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959U -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 Google Patents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959U
KR20130003959U KR2020110011419U KR20110011419U KR20130003959U KR 20130003959 U KR20130003959 U KR 20130003959U KR 2020110011419 U KR2020110011419 U KR 2020110011419U KR 20110011419 U KR20110011419 U KR 20110011419U KR 20130003959 U KR20130003959 U KR 201300039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pport piece
sliding door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범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959U/ko
Publication of KR20130003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9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승하강하는 휠이 마련됨으로써 휠의 승하강을 통해 몸체가 출입구상의 레일을 가로질러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작용 미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는,
출입구상에서 횡방향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연속되게 마련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을 관통하는 지지봉상에 마련되는 휠과;
상기 지지편과 휠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sliding door for workshop}
본 고안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승하강하는 휠이 마련됨으로써 휠의 승하강을 통해 몸체가 출입구상의 레일을 가로질러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출입구상에는 미닫이 방식, 여닫이 방식, 회전 방식 등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가 마련되어 출입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크기가 큰 부품 및 구조물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대형 출입구상에 설치되는 도어는 출입구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로 제작되므로 대형일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대형 도어에 여닫이 방식을 적용할 경우 힌지에 하중이 집중되어 취약해질 뿐만 아니라 도어 개폐시 전후로 상당한 움직임을 요하게 되므로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작업장 등에 설치되는 대형 도어의 경우 통상 미닫이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닫이 방식의 도어의 경우 바닥에 요철이 있는 경우 도어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조선업장과 같이 대형 부품 및 구조물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에서는 대차를 통해 부품 및 구조물을 이송하는 경우가 빈번한바, 작업장 바닥에 레일이 설치되고, 레일은 출입구를 통해 작업장 내외부로 이어지게 되므로 출입구상에 미닫이 도어가 설치되는 경우 레일 슬라이딩시 레일의 간섭으로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레일 설치 작업장에서는 레일 설치와 무관하게 미닫이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의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가 레일 설치 작업장에서 원활히 개폐될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는,
출입구상에서 횡방향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연속되게 마련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을 관통하는 지지봉상에 마련되는 휠과;
상기 지지편과 휠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에는 각형의 통공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휠의 지지봉은 지지편에 마련되는 통공에 상응하는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는, 휠의 지지봉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몸체의 지지편상에서 상하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인바, 출입구상에 레일이 이어지더라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한 휠의 승하강에 의해 몸체가 레일을 가로지를 수 있게 되므로 몸체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에서 휠의 설치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에서 휠의 승하강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의 개폐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A)는 몸체(10)와, 지지편(20)과, 휠(30)과, 스프링(4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출입구(100)상에서 횡방향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10)의 상단에는 출입구(100)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0)에 안착되는 회전롤러(11)가 마련된다.
몸체(10)의 상단에 출입구(100)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0)에 안착되는 회전롤러(11)가 마련됨으로써 회전롤러(11)가 가이드레일(110)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몸체(10)의 횡방향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에는 여닫이 방식의 보조도어(12)가 마련된다.
몸체(10)에 여닫이 방식의 보조도어(12)가 마련됨으로써 보조도어(12)를 통해 작업자의 수시 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편(20)은 몸체(10)의 하단에 연속되게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편(20)에는 통공(2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편(20)에 통공(21)이 마련됨으로써 후술하는 휠(30)의 지지봉(31)이 통공(21)을 통해 지지편(20)을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지지편(20)의 통공(21)은 사각, 육각, 팔각 등의 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편(20)의 통공(21)이 사각, 육각, 팔각 등의 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지편(20)의 통공(21)과 상응하는 형태로 되는 휠(30)의 지지봉(31)이 통공(21)을 통해 지지편(20)을 관통하였을 때 통공(21)상에서 지지봉(31)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휠(30)은 지지편(20)을 관통하는 지지봉(21)상에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휠(30)에서 지지봉(31)은 지지편(20)에 마련되는 통공(21)에 상응하는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휠(30)의 지지봉(31)이 지지편(20)에 마련되는 통공(21)에 상응하는 형태의 단면을 갖음으로써 지지편(20)의 통공(21)을 관통하는 지지봉(31)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휠(30) 자체는 통상의 것인바, 휠(30)의 구조 및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스프링(40)은 지지편(20)과 휠(30) 사이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프링(40)은 탄성력을 갖는 통상의 것인바, 스프링(40)의 구조 및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A)의 개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몸체(10)의 하단에는 통공(21)이 형성된 지지편(20)이 연속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30)의 지지봉(31)을 지지편(20)의 통공(21)으로 삽입하게 되면 휠(30)이 몸체(1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휠(30)과 지지편(20) 사이에는 스프링(40)이 결합된다.
휠(30)과 지지편(20) 사이에 스프링(40)이 결합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30) 하부에서 상부로 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스프링(40)의 수지지봉에 의해 휠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휠(30) 하부에서 상부로 작용하는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40)의 신장에 의해 휠(30)은 승강 이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휠(30)이 승하강됨에 따라 출입구(100) 바닥에 레일(200)이 있더라도 출입구(100)상의 몸체(10)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있게 된다.
즉, 출입구(100)상에 작업장 내외측으로 이어지는 레일(200)이 있더라도 몸체(10)는 레일(200)과 맞닿으며 이루어지는 휠(30)의 승강과, 레일(200)을 타고 넘은 후 이루어지는 휠(30)의 하강을 통해 횡방향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00)과 무관하게 몸체(1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휠(30)의 지지봉(31)과 지지편(20)의 통공(21)은 각형으로 된 것이어서 지지편(20)상에서 휠(30)의 지지봉(31)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바, 휠(30)은 횡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므로 몸체(10)의 횡방향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횡방향 슬라이딩에 의한 몸체(10)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A)는, 휠(30)의 지지봉(31)이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몸체(10)의 지지편(20)상에서 상하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인바, 출입구(100)상에 레일(200)이 이어지더라도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한 휠(30)의 승하강에 의해 몸체(10)가 레일을 가로지를 수 있게 되므로 몸체(10)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회전롤러
12 : 보조도어 20 : 지지편
21 : 통공 30 : 휠
31 : 지지봉 40 : 스프링
100 : 출입구 110 : 가이드레일
200 : 레일 A :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Claims (3)

  1. 출입구상에서 횡방향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연속되게 마련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을 관통하는 지지봉상에 마련되는 휠과;
    상기 지지편과 휠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 각형의 통공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의 지지봉은 지지편에 마련되는 통공에 상응하는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KR2020110011419U 2011-12-22 2011-12-22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KR201300039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19U KR20130003959U (ko) 2011-12-22 2011-12-22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19U KR20130003959U (ko) 2011-12-22 2011-12-22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59U true KR20130003959U (ko) 2013-07-02

Family

ID=5242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19U KR20130003959U (ko) 2011-12-22 2011-12-22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95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526A (zh) * 2018-09-26 2019-01-01 湖州森发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滑道式移动木门
CN109312588A (zh) * 2016-04-10 2019-02-05 哈拉里·莫迪凯 无台阶滑动门系统
KR102085902B1 (ko) * 2019-10-17 2020-03-06 윤태준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중력방향 가변수단
KR102260765B1 (ko) * 2020-10-15 2021-06-07 주식회사 큐비엘 슬라이딩 스크린 도어용 완충 브라켓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2588A (zh) * 2016-04-10 2019-02-05 哈拉里·莫迪凯 无台阶滑动门系统
CN109312588B (zh) * 2016-04-10 2021-09-28 哈拉里·莫迪凯 无台阶滑动门系统
CN109113526A (zh) * 2018-09-26 2019-01-01 湖州森发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滑道式移动木门
KR102085902B1 (ko) * 2019-10-17 2020-03-06 윤태준 스크린 도어 시스템에 구비된 미닫이 도어의 중력방향 가변수단
KR102260765B1 (ko) * 2020-10-15 2021-06-07 주식회사 큐비엘 슬라이딩 스크린 도어용 완충 브라켓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KR20130003959U (ko)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MX340618B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aumentar la resistencia a la carga del viento y la capacidad de desacoplarse de las puertas corredizas superiores.
JP5342816B2 (ja) 吊り戸のロック装置
KR101579956B1 (ko) 물탱크용 맨홀
KR200446967Y1 (ko) 착, 탈이 용이한 미닫이 도어
KR10128647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JP2019142667A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装置
KR20080082879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가이드장치
JP2014213951A (ja) 戸の外れ止め装置
JP5666970B2 (ja) 鉄道車両用スライドプッシュ式ドア装置
JP2014024629A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40182211A1 (en) Support for a rolling closure
EP2354415A2 (de) Sektionaltor
CN202967795U (zh) 电梯的门顶箱与门顶罩的组合体
CN206316845U (zh) 一种机床防护拉门
JP2006103872A (ja) 乗客コンベアのマンホールカバー装置
JP2009155792A (ja) 走行ガイ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引き戸
JP4917146B2 (ja) エレベータ制御盤
CN104609286A (zh) 电梯轿厢门锁装置
KR20150041522A (ko) 승강기용 카도어 강제 열림 방지장치
JP4974738B2 (ja) 引戸装置
KR200458679Y1 (ko) 붙박이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411484Y1 (ko) 미닫이의 개폐를 위한 보조호차
KR100691764B1 (ko) 창호의 자동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