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793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793B1
KR102573793B1 KR1020217006716A KR20217006716A KR102573793B1 KR 102573793 B1 KR102573793 B1 KR 102573793B1 KR 1020217006716 A KR1020217006716 A KR 1020217006716A KR 20217006716 A KR20217006716 A KR 20217006716A KR 102573793 B1 KR102573793 B1 KR 102573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oil
oil tank
mounting portion
tan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459A (ko
Inventor
히로아키 후지시마
쇼헤이 가미야
도모유키 사이토
다다시 나카노
나오키 요케무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7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draining or emptying a fuel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6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being part of the chassis 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작동유 탱크(17)는,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와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와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와의 사이에는, 상부 선회체(3)의 좌, 우 방향의 외측이 개구(23A)가 된 공간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간부(23)의 개구(23A)에는, 개구(23A)를 도어 개방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커버(25D)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개시는, 예를 들면, 차체 프레임 상에 저유(貯油) 탱크가 마련된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전, 후 방향으로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에 부앙(俯仰)의 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된 프론트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는, 베이스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을 갖고 있다. 이 선회 프레임에는, 좌, 우 방향의 일측(一側)에 위치하여 탱크 장착 부위가 마련되어 있다. 탱크 장착 부위에는, 유액(油液)을 저장하는 저유 탱크, 예를 들면, 연료 탱크와 작동유 탱크가 마련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42994호 공보
여기서, 연료 탱크 내에는, 조악(粗惡) 연료를 사용한 것에 의한 이물(異物)의 혼입, 결로나 우천시의 급유 작업에 의한 수분의 혼입 등이 발생한다. 이들 이물이나 수분으로 이루어지는 폐액은, 연료 탱크 내에 녹을 발생시키거나, 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거나 한다. 이 때문에, 연료 탱크로부터 폐액을 발취하는 메인티넌스를 일상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연료 탱크 내의 폐액은, 연료보다 무겁기 때문에 연료 탱크의 저면부에 침전하기 때문에,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는, 연료 탱크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있다. 또, 연료 탱크는, 선회 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구를 개폐하는 작업은, 선회 프레임의 하면측으로부터 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배출구를 육안으로 보기 위하여, 선회 프레임의 하측에 기어들어가거나, 한쪽 손으로 폐액을 받을 트레이를 들거나 해야만 해서,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작동유 탱크에 있어서도, 작동유가 순환하고 있는 동안에, 슬라이딩에 의해서 발생한 각종 마모분(粉), 열화된 작동유, 결로에 의해서 발생한 수분 등의 폐액이 저면부에 침전된다. 이 때문에, 폐액을 발취하는 메인티넌스를 일상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으며, 연료 탱크와 마찬가지의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유압 셔블에는, 좁은 작업 현장에서도 선회 동작할 수 있도록 상부 선회체를 소형화한 소(小)선회기라고 불리는 기종이 있다. 이 소선회식의 유압 셔블에서는, 선회 프레임 상의 설치 공간이 한정되기 때문에, 공구 등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해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목적은, 저유 탱크의 메인티넌스성을 향상함과 함께, 공구 등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차체와, 상기 차체의 좌, 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서 상기 차체의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좌 사이드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우측에서 상기 차체의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우 사이드 프레임을 갖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의 좌, 우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여 마련된 탱크 장착 부위와, 상기 탱크 장착 부위에 마련되어 유액을 저장하는 저유 탱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탱크 장착 부위에는, 상기 탱크 장착 부위로부터 상기 저유 탱크의 저면부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상기 저유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대가 마련되고, 상기 저유 탱크는, 상기 좌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우 사이드 프레임 중 일방(一方)의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탱크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탱크 장착 부위와 상기 저유 탱크의 상기 저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센터 프레임과 반대측이 되는 상기 차체의 좌, 우 방향의 외측이 개구로 된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의 개구에는, 상기 개구를 도어 개방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저유 탱크의 메인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는 데다가, 공구 등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을 프론트 장치를 생략한 상태에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상부 선회체를 외장 커버를 생략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선회 프레임, 작동유 탱크, 탱크 지지대, 공간부, 공구 받이, 연료 탱크 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개폐 커버를 열어 공간부를 개방한 상부 선회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선회 프레임, 작동유 탱크, 탱크 지지대, 공간부, 공구 받이, 연료 탱크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 중의 선회 프레임과 각 탱크 지지대와 작동유 탱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탱크 지지대를 단체(單體)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 후방(後方)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8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크롤러식의 건설 기계를 구성하고 있다. 이 유압 셔블(1)은, 전, 후 방향으로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의 전, 후 방향의 전측(前側)에 부앙의 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을 행하는 프론트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의 차폭과 대략 동등한 좌, 우 방향의 폭 치수를 갖고 있다. 또, 상부 선회체(3)는, 후술의 카운터 웨이트(11)가 선회 중심(O)(도 3 참조)에 가까이 가도록 전측(후술의 캡(1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3)가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선회하였을 때에, 카운터 웨이트(11)의 외주면이 대략 하부 주행체(2)의 차폭 내에 들어가는 후방 초소 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은, 상부 선회체(3)의 베이스가 되는 차체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선회 프레임(5)은, 상부 선회체(3)의 좌, 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 프레임(6)과, 센터 프레임(6)의 좌측에서 상부 선회체(3)의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좌 사이드 프레임(7)과, 센터 프레임(6)의 우측에서 상부 선회체(3)의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우 사이드 프레임(8)을 갖고 있다.
센터 프레임(6)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꺼운 강판(鋼板)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판(6A)과, 저판(6A) 상에 세워 설치되고, 좌, 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 세로판(6B), 우 세로판(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좌 세로판(6B)과 우 세로판(6C)의 전측에는, 프론트 장치(4)가 부앙의 동작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부(後部)에는 카운터 웨이트(11)가 장착되어 있다. 좌 사이드 프레임(7)은, 센터 프레임(6)으로부터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좌 돌출 빔(도시 생략)을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우 사이드 프레임(8)은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우 사이드 프레임(8)은, 전, 후 방향의 전부(前部)가 좌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우 사이드 프레임(8)은, 내부가 공동(空洞)이 된 단면이 D자 형상인 구조체(D 프레임)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는, 평탄한 상면(8A)이 되어 있다. 우 사이드 프레임(8)은, 후술하는 오른쪽 앞 돌출 빔(9), 오른쪽 뒤 돌출 빔(10)을 개재하여 센터 프레임(6)의 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오른쪽 앞 돌출 빔(9) 및 오른쪽 뒤 돌출 빔(10)은, 센터 프레임(6)의 우측에 우 사이드 프레임(8)을 지지하고 있다. 오른쪽 앞 돌출 빔(9) 및 오른쪽 뒤 돌출 빔(10)은, 전, 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 전, 후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배치되고, 각각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오른쪽 앞 돌출 빔(9) 및 오른쪽 뒤 돌출 빔(10)은, 좌측이 센터 프레임(6)에 장착되고, 우측이 우 사이드 프레임(8)에 장착되어 있다.
오른쪽 앞 돌출 빔(9)은, 좌, 우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좌측의 상부가 연료 탱크 장착 부위(9A)가 되고, 중간부로부터 우측의 상부가 탱크 장착 부위로서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가 되어 있다. 연료 탱크 장착 부위(9A)는, 연료 탱크(16)를 지지하는 것으로,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보다 높이 치수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는, 연료 탱크 장착 부위(9A)보다 높고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과 동등한 높이 치수를 갖고 있다.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는, 후술하는 탱크 지지대(18)를 개재하여 작동유 탱크(17)의 전측 부분을 지지하고 있다.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에는, 좌, 우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 개, 예를 들면, 2개의 나사 구멍(9B1)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에는, 각 나사 구멍(9B1)에 나사 부착되는 프레임측 볼트(22)를 이용하여 탱크 지지대(18)의 하 장착판(18A)이 장착되어 있다.
오른쪽 뒤 돌출 빔(10)은, 오른쪽 앞 돌출 빔(9)과 마찬가지로, 좌측의 상부가 연료 탱크 장착 부위(10A)가 되고, 우측의 상부가 탱크 장착 부위로서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가 되어 있다. 또,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에는, 좌, 우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2개의 나사 구멍(10B1)이 마련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에는, 각 나사 구멍(10B1)에 나사 부착되는 프레임측 볼트(22)를 이용하여 탱크 지지대(19)의 하 장착판(19A)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와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는,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과 동등한 높이 치수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와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에 마련한 공구 받이(24) 및 공구류는, 우 사이드 프레임(8)에 방해받지 않고, 후술의 공간부(23)에 용이하게 꺼내고 넣을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카운터 웨이트(11)는, 선회 프레임(5)의 센터 프레임(6)의 후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카운터 웨이트(11)는, 프론트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기 위하여, 좌, 우 방향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돌출한 원호상의 중량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11)는, 상부 선회체(3)의 선회 반경이 작아지도록, 선회 프레임(5)의 선회 중심(O)에 가까운 전측쪽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12)은, 카운터 웨이트(11)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놓기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엔진(12)의 좌측에는, 라디에이터, 오일 쿨러, 인터쿨러를 포함하는 열 교환 장치(13)가 배치되어 있다. 엔진(12)의 우측에는, 작동유를 압유로서 토출하는 유압 펌프(14)가 장착되어 있다.
캡(15)은, 선회 프레임(5)의 왼쪽 전측에 탑재되고, 오퍼레이터가 탑승한다. 캡(15)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 주행용의 조작 레버, 작업용의 조작 레버, 각종 스위치류(모두 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16)는, 선회 프레임(5)의 우측에 마련되고, 저유 탱크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탱크(16)는, 센터 프레임(6)의 우 세로판(6C)의 우측에 근접하여 대면해 있다. 연료 탱크(16)는,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연료 탱크 장착 부위(9A)와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연료 탱크 장착 부위(10A)에 장착되어 있다. 연료 탱크(16)는 전면부(16A), 후면부(16B), 좌면부(16C), 우면부(16D), 저면부(도시 생략), 천장면부(16E)로 이루어지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방체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연료 탱크(16)는, 엔진(12)에 공급하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하여, 천장면부(16E)에는,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급유구(16F)가 마련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7)는, 저유 탱크를 구성하기 위하여, 연료 탱크(16)의 우측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7)는, 하부 주행체(2), 프론트 장치(4)에 마련된 각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유액으로서 작동유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유 탱크(17)의 전측 부분은, 후술의 탱크 지지대(18)를 이용하여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에 장착되어 있다. 또, 작동유 탱크(17)의 후측 부분은, 탱크 지지대(19)를 이용하여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작동유 탱크(17)는,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7)는 전면부(17A), 후면부(17B), 좌면부(17C), 우면부(17D), 저면부(17E), 천장면부(17F)로 이루어지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된 직방체상의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17E)에는,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전 나사 시트(17G), 후 나사 시트(17H)가 마련되어 있다. 전 나사 시트(17G) 및 후 나사 시트(17H)에는, 후술의 탱크측 볼트(21)가 나사 부착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에는,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7J)이 하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17)에서는, 작동유가 유압 펌프(14), 컨트롤 밸브(도시 생략), 각종 액추에이터를 순환하고 있는 동안에, 슬라이딩에 의해서 발생한 각종 마모분, 열화된 작동유, 결로에 의해서 발생한 수분을 포함하는 폐액이 저면부(17E)에 침전된다. 이 때문에, 작동유 탱크(17)는, 폐액을 발취하는 메인티넌스를 일상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에는, 작동유 탱크(17) 내에 혼입되어 침전된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7K)이 하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특징 부분이 되는 탱크 지지대(18), 탱크 지지대(19), 공간부(2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는, 작동유 탱크(17)를 선회 프레임(5) 상에 지지하고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측에 위치하는 탱크 지지대(18)는, 선회 프레임(5)을 구성하는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 상에 장착되어 있다. 또, 후측에 위치하는 탱크 지지대(19)는, 선회 프레임(5)을 구성하는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 상에 장착되어 있다. 탱크 지지대(18)는,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로부터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17)를 지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탱크 지지대(19)는,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로부터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17)를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는, 작동유 탱크(17)를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이 되는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지지하고 있다. 이 경우,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으로부터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까지의 치수는, 작동유 탱크(17)의 공급관(17J)에 다른 관체(管體)(도시 생략)를 접속할 수 있고, 공구 받이(24)를 꺼내고 넣을 수 있고, 공구류를 꺼내고 넣을 수 있음과 함께, 배출관(17K)을 이용한 배액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상, 하 방향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측에 위치하는 탱크 지지대(18)는,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를 따라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상의 하 장착판(18A)과, 하 장착판(18A)의 연부(緣部)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벽판(18B)과, 벽판(18B)의 상단(上端)부에 하 장착판(18A)과 평행하게 장착된 상 장착판(18C)을 구비하고 있다. 상 장착판(18C)에는, 좌, 우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2개의 볼트 삽통(揷通) 구멍(18D)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 장착판(18A)에는,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의 각 나사 구멍(9B1)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볼트 삽통 구멍(18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 장착판(18A)에는, 상 장착판(18C)의 각 볼트 삽통 구멍(18D)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체결용 개구(18F)가 형성되어 있다.
하 장착판(18A)은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에 장착되어 있다. 또, 상 장착판(18C)은 작동유 탱크(17)의 전 나사 시트(17G)에 장착되어 있다. 벽판(18B)은, 좌, 우 방향의 양측이 후측을 향하여 굴곡짐으로써 횡단면이 C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벽판(18B)은, 작동유 탱크(17)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
후측에 위치하는 탱크 지지대(19)는, 전측에 위치하는 탱크 지지대(18)와 전, 후 방향에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후측의 탱크 지지대(19)는, 전측의 탱크 지지대(18)와 대응하는 구성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즉, 후측의 탱크 지지대(19)는, 하 장착판(19A), 벽판(19B), 상 장착판(19C), 볼트 삽통 구멍(19D, 19E), 체결용 개구(19F)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탱크 지지대(18)의 벽판(18B)은, 후술하는 공간부(23)의 전측을 칸막이하는 칸막이판을 겸하고 있다. 한편, 탱크 지지대(19)의 벽판(19B)은, 후술하는 공간부(23)의 후측을 칸막이하는 칸막이판을 겸하고 있다. 또, 탱크 지지대(18)의 벽판(18B)과 탱크 지지대(19)의 벽판(19B)과의 사이에는,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상의 안쪽판(2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안쪽판(20)은, 공간부(23)의 안쪽부(좌측)를 칸막이하는 칸막이판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탱크 지지대(18)의 벽판(18B), 탱크 지지대(19)의 벽판(19B) 및 안쪽판(20)은, 개구(23A)를 제외하고 공간부(23)의 주위를 둘러싸는 칸막이판을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안쪽판(20)은, 후술하는 공구 받이(24)에 수용된 공구류가 연료 탱크(16)의 우면부(16D)에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를 이용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작동유 탱크(17)를 장착하는 작업의 일례에 대하여 서술한다. 탱크 지지대(18)의 상 장착판(18C)을 작동유 탱크(17)의 전 나사 시트(17G)에 맞닿게 하고, 볼트 삽통 구멍(18D)에 삽통시킨 탱크측 볼트(21)를 전 나사 시트(17G)에 나사 부착한다. 마찬가지로, 탱크 지지대(19)의 상 장착판(19C)을 작동유 탱크(17)의 후 나사 시트(17H)에 맞닿게 하고, 볼트 삽통 구멍(19D)에 삽통시킨 탱크측 볼트(21)를 후 나사 시트(17H)에 나사 부착한다. 이에 의해,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를 작동유 탱크(17)에 장착할 수 있다. 이 탱크측 볼트(21)의 체결 작업에서는, 체결용 개구(18F, 19F)에 임팩트 렌치 등의 체결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체결 공구를 이용하여 탱크측 볼트(21)를 간단히 죄거나 풀거나 할 수 있다.
작동유 탱크(17)에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를 장착하면, 탱크 지지대(18)의 하 장착판(18A)을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에 얹고, 볼트 삽통 구멍(18E)에 삽통시킨 프레임측 볼트(22)를 나사 구멍(9B1)에 나사 부착한다. 또, 탱크 지지대(19)의 하 장착판(19A)을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에 얹고, 볼트 삽통 구멍(19E)에 삽통시킨 프레임측 볼트(22)를 나사 구멍(10B1)에 나사 부착한다. 이에 의해,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를 선회 프레임(5)에 장착할 수 있다.
공간부(23)는,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와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와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와의 사이에 유틸리티실(室)로서 마련되어 있다. 공간부(23)는, 전측이 탱크 지지대(18)의 벽판(18B)에 폐색되고, 후측이 탱크 지지대(19)의 벽판(19B)에 폐색되고, 좌측이 안쪽판(20)에 폐색되어 있다. 또, 공간부(23)는, 상측이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에 폐색되고, 하측이 후술의 공구 받이(24)에 폐색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간부(23)는, 선회 프레임(5)의 센터 프레임(6)과 반대측이 되는 상부 선회체(3)의 좌, 우 방향의 외측, 즉, 우측이 개구(23A)가 되어 있다.
여기서, 공간부(23)(개구(23A))의 크기는, 작동유 탱크(17)의 공급관(17J)에 다른 관체(도시 생략)를 접속할 수 있고, 공구 받이(24)를 꺼내고 넣을 수 있고, 공구류를 꺼내고 넣을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공간부(23)(개구(23A))의 크기는, 개구(23A)로부터 손을 넣어 배출관(17K)을 통하여 배액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구(23A)는, 선회 프레임(5)의 우 사이드 프레임(8), 카운터 웨이트(11), 작동유 탱크(17) 및 오른쪽 앞 커버(25A)에 둘러싸인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구 받이(24)는, 공간부(23)에 수용되고, 공구류를 받는다. 일례로서는, 공구 받이(24)에는, 버킷 클로(claw) 등의 소모품, 그리스 건 등의 메인티넌스용의 공구(모두 도시 생략)를 수용할 수 있다. 또, 이들 버킷 클로 등의 소모품, 그리스 건 등의 메인티넌스용의 공구는, 개구(23A)로부터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공구 받이(24)는, 예를 들면, 장방형상을 한 바닥이 얇은 용기(트레이)로서 형성되어 있다. 공구 받이(24)는,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와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의 상부, 예를 들면, 탱크 지지대(18)의 하 장착판(18A)과 탱크 지지대(19)의 하 장착판(19A)과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공구 받이(24)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탑재하는 것만으로도 좋고, 볼트, 나비 나사 등을 이용하여 떼어낼 수 있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공구 받이(24)는, 작동유 탱크(17)의 내부에 침전한 폐액을 배출관(17K)으로부터 배출할 때의 트레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유 탱크(17) 내에 침전된 폐액을 배출하였 때에는, 아무데나 흘리지 않고, 폐액을 공구 받이(24)로 받을 수 있다. 폐액을 받은 공구 받이(24)는, 개구(23A)를 통하여 공간부(23)의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장 커버(25)는, 선회 프레임(5)에 탑재된 각종 기기류를 덮고 있다. 외장 커버(25)는, 캡(15)과 좌, 우 방향의 반대측이 되는 오른쪽 전측에 위치하는 오른쪽 앞 커버(25A)와, 캡(15)과 카운터 웨이트(11)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엔진(12) 등의 상측을 덮는 엔진 커버(25B)와, 작동유 탱크(17)의 우측면을 덮는 탱크 커버(25C)와, 탱크 커버(25C)의 하측에 위치하여 공간부(23)의 개구(23A)를 덮는 개폐 커버(25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개폐 커버(25D)는, 공간부(23)의 개구(23A)에 마련되고, 이 개구(23A)를 도어 개방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다. 개폐 커버(25D)는,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장방형상의 개구(23A)에 대응하도록, 이 개구(23A)를 폐색하는 장방형상의 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개폐 커버(25D)는, 예를 들면, 전단(前端)부가 오른쪽 앞 커버(25A)의 후단(後端)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개폐 커버(25D)의 후부는, 우 사이드 프레임(8), 카운터 웨이트(11), 작동유 탱크(17) 등의 구조물에 계합(係合), 이탈 가능하고 또한 시정(施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 커버(25D)는, 후단부 또는 하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으로, 유압 셔블(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15)에 탑승한 오퍼레이터는, 엔진(12)을 시동하여 유압 펌프(14)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유압 펌프(14)로부터의 압유는, 컨트롤 밸브를 통하여 각종 액추에이터에 공급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주행용의 조작 레버를 조작하였을 때에는, 하부 주행체(2)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용의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프론트 장치(4)를 동작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유 탱크(17)에서는, 작동유가 유압 펌프(14), 컨트롤 밸브, 각종 액추에이터를 순환하고 있는 동안에, 슬라이딩에 의해서 발생한 각종 마모분, 열화된 작동유, 결로에 의해서 발생한 수분 등의 폐액이 저면부(17E)에 침전되어 퇴적된다. 그래서, 작동유 탱크(17) 내의 폐액을 발취하는 작업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폐액의 배출 작업에서는, 외장 커버(25)의 개폐 커버(25D)를 열어, 공간부(23)의 개구(23A)를 개방시킨다. 이 상태에서, 공간부(23)에 손을 뻗어, 작동유 탱크(17)의 배출관(17K)을 폐색하고 있는 플러그(도시 생략)를 스패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떼어낸다. 이에 의해, 작동유 탱크(17) 내의 폐액은, 배출관(17K)으로부터 공구 받이(24)에 배출된다. 작동유 탱크(17) 내의 폐액을 배출하면, 배출관(17K)에 플러그를 장착하여 폐색한다. 또, 폐액을 받은 공구 받이(24)는, 개구(23A)를 통하여 공간부(23)의 외부로 취출할 수 있고, 폐액은 소정의 폐액 용기에 버릴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회 프레임(5)을 형성하는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에는,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로부터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17)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대(18)가 마련되어 있다. 또, 선회 프레임(5)을 형성하는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에는,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로부터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작동유 탱크(17)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대(19)가 마련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7)는, 우 사이드 프레임(8)의 상면(8A)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와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와 작동유 탱크(17)의 저면부(17E)와의 사이에는, 상부 선회체(3)의 좌, 우 방향의 외측이 개구(23A)가 된 공간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와 관련하여, 공간부(23)의 개구(23A)에는, 개구(23A)를 도어 개방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커버(25D)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선회 프레임(5)과 작동유 탱크(17)와의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마련한 공간부(23)는, 유틸리티실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공간부(23)에는, 버킷 클로 등의 소모품, 그리스 건 등의 메인티넌스용의 공구를 수용할 수 있다. 또, 버킷 클로 등의 소모품, 그리스 건 등의 메인티넌스용의 공구는, 공간부(23)의 외측의 개구(23A)를 통하여 용이하게 꺼내고 넣을 수 있다.
그 결과, 각종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선회체(3)의 설치 공간이 작은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1)에 있어서도, 유틸리티실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공간부(23)의 개구(23A)는, 개폐 커버(25D)에 의해서 도어 개방 가능하게 폐색할 수 있기 때문에, 버킷 클로 등의 소모품, 그리스 건 등의 메인티넌스용의 공구 등의 도난, 장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외관의 돋보임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공간부(23)에는 공구 받이(24)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공구 받이(24)에는, 버킷 클로 등의 소모품, 그리스 건 등의 메인티넌스용의 공구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또, 공구 받이(24)는, 작동유 탱크(17)의 내부에 침전된 폐액을 배출관(17K)으로부터 배출할 때의 트레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유 탱크(17)로부터 배출된 폐액은, 아무데나 흘리지 않고, 공구 받이(24)로 받을 수 있어,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탱크 지지대(18)와 탱크 지지대(19)는, 개구(23A)를 제외하고 공간부(23)의 주위를 둘러싸는 칸막이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간부(23)는, 탱크 지지대(18)의 벽판(18B), 탱크 지지대(19)의 벽판(19B) 및 안쪽판(20)에 의해서 둘러쌀 수 있고, 버킷 클로 등의 소모품, 그리스 건 등의 메인티넌스용의 공구 등을 안정적으로 넣을 수 있다. 또, 안쪽판(20)은, 주행시, 작업시의 진동에 의해서 공구 받이(24)에 수용된 공구류가 뒤흔들린 경우이더라도, 공구류가 연료 탱크(16)의 우면부(16D)에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저유 탱크로서 작동유 탱크(17)를 적용하고, 작동유 탱크(17)와 선회 프레임(5)과의 사이에 공간부(23)를 마련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저유 탱크로서 연료 탱크를 적용하고, 연료 탱크와 선회 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좌, 우 방향의 우측에 오른쪽 앞 돌출 빔(9)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9B), 오른쪽 뒤 돌출 빔(10)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10B), 작동유 탱크(17), 탱크 지지대(18), 탱크 지지대(19), 공간부(23), 개폐 커버(25D)를 마련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아니며, 상부 선회체의 좌, 우 방향의 좌측에 돌출 빔의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 작동유 탱크, 탱크 지지대, 공간부, 개폐 커버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그 이외에도, 유압 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 하부 주행체(차체)
3: 상부 선회체(차체)
5: 선회 프레임(차체 프레임)
6: 센터 프레임
7: 좌 사이드 프레임
8: 우 사이드 프레임
9: 오른쪽 앞 돌출 빔
9B, 10B: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탱크 장착 부위)
10: 오른쪽 뒤 돌출 빔
16: 연료 탱크(저유 탱크)
17: 작동유 탱크(저유 탱크)
17E: 저면부
18, 19: 탱크 지지대
18B, 19B: 벽판(칸막이판)
20: 안쪽판(칸막이판)
23: 공간부
23A: 개구
24: 공구 받이
25: 외장 커버
25D: 개폐 커버

Claims (3)

  1. 차체와,
    상기 차체의 좌, 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센터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좌측에서 상기 차체의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좌 사이드 프레임, 상기 센터 프레임의 우측에서 상기 차체의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우 사이드 프레임을 갖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우 사이드 프레임을 상기 센터 프레임에 지지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의 전, 후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오른쪽 앞 돌출 빔 및 오른쪽 뒤 돌출 빔과,
    상기 오른쪽 앞 돌출 빔의 상부 및 상기 오른쪽 뒤 돌출 빔의 상부의 각각에 마련된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와,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에 마련되어 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 탱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가 마련된 오른쪽 앞 돌출 빔의 상면 및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가 마련된 상기 오른쪽 뒤 돌출 빔의 상면은, 상기 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과 동등한 높이 치수에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오른쪽 앞 돌출 빔의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 및 상기 오른쪽 뒤 돌출 빔의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에는,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로부터 상기 작동유 탱크의 저면부가 상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상기 작동유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대가 상기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는, 상기 좌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우 사이드 프레임 중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탱크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오른쪽 앞 돌출 빔의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와 상기 오른쪽 뒤 돌출 빔의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와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기 저면부와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센터 프레임과 반대측이 되는 상기 차체의 좌, 우 방향의 외측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에는 공구 받이가 상기 오른쪽 앞 돌출 빔의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의 상부와 상기 오른쪽 뒤 돌출 빔의 상기 작동유 탱크 장착 부위의 상부에 떼어낼 수 있게 수용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공구 받이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공간부의 하측은 상기 공구 받이에 의해 폐색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기 개구에는, 상기 개구를 도어 개방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작동유 탱크의 상기 저면부에는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작동유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작동유 탱크는 상기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이 상기 공간부에 들어가도록 상기 탱크 지지대에 지지되고,
    상기 탱크 지지대는 상기 공급관으로의 접속 작업과,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행해지는 배액 작업과, 상기 공구 받이 및 당해 공구 받이에 탑재되는 공구류의 꺼내고 넣기를 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받이는, 공구류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작동유 탱크의 폐액을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배출할 때의 폐액의 트레이가 되도록 바닥이 얇은 용기로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지지대는, 상기 개구를 제외하고 상기 공간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칸막이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KR1020217006716A 2019-01-25 2020-01-22 건설 기계 KR102573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1103 2019-01-25
JP2019011103A JP6964612B2 (ja) 2019-01-25 2019-01-25 建設機械
PCT/JP2020/002103 WO2020153398A1 (ja) 2019-01-25 2020-01-22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459A KR20210039459A (ko) 2021-04-09
KR102573793B1 true KR102573793B1 (ko) 2023-09-01

Family

ID=7173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716A KR102573793B1 (ko) 2019-01-25 2020-01-22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12679A1 (ko)
EP (1) EP3828348B1 (ko)
JP (1) JP6964612B2 (ko)
KR (1) KR102573793B1 (ko)
CN (1) CN112639214B (ko)
WO (1) WO202015339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902A (ja) 2002-04-19 2003-11-06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タンク取り付け装置
JP2009133189A (ja) 2007-11-28 2009-06-18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サイドドアを有したタンクが装着される掘削機
JP2012193575A (ja) * 2011-03-17 2012-10-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固定構造
JP2017166142A (ja) * 2016-03-14 2017-09-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355Y2 (ja) * 1992-03-12 1998-01-14 小松ゼノア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取付装置
JP2591064Y2 (ja) * 1993-03-30 1999-02-24 油谷重工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タンク装置
JPH0725305U (ja) * 1993-10-22 1995-05-12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タンクの取付構造
JPH11245675A (ja) * 1998-03-05 1999-09-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装置
JP2002061224A (ja) * 2000-08-24 2002-02-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JP5152027B2 (ja) * 2009-02-13 2013-02-2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ツールボックス構造
JP5028438B2 (ja) * 2009-03-06 2012-09-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1042994A (ja) 2009-08-21 2011-03-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101485469B1 (ko) * 2011-03-02 2015-01-22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저유 탱크 및 건설 차량
JP5404680B2 (ja) * 2011-03-17 2014-02-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動油タンク取り付け構造
WO2012165668A1 (ko) * 2011-05-30 2012-12-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연료탱크
JP5615763B2 (ja) * 2011-06-14 2014-10-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3703190B (zh) * 2011-08-09 2016-02-24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WO2013137169A1 (ja) * 2012-03-16 2013-09-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9186982B2 (en) * 2012-08-24 2015-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tank pressure-relief vent to prevent ejection of fuel during refill
US9663919B2 (en) * 2013-07-08 2017-05-3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Construction machine
CN104395182B (zh) * 2014-08-25 2017-03-01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JP6495082B2 (ja) * 2015-04-17 2019-04-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487317B2 (ja) * 2015-12-26 2019-03-20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小型の建設機械
KR20180104901A (ko) * 2017-03-14 2018-09-27 신호연 오일 저장탱크의 물 배출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902A (ja) 2002-04-19 2003-11-06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タンク取り付け装置
JP2009133189A (ja) 2007-11-28 2009-06-18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サイドドアを有したタンクが装着される掘削機
JP2012193575A (ja) * 2011-03-17 2012-10-1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固定構造
JP2017166142A (ja) * 2016-03-14 2017-09-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459A (ko) 2021-04-09
CN112639214A (zh) 2021-04-09
US20220112679A1 (en) 2022-04-14
EP3828348A4 (en) 2022-04-06
WO2020153398A1 (ja) 2020-07-30
JP6964612B2 (ja) 2021-11-10
CN112639214B (zh) 2022-07-29
EP3828348A1 (en) 2021-06-02
EP3828348B1 (en) 2024-03-06
JP2020117967A (ja)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7656B1 (en) Construction machine
US6296436B1 (en) Multipurpose counterweight housing and counterweight
WO2013183443A1 (ja) 建設機械
KR102078235B1 (ko) 소형의 건설 기계
JP6461990B2 (ja) 作業車両
JP5028438B2 (ja) 建設機械
JP4515232B2 (ja) 旋回作業機
US11499288B2 (en) Hydraulic excavator
KR102573793B1 (ko) 건설 기계
JP5579678B2 (ja) 建設機械
JP2003268802A (ja) 旋回型作業機械
KR102517802B1 (ko) 건설 기계
JP2007217922A (ja) 建設機械
KR20180039104A (ko) 소형의 건설 기계
JP4875600B2 (ja) 建設機械
JP7039516B2 (ja) 油圧ショベル
JP3119593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収納構造
JP3178386B2 (ja)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6573858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
JPWO2019064517A1 (ja) 建設機械
JP6810085B2 (ja) 建設機械
JP2018035671A (ja) 作業車両
KR20230047175A (ko) 건설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