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631U -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631U
KR20140002631U KR2020140001287U KR20140001287U KR20140002631U KR 20140002631 U KR20140002631 U KR 20140002631U KR 2020140001287 U KR2020140001287 U KR 2020140001287U KR 20140001287 U KR20140001287 U KR 20140001287U KR 20140002631 U KR20140002631 U KR 201400026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nnet
support
main body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맹용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1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631U/ko
Publication of KR201400026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6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 및 닫힘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개방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닫힌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는, 엔진 및 각종 부품이 수용되어 엔진룸을 이루는 본체와, 이 본체의 외측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엔진룸을 개폐가능하도록 된 커버로 이루어진 굴삭기의 보닛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방시 커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커버의 회전을 따라 회동가능한 상태로 그 일단이 커버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판면에 슬라이딩 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로 보닛의 지지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가스 스프링 대신에 지지대를 이용하여 커버를 지지하여 커버의 개방을 확실하고, 커버의 닫힘을 용이하게 하며, 커버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잠금장치에 체결됨으로써 보닛의 닫힌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보닛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A supporting device of bonnet for excavator}
본 고안은 굴삭기 보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닛의 개방 및 닫힘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개방된 보닛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보닛의 닫힌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에는 엔진룸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보닛이 설치되고, 상기 보닛의 하단에는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보닛은 굴삭기의 외장을 이루는 커버류의 소재로 구성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상기 굴삭기의 보닛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보닛(100)은 굴삭기의 본체(101)에 커버(10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엔진룸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커버(102)가 설치되는 본체(101)의 연결부에는 힌지(103)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103)의 일측에는 개방된 커버(102)를 지지하기 위한 가스 스프링(104)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 스프링(104)은 그 일단이 상기 본체(101)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커버(102)의 상부쪽에 연결됨으로써 커버(102)의 개방시 신장되면서 커버(102)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커버(102)의 닫힘시 축소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보닛(100)의 경우 상기 힌지(103)를 중심으로 열고 닫는 커버(102)에 상기 가스 스프링(104)이 설치되어 커버(102)를 열었을 때 커버(102)의 중량을 가스 스프링(104)이 지탱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 가스 스프링(104)의 힘으로 상기 커버(102)의 중량을 지탱하기 때문에 커버(102)를 닫아 상기 본체(101)의 잠금장치(105)에 고정할 경우 완전히 체결되지 않으면 가스 스프링(104)의 반발력에 의해 커버(102)가 다시 열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종래의 굴삭기용 보닛(100)은 상기 커버(102)의 개방시 커버(102)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 스프링(104)을 설치하였으나, 상기 가스 스프링(104)의 반발력을 통해 상기 커버(102)를 닫을 때 가스 스프링(104)을 축소시키는 힘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102)가 확실히 닫히지 않으면 상기 가스 스프링(104)에 의해 커버(102)가 다시 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굴삭기용 보닛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종래의 가스 스프링 대신에 지지대를 이용하여 커버를 지지함으로써 커버의 닫힘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보닛의 닫힌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엔진 및 각종 부품이 수용되어 엔진룸을 이루는 본체와, 이 본체의 외측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의 엔진룸을 개폐가능하도록 된 커버로 이루어진 굴삭기의 보닛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방시 커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커버의 회전을 따라 회동가능한 상태로 그 일단이 커버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판면에 슬라이딩 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로 보닛의 지지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그 선단부에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딩 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슬라이딩 홀의 일측 단부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완전 개방시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더가 고정홈에 고정된 상태로 개방된 커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가스 스프링 대신에 지지대를 이용하여 커버를 지지함으로써 커버의 개방을 확실하게 하면서도 커버의 닫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커버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잠금장치에 체결됨으로써 보닛의 닫힌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보닛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굴삭기 보닛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C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닛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지지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굴삭기의 보닛을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장치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보닛(1)은 본체(2)와 커버(3)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2)는 엔진룸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 엔진 및 각종 부품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커버(3)는 상기 본체(2)의 외측에 힌지(4)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2)의 엔진룸을 개폐가능하도록 된 것이며, 상기 커버(3)에는 개방된 커버(3)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지지장치가 설치된다.
즉, 상기 보닛(1)에 설치되는 지지장치는 지지대(10)와 가이드 레일(20)로 구성되는 바, 상기 지지대(10)는 커버(3)의 개방시 커버(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커버(3)의 회전을 따라 회동가능한 상태로 그 일단이 커버(3)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3)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11)에 상기 지지대(10)의 선단부가 커버(3)의 회동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상기 지지대(10)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판면에 슬라이딩 홀(2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2)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장치를 이루는 지지대(10)와 가이드 레일(20)의 경우 양단부가 각각 절곡되어 지지대(1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며, 상기 지지대(10)는 커버(3)의 개폐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슬라이딩 홀(21)을 따라 전후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커버(3)를 열었을 때 커버(3)의 중량을 상기 지지대(10)를 이용하여 지탱하게 되고, 상기 지지대(10)의 위치를 변경시키면 상기 커버(3)는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보닛(1)의 본체(2)에 설치된 잠금장치(5)에 떨어져 잠기게 되며, 상기 지지대(10)는 가이드 레일(20)의 슬라이딩 홀(21)을 따라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3) 개폐시 지지대(10)의 위치를 옮기기 위한 조작 없이 커버(3)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10)는 그 선단부에 슬라이더(12)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슬라이딩 홀(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상기 슬라이딩 홀(21)의 일측 단부에 고정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3)의 완전 개방시 상기 지지대(10)의 슬라이더(12)가 고정홈(21a)에 고정된 상태로 개방된 커버(3)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보닛(1)의 개폐에 따른 지지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커버(3)는 힌지(4)로 고정되어 피봇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고, 상기 커버(3)를 열었을 때 상기 지지대(10)의 슬라이더(12)는 가이드 레일(2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홀(21)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슬라이딩 홀(21) 끝단에 상기 고정홈(21a)이 형성되어 커버(3)를 완전히 열었을 때 지지대(10)의 슬라이더(12)가 이동하여 고정홈(21a)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대(10)가 커버(3)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3)를 닫기 위해 상기 지지대(10)를 고정홈(21a)에서 이탈시키면 커버(3)는 그 자체의 중량에 의해 힌지(4)의 피봇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2)의 잠금장치(5)에 스스로 떨어져 잠기게 되고, 상기 지지대(10)의 슬라이더(12)는 커버(3)가 닫히면서 상기 슬라이딩 홀(21)을 따라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지지장치가 설치된 굴삭기의 보닛(1)은 상기 커버(3)를 열었을 때 상기 지지대(10)에 의해 커버(3)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지지대(10)를 고정 위치에서 해제시키면 커버(3)의 중량에 의해 커버(3)가 잠금장치(5)로 스스로 이동하여 잠기게 되어 확실하게 잠기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를 고정시키는 부품을 지지대(10)의 위치를 안내하는 레일의 형태로 설치하여 레일 없이 지지대(10)를 설치했을 때, 상기 커버(3)를 열 경우 지지대(10)를 고정위치에 고정시키거나 커버(3)를 닫을 때 지지대(10)를 고정해제시킨 후 원래의 위치에 다시 고정시키는 동작이 추가로 필요하지만, 상기 지지장치의 경우 상기 지지대(10)가 커버(3)의 움직임에 맞추어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여 커버(3)를 열고 닫을 때 지지대(10)의 조작은 커버(3)를 고정위치에서 해제시키는 동작 하나로 단순화시킬 수 있다.
1 : 보닛 2 : 본체
3 : 커버 4 : 힌지
5 : 잠금장치 10 : 지지대
11 : 고정브라켓트 12 : 슬라이더
20 : 가이드 레일 21 : 슬라이딩 홀
21a : 고정홈

Claims (3)

  1. 엔진 및 각종 부품이 수용되어 엔진룸을 이루는 본체(2)와, 이 본체(2)의 외측에 힌지(4)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2)의 엔진룸을 개폐가능하도록 된 커버(3)로 이루어진 굴삭기의 보닛에 있어서,
    상기 커버(3)의 개방시 커버(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커버(3)의 회전을 따라 회동가능한 상태로 그 일단이 커버(3)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대(10)와,
    이 지지대(10)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판면에 슬라이딩 홀(21)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일단부가 상기 본체(2)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20)을 포함하는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그 선단부에 슬라이더(12)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슬라이딩 홀(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상기 슬라이딩 홀(21)의 일측 단부에 고정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3)의 완전 개방시 상기 지지대(10)의 슬라이더(12)가 고정홈(21a)에 고정된 상태로 개방된 커버(3)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KR2020140001287U 2014-02-20 2014-02-20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KR201400026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87U KR20140002631U (ko) 2014-02-20 2014-02-20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87U KR20140002631U (ko) 2014-02-20 2014-02-20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2346A Division KR20080051385A (ko) 2006-12-05 2006-12-05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631U true KR20140002631U (ko) 2014-05-07

Family

ID=5244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287U KR20140002631U (ko) 2014-02-20 2014-02-20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6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549A (ko) * 2017-09-29 2019-04-26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건설 기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549A (ko) * 2017-09-29 2019-04-26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겡키 티에라 건설 기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948716B3 (fr) Charniere invisible avec reglage sur trois axes pour portes de meubles
US20140173989A1 (en) Sliding door
KR20100055110A (ko) 도어 힌지
RU2014134782A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створк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отставляемой в положени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приближённом к параллельному, и горизонтально перемещаемой в этом параллельно-отставленном положении
KR20140002631U (ko)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JP4890942B2 (ja) 開閉扉装置
JP6487682B2 (ja) 窓サッシ
MX2020003061A (es) Sistema para realizar el cierre y la apertura de al menos una hoja de una puerta basculante de apertura hacia el interior.
KR20140013655A (ko) 문 고정장치
KR20030002535A (ko) 도어 장치
KR20080051385A (ko)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EP2526245B1 (en) Door leaf system for closing and/or opening an entrance
WO2014178534A1 (en) A sliding device for a desk cable arrangement cover
KR101145970B1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TW200722605A (en) Anti-panic control device for doors
JP2008127803A (ja) 内倒し窓の傾斜角度調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内倒し窓
KR101492094B1 (ko) 도어 힌지
KR20110026577A (ko) 슬라이딩 도어의 퇴축장치
JP2011026023A (ja) エレベータ用制御装置
JP2015214856A (ja)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における巻取りボックス
KR20160042696A (ko) 차량용 후드힌지 장치
JP2016102384A (ja) 窓サッシ
EP2148030A8 (en) Device for blocking a shutter of a window
JP4930342B2 (ja) 窓開閉装置
CN104100185A (zh) 用于风暴避难所的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