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902A -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 Google Patents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902A
KR20180013902A KR1020177033897A KR20177033897A KR20180013902A KR 20180013902 A KR20180013902 A KR 20180013902A KR 1020177033897 A KR1020177033897 A KR 1020177033897A KR 20177033897 A KR20177033897 A KR 20177033897A KR 20180013902 A KR20180013902 A KR 20180013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outlet
flange
opening
container
straigh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에 하야시
가츠유키 모타이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보유 지지구 내에 주출구를 원활하게 통과시키며, 또한 주출구를 보유 지지구에 걸림 결합한다. 액체 수납 용기(1)는 주머니 본체(3)와, 주출구 플랜지(42)를 갖는 주출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주출구(40)는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보유 지지구(80)를 개재시켜 장착된다. 보유 지지구(80)는 외측 플랜지(81)와 내측 플랜지(82)를 갖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a1,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a2로 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b1,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b2로 했을 때, a2>b2, a1<b1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본 발명은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주출구(注出口)와 보유 지지구(保持具)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업 약품 분야,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 분야 등에서 유동성 내용물의 보관이나 수송에 제공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업 약품 분야,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 분야 등에서, 보관이나 수송에 알루미늄, 플라스틱, 스틸, 스테인리스, 파이버 보드 등으로 만들어진 외장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유동성 내용물을 수용하는 액체 수납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 수납 용기는, 사용 완료된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로부터 취출하고, 새로운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 내에 세트하기만 하면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액체 수납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플라스틱이나 스틸 등의 외장 용기에 유동성 내용물을 충전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정하는 수고 등을 덜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어, 공업 약품,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의 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액체 수납 용기로서, 내부 주머니와 외부 주머니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주머니 본체에 설치된 주출구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액체 수납 용기는, 먼저 콤팩트하게 절첩되어 외장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외장 용기 내에 삽입된다. 이때, 액체 수납 용기의 주출구는, 외장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는데, 개구부의 형상이 다소 커져도 주출구를 개구부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주출구와 개구부 사이에 주출구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구가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주출구와 개구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유 지지구로서, 용이하면서 또한 간단하게 주출구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진 보유 지지구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15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464,232호 공보 미국 특허 제5,102,010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용이하면서 또한 간단하게 주출구에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진 보유 지지구를 갖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및 그들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와, 이 외장 용기 내에 배치된 액체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주머니 본체와, 이 주머니 본체에 설치되고 주출구 플랜지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구는 상기 개구부에 보유 지지구를 개재시켜 장착되고, 상기 보유 지지구는 외측 에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내측 에지를 갖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a1,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a2로 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b1,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b2로 했을 때, a2>b2, a1<b1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이다.
본 발명은 상기 내측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당해 링 형상의 내측 에지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절결이 형성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a1은 링 형상의 내경에 의해 규정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a2는 한 쌍의 절결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여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b1 및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b2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여도 된다.
본 발명은 주출구 플랜지를 갖는 주출구와,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보유 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a1,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a2로 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b1,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b2로 했을 때, a2>b2, a1<b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이다.
본 발명은 상기 내측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당해 링 형상의 내측 에지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절결이 형성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a1은 링 형상의 내경에 의해 규정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a2는 한 쌍의 절결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여도 된다.
상기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b1 및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b2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여도 된다.
본 발명은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보유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a1,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a2로 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b1,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b2로 했을 때, a2>b2, a1<b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구이다.
본 발명은 상기 내측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당해 링 형상의 내측 에지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절결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a1은 링 형상의 내경에 의해 규정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a2는 한 쌍의 절결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구여도 된다.
본 발명은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보유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구는 상기 주출구가 통과 가능한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구이다.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와, 이 외장 용기 내에 배치된 액체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주머니 본체와, 이 주머니 본체에 설치되고 주출구 플랜지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구는 상기 개구부에 보유 지지구를 개재시켜 장착되고, 상기 보유 지지구는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보유 지지구는 상기 주출구가 통과 가능한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이다.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주머니 본체와, 이 주머니 본체에 설치되고 주출구 플랜지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갖는 액체 수납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주머니 본체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에, 상기 개구부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보유 지지구를 설치하고, 이 보유 지지구를 상기 개구부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로부터 상기 주머니 본체 내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주머니 본체를 부풀리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사용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주머니 본체 내로 내용물을 충전한 후, 상기 개구부에 개구부 캡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를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캡을 제거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내용물을 상기 주출구를 통하여 외방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사용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주머니 본체 내로 내용액을 충전한 후, 상기 주출구에 주출구 캡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로부터 상기 보유 지지구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장 용기 내로 수납하고, 상기 개구부에 개구부 캡을 장착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사용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개구부에 상기 개구부 캡을 장착한 후, 상기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를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캡을 제거하고, 상기 주출구를 상기 외장 용기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방으로 인출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에 추가 보유 지지구를 설치하고, 이 추가 보유 지지구를 상기 개구부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 캡을 제거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내용물을 상기 주출구를 통하여 외방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방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사용 방법이다.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와, 이 외장 용기 내에 배치된 액체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주머니 본체와, 이 주머니 본체에 설치되고 주출구 플랜지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구는 상기 개구부에 보유 지지구를 개재시켜 장착되고, 상기 보유 지지구는 외측 에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내측 에지를 갖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주출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장 용기 내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납되는 상기 주출구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방으로 인출하기 위한 주출구 인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 지지구를 주출구에 용이하면서 또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보유 지지구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액체 수납 용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주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주출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주출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주출구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6은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8은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 내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액체 수납 용기의 주머니 본체의 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a는 보유 지지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b는 보유 지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도 12와 90°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14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15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1의 A-A선 단면도.
도 17은 도 11의 B-B선 단면도.
도 18은 보유 지지구 내에 주출구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a는 보유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b는 보유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c는 보유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d는 보유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a는 보유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b는 보유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a는 보유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b는 보유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c는 보유 지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a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b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c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d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e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f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a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보유 지지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3b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보유 지지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주출구 인출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주출구 인출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주출구 인출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주출구 인출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주출구 인출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액체 수납 용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체 수납 용기(1)는, 외부 주머니(20)와 내부 주머니(21)를 중첩한 다중 필름(2)을, 내부 주머니(21)끼리 대향하도록 중첩하여 합계 4매로 하고, 그 4변을 히트 시일하여 히트 시일부(10)를 형성한 주머니 본체(3)와, 이 주머니 본체(3)의 상부 에지(3a)에 배치되고 내부 주머니(21) 사이에 미리 열 융착된 주출구(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머니 본체(3)는 다중 필름(2)을 내부 주머니(21)끼리 대향하도록 하여 적층하고, 4변을 히트 시일하여 히트 시일부(10)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중 필름(2)을 내부 주머니(21)끼리 대향하도록 하여 절곡한 후, 중첩된 외주변의 3변을 히트 시일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히트 시일부(10)의 내측 에지 각 부는, 그 내측 에지가 호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코너부에 유동성 내용물이 잔존하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또한, 주머니 본체는 반드시 다중 필름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주머니 본체(3)의 필름 구성은 내용물이나 양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머니 본체(3)가 2매의 다중 필름을 중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름을 2매 준비하여 4변을 히트 시일하거나, 혹은 1매의 필름을 되접어서 3변을 히트 시일함으로써, 단층의 필름으로 주머니 본체(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는 2매의 다중 필름(2)을 중첩하고, 주위 에지를 히트 시일하여 히트 시일부(10)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 주머니 본체(3)는 상부 에지(3a)와, 저부 에지(3b)와, 2측 에지(3c, 3c)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상부 에지(3a)는 2개의 상부 에지 히트 시일부(10a)를 포함하고, 저부 에지(3b)는 1개의 저부 에지 히트 시일부(10b)를 포함하고, 각 측부 에지(3c, 3c)는 1개의 측부 에지 히트 시일부(10c)를 갖고, 이들 상부 에지 히트 시일부(10a)와, 저부 에지 히트 시일부(10b)와 측부 에지 히트 시일부(10c)에 의해 히트 시일부(1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머니 본체(3)의 상부 에지(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상부 에지 히트 시일부(10a)를 포함하는데, 상부 에지(3a)에 1개의 히트 시일부를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상부 에지(3a)의 히트 시일부(10a)를 2개로 나눔으로써, 예를 들어 상부 에지(3a)에 2개분의 히트 시일부(10a)의 폭을 갖는 1개의 히트 시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부 에지(3a)를 비교적 연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주출구(40)는, 주머니 본체(3)의 상부 에지(3a)에 열 융착된 주출구 설치부(50)와, 해당 주출구 설치부(50)에 연접되어 주머니 본체(3)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주출구 본체(41)를 갖고, 주출구 본체(41)의 상단에는 주출구 플랜지(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출구(40)는 주출구 설치부(50)에서 다중 필름(2)의 내부 주머니(21) 사이에 열 융착되어 있다.
주출구(40)의 주출구 설치부(5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51)와, 중앙부(51)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부(51)의 두께보다 박육이 되는 박육부(52)를 갖는 타원 통체를 포함하고, 편평상으로 중앙부(51)에 관통 구멍(45)을 갖는다. 통상, 주출구(40)를 주출구 설치부(50)에 있어서 다중 필름(2)의 내부 주머니(21) 사이에 열 융착할 때에 내부 주머니(21) 사이와 주출구 설치부(50)의 단부로 둘러싸이는 2개의 영역에 간극이 생겨 밀봉 불량이 되기 쉽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에 박육부(52)를 설치하고, 열 융착 시에 이 박육부(52)를 용융함으로써 간극이 생김을 방지한다.
또한 주출구(40)의 주출구 본체(41)는,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인 통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주위 에지에 주출구 플랜지(42)가 설치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41)의 저부(43)에는, 개구(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44)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와, 후술하는 외장 용기(5) 사이에 통기를 확보할 수 있고, 사용 시에 내용액을 퍼낼 때에는, 이 개구(44)를 통하여 액체 수납 용기(1)와 외장 용기(5) 사이에 기체를 봉입하고, 액체 수납 용기(1)의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부의 내용액의 퍼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주출구 본체(41) 내의 저부(43)에는, 주출구 상부 부재(7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는 외장 용기(5)에 형성된 개구부(5a)에 후술하는 보유 지지구(80)를 개재시켜 장착되고, 액체 수납 용기(1)가 외장 용기(5) 내에서 지지된다.
주출구(40)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법으로 제조된다. 이것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중 필름(2)의 내부 주머니(21)의 내면을 구성하는 수지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기 때문에, 내부 주머니(21)의 내면을 구성하는 수지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지만, 통상은 고온 시에도 강성이 있고, 저온 시에 있어서 취화되기 어려운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적합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외부 주머니(20)로서는 미연신 나일론(두께 20㎛)(20a)/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두께 40㎛)(20b)의 적층체를 사용할 수 있고, 내부 주머니(21)로서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두께 70㎛)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주머니(20)는 미연신 나일론(20a)을 포함하기 때문에, 외부 주머니(20)로서는 그 신장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외부 주머니(20)는 300% 내지 500%의 신장도를 가진다. 이렇게 외부 주머니(20)는 높은 신장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주머니 본체(3)를 전체적으로 연질로 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장 용기(5) 내에 주머니 본체(3)를 삽입하고, 이 주머니 본체(3) 내에 질소 가스나 클린 드라이 에어를 공급하여 주머니 본체(3)를 외장 용기 내에서 부풀릴 때, 원활하게 주머니 본체(3)를 부풀릴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3)의 재료로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내부 주머니(21)의 재료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주머니(20)의 재료로서는, 신장도가 300% 내지 500%인 것,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는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보유 지지구(80)를 개재시켜 장착된다. 이 보유 지지구(80)는, 개구부(5a)와 주출구(40) 사이에 개재되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의 형상이 주출구 플랜지(42)의 외형보다 다소 커져도 개구부(5a)에 주출구(40)를 확실하게 장착하도록 기능한다.
이어서 보유 지지구(80)에 대하여, 도 10a 내지 도 18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유 지지구(80)는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플랜지(81)와, 이 외측 플랜지(81)에 연결 단차부(83)를 개재시켜 연결되고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82)를 갖고, 전체적으로 개구(80a)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는 개구(80a)를 형성하는 링 형상을 가지고, 그 내경은 a1로 되어 있다. 또한 내측 플랜지(82)에는 그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절결(85, 8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85, 85)을 통과하는 내측 플랜지(82)의 내경은 a2로 되어 있다(도 10a 및 도 10b 참조).
이로 인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플랜지(82)의 최소 내경은 a1, 최대 내경은 a2가 된다.
이렇게 구성된 보유 지지구(80)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에 장착되는데(도 11 내지 13 참조), 이 경우,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는 링 형상(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주출구 플랜지(42)의 최대 외경 b1 및 최소 외경 b2는, 서로 동등하게 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러나, 주출구 플랜지(42)를 타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주출구 플랜지(42)가 최대 외경 b1과, 이 최대 외경보다 작은 최소 외경 b2를 갖고 있어도 된다(도 4의 2점 쇄선 참조).
이어서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의 최소 내경 a1과 최대 내경 a2 및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의 최대 외경 b1과 최소 외경 b2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플랜지(82)의 최대 내경 a2는 주출구 플랜지(42)의 최소 외경 b2보다 커, a2>b2로 되어 있다.
또한 내측 플랜지(82)의 최소 내경 a1은 주출구 플랜지(42)의 최대 외경 b1보다 작아 a1<b1로 되어 있다.
이렇게 a2>b2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구 플랜지(42)는, 보유 지지구(80)의 한 쌍의 절결(85) 사이를 연장하는 공간을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a1<b1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유 지지구(80)의 한 쌍의 절결(85) 사이를 통과한 주출구 플랜지(42)는,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의 최소 내경 a1 및 최대 내경 a2와,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의 최대 외경 b1 및 최소 내경 b2는, 다음과 같이 규정할 수도 있다.
즉,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의 최소 내경 a1은 내측 플랜지(82)의 내측 에지(82A)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로 되어 있고,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의 최대 내경 a2는 내측 플랜지(82)의 내측 에지(82A)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의 최대 외경 b1은 주출구 플랜지(42)의 외측 에지(42A)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로 되어 있고,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의 최소 외경 b2는 주출구 플랜지(42)의 외측 에지(42A)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a2, b2를 규정하는 「마주보는 2점 사이」란,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이용하여 주출구 플랜지(42)가 보유 지지구(80) 내의 공간을 원활하게 통과함을 의미한다.
상기 a1, b1을 규정하는 「마주보는 2점 사이」란,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이용하여 주출구 플랜지(42)가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걸림 결합 가능함을 의미한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된 액체 수납 용기(1)가 준비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세로 방향으로 절첩되어 세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액체 수납 용기(1)는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로 삽입된다.
다음에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가 개구부(5a) 외방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주출구(40)에 보유 지지구(80)가 장착된다. 이 경우, 먼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를 기울인다. 도 18에 있어서, 보유 지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는 90° 기울여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가 보유 지지구(80)의 한 쌍의 절결(85) 사이를 연장하는 공간 내를 통과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절결(85)에 대응하는 내측 플랜지(82)의 최대 내경 a2는, 링 형상의 외경에 대응하는 주출구 플랜지(42)의 최소 외경 b2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구 플랜지(42)를 한 쌍의 절결(85) 사이를 연장하는 공간 내를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주출구(40)도 전체적으로 보유 지지구(80)의 개구(80a) 내를 통과한다.
주출구(40)가 전체적으로 보유 지지구(80)의 개구(80a)를 통과한 후, 보유 지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를 회동시켜, 보유 지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를 평행하게 가지고 온다.
이 경우, 내측 플랜지(82)의 링 형상의 내경에 대응하는 최소 내경 a1은, 링 형상의 외경에 대응하는 주출구 플랜지(42)의 최대 외경 b1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구 플랜지(42)를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확실하게 걸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주출구(40)와 보유 지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80A)를 얻을 수 있다(도 11 내지 도 17 참조).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한 후, 주출구(40)에 보유 지지구(80)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주출구(40)에 보유 지지구(80)를 설치한 후,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해도 된다.
다음에 주출구(40)와 보유 지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80A)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다. 이 경우, 보유 지지구(80)의 외측 플랜지(81)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걸림 결합한다(도 6 및 도 7 참조).
그런데 도 8에 도시하는 외장 용기(5)로서는, 사각통상의 대형 합성 수지 컨테이너(용량 1000㎏)를 사용할 수 있지만, 외장 용기(5)로서 원통상의 컨테이너를 사용해도 된다.
혹은 외장 용기(5)로서, 금속제 캐니스터 캔, 합성 수지 드럼캔, 금속제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에 부풀림 지그(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고, 이 부풀림 지그를 사용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질소 가스 또는 클린 드라이 에어가 공급되어, 외장 용기(5) 내에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가 부푼다.
다음에 외장 용기(5) 내에서 액체 수납 용기(1)를 부풀리는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부풀림 지그를 사용하여 질소 가스 또는 클린 드라이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주머니 본체(3)가 부푼다. 이것에 수반하여, 세로 방향으로 절첩된 주머니 본체(3)가 평탄상으로 펴진다.
또한 주머니 본체(3)의 상부 에지(3a)는 2개의 상부 에지 히트 시일부(10a)를 포함하기 때문에, 폭이 넓은 히트 시일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부 에지(3a)를 연질로 구성할 수 있고, 주머니 본체(3)를 보다 원활하게 외장 용기(5) 내에서 펼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3)의 외부 주머니(20)는 300% 내지 500%의 신장도를 갖기 때문에, 주머니 본체(3)의 유연성을 높여, 주머니 본체(3)의 확장 작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가 얻어진다. 그 후, 부풀림 지그가 주출구(40)로부터 제거되고, 내용액 충전기(도시하지 않음)가 주출구(40)에 장착되고, 이 내용액 충전기로부터 내용액이 액체 수납 용기(1)로 충전된다.
내용액이 액체 수납 용기(1)로 충전된 후,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 주출구(40)의 주출구 본체(41) 내에, 미리 액체 분배 노즐(60)을 나사 고정 보유 지지한 주출구 상부 부재(70)가 장착된다. 이 경우, 주출구 상부 부재(70)는 외측 나사(70a)를 갖고, 주출구 본체(41)는 내측 나사(41a)를 갖고, 내측 나사(41a)에 외측 나사(70a)를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주출구 본체(41) 내에 주출구 상부 부재(70)가 고정된다. 또한 액체 분배 노즐(60)은, 액체 분배 노즐(60)의 외측 나사(60a)를 주출구 상부 부재(70)의 내측 나사(70b)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주출구 상부 부재(70)에 나사 고정 고정되어 있다.
주출구 상부 부재(70) 내에 삽입된 액체 분배 노즐(60)은 주출구(40)의 관통 구멍(45)을 관통하여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 내로 연장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액체 분배 노즐(60)은 그 하단에 형성된 돔 형상부(61)를 갖고, 돔 형상부(61)에 복수의 개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돔 형상부(61)는, 반구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 반구상의 면에 복수의 개공(62)이 형성되어 있다. 돔 형상부(61)는,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이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반구상으로 형성된 노즐 캡이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대한 내용액의 충전 공정을 종료한 후,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개구부 캡(5A)이 장착된다(도 8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주출구(40) 및 액체 분배 노즐(60)이 밀폐된다.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내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개구부 캡(5A)이 제거되고, 액체 분배 노즐(60)이 접속 파이프(63)를 개재시켜 디스펜서에 접속된다.
다음에 가압 가스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질소 가스가 주출구(40)의 주출구 본체(41) 내에 공급되고, 그 후 질소 가스는, 개구(44)로부터, 외장 용기(5)와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다음에 주머니 본체(3)가 외측으로부터 질소 가스에 의해 압박되고, 주머니 본체(3) 내의 내용액이 돔 형상부(61)의 개공(62)으로부터 액체 분배 노즐(60) 내로 들어가고, 액체 분배 노즐(60) 내의 내용액은 그 후 접속 파이프(63)로부터 디스펜서측으로 배출된다. 혹은, 주출구(40)에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이 흡인 펌프에 의한 배출을 행해도 된다. 이때, 주머니 본체(3)는 배출과 함께 쭈그러들지만, 주머니 본체(3)의 외측은 대기압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내압 용기가 아니더라도 외장 용기(5)는 변형되거나 하지 않는다.
그 동안, 액체 분배 노즐(60)은 그 하단에 돔 형상부(61)를 갖기 때문에, 주머니 본체(3) 내의 내용액을 액체 분배 노즐(60)을 통하여 접속 파이프(63)로부터 외방으로 배출하는 경우,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이 주머니 본체(3) 내면에 맞닿아도,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에 의해 주머니 본체(3)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주머니 본체(3) 내의 내용액은 돔 형상부(61)에 형성된 복수의 개공(62)을 통하여 액체 분배 노즐(60) 내에 흡입되고, 접속 파이프(63)로부터 디스펜서측으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 중심에 단일의 개공을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내용액의 잔량이 적어져도 주머니 본체(3)가 액체 분배 노즐(60)에 밀접하여 액체 분배 노즐(60) 내로 내용액이 흐르기 어려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유 지지구(80)는 외측 플랜지(81)와 내측 플랜지(82)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예를 들어 보유 지지구(80)가 U자상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개폐하는 구성을 갖는 경우에 비하여, 보유 지지구(80)를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의 최소 내경을 a1, 최대 내경을 a2,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의 최대 외경을 b1, 최소 외경을 b2로 했을 때, a2>b2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구 플랜지(42)를 내측 플랜지(82) 내에 원활하게 통과시키고, a1<b1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후 내측 플랜지(82)에 주출구 플랜지(42)를 확실하게 걸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19a ~ 도 19d 내지 도 21a ~ 도 21c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도 19a ~ 도 19d 내지 도 21a ~ 도 21c에 도시하는 변형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그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절결(85, 85)을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 한 쌍의 절결(85, 85)은 내측 플랜지(82)의 외주 근방까지 도달하여도 된다(도 19a 참조).
혹은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그 중심을 통과하는 직교하는 2개의 직선 상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절결(85, 85)을 형성해도 된다(도 19b 참조).
혹은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그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대향하는 폭이 넓은 형상의 한 쌍의 절결(85, 85)을 형성해도 된다(도 19c 참조).
혹은 도 1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그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보다 폭이 넓은 형상을 가진 한 쌍의 절결(85, 85)을 형성함과 함께, 이 한 쌍의 절결(85, 85)에 대하여 주출구(40)를 경사지게 하여 주출구(40)를 내측 플랜지(82)의 개구(85) 내에 통과시켜도 된다(도 19d 참조).
혹은 또한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개구(80a)의 에지부를 따라 한 쌍의 절결(85, 85)을 형성해도 된다(도 20a 참조).
도 20a에 있어서, 한 쌍의 절결(85, 85)은 내측 플랜지(82)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혹은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개구(80a)의 에지부 근방에 한 쌍의 절결(85, 85)을 형성해도 된다(도 20b 참조). 도 20b에 있어서, 한 쌍의 절결(85, 85)은 내측 플랜지(82)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혹은 또한,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의 개구(80a)를 타원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도 21a 참조).
혹은,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의 개구(80a)를 정사각 형상, 장방형상과 같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도 21b 참조).
혹은, 보유 지지구의 내측 플랜지(82)의 개구(80a)를 마름모꼴로 형성해도 된다(도 21c 참조).
또한, 도 21b 및 도 21c에 있어서, 내측 플랜지(82)의 개구(80a)의 코너부에 R 형상을 갖게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22a 내지 도 26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a 내지 도 26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사용 방법이 상이하지만,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21c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 22a 내지 도 26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1c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가 외장 용기(5) 내에 삽입된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세로 방향으로 절첩되어 세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고, 액체 수납 용기(1)는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로 삽입된다.
다음에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가 개구부(5a) 외방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주출구(40)에 보유 지지구(80)가 장착된다. 이 경우, 먼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를 기울인다. 도 18에 있어서, 보유 지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는 90° 기울여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가 보유 지지구(80)의 한 쌍의 절결(85) 사이를 연장하는 공간 내를 통과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절결(85)에 대응하는 내측 플랜지(82)의 최대 내경 a2는, 링 형상의 외경에 대응하는 주출구 플랜지(42)의 최소 외경 b2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구 플랜지(42)를 한 쌍의 절결(85) 사이를 연장하는 공간 내를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주출구(40)도 전체적으로 보유 지지구(80)의 개구(80a) 내를 통과한다.
주출구(40)가 전체적으로 보유 지지구(80)의 개구(80a)를 통과한 후, 보유 지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를 회동시켜, 보유 지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를 평행하게 가지고 온다.
이 경우, 내측 플랜지(82)의 링 형상의 내경에 대응하는 최소 내경 a1은, 링 형상의 외경에 대응하는 주출구 플랜지(42)의 최대 외경 b1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구 플랜지(42)를 보유 지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확실하게 걸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주출구(40)와 보유 지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80A)를 얻을 수 있다(도 11 내지 도 17 참조).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한 후, 주출구(40)에 보유 지지구(80)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주출구(40)에 보유 지지구(80)를 설치한 후,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해도 된다.
다음에 주출구(40)와 보유 지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80A)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다. 이 경우, 보유 지지구(80)의 외측 플랜지(81)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걸림 결합한다(도 6 및 도 7 참조).
그런데 도 8에 도시하는 외장 용기(5)로서는, 사각통상의 대형 합성 수지 컨테이너(용량 1000㎏)를 사용할 수 있지만, 외장 용기(5)로서 원통상의 컨테이너를 사용해도 된다.
혹은 외장 용기(5)로서, 금속제 캐니스터 캔, 합성 수지 드럼캔, 금속제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에 부풀림 지그(90)가 장착되고, 이 부풀림 지그(90)를 사용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질소 가스 또는 클린 드라이 에어가 공급되어, 외장 용기(5) 내에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가 부푼다.
다음에 외장 용기(5) 내에서 액체 수납 용기(1)를 부풀리는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부풀림 지그를 사용하여 질소 가스 또는 클린 드라이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주머니 본체(3)가 부푼다. 이것에 수반하여, 세로 방향으로 절첩된 주머니 본체(3)가 평탄상으로 펴진다.
또한 주머니 본체(3)의 상부 에지(3a)는 2개의 상부 에지 히트 시일부(10a)를 포함하기 때문에, 폭이 넓은 히트 시일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부 에지(3a)를 연질로 구성할 수 있고, 주머니 본체(3)를 보다 원활하게 외장 용기(5) 내로 펼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3)의 외부 주머니(20)는 300% 내지 500%의 신장도를 갖기 때문에, 주머니 본체(3)의 유연성을 높여, 주머니 본체(3)의 확장 작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가 얻어진다. 그 후, 부풀림 지그(90)가 주출구(40)로부터 제거되고, 내용액 충전기(91)가 주출구(40)에 장착되고, 이 내용액 충전기로부터 내용액이 액체 수납 용기(1)로 충전된다(도 22c 참조).
이와 같이 하여 도 2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 내로 내용액이 충전된 후, 주출구(40)에 주출구 캡(40A)이 장착된다. 주출구 캡(40A)은 주출구(40) 중 주출구 본체(41)의 내측 나사(41a)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나사를 갖고, 주출구 캡(40A)은 그 외측 나사를 주출구 본체(41)의 내측 나사(41a)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주출구(40)에 장착된다(도 6 및 도 7 참조).
다음에 도 2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출구(40)로부터 보유 지지구(80)가 제거된다. 이 경우, 보유 지지구(80)는 주출구(40)에 장착되는 상술한 수순과 반대 수순에 의해, 주출구(40)로부터 제거된다.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의 내경은,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보유 지지구(80)가 주출구(40)로부터 제거되면, 주출구(40)는 개구부(5a)를 거쳐 외장 용기(5) 내로 낙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출구(40)를 개구부(5a)를 통하여 외장 용기(5) 내로 수납하고, 주출구(40)를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 상면에 적재한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출구(40)의 개구(44)를 통하여 미리 테이프(95)가 설치되고, 테이프(95)의 상단은 접착부(95a)를 개재시켜 외장 용기(1)의 천장판 뒤에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도 2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개구부 캡(5A)을 장착하고, 외장 용기(5)를 완전히 밀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장 용기(5) 내에 수납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로부터 보유 지지구(80)가 제거되고, 이 보유 지지구(80)는 내용액의 충전 장소에 보관된다.
또한, 주출구(40)에 장착되는 보유 지지구(80)로서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구조의 것일 필요는 없고,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구(80)는 분할선 L을 사이에 두고 2분할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분할 구조의 보유 지지구(80)는 외층 플랜지(81)와 내측 플랜지(82)를 갖고, 내측 플랜지(82)에는, 통기구(8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구(80)는 3분할 구조, 4분할 구조와 같이 다분할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통기구(82a)는, 액체 수납 용기(1)와 외장 용기(5) 사이에 통기를 확보하는 것이다. 액체 수납 용기(1)의 부풀림에 있어서,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질소 가스 또는 클린 드라이 에어를 공급하여, 주머니 본체(3)가 부풀면, 외장 용기(5) 내의 공기가 외장 용기(5)의 밖으로 배기된다. 이 배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내용액을 배출할 때, 통기구(82a)를 통하여 액체 수납 용기(1)와 외장 용기(5) 사이에 기체를 봉입하고, 액체 수납 용기(1)의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부의 내용액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혹은, 주출구(40)에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이 흡인 펌프에 의한 배출을 행해도 된다. 이때, 주머니 본체(3)는 배출과 함께 쭈그러들지만, 주머니 본체(3)의 외측은 대기압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내압 용기가 아니더라도 외장 용기(5)는 변형되거나 하지 않는다.
다음에 개구부(5a)에 개구부 캡(5A)이 장착된 외장 용기(5)는, 반송처까지 반송된다.
다음에 반송처까지 외장 용기(5)가 반송되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개구부 캡(5A)이 제거된다.
다음에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처에 있어서, 주머니 본체(3)의 상면에 적재되어 있는 주출구(40)를 인상한다. 내용액을 충전할 때, 미리 주출구(40)의 개구(44)를 통하여 테이프(95)가 설치되고, 이 테이프(95)의 상단은 접착부(95a)를 개재시켜 외장 용기(5)의 천장판 뒤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 테이프(95)를 파지하여 주출구(40)를 인상하고, 주출구(40)를 외장 용기(5)로부터 개구부(5a)를 통하여 외방으로 인출한다.
이렇게 상단이 외장 용기(5)의 천장판 뒤에 부착된 테이프(95)는, 주출구(40)의 인출구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개구부(5a)로부터 외방으로 인출된 주출구(40)에 대하여, 상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유 지지구(추가 보유 지지구)(80)가 설치된다. 그 후 주출구(40)와 보유 지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80A)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다. 이 경우, 보유 지지구(80)의 외측 플랜지(81)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걸림 결합한다(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추가 보유 지지구(80)로서는 반송처에 보관된 보유 지지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충전 장소에서 사용한 보유 지지구(80)를 그대로 반송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후,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 주출구(40)로부터 주출구 캡(40A)이 제거된다.
이어서,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 주출구(40)의 주출구 본체(41) 내에, 미리 액체 분배 노즐(60)을 나사 고정 보유 지지한 주출구 상부 부재(70)가 장착된다. 이 경우, 주출구 상부 부재(70)는 외측 나사(70a)를 갖고, 주출구 본체(41)는 내측 나사(41a)를 갖고, 내측 나사(41a)에 외측 나사(70a)를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주출구 본체(41) 내에 주출구 상부 부재(70)가 고정된다. 또한 액체 분배 노즐(60)은, 액체 분배 노즐(60)의 외측 나사(60a)를 주출구 상부 부재(70)의 내측 나사(70b)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주출구 상부 부재(70)에 나사 고정 고정되어 있다.
주출구 상부 부재(70) 내에 삽입된 액체 분배 노즐(60)은 주출구(40)의 관통 구멍(45)을 관통하여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 내로 연장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액체 분배 노즐(60)은 그 하단에 형성된 돔 형상부(61)를 갖고, 돔 형상부(61)에 복수의 개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돔 형상부(61)는, 반구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 반구상의 면에 복수의 개공(62)이 형성되어 있다. 돔 형상부(61)는,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이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반구상으로 형성된 노즐 캡이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내용액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 경우, 액체 분배 노즐(60)이 접속 파이프(63)를 개재시켜 디스펜서에 접속된다.
다음에 가압 가스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질소 가스가 주출구(40)의 주출구 본체(41) 내에 공급되고, 그 후 질소 가스는, 개구(44)로부터, 외장 용기(5)와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다음에 주머니 본체(3)가 외측으로부터 질소 가스에 의해 압박되고, 주머니 본체(3) 내의 내용액이 돔 형상부(61)의 개공(62)으로부터 액체 분배 노즐(60) 내로 들어가고, 액체 분배 노즐(60) 내의 내용액은 그 후 접속 파이프(63)로부터 디스펜서측으로 배출된다. 혹은, 주출구(40)에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이 흡인 펌프에 의한 배출을 행해도 된다. 이때, 주머니 본체(3)는 배출과 함께 쭈그러들지만, 주머니 본체(3)의 외측은 대기압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내압 용기가 아니더라도 외장 용기(5)는 변형되거나 하지 않는다.
그 동안, 액체 분배 노즐(60)은 그 하단에 돔 형상부(61)를 갖기 때문에, 주머니 본체(3) 내의 내용액을 액체 분배 노즐(60)을 통하여 접속 파이프(63)로부터 외방으로 배출하는 경우,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이 주머니 본체(3) 내면에 맞닿아도,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에 의해 주머니 본체(3)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주머니 본체(3) 내의 내용액은 돔 형상부(61)에 형성된 복수의 개공(62)을 통하여 액체 분배 노즐(60) 내에 흡입되고, 접속 파이프(63)로부터 디스펜서측으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액체 분배 노즐(60)의 하단 중심에 단일의 개공을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내용액의 잔량이 적어져도 주머니 본체(3)가 액체 분배 노즐(60)에 밀접하여 액체 분배 노즐(60) 내로 내용액이 흐르기 어려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내용액의 충전 시 및 내용액의 배출 시에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보유 지지구(80)를 개재시켜 주출구(40)를 장착함과 함께,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되는 주출구(40)로부터 보유 지지구(80)를 제거하고 외장 용기(5)를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 용기(5)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구(80)를 개구부(5a)에 설치한 채 외장 용기(5)를 반송하는 경우, 강도가 큰 보유 지지구(80)를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반송 시에 주출구(40)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보유 지지구(80)로서 견고한 구조의 것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보유 지지구(80)로서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2분할 구조의 것을 사용한 경우, 주출구(40)에 보유 지지구(80)를 설치하거나, 주출구(40)로부터 보유 지지구(80)를 제거하는 작업을 용이하면서 또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시에 외장 용기(5) 내에 있어서, 주머니 본체(3) 상면에 주출구(40)를 적재하고, 이 주출구(40)를 테이프(95)에 의해 인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도 24 참조), 주머니 본체(3) 내에 다량의 내용액이 충전되는 경우, 주머니 본체(3)의 용량이 커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테이프(95)를 사용하지 않고 개구부(5a)로부터 주출구(4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에 있어서, 주머니 본체(3)의 상면에 적재되어 있는 주출구(40)를 개구부(5a)를 통하여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로서, 접착부(95a)를 개재시켜 외장 용기(1)의 천장판 뒤에 부착되는 테이프(95)의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에 영구 자석(96a)이 설치된 인출 막대(96)를 사용해도 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용기(5)가 반송처까지 반송되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개구부 캡(5A)이 제거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인출 막대(96)를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로 삽입하고, 인출 막대(96)의 하단에 설치된 영구 자석(96a)을 주출구(40)에 설치된 강 등의 자성체를 포함하는 자성체부(97)에 맞닿게 한다. 그 후 작업자가 인출 막대(96)를 인상함으로써 주출구(40)를 외장 용기(5)로부터 개구부(5a)를 통하여 외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다음에 개구부(5a)로부터 외방으로 인출된 주출구(40)에 대하여 보유 지지구(80)가 설치되고, 주출구(40)와 보유 지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80A)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다.
혹은 또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출구(40)를 개구부(5a)를 통하여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로서, 하단에 형성된 훅(99)을 갖는 인출 막대(98)를 사용해도 된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용기(5)가 반송처까지 반송되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개구부 캡(5A)이 제거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인출 막대(98)를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로 삽입하고, 인출 막대(98)의 하단에 설치된 훅(99)을 주출구(40)의 개구(44)에 건다. 그 후, 작업자가 인출 막대(98)를 인상함으로써 주출구(40)를 외장 용기(5)로부터 개구부(5a)를 통하여 외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다음에 개구부(5a)로부터 외방으로 인출된 주출구(40)에 대하여 보유 지지구(80)가 설치되고, 주출구(40)와 보유 지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80A)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다.
혹은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출구(40)를 개구부(5a)를 통하여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로서, 하단에 설치된 점착 테이프(101)를 갖는 인출 막대(100)를 사용해도 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용기(5)가 반송처까지 반송되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개구부 캡(5A)이 제거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인출 막대(100)를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로 삽입하고, 인출 막대(100)의 하단에 설치된 점착 테이프(101)를 주출구(40)의 주출구 캡(40A)에 설치한다. 그 후, 작업자가 인출 막대(100)를 인상함으로써 주출구(40)를 외장 용기(5)로부터 개구부(5a)를 통하여 외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다음에 개구부(5a)로부터 외방으로 인출된 주출구(40)에 대하여 보유 지지구(80)가 설치되고, 주출구(40)와 보유 지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80A)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다.
혹은 또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출구(40)를 개구부(5a)를 통하여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로서, 막대 형상의 흡인 장치(102)를 사용해도 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용기(5)가 반송처까지 반송되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개구부 캡(5A)이 제거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막대 형상의 흡인 장치(102)를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로 삽입하고, 흡인 장치(102)의 하단을 주출구(40)의 주출구 캡(40A)에 맞닿게 하고, 주출구 캡(40A)를 흡인한다. 그 후, 작업자가 흡인 장치(102)를 인상함으로써 주출구(40)를 외장 용기(5)로부터 개구부(5a)를 통하여 외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다음에 개구부(5a)로부터 외방으로 인출된 주출구(40)에 대하여 보유 지지구(80)가 설치되고, 주출구(40)와 보유 지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80A)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다.
1: 액체 수납 용기
3: 주머니 본체
3a: 상부 에지
3b: 저부 에지
3c: 측부 에지
5: 외장 용기
5a: 개구부
10: 히트 시일부
20: 외부 주머니
21: 내부 주머니
40: 주출구
41: 주출구 본체
42: 주출구 플랜지
50: 주출구 설치부
51: 중앙부
52: 박육부
60: 액체 분배 노즐
61: 돔 형상부
62: 개공
70: 주출구 상부 부재
80: 보유 지지구
80a: 개구
80A: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81: 외측 플랜지
82: 내측 플랜지
85: 절결
90: 부풀림 지그
91: 내용액 충전기
95: 테이프
95a: 접착부
96: 인출구
96a: 영구 자석
97: 자성체부
98: 인출구
99: 훅
a1: 내측 플랜지의 최소 내경
a2: 내측 플랜지의 최대 내경
b1: 주출구 플랜지의 최대 외경
b2: 주출구 플랜지의 최소 외경
L: 분할선

Claims (15)

  1.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와,
    이 외장 용기 내에 배치된 액체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주머니 본체와,
    이 주머니 본체에 설치되고 주출구 플랜지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구는 상기 개구부에 보유 지지구를 개재시켜 장착되고,
    상기 보유 지지구는 외측 에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내측 에지를 갖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a1,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a2로 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b1,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b2로 했을 때,
    a2>b2, a1<b1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당해 링 형상의 내측 에지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절결이 형성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a1은 링 형상의 내경에 의해 규정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a2는 한 쌍의 절결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b1 및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b2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4. 주출구 플랜지를 갖는 주출구와,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보유 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a1,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a2로 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b1,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b2로 했을 때, a2>b2, a1<b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당해 링 형상의 내측 에지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절결이 형성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a1은 링 형상의 내경에 의해 규정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a2는 한 쌍의 절결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b1 및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b2는 서로 동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7.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보유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a1,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a2로 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를 b1, 상기 주출구 플랜지의 외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를 b2로 했을 때,
    a2>b2, a1<b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는 링 형상을 갖고, 당해 링 형상의 내측 에지에 대향하는 한 쌍의 절결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소 길이 a1은 링 형상의 내경에 의해 규정되고, 내측 플랜지의 내측 에지의 마주보는 2점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최대 길이 a2는 한 쌍의 절결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구.
  9.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보유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구는 상기 주출구가 통과 가능한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유 지지구.
  10.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와,
    이 외장 용기 내에 배치된 액체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주머니 본체와,
    이 주머니 본체에 설치되고 주출구 플랜지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구는 상기 개구부에 보유 지지구를 개재시켜 장착되고,
    상기 보유 지지구는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주출구의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보유 지지구는 상기 주출구가 통과 가능한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11.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주머니 본체와, 이 주머니 본체에 설치되고 주출구 플랜지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갖는 액체 수납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주머니 본체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에, 상기 개구부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보유 지지구를 설치하고, 이 보유 지지구를 상기 개구부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로부터 상기 주머니 본체 내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주머니 본체를 부풀리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사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본체 내로 내용물을 충전한 후, 상기 개구부에 개구부 캡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를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캡을 제거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내용물을 상기 주출구를 통하여 외방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사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 본체 내로 내용액을 충전한 후, 상기 주출구에 주출구 캡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로부터 상기 보유 지지구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장 용기 내로 수납하고, 상기 개구부에 개구부 캡을 장착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사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상기 개구부 캡을 장착한 후, 상기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를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캡을 제거하고, 상기 주출구를 상기 외장 용기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방으로 인출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에 추가 보유 지지구를 설치하고, 이 추가 보유 지지구를 상기 개구부에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주출구 캡을 제거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 내의 내용물을 상기 주출구를 통하여 외방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방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의 사용 방법.
  15.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와,
    이 외장 용기 내에 배치된 액체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주머니 본체와,
    이 주머니 본체에 설치되고 주출구 플랜지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구는 상기 개구부에 보유 지지구를 개재시켜 장착되고,
    상기 보유 지지구는 외측 에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에 연결되고 내측 에지를 갖고 상기 주출구 플랜지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주출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외장 용기 내로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수납되는 상기 주출구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방으로 인출하기 위한 주출구 인출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KR1020177033897A 2015-05-28 2016-05-27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KR20180013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8946 2015-05-28
JPJP-P-2015-108946 2015-05-28
PCT/JP2016/065836 WO2016190438A1 (ja) 2015-05-28 2016-05-27 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その使用方法、注出口と保持具の組合体および保持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902A true KR20180013902A (ko) 2018-02-07

Family

ID=5739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897A KR20180013902A (ko) 2015-05-28 2016-05-27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35833B2 (ko)
KR (1) KR20180013902A (ko)
CN (1) CN107614396B (ko)
TW (1) TWI641539B (ko)
WO (1) WO2016190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2419B2 (ja) * 2018-10-15 2022-1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外装容器と収納容器の組合せ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内容物充填排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163U (ja) * 1992-03-18 1993-10-12 凸版印刷株式会社 易リフィル性容器
JP3928996B2 (ja) * 1998-03-19 2007-06-13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詰め替え型容器
JP2004161308A (ja) * 2002-11-12 2004-06-10 Nisshin Sansho Kk 内装容器
TW200730414A (en) * 2005-11-18 2007-08-16 Advanced Tech Materials Material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s and systems comprising same
JP5238581B2 (ja) * 2009-03-31 2013-07-17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液体容器
JP5478413B2 (ja) * 2010-08-10 2014-04-23 株式会社ジャパンペール 60リットル内袋複合容器及び薬液排出チューブ
US9678575B2 (en) * 2013-05-17 2017-06-13 Liqui-Box Corporation Flexibly-mounted evacuation channels in collapsible bags
WO2015060411A1 (ja) * 2013-10-24 2015-04-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薬液収納容器およびそのドライエア置換方法
JP6193106B2 (ja) * 2013-12-10 2017-09-06 株式会社ジャパンペール 内袋複合容器用分配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11933A (zh) 2017-04-01
JP6135833B2 (ja) 2017-05-31
JPWO2016190438A1 (ja) 2017-06-15
CN107614396B (zh) 2019-09-10
WO2016190438A1 (ja) 2016-12-01
TWI641539B (zh) 2018-11-21
CN107614396A (zh) 201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2038187E (pt) Recipiente para fluidos, inserção e método de enchimento de um recipiente
KR102154539B1 (ko) 액체 수납 용기 및 그 절첩 방법
TWI486294B (zh) Fluid containers
US10532870B2 (en) Device for conveying a bag comprising a biopharmaceutical fluid and systems and a method using same
CN103786974B (zh) 包括保持板和容器的运输单元以及包括保持板、支架和容器的工作单元
BR112018069210B1 (pt) Revestimento interno flexível com formato cuboide, contentor com palete e método de inserção de um novo revestimento interno dentro de dito contentor com palete
TWI668164B (zh) Combination of outer packaging container and liquid storage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storage container
KR20180013902A (ko)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JP5725266B2 (ja) 薬液収納容器
JP6361954B2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その収納方法
KR102431254B1 (ko) 내측 라이닝을 갖는 플라스틱 라이너
CN110997518B (zh) 液体收纳容器、液体收纳容器的使用方法以及液体收纳容器与外装容器的组合体
JP6583720B2 (ja) 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注出口と保持具の組合体およびその組立方法および保持具
JP2016052904A (ja)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内容液排出方法
JP2020063062A (ja) 外装容器と収納容器の組合せ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内容物充填排出方法
JP7496064B2 (ja) 収納容器、組合容器、内容物入り組合容器、設置方法、内容物入り組合容器の製造方法、内容物入り組合容器の使用方法、収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環状部材付き収納容器
JP2001328675A (ja) 金属缶用内袋
JP2021095193A (ja) 収納容器、容器組合体、収容物充填済み容器組合体、設置方法、収容物充填済み容器組合体の製造方法、収容物充填済み容器組合体の使用方法、及び、排出装置
JP2022061284A (ja) 収納容器、組合容器、内容物入り組合容器、設置方法、内容物入り組合容器の製造方法、内容物入り組合容器の使用方法、収納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環状部材付き収納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