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761A -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761A
KR20130032761A KR1020110096546A KR20110096546A KR20130032761A KR 20130032761 A KR20130032761 A KR 20130032761A KR 1020110096546 A KR1020110096546 A KR 1020110096546A KR 20110096546 A KR20110096546 A KR 20110096546A KR 20130032761 A KR20130032761 A KR 20130032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vehicle
hinge arm
fix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2761A/ko
Publication of KR2013003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pivoted at one end, and with the other end running along a guide member
    • E05C17/2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pivoted at one end, and with the other end running along a guide member with braking, clamping or securing means at the connection to the guid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10Counterbala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는, 차량 후드의 후단 양측에 각각 대응하여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후드의 후단 양측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고정 브라켓에 다른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암과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어 힌지암의 회전 위치를 다단으로 설정하며, 힌지암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 결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HOOD HING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드를 일정한 간격으로 올리게 되면, 후드가 자동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드는 엔진룸내에 설치된 많은 부품을 보호하는 덮개로서 힌지에 의해 상하로 개폐되는 앞 열림식과 뒤 열림식이 있으며, 앞 열림식은 엔진룸내의 각종 부품의 수리작업이 쉽지만 잘못하여 후드가 주행중에 열리면 위험하며 뒤 열림식은 그 반대이다.
이러한 후드는 후드패널에 설치된 스트라이커가 후드래치의 1차 잠금장치에 걸려 잠겨져 있는데, 통상 운전석부분 인스트루먼트패널 아래에 위치해 있는 당김레버로 원격 조작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당김레버를 당기면 당김레버와 연결된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스트라이커가 후드래치의 록킹레버에 의해 1차 잠김장치에서 풀리게 되고, 스트라이커가 풀리면 후드의 선단이 약간 들리면서 차체와 후드사이에 약 2-3Cm의 틈새가 발생되는데 이 틈새로 손을 집어넣어 후드를 들어 올려 개방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 후드래치에서 풀린 스트라이커는 안전을 위한 2차 잠금장치인 잠금고리에 걸려 있기 때문에 틈새로 손을 집어넣어 잠금고리의 레버를 작동시켜야만이 스트라이커가 완전히 해지되므로서 후드를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후드를 열은 이후에는 엔진룸의 선단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스테이로드를 수직 방향으로 세워서 후드를 받쳐주면 후드가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후드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스테이로드를 후드로 부터 이탈시켜 스테이로드를 원위치 시킨 후 후드를 서서히 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 후드에서 손을 떼게되면 후드의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후드가 닫혀지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작업자가 차량의 후드를 개폐할 때, 직접 스테이로드로 후드를 지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후드를 스테이로드로 지지하여 개방하기 때문에, 차량의 외관 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는 운전자가 원하는 후드의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후드가 개방 각도에 이르게 되면, 자동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는, 차량 후드의 후단 양측에 각각 대응하여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후드의 후단 양측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 다른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암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암의 회전 위치를 다단으로 설정하며, 상기 힌지암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 결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힌지암과 힌지 연결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제1 장착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 장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 사이에서 제1 장착부의 외측으로 관통하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암에 형성된 고정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암의 회전 궤적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핀과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유닛은 상기 제2 장착부의 외측에서 제1 장착부 측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고정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을 지닌 핀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핀하우징의 삽입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장착부의 내측에 지지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장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홀에 착탈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하우징은 상기 제2 장착부의 외측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중앙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관통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핀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암의 회전 궤적 상에 단일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는 운전자가 원하는 후드의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후드가 개방 각도에 이르게 되면, 자동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 후드의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차량 후드의 개방 시, 종래에 후드를 지지하던 스테이로드를 제거하므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의 위치결정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10)는 차체의 후드(1)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차량의 엔진룸 내에 배치된 엔진 및 각종 부품들의 교환 또는 정비 시, 상기 후드(1)를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하게 되며, 후드(1)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차량의 엔진실 내의 각종 부품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드(1)는 차량의 전방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10)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후드(1)를 상 방향으로 올릴 시,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10)는 운전자가 원하는 후드(1)의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후드(1)가 개방 각도에 이르게 되면, 자동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차량 후드(1)의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차량 후드(1)의 개방 시, 종래에 후드(1)를 지지하던 스테이로드를 제거하므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의 위치결정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10)는 기본적으로 고정 브라켓(100), 힌지암(200) 및 위치 결정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차량 후드(1)의 후단 양측에 각각 대응하여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제1 장착부(110)와 제2 장착부(120)를 갖는다.
상기 제1 장착부(110)는 힌지암(200)과 힌지 연결되며, 이러한 제1 장착부(110)는 차체의 후단 양측을 따라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장착부(120)는 “ㄴ” 자로 절곡된 형상을 지니며, 제1 장착부(110)와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장착부(120)는 후단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넓어지며, 제2 장착부(120) 후단에는 제2 장착부(120)를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암(200)은 후드(1)의 후단 양측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고정 브라켓(100)의 제1 장착부(110)에 다른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그 다른 일측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결정유닛(300)은 힌지암(200)의 회전 위치를 다단으로 설정하며, 힌지암(200)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고정 브라켓(100)에 장착되고, 고정핀(310)과 탄성부재(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핀(310)은 제1 장착부(110)와 제2 장착부(120) 사이에서 제1 장착부(110)의 외측으로 관통하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310)은 힌지암(200)에 형성된 고정홀(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암(200)의 회전 궤적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10)을 3 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된 것은 아니며, 3 개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핀(310)은 삽입부(311), 걸림부(313) 및 돌출부(3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부(311)는 뒤에서 설명될 핀하우징(330)의 삽입홀(3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부(311)는 삽입홀(335)에 대응하며, 삽입홀(335) 내부로 삽입이 가능한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13)는 삽입부(311)와 일체로 연결되고, 삽입부(311)보다 좀 더 큰 지름으로 상기 삽입부(31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돌출 부분이 제1 장착부(110)의 내측에 지지된다.
즉, 상기 걸림부(313)는 고정핀(310)이 제1 장착부(110)의 내측에 지지됨으로써, 제1 장착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315)는 걸림부(313)와 일체로 연결되고, 끝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장착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힌지암(200)의 고정홀(210)에 착탈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홀(210)은 제1 장착부(110)와 제2 장착부(120) 사이에 장착된 복수 개의 고정핀(310)에 대응하여 힌지암(200)의 회전 궤적상에 단일의 개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20)는 제1 장착부(110)와 제2 장착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핀(310)의 걸림부(313)로 탄발력을 발휘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320)는 고정핀(310)의 걸림부(313)로 탄발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고정핀(310)의 돌출부(315)가 힌지암(200)의 고정홀(210)에 착탈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20)는 일측 단부가 제2 장착부(120) 내측면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고정핀(310)의 걸림부(313)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결정유닛(300)은 핀하우징(3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핀하우징(330)은 제2 장착부(120)의 외측에서 제1 장착부(110) 측을 향하여 제2 장착부(120)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고정핀(310)의 삽입부(31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3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핀하우징(330)은 지지부(331)와 관통부(3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지부(331)는 제2 장착부(120)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핀하우징(330)이 제2 장착부(120)를 통과하여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333)는 제2 장착부(120)의 외측면과 맞닿는 지지부(331)의 일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부(331)의 외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통부(333)는 제2 장착부(120)를 관통한 상태로, 제1 장착부(110)와 제2 장착부(120) 사이에 위치되며,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에서 언급한바 있는 삽입홀(335)이 형성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된 핀하우징(330)은 상기 고정핀(310)의 삽입부(311)가 관통부(333)의 삽입홀(335)로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차량의 후드(1)가 폐쇄 상태일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암(200)의 고정홀(210)에 고정브라켓(100)의 제1 장착부(110) 하부에 위치되는 첫 번째 고정핀(310)의 돌출부(315)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후드(1)를 차량의 상부를 향하여 상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힌지암(200)은 상기 후드(1)와 함께 상향 회전된다.
이 때, 첫 번째 고정핀(310)의 돌출부(315)는 힌지암(200)의 고정홀(210)로부터 이탈되어 힌지암(200)과 면 접촉되면서 제2 장착부(120)를 향하여 이동됨에 따라, 첫 번째 고정핀(310)의 삽입부(311)가 핀하우징(330)의 삽입홀(335)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두 번째 고정핀(310)의 돌출부(315)는 상향 회전되는 힌지암(200)에 의해 첫 번째 고정핀(310)과 반대측에 면 접촉되면서 제2 장착부(120)를 향하여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핀하우징(330)은 고정핀(310)이 제2 장착부(120)를 향하여 이동될 경우, 핀하우징(330)의 삽입홀(335)에 고정핀(310)의 삽입부(311)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핀(310)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고정핀(3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20)는 고정핀(310)의 걸림부(313)와 제2 장착부(120)의 내측면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핀(310)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후드(1)를 계속해서 상향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암(200)의 고정홀(210)은 두 번째 고정핀(310)의 돌출부(315)에 위치된다.
그러면, 두 번째 고정핀(310)은 압축된 상태의 탄성부재(320)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부(313)가 제1 장착부(110)의 내측면을 향하여 이동되고, 동시에, 핀하우징(330)의 삽입홀(335)에 삽입되었던 두 번째 고정핀(310)의 삽입부(311)가 제1 장착부(110)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두 번째 고정핀(310)의 돌출부(315)는 힌지암(200)의 고정홀(210)로 삽입되는 바, 후드(1)는 두 번째 고정핀(310)이 설치된 위치에 고정되어 설정각도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후드(1)를 계속해서 상향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힌지암(200)도 후드(1)와 함께 상향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힌지암(200)의 고정홀(210)에 삽입되었던 두 번째 고정핀(310)의 돌출부(315)는 힌지암(200)의 고정홀(210)로부터 이탈되어 힌지암(200)과 면 접촉되면서 제2 장착부(120)를 향하여 이동됨에 따라, 두 번째 고정핀(310)의 삽입부(311)가 핀하우징(330)의 삽입홀(335)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세 번째 고정핀(310)의 돌출부(315)는 상향 회전되는 힌지암(200)에 의해 두 번째 고정핀(310)과 반대측에 면 접촉되면서 제2 장착부(120)를 향하여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고정핀(310)과 제2 장착부(120) 사이에 개재된 각 탄성부재(320)는 고정핀(310)의 걸림부(313)와 제2 장착부(120)의 내측면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고정핀(310)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후드(1)를 계속해서 상향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암(200)의 고정홀(210)은 세 번째 고정핀(310)의 돌출부(315)에 위치되며, 이 때, 세 번째 고정핀(310)의 돌출부(315)는 탄성부재(320)의 탄발력에 의해 돌출되면서 힌지암(200)의 고정홀(21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후드(1)는 엔진룸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 유닛(300)에 의해 별도의 고정 스테이로드 없이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10)는 위치 결정유닛(300)에 의해서 작업자가 원하는 차량 후드(1)의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후드(1)가 원하는 개방 각도에 이르게 되면 자동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 후드(1)의 개방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차량 후드(1)의 개방 시, 종래에 후드(1)를 지지하던 스테이로드를 제거하므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후드 10...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100...고정 브라켓 110...제1 장착부
120...제2 장착부 200...힌지암
210...고정홀 300...위치 결정유닛
310...고정핀 311...삽입부
313...걸림부 315...돌출부
320...탄성부재 330...핀하우징
331...지지부 333...관통부
335...삽입홀

Claims (3)

  1. 차량 후드의 후단 양측에 각각 대응하여 차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후드의 후단 양측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 다른 일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힌지암;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어 상기 힌지암의 회전 위치를 다단으로 설정하며, 상기 힌지암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 결정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힌지암과 힌지 연결되는 제1 장착부;
    상기 제1 장착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제2 장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 사이에서 제1 장착부의 외측으로 관통하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암에 형성된 고정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암의 회전 궤적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핀;
    상기 제1 및 제2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핀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KR1020110096546A 2011-09-23 2011-09-23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KR20130032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546A KR20130032761A (ko) 2011-09-23 2011-09-23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546A KR20130032761A (ko) 2011-09-23 2011-09-23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761A true KR20130032761A (ko) 2013-04-02

Family

ID=4843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546A KR20130032761A (ko) 2011-09-23 2011-09-23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27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0642A (zh) * 2017-06-06 2017-08-1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铰链安装工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0642A (zh) * 2017-06-06 2017-08-1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铰链安装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776B1 (ko) 힌지 장치 및 하우징
US8807626B2 (en) Linear type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US20140173989A1 (en) Sliding door
KR20210075094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20130032761A (ko)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KR200428124Y1 (ko)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
JP2010142072A (ja) 間接活線作業用具収納装置
US11913263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KR20150050805A (ko) 연료도어의 개폐구조
JP2008162382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ES2604158T3 (es) Aparato electrodoméstico con una puerta retráctil en un espacio de almacenamiento y eje de giro desplazable de una unidad de cojinete así como procedimiento para la apertura y cierre de una puerta de este tipo
KR102319117B1 (ko) 3웨이 오픈구조 자동차용 암레스트
KR100844676B1 (ko) 차량용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힌지
KR101492094B1 (ko) 도어 힌지
JP2007126837A (ja) 建設機械の扉ロック装置
JP2008155822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JP6410103B2 (ja) 電線ガイド装置
JP5416508B2 (ja) 遊技機のヒンジ装置
KR100368359B1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힌지조립체
KR20140002631U (ko) 굴삭기 보닛의 지지장치
KR20180107672A (ko) 외력에 의해 급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토록 한 안전도어
KR20010019228A (ko) 도어개폐장치
KR100368385B1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로드
JP2018038123A (ja) ワイヤハーネスの余長吸収構造
KR100410852B1 (ko) 자동차용 엔진후드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