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845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845A
KR20180002845A KR1020177035383A KR20177035383A KR20180002845A KR 20180002845 A KR20180002845 A KR 20180002845A KR 1020177035383 A KR1020177035383 A KR 1020177035383A KR 20177035383 A KR20177035383 A KR 20177035383A KR 20180002845 A KR20180002845 A KR 2018000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fan
ozone
value
ozone generat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264B1 (ko
Inventor
카츠지 오니시
타카유키 나가이
오사무 타니고시
Original Assignee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비롯한 일련의 덕트의 폐색 및 파손에 대처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자루체(10); 오존 발생기(600) 및 송풍팬(700)을 포함하며, 송풍팬(700)의 작동에 의해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오존 발생기(600)가 생성한 오존을 자루체(10)에 보내는 오존 공급 장치(20); 및 제어부(910)를 구비한다. 제어부(910)는 송풍팬(700)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송풍팬(700)에 출력되는 출력 전압값을 변화시키며, 송풍팬(700)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출력 전압값 및 송풍팬(700)을 흐르는 구동 전류값을 획득하며, 획득한 값들이 각각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의류에 대해 탈취 등 처리를 진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 리프레시(refresh) 장치는 의류를 행어 로드(hanger rod)에 걸어 수용하는 수납고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고 내에서 고온 고습도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의류의 냄새를 흡착한 순환 공기를 오존 탈취 장치(ozone deodorizing device)에 인입하여 의류 탈취를 진행한다(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평 04-327900호 공보
상기 의류 리프레시 장치의 사용 기간에서는, 수납고 및 오존 탈취 장치를 비롯한 일련의 덕트(duct)가 폐색되어 덕트 내의 공기 유동성이 떨어지거나, 덕트가 파손되며, 공기는 파손된 부분으로부터 쉽게 누출되는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량 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오존에 의한 의류의 탈취 성능을 적당히 확보할 수 없는 상태에서 오존 생성을 헛되이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기술방안을 안출하였으며,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비롯한 일련의 덕트의 폐색 및 파손에 대처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 오존 발생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상기 오존 발생기가 생성한 오존을 상기 수용부로 보내는 오존 공급부; 및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중,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송풍팬에 출력되는 출력 전압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송풍팬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상기 출력 전압값 및 상기 송풍팬을 흐르는 구동 전류값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값을 획득하며, 획득한 값이 상기 값과 대응되는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오존 공급부로부터 수용부까지의 일련의 덕트가 폐색되었을 경우, 덕트 내의 공기의 유동은 나빠지며, 유동되는 공기가 송풍팬에 작용하는 저항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송풍팬이 소정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출력 전압값, 구동 전류값은 작아진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제어부는 출력 전압값 및 구동 전류값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값을 획득하며, 일련의 덕트의 폐색으로 인해 획득한 값이 상기 값과 대응되는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이와 대응되는 처리를 진행한다. 따라서, 일련의 덕트의 폐색에 대처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외, 상기 구조에 따르면, 의류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송풍팬으로 덕트의 폐색을 검측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덕트의 폐색을 검측하는 전용 검측 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에, 부재 개수의 증가,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이 상기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상기 출력 전압값 및 상기 구동 전류값을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출력 전압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획득한 상기 구동 전류값이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출력 전압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구동 전류값이 제 2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덕트 폐색으로 간주하므로, 소음 등 영향에 의한 잘못된 덕트 폐색 판단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 오존 발생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상기 오존 발생기가 생성한 오존을 상기 수용부로 보내는 오존 공급부; 및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중,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송풍팬에 출력되는 전압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송풍팬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상기 출력 전압값 및 상기 송풍팬을 흐르는 구동 전류값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값을 획득하며, 획득한 값이 상기 값과 대응되는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오존 공급부로부터 수용부까지의 일련의 덕트가 파손되어 공기가 누출되었을 경우, 공기는 쉽게 덕트 내에서 유동하며, 유동되는 공기가 송풍팬에 작용하는 저항력은 커진다. 따라서, 송풍팬이 소정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출력 전압값, 구동 전류값은 커진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제어부는 출력 전압값 및 구동 전류값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값을 획득하며, 일련의 덕트의 파손으로 인해 획득한 값이 상기 값과 대응되는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이와 대응되는 처리를 진행한다. 따라서, 일련의 덕트의 파손에 대처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외, 상기 구조에 따르면, 의류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송풍팬으로 덕트의 파손을 검측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덕트의 파손을 검측하는 전용 검측 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에, 부재 개수의 증가,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이 상기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상기 출력 전압값 및 상기 구동 전류값을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출력 전압값이 제 1 임계값보다 크고 획득한 상기 구동 전류값이 제 2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출력 전압값이 제 1 임계값보다 크고 구동 전류값이 제 2 임계값보다 클 경우, 덕트의 파손으로 간주하므로, 소음 등 영향에 의한 잘못된 덕트의 파손에 대한 판단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본 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의류의 투입구의 개폐 여부를 검측하는 검측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검측부를 통해 상기 투입구가 폐쇄된 것을 검측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투입구의 오픈이 덕트의 파손으로 잘못 판단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형태 및 제 2 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발생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오존 발생기의 출력을 낮춘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정확한 의류 탈취를 진행하지 못할 경우에서의 헛된 오존 생성의 유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형태 및 제 2 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외부로 알리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부를 작동시킨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덕트의 폐색, 파손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비롯한 일련의 덕트의 폐색 및 파손에 대처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및 의미는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따른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하기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언급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탈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자루체, 도입관 및 검측 락(detect lock)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 겸 행거(hanger)유지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도입관의 오존 공급 장치에 대한 연결 및 덕트 검측부에 의한 연결의 검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락(lock) 검측부가 자루체의 투입구가 지퍼에 의해 폐쇄된 것을 검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락 검측부가 자루체의 투입구가 지퍼에 의해 폐쇄된 것을 검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기 공급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오존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작업의 제어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팬(fan) 회전 속도 안정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 및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의류 탈취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는 의류 탈취 장치(1)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a)는 의류 탈취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의류 탈취 장치(1)를 구성하는 베이스(50), 지지대(60) 및 자루체 유지부(7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자루체(10), 도입관(30) 및 검측 락(90)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자루체(10)의 하부 중앙부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입관(30)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이 장착된 자루체(10) 상부의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도 3(b)에서는 자루체(10)의 앞면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류 탈취 장치(1)는 자루체(10), 오존 공급 장치(20), 도입관(30),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 베이스(50), 지지대(60), 자루체 유지부(70) 및 향기 공급 유닛(80)을 포함한다.
자루체(10)는 양복, 코트 등 각종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자루체(10)는 통기성을 구비하지 않는 직물이 여러 장 겹쳐 형성되므로 충분한 밀폐성을 가진다. 자루체(10)는 앞뒤가 편평한 대략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하 사이즈는 롱 셔츠(long shirt), 롱 코트(long coat) 등 길이가 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된다. 그외, 자루체(10)의 앞뒤 사이즈는 한 벌의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자루체(10)의 상하 사이즈는 길이가 긴 의류를 수용할 수 없는 사이즈로 설정될 수도 있고, 앞뒤 사이즈는 두세 벌 좌우의 의류를 앞뒤로 배열하여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될 수도 있다. 자루체(10)는 본 발명의 수용부에 해당된다.
자루체(10)의 앞면에서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의류의 투입구(11)를 구성하는 간극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형성된다. 투입구(11)에는 지퍼(12)가 장착된다. 지퍼(12)가 폐쇄를 진행할 시, 시작부(12a) 및 끝단부(12b)는 각각 자루체(10)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다. 지퍼(12)의 슬라이더(slider)(12c)는 시작부(12a)와 끝단부(12b) 사이에서 이동한다. 슬라이더(12c)가 시작부(12a)에서 아래로 당겨지면 지퍼(12)가 닫겨 투입구(11)는 폐쇄되며, 슬라이더(12c)가 위로 당겨지면 지퍼(12)가 열려 투입구(11)는 개방된다.
도 2(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측 락(90)은 연결 끈(95)을 통해 슬라이더(12c),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12c)의 손잡이와 연결된다. 검측 락(90)은 지퍼(12)에 의한 투입구(11)의 폐쇄를 검측하기 위한 것이다. 검측 락(90)은 원통 형상을 구비하며, 그의 원주면의 하단부에는 돌출부(91)가 형성되고, 그의 상단부에는 연결 끈(95)을 고정하기 위한 리프팅(lifting) 고리부(92)가 형성된다. 연결 끈(95)의 일단부는 슬라이더(12c)의 손잡이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리프팅 고리부(92)와 연결된다. 연결 끈(95)은 기설정한 길이를 구비하는 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밧줄, 체인(chain), 금속 와이어(wire) 등일 수 있다.
오존 공급 장치(20)는 의류를 탈취하는 탈취 작업 및 의류에 향을 첨가하는 향 첨가 작업을 진행한다. 오존 공급 장치(20)는 탈취 작업 시, 배출된 공기 중에 오존이 함유되도록 하는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자루체(10)로 공급한다. 이외, 오존 공급 장치(20)는 향 첨가 작업 시, 배출된 공기 중에 오존이 함유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오존을 함유하지 않은 공기를 자루체(10)로 공급한다. 오존 공급 장치(20)는 본 발명의 오존 공급부에 해당된다.
도입관(30)은 자루체(10) 및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되어, 오존 공급 장치(20)에서 배출된 공기를 자루체(10) 내로 가이드한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의 하면 중앙부에는 공기의 입구(13)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13)에서 처진 원통형부(14)에는 도입관(30)의 상단부가 고정된다. 도입관(30)은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원통형의 본체부(31) 및 본체부(31)의 하방에 형성된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통형의 연결부(32)를 포함한다. 연결부(32)의 하단에서, 자루체(10)에 장착된 상태로 자루체(10)의 오른쪽을 향하는 위치 및 왼쪽을 향하는 위치에 각각 오른쪽 고리부(33) 및 왼쪽 고리부(34)가 형성된다.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은 자루체(10) 후면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은 배기부(41), 행거유지부(42) 및 장착부(43)를 포함한다.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은 자루체(10) 후면의 상부를 외측 및 내측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는 뒤쪽 유닛(100) 및 앞쪽 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자루체(10) 내로부터 오는 공기는 배기부(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부(41)에는 오존제거 필터(300)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오존제거 필터(300)로서 활성탄 및 촉매를 알루미늄 등 기재에 전이시켜 형성된 활성탄/촉매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오존제거 필터(300)는 배기부(41)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오존을 제거한다. 행거유지부(42)는 의류가 걸려있는 의류용 행거(H)를 유지한다. 이외, 행거유지부(42)는 상부 커버(440)를 지지한다. 상부 커버(440)는 약간 만곡된 활 모양의 횡방향으로 긴 판상으로 형성된다. 자루체(10)의 상면은 상기 상부 커버(440)에 의해 내측에서 강화된다. 장착부(43)는 후방으로 연장된 네모난 박스모양으로 형성되며, 장착부의 후면에는 장착홀(43a)이 형성된다.
베이스(50)는 소정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을 구비하는 평판이다. 베이스(50)에는 오존 공급 장치(20)가 배치된다. 베이스(50)의 뒷부분에는 지지대(60)를 지지하는 지지부(51)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50)에는 오존 공급 장치(20)의 앞면이 베이스(50)의 정면을 향하도록 오존 공급 장치(20)를 고정하는 제 1 고정부(52) 및 제 2 고정부(53)가 형성된다. 제 1 고정부(52)는 복수 개의 후크(hook)형 고리부(52a)로 구성된다. 제 2 고정부(53)는, 일단부가 베이스(50)에 지지되는 "L"자형 탄성 레버(53a)(elastic lever); 탄성 레버(53a)의 일단부보다 약간 후방에 형성된 돌기(53b); 및 탄성 레버(53a)의 타단부에 형성된 누름부(53c);를 포함한다. 하방으로 누름부(53c)를 누를 경우 탄성 레버(53a)는 탄성 변형되며, 돌기(53b)는 하방으로 수축된다.
지지대(60)는 2개의 로드(61)로 구성된다. 지지대(60)의 하단부는 지지부(51)에 장착되며 베이스(50)에 직립된다. 지지대(60)는 2 개의 로드(61)가 아니라, 1개 또는 3개 이상의 로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외, 지지대(60)에는 지지대(60)의 높이를 조절하는 신축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60)의 상단에는 자루체 유지부(70)가 장착된다. 자루체 유지부(70)는 전방으로 돌출된 유지부(71)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부(71)를 장착부(43)의 장착홀(43a)에 삽입함으로써, 자루체(10)가 앞뒤, 상하 및 좌우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도록 걸림 지지된다.
향기 공급 유닛(80)은 오존 공급 장치(20)를 통해 향 첨가 작업을 진행할 시에 사용된다. 향기 공급 유닛(80)은 탈부착 가능하게 도입관(30)에 장착되며, 자루체(10)에 공급되는 공기 중에 방향(aroma) 성분이 함유되도록 한다.
다음, 오존 공급 장치(2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오존 공급 장치(20)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상부 커버(440)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의 오존 공급 장치(2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부 커버(440)를 장착한 상태의 오존 공급 장치(20)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오존 공급 장치(20)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내측에서 오존 공급 장치(20)의 하우징(400)의 상면을 관찰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각각 오존 공급 장치(20)의 좌측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6(d) 및 도 6(e)는 베이스(50)에 고정된 상태의 오존 공급 장치(20)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뒤쪽에서 오존 공급 장치(20)를 관찰한 종단면도이고, 도 7(b)는 위쪽에서 오존 공급 장치(20)의 주요 부위를 관찰한 횡단면도이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도 7(a) 중에서는, 오른쪽 삽입 홈부(415), 왼쪽 삽입 홈부(416), 락 삽입 홈부(417), 덕트 검측부(460) 및 락 검측부(470)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오존 공급 장치(20)는 하우징(400), 통기 덕트(500), 오존 발생기(600), 송풍팬(700), 흡기 유닛(800) 및 제어 유닛(900)를 포함한다.
하우징(400)은 하우징 본체(410), 앞쪽 커버(420), 흡기 커버(430), 상부 커버(440) 및 조작부(450)를 포함한다. 도 4(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는 상면이 완만하게 돌출되어 만곡된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다. 하우징 본체(410)의 앞면에는 앞면 개구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앞면 개구부(411)는 앞쪽 커버(42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폐쇄된다.
하우징 본체(410)의 상면에는 상부 커버(4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오목면부(412)가 형성된다. 오목면부(412)의 중앙에는 원형으로 함몰된 삽입구부(413)가 설치된다. 삽입구부(413)에는 격자형의 정류 리브(414a)를 구비하는 배출구(414)가 형성된다. 오목면부(412)에서 삽입구부(413)의 좌우 양측에는 도입관(30)의 오른쪽 고리부(33) 및 왼쪽 고리부(34)에 대응되는 형상의 오른쪽 삽입 홈부(415) 및 왼쪽 삽입 홈부(416)가 형성된다. 도 5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삽입 홈부(415)의 앞쪽에는, 오른쪽 삽입 홈부(415)에 삽입된 오른쪽 고리부(33)가 우회전 방향으로만 대략 1 개 오른쪽 고리부(33) 만큼 이동하도록 오른쪽 개구부(415a)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왼쪽 삽입 홈부(416)의 뒤쪽에는, 왼쪽 삽입 홈부(416)에 삽입된 왼쪽 고리부(34)가 우회전 방향으로만 대략 1 개 왼쪽 고리부(34) 만큼 이동하도록 왼쪽 개구부(416a)가 형성된다.
오목면부(412)에서 오른쪽 단부에는 검측 락(90)과 대응되는 형상의 락 삽입 홈부(417)가 형성된다. 도 5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락 삽입 홈부(417)의 뒤쪽의 측면에는 개구부(417a)가 형성된다.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의류 탈취 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시, 자루체(10)에서 탈착한 상부 커버(440)를 오목면부(412)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자루체(10)에서 탈착한 상부 커버(440)의 보관 장소를 확보하였기에, 사용하지 않을 시 상부 커버(44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 사용하지 않을 시 먼지 등이 배출구(414) 및 락 삽입 홈부(417)로부터 하우징(40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에는 덕트 검측부(460) 및 락 검측부(470)가 배치된다. 덕트 검측부(460)는 덕트 검측 스위치(461) 및 중계 레버(462)를 포함한다. 덕트 검측 스위치(461)는 스위치부(461a) 및 스위치부(461a)를 누르는 레버부(461b)를 구비한다. 중계 레버(462)는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축(463)에 장착되며, 일단은 오른쪽 삽입 홈부(415)의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은 덕트 검측 스위치(461)에 접촉된다. 락 검측부(470)는 락 검측 스위치(471) 및 중계 레버(472)를 포함한다. 락 검측 스위치(471)는 스위치부(471a) 및 스위치부(471a)를 누르는 레버부(461b)를 구비한다. 중계 레버(472)는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축(473)에 장착되며, 일단은 락 삽입 홈부(417)의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은 락 검측 스위치(471)에 접촉된다. 락 검측부(470)는 본 발명의 검측부에 해당된다.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의 왼쪽 면에는 조작부(450)가 설치된다. 조작부(450)는 전원 버튼(451), 탈취 버튼(452) 및 향 첨가 버튼(453)을 포함한다. 전원 버튼(451)은 의류 탈취 장치(1)의 전원을 온(ON) 및 오프(OFF)하기 위한 버튼이다. 탈취 버튼(452)은 탈취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향 첨가 버튼(453)은 향 첨가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외, 조작부(450)는 제 1 통지부(454), 제 2 통지부(455), 제 3 통지부(456) 및 제 4 통지부(457)를 포함한다. 제 1 통지부(454)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며, 점등을 통해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되지 않은 것을 통지한다. 제 2 통지부(455)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며, 점등을 통해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폐쇄되지 않은 것을 통지한다. 제 3 통지부(456)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며, 점등을 통해 오존 공급 장치(20)의 흡기 유닛(800)으로부터 자루체(10)의 배기부(41)까지의 일련의 덕트의 폐색을 통지한다. 제 4 통지부(457)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며, 점등을 통해 일련의 덕트의 파손을 통지한다. 제 3 통지부(456) 및 제 4 통지부(457)는 본 발명의 통지부에 해당된다.
도 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의 후면에는 흡기구(418)가 형성되며, 상기 흡기구(418)는 흡기 커버(43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폐쇄된다. 흡기 커버(430)에는 다수 개의 흡기홀(431)이 형성된다.
도 6(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의 바닥면에서 베이스(50)의 제 1 고정부(52)의 각 고리부(52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1 장착홀(419a)이 형성되고, 제 2 고정부(53)의 돌기(53b)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2 장착홀(419b)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하방으로 제 2 고정부(53)의 누름부(53c)를 눌러 돌기(53b)를 압입시킨 후, 고리부(52a)를 제 1 장착홀(419a)에 통과시켜 오존 공급 장치(20)를 베이스(50)에 적재하며, 오존 공급 장치(20)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도 6(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부(52a)는 하우징 본체(410)의 바닥면에 걸리게 된다. 다음, 사용자가 누름부(53c)에 대한 누름을 정지하면, 도 6(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53b)는 제 2 장착홀(419b)에 감입된다. 이로써, 오존 공급 장치(20)는 상하, 앞뒤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베이스(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오존 공급 장치(20)에서 제공된 공기에 의해 자루체(10)가 팽창될 경우, 오존 공급 장치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오존 공급 장치(20)가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400)의 내부에는 통기 덕트(500), 오존 발생기(600), 송풍팬(700), 흡기 유닛(800) 및 제어 유닛(900)이 배치된다.
도 7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 덕트(500)는 덕트 본체(510) 및 덕트 커버(520)를 포함한다. 덕트 본체(510)의 도입구(511)는 송풍팬(700)의 배출구(720)와 연결되며, 도출구(512)는 배출구(414)와 연결된다. 덕트 본체(510) 내의 도입구(511) 부근에는 오존 발생기(600)가 배치된다. 덕트 본체(510)는 도입구(511)에서 왼쪽으로 연장되며, 오존 발생기(600)가 배치된 위치를 넘은 부분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되돌아오도록 만곡된 후, 상방으로 도출구(512)까지 연장된다. 즉, 덕트 본체(510)에서 오존 발생기(600)의 하류 측를 구성하는 부분은 "S" 자로 사행(meandering)한다.
오존 발생기(600)는 방전형 오존 발생기이며, 한 쌍의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 무음 방전 등 방전을 생성하며, 한 쌍의 전극을 통과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한다. 덕트 본체(510)의 앞면에서 오존 발생기(60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구부(513)가 형성된다. 개구부(513)는 덕트 커버(520)에 의해 폐쇄된다. 사용자는 앞쪽 커버(420) 및 덕트 커버(520)를 탈착함으로써, 개구부(513)를 통해 전극에 대한 청소 등을 진행하여 오존 발생기(600)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송풍팬(700)은 원심팬이며, 측면에 흡입구(710)가 설치되고, 원주면에 배출구(720)가 설치된다. 흡입구(710)는 하우징(400) 후면의 흡기구(418)와 대향된다. 송풍팬(700)은 흡입구(710)에서 공기를 획득하며, 획득한 공기를 통기 덕트(500) 내의 오존 발생기(600)로 수송한다. 송풍팬(700)은 원심팬 이외의 팬, 예를 들어 축류팬(axial flow fan)일 수도 있다.
도 7(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흡기구(418)와 송풍팬(700)의 흡입구(710) 사이에는 흡기 유닛(800)이 설치된다. 흡기 유닛(800)은 흡기 덕트(810), 먼지 필터(820) 및 오존제거 필터(830)를 포함한다.
흡기 덕트(810) 내부는 격자형의 분리판(811)에 의해 흡기구(418) 측의 제 1 필터 수용부(812) 및 송풍팬(700) 측의 제 2 필터 수용부(813)로 분리된다. 제 1 필터 수용부(812)는 먼지 필터(820)를 수용하고, 제 2 필터 수용부(813)는 오존제거 필터(830)를 수용한다. 먼지 필터(820)는 흡기구(418)에서 획득한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등을 제거한다. 오존제거 필터(830)는 먼지 필터(820)를 통과한 공기 중에 함유된 오존을 제거한다. 오존제거 필터(830)로서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의 오존제거 필터(300)와 마찬가지로 활성탄/촉매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흡기 덕트(810)에는 송풍팬(700)의 흡입구(710)와 연결된 연결부(814)가 설치되고, 연결부(814)는 연통홀(815)을 통해 제 2 필터 수용부(813)와 연결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오존 공급 장치(20)에 대한 도입관(30)의 연결 및 덕트 검측부(460)에 의한 연결의 검측에 대해 설명한다.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될 경우, 도 8(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의 연결부(32)는 오른쪽 고리부(33) 및 왼쪽 고리부(34)가 각각 오른쪽 삽입 홈부(415) 및 왼쪽 삽입 홈부(416)에 삽입되도록 삽입구부(413)에 삽입된다. 다음, 도입관(30)을 위쪽에서 관찰 시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오른쪽 고리부(33) 및 왼쪽 고리부(34)는 각각 오른쪽 개구부(415a) 및 왼쪽 개구부(416a)를 통해 하우징 본체(410)의 상면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 본체(410)의 상면에 걸린다. 이로써, 도입관(30)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렇게 도입관(30)은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되며, 도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고리부(33)가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으로 이동 시, 중계 레버(462)의 일단측은 오른쪽 고리부(33)에 눌리운다. 중계 레버(462)가 회전하여, 레버부(461b)가 중계 레버(462)의 타단측에 의해 눌리우면, 스위치부(461a)는 눌리운 레버부(461b)에 의해 눌리운다. 이로써, 덕트 검측 스위치(461)는 도입관(30)이 삽입구부(413)에 장착되었음을 검측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도입관(30)을 삽입구부(413)에서 탈착하면, 레버부(461b)는 자체의 탄력에 의해 중계 레버(462)를 회전하면서 초기 위치에 돌아간다. 이로써, 덕트 검측 스위치(461)는 도입관(30)이 삽입구부(413)에서 탈착되었음을 검측한다.
다음,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락 검측부(470)를 통해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음을 검측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검측 락(90)을 슬라이더(12c)에 연결하는 연결 끈(95)은 지퍼(12)가 끝단부(12b) 부근까지 폐쇄될 경우,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9(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2c)가 끝단부(12b) 부근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검측 락(90)은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검측 락(90)을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할 수 없다. 즉, 적어도 지퍼(1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검측 락(90)은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없다. 한편, 도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퍼(12)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검측 락(90)은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있으므로, 검측 락(90)을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퍼(12)를 통해 투입구(11)를 마지막까지 폐쇄할 경우, 도 10(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측 락(90)을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하여, 삽입된 검측 락(90)을 상방에서 관찰시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측 락(90)의 돌출부(91)는 개구부(417a)를 통해,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동한 후의 돌출부(91)를 통해 중계 레버(472)의 일단측을 누른다. 중계 레버(472)가 회전하여 레버부(471b)가 중계 레버(472)의 타단측에 의해 눌리우면, 스위치부(471a)는 눌리운 레버부(471b)에 의해 눌리운다. 이로써, 락 검측 스위치(471)는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되었음을 검측하며, 즉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음을 검측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검측 락(90)을 락 삽입 홈부(417)에서 탈착하면, 레버부(471b)는 자체의 탄력에 의해 중계 레버(472)를 회전하면서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이로써, 락 검측 스위치(471)는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서 탈착되었음을 검측한다.
다음, 향기 공급 유닛(8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향기 공급 유닛(80)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각각 향기 공급 유닛(80)을 도입관(30)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자루체(10) 하부 중앙부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향기 공급 유닛(80)은 위쪽에서 관찰할 경우 타원형상을 구비하는 박스모양의 수용 박스(81) 및 수용 박스(81) 내에 수용된 방향체(82)를 포함한다.
수용 박스(81)의 바닥면에는 흡기구(83) 및 흡기구(83)와 인접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리브로 구성된 적재부(84)가 형성된다. 적재부(84)의 상방에는 방향체(82)가 적재된다. 이외, 수용 박스(81)의 바닥면에는 원통형상의 연결구(85)가 흡기구(8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수용 박스(81)의 상면에서 적재부(84)의 바로 위쪽 위치에는 개구부(86)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86)는 복수 개의 통기홀(87a)을 구비하는 커버부(87)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커버된다. 방향체(82)는 다공질 재료 등 액사의 방향제를 함침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커버부(87)를 오픈(open)하여 개구부(86)로부터 방향체(82)를 수용 박스(81) 내에 설치한다.
다음, 제어 유닛(9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제어 유닛(900)의 구조를 나타낸 오존 공급 장치(20)의 블록도이다. 제어 유닛(900)은 제어부(910), 메모리부(920), 조작 입력부(930), 통지 구동부(940), 발생기 구동부(950), 팬 구동부(960) 및 팬 전류 검측부(970)를 구비한다.
메모리부(920)는 EEPROM, RAM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부(920)에는 탈취 작업 및 향 첨가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외, 메모리부(920)에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 각종 제어 표기가 저장된다.
제어 표기는 도달 표기, 폐색 표기 및 파손 표기를 포함한다. 도달 표기는 송풍팬(700)의 회전 속도가 기설정 목표 회전 속도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것에 이용된다. 폐색 표기는 오존 공급 장치(20)의 흡기 유닛(800)으로부터 자루체(10)의 배기부(41)까지의 일련의 덕트가 폐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에 이용된다. 파손 표기는 일련의 덕트가 파손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에 이용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목표 회전 속도는 하나의 수치가 아닌, 일정한 정도의 범위를 구비하는 값일 수 있다.
조작 입력부(930)는 전원 버튼(451), 탈취 버튼(452) 및 향 첨가 버튼(453) 중 사용자가 조작한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910)에 출력한다. 통지 구동부(940)는 제어부(9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 1 통지부(454), 제 2 통지부(455), 제 3 통지부(456) 및 제 4 통지부(457)를 구동한다. 발생기 구동부(950)는 제어부(9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기(600)를 구동한다.
팬 구동부(960)는 제어부(9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송풍팬(700)을 구동한다. 팬 구동부(960)는 송풍팬(700)의 회전 속도를 검측하는 회전 센서(961)를 포함하고, 송풍팬(700)을 목표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회전 센서(961)가 검측한 회전 속도와 대응되는 값의 출력 전압을 송풍팬(700)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구동 제어로는 PWM 제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제어부(910)는 검측된 회전 속도에 따라 듀티비를 결정하고, 결정된 듀티비와 대응되는 펄스 폭의 펄스 전압은 팬 구동부(960)에서 송풍팬(700)으로 출력된다.
팬 전류 검측부(970)는 팬 구동부(960)에 의해 구동된 송풍팬(700)을 흐르는 구동 전류값을 검측하며, 검측된 구동 전류값과 대응되는 검측 신호를 제어부(910)에 출력한다.
덕트 검측 스위치(461)는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에 장착된 것을 검측하면, 이와 대응되는 검측 신호를 제어부(910)에 출력한다. 락 검측 스위치(471)는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된 것을 검측하면, 즉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을 경우, 이와 대응되는 검측 신호를 제어부(910)에 출력한다.
제어부(910)는 조작 입력부(930), 팬 전류 검측부(970), 덕트 검측 스위치(461), 락 검측 스위치(471) 등으로부터의 각 신호에 근거하여, 메모리(9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통지 구동부(940), 발생기 구동부(950) 및 팬 구동부(960) 등을 제어한다.
다음, 의류 탈취 장치(1)의 탈취 작업 및 향 첨가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탈취 작업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는 의류용 행거(H)에 걸려있는 의류를 자루체 유지부(70)에 걸려있는 자루체(10) 내에 수용한다. 이때,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의류용 행거(H)가 자루체(10) 내에서 행거유지부(42)에 걸리도록 한다. 이렇게, 자루체(10) 내에서는 행거유지부(42)를 통해 의류가 걸리도록 한다. 사용자는 오존 공급 장치(20)의 조작부(450)의 탈취 버튼(452)을 누른다.
탈취 작업이 시작되면, 흡기 덕트(810)는 흡기구(418)로부터 외부 공기를 획득하고,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및 오존은 흡기 덕트(810) 내의 먼지 필터(820) 및 오존제거 필터(830)에 의해 제거된다. 먼지 및 오존이 제거된 공기는 송풍팬(700)을 통해 통기 덕트(500) 내로 수송된다(도 7(b)에서 화살표를 참조). 통기 덕트(500) 내를 통과한 공기는 오존 발생기(600)를 통과 시 오존 발생기(600)에서 생성된 오존이 혼입된다. 이렇게,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통기 덕트(500) 내를 통해 배출구(414)에 도달하며, 배출구(414)에서 배출된다(도 7(a)에서 화살표를 참조).
오존 공급 장치(20)에서 배출된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도입관(30)을 통해 자루체(10) 내에 도입된다. 도 1(a)에서 화살표가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 내에 도입된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의류와 접촉하면서 유동한다. 의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오존의 탈취 작용에 의해 탈취된다.
도 1(a)에서 점선 화살표가 나타낸 바와 같이, 의류의 탈취에 의해 오존의 농도가 낮아진 공기는 자루체(10) 상부의 배기부(41)를 통해 자루체(10) 외부로 배출된다. 탈취 후의 공기는 배기부(41)를 통과 시, 오존제거 필터(300)에 의해 오존이 제거된다. 이로써, 자루체(10)에서 배출된 공기 중의 오존 농도는 추가로 낮아진다.
다음, 향 첨가 작업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는 의류를 자루체 유지부(70)에 걸려있는 자루체(10) 내에 수용하고,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 내에서, 방향체(82)가 설치된 향기 공급 유닛(80)을 도입관(30)에 장착한다. 사용자는 오존 공급 장치(20)의 조작부(450)의 향 첨가 버튼(453)을 누른다.
향 첨가 작업이 시작되면, 도 11(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에서 배출된 공기는 흡기구(83)로부터 수용 박스(81) 내에 도입된다. 도입된 공기는 방향체(82)를 통과한다. 방향체(82) 중에 함유된 방향 성분은 휘발되어 공기 중에 혼입된다. 방향 성분이 함유된 공기는 개구부(86) 및 통기홀(87a)을 통해 자루체(10) 내로 배출된다.
방향 성분이 함유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유동하고, 배기부(41)에서 자루체(10) 외부로 배출된다. 방향 성분은 자루체(10)에 수용된 의류에 흡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탈취 추가 작업 중,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 및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의류 탈취 장치(1) 중에서 오존 공급 장치(20)의 흡기 유닛(800)으로부터 자루체(10)의 배기부(41)까지의 일련의 덕트(이하, "일련의 덕트"라고 함)의 폐색 여부 및 일련의 덕트의 파손 여부를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덕트가 폐색, 파손되었을 경우, 오존 발생기(600)는 정지하고, 제 3 통지부(456), 제 4 통지부(457)는 점등된다.
도 13은 탈취 작업의 제어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3의 흐름도에 따라,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 및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를 포함한 탈취 작업의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탈취 작업이 시작되면, 제어부(910)는 덕트 검측 스위치(461)로부터의 검측 신호에 따라, 삽입구부(413)에 도입관(30)이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1). 이외, 제어부(910)는 락 검측 스위치(471)로부터의 검측 신호에 따라,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폐쇄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2).
삽입구부(413)에 도입관(30)이 장착되고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폐쇄된 경우(S101:예, S102:예)에서, 제어부(910)는 도달 표기, 폐색 표기 및 파손 표기를 오프(OFF) 상태로 설정한 후(S103), 송풍팬(700) 및 오존 발생기(600)를 작동한다(S104).
송풍팬(700)이 작동될 경우, 제어부(910)는 송풍팬(700)이 목표 회전 속도로 회전을 진행하도록 팬 회전 속도 안정 제어의 처리를 진행한다.
도 14는 팬 회전 속도 안정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팬 회전 속도 안정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910)는 송풍팬(700)의 회전 속도가 목표 회전 속도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201). 송풍팬(700)의 회전 속도가 목표 회전 속도에서 벗어날 경우(S201:아니오), 도달 표기가 온(ON) 상태에 있으면(S202:예), 제어부(910)는 도달 표기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S203). 다음, 제어부(910)는 송풍팬(700)의 회전 속도가 목표 회전 속도에 비해 작거나 큰지를 판단하고, 비교적 작을 경우(S204:작음) 팬 구동부(960)를 제어하여 송풍팬(700)에 출력되는 전압값을 증가(S205)하고, 비교적 클 경우(S204:큼) 팬 구동부(960)를 제어하여 팬 출력값을 감소한다(S206). 예를 들어, PWM 제어의 경우, 팬 구동부(960)는 펄스 전압의 펄스 폭을 증가함으로써 출력 전압값을 증가하고, 펄스 폭을 감소함으로써 출력 전압값을 감소한다.
한편, 단계 S201에 있어서, 송풍팬(700)의 회전 속도가 목표 회전 속도와 동일할 경우(S201:예), 제어부(910)는 도달 표기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S207). 이때, 제어부(910)는 송풍팬(700)에 출력되는 전압값을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는다.
이렇게, 팬 회전 속도 안정 제어를 진행함으로써, 송풍팬(700)은 목표 회전 속도를 유지하며 회전한다. 목표 회전 속도를 유지하는 기간에서, 도달 표기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도 13에 돌아오면, 제어부(910)는 도달 표기가 온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S106), 오존 발생기(600)가 정지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7). 도달 표기가 온 상태에 있고(S106:예), 오존 발생기(600)가 정지하지 않았을 경우(S107:아니오), 제어부(910)는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S108) 및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S109)를 실행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도달 표기가 온 상태에 있지 않고(S106:아니오), 또는 오존 발생기(600)가 정지하였을 경우(S107:예), 제어부(910)는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 및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도 15(a)는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5(b)는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도 15(a)를 참조하여,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탈취 작업 과정 중 의류 탈취 장치(1)의 일련의 덕트 중 일부분이 폐색되었을 경우를 가설한다. 예를 들어, 오존 공급 장치(20)의 먼지 필터(820), 오존제거 필터(830)가 막힘으로 인해 흡기 덕트(810)가 폐색되었을 경우, 자루체(10)의 오존제거 필터(300)가 막힘으로 인해 배기부(41)가 폐색되었을 경우를 가설한다. 일련의 덕트가 폐색되었을 경우, 송풍팬(700)의 회전 시의 저항력은 송풍팬(700)의 송풍량이 낮아진 만큼 감소되므로, 송풍팬(700)를 구동하는 구동 전력은 상대적으로 작아도 된다. 따라서, 송풍팬(700)이 목표 회전 속도를 유지할 경우의 출력 전압값이 정상적인 범위보다 쉽게 낮게 되며, 송풍팬(700)의 구동 전류값도 정상적인 범위보다 쉽게 낮게 된다. 따라서, 실험 등을 통해 출력 전압값의 정상적인 범위의 하한을 나타내는 하한 전압값 및 송풍팬(700)의 구동 전류값의 정상적인 범위의 하한을 나타내는 하한 전류값을 사전에 확정하여, 메모리부(920)에 저장한다.
제어부(910)는 출력 전압값이 하한 전압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하고, 송풍팬(700)의 구동 전류값이 하한 전류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301, S302).
출력 전압값이 하한 전압값보다 작고 구동 전류값이 하한 전류값보다 작을 경우(S301:예, S302:예), 제어부(910)는 타이머(timer)를 통해 시간을 카운트(count)하기 시작한다(S303). 다음, 타이머의 카운트 소정 시간이 예를 들어 5 초일 경우(S304:예), 즉 출력 전압값이 하한 전압값보다 작고 구동 전류값이 하한 전류값보다 작은 상태가 적어도 소정 시간 지속되었을 경우, 제어부(910)는 폐색 표기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S305). 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카운트하기 전, 출력 전압값이 하한 전압값보다 이상이고, 또는 구동 전류값이 하한 전류값보다 이상일 경우, 제어부(910)는 타이머를 클리어(clear)한다(S306).
이렇게, 일련의 덕트가 폐색된 경우 폐색 표기는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에 의해 온 상태로 설정된다.
다음, 도 15(b)를 참조하여,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탈취 작업 과정 중 의류 탈취 장치(1)의 일련의 덕트 중 일부분이 파손된 경우를 가설한다. 예를 들어, 도입관(30)이 파열되고, 자루체(10)가 파손된 경우를 가설한다. 일련의 덕트가 파손되어 그중에서 공기가 쉽게 누출될 경우, 공기는 쉽게 덕트 내에서 유동되므로 송풍팬(700)의 송풍량은 증가되며, 그만큼 송풍팬(700) 회전 시의 저항력이 증가되어, 송풍팬(700)은 비교적 큰 구동 전력을 수요하게 된다. 따라서, 송풍팬(700)이 목표 회전 속도를 유지할 경우의 출력 전압값은 정상적인 범위을 쉽게 초과하며, 송풍팬(700)의 구동 전류값도 정상적인 범위을 쉽게 초과한다. 따라서, 실험 등을 통해 출력 전압값의 정상적인 범위의 상한을 나타내는 상한 전압값 및 송풍팬(700)의 구동 전류값의 정상적인 범위의 상한을 나타내는 상한 전류값을 사전에 확정하여, 메모리부(920)에 저장한다.
제어부(910)는 출력 전압값이 상한 전압값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송풍팬(700)의 구동 전류값이 상한 전류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401, S402).
출력 전압값이 상한 전압값보다 크고 구동 전류값이 상한 전류값보다 클을 경우(S401:예, S402:예), 제어부(910)는 타이머를 통해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S403). 다음, 타이머의 카운트 소정 시간이 예를 들어 5 초일 경우(S404:예), 즉 출력 전압값이 상한 전압값보다 크고 구동 전류값이 상한 전류값보다 큰 상태가 적어도 소정 시간 지속되었을 경우, 제어부(910)는 파손 표기를 온 상태로 설정한다(S405). 타이머가 소정 시간을 카운트하기 전, 출력 전압값이 상한 전압값보다 이하이고, 또는 구동 전류값이 상한 전류값보다 이하일 경우, 제어부(910)는 타이머를 클리어한다(S406).
이렇게, 일련의 덕트가 파손된 경우 파손 표기는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에 의해 온 상태로 설정된다.
재차 도 13에 돌아오면,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 및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를 진행한 다음, 제어부(910)는 폐색 표기 또는 파손 표기가 온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10). 폐색 표기 및 파손 표기가 모두 오프 상태에 있을 경우(S110:아니오), 제어부(910)는 작업 종료 시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11). 작업 종료 시간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910)는 단계(S105)로 돌아가며, 팬 회전 속도 안정 제어(S105)에서부터 폐색 표기 또는 파손 표기의 상태 판단(S110)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한편, 폐색 표기 또는 파손 표기가 모두 온 상태로 설정되었을 경우(S110:예), 제어부(910)는 발생기 구동부(950)를 제어하여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킨다(S112). 다음, 제어부(910)는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송풍팬(700)의 작동을 작업 종료 시간까지 유지한다. 이 기간에서, 오존 발생기(600)가 정지되어 있으므로, 덕트 폐색에 대한 판단 처리 및 덕트 파손에 대한 판단 처리를 진행하지 않는다.
단계(S111)에서 작업 종료 시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경우(S111:예), 제어부(910)는 팬 구동부(960)를 제어하여 송풍팬(700)를 정지시키며, 오존 발생기(600)가 작동하고 있을 경우, 발생기 구동부(950)를 제어하여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킨다(S113).
설명하여야 할 것은, 제어부(910)가 오존 발생기(600) 및 송풍팬(700)을 정지시킬 경우, 우선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키고, 다음, 소정 대기 시간, 예를 들어 30 초를 경과한 후 송풍팬(700)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제어하면, 오존을 함유하지 않은 공기가 자루체(10) 내에 도입되며, 이 공기에 의해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밀려나기 때문에, 오존 작업 종료 시 오존을 함유한 공기가 자루체(10) 내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910)는 폐색 표기가 온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고(S114), 폐색 표기가 온 상태에 있지 않을 경우(S114:아니오), 파손 표기가 온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15). 폐색 표기가 온 상태에 있을 경우(S114:예) 제어부(910)는 통지 구동부(940)를 제어하여 제 3 통지부(456)를 점등시키고(S116), 파손 표기가 온 상태에 있을 경우(S115:예) 제어부(910)는 통지 구동부(940)를 제어하여 제 4 통지부(457)를 점등시킨다(S117). 이렇게, 탈취 작업의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탈취 버튼(452)를 누를 경우, 제어부(910)는 단계(S101)에서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S101:아니오), 제 1 통지부(454)를 점등시키며(S118), 탈취 작업을 시작하지 않는다. 이외, 도입관(10)의 투입구(11)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탈취 버튼(454)을 누를 경우, 제어부(910)는 단계(S102)에서 투입구(11)가 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S102:아니오), 제 2 통지부(455)를 점등시키며(S119), 탈취 작업을 시작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의류 탈취 장치(1)의 일련의 덕트의 폐색을 검측할 수 있으므로, 덕트의 폐색에 대처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의류 탈취 장치(1) 중에 이미 구비된 송풍팬(700)을 이용하고, 송풍팬(700)의 구동 상태, 즉 출력 전압값, 구동 전류값을 모니터링하여 덕트의 폐색을 검측할 수 있으므로, 덕트의 폐색을 검측하는 전용 검측 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에, 부재 개수의 증가,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2) 송풍팬(700)의 출력 전압값 및 구동 전류값이 각각의 하한값보다 작을 경우, 덕트 폐색으로 간주되므로, 소음 등 영향에 의한 잘못된 덕트 폐색 판단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송풍팬(700)의 출력 전압값 및 구동 전류값이 각각 하한값보다 작더라도, 바로 덕트 폐색으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소음 등의 영향에 의한 잘못된 덕트 폐색 판단은 더욱더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3) 덕트가 폐색되었을 경우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키므로, 정확한 의류 탈취를 진행하지 못할 경우에서의 헛된 오존 생성의 유지를 방지할 수 있다.
(4) 덕프가 폐색되었을 경우 제 3 통지부(456)를 점등시키므로, 사용자에게 덕트의 폐색을 알릴 수 있다.
(5) 의류 탈취 장치(1)의 일련의 덕트의 파손을 검측할 수 있으므로, 덕트의 파손에 대처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의류 탈취 장치(1) 중에 이미 구비된 송풍팬(700)을 이용하고, 송풍팬(700)의 구동 상태, 즉 출력 전압값, 구동 전류값을 모니터링하여 덕트의 파손을 검측할 수 있으므로, 덕트의 파손을 검측하는 전용 검측 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에, 부재 개수의 증가,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6) 송풍팬(700)의 출력 전압값 및 구동 전류값이 각각의 하한값보다 작을 경우, 덕트 폐색으로 간주되므로, 소음 등의 영향에 의한 잘못된 덕트 폐색 판단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송풍팬(700)의 출력 전압값 및 구동 전류값이 각각의 상한값보다 크더라도, 바로 덕트 파손으로 간주되지 않으므로, 소음 등의 영향에 의한 잘못된 덕트 파손 판단은 더욱더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7) 덕트가 파손되었을 경우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키므로, 정확한 의류 탈취를 진행하지 못할 경우에서의 헛된 오존 생성의 유지를 방지할 수 있다.
(8) 덕프가 파손되었을 경우 제 4 통지부(457)를 점등시키므로, 사용자에게 덕트의 파손을 알릴 수 있다.
(9) 락 검측부(470)를 통해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폐쇄된 것을 검측하지 못하면 탈취 작업을 시작하지 않으므로, 투입구(11)의 오픈을 덕트 파손으로 잘못 판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경예>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등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상술한 이외의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어부(910)는 출력 전압값 및 구동 전류값을 획득하며, 출력 전압값이 하한 전압값보다 작고, 구동 전류값이 하한 전류값보다 작을 경우, 폐색 표기는 온 상태로 설정된다. 그러나, 제어부(910)는 출력 전압값만 획득할 수 있으며, 출력 전압값이 하한 전압값보다 작을 경우 폐색 표기는 온 상태로 설정된다. 이외, 제어부(910)는 구동 전류값만 획득할 수 있으며, 구동 전류값이 하한 전류값보다 작을 경우 폐색 표기는 온 상태로 설정된다.
이외, 상기 실시형태에서, 폐색 표기가 온 상태에 있을 경우 또는 파손 표기가 온 상태에 있을 경우, 단계(S112)에서 제어부(910)는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킨다. 그러나, 단계(S112)에서 제어부(910)는 오존 발생기(600)의 출력을 낮추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서, 폐색 표기 또는 파손 표기가 온 상태로 되어 오존 발생기(600)가 정지되었고, 작업 종료 시간이 지날 때까지 송풍팬(700)은 계속하여 작동하며 계속하여 탈취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폐색 표기 또는 파손 표기가 온 상태로 되었을 경우, 오존 발생기(600) 및 송풍팬(700)을 정지시켜, 탈취 작업을 종료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오존 발생기(600)가 정지되어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송풍팬(700)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서, 덕트가 폐색, 파손되었을 경우 송풍팬(700)을 정지시켜 탈취 작업을 종료한 후, 제 3 통지부(456) 및 제 4 통지부(457)가 점등되도록 설정하였다. 그러나, 폐색 표기 또는 파손 표기가 온 상태로 되어 오존 발생기(600)가 정지된 후, 탈취 작업 과정 중에서 제 3 통지부(456) 및 제 4 통지부(457)가 바로 점등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서, 의류는 자루체(10)에 수용된다. 그러나,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는 자루체(10)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지, 금속으로 형성된 박스형의 수용고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다양한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10: 자루체(수용부) 11: 투입구
20: 오존 공급 장치(오존 공급부) 456: 제 3 통지부(통지부)
457: 제 4 통지부(통지부) 470: 락 검측부(검측부)
600: 오존 발생기 700: 송풍팬
910: 제어부

Claims (7)

  1.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
    오존 발생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상기 오존 발생기가 생성한 오존을 상기 수용부로 보내는 오존 공급부; 및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송풍팬에 출력되는 출력 전압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송풍팬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상기 출력 전압값 및 상기 송풍팬을 흐르는 구동 전류값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값을 획득하며, 획득한 값이 상기 값과 대응되는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이 상기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상기 출력 전압값 및 상기 구동 전류값을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출력 전압값이 제 1 임계값보다 작고 획득한 상기 구동 전류값이 제 2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
    오존 발생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한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상기 오존 발생기가 생성한 오존을 상기 수용부로 보내는 오존 공급부; 및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송풍팬에 출력되는 전압값을 변화시키며,
    상기 송풍팬이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상기 출력 전압값 및 상기 송풍팬을 흐르는 구동 전류값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값을 획득하며, 획득한 값이 상기 값과 대응되는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이 상기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경우의 상기 출력 전압값 및 상기 구동 전류값을 획득하며, 획득한 상기 출력 전압값이 제 1 임계값보다 크고 획득한 상기 구동 전류값이 제 2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의류의 투입구의 개폐 여부를 검측하는 검측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검측부를 통해 상기 투입구가 폐쇄된 것을 검측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을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발생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오존 발생기의 출력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로 알리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처리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77035383A 2015-05-13 2016-05-13 의류 처리 장치 KR101998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98501A JP6502167B2 (ja) 2015-05-13 2015-05-13 衣類処理装置
JPJP-P-2015-098501 2015-05-13
PCT/CN2016/082109 WO2016180370A1 (zh) 2015-05-13 2016-05-13 衣物处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45A true KR20180002845A (ko) 2018-01-08
KR101998264B1 KR101998264B1 (ko) 2019-07-09

Family

ID=5724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383A KR101998264B1 (ko) 2015-05-13 2016-05-13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135232A1 (ko)
EP (1) EP3296450A4 (ko)
JP (1) JP6502167B2 (ko)
KR (1) KR101998264B1 (ko)
CN (1) CN107532370B (ko)
WO (1) WO20161803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6038B2 (en) 2018-05-16 2023-06-2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device
WO2019221505A1 (ko) * 2018-05-16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0735300A (zh) * 2018-07-02 2020-01-3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类异味处理方法及衣类处理装置
JP7453645B2 (ja) * 2019-12-25 2024-03-21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衣類処理装置
CN112796086B (zh) * 2020-12-30 2022-02-18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衣物护理机抖动衣架频率的控制方法
CN115110300B (zh) * 2021-03-19 2024-05-14 广州易家智能电子科技有限公司 衣物护理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7900A (ja) 1991-04-26 1992-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リフレッシュ装置
JP2006158586A (ja) * 2004-12-06 2006-06-22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
JP2011161282A (ja) * 2011-05-30 2011-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5040211B2 (ja) * 2006-08-10 2012-10-0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脱臭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137Y2 (ko) * 1972-08-28 1978-02-16
JPH05220318A (ja) * 1992-02-17 1993-08-31 Daido Steel Co Ltd 集塵方法および集塵装置
US6862482B2 (en) * 2001-08-06 2005-03-01 Emerson Electric Co. Appliance control system with LED operation indicators
KR100966882B1 (ko) * 2003-07-21 201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JP2007289494A (ja) * 2006-04-26 2007-11-08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2007311227A (ja) * 2006-05-19 2007-11-29 Sharp Corp 空気清浄機
JP5216280B2 (ja) * 2007-08-23 2013-06-19 三洋電機株式会社 フィルタ目詰まり検知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101407961B1 (ko) * 2009-10-13 2014-06-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1139813A (ja) * 2010-01-08 2011-07-21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JP5621503B2 (ja) * 2010-10-15 2014-1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N202014812U (zh) * 2010-12-03 2011-10-26 钟少俊 一种多功能衣柜
JP5755036B2 (ja) * 2011-06-09 2015-07-29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JP2014059116A (ja) * 2012-09-19 2014-04-03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CN202989621U (zh) * 2012-11-30 2013-06-12 徐伟 一种多功能烘衣机
DE102013108783A1 (de) * 2013-08-14 2015-02-19 Miele & Cie. Kg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wenigstens teilweisen Verstopfung eines Prozessluftkanals in einem Trock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7900A (ja) 1991-04-26 1992-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リフレッシュ装置
JP2006158586A (ja) * 2004-12-06 2006-06-22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
JP5040211B2 (ja) * 2006-08-10 2012-10-0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脱臭装置の制御方法
JP2011161282A (ja) * 2011-05-30 2011-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6450A4 (en) 2018-12-26
WO2016180370A1 (zh) 2016-11-17
KR101998264B1 (ko) 2019-07-09
US20180135232A1 (en) 2018-05-17
CN107532370A (zh) 2018-01-02
JP2016209467A (ja) 2016-12-15
CN107532370B (zh) 2020-08-25
EP3296450A1 (en) 2018-03-21
JP6502167B2 (ja)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264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90354B1 (ko) 의류처리 장치
KR2017005117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220154B2 (ja) イオン発生装置
CN111720914B (zh) 空气净化器及空气净化系统
KR20200142840A (ko) 의류 관리기
KR20140087555A (ko) 의류처리장치
JP2016093368A (ja) 衣類処理装置
KR101972259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89589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00112591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시스템
KR20180008598A (ko) 의류 처리 장치
CN111304889B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2017005126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8597A (ko) 의류 처리 장치
JP2008161530A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保管庫
JP2022071973A (ja) 加湿装置
KR20200112594A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공기청정시스템의 제어방법
CN114901896A (zh) 衣物处理装置
KR20060039307A (ko) 의류건조기
KR20160025985A (ko) 에어워셔의 수위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