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809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809A
KR20180023809A KR1020170080379A KR20170080379A KR20180023809A KR 20180023809 A KR20180023809 A KR 20180023809A KR 1020170080379 A KR1020170080379 A KR 1020170080379A KR 20170080379 A KR20170080379 A KR 20170080379A KR 20180023809 A KR20180023809 A KR 2018002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frames
extending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로 야마모토
쇼지 나카이
히로키 와타나베
신 후타가미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6545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9832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057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198578A/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52Anti-dus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탈곡 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탈곡 장치의 우벽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정화 장치(14)의 배기구에 접속된 배기관(15)을 정화 장치(1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시키고, 승강 장치(9)의 전방측에서 좌측으로 연장시키고, 승강 장치(9)의 좌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시키고, 탈곡 장치(4)의 급동 커버(60)를 탈곡 장치(4)의 좌벽(4A)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의 지축(6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급동 커버(60)의 우측단부의 회동 궤적을 배기관(15)을 피한 위치에 설정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배기 정화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콤바인에서는 탈곡 장치의 우벽 상부에 형성된 경사부와 그레인 탱크의 좌벽에 형성된 노치부 사이의 공간에 배기 정화 장치를 배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5-12305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탈곡 장치의 우벽 상부에 형성된 경사부에 배기 정화 장치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탈곡 장치의 유지보수 공간이 좁아지거나, 주행 중의 배기 정화 장치의 진동 등에 의해 탈곡 장치의 우벽이 변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탈곡 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어지는 과제는 탈곡 장치의 강성을 높여 탈곡 장치의 우벽에 가해지는 배기 정화 장치의 중량을 경감해서 탈곡 장치의 우벽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체 프레임(1)의 전방측에 곡간을 수확하는 예취 전처리 장치(3)를 설치하고, 상기 예취 전처리 장치(3)의 후방측 좌측부에 수확된 곡간을 탈곡 및 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4)를 설치하고, 상기 예취 전처리 장치(3)의 후방측 우측부에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5)를 설치하고, 상기 조종부(5)의 하측에 엔진을 탑재하는 엔진 룸(6)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6)의 후방측에 탈곡·선별 처리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7)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4)와 상기 그레인 탱크(7) 사이에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정화 장치(14)를 설치하고, 상기 탈곡 장치(4)의 우벽(4B)의 하부와 그레인 탱크(7)의 좌벽(7A)의 상부를 곡립을 반송하는 승강 장치(9)로 연통하고, 상기 정화 장치(14)의 배기구에 접속된 배기관(15)을 정화 장치(1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승강 장치(9)의 전방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승강 장치(9)의 좌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탈곡 장치(4)의 급동 커버(60)를 상기 탈곡 장치(4)의 좌벽(4A)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의 지축(6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급동 커버(60)의 우측단부의 회동 궤적을 상기 배기관(15)을 피한 위치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그레인 탱크(7)의 좌벽(7A)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 정화 장치(12)에 대향하는 부위에 전방측과 좌측이 개방된 노치부(S)를 형성하고, 상기 노치부(S)에 상기 정화 장치(14)의 적어도 일부를 들어가게 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노치부(S)를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 하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상측 경사벽(32)과, 상기 상측 경사벽(32)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수직벽(33)과, 상기 수직벽(33)의 하단으로부터 좌측 하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하측 경사벽(34)으로 형성하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수직벽(33)을 그레인 탱크(7)의 저부에 배치되는 반송 나선의 상측에 위치시킨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상측 경사벽(32)을 상기 기체 프레임(1)의 상면에 대하여 45°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하측 경사벽(34)을 상기 기체 프레임(1)의 상면에 대하여 30° 경사지게 형성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승강 장치(9)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부(40)를 상기 좌벽(7A)의 노치부(S)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수직벽(31)에 연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승강 장치(9)를 측면으로부터 볼 때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설치한 청구항 5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조종부(5)의 후방부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종석 프레임(50)과, 상기 탈곡 장치(4)의 우벽(4B)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탈곡 장치 프레임(63)을 정화 장치 프레임(20)으로 연결하고, 상기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상면에 상기 정화 장치(14)를 고정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정화 장치 프레임(20)을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좌우 프레임(A)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후 프레임(B)으로 형성하고, 상기 좌우 프레임(A)을 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으로 형성하고, 상기 전후 프레임(B)을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전후 프레임(24)과, 제 2 전후 프레임(25)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 각각의 좌측부를 제 1 전후 프레임(24)에 연결하고, 상기 제 1 좌우 프레임(21)의 우측부와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우측의 중간부를 제 2 전후 프레임(25)에 연결하고, 상기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과, 상기 제 1 전후 프레임(24)과, 제 2 전후 프레임(25) 각각의 하부를 대략 동일 수평면에 형성한 청구항 7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좌측부와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좌측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보강 프레임(26)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우측부와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우측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보강 프레임(27)으로 연결한 청구항 8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정화 장치(14)에 접속된 배기관(15)을 정화 장치(1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시키고, 승강 장치(9)의 전방측에서 좌측으로 연장시키고, 승강 장치(9)의 좌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시키고, 탈곡 장치(4)의 급동 커버(60)를 탈곡 장치(4)의 좌벽(4A)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급동 커버(60)의 우측단부의 회동 궤적을 배기관(15)을 피한 위치에 설정했으므로 배기관(15)의 일부를 승강 장치(9)에 대하여 탈곡 장치(4)측인 좌측에 배치하면서도 배기관(15)이 급동 커버(60)의 개폐의 장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탈곡 장치(4) 내부의 유지보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노치부(S)에 정화 장치(14)의 적어도 일부를 들어가게 했으므로 노치부(S)를 이용하여 정화 장치(14)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그레인 탱크(7)의 좌벽(7A)에 있어서의 배기 정화 장치(12)에 대향하는 부위에 전방측과 좌측이 개방된 노치부(S)를 형성하고, 노치부(S)를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 하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상측 경사벽(32)과, 상측 경사벽(32)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수직벽(33)과, 수직벽(33)의 하단으로부터 좌측 하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하측 경사벽(34)으로 형성하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 수직벽(33)을 그레인 탱크(7)의 저부에 배치되는 반송 나선의 상측에 위치시켰으므로 탈곡 장치(4)와 그레인 탱크(7) 사이에 배기 정화 장치(17)를 배치하는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상측 경사벽(32)을 기체 프레임(1)의 상면에 대하여 45° 경사지게 형성하고, 하측 경사벽(34)을 기체 프레임(1)의 상면에 대하여 30° 경사지게 형성했으므로 그레인 탱크(7)에 반송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7)의 하부에 형성된 반송 나선에 효율 좋게 낙하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그레인 탱크(7)의 좌벽(7A)에 있어서의 노치부(S)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승강 장치(9)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부(40)를 연결했으므로 그레인 탱크(7)에 반송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7)의 하부에 형성된 반송 나선에 보다 효율 좋게 낙하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탈곡 장치(4)의 우벽(4B)의 하부와 그레인 탱크(7)의 좌벽(7A)의 상부를 곡립을 반송하는 승강 장치(9)로 연결하고, 측면으로부터 볼 때 승강 장치(9)를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설치했으므로 측면으로부터 볼 때 승강 장치(9)와 노치부(S)가 중복되는 면적을 작게 하여 노치부(S)를 효율 좋게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조종부(5)의 후방부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종석 프레임(50)과, 탈곡 장치(4)의 우벽(4B)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탈곡 장치 프레임(63)을 정화 장치 프레임(20)으로 연결하고,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상면에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불순물을 정화하는 배기 정화 장치(12)를 고정하므로 탈곡 장치(4)의 우벽(4B)의 강성이 높아지며, 또한 배기 정화 장치(12)의 중량이 조종석 프레임(50)과 탈곡 장치 프레임(63)으로 분산되므로 탈곡 장치(4)의 우벽(4B)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정화 장치 프레임(20)을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프레임(A)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프레임(B)으로 형성하고, 좌우 프레임(A)을 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에서 형성하고, 전후 프레임(B)을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전후 프레임(24)과, 제 2 전후 프레임(25)으로 형성하고,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 각각의 좌측부를 제 1 전후 프레임(24)에 연결하고, 제 1 좌우 프레임(21)의 우측부와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우측의 중간부를 제 2 전후 프레임(25)에 연결하고,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과, 제 1 전후 프레임(24)과, 제 2 전후 프레임(25) 각각의 하부를 대략 동일 수평면에 설치했으므로 엔진 룸(6)에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하부의 연장을 억제하여 엔진 룸(6) 내의 배치 공간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좌측부와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좌측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보강 프레임(26)으로 연결하고,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우측부와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우측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보강 프레임(27)으로 연결했으므로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정화 프레임에 고정된 배기 정화 장치와 요소 정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정화 프레임에 고정된 배기 정화 장치와 요소 정화 장치를 좌측 전방부의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정화 프레임에 고정된 배기 정화 장치와 요소 정화 장치를 좌측 후방부의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정화 프레임의 전방측 우측부의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탈곡 장치와 그레인 탱크를 연결하는 승강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그레인 탱크의 내측으로 연장한 승강 장치의 배출부의 연장부를 우측 후방부의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조종자로부터 볼 때 전방을 전방측, 후방을 후방측, 오른손측을 우측, 왼쪽손측을 좌측으로 하여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어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용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의 하측에 토양면을 주행하는 좌우 한쌍의 크롤러로 이루어지는 주행 장치(2)가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1)의 전방측에 포장의 곡간을 수확하는 예취 전처리 장치(3)가 설치되고, 예취 전처리 장치(3)의 후방측 좌측부에 수확된 곡간을 탈곡·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4)가 설치되고, 예취 전처리 장치(3)의 후방측 우측부에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5)가 설치되어 있다.
조종부(5)의 하측에 엔진을 탑재하는 엔진 룸(6)이 형성되고, 조종부(5)의 후방측에 탈곡·선별 처리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7)가 설치되고, 그레인 탱크(7)의 후방측에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통(8)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통(8)은 그레인 탱크(7)의 후방측 하부에 하부를 연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배출통과, 세로 배출통의 상부에 후방부를 연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배출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 장치(4)의 하부와 그레인 탱크(7)의 상부는 탈곡 장치(4)로로부터 그레인 탱크(7)로 곡립을 반송하는 승강 장치(9)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 장치(3)는 포장의 곡간을 기립시키면서 후방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3A)와, 반송 장치(3A)의 후방측 하부에 반송된 곡간의 주원(株元)을 절단하는 예취날 장치(3B)와, 반송 장치(3A)의 후방측에 반송된 곡간을 좌측으로 모으는 오거 장치(3C)와, 모인 곡간을 탈곡 장치(4)에 반송하는 피더 하우스(3D)로 구성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4)의 급동의 상측에 설치된 급동 커버(60)는 탈곡 장치(4)의 좌벽(4A)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급동 커버(60)를 지축(61)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급동의 상측에 큰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급동 등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급동 커버(60)의 우측 하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2)는 탈곡 장치(4)의 우벽(4B)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탈곡 장치 프레임(6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조종부(5)의 후방측 하부에는 조종석을 지지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종석 프레임(50)이 설치되어 있다. 조종석 프레임(50)의 좌측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51)를 개재하여 기체 프레임(1)의 전방측 중간부에 설치된 역U자형상의 좌측 프레임(5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조종석 프레임(50)의 우측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53)를 개재하여 기체 프레임(1)의 전방측 우측부에 설치된 역U자형상의 우측 프레임(5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우측 프레임(54)의 내주부에는 엔진 룸(6)의 우측에 설치된 라디에이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룸(6)에 탑재되는 엔진(도시 생략)의 배기구에는 엔진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관(10)이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10)에는 배기가스 중의 불순물을 정화하는 배기 정화 장치(DPF)(12)와 배기 정화 장치(12)로부터 배기되는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 요소 정화 장치(SCR)(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 정화 장치(12)는 상류측의 산화 촉매(DOC)와, 하류측의 파티큘레이트 필터(DPF)를 내장하고 있다.
엔진의 배기구와 배기 정화 장치(12)의 흡기구는 가요성의 제 1 배기관(11)으로 접속되고, 배기 정화 장치(12)의 배기구와 요소 정화 장치(14)의 흡기구는 가요성의 제 2 배기관(13)으로 접속되고, 요소 정화 장치(14)의 배기구에는 가요성의 제 3 배기관(청구항에 있어서의 「배기관」)(15)이 접속되어 있다.
제 3 배기관(15)은 요소 정화 장치(14)의 배기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좌측을 향해서 대략 90° 굴곡하여 승강 장치(9)의 전방측을 좌측으로 연장하고, 후방측을 향해서 대략 90° 굴곡하여 승강 장치(9)의 좌측에 근접시켜서 후방측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즉, 제 3 배기관(15)의 선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연신부(15A)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탈곡 장치(4)의 급동 커버(60)를 지축(61)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제 3 배기관(15)의 전후 연신부(15A)는 적어도 그 일부가 배기 정화 장치(12) 및 승강 장치(9)보다 좌측으로서, 급동의 상측을 덮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의 급동 커버(60)의 우측단부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후 연신부(15A)는 기체 전방으로부터 볼 때 급동 커버(60)의 회동 궤적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3을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 연신부(15A)는 급동 커버(60)의 연장부(62)의 궤적(R)보다 그레인 탱크(7)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3 배기관(15)의 전후 연신부(15A)의 하측이며 배기 정화 장치(12)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이용하여 급동 커버(60)가 개폐(회동)할 수 있으므로 배기 정화 장치(12) 및 요소 정화 장치(14)나 제 3 배기관(15)을 탑재하는 스페이스나 급동 커버(60)를 개폐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기체 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배기 정화 장치(12)와 요소 정화 장치(14)는 부착 플레이트(16)를 개재하여 정화 장치 프레임(20)에 고정된다. 또한, 정면으로부터 볼 때 배기 정화 장치(12)는 부착 플레이트(16)의 좌측에 고정되고, 요소 정화 장치(14)는 부착 플레이트(16)의 우측에 요소 정화 장치(14)에 병렬로 고정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화 장치 프레임(2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1 좌우 프레임(21)의 후방측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2 좌우 프레임(22)의 후방측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좌우 프레임(23)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전후 프레임(24)과, 제 1 전후 프레임(24)의 우측에 설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전후 프레임(25)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을 총칭해서 좌우 프레임 A라고 하고, 제 1 전후 프레임(24)과, 제 2 전후 프레임(25)을 총칭해서 전후 프레임 B라고 한다.
제 1 좌우 프레임(21)의 좌측부의 후면과,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좌측부의 좌면과,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좌측부의 좌면은 각각 제 1 전후 프레임(24)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좌우 프레임(21)의 우측부의 후면과,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우측 중앙부의 앞면은 각각 제 2 전후 프레임(2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좌우 프레임(21)의 하면과, 제 2 좌우 프레임(22)의 하면과, 제 3 좌우 프레임(23)의 하면과, 제 1 전후 프레임(24)의 하면과, 제 2 전후 프레임(25)의 하면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 룸(6)으로 연장되는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하부의 연장을 작게 하여 엔진 룸(6)에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좌측부의 후면과,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좌측부의 앞면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보강 프레임(26)에 연결되고,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우측부의 후면과,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우측부의 앞면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보강 프레임(2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2 좌우 프레임(22)의 하면과, 제 3 좌우 프레임(23)의 하면과, 제 1 보강 프레임(26)의 하면과, 제 2 보강 프레임(27)의 하면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변형을 방지하고, 엔진 룸(6)으로 연장되는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하부를 보다 작게 하여 엔진 룸(6)에 보다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보강 프레임(26)의 상면과 제 2 보강 프레임(27)의 상면에는 부착 플레이트(16)의 고정 시에 사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전후 프레임(25)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제 2 좌우 프레임(22)의 후면과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앞면은 제 3 보강 프레임(28)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변형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제 1 좌우 프레임(21)의 앞면에는 정화 장치 프레임(20)을 조종부(5)의 조종석을 지지하는 조종석 프레임(50)의 상면에 연결하는 좌우 한쌍의 전방측 스테이(21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전후 프레임(24)의 후방부의 좌면에는 정화 장치 프레임(20)을 탈곡 장치(4)의 탈곡 장치 프레임(63)의 상면에 연결하는 좌측 스테이(24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종석 프레임(50)과 탈곡 장치 프레임(63)에 정화 장치 프레임(20)을 강고하게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좌측 스테이(24A)의 중심부의 하면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55)를 개재하여 기체 프레임(1)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변형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화 장치 프레임(20)에 고정된 배기 정화 장치(12)와 요소 정화 장치(14)는 탈곡 장치(4)의 급동 커버(60)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급동 커버(60)를 상방으로 회동시켰을 경우, 배기 정화 장치(12)와 요소 정화 장치(14)는 탈곡 장치(4) 본체의 상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이들 장치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요소 정화 장치(14)에 대향하는 그레인 탱크(7)의 좌벽(7A)의 전방부에는 전방측과 우측에 개구부를 갖는 노치부(S)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기 정화 장치(12)와 요소 정화 장치(14)를 좌우 방향으로 병렬하여 설치해서 탈곡 장치(4)와 그레인 탱크(7)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레인 탱크(7)의 좌벽(7A)의 전방부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상측 수직벽(31)과, 상측 수직벽(31)의 하단부로부터 우측으로 하향 경사하는 상측 경사벽(32)과, 상측 경사벽(32)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중간 수직벽(청구항에 있어서의 「수직벽」)(33)과, 중간 수직벽(33)의 하단부으로부터 좌측으로 하향 경사하는 하측 경사벽(34)과, 하측 경사벽(34)의 하단부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측 수직벽(35)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치부(S)는 상측 경사벽(32)과, 중간 수직벽(33)과, 하측 경사벽(34)으로 구획되는 공간이다.
상측 경사벽(32)은 수평면에 대하여 우측을 향해서 45°의 하향 경사각도로 형성되고, 중간 수직벽(33)은 배출통(8)에 곡립을 반송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송 나선(도시 생략)의 상측에 설치되고, 하측 경사벽(34)은 수평면에 대하여 좌측을 향해서 30°의 하행 경사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승강 장치(9)에 의해 그레인 탱크(7)에 반송된 곡립을 효율 좋게 반송 나선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4)의 하부와 그레인 탱크(7)의 상부를 연통하는 승강 장치(9)는 후방 상향 경사 자세, 즉 승강 장치(9)의 하부보다 상부가 후방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측면으로부터 볼 때 승강 장치(9)와 노치부(S)가 중복하는 면적을 작게 하여 노치부(S)를 효율 좋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제 3 배기관(15)을 과도하게 굴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장치(9)를 수직 자세, 전방 상향 경사, 즉 승강 장치(9)의 하부보다 상부가 전방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승강 장치(9) 내부에는 곡립을 반송하는 버킷이 장착되어 있다.
승강 장치(9)의 배출부(40)는 상측 수직벽(31)의 하측에 노치부(S)가 형성된 전방측의 부위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승강 장치(9)에 의해 그레인 탱크(7)에 반송된 곡립을 효율 좋게 반송 나선에 낙하시킬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부(40)에는 그레인 탱크(7)의 우벽(7A)을 넘어 그레인 탱크(7)의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40A)의 대략 중심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41)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41)에는 회전 방향으로 180° 간격으로 2매의 배출 날개(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 날개(42)는 회전축(41)의 축심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도로, 즉 배출 날개(42)의 좌측부보다 우측부를 회전축(41)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위치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출 날개(42)에 의해 승강 장치(9)에서 반송되어 온 곡립을 그레인 탱크(7) 내에 강제적으로 배출하여 곡립이 배출부(40)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 날개(42)의 외주부에는 커버(43)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43)는 상측판(44A)과, 전방측판(44B)과, 하측판(44C)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판(44A)의 좌우 방향의 폭은 배출 날개(42)의 폭과 동일 폭으로 형성되고, 전방측판(44B)과 하측판(44C)의 좌우 방향의 폭은 배출 날개(42)의 폭의 반분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출 날개(42)에 의해 승강 장치(9)에서 반송되어 온 곡립을 그레인 탱크(7)의 좌우 방향의 중심으로 효율 좋게 배출할 수 있다.
1 : 기체 프레임 3 : 예취 전처리 장치
4 : 탈곡 장치 4B : 우벽
5 : 조종부 6 : 엔진 룸
7 : 그레인 탱크 7A : 좌벽
9 : 승강 장치 12 : 배기 정화 장치
14 : 요소 정화 장치 15 : 제 3 배기관(배기관)
20 : 정화 장치 프레임 21 : 제 1 좌우 프레임
22 : 제 2 좌우 프레임 23 : 제 3 좌우 프레임
24 : 제 1 전후 프레임 25 : 제 2 전후 프레임
26 : 제 1 보강 프레임 27 : 제 2 보강 프레임
32 : 상측 경사벽 33 : 중간 수직벽(수직벽)
34 : 하측 경사벽 40 : 배출부
50 : 조종석 프레임 63 : 탈곡 장치 프레임
A : 좌우 프레임 B : 전후 프레임
S : 노치부

Claims (9)

  1. 기체 프레임(1)의 전방측에 곡간을 수확하는 예취 전처리 장치(3)를 설치하고, 상기 예취 전처리 장치(3)의 후방측 좌측부에 수확된 곡간을 탈곡 및 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4)를 설치하고, 상기 예취 전처리 장치(3)의 후방측 우측부에 조종자가 탑승하는 조종부(5)를 설치하고, 상기 조종부(5)의 하측에 엔진을 탑재하는 엔진 룸(6)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6)의 후방측에 탈곡·선별 처리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7)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4)와 상기 그레인 탱크(7) 사이에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정화 장치(14)를 설치하고, 상기 탈곡 장치(4)의 우벽(4B)의 하부와 그레인 탱크(7)의 좌벽(7A)의 상부를 곡립을 반송하는 승강 장치(9)로 연통하고,
    상기 정화 장치(14)의 배기구에 접속된 배기관(15)을 정화 장치(14)로부터 상측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승강 장치(9)의 전방측에서 좌측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승강 장치(9)의 좌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탈곡 장치(4)의 급동 커버(60)를 상기 탈곡 장치(4)의 좌벽(4A)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의 지축(6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급동 커버(60)의 우측단부의 회동 궤적을 상기 배기관(15)을 피한 위치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7)의 좌벽(7A)에 있어서의 상기 배기 정화 장치(12)에 대향하는 부위에 전방측과 좌측이 개방된 노치부(S)를 형성하고, 상기 노치부(S)에 상기 정화 장치(14)의 적어도 일부를 들어가게 한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S)를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 하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상측 경사벽(32)과, 상기 상측 경사벽(32)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수직벽(33)과, 상기 수직벽(33)의 하단으로부터 좌측 하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하측 경사벽(34)으로 형성하고, 정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수직벽(33)을 그레인 탱크(7)의 저부에 배치되는 반송 나선의 상측에 위치시킨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경사벽(32)을 상기 기체 프레임(1)의 상면에 대하여 45°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하측 경사벽(34)을 상기 기체 프레임(1)의 상면에 대하여 30° 경사지게 형성한 콤바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9)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부(40)를 상기 좌벽(7A)의 노치부(S)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수직벽(31)에 연결한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9)를 측면으로부터 볼 때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설치한 콤바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5)의 후방부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종석 프레임(50)과, 상기 탈곡 장치(4)의 우벽(4B)의 상부에 설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탈곡 장치 프레임(63)을 정화 장치 프레임(20)으로 연결하고,
    상기 정화 장치 프레임(20)의 상면에 상기 정화 장치(14)를 고정한 콤바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장치 프레임(20)을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좌우 프레임(A)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후 프레임(B)으로 형성하고, 상기 좌우 프레임(A)을 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으로 형성하고, 상기 전후 프레임(B)을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전후 프레임(24)과, 제 2 전후 프레임(25)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 각각의 좌측부를 제 1 전후 프레임(24)에 연결하고, 상기 제 1 좌우 프레임(21)의 우측부와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우측의 중간부를 제 2 전후 프레임(25)에 연결하고, 상기 제 1 좌우 프레임(21)과, 제 2 좌우 프레임(22)과, 제 3 좌우 프레임(23)과, 상기 제 1 전후 프레임(24)과, 제 2 전후 프레임(25) 각각의 하부를 대략 동일 수평면에 설치한 콤바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좌측부와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좌측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보강 프레임(26)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 2 좌우 프레임(22)의 우측부와 제 3 좌우 프레임(23)의 우측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보강 프레임(27)으로 연결한 콤바인.
KR1020170080379A 2016-08-26 2017-06-26 콤바인 KR201800238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5455 2016-08-26
JP2016165455A JP6179832B1 (ja) 2016-08-26 2016-08-26 コンバイン
JP2017105774A JP2018198578A (ja) 2017-05-29 2017-05-29 コンバイン
JPJP-P-2017-105774 2017-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809A true KR20180023809A (ko) 2018-03-07

Family

ID=6143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379A KR20180023809A (ko) 2016-08-26 2017-06-26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80023809A (ko)
CN (1) CN107771514B (ko)
MY (1) MY199185A (ko)
TW (1) TWI7270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2682B (zh) * 2018-06-22 2023-11-07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6885B2 (ja) * 2008-05-30 2013-08-21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処理装置
TWI454615B (zh) * 2011-07-27 2014-10-01 Iseki Agricult Mach Combine
TWI578895B (zh) * 2012-03-29 2017-04-21 Iseki Agricult Mach Combine harvesters
JP5973287B2 (ja) * 2012-08-24 2016-08-2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4244700B (zh) * 2012-08-24 2017-10-13 洋马株式会社 联合收割机
JP2014064519A (ja) * 2012-09-26 2014-04-1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6343119B2 (ja) * 2013-03-15 2018-06-1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JP2015015938A (ja) * 2013-07-12 2015-01-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5052274A (ja) * 2013-09-05 2015-03-19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5809300B2 (ja) * 2014-01-15 2015-11-10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226299B2 (ja) * 2014-07-24 2017-11-08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6146772A (ja) * 2015-02-12 2016-08-18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9185A (en) 2023-10-19
CN107771514A (zh) 2018-03-09
TW201806474A (zh) 2018-03-01
TWI727064B (zh) 2021-05-11
CN107771514B (zh)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5604B (zh) 联合收割机
KR20160110029A (ko) 콤바인
JP2023095931A (ja) コンバイン
KR20180073456A (ko) 콤바인 및 탈곡 장치
JP2015208242A (ja) コンバイン
JP6179832B1 (ja) コンバイン
JP6512995B2 (ja) コンバイン
KR20180023809A (ko) 콤바인
CN106465605B (zh) 联合收割机
JP2019062796A (ja) コンバイン
JP601649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CN104519732A (zh) 作业机搭载用发动机装置
JP6958505B2 (ja) コンバイン
JP6921887B2 (ja) コンバイン
JP5549947B2 (ja) コンバイン
JP2019115281A (ja) コンバイン
JP5174059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の脱粒穀稈排出構造
JP2018050595A (ja) コンバイン
JP6945304B2 (ja) コンバイン
JP6908100B2 (ja) コンバイン
JP6870665B2 (ja) コンバイン
JP2018198578A (ja) コンバイン
KR101512683B1 (ko) 콤바인
JP6868224B2 (ja) コンバイン
JP2019062797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