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503A -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503A
KR20130114503A KR1020120036930A KR20120036930A KR20130114503A KR 20130114503 A KR20130114503 A KR 20130114503A KR 1020120036930 A KR1020120036930 A KR 1020120036930A KR 20120036930 A KR20120036930 A KR 20120036930A KR 20130114503 A KR20130114503 A KR 20130114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upper rail
slide doo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102012003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503A/ko
Publication of KR2013011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03Anti-drop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는 형식의 각종 수납장을 비롯한 가구 등의 슬라이드 도어를 레일을 따라 밀착시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납장 본체(100), 수납장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도어(200), 상기 슬라이드 도어(200)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는 상부레일(300)과 하부레일, 상기 슬라이드 도어(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납장 본체(100)측 상부레일(300)에 결합 되어 도어(200)를 상부레일(300) 장착하는 롤러블럭(500)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수납장 본체(100)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도어(200)의 상부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레일(300)과, 상기 상부레일(300)에 형성된 슬라이딩 트랙(310)과, 상기 슬라이딩 트랙(310)에 밀착시켜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롤러(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롤러블럭(500)과, 상기 롤러블럭(500)과 상부레일(300)에 구성되어 도어(200)를 상부레일(300)에 장착하고 도어(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INSTALLATION DEVICE FOR SLIDE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는 형식의 각종 수납장을 비롯한 가구 등의 슬라이드 도어를 레일을 따라 밀착시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물건을 넣어서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성하고 전면부에는 수납공간을 가리기 위한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다.
수납장은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 그리고 양측면을 벽체에 직접 형성한 매입형 또는 상판과 하판 및 측판 패널을 조합하여 제작된다.
수납공간을 벽에 직접 시공하는 매입형 붙박이장이 알려져 있으며 벽체와는 별도로 벽체 전면에 밀착하여 사용하는 수납장으로 알려져 있다.
어느 것이나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설치하는데 도어의 설치 형식은 슬라이드 도어 형식과 미닫이 도어 형식 등이 대표적이다.
슬라이드 도어 형식은 옆으로 밀거나 당겨서 평면적으로 도어를 여닫는 형식으로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미닫이 형식의 도어에 비해 개폐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으며 롤러를 장착하면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롤러를 장착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도어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장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를 설치하고 그 상하부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롤러를 도어에 장착한 상태에서 롤러를 레일에 안착하여 도어가 레일을 따라 여닫힐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슬라이드 도어 개폐형식의 수납장 본체(10)의 배치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슬라이드 도어(20)가 장착된 수납장 본체(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납공간(11)이 형성된 수납장 본체(10)의 전면에 슬라이드 도어(20)를 설치한 예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도어(20)는 외측 도어(20a)와 내측 도어(20b)로 구분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도어(2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상부레일(30)과 하부레일(40)에 안착 되어 설치된다.
슬라이드 도어(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슬라이드 도어(20)를 장착하기 위한 상부레일(30)과 하부레일(40)에 결합 되는 롤러(50) 및 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다.
도 3의 (a)는 수납장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레일(30)이고, (b)는 수납장 본체(10)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레일(40)이다. 상부 및 하부레일(30)(40)에는 도어(20)에 장착되는 롤러(50) 및 브라켓를 안착하여 구름 운동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슬라이드 도어(20)를 수납장 본체(10)에 설치된 상부 및 하부레일(30)(40)을 따라 설치하는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의 (a)와 같이 도어(20)의 하부에 장착된 롤러(미도시) 및 브라켓(미도시)을 하부레일(40)에 끼워넣어 넣기 위하여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에서 수납장 본체(10)의 하부레일(40)에 도어(20)의 하부측 롤러 및 브라켓을 결합한다.
도어(20)의 하부측이 하부레일(40)에 결합 되면 도 4의 (b)와 같이 도어(20)의 상부측 롤러(50) 및 브라켓을 상부레일(30)에 결합 되도록 밀어넣는다.
도 4의 (c)는 도어(20)의 상부와 하부가 상부레일(30)과 하부레일(40)을 따라 장착된 도어의 설치 완료 상태이다.
이와 같이 수납장 본체(10)에 설치된 상부레일(30)과 하부레일(40)을 따라 롤러(50) 및 브라켓이 장착된 도어(20)를 설치할 때 도어(20)를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에서 롤러 및 브라켓을 상부레일(30)과 하부레일(40)을 따라 장착한다.
도어(20)는 롤러(50) 및 브라켓을 통해 수납장 본체(10)의 상부와 하부레일(30)(40)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롤러(50)는 상부레일(3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나 록킹장치 등을 통해 상부레일(3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롤러(50)를 상부레일(30)을 따라 자유롭게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롤러의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롤러(50)를 상부레일(30)에 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까다롭다. 따라서, 작업성과 시공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도어를 구름 운동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에 장착하는 롤러를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롤러의 이탈을 비교적 간결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도어의 롤러를 레일에 설치하는 작업성과 시공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에 장착하는 롤러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는,
수납장 본체, 수납장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도어,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는 상부레일과 하부레일,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납장 본체측 상부레일에 결합 되어 도어를 상부레일에 장착하는 롤러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 본체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에 형성된 슬라이딩 트랙과,
상기 슬라이딩 트랙에 밀착시켜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롤러블럭과,
상기 롤러블럭과 상부레일에 구성되어 도어를 상부레일에 장착하고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에는 롤러블럭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벽면 상에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그 가이드홈에는 가이드트랙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트랙은 롤러블럭의 롤러와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롤러의 외경 단면에 대응되는 둥근 반원형 단면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블럭은,
상기 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전축이 장착되고 롤러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용 장공이 형성된 롤러플레이트와,
상기 롤러플레이트를 결합하여 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롤러브라켓과,
상기 롤러브라켓에 고정되어 롤러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배면을 갖는 롤러 높이조절용 헤드 및 그 헤드에 나사 결합 되어 피치 이동에 따라 헤드를 직선 운동시키는 높이조절나사와,
상기 상부레일에 설치된 가이드트랙을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돌설된 가이드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롤러플레이트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으로 결합 되는 스토퍼헤드와,
상기 스토퍼헤드로부터 연장되어 상부레일의 슬라이딩트랙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턱이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를 슬라이딩트랙에 걸리도록 하고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스토퍼헤드에 형성된 장공 및 그 장공을 관통하여 롤러플레이트에 결합 되어 스토퍼의 위치를 장공의 구멍 영역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위치 결정하는 위치조절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에는 내측도어와 외측도어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내외측에 각각 슬라이딩트랙을 구비하고, 수직벽면에는 가이드트랙을 각각 결합하여 내외측 도어에 장착된 롤러블럭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내외측 가이드홈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도어를 구름 운동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에 장착하는 롤러를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롤러의 이탈을 비교적 간결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슬라이드 도어 시공 설치에 따른 시공성을 개선하고 슬라이드 도어의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를 수납장 본체에 장착하는데 있어서 롤러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하여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시공 전후 등 롤러의 위치 조정이 필요할 경우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납장 설치 및 시공 상태 설명도.
도 2는 도 1의 수납장 전면에 슬라이드 도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슬라이드 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레일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상부레일, (b)는 하부레일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슬라이드 도어를 수납장 본체에 결합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a)는 슬라이드 도어의 초기 결합 상태, (b)는 슬라이드 도어의 중간 결합 상태, (c)는 슬라이드 도어의 결합 종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시공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럭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장착상태, (b)는 롤러블럭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및 롤러블럭 장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내측 도어, (b)는 외측 도어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럭의 높이조절상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럭의 이탈방지장치 상세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외측 도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측 도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측 도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측 도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의 시공 설명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럭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장착상태, (b)는 롤러블럭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및 롤러블럭 장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내측 도어, (b)는 외측 도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럭의 높이조절상태 설명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롤러블럭의 이탈방지장치 상세 설명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외측 도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측 도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측 도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외측 도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의 주요 부분은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도어(200)를 수납장 본체(100)측에 설치된 상부레일(300)을 따라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도어(200)의 작동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납장 본체(100)의 수납공간(110)을 개폐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슬라이드 도어(200)는 수납공간(110)을 형성하는 수납장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도어(200)의 상부와 하부는 상부레일(300)과 하부레일을 통해 수납장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 된다. 여기서, 하부레일은 수납장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고 또한 슬라이드 도어(200)를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 레일이다. 다양한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레일에 관한 구체적인 구조 및 작동은 생략되었다.
그리고, 슬라이드 도어(2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수납장 본체(100)측 상부레일(300)과 결합 되고 이를 통해 도어(200)를 상부레일(300)에 장착하는 롤러블럭(500)이 구성된다.
그리고, 수납장 본체(100)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도어(200)의 상부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상부레일(300)에는 슬라이딩 트랙(31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블럭(500)은 롤러(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그 롤러(510)가 슬라이딩 트랙(310)에 밀착되어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레일(300)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롤러블럭(500)은 상부레일(300)과 이탈방지수단을 통해 결합 되며 이탈방지수단은 도어(200)를 상부레일(300)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하고 도어(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부레일(300)에는 롤러블럭(50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벽면 상에 가이드홈(320)을 구비하며 그 가이드홈(320)에는 가이드트랙(330)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가이드트랙(330)은 롤러블럭(500)으로부터 돌설된 가이드핀(590)을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여 롤러블럭(500)의 이동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또한, 상부레일(300)에 구성된 슬라이딩 트랙(310)은 롤러블럭(500)의 롤러(510)와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롤러(510)의 외경 단면에 대응되는 둥근 반원형 단면 홈(340)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둥근 반원형 단면홈(340)은 도 10 내지 도 13에 비교적으로 나타나 있다. 아랫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표면이 둥근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홈이 파여진 형상의 롤러(510)가 밀착되도록 한 것과 이와 반대로 상부 방향으로 파여진 홈을 형성하여 둥근 표면을 갖는 롤러(510)가 밀착되도록 한 것 등을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롤러블럭(5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롤러(510)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전축(520)이 장착되고 롤러(500)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는 여러 개의 위치 조절용 장공(530)이 형성된 롤러플레이트(540)가 구성된다. 롤러플레이트(540)에 형성된 장공(530)은 피봇(530a)에 의해 롤러브라켓(550)과 결합 되고, 롤러브라켓(550)은 롤러플레이트(540)를 결합하여 도어(200)의 상부에 결합 된다.
그리고, 롤러브라켓(550)에는 롤러플레이트(540)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배면(560)을 갖는 롤러 높이조절용 헤드(570) 및 그 헤드(570)에 나사 결합 되어 피치 이동에 따라 헤드(570)를 직선 운동시키는 높이조절나사(580)가 설치되고, 상부레일(300)에 설치된 가이드트랙(33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핀(590)이 돌설된다.
또한, 이탈방지수단은,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 트랙(310)을 따라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도어(200)가 상부레일(3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탈방지수단은, 롤러플레이트(54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600)으로 결합 되는 스토퍼헤드(610)와, 스토퍼헤드(610)로부터 연장되어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트랙(310)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턱(620)이 형성된 스토퍼(630)와, 스토퍼(630)를 슬라이딩트랙(310)에 걸리도록 하고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스토퍼헤드(610)에 형성된 장공(640) 및 그 장공(640)을 관통하여 롤러플레이트(540)에 결합 되어 스토퍼(630)의 위치를 장공(640)의 구멍 영역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위치 결정하는 위치조절나사(650)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레일(300)에는 내측도어(200a)와 외측도어(200b)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내외측에 각각 슬라이딩트랙(310)을 구비하고, 수직벽면에는 가이드트랙(330)을 각각 결합하여 내외측 도어(200a)(200b)에 장착된 롤러블럭(5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내외측 가이드홈(320)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700은 외측 도어(200b)를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 트랙(310) 상부에 롤러(510)을 밀착하여 결합시키기 위하여 내측 도어(200a)와 롤러블럭(500)을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롤러블럭 설치용 브라켓'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롤러(510)가 설치된 롤러블럭(500)은 도어(200)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 트랙(310)에 롤러(510)가 밀착되어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슬라이드 도어(200)에 장착된 롤러블럭(500)은 상부레일(300)을 따라 구름 운동되면서 슬라이드 도어(200)의 여닫힘을 부드럽게 유도한다.
이와같이 슬라이드 도어(200)는 상부레일(300)에 롤러블럭(500)을 통해 장착된다. 롤러블럭(500)이 상부레일(300)로부터 이탈되면 도어(200)의 이탈 현상이 나타난다.
상부레일(300)로부터 도어(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탈방지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롤러블럭(500)에 이탈방지수단을 설치하여 상부레일(300)을 따르는 도어(200)의 슬라이드 이동과 동시에 도어(200)가 상부레일(3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를 위하여 롤러블럭(500)에는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헤드(610)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헤드(610)는 상부레일(300)에 결합 가능하고 결합이 완료되면 슬라이딩 트랙(310)을 중심으로 스토퍼(630)의 걸림턱(620)이 슬라이딩 트랙(310)의 안쪽 방향으로 걸리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통해 스토퍼헤드(610)가 슬라이딩 트랙(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스토퍼헤드(610)가 슬라이딩 트랙(310)에 걸려 있는 상태는 롤러블럭(500)을 통한 도어(200)의 설치 완료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부레일(300)을 따르는 수평방향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하고 도어(200)를 기준으로 전후 회전 방향으로는 도어(2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도어(200)를 상부레일(300) 상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시킨다.
스토퍼헤드(610)는 롤러플레이트(54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600)으로 결합 되어 있어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 트랙(310)을 중심으로 장착할 때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스토퍼(630)의 걸림턱(620)이 슬라이딩 트랙(310)에 걸리지 않고 안쪽 방향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밀어 넣어 상부레일(300)에 간단히 밀어 넣을 수 있다.
스토퍼헤드(610)에는 장공(640)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600)을 중심으로 스토퍼(630)가 장공(640)의 구멍 영역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스토퍼헤드(610)를 회전시켜 스토퍼(630)의 걸림턱(620)이 슬라이딩 트랙(310)을 통과하여 안쪽 방향에 놓이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걸림턱(620)이 완전히 슬라이딩 트랙(310)에 걸렸는지를 확인 한 후 위치조절나사(650)를 조여서 스토퍼(630)가 슬라이딩 트랙(3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정착시켜 도어(200)에 장착된 롤러블럭(500)을 상부레일(300)을 따라 설치를 완료한다.
이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는, 도어(200)를 상부레일(300)을 따라 설치하는 과정에서 롤러블럭(500)의 구름 운동을 통해 도어(200)의 부드러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별도의 부속장치 추가 없이 도어(200)가 상부레일(300)로부터 빠져나와 전면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도어(200)를 수납장 본체(100)측에 설치된 상부레일(300)을 따라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도어(200)의 작동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롤러(5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롤러(510)의 높이는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 트랙(310)과 접촉하는 롤러(510)의 접촉 마찰력과 관련된다.
즉,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 트랙(310)과 접촉하는 롤러(510)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슬라이딩 트랙(310)과 접촉하는 롤러(510)의 마찰력이 증가 되어 도어(200)의 개폐 작동이 원할 하지 않으며 작동 장애를 일으킨다.
이러한 현상은 롤러블럭(500)을 도어(200)에 설치하는 과정, 또는 설치 완료 후 롤러(500)의 위치 및 도어(200)의 변형 등에 의해 발생된다.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 트랙(310)과 접촉하는 롤러(510)의 구름이 원할 하지 않거나 작동 중 마찰소음 등이 발생되면, 높이조절용 헤드(570)에 설치된 높이조절나사(580)를 돌리면 높이조절용 헤드(570)가 직선 이동하면서 그 변위만큼 롤러(500)를 고정하고 있는 롤러플레이트(54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롤러플레이트(540)는 롤러브라켓(550)과 피봇(530a)을 축으로 장공(530)을 통해 결합 되어 있으므로 높이조절나사(580)를 회전시키면 높이조절용 헤드(570)를 움직여서 롤러플레이트(540)의 높이 변화를 유도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조절용 헤드(570)는 구배면(560)을 갖고 있어 높이조절용 헤드(570)의 직선 이동량은 롤러플레이트(540)에 전달되고 연속적으로 롤러플레이트(540)는 피봇(530a)으로 결합된 장공(530)의 구멍 영역 범위 내에서 위로 움직이거나 밑으로 움직이며 결과적으로 높이조절나사(580)를 회전시키면 여기에 결합된 롤러(510)의 높이에 변화가 발생 된다.
이와 같이 롤러블럭(500)의 설치 전 후 과정에서 발생 되는 롤러(510)의 작동불량이 나타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조절나사(580)를 드라이버(710)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롤러(510)의 높이 변화를 유도함으로서 롤러(510)의 구름 운동을 원할 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부레일(300)에는 롤러블럭(50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벽면 상에 가이드홈(320)과 가이드트랙(330)이 설치되어 있어 롤러블럭(500)으로부터 돌설된 가이드핀(59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서 롤러블럭(500)의 이동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상부레일(300)에 구성된 슬라이딩 트랙(310)은 롤러블럭(500)의 롤러(510)와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롤러(510)의 외경 단면에 대응되는 둥근 반원형 단면 홈(340)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롤러(510)의 슬라이딩 트랙(310)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도어(200)의 궤도 이탈이나 흔들림 유동을 방지한다.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 트랙(310)에 형성하는 둥근 반원형 단면홈(340)은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아래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래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표면이 둥근 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홈으로 파여진 롤러(510)가 밀착되도록 한 것과 이와 반대로 상부 방향으로 파여진 홈을 형성하여 둥근 표면을 갖는 롤러(510)가 밀착되도록 한 것 등을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다.
상부레일(300)은 내측도어(200a)와 외측도어(200b)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내외측에 각각 슬라이딩 트랙(310)을 구비하여 대응되는 롤러블럭(500)을 각각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고 수직벽면을 따라 가이드트랙(330)을 각각 결합하여 내외측 도어(200a)(200b)에 장착된 각각의 롤러블럭(500)의 이동을 흔들림 없이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수납장본체
200: 슬라이드도어
300: 상부레일
310: 슬라이딩트랙
320: 가이드레일
330: 가이드트랙
340: 둥근반원형단면홈
500: 롤러블럭
510: 롤러
520: 회전축
530: 장공
540: 롤러플레이트
550: 롤러브라켓
560: 구배면
570: 높이조절용헤드
580: 높이조절나사
590: 가이드핀
600: 회전축
610: 스토퍼헤드
620: 걸림턱
630: 스토퍼
640: 장공
650: 위치조절나사

Claims (6)

  1. 수납장 본체(100), 수납장 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도어(200), 상기 슬라이드 도어(200)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는 상부레일(300)과 하부레일, 상기 슬라이드 도어(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납장 본체(100)측 상부레일(300)에 결합 되어 도어(200)를 상부레일(300) 장착하는 롤러블럭(500)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에 있어서,
    수납장 본체(100)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도어(200)의 상부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레일(300)과,
    상기 상부레일(300)에 형성된 슬라이딩 트랙(310)과,
    상기 슬라이딩 트랙(310)에 밀착시켜 도어(2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하여 롤러(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롤러블럭(500)과,
    상기 롤러블럭(500)과 상부레일(300)에 구성되어 도어(200)를 상부레일(300)에 장착하고 도어(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300)에는 롤러블럭(50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벽면 상에 가이드홈(320)을 구비하며 그 가이드홈(320)에는 가이드트랙(330)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트랙(310)은 롤러블럭(500)의 롤러(510)와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롤러(510)의 외경 단면에 대응되는 둥근 반원형 단면 홈(3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블럭(500)은,
    상기 롤러(510)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회전축(520)이 장착되고 롤러(500)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용 장공(530)이 형성된 롤러플레이트(540)와,
    상기 롤러플레이트(540)를 결합하여 도어(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롤러브라켓(550)과,
    상기 롤러브라켓(550)에 고정되어 롤러플레이트(540)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배면(560)을 갖는 롤러 높이조절용 헤드(570) 및 그 헤드(570)에 나사 결합 되어 피치 이동에 따라 헤드(570)를 직선 운동시키는 높이조절나사(580)와,
    상기 상부레일(300)에 설치된 가이드트랙(330)을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돌설된 가이드핀(5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롤러플레이트(54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600)으로 결합 되는 스토퍼헤드(610)와,
    상기 스토퍼헤드(610)로부터 연장되어 상부레일(300)의 슬라이딩트랙(310)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턱(620)이 형성된 스토퍼(630)와,
    상기 스토퍼(630)를 슬라이딩트랙(310)에 걸리도록 하고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스토퍼헤드(610)에 형성된 장공(640) 및 그 장공(640)을 관통하여 롤러플레이트(540)에 결합 되어 스토퍼(630)의 위치를 장공(640)의 구멍 영역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위치 결정하는 위치조절나사(6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300)에는 내측도어(200a)와 외측도어(200b)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하여 내외측에 각각 슬라이딩트랙(310)을 구비하고, 수직벽면에는 가이드트랙(330)을 각각 결합하여 내외측 도어(200a)(200b)에 장착된 롤러블럭(5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내외측 가이드홈(320)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KR1020120036930A 2012-04-09 2012-04-09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KR20130114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30A KR20130114503A (ko) 2012-04-09 2012-04-09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30A KR20130114503A (ko) 2012-04-09 2012-04-09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03A true KR20130114503A (ko) 2013-10-17

Family

ID=4963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930A KR20130114503A (ko) 2012-04-09 2012-04-09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5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998A (ko) 2015-09-01 2017-03-09 윤종석 욕실장용 롤러 브래킷과 프레임의 조립장치
KR20170029543A (ko) * 2014-07-07 2017-03-15 헤티히-하인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 피팅
EP3859109A1 (en) * 2020-02-03 2021-08-04 Goppion S.p.A. Museum showcase with a guide system for a sliding do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543A (ko) * 2014-07-07 2017-03-15 헤티히-하인츠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슬라이딩 도어를 위한 피팅
KR20170026998A (ko) 2015-09-01 2017-03-09 윤종석 욕실장용 롤러 브래킷과 프레임의 조립장치
EP3859109A1 (en) * 2020-02-03 2021-08-04 Goppion S.p.A. Museum showcase with a guide system for a sliding door
US11478088B2 (en) 2020-02-03 2022-10-25 Goppion S.P.A. Museum showcase with a guide system for a sliding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7502B2 (ja) 収納式折戸装置
US8375645B2 (en) Sliding door device
KR101698176B1 (ko) 결합된 운동을 할 수 있는 코플래너 도어의 개방 기구
JP2013514468A (ja) 引き戸のための案内レールを有する走行装置
EP2924212A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2637080A1 (en) Sliding door with lateral sealing movement
KR20100122459A (ko) 연장식 풀아웃 요소를 구비한 찬장 유닛
KR20140050276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KR20130114503A (ko)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
RU2674000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JP5004246B2 (ja) アウトスライドドア機構
KR102160790B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가이드 안전 장치
JP2008248654A (ja) 引き戸用扉体案内装置
KR100753579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101940147B1 (ko) 댐퍼 노출형 슬라이딩 도어 설치구조
KR101145970B1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KR101829872B1 (ko) 미닫이 도어 닫힘장치
KR20130003959U (ko)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KR102340129B1 (ko) 턴/틸트 창호시스템
KR20044787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장치
CN104929488A (zh) 门窗扇及门窗
KR20190138988A (ko) 3중 슬라이딩 연동 도어의 하부롤러 어셈블리
JP2004108007A (ja) 連動式吊戸装置
KR200489994Y1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