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994Y1 -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994Y1
KR200489994Y1 KR2020170006342U KR20170006342U KR200489994Y1 KR 200489994 Y1 KR200489994 Y1 KR 200489994Y1 KR 2020170006342 U KR2020170006342 U KR 2020170006342U KR 20170006342 U KR20170006342 U KR 20170006342U KR 200489994 Y1 KR200489994 Y1 KR 200489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ller
housing
support plat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469U (ko
Inventor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현 filed Critical 유상현
Priority to KR2020170006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99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9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05D15/067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by vertical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05Y2201/718Bevelled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도어의 하단 적소에 형성된 수용홈에 체결 고정되는 하우징 지지판과, 하부에는 문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 하는 롤러가, 상부에는 나사봉이 형성되어 하우징 지지판으로부터 이탈 없이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하우징과, 롤러 하우징의 나사봉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피동부재와, 회전축을 가지고 피동부재와 치합되며 회전축의 단부가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태로 하우징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피동부재와 연동으로 롤러 하우징을 수직 이동시키는 가동부재와, 하우징 지지판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롤러 하우징 및 가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회전축의 단부가 도어의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일측 면에 회전축과 동일 선상으로 노출홀을 가지는 커버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어와 문틀과의 마찰소음이 발생하거나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할 경우, 롤러의 높낮이를 도어의 측면에서 간편하면서도 신속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The height control structure of roller for sliding door}
본 고안은 예컨대, 옷장이나 이불장 등과 같은 장롱이나 붙박이장 등의 미닫이식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 개폐시 문틀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가 소음 없이 부드럽게 여닫히도록 유도하여 주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과정 중 도어가 문틀의 레일로부터 이탈 없이 안전하게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레일에 대해 롤러의 설치 높이가 부정확한 경우에 그 롤러의 높낮이를 도어의 측면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장이나 이불장 등과 같은 장롱이나 붙박이장 등에는 여닫이식 보다 도어의 개폐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개폐동작의 원활함을 위해서 미닫이식 도어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미닫이식 도어에는 장롱 및 붙박이장 등의 문틀에 설치되는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개폐동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용 호차가 설치되는 바, 상기 도어용 호차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감싸면서 이를 회전되게 하여주는 하우징 및 도어에 고정되도록 하여 주는 고정수단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어의 저면에 설치되는 호차의 롤러가 상기 문틀에 설치되는 레일 상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미닫이식 도어를 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도어용 호차는 도어의 개폐과정 중에 롤러가 문틀 등에 설치된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해서는 레일이 수평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해야 함은 물론 도어에 설치된 롤러의 높낮이가 적정하게 위치되어야 만이 도어의 하부 면이 상기 문틀과 마찰을 일으키거나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미닫이식 도어용 호차는, 미닫이 도어에 롤러의 높낮이를 적정위치로 정확하게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 중 레일에 이물질이 증착되거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 레일의 수평상태, 즉 레일의 높낮이가 변화될 경우에 롤러와 레일 간에 심한 마찰이 발생되어 소음발생을 유발하고, 아울러 롤러가 레일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아닌 마찰이동 또는 이격이동을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어렵게 되며, 특히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하여 도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미닫이식 도어의 이탈 방지와 함께 문틀과의 마찰방지를 위해 도어에 설치되는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도어가 레일 상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동작을 하여 개폐되도록 유도하여 주는 도어용 호차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용 호차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745호(2016. 05. 24. 공개)의 명세서에는 도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구성된 미닫이 도어용 호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종래의 기술 구성에 있어서는, 상단부에 폭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전방향으로 돌출된 파지편이, 그 파지편의 중앙 및 양측에 연장 돌출된 지지돌기와 파지돌기를 가지고 도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밀착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지지돌기 및 파지돌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눌림편과 파지봉이 전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에 대해 탄력적으로 상하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밀착 결합되는 이동판; 상기 고정판의 지지돌기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눌림편과는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이동판의 상하 수직이동을 탄성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재; 상기 고정판의 파지돌기와 상기 이동판의 파지봉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판이 탄성적으로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판의 상단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구본체의 상부 및 하부 레일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어의 설치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를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재의 나사부가 상기 고정판의 지지돌기를 따라 수직상향 또는 수직하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수직상향 또는 수직하향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판 역시 상기 고정판의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수직하향 또는 수직상향으로 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이에 결합된 롤러가 문틀의 레일에 끼워져 도어의 높이가 안정되게 조절이 되고, 이것에 의해 도어의 상부 틈새 발생 및 문틀과의 마찰 없이 상기 롤러가 레일 상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문틀의 레일에 대해 롤러의 설치 높이가 높아 도어와 문틀과의 마찰소음이 발생하거나 또는 도어의 상부 틈새 발생으로 도어의 슬라이딩 개폐동작에 문제가 있을 경우, 미닫이 도어의 하부 양쪽에 각각 설치된 조절부재의 나사부를 회전시켜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해 주는 이점은 있으나, 도어의 양측에 설치된 호차들의 조절부재가 도어의 안쪽에 위치 해 있으므로 롤러의 높낮이, 즉 도어의 높낮이 조절 때 도어의 안쪽, 즉 가구의 안쪽으로 머리를 넣은 상태에서 도어 하부의 일측에 설치된 호차의 높낮이를 먼저 조절해 준 다음 다른 쪽에 설치된 호차의 높낮이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절해 주어야 하므로 도어의 높낮이 조절에 상당한 불편함이 야기되었고, 또한, 롤러의 높낮이 조절 때, 도어의 상부 틈새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먼저, 롤러의 높낮이를 한번 조절한 다음 도어의 상부 틈새 발생 여부를 다시 육안으로 확인하고 나서 재차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경우, 상술한 문제점들을 인식하면서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과정 중 문틀의 레일에 대해 롤러의 설치 높이가 부정확하여, 도어와 문틀과의 마찰소음이 발생하거나 도어의 상부 틈새가 발생할 경우, 롤러의 높낮이를 도어의 측면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도어의 하단 적소에 설치되는 하우징 지지판에 제롤 베벨기어 타입과 같은 피동부재와 가동부재를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없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 지지판에는 문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와 상단에 수직상향으로 돌출된 나사봉을 가지고 상기 회전하는 피동부재를 축으로 상기 하우징 지지판을 따라 수직상향 또는 수직하향 이동하는 롤러 하우징을 결합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하단 적소에 형성된 수용홈에 체결 고정되는 하우징 지지판; 하부에는 문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 하는 롤러가, 상부에는 나사봉이 수직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지지판으로부터 이탈 없이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하우징; 상기 롤러 하우징의 나사봉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는 피동부재;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피동부재와 치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상기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동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롤러 하우징을 수직 이동시키는 가동부재; 및 상기 하우징 지지판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롤러 하우징 및 가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상기 도어의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일측 면에 상기 회전축과 동일 선상으로 노출홀을 가지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지지판은,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직사각 단면형의 수용지지구; 상호 근접되게 상기 수용지지구의 수직방향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나사봉 및 가동부재에 대해 수직이동 및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수용하는 제1, 제 2 수용홈; 상기 수용지지구의 수평방향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반구 단면형의 장축 가이드홈; 상기 제1, 제2 수용홈의 하부에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피동부재를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수용하는 단축 가이드홈; 및 상기 수용지지구의 하부쪽으로 상기 하우징 지지판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롤러 하우징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와 문틀과의 마찰소음 또는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하여 롤러의 높낮이, 즉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도어의 측면에서 간편하면서도 신속 정확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하단 적소에 설치되는 하우징 지지판에 피동부재와 가동부재를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결합하되,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노출 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 지지판에는 문틀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와 상단에 수직상향으로 돌출된 나사봉을 가지고 상기 회전하는 피동부재를 축으로 상기 하우징 지지판을 따라 수직상향 또는 수직하향 이동하는 롤러 하우징을 결합해 줌으로써, 도어와 문틀과의 마찰소음 또는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하여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도어의 측면에서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미닫이 도어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가구본체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결합한 후 이를 도어의 내 측면 하단부에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미닫이 도어를 문틀의 레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절개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미닫이 도어에 장착한 가구본체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결합한 후 이를 도어의 내 측면 하단부에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적용된 미닫이 도어를 문틀의 레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10)는, 크게 도어(20)의 하단 적소에 형성된 수용홈(20a)에 체결 고정되는 하우징 지지판(100)과, 하부에는 가구본체의 문틀(30)에 설치된 레일(40)을 따라 구름운동 하는 롤러(210)가, 상부에는 나사봉(220)이 수직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 지지판(100)으로부터 이탈 없이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하우징(200)과, 롤러 하우징(200)의 나사봉(220)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는 피동부재(300)와, 회전축(410)을 가지고 피동부재(300)와 치합되며 회전축(410)의 단부가 도어(20)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태로 하우징 지지판(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결합되어 피동부재(300)와 연동으로 하우징 지지판(100)에 대해 롤러 하우징(200)을 수직 이동시키는 가동부재(400)와, 하우징 지지판(100)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롤러 하우징(200) 및 가동부재(400)의 이탈을 방지하며, 회전축(410)의 단부가 도어(20)의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일측 면에 회전축(410)과 동일 선상으로 노출홀(510)을 가지는 커버(5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우징 지지판(10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직사각 단면형의 수용지지구(110)와, 상호 근접되게 수용지지구(110)의 수직방향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나사봉(220) 및 가동부재(400)를 수직이동 및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수용하는 제1, 제 2 수용홈(110a)(110b)과, 수용지지구(110)의 수평방향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가동부재(400)의 회전축(410)을 수용하는 반구 단면형의 장축 가이드홈(110d)과, 제1, 제2 수용홈(110a)(110b) 하부쪽의 수용지지구(110)에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피동부재(300)를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수용하는 단축 가이드홈(110c)과, 수용지지구(110) 하부쪽의 하우징 지지판(100)에 상호 마주보고 수직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롤러 하우징(200)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수직가이드편(1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 지지판(100)의 수직가이드편(120)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봉(220)과 롤러(210)를 갖는 롤러 하우징(200)이 수직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이 되는데, 이때 나사봉(220)에는 제롤 베벨기어와 같은 피동부재(300)가 체결되어 수용지지구(110)의 단축 가이드홈(110c)에 제자리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수용되고, 롤러 하우징(200)의 나사봉(220)은 피동부재(300)를 축으로 하여 수직이동에 간섭이 없도록 제1 수용홈(110a)에 수용된다.
그리고, 전술한 가동부재(400)는 수용지지구(110)의 제2 수용홈(110b)에 수용된 상태에서 피동부재(300)와 치합되어 연동으로 회전하는 제롤 베벨기어 타입을 갖는다. 이러한 제롤 베벨기어 타입을 갖는 가동부재(400)의 회전축(410)은 수용지지구(110)의 장축 가이드홈(110d)에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수용되고, 그 단부면에는 전술한 커버(500)의 노출홀(510)을 통해 드라이버 등과 같은 조작기구로 가동부재(40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작홈(4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호차(10)의 하우징 지지판(100)에 롤러 하우징(200)과 피동부재(300) 및 가동부재(400)를 도 3과 같이 결합한 다음 그 호차(10)의 하우징 지지판(100)을 도어(20)의 하단에 형성된 수용홈(20a)에 끼워넣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이후 하우징 지지판(100)에 커버(500)를 씌우되 도 4와 같이, 커버(500)의 노출홀(510)을 통해 가동부재(400)의 회전축(410)에 형성된 조작홈(412)이 도어(20)의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10)가 도어(20)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호차(10)가 도어(20)에 설치되고, 또 롤러 하우징(200)의 롤러(21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30)의 레일(40) 상에 얹혀져 구름운동을 함으로써, 도어(20)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레일(40)의 수평상태가 균일한 상태에서 문틀(30)과 도어(20)의 평행도가 맞지 않아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 예컨대 롤러(210)의 설치 높이가 낮아 도어(20)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하거나 롤러(210)가 레일(40)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있을 경우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00)의 노출홀(510)을 통해 노출된 회전축(410)의 조작홈(412)을 도어(20)의 측면에서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제롤 베벨기어 타입의 가동부재(400) 및 이에 치합된 피동부재(300) 역시 수용지지구(110)의 제2 수용홈(110b) 및 단축 가이드홈(110c) 내에서 각각 반시계방향으로 제자리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전술한 피동부재(300)가 반시계방향으로 제자리 회전 운동을 하면 이에 치합된 나사봉(220)은 피동부재(300)를 매개로 제1 수용홈(110a)을 따라 수직하향 운동하여 하우징 롤러(200)를 밀어주게 되고, 하우징 롤러(200)는 하우징 지지판(100)에 구비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편(120)을 따라 수직하강 하면서 롤러(210)를 밀어주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어(20)가 도 6과 같이, 상승하여 도어(20)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레일(40)로부터 롤러(210)가 이탈되는 일이 없고, 또한, 이와 같은 조작을 도어(20)의 측면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롤러(210)의 높낮이, 즉 도어(20)의 높낮이 조절에 편리성이 제공되는 것이다.
반대로, 레일(40)에 대해 롤러(210)의 설치 높이가 높을 경우, 이런 경우에 있어서는 도어(20)의 상부가 가구본체의 상부에 강하게 압착, 즉 레일(40)과 롤러(210)가 서로 강하게 압착되어 마찰소음을 일으키게 되므로, 가동부재(400)의 회전축(410)을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0)의 측면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나사봉(220)이 피동부재(300)를 매개로 수직상승하게 되고, 이에 고정된 롤러 하우징(200)의 롤러(210) 역시 하우징 지지판(100)의 수직가이드편(120)을 따라 수직상승하게 되어 결국, 도어(20)가 롤러 하우징(200)의 수직상승 이동거리 만큼 하강하게 되고, 롤러(210) 역시 레일(40) 상에 적정한 압력을 가지고 접촉하게 되므로 도어(20)의 슬라이딩 개폐 때 마찰소음 없이 롤러(210)가 레일(40)을 따라 부드럽게 구름운동을 하여 도어(20)가 원활하게 개폐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도어와 문틀과의 마찰소음이 발생하거나 도어의 상부에 틈새가 발생할 경우, 롤러의 높낮이를 도어의 측면에서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지지판 110 : 수용지지구
200 : 롤러 하우징 210 : 롤러
220 : 나사봉 300 : 피동부재
400 : 가동부재 410 : 회전축
412 : 조작홈 500 : 커버
510 : 노출홀

Claims (2)

  1. 도어의 하단 적소에 형성된 수용홈에 체결 고정되는 하우징 지지판과, 하부에는 문틀의 레일을 따라 구름운동 하는 롤러가, 상부에는 나사봉이 수직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지지판으로부터 이탈 없이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 하우징과, 상기 롤러 하우징의 나사봉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피동부재와,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피동부재와 치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상기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동부재와 연동으로 상기 롤러 하우징을 수직 이동시키는 가동부재와, 상기 하우징 지지판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상기 롤러 하우징 및 가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상기 도어의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일측 면에 상기 회전축과 동일 선상으로 노출홀을 가지는 커버로 구성되는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지지판은,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수용지지구;
    상호 근접되게 상기 수용지지구의 수직방향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나사봉 및 가동부재를 수직이동 및 회전 운동에 간섭이 없도록 수용하는 제1, 제 2 수용홈;
    상기 수용지지구의 수평방향을 따라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재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장축 가이드홈;
    상기 제1, 제2 수용홈의 하부에 두께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피동부재를 회전 운동에 간섭이 없도록 수용하는 단축 가이드홈; 및
    상기 수용지지구의 하부쪽으로 상기 하우징 지지판에 상호 마주보고 수직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롤러 하우징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수직가이드편;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삭제
KR2020170006342U 2017-12-11 2017-12-11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89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342U KR200489994Y1 (ko) 2017-12-11 2017-12-11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342U KR200489994Y1 (ko) 2017-12-11 2017-12-11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69U KR20190001469U (ko) 2019-06-19
KR200489994Y1 true KR200489994Y1 (ko) 2019-09-05

Family

ID=6700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342U KR200489994Y1 (ko) 2017-12-11 2017-12-11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9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1355B1 (en) * 2022-06-06 2023-10-10 Tracy Lammers Roller assembly with side-accessed adjustment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3039B2 (ja) * 1996-05-09 1999-04-19 株式会社末廣産業 ローラ装置
JP2927736B2 (ja) * 1996-08-08 1999-07-28 株式会社末廣産業 吊り戸用走行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トッパー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3039B2 (ja) * 1996-05-09 1999-04-19 株式会社末廣産業 ローラ装置
JP2927736B2 (ja) * 1996-08-08 1999-07-28 株式会社末廣産業 吊り戸用走行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トッパー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69U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4212B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8413299B2 (en) Hinge for door or window
KR20110138807A (ko) 가이드 레일에 대한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호차
US20200165849A1 (en) Hinge for Detachable Sheet Metal Cabinet Doors or Walls
KR101138288B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0489994Y1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장치
JP4931274B2 (ja) 引き戸の走行装置
KR100948435B1 (ko) 미닫이식 도어 하부 롤러장치
KR101730775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높이 조절장치
US9187941B2 (en) Roller assembly for sliding door
CA2665981C (en) Roller assembly for sliding door
KR20180001371U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20160001744U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
KR101369499B1 (ko) 미닫이 도어의 상부롤러장치
KR101940147B1 (ko) 댐퍼 노출형 슬라이딩 도어 설치구조
KR20110010934U (ko) 슬라이딩 도어용 높낮이 조절형 로울러장치
KR101902476B1 (ko) 도어용 경첩
KR20044787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장치
KR101544144B1 (ko) 힌지장치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CN104929501A (zh) 门窗
KR200411520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200325944Y1 (ko)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KR200489873Y1 (ko) 포켓 슬라이딩도어용 하부 롤러
KR102048625B1 (ko) 슬라이딩 도어 개폐 속도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