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21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215A
KR20180025215A KR1020170107210A KR20170107210A KR20180025215A KR 20180025215 A KR20180025215 A KR 20180025215A KR 1020170107210 A KR1020170107210 A KR 1020170107210A KR 20170107210 A KR20170107210 A KR 20170107210A KR 20180025215 A KR20180025215 A KR 2018002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flexible substrate
region
reinforc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히사 안도
가즈또 즈루오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8002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10/88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237
    • H01L51/0097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로서, 스페이서와, 가요성을 갖고, 화상 표시를 행하는 표시 영역과, 액연 영역과, 굴곡 영역과, 단자를 갖는 단자 영역이, 이 순서로 나란히 형성됨과 함께, 굴곡 영역이 스페이서의 형상을 따르도록 굴곡함으로써 스페이서의 배면측에 단자 영역이 배치되는 플렉시블 기판과, 표시 영역의 배면측 R에 접착되는 제1 보강부와, 단자 영역의 표시면측에 접착되는 제2 보강부와, 굴곡 영역의 내면측으로서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의 일부분에 접착되는 굴곡 보강부를 갖는 보강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표시 장치의 소형화 또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의 확대를 위해, 표시 영역의 주연에 있는, 소위 액연 영역을 좁게 하는 것(협액연화)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 협액연화의 요청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가요성을 갖는 플렉시블 기판을 사용하고, 표시 영역의 외측의 영역을, 표시 영역의 배면측으로 굴곡함으로써, 협액연화를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표시 영역의 외측의 영역에는, 배선이나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기판을 굴곡하는 경우, 굴곡 부위에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배선 등의 단선이나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27222호 공보에는, 규제 필름에 의해, 단선 등을 방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기판의 굴곡의 내면측에 보강 필름을 접착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에 작용하는 응력을 완화하는 것이 생각된다. 플렉시블 기판의 굴곡 영역에서 응력이 가장 커지는바, 굴곡 영역의 내면측에 보강 필름을 접착하면 되지만, 그 경우 플렉시블 기판을 굴곡하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 기판을 굴곡하기 쉽고, 또한 보강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표시 장치는, 스페이서와, 가요성을 갖고, 화상 표시를 행하는 표시 영역과, 액연 영역과, 굴곡 영역과, 단자를 갖는 단자 영역이, 이 순서로 나란히 형성됨과 함께, 상기 굴곡 영역이 상기 스페이서의 형상을 따르도록 굴곡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의 배면측에 상기 단자 영역이 배치되는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표시 영역의 배면측에 접착되는 제1 보강부와, 상기 단자 영역의 표시면측에 접착되는 제2 보강부와, 상기 굴곡 영역의 내면측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의 일부분에 접착되는 굴곡 보강부를 갖는 제1 보강 필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원 O로 둘러싼 부분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플렉시블 기판의 단자 영역의 단부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이면 보강 필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스페이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7의 IX-IX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X-X 단면도.
도 11은 플렉시블 기판에 있어서의 화소 배치 및 주변 회로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어느 구조체의 「위에」 다른 구조체를 배치하는 형태를 표현할 때, 간단히 「위에」라고 표기하는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은, 어느 구조체에 접하도록, 바로 위에 다른 구조체를 배치하는 경우와, 어느 구조체의 상방에, 제3 구조체를 개재하여 다른 구조체를 배치하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10)의 표시 영역 A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측(도 2 등의 하측)을 표시면측 F라 정의하고, 표시면측 F의 반대측(도 1 등의 상측)을 배면측 R이라 정의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100)로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플렉시블 기판(10)을 사용한 표시 장치이면, 액정 표시 장치 등이어도 상관없다. 표시 장치(10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하는 복수색의 단위 화소 SP(서브 픽셀)를 조합하여, 풀컬러의 화소 P(픽셀)를 형성하고, 풀컬러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도 11 참조).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가요성을 갖고, 투명한 플렉시블 기판(10)을 갖는다. 이하, 도 4, 도 11을 참조하여, 플렉시블 기판(10), 및 그 주변의 구성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원 O로 둘러싼 부분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다른 단면도와 달리, 도면 중의 상측을 표시면측 F로 하고, 하측을 배면측 R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플렉시블 기판에 있어서의 화소 배치 및 주변 회로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플렉시블 기판을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10)의 표시 영역 A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화소 P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액연 영역 B에는 주변 회로(11, 13, 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일부의 화소 P만을 도시하지만, 화소 P는 표시 영역 A의 대략 전역에 형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주변 회로(11, 13, 15)로부터는, 게이트선, 신호선 등의 각 배선이 표시 영역 A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음에 설명하는 집적 회로 칩(74)으로부터 신호선이 연장되어 있고, 각 화소 P에 연신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10)은 수지를 포함하는 제1 기판(12)을 갖는다. 제1 기판(12)에는, 그 자체가 함유하는 불순물에 대한 배리어로 되는 언더코트(14)가 형성되고, 그 위에 반도체층(16)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16)에 소스 전극(18) 및 드레인 전극(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반도체층(16)을 덮어 게이트 절연막(22)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22) 위에는 게이트 전극(24)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24)을 덮어 층간 절연막(26)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8) 및 드레인 전극(20)은 게이트 절연막(22) 및 층간 절연막(26)을 관통하고 있다. 반도체층(16), 소스 전극(18), 드레인 전극(20) 및 게이트 전극(24)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28)가 구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28)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30)이 형성되어 있다.
패시베이션막(30) 위에는, 평탄화층(32)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화층(32) 위에는, 복수의 단위 화소 SP 각각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화소 전극(34)(예를 들어 양극)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화층(32)은 적어도 화소 전극(34)이 형성되는 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화소 전극(34)은 평탄화층(32) 및 패시베이션막(30)을 관통하는 콘택트 홀(36)에 의해, 반도체층(16) 위의 소스 전극(18) 및 드레인 전극(20) 중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평탄화층(32) 및 화소 전극(34) 위에 절연층(38)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38)은 화소 전극(34)의 주연부에 적층되며, 화소 전극(34)의 일부(예를 들어 중앙부)를 개구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38)에 의해, 화소 전극(34)의 일부를 둘러싸는 뱅크가 형성된다.
화소 전극(34) 위에 발광 소자층(40)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층(40)은 복수의 화소 전극(34)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절연층(38)에도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소 전극(34)마다 따로따로(분리하여), 발광 소자층(40)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각 화소에 대응하여 청색, 적색, 녹색으로 발광 소자층(40)이 발광하게 된다. 그 경우, 후에 설명하는 컬러 필터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발광 소자층(40)은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고, 또한, 전자 수송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정공 주입층 중 적어도 1층을 포함해도 된다.
발광 소자층(40) 위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34)의 상방에서 발광 소자층(40)에 접촉하도록, 공통 전극(42)(예를 들어 음극)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42)은 뱅크로 되는 절연층(38)의 상방에 적층되도록 형성한다. 발광 소자층(40)은 화소 전극(34) 및 공통 전극(42) 사이에 끼워지며, 양자간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휘도가 제어되어 발광한다.
발광 소자층(40)은 공통 전극(42)에 적층하는 밀봉층(44)에 의해 덮임으로써 밀봉되어, 수분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밀봉층(44)의 상방에는, 충전층(46)을 개재하여, 제2 기판(48)이 설치되어 있다. 제2 기판(48)에는, 복수 색(예를 들어, 청색, 적색 및 녹색)을 포함하는 착색층(50)이 형성되고, 이웃끼리의 상이한 색의 착색층(50)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52)가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컬러 필터를 구성하고 있다. 제2 기판(48)은 터치 패널이어도 되고,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을 구비해도 된다.
도 5는 플렉시블 기판(10)의 단자 영역 D(도 3 등 참조)의 단부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단자 영역 D에는 배선(68)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68)은 표시 영역 A로부터 액연 영역 B 및 굴곡 영역 C를 통과하여, 단자 영역 D의 단부에 이른다. 배선(68)은 예를 들어 소스 전극(18) 및 드레인 전극(20)과 동일층에 형성된다. 배선(68)은 단자(70)를 갖는다. 단자(70)는 이방성 도전막(72)을 개재하여, 집적 회로 칩(74)이나 FPC 기판(7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집적 회로 칩(74)은 플렉시블 기판(10) 위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FPC 기판(76) 위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1∼도 3, 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전개한 상태(굴곡 전의 상태)의 이면 보강 필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6 중의 A∼D는, 이면 보강 필름(58)에 있어서의, 도 1∼도 3에서 도시한 플렉시블 기판(10)의 표시 영역 A, 액연 영역 B, 굴곡 영역 C 및 단자 영역 D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접착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 1,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플렉시블 기판(10) 외에, 스페이서(56)와, 표면 보강 필름(54)과, 이면 보강 필름(58)과, 집적 회로 칩(74)과, FPC(Flexible Printed Circuits) 기판(76)을 갖는다. 표면 보강 필름(54) 및 이면 보강 필름(58)은 플렉시블 기판(10)을 보호, 보강하기 위해 설치된다. 스페이서(56)는 플렉시블 기판(10)의 굴곡을 가이드하기 위해 설치된다.
플렉시블 기판(10)에는, 화상 표시를 행하는 표시 영역 A와, 표시 영역 A의 주연의 액연 영역 B와, 굴곡 영역 C와, 단자를 갖는 단자 영역 D가, 이 순서로 나란히 형성된다. 액연 영역 B는, 평면에서 보아 표시 영역 A의 사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굴곡 영역 C는, 스페이서(56)의 가이드부(56a)의 형상을 따르도록 굴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자 영역 D는, 굴곡 영역 C가 굴곡함으로서, 스페이서(56)의 배면측 R에 배치되어 있다.
표면 보강 필름(54)은, 도 2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10)의, 표시 영역 A 및 액연 영역 B의 표시면측 F에, 굴곡 영역 C에 겹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면 보강 필름(58)은, 도 1∼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 A의 배면측 R에 접착되는 제1 보강부(58a)와, 단자 영역 D의 표시면측 F에 접착되는 제2 보강부(58b)와, 굴곡 영역 C의 내면측으로서 플렉시블 기판(10)의 폭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는 굴곡 보강부(58c)를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보강부(58a)와 제2 보강부(58b)는, 굴곡 보강부(58c)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즉, 이면 보강 필름(58)은 절결(58d)이 형성된 1매의 필름이라 할 수도 있다(도 6 참조). 또한, 도 2는 굴곡 보강부(58c)를 통과하는 절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절결(58d)을 통과하는 절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 보강 필름(58)의 제2 보강부(58b)는 접착 부재(66)에 의해 스페이서(56)의 배면측 R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고, 이면 보강 필름(58)의 제1 보강부(58a)는 접착 부재(62)에 의해 스페이서(56)의 표시면측 F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접착 부재(62) 및 접착 부재(66)는 점착성을 갖는 수지 등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양면 테이프 등이어도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 보강부(58c)는 스페이서(56)에 대하여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있지 않지만, 스페이서(56)의 가이드부(56a)에도 접착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접착 부재로서 점착성을 갖는 수지를 절결(58d) 내에 충전하고, 절결(58d)을 통해, 플렉시블 기판(10)의 굴곡 영역 C와 스페이서(56)의 가이드부(56a)를 직접 접착해도 된다.
스페이서(56)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플렉시블 기판(10)의 굴곡 영역 C의 굴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6a)가 둥그런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10)의 굴곡 영역 C에 있어서 배선(68) 등의 단선이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렵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기판(10)의 굴곡의 내면측에, 이면 보강 필름(58)을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10)에 작용하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어, 플렉시블 기판(10)의 배선의 단선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응력은 굴곡 영역 C에 가장 발생하기 쉬운바, 굴곡 영역 C에 굴곡 보강부(58c)가 접착되기 때문에, 응력을 보다 완화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굴곡 보강부(58c)가 플렉시블 기판(10)의 폭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는 구성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플렉시블 기판(10)의 폭 방향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표시 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면 된다. 먼저, 전개한 상태의 플렉시블 기판(10)을 준비하고, 그 플렉시블 기판(10)에 대하여 이면 보강 필름(58)을 접착한다. 그리고, 스페이서(56)를 준비하고, 스페이서(56)의 표시면측 F에 접착 부재(62)를 설치하고, 배면측 R에 접착 부재(66)를 설치한다. 그리고, 플렉시블 기판(10)에 접착된 이면 보강 필름(58)의 제1 보강부(58a) 위에 스페이서(56)를 배치하고, 접착 부재(62)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0)에 대하여 스페이서(56)를 고정한다. 또한, 스페이서(56)의 가이드부(56a)의 형상을 따르도록, 굴곡 영역 C 및 굴곡 보강부(58c)를 굴곡시켜, 단자 영역 D를 스페이서(56)의 배면측 R에 배치한다. 이때, 이면 보강 필름(58)의 제2 보강부(58b)를 접착 부재(66)에 의해, 스페이서(56)의 배면측 R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0)의 굴곡 영역 C가 굴곡한 상태가 유지되고, 표시 장치(100)는 도 1∼도 3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7∼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스페이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X-X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스페이서(156)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페이서(56)와 마찬가지로, 플렉시블 기판(10)의 굴곡 영역 C의 굴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6a)를 갖는다. 또한, 스페이서(156)는 제1 단차(156b)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부(156a)보다도 움푹 들어간 제1 저면 L11과, 제2 단차(156c)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부(156a)보다도 움푹 들어간 제2 저면 L12와, 제1 저면 L11 및 제2 저면 L12와 동일면으로서 가이드부(156a)의 형상을 따른 제3 저면 L13을 갖는다. 제1 저면 L11은, 스페이서(156)의 표시면측 F의 면이고, 제2 저면 L12는, 스페이서(156)의 배면측 R의 면이다. 제3 저면 L13은, 스페이서(156)의 폭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200)는 플렉시블 기판(10)과, 플렉시블 기판(10)의 굴곡의 내면측에 접착되는 이면 보강 필름(58)을 갖는다. 이면 보강 필름(58)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보강부(58a)가 제1 저면 L11 위에 접착되고, 제2 보강부(58b)가 제2 저면(12) 위에 접착되고, 굴곡 보강부(58c)가 제3 저면 L13 위에 접착된다. 도 9는 굽힘 보강부(58c) 및 제3 저면 L13을 통과하는 절단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절결(58d) 및 가이드부(156a)를 통과하는 절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단차(156b)의 높이는, 접착 부재(62)의 두께와 이면 보강 필름(58)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대략 동등하고, 마찬가지로, 제2 단차(156c)의 높이는, 접착 부재(66)의 두께와 이면 보강 필름(58)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대략 동등하다.
또한, 제1 단차(156b)보다도 제2 단차(156c)쪽이, 가이드부(156a)의 단부에 가까운 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차(156b)와 제2 단차(156c)는, 굴곡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0)이 신축하는 방향(도 9, 도 10 중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 보강 필름(58)의 제1 보강부(58a)의 굴곡 영역 C에 가까운 쪽의 단부와, 표면 보강 필름(54)의 굴곡 영역 C에 가까운 쪽의 단부는, 굴곡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0)이 신축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면 보강 필름(58)의 단부와 표면 보강 필름(54)의 단부가, 신축하는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그 위치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10)에 국소적으로 부하가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는바,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기판(10)에의 부하가 분산된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10)의 배선의 단선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200)에 있어서는, 이면 보강 필름(58)의 절결(58d)을 통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56)의 가이드부(156a)와 플렉시블 기판(10)의 굴곡 영역 C가 직접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플렉시블 기판(10) 및 이면 보강 필름(58)과 스페이서(156)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이 적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10) 및 이면 보강 필름(58)을 보다 안정적으로 굴곡할 수 있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10)에 부하가 가해지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단차(156b)에 대하여 제1 보강부(58a)의 단부면이 닿는 구성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단차(156b)에 대하여 제1 보강부(58a)의 단부면이 이격하여 간극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단차(156c)에 대하여 제2 보강부(58b)의 단부면이 이격하여 간극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면 보강 필름(58)이 본 발명의 제1 보강 필름에 대응하는 구성이며, 표면 보강 필름(54)이 본 발명의 제2 보강 필름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현재 본 발명의 특정 실시 형태들로 간주되는 것들이 개시되었지만, 다양한 변경들이 이에 대하여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모든 변경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 : 플렉시블 기판
12 : 제1 기판
14 : 언더코트
16 : 반도체층
18 : 소스 전극
20 : 드레인 전극
22 : 게이트 절연막
24 : 게이트 전극
26 : 층간 절연막
28 : 박막 트랜지스터
30 : 패시베이션막
32 : 평탄화층
34 : 화소 전극
36 : 콘택트 홀
38 : 절연층
40 : 발광 소자층
42 : 공통 전극
44 : 밀봉층
46 : 충전층
48 : 제2 기판
50 : 착색층
52 : 블랙 매트릭스
54 : 표면 보강 필름
56, 156 : 스페이서
56a, 156a : 가이드부
156b : 제1 단차
156c : 제2 단차
58 : 이면 보강 필름
58a : 제1 보강부
58b : 제2 보강부
58c : 굴곡 보강부
58d : 절결
62 : 접착 부재
66 : 접착 부재
68 : 배선
70 : 단자
72 : 이방성 도전막
74 : 집적 회로 칩
76 : FPC 기판
A : 표시 영역
B : 액연 영역
C : 굴곡 영역
D : 단자 영역
F : 표시면측
R : 배면측
L1 : 제1 저면
L2 : 제2 저면
L3 : 제3 저면
P : 화소
SP : 단위 화소

Claims (6)

  1. 스페이서와,
    가요성을 갖고, 화상 표시를 행하는 표시 영역과, 액연 영역과, 굴곡 영역과, 단자를 갖는 단자 영역이, 이 순서로 나란히 형성됨과 함께, 상기 굴곡 영역이 상기 스페이서의 형상을 따르도록 굴곡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의 배면측에 상기 단자 영역이 배치되는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표시 영역의 배면측에 접착되는 제1 보강부와, 상기 단자 영역의 표시면측에 접착되는 제2 보강부와, 상기 굴곡 영역의 내면측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의 일부분에 접착되는 굴곡 보강부를 갖는 제1 보강 필름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보강부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폭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굴곡 보강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굴곡 영역의 굴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제1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보다도 움푹 들어간 제1 저면과, 제2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보다도 움푹 들어간 제2 저면과, 상기 제1 저면 및 상기 제2 저면과 동일면으로서 상기 가이드부를 따른 형상의 제3 저면을 갖고,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저면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제2 저면 위에 형성되며, 상기 굴곡 보강부는 상기 제3 저면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와 상기 제2 단차는, 굴곡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신축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표시면측에 접착되는 제2 보강 필름을 갖고,
    상기 제1 보강부의 단부와 상기 제2 보강 필름의 단부는, 굴곡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기판이 신축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107210A 2016-08-29 2017-08-24 표시 장치 KR20180025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6659A JP6762167B2 (ja) 2016-08-29 2016-08-29 表示装置
JPJP-P-2016-166659 2016-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215A true KR20180025215A (ko) 2018-03-08

Family

ID=6124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210A KR20180025215A (ko) 2016-08-29 2017-08-2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11208B2 (ko)
JP (1) JP6762167B2 (ko)
KR (1) KR20180025215A (ko)
CN (1) CN1077853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544B1 (ko) * 2017-04-26 2021-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7029948B2 (ja) * 2017-12-04 2022-03-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2019179102A (ja) * 2018-03-30 2019-10-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102296B2 (ja) 2018-09-05 2022-07-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9147564B (zh) * 2018-09-29 2021-07-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制作方法
KR20200040057A (ko) * 2018-10-08 2020-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7100559B2 (ja) * 2018-10-25 2022-07-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TWI691110B (zh) * 2018-11-09 2020-04-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面板
KR102562204B1 (ko) * 2018-12-13 2023-07-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12445015A (zh) * 2019-09-04 2021-03-0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CN111999166B (zh) * 2020-09-15 2024-03-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弯折后测回弹力的方法以及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2816B2 (ja) 2005-07-13 2011-06-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TWI392409B (zh) * 2009-05-26 2013-04-01 Wistron Corp 電子裝置及其軟性電路板
CN101996535A (zh) * 2009-08-25 2011-03-3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光学装置和电子设备
JP5471728B2 (ja) * 2010-03-31 2014-04-16 凸版印刷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この表示パネルを利用した大型表示パネル
KR101796813B1 (ko) 2013-02-01 2017-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349969B2 (en) * 2013-02-01 2016-05-24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516743B2 (en) * 2013-02-27 2016-1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stress flexible display
KR102076666B1 (ko) 2013-04-1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US20140368765A1 (en) * 2013-06-17 2014-12-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089246B1 (ko) * 2013-07-19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075367A (ko) * 2013-12-25 2015-07-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9425418B2 (en) * 2014-09-30 2016-08-2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end stress reduct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9773853B2 (en) * 2015-01-09 2017-09-26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bent substrate
CN204480198U (zh) * 2015-02-09 2015-07-1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
US9793334B2 (en) * 2015-12-31 2017-10-17 L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panel including polarization layer with undercut portion and micro-coating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62167B2 (ja) 2020-09-30
CN107785397A (zh) 2018-03-09
US10411208B2 (en) 2019-09-10
JP2018036299A (ja) 2018-03-08
US20180062095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5215A (ko) 표시 장치
KR101872145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644257B2 (en) Display device
US10481717B2 (en) Display device
US10367050B2 (en) Display device
KR101953008B1 (ko) 표시 장치
JP2018054736A (ja) 表示装置
KR102652572B1 (ko) 플렉서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US9244317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2019152930A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
KR102458911B1 (ko) 양면 발광형 투명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JP2018010220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20180045942A (ko) 관통홀을 통해 기판의 앞면과 배면을 연결한 평판 표시장치
JP2017010854A (ja) 表示装置
JP2011028115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10095054B2 (en) Display device
JP5806383B2 (ja) 液晶表示装置
JP2016038697A (ja) センサ装置及び表示装置
US2015027986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1963411B2 (en) Display device
EP3679422B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US20240147776A1 (en) Display device
US10644094B2 (en) Display device
US2023020011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reof
CN113748377B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