(9A) 및 우측면 커버(9B)의 외측면에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다.
하웨이트부(14)에는, 당해 하웨이트부(14)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볼트 삽통 구멍(14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볼트 삽통 구멍(14D)은, 카운터웨이트(10)를 선회 프레임(5)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삽통되는 것이다. 좌웨이트부(11)와 우웨이트부(12)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웨이트부(14)의 상단면(14E)에는, 후술하는 시정(施錠) 기구(36)의 훅 부재(36A)가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10)의 하단(10A)으로부터 하웨이트부(14)의 상단면(14E)까지의 높이 치수는, 카운터웨이트(10)의 하단(10A)으로부터 좌웨이트부(11)의 상단면(11C)까지의 높이 치수, 및 우웨이트부(12)의 상단면(12C)까지의 높이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하웨이트부(14)의 상단면(14E)보다 상측에는 후술하는 점검 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점검 개구(15)는, 좌웨이트부(11), 우웨이트부(12) 및 하웨이트부(14)에 의해 둘러싸인 범위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점검 개구(15)는, 카운터웨이트(10)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로 이루어지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동기 커버(28)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동기 커버(28)를 도 3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를 통해서, 엔진(8) 등의 탑재 기기에 대한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카운터웨이트(10)를 구성하는 좌웨이트부(11)와 우웨이트부(12)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다.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좌돌출 부재(17)와, 우돌출 부재(18)와, 연결 부재(19)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카운터웨이트(10) 측이 열린 U자형의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카운터웨이트(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카운터웨이트(10)에 마련된 점검 개구(15)의 전측에서 원동기 커버(28)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또,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원동기 커버(28)의 외주연으로부터 낙하한 빗물, 세정수 등을 받아, 이 빗물 등을 카운터웨이트(10) 측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좌돌출 부재(17)는, 좌웨이트부(11)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엔진(8)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좌돌출 부재(17)의 후단(17A)은, 좌웨이트부(11)의 브래킷 장착면(11D)에 볼트(20)를 이용하여 장착되고, 좌돌출 부재(17)의 전단(17B)은, 브래킷 장착면(11D)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좌돌출 부재(17)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저판(17C)과, 저판(17C)의 좌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좌측판(17D)과, 저판(17C)의 우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우측판(17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측판(17D)과 우측판(17E)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대면하고 있다. 따라서, 좌돌출 부재(17)는, 상측이 개구된 바닥을 가진 홈통 형상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좌돌출 부재(17)의 저판(17C)은, 전단(17B) 측(연결 부재(19) 측)이 높고, 후단(17A) 측(카운터웨이트(10) 측)이 낮게 되어 있다. 즉, 저판(17C)은, 후방을 향해 하향 구배가 되는 경사 저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빗물 등이 좌돌출 부재(17) 내로 낙하한 경우에는, 이 빗물 등은, 저판(17C)의 경사에 의해 좌웨이트부(11)로 인도되어, 좌웨이트부(11)를 따라 카운터웨이트(10)의 하단(10A)으로 배출된다.
우돌출 부재(18)는, 우웨이트부(12)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우돌출 부재(18)의 후단(18A)은, 우웨이트부(12)의 브래킷 장착면(12D)에 볼트(20)를 이용하여 장착되고, 우돌출 부재(18)의 전단(18B)은, 브래킷 장착면(12D)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우돌출 부재(18)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저판(18C)과, 저판(18C)의 좌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좌측판(18D)과, 저판(18C)의 우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우측판(18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측판(18D)과 우측판(18E)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대면하고 있다. 따라서, 우돌출 부재(18)는, 상측이 개구된 바닥을 가진 홈통 형상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우돌출 부재(18)의 저판(18C)은, 전단(18B) 측(연결 부재(19) 측)이 높고, 후단(18A) 측(카운터웨이트(10) 측)이 낮게 되어 있다. 즉, 저판(18C)은, 후방을 향해 하향 구배가 되는 경사 저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빗물 등이 우돌출 부재(18) 내로 낙하한 경우에는, 이 빗물 등은, 저판(18C)의 경사에 의해 우웨이트부(12)로 인도되어, 우웨이트부(12)를 따라 카운터웨이트(10)의 하단(10A)으로 배출된다.
연결 부재(19)는, 좌돌출 부재(17)의 전단(17B)과 우돌출 부재(18)의 전단(18B)의 사이를 연결하며,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다. 즉, 연결 부재(19)의 좌단(19A)은, 좌돌출 부재(17)의 전단(17B)에 연결되고, 연결 부재(19)의 우단(19B)은, 우돌출 부재(18)의 전단(18B)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카운터웨이트(10) 측(후측)이 열린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이 되는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19)는,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저판(19C)과, 저판(19C)의 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전측판(19D)과, 저판(19C)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후측판(19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측판(19D)과 후측판(19E)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대면하고 있다. 이로써, 연결 부재(19)는, 상측이 개구된 바닥을 가진 홈통 형상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후측판(19E)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후측판(19E)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브래킷측 스프링 지지판(19F)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 브래킷측 스프링 지지판(19F)은, 후술하는 스프링 부재(32)의 일단(一端)(32A)이 장착되는 것이다(도 8 참조).
여기에서, 연결 부재(19)의 전측판(19D)의 상단은, 좌돌출 부재(17)의 좌측판(17D) 및 우돌출 부재(18)의 우측판(18E)의 상단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측판(19D), 좌측판(17D), 우측판(18E)의 상단에는,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으로 굴곡된 전측 시일재(21)가 장착되어 있다. 또, 연결 부재(19)의 후측판(19E)의 상단은, 좌돌출 부재(17)의 우측판(17E) 및 우돌출 부재(18)의 좌측판(18D)의 상단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후측판(19E), 우측판(17E), 좌측판(18D)의 상단에는, 평면에서 볼 때 U자형으로 굴곡된 후측 시일재(2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전측 시일재(21) 및 후측 시일재(22)는, 원동기 커버(28)가 폐쇄 위치를 보지(保持)하고 있을 때, 상면판(29)의 내측면에 당접하여, 상면판(29)과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는 것이다.
좌돌출 부재(17)의 후단(17A)은, 좌웨이트부(11)의 브래킷 장착면(11D)에 장착되고, 우돌출 부재(18)의 후단(18A)은, 우웨이트부(12)의 브래킷 장착면(12D)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카운터웨이트(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좌돌출 부재(17)의 전단(17B)과 우돌출 부재(18)의 전단(18B)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9)는, 카운터웨이트(10)의 전측에 배치된 엔진(8)의 상방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는, 엔진(8)의 상부 위치에 마련된 급유구(8A)보다 전측(캡(7) 측)이 되는 위치에서, 좌돌출 부재(17)와 우돌출 부재(18)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이로써, 엔진(8)의 급유구(8A)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작업이 연결 부재(19)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카운터웨이트(10) 측이 열린 U자형으로 형성되어, 카운터웨이트(10)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의 상방에는, 큰 작업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는, 후술하는 힌지(31)를 통하여 원동기 커버(28)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외장 커버(9)의 상면 커버(9C)와 원동기 커버(28)의 경계부(23)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빗물 등이, 상면 커버(9C)와 원동기 커버(28)의 경계부(23)에 형성된 간극에 침입했다고 해도, 이 빗물 등은, 홈통 형상을 이루는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에 수용된다.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에 수용된 빗물 등은, 경사 저면이 된 좌우의 돌출 부재(17, 18)의 저판(17C, 18C)을 따라 카운터웨이트(10) 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점검 개구(15)의 전측에서 원동기 커버(28)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과, 원동기 커버(28)로부터 낙하한 빗물 등을 카운터웨이트(10) 측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좌배수 구멍(24)은, 연결 부재(19)를 구성하는 저판(19C)의 좌단(19A) 측에 마련되어, 저판(19C)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우배수 구멍(25)은, 저판(19C)의 우단(19B) 측에 마련되어, 저판(19C)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압 셔블(1)의 차체가, 전측(프론트 장치(4) 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진 자세(전경 자세)가 되는 경우가 있다. 유압 셔블(1)의 차체가 전경 자세가 되었을 때에는,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로 낙하한 빗물 등이 연결 부재(19) 내에 체류하게 된다. 좌우의 배수 구멍(24, 25)은, 연결 부재(19) 내에 체류한 빗물 등을 빼내기 위한 것이다.
파이프체로서의 배수 파이프(26)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 형성된 우배수 구멍(25)과 카운터웨이트(10)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배수 파이프(26)는, 우배수 구멍(25)을 통해서 연결 부재(19)로부터 배출된 빗물 등을, 카운터웨이트(10)로 인도하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 파이프(26)는, L자형으로 절곡된 금속제의 파이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수 파이프(26)의 일단(26A)은, 연결 부재(19)를 구성하는 저판(19C)의 하면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어, 우배수 구멍(25)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배수 파이프(26)의 타단(26B)에는 평판형의 플랜지판(26C)이 고착되어 있다. 플랜지판(26C)은, 볼트(26D)를 이용하여 우웨이트부(12)의 내측면(12E)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우웨이트부(12)의 내측면(12E)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배수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 파이프(26)의 타단(26B)은, 일단(26A)보다 낮은 위치에서 배수홈(13)의 상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 배수 파이프(27)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 형성된 좌배수 구멍(24)과 배수 파이프(26)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보조 배수 파이프(27)는, 좌배수 구멍(24)을 통해서 연결 부재(19)로부터 배출된 빗물 등을 배수 파이프(26)로 인도하는 것이다. 보조 배수 파이프(27)는, 예를 들면 배수 파이프(26)보다 소경인 금속제의 파이프에 의해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 배수 파이프(27)의 일단(27A)은, 연결 부재(19)를 구성하는 저판(19C)의 하면에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착되어, 좌배수 구멍(2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보조 배수 파이프(27)의 타단(27B)은, 배수 파이프(26)의 도중의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셔블(1)의 차체가 전경 자세가 되어,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 내에 빗물 등이 체류한 경우에는, 빗물 등은, 좌배수 구멍(24) 및 우배수 구멍(25)을 통해서 연결 부재(19)로부터 배출된다. 우배수 구멍(25)으로부터 배출된 빗물 등은, 배수 파이프(26)에 유입되고, 좌배수 구멍(24)으로부터 배출된 빗물 등은, 보조 배수 파이프(27)를 통해서 배수 파이프(26)에 유입된다. 배수 파이프(26)에 유입한 빗물 등은, 배수 파이프(26)의 타단(26B)을 통해서 카운터웨이트(10)(우웨이트부(12))의 배수홈(13)으로 인도되어, 배수홈(13)을 따라 카운터웨이트(10)의 하단(10A)으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배수 파이프(26)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강도 부재를 겸하고 있다. 이로써, 카운터웨이트(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카운터웨이트(10)에 대한 장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원동기 커버(28)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원동기 커버(28)에 대해 설명한다.
원동기 커버(28)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에 장착되어,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를 개폐 가능하게 덮고 있다. 즉, 원동기 커버(28)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 후술하는 힌지(31)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원동기 커버(28)는, 점검 개구(15)를 여는 개방 위치(도 3의 위치)와, 점검 개구(15)를 닫는 폐쇄 위치(도 2의 위치)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동)한다. 여기에서, 원동기 커버(28)는, 점검 개구(15)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면판(29)과, 점검 개구(15)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후면판(30)을 갖고 있다.
원동기 커버(28)의 상면판(29)은, 외장 커버(9)의 좌상면 커버(9D)와 우상면 커버(9E)의 사이를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판(29)은, 원동기 커버(28)를 폐쇄 위치로 했을 때에, 좌상면 커버(9D), 우상면 커버(9E), 좌웨이트부(11)의 상단면(11C), 우웨이트부(12)의 상단면(12C)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판(29) 중 엔진(8)과 대면하는 내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보강판(29A)이 마련되어 있다. 보강판(29A)의 길이 방향의 도중의 부위에는, 커버측 스프링 지지판(29B)이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 커버측 스프링 지지판(29B)에는, 후술하는 스프링 부재(32)의 타단(32B)이 장착되어 있다.
원동기 커버(28)의 후면판(30)은, 상면판(29)의 후단(29C)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있다. 후면판(30)은, 좌우의 웨이트부(11, 12)의 후면(11A, 12A) 및 하웨이트부(14)의 후면(14C)과 동일한 만곡 형상을 갖고 있다. 이로써, 후면판(30)은, 원동기 커버(28)를 폐쇄 위치로 했을 때에, 좌우의 웨이트부(11, 12)의 후면(11A, 12A) 및 하웨이트부(14)의 후면(14C)에 매끄럽게 연속한다.
회동 부재로서의 힌지(31)는, 원동기 커버(28)의 상면판(29)의 전단(29D)과 연결 부재(19)의 저판(19C)의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서 2개 마련되어 있다. 즉, 상면판(29)의 전단(29D)의 좌우 양측은, 각각 힌지(31)를 통하여 연결 부재(19)에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원동기 커버(28)는, 힌지(31)를 중심으로 점검 개구(15)를 여는 개방 위치(도 3의 위치)와, 점검 개구(15)를 닫는 폐쇄 위치(도 2의 위치)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동기 커버(28)는, 카운터웨이트(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 힌지(3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카운터웨이트(10)는, 예를 들면 종래 기술에 의한 카운터웨이트와 같이, 좌우의 웨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의 장착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0)의 무게 중심은 후측에 유지되고 있다.
스프링 부재(32)는, 커버 장착 브래킷(16)과 원동기 커버(28)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32)는, 예를 들면 가스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2)의 일단(32A)은,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 마련된 브래킷측 스프링 지지판(19F)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2)의 타단(32B)은, 원동기 커버(28)의 상면판(29)에 마련된 커버측 스프링 지지판(29B)에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32)는, 힌지(31)를 중심으로 한 원동기 커버(28)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신축하며, 원동기 커버(28)의 동작을 어시스트한다.
스토퍼(33)는, 커버 장착 브래킷(16)과 원동기 커버(28)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33)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좌돌출 부재(17)에 마련된 가이드판(34)과, 가이드판(34)과 원동기 커버(28)의 사이에 마련된 봉형체(3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원동기 커버(28)는, 스프링 부재(32)의 어시스트에 의해 개방 위치로 이동한 후, 스토퍼(33)에 의해 개방 위치에 보지된다.
스토퍼(33)의 가이드판(34)은, 좌돌출 부재(17)의 우측판(17E)과 대면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가이드판(34)은, 길이 방향의 양측이 우측판(17E)을 향해 굴곡한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판(34)의 길이 방향의 양단은, 용접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우측판(17E)에 고착되어 있다. 가이드판(34)에는, 후방을 향해 비스듬한 상향으로 경사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는 직선형의 가이드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34A)은, 봉형체(3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하는 것이다. 가이드 구멍(34A)의 전단은 폐쇄 위치 계합부(34B)가 되고, 가이드 구멍(34A)의 후단은 개방 위치 계합부(34C)로 되어 있다.
스토퍼(33)의 봉형체(35)는, 원동기 커버(28)와 가이드판(34)의 가이드 구멍(34A)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봉형체(35)의 일단(도시하지 않음)은, 원동기 커버(28) 중 엔진(8)과 대면하는 내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봉형체(35)의 타단(35A)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자유단이 되어 가이드 구멍(34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봉형체(35)의 타단(35A)은, 원동기 커버(28)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가이드 구멍(34A) 내를 슬라이딩한다. 원동기 커버(28)가 폐쇄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봉형체(35)의 타단(35A)은, 가이드 구멍(34A)의 폐쇄 위치 계합부(34B)에 계합한다. 한편, 원동기 커버(28)가 개방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봉형체(35)의 타단(35A)은, 가이드 구멍(34A)의 개방 위치 계합부(34C)에 계합한다(도 8 참조). 이로써, 개방 위치로 이동한 원동기 커버(28)를 봉형체(35)에 의해 지지하여 원동기 커버(28)를 개방 위치에 보지할 수 있다.
시정 기구(36)는, 카운터웨이트(10)와 원동기 커버(28)의 후면판(30)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즉, 시정 기구(36)는, 하웨이트부(14)의 상단면(14E)에 세워져 마련된 역U자형의 훅 부재(36A)와, 후면판(30)의 하단(30A) 측에 마련된 캐치 부재(3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캐치 부재(36B) 중 훅 부재(36A)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훅 부재(36A)에 대해서 계합, 이탈 가능한 계합 클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원동기 커버(28)는, 캐치 부재(36B)의 계합 클로가 훅 부재(36A)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폐쇄 위치에 보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에 의해 작업 현장까지 자주하고, 프론트 장치(4)를 이용하여 토사 등의 굴삭 작업을 행한다.
여기에서, 유압 셔블(1)에 탑재된 엔진(8) 등에 대한 점검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점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원동기 커버(28)에 마련된 시정 기구(36)을 조작하여, 캐치 부재(36B)와 훅 부재(36A)의 계합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원동기 커버(28)의 하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로써, 원동기 커버(28)는, 힌지(31)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개동작)한다. 이 때, 커버 장착 브래킷(16)과 원동기 커버(28)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 부재(32)가 신장하여, 힌지(31)를 중심으로 한 원동기 커버(28)의 개동작이 어시스트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원동기 커버(28)를 용이하게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를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다. 원동기 커버(28)가 개방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33)를 구성하는 봉형체(35)의 타단(35A)이, 가이드판(34)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34A)의 개방 위치 계합부(34C)에 계합한다. 따라서, 개방 위치로 이동한 원동기 커버(28)를, 봉형체(35)에 의해 지지한 상태로 개방 위치에 보지해 둘 수 있다.
원동기 커버(28)가 개방 위치에 보지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를 통해서, 엔진(8) 등에 대한 점검 작업을 행한다. 이 경우,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는, 엔진(8)의 상부 위치에 마련된 급유구(8A)보다 전측(캡(7)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엔진(8)의 급유구(8A)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작업이, 커버 장착 브래킷(16)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따라서, 급유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카운터웨이트(10)를 구성하는 좌우의 웨이트부(11, 12)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원동기 커버(28)는,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의 전방에 배치된 연결 부재(19)에, 힌지(3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좌우의 웨이트부(11, 12) 사이에 형성된 점검 개구(15)의 상측에는, 큰 작업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이 결과, 점검 개구(15)를 통해서 엔진(8) 등의 점검 작업을 행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원동기 커버(28)는, 카운터웨이트(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 장착 브래킷(16)에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카운터웨이트(10)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운터웨이트와 같이, 좌우의 웨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의 장착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카운터웨이트(10)의 무게 중심이 전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결과, 카운터웨이트(10)의 무게 중심을 후측에 유지할 수 있어, 차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외장 커버(9)의 상면 커버(9C)와 원동기 커버(28)의 경계부(23)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커버 장착 브래킷(16)을 구성하는 좌돌출 부재(17), 우돌출 부재(18), 연결 부재(19)는, 각각 상측이 개구된 바닥을 가진 홈통 형상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빗물 등이, 폐쇄 위치가 된 원동기 커버(28)와 상면 커버(9C)의 경계부(23)에 형성된 간극에 침입했다고 해도, 이 빗물 등은,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에 수용된다. 한편, 원동기 커버(28)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원동기 커버(28)로부터 빗물 등이 낙하했다고 해도, 이 빗물 등은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에 수용된다.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에 수용된 빗물 등은, 경사 저면이 된 좌우의 돌출 부재(17, 18)의 저판(17C, 18C)을 따라 카운터웨이트(10)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장착 브래킷(16)을 구성하는 좌돌출 부재(17)의 좌측판(17D), 우돌출 부재(18)의 우측판(18E), 연결 부재(19)의 전측판(19D)의 상단에는, 전측 시일재(21)가 장착되어 있다. 좌돌출 부재(17)의 우측판(17E), 우돌출 부재(18)의 좌측판(18D), 연결 부재(19)의 후측판(19E)의 상단에는, 후측 시일재(2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전측 시일재(21) 및 후측 시일재(22)는, 원동기 커버(28)가 폐쇄 위치를 보지하고 있을 때, 상면판(29)의 내측면에 당접한다. 이로써, 상면판(29)과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사이는, 전측 시일재(21) 및 후측 시일재(22)에 의해 액밀하게 시일된다. 이 결과, 빗물, 세정수 등이, 유압 셔블(1)의 가동시에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외부로 튀어 나와, 엔진(8) 등의 탑재 기기나 센서류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유압 셔블(1)의 차체가 전경 자세가 되면, 커버 장착 브래킷(16)을 구성하는 좌우의 돌출 부재(17, 18)의 전단(17B, 18B)의 높이 위치가, 후단(17A, 18A)의 높이 위치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로 낙하한 빗물 등은 연결 부재(19) 내에 체류한다.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19) 내의 빗물 등은, 좌배수 구멍(24) 및 우배수 구멍(25)을 통해서 연결 부재(19)의 외부로 배출된다. 우배수 구멍(25)으로부터 배출된 빗물 등은 배수 파이프(26)에 유입되고, 좌배수 구멍(24)으로부터 배출된 빗물 등은 보조 배수 파이프(27)를 통해서 배수 파이프(26)에 유입된다. 배수 파이프(26)에 유입한 빗물 등은, 배수 파이프(26)의 타단(26B)을 통해서 카운터웨이트(10)의 배수홈(13)으로 인도되어, 배수홈(13)을 따라 카운터웨이트(10)의 하단(10A)으로 배출된다. 이 결과, 배수 파이프(26)로부터 카운터웨이트(10)에 인도된 빗물 등을, 배수홈(13)을 따라 1개소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 결과, 빗물 등이 카운터웨이트(10)를 따라 배출되는 범위를 좁힐 수 있다.
또한, 금속성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된 배수 파이프(26)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강도 부재를 겸하고 있다. 이 결과, 카운터웨이트(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장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결과,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원동기 커버(28)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실시형태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10)를 구성하는 좌웨이트부(11)와 우웨이트부(12)의 상측에는, 좌웨이트부(11)와 우웨이트부(12)의 사이를 연결하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이 마련되어 있다.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좌웨이트부(11)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좌돌출 부재(17)와, 우웨이트부(12)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우돌출 부재(18)와, 좌돌출 부재(17)의 전측과 우돌출 부재(18)의 전측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결 부재(19)에 의해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는,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원동기 커버(28)가 회동 부재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카운터웨이트의 일부를 전방으로 돌출시켜 원동기 커버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0)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무게 중심을 후측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압 셔블(1)의 차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좌우의 웨이트부(11, 1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좌우의 돌출 부재(17, 18)와, 좌우의 돌출 부재(17, 18)의 전측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9)에 의해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의 상측에 큰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점검 개구(15)를 통해서 엔진(8) 등의 점검 작업을 행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좌돌출 부재(17), 우돌출 부재(18) 및 연결 부재(19)에 의해 카운터웨이트(10) 측이 열린 U자형의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0)의 좌우의 웨이트부(11, 12)에 좌우의 돌출 부재(17, 18)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연결 부재(19)를 점검 개구(15)의 전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점검 개구(15)의 상방에 큰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원동기 커버(28)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 힌지(31)를 통하여 장착되고, 힌지(31)를 중심으로 점검 개구(15)를 여는 개방 위치와 점검 개구(15)를 닫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힌지(31)를 중심으로 원동기 커버(28)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점검 개구(15)를 개폐할 수 있어, 엔진(8) 등에 대한 점검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엔진(8)의 상부 위치에는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급유구(8A)가 마련되고, 커버 장착 브래킷(16)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19)는, 엔진(8)의 급유구(8A)보다 전측이 되는 위치에서 좌돌출 부재(17)와 우돌출 부재(18)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이로써, 엔진(8)의 급유구(8A)에 윤활유를 급유하는 작업이, 연결 부재(19)에 의해 방해받지 않아, 급유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 장착 브래킷(16)과 원동기 커버(28)의 사이에는, 원동기 커버(28)가 점검 개구(15)를 닫는 폐쇄 위치로부터 점검 개구(15)를 여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에 원동기 커버(28)를 어시스트하는 스프링 부재(32)와, 스프링 부재(32)의 어시스트에 의해 원동기 커버(28)가 열렸을 때에 원동기 커버(28)를 개방 위치에 보지하는 스토퍼(33)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원동기 커버(28)를, 용이하게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카운터웨이트(10)의 점검 개구(15)를 신속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 원동기 커버(28)를, 스토퍼(33)에 의해 개방 위치에 보지해 둘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좌돌출 부재(17), 우돌출 부재(18) 및 연결 부재(19)는, 각각 상측이 개구된 바닥을 가진 홈통 형상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빗물, 세정수 등을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차체에는, 엔진(8)을 포함하는 탑재 기기를 원동기 커버(28)와 함께 덮는 외장 커버(9)가 마련되고, 커버 장착 브래킷(16)은, 외장 커버(9)의 상면 커버(9C)와 원동기 커버(28)의 경계부(23)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상면 커버(9C)와 원동기 커버(28)의 경계부(23)에 형성된 간극에 침입한 빗물, 원동기 커버(28)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원동기 커버(28)로부터 낙하한 빗물 등을,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좌돌출 부재(17) 및 우돌출 부재(18)는, 연결 부재(19) 측이 높고 카운터웨이트(10) 측이 낮아지는 하향 구배가 된 저판(경사 저면)(17C, 18C)을 갖고 있다. 이로써, 커버 장착 브래킷(16) 내에 수용된 빗물 등을, 좌우의 돌출 부재(17, 18)의 저판(17C, 18C)을 따라 카운터웨이트(10)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에 고인 물의 배수를 행하는 좌우의 배수 구멍(24, 25)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차체가 전경 자세가 되어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 내에 빗물 등이 체류했다고 해도, 연결 부재(19) 내의 빗물 등을, 좌배수 구멍(24) 및 우배수 구멍(25)을 통해서 연결 부재(19)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의 우배수 구멍(25)과 카운터웨이트(10)의 사이에는 중공의 배수 파이프(26)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연결 부재(19) 내의 빗물 등을, 우배수 구멍(25)으로부터 배수 파이프(26)를 통하여 카운터웨이트(10)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수 파이프(26)는, 그 일단(26A)이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우배수 구멍(25)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26B)이 카운터웨이트(10) 중 엔진(8)과 대면하는 내측면(12E)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카운터웨이트(10)의 내측면(12E)에는, 배수 파이프(26)의 타단(26B)이 접속된 부위로부터 하방향으로 홈이 난 배수홈(13)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배수 파이프(26)로부터 카운터웨이트(10)의 내측면(12E)에 인도된 빗물 등을, 배수홈(13)을 따라 카운터웨이트(10)의 하단(10A)으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수 파이프(26)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강도 부재를 겸하고 있다. 이로써, 카운터웨이트(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커버 장착 브래킷(16)에 의해 원동기 커버(28)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장착 브래킷(16)의 연결 부재(19)에, 좌배수 구멍(24)과 우배수 구멍(25)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배수 구멍을 마련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 또는 3개 이상의 배수 구멍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19)에 마련한 좌배수 구멍(24)에 보조 배수 파이프(27)의 일단(27A)을 접속하고, 보조 배수 파이프(27)의 타단(27B)을 배수 파이프(26)의 도중의 부위에 접속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배수 파이프(26)와 동일하게 형성된 다른 배수 파이프를 준비하고, 이 다른 배수 파이프를, 연결 부재(19)의 좌배수 구멍(24)과 카운터웨이트(10)의 사이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1)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휠식의 유압 셔블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하부 주행체(차체)
3 상부 선회체(차체)
4 프론트 장치
5 선회 프레임(차체 프레임)
8 엔진(원동기)
8A 급유구
9 외장 커버
9A 좌측면 커버
9B 우측면 커버
9C 상면 커버
10 카운터웨이트
11 좌웨이트부
12 우웨이트부
12E 내측면
13 배수홈
14 하웨이트부
15 점검 개구
16 커버 장착 브래킷
17 좌돌출 부재
17C, 18C 저판(경사 저면)
18 우돌출 부재
19 연결 부재
23 경계부
24 좌배수 구멍(배수 구멍)
25 우배수 구멍(배수 구멍)
26 배수 파이프(파이프체)
28 원동기 커버
31 힌지(회동 부재)
32 스프링 부재
33 스토퍼

Claims (12)

  1. 자주 가능한 차체를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의 전측에 마련된 프론트 장치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차체 프레임에는,
    상기 프론트 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측에 마련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전측에 탑재된 원동기를 구비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좌우 방향의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좌웨이트부와,
    좌우 방향의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우웨이트부와,
    상기 좌웨이트부 및 상기 우웨이트부의 하측을 연결한 하웨이트부와, 상기 좌웨이트부, 상기 우웨이트부 및 상기 하웨이트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원동기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개구에 의해 구성된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구성하는 상기 좌웨이트부와 상기 우웨이트부의 상측에는, 상기 좌웨이트부와 상기 우웨이트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커버 장착 브래킷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은, 상기 좌웨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좌돌출 부재와, 상기 우웨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우돌출 부재와, 상기 좌돌출 부재의 전측과 상기 우돌출 부재의 전측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결 부재에 의해 프레임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의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기 점검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원동기 커버가 회동 부재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은, 상기 좌돌출 부재, 상기 우돌출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카운터웨이트측이 열린 U자형의 프레임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장착된 힌지이며,
    상기 원동기 커버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점검 개구를 여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점검 개구를 닫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기의 상부 위치에는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급유구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원동기의 상기 급유구보다 전측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좌돌출 부재와 상기 우돌출 부재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과 상기 원동기 커버의 사이에는, 상기 원동기 커버가 상기 점검 개구를 닫는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점검 개구를 여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원동기 커버를 어시스트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스프링 부재의 어시스트에 의해 상기 원동기 커버가 열렸을 때에 상기 원동기 커버를 상기 개방 위치에 보지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의 상기 좌돌출 부재, 상기 우돌출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는, 각각 상측이 개구된 바닥을 가진 홈통 형상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상기 원동기를 포함하는 탑재 기기를 상기 원동기 커버와 함께 덮는 외장 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탑재 기기를 좌측방으로부터 덮는 좌측면 커버와, 상기 탑재 기기를 우측방으로부터 덮는 우측면 커버와, 상기 원동기 커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탑재 기기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면 커버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은, 상기 원동기 커버와 상기 상면 커버의 경계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상기 원동기를 포함하는 탑재 기기를 상기 원동기 커버와 함께 덮는 외장 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탑재 기기를 좌측방으로부터 덮는 좌측면 커버와, 상기 탑재 기기를 우측방으로부터 덮는 우측면 커버와, 상기 원동기 커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탑재 기기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은, 상기 원동기 커버와 상기 상면 커버의 경계부를 하방으로부터 덮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의 상기 좌돌출 부재, 상기 우돌출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는, 각각 상측이 개구된 바닥을 가진 홈통 형상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의 상기 좌돌출 부재 및 상기 우돌출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측이 높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측이 낮아지는 하향 구배가 된 경사 저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의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에 고인 물의 배수를 행하는 배수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의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배수 구멍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사이에는 중공의 파이프체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 부재에 고인 물은 상기 배수 구멍으로부터 상기 파이프체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체는, 그 일단이 상기 커버 장착 브래킷의 상기 배수 구멍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이 상기 카운터웨이트 중 상기 원동기와 대면하는 내측면에 접속되고,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파이프체의 타단이 접속된 부위로부터 하방향으로 홈이 난 배수홈이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체에 유입한 물을 상기 배수홈을 통하여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하방으로 인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197006479A 2017-09-29 2017-09-29 건설 기계 KR102042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5569 WO2019064517A1 (ja) 2017-09-29 2017-09-29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549A true KR20190043549A (ko) 2019-04-26
KR102042675B1 KR102042675B1 (ko) 2019-11-08

Family

ID=6590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479A KR102042675B1 (ko) 2017-09-29 2017-09-29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13101B2 (ko)
EP (1) EP3495567B1 (ko)
JP (1) JP6657471B2 (ko)
KR (1) KR102042675B1 (ko)
CN (1) CN109937279B (ko)
WO (1) WO2019064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26970B2 (ja) * 2021-07-21 2024-02-02 株式会社竹内製作所 車体カバーの開閉機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479A (ja) * 1999-01-20 2001-04-17 Komatsu Ltd 建設用車輌におけるカウンターウエイト
JP2010216156A (ja) * 2009-03-17 2010-09-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3189765A (ja) 2012-03-12 2013-09-26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両
KR20140002631U (ko) * 2014-02-20 2014-05-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JP2015190123A (ja) * 2014-03-27 2015-11-0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7718A (en) * 1959-04-22 1961-01-10 Clark Equipment Co Removable counterweight
US4402413A (en) * 1981-11-19 1983-09-06 J. I. Case Company Counterweight arrangement
US5462309A (en) * 1994-05-20 1995-10-31 Caterpillar Inc. Stackable counterweight arrangement
US5975833A (en) * 1996-01-30 1999-11-0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wing type hydraulic excavator
US5833268A (en) * 1996-12-06 1998-11-10 Aldrovandi; Louis Counterweight hoisting mechanism
US6296436B1 (en) * 1997-04-08 2001-10-02 Allied Gator, Inc. Multipurpose counterweight housing and counterweight
US6481748B1 (en) * 1999-07-30 2002-11-19 Komatsu Ltd. Counterweight for construction vehicle
JP4450298B2 (ja) * 2000-01-12 2010-04-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エンジン冷却風路
JP2002146843A (ja) * 2000-11-14 2002-05-2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
JP2002167807A (ja) * 2000-11-30 2002-06-11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装置
JP4196375B2 (ja) * 2003-02-04 2008-12-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カウンタウエイト
JP4211919B2 (ja) * 2003-03-24 2009-0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4544121B2 (ja) * 2005-09-29 2010-09-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8008089A (ja) * 2006-06-30 2008-01-1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ガード構造
US7467722B2 (en) * 2006-08-31 2008-12-23 Ramun John R Counterweight for heavy equipment
CN101542045B (zh) * 2006-11-28 2011-12-07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JP2008184789A (ja) * 2007-01-30 2008-08-1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車の後方監視カメラ装置
WO2009101935A1 (ja) * 2008-02-15 2009-08-2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
CN103534418B (zh) * 2011-05-16 2016-06-08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EP2754756B1 (en) * 2011-09-09 2017-08-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Tierra Co., Ltd. Air-conditioning unit for the cabin of a construction machine
US20150139768A1 (en) * 2012-06-04 2015-05-2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GB2520638A (en) * 2012-07-02 2015-05-27 Volvo Constr Equip Ab Construction machine on which counterweight provided with muffler is mounted
KR101734977B1 (ko) * 2013-05-22 2017-05-12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건설 기계
CN203402275U (zh) * 2013-07-06 2014-01-22 山重建机有限公司 一种新型挖掘机发动机罩支撑装置
DE202014007894U1 (de) * 2014-09-29 2014-10-22 Liebherr-Werk Ehingen Gmbh Kran, vorzugsweise Derrickkran
JP6210600B2 (ja) * 2014-09-30 2017-10-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GB2531769B (en) * 2014-10-29 2019-11-13 Bamford Excavators Ltd A Counterweight Assembly
CN204492983U (zh) * 2015-03-20 2015-07-22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罩固定支架
CN106627472B (zh) * 2015-07-29 2019-02-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铰链结构及行人保护装置
JP6013620B2 (ja) * 2015-09-14 2016-10-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6106769B2 (ja) * 2015-09-30 2017-04-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479A (ja) * 1999-01-20 2001-04-17 Komatsu Ltd 建設用車輌におけるカウンターウエイト
JP2010216156A (ja) * 2009-03-17 2010-09-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3189765A (ja) 2012-03-12 2013-09-26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両
KR20140002631U (ko) * 2014-02-20 2014-05-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JP2015190123A (ja) * 2014-03-27 2015-11-0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57471B2 (ja) 2020-03-04
EP3495567A4 (en) 2020-04-22
KR102042675B1 (ko) 2019-11-08
US20210324606A1 (en) 2021-10-21
JPWO2019064517A1 (ja) 2019-11-14
CN109937279A (zh) 2019-06-25
CN109937279B (zh) 2021-08-03
US11313101B2 (en) 2022-04-26
EP3495567A1 (en) 2019-06-12
WO2019064517A1 (ja) 2019-04-04
EP3495567B1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2063A1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143135B1 (ko) 선회 작업기의 보닛 시일 구조
EP2218834A2 (en) Toolbox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machine
WO2013183443A1 (ja) 建設機械
JP6583883B2 (ja) 作業機械
KR20190043549A (ko) 건설 기계
US11499288B2 (en) Hydraulic excavator
EP2184410A2 (en) Frame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KR20180039104A (ko) 소형의 건설 기계
KR102517802B1 (ko) 건설 기계
JP2005232795A (ja) 作業機のボンネット装置
JP5692248B2 (ja) 作業機械
CN110226009B (zh) 液压挖掘机
EP3828348A1 (en) Construction machine
JP4994201B2 (ja) 建設機械のラダー取り付け構造
JP6810085B2 (ja) 建設機械
JP7301720B2 (ja) 建設機械
JP5368415B2 (ja) 建設機械
JP5507348B2 (ja) 建設機械
JP4444675B2 (ja) 建設機械
KR20240060847A (ko) 작업 기계
JP2005090094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