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683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683B1
KR101512683B1 KR1020130085880A KR20130085880A KR101512683B1 KR 101512683 B1 KR101512683 B1 KR 101512683B1 KR 1020130085880 A KR1020130085880 A KR 1020130085880A KR 20130085880 A KR20130085880 A KR 20130085880A KR 101512683 B1 KR101512683 B1 KR 10151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cleaner
support member
engin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955A (ko
Inventor
히사유키 사토지
모토야 시라카타
지로 야마모토
요시타카 우에지
히로시 니시자키
신 후타가미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67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6739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12628A external-priority patent/JP56791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85377A external-priority patent/JP5733297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과제] 콤바인에 있어서의 엔진의 흡기 효율의 향상과, 에어클리너의 메인터넌스의 용이화를 도모한다.
[해결 수단] 엔진(9)을 갖는 기체의 좌우 일측에 탈곡 장치(5)를 구비하고, 기체의 좌우 타측에는 그레인 탱크(6)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엔진(9)에 흡기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클리너(33)를 탈곡 장치(5)의 상면에 구비된 제 1 지지 부재(80)에 의해 지지한다. 또한, 이 제 1 지지 부재(80)를 탈곡 장치(5)의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81) 중 개폐 불능인 고정측의 커버(82)에 장착한다. 또한, 엔진(9)의 흡기 경로에 있어서의 에어클리너(33)보다 상류측 부위에 프리클리너(32)를 구비하고, 프리클리너(32)를 제 2 지지 부재(83)를 통해서 양곡 장치(14)의 상단부에 지지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기체 프레임의 좌측에 탈곡 장치를 설치하고, 기체 프레임의 우측에는 그레인 탱크를 설치하고, 이 그레인 탱크 전방측에 엔진을 설치하고, 이 엔진을 내장하는 엔진 룸 내에 에어클리너가 설치된 구성이다.
일본 특허공개 2010-22244호 공보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엔진 룸 내의 좁은 공간에 에어클리너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의 제약에 의해 에어클리너의 크기가 제한되고, 이것에 의해 흡기 효율이 저하되어 엔진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엔진 룸 내의 포위된 공간에 에어클리너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에어클리너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엔진의 흡기 효율의 향상과, 에어클리너의 메인터넌스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엔진(9)을 가진 기체의 좌우 일측에 탈곡 장치(5)를 구비하고, 기체의 좌우 타측에는 그레인 탱크(6)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9)에 흡기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클리너(33)를 탈곡 장치(5)의 상면에 구비된 제 1 지지 부재(80)에 의해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지지 부재(80)를 탈곡 장치(5)의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81) 중 개폐 불능인 고정측의 커버(82)에 장착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의 공간(S)에 탈곡 후의 곡립을 그레인 탱크(6)로 투입하는 양곡(揚穀) 장치(14)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9)의 흡기 경로에 있어서의 에어클리너(33)보다 상류측의 부위에는 프리클리너(32)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클리너(32)를 제 2 지지 부재(83)를 통해서 양곡 장치(14)의 상단부에 지지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에어클리너(33)의 상부와 프리클리너(32)의 하부를 접속관(34)으로 접속해서 일체화하고, 이 일체화한 에어클리너(33)와 프리클리너(32)를 제 1 지지 부재(80)와 제 2 지지 부재(83)를 통해서 기체측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그레인 탱크(6)에는 곡립을 배출하는 선회 가능한 횡이송통(8B)을 구비하고, 상기 탈곡 장치(5)의 상면에 횡이송통(8B)을 기체 상의 수납 위치에서 지지하는 제 3 지지 부재(8D)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지지 부재(8D)에 상기 제 2 지지 부재(83)의 중간부를 연결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엔진(9)이 내장된 엔진 룸(E)의 상측에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의 횡측면에 형성된 측면창을 막는 제 1 투명판 (84)을 구비하고, 이 제 1 투명판(84)을 그 상부에 구비한 제 1 지점(Q)을 중심으로 해서 횡측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캐빈(7)의 후면에 후면창을 형성하고, 이 후면창을 막는 제 2 투명판(86)을 그 상부에 구비한 제 2 지점(R)을 중심으로 해서 후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에어클리너(33)를 탈곡 장치(5)의 상면에 구비된 제 1 지지 부재(80)에 의해 지지했으므로 이 에어클리너(33)를 설치 공간의 제약이 적은 탈곡 장치(5)의 상측에 배치할 수 있고, 이 에어클리너(33)의 대형화가 가능해져서 엔진(9)의 흡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에어클리너(33)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80)가 탈곡 장치(5)의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81) 중 개폐하는 부분을 피해서 고정측의 커버(82)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 커버(81)를 개폐 조작해도 지장이 없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프리클리너(32)를 제 2 지지 부재(83)를 통해서 양곡 장치(14)의 상단부에 지지했으므로 이 프리클리너(32)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미리 에어클리너(33)의 상부와 프리클리너(32)의 하부를 접속관(34)으로 접속해서 일체화해 두고, 이 일체화한 에어클리너(33)와 프리클리너(32)를 제 1 지지 부재(80)와 제 2 지지 부재(83)를 통해서 기체측에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탈곡 장치(5)의 상면에 구비한 횡이송통(8B) 지지용의 제 3 지지 부재(8D)에 제 2 지지 부재(83)의 중간부를 연결했으므로 프리클리너(32)를 더욱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캐빈(7)의 횡측면에 형성된 측면창을 막는 제 1 투명판(84)을 구비하고, 이 제 1 투명판(84)을 횡측방으로 개방함으로써 측면창으로부터 에어클리너(33)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캐빈(7)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창을 막는 제 2 투명판(86)을 구비하고, 이 제 2 투명판(86)을 후방으로 개방함으로써 후면창으로부터 프리클리너(32)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요부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요부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4는 콤바인의 요부 설명용 배면도이다.
도 5는 배기관 주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콤바인의 요부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7은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콤바인의 요부 설명용 배면도이다.
도 9는 콤바인의 캐빈 부분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콤바인의 요부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11은 그레인 탱크를 탈곡 장치측으로부터 본 상태에서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 12는 그레인 탱크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측의 측벽에 대한 양곡통과 배기관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13은 흡기계 및 배기계 주변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흡기계 및 배기계 주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들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콤바인(1)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을 주행하는 좌우 1쌍의 크롤러로 이루어지는 주행 장치(3)와, 기체의 전방 끝 위치에서 포장으로부터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4)와, 그 후방에서 곡간의 탈곡·선별을 행하는 탈곡 장치(5)와, 탈곡 장치(5)의 우측에 병설되어 탈곡·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6)를 구비하고, 그레인 탱크(6)의 전방측이고 예취 장치(4)의 배면에 임하는 부위에 조작자가 탑승하는 캐빈(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에는 저류된 곡립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8)를 세로축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구비하고, 캐빈(7) 하방의 엔진 룸(E)의 내부에는 디젤 엔진(9)을 구비하고 있다.
(탈곡 장치)
예취 장치(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탈곡 장치(5)에 공급되고, 탈곡 장치(5)에 의해 탈곡·선별된다. 탈곡 장치(5)는 상부에 곡간의 탈곡을 행하는 급실(扱室)을 구비하고, 하부에 곡간의 선별을 행하는 선별실을 구비하고 있다. 급실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급치(扱齒)를 갖는 급동(扱胴)이 축지지되고, 선별실에는 요동 선별 장치로부터 흘러내리는 곡립을 회수하는 1번 받이통과, 지경 등이 부착된 곡립을 회수하는 2번 받이통이 설치되어 있다.
1번 받이통에 의해 회수된 곡립은 탈곡 장치(5)의 우측에 배치된 제 1 양곡 장치(양곡 장치)(14)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그레인 탱크(6)에 투입되어서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제 1 양곡 장치(14)의 기부는 탈곡 장치(5)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고, 제 1 양곡 장치(14)의 상부는 그레인 탱크(6)의 투입구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 1 양곡 장치(14)는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에 의해 끼워진 공간(S)을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전방이 상방으로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2번 받이통에 의해 회수된 지경 등이 부착된 곡립은 탈곡 장치(5)의 우측에 설치된 제 2 양곡 장치(15)에 의해 2번 처리실(도시생략)로 올려보내진다. 제 1 양곡 장치(14)의 기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양곡 장치(15)의 기부는 탈곡 장치(5)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통되고, 제 2 양곡 장치(15)의 상부는 2번 처리실의 투입구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 2 양곡 장치(15)는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에 의해 끼워진 공간(S)을 기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전방이 상방으로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
제 1 양곡 장치(14)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된 곡립은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다. 그레인 탱크(6)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한 전방벽 및 후방벽과,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한 우측벽 및 좌측벽과, 천장벽과, 저벽으로 구성된다. 좌측벽의 상부에는 곡립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그레인 탱크(6)의 저부에는 배출 오거(8)로 곡립을 이송하는 배출 나선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6)의 좌측벽의 상부는 다량의 곡립을 저류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벽(23A)으로 형성된다. 좌측벽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속되는 그레인 탱크(6)의 저부에는 저류된 곡립을 능률적으로 배출 나선으로 도입시키기 위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안식각도로 경사진 경사벽(2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벽(23B)은 기체 전후 방향에서 높이가 다른 단차부를 갖고 있다.
또한, 배출 오거(8)는 그레인 탱크(6)의 후방측에 세로축 회동 가능하게 세워서 설치한 양곡 튜브(양곡통)(8A)와, 이 양곡 튜브(8A)의 상단부에 가로축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횡이송 튜브(횡이송통)(8B)로 구성되어 있다. 횡이송 튜브(8B)는 탈곡 장치(5)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 부재(제 3 지지 부재)(8D)에 적재된 수납 위치로부터 기체 측방으로 돌출된 배출 작업 위치에 걸쳐서 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 좌측벽의 수직벽(23A)에는 제 1 양곡 장치(14)와 제 2 양곡 장치(15)를 배치하는 오목부(22A)가 형성되고, 좌측벽의 경사벽(23B)에는 후술하는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인 DPF 유닛(배기 정화 장치)(40)의 배기관(60)을 배치하는 오목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벽의 경사벽(23B)의 오목부(22B)에 고온 상태의 DPF 유닛(40)의 배기관(60)을 배치함으로써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가 촉진되어 곡립의 반송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엔진)
엔진(9)은 마운팅 고무(탄성 부재)(9a)를 통하여 기체 프레임(2)에 장착되어 있다. 엔진(9)에는 엔진(9)에 공기를 과급하는 흡기 터빈(30A)과 엔진(9)으로부터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매니폴드(30B)를 갖는 과급기(30)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 터빈(30A)에는 접속관(35)을 통하여 흡기된 공기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에어클리너(33)가 접속되고, 에어클리너(33)에는 접속관(34)을 통하여 외기를 여과하면서 흡기하는 프리클리너(32)가 접속되며, 배기 매니폴드(30B)에는 접속관(50)을 통하여 배기가스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DPF 유닛(40)의 흡기구(유입구)가 접속되어 있다.
(DPF 유닛)
DPF 유닛(40)은 흡기구(유입구)측의 산화촉매(DOC)(40A)와, 배기구(유출구)측의 파티큘레이트 필터(DPF)(40B)가 내설되어 있고, 엔진(9)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미연소 연료는 DOC(40A)에 의해 산화되고, 배기가스 중의 입상화 물질은 DPF(40B)의 여과 작용에 의해 제거된다.
DPF 유닛(40)은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구조를 간이하게 하기 위해 마운팅 고무(9a)를 개재하지 않고 기체 프레임(2)에 고정된다. 이 DPF 유닛(40)은 엔진(9)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엔진(9)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엔진(9)의 배면과 제 1 양곡 장치(14)의 기부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DPF 유닛(40)의 전단부를 그레인 탱크(6)의 전방벽과 대략 동일 위치에 배치하여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를 촉진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DPF 유닛(40)은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유닛(40)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해 그레인 탱크(6) 내에 저류된 곡립을 건조시키도록 그레인 탱크(6)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고,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6)의 저부 경사벽(23B)의 실루엣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DPF 유닛(40)의 배기구도 경사벽(23B)의 하측에 위치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유닛(40)의 흡기구는 접속관(50)을 통하여 배기 매니폴드(30B)에 접속되고, DPF 유닛(40)의 배기구에는 불순물 등이 제거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60)이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50)은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속관(51)과, 엔진(9) 진동의 전파를 저감시키는 가요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관으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튜브(52)와,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관(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관(50)의 전체 또는 플렉서블 튜브(52)를 고무 등의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해도 된다.
엔진(9)의 시동시나 기체의 주행시에 이 엔진(9)과 DPF 유닛(40)이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시켜도 DPF 유닛(40)의 흡기구와 접속관(50)의 접속 부분이나, 접속관(50)과 배기 매니폴드(30B)의 접속 부분 등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하여 배기 유입측 관로의 금속 피로가 생기기 어려워져서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 1 접속관(51)은 배기 매니폴드(30B)로부터 대략 하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플렉서블 튜브(52)는 제 1 접속관(51)의 선단부로부터 대략 하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제 2 접속관(53)은 플렉서블 튜브(52)의 선단부로부터 약 90도 만곡된 후 후방으로 연장되어 DPF 유닛(40)의 흡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배면으로부터 볼 때 있어서, 제 1 접속관(51)은 배기 매니폴드(30B)로부터 약 90도 만곡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고, 플렉서블 튜브(52)는 제 1 접속관(51)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 2 접속관(53)은 플렉서블 튜브(52)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 후방을 향하여 약 90도 만곡되어 DPF 유닛(40)의 흡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60)은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배기관(테이프 파이프)(61)과, 배기관(61)으로의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만곡 형상 또는 굴절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기관(61)의 기부[배기관(61)의 하부]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있어서, DPF 유닛(40)의 배기구(유출구)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된 후 단차를 갖는 경사벽(23B)에 있어서의 높은 측의 경사벽(23B)의 하면을 따라 좌측 전방 상방을 향해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배기관(61)의 상부는 배기관(61)의 기부의 선단부로부터 전방이 상방으로 급경사져서 연장되고, 커버(62)는 배기관(61)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기구의 상측에 개구부(62A)를 후방을 향해서 장착하고 있다. 커버(62)는 배기관(61)의 상단부에 스테이를 통하여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제 1 양곡 장치(14)의 상단부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커버(62)는 종단면 형상이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커버(62)의 기부(하부)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통 형상부의 내경은 배기관(61)의 상단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커버(62)를 배기관(61)의 상단부에 씌워서 장착함으로써 이 커버(62)의 외측 커버체 하부의 내주면과 배기관(61)의 상단부 외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에 있어서는 배기관(61)의 상단부로부터 커버(62)측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흐름에 의해 디퓨저 효과가 발생하고, 외기가 흡입되어 개구부(62A)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더욱 저하된다.
도 2,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을 유효하게 활용하도록 배기관(61)의 상부는 제 1 양곡 장치(14)를 배치하는 그레인 탱크(6)의 수직벽(23A)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오목부(22A)에 제 1 양곡 장치(14)와 평행한 자세로 이 제 1 양곡 장치(1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관(61)의 상부는 제 1 양곡 장치(14)에 스테이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그레인 탱크(6)의 수직벽(23A)의 오목부(22A)에 고온 상태의 배기관(60)의 상부를 배치함으로써 그레인 탱크(6)에 저류된 곡립의 건조가 촉진되어 곡립의 반송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배기관(61)으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된 배기가스가 프리클리너(32)에 의해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62)의 개구부(62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심 위치를 프리클리너(32)의 흡기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배기관(61) 상부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기구를 프리클리너(32)의 흡기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밖으로 배기가스를 능률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커버(62)에 의한 개구부(62A)로부터의 배기가스의 배출 안내 방향은 배출 오거(8)의 횡이송 튜브(횡이송통)(8B)가 콤바인의 기체 상의 수납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이 횡이송 튜브(8B)와 대략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을 유효하게 활용하도록, 배기관(61)의 기부는 그레인 탱크(6)의 경사벽(23B)의 단차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22B) 내에 배치되고, 배기관(61)의 상부는 제 1 양곡 장치(14)가 배치되어 있는 그레인 탱크(6)의 수직벽(23A)의 오목부(22A)에 제 1 양곡 장치(14)의 전방측으로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DPF 유닛(40)의 배기구의 외경을 기준으로 해서 배기관(61)의 기부의 내경을 대경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디퓨저 효과가 얻어지고, DPF 유닛(40)으로부터 배기관(61)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출에 의해 DPF 유닛(40)과 배기관(61)의 기부의 간극으로부터 공기를 인입하여 배기관(61) 내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또한 커버(62)의 개구부(62A)로부터 침입해 온 빗물 등을 상기 간극으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수할 수도 있다. 또한, DPF 유닛(40) 주변의 고온의 분위기를 기기 밖으로 흡출하여 DPF 유닛(40)의 주변에 설치하는 센서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관의 다른 실시예)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배기관(61)을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배기관(제 1 배기관)(61A)과, 이 배기관(61A)보다 대경인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배기관(제 2 배기관)(61B)으로 구성해도 좋다.
측면으로부터 볼 때 있어서, 하부 배기관(61A)은 DPF 유닛(40)의 배기구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된 후 전방 상측을 향해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상부 배기관(61B)은 배기관(61A)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의 상측을 향해서 배기관(61A)보다 급경사져서 연장되고, 배기관(61B)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기구에는 상술한 커버(62)가 장착되어 있다.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 상부 배기관(61B)은 제 1 양곡 장치(14)를 배치하는 그레인 탱크(6)의 수직벽(23A)에 형성된 오목부(22A) 내에 배치되고, 제 1 양곡 장치(14)와 평행한 자세로 제 1 양곡 장치(1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62)는 배출관(61B)의 상단부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된 배기가스가 프리클리너(32)에 의해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62)의 개구부(62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심 위치를 프리클리너(32)의 흡기구(32A)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기기 밖으로 배기가스를 능률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커버(62)에 의한 배기가스의 배출 안내 방향은 수납 상태에 있는 배출 오거(8)의 횡이송 튜브(8B)와 대략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배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하부 배기관(61A)은 DPF 유닛(40)의 배기구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된 후 좌상측을 향해서 경사져서 연장되고, 상부 배기관(61B)은 하부 배기관(61A)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측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고, 배기관(61B)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기구에는 상술한 커버(62)가 장착되어 있다.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 하부 배기관(61A)은 그레인 탱크(6)의 경사벽(23B)의 오목부(22B) 내에 배치되고, 상부 배기관(61B)은 제 1 양곡 장치(14)가 배치되어 있는 그레인 탱크(6)의 수직벽(23A)의 오목부(22A) 내에 제 1 양곡 장치(14)와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하부 배기관(61A)의 상단부의 외경보다 상부 배기관(61B)의 하단부의 내경은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관(61A)의 상단부를 배기관(61B)의 하단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배기관(61A)의 상단부의 외주면과 배기관(61B)의 하단부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배기관(61A)으로부터 배기관(61B)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출에 의해 배기관(61A)과 배기관(61B)의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인입하여 배기관(61B) 내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62)의 개구부(62A)로부터 침입해 온 빗물 등을 상기 간극으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수할 수도 있다. 또한, DPF 유닛(40) 주변의 고온의 분위기를 기기 밖으로 흡출하여 DPF 유닛(40)의 주변에 설치하는 센서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DPF 유닛(40)에 접속된 하부 배기관(61A)과 제 1 양곡 장치(14)를 따라 설치된 상부 배기관(61B)이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시켜도 DPF 유닛(40)과 배기관(61A)의 접속 부분 등에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기 어려워 배기관로의 금속 피로가 생기기 어려워져서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폐짚 등의 불순물이 배기관(61B)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관(61A)과 배기관(61B)의 간극에 네트를 장설(張設)하는 것이 적합하다.
(배기 정화 장치 및 배기관의 다른 실시예)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유닛(40)에는 흡기구측의 DOC(40A)와, 중앙부의 DPF(40B)와, 배기구측에 접속된 요소 SCR(40C)이 설치되어 있고, 엔진(9)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미연소 연료는 DOC(40A)에 의해 산화되고, 배기가스 중의 입상화 물질은 DPF(40B)에 의해 여과되어 제거되고,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은 요소 SCR(40C)에 의해 정화된다.
DPF 유닛(40)의 흡기구는 접속관(50)을 통하여 배기 매니폴드(30B)에 접속되고, DPF 유닛(40)의 배기구에는 불순물 등이 제거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60)이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50)은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속관(51)과, 엔진(9)의 진동 전파를 저감시키는 가요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관으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튜브(52)와,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관(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기관(60)은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배기관(71)과, 배기관(71)으로의 빗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면으로부터 볼 때 있어서, 배기관(71)의 기부는 DPF 유닛(40)의 배기구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된 후 전방 상측을 향해서 경사져서 연장되고, 배기관(71)의 상부는 배기관(71)의 기부의 선단부로부터 전방 상측을 향해서 급경사져서 연장되고, 커버(62)는 배기관(71)의 상부의 선단부에 형성된 배기구에 개구부(62A)를 후방을 향해서 장착되어 있다.
배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배기관(71)의 기부는 DPF 유닛(40)의 배기구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된 후 좌상측을 향해서 경사져서 연장되고, 배기관(71)의 상부는 배기관(71)의 기부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해서 연장되고, 커버(62)는 배기관(71)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기구에 개구부(62A)를 후방을 향해서 장착되어 있다.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을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 배기관(71)의 기부는 그레인 탱크(6)의 경사벽(23B)의 오목부(22B)에 배치되고, 배기관(71)의 상부는 제 2 양곡 장치(15)가 배치되어 있는 그레인 탱크(6)의 수직벽(23A)의 오목부 내에 있어서 제 2 양곡 장치(15)의 후방측에 병렬해서 배치되어 있다.
DPF 유닛(40)의 배기구의 외경보다 배기관(71)의 기부의 내경은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디퓨저 효과가 얻어지고, DPF 유닛(40)으로부터 배기관(71)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출에 의해 DPF 유닛(40)과 배기관(71)의 기부의 간극으로부터 공기를 인입하여 배기관(71) 내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또한 커버(62)의 개구부(62A)로부터 침입해 온 빗물 등을 상기 간극으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에어클리너 및 프리클리너의 배치)
엔진(9)에 공급되는 외기를 여과하는 대형 에어클리너(33)를 탈곡 장치(5)의 상측에 배치하여 엔진(9)의 흡기 효율을 높이고 있다.
도 1~도 3,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에어클리너(33)는 탈곡 장치(5)의 상측에 있어서 캐빈(7)의 좌측 후방부의 좌측방에 인접한 위치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에어클리너(33)는 탈곡 장치(5)의 상면에 설치한 지지 부재(제 1 지지 부재)(8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80)는 탈곡 장치(5)의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81) 중 개폐되는 부분을 피해서 고정측의 커버(82)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 커버(81)를 개폐 조작해도 지장이 없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클리너(32)는 지지 부재(제 2 지지 부재)(83)를 통하여 제 1 양곡 장치(14)의 상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83)의 중간부는 횡이송 튜브(8B)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8D)에 연결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클리너(32)는 에어클리너(3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배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캐빈(7)의 실루엣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횡이송 튜브(8B)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도 4,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클리너(33)를 수납 위치에 있는 횡이송 튜브(8B)의 하측으로 들어가게 하고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7)의 좌측면에 측면창을 형성하고, 이 측면창을 막는 투명판(제 1 투명판)(84)을 상부 지점(제 1 지점)(Q)을 중심으로 좌측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에어클리너(33)는 이 투명판(84)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 투명판(84)을 좌측방으로 개방하면 측면창으로부터 에어클리너(33)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에어클리너(33)의 상부와 프리클리너(32)의 하부를 접속관(34)으로 접속시켜 일체화해 두고, 이 일체화된 에어클리너(33)와 프리클리너(32)를 지지 부재(80)와 지지 부재(83)를 통하여 기체측에 장착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7)의 후면에는 후면창을 형성하고, 이 후면창을 막는 투명판(제 2 투명판)(86)을 상부 지점(제 2 지점)(R)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프리클리너(32)는 투명판(86)의 개폐에 지장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판(86)보다 좌측으로 편향시킨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투명판(86)을 후방으로 개방하면 캐빈(7)의 후면창으로부터 프리클리너(32)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에어클리너(33)와 엔진(9)의 흡기 매니폴드는 접속관(35)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클리너(32)와 배기관(61)의 상단부에 배치한 커버(62)는 대략 같은 높이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도 대략 같은 위치에 배치되지만, 커버(62)의 개구부(62A)는 프리클리너(32)가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버(62)에 의해 배출 안내된 배기가스가 프리클리너(32)에 흡입되기 어려운 것으로 하고 있다.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제 1 양곡 장치(14)와 제 2 양곡 장치(15)와 배기관(61)을 그레인 탱크(6)의 좌측벽의 수직벽(23A)에 형성한 오목부(22A) 내에 배치하고 있다.
도 11,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 유닛(40)은 하면을 개방한 커버(88)로 덮고, 이 커버(88)의 상측에 DPF의 내부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89) 등의 센서류를 장착하고 있다.
5 : 탈곡 장치 6 : 그레인 탱크
7 : 캐빈 8B : 횡이송 튜브(횡이송통)
8D : 지지 부재(제 3 지지 부재) 9 : 엔진
14 : 제 1 양곡 장치(양곡 장치) 32 : 프리클리너
33 : 에어클리너 34 : 접속관
80 : 지지 부재(제 1 지지 부재) 81 : 상부 커버
82 : 고정측의 커버 83 : 지지 부재(제 2 지지 부재)
84 : 투명판(제 1 투명판) 86 : 투명판(제 2 투명판)
E : 엔진 룸 Q : 상부 지점(제 1 지점)
R : 상부 지점(제 2 지점) S : 공간

Claims (7)

  1. 엔진(9)을 가진 기체의 좌우 일측에 탈곡 장치(5)를 구비하고, 기체의 좌우 타측에는 그레인 탱크(6)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9)에 흡기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클리너(33)를 탈곡 장치(5)의 상면에 구비된 제 1 지지 부재(80)에 의해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부재(80)를 탈곡 장치(5)의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81) 중 개폐 불능인 고정측의 커버(82)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5)와 그레인 탱크(6) 사이의 공간(S)에 탈곡 후의 곡립을 그레인 탱크(6)로 투입하는 양곡 장치(14)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9)의 흡기 경로에 있어서의 에어클리너(33)보다 상류측의 부위에는 프리클리너(32)를 구비하고, 상기 프리클리너(32)를 제 2 지지 부재(83)를 통해서 양곡 장치(14)의 상단부에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33)의 상부와 프리클리너(32)의 하부를 접속관(34)으로 접속해서 일체화하고, 이 일체화한 에어클리너(33)와 프리클리너(32)를 제 1 지지 부재(80)와 제 2 지지 부재(83)를 통해서 기체측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6)에는 곡립을 배출하는 선회 가능한 횡이송통(8B)을 구비하고, 상기 탈곡 장치(5)의 상면에 횡이송통(8B)을 기체 상의 수납 위치에서 지지하는 제 3 지지 부재(8D)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지지 부재(8D)에 상기 제 2 지지 부재(83)의 중간부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9)이 내장된 엔진 룸(E)의 상측에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의 횡측면에 형성된 측면창을 막는 제 1 투명판(84)을 구비하고, 이 제 1 투명판(84)을 그 상부에 구비한 제 1 지점(Q)을 중심으로 해서 횡측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9)이 내장된 엔진 룸(E)의 상측에 구비된 캐빈(7)의 후면에 후면창을 형성하고, 이 후면창을 막는 제 2 투명판 (86)을 그 상부에 구비한 제 2 지점(R)을 중심으로 해서 후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30085880A 2012-07-27 2013-07-22 콤바인 KR101512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7559A JP5673967B2 (ja) 2012-07-27 2012-07-27 コンバイン
JPJP-P-2012-167559 2012-07-27
JPJP-P-2012-212628 2012-09-26
JP2012212628A JP5679127B2 (ja) 2012-09-26 2012-09-26 コンバイン
JPJP-P-2012-285377 2012-12-27
JP2012285377A JP5733297B2 (ja) 2012-12-27 2012-12-27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955A KR20140013955A (ko) 2014-02-05
KR101512683B1 true KR101512683B1 (ko) 2015-04-16

Family

ID=5026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880A KR101512683B1 (ko) 2012-07-27 2013-07-22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2683B1 (ko)
TW (1) TWI5541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6817B1 (ja) * 2017-06-29 2018-01-1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11373921A (zh) * 2018-12-25 2020-07-07 株式会社久保田 收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251A (ja) 2002-04-23 2003-11-0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
JP2008072906A (ja) 2006-09-19 2008-04-03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193833A (ja) 2010-03-23 2011-10-06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2130265A (ja) 2010-12-20 2012-07-1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5007B2 (ja) * 2009-10-23 2014-09-2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251A (ja) 2002-04-23 2003-11-0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
JP2008072906A (ja) 2006-09-19 2008-04-03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1193833A (ja) 2010-03-23 2011-10-06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2130265A (ja) 2010-12-20 2012-07-1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955A (ko) 2014-02-05
TWI554197B (zh) 2016-10-21
TW201410138A (zh) 201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682B1 (ko) 콤바인
KR101978539B1 (ko) 콤바인
JP5274971B2 (ja) 野菜収穫機
KR102446474B1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20150130274A (ko)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KR20180034574A (ko) 콤바인
JP6585491B2 (ja) コンバイン
WO2008026550A1 (fr) Moissonneuse-batteuse
KR101512683B1 (ko) 콤바인
JP2017216886A (ja) コンバイン
JP2015208242A (ja) コンバイン
JP6792683B2 (ja) コンバイン
JP5505389B2 (ja) コンバイン
JP5733297B2 (ja) コンバイン
KR20170052310A (ko) 콤바인
JP6555319B2 (ja) コンバイン
JP6319482B2 (ja) コンバイン
JP2014193122A (ja) コンバイン
JP2015086814A (ja) 排気ガス冷却装置およびこの排気ガス冷却装置を備えたコンバイン
JP6652188B2 (ja) コンバイン
JP6194946B2 (ja) コンバイン
JP6652187B2 (ja) コンバイン
KR20180023809A (ko) 콤바인
JP5679350B2 (ja) コンバイン
JP6908100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