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124Y1 -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124Y1
KR200428124Y1 KR2020060018164U KR20060018164U KR200428124Y1 KR 200428124 Y1 KR200428124 Y1 KR 200428124Y1 KR 2020060018164 U KR2020060018164 U KR 2020060018164U KR 20060018164 U KR20060018164 U KR 20060018164U KR 200428124 Y1 KR200428124 Y1 KR 200428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hinge
guide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8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1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6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12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틀에 결합되어 있는 도어 힌지의 고정대를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도어틀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와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작동프레임과, 상기 작동프레임내에 설치되며 선단은 상기 작동프레임의 안내홈에 끼워지는 롤러가 구비되고 끝단은 상기 고정대와 제 1핀으로 연결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한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회동구속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회동구속부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제 2핀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 2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고정대의 걸림턱에 걸려지며 상기 작동프레임의 회동을 구속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를 제시한다.
분리, 도어틀, 도어, 도어 힌지, 회동구속부재

Description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a door hinge}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어 힌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어 힌지의 측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힌지의 분리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 힌지 12: 고정대
14: 힌지 16: 작동프레임
20: 안내홈 24: 가이드프레임
28: 제 1핀 30: 롤러
34: 회동구속부재 36: 제 2핀
본 고안은 도어 힌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틀에 결합되어 있는 도어 힌지의 고정대를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 힌지는 도어가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를 말한다.
상기한 도어 힌지는 도어가 일측을 기점으로 해서 좌, 우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도어가 상단을 기점으로 해서 상, 하 여닫이방식(즉, 앞쪽으로 눕혀지며 출몰하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나뉘어진다.
후자에 해당하는 도어 힌지는 가전제품인 가스오븐렌지나 전자렌지 혹은 냉장고 도어 및 홈바(Home Bar)나 이외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도어 힌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힌지(310)는 도어틀(100)에 결합되는 고정대(312)와, 상기 고정대(312)와 힌지(314) 체결되며 도어(200)에 설치되는 작동프레임(316) 및 상기 작동프레임(316) 내부에 설치되며 작동프레임(316)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318)으로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도어 힌지(310)는 작동시,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를 잡고 도어(200)를 당겨주게 되면 상기 도어(200)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프레임(36)은 힌지(314)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어(200)를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도어(200)는 사용과정에서 수리나 혹은 교체등의 작업시 도어틀(100)에서 떼어낼 필요가 있으며, 이때에는 도어 힌지(310)의 고정대(312)를 도어틀(100)에서 분리시킴으로서 도어(200)를 도어틀(100)에서 떼어낼 수 있다. 이때 도어 힌지(310)의 고정대(312)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프레임(318) 내부에 별도의 공구(320)를 끼워넣어 작동프레임(316)이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어(200)를 들어올려 고정대(312)를 도어틀(100)에서 분리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분리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는 항시 공구(320)를 휴대하고 있어야 함으로서, 작업에 많은 번거로움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 작동프레임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구속부재를 설치하여 도어 힌지의 고정대를 도어틀에서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도어틀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와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작동프레임과, 상기 작동프레임내에 설치되며 선단은 상기 작동프레임의 안내홈에 끼워지는 롤러가 구비되고 끝단은 상기 고정대와 제 1핀으로 연결되는 가이드프레임으로 구성한 도 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회동구속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회동구속부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제 2핀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 2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고정대의 걸림턱에 걸려지며 상기 작동프레임의 회동을 구속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를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힌지(10)는 고정대(12)와, 작동프레임(16)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고정대(12)는 도어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단부에는 체결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3)는 도어틀(100)에 삽입되어 고정대(12)를 도어틀(100)에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대(12),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대(12)의 체결부(13) 뒤쪽에는 걸림턱(12a)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2a)에는 후술하는 회동구속부재(34)의 단부가 걸려지게 된다.
상기 작동프레임(16)은 도어(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대(12)와 힌지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도어(200)를 개폐시키는 프레임이다. 상기 작동프레임(16)은 "ㄷ"단면 구조로 전방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18)가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작동프레임(16)의 양측면에는 안내홈(2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안내 홈(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소정각도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20)에는 후술하는 가이드프레임(24)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30)가 끼워진다.
상기 작동프레임(16)의 내부에는 가이드프레임(24)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4)은 "ㄷ"단면 구조로 전방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부(26)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4)의 끝단은 전술한 고정대(12)와 제 1핀(28)으로 체결되고, 그 선단은 롤러(30)가 수평으로 관통 설치된다. 상기 롤러(30)는 전술한 작동프레임(16)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20)에 끼워지며 가이드프레임(24)의 회동에 따라 상기 안내홈(20)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24)은 작동프레임(16)이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제 1핀(28)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안내홈(20)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30)를 통해 작동프레임(16)의 회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작동프레임(16)의 내부에는 스프링(32)이 내설된다. 상기 스프링(32)은 일단은 작동프레임(16)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핀(22)에 걸려지고, 그 타단은 전술한 가이드프레임(24)의 롤러(30)에 걸려지며 상기 작동프레임(16)과 가이드프레임(24)을 탄력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24)의 내부에는 회동구속부재(34)가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동구속부재(34)의 끝단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4)과 제 2핀(36)으로 체결된다. 상기 회동구속부재(34)는 가이드프레임(24)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핀(36)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전술한 고정대(12)의 걸림턱(12a)에 걸려지며 작동프레임(16)의 회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프레임(16)의 회동을 구속하는 이유는 도어(200)의 교체 혹은 수리등의 작업시, 도어 힌지(10)를 도어틀(100)에서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바,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의 작용 설명란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의 작용을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어(200)의 수리나 혹은 교체등의 작업을 위해 도어틀(100)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200)를 떼어내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도어(200)를 일정각도로 개방시키게 되면 작동프레임(16)은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가이드프레임(24)은 제 1핀(28)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작동프레임(16)의 안내홈(20)에 끼워져 있는 롤러(30)를 통해 작동프레임(16)의 회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30)가 안내홈(20)의 끝단까지 이동하면 작동프레임(16)은 더 이상 회동하지 않게 된다.
이후, 도 4b에서와 같이 가이드프레임(24)에 삽입되어 있는 회동구속부재(34)를 잡아당겨 제 2핀(36)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구속부재(34)는 고정대(12)의 걸림턱(12a)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회동구속부재(34)가 고정대(12)의 걸림턱(12a)에 걸려지게 되면 가이드프레임(24)은 회동이 구속되어 접혀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프레임(24)과 롤러(30)로 연결되어 있는 작동프레임(16)은 회동을 구속받아 고정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작동프레임(16)을 회동구속부재(34)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4c에서와 같이 도어(200)를 잡고 위쪽으로 들어주게 되면 작동프레임(16)은 상기 도어(200)와 함께 들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프레임(16)과 힌지(14) 체결된 고정대(12) 역시 상기 힌지(14)를 중심으로 들려지게 됨으로서 고정대(12)의 체결부(13)는 도어틀(100)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며, 이후 도 4d에서와 같이 도어(200)를 앞쪽으로 당겨주게 되면 고정대(12)의 체결부(13)는 도어틀(100)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됨으로서 도어 힌지(10)를 간편히 분리시켜 도어(200)를 도어틀(100)에서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이드프레임의 내부에 작동프레임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동구속부재를 설치하여 도어 힌지의 고정대를 도어틀에서 간편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수리나 혹은 교체작업시 도어틀에서 도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떼어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도어틀(100)에 설치되는 고정대(12)와, 도어(200)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대(12)와 힌지(14)로 체결되어 상기 도어(200)를 개폐시키는 작동프레임(16)과, 상기 작동프레임(16)내에 설치되며 선단은 상기 작동프레임(16)의 안내홈(20)에 끼워지는 롤러(30)가 구비되고 끝단은 상기 고정대(12)와 제 1핀(28)으로 연결되는 가이드프레임(24)으로 구성한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24)에는 회동구속부재(34)가 삽입되며, 상기 회동구속부재(34)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4)과 제 2핀(36)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 2핀(36)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고정대(12)의 걸림턱(12a)에 걸려지며 상기 작동프레임(16)의 회동을 구속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
KR2020060018164U 2006-07-05 2006-07-05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 KR200428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64U KR200428124Y1 (ko) 2006-07-05 2006-07-05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64U KR200428124Y1 (ko) 2006-07-05 2006-07-05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124Y1 true KR200428124Y1 (ko) 2006-10-09

Family

ID=4929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164U KR200428124Y1 (ko) 2006-07-05 2006-07-05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12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245B1 (ko) 2012-12-26 2014-11-21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150015150A (ko) 2013-07-31 2015-02-10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170108482A (ko) 2016-03-18 2017-09-27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WO2017213317A1 (ko) * 2016-06-10 2017-12-14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180112955A (ko) 2017-04-05 2018-10-15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WO2019139262A1 (ko) * 2018-01-12 2019-07-18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오븐용 도어 힌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245B1 (ko) 2012-12-26 2014-11-21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150015150A (ko) 2013-07-31 2015-02-10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170108482A (ko) 2016-03-18 2017-09-27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WO2017213317A1 (ko) * 2016-06-10 2017-12-14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US10641027B2 (en) 2016-06-10 2020-05-05 Seo Won Korea Co., Ltd. Door hinge
KR20180112955A (ko) 2017-04-05 2018-10-15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WO2019139262A1 (ko) * 2018-01-12 2019-07-18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오븐용 도어 힌지
KR102002244B1 (ko) * 2018-01-12 2019-07-19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오븐용 도어 힌지
CN111344470A (zh) * 2018-01-12 2020-06-26 偦元韩国株式会社 烤箱用门铰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124Y1 (ko) 분리작업이 용이한 도어 힌지
US9169680B2 (en) Door hinge for heavy equipment
EP1652992A3 (en) Drum washing machine having foldable door
KR200391333Y1 (ko) 도어 힌지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JP2015200135A (ja) 引手及び引戸
EP311993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00246U (ko) 리프팅창호의 잠금장치
JP3140610U (ja) 電気機器収納箱用蝶番構造
CN106522857B (zh) 一种新型液压安全吊卡
KR101565984B1 (ko) 글로브박스의 힌지장치
JP3124778U (ja) 扉開錠具
US11210904B2 (en) Game machine with controllable opening angle
JP5289886B2 (ja) キャビネットの開閉扉の取付構造
JP2005254387A (ja) 棒材供給機の開閉カバー
CN211598351U (zh) 一种新型活叶防盗门
KR101250689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KR100593616B1 (ko) 도어개폐장치
JP2005041563A (ja) 蓋の取り付け構造
KR101074865B1 (ko) 항온항습기의 제어판 개폐장치
KR20180107672A (ko) 외력에 의해 급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토록 한 안전도어
JP5123791B2 (ja) コネクタ装置
KR20200096894A (ko) 여닫이문
JP4963298B2 (ja) キーボードの収納に適した開閉式収納装置
KR20130032761A (ko) 차량용 후드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