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175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175A
KR20230047175A KR1020237008128A KR20237008128A KR20230047175A KR 20230047175 A KR20230047175 A KR 20230047175A KR 1020237008128 A KR1020237008128 A KR 1020237008128A KR 20237008128 A KR20237008128 A KR 20237008128A KR 20230047175 A KR20230047175 A KR 20230047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ble
antenna device
heat exchange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모리카와
시게루 히라사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유압 셔블(1)의 상부 선회체(3)는,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로부터 분리된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를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이 접속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과,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 내에 마련되고,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로부터 분리된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를 보지하는 제 1, 제 2 안테나 보지구(30, 33)를 구비한다. 구조물 커버(11)는,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을 개폐 가능하게 덮음과 함께,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을 닫은 상태에서 시정 가능한 좌측 후측면 도어(16), 우측면 도어(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개시는, 안테나 장치가 탑재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를 대표하는 유압 셔블은, 자주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의 전측(前側)에 마련된 작업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에 2기의 안테나 장치가 탑재된 유압 셔블이 알려져 있다. 이 안테나 장치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 System) 안테나 등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안테나로 이루어지며, 이들 2기의 안테나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의 위치 정보를 계측하고, 굴삭 작업 등의 시공 관리를 지원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안테나 장치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나, 운반 차량을 이용하여 유압 셔블을 수송하는 경우에는, 튀는 돌 등에 의해 안테나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압 셔블의 가동을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안테나 장치의 도난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 또는 유압 셔블의 가동을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안테나 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하여, 예를 들면 시정(施錠)할 수 있는 캡 내, 또는 창고 등에 가지고 가서 보관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5-21320호 공보
그러나, 안테나 장치에는, 컨트롤러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테나 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하여 캡, 창고 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장치로부터 케이블을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또한, 캡 등에 보관된 안테나 장치를 차체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을 안테나 장치에 접속하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안테나 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할 때의 작업, 및 보관된 안테나 장치를 차체에 장착할 때의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는 작업, 및 보관된 안테나 장치를 차체에 장착하는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측에 마련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체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마련된 구조물 커버와, 상기 차체에 마련된 안테나 장착구와, 상기 안테나 장착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케이블을 개재하여 컨트롤러에 접속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상기 구조물 커버 내에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 장착구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테나 장치를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안테나 수용실과, 상기 안테나 수용실 내에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 장착구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테나 장치를 보지(保持)하는 안테나 보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구조물 커버는, 상기 안테나 수용실을 개폐 가능하게 덮음과 함께, 상기 안테나 수용실을 닫은 상태에서 시정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 장치를, 케이블이 접속된 채의 상태에서 안테나 수용실에 수용할 수 있음과 함께, 케이블이 접속된 채의 상태에서 차체에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테나 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는 작업, 및 보관된 안테나 장치를 차체에 장착하는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을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열 교환기실에 제 1 안테나 장치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열 교환기실에 제 1 안테나 장치를 수용한 상태를, 좌측면 도어를 분리한 상태에서 좌측방으로부터 본 좌측면이다.
도 6은, 제 1 안테나 보지구에 의해 제 1 안테나 장치를 보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환상(環狀)의 케이블 보호구가 장착된 안테나측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환상의 케이블 보호구를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환상의 케이블 보호구를 구조물 커버의 컷아웃 홈에 삽입 통과하는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펌프실에 제 2 안테나 장치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C자 형상의 케이블 보호구를 단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구조물 커버의 컷아웃 홈에 장착된 C자 형상의 케이블 보호구에, 안테나측 케이블을 삽입 통과하는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건설 기계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셔블 주행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유압 셔블의 주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건설 기계를 대표하는 유압 셔블(1)은, 전후 방향으로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의 전측에 마련된 작업 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는, 유압 셔블(1)의 차체를 구성하고 있다.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에 의해 작업 현장을 주행하고,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면서 작업 장치(4)를 부앙동(俯仰動)시킴으로써,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한다.
작업 장치(4)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5)의 전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된 붐(4A)과, 붐(4A)의 선단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4B)과, 아암(4B)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버킷(4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 장치(4)는, 붐(4A)을 구동하는 붐 실린더(4D), 아암(4B)을 구동하는 아암 실린더(4E), 버킷(4C)을 구동하는 버킷 실린더(4F)를 가지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후술의 선회 프레임(5), 카운터 웨이트(6), 엔진(7), 캡(10), 구조물 커버(11), 작동유 탱크(22), 연료 탱크(2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으로서의 선회 프레임(5)은, 상부 선회체(3)의 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5)은, 바닥판(5A)과, 좌측 세로판(5B) 및 우측 세로판(5C)과, 좌측 사이드 프레임(5D)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5E)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측 세로판(5B) 및 우측 세로판(5C)은, 바닥판(5A) 상에 세워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사이드 프레임(5D)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5E)은, 바닥판(5A)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세로판(5B) 및 우측 세로판(5C)의 전측에는, 붐(4A) 및 붐 실린더(4D)의 기단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6)는, 선회 프레임(5)의 후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6)는, 그 후면이 원호 형상을 이루는 중량물로서 형성되고,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고 있다.
원동기로서의 엔진(7)은, 카운터 웨이트(6)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7)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놓기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엔진(7)의 우측에는, 유압 펌프(8)가 장착되어 있다. 유압 펌프(8)는, 엔진(7)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작동유 탱크(22)에 저류된 작동유를, 하부 주행체(2)의 주행 모터,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모터(미도시), 작업 장치(4)의 각 실린더(4D, 4E, 4F)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향해 토출한다. 또한, 원동기로서는, 전동 모터, 또는 엔진과 전동 모터를 조합한 하이브리드식의 원동기를 이용할 수 있다.
열 교환기(9)는, 엔진(7)의 좌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탑재되어 있다. 열 교환기(9)는,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 쿨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열 교환기(9)는, 냉각팬(7A)에 의해 구조물 커버(11) 내에 도입된 냉각풍(도 3 중의 화살표 F)이 공급됨으로써, 엔진 냉각수, 작동유 등의 열을 냉각풍 중에 방열한다.
캡(10)은, 선회 프레임(5)의 좌측 세로판(5B)보다 좌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좌전측에 마련되어 있다. 캡(10)은, 운전실을 구획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석(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의 전측에는, 유압 셔블(1)의 주행 동작을 제어하는 주행용 레버 페달 장치(미도시)가 마련되고, 운전석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동작, 및 작업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 레버 장치(미도시)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구조물 커버(11)는, 카운터 웨이트(6)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마련되어 있다. 구조물 커버(11)는, 선회 프레임(5) 상에 마련된 후술의 좌측 서포트 부재(15), 우측 서포트 부재(18) 등에 의해 지지되고, 좌측 후측면 도어(16)와, 좌측 전측면 도어(17)와, 우측면 도어(19)와, 상면 커버(20)와, 엔진 커버(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조물 커버(11)는, 선회 프레임(5)에 탑재된 엔진(7), 유압 펌프(8), 열 교환기(9) 등의 탑재 기기를 덮고 있다. 구조물 커버(11) 내에는, 엔진(7)을 수용하는 원동기실(미도시)과, 열 교환기(9)를 수용하는 열 교환기실(12)과, 유압 펌프(8)를 수용하는 펌프실(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조물 커버(11) 내에는, 원동기실과 펌프실(13)을 구분하는 칸막이 부재(파이어 월)(14)가 마련되어 있다(도 10 참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의 좌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좌측 서포트 부재(15)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좌측 서포트 부재(15)는, 카운터 웨이트(6)의 좌전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좌측 후방 서포트 부재(15A)와, 좌측 후방 서포트 부재(15A)의 전측에 배치된 좌측 중간 서포트 부재(15B)와, 좌측 중간 서포트 부재(15B)의 전측에 배치된 좌측 전방 서포트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조물 커버(11)를 구성하는 좌측 후측면 도어(16)는, 좌측 후방 서포트 부재(15A)에 힌지 기구(미도시)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좌측 후측면 도어(16)는, 힌지 기구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 내지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열 교환기실(12)을 좌측방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덮고 있다. 즉, 좌측 후측면 도어(16)는, 열 교환기실(12)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4의 위치)와, 열 교환기실(12)을 닫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변위한다.
좌측 전측면 도어(17)는, 좌측 전방 서포트 부재에 힌지 기구(모두 미도시)를 개재하여 전후 방향 내지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측 전측면 도어(17)는, 열 교환기실(12)의 전측에 배치된 유틸리티실(미도시)을 좌측방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덮고 있다. 좌측 전측면 도어(17)에는 록 기구(17A)가 마련되고, 이 록 기구(17A)를 시정함으로써, 좌측 전측면 도어(17)가 폐쇄 위치에 보지된다. 여기서, 좌측 전측면 도어(17)와 좌측 후측면 도어(16)가 모두 폐쇄 위치가 된 상태(도 1의 상태)에서는, 좌측 전측면 도어(17)의 후단측이, 좌측 후측면 도어(16)의 전단측에 씌워진다(포개진다). 이 때문에, 좌측 전측면 도어(17)와 좌측 후측면 도어(16)가 모두 폐쇄 위치가 된 상태에서는, 좌측 전측면 도어(17)의 록 기구(17A)를 해정(解錠)하지 않는 한은 좌측 후측면 도어(16)를 열 수 없다. 따라서, 좌측 후측면 도어(16)는, 좌측 전측면 도어(17)의 록 기구(17A)에 의해 폐쇄 위치에 시정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의 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우측 서포트 부재(18)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우측 서포트 부재(18)는, 카운터 웨이트(6)의 우전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우측 후방 서포트 부재(18A)와, 우측 후방 서포트 부재(18A)의 전측에 배치된 우측 전방 서포트 부재(18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조물 커버(11)를 구성하는 우측면 도어(19)는, 우측 후방 서포트 부재(18A)에 힌지 기구(미도시)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우측면 도어(19)는, 힌지 기구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 내지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펌프실(13)을 우측방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덮고 있다. 즉, 우측면 도어(19)는, 펌프실(13)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펌프실(13)을 닫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변위한다. 우측면 도어(19)는, 록 기구(19A)를 시정함으로써, 폐쇄 위치에 보지된다.
상면 커버(20)는, 좌측 후측면 도어(16) 및 좌측 전측면 도어(17)의 상단과 우측면 도어(19)의 상단의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면 커버(20)에는, 엔진(7)의 상측에 위치하여 점검용 개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이 점검용 개구를 통해 엔진(7) 등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해진다.
원동기 커버로서의 엔진 커버(21)는, 엔진(7)을 상방으로부터 덮은 상태에서 상면 커버(20) 상에 마련되어 있다. 엔진 커버(21)는, 상면 커버(20)로부터 상방으로 융기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 커버(20)에 형성된 점검용 개구를 폐색하고 있다. 엔진 커버(21)는, 후단측이 힌지 기구를 개재하여 서포트 부재(모두 미도시)에 장착되고, 전단측이 힌지 기구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엔진 커버(21)는, 상면 커버(20)에 대하여, 점검용 개구를 여는 개방 위치와 점검용 개구를 닫는 폐쇄 위치의 사이에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면 커버(20) 중 엔진 커버(21)보다 전측이 되는 범위는, 작업용 발판(20A)으로 되어 있다. 작업용 발판(20A)은, 작업자가 엔진 커버(21)를 열어 엔진(7) 등에 대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의 발판을 형성하고 있다.
작동유 탱크(22)는, 선회 프레임(5)의 우측 세로판(5C)보다 우측이고, 또한 유압 펌프(8)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에 마련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22)는, 하부 주행체(2)의 주행 모터,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모터, 작업 장치(4)의 각 실린더(4D, 4E, 4F)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류하고 있다. 작동유 탱크(22)의 상면은, 상면 커버(20)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연료 탱크(23)는, 선회 프레임(5)의 우측 세로판(5C)보다 우측이고, 또한 작동유 탱크(22)의 전측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연료 탱크(23)는, 엔진(7)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하고 있다. 연료 탱크(23)의 상면은, 상면 커버(20)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되는 제 1 안테나 장치(24), 제 2 안테나 장치(27)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안테나 장치(24)는, 상부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카운터 웨이트(6)의 좌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안테나 장치(27)는, 상부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의 타측, 구체적으로는, 펌프실(13)의 상방이 되는 상면 커버(20)의 우전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는, 예를 들면 GNSS 안테나에 의해 구성되며, 구조물 커버(11)의 내부에 배치된 컨트롤러(미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안테나 장치(24)는, 카운터 웨이트(6)에 고정된 제 1 안테나 장착구(2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1 안테나 장착구(25)는, 카운터 웨이트(6)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 받침대(25A)와, 고정 받침대(25A)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의 지지 마스트(25B)를 가지고 있다. 제 1 안테나 장치(24)의 하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합(嵌合) 구멍(24A)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제 1 안테나 장치(24)는, 감합 구멍(24A)을 제 1 안테나 장착구(25)(지지 마스트(25B))의 선단에 감합시킨 상태에서,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 1 케이블(26)은, 구조물 커버(11) 내에 배치된 컨트롤러와 제 1 안테나 장치(24)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컨트롤러는, 제 1 안테나 장치(24) 및 제 2 안테나 장치(2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1)의 위치 정보를 계측하고, 유압 셔블(1)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 1 케이블(26)은,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접속된 안테나측 케이블(26A)과, 컨트롤러에 접속된 컨트롤러측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측 케이블(26A)은, 상부 선회체(3)의 외측에 배치되고, 컨트롤러측 케이블은, 구조물 커버(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안테나측 케이블(26A)의 일단(26B)은,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안테나측 케이블(26A)의 타단에는, 안테나측 커넥터(26C)가 마련되어 있다(도 7 참조). 컨트롤러측 케이블의 일단은 컨트롤러에 접속되고, 컨트롤러측 케이블의 타단은, 상면 커버(20) 상에 배치된 컨트롤러측 커넥터(미도시)에 접속된다. 따라서, 안테나측 케이블(26A)에 마련된 안테나측 커넥터(26C)를, 상면 커버(20) 상에 배치된 컨트롤러측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제 1 케이블(26)을 개재하여 제 1 안테나 장치(24)와 컨트롤러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제 2 안테나 장치(27)는, 펌프실(13)의 상방이 되는 상면 커버(20)의 우전측에 고정된 제 2 안테나 장착구(2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2 안테나 장착구(28)는, 상면 커버(20)의 상면에 고정된 고정 받침대(28A)와, 고정 받침대(28A)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의 지지 마스트(28B)를 가지고 있다. 제 2 안테나 장치(27)의 하측에는, 제 1 안테나 장치(24)와 마찬가지의 감합 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제 2 안테나 장치(27)는, 감합 구멍을 지지 마스트(28B)의 선단에 감합시킨 상태에서,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 2 케이블(29)은, 구조물 커버(11) 내에 배치된 컨트롤러(미도시)와 제 2 안테나 장치(27)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블(29)은, 제 2 안테나 장치(27)에 접속된 안테나측 케이블(29A)과, 컨트롤러에 접속된 컨트롤러측 케이블(2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측 케이블(29A)은, 상부 선회체(3)의 외측에 배치되고, 컨트롤러측 케이블(29B)은, 주로 구조물 커버(11)의 내측에 배치된다.
안테나측 케이블(29A)의 일단(29C)은, 제 2 안테나 장치(27)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안테나측 케이블(29A)의 타단에는, 안테나측 커넥터(29D)가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러측 케이블(29B)의 일단은, 컨트롤러에 접속되고, 컨트롤러측 케이블(29B)의 타단에는, 컨트롤러측 커넥터(29E)가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러측 커넥터(29E)는, 제 2 안테나 장착구(28)의 고정 받침대(28A)에 인접하여 상면 커버(20)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측 케이블(29A)에 마련된 안테나측 커넥터(29D)를, 컨트롤러측 커넥터(29E)에 접속함으로써, 제 2 케이블(29)을 개재하여 제 2 안테나 장치(27)와 컨트롤러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수용실은, 열 교환기실(1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 교환기실(12)은, 제 1 안테나 장착구(25)로부터 분리된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제 1 케이블(26)의 안테나측 케이블(26A)이 접속된 상태에서 수용한다. 열 교환기실(12)은, 좌측 후측면 도어(16)를 여는 것에 의해 개방되고, 좌측 후측면 도어(16)를 닫는 것에 의해 폐색되며, 좌측 전측면 도어(17)의 록 기구(17A)에 의해 시정된다.
제 1 안테나 보지구(30)는, 제 1 안테나 수용실인 열 교환기실(12) 내에 마련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보지구(30)는, 좌측 후측면 도어(16)를 지지하는 좌측 후방 서포트 부재(15A)에 장착되고, 제 1 안테나 장착구(25)로부터 분리된 제 1 안테나 장치(24)를 보지한다. 제 1 안테나 보지구(30)는, L자형으로 굴곡진 베이스 부재(30A)와, 베이스 부재(30A)의 상면에 마련되고, 연직 상방으로 돌출한 원통 형상의 돌출 부재(3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돌출 부재(30B)는, 제 1 안테나 장착구(25)의 지지 마스트(25B)와 동등한 외경 치수를 가지고 있다. 제 1 안테나 보지구(30)는, 베이스 부재(30A)가 볼트(30C)를 이용하여 좌측 후방 서포트 부재(15A)의 상측 부위에 고정됨으로써, 열 교환기실(12)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안테나 보지구(30)의 돌출 부재(30B)에, 제 1 안테나 장치(24)의 감합 구멍(24A)을 감합시킴으로써,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열 교환기실(12) 내에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보지구(30)는, 제 1 안테나 장치(24)를 보지한 상태에서, 제 1 안테나 장치(24)가, 열 교환기(9)에 공급되는 냉각풍의 흐름 방향(도 3 중의 화살표 F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열 교환기(9)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안테나 장치(24)가, 열 교환기실(12) 내에서 제 1 안테나 보지구(30)에 보지된 경우에도, 열 교환기(9)에 공급되는 냉각풍이,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하여, 열 교환기(9)에 대하여 충분한 냉각풍을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 삽입 통과부로서의 컷아웃 홈(31)은, 상면 커버(20)의 좌측 가장자리(20B)쪽에 마련되어 있다. 컷아웃 홈(31)은,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열 교환기실(12) 내에 수용할 때에,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접속된 제 1 케이블(26)(안테나측 케이블(26A))이 삽입 통과된다. 이에 의해,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안테나측 케이블(26A)이 접속된 상태에서,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열 교환기실(12)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컷아웃 홈(31)은, 좌측 후측면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 상면 커버(20)와 좌측 후측면 도어(16)의 상측 가장자리(16A)가 맞닿는 부위, 즉, 상면 커버(20)의 좌측 가장자리(20B)에 개구하는 광폭의 개구단(31A)을 가지고 있다. 안테나측 케이블(26A)은, 개구단(31A)을 통해 원활하게 컷아웃 홈(31)으로 안내된다.
케이블 보호구(32)는, 제 1 안테나 장치(24)가 제 1 안테나 보지구(30)에 보지된 상태에서, 제 1 케이블(26)의 안테나측 케이블(26A)과 컷아웃 홈(3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구(32)는, 안테나측 케이블(26A)에 장착되는 환상체로 이루어지며,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보호구(32)의 내주측은 케이블 삽입 통과 구멍(32A)이 되고, 이 케이블 삽입 통과 구멍(32A)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부터 안테나측 케이블(26A)이 삽입 통과된다. 케이블 보호구(32)의 외주측에는 소경인 잘록부(32B)가 형성되고, 이 잘록부(32B)는, 상면 커버(20)의 컷아웃 홈(31)에 계합(engaging)한다.
즉, 안테나측 케이블(26A)에는, 미리 케이블 보호구(32)가 장착되어 있고, 제 1 안테나 장치(24)가 제 1 안테나 보지구(30)에 보지된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측 케이블(26A)에 장착된 케이블 보호구(32)를, 상면 커버(20)의 컷아웃 홈(31)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안테나측 케이블(26A)이 컷아웃 홈(31)에 마찰로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여, 안테나측 케이블(26A)이 보호된다.
제 2 안테나 수용실은, 펌프실(1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실(13)은, 제 2 안테나 장착구(28)로부터 분리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제 2 케이블(29)의 안테나측 케이블(29A)이 접속된 상태에서 수용한다. 펌프실(13)은, 우측면 도어(19)를 여는 것에 의해 개방되고, 우측면 도어(19)를 닫는 것에 의해 폐색되며, 록 기구(19A)에 의해 시정된다.
제 2 안테나 보지구(33)는, 제 2 안테나 수용실인 펌프실(13) 내에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안테나 보지구(33)는, 엔진실과 펌프실(13)을 구분하는 칸막이 부재(14)에 장착되고, 제 2 안테나 장착구(28)로부터 분리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보지한다. 제 2 안테나 보지구(33)는, 제 1 안테나 보지구(30)와 마찬가지로, 볼트를 이용하여 칸막이 부재(14)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33A)와, 베이스 부재(33A)에 마련된 돌출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안테나 보지구(33)의 돌출 부재에, 제 2 안테나 장치(27)의 감합 구멍(미도시)을 감합시킴으로써, 제 2 안테나 장치(27)를, 펌프실(13) 내에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상면 커버(20)의 우측 가장자리(20C)측에는, 케이블 삽입 통과부로서의 컷아웃 홈(34)이 마련되어 있다. 컷아웃 홈(34)은, 제 2 안테나 장치(27)를 펌프실(13) 내에 수용할 때에, 제 2 안테나 장치(27)에 접속된 제 2 케이블(29)(안테나측 케이블(29A))이 삽입 통과된다. 이에 의해, 제 2 안테나 장치(27)에 안테나측 케이블(29A)이 접속된 상태에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펌프실(13)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컷아웃 홈(34)은, 우측면 도어(19)가 닫힌 상태에서, 상면 커버(20)와 우측면 도어(19)의 상측 가장자리(19B)가 맞닿는 부위, 즉, 상면 커버(20)의 우측 가장자리(20C)에 개구하는 개구단(34A)을 가지고 있다. 안테나측 케이블(29A)은, 개구단(34A)을 통해 원활하게 컷아웃 홈(34)으로 안내된다.
제 2 케이블(29)의 안테나측 케이블(29A)과 컷아웃 홈(34)의 사이에는, 케이블 보호구(32)가 마련되어 있다. 안테나측 케이블(29A)에는, 미리 케이블 보호구(32)가 장착되어 있고, 제 2 안테나 장치(27)가 제 2 안테나 보지구(33)에 보지된 상태에서, 안테나측 케이블(29A)에 장착된 케이블 보호구(32)를, 상면 커버(20)의 컷아웃 홈(34)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안테나측 케이블(29A)이 컷아웃 홈(34)에 마찰로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여, 안테나측 케이블(29A)이 보호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이하, 유압 셔블(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압 셔블(1)을 이용한 작업 시에, 유압 셔블(1)의 위치 정보가 필요해지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제 1 안테나 장착구(25)에 장착함과 함께,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제 2 안테나 장착구(28)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가 상부 선회체(3)에 장착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는, 캡(10)에 탑승하여 운전석(미도시)에 앉아, 엔진(7)을 시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주행용 레버 페달 장치(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유압 셔블(1)을 작업 현장을 향해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 장치(미도시)를 조작함으로써,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면서 작업 장치(4)를 이용하여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작업 장치(4)를 이용한 굴삭 작업 시에는,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는, 위성으로부터 유압 셔블(1)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 위치 정보를 컨트롤러(미도시)에 송신한다. 컨트롤러는,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1)의 위치 정보를 계측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유압 셔블(1)의 위치 정보와, 작업 장치(4)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작업 장치(4)의 선단 위치 정보와, 지형 데이터나 목표 지형 데이터를 대조하여 목표 지형으로 시공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고, 예를 들면 캡(10) 내의 모니터에 시공 정보(연산 결과)를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모니터에 표시된 시공 정보를 확인하면서, 조작 레버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목표 지형으로 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유압 셔블(1)의 가동을 정지했을 때에는, 도난 방지를 위해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를 상부 선회체(3)로부터 분리한다. 먼저,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안테나측 케이블(26A)의 일단(26B)이 접속된 채, 제 1 안테나 장착구(25)의 지지 마스트(25B)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좌측 전측면 도어(17)의 록 기구(17A)를 해정하여, 좌측 전측면 도어(17) 및 좌측 후측면 도어(16)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열 교환기실(12)이 개방되고, 제 1 안테나 보지구(30)가 나타난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장착구(25)로부터 분리된 제 1 안테나 장치(24)의 감합 구멍(24A)을, 제 1 안테나 보지구(30)의 돌출 부재(30B)에 감합시킨다. 이에 의해,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열 교환기실(12) 내에서 제 1 안테나 보지구(30)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접속된 안테나측 케이블(26A)의 도중 부위를, 상면 커버(20)의 좌측 가장자리(20B)에 형성된 컷아웃 홈(31)에 삽입 통과한다. 이에 의해, 상면 커버(20)의 좌측 가장자리(20B)와 좌측 후측면 도어(16)의 사이에 안테나측 케이블(26A)을 끼우지 않고, 좌측 후측면 도어(16)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켜 열 교환기실(12)을 닫을 수 있다. 이 때, 안테나측 케이블(26A)의 도중 부위에는, 케이블 보호구(32)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구(32)의 잘록부(32B)를 컷아웃 홈(31)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안테나측 케이블(26A)이, 상면 커버(20)의 컷아웃 홈(31)에 마찰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안테나측 케이블(26A)을 상면 커버(2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좌측 후측면 도어(16)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킴과 함께, 좌측 전측면 도어(17)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켜, 좌측 전측면 도어(17)의 록 기구(17A)를 시정한다. 이에 의해, 시정된 좌측 후측면 도어(16)에 의해 폐색된 열 교환기실(12) 내에, 제 1 안테나 보지구(30)에 보지된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사용하지 않는 작업 시에 튀는 돌에 의해 제 1 안테나 장치(24)가 파손되거나, 제 1 안테나 장치(24)가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테나 보지구(30)는, 제 1 안테나 장치(24)를 보지했을 때에, 제 1 안테나 장치(24)가 열 교환기(9)에 공급되는 냉각풍의 흐름 방향(좌우 방향)에 대하여 열 교환기(9)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열 교환기실(12)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유압 셔블(1)이 가동하는 경우에, 열 교환기(9)에 공급되는 냉각풍이,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가 없어, 열 교환기(9)에 대하여 충분한 냉각풍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안테나 장치(27)를 분리할 때에는,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안테나측 케이블(29A)의 일단(29C)이 접속된 채, 제 2 안테나 장착구(28)의 지지 마스트(28B)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우측면 도어(19)의 록 기구(19A)를 해정하여, 우측면 도어(19)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실(13)이 개방되고, 제 2 안테나 보지구(33)가 나타난다. 다음에, 제 2 안테나 장착구(28)로부터 분리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제 2 안테나 보지구(33)의 돌출 부재(미도시)에 감합시킨다. 이에 의해, 제 2 안테나 장치(27)를, 펌프실(13) 내에서 제 2 안테나 보지구(33)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한편, 제 2 안테나 장치(27)에 접속된 안테나측 케이블(29A)의 도중 부위를, 상면 커버(20)의 우측 가장자리(20C)에 형성된 컷아웃 홈(34)에 삽입 통과한다. 이에 의해, 상면 커버(20)의 우측 가장자리(20C)와 우측면 도어(19)의 사이에 안테나측 케이블(29A)을 끼우지 않고, 우측면 도어(19)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켜 펌프실(13)을 닫을 수 있다. 이 때, 안테나측 케이블(29A)의 도중 부위에 장착된 케이블 보호구(32)를, 컷아웃 홈(34)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안테나측 케이블(29A)이, 상면 커버(20)의 컷아웃 홈(34)에 마찰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안테나측 케이블(29A)을 상면 커버(2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우측면 도어(19)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우측면 도어(19)의 록 기구(19A)를 시정한다. 이에 의해, 시정된 우측면 도어(19)에 의해 폐색된 펌프실(13) 내에, 제 2 안테나 보지구(33)에 보지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사용하지 않는 작업 시에 튀는 돌에 의해 제 2 안테나 장치(27)가 파손되거나, 제 2 안테나 장치(27)가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에 의하면,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안테나측 케이블(26A)이 접속된 채의 상태에서, 제 1 안테나 장착구(25)로부터 분리하여 열 교환기실(12) 내에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열 교환기실(12)로부터 취출하여 제 1 안테나 장착구(25)에 장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안테나측 케이블(29A)이 접속된 채의 상태에서, 제 2 안테나 장착구(28)로부터 분리하여 펌프실(13) 내에 수용할 수 있고, 또한 펌프실(13)로부터 취출하여 제 2 안테나 장착구(28)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제 1 안테나 장착구(25)에 대하여 장착, 분리할 때에, 안테나측 케이블(26A)을 제 1 안테나 장치(24)에 대하여 접속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제 2 안테나 장착구(28)에 대하여 장착, 분리할 때에, 안테나측 케이블(29A)을 제 2 안테나 장치(27)에 대하여 접속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결과,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를,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로부터 분리하여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에 보관할 때의 작업, 및 보관된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를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에 장착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 11 및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 보호구(35)를 나타내고 있다. 케이블 보호구(35)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 보호구(32) 대신에 본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것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 보호구(35)는,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접속된 안테나측 케이블(26A)과 상면 커버(20)의 컷아웃 홈(31)의 사이, 및 제 2 안테나 장치(27)에 접속된 안테나측 케이블(29A)과 상면 커버(20)의 컷아웃 홈(34)의 사이에 마련된다. 케이블 보호구(35)는, 컷아웃 홈(31, 34)이 장착되는 C자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블 보호구(35)는, 내주측이 케이블 삽입 통과 구멍(35A)이 되고, 외주측에 잘록부(35B)가 형성된 환상체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컷아웃부(35C)를 마련함으로써, 전체적으로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보호구(35)는, 상면 커버(20)의 컷아웃 홈(31)에 잘록부(35B)를 계합시킴으로써, 미리 컷아웃 홈(31)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열 교환기실(12)에 수용할 때에는,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접속된 안테나측 케이블(26A)의 도중 부위를, 미리 컷아웃 홈(31)에 장착된 케이블 보호구(35)의 케이블 삽입 통과 구멍(35A)에, 컷아웃부(35C)를 통해 가로 방향으로부터 삽입 통과할 수 있다(도 12 참조). 마찬가지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펌프실(13)에 수용할 때에는, 제 2 안테나 장치(27)에 접속된 안테나측 케이블(29A)의 도중 부위를, 미리 컷아웃 홈(34)에 장착된 케이블 보호구(35)의 케이블 삽입 통과 구멍(35A)에, 컷아웃부(35C)를 통해 가로 방향으로부터 삽입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C자 형상의 케이블 보호구(35)를 이용함으로써, 안테나측 케이블(26A)과 컷아웃 홈(31)의 사이에 케이블 보호구(35)를 마련하고, 안테나측 케이블(29A)과 컷아웃 홈(34)의 사이에 케이블 보호구(35)를 마련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셔블(1)의 상부 선회체(3)는, 구조물 커버(11) 내에 마련되고,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로부터 분리된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를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이 접속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안테나 수용실(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과,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 내에 마련되고,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로부터 분리된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를 보지하는 제 1, 제 2 안테나 보지구(30, 33)를 구비하며, 구조물 커버(11)는,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을 개폐 가능하게 덮음과 함께,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을 닫은 상태에서 시정 가능한 좌측 후측면 도어(16), 우측면 도어(1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안테나측 케이블(26A)이 접속된 채의 상태에서, 제 1 안테나 장착구(25)로부터 분리하여 열 교환기실(12) 내에 수용할 수 있고, 또한 열 교환기실(12)로부터 취출하여 제 1 안테나 장착구(25)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안테나측 케이블(29A)이 접속된 채의 상태에서, 제 2 안테나 장착구(28)로부터 분리하여 펌프실(13) 내에 수용할 수 있고, 또한 펌프실(13)로부터 취출하여 제 2 안테나 장착구(28)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를,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로부터 분리하여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에 보관할 때의 작업, 및 보관된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를 제 1, 제 2 안테나 장착구(25, 28)에 장착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면 커버(20) 또는 좌측 후측면 도어(16), 우측면 도어(19)에는,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가 열 교환기실(12), 펌프실(13)에 수용되었을 때에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이 삽입 통과되는 케이블 삽입 통과부(컷아웃 홈(31, 34))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면 커버(20)와 좌측 후측면 도어(16)의 사이에 안테나측 케이블(26A)을 끼우지 않고,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수용한 열 교환기실(12)을 좌측 후측면 도어(16)에 의해 폐색할 수 있다. 또한, 상면 커버(20)와 우측면 도어(19)의 사이에 안테나측 케이블(29A)을 끼우지 않고,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수용한 펌프실(13)을 우측면 도어(19)에 의해 폐색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케이블 삽입 통과부는, 좌측 후측면 도어(16), 우측면 도어(19)가 닫힌 상태에서 상면 커버(20) 또는 좌측 후측면 도어(16), 상면 커버(20) 또는 우측면 도어(19)에 마련되고, 단부가 개구단(31A, 34A)으로 된 컷아웃 홈(31, 3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은, 좌측 후측면 도어(16), 우측면 도어(19)가 열린 상태에서 개구단(31A, 34A)을 통해 가로 방향으로부터 컷아웃 홈(31, 34)에 삽입 통과된다. 따라서, 상면 커버(20)와 좌측 후측면 도어(16), 우측면 도어(19)의 사이에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 또는 컷아웃 홈(31, 34)에는, 컷아웃 홈(31, 34)에 감합되고,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이 컷아웃 홈(31, 34)에 삽입 통과되었을 때에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구(3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이 컷아웃 홈(31, 34)에 마찰로 손상되는 것을, 케이블 보호구(32)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보호구(32)는,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이 장착되는 환상체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보호구(32)의 내주측에는 축 방향으로부터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이 삽입 통과되고, 케이블 보호구(32)의 외주측은 컷아웃 홈(31, 34)에 감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에 미리 케이블 보호구(32)를 장착하고, 이 케이블 보호구(32)를 컷아웃 홈(31, 34)에 장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보호구(35)는, 컷아웃 홈(31, 34)이 장착되는 C자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케이블 보호구(35)의 내주측에는 직경 방향으로부터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이 삽입 통과되고, 케이블 보호구(35)의 외주측은 컷아웃 홈(31, 34)에 감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컷아웃 홈(31, 34)에 미리 케이블 보호구(35)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 케이블 보호구(35)의 내주측에 안테나측 케이블(26A, 29A)을 삽입 통과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구조물 커버(11) 내에는,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된 열 교환기(9)를 수용하는 열 교환기실(12)이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 수용실은, 열 교환기실(1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열 교환기실(12)을 이용하여,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수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안테나 보지구(30)는, 구조물 커버(11)를 지지하는 좌측 후방 서포트 부재(15A)에 장착되고, 제 1 안테나 보지구(30)는, 제 1 안테나 장치(24)를 보지했을 때에 제 1 안테나 장치(24)가 열 교환기(9)에 공급되는 냉각풍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열 교환기(9)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열 교환기(9)에 공급되는 냉각풍이, 제 1 안테나 장치(24)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억제하여, 열 교환기(9)에 대하여 충분한 냉각풍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구조물 커버(11) 내에는, 상부 선회체(3)에 탑재된 엔진(7)을 수용하는 엔진실과 유압 펌프(8)를 수용하는 펌프실(13)을 구분하는 칸막이 부재(14)가 마련되며, 상기 안테나 수용실은, 펌프실(13)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안테나 보지구(33)는, 칸막이 부재(14)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 부재(14)를 이용하여, 펌프실(13) 내에 제 2 안테나 보지구(33)를 배치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부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안테나 장치(24)와, 상부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안테나 장치(27)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 수용실은,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수용하는 제 1 안테나 수용실과, 제 2 안테나 장치(27)를 수용하는 제 2 안테나 수용실에 의해 구성되고, 제 1 안테나 수용실은 열 교환기실(1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 2 안테나 수용실은 펌프실(1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좌우 방향으로 이간하여 상부 선회체(3)에 마련된 제 1, 제 2 안테나 장치(24, 27)를, 열 교환기실(12) 및 펌프실(13)을 이용하여 개별로 수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안테나 장치(24)는, 상부 선회체(3)에 장착된 제 1 안테나 장착구(25)에 감합하는 감합 구멍(24A)을 가지며, 제 1 안테나 보지구(30)는, 좌측 후방 서포트 부재(15A)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30A)와, 베이스 부재(30A)에 장착되어 상향으로 돌출하고, 제 1 안테나 장치(24)의 감합 구멍(24A)이 감합하는 돌출 부재(3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안테나 장착구(25)로부터 분리한 제 1 안테나 장치(24)를, 제 1 안테나 보지구(30)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 삽입 통과부로서의 컷아웃 홈(31, 34)을, 구조물 커버(11)의 상면 커버(20)에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좌측 후측면 도어(16)에 컷아웃 홈(31)을 형성하고, 우측면 도어(19)에 컷아웃 홈(34)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안테나 보지구(30)를, 좌측 후방 서포트 부재(15A)에 장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좌측 중간 서포트 부재(15B)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안테나 보지구(33)를, 칸막이 부재(14)에 장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우측 서포트 부재(18)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1 : 유압 셔블
2 : 하부 주행체(차체)
3 : 상부 선회체(차체)
4 : 작업 장치
5 : 선회 프레임(차체 프레임)
8 : 유압 펌프
9 : 열 교환기
11 : 구조물 커버
12 : 열 교환기실(제 1 안테나 수용실)
13 : 펌프실(제 2 안테나 수용실)
14 : 칸막이 부재
15A : 좌측 후방 서포트 부재(서포트 부재)
16 : 좌측 후측면 도어
19 : 우측면 도어
24 : 제 1 안테나 장치
24A : 감합 구멍
25 : 제 1 안테나 장착구
26 : 제 1 케이블
27 : 제 2 안테나 장치
28 : 제 2 안테나 장착구
29 : 제 2 케이블
30 : 제 1 안테나 보지구
30A : 베이스 부재
30B : 돌출 부재
31, 34 : 컷아웃 홈(케이블 삽입 통과부)
31A, 34A : 개구단
32, 35 : 케이블 보호구
33 : 제 2 안테나 보지구
33A : 베이스 부재

Claims (11)

  1. 자주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측에 마련된 작업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체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마련된 구조물 커버와,
    상기 차체에 마련된 안테나 장착구와,
    상기 안테나 장착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케이블을 개재하여 컨트롤러에 접속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상기 구조물 커버 내에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 장착구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테나 장치를 상기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에서 수용하는 안테나 수용실과,
    상기 안테나 수용실 내에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 장착구로부터 분리된 상기 안테나 장치를 보지하는 안테나 보지구를 구비하며,
    상기 구조물 커버는, 상기 안테나 수용실을 개폐 가능하게 덮음과 함께, 상기 안테나 수용실을 닫은 상태에서 시정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커버 또는 상기 도어에는, 상기 안테나 장치가 상기 안테나 수용실에 수용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블이 삽입 통과되는 케이블 삽입 통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삽입 통과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 커버 또는 상기 도어에 마련된 단부가 개구단으로 된 컷아웃 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컷아웃 홈에는, 상기 컷아웃 홈에 감합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컷아웃 홈에 삽입 통과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보호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구는, 상기 케이블에 장착되는 환상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보호구의 내주측에는 축 방향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삽입 통과되고, 상기 케이블 보호구의 외주측은 상기 컷아웃 홈에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구는, 상기 컷아웃 홈에 장착되는 C자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블 보호구의 내주측에는 직경 방향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삽입 통과되고, 상기 케이블 보호구의 외주측은 상기 컷아웃 홈에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커버 내에는, 상기 차체에 탑재된 열 교환기를 수용하는 열 교환기실이 마련되며,
    상기 안테나 수용실은, 상기 열 교환기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보지구는, 상기 구조물 커버를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안테나 보지구는, 상기 안테나 장치를 보지했을 때에 상기 안테나 장치가 상기 열 교환기에 공급되는 냉각풍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상기 열 교환기와 포개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커버 내에는, 상기 차체에 탑재된 원동기를 수용하는 원동기실과 유압 펌프를 수용하는 펌프실을 구분하는 칸막이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 수용실은, 상기 펌프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보지구는, 상기 칸막이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차체의 좌우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안테나 장치와, 상기 차체의 좌우 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안테나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 수용실은, 상기 제 1 안테나 장치를 수용하는 제 1 안테나 수용실과, 상기 제 2 안테나 장치를 수용하는 제 2 안테나 수용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1 안테나 수용실은, 상기 차체에 탑재된 열 교환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 커버 내에 마련된 열 교환기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 2 안테나 수용실은, 상기 차체에 탑재된 유압 펌프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 커버 내에 마련된 펌프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차체에 장착된 상기 안테나 장착구에 감합하는 감합 구멍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 보지구는, 상기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어 상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의 상기 감합 구멍이 감합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237008128A 2020-12-10 2021-11-10 건설 기계 KR202300471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05001 2020-12-10
JP2020205001 2020-12-10
PCT/JP2021/041287 WO2022123986A1 (ja) 2020-12-10 2021-11-10 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175A true KR20230047175A (ko) 2023-04-06

Family

ID=8197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8128A KR20230047175A (ko) 2020-12-10 2021-11-10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6641A1 (ko)
EP (1) EP4186753A1 (ko)
JP (1) JP7339454B2 (ko)
KR (1) KR20230047175A (ko)
CN (1) CN116234721A (ko)
WO (1) WO202212398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1320A (ja) 2013-07-22 2015-02-0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gps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676A (ja) 2001-04-26 2002-11-08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アンテナ装置
JP4761382B2 (ja) 2006-08-04 2011-08-31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
JP2012219516A (ja) * 2011-04-08 2012-11-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CN103890274B (zh) 2012-11-13 2015-09-30 株式会社小松制作所 液压挖掘机
JP6999512B2 (ja) 2018-07-02 2022-01-18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1320A (ja) 2013-07-22 2015-02-0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gpsアンテ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34721A (zh) 2023-06-06
JPWO2022123986A1 (ko) 2022-06-16
EP4186753A1 (en) 2023-05-31
WO2022123986A1 (ja) 2022-06-16
US20240026641A1 (en) 2024-01-25
JP7339454B2 (ja)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836B1 (ko) 건설 기계의 후방 감시 장치
KR102082840B1 (ko) 소형의 건설 기계
JP2007205100A (ja) 建設機械の車体フレームおよび建設機械
KR102078235B1 (ko) 소형의 건설 기계
JP6461990B2 (ja) 作業車両
JP2020045630A (ja) 電動式建設機械
US11499288B2 (en) Hydraulic excavator
KR20230047175A (ko) 건설 기계
CN113939422A (zh) 电动式工程机械
JP2007217922A (ja) 建設機械
WO2017047130A1 (ja) 小型の建設機械
JP7301761B2 (ja) 建設機械
CN110226009B (zh) 液压挖掘机
JP3792141B2 (ja) ガード部材格納構造付き建設機械
EP3828348B1 (en) Construction machine
JPH11131529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US20240018747A1 (en) Construction machine
JP7301720B2 (ja) 建設機械
US20240018748A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18035671A (ja) 作業車両
JP2019203333A (ja) 建設機械
JP7377776B2 (ja) 建設機械
JP2020153169A (ja) 作業用車両の収納装置
JP2021006696A (ja) 建設機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