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259B1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259B1
KR101972259B1 KR1020177035540A KR20177035540A KR101972259B1 KR 101972259 B1 KR101972259 B1 KR 101972259B1 KR 1020177035540 A KR1020177035540 A KR 1020177035540A KR 20177035540 A KR20177035540 A KR 20177035540A KR 101972259 B1 KR101972259 B1 KR 10197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device
ozone
introduction pipe
ozone suppl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266A (ko
Inventor
시게하루 나카모토
하지메 스즈키
타카유키 나가이
토모히로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ygen, ozone or ozon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3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루체의 방향과 오존 공급 장치의 방향이 원하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의류 탈취 장치(1)는 의류를 수용하는 자루체(10);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자루체(10) 내에 공급하는 오존 공급 장치; 오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자루체(10) 내로 도입시키는 도입관(30); 자루체(10)에 형성되고 도입관(3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15); 및 오존 공급 장치에 형성되고 도입관(30)의 타단부가 소정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 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도입관(30)이 상기 고정부(15)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5)의 원주방향에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 유닛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의류에 대해 탈취 등 처리를 실시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의류를 옷걸이에 걸어 수납 가능한 수납고를 구비하고, 고온 고습도의 공기를 해당 수납고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의류의 냄새를 흡착한 순환공기를 오존 탈취기에 유입시켜 의류탈취를 진행할 수 있는 의류 리프레시(refresh)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해당 의류 리프레시 장치는 수납고를 구비하므로 장치의 본체는 커지기 쉽다. 따라서,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가정에서 쉽게 설치 가능하도록,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자루체와 해당 자루체 내에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공급하는 오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자루체에 수용된 의류에 대하여 오존에 의한 탈취 등 처리를 실시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고려하게 된다.
해당 의류 처리 장치는 도입관으로 자루체와 오존 공급 장치 사이를 연결하고 도입관을 통해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자루체에 공급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루체와 오존 공급 장치를 분리하기 위하여 자루체 측에 고정된 도입관이 착탈 가능하게 오존 공급 장치에 장착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특개평04-327900호 공보
자루체의 방향과 오존 공급 장치의 방향이 사전 소정의 관계, 예를 들어, 자루체의 정면과 오존 공급 장치의 정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도입관은 사전 소정의 방향으로 오존 공급 장치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입관과 자루체의 고정 부분에서 도입관이 자루체에 장착된 방향과 수직인 면 내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입관이 오존 공급 장치에 장착될 때 자루체의 방향과 오존 공급 장치의 방향이 원하지 않는 관계가 되며, 이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등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해당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기술방안이며, 자루체의 방향과 오존 공급 장치의 방향이 원하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 실시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자루체;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상기 자루체 내에 공급하는 오존 공급 장치; 상기 오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상기 자루체 내로 도입시키는 도입관; 상기 자루체에 형성되고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오존 공급 장치에 형성되고 상기 도입관의 타단부가 소정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 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상기 도입관이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는 방향과 수직되는 면의 내부 방향에 따라 상기 도입관이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 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도입관은 스톱 유닛을 통해 자루체에 대해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로써, 자루체의 방향과 오존 공급 장치의 방향이 원하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는 원통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스톱 유닛은 번들 스트랩 및 돌기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번들 스트랩은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를 둘러싸는 상기 고정부에 둘러싸게 되고, 상기 고정부는 내측으로 체결되며, 돌기부는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번들 스트랩의 헤드부와 스트랩부의 결합부에 걸림 결합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번들 스트랩을 이용하여 도입관이 자루체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사용할 경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트랩부가 통과하도록 하는 스트랩 통과부; 및 상기 스트랩 통과부를 통과하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부에 노출된 상기 결합부를 가리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사용될 경우, 스트랩부는 스트랩 통과부를 통과하고, 스트랩 통과부를 통과하지 않으면서 노출된 결합부는 차폐부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번들 스트랩을 쉽게 볼 수 없으므로 고정부의 외관이 아름답다.
본 형태의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오존 공급 장치를 고정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자루체의 정면이 상기 오존 공급 장치의 일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자루체의 상부를 유지하는 자루체 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입관은 상기 자루체의 정면이 상기 오존 공급 장치의 일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오존 공급 장치에 장착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자루체의 정면이 오존 공급 장치의 정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자루체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자루체 유지부 및 오존 공급 장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 도입관이 자루체에 대해 회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도입관의 회동으로 인해 자루체의 하부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하여 자루체가 비틀리는 상황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자루체의 비틀림을 이처럼 방지함으로써,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 내에서 순리롭게 유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자루체의 방향과 오존 공급 장치의 방향이 원하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및 의미는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하기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언급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탈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자루체의 하부 중앙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자루체의 하부 중앙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도입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도입관을 자루체에 장착하는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도입관이 장착된 상태의 자루체의 하부 중앙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 겸 행거(hanger)유지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자루체 유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자루체가 자루체 유지부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주요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에 따른 도입관의 오존 공급 장치에 대한 연결 및 덕트(duct) 검측부에 의한 연결의 검측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에 따른 락(lock) 검측부가 자루체의 투입구가 지퍼에 의해 폐쇄된 것을 검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은 실시형태에 따른 락 검측부가 자루체의 투입구가 지퍼에 의해 폐쇄된 것을 검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기 공급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기 공급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변경예에 따른 의류 탈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의 일 실시형태 즉 의류 탈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의류 탈취 장치(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는 의류 탈취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의류 탈취 장치(1)를 구성하는 베이스(50), 지지대(60) 및 자루체 유지부(70)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의류 탈취 장치(1)는 자루체(10), 오존 공급 장치(20), 도입관(30),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 베이스(50), 지지대(60), 자루체 유지부(70) 및 향기 공급 유닛(80)을 포함한다.
자루체(10)는 양복, 코트 등 각종 의류를 수용한다. 자루체(10)는 통기성을 구비하지 않는 여러 장의 직물이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충분한 밀폐성을 가진다. 자루체(10)는 앞뒤가 편평한 대략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앞면을 구성하는 앞쪽 직물(10a), 뒷면을 구성하는 뒤쪽 직물(10b) 및 상하 좌우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 직물(10c)로 구성된다.
자루체(10)의 상하 사이즈는 롱 셔츠, 롱 코트 등 길이가 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된다. 이외, 자루체(10)의 앞뒤 사이즈는 한 벌의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된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자루체(10)의 상하 사이즈는 길이가 긴 의류를 수용할 수 없는 사이즈로 설정될 수도 있고, 앞뒤 사이즈는 두세 벌 정도의 의류를 앞뒤로 배열하여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될 수도 있다.
자루체(10)의 앞면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는, 의류의 투입구(11)를 구성하는 간극이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형성된다. 투입구(11)에는 지퍼(12)가 장착된다. 지퍼(12)로 폐쇄를 진행할 시의 시단부(12a) 및 끝단부(12b)는 각각 자루체(10)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다. 지퍼(12)의 슬라이더(slider)(12c)는 시단부(12a)와 끝단부(12b) 사이에서 이동한다. 슬라이더(12c)를 시단부(12a)에서 아래로 당기면 지퍼(12)가 닫겨 투입구(11)는 폐쇄되고, 슬라이더(12c)를 끝단부(12b)에서 위로 당기면 지퍼(12)가 열려 투입구(11)는 개방된다. 이렇게, 슬라이더(12c)를 아래로 당기는 방향을 투입구(11)의 잠금방향으로 설정하므로, 투입구(11)가 폐쇄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2c)의 자중은 폐쇄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슬라이더(12c)를 위로 당기는 방향은 투입구(11)의 잠금방향을 구성한 경우와 달리, 슬랑이더(12c)의 자중으로 인한 끝단부(12b), 즉 지퍼(12)의 닫긴 부분이 열릴 우려가 없다.
오존 공급 장치(20)는 의류를 탈취하는 탈취 작업 및 의류에 향기를 첨가하는 향기 첨가 작업을 진행한다. 오존 공급 장치(20)는 탈취 작업 시, 배출된 공기에 오존이 함유되도록 하는 동작을 진행함으로써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자루체(10)에 공급한다. 이외, 오존 공급 장치(20)는 향기 첨가 작업 시, 배출된 공기에 오존이 함유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진행함으로써 오존을 함유하지 않은 공기를 자루체(10)에 공급한다.
도입관(30)은 자루체(10) 및 오존 공급 장치(20)에 연결되며 오존 공급 장치(20)에서 배출된 공기를 자루체(10) 내로 도입시킨다. 탈취 작업 시 오존을 함유한 공기가 도입관(30)을 통과하고, 향기 첨가 작업 시에는 오존을 함유하지 않은 공기가 도입관(30)을 통과한다.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은 자루체(10) 후면의 상부에 설치된다.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은 오존 제거기능을 구비하는 배기부(41) 및 의류의 걸림을 유지하는 의류용 행거의 행거 유지부(42)가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의류의 탈취를 돕는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배기부(41)를 통해 자루체(10)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부(41)를 통과 시, 공기 중에 함유된 오존은 제거된다.
베이스(50)는 소정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을 구비하는 평판이다. 베이스(50)에 오존 공급 장치(20)가 배치된다. 베이스(50)의 뒷부분에 지지대(60)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51)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50)에 오존 공급 장치(20)의 앞면이 베이스(50)의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오존 공급 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52) 및 제 2 고정부(53)가 형성된다. 제 1 고정부(52)는 복수 개의 후크(hook)형 고리부(52a)로 구성된다. 제 2 고정부(53)는, 일단부가 베이스(50)에 의해 지지되는 “L” 자형의 탄성 레버(elastic lever)(53a); 탄성 레버(53a)의 일단부에 비해 약간 후방에 형성된 돌기(53b); 및 탄성 레버(53a)의 타단부에 형성된 누름부(53c);를 포함한다. 하방으로 누름부(53c)를 누를 경우, 탄성 레버(53a)는 탄성 변형되고 돌기(53b)는 하방으로 수축된다.
지지대(60)는 2 개의 로드(rod)(61)로 구성된다. 지지대(60)의 하단부는 지지부(51)에 장착되고 베이스(50)에 대해 직립된다. 지지대(60)는 2 개의 로드(61)가 아니라, 1 개 또는 3 개 이상의 로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외, 지지대(60)에 지지대(60)의 높이를 조절하는 신축 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대(60)의 상단에 자루체 유지부(70)가 장착된다. 자루체 유지부(70)는 자루체(10)를 앞뒤, 상하 및 좌우의 어느 한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림 유지한다.
향기 공급 유닛(80)은 오존 공급 장치(20)를 통해 향기 첨가 작업을 진행할 때 사용된다. 향기 공급 유닛(80)은 탈부착 가능하게 도입관(30)에 장착되며 자루체(10)로 공급되는 공기가 아로마(aroma) 성분을 함유하도록 한다.
다음, 자루체(10), 자루체(10)에 장착된 도입관(30) 및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한다.
도 2 및 도 3은 자루체(10) 하부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앞쪽 사시도이고 도 2(b)는 뒷면 단면도이다. 도 3(a)는 정면 아래쪽에서 관찰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배면 아래쪽에서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 3(d)는 끝단 커버(13) 상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자루체(10)의 앞쪽 직물(10a)의 내면에는, 자루체(10)의 내측에서 지퍼(12)의 끝단부(12b), 즉 닫긴 부분을 커버하도록 끝단 커버(13)가 장착된다. 끝단 커버(13)는 통기성을 구비하지 않는 직물로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하부 가장자리부(13a), 오른쪽 가장자리부(13b) 및 왼쪽 가장자리부(13c)는 봉합, 접착 등 고정 방법에 의해 앞쪽 직물(10a)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지퍼(12)가 마지막까지 완전히 닫기지 않았을 경우, 지퍼(12)의 닫긴 부분은 약간 열려있는 상태로 되기 쉽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닫긴 부분의 주위가 끝단 커버에 커버되어 탈취 작업을 진행할 때, 자루체(10)에 도입된 공기로 인해, 자루체(10) 내의 압력은 상승하고, 해당 압력의 상승으로 인해, 끝단 커버(13)는 자루체(10)의 앞면 측으로 밀리게 되어 쉽게 앞쪽 직물(10a)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지퍼(12)의 닫긴 부분이 조금 열려있을지라도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닫긴 부분으로부터 쉽게 누출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끝단 커버(13)의 상단부에는 두께가 커지도록 그 내부에 우레탄 고무 등으로 구성된 충진재(13d)가 수용된다. 따라서, 지퍼(12)를 닫을 때 지퍼(12)가 끝단 커버(13)의 상단부에 맞물림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퍼(12)를 통한 투입구(11)의 잠김 상황을 검측하기 위해, 검측락(lock)(90)은 연결 끈(95)을 통해 슬라이더(12c)에,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12c)의 손잡이에 연결된다. 검측 락(90)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그의 원주면의 하단부에 돌출부(91)가 형성되고 그의 상단부에 연결 끈(95)을 고정하기 위한 리프팅(lifting) 고리부(92)가 형성된다. 연결 끈(95)의 일단부는 슬라이더(12c)의 손잡이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리프팅 고리부(92)와 연결된다. 연결 끈(95)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밧줄, 체인(chain), 금속 와이어(wire) 등일 수 있다.
자루체(10)에서, 하면의 중앙부에 공기의 입구(14)가 설치되고 고정부(15)는 해당 입구(14)에서 처지게 된다. 고정부(15)는 입구(14)에 삽입된 도입관(30)의 상단부를 둘러싼다. 도입관(30)의 상단부는 고정부(15)에 고정된다.
고정부(15)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대략 원환형의 스트랩 통과부(16)가 상하로 병렬되도록 설치된다. 각 스트랩 통과부(16)의 양단부는 자루체(10)의 후면 측을 구성하는 고정부(15)의 후면부(15a)에서 개방된다. 각 스트랩 통과부(16)는 후술하는 번들 스트랩(Bundle strap)이 통과되도록 한다.
고정부(15)의 외주면에는 후면부(15a)를 가리기 위해, 밴드 형상의 차폐부(17)가 더 설치된다. 차폐부(17)의 일단측은 상하의 스트랩 통과부(16) 일측의 개방단(16a) 부근에 장착된다. 차폐부(17)의 타단측에 벨크로(velcro)(18)의 일측면, 예를 들어 후크면(hook surface)(18a)이 형성되고, 상하 스트랩 통과부(16)의 타단측의 개방단(16b)의 부근에 벨크로(18)의 타단측면, 예를 들어 루프면(loop surface)(18b)이 형성된다.
도 4는 도입관(3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는 하단측에서 관찰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단측에서 관찰한 사시도이다.
도입관(30)은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원통형의 본체부(31a) 및 본체부(31a)의 하방에 형성된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통형의 연결부(31b)를 포함한다. 본체부(31a)와 연결부(31b)의 인접 부분은 윤곽이 점차 한 곳으로 집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본체부(31a)의 상단에 향기 공급 유닛(8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걸림편(32)이 형성된다. 본체부(31a)의 걸림편(32)에 비해 약간 아래쪽인 위치에서, 도입관(30)이 자루체(10)에 장착된 상태 하에 자루체(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향하는 각 위치에 앞쪽 플랜지부(33) 및 뒤쪽 플랜지부(34)가 형성된다. 본체부(31a)의 각 플랜지부(33, 34)에 비해 약간 아래쪽인 위치에, 링형의 위쪽 플랜지부(35) 및 아래쪽 플랜지부(36)가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위쪽 플랜지부(35)와 아래쪽 플랜지부(36) 사이에서, 도입관(30)이 자루체(10)에 장착된 상태 하에 자루체(10)의 후방을 향하는 위치에 상하로 연장된 돌기부(37)가 형성된다. 돌기부(37)는 상하로 병렬된 삼각 리브(37a) 및 이러한 삼각 리브(37a)를 연결하는 수직 리브(37b)에 의해 삼각 기둥과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부(31)의 하단에서, 도입관(30)이 자루체(10)에 장착된 상태 하에 자루체(10)의 오른쪽으로 향하는 위치 및 왼쪽으로 향하는 위치에 각각 오른쪽 고리부(38) 및 왼쪽 고리부(39)가 형성된다.
도 5는 도입관(30)을 자루체(10)에 장착시키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은 돌기부(37)가 후면부(15a)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고정부(15) 내에서 아래쪽 플랜지부(36)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도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랩 통과부(16)에 번들 스트랩(19)이 삽입되고, 번들 스트랩(19)은 고정부(15)를 와인딩(winding)한다. 번들 스트랩(19)은 헤드부(19a) 및 스트랩부(19b)로 구성된다. 후면부(15a)에서, 스트랩부(19b)가 헤드부(19a)를 통과하며 번들 스트랩(19)을 통해 고정부(15)를 내측에 체결시킨다. 스트랩부(19b)의 나머지 부분을 절단한 후, 도 5(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부(17)의 타단측은 벨크로(18)에 의해 스트랩 통과부(16)에 고정되고, 헤드부(19a)는 차폐부(17)에 의해 가려진다. 이렇게, 자루체(10)에 대한 도입관(30)의 장착이 완료된다.
도 6은 도입관(30)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자루체(10) 하부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는 자루체(10) 하부의 중앙부의 후면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A′ 단면도이며 도 6(c)는 아래쪽에서 관찰한 자루체(10) 하부의 중앙부의 도이다.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이 자루체(10)의 고정부(15)에 장착된 상태에서, 위쪽 플랜지부(35), 아래쪽 플랜지부(36) 및 번들 스트랩(19)이 상하 방향에 따라 걸리게 됨으로써, 도입관(30)이 상하 방향으로 고정부(15)에 고정된다. 즉, 도입관(30)은 아래쪽 플랜지부(36)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고 자루체(10) 내로 들어갈 수 없으며, 위쪽 플랜지부(35)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고 자루체(10)로부터 이탈될 수 없다. 또한, 도 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번들 스트랩(19)의 헤드부(19a)와 스트랩부(19b)의 결합부(19c)는 원주 방향을 따라 도입관(30)의 돌기부(37)에 걸리게 되므로, 도입관(30)은원주 방향에 따라 고정부(15)에 고정된다. 이렇게, 도입관(30)은 자루체(10)에 대해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동하지 않도록 장착된다. 이외, 도입관(30)의 오른쪽 고리부(38) 및 왼쪽 고리부(39)는 자루체(10)에 대해 기설된 위치 관계로 나타난다. 즉, 도 6(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고리부(38)는 자루체(10)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P)에 비해 약간 앞쪽에 위치하고 왼쪽 고리부(39)는 자루(10)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P)에 비해 약간 뒤쪽에 위치한다.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의 상단부는 자루체(10)의 하면에 비해 상방에 더 접근하도록 돌출된다. 앞쪽 플랜지부(33) 및 뒤쪽 플랜지부(34)는 자루체(10)의 하면에 비해 약간 상방에 접근하는 위치에 놓인다.
도 7 내지 도 10은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자루체(10)에 장착되기 전의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이 분해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를 구성하는 앞쪽 유닛(200) 및 뒤쪽 유닛(100)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a)는 자루체(10)에 장착된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수평방향에 따라 배기부(41)를 절단한 도 9(a)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각각 자루체(10) 상부의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7 및 도 10(b)에서 편의상 자루체(10)의 앞면에 대한 도시가 생략되고, 도 9(a)에서 자루체(10)가 투명하게 작성된다.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에서, 왼쪽 절반부분에 배기부(41)가 형성되고 오른쪽 절반부분의 앞쪽에 행거 유지부(42)가 형성된다. 또한,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에서, 오른쪽 절반부분의 뒤쪽에 자루 유지부(70)가 장착되는 장착부(43)가 형성된다.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은 뒤쪽 유닛(100) 및 앞쪽 유닛(200)이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뒤쪽 유닛(100) 및 앞쪽 유닛(200)은 수지 재료 등 자루체(10)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 형성된다. 뒤쪽 유닛(100) 및 앞쪽 유닛(200)은 각각 가로로 긴 장방형 형상을 가지는 뒷판(101) 및 앞판(201)에 배기부(41), 행거 유지부(42) 및 장착부(43)의 구성요소가 형성된다.
배기부(41)는 뒷판(101)에 형성된 배기관(110) 및 앞판(201)에 형성된 덕트커버(210)를 포함한다. 배기부(41) 내에 오존 제거 필터(44)가 장착된다. 배기관(110)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장방형 형상을 가진다. 배기관(110)의 앞면은 오존 제거 필터(44)의 출입구(111)로서 개구되고, 후면은 배기구(112)로서 개구된다. 출입구(111)의 주변은 앞쪽으로 돌출된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113)에 의해 둘러싸인다. 배기구(112)에 격자(114)가 형성된다. 덕트커버(210)는 약간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장방형 형상의 외부 프레임(211) 및 외부 프레임(211) 내에 형성된 격자(212)를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211)의 두께는 격자(212)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외부 프레임(211)의 내측에 홈(213)이 형성된다.
오존 제거 필터(44)는 앞뒤가 편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활성탄 및 촉매를 알루미늄 등 기재에 전이시켜 형성된 활성탄/촉매 필터를 오존 제거 필터(44)로 사용할 수 있다. 오존 제거 필터(44)가 손에 접촉될 수 없도록, 망상형의 커버(44a)로 오존제거 필터(44)의 주위를 커버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오존 제거 효과를 가지는 기타 필터, 예를 들어 광촉매 세라믹 필터(photocatalyst ceramic filter)를 오존 제거 필터(44)로 사용할 수도 있다.
행거 유지부(42)는 뒷판(101)의 앞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1 유지부(120) 및 제 1 유지부(120)의 전방에 형성된 제 2 유지부(121)를 포함한다. 제 1 유지부(120)에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장착부(122)가 형성된다. 제 2 유지부(121)는 상방으로 향하는 갈고리 형상을 가진다.
뒷판(101)의 앞면에서, 행거 유지부(42)의 좌우에 가이드체(130)가 형성된다. 이외, 앞판(201)에 행거 유지부(42) 및 좌우의 가이드체(13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220)가 형성된다. 개구부(220)의 주위에 프레임체(221)가 형성된다.
장착부(43)는 본체부(140) 및 장착홀(141)을 포함한다. 본체부(140)는 네모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뒷판(10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장착홀(141)은 본체부(140)의 후면에 형성되고 뒷판(101)을 넘어 행거 유지부(42)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장착홀(141)의 하면에 장착홀(141)의 개구단에서 내부로 향해 절개부(142)가 형성된다.
앞판(201)의 네 모서리 위치, 좌우 방향에서 중앙의 상단부 및 하단부 위치에, 나사(300)가 통과할 수 있는 나사홀(230)이 형성된다. 또한, 앞판(201)의 앞면의 외주연에 전체 둘레에 걸쳐 보강용 리브(231)가 형성된다.
뒷판(101)의 네 모서리 위치, 좌우 방향에서 중앙의 상단부 및 하단부 위치에, 나사(300)를 고정시키는 장착 돌기(150)가 형성된다. 이외, 뒷판(101)의 후면에서, 장착부(43)의 오른쪽에는 본체부(140)의 오른쪽 상단에서부터 뒷판(101)의 외부 모서리부를 둘러싸며 본체부(140)의 오른쪽 하단에 연결되는 보강용 제 1 리브(151)가 형성되며, 장착부(43)의 왼쪽에는 본체부(140)의 왼쪽 상단에서부터 뒷판(101)의 외부 모서리부를 둘러싸며 본체부(140)의 왼쪽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리브(152)가 형성된다. 또한, 뒷판(101)의 후면에는 장착홀(141)의 양측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보강용 제 3 리브(153)가 형성된다.
자루체(10) 후면의 상부에서, 배기부(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개구부(10d)가 형성되고, 행거 유지부(42) 및 좌우의 가이드체(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개구부(10e)가 형성된다. 이외, 자루체(10) 후면의 상부에서, 앞판(201)의 나사홀(230) 및 뒷판(101)의 장착 돌기(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홀(10f)이 형성된다.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을 조립할 때, 우선 오존 제거 필터(44)를 뒤쪽 유닛(100)의 배기관(110) 내에 수용한다. 다음, 가이드 프레임(113)을 제 1 개구부(10d)에 삽입하면서 좌우의 가이드체(130)를 제 2 개구부(10e)에 삽입하며, 자루체(10)의 외측에서 뒤쪽 유닛(100)을 자루체(10) 후면의 상부에 장착한다. 다음, 자루체(10)의 내측에서 앞쪽 유닛(200)을 뒤쪽 유닛(100)에 장착한다. 이후, 자루체(10) 후면의 상부가 앞뒤로 클램핑(clamping)되어 조립된 앞쪽 유닛(200) 및 뒤쪽 유닛(100)을 나사(300)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도 9(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은 조립되는 동시에 자루체(10) 후면의 상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뒤쪽 유닛(100)을 자루체(10)의 후면에 장착할 때, 가이드 프레임(113) 및 가이드체(130)는 각각 제 1 개구부(10d) 및 제 2 개구부(10e)에 삽입되어 가이드를 진행한다. 이로써, 뒤쪽 유닛(100)은 쉽게 자루체(10)에 장착되고,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의 조립은 쉽게 된다.
이외, 도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부(41)에서, 배기관(110)의 가이드 프레임(113)의 선단부는 덕트 커버(210)의 외부 프레임(211)의 홈(213) 내에 감입된다. 이로써, 배기관(11)과 덕트 커버(210) 사이의 실링(sealing) 효과가 향상되므로, 배기부(41)를 통과하는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배기부(41)에서 쉽게 누출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뒷판(101)의 배기관(110) 주위의 평탄한 부위는 외측에서 제 1 개구부(10d)의 주위를 커버하는 뒤쪽 플랜지부(F1)로서 작용하며, 앞판(101)의 덕트 커버(210) 주위의 평탄한 부위는 내측에서 제 1 개구부(10d)의 주위를 커버하는 앞쪽 플랜지부(F2)로서 작용한다. 도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부(41)가 제 1 개구부(10d)에 장착될 경우, 제 1 개구부(10d)는 그 주위가 뒤쪽 플랜지부(F1) 및 앞쪽 플랜지부(F2)에 의해 실링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자루체(10) 내의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제 1 개구부(10d)에서 쉽게 누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뒷판(101)의 행거 유지부(42) 및 좌우 가이드체(130) 주위의 평탄한 부위는 외측에서 제 2 개구부(10e)의 주위를 커버하는 뒤쪽 플랜지부(F3)로서 작용하며, 앞판(201)에서의 개구부(220) 주위의 평탄한 부위는 내측에서 제 2 개구부(10e)의 주위를 커버하는 앞쪽 플랜지부(F4)로서 작용한다. 행거 유지부(42)가 제 2 개구부(10e)에 장착될 경우, 제 2 개구부(10e)는 그 주위가 뒤쪽 플랜지부(F3) 및 앞쪽 플랜지부(F4)에 의해 실링된 상태로 된다. 이로써, 자루체(10) 내의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제 2 개구부(10e)에서 쉽게 누출되지 않는다.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이 자루체(10) 후면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10(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43)의 장착홀(141)은 자루체(10)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외, 도 10(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 유지부(42)는 자루체(10) 내에서 자루체(10)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행거 유지부(42)의 제 2 유지부(121)에 의류가 걸리는 의류용 행거(H)의 고리가 걸려있고, 제 1 유지부(120)의 장착부(122)에 상부 커버(440)가 장착된다. 상부 커버(440)는 약간 만곡된 활 형상의 가로로 긴 판상으로 형성된다. 자루체(10)의 상면은 해당 상부 커버(440)에 의해 내측에서 강화된다.
자루체(10)의 후면 상부를 구성하는 뒤쪽 직물(10b)의 상부(10b1)는, 두께를 뒤쪽 직물(10b)의 기타 부분(10b2)보다 크게 하거나, 또는 기타 부분(10b2)의 직물 재료를 변경함으로써 기타 부분(10b2)보다 더욱 단단하다. 이로써, 자루체(10)의 뒷면 상부를 통해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 자루체 유지부(70)의 구조, 및 자루체(10)가 자루체 유지부(70)에 장착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자루체 유지부(7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1(a)는 앞쪽 사시도이며 도 11(b)는 뒤쪽 사시도이다. 도 12는 자루체 유지부(70)에 자루체(10)가 장작된 상태에서의 주요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자루체 유지부(70)는 박스형의 본체부(71) 및 본체부(71)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유지부(72)를 포함한다. 본체부(71)의 좌우 양측에 원통형의 삽입홀(73)이 형성된다. 삽입홀(73)에 로드(61)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유지부(72) 끝부의 상부에 걸림 고리부(74)가 형성된다. 걸림 고리부(74)의 주위에 개구부(75)가 형성된다. 유지부(72)의 내부는 중공이고 걸림 고리부(74)에서 처진 조작편(76)은 개구부(75) 및 유지부(72)의 내부를 통해 유지부(72)의 하방까지 돌출된다. 조작편(76)이 하방까지 당겨지면, 걸림 고리부(74)는 하방으로 수축된다.
유지부(72)의 상단부는 상방을 향하는 고리 형상을 가진다. 자루체 유지부(70)가 자루체(10)에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 상단부에 의류용 행거를 걸 수 있다. 본체부(71) 앞면의 하단에서, 유지부(72)의 좌우 양측에 지지편(77)이 형성된다.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를 자루체 유지부(70)에 장착할 경우, 사용자는 자루체 유지부(70)의 유지부(72)를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의 장착홀(141)에 삽입한다. 삽입 시, 유지부(72)의 조작편(76)은 장착홀(141)의 절개부(142)를 통과한다. 장착홀(141)의 입구부분의 상부에 걸림홀(143)이 형성되고, 유지부(72)가 장착홀(141)의 마지막까지 삽입되면 걸림 고리부(74)는 걸림홀(143)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유지부(72)는 장착홀(131)에서 이탈되지 않고, 자루체(10)는 자루체 유지부(70)에 대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방으로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외, 비록 도 12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착부(43)의 하면은 좌우의 지지편(77)에 의해 지지된다. 도 1(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 유지부(7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자루체(10)의 앞면은 베이스(50)의 정면 방향을 향한다.
사용자는 조작편(76)을 하방으로 당겨 걸림 고리부(74)를 수축시키고 자루체(10)를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자루체 유지부(70)에서 자루체(10)를 탈착할 수 있다.
다음, 오존 공급 장치(2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오존 공급 장치(2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a)는 상부 커버(440)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오존 공급 장치(20)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상부 커버(440)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오존 공급 장치(20)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오존 공급 장치(20)의 평면도이고, 도 14(b)는 내측에서 오존 공급 장치(20)의 하우징(400)의 상면을 관찰한 횡단면도이다. 도 15의 (a) 내지 (c)는 각각 오존 공급 장치(20)의 좌측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5의 (d) 및 (e)는 베이스(50)에 고정된 상태에서의 오존 공급 장치(20)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6(a)는 뒤쪽에서 관찰한 오존 공급 장치(20)의 종단면도이고, 도 16(b)는 위쪽에서 관찰한 오존 공급 장치(20)의 주요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6(a)에서 오른쪽 삽입 홈부(415), 왼쪽 삽입 홈부(416), 락 삽입 홈부(417), 덕트(duct) 검측부(460) 및 락 검측부(470)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오존 공급 장치(20)는 하우징(400), 통기 덕트(500), 오존 발생기(600), 송풍 팬(fan)(700), 흡기 유닛(800) 및 제어 유닛(900)을 포함한다.
하우징(400)은 하우징 본체(410), 앞쪽 커버(420), 흡기 커버(430), 상부 커버(440) 및 조작부(450)를 포함한다. 도 13(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는 상면이 완만하게 돌출되어 만곡된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 본체(410)의 앞면에 앞면 개구부(411)가 형성되고 해당 앞면 개구부(411)는 앞쪽 커버(42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폐쇄된다.
하우징 본체(410)의 상면에 상부 커버(4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함된 오목면부(412)가 형성된다. 오목면부(412)의 중앙에 원형으로 요함된 장착부(413)가 설치된다. 장착부(413)에 격자형의 정류 리브(414a)를 구비하는 배출구(414)가 형성된다.
오목면부(412)에서, 장착부(413)의 좌우 양측에는 도입관(30)의 오른쪽 고리부(38) 및 왼쪽 고리부(39)에 대응되는 형상의 오른쪽 삽입 홈부(415) 및 왼쪽 삽입 홈부(416)가 형성된다. 도 14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삽입 홈부(415)의 앞쪽에는, 오른쪽 삽입 홈부(415)에 삽입된 오른쪽 고리부(38)가 우회전 방향으로만 대략 1 개 오른쪽 고리부(38) 만큼 이동하도록 오른쪽 개구부(415a)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왼쪽 삽입 홈부(416)의 뒤쪽에는, 왼쪽 삽입 홈부(416)에 삽입된 왼쪽 고리부(39)가 우회전 방향으로만 대략 1 개 왼쪽 고리부(39) 만큼 이동하도록 왼쪽 개구부(416a)가 형성된다.
오목면부(412)에서 오른쪽 단부에 검측 락(90)과 대응되는 형상의 락 삽입 홈부(417)가 형성된다. 도 14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락 삽입 홈부(417)의 뒤쪽의 측면에 개구부(417a)가 형성된다.
도 1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의류 탈취 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자루체(10)에서 떼어낸 상부 커버(440)를 오목면부(412)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자루체(10)에서 제거된 상부 커버(440)의 보관 장소는 확보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 상부 커버(44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 사용하지 않을 때 먼지 등이 배출구(414) 및 락 삽입 홈부(417)로부터 하우징(4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에 덕트 검측부(460) 및 락 검측부(470)가 배치된다. 덕트 검측부(460)는 검측 스위치(461) 및 중계 레버(462)를 포함한다. 검측 스위치(461)는 스위치부(461a) 및 스위치부(461a)를 누르기 위한 레버부(461b)를 구비한다. 중계 레버(462)는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축(463)에 장착되는데, 일단은 오른쪽 삽입 홈부(415)의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은 검측 스위치(461)에 접촉된다. 락 검측부(470)는 검측 스위치(471) 및 중계 레버(472)를 포함한다. 검측 스위치(471)는 스위치부(471a) 및 스위치부(471a)를 누르기 위한 레버부(471b)를 구비한다. 중계 레버(472)는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축(473)에 장착되는데, 일단은 락 삽입 홈부(417)의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은 검측 스위치(471)에 접촉된다.
도 15(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의 왼쪽면에 조작부(450)가 설치된다. 조작부(450)는 전원 버튼(451), 탈취 버튼(452) 및 향기 첨가 버튼(453)을 포함한다. 전원 버튼(451)은 의류 탈취 장치(1)의 전원을 온(ON) 및 오프(OFF)하기 위한 버튼이다. 탈취 버튼(452)은 탈취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향기 첨가 버튼(453)은 향기 첨가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외, 조작부(450)는 제 1 통지부(454) 및 제 2 통지부(455)를 포함한다. 제 1 통지부(454)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고 점등을 통해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되지 않은 것을 통지한다. 제 2 통지부(455)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고 점등을 통해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폐쇄되지 않은 것을 통지한다.
도 1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의 후면에 흡기구(418)가 형성되고 해당 흡기구(418)는 흡기 커버(43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폐쇄된다. 흡기 커버(430)에 다수 개의 흡기홀(431)이 형성된다.
도 15(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의 바닥면에서, 베이스(50)의 제 1 고정부(52)의 각각의 고리부(52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장착홀(419a)이 형성되고, 제 2 고정부(53)의 돌기(53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장착홀(419b)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하방으로 제 2 고정부(53)의 누름부(53c)를 눌러 돌기(53b)를 압입시킨 후, 고리부(52a)를 제 1 장착홀(419a)에 통과시키고 오존 공급 장치(20)를 베이스(50)에 적재한 후 오존 공급 장치(20)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도 15(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부(52a)는 하우징 본체(410)의 바닥면과 걸리게 된다. 다음, 사용자가 누름부(53c)에 대한 누름을 정지하면, 도 15(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53b)는 제 2 장착홀(419b)에 감입된다. 이로써, 오존 공급 장치(20)는 상하, 앞뒤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베이스(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오존 공급 장치(20)에 의해 제공된 공기에 의해 자루체(10)가 팽창될 때, 오존 공급 장치(20)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오존 공급 장치(20)가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400)의 내부에 통기 덕트(500), 오존 발생기(600), 송풍 팬(700), 흡기 유닛(800) 및 제어 유닛(900)이 배치된다.
도 16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 덕트(500)는 덕트 본체(510) 및 덕트 커버(520)를 포함한다. 덕트 본체(510)의 도입구(511)는 송풍 팬(700)의 배출구(720)와 연결되고 도출구(512)는 배출구(414)와 연결된다. 덕트 본체(510) 내의 도입구(511) 부근에 오존 발생기(600)가 배치된다. 덕트 본체(510)는, 도입구(511)에서 왼쪽으로 연장되고 오존 발생기(600)가 배치된 위치를 초과한 부분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되돌아오도록 만곡된 후, 상방을 향해 도출구(512)까지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덕트 본체(510)의 오존 발생기(600)의 하류 측을 구성하는 부분은 “S” 자 형태로 사행(meandering)한다.
오존 발생기(600)는 방전형 오존 발생기이고, 한 쌍의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 무음 방전 등 방전을 생성하며, 한 쌍의 전극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한다. 덕트 본체(510)의 앞면에서, 오존 발생기(60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513)가 형성된다. 개구부(513)는 덕트 커버(520)에 의해 폐쇄된다. 사용자는 앞쪽 커버(420) 및 덕트 커버(520)를 제거함으로써, 개구부(513)를 통해 전극에 대한 청소 등을 진행하여 오존 발생기(600)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송풍 팬(700)은 원심 팬이며, 측면에 흡입구(710)가 설치되고 원주면에 배출구(720)가 설치된다. 흡입구(710)는 하우징(400) 후면의 흡기구(418)와 대면한다. 송풍 팬(700)은 흡입구(710)에서 공기를 획득하며, 획득한 공기를 공기 덕트(500) 내의 오존 발생기(600)로 수송한다. 송풍 팬(700)으로는 원심 팬 이외의 팬, 예를 들어 축류 팬(axial flow fan)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흡기구(418)와 송풍 팬(700)의 흡입구(710) 사이에 흡기 유닛(800)이 설치된다. 흡기 유닛(800)은 흡기관(810), 먼지 필터(820) 및 오존 제거 필터(830)를 포함한다.
흡기관(810) 내부는 격자형의 분리판(811)에 의해 흡기구(418) 측의 제 1 필터 수용부(812) 및 송풍 팬(700) 측의 제 2 필터 수용부(813)로 나누어진다. 제 1 필터 수용부(812)에 먼지 필터(820)가 수용되고, 제 2 필터 수용부(813)에 오존 제거 필터(830)가 수용된다. 먼지 필터(820)는 흡기구(418)에서 획득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을 제거한다. 오존 제거 필터(830)는 먼지 필터(820)를 통과한 공기에 함유된 오존을 제거한다.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의 오존 제거 필터(44)와 마찬가지로, 오존 제거 필터(830)는 활성탄/촉매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흡기관(810)에 송풍 팬(700)의 흡입구(710)와 연결된 연결부(814)가 설치되고, 연결부(814)와 제 2 필터 수용부(813)는 연통홀(815)에 의해 연결된다.
제어 유닛(900)은 CPU,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오존 발생기(600) 및 송풍 팬(700)을 제어한다.
다음, 도 17을 참조하여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에 대한 연결 및 덕트 검측부(460)를 통해 진행되는 연결에 대한 검측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될 때, 도 17(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의 연결부(31b)는 오른쪽 고리부(38) 및 왼쪽 고리부(39)가 각각 오른쪽 삽입 홈부(415) 및 왼쪽 삽입 홈부(416)에 삽입되도록 장착부(413)에 삽입된다. 다음, 도입관(30)을 위쪽에서 관찰할 때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오른쪽 고리부(38) 및 왼쪽 고리부(39)는 각각 오른쪽 개구부(415a) 및 왼쪽 개구부(416a)를 통해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하우징 본체(410)의 상면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도입관(30)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도 6(c)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자루체(10)의 전후 방향의 중심선(P)과 비교하면, 오른쪽 고리부(38)는 약간 앞쪽으로 위치하고 왼쪽 고리부(39)는 약간 뒤쪽으로 위치하므로, 도 1(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은 자루체(10)의 앞면이 오존 공급 장치(20)의 정면 방향, 즉 베이스(50)의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된다. 이외,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 겸 행거유지 유닛(40)은 자루체(10)의 앞면이 베이스(50)의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자루체 유지부(70)에 고정된다. 따라서, 자루체(10)는 그 상부 및 하부 사이가 거의 비틀어지지 않는 상태로 오존 공급 장치(20)의 상방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의류를 자루체(10) 내에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고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자루체(10) 내에서 순리롭게 유통시킬 수 있다.
이렇게, 도입관(30)은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되고, 도 17(b)에서 타나낸 바와 같이, 오른쪽 고리부(38)가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중계 레버(462)의 일단측은 오른쪽 고리부(38)에 눌리운다. 중계 레버(462)가 회전하여 레버부(461b)가 중계 레버(462)의 타단측에 의해 눌리우면, 스위치부(461a)는 눌리운 레버부(461b)에 의해 눌리운다. 이로써, 검측 스우치(461)는 도입관(30)이 장착부(413)에 장착되었음을 검측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입관(30)을 장착부(413)에서 제거하면, 레버부(461b)는 자체의 탄력에 의해 중계 레버(462)를 회전시키면서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로써, 검측 스우치(461)는 도입관(30)이 장착부(413)에서 제거되었음을 검측한다.
다음,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락 검측부(470)를 통해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음을 검측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측 락(90)과 슬라이더(12c)를 연결시키는 연결 끈(95)은, 지퍼(12)가 끝단부(12b) 부근까지 폐쇄될 때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18(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2c)가 끝단부(12b) 부근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닿지 못하므로 사용자는 검측 락(90)을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할 수 없다 즉, 적어도 지퍼(1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검측 락(90)은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없다. 한편, 도 1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퍼(12)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검측 락(90)은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있어 락 삽입 홈부(417)에 검측 락(90)을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퍼(12)를 통해 투입구(11)를 마지막까지 폐쇄하면, 도 19(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측 락(90)을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하여, 삽입된 검측 락(90)을 상방에서 관찰 시 오른쪽으로 회전시킨다. 도 1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측 락(90)의 돌출부(91)는 개구부(417a)를 통해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동한 후의 돌출부(91)를 통해 중계 레버(472)의 일단측을 누른다. 중계 레버(472)가 회전하여, 레버부(471b)가 중계 레버(472)의 타단측에 의해 눌리우면, 스위치부(471a)는 눌리운 레버부(471b)에 의해 눌리운다. 이로써, 검측 스위치(471)는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되었음을 검측하며, 즉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음을 검측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서 제거되면, 레버부(471b)는 자체의 탄력에 의해 중계 레버(472)를 회전시키면서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로써, 검측 스위치(471)는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서 제거되었음을 검측한다.
다음, 향기 공급 유닛(8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은 향기 공급 유닛(8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의 (a) 및 (b)는 각각 향기 공급 유닛(80)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20(c)는 위쪽 박스체(84)가 제거된 상태의 향기 공급 유닛(80)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입관(30)에 향기 공급 유닛(80)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자루체(10) 하부의 중앙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21(b)는 도입관(30)에 향기 공급 유닛(80)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자루체(10) 하부의 중앙부의 횡단면도이다.
향기 공급 유닛(80)은 위쪽에서 관찰할 때 타원형상을 가지는 박스 형상의 수용 박스(81) 및 수용 박스(81) 내에 수용된 방향체(82)를 포함한다. 수용 박스(81)는 상면이 개방된 아래쪽 박스체(83) 및 바닥면이 개방된 위쪽 박스체(84)를 포함한다.
아래쪽 박스체(83)의 바닥면에서,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측에 흡기구(83a)가 형성되고, 흡기구(83a)와 인접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리브(83b)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리브(83b)의 상방에 방향체(82)가 적재된다. 이외, 아래쪽 박스체(83) 바닥면의 타단부 측에 타단부를 향해 높아지는 경사면(83c)을 구비한다. 또한, 아래쪽 박스체(83)의 바닥면에는, 흡기구(83a)를 둘러싸도록 원통형의 연결구(83d)가 형성된다. 연결구(83d)에서 도입관(30)의 걸림편(32)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리부(83e)가 형성된다.
위쪽 박스체(84)는 아래쪽 박스체(83)의 상면에 장착된다. 위쪽 박스체(84)의 상면에서, 흡기구(83a)와 대응되는 위치에 타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84a)을 구비한다. 이외, 위쪽 박스체(84)의 상면에서 복수 개의 리브(83b)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84b)가 형성되고, 해당 개구부(84b)는 커버부(84c)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커버된다. 커버부(84c)는 힌지부(hinge)(84d)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커버부(84c)에 복수 개의 슬릿형의 통기홀(84e)이 형성된다.
방향체(82)는 다공질 재료 등 액체 형상의 방향제를 함침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커버부(84c)를 오픈하여 개구부(84b)를 통해 방향체(82)를 수용 박스(81) 내에 설치한다.
향기 공급 유닛(80)을 도입관(30)에 장착 시, 고리부(83e) 및 걸림편(32)의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연결구(83d)를 도입관(30)의 상단부에 삽입한다. 다음, 향기 공급 유닛(80)을 고리부(83e)와 걸림편(32)이 겹친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도 21(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편(32) 및 고리부(83e)는 걸림 결합되어 향기 공급 유닛(80)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앞쪽 플랜지부(33) 및 뒤쪽 플랜지부(34)를 구비함으로써, 자루체(10) 하면의 측면 직물(10c)이 연결구(83d)와 도입관(30) 사이에 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향기 공급 유닛(80)은 도입관(30)에 장착된 상태에서, 향기 공급 유닛(80)은 길이 방향이 자루체(10)의 좌우 방향을 구성하도록 자루체(10) 내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입관(30)은 자루체(10)에 대해 회동할 수 없도록 고정부(15)에 고정되므로, 도입관(30)에 정확하게 장착된 향기 공급 유닛(80)은 자루체(10)의 앞면 및 후면에 접촉되지 않는다.
다음, 의류 탈취 장치(1)를 통해 진행하는 탈취 작업 및 향기 첨가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탈취 작업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는 의류용 행거(H)에 걸려있는 의류를 자루체 유지부(70)에 걸려있는 자루체(10) 내에 수용한다. 이때, 도 10(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루체(10) 내에서 의류용 행거(H)를 행거 유지부(42)의 제 2 유지부(121)에 걸어 놓는다. 이렇게, 자루체(10) 내에서 행거 유지부(42)를 통해 의류가 걸리게 된다. 사용자는 조작부(450)의 탈취 버튼(452)을 누른다. 덕트 검측부(460)를 통해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에 장착되었음을 검측하고 락 검측부(470)를 통해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되었음을 검측하였을 경우, 즉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음을 검측하였을 경우, 제어 유닛(900)은 탈취 작업을 시작하여 송풍 팬(700) 및 오존 발생기(600)를 작동시킨다.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에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 유닛(900)은 탈취 작업을 시작하지 않으며 제 1 통지부(454)를 점등시킨다. 이외, 투입구(11)가 폐쇄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 유닛(900)은 탈취 작업을 시작하지 않으며 제 2 통지부(455)를 점등시킨다.
탈취 작업이 시작되면, 외부의 공기는 흡기구(418)로부터 흡기관(810)에 흡입되고, 공기에 함유된 먼지 및 오존은 흡기 덕트(810) 내의 먼지 필터(820) 및 오존 제거 필터(830)에 의해 제거된다. 먼지 및 오존이 제거된 공기는 송풍 팬(700)을 통해 통기 덕트(500) 내로 수송된다(도 16(b)에서의 화살표를 참조). 통기 덕트(500) 내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오존 발생기(600)를 통과 시 오존 발생기(600)에 의해 생성된 오존에 혼입된다. 이렇게,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통기 덕트(500) 내를 통해 배출구(414)에 도달하며 배출구(414)로부터 배출된다(도 16(a)에서의 화살표를 참조).
오존 공급 장치(20)에서 배출된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도입관(30)을 통해 자루체(10) 내에 도입된다. 도 1(a)에서 화살표가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 내에 도입된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아래서부터 위로 의류와 접촉하면서 유동한다. 의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오존의 탈취 작용에 의해 탈취된다. 여기서, 비록 의류의 하방은 비교적 크게 개구되었지만,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아래서부터 위로 유동하므로 의류의 내부에 쉽게 분포된다. 이로써, 의류의 외측 및 내측에 대해 전면적인 탈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외, 자루체(10)는 자루체 유지부(70)에 걸리고 의류는 의류용 행거(H)에 걸림으로써, 자루체(10)의 상부와 의류의 어깨부분 사이에는 간극이 확보된다. 이로써, 의류의 어깨부분에도 오존이 쉽게 분포되므로 탈취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a)에서 점선 화살표가 나타낸 바와 같이, 의류의 탈취에 의해 오존의 농도가 낮아진 공기는 자루체(10) 상부의 배기부(41)를 통해 자루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탈취 후의 공기가 배기부(41)를 통과 시, 오존 제거 필터(44)에 의해 오존이 제거된다. 이로써, 자루체(10)에서 배출된 공기 중의 오존 농도는 추가로 낮아진다.
다음, 향기 첨가 작업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는 의류를 자루체 유지부(70)에 걸려있는 자루체(10) 내에 수용하고, 도 2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 내에서 방향체(82)가 설치된 향기 공급 유닛(80)을 도입관(30)에 장착한다. 사용자는 조작부(450)의 향기 첨가 버튼(453)을 누른다. 덕트 검측부(460)를 통해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에 장착되었음을 검측하고, 락 검측부(470)를 통해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음을 검측하였을 경우, 제어 유닛(900)은 향기 첨가 작업을 시작하며 송풍 팬(700)을 작동시킨다.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에 장착되지 않을 경우, 제어 유닛(900)은 향기 첨가 작업을 시작하지 않으며, 제 1 통지부(454)를 점등시킨다. 이외, 투입구(11)가 폐쇄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 유닛(900)은 향기 첨가 작업을 시작하지 않으며, 제 2 통지부(455)를 점등시킨다.
향기 첨가 작업이 시작되면, 도 21(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에서 배출된 공기는 흡기구(83a)로부터 수용 박스(81) 내에 도입된다. 도입된 공기는 복수 개의 리브(83b)를 따라 타단부 측으로 유동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방향체(82)를 거친 공기에 의해, 방향체(82) 중에 함유된 아로마 성분이 휘발함으로써 공기 중에 혼입된다. 아로마 성분이 함유된 공기는 개구부(84b) 및 통기홀(84e)을 통해 자루체(10) 내로 배출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공기는 수용 박스(81)에 설치된 두 개의 경사면(83c, 84a)을 통해 수용 박스(81) 내에서 원활하게 유동한다.
탈취 작업의 경우과 동일하게, 아로마 성분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아래서부터 위로 유동하고, 이외, 자루체(10) 내의 공기 압력이 상승되므로 의류에 대한 향기 첨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의류 탈취 장치(1)는 오존 공급 장치(20)로부터 오존을 함유한 공기 및 방향 성분을 함유한 공기를 의류가 수용된 자루체(10)에 공급하여, 의류에 대한 탈취 및 향기 첨가 작업을 진행하는 구성이므로, 큰 설치 공간이 필요 없이, 가정 내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2) 도입관(30)은 자루체(10)에 대해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로써, 자루체(10)의 방향과 오존 공급 장치(20)의 방향이 원하는 관계, 즉 자루체(10)의 정면이 오존 공급 장치(20)의 정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3) 도입관(30)이 자루체(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 유닛은, 고정부(15)를 둘러쌈으로써 해당 고정부(15)를 내측으로 체결하는 번들 스트랩(19), 및 도입관(30)에 번들 스트랩(19)의 결합부(19c)와 걸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37)로 구성되므로, 번들 스트랩(19)을 이용하여 도입관(30)이 자루체(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4) 고정부(15)에서, 번들 스트랩(19)의 스트랩부(19b)는 스트랩 통과부(16)를 통과하고, 스트랩 통과부(16)를 통과하지 않으면서 노출된 결합부(19c)는 차폐부(17)에 의해 가려진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번들 스트랩(19)을 쉽게 볼수 없으므로 고정부(15)의 외관이 아름답다.
5) 자루체(10)의 정면이 오존 공급 장치(20)의 정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자루체(10)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자루체 유지부(70) 및 오존 공급 장치(20)에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 도입관(30)이 자루체(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도입관(30)의 회동으로 인해 자루체(10)의 하부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하여 자루체(10)가 비틀리는 상황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자루체(10)의 비틀림을 이처럼 방지함으로써,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순리롭게 유통할 수 있다.
<변경예>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상술한 이외의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스톱 유닛이 배치되는데 번들 스트랩(19)의 결합부(19c) 및 해당 결합부(19c)와 걸림 결합되는 돌기부(37)를 통해 도입관(30)이 자루체(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하지만, 스톱 유닛은 도입관(30)이 자루체(10)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되는 바, 기타 구조를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2의 (a) 및 (b)에서 나타낸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입관(30A)에 상하로 연장하는 단면이 “T”자 형상의 돌기부(30a)가 형성된다. 한편, 자루체(10)의 고정부(15A)에 상하로 비교적 긴 슬릿홀(15b)이 형성된다. 도입관(30A)을 고정부(15A)에 장착 시, 돌기부(30a)는 슬릿홀(15b)을 통과하게 된다. 다음, 미도시된 번들 스트랩은 고정부(15A)의 적절한 위치를 둘러싸게 되며, 번들 스트랩의 체결에 의해 도입관(30A)은 고정부(15A)에 고정된다. 도입관(30)은 슬릿홀(15b)과 돌기부(30a)의 걸림 결합을 통해 자루체(10)에 대해 회동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서 도입관(30)은 상하 두 개의 번들 스트랩(19)에 의해 고정부(15)에 고정된다. 하지만, 번들 스트랩(19)의 개수는 두 개에 한정되는 않고 하나 또는 3 개 이상이여도 된다.
이외,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다양한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10: 자루체, 15: 고정부, 16: 스트랩 통과부, 17: 차폐부, 19: 번들 스트랩, 20: 오존 공급 장치, 30: 도입관, 37: 돌기부, 50: 베이스, 60: 지지대, 70: 자루체 유지부, 413: 장착부.

Claims (4)

  1. 의류를 수용하는 자루체;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상기 자루체 내에 공급하는 오존 공급 장치;
    상기 오존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된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상기 자루체 내로 도입시키는 도입관;
    상기 자루체에 형성되고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오존 공급 장치에 형성되고 상기 도입관의 타단부가 소정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 및
    상기 도입관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의 원주방향에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는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는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를 둘러싸며,
    상기 스톱 유닛은,
    상기 고정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양단에 형성된 헤드부와 스트랩부의 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부를 감음으로써, 상기 고정부와 도입관을 고정시키는 번들 스트랩; 및
    상기 도입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번들 스트랩의 헤드부와 스트랩부의 결합부에 걸림 결합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트랩부가 통과하도록 하는 스트랩 통과부; 및
    상기 스트랩 통과부를 통과하지 않으면서 상기 고정부에 노출되는 상기 결합부를 가리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오존 공급 장치를 고정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자루체의 정면이 상기 오존 공급 장치의 정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자루체의 상부를 유지하는 자루체 유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도입관은 상기 자루체의 정면이 상기 오존 공급 장치의 정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오존 공급 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77035540A 2015-05-13 2016-05-13 의류 처리 장치 KR101972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8512 2015-05-13
JP2015098512A JP6653947B2 (ja) 2015-05-13 2015-05-13 衣類処理装置
PCT/CN2016/082114 WO2016180375A1 (zh) 2015-05-13 2016-05-13 衣物处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266A KR20180004266A (ko) 2018-01-10
KR101972259B1 true KR101972259B1 (ko) 2019-04-24

Family

ID=5724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540A KR101972259B1 (ko) 2015-05-13 2016-05-13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84209B2 (ko)
EP (1) EP3296455A4 (ko)
JP (1) JP6653947B2 (ko)
KR (1) KR101972259B1 (ko)
CN (1) CN107532373B (ko)
WO (1) WO2016180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3367A (ja) * 2018-12-26 2020-07-09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衣類処理装置
JP7449529B2 (ja) * 2019-12-24 2024-03-1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衣類処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564B2 (ja) * 1991-02-28 2001-03-07 メタルヴェルケ ネーハイム ゲーケ ウント コンパ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加熱器弁
US20110268625A1 (en) * 2010-04-29 2011-11-03 Chung-Yang Mike Chen Garment ba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829Y2 (ja) * 1979-09-03 1984-05-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連結装置
JP3106537B2 (ja) 1991-04-26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リフレッシュ装置
JPH0631695U (ja) * 1992-09-30 1994-04-26 松下精工株式会社 ふとん乾燥機
US5824274A (en) * 1996-10-16 1998-10-20 Long; Ron Ozone treatment system for point of use purification of water and sanitizing agent for surfaces, articles and foods
JP2002051943A (ja) * 2000-08-11 2002-02-19 Toshiba Tec Corp 脱臭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有する電気掃除機
JP2005198859A (ja) * 2004-01-16 2005-07-28 Sanyo Electric Co Ltd 衣類浄化装置
WO2006127577A2 (en) * 2005-05-20 2006-11-30 Complete Ozone, Inc. Ozone generator
JP3142564U (ja) * 2008-03-12 2008-06-19 株式会社メディアクラフト 空気清浄機兼用の洗濯物乾燥機
CN102108627A (zh) * 2011-03-28 2011-06-29 胡杰波 烘挂衣一体机
JP2013078518A (ja) * 2011-10-05 2013-05-02 Sharp Corp 布団乾燥用の袋体、布団乾燥機
CN202359418U (zh) * 2011-11-29 2012-08-01 佛山市顺德区盛熙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烫衣烘干设备
CN202660644U (zh) * 2012-05-30 2013-01-09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除湿机
CN203295857U (zh) * 2013-05-03 2013-11-20 浙江华光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干衣机用布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564B2 (ja) * 1991-02-28 2001-03-07 メタルヴェルケ ネーハイム ゲーケ ウント コンパ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加熱器弁
US20110268625A1 (en) * 2010-04-29 2011-11-03 Chung-Yang Mike Chen Garment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0375A1 (zh) 2016-11-17
CN107532373B (zh) 2019-10-01
EP3296455A1 (en) 2018-03-21
JP2016209472A (ja) 2016-12-15
EP3296455A4 (en) 2018-12-19
JP6653947B2 (ja) 2020-02-26
CN107532373A (zh) 2018-01-02
KR20180004266A (ko) 2018-01-10
US10184209B2 (en) 2019-01-22
US20180105973A1 (en)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0406B2 (ja) 衣類乾燥機
KR101972259B1 (ko) 의류 처리 장치
WO2018059366A1 (zh) 衣物处理装置
CN107532371B (zh) 衣物处理装置
KR101989589B1 (ko) 의류 처리 장치
CN107532372B (zh) 衣物处理装置
CN107709652B (zh) 衣物处理装置
JP2016093368A (ja) 衣類処理装置
KR101999535B1 (ko) 의류 처리 장치
CN220538198U (zh) 衣物处理组件及衣物处理设备
KR20180106033A (ko) 의류 건조기
JP2017064260A (ja) 浄化装置
JP2013198756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